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9931B1 - 수준점과 기준점 표석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측지측량장치 - Google Patents

수준점과 기준점 표석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측지측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9931B1
KR102039931B1 KR1020190075853A KR20190075853A KR102039931B1 KR 102039931 B1 KR102039931 B1 KR 102039931B1 KR 1020190075853 A KR1020190075853 A KR 1020190075853A KR 20190075853 A KR20190075853 A KR 20190075853A KR 102039931 B1 KR102039931 B1 KR 1020399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horizontal
rod
flow preventing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5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인구
김도엽
Original Assignee
엘티메트릭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티메트릭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티메트릭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758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99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99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99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G01C15/02Means for marking measuring points
    • G01C15/06Surveyors' staffs; Movable mark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5/00Measuring height; Measuring distances transverse to line of sight; Levelling between separated points; Surveyors' leve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16Elements for restraining, or preventing the movement of, parts, e.g. for zerois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측지측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지다리와 그 상부에 결합된 지지판을 구비하는 삼각거치대, 상기 삼각거치대의 지지판에 선택적으로 탈착 가능한 레벨기, 상기 레벨기로부터 이격하여 지표면에 직립 설치되며 외측면에 눈금이 표시되는 표척기구, 상기 지지판의 상부에 선택적으로 탈착 가능한 지지부재의 일측과 표척기구 사이를 연결하는 수평길이조절기구 및 상기 지지판의 상부에 선택적으로 탈착 가능한 지지부재의 타측에 결합되는 수평맞춤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수준점 또는 기준점을 측량한 후, 수준점 또는 기준점을 나타내는 표석을 정확하게 설치할 수 있고, 표척기구의 높낮이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으며, 주변의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표척이 흔들리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는 수준점과 기준점 표석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측지측량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준점과 기준점 표석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측지측량장치{GEODETIC SURVEYING DEVICE FOR EASILY INSTALLING LEVEL AND REFERENCE POINTS}
본 발명은 측지측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표척의 높낮이를 쉽게 조절할 수 있으며, 수준점 또는 기준점 측량이 완료된 후 수준점 또는 기준점을 나타내는 표석을 정확하고 쉽게 설치할 수 있는 수준점과 기준점 표석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측지측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토목설계나 건축설계 등을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측지측량이 이루어져야 한다. 측지측량이란 수평거리와 고저차 및 방향을 측정하여 각 측정점들 상호간의 위치를 결정하여 이를 도면이나 수치로 표시하고, 현장에서 측설하는 제반 활동을 말하는 것이다.
이러한 측지측량 가운데 수준(level) 측량은 표척과 레벨기를 이용하여 두 지점 간의 높이차를 구하는 측량으로 그 정확도는 2급 수준 측량의 경우 5mm * S/2 (여기서, S는 편도거리로서 단위는 km 이다) 이내로 규정하고 있을 정도로 세밀한 측량이 요구된다.
도 1은 종래 표척과 레벨기를 이용하여 수준을 측량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제1단계로, 표척수(標尺手)가 표척(1)을 고도를 알고 있는 지상기준점(a0)에 세우고, 기계수(機械手)는 일정 거리 떨어진 제1관측점(b1)에서 레벨기 등의 측량기기(2)로 표척(1)의 눈금을 읽는다.
제2단계로, 표척수가 제1지점(a1)으로 이동하여 표척(1)을 세우고, 기계수가 관측점(b1)에서 레벨기 등의 측량기기(2)의 방향을 전환하여 레벨기 등의 측량기기(2)를 통해 제1지점의 표척 눈금을 읽는다. 여기서 지상기준점(a0)과 제1지점(a1)에서 읽은 눈금의 차와 지상기준점의 고도로부터 제1지점의 고도를 구한다.
제3단계로, 기계수는 제1지점(a1) 뒤의 제2관측점(b2)으로 이동하고, 표척수가 표척(1)을 제자리(제1지점)에서 방향 전환시켜 표척(1)이 레벨기 등의 측량기기(2)를 바라보도록 하면 기계수가 제2관측점(b2)에서 레벨기로 제1지점(a1)의 표척 눈금을 읽는다.
제4단계로, 표척수가 제2지점(a2)으로 이동하여 표척(1)을 세우고, 기계수가 제2관측점(b2)에서 제2지점(a2)의 표척 눈금을 읽는다. 여기서 제2관측점(b2)에서 읽은 제1지점(a1)과 제2지점(a2)의 눈금 차이로부터 제2지점의 고도를 구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표척(1)과 레벨기 등의 측량기기(2)를 계속하여 이동시키면서 각 지점의 표척과 각 관측점에서의 레벨기의 방향을 전환시켜 눈금을 읽어 목표지점까지 각 지점의 고도를 구한다.
이때, 표척이 세워지는 기준점(a0)이나 제1, 제2지점(a1, a2)과 레벨기 등의 측량기기(2)가 거치되는 제1, 제2관측점(b1, b2)의 표고차에 따라 표척의 높낮이를 조절해야 하는바, 종래의 표척은 상하 2개의 척대를 슬라이드 신축식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결합한다.
