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5285B1 - 지하시설물 도면 데이터를 정확하게 구축할 수 있는 정밀 지하시설물 측량시스템 - Google Patents

지하시설물 도면 데이터를 정확하게 구축할 수 있는 정밀 지하시설물 측량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5285B1
KR102305285B1 KR1020210076630A KR20210076630A KR102305285B1 KR 102305285 B1 KR102305285 B1 KR 102305285B1 KR 1020210076630 A KR1020210076630 A KR 1020210076630A KR 20210076630 A KR20210076630 A KR 20210076630A KR 102305285 B1 KR102305285 B1 KR 1023052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ing
case
control
couple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6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대근
정원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국지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국지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국지에스
Priority to KR10202100766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52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52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52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G01C15/002Active optical surveying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G01C15/02Means for marking measuring points
    • G01C15/06Surveyors' staffs; Movable mark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5/00Measuring height; Measuring distances transverse to line of sight; Levelling between separated points; Surveyors' leve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28Structurally-combined illuminating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30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an instrument;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a set of instru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5/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sonar systems
    • G01S15/02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sonar systems using reflection of acoustic waves
    • G01S15/06Systems determining the position data of a target
    • G01S15/08Systems for measuring distance on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8Energy storage means, e.g. batteri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V modu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10Photovoltaic [P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시설물 측량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하시설물이 매설된 깊이와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측량기기, 상기 측량기기에 구비된 표척을 관측할 수 있는 레벨기기 및 상기 레벨기기와 통신하여 관측값을 수신하며 측량기기에 구비된 조명기구를 원격 제어할 수 있는 휴대용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굴착홈에 매설된 다수의 지하시설물을 동시에 측량하여 매설 깊이와 이격 거리를 정확하게 측량할 수 있으며, 공기완충부를 이용하여 주변의 진동이나 충격으로부터 레벨기가 지나치게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고, 회전기구를 이용하여 레벨기를 자유자재로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할 수 있는 지하시설물 도면 데이터를 정확하게 구축할 수 있는 정밀 지하시설물 측량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지하시설물 도면 데이터를 정확하게 구축할 수 있는 정밀 지하시설물 측량시스템{UNDERGROUND FACILITIES DETECTION SYSTEM FOR ACCURATELY BUILDING UNDERGROUND FACILITY DRAWING DATA}
본 발명은 지하시설물 측량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하시설물 도면 데이터를 정확하게 구축할 수 있는 정밀 지하시설물 측량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 및 생활, 문화 수준의 향상 등 도시화가 급속하게 진행되면서 지중에는 상하수도관이나 가스관, 전기 및 통신선로, 난방관, 송유관 등과 같은 수많은 지하시설물들이 급증하였으며, 지중에 매설되는 지하시설물의 관로 종류 또한 다양하게 설치되어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지하시설물들은 도시의 미관과 안전을 이유로 지하에 매설되고 있는데, 다양한 유형을 갖는 지하시설물의 보수 및 관리를 위해서는 지하시설물의 위치정보가 정확히 확인되어야 하고 기록에 의해 유지 관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특히, 최근에는 상하수도 신규 매설 및 노후관 교체시 발생한 DB 갱신을 실측을 통하여 데이터의 최신성을 확보하고 있다. 여기서, 지하시설물의 실측이라 함은 공사가 완료되기 전 시공시에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상태에서 직접측량(이격거리 및 심도 측량)하는 것을 말한다.
지하시설물의 매설 깊이(심도) 측량을 위해서는 표척수가 굴착홈에 표척을 세우고, 기계수가 레벨기를 이용하여 심도를 측정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이때, 표척은 통상적인 수준측량용 표척이 사용된다.
그러나 종래 지하시설물 측량시스템은 하나의 지하시설물을 개별적으로 측량하여야 하므로 다양한 깊이에 설치된 다수의 지하시설물에 대한 측량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종래 지하시설물 측량시스템은 사용되는 기기의 작동상태와 기기에서 수집하는 데이터를 한 번에 확인할 수 없으므로 지하시설물 측량을 신속 편리하게 수행하는데 문제가 있다.
위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해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굴착홈에 매설된 다수의 지하시설물을 동시에 측량하여 매설 깊이와 이격 거리를 정확하게 측량할 수 있는 지하시설물 도면 데이터를 정확하게 구축할 수 있는 정밀 지하시설물 측량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완충부를 이용하여 주변의 진동이나 충격으로부터 레벨기가 지나치게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고, 회전기구를 이용하여 레벨기를 자유자재로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할 수 있는 지하시설물 도면 데이터를 정확하게 구축할 수 있는 정밀 지하시설물 측량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본 발명의 기재로부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지하시설물이 매설된 깊이와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측량기기; 상기 측량기기에 구비된 표척을 관측할 수 있는 레벨기기; 및 상기 레벨기기와 통신하여 관측값을 수신하며 측량기기에 구비된 조명기구를 원격 제어할 수 있는 휴대용단말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하시설물 도면 데이터를 정확하게 구축할 수 있는 정밀 지하시설물 측량시스템에서 상기 측량기기는, 지하시설물이 매설된 굴착홈에 직립 배치되는 지지기구; 지지기구의 측부에 직교하여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가로측량기구; 지지기구의 측부에 직교하여 횡방향으로 설치되며 제1가로측량기구보다 상부에 배치되는 제2가로측량기구; 지지기구의 내부에 설치되며 제1가로측량기구 또는 제2가로측량기구까지의 거리를 측정하여 측정 거리값을 무선 송출하는 초음파거리측정기; 제1가로측량기구의 말단 또는 제2가로측량기구의 말단에 삽탈 가능하게 삽입되는 표척; 굴착홈의 상단에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가로지지기구; 표척과 가로지지기구가 삽탈 가능하게 삽입되는 연결기구; 및 표척의 상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조명기구;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하시설물 도면 데이터를 정확하게 구축할 수 있는 정밀 지하시설물 측량시스템에서 상기 레벨기기는, 다수의 지지다리가 결합되는 다리판; 다리판의 상부에 결합되는 공기완충부; 공기완충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회전기구; 회전기구의 상부에 결합되는 높이조절부; 높이조절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레벨기; 및 레벨기의 외측을 감싸도록 결합되는 레벨조명부;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하시설물 도면 데이터를 정확하게 구축할 수 있는 정밀 지하시설물 측량시스템에서 상기 휴대용단말기는, 