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8114B1 - 작업성이 향상되고 설치가 용이한 지하시설물 측량장치 - Google Patents
작업성이 향상되고 설치가 용이한 지하시설물 측량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58114B1 KR102358114B1 KR1020210077407A KR20210077407A KR102358114B1 KR 102358114 B1 KR102358114 B1 KR 102358114B1 KR 1020210077407 A KR1020210077407 A KR 1020210077407A KR 20210077407 A KR20210077407 A KR 20210077407A KR 102358114 B1 KR102358114 B1 KR 10235811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ghting
- air
- case
- coupled
- pole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1678 irradi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9412 basement excav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9000010408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17525 heat dissip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889 copper f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WABPQHHGFIMREM-UHFFFAOYSA-N lead(0) Chemical compound [Pb] WABPQHHGFIMRE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945 sensi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016 da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9 marb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5 sag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G01C15/002—Active optical surveying mea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G01C15/02—Means for marking measuring points
- G01C15/06—Surveyors' staffs; Movable marker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5/00—Measuring height; Measuring distances transverse to line of sight; Levelling between separated points; Surveyors' level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28—Structurally-combined illuminating devic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30—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an instrument;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a set of instrument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8—Energy storage means, e.g. batteri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V modul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시설물 측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하시설물이 매설된 깊이와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측량기기 및 측량기기에 인접 설치되어 관측할 수 있는 레벨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작업 상황에 따라 편리하게 측량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폴대의 무게 중심이 하방에 위치하여 폴대가 보다 안정적으로 직립 설치될 수 있는 작업성이 향상되고 설치가 용이한 지하시설물 측량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지하시설물 측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성이 향상되고 설치가 용이한 지하시설물 측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 및 생활, 문화 수준의 향상 등 도시화가 급속하게 진행되면서 지중에는 상하수도관이나 가스관, 전기 및 통신선로, 난방관, 송유관 등과 같은 수많은 지하시설물들이 급증하였으며, 지중에 매설되는 지하시설물의 관로 종류 또한 다양하게 설치되어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지하시설물들은 도시의 미관과 안전을 이유로 지하에 매설되고 있는데, 다양한 유형을 갖는 지하시설물의 보수 및 관리를 위해서는 지하시설물의 위치정보가 정확히 확인되어야 하고 기록에 의해 유지 관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특히, 최근에는 상하수도 신규 매설 및 노후관 교체시 발생한 DB 갱신을 실측을 통하여 데이터의 최신성을 확보하고 있다. 여기서, 지하시설물의 실측이라 함은 공사가 완료되기 전 시공시에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상태에서 직접측량(이격거리 및 심도 측량)하는 것을 말한다.
지하시설물의 매설 깊이(심도) 측량을 위해서는 표척수가 굴착홈에 표척을 세우고, 기계수가 레벨기를 이용하여 심도를 측정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이때, 표척은 통상적인 수준측량용 표척이 사용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지하시설물 또는 지하시설물이 매설된 지점을 측량할 시, 직립되어야할 측량용 폴대가 쉽게 기울어져 측량 작업이 불편하고, 정확한 측량 작업을 수행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위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해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작업 상황에 따라 편리하게 측량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작업성이 향상되고 설치가 용이한 지하시설물 측량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폴대의 무게 중심이 하방에 위치하여 폴대가 보다 안정적으로 직립 설치될 수 있는 작업성이 향상되고 설치가 용이한 지하시설물 측량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본 발명의 기재로부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지하시설물이 매설된 깊이와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측량기기; 및 측량기기에 인접 설치되어 관측할 수 있는 레벨기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업성이 향상되고 설치가 용이한 지하시설물 측량장치에서 상기 측량기기는, 길이조절 가능한 폴대; 폴대의 하단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는 너트부, 너트부의 하측에 구비되어 하방으로 갈수록 너트부에서 외방으로 멀어지게 구비되되, 너트부의 둘레를 따라 구비되는 다수의 첨단부 및 다수의 첨단부 사이에 설치되고 첨단부의 하단 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무게추를 갖춘 고정기구; 폴대의 상단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GPS측량기; GPS측량기보다 하방에 위치하게 설치되되, 폴대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입출력기케이스; 입출력기케이스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GPS측량기와 통신하는 입출력기; 및 폴대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고 폴대보호기구의 중앙부에 구비되는 삽입부, 라운드 형상을 이루어 폴대보호기구의 전측에 형성되는 돌부 및 수직면 형상을 이루어 폴대보호기구의 후측에 형성되는 면접촉부를 갖춘 폴대보호기구; 를 포함하고, 상기 폴대보호기구는, 폴대보호기구를 측방에서 관통하여 폴대보호기구의 삽입부에 삽입된 폴대를 가압하되, 폴대보호기구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어 폴대를 가압하는 가압체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업성이 향상되고 설치가 용이한 지하시설물 측량장치에서 상기 레벨기기는, 다수의 지지다리가 결합되는 다리판; 다리판의 상부에 결합되는 다수의 수평조절부; 수평조절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수평판; 수평판의 상부에 결합되는 공기완충부; 공기완충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높이조절부; 높이조절부의 외측을 감싸도록 결합되며 빛을 조사하는 조명기구; 및 높이조절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레벨기;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업성이 향상되고 설치가 용이한 지하시설물 측량장치에서 상기 공기완충부는, 내부에 공기가 충진될 수 있도록 충진공간이 형성되는 공기하우징; 공기하우징의 상부에 결합되며 중앙에 상하로 공기홀이 형성되는 공기유동부; 공기홀의 상단에 결합되며 탄성력을 지니는 한 쌍의 공기개폐부; 공기유동부의 내부에 장착되며 공기홀을 둘러싸도록 결합되는 링 형태의 공기링; 및 공기유동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하우징; 을 포함하며, 상기 공기하우징과 공기유동부는 탄성이 있는 고무 소재로 이루어지고, 공기링은 금속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부하우징의 측면에는 다수의 통기공이 형성되고, 공기개폐부의 하단에는 공기홀의 상단 내측벽에 접촉되어 공기개폐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접촉지지단부가 하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며, 상기 공기하우징으로부터 전달된 진동에 의해 공기링은 진동되고, 이에 따라 공기유동부가 진동되어 공기개폐부가 개방되며, 상부하우징의 통기공, 공기홀 및 충진공간을 통해 공기가 유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업성이 향상되고 설치가 용이한 지하시설물 