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2143B1 - 정확한 측량이 가능하고 작업성이 향상되는 지하시설물 측량시스템 - Google Patents

정확한 측량이 가능하고 작업성이 향상되는 지하시설물 측량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2143B1
KR102642143B1 KR1020230138449A KR20230138449A KR102642143B1 KR 102642143 B1 KR102642143 B1 KR 102642143B1 KR 1020230138449 A KR1020230138449 A KR 1020230138449A KR 20230138449 A KR20230138449 A KR 20230138449A KR 102642143 B1 KR102642143 B1 KR 1026421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fluid
pole
coupled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384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창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고산공간정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고산공간정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고산공간정보
Priority to KR10202301384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21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21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21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1/00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e.g. stereogrammetry; Photographic surveying
    • G01C11/04Interpretation of pictures
    • G01C11/30Interpretation of pictures by triang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23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fluid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4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 F16M11/26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by telescoping, with or without folding
    • F16M11/28Undercarriages for supports with one single telescoping pill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4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 F16M11/26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by telescoping, with or without folding
    • F16M11/32Undercarriages for supports with three or more telescoping le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시설물 측량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하시설물이 매설된 깊이와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측량기기 및 측량기기에 인접 설치되어 관측할 수 있는 레벨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작업 상황에 따라 편리하게 측량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폴대의 무게 중심이 하방에 위치하여 폴대가 보다 안정적으로 직립 설치될 수 있는 정확한 측량이 가능하고 작업성이 향상되는 지하시설물 측량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정확한 측량이 가능하고 작업성이 향상되는 지하시설물 측량시스템{UNDERGROUND FACILITY SURVEYING SYSTEM FOR ACCURATE SURVEYING AND IMPROVING WORKABILITY}
본 발명은 지하시설물 측량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정확한 측량이 가능하고 작업성이 향상되는 지하시설물 측량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 및 생활, 문화 수준의 향상 등 도시화가 급속하게 진행되면서 지중에는 상하수도관이나 가스관, 전기 및 통신선로, 난방관, 송유관 등과 같은 수많은 지하시설물들이 급증하였으며, 지중에 매설되는 지하시설물의 관로 종류 또한 다양하게 설치되어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지하시설물들은 도시의 미관과 안전을 이유로 지하에 매설되고 있는데, 다양한 유형을 갖는 지하시설물의 보수 및 관리를 위해서는 지하시설물의 위치정보가 정확히 확인되어야 하고 기록에 의해 유지 관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특히, 최근에는 상하수도 신규 매설 및 노후관 교체시 발생한 DB 갱신을 실측을 통하여 데이터의 최신성을 확보하고 있다. 여기서, 지하시설물의 실측이라 함은 공사가 완료되기 전 시공시에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상태에서 직접측량(이격거리 및 심도 측량)하는 것을 말한다.
지하시설물의 매설 깊이(심도) 측량을 위해서는 표척수가 굴착홈에 표척을 세우고, 기계수가 레벨기를 이용하여 심도를 측정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이때, 표척은 통상적인 수준측량용 표척이 사용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지하시설물 또는 지하시설물이 매설된 지점을 측량할 시, 직립되어야할 측량용 폴대가 쉽게 기울어져 측량 작업이 불편하고, 정확한 측량 작업을 수행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위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해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작업 상황에 따라 편리하게 측량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정확한 측량이 가능하고 작업성이 향상되는 지하시설물 측량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폴대의 무게 중심이 하방에 위치하여 폴대가 보다 안정적으로 직립 설치될 수 있는 정확한 측량이 가능하고 작업성이 향상되는 지하시설물 측량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본 발명의 기재로부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지하시설물이 매설된 깊이와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측량기기; 및 측량기기에 인접 설치되어 관측할 수 있는 레벨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확한 측량이 가능하고 작업성이 향상되는 지하시설물 측량시스템에서 상기 측량기기는, 길이조절 가능한 폴대; 폴대의 하단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는 너트부, 너트부의 하측에 구비되어 하방으로 갈수록 너트부에서 외방으로 멀어지게 구비되되, 너트부의 둘레를 따라 구비되는 다수의 첨단부 및 다수의 첨단부 사이에 설치되고 첨단부의 하단 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무게추를 갖춘 고정기구; 폴대의 상단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GNSS측량기; GNSS측량기보다 하방에 위치하게 설치되되, 폴대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입출력기케이스; 입출력기케이스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GNSS측량기와 통신하는 입출력기; 및 폴대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고 폴대보호기구의 중앙부에 구비되는 삽입부, 라운드 형상을 이루어 폴대보호기구의 전측에 형성되는 돌부 및 수직면 형상을 이루어 폴대보호기구의 후측에 형성되는 면접촉부를 갖춘 폴대보호기구;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확한 측량이 가능하고 작업성이 향상되는 지하시설물 측량시스템에서 상기 폴대보호기구는, 폴대보호기구를 측방에서 관통하여 폴대보호기구의 삽입부에 삽입된 폴대를 가압하되, 폴대보호기구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어 폴대를 가압하는 가압체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확한 측량이 가능하고 작업성이 향상되는 지하시설물 측량시스템에서 상기 레벨장치는, 다수의 지지다리가 결합되는 다리판; 다리판의 상부에 설치되는 유체감쇠유닛; 유체감쇠유닛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하구동유닛; 상하구동유닛의 상부에 결합되는 좌우회전유닛; 및 좌우회전유닛의 상부에 결합되는 레벨기;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확한 측량이 가능하고 작업성이 향상되는 지하시설물 측량시스템에서 상기 유체탄성유닛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유체가 충전되는 유체하우징; 유체하우징의 내부에 고정 결합되어 유체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으로 구획하는 유체통과부; 유체하우징의 상부공간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유체가압부; 유체가압부와 유체통과부의 사이에 결합되어 유체가압부에 탄성력을 가하는 가압탄성부; 