카메라: 디스플레이; 및 카메라와 디스플레이를 작동 제어하고, 레벨기로부터의 시준값 및 초음파거리측정기로부터의 측정 거리값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에 나타내며, 조명기구를 원격 제어하는 제어유닛; 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하시설물 도면 데이터를 정확하게 구축할 수 있는 정밀 지하시설물 측량시스템에서 상기 회전기구는, 높이조절부의 하단에 결합되어 레벨기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수평회전부; 및 수평회전부의 하단에 장착되는 회전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회전부는, 높이조절부의 하단에 결합되며 상단과 후단이 개방된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회전케이스; 회전케이스 내부에 수용되며 상단이 높이조절부의 하단에 결합되고 하단이 회전케이스의 하단을 관통하여 회전제어부에 수용되는 회전로드; 회전로드의 측부에 돌출 연장되는 회전연장판; 회전케이스의 상단에 형성되며 회전연장판의 상부면과 접촉되는 회전걸림부; 및 회전연장판의 하부면과 회전케이스의 내측 하부면 사이에 배치되는 다수의 회전볼; 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제어부는, 회전케이스의 하단에 결합되며 회전로드의 하단이 수용되는 제어케이스; 제어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며 회전로드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어로드; 제어로드의 일단에 결합되며 회전로드의 하부에 형성된 다수의 멈춤홈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될 수 있는 멈춤부; 멈춤부와 회전케이스의 내측면 사이에 결합되는 제어스프링; 제어로드의 타단에 결합되며 제어케이스의 측부에 형성된 방지홈의 삽입될 수 있는 방지부; 방지부의 일측에 결합되며 삼각형 형태의 단면을 가지는 제어이동부; 제어케이스의 측부에 결합되며 제어이동부가 좌우로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제어이동케이스; 및 제어이동케이스의 상부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하단이 제어이동부의 상부면에 접촉되는 제어손잡이;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하시설물 도면 데이터를 정확하게 구축할 수 있는 정밀 지하시설물 측량시스템에서 상기 높이조절부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는 하부조절부; 하부조절부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되며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중간조절부; 및 중간조절부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되며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상부조절부; 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조절부, 중간조절부, 상부조절부의 중공에는 세로탄성부가 수용되며, 세로탄성부는 상부조절부의 내부면 끝단과 하부조절부의 내부면 끝단 사이를 연결하고, 상부조절부의 내부면 끝단에는 세로와이어의 일단이 결합되고, 세로와이어의 타단은 하부조절부의 끝단을 관통하여 외부로 인출되며, 하부조절부의 하단에는 인출된 와이어가 감기거나 풀릴 수 있도록 세로인출부가 결합되고, 상기 세로인출부로부터 세로와이어가 풀림에 따라 상부조절부-중간조절부 순으로 높이조절부의 길이가 신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하시설물 도면 데이터를 정확하게 구축할 수 있는 정밀 지하시설물 측량시스템에서 상기 레벨조명부는, 레벨기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사각링 형태의 조명케이스; 조명케이스의 우측면에 장착되는 다수의 조명소켓; 및 조명케이스의 상하면에 착탈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다수의 태양전지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조명케이스는 레벨기의 상부측에 놓이는 제1조명케이스와 레벨기의 하부측에 놓이는 제2조명케이스로 구분되며, 제1조명케이스와 제2조명케이스의 일측 사이는 조명핀을 매개로 연결되어 상호 회전 가능하고, 제1조명케이스와 제2조명케이스의 타측에는 조명잠금장치가 장착되어 조명케이스를 레벨기에 고정시키거나 레벨기로부터 분리할 수 있으며, 제1조명케이스와 제2조명케이스의 상하면에는 다수의 조명레일이 종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태양전지모듈은 다수의 조명레일 사이에 삽입될 수 있도록 판 형태로 형성되고, 태양전지모듈의 일측면은 태양전지판으로 형성되고 타측면은 제1조명케이스와 제2조명케이스의 상하면에 접촉되는 조명접촉면으로 형성되며, 조명접촉면에는 상호 이격된 다수의 자석접촉부가 길이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제1조명케이스와 제2조명케이스의 상하면에 결합되고, 상호 이격된 다수의 자석접촉부 사이는 원호 형상의 조명간격부가 길이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제1지하시설물과 제2지하시설물의 매설 깊이, 상호 간의 이격 거리 등을 한 번에 측정할 수 있으며, 제1지하시설물과 제2지하시설물이 상하로 배치되어 표척을 제2지하시설물에 배치하기 쉽지 않은 경우에도 제2지하시설물에 대한 매설 깊이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측량기기, 레벨기기 및 휴대용단말기를 연동시켜서 측량기기, 레벨기기 및 휴대용단말기를 통해 수집한 측량 데이터를 휴대용단말기에서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공기완충부를 이용하여 레벨기기가 외부의 충격이나 진동에 의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지하시설물 측량 작업의 정확성이 현저히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하시설물 도면 데이터를 정확하게 구축할 수 있는 정밀 지하시설물 측량시스템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단말기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지기구의 내부 모습을 도시한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가로측정기구 또는 제2가로측정기구를 위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결기구의 내부 모습을 도시한 횡단면도.
도 6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하시설물 도면 데이터를 정확하게 구축할 수 있는 정밀 지하시설물 측량시스템의 작동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완충부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기구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2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로드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2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부의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도 2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벨조명부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2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벨조명부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하시설물 도면 데이터를 정확하게 구축할 수 있는 정밀 지하시설물 측량시스템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단말기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하시설물 측량시스템은 지하시설물이 매설된 깊이와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측량기기(MA), 측량기기에 구비된 표척(50)을 관측할 수 있는 레벨기기(LA) 및 레벨기기와 통신하여 관측값을 수신하며 측량기기에 구비된 조명기구(80)를 원격 제어할 수 있는 휴대용단말기(TA)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측량기기(MA)는 지지기구(10), 제1가로측량기구(20), 제2가로측량기구(30), 초음파거리측정기(40), 표척(50), 연결기구(60), 가로지지기구(70) 및 조명기구(80)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기구(10)는 지하시설물이 매설된 굴착홈(G)에 직립 배치된다. 상기 제1가로측량기구(20)와 제2가로측량기구(30)는 이러한 지지기구(10)의 측부에 직교하여 횡방향으로 설치된다. 상기 제2가로측량기구(30)는 제1가로측량기구(20)보다 상대적으로 상부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초음파거리측정기(후술되는 도 3에 도시, 40)는 지지기구(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제1가로측량기구(20) 또는 제2가로측량기구(30)까지의 거리를 측정하여 측정 거리값을 무선 송출한다.
상기 표척(50)은 제1가로측량기구(20)의 좌측 단부 또는 제2가로측량기구(30)의 좌측 단부에 삽탈 가능하게 삽입된다. 상기 가로지지기구(70)는 굴착홈(G)의 상단에 횡방향으로 배치되어 지면에 지지되며, 상기 연결기구(60)는 표척(50)과 가로지지기구(70)가 삽탈 가능하게 삽입되어 표척(50)과 가로지지기구(70) 사이를 연결한다.
상기 조명기구(80)는 표척(50)의 상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조명등(83)을 구비한다. 상기 조명등(83)은 자체 배터리를 갖추며, 휴대용단말기(TA)에 의해 원격 제어될 수 있다.
상기 레벨기기(LA)는, 다수의 지지다리(110)가 결합되는 다리판(130), 다리판(130)의 상부에 결합되는 공기완충부(200), 공기완충부(200)의 상부에 결합되는 회전기구(500), 회전기구(500)의 상부에 결합되는 높이조절부(300), 높이조절부(300)의 상부에 결합되는 레벨기(LA2), 및 레벨기(LA2)의 외측을 감싸도록 결합되는 레벨조명부(400)를 포함한다.