그러나 종래 측지측량을 위한 표척은 높낮이 조절과정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표척의 길이조절 과정에서 표척의 수직상태에 변동이 생기게 되어 다시 수직을 맞춰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종래 측지측량장치는 수준점 또는 기준점을 측량한 후, 수준점 또는 기준점을 나타내는 표석을 정확하게 설치하기 어려우므로 수준점 또는 기준점 측량에 있어서 활용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나아가, 종래 측지측량장치는 측지측량 과정에서 표척수가 지면에 세우고 있는 표척이 주변의 진동이나 충격을 받을 경우 일정 거리 떨어져 있는 레벨기에 의하여 표척의 눈금을 읽는 과정에서 표척이 흔들리게 되어 표척 눈금을 정확하게 읽을 수 없게 되고, 이에 따라 측량 오차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위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해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수준점 또는 기준점을 측량한 후, 수준점 또는 기준점을 나타내는 표석을 정확하게 설치할 수 있는 수준점과 기준점 표석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측지측량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표척기구의 높낮이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으며, 주변의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표척이 흔들리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는 수준점과 기준점 표석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측지측량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본 발명의 기재로부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지지다리와 그 상부에 결합된 지지판을 구비하는 삼각거치대; 상기 삼각거치대의 지지판에 선택적으로 탈착 가능한 레벨기; 상기 레벨기로부터 이격하여 지표면에 직립 설치되며 외측면에 눈금이 표시되는 표척기구; 상기 지지판의 상부에 선택적으로 탈착 가능한 지지부재의 일측과 표척기구 사이를 연결하는 수평길이조절기구; 및 상기 지지판의 상부에 선택적으로 탈착 가능한 지지부재의 타측에 결합되는 수평맞춤기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준점과 기준점 표석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측지측량장치에서 상기 수평길이조절기구는, 지지부재의 일측에 결합되며 내부에 수평삽입부가 형성되는 제1수평지지대; 및 제1수평지지대의 수평삽입부에 좌우로 이동 가능하도록 나사산 체결되는 제2수평지지대;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준점과 기준점 표석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측지측량장치에서 상기 수평맞춤기구는, 지지부재의 타측에 결합되며 내부에 맞춤삽입부가 형성되는 제1수평맞춤대; 제1수평맞춤대의 맞춤삽입부에 좌우로 이동 가능하도록 나사산 체결되는 제2수평맞춤대; 및 제2수평맞춤대의 외측면에 나사산 체결되는 다수의 하중너트; 를 포함하며, 상기 제1수평맞춤대와 제2수평맞춤대는 각각 제1수평지지대 및 제2수평지지대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준점과 기준점 표석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측지측량장치에서 상기 표척기구는, 내부에 축전지와 제어부가 내장되는 표척베이스; 표척베이스의 상부에 결합되며 외측면에 눈금이 표시된 내부가 빈 하부표척; 및 하부표척의 상부에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 가능하며 외측면에 눈금이 표시된 상부표척; 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준점과 기준점 표석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측지측량장치에서 상기 표척베이스는, 하부면에 소정의 공간을 가지도록 진입부가 함몰 형성되는 베이스케이스; 베이스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며 진입부의 상부에 장착되는 권취부; 권취부와 와이어를 매개로 연결되며 진입부를 통해 상하로 이동 가능한 중심추; 및 베이스케이스의 측부에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패널; 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준점과 기준점 표석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측지측량장치에서 상기 하부표척은, 하부표척의 내부 하면에 장착되는 승강모터; 승강모터에 결합되어 상하로 이동 가능하며 그 상단에 상부표척이 결합된 승강로드; 승강로드의 측부에 결합되어 하부표척의 내측면과 접촉 가능한 유동방지부; 및 하부표척의 내측면에 결합되며 승강로드가 관통할 수 있도록 승강홀이 중앙에 형성되는 완충부;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준점과 기준점 표석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측지측량장치에서 상기 유동방지부는, 승강로드의 측부에 결합되는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의 유동방지케이스; 유동방지케이스의 일측면을 관통하여 좌우로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유동방지로드; 유동방지로드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어 유동방지로드가 유동방지케이스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 유동방지로드의 타측 단부에 결합되어 하부표척의 내측면에 접촉될 수 있는 접촉부; 및 접촉부의 일면에 결합되는 다수의 반구형 유동마찰부; 및 이탈방지부와 유동방지케이스의 내측면 사이에 배치되어 유동방지로드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유동방지스프링; 을 포함하고, 상기 이탈방지부와 접촉부는 유동방지로드에 직교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유동방지케이스의 내측면에는 전류가 흐르면 자기화되는 전자석부가 결합되고, 유동방지케이스의 내측면과 마주보는 이탈방지부의 일측면에는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접속판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준점과 기준점 표석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측지측량장치에서 상기 완충부는, 중앙에 형성된 승강홀을 통해 승강로드가 관통할 수 있도록 결합되는 완충로드부; 완충로드부를 둘러쌀 수 있도록 배치되며 하부표척의 내측면에 고정 결합되는 완충케이스; 및 완충로드부와 완충케이스 사이에 배치되며 완충로드부의 일측에 장착된 주입구를 통해 내부로 공기가 주입될 수 있는 내부가 비어있는 링 형태의 완충고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완충로드부의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 걸림단부가 완충로드부의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며, 완충고무부의 상단과 하단 양 끝단에는 각각 걸림단부의 형태에 대응되는 결합단부가 형성되어 완충고무부가 완충로드부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결합단부에는 완충로드부의 둘레를 따라 링 형태로 감쌀 수 있도록 원형 로프가 삽입되며, 상기 완충케이스와 접촉되는 완충고무부의 내부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보강층이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수준점 또는 기준점 표석의 설치시 수준점 또는 기준점의 위치를 정확하게 확인하면서 표석을 설치할 수 있으므로 정확한 위치에 수준점 또는 기준점 표석을 설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표척기구의 