유체하우징의 하부공간을 좌우로 구획하는 하부격벽; 하부격벽에 의해 좌우로 구획된 하부공간의 일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1유체지지부; 및 하부격벽에 의해 좌우로 구획된 하부공간의 타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2유체지지부;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확한 측량이 가능하고 작업성이 향상되는 지하시설물 측량시스템에서 상기 유체통과부에는 유체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다수의 상하관통홀이 형성되고, 하부격벽에는 유체가 좌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다수의 좌우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확한 측량이 가능하고 작업성이 향상되는 지하시설물 측량시스템에서 상기 상하구동유닛은, 유체감쇠유닛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1상하구동하우징; 제1상하구동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며 제1상하구동하우징의 내측면으로부터 이격 배치되는 제2상하구동하우징; 및 제2상하구동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하로 이동 가능한 상하구동부;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확한 측량이 가능하고 작업성이 향상되는 지하시설물 측량시스템에서 상기 상하구동수단은, 제2상하구동하우징의 내측 하부면에 결합되며 상하로 구동 가능한 상하실린더; 상하실린더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하로 이동 가능한 상하구동대; 상하구동대의 양측면에 접촉되어 상하구동대를 지지하는 한 쌍의 상하지지대; 및 상하지지대와 제2상하구동하우징의 내측 측면 사이에 결합되어 상하지지대에 탄성력을 가하는 지지탄성부;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확한 측량이 가능하고 작업성이 향상되는 지하시설물 측량시스템에서 상기 제1상하구동하우징의 측면 및 하부면에는 제1자성부가 내장되고, 제2상하구동하우징의 측면 및 하부면에는 제1자성부의 위치에 대응하여 제2자성부가 내장되며, 제1자성부와 제2자성부는 서로 마주보는 부분이 동일한 극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확한 측량이 가능하고 작업성이 향상되는 지하시설물 측량시스템에서 상기 제1상하구동하우징의 측면과 제2상하구동하우징의 측면은 X자 형태로 회전 가능하도록 교차하는 탄성교차부에 의해 연결되고, 제1상하구동하우징의 하부면과 제2상하구동하우징의 하부면은 회전지지부 및 한 쌍의 탄성보조부에 의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확한 측량이 가능하고 작업성이 향상되는 지하시설물 측량시스템에서 상기 좌우회전부는, 상하구동유닛의 상부에 결합되는 회전하우징; 회전하우징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되며 그 상단이 회전하우징의 상부로 돌출되어 노출되는 회전부; 회전부의 측면에 인접하여 설치되며 상하로 이동 가능한 회전구동부; 회전구동부의 상단에 연결되어 회전구동부에 탄성력을 가하는 회전연결부; 회전구동부의 하단에 접촉되어 회전구동부를 상부로 밀어올리는 회전스크류; 및 회전스크류의 하단에 연결되어 회전스크류를 상하로 이동되도록 회전시키는 회전모터;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확한 측량이 가능하고 작업성이 향상되는 지하시설물 측량시스템에서 상기 회전부는, 회전베어링을 매개로 회전하우징의 하부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하부회전체; 하부회전체의 상단에 결합되며 측면에 S자 형태의 회전홈이 함몰 형성되는 회전몸체; 및 회전몸체의 상단에 결합되며 회전하우징의 상부로 돌출되어 레벨기가 결합되는 상부회전체;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확한 측량이 가능하고 작업성이 향상되는 지하시설물 측량시스템에서 상기 회전구동부는, 상단에 회전연결부가 연결되고 하단에 회전스크류가 접촉되는 구동몸체; 구동몸체의 좌측면으로부터 돌출되며 회전홈에 삽입되는 구동삽입부; 구동몸체의 전방면 및 후방면에 돌출 형성되며 회전하우징의 전방면 및 후방면에 상하로 함몰 형성된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가이드돌출부; 및 구동몸체의 우측면에 결합되며 회전하우징의 측면에 구름 접촉되는 구동지지부;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이미 배치된 지하시설물을 측량할 시에는 고정기구를 폴대에서 분리하여 측량 작업을 수행하고, 지하시설물이 배치될 위치 또는 지하시설물이 매설된 위치를 측량할 시에는 폴대에 고정기구를 결합하여 폴대가 지면에 안정적으로 직립 배치되도록 한 후 측량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작업 상황에 따라 편리하게 측량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기구를 통해 폴대를 직립시킬 시, 고정기구의 무게추를 통해 폴대의 무게 중심이 하방에 위치하게 하여, 폴대가 보다 안정적으로 직립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기구가 폴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고정기구 손상시 교체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폴대를 직립 배치하기 위해 브라켓, 가로바 등의 구성을 통해 폴대를 고정할 시, 폴대의 표면의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폴대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확한 측량이 가능하고 작업성이 향상되는 지하시설물 측량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량기기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기구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하시설물 위에 측량기기가 배치된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측량기기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대보호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따른 폴대보호기구의 다른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측량기기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 및 고정볼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대, 폴대보호기구, 브라켓 및 고정볼트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체감쇠유닛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하구동유닛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좌우회전유닛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확한 측량이 가능하고 작업성이 향상되는 지하시설물 측량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량기기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기구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하시설물 측량시스템은 지하시설물이 매설된 깊이와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측량기기(1) 및 측량기기(1)에 인접 설치되어 관측할 수 있는 레벨장치(1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측량기기(1)는 폴대(10), 고정기구(20),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측량기(30), 입출력기케이스(40) 및 입출력기(50)를 포함한다.
상기 레벨장치(100)는 다리판(120), 레벨기(200) 등을 포함한다. 상기 레벨장치(100)의 구체적인 구성은 아래에서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폴대(10)는 상하로 긴 원형 바 형상을 이루어, 길이조절 가능하게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폴대(10)는 하단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폴대(10)는 제1폴대(11)와, 제1폴대(11)의 상측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제2폴대(12)로 구성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하다. 그리고 폴대(10)는 제1폴대(11)와 제2폴대(12) 간의 연결 부분에는 제1폴대(11)와 제2폴대(12)를 서로 고정하는 고정체(13)가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체(13)는 볼트를 이용해 폴대와 폴대 간을 고정하는 이미 널리 공지된 기구로,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상기 고정기구(20)는 너트부(21)와, 첨단부(22) 및, 무게추(23)를 갖추고서, 폴대(10)의 하단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너트부(21)는 고정기구(20)의 상측에 구비되어, 폴대(10)의 하단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된다.
상기 첨단부(22)는 너트부(21)의 하측에 구비되어 하방으로 갈수록 너트부(21)에서 외방으로 멀어지게 구비되되, 다수 개가 너트부(21)의 둘레를 따라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첨단부(22)는 너트부(21)에 용접을 통해 결합되지만, 첨단부(22)와 너트부(21)의 결합은 공지된 다양한 결합방식을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첨단부(22)는 서로 120°의 이격 간격을 갖도록 3개가 구비된다.