상기 레벨기(LA2)는 측량기기(MA)의 표척(50)을 시준하고 시준값을 무선 송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표척(50)을 시준하여 측량에 사용되는 기기면 레벨기(LA2) 대신에 다양한 측량용 기기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레벨기기(LA)는 전체적으로 삼각대 형태를 이루며, 공기완충부(200), 회전기구(500), 높이조절부(300) 및 레벨조명부(400)에 대한 상세한 구성은 아래에서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휴대용단말기(TA)는 카메라(TA1), 디스플레이(TA2) 및 제어유닛(TA3)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유닛(TA3)은 카메라(TA1)와 디스플레이(TA2)를 작동 제어하고, 레벨기(LA2)로부터의 시준값 및 초음파거리측정기(40)로부터의 측정 거리값을 수신하여 시준값 및 측정 거리값을 디스플레이(TA2)에 나타내며, 조명기구(80)의 조명등(83)을 원격제어한다. 본 실시예에서 휴대용단말기(TA)의 디스플레이(TA2)는 터치스크린 타입을 이룰 수 있으며, 제어유닛(TA3)은 연산 기능 등을 더 갖출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지기구의 내부 모습을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가로측정기구 또는 제2가로측정기구를 위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횡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결기구의 내부 모습을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상기 지지기구(10)는 지지대(11) 및 커버(12)를 포함하며, 지하시설물이 매설된 굴착홈(G)에 직립되게 배치된다. 상기 지지대(11)는 지지대(11)의 내부에 상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는 공간부(11a) 및 공간부(11a)와 연통되게 좌우로 관통형성되어 지지대(11)의 상하를 따라 구비되되 지지대(11)의 측면 둘레를 따라 방사형으로 구비되는 다수의 체결홀(11b)을 갖춘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대(11)는 원형 바 형상을 이룬다. 상기 커버(12)는 지지대(11)의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어 지지대(11)의 공간부(11a)를 개폐한다.
상기 제1가로측량기구(20)는 가로지지대(21), 슬라이드체(22), 표척삽입체(23), 제1체결체(24) 및 제2체결체(25)를 갖춘다.
상기 제1가로측량기구(20)의 가로지지대(21)는, 좌우로 개구되어 지지대(11)의 체결홀(11b)과 연통되는 체결홀(21a1)을 구비하여 지지기구(10)의 지지대(11)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회전체(21a) 및 상방으로 개구된 가이드부(21b1)를 구비하여 회전체(21a)의 좌측에 구비되며 상면에 눈금이 표시되는 지지체(21b)를 갖춘다.
상기 제1가로측량기구(20)의 슬라이드체(22)는 상하로 개구된 체결홀(22a)을 구비하여, 제1가로측량기구(20)의 가로지지대(21)의 가이드부(21b1)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면에 눈금이 표시된다.
상기 제1가로측량기구(20)의 표척삽입체(23)는 상하로 개구되는 표척삽입부(23a)를 가지고서, 상기 슬라이드체(22)의 좌측에 구비된다.
상기 제1가로측량기구(20)의 제1체결체(24)는 지지기구(10)의 지지대(11)의 공간부(11a)로 노출가능하게 제1가로측량기구(20)의 회전체(21a)의 체결홀(21a1) 및 지지기구(10)의 지지대(11)의 체결홀(11b)에 나사산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체결체(24)는 볼트 타입을 이룬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체결체(24)는, 상기 회전체(21a)를 지지대(11)에 고정하면서, 초음파거리측정기(40)가 제1가로측량기구(20)의 배치 높이를 측정하도록, 제1가로측량기구(20)의 위치를 나타내는 기능을 한다.
상기 제1가로측량기구(20)의 제2체결체(25)는 제1가로측량기구(20)의 슬라이드체(22)의 체결홀(22a)에 이동가능하게 체결되어 상기 가로지지대(21)를 가압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체결체(25)는 볼트 타입을 이룬다.
상기 제2가로측량기구(30)는 가로지지대(31), 슬라이드체(32), 표척삽입체(33), 제1체결체(34) 및 제2체결체(35)를 갖추고서, 제1가로측량기구(20)보다 상방에 배치된다.
상기 제2가로측량기구(30)의 가로지지대(31)는, 좌우로 개구되어 지지대(11)의 체결홀(11b)과 연통되는 체결홀(31a1)을 구비하여 지지기구(10)의 지지대(11)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회전체(31a) 및 상방으로 개구된 가이드부(31b1)를 구비하여 회전체(31a)의 좌측에 구비되며 상면에 눈금이 표시되는 지지체(31b)를 갖춘다.
상기 제2가로측량기구(30)의 슬라이드체(32)는 상하로 개구된 체결홀(32a)을 구비하여, 제2가로측량기구(30)의 가로지지대(31)의 가이드부(31b1)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면에 눈금이 표시된다.
상기 제2가로측량기구(30)의 표척삽입체(33)는 상하로 개구되는 표척삽입부(33a)를 가지고서, 제2가로측량기구(30)의 슬라이드체(32)의 좌측에 구비된다.
상기 제2가로측량기구(30)의 제1체결체(34)는 지지기구(10)의 지지대(11)의 공간부(11a)로 노출가능하게 제2가로측량기구(30)의 회전체(31a)의 체결홀(31a1) 및 지지기구(10)의 지지대(11)의 체결홀(11b)에 나사산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체결체(34)는 볼트 타입을 이룬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체결체(34)는, 회전체(31a)를 지지대(11)에 고정하면서, 초음파거리측정기(40)가 제2가로측량기구(30)의 배치 높이를 측정하도록, 제2가로측량기구(30)의 위치를 나타내는 기능을 한다.
상기 제2가로측량기구(30)의 제2체결체(35)는 제2가로측량기구(30)의 슬라이드체(32)의 체결홀(32a)에 이동가능하게 체결되어 제2가로측량기구(30)의 가로지지대(31)를 가압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체결체(35)는 볼트 타입을 이룬다
상기 초음파거리측정기(40)는 지지기구(10)의 커버(12)의 하측에 설치되어 지지기구(10)의 지지대(11)의 공간부(11a)에 배치되며, 제1가로측량기구(20)의 제1체결체(24) 또는 제2가로측량기구(30)의 제1체결체(34)까지의 거리를 측정하여 측정 거리값을 무선 송출한다.
초음파거리측정기(40)는 지지기구(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출력되는 초음파가 외부 신호에 의해 간섭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거리 측정을 위해 초음파거리측정기가 사용되지만,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거리 측정기이면 다양한 거리측정기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초음파거리측정기(40)는 휴대용단말기(TA)에 의해 원격제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표척(50)은 제1가로측량기구(20)의 표척삽입체(23)의 표척삽입부(23a) 또는 제2가로측량기구(30)의 표척삽입체(33)의 표척삽입부(33a)에 삽탈가능하게 삽입된다.
상기 연결기구(60)는 상하로 개구되며 표척(50)이 삽탈가능하게 삽입되는 표척삽입부(61) 및 좌우로 관통되게 형성된 가로지지기구삽입부(62)를 갖춘다.
상기 가로지지기구(70)는 연결기구(60)의 가로지지기구삽입부(62)에 삽탈가능하게 삽입되며, 양단이 굴착홈(G)의 상부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가로지지기구(70)는 사각 바 형상을 이룬다.
도 6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하시설물 도면 데이터를 정확하게 구축할 수 있는 정밀 지하시설물 측량시스템의 작동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지하시설물(P1) 및 제2지하시설물(P2)이 굴착홈(G)에 매설되어 있을 시, 본 발명에 따른 지하시설물 측량시스템을 설치한다. 이때, 제1가로측량기구(20)를 제2지하시설물(P2)에 안착시키기 위해서 제1가로측량기구(20)를 하방으로 이동시킬 시, 제1가로측량기구(20)는 제1지하시설물(P1)과 간섭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제1가로측량기구(20)를 회전시킨 후 하방으로 이동시켜 제1가로측량기구(20)와 제1지하시설물(P1)의 간섭을 방지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지하시설물(P1)을 측량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지하시설물 측량시스템을 설치한 후, 레벨기(LA2)를 이용한 표척(50) 시준 작업을 통해 제1지하시설물(P1)의 매설 깊이(a)를 구할 수 있다.