측량장치에서 상기 높이조절부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하부척대; 하부척대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되며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중간척대; 및 중간척대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되며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상부척대; 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척대, 중간척대, 상부척대의 중공에는 세로탄성부가 수용되며, 세로탄성부는 상부척대의 내부면 끝단과 하부척대의 내부면 끝단 사이를 연결하고, 상부척대의 내부면 끝단에는 세로와이어의 일단이 결합되고, 세로와이어의 타단은 하부척대의 끝단을 관통하여 외부로 인출되며, 하부척대의 하단에는 인출된 와이어가 감기거나 풀릴 수 있도록 세로인출부가 결합되고, 상기 세로인출부로부터 세로와이어가 풀림에 따라 상부척대-중간척대 순으로 표척의 길이가 신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업성이 향상되고 설치가 용이한 지하시설물 측량장치에서 상기 조명기구는, 높이조절부의 하부 외측면에 결합되는 사각링 형태의 조명케이스; 조명케이스의 상부면에 장착되는 다수의 조명소켓; 및 조명케이스의 외측면에 착탈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다수의 태양전지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조명케이스는 높이조절부의 일측에 놓이는 제1조명케이스와 높이조절부의 타측에 놓이는 제2조명케이스로 구분되며, 제1조명케이스와 제2조명케이스의 일측 사이는 조명핀을 매개로 연결되어 상호 회전 가능하고, 제1조명케이스와 제2조명케이스의 타측에는 조명잠금장치가 장착되어 조명케이스를 높이조절부의 하부에 고정시키거나 높이조절부로부터 분리할 수 있으며, 제1조명케이스와 제2조명케이스의 외측면에는 다수의 조명레일이 종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태양전지모듈은 다수의 조명레일 사이에 삽입될 수 있도록 판 형태로 형성되고, 태양전지모듈의 일측면은 태양전지판으로 형성되고 타측면은 제1조명케이스와 제2조명케이스의 외측면에 접촉되는 조명접촉면으로 형성되며, 조명접촉면에는 상호 이격된 다수의 자석접촉부가 종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제1조명케이스와 제2조명케이스의 외측면에 결합되고, 상호 이격된 다수의 자석접촉부 사이는 원호 형상의 조명간격부가 종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이미 배치된 지하시설물을 측량할 시에는 고정기구를 폴대에서 분리하여 측량 작업을 수행하고, 지하시설물이 배치될 위치 또는 지하시설물이 매설된 위치를 측량할 시에는 폴대에 고정기구를 결합하여 폴대가 지면에 안정적으로 직립 배치되도록 한 후 측량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작업 상황에 따라 편리하게 측량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기구를 통해 폴대를 직립시킬 시, 고정기구의 무게추를 통해 폴대의 무게 중심이 하방에 위치하게 하여, 폴대가 보다 안정적으로 직립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기구가 폴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고정기구 손상시 교체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폴대를 직립 배치하기 위해 브라켓, 가로바 등의 구성을 통해 폴대를 고정할 시, 폴대의 표면의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폴대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작업성이 향상되고 설치가 용이한 지하시설물 측량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량기기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기구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하시설물 위에 측량기기가 배치된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측량기기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대보호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따른 폴대보호기구의 다른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측량기기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 및 고정볼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대, 폴대보호기구, 브라켓 및 고정볼트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평조절부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완충부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부의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량기기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기구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하시설물 위에 측량기기가 배치된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측량기기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대보호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따른 폴대보호기구의 다른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측량기기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 및 고정볼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대, 폴대보호기구, 브라켓 및 고정볼트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평조절부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완충부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부의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작업성이 향상되고 설치가 용이한 지하시설물 측량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량기기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기구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하시설물 측량장치는 지하시설물이 매설된 깊이와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측량기기(1) 및 측량기기(1)에 인접 설치되어 관측할 수 있는 레벨기기(1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측량기기(1)는 폴대(10), 고정기구(20), GPS측량기(30), 입출력기케이스(40) 및 입출력기(50)를 포함한다.
상기 레벨기기(100)는 다리판(120), 다수의 수평조절부(500), 공기완충부(200), 높이조절부(300), 조명기구(400) 및 레벨기(140)를 포함한다. 상기 레벨기기(100)의 구체적인 구성은 아래에서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폴대(10)는 상하로 긴 원형 바 형상을 이루어, 길이조절 가능하게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폴대(10)는 하단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폴대(10)는 제1폴대(11)와, 제1폴대(11)의 상측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제2폴대(12)로 구성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하다. 그리고 폴대(10)는 제1폴대(11)와 제2폴대(12) 간의 연결 부분에는 제1폴대(11)와 제2폴대(12)를 서로 고정하는 고정체(13)가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체(13)는 볼트를 이용해 폴대와 폴대 간을 고정하는 이미 널리 공지된 기구로,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상기 고정기구(20)는 너트부(21)와, 첨단부(22) 및, 무게추(23)를 갖추고서, 폴대(10)의 하단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너트부(21)는 고정기구(20)의 상측에 구비되어, 폴대(10)의 하단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된다.
상기 첨단부(22)는 너트부(21)의 하측에 구비되어 하방으로 갈수록 너트부(21)에서 외방으로 멀어지게 구비되되, 다수 개가 너트부(21)의 둘레를 따라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첨단부(22)는 너트부(21)에 용접을 통해 결합되지만, 첨단부(22)와 너트부(21)의 결합은 공지된 다양한 결합방식을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첨단부(22)는 서로 120°의 이격 간격을 갖도록 3개가 구비된다.
상기 무게추(23)는 다수의 첨단부(22) 사이에 배치되고, 첨단부(22)의 하단 보다 상방에 위치한다. 본 실시예에서 무게추(23)는 구형을 이루지만, 그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고정기구(20)는 폴대(10)를 지면에 직립하여 설치할 시, 고정기구(20)의 다수의 첨단부(22)가 균형을 이루면서 지면에 박혀, 폴대(10)를 지면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고정기구(20)는 무게추(23)를 통해 폴대(10)의 무게 중심이 하방에 위치하게 하여 폴대(10)가 보다 안정적으로 직립되도록 한다. 그리고 고정기구(20)는 폴대(1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잦은 사용으로 인해 고정기구(20)의 첨단부(22)가 손상될 시, 쉽게 교체가 가능하다.
또한 고정기구(20)는 바닥면이 대리석 같은 재질로 이루어져, 손상을 입히면 안되는 측량 위치에서는, 고정기구(20)를 폴대(10)로부터 분리하여 측량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다양한 현장 상황에 맞게 활용하여 측량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GPS측량기(30)는 폴대(10)의 상단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GPS측량기(30)는 제2폴대(12)의 상단에 설치되어, 현재 자기 위치를 측량한다.