상하 높낮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조절이 완료된 표척기구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측지측량 작업시 수직상태에 변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수준점 및 기준점 측량시에는 지지패널을 통해 표척기구의 직립을 용이하게 하고, 수준점 및 기준점 표석 설치시에는 지지패널을 통해 중심추에 의한 눈부심을 방지하여 중심추의 식별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완충부를 이용하여 상부표척이 외부의 충격이나 진동에 의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측지측량 작업의 정확성이 현저히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표척과 레벨기를 이용하여 수준을 측량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삼각거치대에 레벨기가 설치된 측지측량장치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삼각거치대에 수평길이조절기구 및 수평맞춤기구가 설치된 측지측량장치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평길이조절기구 및 수평맞춤기구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표척기구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동방지부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완충부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지측량장치를 이용한 수준점 또는 기준점을 측량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지측량장치를 이용한 굴착홈을 선정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지측량장치를 이용한 수준점 또는 기준점 표석을 설치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삼각거치대에 레벨기가 설치된 측지측량장치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삼각거치대에 수평길이조절기구 및 수평맞춤기구가 설치된 측지측량장치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준점과 기준점 표석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측지측량장치는 삼각거치대(100), 레벨기(200) 및 표척기구(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삼각거치대(100)는 다수의 지지다리(110)를 구비하며, 지지다리(110)의 상부에는 지지판(120)이 결합된다. 이러한 지지판(120)의 상부에는 레벨기(200)가 선택적으로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측지측량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삼각거치대(100)를 보관하고자 할 때에는 지지다리(110)를 오므려 보관하고, 측지측량 작업을 실시할 때에는 지지다리(110)를 펼쳐서 벌린 상태로 측지측량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레벨기(200)는 삼각거치대(100)의 지지판(12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수준 측량 또는 기준점 측량에 사용되는 통상의 측량기기가 사용된다. 상기 레벨기(200)는 통상의 결합 방식을 통해 설치되며, 레벨기를 대신하여 토탈스테이션 등이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표척기구(300)는 레벨기(200)로부터 이격하여 지표면에 직립 설치된다. 상기 표척기구(300)는 상하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며, 레벨기(200)를 통해 측지측량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외측면에 눈금이 표시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지지판(120)의 상부에는 레벨기(200) 대신 지지부재(400)가 선택적으로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400)의 일측에는 수평길이조절기구(500)가 결합되고, 지지부재(400)의 타측에는 수평맞춤기구(60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수평길이조절기구(500)는 지지부재(400)의 일측과 표척기구(300) 사이를 연결하여 지지부재(400)와 표척기구(300) 사이의 상대적인 길이를 가변시키고, 수평맞춤기구(600)는 지지부재(400)를 기준으로 수평길이조절기구(500) 및 표척기구(300)가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에서 상기 지지판(120)의 상부에 레벨기(200)가 결합되었을 때에는 측지측량 작업이 수행되고, 지지판(120)의 상부에 지지부재(400)가 결합되었을 때에는 수준점 또는 기준점 표석 설치 작업이 수행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평길이조절기구 및 수평맞춤기구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400)는 지지판(120)의 상부에 통상의 결합 방식으로 결합되고, 우측에 측방으로 제1나사부(410)가 형성되며, 좌측에 측방으로 제2나사부(420)가 형성된다.
상기 수평길이조절기구(500)는 제1수평지지대(510)와 제2수평지지대(5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수평지지대(510)에는 그 내부에 좌우로 개구된 수평삽입부(511)가 형성되고, 지지부재(400)의 제1나사부(410)에 나사산 체결된다.
상기 제2수평지지대(520)는 제1수평지지대(510)의 수평삽입부(511)에 좌우로 이동 가능하도록 나사산 체결된다. 상기 제2수평지지대(520)의 좌측 단부는 수평삽입부(511)에 삽입되고, 우측 단부는 후술되는 표척기구(300)의 고정너트(360)에 체결된다. 상기 제1수평지지대(510)와 제2수평지지대(520)의 상호 연결 구조를 통해 수평길이조절기구(500)는 길이가 신장되거나 축소된다.
상기 수평맞춤기구(600)는 제1수평맞춤대(610), 제2수평맞춤대(620) 및 다수의 하중너트(630)로 이루어진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수평맞춤기구(600)는 하나만 표현되어 있으나, 다양한 상황을 고려하여 다수 개가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수평맞춤대(610)의 내부에는 좌우로 개구된 맞춤삽입부(611)가 형성되고, 지지부재(400)의 제2나사부(420)에 나사산 체결된다. 상기 제1수평맞춤대(610)는 제1수평지지대(510)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수평맞춤대(620)는 제1수평맞춤대(610)의 맞춤삽입부(611)에 좌우로 이동 가능하도록 나사산 체결된다. 상기 제2수평맞춤대(620)는 제2수평지지대(520)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제1수평맞춤대(610)와 제2수평맞춤대(620)의 상호 연결 구조를 통해 수평맞춤기구(600)의 길이를 조절하고, 하중너트(630)의 수를 조절하여 수평길이조절기구(500) 및 표척기구(300)가 정확하게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제1수평맞춤대(610)와 제2수평맞춤대(620)가 각각 제1수평지지대(510) 및 제2수평지지대(520)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수평길이조절기구(500)의 손상시 신속한 대체가 가능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표척기구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표척기구(300)는 내부에 축전지(312)와 제어부(313)가 내장되는 표척베이스(310), 표척베이스의 상부에 결합되며 외측면에 눈금이 표시된 내부가 빈 하부표척(320) 및 하부표척의 상부에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 가능하며 외측면에 눈금이 표시된 상부표척(330)을 포함한다.