상기 무게추(23)는 다수의 첨단부(22) 사이에 배치되고, 첨단부(22)의 하단 보다 상방에 위치한다. 본 실시예에서 무게추(23)는 구형을 이루지만, 그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고정기구(20)는 폴대(10)를 지면에 직립하여 설치할 시, 고정기구(20)의 다수의 첨단부(22)가 균형을 이루면서 지면에 박혀, 폴대(10)를 지면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고정기구(20)는 무게추(23)를 통해 폴대(10)의 무게 중심이 하방에 위치하게 하여 폴대(10)가 보다 안정적으로 직립되도록 한다. 그리고 고정기구(20)는 폴대(1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잦은 사용으로 인해 고정기구(20)의 첨단부(22)가 손상될 시, 쉽게 교체가 가능하다.
또한 고정기구(20)는 바닥면이 대리석 같은 재질로 이루어져, 손상을 입히면 안되는 측량 위치에서는, 고정기구(20)를 폴대(10)로부터 분리하여 측량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다양한 현장 상황에 맞게 활용하여 측량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GNSS측량기(30)는 폴대(10)의 상단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GNSS측량기(30)는 제2폴대(12)의 상단에 설치되어, 현재 자기 위치를 측량한다.
상기 입출력기케이스(40)는 GNSS측량기(30)보다 하방에 위치하게 설치되되, 폴대(10)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입출력기케이스(40)는 폴대(10)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체(41)와, 연결체(41)를 폴대(10)에 고정하는 고정체(42)를 갖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체(42)는 볼트 타입으로 연결체(41)를 폴대(10)에 고정하는 이미 널리 공지된 기구로,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입출력케이스(40)에 방위각 표시기 등 지하시설물 측량시 필요한 구성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입출력기(50)는 입출력기케이스(4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GNSS측량기(30)와 통신한다. 본 실시예에서 입출력기(50)는 GNSS측량기(3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GNSS측량기(30)에 제어신호를 입력하거나 GNSS측량기(30)의 작동상태를 나타내고, GNSS측량기(30)로부터 획득한 다양한 좌표 데이터의 연산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 입출력기(50)는 태블릿 PC 등 휴대용 통신 단말기를 활용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하시설물 위에 측량기기가 배치된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지하시설물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지면을 굴착하여 굴착홈(DG)을 형성한다. 그리고 굴착홈(DG) 내에서 지하시설물이 설치될 위치를 측량(또는 지하시설물이 매설된 지점을 측량)한다.
이때, 도 1과 같이 굴착홈(DG)의 상측에는 사각 바 형상의 가로바(BB; 가로바로 스타프를 사용할 수도 있음)가 배치되고, 브라켓(BR)이 가로바(BB)에 삽입 안착되며, 폴대(10)가 상하로 배치되게 브라켓(BR)에 삽입되되 가로바(BB)와 맞대어지도록 삽입된다. 그리고 브라켓(BR)에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가로바(BB)를 가압하는 고정볼트를 통해 폴대(10)의 위치가 고정된다.
여기서, 폴대(10)를 지면에 박을 시, 고정기구(20)의 첨단부(22)가 지면에 안정적으로 박혀, 폴대(10)를 직립 배치할 시 매우 용이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폴대(10)를 가로바(BB)와 브라켓(BR)과 고정볼트를 통해 직립 배치하여 GNSS측량기(30)를 설치하였지만, 고정기구(20)의 첨단부(22)을 굴착홈 지면에 충분히 안정적으로 박히게 하면 가로바(BB)와 브라켓(BR)과 고정볼트의 구성없이도 폴대(10)를 안정적으로 직립배치하여 GNSS측량기(30)를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GNSS측량기(30)가 설치되면, 해당 위치에 대한 GNSS측량을 수행하여, 지하시설물에 관련한 측량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 4와 같이 지하시설물(UP)이 설치된 상태에서 지하시설물(UP)의 위치를 측량할 시, 폴대(10)에서 고정기구(20)를 분리한 후, 도 4와같이 GNSS측량기(30)를 설치하여, 지하시설물 측량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측량기기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대보호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에 따른 폴대보호기구의 다른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구성에 일부 구성이 부가된다.
본 실시예에서 측량기기는 도 6과 같이 상기 폴대(10)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폴대보호기구(60)를 더 포함한다.
상기 폴대보호기구(60)는 폴대(10)의 재질보다 연질의 이동체(61)와, 폴대(10)의 재질보다 연질의 가압체(62)를 갖춘다.
상기 이동체(61)는 상기 폴대(10)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고 폴대보호기구(60)의 중앙부에 구비되는 삽입부(61a)와, 라운드 형상을 이루어 폴대보호기구(60)의 전측에 형성되는 돌부(61b) 및, 수직면 형상을 이루어 폴대보호기구(60)의 후측에 형성되는 면접촉부(61c)를 갖춘다. 본 실시예에서 이동체(61)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압체(62)는 이동체(61)를 측방에서 관통하여 삽입부(61a)에 삽입된 폴대(10)를 가압하되, 이동체(61)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어, 폴대(10)를 가압한다. 본 실시예에서 가압체(62)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폴대보호기구(60)는 도 7과 같이 상기 이동체(61)로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동체(61)는 탄성을 가지고서 폴대(10)의 재질보다 연질로 이루어져, 폴대(10)에 상하로 이동가능하면서 고정성을 갖는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측량기기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 및 고정볼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대, 폴대보호기구, 브라켓 및 고정볼트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지하시설물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지면을 굴착하여 굴착홈(DG)을 형성한다. 그리고 굴착홈(DG) 내에서 지하시설물이 설치될 위치를 측량(또는 지하시설물이 매설된 지점을 측량)한다.
이때, 도 8과 같이 굴착홈(DG)의 상측에는 가로바(BB)가 배치되고, 브라켓(BR)이 가로바(BB)에 삽입 안착되며, 폴대(10)가 상하로 배치되게 브라켓(BR)에 삽입되되 가로바(BB)와 맞대어지도록 삽입된다. 그리고 브라켓(BR)에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가로바(BB)를 가압하는 고정볼트(FB)를 통해 폴대(10)의 위치가 고정된다.