상기 입출력기케이스(40)는 GPS측량기(30)보다 하방에 위치하게 설치되되, 폴대(10)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입출력기케이스(40)는 폴대(10)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체(41)와, 연결체(41)를 폴대(10)에 고정하는 고정체(42)를 갖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체(42)는 볼트 타입으로 연결체(41)를 폴대(10)에 고정하는 이미 널리 공지된 기구로,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입출력케이스(40)에 방위각 표시기 등 지하시설물 측량시 필요한 구성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입출력기(50)는 입출력기케이스(4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GPS측량기(30)와 통신한다. 본 실시예에서 입출력기(50)는 GPS측량기(3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GPS측량기(30)에 제어신호를 입력하거나 GPS측량기(30)의 작동상태를 나타내고, GPS측량기(30)로부터 획득한 다양한 좌표 데이터의 연산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 입출력기(50)는 태블릿 PC 등 휴대용 통신 단말기를 활용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하시설물 위에 측량기기가 배치된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지하시설물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지면을 굴착하여 굴착홈(DG)을 형성한다. 그리고 굴착홈(DG) 내에서 지하시설물이 설치될 위치를 측량(또는 지하시설물이 매설된 지점을 측량)한다.
이때, 도 1과 같이 굴착홈(DG)의 상측에는 사각 바 형상의 가로바(BB; 가로바로 스타프를 사용할 수도 있음)가 배치되고, 브라켓(BR)이 가로바(BB)에 삽입 안착되며, 폴대(10)가 상하로 배치되게 브라켓(BR)에 삽입되되 가로바(BB)와 맞대어지도록 삽입된다. 그리고 브라켓(BR)에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가로바(BB)를 가압하는 고정볼트를 통해 폴대(10)의 위치가 고정된다.
여기서, 폴대(10)를 지면에 박을 시, 고정기구(20)의 첨단부(22)가 지면에 안정적으로 박혀, 폴대(10)를 직립 배치할 시 매우 용이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폴대(10)를 가로바(BB)와 브라켓(BR)과 고정볼트를 통해 직립 배치하여 GPS측량기(30)를 설치하였지만, 고정기구(20)의 첨단부(22)을 굴착홈 지면에 충분히 안정적으로 박히게 하면 가로바(BB)와 브라켓(BR)과 고정볼트의 구성없이도 폴대(10)를 안정적으로 직립배치하여 GPS측량기(30)를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GPS측량기(30)가 설치되면, 해당 위치에 대한 GPS측량을 수행하여, 지하시설물에 관련한 측량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 4와 같이 지하시설물(UP)이 설치된 상태에서 지하시설물(UP)의 위치를 측량할 시, 폴대(10)에서 고정기구(20)를 분리한 후, 도 4와같이 GPS측량기(30)를 설치하여, 지하시설물 측량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측량기기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대보호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에 따른 폴대보호기구의 다른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구성에 일부 구성이 부가된다.
본 실시예에서 측량기기는 도 6과 같이 상기 폴대(10)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폴대보호기구(60)를 더 포함한다.
상기 폴대보호기구(60)는 폴대(10)의 재질보다 연질의 이동체(61)와, 폴대(10)의 재질보다 연질의 가압체(62)를 갖춘다.
상기 이동체(61)는 상기 폴대(10)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고 폴대보호기구(60)의 중앙부에 구비되는 삽입부(61a)와, 라운드 형상을 이루어 폴대보호기구(60)의 전측에 형성되는 돌부(61b) 및, 수직면 형상을 이루어 폴대보호기구(60)의 후측에 형성되는 면접촉부(61c)를 갖춘다. 본 실시예에서 이동체(61)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압체(62)는 이동체(61)를 측방에서 관통하여 삽입부(61a)에 삽입된 폴대(10)를 가압하되, 이동체(61)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어, 폴대(10)를 가압한다. 본 실시예에서 가압체(62)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폴대보호기구(60)는 도 7과 같이 상기 이동체(61)로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동체(61)는 탄성을 가지고서 폴대(10)의 재질보다 연질로 이루어져, 폴대(10)에 상하로 이동가능하면서 고정성을 갖는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측량기기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 및 고정볼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대, 폴대보호기구, 브라켓 및 고정볼트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지하시설물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지면을 굴착하여 굴착홈(DG)을 형성한다. 그리고 굴착홈(DG) 내에서 지하시설물이 설치될 위치를 측량(또는 지하시설물이 매설된 지점을 측량)한다.
이때, 도 8과 같이 굴착홈(DG)의 상측에는 가로바(BB)가 배치되고, 브라켓(BR)이 가로바(BB)에 삽입 안착되며, 폴대(10)가 상하로 배치되게 브라켓(BR)에 삽입되되 가로바(BB)와 맞대어지도록 삽입된다. 그리고 브라켓(BR)에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가로바(BB)를 가압하는 고정볼트(FB)를 통해 폴대(10)의 위치가 고정된다.
여기서, 브라켓(BR)과 본 실시예의 상호 관계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브라켓(BR)은 도 9와 같이 제1브라켓(BR1)과 제2브라켓(BR2)과 제3브라켓(BR3)이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ㄷ'자 형상을 이룬다. 그리고 제1브라켓(BR1)의 내측에는 제3브라켓(BR3)을 향해 개구된 라운드부(BR1a)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상기 브라켓(BR)은 제1브라켓(BR1)의 라운드부(BR1a)에 도 10과 같이 폴대(10)에 삽입된 폴대보호기구(60)의 돌부(61b)가 맞닿고, 폴대보호기구(60)의 후방에 가로바(BB)가 위치하며, 제3브라켓(BR3)를 관통하는 고정볼트(FB)를 통해 가로바(BB)가 가압되어, 폴대(10)가 안정적으로 직립 배치된다. 이때 폴대보호기구(60)는 가압체(62)에 의해 위치 고정이 이루어지며, 가압체(62)가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져 폴대(50)의 손상이 최소화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의 폴대보호기구(60)의 돌부(61b)는 제1브라켓(BR1)의 라운드부(BR1a)에 안착되어 폴대(10)가 안정적으로 직립 위치를 유지하도록 하고, 폴대보호기구(60)의 면접촉부(61c)는 가로바(BB)가 고정볼트(FB)에 의해 가압될 시 가로바(BB)가 폴대보호기구(60)의 면접촉부(61c)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폴대(10)가 안정적으로 직립 위치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 폴대보호기구(60)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면서 폴대(10)와 브라켓(BR), 가로바(BB)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여, 폴대(10)의 표면이 브라켓(BR) 및 가로바(BB)에 의해 손상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폴대보호기구(60)가 이동체(61)로만 이루어지고, 상기 이동체(61)가 탄성을 갖고서 폴대(10)의 재질보다 연질로 이루지면, 별도의 가압체(62)가 구비되지 않더라도, 폴대보호기구(60)의 상하 이동 및 고정성을 확보할 수 있어, 폴대(10)에 손상을 가하지 않으면서, 폴대(10)의 표면이 브라켓(BR) 및 가로바(BB)에 의해 손상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평조절부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레벨기기(100)는 다수의 지지다리(110)가 결합되는 다리판(120), 다리판(120)의 상부에 결합되는 다수의 수평조절부(500), 수평조절부(500)의 상부에 결합되는 수평판(130), 수평판(130)의 상부에 결합되는 공기완충부(200), 공기완충부(200)의 상부에 결합되는 높이조절부(300), 높이조절부(300)의 외측을 감싸도록 결합되며 빛을 조사하는 조명기구(400) 및 높이조절부(300)의 상부에 결합되는 레벨기(140)를 포함한다.