또한, 제2지하시설물(P2)의 매설 깊이를 구하기 위해서는 도 7과 같은 상태에서 도 8과 같이 제2가로측량기구(30)의 제1체결체(34)를 우방으로 이동시킨 후, 초음파거리측정기(40)를 구동하여 도 9와 같이 지지기구(10)의 상단에서 제1가로측량기구(20)의 제1체결체(24)까지의 거리(b)를 측정한다.
그리고 도 10과 같이 제2가로측량기구(30)의 제1체결체(34)를 좌방으로 이동시킨 후, 초음파거리측정기(40)를 구동하여 도 11과 같이 지지기구(10)의 상단에서 제2가로측량기구(30)의 제1체결체(34)까지의 거리(c)를 측정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후, 측정된 제1지하시설물(P1)의 매설 깊이(a), 지지기구(10)의 상단에서 제1가로측량기구(20)의 제1체결체(24)까지의 거리(b), 지지기구(10)의 상단에서 제2가로측량기구(30)의 제1체결체(34)까지의 거리(c)를 이용해, 제2지하시설물(P2)의 매설 깊이(d)를 구한다. 즉, d = a+(b-c)의 연산을 통해 제2지하시설물(P2)의 매설 깊이(d)를 구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도 13과 같이 제1가로측량기구(20) 및 제2가로측량기구(30)를 위치시킨 후, 제1지하시설물(P1)의 상하 폭을 구할 수 있다.
이때, 도 8과 같은 방식으로 지지기구(10)의 상단에서 제1가로측량기구(20)까지의 거리(e)를 구하고, 도 10과 같은 방식으로 지지기구(10)의 상단에서 제2가로측량기구(30)까지의 거리(c)를 구해, 제1지하시설물(P1)의 상하 폭(f = e-c)를 구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제1가로측량기구(20) 및 제2가로측량기구(30)를 배치시킨 상태에서 초음파거리측정기구(40)를 구동하여, 도 15와 같이 지지기구(10)의 길이(g)를 구하고, 도 8과 같은 방식으로 지지기구(10)의 상단에서 제1가로측량기구(20)의 제1체결체(24)까지의 거리(b)를 구해, 제2지하시설물(P2)의 상하 폭(h = g-b)을 구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초음파거리측정기(40)로 측정하는 거리는 별도의 측량기구(예를 들어 줄자 등)을 통해 작업자가 직접 측정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지하시설물(P1) 및 제2지하시설물(P2)의 평면 위치가 서로 다를 경우, 도 16에 도시된 것처럼 표척(50)을 설치하여 제1지하시설물(P1)의 매설 깊이를 구할 수 있고, 도 17에 도시된 것처럼 표척(50)을 설치하여 제2지하시설물(P2)의 매설 깊이를 구할 수 있다.
여기서 제2지하시설물(P2)의 매설 깊이를 구하기 위해 표척(50)을 설치할 시, 표척(50)과 제2가로측량기구(30) 사이에 간섭이 발생하기 때문에 도 17과 같이 제2가로측량기구(30)를 회전시킨 후 표척(50)을 제2지하시설물(P2)의 상측에 배치시킨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제1지하시설물(P1)과 제2지하시설물(P2)의 이격거리를 구할 수 있다.
이때, 도 16과 같이 제2가로측량기구(30)를 펼친 후, 제2가로측량기구(30)의 가로지지대(31) 및 슬라이드체(32)의 눈금을 읽어 제1지하시설물(P1)의 중심에서 지지기구(10)까지의 수평거리(i)를 구하고, 도 17과 같이 제1가로측량기구(20)의 가로지지대(21)의 눈금을 읽어 제2지하시설물(P2)에서 지지기구(10)까지의 수평거리(j)를 구해, 제1지하시설물(P1)과 제2지하시설물(P2)의 이격거리(k = i-j)를 구한다.
여기서 작업자가 굴착홈(G)의 외부에 있을 시, 작업자는 휴대용단말기(TA)의 카메라(TA1)를 통해 제1가로측량기구(20) 또는 제2가로측량기구(30)를 촬영하여, 제1가로측량기구(20) 또는 제2가로측량기구(30)에서 확인하고자 하는 눈금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초음파거리측정기(40)에서 측정된 거리값 및 레벨기(LA2)에서 시준한 시준값은 휴대용단말기(TA)에 전송되고, 측정된 거리값 및 시준값이 휴대용단말기(TA)의 디스플레이(TA2)에 표시된다. 이때 작업자는 휴대용단말기(TA)에서 측정된 거리값, 시준값, 작업자가 확인한 눈금 등을 이용하여 계산하고자 하는 측량값을 계산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완충부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완충부(200)는 공기하우징(210), 공기유동부(220), 한 쌍의 공기개폐부(240), 공기링(230) 및 상부하우징(2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공기완충부(200)는 다리판(130)의 상부에 결합되며, 다리판(130)으로부터 가해지는 진동이나 충격을 완화시켜주는 기능을 한다.
상기 공기하우징(210)에는 내부에 공기가 충진될 수 있도록 충진공간(211)이 형성된다. 공기하우징(210)은 탄성이 있는 고무 소재로 이루어지며, 다리판(130)의 상부에 결합된다.
상기 공기유동부(220)는 공기하우징(210)의 상부에 결합되며, 공기하우징(210)과 마찬가지로 탄성이 있는 고무 소재로 이루어진다. 공기유동부(220)의 중앙에는 상하로 공기홀(221)이 관통 형성된다. 이러한 공기홀(221)을 통해 공기유동부(220)의 상부와 공기하우징(210)의 충진공간(211)으로 공기가 유동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공기개폐부(240)는 공기홀(221)의 상단에 결합된다. 공기개폐부(240)는 탄성력을 지니는 고무 소재로 이루어지며, 공기유동부(220)의 상부면에 외팔보 형태로 결합된다.
즉, 공기개폐부(240)는 공기유동부(220)의 상부면에 결합된 부분을 기준으로 상하로 회전 가능하다. 공기개폐부(240)가 하부로 이동하였을 때 공기홀(221)의 상단은 폐쇄되고, 공기개폐부(240)가 상부로 이동하였을 때 공기홀(221)의 상단은 개방된다.
상기 공기개폐부(240)의 하부면 중앙에는 공기홀(221)의 상단 내측벽에 접촉되어 공기개폐부(240)를 지지할 수 있도록 접촉지지단부(241)가 하부를 향해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접촉지지단부(241)에 의해 공기개폐부(240)는 아래로 처지지 않고 공기홀(221)의 상단을 견고하게 폐쇄할 수 있다.
상기 공기링(230)은 공기유동부(220)의 내부에 장착되며 공기홀(221)을 둘러싸도록 결합된다. 공기링(230)은 소정의 무게를 가지는 금속 소재로 이루어지며, 링 형태로 형성된다. 공기링(230)은 공기하우징(210)으로부터 전달된 진동을 흡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상부하우징(250)은 공기유동부(220)의 상부에 결합된다. 상부하우징(250)의 측면에는 다수의 통기공(251)이 형성되며, 이러한 통기공(251)을 통해 공기가 유동될 수 있다.
다리판(130)으로부터 발생한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공기하우징(210)은 진동하고, 전달된 진동에 의해 공기링(230)도 진동된다. 이에 따라 공기유동부(220)가 진동되어 공기개폐부(240)가 개방되며, 도시된 도면에서 점선으로 표현한 것처럼 상부하우징(250)의 통기공(251), 공기홀(221) 및 충진공간(211)을 통해 공기가 유동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공기홀(221)과 공기개폐부(240)를 통해 충진공간(211)의 공기를 유동시킬 수 있으므로 감쇠력을 능동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다리판(130)으로부터 가해지는 진동이 고 주파수이면, 공기하우징(210)의 진동이 커지며 공기링(230)의 진동도 커지고, 이에 따라 공기유동부(220)가 크게 진동되어 공기개폐부(240)가 개방된다.