상기 표척베이스(310)는 하부표척(320)과 상부표척(330)을 지표면에 직립 설치할 때 기본이 되며, 베이스케이스(311), 권취부(314), 중심추(316) 및 지지패널(317)로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케이스(311)는 내부가 비어있어 축전지(312), 제어부(313) 및 권취부(314) 등이 내장되고, 그 하부면에는 소정의 공간을 가지도록 진입부(311a)가 함몰 형성된다.
상기 권취부(314)는 베이스케이스(311)의 내부에 배치되어 진입부(311a)의 상부에 장착된다. 상기 중심추(316)는 권취부(314)와 와이어(315)를 매개로 연결되며 진입부(311a)를 통해 상하로 이동 가능하다.
상기 진입부(311a)의 상하 방향 길이는 중심추(316)의 상하 방향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된다. 즉, 상기 중심추(316)가 와이어(315)에 의해 최상단으로 이동하였을 때 중심추(316)는 진입부(311a) 내부에 완전히 수납될 수 있다.
상기 권취부(314)는 축전지(312) 및 제어부(31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제어부(313)로부터 전달된 신호에 따라 와이어(315)를 감거나 풀어 중심추(316)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지지패널(317)은 베이스케이스(311)의 측부에 수평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지지패널(317)은 표척기구(300)의 설치시 지표면에 접촉되어 표척기구가 수직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지지패널(317)의 표면에는 색상이 들어간 셀로판 염색 필름 또는 빛 투과를 낮출 수 있는 필름이 코팅되어 중심추(316)의 빛 반사로 인한 눈부심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표척베이스(310) 상부에 결합된 하부표척(320)의 내부 하면에는 승강모터(321)가 장착되고, 상기 승강모터(321)는 그 상부에 결합된 승강로드(322)를 상하로 이동시킨다. 상기 승강로드(322)의 상단에는 상부표척(330)이 결합된다.
상기 승강모터(321)의 작동에 따라 상부표척(330)은 승강로드(322)를 매개로 상하로 이동 가능하다. 상기 승강모터(321)의 제어는 제어부(313)에 의해 이루어지며, 전원공급은 축전지(312)에 의해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승강로드(322)의 측부에는 하부표척(320)의 내측면과 접촉되어 상부표척(330)의 위치가 결정되었을 때 승강로드(322)가 더 이상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유동방지부(340)가 장착된다.
또한, 상기 하부표척(320)의 내측면에는 승강로드(322)가 관통할 수 있도록 완충부(350)가 결합된다. 상기 완충부(350)는 승강로드(322)의 경로를 안내함과 동시에 외부로부터 승강로드(322)에 진동이나 충격이 전달되었을 때 이를 감쇠하여 상부표척(330) 또는 하부표척(320)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동방지부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동방지부(340)는 유동방지케이스(341), 유동방지로드(342), 이탈방지부(343), 접촉부(344), 유동마찰부(345) 및 유동방지스프링(34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유동방지케이스(341)는 승강로드(322)의 측부에 결합되며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유동방지케이스(341)는 승강로드(322)에 2개가 결합되는 것으로 표현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3개, 4개 등 다양한 개수로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유동방지로드(342)는 유동방지케이스(341)의 일측면에 형성된 관통홀을 관통하여 좌우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유동방지로드(342)의 일측 단부에는 유동방지로드가 유동방지케이스(34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343)가 결합되고, 유동방지로드(342)의 타측 단부에는 하부표척(320)의 내측면에 접촉될 수 있는 접촉부(344)가 결합된다.
상기 이탈방지부(343)와 접촉부(344)는 유동방지로드(342)에 직교하도록 배치되고,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즉, 상기 유동방지로드(342), 이탈방지부(343) 및 접촉부(344)는 전체적으로 'H' 형태로 배치된다.
상기 접촉부(344)의 일면에는 유동마찰부(345)가 결합되어 하부표척(320)과의 마찰력을 증대시킨다. 특히, 상기 유동마찰부(345)는 다수의 반구형 돌기가 서로 연합된 형태로 형성되어 마찰력을 더욱 증대시키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일반적인 일자형 마찰부는 케이스 내측의 형태 등에 따라 접촉이 불량하여 충분한 마찰력을 얻을 수 없는데 비해,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반구형 유동마찰부(345)는 모든 상황에서도 어느 한 부분은 접촉될 수 있으므로 충분한 마찰력을 얻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동마찰부(345)는 에폭시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아라미드 섬유 5 내지 7 중량부, 폴리이미드 섬유 4 내지 5 중량부, 소석회 20 내지 30 중량부가 혼합된 혼합물과 산화알루미늄 연마제 20 내지 3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유동마찰부(345)는 하부표척(320)의 내측면과 접촉되어 승강로드(322) 및 상부표척(330)이 지정된 위치에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며, 접촉부(344)의 내마모성을 더불어 구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유동마찰부(345)를 구성하는 에폭시 수지는 분자 내에 에폭시기 2개 이상을 갖는 수지상 물질 및 에폭시기의 중합에 의해서 생긴 열경화성 수지를 의미하며, 기계적 성질이 우수하고 경화할 때 재료면에서 큰 접착력을 가지는 특성이 있다.