상기 레벨기(140)는 측량기기(1)를 시준하고 시준값을 무선 송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측량기기를 시준하여 측량에 사용되는 기기면 레벨기 대신에 다양한 측량용 기기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수평조절부(500)는,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의 높낮이케이스(510), 높낮이케이스(510)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수용되며 측면에 다수의 고정홈(521)이 형성되는 높낮이로드(520) 및 높낮이케이스(510)의 상단에 결합되며 다수의 고정홈(521)으로 진입 가능한 고정로드(532)를 구비하는 높낮이고정부(5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높낮이케이스(510)는 다리판(120)의 상면에 놓이며, 내부에 높낮이스프링(511)이 수용된다. 높낮이스프링(511)은 높낮이로드(520)의 하단과 높낮이케이스(510)의 내측 하단 사이를 연결하며, 높낮이로드(520)가 상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기 높낮이로드(520)는 높낮이케이스(510)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높낮이로드(520)의 상하 이동에 따라 그 상부에 결합된 수평판(130)의 높낮이도 가변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수평판(130)을 수평으로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높낮이고정부(530)는, 높낮이케이스(510)의 상단에 결합되는 고정케이스(531), 고정케이스(531)에 좌우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수용되며 단부가 다수의 고정홈(521)에 진입할 수 있는 고정로드(532), 고정케이스(531)의 내부에 수용되며 고정로드(532)의 우단과 고정케이스(531)의 내측 우단 사이를 연결하는 고정스프링(533) 및 고정케이스(531)의 상부에 장착되며 고정로드(532)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는 고정제한부(5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케이스(531)는 내부가 비어있으며, 고정로드(532)를 수용할 수 있다. 고정케이스(531)의 상부면에는 후술되는 고정제한부(534)의 제한로드(538)가 진입할 수 있도록 제한홀(531a)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로드(532)는 고정케이스(531)에 좌우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고정로드(532)의 단부는 쐐기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고정로드(532)의 단부가 쐐기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고정로드(532)는 높낮이로드(520)에 형성된 다수의 고정홈(521)을 타고 넘을 수 있다.
즉, 높낮이로드(520)가 상하로 이동할 때, 고정로드(532)는 고정홈(521)이 위치한 부분에서는 좌측으로 이동하고, 고정홈(521)이 위치하지 않은 부분에서는 높낮이로드(520)의 외측면에 접촉되어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고정스프링(533)에 의해 고정로드(532)는 좌우로 이동하였다가 원래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고정로드(532)의 상부면에는 고정케이스(531)의 제한홀(531a)에 대응하는 위치에 로드홈(532a)이 형성된다. 이러한 로드홈(532a) 역시 후술되는 고정제한부(534)의 제한로드(538)가 진입할 수 있다.
상기 고정제한부(534)는, 고정케이스(531)의 상부면에 결합되는 제한판(535), 제한판(535)의 상단에 결합되는 한 쌍의 제한스프링(536), 제한스프링(536)의 하단에 연결되는 링 형태의 제한이동부(537) 및 제한이동부(537)의 하단에 결합되는 제한로드(53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한 쌍의 제한스프링(536)은 제한이동부(537) 및 제한로드(538)가 하부로 이동될 수 있도록 탄성력을 가한다. 상기 제한로드(538)는 고정케이스(531)의 제한홀(531a) 및 고정로드(532)의 로드홈(532a)에 진입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평조절부(500)의 수평 조절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제한이동부(537)가 한 쌍의 제한스프링(536)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상부로 이동된다. 제한이동부(537)의 이동에 따라 제한로드(538) 역시 제한홀(531a) 및 로드홈(532a)으로부터 이탈되고, 고정로드(532)는 자유롭게 좌우로 움직일 수 있게 된다.
그 다음, 높낮이로드(520)를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높낮이로드(520)가 높낮이케이스(510)에 삽입되는 정도를 결정한다. 이때, 높낮이스프링(511)은 높낮이로드(520)가 상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기 높낮이로드(520)가 상하로 이동될 때 고정로드(532)는 다수의 고정홈(521)을 타고 넘을 수 있으며, 고정홈(521)이 위치한 부분에서는 좌측으로 이동하고, 고정홈(521)이 위치하지 않은 부분에서는 높낮이로드(520)의 외측면에 접촉되어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높낮이로드(520)의 높낮이가 결정되면, 제한이동부(537)를 놓아 제한스프링(536)의 탄성력에 의해 제한로드(538)가 하부로 이동되도록 하고, 제한로드(538)의 하단은 제한홀(531a) 및 로드홈(532a)에 삽입되어 고정로드(532)가 더 이상 이동되지 않도록 한다.
이에 따라 수평판(130)은 더 이상 상하로 움직이지 않고 높낮이가 고정되며, 다수의 수평조절부(500)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수평판(130)을 수평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완충부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완충부(200)는 공기하우징(210), 공기유동부(220), 한 쌍의 공기개폐부(240), 공기링(230) 및 상부하우징(2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공기완충부(200)는 수평판(130)의 상부에 결합되며, 수평판(130)으로부터 가해지는 진동이나 충격을 완화시켜주는 기능을 한다.
상기 공기하우징(210)에는 내부에 공기가 충진될 수 있도록 충진공간(211)이 형성된다. 공기하우징(210)은 탄성이 있는 고무 소재로 이루어지며, 수평판(130)의 상부에 배치된다.
상기 공기유동부(220)는 공기하우징(210)의 상부에 결합되며, 공기하우징(210)과 마찬가지로 탄성이 있는 고무 소재로 이루어진다. 공기유동부(220)의 중앙에는 상하로 공기홀(221)이 관통 형성된다. 이러한 공기홀(221)을 통해 공기유동부(220)의 상부와 공기하우징(210)의 충진공간(211)으로 공기가 유동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공기개폐부(240)는 공기홀(221)의 상단에 결합된다. 공기개폐부(240)는 탄성력을 지니는 고무 소재로 이루어지며, 공기유동부(220)의 상부면에 외팔보 형태로 결합된다.
즉, 공기개폐부(240)는 공기유동부(220)의 상부면에 결합된 부분을 기준으로 상하로 회전 가능하다. 공기개폐부(240)가 하부로 이동하였을 때 공기홀(221)의 상단은 폐쇄되고, 공기개폐부(240)가 상부로 이동하였을 때 공기홀(221)의 상단은 개방된다.
