KR102307335B1 - 수준 측량 데이터의 오차를 감소시켜 측량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측지측량시스템 - Google Patents

수준 측량 데이터의 오차를 감소시켜 측량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측지측량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7335B1
KR102307335B1 KR1020210068770A KR20210068770A KR102307335B1 KR 102307335 B1 KR102307335 B1 KR 102307335B1 KR 1020210068770 A KR1020210068770 A KR 1020210068770A KR 20210068770 A KR20210068770 A KR 20210068770A KR 102307335 B1 KR102307335 B1 KR 1023073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lighting
coupled
control
targ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8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현
김현동
정학수
장성욱
Original Assignee
한국공간정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공간정보(주) filed Critical 한국공간정보(주)
Priority to KR10202100687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73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73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73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G01C15/02Means for marking measuring points
    • G01C15/06Surveyors' staffs; Movable mark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02Rulers with scales or marks for direct reading
    • G01B3/04Rulers with scales or marks for direct reading rigid
    • G01B3/08Rulers with scales or marks for direct reading rigid extensibl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5/00Measuring height; Measuring distances transverse to line of sight; Levelling between separated points; Surveyors' leve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9/0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 G01C9/02Detai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28Structurally-combined illuminating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7/00Indicating measured valu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7/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e.g. lidar systems
    • G01S17/02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 G01S17/06Systems determining position data of a target
    • G01S17/08Systems determining position data of a target for measuring distance onl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 Measuring Device Byusing Mechanical Metho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측지측량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거치기구의 상부에 직립 설치되는 스타프장치 및 스타프장치로부터 이격하여 배치되며 스타프장치를 시준할 수 있는 레벨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주변 통행자에게 수준측량 작업을 알려 수준측량 작업을 방해받지 않을 수 있고, 표척의 높이 변화에 따른 표척 눈금 값을 정확하게 표시하여 보다 정확한 수준측량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으며, 시준 지점이 장애물에 가려지더라도 정확한 수준 측량데이터를 얻을 수 있는 수준 측량 데이터의 오차를 감소시켜 측량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측지측량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준 측량 데이터의 오차를 감소시켜 측량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측지측량시스템{GEODETIC SURVEYING SYSTEM FOR IMPROVING SURVEY ACCURACY BY REDUCING ERROR IN LEVEL SURVEY DATA}
본 발명은 측지측량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준 측량 데이터의 오차를 감소시켜 측량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측지측량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토목설계나 건축설계 등을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측지측량이 이루어져야 한다. 측지측량이란 수평거리와 고저차 및 방향을 측정하여 각 측정점들 상호간의 위치를 결정하여 이를 도면이나 수치로 표시하고, 현장에서 측설하는 제반 활동을 말하는 것이다.
이러한 측지측량 가운데 수준(level) 측량은 표척과 레벨기, 토털스테이션 등의 측량장치를 이용하여 두 지점 간의 높이차를 구하는 측량으로 그 정확도는 2급 수준 측량의 경우 5mm * S/2 (여기서, S는 편도거리로서 단위는 km 이다) 이내로 규정하고 있을 정도로 세밀한 측량이 요구된다.
도 1은 종래 표척과 측량기기를 이용하여 수준을 측량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제1단계로, 표척수(標尺手)가 표척(1)을 고도를 알고 있는 지상기준점(a0)에 세우고, 기계수(機械手)는 일정 거리 떨어진 제1관측점(b1)에서 레벨기 등의 측량기기(2)로 표척(1)의 눈금을 읽는다.
제2단계로, 표척수가 제1지점(a1)으로 이동하여 표척(1)을 세우고, 기계수가 관측점(b1)에서 측량기기(2)의 방향을 전환하여 측량기기(2)를 통해 제1지점의 표척 눈금을 읽는다. 여기서 지상기준점(a0)과 제1지점(a1)에서 읽은 눈금의 차와 지상기준점의 고도로부터 제1지점의 고도를 구한다.
제3단계로, 기계수는 제1지점(a1) 뒤의 제2관측점(b2)으로 이동하고, 표척수가 표척(1)을 제자리(제1지점)에서 방향 전환시켜 표척(1)이 측량기기(2)를 바라보도록 하면 기계수가 제2관측점(b2)에서 측량기기로 제1지점(a1)의 표척 눈금을 읽는다.
제4단계로, 표척수가 제2지점(a2)으로 이동하여 표척(1)을 세우고, 기계수가 제2관측점(b2)에서 제2지점(a2)의 표척 눈금을 읽는다. 여기서 제2관측점(b2)에서 읽은 제1지점(a1)과 제2지점(a2)의 눈금 차이로부터 제2지점의 고도를 구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표척(1)과 측량기기(2)를 계속하여 이동시키면서 각 지점의 표척과 각 관측점에서의 측량기기의 방향을 전환시켜 눈금을 읽어 목표지점까지 각 지점의 고도를 구한다.
이러한 수준측량은 한 명의 작업자가 표척을 잡고 또 다른 작업자가 레벨기를 통해 표척을 시준하여 측량 작업이 이루어진다. 최근에는 거치대를 통해 표척을 세워, 별도로 표척을 잡는 작업자 없이 수준 측량 작업이 이루어지기도 한다.
그러나 종래 거치대를 통해 표척을 세우는 방식으로 수준측량을 수행할 시, 표척 주변을 통행하는 통행자가 표척을 미리 발견하지 못하고 표척 주변을 지나갈 경우 수준 측량 작업에 방해를 받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정확한 수준측량 데이터를 수집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또한, 통행자가 표척 주변을 지나갈 시 실수로 표척와 부딪혀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도 있는 문제점도 있다.
아울러, 종래에는 거치대에 표척을 설치할 시 표척의 설치 높이를 조절할 수 없어, 측량 상황에 따라 표척의 높이를 조절할 수 없었다.
나아가, 종래에는 표척을 세워야할 지점의 전방에 장애물이 있을 경우, 표척을 기울여야 하기 때문에 정확한 시준이 어려우며, 이로 인해 정확한 측량 값을 얻을 수 없었다.
위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해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주변 통행자에게 수준측량 작업을 알려 수준측량 작업을 방해받지 않을 수 있고, 표척의 높이 변화에 따른 표척 눈금 값을 정확하게 표시하여 보다 정확한 수준측량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는 수준 측량 데이터의 오차를 감소시켜 측량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측지측량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준 지점이 장애물에 가려지더라도 정확한 수준 측량데이터를 얻을 수 있는 수준 측량 데이터의 오차를 감소시켜 측량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측지측량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본 발명의 기재로부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거치기구의 상부에 직립 설치되는 스타프장치; 및 스타프장치로부터 이격하여 배치되며 스타프장치를 시준할 수 있는 레벨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준 측량 데이터의 오차를 감소시켜 측량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측지측량시스템에서 상기 스타프장치는, 받침패널의 중앙 부분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 삽입홀, 받침패널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삽입홀보다 외측 방향에 구비되는 설치홀을 갖춘 받침패널 및 받침패널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지지대를 갖춘 거치기구; 하방으로 개구되어 지지바의 하부에 구비되는 개구홈, 개구홈의 상부와 연통되며 측방으로 개구되는 개구홀을 구비한 하부결합부 및 상방으로 개구되어 지지바의 상부에 구비되는 개구홈, 개구홈의 하부와 연통되며 측방으로 개구되는 개구홀을 구비한 상부결합부를 갖추고서, 받침패널의 삽입홀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결합되는 지지바, 일단이 뾰족한 형상을 이루며 타단이 하부결합부의 개구홈 또는 상부결합부의 개구홈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결합되는 첨단체 및 지지바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결합되는 삽입홀을 구비하여, 지지바의 하부에 위치하는 판 형상의 반사체를 갖춘 지지기구; 제1표척의 표척대의 중앙 부분에 하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어 지지바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결합되는 삽입홈과 하방으로 개구되며 삽입홈보다 외측 방향에 구비되되 삽입홈을 기준으로 서로 대향되게 각각 구비되는 제1,2슬라이드홈을 구비한 표척대, 표척대의 표면에 설치되며 조명으로 눈금 값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표척대의 표면에 설치되는 끼움돌기를 갖춘 제1표척과, 상방으로 개구된 삽입홈을 갖추고서 제1표척의 표척대의 상부에 상하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표척대, 표척대의 표면에 설치되어 조명으로 눈금 값이 표시되되 눈금 값이 제1표척의 디스플레이에 따른 눈금 값에 연속되게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를 갖춘 제2표척과, 일단이 제2표척의 표척대의 삽입홈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결합되는 연결바 및, 하방으로 개구되며 연결바의 타단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결되는 삽입홈을 구비한 표척대, 표척대의 표면에 설치되어 조명으로 눈금 값이 표시되되 수직방향으로 배치될 시는 제2표척의 디스플레이에 따른 눈금 값에 연속되게 표시되고 수평방향으로 배치될 시는 제1표척의 디스플레이에 따른 눈금 값에 연속되게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를 갖춘 제3표척을 갖춘 스타프기구; 제1표척의 제1슬라이드홈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삽입되는 슬라이드부와, 제1지지반사패널의 하부에 구비되며 하방으로 개구된 삽입부 및, 삽입부에 구비되며 하방으로 돌출된 끼움돌기를 갖추고서, 제1표척의 하부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지지반사패널; 제1표척의 제2슬라이드홈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삽입되는 슬라이드부와, 제2지지반사패널의 하부에 구비되며 하방으로 개구된 삽입부 및, 삽입부에 구비되며 하방으로 돌출된 끼움돌기를 갖추고서, 제1표척의 하부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지지반사패널; 