공기개폐부(240)가 개방되면, 상부하우징(250)의 통기공(251), 공기홀(221) 및 충진공간(211)을 통해 공기가 유동되고, 목표 주파수의 감도가 상향되어 진동이 감쇠된다.
다리판(130)으로부터 가해지는 진동이 저 주파수이면, 공기하우징(210)의 진동이 작아지며 공기링(230)의 진동도 작아지고, 이에 따라 공기유동부(220)의 진동도 작아져서 공기개폐부(240)가 폐쇄된다.
공기개폐부(240)가 폐쇄되면, 충진공간(211) 내부의 공기가 유동되지 못하고, 반공진대역 주파수의 감도가 상향되어 진동이 감쇠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기구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로드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기구(500)는, 높이조절부(300)의 하단에 결합되어 높이조절부(300) 및 레벨기(LA2)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수평회전부(510) 및 수평회전부(510)의 하단에 장착되는 회전제어부(5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수평회전부(510)는, 높이조절부(300)의 하단에 결합되며 상단과 후단이 개방된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회전케이스(511), 회전케이스(511) 내부에 수용되며 상단이 높이조절부(300)의 하단에 결합되고 하단이 회전케이스(511)의 하단을 관통하여 회전제어부(520)에 수용되는 회전로드(512), 회전로드(512)의 측부에 돌출 연장되는 회전연장판(513), 회전케이스(511)의 상단에 형성되며 회전연장판(513)의 상부면과 접촉되는 회전걸림부(511a) 및 회전연장판(513)의 하부면과 회전케이스(511)의 내측 하부면 사이에 배치되는 다수의 회전볼(514)을 포함한다.
상기 회전로드(512)는 회전케이스(511) 및 다른 부품에 대해 상대적인 수평 회전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회전로드(512)의 상단에 결합된 높이조절부(300) 및 레벨기(LA2)도 수평 회전이 가능하다.
상기 회전로드(512)는 전체적으로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회전로드(512)의 측부에는 회전연장판(513)이 외측으로 링 형태로 돌출 연장된다. 회전연장판(513)은 회전걸림부(511a)에 접촉된다.
상기 다수의 회전볼(514)은 회전케이스(511) 내부에 수용되며, 회전로드(512)가 수평 회전할 때 회전케이스(511)와 회전로드(512) 사이의 마찰력을 줄여주어 회전로드(512)가 더욱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레벨기(LA2)의 방향을 전환함에 있어서 레벨기(LA2)를 들어올렸다가 다시 착지시키거나 하지 않고, 레벨기(LA2)를 결합하여 세운 상태에서 그대로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으므로 레벨기의 위치가 변동됨에 따른 측량 오차를 확실하게 배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회전제어부(520)는 수평회전부(510)의 하단에 장착되며, 제어케이스(521), 제어로드(522), 멈춤부(523), 제어스프링(524), 방지부(525), 제어이동부(526), 제어이동케이스(527) 및 제어손잡이(52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어케이스(521)는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회전케이스(511)의 하단에 결합된다. 제어케이스(521)의 상단에는 회전케이스(511)와 연통될 수 있도록 홀이 형성되며, 이러한 홀을 통해 회전로드(512)의 하단이 제어케이스(521)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어로드(522)는 제이케이스 내부에 수용되며, 회전로드(512)와 직교하는 방향(즉,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제어로드(522)의 우측 단부에는 멈춤부(523)가 결합되고, 제어로드(522)의 좌측 단부에는 방지부(525)가 결합된다.
상기 멈춤부(523)는 납작한 판 형태로 형성되며, 제어로드(522)의 좌우 이동에 따라 좌우로 이동 가능하다. 상기 회전로드(512)의 하부에는 다수의 멈춤홈(512a)이 방사형으로 형성되는데, 멈춤부(523)는 이러한 멈춤홈(512a)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어로드(522)가 좌측으로 이동되었을 때 멈춤부(523)는 회전로드(512)의 멈춤홈(512a)에 삽입 수용되고, 제어로드(522)가 우측으로 이동되었을 때 멈춤부(523)는 회전로드(512)의 멈춤홈(512a)으로부터 이탈된다.
상기 멈춤부(523)가 회전로드(512)의 멈춤홈(512a)에 삽입 수용되면, 회전로드(512)는 멈춤부(523)에 가로막혀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하고 제자리에서 고정된다. 멈춤부(523)가 회전로드(512)의 멈춤홈(512a)으로부터 이탈되면 회전로드(512)는 다시 수평 회전 가능하다.
도시된 것처럼 상기 회전로드(512)의 멈춤홈(512a)에는 다수의 멈춤돌기(512b)가 돌출될 수 있다. 다수의 멈춤돌기(512b)는 고무와 같이 탄성이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며, 멈춤홈(512a)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또한, 다수의 멈춤돌기(512b)는 마주보는 멈춤돌기(512b)끼리 소정의 높이 차이를 둘 수 있도록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다수의 멈춤돌기(512b)는 깍지를 낀 손처럼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어 있다.
다수의 멈춤돌기(512b)는 멈춤부(523)가 회전로드(512)의 멈춤홈(512a)에 삽입되었을 때 멈춤부(523)가 멈춤홈(512a)으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고 그 내부에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어스프링(524)은 멈춤부(523)와 회전케이스(511)의 내측면 사이에 결합된다. 제어스프링(524)은 제어로드(522) 및 멈춤부(523)를 좌측으로 밀어줄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기 방지부(525)는 제어케이스(521)의 측부에 형성된 방지홈(521a)에 삽입될 수 있다. 제어로드(522)가 좌측으로 이동되었을 때 방지부(525)는 방지홈(521a)에 삽입되고, 제어로드(522)가 우측으로 이동되었을 때 방지부(525)는 방지홈(521a)으로부터 이탈된다.
상기 방지부(525)의 외측면과 방지홈(521a)의 내측면은 톱니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방지부(525)가 방지홈(521a)에 삽입되었을 때, 제어로드(522) 및 멈춤부(523)는 축 회전 및 상하전후 이동이 불가능하고, 이에 따라 회전로드(512)의 고정 상태를 더욱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이동부(526)는 방지부(525)의 좌측 단부에 결합되며, 삼각형 형태의 단면을 가진다. 상기 제어이동케이스(527)는 제어케이스(521)의 측부에 결합되며 제어이동부(526)가 좌우로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어이동부(526)는 제어이동케이스(527)에 수용되어 좌우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어손잡이(528)는 제어이동케이스(527)의 상부에 결합된다. 제어손잡이(528)는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제어손잡이(528)의 하단은 제어이동부(526)의 상부면에 접촉된다.
사용자가 제어손잡이(528)를 잡고 아래로 힘을 가하면, 제어손잡이(528)의 하단부가 제어이동부(526)의 상부면에 접촉되면서 제어이동부(526)를 밀게되고, 이에 따라 제어이동부(526)는 우측으로 이동된다.
상기 제어이동부(526)가 우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방지부(525)는 방지홈(521a)으로부터 이탈되고, 제어로드(522)는 제어스프링(524)의 탄성력을 이겨내고 우측으로 이동된다.