여기서, 브라켓(BR)과 본 실시예의 상호 관계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브라켓(BR)은 도 9와 같이 제1브라켓(BR1)과 제2브라켓(BR2)과 제3브라켓(BR3)이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ㄷ'자 형상을 이룬다. 그리고 제1브라켓(BR1)의 내측에는 제3브라켓(BR3)을 향해 개구된 라운드부(BR1a)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상기 브라켓(BR)은 제1브라켓(BR1)의 라운드부(BR1a)에 도 10과 같이 폴대(10)에 삽입된 폴대보호기구(60)의 돌부(61b)가 맞닿고, 폴대보호기구(60)의 후방에 가로바(BB)가 위치하며, 제3브라켓(BR3)를 관통하는 고정볼트(FB)를 통해 가로바(BB)가 가압되어, 폴대(10)가 안정적으로 직립 배치된다. 이때 폴대보호기구(60)는 가압체(62)에 의해 위치 고정이 이루어지며, 가압체(62)가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져 폴대(50)의 손상이 최소화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의 폴대보호기구(60)의 돌부(61b)는 제1브라켓(BR1)의 라운드부(BR1a)에 안착되어 폴대(10)가 안정적으로 직립 위치를 유지하도록 하고, 폴대보호기구(60)의 면접촉부(61c)는 가로바(BB)가 고정볼트(FB)에 의해 가압될 시 가로바(BB)가 폴대보호기구(60)의 면접촉부(61c)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폴대(10)가 안정적으로 직립 위치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 폴대보호기구(60)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면서 폴대(10)와 브라켓(BR), 가로바(BB)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여, 폴대(10)의 표면이 브라켓(BR) 및 가로바(BB)에 의해 손상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폴대보호기구(60)가 이동체(61)로만 이루어지고, 상기 이동체(61)가 탄성을 갖고서 폴대(10)의 재질보다 연질로 이루지면, 별도의 가압체(62)가 구비되지 않더라도, 폴대보호기구(60)의 상하 이동 및 고정성을 확보할 수 있어, 폴대(10)에 손상을 가하지 않으면서, 폴대(10)의 표면이 브라켓(BR) 및 가로바(BB)에 의해 손상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체감쇠유닛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레벨장치(100)는, 다수의 지지다리(110)가 결합되는 다리판(120), 다리판(120)의 상부에 설치되는 유체감쇠유닛(300), 유체감쇠유닛(300)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하구동유닛(400), 상하구동유닛(400)의 상부에 결합되는 좌우회전유닛(500) 및 좌우회전유닛(500)의 상부에 결합되는 레벨기(200)를 포함한다.
상기 레벨기(200)는 측량기기(1)를 시준하고 시준값을 무선 송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측량기기를 시준하여 측량에 사용되는 기기면 레벨기 대신에 다양한 측량용 기기를 사용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체감쇠유닛(300)은 유체하우징(310), 유체통과부(320), 유체가압부(330), 가압탄성부(340), 하부격벽(350), 제1유체지지부(360), 제2유체지지부(3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유체하우징(310)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유체가 충전되며, 다리판(120)의 상부에 설치된다. 유체하우징(310)의 내부에는 유체통과부(320)가 횡방향으로 고정 결합된다. 유체통과부(320)에 의해 유체하우징(310)의 내부 공간은 상부공간(311)과 하부공간(312)으로 구획된다. 유체하우징(310)의 상부공간(311)과 하부공간(312)에는 유체가 충전되어 있다.
상기 유체가압부(330)는 유체하우징(310)의 상부공간(311)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며, 가압탄성부(340)는 유체가압부(330)와 유체통과부(320)의 사이에 결합되어 유체가압부(330)에 탄성력을 가한다.
상기 유체통과부(320)에는 유체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다수의 상하관통홀(321)이 형성된다. 이러한 상하관통홀(321)을 통해 유체는 상부공간(311)에서 하부공간(312)으로 이동되거나, 또는 하부공간(312)에서 상부공간(311)으로 이동될 수 있다.
외부의 충격이나 진동에 의해 유체가압부(330)가 하부로 이동되었을 때 유체는 상부공간(311)에서 하부공간(312)으로 이동되고, 유체가압부(330)가 상부로 이동되었을 때 유체는 하부공간(312)에서 상부공간(311)으로 이동된다.
유체가 상대적으로 좁은 폭의 상하관통홀(321)을 통과하므로 외부의 충격이나 진동으로 유체하우징(310)이 강하게 흔들릴 때에도 유체가압부(330)의 상부에 결합된 레벨기(200) 등의 부품은 강하게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하부격벽(350)은 유체하우징(310)의 하부공간(312)을 좌우로 구획한다. 하부격벽(350)에 의해 좌우로 구획된 하부공간(312)의 좌측에는 한 쌍의 제1유체지지부(360)가 배치되고, 하부격벽(350)에 의해 좌우로 구획된 하부공간(312)의 우측에는 한 쌍의 제2유체지지부(370)가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유체지지부(360)는 제1하부몸체(361), 제1하부규제부(362), 제1하부스프링(363), 제1하부가이드(36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하부몸체(361)는 유체통과부(320)의 하부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상하관통홀(321)의 하부를 폐쇄할 수 있다. 제1하부몸체(361)의 하부에는 제1하부규제부(362)가 배치되고, 제1하부몸체(361)와 제1하부규제부(362) 상단 사이는 제1하부스프링(363)으로 연결된다. 또한, 제1하부규제부(362)의 하단과 유체하우징(310) 사이도 제1하부스프링(363)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1하부가이드(364)는 제1하부규제부(362)의 측부에 접촉될 수 있도록 유체하우징(310)의 하부에 직립 설치된다. 제1하부가이드(364)에 의해 제1하부규제부(362)는 좌우로 이동되지 않고 상하로만 이동될 수 있다.
전술한 것처럼 유체가압부(330)가 하부로 이동되었을 때 유체는 상부공간(311)에서 하부공간(312)으로 이동되는데, 이때 제1하부몸체(361)가 상하관통홀(321)의 하부를 폐쇄하고 있으므로 유체는 제1하부스프링(363)의 탄성력을 극복할 수 있을 때에만 제1하부몸체(361)를 밀어내고 하부로 이동될 수 있다.
유체에 의해 제1하부몸체(361)가 점차 하부로 이동되어 제1하부몸체(361)가 최하단으로 이동되었을 때 제1하부몸체(361)의 하부면은 제1하부규제부(362)에 접촉되어 더 이상 하부로 이동되지 못하고 멈춘다.