제1표척의 끼움돌기 또는 제1,2지지반사패널의 끼움돌기에 착탈가능게 삽입되는 끼움홀을 구비한 메인반사패널; 상하 방향으로 개구된 체결홀을 구비하여 제3표척의 상단에 구비되는 브라켓과, 브라켓의 체결홀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결합되는 이동바 및, 이동바의 상단에 구비되는 경고등을 갖춘 경고장치; 거치기구의 설치홀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결합되는 바디부와, 바디부의 하부에 구비되며 지지기구의 반사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제1레이저거리측정기 및, 바디부의 상부에 구비되며 메인반사패널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제2레이저거리측정기를 갖춘 거리측정기구; 거치기구의 받침패널에 설치되고, 제1레이저거리측정기 및 제2레이저거리측정기로부터 측정신호를 수신하며, 제1,2,3표척의 디스플레이를 각각 작동제어하는 제어장치; 및 거치기구에 설치되어 거치기구의 기울기를 측정하며, 측정한 기울기 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 값을 벗어나면 경고신호를 무선송출하는 수평계;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준 측량 데이터의 오차를 감소시켜 측량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측지측량시스템에서 상기 레벨기는, 레벨기가 설치되는 거치대; 거치대의 상단에 결합되는 완충기구; 완충기구의 상단에 결합되는 회전기구; 회전기구의 상단에 결합되며 상하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높이조절부; 및 높이조절부의 상단에 결합된 레벨기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결합되며, 스타프장치의 수평계로부터 경고신호를 수신하여 경고조명을 방출하는 조명기구;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준 측량 데이터의 오차를 감소시켜 측량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측지측량시스템에서 상기 회전기구는, 높이조절부의 하단에 결합되어 레벨기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수평회전부; 및 수평회전부의 하단에 장착되는 회전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회전부는, 높이조절부의 하단에 결합되며 상단과 후단이 개방된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회전케이스; 회전케이스 내부에 수용되며 상단이 높이조절부의 하단에 결합되고 하단이 회전케이스의 하단을 관통하여 회전제어부에 수용되는 회전로드; 회전로드의 측부에 돌출 연장되는 회전연장판; 회전케이스의 상단에 형성되며 회전연장판의 상부면과 접촉되는 회전걸림부; 및 회전연장판의 하부면과 회전케이스의 내측 하부면 사이에 배치되는 다수의 회전볼; 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제어부는, 회전케이스의 하단에 결합되며 회전로드의 하단이 수용되는 제어케이스; 제어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며 회전로드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어로드; 제어로드의 일단에 결합되며 회전로드의 하부에 형성된 다수의 멈춤홈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될 수 있는 멈춤부; 멈춤부와 회전케이스의 내측면 사이에 결합되는 제어스프링; 제어로드의 타단에 결합되며 제어케이스의 측부에 형성된 방지홈의 삽입될 수 있는 방지부; 방지부의 일측에 결합되며 삼각형 형태의 단면을 가지는 제어이동부; 제어케이스의 측부에 결합되며 제어이동부가 좌우로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제어이동케이스; 및 제어이동케이스의 상부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하단이 제어이동부의 상부면에 접촉되는 제어손잡이;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준 측량 데이터의 오차를 감소시켜 측량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측지측량시스템에서 상기 높이조절부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는 하부조절부; 하부조절부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되며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중간조절부; 및 중간조절부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되며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상부조절부; 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조절부, 중간조절부, 상부조절부의 중공에는 세로탄성부가 수용되며, 세로탄성부는 상부조절부의 내부면 끝단과 하부조절부의 내부면 끝단 사이를 연결하고, 상부조절부의 내부면 끝단에는 세로와이어의 일단이 결합되고, 세로와이어의 타단은 하부조절부의 끝단을 관통하여 외부로 인출되며, 하부조절부의 하단에는 인출된 와이어가 감기거나 풀릴 수 있도록 세로인출부가 결합되고, 상기 세로인출부로부터 세로와이어가 풀림에 따라 상부조절부-중간조절부 순으로 표척의 길이가 신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준 측량 데이터의 오차를 감소시켜 측량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측지측량시스템에서 상기 조명기구는, 레벨기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사각링 형태의 조명케이스; 조명케이스의 우측면에 장착되는 다수의 조명소켓; 및 조명케이스의 상하면에 착탈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다수의 태양전지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조명케이스는 레벨기의 상부측에 놓이는 제1조명케이스와 레벨기의 하부측에 놓이는 제2조명케이스로 구분되며, 제1조명케이스와 제2조명케이스의 일측 사이는 조명핀을 매개로 연결되어 상호 회전 가능하고, 제1조명케이스와 제2조명케이스의 타측에는 조명잠금장치가 장착되어 조명케이스를 레벨기에 고정시키거나 레벨기로부터 분리할 수 있으며, 제1조명케이스와 제2조명케이스의 상하면에는 다수의 조명레일이 종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태양전지모듈은 다수의 조명레일 사이에 삽입될 수 있도록 판 형태로 형성되고, 태양전지모듈의 일측면은 태양전지판으로 형성되고 타측면은 제1조명케이스와 제2조명케이스의 상하면에 접촉되는 조명접촉면으로 형성되며, 조명접촉면에는 상호 이격된 다수의 자석접촉부가 길이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제1조명케이스와 제2조명케이스의 상하면에 결합되고, 상호 이격된 다수의 자석접촉부 사이는 원호 형상의 조명간격부가 길이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제1지지반사패널, 제2지지반사패널, 메인반사패널을 통해 제2레이저거리측정기로부터 조사된 레이저가 반사될 수 있는 반사면적을 넓게 하여, 제2레이저거리측정기가 최초 제작 시의 설계 위치에서 조금 벗어나게 설치되더라도, 제2레이저거리측정기로부터 조사된 레이저가 반사면적에 반사되어, 제2레이저거리측정기가 측정하고자 하는 거리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으므로 수준측량 데이터 수집 작업 시 보다 정확한 수준측량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경고장치를 통해 스타프장치 주변으로 사람이 접근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수준측량 데이터 수집 작업을 안정적으로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레이저거리측정기 및 제2레이저거리측정기를 통해 받침패널에서 지면까지의 거리 및 받침패널에서 제1표척의 표척대의 저면까지의 거리를 편리하게 측정하고, 측정한 거리 값을 표척의 디스플레이에 눈금 값을 표시할 시 반영하여, 정확한 수준 측량 값을 수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장애물로 인해 스타프기구의 시준이 어려울 경우, 시준하고자 하는 시준 지점과 동일한 높이를 이루어 시준 지점과 이웃되게 위치하는 지점을 시준하여, 시준 지점에 대한 시준 값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측량 작업이 어려운 곳에서도 새로운 측량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으며, 기존의 측량 데이터와 새로운 측량 데이터를 비교하여 기존의 측량 데이터에 오차가 있을 경우 보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표척과 측량기기를 이용하여 수준을 측량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준 측량 데이터의 오차를 감소시켜 측량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측지측량시스템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타프장치의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타프장치에서 제2,3표척이 수평으로 배치된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도 4의 부분 단면도.
도 6은 도 5의 거치기구 부분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6에서 A부분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5의 제2,3표척 부분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8의 B부분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도 8의 경고장치 부분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표척의 일부 저면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지지반사패널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지지반사패널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인반사패널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받침패널 및 제1표척의 모습을 도시한 평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거리측정기구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완충기구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기구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로드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2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부의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2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23 내지 도 3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지측량시스템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준 측량 데이터의 오차를 감소시켜 측량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측지측량시스템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타프장치의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타프장치에서 제2,3표척이 수평으로 배치된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부분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5의 거치기구 부분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6에서 A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8은 도 5의 제2,3표척 부분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도 8의 B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10은 도 8의 경고장치 부분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표척의 일부 저면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지지반사패널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지지반사패널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인반사패널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받침패널 및 제1표척의 모습을 도시한 평단면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거리측정기구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준 측량 데이터의 오차를 감소시켜 측량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측지측량시스템은 거치기구의 상부에 직립 설치되는 스타프장치(100) 및 스타프장치로부터 이격하여 배치되며 스타프장치를 시준할 수 있는 레벨기(200)를 포함한다.
상기 스타프장치(100)는 거치기구(110)와, 지지기구(120)와, 스타프기구(130)와, 제1반사패널(170)과, 제2반사패널(180)과, 메인반사패널(190)과, 경고장치(AL)과, 거리측정기구(140)와, 제어장치(150) 및, 수평계(160)를 갖춘다.
