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9960B1 - 효율적인 해안선 측량을 위한 기준점 배치 수로조사시스템 - Google Patents

효율적인 해안선 측량을 위한 기준점 배치 수로조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9960B1
KR102039960B1 KR1020190076292A KR20190076292A KR102039960B1 KR 102039960 B1 KR102039960 B1 KR 102039960B1 KR 1020190076292 A KR1020190076292 A KR 1020190076292A KR 20190076292 A KR20190076292 A KR 20190076292A KR 102039960 B1 KR102039960 B1 KR 1020399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horizontal
buoyancy
rod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62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호영
곽동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스해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스해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스해양
Priority to KR10201900762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99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99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99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G01C15/002Active optical surveying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3/00Surveying specially adapted to open water, e.g. sea, lake, river or can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G01C15/02Means for marking measuring poi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30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an instrument;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a set of instru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 G09B29/003M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효율적인 해안선 측량을 위한 기준점 배치 수로조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본체와 그 상부에 결합되는 안장을 구비하는 수상오토바이, 상기 본체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이동기구; 상기 본체의 양 측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어 서로 대향되게 확장될 수 있는 한 쌍의 부력기구, 상기 본체의 수용공간에 설치되며 권취와이어를 매개로 각각 부력기구의 내측면에 연결되어 부력기구를 축소시키는 한 쌍의 권취기기, 상기 본체의 수용공간에 설치되며 공기주입구를 통해 부력기구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거나 부력기구 내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는 공압발생장치, 상기 본체 상부의 안장과 선택적으로 체결될 수 있으며 GPS측량기가 장착되는 측량기설치대, 상기 측량기설치대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측량기설치대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기구 및 상기 측량기설치대의 상부에 장착되어 연안 지형을 측량할 수 있는 레이저측량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해양기준점 측량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면서 동시에 해상에서 안정적으로 해안 지형도 측량할 수 있는 효율적인 해안선 측량을 위한 기준점 배치 수로조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효율적인 해안선 측량을 위한 기준점 배치 수로조사시스템{HYDROGRAPHIC INVESTIGATION SYSTEM FOR EFFICIENT COASTLINE SURVEYING}
본 발명은 수로조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해양기준점을 용이하게 측량할 수 있으며, 기동력을 가지면서 해상에서 안정적으로 해안 지형을 측량할 수 있는 효율적인 해안선 측량을 위한 기준점 배치 수로조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수로조사는 해상교통안전, 해양의 보전·이용·개발, 해양관할권의 확보 및 해양재해 예방을 목적으로 하는 수로측량, 해양관측, 항로조사 및 해양지명조사를 말하며, 하천·운하·항만 등을 건설하거나 개수 공사에 필요한 여러 가지 측량과 해안선과 연안의 자연환경 등을 조사하는 것도 포함된다.
최근에는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후 변화로 인해 해수면이 상승하고 태풍의 강도와 발생빈도가 증가함에 따라 해안에서의 태풍·해일로 인한 침수범람 피해가 우려되므로 침수범람의 피해를 최소화하고 해안 재해로부터 인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하여 침수범람지역을 정밀하게 예측할 수 있는 해안 정밀 지형도가 요구된다.
이와 같은 해안 정밀 지형도를 작성하기 위해서는 해양기준점을 측량하여야 한다. 해양기준점 측량은 GPS 측량장비를 이용하여 측량 작업을 실시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종래 해양기준점 측량은 GPS 측량장비를 별도의 운반수단을 이용하여 해양기준점 측량 위치까지 이송하거나 또는 작업자가 직접 들고 해양기준점 측량 위치까지 이송하여야 하므로 이송하는데 매우 불편함이 따른다.
아울러, 종래에는 해양기준점 측량과 해안선 측량이 각각 별도의 장비로 개별적으로 이루어지므로 측량 작업이 매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각각의 장비를 따로 이송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위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해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해양기준점 측량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면서 동시에 해상에서 안정적으로 해안 지형도 측량할 수 있는 효율적인 해안선 측량을 위한 기준점 배치 수로조사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수평조절부를 이용하여 레이저측정기의 수평을 쉽고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수로조사 작업의 정밀도가 향상되는 효율적인 해안선 측량을 위한 기준점 배치 수로조사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본 발명의 기재로부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본체와 그 상부에 결합되는 안장을 구비하는 수상오토바이; 상기 본체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이동기구; 상기 본체의 양 측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어 서로 대향되게 확장될 수 있는 한 쌍의 부력기구; 상기 본체의 수용공간에 설치되며 권취와이어를 매개로 각각 부력기구의 내측면에 연결되어 부력기구를 축소시키는 한 쌍의 권취기기; 상기 본체의 수용공간에 설치되며 공기주입구를 통해 부력기구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거나 부력기구 내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는 공압발생장치; 상기 본체 상부의 안장과 선택적으로 체결될 수 있으며 GPS측량기가 장착되는 측량기설치대; 상기 측량기설치대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측량기설치대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기구; 및 상기 측량기설치대의 상부에 장착되어 연안 지형을 측량할 수 있는 레이저측량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효율적인 해안선 측량을 위한 기준점 배치 수로조사시스템에서 상기 부력기구는, 일단이 수용공간 내부에 결합되고 타단이 본체를 관통하여 측방으로 돌출되며 그 내부에 제1삽입공간이 형성되고 그 일단에는 제1삽입공간과 연통되는 공기주입구가 형성되는 제1부력체; 일단이 제1삽입공간에 좌우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타단이 제1부력체를 관통하여 측방으로 돌출되며 그 내부에 제2삽입공간이 형성되는 제2부력체; 일단이 제2삽입공간에 좌우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타단이 제2부력체를 관통하여 측방으로 돌출되며 그 내부에 공기이동공간이 형성되는 제3부력체; 및 상기 제3부력체의 타단에 형성되어 공기이동공간과 연통되는 노즐부와 밸브를 매개로 결합되는 탄성 재질의 제4부력체;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효율적인 