즉, 상기 제1하부몸체(361)는 최상단으로 이동되었을 때 유체통과부(320)의 하부면에 접촉되어 상하관통홀(321)을 폐쇄하고, 최하단으로 이동되었을 때 제1하부규제부(362)의 상부면에 접촉된다.
상기 제1유체지지부(360)와 마찬가지로 제2유체지지부(370)는 제2하부몸체(371), 제2하부규제부(372), 제2하부스프링(373), 제2하부가이드(37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2하부몸체(371)는 유체통과부(320)의 하부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상하관통홀(321)의 하부를 폐쇄할 수 있다. 제2하부몸체(371)의 하부에는 제2하부규제부(372)가 배치되고, 제2하부몸체(371)와 제2하부규제부(372) 상단 사이는 제2하부스프링(373)으로 연결된다. 또한, 제2하부규제부(372)의 하단과 유체하우징(310) 사이도 제2하부스프링(373)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2하부가이드(374)는 제2하부규제부(372)의 측부에 접촉될 수 있도록 유체하우징(310)의 하부에 직립 설치된다. 제2하부가이드(374)에 의해 제2하부규제부(372)는 좌우로 이동되지 않고 상하로만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2하부몸체(371)는 최상단으로 이동되었을 때 유체통과부(320)의 하부면에 접촉되어 상하관통홀(321)을 폐쇄하고, 최하단으로 이동되었을 때 제2하부규제부(372)의 상부면에 접촉된다.
한편, 상기 하부격벽(350)에는 유체가 좌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다수의 좌우관통홀(351)이 형성된다. 외부의 충격이나 진동에 의해 유체하우징(310)이 좌우로 이동될 때 유체는 하부격벽(350)을 통해 좌우로 구획된 유체하우징(310)의 하부공간(312)을 이동할 수 있다.
유체가 상대적으로 좁은 폭의 좌우관통홀(351)을 통과하므로 외부의 충격이나 진동으로 유체하우징(310)이 좌우로 강하게 흔들릴 때에도 레벨기(200) 등의 부품은 강하게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은 유체하우징(310)에 충전된 유체의 자체 점성, 유체가압부(330)를 받치는 가압탄성부(340)의 탄성력, 유체가 상하관통홀(321)을 통과하는 저항력, 상하관통홀(321)의 하부를 폐쇄하는 제1유체지지부(360)의 지지력, 상하관통홀(321)의 하부를 폐쇄하는 제2유체지지부(370)의 지지력, 유체가 좌우관통홀(351)을 통과하는 저항력 등 다양한 요소를 이용하여 외부의 충격이나 진동을 매우 효과적으로 감쇠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하구동유닛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하구동유닛(400)은 제1상하구동하우징(410), 제2상하구동하우징(420), 상하구동부(430), 탄성교차부(440), 회전지지부(450), 탄성보조부(4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상하구동하우징(410)은 유체감쇠유닛(300)의 상부에 결합되며, 내부에 부품이 배치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된다. 제2상하구동하우징(420)은 제1상하구동하우징(410)의 내부에 배치되며 제1상하구동하우징(410)의 내측면으로부터 이격 배치된다. 즉, 제2상하구동하우징(420)은 제1상하구동하우징(410)의 내부에 겹쳐져 있다.
상기 상하구동부(430)는 제2상하구동하우징(420)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하로 이동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상하구동부(430)는 상하실린더(431), 상하구동대(432), 한 쌍의 상하지지대(433) 및 지지탄성부(43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상하실린더(431)는 제2상하구동하우징(420)의 내측 하부면에 결합되며 상하로 구동 가능하다. 상하구동대(432)는 상하실린더(431)의 상부에 결합된다. 상하실린더(431)가 구동됨에 따라 상하구동대(432)는 상하로 이동되며, 상하구동대(432)의 상부에 결합된 좌우회전유닛(500) 및 레벨기(200) 등도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상하지지대(433)는 한 쌍으로 구성되며, 상하구동대(432)의 양측면에 접촉되어 상하구동대(432)를 지지한다. 상하지지대(433)가 상하구동대(432)의 양측을 지지하므로 상하구동대(432)는 안정적으로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하지지대(433)는 제2상하구동하우징(420)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지지탄성부(436), 지지탄성부(436)의 단부에 결합되는 상하지지몸체(434), 상하지지몸체(434)의 단부로부터 한 쌍으로 연장되어 상하구동대(432)의 측면에 접촉되는 상하지지연장부(435)를 포함한다.
상기 상하지지연장부(435)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므로 상하구동대(432)의 측면을 보다 더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지지탄성부(436)는 상하지지몸체(434) 및 상하지지연장부(435)를 상하구동대(432)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하지지연장부(435)가 상하구동대(432)의 측면에 계속하여 접촉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상하지지연장부(435)는 연질의 재료로 이루어지고, 상하지지몸체(434)는 경질의 재료로 이루어진다. 상하지지연장부(435)가 연질의 재료로 이루어지므로 상하구동대(432)는 상하로 쉽게 이동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접촉될 수 있고, 접촉이 끊이지 않고 계속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상하구동하우징(410)의 측면 및 하부면에는 제1자성부(411)가 내장되고, 제2상하구동하우징(420)의 측면 및 하부면에는 제1자성부(411)의 위치에 대응하여 제2자성부(421)가 내장되며, 제1자성부(411)와 제2자성부(421)는 서로 마주보는 부분이 동일한 극성을 가진다.
상기 제1자성부(411)와 제2자성부(421)에 의해 제2상하구동하우징(420)이 제1상하구동하우징(410)의 내부에 떠있을 수 있으므로 외부의 충격이나 진동으로부터 제2상하구동하우징(420)이 영향을 받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상하구동하우징(410)의 측면과 제2상하구동하우징(420)의 측면은 X자 형태로 회전 가능하도록 교차하는 탄성교차부(440)에 의해 연결되고, 제1상하구동하우징(410)의 하부면과 제2상하구동하우징(420)의 하부면은 회전지지부(450) 및 한 쌍의 탄성보조부(460)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탄성교차부(440)는 제2상하구동하우징(420)의 양측에 한 쌍으로 결합되며, 제1상하구동하우징(410)의 내부에 떠있는 제2상하구동하우징(420)이 자연스럽게 위치를 잡고 떠있으면서도 동시에 외부의 진동을 흡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탄성교차부(440)는 회전 가능한 교차중심부(441), 교차중심부(441)를 기준으로 양측으로 결합되어 회전 가능한 제1교차부(442), 교차중심부(441)를 기준으로 양측으로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며 제1교차부(442)와 X자 형태로 배치되는 제2교차부(444), 제1교차부(442)의 양 단부에 결합되며 일단은 제1상하구동하우징(410)의 내측면에 결합되고 타단은 제2상하구동하우징(420)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제1탄성단부(443), 제2교차부(444)의 양 단부에 결합되며 일단은 제1상하구동하우징(410)의 내측면에 결합되고 타단은 제2상하구동하우징(420)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제2탄성단부(445)를 포함한다.
