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9288B1 - 수준 측량을 위한 표척의 보조연결장치를 구비한 측지측량장치 - Google Patents

수준 측량을 위한 표척의 보조연결장치를 구비한 측지측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9288B1
KR102319288B1 KR1020210068771A KR20210068771A KR102319288B1 KR 102319288 B1 KR102319288 B1 KR 102319288B1 KR 1020210068771 A KR1020210068771 A KR 1020210068771A KR 20210068771 A KR20210068771 A KR 20210068771A KR 102319288 B1 KR102319288 B1 KR 1023192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lighting
coupled
chuck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8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현
김현동
정학수
장성욱
Original Assignee
한국공간정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공간정보(주) filed Critical 한국공간정보(주)
Priority to KR10202100687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92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92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92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G01C15/02Means for marking measuring points
    • G01C15/06Surveyors' staffs; Movable mark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02Rulers with scales or marks for direct reading
    • G01B3/04Rulers with scales or marks for direct reading rigid
    • G01B3/08Rulers with scales or marks for direct reading rigid extensibl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5/00Measuring height; Measuring distances transverse to line of sight; Levelling between separated points; Surveyors' leve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28Structurally-combined illuminating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30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an instrument;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a set of instru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8Energy storage means, e.g. batteri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V modu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 Measuring Device Byusing Mechanical Metho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측지측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판형의 결합본체, 결합본체의 중앙 부분에 설치되는 보정수단, 결합본체의 하부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지지다리, 지지다리의 기울기를 조절하기 위한 틸팅수단, 결합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완충기구, 완충기구의 상부에 결합되는 회전기구, 회전기구의 상부에 결합되는 표척 및 표척의 하부 외측면을 감싸도록 결합되어 빛을 조사하는 조명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수준 측량시 통합기준점의 표석에 형성된 십자홈의 깊이에 따른 높이 오차를 보정할 수 있는 수준 측량을 위한 표척의 보조연결장치를 구비한 측지측량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준 측량을 위한 표척의 보조연결장치를 구비한 측지측량장치{GEODETIC SURVEYING DEVICE HAVING CONNECTING DEVICE OF STAFF FOR MEASURING LEVEL}
본 발명은 측지측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준 측량을 위한 표척의 보조연결장치를 구비한 측지측량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준점(Control Point)이란 국토지리정보원에 의하여 설치된 위치, 표고 등이 표시된 점을 말하는데, 좁게는 삼각점(Triangulation point), 수준점(Bench Mark), 통합기준점(Unified Control Points) 등을 총칭하며, 넓게는 중력점, 자기점 등을 포함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전 국토에 측량의 기준점을 설치하여 지도제작, 현황측량, 지적측량에 활용하고 있다. GPS측량이 일반화되기 이전에는 평면좌표의 기준으로 삼각점을 사용하였고, 높이좌표의 기준으로 수준점을 사용하였다.
삼각점은 토지의 형상, 경계, 면적 등의 정확한 위치결정과 각종 시설물의 설계와 시공에 관련된 기준을 제공하는 공공측량의 기지점(좌표를 이미 알고 있는 점)으로 사용된다. 삼각점은 전국에 약 2.5㎞∼20㎞ 간격으로 대부분 산 정상에 설치되어 있는데, 정확도에 따라서 등급이 구분되어 있다.
수준점은 수준원점으로부터 표고를 정밀측정하여 영구적인 표석을 설치하고, 차후 부근의 수준측량에 이용할 수 있도록 그 표고를 국토지리정보원의 수준측량 성과표에 등록해 놓은 기준점을 말한다.
현재 우리나라의 수준점은 인천만의 평균해수면을 기준으로 하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인천시 남구에 수준원점을 측설하고 그 표고를 정밀하게 결정해 놓았는데, 이 수준원점의 표고값은 26.6871m이다. 아울러 주로 국도 주변에 수준점을 설치하여 놓았는데 1등 수준점은 약 4㎞, 2등 수준점은 약 2㎞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GPS측량이 일반화되면서 평면좌표와 높이좌표를 GPS를 이용하여 동시에 결정이 가능해지면서 삼각점과 수준점의 기능을 합친 통합기준점을 2008년부터 전 국토에 설치중에 있다.
통합기준점은 평탄지에 설치ㆍ운용하여 측지, 지적, 수준, 중력 등 다양한 측량분야에 통합 활용할 수 있는 다차원ㆍ다기능 기준점을 말한다. 경위도(수평위치), 높이(수직위치), 중력 등을 통합 관리 및 제공, 영상기준점 역할을 한다.
따라서, 평면기준점, 높이 기준점으로 이원화되었던 기준점은 통합기준점으로 일원화되었으나 아직까지 기준점 측량방식으로 평면좌표는 GPS 또는 삼각측량을 실시하고 있고, 높이좌표는 레벨측량을 실시하고 있는 실정이다.
도 1은 종래 초기에 설치된 통합기준점의 표석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표척을 이용하여 수준 측량시 십자홈의 깊이에 따른 오차의 발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에 설치된 통합기준점의 표석(1)은 상부 중심부에 볼록한 형상의 동판 핀(5)을 부착하고, 동판 핀(5)의 중심에는 종래의 삼각점 표석과 동일하게 십자홈(7)이 음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수준 측량용 표척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이 넓고 평평한 형태로 되어 있으므로 수준측량을 위한 표척(10)을 동판 핀(5) 위에 세울 때 십자홈(7)의 깊이만큼의 오차(A)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수정된 형태의 통합기준점 표석이 설치되고 있으나, 이미 설치된 통합기준점 표석은 수준측량용 표척의 구조를 바꾸지 않는 이상 상술한 문제가 그대로 존재하고 있다.
수준점의 정밀도는 0.1mm 단위까지 독취하게 되어 있으므로 동판 핀 형상에 의해서 발생하는 높이 오차는 수준점 성과의 정밀도에 영향을 미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초기에 설치된 통합기준점 표석을 재설치한 후 재측량하거나 수준측량용 표척 장비를 모두 바꾸어야 하나 두 가지 방법 모두 막대한 비용과 시간이 발생한다.