해안선 측량을 위한 기준점 배치 수로조사시스템에서 상기 권취기기는, 일단이 제3부력체의 공기이동공간의 말단에 결합되고 타단이 제1삽입공간과 제2삽입공간을 통과하여 제1부력체의 외부로 인출되는 권취와이어; 및 상기 권취와이어의 타단이 연결되어 권취와이어를 풀거나 감는 권취부;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효율적인 해안선 측량을 위한 기준점 배치 수로조사시스템에서 상기 측량기설치대는, 상기 안장에 형성된 슬라이드부에 그 일단이 삽입되어 좌우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다수의 체결홀이 형성된 수평지지대; 상기 체결홀에 나사산 체결되어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수직지지대; 상기 수직지지대의 측부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GPS측량기가 장착되는 GPS안착부; 상기 수직지지대의 상단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수평설치대; 상기 수평설치대의 상부면 중앙에 설치되며 그 상단에 구 형상의 회전돌기를 구비한 회전가이드; 상기 수평설치대의 상부면에 설치되며 회전가이드를 중심으로 4방향에 배치되는 승강 가능한 다수의 수평조절부; 및 상기 회전가이드의 회전돌기가 하부면 중앙에 삽입되고 다수의 수평지지부가 하부면을 접촉 지지하는 레이저안착부;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효율적인 해안선 측량을 위한 기준점 배치 수로조사시스템에서 상기 수평조절부는, 상기 수평설치대의 상부면에 결합되며 내부가 비어있는 수평케이스; 및 상기 수평케이스의 내부에 장착된 승강모터에 결합되어 상하로 이동 가능하며 그 상단이 레이저안착부의 하부면에 접촉되는 승강로드; 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로드의 측부에는 수평케이스의 내측면과 접촉되어 승강로드가 일시적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유동방지부가 장착되고, 상기 수평케이스의 내측면에는 승강로드가 관통할 수 있도록 완충부가 결합되어 승강로드의 경로를 안내함과 동시에 승강로드에 전달되는 진동을 감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효율적인 해안선 측량을 위한 기준점 배치 수로조사시스템에서 상기 유동방지부는, 승강로드의 측부에 결합되는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의 유동방지케이스; 유동방지케이스의 일측면을 관통하여 좌우로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유동방지로드; 유동방지로드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어 유동방지로드가 유동방지케이스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 유동방지로드의 타측 단부에 결합되어 수평케이스의 내측면에 접촉될 수 있는 접촉부; 및 접촉부의 일면에 결합되는 다수의 반구형 유동마찰부; 및 이탈방지부와 유동방지케이스의 내측면 사이에 배치되어 유동방지로드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유동방지스프링; 을 포함하고, 상기 이탈방지부와 접촉부는 유동방지로드에 직교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유동방지케이스의 내측면에는 전류가 흐르면 자기화되는 전자석부가 결합되며, 유동방지케이스의 내측면과 마주보는 이탈방지부의 일측면에는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접속판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효율적인 해안선 측량을 위한 기준점 배치 수로조사시스템에서 상기 완충부는, 중앙에 형성된 승강홀을 통해 승강로드가 관통할 수 있도록 결합되는 완충로드부; 완충로드부를 둘러쌀 수 있도록 배치되며 수평케이스의 내측면에 고정 결합되는 완충케이스; 및 완충로드부와 완충케이스 사이에 배치되며 완충로드부의 일측에 장착된 주입구를 통해 내부로 공기가 주입될 수 있는 내부가 비어있는 링 형태의 완충고무부; 를 포함하며, 상기 완충로드부의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 걸림단부가 완충로드부의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고, 완충고무부의 상단과 하단 양 끝단에는 각각 걸림단부의 형태에 대응되는 결합단부가 형성되어 완충고무부가 완충로드부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결합단부에는 완충로드부의 둘레를 따라 링 형태로 감쌀 수 있도록 원형 로프가 삽입되고, 상기 완충케이스와 접촉되는 완충고무부의 내부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보강층이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효율적인 해안선 측량을 위한 기준점 배치 수로조사시스템에서 상기 지지기구는, 상기 수직지지대의 하단에 선택적으로 체결될 수 있는 지지패널; 상기 지지패널의 일측면에 형성된 다리수용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지지다리; 상기 지지패널의 타측면에 결합되는 지지바퀴; 및 상기 지지패널의 양 측부에 결합되어 지지패널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위치고정부;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효율적인 해안선 측량을 위한 기준점 배치 수로조사시스템에서 상기 위치고정부는, 상기 지지패널의 양 측부에 결합되며 내부가 비어있는 고정케이스; 상기 고정케이스의 내부에 결합되어 고정와이어를 풀거나 감는 고정윈치; 및 상기 고정윈치와 고정와이어를 매개로 결합되며 지면에 삽입 가능한 쐐기 형태로 형성된 고정구;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효율적인 해안선 측량을 위한 기준점 배치 수로조사시스템에서 상기 레이저안착부의 상부면에는 수평계가 설치되어 레이저안착부의 수평 정도를 측정하고 측정한 수평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 범위를 벗어나면 재측량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레이저측량기는 레이저안착부에 설치되어 수평계로부터 재측량신호를 수신하면 측량한 데이터를 재측량데이터로 분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해양기준점 측량을 위한 장비의 이동이 편리하여 해양기준점 측량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으며, 해안선 측량 기능을 갖추고 있어 해양기준점 측량과 더불어 해안선 측량을 함께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육지와 해상을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수상오토바이를 이용하여 기동성 있게 해안 지역을 이동하면서 측량 조사 작업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레이저측량기를 통해 해안 지형을 측량할 시, 레이저측량기의 수평이 기준 값을 벗어나면 측량한 데이터를 재측량 데이터로 분류함으로써, 보다 정밀한 해안 지형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상오토바이의 양 측부에 공기가 주입되어 확장될 수 있는 부력기구가 설치되어 측량 위치에 배치된 수상오토바이가 보다 안정적으로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레이저측량기의 하부에 승강 가능한 다수의 수평조절부를 배치하여 레이저측량기가 최대한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로조사 작업의 정밀도가 현저히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효율적인 해안선 측량을 위한 기준점 배치 수로조사시스템을 도시한 부분 정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로조사시스템의 부력기구가 펼쳐진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력기구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효율적인 해안선 측량을 위한 기준점 배치 수로조사시스템을 도시한 부분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량기설치대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평조절부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동방지부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완충부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량기설치대가 지면을 이동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량기설치대가 해양기준점을 측량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상오토바이가 수면에 배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4부력체가 부풀어오른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효율적인 해안선 측량을 위한 기준점 배치 수로조사시스템을 도시한 부분 정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로조사시스템의 부력기구가 펼쳐진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로조사시스템은 기본적으로 수상오토바이(100), 이동기구(200), 부력기구(300), 권취기기(400) 및 공압발생장치(500)를 포함한다.