상기 제1교차부(442)와 제2교차부(444)는 교차중심부(441)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제1교차부(442)와 제2교차부(444)의 양 단부는 각각 제1탄성단부(443)와 제2탄성단부(445)에 의해 제1상하구동하우징(410)과 제2상하구동하우징(420) 사이를 연결하므로 제2상하구동하우징(420)은 약간씩 움직이면서 제1상하구동하우징(410)의 내부에 떠있을 수 있고, 제1탄성단부(443)와 제2탄성단부(445)에 의해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상기 회전지지부(450)는 제2상하구동하우징(420)의 외측 하부면과 제1상하구동하우징(410)의 내측 하부면 사이를 연결하며 제1상하구동하우징(410)의 상부에 제2상하구동하우징(420)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지지부(450)는 제2상하구동하우징(420)의 외측 하부면에 결합되는 반원 형태의 회전지지몸체(451), 회전지지몸체(451)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는 구 형태의 회전지지볼(452) 및 제1상하구동하우징(410)의 내측 하부면에 결합되며 회전지지볼(452)이 안착될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되는 회전안착부(453)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지지볼(452)은 회전안착부(453)의 홈에 회전 가능하도록 안착되므로 회전지지볼(452), 회전지지몸체(451) 및 제2상하구동하우징(420)은 제1상하구동하우징(410)을 기준으로 좌우로 조금씩 회전될 수 있다.
상기 탄성지지부는 제2상하구동하우징(420)의 외측 하부면과 제1상하구동하우징(410)의 내측 하부면 사이를 연결하며 회전지지부(450)를 기준으로 양측에 한 쌍으로 구성된다.
상기 탄성지지부는 제2상하구동하우징(420)의 외측 하부면과 제1상하구동하우징(410)의 내측 하부면 사이를 연결하며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보조스프링(461), 제1상하구동하우징(410)의 내측 하부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탄성보조스프링(461)의 외측을 감싸는 상부보조부(463), 제2상하구동하우징(420)의 외측 하부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부보조부(463)의 외측을 감싸는 하부보조부(462)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보조부(462)가 상부보조부(463)의 외측을 감싸며 결합되므로 탄성보조스프링(461)의 수축 또는 팽창에 따라 하부보조부(462)와 상부보조부(463)는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제2상하구동하우징(420)이 제1상하구동하우징(410)의 내부에 떠있으면서 탄성교차부(440), 회전지지부(450), 탄성지지부 등을 이용하여 제2상하구동하우징(420)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외부의 진동의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동시에 상하지지대(433)가 상하구동대(432)의 양측을 지지하므로 견고하게 상하구동대(432)가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좌우회전유닛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우회전유닛(500)은 회전하우징(510), 회전부(520), 회전구동부(530), 회전연결부(540) 및 회전스크류(5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하우징(510)은 상하구동유닛(400)의 상하구동대(432)의 상부에 결합된다. 회전부(520)는 회전하우징(51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회전부(520)의 상단은 회전하우징(510)의 상부로 돌출되어 노출되며, 회전부(520)의 상단에는 레벨기(200)가 결합된다.
상기 회전부(520)가 회전됨에 따라 회전부(520)의 상단에 결합된 레벨기(200)도 수평 회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부(520)는 회전베어링(522)을 매개로 회전하우징(510)의 하부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하부회전체(521), 하부회전체(521)의 상단에 결합되며 측면에 S자 형태의 회전홈(524)이 함몰 형성되는 회전몸체(523) 및 회전몸체(523)의 상단에 결합되며 회전하우징(510)의 상부로 돌출되어 레벨기(200)가 결합되는 상부회전체(525)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구동부(530)는 회전부(520)의 우측에 인접하여 설치되며 상하로 이동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구동부(530)는 상단에 회전연결부(540)가 연결되고 하단에 회전스크류(550)가 접촉되는 구동몸체(531), 구동몸체(531)의 좌측면으로부터 돌출되며 회전홈(524)에 삽입되는 구동삽입부(532), 구동몸체(531)의 전방면 및 후방면에 돌출 형성되며 회전하우징(510)의 전방면 및 후방면에 상하로 함몰 형성된 가이드홈(511)에 삽입되는 가이드돌출부(533) 및 구동몸체(531)의 우측면에 결합되며 회전하우징(510)의 측면에 구름 접촉되는 구동지지부(534)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몸체(531)가 상하로 이동함에 따라 구동삽입부(532)도 상하로 이동하며, 구동삽입부(532)가 S자 형태의 회전홈(524)의 경로를 따라 이동함에 따라 회전몸체(523)는 회전한다. 회전몸체(523)가 회전하면 그 상단의 상부회전체(525) 및 레벨기(200)도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동몸체(531)에 돌출된 가이드돌출부(533)는 회전하우징(510)에 함몰된 가이드홈(511)에 삽입되어 상하로 활주하므로 구동몸체(531)는 상하로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다.
상기 구동지지부(534)는 한 쌍으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구동지지부(534)는 구동몸체(531)의 우측면에 결합되는 구동지지스프링(537), 구동지지스프링(537)의 우측면에 결합되는 구동지지몸체(536) 및 구동몸체(531)의 우측면에 결합되는 구동바퀴(535)를 포함한다. 구동바퀴(535)는 회전하우징(510)의 내측면에 구름 접촉될 수 있다.