상기 거치기구(110)는 받침패널(111) 및, 받침패널(111)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지지대(112)를 갖춘다.
상기 받침패널(111)은 받침패널(111)의 중앙 부분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 삽입홀(111a) 및, 받침패널(111)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삽입홀(111a)보다 외측 방향에 구비되는 설치홀(111b)을 갖춘다. 본 실시예에서 받침패널(111)은 사각패널 형상을 이룬다.
상기 지지기구(120)는 지지바(121)와, 첨단체(122) 및, 반사체(123)를 갖춘다.
상기 지지바(121)는 하부결합부(121a) 및 상부결합부(121b)를 갖추고서, 받침패널(111)의 삽입홀(111a)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결합된다.
상기 하부결합부(121a)는 하방으로 개구되어 지지바(121)의 하부에 구비되는 개구홈(121a1) 및, 상기 개구홈(121a1)의 상부와 연통되며 측방으로 개구되는 개구홀(121a2)을 갖춘다.
상기 상부결합부(121b)는 상방으로 개구되어 지지바(121)의 상부에 구비되는 개구홈(121b1) 및, 상기 개구홈(121b1)의 하부와 연통되며 측방으로 개구되는 개구홀(121b2)를 갖춘다.
상기 첨단체(122)는, 일단이 뾰족한 형상을 이루며, 타단이 상기 하부결합부(121a)의 개구홈(121a1) 또는 상기 상부결합부(121b)의 개구홈(121b1)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결합된다.
상기 반사체(123)는, 지지바(121)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결합되는 삽입홀(123a)을 갖추고서, 지지바(121)의 하부에 위치한다. 본 실시예에서 반사체(123)는 얇은 판 형상을 이룬다.
상기 스타프기구(130)는 제1표척(131)과, 제2표척(132)과, 연결바(133) 및, 제3표척(134)을 갖춘다.
상기 제1표척(131)은 표척대(131a)와, 디스플레이(131b) 및, 끼움돌기(131c)를 갖추고서, 거치기구(110)의 상부에 배치된다.
상기 제1표척(131)의 표척대(131a)는 제1표척(131)의 표척대(131a)의 중앙 부분에 하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어 지지바(121)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결합되는 삽입홈(131a1) 및, 하방으로 개구되며 상기 삽입홈(131a1)보다 외측 방향에 구비되되 상기 삽입홈(131a1)을 기준으로 서로 대향되게 각각 구비되는 제1,2슬라이드홈(131a2,132a3)을 갖춘다. 본 실시예에서 제1표척(131)의 표척대(131a)는 사각 바 형상을 이룬다.
상기 제1표척대(131)의 디스플레이(131b)는 제1표척대(131)의 표척대(131a)의 표면에 설치되며 조명으로 눈금 값이 표시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표척(131)의 디스플레이(131b)는 사각 패널 형상을 이룬다.
상기 제1표척대(131)의 끼움돌기(131c)는 제1표척대(131)의 표척대(131a)의 표면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끼움돌기(131c)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표척(132)은 표척대(132a) 및, 디스플레이(132b)를 갖추고서, 제1표척(131)의 상부에 배치된다.
상기 제2표척(132)의 표척대(132a)는 상방으로 개구된 삽입홈(132a1)을 갖추고서, 제1표척(131)의 표척대(131a)의 상부에 상하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2표척(132)의 표척대(132a)는 사각 패널 형상을 이룬다.
상기 제2표척(132)의 디스플레이(132b)는 제2표척대(132)의 표척대(132a)의 표면에 설치되어, 조명으로 눈금 값이 표시되되, 상기 눈금 값이 제1표척(131)의 디스플레이(131b)에 따른 눈금 값에 연속되게 표시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2표척(132)의 디스플레이(132b)는 사각 패널 형상을 이룬다.
상기 연결바(133)는, 일단이 제2표척(132)의 표척대(132a)의 삽입홈(132a1)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결합된다.
상기 제3표척(134)은 표척대(134a) 및, 디스플레이(134b)를 갖추고서, 제2표척(132)의 상부에 배치된다.
상기 제3표척(134)의 표척대(134a)는, 하방으로 개구되며 연결바(133)의 타단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결되는 삽입홈(134a1)을 갖춘다. 본 실시예에서 제3표척(134)의 표척대(134a)는 사각 패널 형상을 이룬다.
상기 제3표척(134)의 디스플레이(134b)는, 제3표척(134)의 표척대(134a)의 표면에 설치되어, 조명으로 눈금 값이 표시되되 수직방향으로 배치될 시는 제2표척(132)의 디스플레이(132b)에 따른 눈금 값에 연속되게 표시되고, 수평방향으로 배치될 시는 제1표척(131)의 디스플레이(131b)에 따른 눈금 값에 연속되게 표시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3표척(134)의 디스플레이(134b)는 사각 패널 형상을 이룬다.
상기 제1지지반사패널(170)은 제1표척(131)의 제1슬라이드홈(131a2)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삽입되는 슬라이드부(171)와, 제1지지반사패널(170)의 하부에 구비되며 하방으로 개구된 삽입부(172) 및, 상기 삽입부(172)에 구비되며 하방으로 돌출된 다수의 끼움돌기(173)를 갖추고서, 제1표척(131)의 하부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지지반사패널(170)은 사각 패널 형상을 이루고, 상기 끼움돌기(173)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지지반사패널(180)은 제1표척(131)의 제2슬라이드홈(131a3)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삽입되는 슬라이드부(181)와, 제2지지반사패널(180)의 하부에 구비되며 하방으로 개구된 삽입부(182) 및, 상기 삽입부(182)에 구비되며 하방으로 돌출된 끼움돌기(183)를 갖추고서, 제1표척(131)의 하부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2지지반사패널(180)은 사각 패널 형상을 이루고, 상기 끼움돌기(183)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제2지지반사패널(180)은 제1지지반사패널(170)에 대향되게 설치된다.
상기 메인반사패널(190)은 제1표척(131)의 끼움돌기(131c) 또는 제1,2지지반사패널(170,180)의 끼움돌기(173,183)에 착탈가능게 삽입되는 끼움홀(191)을 갖춘다. 본 실시예에서 메인반사패널(190)은 제1,2지지반사패널(170,180)에 설치될 시, 메인반사패널(190)의 저면이 제1,2지지반사패널(170,180)의 저면과 동일선상에 위치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메인반사패널(190)은 사각 패널 형상을 이룬다.
상기 경고장치(AL)는 상하 방향으로 개구된 체결홀(AL1a)을 구비하여 제3표척(134)의 상단에 구비되는 브라켓(AL1)과, 브라켓(AL1)의 체결홀(AL1a)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결합되는 이동바(AL2) 및, 이동바(AL2)의 상단에 구비되는 경고등(AL3)을 갖춘다.
상기 거리측정기구(140)는 거치기구(110)의 설치홀(111b)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결합되는 바디부(141)와, 바디부(141)의 하부에 구비되며 지지기구(120)의 반사체(123)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제1레이저거리측정기(142) 및, 바디부(141)의 상부에 구비되며 메인반사패널(190)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제2레이저거리측정기(143)를 갖춘다. 본 실시예에서는 거리 측정을 위해 레이저거리측정기 대신 초음파거리측정기가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장치(150)은 거치기구(110)의 받침패널(111)에 설치되고, 제1,2레이저거리측정기(142,143)로부터 측정신호를 수신하며, 제1,2,3표척(131,132,134)의 디스플레이(131b,132b,134b)를 각각 작동제어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어장치(150)은 제1,2,3표척(131,132,134)의 디스플레이(131b,132b,134b)에 눈금 값을 표시할 시, 제1,2레이저거리측정기(142,143)로부터의 측정신호에 따른 거리를 반영하여 나타낸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제어장치(150)과 제1,2,3표척(131,132,134)의 디스플레이(131b,132b,134b)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제1,2,3표척(131,132,134)의 디스플레이(131b,132b,134b)가 제어장치(150)에 의해 작동제어된다.
상기 수평계(160)는 거치기구(110)에 설치되어 거치기구(110)의 기울기를 측정하며, 측정한 기울기 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 값을 벗어나면 경고신호를 무선송출한다. 예를 들어 상기 기준 값은 5°일 수 있으며, 이때 수평계(160)는 측정한 기울기 값이 5°를 초과하면 경고신호를 무선송출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수평계(160)는 디지털 수평계이다.
상기 레벨기(200)는 스타프장치(100)의 수평계(160)로부터 경고신호를 수신하여, 경고조명을 방출하는 조명기구(400)를 갖춘다. 본 실시예에서 레벨기(200)는 수준측량을 위한 기본 기능을 탑재하고 있으며, 거치대(220)를 매개로 지면에 배치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완충기구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레벨기(200)는, 레벨기가 설치되는 거치대(220), 거치대(220)의 상단에 결합되는 완충기구(600), 완충기구(600)의 상단에 결합되는 회전기구(500), 회전기구(500)의 상단에 결합되며 상하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높이조절부(300) 및 높이조절부(300)의 상단에 결합된 레벨기(200)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결합되며, 스타프장치(100)의 수평계(160)로부터 경고신호를 수신하여 경고조명을 방출하는 조명기구(400)를 포함한다.