상기 공기개폐부(240)의 하부면 중앙에는 공기홀(221)의 상단 내측벽에 접촉되어 공기개폐부(240)를 지지할 수 있도록 접촉지지단부(241)가 하부를 향해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접촉지지단부(241)에 의해 공기개폐부(240)는 아래로 처지지 않고 공기홀(221)의 상단을 견고하게 폐쇄할 수 있다.
상기 공기링(230)은 공기유동부(220)의 내부에 장착되며 공기홀(221)을 둘러싸도록 결합된다. 공기링(230)은 소정의 무게를 가지는 금속 소재로 이루어지며, 링 형태로 형성된다. 공기링(230)은 공기하우징(210)으로부터 전달된 진동을 흡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상부하우징(250)은 공기유동부(220)의 상부에 결합된다. 상부하우징(250)의 측면에는 다수의 통기공(251)이 형성되며, 이러한 통기공(251)을 통해 공기가 유동될 수 있다.
지면로부터 발생한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공기하우징(210)은 진동하고, 전달된 진동에 의해 공기링(230)도 진동된다. 이에 따라 공기유동부(220)가 진동되어 공기개폐부(240)가 개방되며, 도시된 도면에서 점선으로 표현한 것처럼 상부하우징(250)의 통기공(251), 공기홀(221) 및 충진공간(211)을 통해 공기가 유동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공기홀(221)과 공기개폐부(240)를 통해 충진공간(211)의 공기를 유동시킬 수 있으므로 감쇠력을 능동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지면으로부터 가해지는 진동이 고 주파수이면, 공기하우징(210)의 진동이 커지며 공기링(230)의 진동도 커지고, 이에 따라 공기유동부(220)가 크게 진동되어 공기개폐부(240)가 개방된다.
공기개폐부(240)가 개방되면, 상부하우징(250)의 통기공(251), 공기홀(221) 및 충진공간(211)을 통해 공기가 유동되고, 목표 주파수의 감도가 상향되어 진동이 감쇠된다.
지면으로부터 가해지는 진동이 저 주파수이면, 공기하우징(210)의 진동이 작아지며 공기링(230)의 진동도 작아지고, 이에 따라 공기유동부(220)의 진동도 작아져서 공기개폐부(240)가 폐쇄된다.
공기개폐부(240)가 폐쇄되면, 충진공간(211) 내부의 공기가 유동되지 못하고, 반공진대역 주파수의 감도가 상향되어 진동이 감쇠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부의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기 높이조절부(300)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하부척대(310), 하부척대(310)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되며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중간척대(320) 및 중간척대(320)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되며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상부척대(330)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척대(310)는 상측에 위치하는 중간척대(320)보다 굵게 형성되고, 중간척대(320)는 상측에 위치하는 상부척대(330)보다 굵게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높이조절부(300)는 3단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유사한 방식으로 2단 또는 4단 이상으로 자유롭게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하부척대(310)는 내부에 중공(311)이 형성된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하부척대(310)의 상단 양측에는 케이스단부(312)가 내측으로 돌출 연장된다. 하부척대(310)의 내부면 하부 양측에는 반구형 케이스돌기(313)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중간척대(320)는 하부척대(310)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내부에 중공(311)이 형성된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중간척대(320)의 하단 양측에는 케이스단부(312)와 접촉될 수 있도록 제1외측하단부(321)가 외측으로 돌출 연장되고, 제1외측하단부(321)에 대향되도록 제1내측하단부(322)가 내측으로 돌출 연장된다. 상기 중간척대(320)의 상단 양측에는 제1세로단부(323)가 내측으로 돌출 연장된다.
상기 상부척대(330)는 중간척대(320)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내부에 중공(311)이 형성된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상부척대(330)의 하단 양측에는 제1세로단부(323)와 접촉될 수 있도록 제2세로단부(331)가 외측으로 돌출 연장된다.
즉, 상기 중간척대(320)의 제1외측하단부(321)는 하부척대(310)의 케이스단부(312)에 접촉될 수 있고, 중간척대(320)의 제1세로단부(323)는 상부척대(330)의 제2세로단부(331)에 접촉될 수 있으며, 중간척대(320)의 제1내측하단부(322)는 상부척대(330)의 제2세로단부(331)에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간척대(320)의 제1외측하단부(321)는 중간척대(320)가 하부로 이동되었을 때 케이스돌기(313)를 타고 넘어 하부척대(310)의 내부면 하단과 케이스돌기(313) 사이에 위치한다. 이에 따라 중간척대(320)는 케이스돌기(313)를 타고 넘을 정도의 힘이 가해져야 위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1외측하단부(321)의 좌우방향 길이는 케이스단부(312)의 좌우방향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되고, 제1내측하단부(322) 및 제1세로단부(323)의 좌우방향 길이는 제2세로단부(331)의 좌우방향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상기 하부척대(310), 중간척대(320) 및 상부척대(330)의 중공(311)에는 세로탄성부(340)가 수용된다. 상기 세로탄성부(340)는 상부척대(330)의 내부면 상단과 하부척대(310)의 내부면 하단 사이를 연결한다.
상기 상부척대(330)의 내부면 상단에는 세로와이어(350)가 결합된다. 세로와이어(350)는 일단이 상부척대(330)의 내부면 상단에 결합되고, 타단은 하부척대(310)의 하단을 관통하여 외부로 인출된다.
상기 하부척대(310)의 하단을 관통하여 외부로 인출된 세로와이어(350)는 하부척대(310)의 하단에 배치된 세로인출부(360)에 결합된다. 한편, 상기 하부척대(310)의 하단에는 세로인출부(36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인출결합부(370)가 장착된다.
즉, 세로와이어(350)는 일단이 상부척대(330)의 내부면 상단에 결합되고, 타단이 세로인출부(360)에 결합된다. 사용자가 세로인출부(360)에서 세로와이어(350)를 감으면 상부척대(330)는 하부로 이동하고, 세로인출부(360)에서 세로와이어(350)를 풀면 상부척대(330)는 상부로 이동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부의 작동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부척대(330)는 세로와이어(350)에 의해 당겨져 있으므로 세로탄성부(340)의 탄성력을 이겨내고 하부로 이동되어 있고, 중간척대(320)도 제1내측하단부(322)가 제2세로단부(331)에 접촉되어 하부로 이동되어 있으므로 중간척대(320)와 상부척대(330)는 하부척대(310) 내부에 수용되어 있다.
사용자가 세로인출부(360)에서 세로와이어(350)를 풀면, 상부척대(330)가 세로탄성부(340)의 탄성력에 의해 상부로 이동하고, 상부척대(330)는 하부척대(310)로부터 인출된다.