상기 구동바퀴(535)가 회전하우징(510)의 내측면에 접촉되고 구동지지스프링(537)이 구동몸체(531)에 좌우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므로 구동삽입부(532)는 계속하여 회전몸체(523) 방향으로 탄성력이 가해지고 구동삽입부(532)가 회전홈(524)에 밀착되어 회전몸체(523)를 안정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회전연결부(540)는 구동몸체(531)의 상단에 연결되어 구동몸체(531)에 상하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한다. 구체적으로 회전연결부(540)는 구동몸체(531)의 상단에 결합되는 회전연결와이어(542), 회전연결와이어(542)의 상단에 결합되는 회전연결스프링(541) 및 회전연결스프링(541)의 상단에 결합되며 회전하우징(510)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회전연결지지대(543)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스크류(550)는 회전구동부(530)의 하단에 접촉되어 회전구동부(530)를 상부로 밀어올리며, 회전모터(551)는 회전스크류(550)의 하단에 연결되어 회전스크류(550)를 상하로 이동되도록 회전시킨다. 이때, 회전스크류(550)의 측면에는 기어 형태의 회전가이드(552)가 맞물리도록 결합되어 회전스크류(550)가 안정적으로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회전모터(551)가 작동하여 회전스크류(550)가 상부로 이동하면, 회전스크류(550)의 상단에 접촉된 구동몸체(531)도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회전모터(551)가 작동하여 회전스크류(550)가 하부로 이동하면, 회전연결스프링(541)의 탄성력에 의해 구동몸체(531)도 하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동몸체(531)가 상하로 이동하게 되면, 회전홈(524)에 삽입된 구동삽입부(532)도 상하로 이동하면서 회전홈(524)의 경로를 따라 회전몸체(523)를 회전시킨다. 회전몸체(523)가 회전하면 그 상부에 결합된 레벨기(200)도 좌우로 회전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 : 측량기기 10 : 폴대 20 : 고정기구
30 : GNSS측량기 40 : 입출력기케이스 50 : 입출력기
60 : 폴대보호기구 100 : 레벨장치 110 : 지지다리
120 : 다리판 200 : 레벨기 300 : 유체감쇠유닛
310 : 유체하우징 311 : 상부공간 312 : 하부공간
320 : 유체통과부 321 : 상하관통홀 330 : 유체가압부
340 : 가압탄성부 350 : 하부격벽 351 : 좌우관통홀
360 : 제1유체지지부 361 : 제1하부몸체 362 : 제1하부규제부
363 : 제1하부스프링 364 : 제1하부가이드 370 : 제2유체지지부
371 : 제2하부몸체 372 : 제2하부규제부 373 : 제2하부스프링
374 : 제2하부가이드 400 : 상하구동유닛 410 : 제1상하구동하우징
411 : 제1자성부 420 : 제2상하구동하우징 421 : 제2자성부
430 : 상하구동부 431 : 상하실린더 432 : 상하구동대
433 : 상하지지대 434 : 상하지지몸체 435 : 상하지지연장부
436 : 지지탄성부 440 : 탄성교차부 441 : 교차중심부
442 : 제1교차부 443 : 제1탄성단부 444 : 제2교차부
445 : 제2탄성단부 450 : 회전지지부 451 : 회전지지몸체
452 : 회전지지볼 453 : 회전안착부 460 : 탄성보조부
461 : 탄성보조스프링 462 : 하부보조부 463 : 상부보조부
500 : 좌우회전유닛 510 : 회전하우징 511 : 가이드홈
520 : 회전부 521 : 하부회전체 522 : 회전베어링
523 : 회전몸체 524 : 회전홈 525 : 상부회전체
530 : 회전구동부 531 : 구동몸체 532 : 구동삽입부
533 : 가이드돌출부 534 : 구동지지부 535 : 구동바퀴
536 : 구동지지몸체 537 : 구동지지스프링 540 : 회전연결부
541 : 회전연결스프링 542 : 회전연결와이어 543 : 회전연결지지대
550 : 회전스크류 551 : 회전모터 552 : 회전가이드

Claims (1)

  1. 지하시설물이 매설된 깊이와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측량기기; 및 측량기기에 인접 설치되어 관측할 수 있는 레벨장치; 를 포함하되,
    상기 측량기기는,
    길이조절 가능한 폴대; 폴대의 하단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는 너트부, 너트부의 하측에 구비되어 하방으로 갈수록 너트부에서 외방으로 멀어지게 구비되되, 너트부의 둘레를 따라 구비되는 다수의 첨단부 및 다수의 첨단부 사이에 설치되고 첨단부의 하단 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무게추를 갖춘 고정기구; 폴대의 상단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GNSS측량기; GNSS측량기보다 하방에 위치하게 설치되되, 폴대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입출력기케이스; 입출력기케이스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GNSS측량기와 통신하는 입출력기; 및 폴대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고 폴대보호기구의 중앙부에 구비되는 삽입부, 라운드 형상을 이루어 폴대보호기구의 전측에 형성되는 돌부 및 수직면 형상을 이루어 폴대보호기구의 후측에 형성되는 면접촉부를 갖춘 폴대보호기구; 를 포함하고,
    상기 폴대보호기구는, 폴대보호기구를 측방에서 관통하여 폴대보호기구의 삽입부에 삽입된 폴대를 가압하되, 폴대보호기구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어 폴대를 가압하는 가압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레벨장치는,
    다수의 지지다리가 결합되는 다리판; 다리판의 상부에 설치되는 유체감쇠유닛; 유체감쇠유닛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하구동유닛; 상하구동유닛의 상부에 결합되는 좌우회전유닛; 및 좌우회전유닛의 상부에 결합되는 레벨기; 를 포함하며,
    상기 유체감쇠유닛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유체가 충전되는 유체하우징; 유체하우징의 내부에 고정 결합되어 유체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으로 구획하는 유체통과부; 유체하우징의 상부공간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유체가압부; 유체가압부와 유체통과부의 사이에 결합되어 유체가압부에 탄성력을 가하는 가압탄성부; 유체하우징의 하부공간을 좌우로 구획하는 하부격벽; 하부격벽에 의해 좌우로 구획된 하부공간의 일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1유체지지부; 및 하부격벽에 의해 좌우로 구획된 하부공간의 타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2유체지지부; 를 포함하고,
    상기 유체통과부에는 유체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다수의 상하관통홀이 형성되고, 하부격벽에는 유체가 좌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다수의 좌우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상하구동유닛은,
    유체감쇠유닛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1상하구동하우징; 제1상하구동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며 제1상하구동하우징의 내측면으로부터 이격 배치되는 제2상하구동하우징; 및 제2상하구동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하로 이동 가능한 상하구동부; 를 포함하고,