아리미드 섬유와 폴리이미드 섬유는 에폭시 수지의 보강재 역할을 하며, 유동마찰부(345)의 표면에 비규칙적인 돌기부 등을 형성하여 마찰력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한다.
아라미드 섬유가 5 중량부 미만, 폴리이미드 섬유가 4 중량부 미만이면 보강재 기능과 마찰력 증대 기능이 미미하고, 아라미드 섬유가 7 중량부 초과, 폴리이미드 섬유가 5 중량부 초과이면 기능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가격경쟁력을 악화시키는 원인이 된다.
소석회는 충전재 역할을 하며, 유동마찰부(345)의 전체적인 쿠션 효과를 결정하는 구성이다. 소석회가 20 중량부 미만이면 마찰부가 지나치게 경화되어 표면에 밀착하기 어렵고, 소석회가 30 중량부 초과이면 마찰부가 지나치게 부드러워 쉽게 떨어질 수 있다.
산화알루미늄 연마제는 유동마찰부(345)에 거칠기를 추가로 부여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산화알루미늄 연마제가 20 중량부 미만이면 거칠기 부여 효과가 미미하고, 산화알루미늄 연마제가 30 중량부 초과이면 마찰부가 지나치게 거칠어져 다른 부품에 손상을 가할 수 있다.
상기 유동방지스프링(346)은 이탈방지부(343)와 유동방지케이스(341)의 내측면 사이에 배치되어 유동방지로드(342)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한다. 즉, 기본적으로 별다른 외력이 없을 때 이탈방지부(343)는 유동방지스프링(346)에 의해 유동방지케이스(341)의 내측으로 이동하려는 힘이 작용한다.
한편, 상기 유동방지케이스(341)의 내측면에는 전류가 흐르면 자기화되는 전자석부(347)가 결합되며, 유동방지케이스(341)의 내측면과 마주보는 이탈방지부(343)의 일측면에는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접속판(348)이 결합된다.
상기 전자석부(347)는 제어부(313) 및 축전지(3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전자석부(347)에 전류가 흐르면 전자석부(347)와 접속판(348)은 접촉되고, 전자석부(347)에 전류가 흐르지 않으면 전자석부(347)와 접속판(348)은 유동방지스프링(346)에 의해 떨어진다.
다시 말하면, 전류가 흐르지 않을 때에는 유동방지스프링(346)이 당기고 있는 상태이므로 접촉부(344) 및 유동마찰부(345)가 최대한 인입된 상태를 유지하여 하부표척(320)의 내측면으로부터 떨어져 있으며, 전류가 흐를 때에는 전자석부(347)와 접속판(348)에 의해 유동방지스프링(346)의 탄성복원력을 극복하고 접촉부(344) 및 유동마찰부(345)가 하부표척(320)의 내측면에 접촉되므로 승강로드(322) 및 상부표척(330)이 움직이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완충부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완충부(350)는 중앙에 형성된 승강홀(351a)을 통해 승강로드(322)가 관통할 수 있도록 결합되는 완충로드부(351), 완충로드부를 둘러쌀 수 있도록 배치되며 하부표척(320)의 내측면에 고정 결합되는 완충케이스(352) 및 완충로드부와 완충케이스 사이에 배치되며 완충로드부의 일측에 장착된 주입구(354)를 통해 내부로 공기가 주입될 수 있는 내부가 비어있는 링 형태의 완충고무부(353)를 포함한다.
상기 완충로드부(351) 및 완충케이스(352)는 모두 내부가 비어있는 형태로 형성되고, 그 사이가 완충고무부(353)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즉, 완충고무부(353)는 완충로드부(351)를 둘러싸고 있는 내부가 비어있는 도넛 형태로 배치된다.
상기 주입구(354)를 통해 완충고무부(353) 내부에 충진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완충고무부(353)의 강성이 조절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은 승강로드 및 표척기구의 크기나 종류, 외부의 환경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강성을 조절하여 효과적으로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완충로드부(351)의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 걸림단부(351b)가 완충로드부(351)의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단부(351b)는 완충로드부(351)의 외측으로 연장된 후, 다시 완충로드부(351)의 길이방향으로 직교 연장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완충고무부(353)의 상단과 하단 양 끝단에는 각각 이러한 걸림단부(351b)의 형태에 대응되는 결합단부(353a)가 형성되어 완충고무부(353)가 완충로드부(351)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걸림단부(351b) 및 결합단부(353a)는 완충고무부(353) 내부의 공기 압력이 줄어들었을 때 완충고무부(353)가 완충로드부(351)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고, 완충고무부(353) 내부의 공기 압력이 지나치게 높아졌을 때 완충고무부(353)가 완충로드부(351)로부터 퉁겨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완충고무부(353)의 양 끝단에 배치된 결합단부(353a)의 내부에는 완충로드부(351)의 둘레를 따라 링 형태로 감쌀 수 있도록 원형의 로프(355)가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로프(355)는 완충고무부(353) 양 끝단의 결합단부(353a)를 완충로드부(351)에 강하게 압착하여 완충고무부(353) 내부에 주입된 공기의 밀폐력을 높이는 기능을 수행한다.