상기 제어로드(522)가 우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멈춤부(523) 역시 멈춤홈(512a)으로부터 이탈되고, 회전로드(512) 및 그 상부에 결합된 레벨기(LA2)는 멈춤부(523)의 제약 없이 자유롭게 수평 회전될 수 있다.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레벨기(LA2)의 수평 회전이 끝나면, 사용자는 제어손잡이(528)를 놓고, 제어스프링(524)의 탄성력에 따라 제어로드(522)는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제어로드(522)가 좌측으로 이동하면, 멈춤부(523)가 멈춤홈(512a)에 삽입되어 회전로드(512)의 수평 회전이 제한된다. 이때, 방지부(525)는 방지홈(521a)에 삽입되며, 제어이동부(526)는 좌측으로 이동하여 제어손잡이(528)를 위로 들어올리게 된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부의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기 높이조절부(300)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는 하부조절부(310), 하부조절부(310)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되며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중간조절부(320) 및 중간조절부(320)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되며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상부조절부(330)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조절부(310)는 상측에 위치하는 중간조절부(320)보다 굵게 형성되고, 중간조절부(320)는 상측에 위치하는 상부조절부(330)보다 굵게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높이조절부(300)는 3단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유사한 방식으로 2단 또는 4단 이상으로 자유롭게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하부조절부(310)는 내부에 중공(311)이 형성된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하부조절부(310)의 상단 양측에는 케이스단부(312)가 내측으로 돌출 연장된다. 하부조절부(310)의 내부면 하부 양측에는 반구형 케이스돌기(313)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중간조절부(320)는 하부조절부(310)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내부에 중공(311)이 형성된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중간조절부(320)의 하단 양측에는 케이스단부(312)와 접촉될 수 있도록 제1외측하단부(321)가 외측으로 돌출 연장되고, 제1외측하단부(321)에 대향되도록 제1내측하단부(322)가 내측으로 돌출 연장된다. 상기 중간조절부(320)의 상단 양측에는 제1세로단부(323)가 내측으로 돌출 연장된다.
상기 상부조절부(330)는 중간조절부(320)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내부에 중공(311)이 형성된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상부조절부(330)의 하단 양측에는 제1세로단부(323)와 접촉될 수 있도록 제2세로단부(331)가 외측으로 돌출 연장된다.
즉, 상기 중간조절부(320)의 제1외측하단부(321)는 하부조절부(310)의 케이스단부(312)에 접촉될 수 있고, 중간조절부(320)의 제1세로단부(323)는 상부조절부(330)의 제2세로단부(331)에 접촉될 수 있으며, 중간조절부(320)의 제1내측하단부(322)는 상부조절부(330)의 제2세로단부(331)에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간조절부(320)의 제1외측하단부(321)는 중간조절부(320)가 하부로 이동되었을 때 케이스돌기(313)를 타고 넘어 하부조절부(310)의 내부면 하단과 케이스돌기(313) 사이에 위치한다. 이에 따라 중간조절부(320)는 케이스돌기(313)를 타고 넘을 정도의 힘이 가해져야 위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1외측하단부(321)의 좌우방향 길이는 케이스단부(312)의 좌우방향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되고, 제1내측하단부(322) 및 제1세로단부(323)의 좌우방향 길이는 제2세로단부(331)의 좌우방향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상기 하부조절부(310), 중간조절부(320) 및 상부조절부(330)의 중공(311)에는 세로탄성부(340)가 수용된다. 상기 세로탄성부(340)는 상부조절부(330)의 내부면 상단과 하부조절부(310)의 내부면 하단 사이를 연결한다.
상기 상부조절부(330)의 내부면 상단에는 세로와이어(350)가 결합된다. 세로와이어(350)는 일단이 상부조절부(330)의 내부면 상단에 결합되고, 타단은 하부조절부(310)의 하단을 관통하여 외부로 인출된다.
상기 하부조절부(310)의 하단을 관통하여 외부로 인출된 세로와이어(350)는 하부조절부(310)의 하단에 배치된 세로인출부(360)에 결합된다. 한편, 상기 하부조절부(310)의 하단에는 세로인출부(36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인출결합부(370)가 장착된다.
즉, 세로와이어(350)는 일단이 상부조절부(330)의 내부면 상단에 결합되고, 타단이 세로인출부(360)에 결합된다. 사용자가 세로인출부(360)에서 세로와이어(350)를 감으면 상부조절부(330)는 하부로 이동하고, 세로인출부(360)에서 세로와이어(350)를 풀면 상부조절부(330)는 상부로 이동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부의 작동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부조절부(330)는 세로와이어(350)에 의해 당겨져 있으므로 세로탄성부(340)의 탄성력을 이겨내고 하부로 이동되어 있고, 중간조절부(320)도 제1내측하단부(322)가 제2세로단부(331)에 접촉되어 하부로 이동되어 있으므로 중간조절부(320)와 상부조절부(330)는 하부조절부(310) 내부에 수용되어 있다.
사용자가 세로인출부(360)에서 세로와이어(350)를 풀면, 상부조절부(330)가 세로탄성부(340)의 탄성력에 의해 상부로 이동하고, 상부조절부(330)는 하부조절부(310)로부터 인출된다.
이때, 상기 중간조절부(320)의 제1외측하단부(321)는 하부조절부(310)의 내부면 하단과 케이스돌기(313)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우선 상부조절부(330)만 하부조절부(310)로부터 인출되고 중간조절부(320)는 하부조절부(310) 내부에 수용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상부조절부(330)가 상부로 더욱 이동하여 중간조절부(320)의 제1세로단부(323)와 상부조절부(330)의 제2세로단부(331)가 접촉되면, 중간조절부(320)에도 세로탄성부(340)의 탄성력이 가해지고, 중간조절부(320)의 제1외측하단부(321)가 케이스돌기(313)를 타고 넘으며 중간조절부(320)도 하부조절부(310)로부터 인출된다.
중간조절부(320)와 상부조절부(330)가 어느정도 인출되면, 사용자는 세로인출부(360)를 정지시킨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세로인출부(360)로부터 세로와이어(350)가 풀림에 따라 하부조절부(310)로부터 상부조절부(330), 중간조절부(320) 순으로 표척(300)의 길이가 신장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측량 작업을 수행하지 않을 때에는 세로와이어(350)가 세로인출부(360)에 감겨서 고정되어 있으므로 중간조절부(320) 또는 상부조절부(330)가 사용자의 의지와 관계없이 임의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벨조명부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벨조명부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벨조명부(400)는, 레벨기(LA2)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사각링 형태의 조명케이스(410), 조명케이스(410)의 우측면에 장착되는 다수의 조명소켓(420) 및 조명케이스(410)의 상하면에 착탈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다수의 태양전지모듈(430)을 포함한다.
상기 조명소켓(420)에는 조명원이 삽입된다. 조명원은 조명소켓(420)에 돌려 끼우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조명소켓(420)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상태에서 조명케이스(410)에 조립될 수도 있다.
상기 조명케이스(410)는 다시 레벨기(LA2)의 상부측에 놓이는 제1조명케이스(411)와 레벨기(LA2)의 하부측에 놓이는 제2조명케이스(412)로 구분되며, 제1조명케이스(411)와 제2조명케이스(412)의 일측 사이는 조명핀(413)을 매개로 연결되어 상호 회전 가능하다.