위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해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수준 측량시 통합기준점의 표석에 형성된 십자홈의 깊이에 따른 높이 오차를 보정할 수 있는 수준 측량을 위한 표척의 보조연결장치를 구비한 측지측량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표척의 방향 전환이 용이하고 외부 충격이나 진동으로부터 표척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수준 측량을 위한 표척의 보조연결장치를 구비한 측지측량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본 발명의 기재로부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원판형의 결합본체; 결합본체의 중앙 부분에 설치되는 보정수단; 결합본체의 하부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지지다리; 지지다리의 기울기를 조절하기 위한 틸팅수단; 결합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완충기구; 완충기구의 상부에 결합되는 회전기구; 회전기구의 상부에 결합되는 표척; 및 표척의 하부 외측면을 감싸도록 결합되어 빛을 조사하는 조명기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준 측량을 위한 표척의 보조연결장치를 구비한 측지측량장치에서 상기 보정수단은, 결합본체의 하부에 설치되어 하방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며 하단부가 뾰족하게 형성된 팁부; 팁부에 형성된 수직이동로에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눈금이 표시된 길이측정핀; 및 결합본체의 상부로 노출된 길이측정핀의 상부에 형성된 파지헤드;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준 측량을 위한 표척의 보조연결장치를 구비한 측지측량장치에서 상기 틸팅수단은, 지지다리의 상부에 형성되어 결합본체에 마련된 절개홈에 삽입되며 외주면에 톱니가 형성된 회전체; 회전체의 회전중심에 결합되어 양단부가 결합본체에 설치되는 지지핀; 결합본체를 상하로 관통하도록 결합본체에 설치되며 외주면에 톱니가 형성되어 회전체의 톱니와 결합하여 회전체를 상하로 회전시키는 구동샤프트; 및구동샤프트의 상부에 형성된 회전손잡이; 구동샤프트의 하부에 결합된 스토퍼;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준 측량을 위한 표척의 보조연결장치를 구비한 측지측량장치에서 상기 회전기구는, 표척의 하단에 결합되어 표척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수평회전부; 및 수평회전부의 하단에 장착되는 회전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회전부는, 표척의 하단에 결합되며 상단과 후단이 개방된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회전케이스; 회전케이스 내부에 수용되며 상단이 표척의 하단에 결합되고 하단이 회전케이스의 하단을 관통하여 회전제어부에 수용되는 회전로드; 회전로드의 측부에 돌출 연장되는 회전연장판; 회전케이스의 상단에 형성되며 회전연장판의 상부면과 접촉되는 회전걸림부; 및 회전연장판의 하부면과 회전케이스의 내측 하부면 사이에 배치되는 다수의 회전볼; 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제어부는, 회전케이스의 하단에 결합되며 회전로드의 하단이 수용되는 제어케이스; 제어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며 회전로드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어로드; 제어로드의 일단에 결합되며 회전로드의 하부에 형성된 다수의 멈춤홈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될 수 있는 멈춤부; 멈춤부와 회전케이스의 내측면 사이에 결합되는 제어스프링; 제어로드의 타단에 결합되며 제어케이스의 측부에 형성된 방지홈의 삽입될 수 있는 방지부; 방지부의 일측에 결합되며 삼각형 형태의 단면을 가지는 제어이동부; 제어케이스의 측부에 결합되며 제어이동부가 좌우로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제어이동케이스; 및 제어이동케이스의 상부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하단이 제어이동부의 상부면에 접촉되는 제어손잡이;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준 측량을 위한 표척의 보조연결장치를 구비한 측지측량장치에서 상기 표척은,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며 전면에 눈금이 표시된 하부척대; 하부척대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되며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중간척대; 및 중간척대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되며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상부척대; 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척대, 중간척대, 상부척대의 중공에는 세로탄성부가 수용되며, 세로탄성부는 상부척대의 내부면 끝단과 하부척대의 내부면 끝단 사이를 연결하고, 상부척대의 내부면 끝단에는 세로와이어의 일단이 결합되고, 세로와이어의 타단은 하부척대의 끝단을 관통하여 외부로 인출되며, 하부척대의 하단에는 인출된 와이어가 감기거나 풀릴 수 있도록 세로인출부가 결합되고, 상기 세로인출부로부터 세로와이어가 풀림에 따라 상부척대-중간척대 순으로 표척의 길이가 신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준 측량을 위한 표척의 보조연결장치를 구비한 측지측량장치에서 상기 조명기구는, 표척의 하부 외측면에 결합되는 사각링 형태의 조명케이스; 조명케이스의 상부면에 장착되는 다수의 조명소켓; 및 조명케이스의 외측면에 착탈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다수의 태양전지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조명케이스는 표척의 일측에 놓이는 제1조명케이스와 표척의 타측에 놓이는 제2조명케이스로 구분되며, 제1조명케이스와 제2조명케이스의 일측 사이는 조명핀을 매개로 연결되어 상호 회전 가능하고, 제1조명케이스와 제2조명케이스의 타측에는 조명잠금장치가 장착되어 조명케이스를 표척의 하부에 고정시키거나 표척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으며, 제1조명케이스와 제2조명케이스의 외측면에는 다수의 조명레일이 종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태양전지모듈은 다수의 조명레일 사이에 삽입될 수 있도록 판 형태로 형성되고, 태양전지모듈의 일측면은 태양전지판으로 형성되고 타측면은 제1조명케이스와 제2조명케이스의 외측면에 접촉되는 조명접촉면으로 형성되며, 조명접촉면에는 상호 이격된 다수의 자석접촉부가 종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제1조명케이스와 제2조명케이스의 외측면에 결합되고, 상호 이격된 다수의 자석접촉부 사이는 원호 형상의 조명간격부가 종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수준 측량시 통합기준점의 표석에 형성된 십자홈의 깊이에 따른 높이 오차를 보정할 수 있으므로 정밀한 수준 측량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회전기구를 이용하여 표척의 방향 전환이 용이하고, 완충기구를 이용하여 외부 충격이나 진동으로부터 표척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초기에 설치된 통합기준점의 표석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 표척을 이용하여 수준 측량시 십자홈의 깊이에 따른 오차의 발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준 측량을 위한 표척의 보조연결장치를 구비한 측지측량장치의 각 부품이 분해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정수단의 모습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틸팅수단의 모습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완충기구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기구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로드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표척의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준 측량을 위한 표척의 보조연결장치를 구비한 측지측량장치의 각 부품이 분해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정수단의 모습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틸팅수단의 모습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측지측량장치는, 원판형의 결합본체(100), 결합본체(100)의 중앙 부분에 설치되는 보정수단(130), 결합본체(100)의 하부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지지다리(110), 지지다리(110)의 기울기를 조절하기 위한 틸팅수단(200), 결합본체(100)의 상부에 결합되는 완충기구(600), 완충기구(600)의 상부에 결합되는 회전기구(500), 회전기구(500)의 상부에 결합되는 표척(300) 및 표척(300)의 하부 외측면을 감싸도록 결합되어 빛을 조사하는 조명기구(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보정수단(130)은 통합기준점의 표석(1)의 상부에 형성된 십자홈(7)의 깊이에 따른 높이 오차를 보정하기 위해 결합본체(100)에 설치되어 십자홈(7)의 중심 바닥과 접촉할 수 있다.