아울러, 상기 완충케이스(352)와 접촉되는 완충고무부(353)의 내부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보강층(356)이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강층(356)은 완충고무부(353)의 경도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경도의 소재로 이루어져 완충고무부(353)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보강층(356)은 아세테이트, 아크릴, 비닐론 및 금은사 중 어느 하나와 철선을 직물에 층층이 보강하고, 그 위에 얇은 탄성층을 부가하여 결합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준점과 기준점 표석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측지측량장치의 작동 모습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지측량장치를 이용한 수준점 또는 기준점을 측량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직접수준측량 또는 간접수준측량으로 수준점 또는 기준점을 측량할 때, 표척수는 일정한 지점에 표척기구(300)를 세우고, 기계수는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진 지점에서 레벨기(200) 또는 토탈스테이션 등을 이용하여 표척기구(300)의 눈금을 읽는다.
이때, 상기 표척베이스(310)의 측부에 연장된 지지패널(317)은 측량을 원하는 지점의 지표면에 완전히 밀착되고, 이에 따라 표척기구(300)가 안정적으로 직립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표척수는 제어부(313) 및 축전지(3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승강모터(321)를 작동하여 승강로드(322)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고, 이러한 과정에서 표척기구(300)는 쉽게 상하로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측지측량장치를 이용하여 측지측량 작업이 완료되면, 작업자는 수준점 또는 기준점 측량이 완료된 지점에 수준점 또는 기준점 표석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설치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지측량장치를 이용한 굴착홈을 선정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지측량장치를 이용한 수준점 또는 기준점 표석을 설치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작업자는 삼각거치대(100)의 지지판(120)으로부터 레벨기(200)를 분리한 후, 지지부재(400)를 장착한다. 그 다음 지지부재(400)의 일측에 제1수평지지대(510)를 결합하고, 제1수평지지대(510)의 수평삽입부(511)에 제2수평지지대(520)를 삽입 체결한다.
상기 제2수평지지대(520)의 단부는 표척기구(300)의 고정너트(360)에 결합되어 삼각거치대(100), 지지부재(400), 수평길이조절기구(500) 및 표척기구(300)의 연결이 완성된다.
이와 같이, 표척기구(300)가 연결되면, 작업자는 지지부재(400)의 타측에 제1수평맞춤대(610)를 결합하고, 제1수평맞춤대(610)의 맞춤삽입부(611)에 제2수평맞춤대(620)를 삽입 체결한다.
수평맞춤기구(600)까지 조립이 완료되면, 작업자는 제2수평지지대(520)를 좌우로 이동시켜 표척기구(300)의 위치를 조절하고, 수평맞춤기구(600)의 결합 위치를 조절하거나 하중너트(630)의 개수를 조절하여 수평길이조절기구(500)가 수평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
수평길이조절기구(500)가 수평을 이루면, 작업자는 권취부(314)의 와이어(315)를 풀어 중심추(316)가 진입부(311a) 밖으로 나오도록 하여 수준점 또는 기준점 표석을 설치하기 위한 굴착홈(G)의 위치를 표시한다.
수준점 또는 기준점 표석을 설치하기 위한 굴착홈(G)의 굴착이 이루어지면,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작업자는 중심추(316)를 바라보면서 하부표석(BS)을 굴착홈(G) 내에 배치시키고, 그 상부에 상부표석(TS)을 안착하여 수준점 또는 기준점 표석 설치를 완료한다.