상기 수상오토바이(100)는 육지와 수상을 이동할 수 있으며, 본체(110) 및 그 상부에 결합된 안장(120)을 구비한다. 본체(110)의 내부에는 수용공간(111)이 형성되어 각종 부품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수상오토바이(100)는 수상을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추진장치 및 방향을 전환하는 조향장치 등 수상 이동을 위한 구성을 갖출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상오토바이(100)는 소형 선박, 소형 보트 등 다양한 수상 이동 수단으로 대체할 수 있다.
상기 이동기구(200)는 수상오토바이 본체(110)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는 이동바(210) 및 이동바의 양측에 설치되는 이동바퀴(220)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기구(200)는 수상오토바이(100)의 하부에 전후 방향을 따라 다수 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부력기구(300)는 본체(110)의 양 측부에 서로 대향되도록 한 쌍이 설치되며, 내부로 공기가 주입되어 확장될 수 있다. 상기 부력기구(300)의 일단은 수용공간(111)에 고정 결합되고, 타단은 본체(110)의 측부를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부력기구(300)가 공기의 주입에 의해 확장됨에 따라 수상오토바이(100)는 수면 위에서 안정적으로 수평을 유지하면서 서있을 수 있다. 상기 부력기구(300)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권취기기(400)는 본체(110)의 수용공간(111)에 한 쌍으로 설치되며, 권취와이어(420)를 매개로 각각 부력기구(300)의 내측면에 연결되어 부력기구(300)를 축소시킨다. 상기 권취기기(400)에 대한 상세한 내용 역시 부력기구(300)와 함께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공압발생장치(500)는 본체(110)의 수용공간(111)에 설치되며, 부력기구(300)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거나 부력기구(300) 내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공압발생장치(500)는 팬을 구비하여 공압을 발생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력기구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력기구(300)는 제1부력체(310), 제2부력체(320), 제3부력체(330) 및 제4부력체(340)로 이루어지며, 수상오토바이(100)의 양측에 서로 대향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제1부력체(310)는 일단이 수용공간(111) 내부에 결합되고 타단이 본체(110)를 관통하여 측방으로 돌출된다. 상기 제1부력체(310)의 내부에는 제1삽입공간(3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1삽입공간(311)과 연통될 수 있도록 공기주입구(312)가 형성된다. 상기 제1부력체(310)는 위에서 보았을 때 전체적으로 판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부력체(320)는 일단이 제1삽입공간(311)에 좌우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타단이 제1부력체(310)를 관통하여 측방으로 돌출된다. 제2부력체(320)의 내부에는 제2삽입공간(321)이 형성되며, 제2부력체(320) 역시 위에서 보았을 때 전체적으로 판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3부력체(330)는 일단이 제2삽입공간(321)에 좌우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타단이 제2부력체(320)를 관통하여 측방으로 돌출된다. 제3부력체(330)의 내부에는 공기이동공간(331)이 형성되며, 제3부력체(330)는 위에서 보았을 때 전체적으로 판 형태로 이루어진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1부력체(310), 제2부력체(320) 및 제3부력체(330)는 서로 다단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공기주입구(312)를 통해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었을 때 제1부력체(310), 제2부력체(320) 및 제3부력체(330) 순으로 순차적으로 펼쳐지게 된다.
상기 제3부력체(330)의 타단에는 공기이동공간(331)과 연통되는 노즐부(341)가 설치되고, 이러한 노즐부(341)에는 밸브(342)가 설치된다. 상기 밸브(342)는 전자식 밸브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제4부력체(340)는 제3부력체(330)의 노즐부(341)에 결합되며, 밸브(342)의 개방시 노즐부(341)를 통과하는 공기를 공급받아 부풀어 오른다. 상기 제4부력체(340)는 주름 주머니 형상을 이루며 탄성을 가진다.
상기 권취기기(400)는 권취와이어(420) 및 권취부(410)를 포함하며, 본체(110)의 수용공간(111)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권취와이어(420)는 일단이 제3부력체(330)의 공기이동공간(331)의 말단에 결합되고 타단이 제1삽입공간(311)과 제2삽입공간(321)을 통과하여 제1부력체(310)의 외부로 인출된다.
상기 권취부(410)는 권취와이어(420)의 타단이 연결되어 권취와이어(420)를 풀거나 감을 수 있다. 상기 권취부(410)의 내부에는 탄성스프링이 내장되어 권취와이어(420)에 작용하는 외력이 사라지면 자연스럽게 권취와이어(420)를 감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공압발생장치(500)는 본체(110)의 수용공간(111) 내부에 설치되고, 제1부력체(310)의 일측에 형성된 공기주입구(312)를 통해 부력기구(300) 내부로 공기를 주입하거나 부력기구(300)로부터 공기를 흡입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공압발생장치(500)는 제1부력체(310)의 제1삽입공간(311), 제2부력체(320)의 제2삽입공간(321) 및 제3부력체(330)의 공기이동공간(331)에 공기를 공급하거나 또는 반대로 제1부력체(310)의 제1삽입공간(311), 제2부력체(320)의 제2삽입공간(321) 및 제3부력체(330)의 공기이동공간(331)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밸브(342)는 제어유닛(3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개폐될 수 있다. 상기 제어유닛(350)은 본체(110)에 설치될 수 있으며, 밸브(342)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하여 밸브(342)를 제어하고, 이에 따라 제4부력체(340)로의 공기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효율적인 해안선 측량을 위한 기준점 배치 수로조사시스템을 도시한 부분 측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량기설치대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로조사시스템은 본체(110) 상부의 안장(120)과 선택적으로 체결될 수 있으며 GPS측량기(G)가 장착되는 측량기설치대(600), 상기 측량기설치대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측량기설치대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기구(700) 및 상기 측량기설치대의 상부에 장착되어 연안 지형을 측량할 수 있는 레이저측량기(800)를 포함한다.
상기 측량기설치대(600)는 수평지지대(610), 수직지지대(620), GPS안착부(630), 수평설치대(640), 회전가이드(650), 수평조절부(660) 및 레이저안착부(670)를 포함한다.