도 1 및 2에 도시된 것처럼 통합기준점의 표석(1)은 상부 중심부에 볼록한 형상의 동판 핀(5)이 부착되어 있고, 동판 핀(5)의 중심에는 십자홈(7)이 음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보정수단(130)은 팁부(131)와 길이측정핀(133)을 구비한다.
상기 팁부(131)는 결합본체(100)의 하부에 설치되어 하방으로 일정길이 연장된다. 팁부(131)는 하단부가 뾰족하게 형성되므로 십자홈의 중심으로 삽입되어 십자홈의 중심 바닥과 접촉된다.
길이측정핀(133)은 팁부(131)에 설치된다. 팁부(131)에는 상하를 관통하는 수직이동로(132)가 형성된다. 그리고 결합본체(100)에는 수직이동로(132)와 연결되는 원형의 출입구가 형성된다.
길이측정핀(133)은 수직이동로(132)에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다. 수직이동로(132)에 삽입된 길이측정핀(133)은 상부가 출입구를 통해 결합본체(100)의 상부로 노출된다.
길이측정핀(133)의 상부는 손가락으로 잡기가 용이하도록 파지헤드(134)가 형성된다. 길이측정핀(133)의 하단부는 십자홈의 중심 바닥에 접촉될 수 있도록 뾰족하게 형성된다.
길이측정핀(133)에는 눈금이 표시된다. 눈금은 0.1mm 단위까지 측정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상술한 길이측정핀(133)에 의해 결합본체(100)의 하단부에서 십자홈의 중심 바닥까지의 수직 거리를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표척의 높이 변화 값을 최종 높이 계산에 반영하면 십자홈(7)의 깊이에 따른 오차발생을 막을 수 있어서 정밀한 수준측량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틸팅수단(200)은 지지다리(110)의 상부에 형성되어 결합본체(100)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외주면에 톱니(211)가 형성된 회전체(210)와, 결합본체(100)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외주면에 톱니(223)가 형성된 구동샤프트(220)로 이루어진다.
결합본체(100)에는 바깥에서 안쪽으로 인입되게 형성된 절개홈이 형성되며, 절개홈에 회전체(210)의 일부가 삽입된 형태로 배치된다. 회전체(210)의 회전중심에 지지핀(212)이 결합되고, 지지핀(212)의 양단부는 결합본체(100)에 결합된다.
회전체(210)의 외주면 일부에는 톱니(211)가 형성된다. 회전체(210)에 형성된 톱니(211)는 통상적인 웜휠 기어의 톱니와 동일한 구조이다.
구동샤프트(220)는 결합본체(100)를 상하로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구동샤프트(220)의 상부에는 손으로 파지가 용이하도록 회전손잡이(221)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스토퍼(222)가 결합된다.
구동샤프트(220)에 형성된 톱니(223)는 통상적인 웜기어의 톱니와 동일하다. 구동샤프트(220)에 형성된 톱니(223)는 회전체(210)에 형성된 톱니(211)와 결합된다.
구동샤프트(220)를 회전시키면 회전체(210)가 상하로 회전하면서 지지다리(110)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다리(110)의 기울기를 조절할 경우 결합본체(100)의 수평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결합본체(100)에는 수평계(120)가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완충기구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완충기구(600)는 완충로드(610), 완충케이스(620), 완충스토퍼(630), 완충연결부(640) 및 완충굴곡부(6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회전기구(500)의 하단에 장착된다.
상기 완충로드(610)는 회전기구(500)의 하단에 결합되며, 원판 형태의 완충체결부(611) 및 완충체결부(611)의 하부 중앙에 연장되는 원통 형태의 완충원통부(612)로 이루어진다.
상기 완충케이스(620)는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완충로드(610)의 하단이 수용된다. 이러한 완충케이스(620)의 하단에는 결합본체(100)가 결합된다.
상기 완충스토퍼(630)는 완충로드(610)의 완충원통부(612)의 하부 외측면에 결합된다. 완충스토퍼(630)는 링 형태로 형성되며, 완충케이스(620)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지면으로부터 큰 진동이나 충격이 가해져서 완충로드(610)가 크게 흔들릴때, 완충스토퍼(630)는 완충케이스(620)의 내측면에 접촉되어 대변위 제어를 수행한다. 상기 완충스토퍼(630)의 외측면과 완충케이스(620)의 내측면 사이에는 소정의 갭(G)이 형성된다.
상기 완충연결부(640)는 완충로드(610)의 하부에 결합되며 완충로드(610)와 완충케이스(620)의 내측면 사이를 연결한다. 상기 완충스토퍼(630)와 완충연결부(640)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완충연결부(640)는 완충로드(610)의 하단과 완충케이스(620)의 내측 하부면 사이를 상하로 연결하는 완충상하부(641) 및 완충상하부(641)의 측부에 연장되어 완충케이스(620)의 내측 측면 사이를 좌우로 연결하는 완충좌우부(642)를 포함한다. 상기 완충연결부(640)는 전체적으로 '십(十)'자 형태의 단면을 가진다.
상기 완충스토퍼(630)의 외측면과 완충케이스(620)의 내측면 사이, 즉 갭(G)에는 완충굴곡부(650)가 결합되어 완충스토퍼(630)와 완충케이스(620) 사이를 서로 연결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완충굴곡부(650)는 제1굴곡부(651), 제2굴곡부(652), 제3굴곡부(653), 제4굴곡부(654) 및 제5굴곡부(65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전체적으로 '지그재그' 형태의 단면을 가진다.