상기 완충기구(600)는 완충로드(610), 완충케이스(620), 완충스토퍼(630), 완충연결부(640) 및 완충굴곡부(6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회전기구(500)의 하단에 장착된다.
상기 완충로드(610)는 회전기구(500)의 하단에 결합되며, 원판 형태의 완충체결부(611) 및 완충체결부(611)의 하부 중앙에 연장되는 원통 형태의 완충원통부(612)로 이루어진다.
상기 완충케이스(620)는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완충로드(610)의 하단이 수용된다. 이러한 완충케이스(620)의 하단은 거치대(220)에 체결된다.
상기 완충스토퍼(630)는 완충로드(610)의 완충원통부(612)의 하부 외측면에 결합된다. 완충스토퍼(630)는 링 형태로 형성되며, 완충케이스(620)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지면으로부터 큰 진동이나 충격이 가해져서 완충로드(610)가 크게 흔들릴 때, 완충스토퍼(630)는 완충케이스(620)의 내측면에 접촉되어 대변위 제어를 수행한다. 상기 완충스토퍼(630)의 외측면과 완충케이스(620)의 내측면 사이에는 소정의 갭(G)이 형성된다.
상기 완충연결부(640)는 완충로드(610)의 하부에 결합되며 완충로드(610)와 완충케이스(620)의 내측면 사이를 연결한다. 상기 완충스토퍼(630)와 완충연결부(640)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완충연결부(640)는 완충로드(610)의 하단과 완충케이스(620)의 내측 하부면 사이를 상하로 연결하는 완충상하부(641) 및 완충상하부(641)의 측부에 연장되어 완충케이스(620)의 내측 측면 사이를 좌우로 연결하는 완충좌우부(642)를 포함한다. 상기 완충연결부(640)는 전체적으로 '십(十)'자 형태의 단면을 가진다.
상기 완충스토퍼(630)의 외측면과 완충케이스(620)의 내측면 사이, 즉 갭(G)에는 완충굴곡부(650)가 결합되어 완충스토퍼(630)와 완충케이스(620) 사이를 서로 연결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완충굴곡부(650)는 제1굴곡부(651), 제2굴곡부(652), 제3굴곡부(653), 제4굴곡부(654) 및 제5굴곡부(65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전체적으로 '지그재그' 형태의 단면을 가진다.
상기 제1굴곡부(651)는 완충스토퍼(630)의 외측면에 결합되며 1자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2굴곡부(652)는 제1굴곡부(651)의 하단으로부터 비스듬히 상부를 향해 연장된다. 상기 제3굴곡부(653)는 제2굴곡부(652)의 상단으로부터 하부로 연장되며 1자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4굴곡부(654)는 제3굴곡부(653)의 하단으로부터 비스듬히 상부를 향해 연장된다. 상기 제5굴곡부(655)는 제4굴곡부(654)의 상단으로부터 하부로 연장되고 1자 형태로 형성되며 완충케이스(620)의 내측면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1굴곡부(651)의 상하 높이는 제3굴곡부(653)의 상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되고, 제3굴곡부(653)의 상하 높이는 제5굴곡부(655)의 상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된다. 즉, 상기 제1굴곡부(651)로부터 제5굴곡부(655) 방향으로 갈수록 완충굴곡부(650)의 전체적인 높이는 점차 낮아지게 된다.
또한, 상기 제1굴곡부(651) 내지 제5굴곡부(655)의 두께는 전체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굴곡부(651)와 제2굴곡부(652) 사이의 각도, 제2굴곡부(652)와 제3굴곡부(653) 사이의 각도, 제3굴곡부(653)와 제4굴곡부(654) 사이의 각도 및 제4굴곡부(654)와 제5굴곡부(655) 사이의 각도는 전체적으로 거의 동일하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완충스토퍼(630)와 완충케이스(620) 사이의 물리적인 갭(G)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완충굴곡부(650)를 이용하여 실질적으로 간격을 줄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완충스토퍼(630)의 잦은 접촉으로 인한 소음은 줄이면서 대변위 진동 제어에는 유리한 특성이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기구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로드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기구(500)는, 높이조절부(300)의 하단에 결합되어 높이조절부(300) 및 레벨기(200)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수평회전부(510) 및 수평회전부(510)의 하단에 장착되는 회전제어부(5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수평회전부(510)는, 높이조절부(300)의 하단에 결합되며 상단과 후단이 개방된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회전케이스(511), 회전케이스(511) 내부에 수용되며 상단이 높이조절부(300)의 하단에 결합되고 하단이 회전케이스(511)의 하단을 관통하여 회전제어부(520)에 수용되는 회전로드(512), 회전로드(512)의 측부에 돌출 연장되는 회전연장판(513), 회전케이스(511)의 상단에 형성되며 회전연장판(513)의 상부면과 접촉되는 회전걸림부(511a) 및 회전연장판(513)의 하부면과 회전케이스(511)의 내측 하부면 사이에 배치되는 다수의 회전볼(514)을 포함한다.
상기 회전로드(512)는 회전케이스(511) 및 다른 부품에 대해 상대적인 수평 회전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회전로드(512)의 상단에 결합된 높이조절부(300) 및 레벨기(200)도 수평 회전이 가능하다.
상기 회전로드(512)는 전체적으로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회전로드(512)의 측부에는 회전연장판(513)이 외측으로 링 형태로 돌출 연장된다. 회전연장판(513)은 회전걸림부(511a)에 접촉된다.
상기 다수의 회전볼(514)은 회전케이스(511) 내부에 수용되며, 회전로드(512)가 수평 회전할 때 회전케이스(511)와 회전로드(512) 사이의 마찰력을 줄여주어 회전로드(512)가 더욱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레벨기(200)의 방향을 전환함에 있어서 레벨기(200)를 들어올렸다가 다시 착지시키거나 하지 않고, 레벨기(200)를 결합하여 세운 상태에서 그대로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으므로 레벨기의 위치가 변동됨에 따른 측량 오차를 확실하게 배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회전제어부(520)는 수평회전부(510)의 하단에 장착되며, 제어케이스(521), 제어로드(522), 멈춤부(523), 제어스프링(524), 방지부(525), 제어이동부(526), 제어이동케이스(527) 및 제어손잡이(52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어케이스(521)는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회전케이스(511)의 하단에 결합된다. 제어케이스(521)의 상단에는 회전케이스(511)와 연통될 수 있도록 홀이 형성되며, 이러한 홀을 통해 회전로드(512)의 하단이 제어케이스(521)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어로드(522)는 제이케이스 내부에 수용되며, 회전로드(512)와 직교하는 방향(즉,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제어로드(522)의 우측 단부에는 멈춤부(523)가 결합되고, 제어로드(522)의 좌측 단부에는 방지부(525)가 결합된다.
상기 멈춤부(523)는 납작한 판 형태로 형성되며, 제어로드(522)의 좌우 이동에 따라 좌우로 이동 가능하다. 상기 회전로드(512)의 하부에는 다수의 멈춤홈(512a)이 방사형으로 형성되는데, 멈춤부(523)는 이러한 멈춤홈(512a)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어로드(522)가 좌측으로 이동되었을 때 멈춤부(523)는 회전로드(512)의 멈춤홈(512a)에 삽입 수용되고, 제어로드(522)가 우측으로 이동되었을 때 멈춤부(523)는 회전로드(512)의 멈춤홈(512a)으로부터 이탈된다.
상기 멈춤부(523)가 회전로드(512)의 멈춤홈(512a)에 삽입 수용되면, 회전로드(512)는 멈춤부(523)에 가로막혀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하고 제자리에서 고정된다. 멈춤부(523)가 회전로드(512)의 멈춤홈(512a)으로부터 이탈되면 회전로드(512)는 다시 수평 회전 가능하다.
도시된 것처럼 상기 회전로드(512)의 멈춤홈(512a)에는 다수의 멈춤돌기(512b)가 돌출될 수 있다. 다수의 멈춤돌기(512b)는 고무와 같이 탄성이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며, 멈춤홈(512a)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또한, 다수의 멈춤돌기(512b)는 마주보는 멈춤돌기(512b)끼리 소정의 높이 차이를 둘 수 있도록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다수의 멈춤돌기(512b)는 깍지를 낀 손처럼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어 있다.
다수의 멈춤돌기(512b)는 멈춤부(523)가 회전로드(512)의 멈춤홈(512a)에 삽입되었을 때 멈춤부(523)가 멈춤홈(512a)으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고 그 내부에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어스프링(524)은 멈춤부(523)와 회전케이스(511)의 내측면 사이에 결합된다. 제어스프링(524)은 제어로드(522) 및 멈춤부(523)를 좌측으로 밀어줄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기 방지부(525)는 제어케이스(521)의 측부에 형성된 방지홈(521a)에 삽입될 수 있다. 제어로드(522)가 좌측으로 이동되었을 때 방지부(525)는 방지홈(521a)에 삽입되고, 제어로드(522)가 우측으로 이동되었을 때 방지부(525)는 방지홈(521a)으로부터 이탈된다.