이때, 상기 중간척대(320)의 제1외측하단부(321)는 하부척대(310)의 내부면 하단과 케이스돌기(313)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우선 상부척대(330)만 하부척대(310)로부터 인출되고 중간척대(320)는 하부척대(310) 내부에 수용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상부척대(330)가 상부로 더욱 이동하여 중간척대(320)의 제1세로단부(323)와 상부척대(330)의 제2세로단부(331)가 접촉되면, 중간척대(320)에도 세로탄성부(340)의 탄성력이 가해지고, 중간척대(320)의 제1외측하단부(321)가 케이스돌기(313)를 타고 넘으며 중간척대(320)도 하부척대(310)로부터 인출된다.
중간척대(320)와 상부척대(330)가 어느정도 인출되면, 사용자는 세로인출부(360)를 정지시키고, 높이조절부(300)는 멈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세로인출부(360)로부터 세로와이어(350)가 풀림에 따라 하부척대(310)로부터 상부척대(330), 중간척대(320) 순으로 높이조절부(300)의 길이가 신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중간척대(320)와 상부척대(330)가 동시에 하부척대(310)로부터 인출된다거나, 중구난방으로 인출되지 않고, 상부척대(330)가 먼저 인출된 후 중간척대(320)가 인출된다.
또한, 본 발명은 측량 작업을 수행하지 않을 때에는 세로와이어(350)가 세로인출부(360)에 감겨서 고정되어 있으므로 중간척대(320) 또는 상부척대(330)가 사용자의 의지와 관계없이 임의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명기구(400)는, 높이조절부(300)의 하부 외측면에 결합되는 사각링 형태의 조명케이스(410), 조명케이스(410)의 상부면에 장착되는 다수의 조명소켓(420) 및 조명케이스(410)의 외측면에 착탈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다수의 태양전지모듈(430)을 포함한다.
상기 조명소켓(420)에는 조명원이 삽입된다. 조명원은 조명소켓(420)에 돌려 끼우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조명소켓(420)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상태에서 조명케이스(410)에 조립될 수도 있다.
상기 조명케이스(410)는 다시 높이조절부(300)의 일측에 놓이는 제1조명케이스(411)와 높이조절부(300)의 타측에 놓이는 제2조명케이스(412)로 구분되며, 제1조명케이스(411)와 제2조명케이스(412)의 일측 사이는 조명핀(413)을 매개로 연결되어 상호 회전 가능하다.
상기 제1조명케이스(411)와 제2조명케이스(412)의 타측에는 조명잠금장치(414)가 장착되어 조명케이스(410)를 높이조절부(300)의 하부에 고정시키거나 높이조절부(300)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조명기구(400)를 높이조절부(300)의 하부에 결합함으로써 사용자가 야간에도 손쉽게 측량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측량 작업이 외진 곳에서 실시되어도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조명케이스(411)와 제2조명케이스(412)의 외측면에는 다수의 조명레일(415)이 종방향으로 형성된다. 다수의 조명레일(415)은 평행하게 배치되며, 단면이 'T'자 형태로 형성되어 태양전지모듈(430)이 다수의 조명레일(415) 사이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조명케이스(410) 외부에 삽입되는 태양전지모듈(430)의 수를 사용자가 임의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주변 상황을 고려하여 최적화된 태양에너지 수급 효율을 보일 수 있다.
상기 태양전지모듈(430)은 다수의 조명레일(415) 사이에 삽입될 수 있도록 판 형태로 형성되고, 태양전지모듈(430)의 일측면은 태양전지판(431)으로 형성되고 타측면은 제1조명케이스(411)와 제2조명케이스(412)의 외측면에 접촉되는 조명접촉면(432)으로 형성된다.
상기 태양전지판(431)은 조명기구(400)의 각 부품에 전류를 공급한다. 상기 태양전지판(431)은 효율이 뛰어난 플라스틱 기판을 이용한 박막 태양전지 셀을 이용하며, 최대 전압은 11 내지 24V이고, 최대 전력은 80 내지 100W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명접촉면(432)에는 상호 이격된 다수의 자석접촉부(433)가 종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제1조명케이스(411)와 제2조명케이스(412)의 외측면에 결합되고, 상호 이격된 다수의 자석접촉부(433) 사이는 원호 형상의 조명간격부(434)가 종방향으로 함몰 형성된다. 상기 제1조명케이스(411)와 제2조명케이스(412)의 외측면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태양전지모듈(430)의 조명접촉면(432)에는 태양전지모듈(430)을 조명케이스(410)에 결합시키는 자석접촉부(433)와 조명간격부(434)가 교대로 형성되며, 자석접촉부(433) 사이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므로 방열 효과가 뛰어나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명소켓(420)과 조명케이스(410)의 상부면 사이에는 열전도피막(422)이 형성된다. 상기 열전도피막(422)은 열 전도성이 뛰어난 소재로 이루어지며, 조명원으로부터 발생된 열을 조명케이스(410)로 전달하여 방열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조명소켓(420)은 하단의 접착제(421)를 통해 열전도피막(422)에 결합될 수 있으며, 조명소켓(420)의 측부에는 리드선(423)이 연결되어 열전도피막(422)에 결합된다. 상기 열전도피막(422)의 상부면 일측에는 동박패턴(424)이 형성되어 방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조명케이스(410)의 하단에는 추가로 방열판을 설치하여 방열 효과를 더욱 극대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조명원에서 발생된 열은 조명소켓(420)의 통해 조명케이스(410)로 바로 전달되는 방식, 리드선(423)을 통해 조명케이스(410)로 전달되는 방식을 이용하여 방열되고, 그리고도 남아있는 열은 열전도피막(422)의 상부면에 결합된 동박패턴(424)을 통해 외기로 방열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2가지 상이한 방식을 통해 신속하게 조명소켓(420)의 열을 방출하고, 남아있는 열은 동박패턴(424)을 통해 빠르게 방출하여 방열 효과를 극대회시키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 : 측량기기 10 : 폴대 20 : 고정기구
30 : GPS측량기 40 : 입출력기케이스 50 : 입출력기
60 : 폴대보호기구 100 : 레벨기기 110 : 지지다리
120 : 다리판 130 : 수평판 140 : 레벨기
200 : 공기완충부 210 : 공기하우징 211 : 충진공간
220 : 공기유동부 221 : 공기홀 230 : 공기링
240 : 공기개폐부 241 : 접촉지지단부 250 : 상부하우징
251 : 통기공 300 : 높이조절부 310 : 하부척대
311 : 중공 312 : 케이스단부 313 : 케이스돌기
320 : 중간척대 321 : 제1외측하단부 322 : 제1내측하단부
323 : 제1세로단부 330 : 상부척대 331 : 제2세로단부
340 : 세로탄성부 350 : 세로와이어 360 : 세로인출부
370 : 인출결합부 400 : 조명기구 410 : 조명케이스