상기 안장(120)의 내부에는 횡방향으로 개구된 슬라이드부(121)가 형성되고, 안장(120)의 일측 단부(도시된 실시예에서 좌측 단부)에는 상하로 관통홀이 형성된 브라켓(122)이 형성된다.
상기 수평지지대(610)는 이러한 안장(120)의 슬라이드부(121)에 일단이 삽입되어 좌우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다수의 체결홀(611)이 형성된다. 상기 수평지지대(610)와 안장(120)은 체결홀(611) 및 브라켓(122)을 관통하는 볼트에 의해 체결된다.
상기 수직지지대(620)는 체결홀(611)에 나사산 체결되어 수직 방향으로 설치된다. 상기 수직지지대(620)는 전체적으로 바 형상을 이루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상기 GPS안착부(630)는 수직으로 설치된 수직지지대(620)의 측부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GPS안착부(630)에는 GPS측량기(G)가 장착되어 해양기준점 측량시 활용된다.
상기 수평설치대(640)는 수직지지대(620)의 상단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된다. 상기 수평설치대(640)의 상부면 중앙에는 회전가이드(650)가 결합되고, 회전가이드(650)를 중심으로 승강 가능한 4개의 수평조절부(660)가 4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회전가이드(650)는 수평설치대(640)의 상부로 연장되는 회전로드(651)와 회전로드의 상단헤 형성된 구 형상의 회전돌기(652)를 구비한다. 상기 회전돌기(652)가 레이저안착부(670)의 하부면 중앙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레이저안착부(670)는 회전가이드(650)를 기준으로 일측이 상하로 회동하여 소정의 기울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수평조절부(660)는 레이저안착부(670)의 하부면을 접촉 지지하여 레이저안착부(670)가 수평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수평조절부(660)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아래에서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레이저안착부(670)는 회전가이드(650) 및 수평조절부(660)를 매개로 수평설치대(640)의 상부에 이격 배치되며, 레이저안착부(670)에는 레이저측량기(800)가 장착되어 해안 지형을 측량한다.
또한, 상기 레이저안착부(670)의 상부면에는 수평계(810)가 설치되어 레이저안착부(670)의 수평 정도를 측정한다. 상기 수평계(810)로는 디지털수평계가 사용될 수 있으며, 수평계(810)에 의해 측정된 레이저안착부(670)의 수평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 범위를 벗어나면 재측량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레이저측량기(800)는 육상용 레이저 스캐너 시스템(RIEGL LMS-Z420i)이 사용될 수 있으며, 장거리 3차원 스캐너 및 이와 연동된 고화질의 디지털 카메라(NICON-D20)로 구성된다.
상기 레이저측량기(800)는 레이저안착부(670)에 설치되어 연안 지형을 측량하며, 연안 지형 측량 시 수평계(810)로부터 재측량신호를 수신하면 측량한 데이터를 재측량데이터로 분류하는 기능을 더 포함한다.
상기 지직기구는 수직지지대(620)의 하단에 선택적으로 체결될 수 있는 지지패널(710), 상기 지지패널의 일측면에 형성된 다리수용부(721)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지지다리(720), 상기 지지패널의 타측면에 결합되는 지지바퀴(730) 및 상기 지지패널의 양 측부에 결합되어 지지패널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위치고정부(740)를 포함한다.
상기 위치고정부(740)는 지지패널(710)의 양 측부에 결합되며 내부가 비어있는 고정케이스(741), 상기 고정케이스의 내부에 결합되어 고정와이어(743)를 풀거나 감는 고정윈치(742) 및 상기 고정윈치와 고정와이어를 매개로 결합되며 지면에 삽입 가능한 쐐기 형태로 형성된 고정구(744)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윈치(742)는 고정와이어(743)를 풀거나 감을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하며, 측량기설치대(600)가 지면에서 일정 위치로 이동한 다음, 고정구(744)가 지면에 이를 때까지 고정와이어(743)를 풀 수 있다.
사용자가 고정구(744)를 지면에 삽입하면, 지지패널(710)의 양 측부가 지면과 팽팽하게 고정되어 측량기설치대(600)가 더 이상 흔들리지 않고 완고하게 지면에 고정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평조절부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조절부(660)는 수평설치대(640)의 상부면에 결합되며 내부가 비어있는 수평케이스(661) 및 상기 수평케이스의 내부에 장착된 승강모터(663)에 결합되어 상하로 이동 가능하며 그 상단이 레이저안착부(670)의 하부면에 접촉되는 승강로드(662)를 포함한다.
상기 승강모터(663)의 작동에 따라 승강로드(662)는 상하로 이동 가능하다. 상기 승강모터(663)의 제어는 제어유닛(350)에 의해 이루어지며, 사용자가 수동으로 제어하거나 또는 수평계(810)가 레이저안착부(670)의 기울기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제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승강로드(662)의 측부에는 수평케이스(661)의 내측면과 접촉되어 승강로드(662)의 위치가 결정되었을 때 승강로드(662)가 더 이상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유동방지부(680)가 장착된다.
상기 레이저안착부(670)의 수평이 확정되면 작업자의 제어기 조작 또는 외부 바람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레이저안착부(670)의 흔들림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유동방지부(680)를 이용하여 수평조절부(660)를 고정시킨다.
또한, 상기 수평케이스(661)의 내측면에는 승강로드(662)가 관통할 수 있도록 완충부(690)가 결합된다. 상기 완충부(690)는 승강로드(662)의 경로를 안내함과 동시에 외부로부터 승강로드(662)에 진동이나 충격이 전달되었을 때 이를 감쇠하여 레이저안착부(670) 및 레이저측량기(800)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동방지부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동방지부(680)는 유동방지케이스(681), 유동방지로드(682), 이탈방지부(683), 접촉부(684), 유동마찰부(685) 및 유동방지스프링(68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유동방지케이스(681)는 승강로드(662)의 측부에 결합되며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유동방지케이스(681)는 승강로드(662)에 2개가 결합되는 것으로 표현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3개, 4개 등 다양한 개수로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유동방지로드(682)는 유동방지케이스(681)의 일측면에 형성된 관통홀을 관통하여 좌우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유동방지로드(682)의 일측 단부에는 유동방지로드가 유동방지케이스(68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683)가 결합되고, 유동방지로드(682)의 타측 단부에는 수평케이스(661)의 내측면에 접촉될 수 있는 접촉부(684)가 결합된다.