상기 방지부(525)의 외측면과 방지홈(521a)의 내측면은 톱니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방지부(525)가 방지홈(521a)에 삽입되었을 때, 제어로드(522) 및 멈춤부(523)는 축 회전 및 상하전후 이동이 불가능하고, 이에 따라 회전로드(512)의 고정 상태를 더욱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이동부(526)는 방지부(525)의 좌측 단부에 결합되며, 삼각형 형태의 단면을 가진다. 상기 제어이동케이스(527)는 제어케이스(521)의 측부에 결합되며 제어이동부(526)가 좌우로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어이동부(526)는 제어이동케이스(527)에 수용되어 좌우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어손잡이(528)는 제어이동케이스(527)의 상부에 결합된다. 제어손잡이(528)는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제어손잡이(528)의 하단은 제어이동부(526)의 상부면에 접촉된다.
사용자가 제어손잡이(528)를 잡고 아래로 힘을 가하면, 제어손잡이(528)의 하단부가 제어이동부(526)의 상부면에 접촉되면서 제어이동부(526)를 밀게되고, 이에 따라 제어이동부(526)는 우측으로 이동된다.
상기 제어이동부(526)가 우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방지부(525)는 방지홈(521a)으로부터 이탈되고, 제어로드(522)는 제어스프링(524)의 탄성력을 이겨내고 우측으로 이동된다.
상기 제어로드(522)가 우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멈춤부(523) 역시 멈춤홈(512a)으로부터 이탈되고, 회전로드(512) 및 그 상부에 결합된 레벨기(200)는 멈춤부(523)의 제약 없이 자유롭게 수평 회전될 수 있다.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레벨기(200)의 수평 회전이 끝나면, 사용자는 제어손잡이(528)를 놓고, 제어스프링(524)의 탄성력에 따라 제어로드(522)는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제어로드(522)가 좌측으로 이동하면, 멈춤부(523)가 멈춤홈(512a)에 삽입되어 회전로드(512)의 수평 회전이 제한된다. 이때, 방지부(525)는 방지홈(521a)에 삽입되며, 제어이동부(526)는 좌측으로 이동하여 제어손잡이(528)를 위로 들어올리게 된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부의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기 높이조절부(300)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는 하부조절부(310), 하부조절부(310)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되며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중간조절부(320) 및 중간조절부(320)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되며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상부조절부(330)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조절부(310)는 상측에 위치하는 중간조절부(320)보다 굵게 형성되고, 중간조절부(320)는 상측에 위치하는 상부조절부(330)보다 굵게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높이조절부(300)는 3단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유사한 방식으로 2단 또는 4단 이상으로 자유롭게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하부조절부(310)는 내부에 중공(311)이 형성된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하부조절부(310)의 상단 양측에는 케이스단부(312)가 내측으로 돌출 연장된다. 하부조절부(310)의 내부면 하부 양측에는 반구형 케이스돌기(313)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중간조절부(320)는 하부조절부(310)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내부에 중공(311)이 형성된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중간조절부(320)의 하단 양측에는 케이스단부(312)와 접촉될 수 있도록 제1외측하단부(321)가 외측으로 돌출 연장되고, 제1외측하단부(321)에 대향되도록 제1내측하단부(322)가 내측으로 돌출 연장된다. 상기 중간조절부(320)의 상단 양측에는 제1세로단부(323)가 내측으로 돌출 연장된다.
상기 상부조절부(330)는 중간조절부(320)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내부에 중공(311)이 형성된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상부조절부(330)의 하단 양측에는 제1세로단부(323)와 접촉될 수 있도록 제2세로단부(331)가 외측으로 돌출 연장된다.
즉, 상기 중간조절부(320)의 제1외측하단부(321)는 하부조절부(310)의 케이스단부(312)에 접촉될 수 있고, 중간조절부(320)의 제1세로단부(323)는 상부조절부(330)의 제2세로단부(331)에 접촉될 수 있으며, 중간조절부(320)의 제1내측하단부(322)는 상부조절부(330)의 제2세로단부(331)에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간조절부(320)의 제1외측하단부(321)는 중간조절부(320)가 하부로 이동되었을 때 케이스돌기(313)를 타고 넘어 하부조절부(310)의 내부면 하단과 케이스돌기(313) 사이에 위치한다. 이에 따라 중간조절부(320)는 케이스돌기(313)를 타고 넘을 정도의 힘이 가해져야 위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1외측하단부(321)의 좌우방향 길이는 케이스단부(312)의 좌우방향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되고, 제1내측하단부(322) 및 제1세로단부(323)의 좌우방향 길이는 제2세로단부(331)의 좌우방향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상기 하부조절부(310), 중간조절부(320) 및 상부조절부(330)의 중공(311)에는 세로탄성부(340)가 수용된다. 상기 세로탄성부(340)는 상부조절부(330)의 내부면 상단과 하부조절부(310)의 내부면 하단 사이를 연결한다.
상기 상부조절부(330)의 내부면 상단에는 세로와이어(350)가 결합된다. 세로와이어(350)는 일단이 상부조절부(330)의 내부면 상단에 결합되고, 타단은 하부조절부(310)의 하단을 관통하여 외부로 인출된다.
상기 하부조절부(310)의 하단을 관통하여 외부로 인출된 세로와이어(350)는 하부조절부(310)의 하단에 배치된 세로인출부(360)에 결합된다. 한편, 상기 하부조절부(310)의 하단에는 세로인출부(36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인출결합부(370)가 장착된다.
즉, 세로와이어(350)는 일단이 상부조절부(330)의 내부면 상단에 결합되고, 타단이 세로인출부(360)에 결합된다. 사용자가 세로인출부(360)에서 세로와이어(350)를 감으면 상부조절부(330)는 하부로 이동하고, 세로인출부(360)에서 세로와이어(350)를 풀면 상부조절부(330)는 상부로 이동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부의 작동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부조절부(330)는 세로와이어(350)에 의해 당겨져 있으므로 세로탄성부(340)의 탄성력을 이겨내고 하부로 이동되어 있고, 중간조절부(320)도 제1내측하단부(322)가 제2세로단부(331)에 접촉되어 하부로 이동되어 있으므로 중간조절부(320)와 상부조절부(330)는 하부조절부(310) 내부에 수용되어 있다.
사용자가 세로인출부(360)에서 세로와이어(350)를 풀면, 상부조절부(330)가 세로탄성부(340)의 탄성력에 의해 상부로 이동하고, 상부조절부(330)는 하부조절부(310)로부터 인출된다.
이때, 상기 중간조절부(320)의 제1외측하단부(321)는 하부조절부(310)의 내부면 하단과 케이스돌기(313)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우선 상부조절부(330)만 하부조절부(310)로부터 인출되고 중간조절부(320)는 하부조절부(310) 내부에 수용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상부조절부(330)가 상부로 더욱 이동하여 중간조절부(320)의 제1세로단부(323)와 상부조절부(330)의 제2세로단부(331)가 접촉되면, 중간조절부(320)에도 세로탄성부(340)의 탄성력이 가해지고, 중간조절부(320)의 제1외측하단부(321)가 케이스돌기(313)를 타고 넘으며 중간조절부(320)도 하부조절부(310)로부터 인출된다.
중간조절부(320)와 상부조절부(330)가 어느정도 인출되면, 사용자는 세로인출부(360)를 정지시킨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세로인출부(360)로부터 세로와이어(350)가 풀림에 따라 하부조절부(310)로부터 상부조절부(330), 중간조절부(320) 순으로 표척(300)의 길이가 신장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측량 작업을 수행하지 않을 때에는 세로와이어(350)가 세로인출부(360)에 감겨서 고정되어 있으므로 중간조절부(320) 또는 상부조절부(330)가 사용자의 의지와 관계없이 임의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명기구(400)는, 레벨기(200)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사각링 형태의 조명케이스(410), 조명케이스(410)의 우측면에 장착되는 다수의 조명소켓(420) 및 조명케이스(410)의 상하면에 착탈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다수의 태양전지모듈(430)을 포함한다.
상기 조명소켓(420)에는 조명원이 삽입된다. 조명원은 조명소켓(420)에 돌려 끼우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조명소켓(420)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상태에서 조명케이스(410)에 조립될 수도 있다.
상기 조명케이스(410)는 다시 레벨기(200)의 상부측에 놓이는 제1조명케이스(411)와 레벨기(200)의 하부측에 놓이는 제2조명케이스(412)로 구분되며, 제1조명케이스(411)와 제2조명케이스(412)의 일측 사이는 조명핀(413)을 매개로 연결되어 상호 회전 가능하다.