상기 제1조명케이스(411)와 제2조명케이스(412)의 타측에는 조명잠금장치(414)가 장착되어 조명케이스(410)를 레벨기(LA2)에 고정시키거나 레벨기(LA2)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레벨조명부(400)를 레벨기(LA2)에 결합함으로써 사용자가 야간에도 손쉽게 측량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측량 작업이 외진 곳에서 실시되어도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조명케이스(411)와 제2조명케이스(412)의 상하면에는 다수의 조명레일(415)이 종방향으로 형성된다. 다수의 조명레일(415)은 평행하게 배치되며, 단면이 'T'자 형태로 형성되어 태양전지모듈(430)이 다수의 조명레일(415) 사이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조명케이스(410) 외부에 삽입되는 태양전지모듈(430)의 수를 사용자가 임의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주변 상황을 고려하여 최적화된 태양에너지 수급 효율을 보일 수 있다.
상기 태양전지모듈(430)은 다수의 조명레일(415) 사이에 삽입될 수 있도록 판 형태로 형성되고, 태양전지모듈(430)의 일측면은 태양전지판(431)으로 형성되고 타측면은 제1조명케이스(411)와 제2조명케이스(412)의 상하면에 접촉되는 조명접촉면(432)으로 형성된다.
상기 태양전지판(431)은 레벨조명부(400)의 각 부품에 전류를 공급한다. 상기 태양전지판(431)은 효율이 뛰어난 플라스틱 기판을 이용한 박막 태양전지 셀을 이용하며, 최대 전압은 11 내지 24V이고, 최대 전력은 80 내지 100W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명접촉면(432)에는 상호 이격된 다수의 자석접촉부(433)가 길이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제1조명케이스(411)와 제2조명케이스(412)의 상하면에 결합되고, 상호 이격된 다수의 자석접촉부(433) 사이는 원호 형상의 조명간격부(434)가 길이방향으로 함몰 형성된다. 상기 제1조명케이스(411)와 제2조명케이스(412)의 외측면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태양전지모듈(430)의 조명접촉면(432)에는 태양전지모듈(430)을 조명케이스(410)에 결합시키는 자석접촉부(433)와 조명간격부(434)가 교대로 형성되며, 자석접촉부(433) 사이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므로 방열 효과가 뛰어나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명소켓(420)과 조명케이스(410)의 우측면 사이에는 열전도피막(422)이 형성된다. 상기 열전도피막(422)은 열 전도성이 뛰어난 소재로 이루어지며, 조명원으로부터 발생된 열을 조명케이스(410)로 전달하여 방열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조명소켓(420)은 좌측 단부의 접착제(421)를 통해 열전도피막(422)에 결합될 수 있으며, 조명소켓(420)의 하부에는 리드선(423)이 연결되어 열전도피막(422)에 결합된다. 상기 열전도피막(422)의 우측면 일측에는 동박패턴(424)이 형성되어 방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조명케이스(410)의 좌측면에는 추가로 방열판을 설치하여 방열 효과를 더욱 극대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조명원에서 발생된 열은 조명소켓(420)의 통해 조명케이스(410)로 바로 전달되는 방식, 리드선(423)을 통해 조명케이스(410)로 전달되는 방식을 이용하여 방열되고, 그리고도 남아있는 열은 열전도피막(422)의 우측면에 결합된 동박패턴(424)을 통해 외기로 방열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2가지 상이한 방식을 통해 신속하게 조명소켓(420)의 열을 방출하고, 남아있는 열은 동박패턴(424)을 통해 빠르게 방출하여 방열 효과를 극대회시키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MA : 측량기기 10 : 지지기구 20 : 제1가로측량기구
30 : 제2가로측량기구 40 : 초음파거리측정기 50 : 표척
60 : 연결기구 70 : 가로지지기구 80 : 조명기구
LA : 레벨기기 LA2 : 레벨기 TA : 휴대용단말기
TA1 : 카메라 TA2 : 디스플레이 TA3 : 제어유닛
200 : 공기완충부 210 : 공기하우징 211 : 충진공간
220 : 공기유동부 221 : 공기홀 230 : 공기링
240 : 공기개폐부 241 : 접촉지지단부 250 : 상부하우징
251 : 통기공 300 : 높이조절부 310 : 하부조절부
311 : 중공 312 : 케이스단부 313 : 케이스돌기
320 : 중간조절부 321 : 제1외측하단부 322 : 제1내측하단부
323 : 제1세로단부 330 : 상부조절부 331 : 제2세로단부
340 : 세로탄성부 350 : 세로와이어 360 : 세로인출부
370 : 인출결합부 400 : 레벨조명부 410 : 조명케이스
411 : 제1조명케이스 412 : 제2조명케이스 413 : 조명핀
414 : 조명잠금장치 415 : 조명레일 420 : 조명소켓
421 : 접착제 422 : 열전도피막 423 : 리드선
424 : 동박패턴 430 : 태양전지모듈 431 : 태양전지판
432 : 조명접촉면 433 : 자석접촉부 434 : 조명간격부
500 : 회전기구 510 : 수평회전부 511 : 회전케이스
511a : 회전걸림부 512 : 회전로드 512a : 멈춤홈
512b : 멈춤돌기 513 : 회전연장판 514 : 회전볼
520 : 회전제어부 521 : 제어케이스 521a : 방지홈
522 : 제어로드 523 : 멈춤부 524 : 제어스프링
525 : 방지부 526 : 제어이동부 527 : 제어이동케이스
528 : 제어손잡이

Claims (1)

  1. 지하시설물이 매설된 깊이와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측량기기; 상기 측량기기에 구비된 표척을 관측할 수 있는 레벨기기; 및 상기 레벨기기와 통신하여 관측값을 수신하며 측량기기에 구비된 조명기구를 원격 제어할 수 있는 휴대용단말기; 를 포함하되,
    상기 측량기기는,
    지하시설물이 매설된 굴착홈에 직립 배치되는 지지기구; 지지기구의 측부에 직교하여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가로측량기구; 지지기구의 측부에 직교하여 횡방향으로 설치되며 제1가로측량기구보다 상부에 배치되는 제2가로측량기구; 지지기구의 내부에 설치되며 제1가로측량기구 또는 제2가로측량기구까지의 거리를 측정하여 측정 거리값을 무선 송출하는 초음파거리측정기; 제1가로측량기구의 말단 또는 제2가로측량기구의 말단에 삽탈 가능하게 삽입되는 표척; 굴착홈의 상단에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가로지지기구; 표척과 가로지지기구가 삽탈 가능하게 삽입되는 연결기구; 및 표척의 상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조명기구; 를 포함하고,
    상기 레벨기기는,
    다수의 지지다리가 결합되는 다리판; 다리판의 상부에 결합되는 공기완충부; 공기완충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회전기구; 회전기구의 상부에 결합되는 높이조절부; 높이조절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레벨기; 및 레벨기의 외측을 감싸도록 결합되는 레벨조명부; 를 포함하며,
    상기 휴대용단말기는,
    카메라: 디스플레이; 및 카메라와 디스플레이를 작동 제어하고, 레벨기로부터의 시준값 및 초음파거리측정기로부터의 측정 거리값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에 나타내며, 조명기구를 원격 제어하는 제어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기구는,
    높이조절부의 하단에 결합되어 레벨기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수평회전부; 및 수평회전부의 하단에 장착되는 회전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회전부는,
    높이조절부의 하단에 결합되며 상단과 후단이 개방된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회전케이스; 회전케이스 내부에 수용되며 상단이 높이조절부의 하단에 결합되고 하단이 회전케이스의 하단을 관통하여 회전제어부에 수용되는 회전로드; 회전로드의 측부에 돌출 연장되는 회전연장판; 회전케이스의 상단에 형성되며 회전연장판의 상부면과 접촉되는 회전걸림부; 및 회전연장판의 하부면과 회전케이스의 내측 하부면 사이에 배치되는 다수의 회전볼; 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제어부는,