상기 이탈방지부(683)와 접촉부(684)는 유동방지로드(682)에 직교하도록 배치되고,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즉, 상기 유동방지로드(682), 이탈방지부(683) 및 접촉부(684)는 전체적으로 'H' 형태로 배치된다.
상기 접촉부(684)의 일면에는 유동마찰부(685)가 결합되어 수평케이스(661)와의 마찰력을 증대시킨다. 특히, 상기 유동마찰부(685)는 다수의 반구형 돌기가 서로 연합된 형태로 형성되어 마찰력을 더욱 증대시키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일반적인 일자형 마찰부는 케이스 내측의 형태 등에 따라 접촉이 불량하여 충분한 마찰력을 얻을 수 없는데 비해,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반구형 유동마찰부(685)는 모든 상황에서도 어느 한 부분은 접촉될 수 있으므로 충분한 마찰력을 얻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동마찰부(685)는 에폭시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아라미드 섬유 5 내지 7 중량부, 폴리이미드 섬유 4 내지 5 중량부, 소석회 20 내지 30 중량부가 혼합된 혼합물과 산화알루미늄 연마제 20 내지 3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유동마찰부(685)는 수평케이스(661)의 내측면과 접촉되어 승강로드(662)가 지정된 위치에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며, 접촉부(684)의 내마모성을 더불어 구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유동마찰부(685)를 구성하는 에폭시 수지는 분자 내에 에폭시기 2개 이상을 갖는 수지상 물질 및 에폭시기의 중합에 의해서 생긴 열경화성 수지를 의미하며, 기계적 성질이 우수하고 경화할 때 재료면에서 큰 접착력을 가지는 특성이 있다.
아리미드 섬유와 폴리이미드 섬유는 에폭시 수지의 보강재 역할을 하며, 유동마찰부(685)의 표면에 비규칙적인 돌기부 등을 형성하여 마찰력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한다.
아라미드 섬유가 5 중량부 미만, 폴리이미드 섬유가 4 중량부 미만이면 보강재 기능과 마찰력 증대 기능이 미미하고, 아라미드 섬유가 7 중량부 초과, 폴리이미드 섬유가 5 중량부 초과이면 기능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가격경쟁력을 악화시키는 원인이 된다.
소석회는 충전재 역할을 하며, 유동마찰부(685)의 전체적인 쿠션 효과를 결정하는 구성이다. 소석회가 20 중량부 미만이면 마찰부가 지나치게 경화되어 표면에 밀착하기 어렵고, 소석회가 30 중량부 초과이면 마찰부가 지나치게 부드러워 쉽게 떨어질 수 있다.
산화알루미늄 연마제는 유동마찰부(685)에 거칠기를 추가로 부여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산화알루미늄 연마제가 20 중량부 미만이면 거칠기 부여 효과가 미미하고, 산화알루미늄 연마제가 30 중량부 초과이면 마찰부가 지나치게 거칠어져 다른 부품에 손상을 가할 수 있다.
상기 유동방지스프링(686)은 이탈방지부(683)와 유동방지케이스(681)의 내측면 사이에 배치되어 유동방지로드(682)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한다. 즉, 기본적으로 별다른 외력이 없을 때 이탈방지부(683)는 유동방지스프링(686)에 의해 유동방지케이스(681)의 내측으로 이동하려는 힘이 작용한다.
한편, 상기 유동방지케이스(681)의 내측면에는 전류가 흐르면 자기화되는 전자석부(687)가 결합되며, 유동방지케이스(681)의 내측면과 마주보는 이탈방지부(683)의 일측면에는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접속판(688)이 결합된다.
상기 전자석부(687)는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전자석부(687)에 전류가 흐르면 전자석부(687)와 접속판(688)은 서로 접촉되고, 전자석부(687)에 전류가 흐르지 않으면 전자석부(687)와 접속판(688)은 유동방지스프링(686)에 의해 떨어진다.
다시 말하면, 전류가 흐르지 않을 때에는 유동방지스프링(686)이 당기고 있는 상태이므로 접촉부(684) 및 유동마찰부(685)가 최대한 인입된 상태를 유지하여 수평케이스(661)의 내측면으로부터 떨어져 있으며, 전류가 흐를 때에는 전자석부(687)와 접속판(688)에 의해 유동방지스프링(686)의 탄성복원력을 극복하고 접촉부(684) 및 유동마찰부(685)가 수평케이스(661)의 내측면에 접촉되므로 승강로드(662)가 움직이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완충부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완충부(690)는 중앙에 형성된 승강홀(691a)을 통해 승강로드(662)가 관통할 수 있도록 결합되는 완충로드부(691), 완충로드부를 둘러쌀 수 있도록 배치되며 수평케이스(661)의 내측면에 고정 결합되는 완충케이스(692) 및 완충로드부와 완충케이스 사이에 배치되며 완충로드부의 일측에 장착된 주입구(694)를 통해 내부로 공기가 주입될 수 있는 내부가 비어있는 링 형태의 완충고무부(693)를 포함한다.
상기 완충로드부(691) 및 완충케이스(692)는 모두 내부가 비어있는 형태로 형성되고, 그 사이가 완충고무부(693)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즉, 완충고무부(693)는 완충로드부(691)를 둘러싸고 있는 내부가 비어있는 도넛 형태로 배치된다.
상기 주입구(694)를 통해 완충고무부(693) 내부에 충진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완충고무부(693)의 강성이 조절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은 시스템의 전체적인 크기나 종류, 외부의 환경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강성을 조절하여 효과적으로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완충로드부(691)의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 걸림단부(691b)가 완충로드부(691)의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단부(691b)는 완충로드부(691)의 외측으로 연장된 후, 다시 완충로드부(691)의 길이방향으로 직교 연장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완충고무부(693)의 상단과 하단 양 끝단에는 각각 이러한 걸림단부(691b)의 형태에 대응되는 결합단부(693a)가 형성되어 완충고무부(693)가 완충로드부(691)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걸림단부(691b) 및 결합단부(693a)는 완충고무부(693) 내부의 공기 압력이 줄어들었을 때 완충고무부(693)가 완충로드부(691)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고, 완충고무부(693) 내부의 공기 압력이 지나치게 높아졌을 때 완충고무부(693)가 완충로드부(691)로부터 퉁겨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완충고무부(693)의 양 끝단에 배치된 결합단부(693a)의 내부에는 완충로드부(691)의 둘레를 따라 링 형태로 감쌀 수 있도록 원형의 로프(695)가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로프(695)는 완충고무부(693) 양 끝단의 결합단부(693a)를 완충로드부(691)에 강하게 압착하여 완충고무부(693) 내부에 주입된 공기의 밀폐력을 높이는 기능을 수행한다.