상기 제1조명케이스(411)와 제2조명케이스(412)의 타측에는 조명잠금장치(414)가 장착되어 조명케이스(410)를 레벨기(200)에 고정시키거나 레벨기(200)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조명기구(400)를 레벨기(200)에 결합함으로써 사용자가 손쉽게 경고등을 통해 스타프장치(100)의 기운 상태를 즉각적으로 알 수 있어, 잘못된 측량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조명케이스(411)와 제2조명케이스(412)의 상하면에는 다수의 조명레일(415)이 종방향으로 형성된다. 다수의 조명레일(415)은 평행하게 배치되며, 단면이 'T'자 형태로 형성되어 태양전지모듈(430)이 다수의 조명레일(415) 사이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조명케이스(410) 외부에 삽입되는 태양전지모듈(430)의 수를 사용자가 임의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주변 상황을 고려하여 최적화된 태양에너지 수급 효율을 보일 수 있다.
상기 태양전지모듈(430)은 다수의 조명레일(415) 사이에 삽입될 수 있도록 판 형태로 형성되고, 태양전지모듈(430)의 일측면은 태양전지판(431)으로 형성되고 타측면은 제1조명케이스(411)와 제2조명케이스(412)의 상하면에 접촉되는 조명접촉면(432)으로 형성된다.
상기 태양전지판(431)은 조명기구(400)의 각 부품에 전류를 공급한다. 상기 태양전지판(431)은 효율이 뛰어난 플라스틱 기판을 이용한 박막 태양전지 셀을 이용하며, 최대 전압은 11 내지 24V이고, 최대 전력은 80 내지 100W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명접촉면(432)에는 상호 이격된 다수의 자석접촉부(433)가 길이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제1조명케이스(411)와 제2조명케이스(412)의 상하면에 결합되고, 상호 이격된 다수의 자석접촉부(433) 사이는 원호 형상의 조명간격부(434)가 길이방향으로 함몰 형성된다. 상기 제1조명케이스(411)와 제2조명케이스(412)의 외측면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태양전지모듈(430)의 조명접촉면(432)에는 태양전지모듈(430)을 조명케이스(410)에 결합시키는 자석접촉부(433)와 조명간격부(434)가 교대로 형성되며, 자석접촉부(433) 사이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므로 방열 효과가 뛰어나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명소켓(420)과 조명케이스(410)의 우측면 사이에는 열전도피막(422)이 형성된다. 상기 열전도피막(422)은 열 전도성이 뛰어난 소재로 이루어지며, 조명원으로부터 발생된 열을 조명케이스(410)로 전달하여 방열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조명소켓(420)은 좌측 단부의 접착제(421)를 통해 열전도피막(422)에 결합될 수 있으며, 조명소켓(420)의 하부에는 리드선(423)이 연결되어 열전도피막(422)에 결합된다. 상기 열전도피막(422)의 우측면 일측에는 동박패턴(424)이 형성되어 방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조명케이스(410)의 좌측면에는 추가로 방열판을 설치하여 방열 효과를 더욱 극대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조명원에서 발생된 열은 조명소켓(420)의 통해 조명케이스(410)로 바로 전달되는 방식, 리드선(423)을 통해 조명케이스(410)로 전달되는 방식을 이용하여 방열되고, 그리고도 남아있는 열은 열전도피막(422)의 우측면에 결합된 동박패턴(424)을 통해 외기로 방열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2가지 상이한 방식을 통해 신속하게 조명소켓(420)의 열을 방출하고, 남아있는 열은 동박패턴(424)을 통해 빠르게 방출하여 방열 효과를 극대회시키는 장점이 있다.
도 23 내지 도 3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지측량시스템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수준측량을 하기 위해 작업자는 도 23과 같이 스타프장치(100)를 세우고 시준하기 전에 경고장치(AL)를 구동하여, 시준 작업을 수행할 시 경고장치(AL)에서 경고 빛이 방출되도록 함으로써, 스타프장치(100) 주변을 통행하는 통행자에게 측량 작업이 수행 중임을 알린다.
그리고, 시준 작업 시 거리측정기구(140)의 제1레이저거리측정기(142)는 도 24와 같이 거치기구(110)의 지지대(112)로부터 지지기구(120)의 반사체(123)까지의 거리를 측정하고, 제어장치(150)은 제1레이저거리측정기(142)로부터의 거리신호를 수신하여 거치기구(110)의 지지대(112)로부터 지지기구(120)의 반사체(123)까지의 거리 값을 반영하여 제1,2,3표척(131,132,134)의 디스플레이(131b,132b,134b)에 눈금 값을 표시한다.
여기서, 지지기구(120)의 반사체(123)는 제1레이저거리측정기(142)로부터의 레이저의 반사가 용이하도록 하며, 지면에 밀착되어 지지기구(120)의 지지바(121)가 지면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한다.
한편, 작업자가 측량작업을 수행할 때 스타프기구(130)의 배치 높이를 조절할 필요가 있을 시, 작업자는 스타프기구(130)를 회전시켜 도 25와 같이 스타프기구(130)의 상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작업자는 도 26과 같이 제1지지반사패널(170)과 제2지지반사패널(180)을 제1표척(131)으로부터 측방으로 돌출시킨 후, 제1표척(131)로부터 분리한 메인반사패널(190)을 도 27과 같이 제1지지반사패널(170)과 제2지지반사패널(180)에 설치한다.
이후, 작업자가 제2레이저거리측정기(143)을 구동하면, 제2레이저거리측정기(143)는 도 28과 같이 거치기구(110)의 받침패널(111)에서 메인반사패널(190)의 저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고, 제어장치(150)는 제1,2,3표척(131,132,134)의 디스플레이(131b,132b,134b)에 눈금 값을 표시할 시 거치기구(110)의 받침패널(111)에서 메인반사패널(190)의 저면까지의 거리 값을 반영한다.
여기서, 메인반사패널(190)은 제1지지반사패널(170) 및 제2지지반사패널(180) 사이에 설치되어 제2레이저거리측정기(143)의 수직 상방에 위치하기 때문에, 제2레이저거리측정기(143)로부터 조사된 레이저의 반사가 정확하게 이루어져, 제2레이저거리측정기(143)가 받침패널(111)에서 제1표척(131)의 표척대(131a)까지의 수직거리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메인반사패널(190)은 제1지지패널(170) 및 제2지지반사패널(180)과 연결되어, 제2레이저거리측정기(143)로부터 조사된 레이저가 부딪힐 수 있는 넓은 반사면적을 이룬다. 이에 따라 제2레이저거리측정기(143)가 최초 제작 시의 설계 위치에서 조금 벗어나게 설치되더라도, 제2레이저거리측정기(143)로부터 조사된 레이저가 상기 반사면적에 반사되어, 제2레이저거리측정기(143)가 받침패널(111)에서 제1표척(131)의 표척대(131a)까지의 수직거리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작업자는 스타프기구(130)의 제1,2,3표척(131,132,134)의 디스플레이(131b,132b,134b)를 시준할 시, 시준 지점이 장애물에 의해 잘 보이지 않을 경우, 스타프기구(130)의 제2표척(132)를 회전시켜 도 25 및 도 28과 같이 스타프기구(130)의 제2,3표척(132,134)이 수평을 이루도록 한다.
이때, 별도의 입력유닛(미도시)을 통해 제어장치(150)에 신호를 입력하면, 제2표척(132)의 디스플레이(132b) 및 제3표척(134)의 디스플레이(134b)의 눈금 값은 도 28과 같이 제1표척(131)의 디스플레이(131b)에 따른 눈금 값에 연속되게 표시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제2표척(132)의 디스플레이(132b) 또는 제3표척(134)의 디스플레이(134b)를 시준하여, 장애물에 의해 가려진 시준 지점의 시준 값과 동일한 시준 값을 얻을 수 있다.