상기 제1굴곡부(651)는 완충스토퍼(630)의 외측면에 결합되며 1자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2굴곡부(652)는 제1굴곡부(651)의 하단으로부터 비스듬히 상부를 향해 연장된다. 상기 제3굴곡부(653)는 제2굴곡부(652)의 상단으로부터 하부로 연장되며 1자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4굴곡부(654)는 제3굴곡부(653)의 하단으로부터 비스듬히 상부를 향해 연장된다. 상기 제5굴곡부(655)는 제4굴곡부(654)의 상단으로부터 하부로 연장되고 1자 형태로 형성되며 완충케이스(620)의 내측면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1굴곡부(651)의 상하 높이는 제3굴곡부(653)의 상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되고, 제3굴곡부(653)의 상하 높이는 제5굴곡부(655)의 상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된다. 즉, 상기 제1굴곡부(651)로부터 제5굴곡부(655) 방향으로 갈수록 완충굴곡부(650)의 전체적인 높이는 점차 낮아지게 된다.
또한, 상기 제1굴곡부(651) 내지 제5굴곡부(655)의 두께는 전체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굴곡부(651)와 제2굴곡부(652) 사이의 각도, 제2굴곡부(652)와 제3굴곡부(653) 사이의 각도, 제3굴곡부(653)와 제4굴곡부(654) 사이의 각도 및 제4굴곡부(654)와 제5굴곡부(655) 사이의 각도는 전체적으로 거의 동일하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완충스토퍼(630)와 완충케이스(620) 사이의 물리적인 갭(G)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완충굴곡부(650)를 이용하여 실질적으로 간격을 줄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완충스토퍼(630)의 잦은 접촉으로 인한 소음은 줄이면서 대변위 진동 제어에는 유리한 특성이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기구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로드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기구(500)는, 표척(300)의 하단에 결합되어 표척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수평회전부(510) 및 수평회전부(510)의 하단에 장착되는 회전제어부(5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수평회전부(510)는, 표척(300)의 하단에 결합되며 상단과 후단이 개방된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회전케이스(511), 회전케이스(511) 내부에 수용되며 상단이 표척(300)의 하단에 결합되고 하단이 회전케이스(511)의 하단을 관통하여 회전제어부(520)에 수용되는 회전로드(512), 회전로드(512)의 측부에 돌출 연장되는 회전연장판(513), 회전케이스(511)의 상단에 형성되며 회전연장판(513)의 상부면과 접촉되는 회전걸림부(511a) 및 회전연장판(513)의 하부면과 회전케이스(511)의 내측 하부면 사이에 배치되는 다수의 회전볼(514)을 포함한다.
상기 회전로드(512)는 회전케이스(511) 및 다른 부품에 대해 상대적인 수평 회전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회전로드(512)의 상단에 결합된 표척(300)도 수평 회전이 가능하다.
상기 회전로드(512)는 전체적으로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회전로드(512)의 측부에는 회전연장판(513)이 외측으로 링 형태로 돌출 연장된다. 회전연장판(513)은 회전걸림부(511a)에 접촉된다.
상기 다수의 회전볼(514)은 회전케이스(511) 내부에 수용되며, 회전로드(512)가 수평 회전할 때 회전케이스(511)와 회전로드(512) 사이의 마찰력을 줄여주어 회전로드(512)가 더욱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표척(300)의 방향을 전환함에 있어서 표척(300)을 결합본체(100)로부터 분리하였다가 다시 결합하지 않고, 표척(300)을 결합본체(100)에 결합하여 세운 상태에서 그대로 표척(300)의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으므로 표척의 위치가 변동됨에 따른 측량 오차를 확실하게 배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회전제어부(520)는 수평회전부(510)의 하단에 장착되며, 제어케이스(521), 제어로드(522), 멈춤부(523), 제어스프링(524), 방지부(525), 제어이동부(526), 제어이동케이스(527) 및 제어손잡이(52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어케이스(521)는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회전케이스(511)의 하단에 결합된다. 제어케이스(521)의 상단에는 회전케이스(511)와 연통될 수 있도록 홀이 형성되며, 이러한 홀을 통해 회전로드(512)의 하단이 제어케이스(521)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어로드(522)는 제이케이스 내부에 수용되며, 회전로드(512)와 직교하는 방향(즉,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제어로드(522)의 우측 단부에는 멈춤부(523)가 결합되고, 제어로드(522)의 좌측 단부에는 방지부(525)가 결합된다.
상기 멈춤부(523)는 납작한 판 형태로 형성되며, 제어로드(522)의 좌우 이동에 따라 좌우로 이동 가능하다. 상기 회전로드(512)의 하부에는 다수의 멈춤홈(512a)이 방사형으로 형성되는데, 멈춤부(523)는 이러한 멈춤홈(512a)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어로드(522)가 좌측으로 이동되었을 때 멈춤부(523)는 회전로드(512)의 멈춤홈(512a)에 삽입 수용되고, 제어로드(522)가 우측으로 이동되었을 때 멈춤부(523)는 회전로드(512)의 멈춤홈(512a)으로부터 이탈된다.
상기 멈춤부(523)가 회전로드(512)의 멈춤홈(512a)에 삽입 수용되면, 회전로드(512)는 멈춤부(523)에 가로막혀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하고 제자리에서 고정된다. 멈춤부(523)가 회전로드(512)의 멈춤홈(512a)으로부터 이탈되면 회전로드(512)는 다시 수평 회전 가능하다.
도시된 것처럼 상기 회전로드(512)의 멈춤홈(512a)에는 다수의 멈춤돌기(512b)가 돌출될 수 있다. 다수의 멈춤돌기(512b)는 고무와 같이 탄성이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며, 멈춤홈(512a)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또한, 다수의 멈춤돌기(512b)는 마주보는 멈춤돌기(512b)끼리 소정의 높이 차이를 둘 수 있도록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다수의 멈춤돌기(512b)는 깍지를 낀 손처럼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어 있다.
다수의 멈춤돌기(512b)는 멈춤부(523)가 회전로드(512)의 멈춤홈(512a)에 삽입되었을 때 멈춤부(523)가 멈춤홈(512a)으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고 그 내부에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어스프링(524)은 멈춤부(523)와 회전케이스(511)의 내측면 사이에 결합된다. 제어스프링(524)은 제어로드(522) 및 멈춤부(523)를 좌측으로 밀어줄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기 방지부(525)는 제어케이스(521)의 측부에 형성된 방지홈(521a)에 삽입될 수 있다. 제어로드(522)가 좌측으로 이동되었을 때 방지부(525)는 방지홈(521a)에 삽입되고, 제어로드(522)가 우측으로 이동되었을 때 방지부(525)는 방지홈(521a)으로부터 이탈된다.