    상기 상하구동부는,
    제2상하구동하우징의 내측 하부면에 결합되며 상하로 구동 가능한 상하실린더; 상하실린더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하로 이동 가능한 상하구동대; 상하구동대의 양측면에 접촉되어 상하구동대를 지지하는 한 쌍의 상하지지대; 및 상하지지대와 제2상하구동하우징의 내측 측면 사이에 결합되어 상하지지대에 탄성력을 가하는 지지탄성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1상하구동하우징의 측면 및 하부면에는 제1자성부가 내장되고, 제2상하구동하우징의 측면 및 하부면에는 제1자성부의 위치에 대응하여 제2자성부가 내장되며, 제1자성부와 제2자성부는 서로 마주보는 부분이 동일한 극성을 가지고,
    상기 제1상하구동하우징의 측면과 제2상하구동하우징의 측면은 X자 형태로 회전 가능하도록 교차하는 탄성교차부에 의해 연결되고, 제1상하구동하우징의 하부면과 제2상하구동하우징의 하부면은 회전지지부 및 한 쌍의 탄성보조부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좌우회전유닛은,
    상하구동유닛의 상부에 결합되는 회전하우징; 회전하우징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되며 그 상단이 회전하우징의 상부로 돌출되어 노출되는 회전부; 회전부의 측면에 인접하여 설치되며 상하로 이동 가능한 회전구동부; 회전구동부의 상단에 연결되어 회전구동부에 탄성력을 가하는 회전연결부; 회전구동부의 하단에 접촉되어 회전구동부를 상부로 밀어올리는 회전스크류; 및 회전스크류의 하단에 연결되어 회전스크류를 상하로 이동되도록 회전시키는 회전모터; 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는,
    회전베어링을 매개로 회전하우징의 하부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하부회전체; 하부회전체의 상단에 결합되며 측면에 S자 형태의 회전홈이 함몰 형성되는 회전몸체; 및 회전몸체의 상단에 결합되며 회전하우징의 상부로 돌출되어 레벨기가 결합되는 상부회전체; 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구동부는,
    상단에 회전연결부가 연결되고 하단에 회전스크류가 접촉되는 구동몸체; 구동몸체의 좌측면으로부터 돌출되며 회전홈에 삽입되는 구동삽입부; 구동몸체의 전방면 및 후방면에 돌출 형성되며 회전하우징의 전방면 및 후방면에 상하로 함몰 형성된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가이드돌출부; 및 구동몸체의 우측면에 결합되며 회전하우징의 측면에 구름 접촉되는 구동지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확한 측량이 가능하고 작업성이 향상되는 지하시설물 측량시스템.
KR1020230138449A 2023-10-17 2023-10-17 정확한 측량이 가능하고 작업성이 향상되는 지하시설물 측량시스템 KR1026421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38449A KR102642143B1 (ko) 2023-10-17 2023-10-17 정확한 측량이 가능하고 작업성이 향상되는 지하시설물 측량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38449A KR102642143B1 (ko) 2023-10-17 2023-10-17 정확한 측량이 가능하고 작업성이 향상되는 지하시설물 측량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2143B1 true KR102642143B1 (ko) 2024-02-29

Family

ID=90041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38449A KR102642143B1 (ko) 2023-10-17 2023-10-17 정확한 측량이 가능하고 작업성이 향상되는 지하시설물 측량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214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8114B1 (ko) * 2021-06-15 2022-02-08 지스텍코리아(주) 작업성이 향상되고 설치가 용이한 지하시설물 측량장치
KR102454472B1 (ko) * 2022-05-09 2022-10-14 주식회사 바론스 드론을 이용한 지하시설물 측량시스템
KR102459673B1 (ko) * 2021-09-14 2022-10-27 주식회사 첨단공간정보 오차값을 최소화한 측지측량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는 측지측량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8114B1 (ko) * 2021-06-15 2022-02-08 지스텍코리아(주) 작업성이 향상되고 설치가 용이한 지하시설물 측량장치
KR102459673B1 (ko) * 2021-09-14 2022-10-27 주식회사 첨단공간정보 오차값을 최소화한 측지측량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는 측지측량시스템
KR102454472B1 (ko) * 2022-05-09 2022-10-14 주식회사 바론스 드론을 이용한 지하시설물 측량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008565A (zh) 工程地质裂缝三维变形测量仪
CN101303228A (zh) 一种联系gps定位和三维激光扫描仪测量的方法及其装置
CN203701157U (zh) 简易土工离心机模拟基坑开挖实验的内支撑夹具
CN209280462U (zh) 一种盾构隧道管片衬砌结构纵向刚度测试装置
Roberts et al. The use of kinematic GPS and triaxial accelerometers to monitor the deflections of large bridges
KR101721248B1 (ko) 지하시설물 실시간 위치 측량장치
KR102642143B1 (ko) 정확한 측량이 가능하고 작업성이 향상되는 지하시설물 측량시스템
KR101896643B1 (ko) 작업성이 향상된 지하시설물 측량기구
CN102704915A (zh) 一种随钻测斜仪的校验台及校验方法
KR101480719B1 (ko) 수준측량용 스태빌라이저
CN107796551B (zh) 一种局部壁面应力解除法仪器室内实验平台及其测量的方法
CN114001782A (zh) 一种地质灾害监测装置
KR20090105555A (ko) 스타프가 장착된 침하봉을 갖는 침하량 계측장치 및 그계측장치를 이용한 지반 침하량 1인 계측방법
KR102635218B1 (ko) 설치가 쉽고 작업성이 향상되는 지하시설물 측량시스템
KR101701971B1 (ko) 교량 탄성받침의 전단변형량 측정장치
JP2010038631A (ja) 屈曲角度測定器および屈曲角度測定方法
KR102208395B1 (ko) 지하시설물 데이터 구축이 가능한 정밀 지하시설물 측량시스템
RU126123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пределения планово-высотного положения подземных трубопроводов
CN106088173A (zh) 一种预制桩桩顶水平位移及桩身应力联合测试装置
KR101403476B1 (ko) 통합기준점 및 국가수준점의 수준 측량용 높낮이 조절 장치
KR101165086B1 (ko) 구조물의 변위 계측장치
KR101949725B1 (ko) 지하시설물 측량을 위한 스타프장치
EP2122301A2 (en) Laser measuring method and system for checking longitudinal movements of the long welded rail both under construction and in operation
CN221222183U (zh) 一种便捷安装的水利工程用测量装置
CN103238039B (zh) 用于坐标测量仪的可行走其上的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