여기서, 작업자는 제2표척(132)의 디스플레이(132b) 및 제3표척(134)의 디스플레이(134b)를 통해 장애물에 의해 가려진 시준 지점을 시준할 수 없을 시, 제3표척(134)를 회전시켜 도 29와 같이 제3표척(134)를 횡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장애물에 가려진 시준 지점의 시준 값과 동일한 시준 값을 보다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또한, 작업자는 수준 측량 작업을 할 때, 경고장치(AL)의 경고등(AL3)에서 방출되는 빛이 제3표척(134)의 디스플레이(134b)을 시준하는 데 방해가 될 시, 경고장치(AL)의 경고등(AL3)을 도 30과 같이 측방으로 이동시켜, 경고등(AL3)의 빛이 상기 디스플레이(134b)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스타프장치(100)를 흙으로 이루어진 지면에 세울 시 지지기구(120)의 첨단체(122)를 지면에 박아 스타프장치(100)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콘크리트 지면에 스타프장치(100)를 세울 시에는 지지기구(120)의 첨단체(122)를 제거하여 지지기구(120)의 지지바(121)가 콘크리트 지면에 안정적으로 안착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지지기구(120)의 첨단체(122)를 제거하면, 지지바(121)의 하부결합부(121a)의 개구홈(121a1)에 이물질이 끼기 쉬우며, 이로 인해 첨단체(122)를 지지바(121)의 하부결합부(121a)의 개구홈(121a1)에 결합할 시 결합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별도의 공기발생장치(미도시)를 통해 지지바(121)의 하부결합부(121a)의 개구홀(121a2)에 공기를 주입하여, 지지바(121)의 하부결합부(121a)의 개구홈(121a1)에 끼인 이물질을 밖으로 배출할 수 있어, 상기와 같은 결합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세워진 스타프장치(100)가 기준 값 이상 기울어질 경우, 스타프장치(100)의 수평계(160)가 이를 측정하여 경고신호를 무선 송출하고, 레벨기(200)가 상기 경고신호를 수신하여 조명기구(400)에 경고등을 켠다. 따라서 작업자는 스타프장치(100)를 시준할 시 육안으로 스타프장치(100)의 기운 상태를 확인하지 못하더라도 상기 경고등을 통해 스타프장치(100)의 기운 상태를 즉각적으로 알 수 있어, 잘못된 측량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작업자는 스타프장치(100)를 시준하기 전에 상기 조명등을 확인함으로써, 잘못된 측량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제1지지반사패널(170), 제2지지반사패널(180), 메인반사패널(190)을 통해 제2레이저거리측정기(143)로부터 조사된 레이저가 반사될 수 있는 반사면적을 넓게 하여, 제2레이저거리측정기(143)가 최초 제작 시의 설계 위치에서 조금 벗어나게 설치되더라도, 제2레이저거리측정기(143)로부터 조사된 레이저가 상기 반사면적에 반사되어, 제2레이저거리측정기(143)가 측정하고자 하는 거리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수준측량 데이터 수집 작업 시 보다 정확한 수준측량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경고장치(AL)를 통해 스타프장치(100) 주변으로 사람이 접근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수준측량 데이터 수집 작업을 안정적으로 할 수 있고, 경고장치(AL)의 경고등(AL3)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어 경고등(AL3)의 빛에 의해 잘못된 시준 값을 읽는 것을 방지하여 잘못된 수준측량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레이저거리측정기(142) 및 제2레이저거리측정기(143)을 통해 받침패널(111)에서 지면까지의 거리 및 받침패널(111)에서 제1표척(131)의 표척대(131a)의 저면까지의 거리를 편리하게 측정하고, 측정한 거리 값을 표척(131,132,134)의 디스플레이(131b,132b,134b)에 눈금 값을 표시할 시 반영하여, 정확한 수준 측량 값을 수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장애물로 인해 스타프기구(130)의 시준이 어려울 경우, 시준하고자 하는 시준 지점과 동일한 높이를 이루어 상기 시준 지점과 이웃되게 위치하는 지점을 시준하여, 상기 시준 지점에 대한 시준 값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측량 작업이 어려운 곳에서도 새로운 측량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으며, 기존의 측량 데이터와 새로운 측량 데이터를 비교하여 기존의 측량 데이터에 오차가 있을 경우 보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0 : 스타프장치 110 : 거치기구 120 : 지지기구
130 : 스타프기구 140 : 거리측정기구 150 : 제어장치
160 : 수평계 170 : 제1지지반사패널 180 : 제2지지반사패널
190 : 메인반사패널 200 : 레벨기 220 : 거치대
300 : 높이조절부 310 : 하부조절부 311 : 중공
312 : 케이스단부 313 : 케이스돌기 320 : 중간조절부
321 : 제1외측하단부 322 : 제1내측하단부 323 : 제1세로단부
330 : 상부조절부 331 : 제2세로단부 340 : 세로탄성부
350 : 세로와이어 360 : 세로인출부 370 : 인출결합부
400 : 조명기구 410 : 조명케이스 411 : 제1조명케이스
412 : 제2조명케이스 413 : 조명핀 414 : 조명잠금장치
415 : 조명레일 420 : 조명소켓 421 : 접착제
422 : 열전도피막 423 : 리드선 424 : 동박패턴
430 : 태양전지모듈 431 : 태양전지판 432 : 조명접촉면
433 : 자석접촉부 434 : 조명간격부 500 : 회전기구
510 : 수평회전부 511 : 회전케이스 511a : 회전걸림부
512 : 회전로드 512a : 멈춤홈 512b : 멈춤돌기
513 : 회전연장판 514 : 회전볼 520 : 회전제어부
521 : 제어케이스 521a : 방지홈 522 : 제어로드
523 : 멈춤부 524 : 제어스프링 525 : 방지부
526 : 제어이동부 527 : 제어이동케이스 528 : 제어손잡이
600 : 완충기구 610 : 완충로드 611 : 완충체결부
612 : 완충원통부 620 : 완충케이스 630 : 완충스토퍼
640 : 완충연결부 641 : 완충상하부 642 : 완충좌우부
650 : 완충굴곡부 651 : 제1굴곡부 652 : 제2굴곡부
653 : 제3굴곡부 654 : 제4굴곡부 655 : 제5굴곡부

Claims (1)

  1. 거치기구의 상부에 직립 설치되는 스타프장치; 및 스타프장치로부터 이격하여 배치되며 스타프장치를 시준할 수 있는 레벨기; 를 포함하되,
    상기 스타프장치는,
    받침패널의 중앙 부분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 삽입홀, 받침패널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삽입홀보다 외측 방향에 구비되는 설치홀을 갖춘 받침패널 및 받침패널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지지대를 갖춘 거치기구;
    하방으로 개구되어 지지바의 하부에 구비되는 개구홈, 개구홈의 상부와 연통되며 측방으로 개구되는 개구홀을 구비한 하부결합부 및 상방으로 개구되어 지지바의 상부에 구비되는 개구홈, 개구홈의 하부와 연통되며 측방으로 개구되는 개구홀을 구비한 상부결합부를 갖추고서, 받침패널의 삽입홀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결합되는 지지바, 일단이 뾰족한 형상을 이루며 타단이 하부결합부의 개구홈 또는 상부결합부의 개구홈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결합되는 첨단체 및 지지바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결합되는 삽입홀을 구비하여, 지지바의 하부에 위치하는 판 형상의 반사체를 갖춘 지지기구;
    제1표척의 표척대의 중앙 부분에 하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어 지지바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결합되는 삽입홈과 하방으로 개구되며 삽입홈보다 외측 방향에 구비되되 삽입홈을 기준으로 서로 대향되게 각각 구비되는 제1,2슬라이드홈을 구비한 표척대, 표척대의 표면에 설치되며 조명으로 눈금 값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표척대의 표면에 설치되는 끼움돌기를 갖춘 제1표척과, 상방으로 개구된 삽입홈을 갖추고서 제1표척의 표척대의 상부에 상하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표척대, 표척대의 표면에 설치되어 조명으로 눈금 값이 표시되되 눈금 값이 제1표척의 디스플레이에 따른 눈금 값에 연속되게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를 갖춘 제2표척과, 일단이 제2표척의 표척대의 삽입홈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결합되는 연결바 및, 하방으로 개구되며 연결바의 타단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결되는 삽입홈을 구비한 표척대, 표척대의 표면에 설치되어 조명으로 눈금 값이 표시되되 수직방향으로 배치될 시는 제2표척의 디스플레이에 따른 눈금 값에 연속되게 표시되고 수평방향으로 배치될 시는 제1표척의 디스플레이에 따른 눈금 값에 연속되게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를 갖춘 제3표척을 갖춘 스타프기구;
    제1표척의 제1슬라이드홈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삽입되는 슬라이드부와, 제1지지반사패널의 하부에 구비되며 하방으로 개구된 삽입부 및, 삽입부에 구비되며 하방으로 돌출된 끼움돌기를 갖추고서, 제1표척의 하부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지지반사패널;
    제1표척의 제2슬라이드홈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삽입되는 슬라이드부와, 제2지지반사패널의 하부에 구비되며 하방으로 개구된 삽입부 및, 삽입부에 구비되며 하방으로 돌출된 끼움돌기를 갖추고서, 제1표척의 하부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지지반사패널;
    제1표척의 끼움돌기 또는 제1,2지지반사패널의 끼움돌기에 착탈가능게 삽입되는 끼움홀을 구비한 메인반사패널;
    상하 방향으로 개구된 체결홀을 구비하여 제3표척의 상단에 구비되는 브라켓과, 브라켓의 체결홀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결합되는 이동바 및, 이동바의 상단에 구비되는 경고등을 갖춘 경고장치;
    거치기구의 설치홀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결합되는 바디부와, 바디부의 하부에 구비되며 지지기구의 반사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제1레이저거리측정기 및, 바디부의 상부에 구비되며 메인반사패널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제2레이저거리측정기를 갖춘 거리측정기구;
    거치기구의 받침패널에 설치되고, 제1레이저거리측정기 및 제2레이저거리측정기로부터 측정신호를 수신하며, 제1,2,3표척의 디스플레이를 각각 작동제어하는 제어장치; 및