상기 방지부(525)의 외측면과 방지홈(521a)의 내측면은 톱니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방지부(525)가 방지홈(521a)에 삽입되었을 때, 제어로드(522) 및 멈춤부(523)는 축 회전 및 상하전후 이동이 불가능하고, 이에 따라 회전로드(512)의 고정 상태를 더욱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이동부(526)는 방지부(525)의 좌측 단부에 결합되며, 삼각형 형태의 단면을 가진다. 상기 제어이동케이스(527)는 제어케이스(521)의 측부에 결합되며 제어이동부(526)가 좌우로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어이동부(526)는 제어이동케이스(527)에 수용되어 좌우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어손잡이(528)는 제어이동케이스(527)의 상부에 결합된다. 제어손잡이(528)는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제어손잡이(528)의 하단은 제어이동부(526)의 상부면에 접촉된다.
사용자가 제어손잡이(528)를 잡고 아래로 힘을 가하면, 제어손잡이(528)의 하단부가 제어이동부(526)의 상부면에 접촉되면서 제어이동부(526)를 밀게되고, 이에 따라 제어이동부(526)는 우측으로 이동된다.
상기 제어이동부(526)가 우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방지부(525)는 방지홈(521a)으로부터 이탈되고, 제어로드(522)는 제어스프링(524)의 탄성력을 이겨내고 우측으로 이동된다.
상기 제어로드(522)가 우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멈춤부(523) 역시 멈춤홈(512a)으로부터 이탈되고, 회전로드(512) 및 그 상부에 결합된 표척(300)은 멈춤부(523)의 제약 없이 자유롭게 수평 회전될 수 있다.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표척(300)의 수평 회전이 끝나면, 사용자는 제어손잡이(528)를 놓고, 제어스프링(524)의 탄성력에 따라 제어로드(522)는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제어로드(522)가 좌측으로 이동하면, 멈춤부(523)가 멈춤홈(512a)에 삽입되어 회전로드(512)의 수평 회전이 제한된다. 이때, 방지부(525)는 방지홈(521a)에 삽입되며, 제어이동부(526)는 좌측으로 이동하여 제어손잡이(528)를 위로 들어올리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표척의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기 표척(300)은,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며 전면에 눈금이 표시된 하부척대(310), 하부척대(310)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되며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중간척대(320) 및 중간척대(320)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되며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상부척대(330)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척대(310)는 상측에 위치하는 중간척대(320)보다 굵게 형성되고, 중간척대(320)는 상측에 위치하는 상부척대(330)보다 굵게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표척(300)은 3단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유사한 방식으로 2단 또는 4단 이상으로 자유롭게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하부척대(310), 중간척대(320) 및 상부척대(330)에는 기계수가 레벨기로 읽을 수 있도록 눈금이 새겨져 있다.
상기 하부척대(310)는 내부에 중공(311)이 형성된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하부척대(310)의 상단 양측에는 케이스단부(312)가 내측으로 돌출 연장된다. 하부척대(310)의 내부면 하부 양측에는 반구형 케이스돌기(313)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중간척대(320)는 하부척대(310)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내부에 중공(311)이 형성된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중간척대(320)의 하단 양측에는 케이스단부(312)와 접촉될 수 있도록 제1외측하단부(321)가 외측으로 돌출 연장되고, 제1외측하단부(321)에 대향되도록 제1내측하단부(322)가 내측으로 돌출 연장된다. 상기 중간척대(320)의 상단 양측에는 제1세로단부(323)가 내측으로 돌출 연장된다.
상기 상부척대(330)는 중간척대(320)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내부에 중공(311)이 형성된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상부척대(330)의 하단 양측에는 제1세로단부(323)와 접촉될 수 있도록 제2세로단부(331)가 외측으로 돌출 연장된다.
즉, 상기 중간척대(320)의 제1외측하단부(321)는 하부척대(310)의 케이스단부(312)에 접촉될 수 있고, 중간척대(320)의 제1세로단부(323)는 상부척대(330)의 제2세로단부(331)에 접촉될 수 있으며, 중간척대(320)의 제1내측하단부(322)는 상부척대(330)의 제2세로단부(331)에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간척대(320)의 제1외측하단부(321)는 중간척대(320)가 하부로 이동되었을 때 케이스돌기(313)를 타고 넘어 하부척대(310)의 내부면 하단과 케이스돌기(313) 사이에 위치한다. 이에 따라 중간척대(320)는 케이스돌기(313)를 타고 넘을 정도의 힘이 가해져야 위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1외측하단부(321)의 좌우방향 길이는 케이스단부(312)의 좌우방향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되고, 제1내측하단부(322) 및 제1세로단부(323)의 좌우방향 길이는 제2세로단부(331)의 좌우방향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상기 하부척대(310), 중간척대(320) 및 상부척대(330)의 중공(311)에는 세로탄성부(340)가 수용된다. 상기 세로탄성부(340)는 상부척대(330)의 내부면 상단과 하부척대(310)의 내부면 하단 사이를 연결한다.
상기 상부척대(330)의 내부면 상단에는 세로와이어(350)가 결합된다. 세로와이어(350)는 일단이 상부척대(330)의 내부면 상단에 결합되고, 타단은 하부척대(310)의 하단을 관통하여 외부로 인출된다.
상기 하부척대(310)의 하단을 관통하여 외부로 인출된 세로와이어(350)는 하부척대(310)의 하단에 배치된 세로인출부(360)에 결합된다. 한편, 상기 하부척대(310)의 하단에는 세로인출부(36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인출결합부(370)가 장착된다.
즉, 세로와이어(350)는 일단이 상부척대(330)의 내부면 상단에 결합되고, 타단이 세로인출부(360)에 결합된다. 사용자가 세로인출부(360)에서 세로와이어(350)를 감으면 상부척대(330)는 하부로 이동하고, 세로인출부(360)에서 세로와이어(350)를 풀면 상부척대(330)는 상부로 이동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척의 작동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부척대(330)는 세로와이어(350)에 의해 당겨져 있으므로 세로탄성부(340)의 탄성력을 이겨내고 하부로 이동되어 있고, 중간척대(320)도 제1내측하단부(322)가 제2세로단부(331)에 접촉되어 하부로 이동되어 있으므로 중간척대(320)와 상부척대(330)는 하부척대(310) 내부에 수용되어 있다.