이때, 중심추(316)와 상부표석(TS) 간의 거리가 가까워 상부표석(TS)에서 반사된 빛이 중심추(316)에서 다시 반사되어 중심추(316)의 빛 반사가 심할 수 있지만, 지지패널(317)이 이러한 눈부심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0 : 삼각거치대 110 : 지지다리 120 : 지지판
200 : 레벨기 300 : 표척기구 310 : 표척베이스
311 : 베이스케이스 311a : 진입부 312 : 축전지
313 : 제어부 314 : 권취부 315 : 와이어
316 : 중심추 317 : 지지패널 320 : 하부표척
321 : 승강모터 322 : 승강로드 330 : 상부표척
340 : 유동방지부 341 : 유동방지케이스 342 : 유동방지로드
343 : 이탈방지부 344 : 접촉부 345 : 유동마찰부
346 : 유동방지스프링 347 : 전자석부 348 : 접속판
350 : 완충부 351 : 완충로드부 351a : 승강홀
351b : 걸림단부 352 : 완충케이스 353 : 완충고무부
353a : 결합단부 354 : 주입구 355 : 로프
356 : 보강층 360 : 고정너트 400 : 지지부재
410 : 제1나사부 420 : 제2나사부 500 : 수평길이조절기구
510 : 제1수평지지대 511 : 수평삽입부 520 : 제2수평지지대
600 : 수평맞춤기구 610 : 제1수평맞춤대 611 : 맞춤삽입부
620 : 제2수평맞춤대 630 : 하중너트

Claims (1)

  1. 지지다리와 그 상부에 결합된 지지판을 구비하는 삼각거치대; 상기 삼각거치대의 지지판에 선택적으로 탈착 가능한 레벨기; 상기 레벨기로부터 이격하여 지표면에 직립 설치되며 외측면에 눈금이 표시되는 표척기구; 상기 지지판의 상부에 선택적으로 탈착 가능한 지지부재의 일측과 표척기구 사이를 연결하는 수평길이조절기구; 및 상기 지지판의 상부에 선택적으로 탈착 가능한 지지부재의 타측에 결합되는 수평맞춤기구; 를 포함하되,
    상기 수평길이조절기구는,
    지지부재의 일측에 결합되며 내부에 수평삽입부가 형성되는 제1수평지지대; 및 제1수평지지대의 수평삽입부에 좌우로 이동 가능하도록 나사산 체결되는 제2수평지지대; 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맞춤기구는,
    지지부재의 타측에 결합되며 내부에 맞춤삽입부가 형성되는 제1수평맞춤대; 제1수평맞춤대의 맞춤삽입부에 좌우로 이동 가능하도록 나사산 체결되는 제2수평맞춤대; 및 제2수평맞춤대의 외측면에 나사산 체결되는 다수의 하중너트; 를 포함하며, 상기 제1수평맞춤대와 제2수평맞춤대는 각각 제1수평지지대 및 제2수평지지대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표척기구는,
    내부에 축전지와 제어부가 내장되는 표척베이스; 표척베이스의 상부에 결합되며 외측면에 눈금이 표시된 내부가 빈 하부표척; 및 하부표척의 상부에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 가능하며 외측면에 눈금이 표시된 상부표척; 을 포함하며,
    상기 표척베이스는,
    하부면에 소정의 공간을 가지도록 진입부가 함몰 형성되는 베이스케이스; 베이스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며 진입부의 상부에 장착되는 권취부; 권취부와 와이어를 매개로 연결되며 진입부를 통해 상하로 이동 가능한 중심추; 및 베이스케이스의 측부에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패널; 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표척은,
    하부표척의 내부 하면에 장착되는 승강모터; 승강모터에 결합되어 상하로 이동 가능하며 그 상단에 상부표척이 결합된 승강로드; 승강로드의 측부에 결합되어 하부표척의 내측면과 접촉 가능한 유동방지부; 및 하부표척의 내측면에 결합되며 승강로드가 관통할 수 있도록 승강홀이 중앙에 형성되는 완충부; 를 포함하며,
    상기 유동방지부는,
    승강로드의 측부에 결합되는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의 유동방지케이스; 유동방지케이스의 일측면을 관통하여 좌우로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유동방지로드; 유동방지로드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어 유동방지로드가 유동방지케이스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 유동방지로드의 타측 단부에 결합되어 하부표척의 내측면에 접촉될 수 있는 접촉부; 및 접촉부의 일면에 결합되는 다수의 반구형 유동마찰부; 및 이탈방지부와 유동방지케이스의 내측면 사이에 배치되어 유동방지로드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유동방지스프링; 을 포함하고,
    상기 이탈방지부와 접촉부는 유동방지로드에 직교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유동방지케이스의 내측면에는 전류가 흐르면 자기화되는 전자석부가 결합되고, 유동방지케이스의 내측면과 마주보는 이탈방지부의 일측면에는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접속판이 결합되며,
    상기 완충부는,
    중앙에 형성된 승강홀을 통해 승강로드가 관통할 수 있도록 결합되는 완충로드부; 완충로드부를 둘러쌀 수 있도록 배치되며 하부표척의 내측면에 고정 결합되는 완충케이스; 및 완충로드부와 완충케이스 사이에 배치되며 완충로드부의 일측에 장착된 주입구를 통해 내부로 공기가 주입될 수 있는 내부가 비어있는 링 형태의 완충고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완충로드부의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 걸림단부가 완충로드부의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며, 완충고무부의 상단과 하단 양 끝단에는 각각 걸림단부의 형태에 대응되는 결합단부가 형성되어 완충고무부가 완충로드부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결합단부에는 완충로드부의 둘레를 따라 링 형태로 감쌀 수 있도록 원형 로프가 삽입되며, 상기 완충케이스와 접촉되는 완충고무부의 내부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보강층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준점과 기준점 표석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측지측량장치.