    거치기구에 설치되어 거치기구의 기울기를 측정하며, 측정한 기울기 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 값을 벗어나면 경고신호를 무선송출하는 수평계; 를 포함하고,
    상기 레벨기는,
    레벨기가 설치되는 거치대; 거치대의 상단에 결합되는 완충기구; 완충기구의 상단에 결합되는 회전기구; 회전기구의 상단에 결합되며 상하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높이조절부; 및 높이조절부의 상단에 결합된 레벨기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결합되며, 스타프장치의 수평계로부터 경고신호를 수신하여 경고조명을 방출하는 조명기구; 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기구는,
    높이조절부의 하단에 결합되어 레벨기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수평회전부; 및 수평회전부의 하단에 장착되는 회전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회전부는,
    높이조절부의 하단에 결합되며 상단과 후단이 개방된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회전케이스; 회전케이스 내부에 수용되며 상단이 높이조절부의 하단에 결합되고 하단이 회전케이스의 하단을 관통하여 회전제어부에 수용되는 회전로드; 회전로드의 측부에 돌출 연장되는 회전연장판; 회전케이스의 상단에 형성되며 회전연장판의 상부면과 접촉되는 회전걸림부; 및 회전연장판의 하부면과 회전케이스의 내측 하부면 사이에 배치되는 다수의 회전볼; 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제어부는,
    회전케이스의 하단에 결합되며 회전로드의 하단이 수용되는 제어케이스; 제어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며 회전로드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어로드; 제어로드의 일단에 결합되며 회전로드의 하부에 형성된 다수의 멈춤홈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될 수 있는 멈춤부; 멈춤부와 회전케이스의 내측면 사이에 결합되는 제어스프링; 제어로드의 타단에 결합되며 제어케이스의 측부에 형성된 방지홈의 삽입될 수 있는 방지부; 방지부의 일측에 결합되며 삼각형 형태의 단면을 가지는 제어이동부; 제어케이스의 측부에 결합되며 제어이동부가 좌우로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제어이동케이스; 및 제어이동케이스의 상부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하단이 제어이동부의 상부면에 접촉되는 제어손잡이; 를 포함하며,
    상기 높이조절부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는 하부조절부; 하부조절부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되며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중간조절부; 및 중간조절부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되며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상부조절부; 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조절부, 중간조절부, 상부조절부의 중공에는 세로탄성부가 수용되며, 세로탄성부는 상부조절부의 내부면 끝단과 하부조절부의 내부면 끝단 사이를 연결하고, 상부조절부의 내부면 끝단에는 세로와이어의 일단이 결합되고, 세로와이어의 타단은 하부조절부의 끝단을 관통하여 외부로 인출되며, 하부조절부의 하단에는 인출된 와이어가 감기거나 풀릴 수 있도록 세로인출부가 결합되고,
    상기 세로인출부로부터 세로와이어가 풀림에 따라 상부조절부-중간조절부 순으로 높이조절부의 길이가 신장되며,
    상기 조명기구는,
    레벨기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사각링 형태의 조명케이스; 조명케이스의 우측면에 장착되는 다수의 조명소켓; 및 조명케이스의 상하면에 착탈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다수의 태양전지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조명케이스는 레벨기의 상부측에 놓이는 제1조명케이스와 레벨기의 하부측에 놓이는 제2조명케이스로 구분되며, 제1조명케이스와 제2조명케이스의 일측 사이는 조명핀을 매개로 연결되어 상호 회전 가능하고, 제1조명케이스와 제2조명케이스의 타측에는 조명잠금장치가 장착되어 조명케이스를 레벨기에 고정시키거나 레벨기로부터 분리할 수 있으며, 제1조명케이스와 제2조명케이스의 상하면에는 다수의 조명레일이 종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태양전지모듈은 다수의 조명레일 사이에 삽입될 수 있도록 판 형태로 형성되고, 태양전지모듈의 일측면은 태양전지판으로 형성되고 타측면은 제1조명케이스와 제2조명케이스의 상하면에 접촉되는 조명접촉면으로 형성되며, 조명접촉면에는 상호 이격된 다수의 자석접촉부가 길이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제1조명케이스와 제2조명케이스의 상하면에 결합되고, 상호 이격된 다수의 자석접촉부 사이는 원호 형상의 조명간격부가 길이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준 측량 데이터의 오차를 감소시켜 측량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측지측량시스템.
KR1020210068770A 2021-05-28 2021-05-28 수준 측량 데이터의 오차를 감소시켜 측량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측지측량시스템 KR1023073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8770A KR102307335B1 (ko) 2021-05-28 2021-05-28 수준 측량 데이터의 오차를 감소시켜 측량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측지측량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8770A KR102307335B1 (ko) 2021-05-28 2021-05-28 수준 측량 데이터의 오차를 감소시켜 측량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측지측량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7335B1 true KR102307335B1 (ko) 2021-10-01

Family

ID=78115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8770A KR102307335B1 (ko) 2021-05-28 2021-05-28 수준 측량 데이터의 오차를 감소시켜 측량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측지측량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733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64151A (zh) * 2022-05-23 2022-08-30 中铁八局集团第一工程有限公司 基于视觉识别的隧道沉降及收敛的实时监测系统及方法
CN115046077A (zh) * 2022-05-05 2022-09-13 中国建筑第八工程局有限公司 建筑施工用建筑倾斜警示装置
CN115418918A (zh) * 2022-10-31 2022-12-02 中国二十二冶集团有限公司 广场铺装用混凝土收面高程控制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7859B1 (ko) * 2013-09-02 2014-01-07 중원이엔씨(주) 지면의 표고와 곡률오차의 동시 측량이 가능한 수준측량시스템
KR101349256B1 (ko) * 2013-10-14 2014-01-10 새한항업(주) 레이저 거리측정기와 지피에스가 통합된 무선통신 기반 상하수도 지하시설물 위치 실시간 확인과 현지 검증 시스템
KR102130436B1 (ko) * 2020-02-14 2020-07-06 김은경 측량용 표척 충격 보호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7859B1 (ko) * 2013-09-02 2014-01-07 중원이엔씨(주) 지면의 표고와 곡률오차의 동시 측량이 가능한 수준측량시스템
KR101349256B1 (ko) * 2013-10-14 2014-01-10 새한항업(주) 레이저 거리측정기와 지피에스가 통합된 무선통신 기반 상하수도 지하시설물 위치 실시간 확인과 현지 검증 시스템
KR102130436B1 (ko) * 2020-02-14 2020-07-06 김은경 측량용 표척 충격 보호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46077A (zh) * 2022-05-05 2022-09-13 中国建筑第八工程局有限公司 建筑施工用建筑倾斜警示装置
CN114964151A (zh) * 2022-05-23 2022-08-30 中铁八局集团第一工程有限公司 基于视觉识别的隧道沉降及收敛的实时监测系统及方法
CN114964151B (zh) * 2022-05-23 2024-05-03 中铁八局集团第一工程有限公司 基于视觉识别的隧道沉降及收敛的实时监测系统
CN115418918A (zh) * 2022-10-31 2022-12-02 中国二十二冶集团有限公司 广场铺装用混凝土收面高程控制装置
CN115418918B (zh) * 2022-10-31 2024-05-24 中国二十二冶集团有限公司 广场铺装用混凝土收面高程控制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7335B1 (ko) 수준 측량 데이터의 오차를 감소시켜 측량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측지측량시스템
US9255798B2 (en) Survey device
CN105136111A (zh) 一种建筑施工用水平差和高差测量仪
US7497019B2 (en) Laser reference device
US20240060776A1 (en) Laser level system
CN109781081B (zh) 全站仪调平装置
CN101078621A (zh) 光线产生组件
EP3309510A1 (en) Height-adjustable laser level apparatus
US8848180B1 (en) Reference systems for indicating slope and alignment and related devices, systems, and methods
KR102304553B1 (ko) 수준 측량용 표척의 안정적인 높이 조절을 위한 측지측량장치
CN210293217U (zh) 一种用于扫平仪的整平系统及一种扫平仪
CN202562480U (zh) 一种激光反射式水平仪
CN115854218B (zh) 一种用于工程测量的对中整平设备
KR20120088974A (ko) 선로용 좌표측량 프리즘타켓
KR100911047B1 (ko) 레이저 수평 수직장치용 삼발이
KR102319288B1 (ko) 수준 측량을 위한 표척의 보조연결장치를 구비한 측지측량장치
JP2509123B2 (ja) 基準器基準点の通り測定装置
KR102459673B1 (ko) 오차값을 최소화한 측지측량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는 측지측량시스템
JP2003294445A (ja) 距離計を内蔵した墨出し器
US10422635B1 (en) Leveling system
CN111156959A (zh) 一种水准仪用高差辅助测量装置及使用方法
CN215180864U (zh) 一种激光测距仪用校准装置
KR100881144B1 (ko) 레이저 수평 수직장치
CN212721411U (zh) 一种适合室外用建筑构件垂直度测定器
CN219416175U (zh) 一种煤矿区开采沉陷区测绘水准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