사용자가 세로인출부(360)에서 세로와이어(350)를 풀면, 상부척대(330)가 세로탄성부(340)의 탄성력에 의해 상부로 이동하고, 상부척대(330)는 하부척대(310)로부터 인출된다.
이때, 상기 중간척대(320)의 제1외측하단부(321)는 하부척대(310)의 내부면 하단과 케이스돌기(313)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우선 상부척대(330)만 하부척대(310)로부터 인출되고 중간척대(320)는 하부척대(310) 내부에 수용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상부척대(330)가 상부로 더욱 이동하여 중간척대(320)의 제1세로단부(323)와 상부척대(330)의 제2세로단부(331)가 접촉되면, 중간척대(320)에도 세로탄성부(340)의 탄성력이 가해지고, 중간척대(320)의 제1외측하단부(321)가 케이스돌기(313)를 타고 넘으며 중간척대(320)도 하부척대(310)로부터 인출된다.
중간척대(320)와 상부척대(330)가 어느정도 인출되면, 사용자는 세로인출부(360)를 정지시키고, 표척(300)의 눈금을 읽어 측량 작업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세로인출부(360)로부터 세로와이어(350)가 풀림에 따라 하부척대(310)로부터 상부척대(330), 중간척대(320) 순으로 표척(300)의 길이가 신장될 수 있다.
만약, 중간척대(320)와 상부척대(330)가 동시에 하부척대(310)로부터 인출된다거나, 중구난방으로 인출된다면, 사용자가 일일이 표척(300)의 눈금을 체크하여야 하는 반면, 본 발명은 상부척대(330)가 먼저 인출되므로 상부척대(330)만 인출되었을 때는 상부척대(330)의 눈금을 읽어 수준을 측정할 수 있고, 상부척대(330)가 인출된 후 중간척대(320)가 인출되었을 때는 상부척대(330)의 길이를 알고 있는 상태에서 중간척대(320)의 눈금만 읽어 쉽게 수준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측량 작업을 수행하지 않을 때에는 세로와이어(350)가 세로인출부(360)에 감겨서 고정되어 있으므로 중간척대(320) 또는 상부척대(330)가 사용자의 의지와 관계없이 임의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명기구(400)는, 표척(300)의 하부 외측면에 결합되는 사각링 형태의 조명케이스(410), 조명케이스(410)의 상부면에 장착되는 다수의 조명소켓(420) 및 조명케이스(410)의 외측면에 착탈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다수의 태양전지모듈(430)을 포함한다.
상기 조명소켓(420)에는 조명원이 삽입된다. 조명원은 조명소켓(420)에 돌려 끼우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조명소켓(420)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상태에서 조명케이스(410)에 조립될 수도 있다.
상기 조명케이스(410)는 다시 표척(300)의 일측에 놓이는 제1조명케이스(411)와 표척(300)의 타측에 놓이는 제2조명케이스(412)로 구분되며, 제1조명케이스(411)와 제2조명케이스(412)의 일측 사이는 조명핀(413)을 매개로 연결되어 상호 회전 가능하다.
상기 제1조명케이스(411)와 제2조명케이스(412)의 타측에는 조명잠금장치(414)가 장착되어 조명케이스(410)를 표척(300)의 하부에 고정시키거나 표척(300)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조명기구(400)를 표척(300)의 하부에 결합함으로써 사용자가 야간에도 손쉽게 측량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측량 작업이 외진 곳에서 실시되어도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조명케이스(411)와 제2조명케이스(412)의 외측면에는 다수의 조명레일(415)이 종방향으로 형성된다. 다수의 조명레일(415)은 평행하게 배치되며, 단면이 'T'자 형태로 형성되어 태양전지모듈(430)이 다수의 조명레일(415) 사이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조명케이스(410) 외부에 삽입되는 태양전지모듈(430)의 수를 사용자가 임의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주변 상황을 고려하여 최적화된 태양에너지 수급 효율을 보일 수 있다.
상기 태양전지모듈(430)은 다수의 조명레일(415) 사이에 삽입될 수 있도록 판 형태로 형성되고, 태양전지모듈(430)의 일측면은 태양전지판(431)으로 형성되고 타측면은 제1조명케이스(411)와 제2조명케이스(412)의 외측면에 접촉되는 조명접촉면(432)으로 형성된다.