KR1020190075853A 2019-06-25 2019-06-25 수준점과 기준점 표석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측지측량장치 KR1020399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5853A KR102039931B1 (ko) 2019-06-25 2019-06-25 수준점과 기준점 표석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측지측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5853A KR102039931B1 (ko) 2019-06-25 2019-06-25 수준점과 기준점 표석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측지측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9931B1 true KR102039931B1 (ko) 2019-11-04

Family

ID=68578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5853A KR102039931B1 (ko) 2019-06-25 2019-06-25 수준점과 기준점 표석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측지측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9931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9109B1 (ko) * 2019-11-01 2020-01-22 주식회사 지오스토리 측지측량용 표척의 진동 감쇠 보호장치
KR102072038B1 (ko) * 2019-10-23 2020-01-31 (주)신한항업 야간측량이 가능한 수준측량장치
KR102171729B1 (ko) * 2020-03-19 2020-10-29 (주)원지리정보 수준점 및 기준점 측량과 표석 설치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측지측량장치
KR102319288B1 (ko) * 2021-05-28 2021-11-01 한국공간정보(주) 수준 측량을 위한 표척의 보조연결장치를 구비한 측지측량장치
KR102358114B1 (ko) * 2021-06-15 2022-02-08 지스텍코리아(주) 작업성이 향상되고 설치가 용이한 지하시설물 측량장치
CN114076587A (zh) * 2021-11-19 2022-02-22 山西路桥第一工程有限公司 一种隧道施工用地面沉降监测装置及其检测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9214B1 (ko) * 2013-08-20 2014-01-15 (주)미도지리정보 정밀수준측량용 인바스타프 높낮이 조절장치
KR101804933B1 (ko) * 2017-07-17 2017-12-05 (주)해강 측량용 표척의 안정적인 설치장치
KR101826797B1 (ko) * 2017-10-23 2018-02-07 주식회사 무림지앤아이 기준점 측량을 위한 지형측량용 수준측량장치
KR101829918B1 (ko) * 2017-10-13 2018-02-19 서광항업 주식회사 수준점 및 기준점 측량이 가능한 측지측량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9214B1 (ko) * 2013-08-20 2014-01-15 (주)미도지리정보 정밀수준측량용 인바스타프 높낮이 조절장치
KR101804933B1 (ko) * 2017-07-17 2017-12-05 (주)해강 측량용 표척의 안정적인 설치장치
KR101829918B1 (ko) * 2017-10-13 2018-02-19 서광항업 주식회사 수준점 및 기준점 측량이 가능한 측지측량장치
KR101826797B1 (ko) * 2017-10-23 2018-02-07 주식회사 무림지앤아이 기준점 측량을 위한 지형측량용 수준측량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2038B1 (ko) * 2019-10-23 2020-01-31 (주)신한항업 야간측량이 가능한 수준측량장치
KR102069109B1 (ko) * 2019-11-01 2020-01-22 주식회사 지오스토리 측지측량용 표척의 진동 감쇠 보호장치
KR102171729B1 (ko) * 2020-03-19 2020-10-29 (주)원지리정보 수준점 및 기준점 측량과 표석 설치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측지측량장치
KR102319288B1 (ko) * 2021-05-28 2021-11-01 한국공간정보(주) 수준 측량을 위한 표척의 보조연결장치를 구비한 측지측량장치
KR102358114B1 (ko) * 2021-06-15 2022-02-08 지스텍코리아(주) 작업성이 향상되고 설치가 용이한 지하시설물 측량장치
CN114076587A (zh) * 2021-11-19 2022-02-22 山西路桥第一工程有限公司 一种隧道施工用地面沉降监测装置及其检测方法
CN114076587B (zh) * 2021-11-19 2024-02-09 山西路桥第一工程有限公司 一种隧道施工用地面沉降监测装置及其检测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9931B1 (ko) 수준점과 기준점 표석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측지측량장치
KR102039932B1 (ko) 지표의 정밀한 수준측량이 가능한 측지측량장치
KR102171729B1 (ko) 수준점 및 기준점 측량과 표석 설치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측지측량장치
KR102039960B1 (ko) 효율적인 해안선 측량을 위한 기준점 배치 수로조사시스템
AU2007306706B2 (en) Target object used for retroflexion of optical radiation
US7155835B2 (en) Self-leveling laser alignment tool and method thereof which compensates for material stiffness of an included pendulum
KR101409187B1 (ko) 지표면의 수준측량과 지형 간 거리를 측량하는 측지용 삼각대의 지면충격 보호장치
KR101934414B1 (ko) 이중 수평 조절이 가능한 정준대 및 이를 이용한 측량기기의 수평 조절 방법
KR102035044B1 (ko) 왜곡 영상의 정밀한 보정이 가능한 영상처리 시스템
US7073269B2 (en) Self-leveling laser alignment tool and method thereof
KR101463911B1 (ko) 수준 측량용 스타프 높낮이 장치
KR102310846B1 (ko) 측지측량용 삼각대의 수평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측지측량장치
KR101568639B1 (ko)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레이저 레벨기
KR101804933B1 (ko) 측량용 표척의 안정적인 설치장치
KR101480719B1 (ko) 수준측량용 스태빌라이저
KR102069570B1 (ko) 진동 및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측지측량용 표척 구조
CN209703579U (zh) 一种多功能新型激光修坡仪
KR102336835B1 (ko) 국가기준점을 이용하는 측량 작업의 정밀도를 현저히 향상시킨 측지측량시스템
KR102017816B1 (ko) 실측으로 확인된 지리정보를 적용하여 오류를 보완할 수 있는 수치지도 제작시스템
KR102319786B1 (ko) 하수관용 측지측량 표척 구조
KR101949725B1 (ko) 지하시설물 측량을 위한 스타프장치
KR102309902B1 (ko) 토탈스테이션을 이용하여 기준점 기반 지형지물 측지측량 작업이 가능한 측지측량시스템
KR102415008B1 (ko) 기준점 측량 방법에 따라 측량 작업의 정밀도를 향상시킨 측지측량시스템
KR102203452B1 (ko) 수준 측량의 정밀도를 향상시킨 측지측량장치
KR102310848B1 (ko) 경사면에서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지피에스 기반 정밀 측지측량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