411 : 제1조명케이스 412 : 제2조명케이스 413 : 조명핀
414 : 조명잠금장치 415 : 조명레일 420 : 조명소켓
421 : 접착제 422 : 열전도피막 423 : 리드선
424 : 동박패턴 430 : 태양전지모듈 431 : 태양전지판
432 : 조명접촉면 433 : 자석접촉부 434 : 조명간격부
500 : 수평조절부 510 : 높낮이케이스 511 : 높낮이스프링
520 : 높낮이로드 521 : 고정홈 530 : 높낮이고정부
531 : 고정케이스 531a : 제한홀 532 : 고정로드
532a : 로드홈 533 : 고정스프링 534 : 고정제한부
535 : 제한판 536 : 제한스프링 537 : 제한이동부
538 : 제한로드
30 : GPS측량기 40 : 입출력기케이스 50 : 입출력기
60 : 폴대보호기구 100 : 레벨기기 110 : 지지다리
120 : 다리판 130 : 수평판 140 : 레벨기
200 : 공기완충부 210 : 공기하우징 211 : 충진공간
220 : 공기유동부 221 : 공기홀 230 : 공기링
240 : 공기개폐부 241 : 접촉지지단부 250 : 상부하우징
251 : 통기공 300 : 높이조절부 310 : 하부척대
311 : 중공 312 : 케이스단부 313 : 케이스돌기
320 : 중간척대 321 : 제1외측하단부 322 : 제1내측하단부
323 : 제1세로단부 330 : 상부척대 331 : 제2세로단부
340 : 세로탄성부 350 : 세로와이어 360 : 세로인출부
370 : 인출결합부 400 : 조명기구 410 : 조명케이스
411 : 제1조명케이스 412 : 제2조명케이스 413 : 조명핀
414 : 조명잠금장치 415 : 조명레일 420 : 조명소켓
421 : 접착제 422 : 열전도피막 423 : 리드선
424 : 동박패턴 430 : 태양전지모듈 431 : 태양전지판
432 : 조명접촉면 433 : 자석접촉부 434 : 조명간격부
500 : 수평조절부 510 : 높낮이케이스 511 : 높낮이스프링
520 : 높낮이로드 521 : 고정홈 530 : 높낮이고정부
531 : 고정케이스 531a : 제한홀 532 : 고정로드
532a : 로드홈 533 : 고정스프링 534 : 고정제한부
535 : 제한판 536 : 제한스프링 537 : 제한이동부
538 : 제한로드
Claims (1)
- 지하시설물이 매설된 깊이와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측량기기; 및 측량기기에 인접 설치되어 관측할 수 있는 레벨기기; 를 포함하되,
상기 측량기기는,
길이조절 가능한 폴대; 폴대의 하단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는 너트부, 너트부의 하측에 구비되어 하방으로 갈수록 너트부에서 외방으로 멀어지게 구비되되, 너트부의 둘레를 따라 구비되는 다수의 첨단부 및 다수의 첨단부 사이에 설치되고 첨단부의 하단 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무게추를 갖춘 고정기구; 폴대의 상단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GPS측량기; GPS측량기보다 하방에 위치하게 설치되되, 폴대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입출력기케이스; 입출력기케이스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GPS측량기와 통신하는 입출력기; 및 폴대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고 폴대보호기구의 중앙부에 구비되는 삽입부, 라운드 형상을 이루어 폴대보호기구의 전측에 형성되는 돌부 및 수직면 형상을 이루어 폴대보호기구의 후측에 형성되는 면접촉부를 갖춘 폴대보호기구; 를 포함하고,
상기 폴대보호기구는, 폴대보호기구를 측방에서 관통하여 폴대보호기구의 삽입부에 삽입된 폴대를 가압하되, 폴대보호기구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어 폴대를 가압하는 가압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레벨기기는,
다수의 지지다리가 결합되는 다리판; 다리판의 상부에 결합되는 다수의 수평조절부; 수평조절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수평판; 수평판의 상부에 결합되는 공기완충부; 공기완충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높이조절부; 높이조절부의 외측을 감싸도록 결합되며 빛을 조사하는 조명기구; 및 높이조절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레벨기; 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조절부는,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의 높낮이케이스; 높낮이케이스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수용되며 측면에 다수의 고정홈이 형성되는 높낮이로드; 및 높낮이케이스의 상단에 결합되며 다수의 고정홈으로 진입 가능한 고정로드를 구비하는 높낮이고정부; 를 포함하고,
상기 높낮이고정부는,
높낮이케이스의 상단에 결합되는 고정케이스; 고정케이스에 좌우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수용되며 단부가 다수의 고정홈에 진입할 수 있는 고정로드; 고정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며 고정로드의 우단과 고정케이스의 내측 우단 사이를 연결하는 고정스프링; 및 고정케이스의 상부에 장착되며 고정로드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는 고정제한부; 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제한부는,
고정케이스의 상부면에 결합되는 제한판; 제한판의 상단에 결합되는 한 쌍의 제한스프링; 제한스프링의 하단에 연결되는 링 형태의 제한이동부; 및 제한이동부의 하단에 결합되는 제한로드; 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완충부는,
내부에 공기가 충진될 수 있도록 충진공간이 형성되는 공기하우징; 공기하우징의 상부에 결합되며 중앙에 상하로 공기홀이 형성되는 공기유동부; 공기홀의 상단에 결합되며 탄성력을 지니는 한 쌍의 공기개폐부; 공기유동부의 내부에 장착되며 공기홀을 둘러싸도록 결합되는 링 형태의 공기링; 및 공기유동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하우징; 을 포함하며,
상기 공기하우징과 공기유동부는 탄성이 있는 고무 소재로 이루어지고, 공기링은 금속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부하우징의 측면에는 다수의 통기공이 형성되고, 공기개폐부의 하단에는 공기홀의 상단 내측벽에 접촉되어 공기개폐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접촉지지단부가 하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공기개폐부는 공기유동부의 상부면에 외팔보 형태로 결합되어 공기유동부의 상부면에 결합된 부분을 기준으로 상하로 회전 가능하고, 공기개폐부가 하부로 회전하였을 때 공기홀의 상단은 폐쇄되고, 공기개폐부가 상부로 회전하였을 때 공기홀의 상단은 개방되며,
상기 공기하우징으로부터 전달된 진동에 의해 공기링은 진동되고, 이에 따라 공기유동부가 진동되어 공기개폐부가 개방되며, 상부하우징의 통기공, 공기홀 및 충진공간을 통해 공기가 유동되고,
상기 높이조절부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하부척대; 하부척대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되며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중간척대; 및 중간척대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되며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상부척대; 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척대, 중간척대, 상부척대의 중공에는 세로탄성부가 수용되며, 세로탄성부는 상부척대의 내부면 끝단과 하부척대의 내부면 끝단 사이를 연결하고, 상부척대의 내부면 끝단에는 세로와이어의 일단이 결합되고, 세로와이어의 타단은 하부척대의 끝단을 관통하여 외부로 인출되며, 하부척대의 하단에는 인출된 와이어가 감기거나 풀릴 수 있도록 세로인출부가 결합되고,