    회전케이스의 하단에 결합되며 회전로드의 하단이 수용되는 제어케이스; 제어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며 회전로드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어로드; 제어로드의 일단에 결합되며 회전로드의 하부에 형성된 다수의 멈춤홈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될 수 있는 멈춤부; 멈춤부와 회전케이스의 내측면 사이에 결합되는 제어스프링; 제어로드의 타단에 결합되며 제어케이스의 측부에 형성된 방지홈의 삽입될 수 있는 방지부; 방지부의 일측에 결합되며 삼각형 형태의 단면을 가지는 제어이동부; 제어케이스의 측부에 결합되며 제어이동부가 좌우로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제어이동케이스; 및 제어이동케이스의 상부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하단이 제어이동부의 상부면에 접촉되는 제어손잡이; 를 포함하며,
    상기 높이조절부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는 하부조절부; 하부조절부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되며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중간조절부; 및 중간조절부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되며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상부조절부; 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조절부, 중간조절부, 상부조절부의 중공에는 세로탄성부가 수용되며, 세로탄성부는 상부조절부의 내부면 끝단과 하부조절부의 내부면 끝단 사이를 연결하고, 상부조절부의 내부면 끝단에는 세로와이어의 일단이 결합되고, 세로와이어의 타단은 하부조절부의 끝단을 관통하여 외부로 인출되며, 하부조절부의 하단에는 인출된 와이어가 감기거나 풀릴 수 있도록 세로인출부가 결합되고,
    상기 세로인출부로부터 세로와이어가 풀림에 따라 상부조절부-중간조절부 순으로 높이조절부의 길이가 신장되며,
    상기 레벨조명부는,
    레벨기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사각링 형태의 조명케이스; 조명케이스의 우측면에 장착되는 다수의 조명소켓; 및 조명케이스의 상하면에 착탈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다수의 태양전지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조명케이스는 레벨기의 상부측에 놓이는 제1조명케이스와 레벨기의 하부측에 놓이는 제2조명케이스로 구분되며, 제1조명케이스와 제2조명케이스의 일측 사이는 조명핀을 매개로 연결되어 상호 회전 가능하고, 제1조명케이스와 제2조명케이스의 타측에는 조명잠금장치가 장착되어 조명케이스를 레벨기에 고정시키거나 레벨기로부터 분리할 수 있으며, 제1조명케이스와 제2조명케이스의 상하면에는 다수의 조명레일이 종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태양전지모듈은 다수의 조명레일 사이에 삽입될 수 있도록 판 형태로 형성되고, 태양전지모듈의 일측면은 태양전지판으로 형성되고 타측면은 제1조명케이스와 제2조명케이스의 상하면에 접촉되는 조명접촉면으로 형성되며, 조명접촉면에는 상호 이격된 다수의 자석접촉부가 길이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제1조명케이스와 제2조명케이스의 상하면에 결합되고, 상호 이격된 다수의 자석접촉부 사이는 원호 형상의 조명간격부가 길이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시설물 도면 데이터를 정확하게 구축할 수 있는 정밀 지하시설물 측량시스템.
KR1020210076630A 2021-06-14 2021-06-14 지하시설물 도면 데이터를 정확하게 구축할 수 있는 정밀 지하시설물 측량시스템 KR1023052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6630A KR102305285B1 (ko) 2021-06-14 2021-06-14 지하시설물 도면 데이터를 정확하게 구축할 수 있는 정밀 지하시설물 측량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6630A KR102305285B1 (ko) 2021-06-14 2021-06-14 지하시설물 도면 데이터를 정확하게 구축할 수 있는 정밀 지하시설물 측량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5285B1 true KR102305285B1 (ko) 2021-09-27

Family

ID=77925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6630A KR102305285B1 (ko) 2021-06-14 2021-06-14 지하시설물 도면 데이터를 정확하게 구축할 수 있는 정밀 지하시설물 측량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528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746773A1 (en) * 1994-02-21 1996-12-11 Carl Pinsky Detection of electromagnetic fields
WO2012021898A2 (en) * 2010-08-13 2012-02-16 Certusview Technologies, Llc Methods, apparatus and systems for surface type detection in connection with locate and marking operations
WO2020189867A1 (ko) * 2019-03-21 2020-09-24 주식회사 효림 실시간 지중 휘발성유기화합물의 누출감지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746773A1 (en) * 1994-02-21 1996-12-11 Carl Pinsky Detection of electromagnetic fields
WO2012021898A2 (en) * 2010-08-13 2012-02-16 Certusview Technologies, Llc Methods, apparatus and systems for surface type detection in connection with locate and marking operations
WO2020189867A1 (ko) * 2019-03-21 2020-09-24 주식회사 효림 실시간 지중 휘발성유기화합물의 누출감지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5283B1 (ko) 실시간으로 지하시설물의 위치를 측량할 수 있는 지하시설물 측량시스템
KR101409187B1 (ko) 지표면의 수준측량과 지형 간 거리를 측량하는 측지용 삼각대의 지면충격 보호장치
KR102358114B1 (ko) 작업성이 향상되고 설치가 용이한 지하시설물 측량장치
KR102304553B1 (ko) 수준 측량용 표척의 안정적인 높이 조절을 위한 측지측량장치
KR102305284B1 (ko) 지하시설물의 위치를 정확하게 측량할 수 있는 지하시설물 측량시스템
CN110966996A (zh) 一种用于工程测量的对中整平装置
JP2018518679A (ja) 高低調節が可能なレーザーレベル装置
KR102305285B1 (ko) 지하시설물 도면 데이터를 정확하게 구축할 수 있는 정밀 지하시설물 측량시스템
CN208269891U (zh) 一种房屋倾斜度激光检测装置
CN214008673U (zh) 一种土地测绘用测绘仪定位装置
CN114001782A (zh) 一种地质灾害监测装置
CN203772265U (zh) 一种倾斜检测仪
KR101403476B1 (ko) 통합기준점 및 국가수준점의 수준 측량용 높낮이 조절 장치
KR102527609B1 (ko) 경사면에 설치사용되는 측지측량용 삼각대시스템
US20200116485A1 (en) Laser plumb bob and level aid
CN104563080A (zh) 光学测斜装置
CN104457815A (zh) 便携式手动全方位多角度观测架
KR102336835B1 (ko) 국가기준점을 이용하는 측량 작업의 정밀도를 현저히 향상시킨 측지측량시스템
KR102519452B1 (ko) Gis 기반의 지형지물 측량데이터 정밀 관측을 위한 측지측량시스템
KR102353088B1 (ko) 스타프 고정장치를 구비하여 간편하게 고정 및 분리가 가능한 지하시설물 측량장치
KR102319288B1 (ko) 수준 측량을 위한 표척의 보조연결장치를 구비한 측지측량장치
KR102208395B1 (ko) 지하시설물 데이터 구축이 가능한 정밀 지하시설물 측량시스템
KR101698798B1 (ko) 기준점 측량을 위한 관측지역의 gps 관측시스템
KR101484517B1 (ko) 지하설비 관측을 기초로 한 지피에스 연계형 지도제작용 지하정밀 측지시스템
KR102459673B1 (ko) 오차값을 최소화한 측지측량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는 측지측량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