아울러, 상기 완충케이스(692)와 접촉되는 완충고무부(693)의 내부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보강층(696)이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강층(696)은 완충고무부(693)의 경도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경도의 소재로 이루어져 완충고무부(693)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보강층(696)은 아세테이트, 아크릴, 비닐론 및 금은사 중 어느 하나와 철선을 직물에 층층이 보강하고, 그 위에 얇은 탄성층을 부가하여 결합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효율적인 해안선 측량을 위한 기준점 배치 수로조사시스템의 작동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량기설치대가 지면을 이동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량기설치대가 해양기준점을 측량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이다.
해안선을 측량하기 위해 작업자는 육상에서 해양기준점을 측량한다. 해양기준점 측량은 본 발명에 따른 GPS측량기(G)와 더불어 또 다른 GPS측량기를 이용하여 정지측량을 통해 이루어진다.
우선, 작업자는 측량기설치대(600)의 수직지지대(620), GPS안착부(630), GPS측량기(G) 및 지지기구(700)를 수상오토바이(100)로부터 분리한 후, 도 9와 같이 지지기구(700)의 지지바퀴(730)가 지면을 향하도록 지지패널(710)을 조립한다.
그 다음, 작업자는 지지기구(700)를 밀어서 해양기준점 측량을 위한 측량 위치까지 GPS측량기(G)를 이동시킨다.
이동이 완료되면,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지지패널(710)을 뒤집어 지지다리(720)가 지면을 향하도록 재조립하고, 지지다리(720)를 회동시켜 지지기구(700)가 지면에 거치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지지패널(710)의 양 측부에는 위치고정부(740)가 더 설치되고, 작업자는 고정윈치(742)를 작동하여 고정와이어(743)를 푼 다음, 쐐기 형태로 형성된 고정구(744)를 지면에 삽입하여 지지패널(710)이 단단하게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상오토바이가 수면에 배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4부력체가 부풀어오른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이다.
전술한 것과 같이 해양기준점 측량이 이루어지면, 작업자는 측량기설치대(600)의 수직지지대(620), GPS안착부(630), GPS측량기(G) 및 지지기구(700)를 수상오토바이(100)에 실은 후, 수상오토바이(100)를 해안까지 이동시킨다.
그리고 작업자는 수상오토바이(100)에서 이동기구(200)를 분리한 후 수상오토바이(100)를 수면 위에 부양시키고, 측량하고자 하는 해안 지형과 대향되는 위치까지 수상오토바이(100)를 이동시킨다.
이때, 파도에 의해 수상오토바이(100)가 수평을 제대로 이루지 못하면, 작업자는 공압발생장치(500)를 구동하여 부력기구(300)에 공기를 주입하고, 부력기구(300)는 수상오토바이(100)의 양측으로 펼쳐지게 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력기구(300)의 제1부력체(310), 제2부력체(320) 및 제3부력체(330)가 순차적으로 펼쳐지면서 수상오토바이(100)는 더욱 안정적으로 수면에 위치할 수 있다.
이후, 작업자는 전술한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수평지지대(610)를 안장(120)에 체결하고, 수평지지대(610)의 다수의 체결홀(611) 중 하나에 수직지지대(620)를 설치하여 수직지지대(620)의 위치를 조절한다.
이와 같이 측량기설치대(600)가 수면에 설치되면 작업자는 레이저측량기(800)를 이용하여 해안선 지형을 측량한다.
한편,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부력체(310), 제2부력체(320) 및 제3부력체(330)가 모두 펼쳐진 상태에서도 수상오토바이(100)가 수평을 제대로 잡지 못하면, 밸브(342)를 개방하여 다수의 제4부력체(340) 중 일부에 공기가 유입되도록 한다.
상기 제4부력체(340)는 제3부력체(330)의 외측에 위치하여 일부만 선택적으로 부풀어오를 수 있으므로 수상오토바이(100)가 수면에서 더욱 정밀하게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부력기구(300)를 이용하여 수상오토바이(100)의 수평이 1차적으로 맞추어지면, 작업자는 수평조절부(660)를 미세하게 조절하여 레이저안착부(670)의 수평을 더욱 세밀하게 조정하고, 레이저측량기(800)는 완벽한 수평을 이룰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0 : 수상오토바이 110 : 본체 111 : 수용공간
120 : 안장 121 : 슬라이드부 122 : 브라켓
200 : 이동기구 210 : 이동바 220 : 이동바퀴
300 : 부력기구 310 : 제1부력체 311 : 제1삽입공간
312 : 공기주입구 320 : 제2부력체 321 : 제2삽입공간
330 : 제3부력체 331 : 공기이동공간 340 : 제4부력체
341 : 노즐부 342 : 밸브 350 : 제어유닛
400 : 권취기기 410 : 권취부 420 : 권취와이어
500 : 공압발생장치 600 : 측량기설치대 610 : 수평지지대
611 : 체결홀 620 : 수직지지대 630 : GPS안착부
640 : 수평설치대 650 : 회전가이드 651 : 회전로드
652 : 회전돌기 660 : 수평조절부 661 : 수평케이스
662 : 승강로드 663 : 승강모터 670 : 레이저안착부
680 : 유동방지부 681 : 유동방지케이스 682 : 유동방지로드
683 : 이탈방지부 684 : 접촉부 685 : 유동마찰부
686 : 유동방지스프링 687 : 전자석부 688 : 접속판
690 : 완충부 691 : 완충로드부 691a : 승강홀
691b : 걸림단부 692 : 완충케이스 693 : 완충고무부
693a : 결합단부 694 : 주입구 695 : 로프
696 : 보강층 700 : 지지기구 710 : 지지패널
720 : 지지다리 721 : 다리수용부 730 : 지지바퀴
740 : 위치고정부 741 : 고정케이스 742 : 고정윈치
743 : 고정와이어 744 : 고정구 800 : 레이저측량기
810 : 수평계

Claims (1)

  1.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본체와 그 상부에 결합되는 안장을 구비하는 수상오토바이; 상기 본체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이동기구; 상기 본체의 양 측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어 서로 대향되게 확장될 수 있는 한 쌍의 부력기구; 상기 본체의 수용공간에 설치되며 권취와이어를 매개로 각각 부력기구의 내측면에 연결되어 부력기구를 축소시키는 한 쌍의 권취기기; 상기 본체의 수용공간에 설치되며 공기주입구를 통해 부력기구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거나 부력기구 내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는 공압발생장치; 상기 본체 상부의 안장과 선택적으로 체결될 수 있으며 GPS측량기가 장착되는 측량기설치대; 상기 측량기설치대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측량기설치대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기구; 및 상기 측량기설치대의 상부에 장착되어 연안 지형을 측량할 수 있는 레이저측량기; 를 포함하되,