상기 태양전지판(431)은 조명기구(400)의 각 부품에 전류를 공급한다. 상기 태양전지판(431)은 효율이 뛰어난 플라스틱 기판을 이용한 박막 태양전지 셀을 이용하며, 최대 전압은 11 내지 24V이고, 최대 전력은 80 내지 100W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명접촉면(432)에는 상호 이격된 다수의 자석접촉부(433)가 종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제1조명케이스(411)와 제2조명케이스(412)의 외측면에 결합되고, 상호 이격된 다수의 자석접촉부(433) 사이는 원호 형상의 조명간격부(434)가 종방향으로 함몰 형성된다. 상기 제1조명케이스(411)와 제2조명케이스(412)의 외측면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태양전지모듈(430)의 조명접촉면(432)에는 태양전지모듈(430)을 조명케이스(410)에 결합시키는 자석접촉부(433)와 조명간격부(434)가 교대로 형성되며, 자석접촉부(433) 사이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므로 방열 효과가 뛰어나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명소켓(420)과 조명케이스(410)의 상부면 사이에는 열전도피막(422)이 형성된다. 상기 열전도피막(422)은 열 전도성이 뛰어난 소재로 이루어지며, 조명원으로부터 발생된 열을 조명케이스(410)로 전달하여 방열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조명소켓(420)은 하단의 접착제(421)를 통해 열전도피막(422)에 결합될 수 있으며, 조명소켓(420)의 측부에는 리드선(423)이 연결되어 열전도피막(422)에 결합된다. 상기 열전도피막(422)의 상부면 일측에는 동박패턴(424)이 형성되어 방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조명케이스(410)의 하단에는 추가로 방열판을 설치하여 방열 효과를 더욱 극대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조명원에서 발생된 열은 조명소켓(420)의 통해 조명케이스(410)로 바로 전달되는 방식, 리드선(423)을 통해 조명케이스(410)로 전달되는 방식을 이용하여 방열되고, 그리고도 남아있는 열은 열전도피막(422)의 상부면에 결합된 동박패턴(424)을 통해 외기로 방열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2가지 상이한 방식을 통해 신속하게 조명소켓(420)의 열을 방출하고, 남아있는 열은 동박패턴(424)을 통해 빠르게 방출하여 방열 효과를 극대회시키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0 : 결합본체 110 : 지지다리 120 : 수평계
130 : 보정수단 131 : 팁부 132 : 수직이동로
133 : 길이측정핀 134 : 파지헤드 200 : 틸팅수단
210 : 회전체 211 : 톱니 212 : 지지핀
220 : 구동샤프트 221 : 회전손잡이 222 : 스토퍼
223 : 톱니 300 : 표척 310 : 하부척대
311 : 중공 312 : 케이스단부 313 : 케이스돌기
320 : 중간척대 321 : 제1외측하단부 322 : 제1내측하단부
323 : 제1세로단부 330 : 상부척대 331 : 제2세로단부
340 : 세로탄성부 350 : 세로와이어 360 : 세로인출부
370 : 인출결합부 400 : 조명기구 410 : 조명케이스
411 : 제1조명케이스 412 : 제2조명케이스 413 : 조명핀
414 : 조명잠금장치 415 : 조명레일 420 : 조명소켓
421 : 접착제 422 : 열전도피막 423 : 리드선
424 : 동박패턴 430 : 태양전지모듈 431 : 태양전지판
432 : 조명접촉면 433 : 자석접촉부 434 : 조명간격부
500 : 회전기구 510 : 수평회전부 511 : 회전케이스
511a : 회전걸림부 512 : 회전로드 512a : 멈춤홈
512b : 멈춤돌기 513 : 회전연장판 514 : 회전볼
520 : 회전제어부 521 : 제어케이스 521a : 방지홈
522 : 제어로드 523 : 멈춤부 524 : 제어스프링
525 : 방지부 526 : 제어이동부 527 : 제어이동케이스
528 : 제어손잡이 600 : 완충기구 610 : 완충로드
611 : 완충체결부 612 : 완충원통부 620 : 완충케이스
630 : 완충스토퍼 640 : 완충연결부 641 : 완충상하부
642 : 완충좌우부 650 : 완충굴곡부 651 : 제1굴곡부
652 : 제2굴곡부 653 : 제3굴곡부 654 : 제4굴곡부
655 : 제5굴곡부

Claims (1)

  1. 원판형의 결합본체; 결합본체의 중앙 부분에 설치되는 보정수단; 결합본체의 하부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지지다리; 지지다리의 기울기를 조절하기 위한 틸팅수단; 결합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완충기구; 완충기구의 상부에 결합되는 회전기구; 회전기구의 상부에 결합되는 표척; 및 표척의 하부 외측면을 감싸도록 결합되어 빛을 조사하는 조명기구; 를 포함하되,
    상기 보정수단은,
    결합본체의 하부에 설치되어 하방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며 하단부가 뾰족하게 형성된 팁부; 팁부에 형성된 수직이동로에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눈금이 표시된 길이측정핀; 및 결합본체의 상부로 노출된 길이측정핀의 상부에 형성된 파지헤드; 를 포함하고,
    상기 틸팅수단은,
    지지다리의 상부에 형성되어 결합본체에 마련된 절개홈에 삽입되며 외주면에 톱니가 형성된 회전체; 회전체의 회전중심에 결합되어 양단부가 결합본체에 설치되는 지지핀; 결합본체를 상하로 관통하도록 결합본체에 설치되며 외주면에 톱니가 형성되어 회전체의 톱니와 결합하여 회전체를 상하로 회전시키는 구동샤프트; 및구동샤프트의 상부에 형성된 회전손잡이; 구동샤프트의 하부에 결합된 스토퍼; 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기구는,
    표척의 하단에 결합되어 표척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수평회전부; 및 수평회전부의 하단에 장착되는 회전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회전부는,
    표척의 하단에 결합되며 상단과 후단이 개방된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회전케이스; 회전케이스 내부에 수용되며 상단이 표척의 하단에 결합되고 하단이 회전케이스의 하단을 관통하여 회전제어부에 수용되는 회전로드; 회전로드의 측부에 돌출 연장되는 회전연장판; 회전케이스의 상단에 형성되며 회전연장판의 상부면과 접촉되는 회전걸림부; 및 회전연장판의 하부면과 회전케이스의 내측 하부면 사이에 배치되는 다수의 회전볼; 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제어부는,
    회전케이스의 하단에 결합되며 회전로드의 하단이 수용되는 제어케이스; 제어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며 회전로드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어로드; 제어로드의 일단에 결합되며 회전로드의 하부에 형성된 다수의 멈춤홈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될 수 있는 멈춤부; 멈춤부와 회전케이스의 내측면 사이에 결합되는 제어스프링; 제어로드의 타단에 결합되며 제어케이스의 측부에 형성된 방지홈의 삽입될 수 있는 방지부; 방지부의 일측에 결합되며 삼각형 형태의 단면을 가지는 제어이동부; 제어케이스의 측부에 결합되며 제어이동부가 좌우로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제어이동케이스; 및 제어이동케이스의 상부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하단이 제어이동부의 상부면에 접촉되는 제어손잡이; 를 포함하며,
    상기 표척은,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며 전면에 눈금이 표시된 하부척대; 하부척대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되며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중간척대; 및 중간척대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되며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상부척대; 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척대, 중간척대, 상부척대의 중공에는 세로탄성부가 수용되며, 세로탄성부는 상부척대의 내부면 끝단과 하부척대의 내부면 끝단 사이를 연결하고, 상부척대의 내부면 끝단에는 세로와이어의 일단이 결합되고, 세로와이어의 타단은 하부척대의 끝단을 관통하여 외부로 인출되며, 하부척대의 하단에는 인출된 와이어가 감기거나 풀릴 수 있도록 세로인출부가 결합되고,
    상기 세로인출부로부터 세로와이어가 풀림에 따라 상부척대-중간척대 순으로 표척의 길이가 신장되며,
    상기 조명기구는,
    표척의 하부 외측면에 결합되는 사각링 형태의 조명케이스; 조명케이스의 상부면에 장착되는 다수의 조명소켓; 및 조명케이스의 외측면에 착탈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다수의 태양전지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조명케이스는 표척의 일측에 놓이는 제1조명케이스와 표척의 타측에 놓이는 제2조명케이스로 구분되며, 제1조명케이스와 제2조명케이스의 일측 사이는 조명핀을 매개로 연결되어 상호 회전 가능하고, 제1조명케이스와 제2조명케이스의 타측에는 조명잠금장치가 장착되어 조명케이스를 표척의 하부에 고정시키거나 표척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으며, 제1조명케이스와 제2조명케이스의 외측면에는 다수의 조명레일이 종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태양전지모듈은 다수의 조명레일 사이에 삽입될 수 있도록 판 형태로 형성되고, 태양전지모듈의 일측면은 태양전지판으로 형성되고 타측면은 제1조명케이스와 제2조명케이스의 외측면에 접촉되는 조명접촉면으로 형성되며, 조명접촉면에는 상호 이격된 다수의 자석접촉부가 종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제1조명케이스와 제2조명케이스의 외측면에 결합되고, 상호 이격된 다수의 자석접촉부 사이는 원호 형상의 조명간격부가 종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준 측량을 위한 표척의 보조연결장치를 구비한 측지측량장치.