상기 세로인출부로부터 세로와이어가 풀림에 따라 상부척대-중간척대 순으로 표척의 길이가 신장되며,
상기 조명기구는,
높이조절부의 하부 외측면에 결합되는 사각링 형태의 조명케이스; 조명케이스의 상부면에 장착되는 다수의 조명소켓; 및 조명케이스의 외측면에 착탈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다수의 태양전지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조명케이스는 높이조절부의 일측에 놓이는 제1조명케이스와 높이조절부의 타측에 놓이는 제2조명케이스로 구분되며, 제1조명케이스와 제2조명케이스의 일측 사이는 조명핀을 매개로 연결되어 상호 회전 가능하고, 제1조명케이스와 제2조명케이스의 타측에는 조명잠금장치가 장착되어 조명케이스를 높이조절부의 하부에 고정시키거나 높이조절부로부터 분리할 수 있으며, 제1조명케이스와 제2조명케이스의 외측면에는 다수의 조명레일이 종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태양전지모듈은 다수의 조명레일 사이에 삽입될 수 있도록 판 형태로 형성되고, 태양전지모듈의 일측면은 태양전지판으로 형성되고 타측면은 제1조명케이스와 제2조명케이스의 외측면에 접촉되는 조명접촉면으로 형성되며, 조명접촉면에는 상호 이격된 다수의 자석접촉부가 종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제1조명케이스와 제2조명케이스의 외측면에 결합되고, 상호 이격된 다수의 자석접촉부 사이는 원호 형상의 조명간격부가 종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성이 향상되고 설치가 용이한 지하시설물 측량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77407A KR102358114B1 (ko) | 2021-06-15 | 2021-06-15 | 작업성이 향상되고 설치가 용이한 지하시설물 측량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77407A KR102358114B1 (ko) | 2021-06-15 | 2021-06-15 | 작업성이 향상되고 설치가 용이한 지하시설물 측량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58114B1 true KR102358114B1 (ko) | 2022-02-08 |
Family
ID=80252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77407A KR102358114B1 (ko) | 2021-06-15 | 2021-06-15 | 작업성이 향상되고 설치가 용이한 지하시설물 측량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58114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35218B1 (ko) * | 2023-08-07 | 2024-02-08 | (주)신일지리정보 | 설치가 쉽고 작업성이 향상되는 지하시설물 측량시스템 |
KR102642143B1 (ko) * | 2023-10-17 | 2024-02-29 | 주식회사 고산공간정보 | 정확한 측량이 가능하고 작업성이 향상되는 지하시설물 측량시스템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96643B1 (ko) * | 2017-11-30 | 2018-09-10 | 에스제이데이타 주식회사 | 작업성이 향상된 지하시설물 측량기구 |
KR102039931B1 (ko) * | 2019-06-25 | 2019-11-04 | 엘티메트릭 주식회사 | 수준점과 기준점 표석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측지측량장치 |
KR102208395B1 (ko) * | 2020-06-29 | 2021-01-27 | 주식회사 한국도시공간 | 지하시설물 데이터 구축이 가능한 정밀 지하시설물 측량시스템 |
-
2021
- 2021-06-15 KR KR1020210077407A patent/KR10235811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96643B1 (ko) * | 2017-11-30 | 2018-09-10 | 에스제이데이타 주식회사 | 작업성이 향상된 지하시설물 측량기구 |
KR102039931B1 (ko) * | 2019-06-25 | 2019-11-04 | 엘티메트릭 주식회사 | 수준점과 기준점 표석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측지측량장치 |
KR102208395B1 (ko) * | 2020-06-29 | 2021-01-27 | 주식회사 한국도시공간 | 지하시설물 데이터 구축이 가능한 정밀 지하시설물 측량시스템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35218B1 (ko) * | 2023-08-07 | 2024-02-08 | (주)신일지리정보 | 설치가 쉽고 작업성이 향상되는 지하시설물 측량시스템 |
KR102642143B1 (ko) * | 2023-10-17 | 2024-02-29 | 주식회사 고산공간정보 | 정확한 측량이 가능하고 작업성이 향상되는 지하시설물 측량시스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358114B1 (ko) | 작업성이 향상되고 설치가 용이한 지하시설물 측량장치 | |
KR102307335B1 (ko) | 수준 측량 데이터의 오차를 감소시켜 측량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측지측량시스템 | |
KR200457648Y1 (ko) | 수배전반용 방진구 | |
CN204286436U (zh) | 一种全站仪辅助调平装置 | |
CN105972148B (zh) | 基于二级螺旋弹簧系统的超低频隔振装置 | |
KR102119097B1 (ko) | 측량용 삼각대의 충격 보호 시스템 | |
KR102304553B1 (ko) | 수준 측량용 표척의 안정적인 높이 조절을 위한 측지측량장치 | |
KR102635218B1 (ko) | 설치가 쉽고 작업성이 향상되는 지하시설물 측량시스템 | |
KR102305284B1 (ko) | 지하시설물의 위치를 정확하게 측량할 수 있는 지하시설물 측량시스템 | |
KR102353088B1 (ko) | 스타프 고정장치를 구비하여 간편하게 고정 및 분리가 가능한 지하시설물 측량장치 | |
KR101349653B1 (ko) | 측지측량용 삼각대의 지면 고정장치 | |
CN209820451U (zh) | 一种建筑工程测绘装置 | |
KR102305285B1 (ko) | 지하시설물 도면 데이터를 정확하게 구축할 수 있는 정밀 지하시설물 측량시스템 | |
CN216593378U (zh) | 一种建筑倾斜辅助检测装置 | |
CN210774025U (zh) | 一种房屋墙体倾斜检测装置 | |
CN211118500U (zh) | 一种带校准装置的矿山测量用三脚架 | |
KR101495868B1 (ko) | 공동주택용 전기설비의 안전장치 | |
CN105674959A (zh) | 指向光垂直线水平线仪 | |
CN208431521U (zh) | 一种测量仪用安装固定装置 | |
CN204899401U (zh) | 新型电杆校准装置 | |
CN221075907U (zh) | 一种便携式地理信息测绘仪 | |
CN204331069U (zh) | 一种多功能气象环境监测仪 | |
CN211346791U (zh) | 一种建筑测绘用辅助装置 | |
CN220645480U (zh) | 一种可调节警示防护栏 | |
CN221548196U (zh) | 一种建筑结构设计用现场勘测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