    상기 부력기구는,
    일단이 수용공간 내부에 결합되고 타단이 본체를 관통하여 측방으로 돌출되며 그 내부에 제1삽입공간이 형성되고 그 일단에는 제1삽입공간과 연통되는 공기주입구가 형성되는 제1부력체; 일단이 제1삽입공간에 좌우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타단이 제1부력체를 관통하여 측방으로 돌출되며 그 내부에 제2삽입공간이 형성되는 제2부력체; 일단이 제2삽입공간에 좌우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타단이 제2부력체를 관통하여 측방으로 돌출되며 그 내부에 공기이동공간이 형성되는 제3부력체; 및 상기 제3부력체의 타단에 형성되어 공기이동공간과 연통되는 노즐부와 밸브를 매개로 결합되는 탄성 재질의 제4부력체; 를 포함하고,
    상기 권취기기는,
    일단이 제3부력체의 공기이동공간의 말단에 결합되고 타단이 제1삽입공간과 제2삽입공간을 통과하여 제1부력체의 외부로 인출되는 권취와이어; 및 상기 권취와이어의 타단이 연결되어 권취와이어를 풀거나 감는 권취부; 를 포함하며,
    상기 측량기설치대는,
    상기 안장에 형성된 슬라이드부에 그 일단이 삽입되어 좌우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다수의 체결홀이 형성된 수평지지대; 상기 체결홀에 나사산 체결되어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수직지지대; 상기 수직지지대의 측부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GPS측량기가 장착되는 GPS안착부; 상기 수직지지대의 상단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수평설치대; 상기 수평설치대의 상부면 중앙에 설치되며 그 상단에 구 형상의 회전돌기를 구비한 회전가이드; 상기 수평설치대의 상부면에 설치되며 회전가이드를 중심으로 4방향에 배치되는 승강 가능한 다수의 수평조절부; 및 상기 회전가이드의 회전돌기가 하부면 중앙에 삽입되고 다수의 수평지지부가 하부면을 접촉 지지하는 레이저안착부; 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조절부는,
    상기 수평설치대의 상부면에 결합되며 내부가 비어있는 수평케이스; 및 상기 수평케이스의 내부에 장착된 승강모터에 결합되어 상하로 이동 가능하며 그 상단이 레이저안착부의 하부면에 접촉되는 승강로드; 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로드의 측부에는 수평케이스의 내측면과 접촉되어 승강로드가 일시적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유동방지부가 장착되고, 상기 수평케이스의 내측면에는 승강로드가 관통할 수 있도록 완충부가 결합되어 승강로드의 경로를 안내함과 동시에 승강로드에 전달되는 진동을 감쇠하고,
    상기 유동방지부는,
    승강로드의 측부에 결합되는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의 유동방지케이스; 유동방지케이스의 일측면을 관통하여 좌우로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유동방지로드; 유동방지로드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어 유동방지로드가 유동방지케이스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 유동방지로드의 타측 단부에 결합되어 수평케이스의 내측면에 접촉될 수 있는 접촉부; 및 접촉부의 일면에 결합되는 다수의 반구형 유동마찰부; 및 이탈방지부와 유동방지케이스의 내측면 사이에 배치되어 유동방지로드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유동방지스프링; 을 포함하며,
    상기 이탈방지부와 접촉부는 유동방지로드에 직교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유동방지케이스의 내측면에는 전류가 흐르면 자기화되는 전자석부가 결합되며, 유동방지케이스의 내측면과 마주보는 이탈방지부의 일측면에는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접속판이 결합되고,
    상기 완충부는,
    중앙에 형성된 승강홀을 통해 승강로드가 관통할 수 있도록 결합되는 완충로드부; 완충로드부를 둘러쌀 수 있도록 배치되며 수평케이스의 내측면에 고정 결합되는 완충케이스; 및 완충로드부와 완충케이스 사이에 배치되며 완충로드부의 일측에 장착된 주입구를 통해 내부로 공기가 주입될 수 있는 내부가 비어있는 링 형태의 완충고무부; 를 포함하며,
    상기 완충로드부의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 걸림단부가 완충로드부의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고, 완충고무부의 상단과 하단 양 끝단에는 각각 걸림단부의 형태에 대응되는 결합단부가 형성되어 완충고무부가 완충로드부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결합단부에는 완충로드부의 둘레를 따라 링 형태로 감쌀 수 있도록 원형 로프가 삽입되고, 상기 완충케이스와 접촉되는 완충고무부의 내부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보강층이 삽입되며,
    상기 지지기구는,
    상기 수직지지대의 하단에 선택적으로 체결될 수 있는 지지패널; 상기 지지패널의 일측면에 형성된 다리수용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지지다리; 상기 지지패널의 타측면에 결합되는 지지바퀴; 및 상기 지지패널의 양 측부에 결합되어 지지패널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위치고정부; 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고정부는,
    상기 지지패널의 양 측부에 결합되며 내부가 비어있는 고정케이스; 상기 고정케이스의 내부에 결합되어 고정와이어를 풀거나 감는 고정윈치; 및 상기 고정윈치와 고정와이어를 매개로 결합되며 지면에 삽입 가능한 쐐기 형태로 형성된 고정구; 를 포함하며,
    상기 레이저안착부의 상부면에는 수평계가 설치되어 레이저안착부의 수평 정도를 측정하고 측정한 수평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 범위를 벗어나면 재측량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레이저측량기는 레이저안착부에 설치되어 수평계로부터 재측량신호를 수신하면 측량한 데이터를 재측량데이터로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율적인 해안선 측량을 위한 기준점 배치 수로조사시스템.