KR1020210068771A 2021-05-28 2021-05-28 수준 측량을 위한 표척의 보조연결장치를 구비한 측지측량장치 KR1023192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8771A KR102319288B1 (ko) 2021-05-28 2021-05-28 수준 측량을 위한 표척의 보조연결장치를 구비한 측지측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8771A KR102319288B1 (ko) 2021-05-28 2021-05-28 수준 측량을 위한 표척의 보조연결장치를 구비한 측지측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9288B1 true KR102319288B1 (ko) 2021-11-01

Family

ID=78519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8771A KR102319288B1 (ko) 2021-05-28 2021-05-28 수준 측량을 위한 표척의 보조연결장치를 구비한 측지측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928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793320A (zh) * 2023-06-13 2023-09-22 北京广安融创房产测绘有限公司 一种自保护式工程测绘设备
KR102708428B1 (ko) * 2023-07-05 2024-09-23 동아항업 주식회사 수준점 및 기준점 측량이 가능한 측지측량장치
KR102708432B1 (ko) * 2023-07-06 2024-09-23 동아항업 주식회사 통합기준점 측량용 수준측량장치
KR102708429B1 (ko) * 2023-07-06 2024-09-23 동아항업 주식회사 통합기준점 측량용 정확도 향상 측량기기
KR102721473B1 (ko) 2024-03-19 2024-10-24 주식회사 삼인공간정보 높이 조절이 가능한 측지측량 표척을 구비한 측지측량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6436B1 (ko) * 2014-04-16 2014-09-01 중앙항업(주) 수준 표척을 이용한 지하시설물의 심도 측정용 접이식 고정장치
CN108375801A (zh) * 2018-02-07 2018-08-07 吉林大学 高精度地面移动式三分量磁测装置及磁测方法
KR102039931B1 (ko) * 2019-06-25 2019-11-04 엘티메트릭 주식회사 수준점과 기준점 표석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측지측량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6436B1 (ko) * 2014-04-16 2014-09-01 중앙항업(주) 수준 표척을 이용한 지하시설물의 심도 측정용 접이식 고정장치
CN108375801A (zh) * 2018-02-07 2018-08-07 吉林大学 高精度地面移动式三分量磁测装置及磁测方法
KR102039931B1 (ko) * 2019-06-25 2019-11-04 엘티메트릭 주식회사 수준점과 기준점 표석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측지측량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793320A (zh) * 2023-06-13 2023-09-22 北京广安融创房产测绘有限公司 一种自保护式工程测绘设备
CN116793320B (zh) * 2023-06-13 2024-04-09 北京广安融创房产测绘有限公司 一种自保护式工程测绘设备
KR102708428B1 (ko) * 2023-07-05 2024-09-23 동아항업 주식회사 수준점 및 기준점 측량이 가능한 측지측량장치
KR102708432B1 (ko) * 2023-07-06 2024-09-23 동아항업 주식회사 통합기준점 측량용 수준측량장치
KR102708429B1 (ko) * 2023-07-06 2024-09-23 동아항업 주식회사 통합기준점 측량용 정확도 향상 측량기기
KR102721473B1 (ko) 2024-03-19 2024-10-24 주식회사 삼인공간정보 높이 조절이 가능한 측지측량 표척을 구비한 측지측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19288B1 (ko) 수준 측량을 위한 표척의 보조연결장치를 구비한 측지측량장치
ES2359402T3 (es) Sistema modular para generar un plano de referencia por láser.
KR102307335B1 (ko) 수준 측량 데이터의 오차를 감소시켜 측량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측지측량시스템
AU2005100030A4 (en) Laser Level
CN212226582U (zh) 一种城市地面施工工程用测绘辅助设备
CN210771284U (zh) 一种测绘工程用测绘仪定位装置
PT1522820E (pt) Ferramenta de marcação de referencia a laser
WO2008067716A1 (fr) Appareil de mesure de faible angle d'inclinaison
CN1507552A (zh) 距离测量装置、测距仪及其固定件
KR102304553B1 (ko) 수준 측량용 표척의 안정적인 높이 조절을 위한 측지측량장치
US6931740B2 (en) Line generating device
US20040025358A1 (en) Universal angle means
US7604208B2 (en) Height adjustable, platform leveling multi-pod
JP2009236663A (ja) リフレクタ装置
KR102459673B1 (ko) 오차값을 최소화한 측지측량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는 측지측량시스템
CN204924250U (zh) 寻北仪快速标线辅助装置
CN104713532B (zh) 一种具有自校正功能的激光标线仪
CN211289287U (zh) 一种基于工程测绘定位调节装置
KR102319786B1 (ko) 하수관용 측지측량 표척 구조
CN212960725U (zh) 一种具有稳定性的测绘工程用高精度陀螺仪
KR102305285B1 (ko) 지하시설물 도면 데이터를 정확하게 구축할 수 있는 정밀 지하시설물 측량시스템
KR101956890B1 (ko) 수준측량을 위한 표척의 보조연결장치
KR102709210B1 (ko) 측지측량용 표척의 보호장치
GB2345541A (en) Laser alignment device
CN218208778U (zh) 一种测绘辅助定位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