KR1020190076292A 2019-06-26 2019-06-26 효율적인 해안선 측량을 위한 기준점 배치 수로조사시스템 KR1020399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6292A KR102039960B1 (ko) 2019-06-26 2019-06-26 효율적인 해안선 측량을 위한 기준점 배치 수로조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6292A KR102039960B1 (ko) 2019-06-26 2019-06-26 효율적인 해안선 측량을 위한 기준점 배치 수로조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9960B1 true KR102039960B1 (ko) 2019-11-04

Family

ID=68578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6292A KR102039960B1 (ko) 2019-06-26 2019-06-26 효율적인 해안선 측량을 위한 기준점 배치 수로조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9960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3645B1 (ko) * 2019-11-21 2020-02-06 주식회사 지오스토리 해안 정밀 지형도 업데이트를 위한 수로조사시스템
KR102276672B1 (ko) * 2020-12-08 2021-07-13 주식회사 에스투 해양 측량시 음속 측정이 가능한 수로조사시스템
KR102276673B1 (ko) * 2020-12-08 2021-07-13 주식회사 에스투 해안선 측량을 위한 해양기준점 측량장치를 구비한 수로조사시스템
KR102329999B1 (ko) * 2021-05-13 2021-11-24 (주)아이오테크 해양측량선의 측량 오차를 줄일 수 있도록 흘수선의 변화를 보정할 수 있는 수로조사시스템
CN114019142A (zh) * 2021-11-12 2022-02-08 浙江大京生态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海岸线和疑点区用海检测方法及其使用设备
KR20230065460A (ko) 2021-11-05 2023-05-12 주식회사 일렉오션 수로조사 자료 처리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4653B1 (ko) * 2016-11-15 2017-02-08 (주)대지이엔지 해안선 측량을 위한 해양기준점측량장치
KR101704660B1 (ko) * 2016-10-07 2017-02-08 (주)대지이엔지 정밀 해도 작성용 연안측량장치
KR101819497B1 (ko) * 2016-11-17 2018-01-17 고정호 휴대 스마트 기기에 의해 제어 가능한 탈부착형 발걸이가 장착된 스케이트 보드용 주행장치
KR101941080B1 (ko) * 2018-11-02 2019-01-23 주식회사 세광종합기술단 정밀도를 향상시킨 수로 조사 측량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4660B1 (ko) * 2016-10-07 2017-02-08 (주)대지이엔지 정밀 해도 작성용 연안측량장치
KR101704653B1 (ko) * 2016-11-15 2017-02-08 (주)대지이엔지 해안선 측량을 위한 해양기준점측량장치
KR101819497B1 (ko) * 2016-11-17 2018-01-17 고정호 휴대 스마트 기기에 의해 제어 가능한 탈부착형 발걸이가 장착된 스케이트 보드용 주행장치
KR101941080B1 (ko) * 2018-11-02 2019-01-23 주식회사 세광종합기술단 정밀도를 향상시킨 수로 조사 측량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3645B1 (ko) * 2019-11-21 2020-02-06 주식회사 지오스토리 해안 정밀 지형도 업데이트를 위한 수로조사시스템
KR102276672B1 (ko) * 2020-12-08 2021-07-13 주식회사 에스투 해양 측량시 음속 측정이 가능한 수로조사시스템
KR102276673B1 (ko) * 2020-12-08 2021-07-13 주식회사 에스투 해안선 측량을 위한 해양기준점 측량장치를 구비한 수로조사시스템
KR102329999B1 (ko) * 2021-05-13 2021-11-24 (주)아이오테크 해양측량선의 측량 오차를 줄일 수 있도록 흘수선의 변화를 보정할 수 있는 수로조사시스템
KR20230065460A (ko) 2021-11-05 2023-05-12 주식회사 일렉오션 수로조사 자료 처리방법
CN114019142A (zh) * 2021-11-12 2022-02-08 浙江大京生态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海岸线和疑点区用海检测方法及其使用设备
CN114019142B (zh) * 2021-11-12 2024-03-26 浙江大京生态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海岸线和疑点区用海检测方法及其使用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9960B1 (ko) 효율적인 해안선 측량을 위한 기준점 배치 수로조사시스템
KR102039932B1 (ko) 지표의 정밀한 수준측량이 가능한 측지측량장치
KR102039931B1 (ko) 수준점과 기준점 표석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측지측량장치
US20120294123A1 (en) Combined broadband ocean bottom seismograph with single glass sphere
AU2007200240B2 (en) Seismic vessel having motion-stabilized helicopter landing platform
US4421173A (en) Motion compensator with improved position indicator
KR101942823B1 (ko) 음향탐사에 의한 해수로의 지형변화 측량시스템
CN210771284U (zh) 一种测绘工程用测绘仪定位装置
CN203846501U (zh) 平台式抛石整平船
KR101704653B1 (ko) 해안선 측량을 위한 해양기준점측량장치
KR102035044B1 (ko) 왜곡 영상의 정밀한 보정이 가능한 영상처리 시스템
KR101704663B1 (ko) 해저지형도 정밀 업데이트를 위한 수로측량용 측량기기
KR101704660B1 (ko) 정밀 해도 작성용 연안측량장치
KR101973529B1 (ko) 무인선박의 스테레오카메라를 이용한 해안선 측량시스템
CN114200531B (zh) 一种多分量海底磁场测量方法及装置
KR101910652B1 (ko) 부유식 수상 태양광발전용 계류장치
US9678411B1 (en) Floating action camera mount
KR102329999B1 (ko) 해양측량선의 측량 오차를 줄일 수 있도록 흘수선의 변화를 보정할 수 있는 수로조사시스템
KR102276673B1 (ko) 해안선 측량을 위한 해양기준점 측량장치를 구비한 수로조사시스템
US3765184A (en) Device and method for the attachment of pipelines to an underwater surface
KR101941080B1 (ko) 정밀도를 향상시킨 수로 조사 측량장치
KR102029039B1 (ko) 해양무인관측 자료 송수신 네트워크를 갖춘 수로조사시스템
CN112162290B (zh) 一种海工浮式平台声学定位监测方法
CN108332787B (zh) 一种座底式海洋环境数据监测平台
CN211426795U (zh) 一种船舶进出浮坞用定位监测工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