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9570B1 - 진동 및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측지측량용 표척 구조 - Google Patents

진동 및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측지측량용 표척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9570B1
KR102069570B1 KR1020190141444A KR20190141444A KR102069570B1 KR 102069570 B1 KR102069570 B1 KR 102069570B1 KR 1020190141444 A KR1020190141444 A KR 1020190141444A KR 20190141444 A KR20190141444 A KR 20190141444A KR 102069570 B1 KR102069570 B1 KR 1020695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ffer
coupled
bar
heigh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14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태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인공간정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인공간정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인공간정보
Priority to KR10201901414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95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95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95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G01C15/02Means for marking measuring p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2200/00Details of stands or supports
    • F16M2200/08Foot or support ba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측지측량용 표척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직으로 세울 수 있는 바 형태로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눈금이 형성된 표척부, 표척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다수의 수평조절부, 수평조절부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하로 신축 가능하여 표척부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부, 높이조절부의 하부에 결합되며 지면으로부터 가해지는 진동을 완화시키는 완충부 및 완충부의 하부에 결합되며 뾰족한 형태로 돌출 형성되는 접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주변 지면으로부터 발생하는 진동 및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측지측량용 표척 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진동 및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측지측량용 표척 구조{STRUCTURE FOR PREVENTING SHOCK OF STAFF GEODETIC SURVEYING}
본 발명은 측지측량 작업에 사용하는 표척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측지측량시 표척의 주변에서 발생하는 진동 및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측지측량용 표척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토목설계나 건축설계 등을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측지측량이 이루어져야 한다. 측지측량이란 수평거리와 고저차 및 방향을 측정하여 각 측정점들 상호간의 위치를 결정하여 이를 도면이나 수치로 표시하고, 현장에서 측설하는 제반 활동을 말하는 것이다.
이러한 측지측량 가운데 수준(level) 측량은 표척과 레벨기, 토털스테이션 등의 측량장치를 이용하여 두 지점 간의 높이차를 구하는 측량으로 그 정확도는 2급 수준 측량의 경우 5mm * S/2 (여기서, S는 편도거리로서 단위는 km 이다) 이내로 규정하고 있을 정도로 세밀한 측량이 요구된다.
도 1은 종래 표척과 측량기기를 이용하여 수준을 측량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제1단계로, 표척수(標尺手)가 표척(1)을 고도를 알고 있는 지상기준점(a0)에 세우고, 기계수(機械手)는 일정 거리 떨어진 제1관측점(b1)에서 레벨기 등의 측량기기(2)로 표척(1)의 눈금을 읽는다.
제2단계로, 표척수가 제1지점(a1)으로 이동하여 표척(1)을 세우고, 기계수가 관측점(b1)에서 측량기기(2)의 방향을 전환하여 측량기기(2)를 통해 제1지점의 표척 눈금을 읽는다. 여기서 지상기준점(a0)과 제1지점(a1)에서 읽은 눈금의 차와 지상기준점의 고도로부터 제1지점의 고도를 구한다.
제3단계로, 기계수는 제1지점(a1) 뒤의 제2관측점(b2)으로 이동하고, 표척수가 표척(1)을 제자리(제1지점)에서 방향 전환시켜 표척(1)이 측량기기(2)를 바라보도록 하면 기계수가 제2관측점(b2)에서 측량기기로 제1지점(a1)의 표척 눈금을 읽는다.
제4단계로, 표척수가 제2지점(a2)으로 이동하여 표척(1)을 세우고, 기계수가 제2관측점(b2)에서 제2지점(a2)의 표척 눈금을 읽는다. 여기서 제2관측점(b2)에서 읽은 제1지점(a1)과 제2지점(a2)의 눈금 차이로부터 제2지점의 고도를 구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표척(1)과 측량기기(2)를 계속하여 이동시키면서 각 지점의 표척과 각 관측점에서의 측량기기의 방향을 전환시켜 눈금을 읽어 목표지점까지 각 지점의 고도를 구한다.
그러나 종래의 표척은 측지측량 과정에서 표척수가 지면에 세우고 있는 표척이 주변의 진동이나 충격을 받을 경우 일정 거리 떨어져 있는 레벨기에 의하여 표척의 눈금을 읽는 과정에서 표척이 흔들리게 되어 표척 눈금을 정확하게 읽을 수 없게 되고, 이에 따라 측량 오차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종래 표척은 상측단위막대와 하측단위막대를 신축식으로 구성하여 자체적인 길이 조절은 가능하지만, 표척 근처 지면에 수풀 같은 장애물이 있는 경우 표척이 제대로 기능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위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해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완충부를 이용하여 주변 지면으로부터 발생하는 진동이나 충격을 감쇠할 수 있는 진동 및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측지측량용 표척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높낮이 조절이 용이하여 측지측량 작업시 편리함을 줄 수 있으며, 접지부를 이용하여 지면에 고정하기에 용이한 진동 및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측지측량용 표척 구조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본 발명의 기재로부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수직으로 세울 수 있는 바 형태로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눈금이 형성된 표척부; 표척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다수의 수평조절부; 수평조절부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하로 신축 가능하여 표척부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부; 높이조절부의 하부에 결합되며 지면으로부터 가해지는 진동을 완화시키는 완충부; 및 완충부의 하부에 결합되며 뾰족한 형태로 돌출 형성되는 접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및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측지측량용 표척 구조에서 상기 표척부는, 표면에 눈금이 새겨지고 개방된 상단과 폐쇄된 하단을 가지는 하측단위막대; 및 전면이 모두 폐쇄된 사각 막대모양으로 형성되는 상측단위막대; 를 포함하며 상측단위막대는 하측단위막대에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및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측지측량용 표척 구조에서 상기 수평조절부는, 하측단위막대의 하부에 결합되는 안착편의 하부면 중앙에 삽입되어 안착편의 사방 회전을 안내하는 구 형상의 회전돌기를 구비한 회전가이드; 회전가이드를 중심으로 4 방향에 배치되며 내부가 비어있는 수평케이스; 및 수평케이스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그 상단이 안착편의 하부면을 접촉 지지하는 승강로드;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및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측지측량용 표척 구조에서 상기 높이조절부는, 수평조절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판상의 상부결합편; 상부결합편의 하부에 수직으로 결합되며 그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가지도록 다수의 높이결정홈이 형성되는 상부조절바; 상부조절바의 하부에 결합되며 그 길이방향을 따라 상부조절바가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높이조절홀이 관통 형성되는 하부조절바; 하부조절바의 하부에 결합되는 판상의 하부결합편; 및 하부조절바의 상단 측부에 결합되며 높낮이가 조절된 상부조절바를 고정시킬 수 있는 높이고정부;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및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측지측량용 표척 구조에서 상기 높이고정부는, 하부조절바의 상단 측부에 돌출 연장된 높이연장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회동부; 회동부의 외측으로 연장되며 다수의 절개부가 형성되어 탄성 복원력을 가지는 탄성연장부; 및 하부조절바의 상단면에 결합되며 높이조절홀의 외측 둘레를 감쌀 수 있도록 배치되는 ‘C’자 형태의 걸림부; 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부는, 걸림부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어 탄성연장부의 말단과 접촉되며 다수의 높이결정홈이 배치된 영역을 넘어서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는 접촉단부; 및 걸림부의 타측 단부에 형성되어 탄성연장부의 측면과 접촉되며 높이결정홈이 배치되는 영역을 넘어서는 위치에 배치되는 방지단부; 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연장부는 회동부의 회동에 따라 함께 회동하여 말단이 접촉단부에 접촉되면서 오므라들고, 접촉단부를 넘어서면서 펼쳐져서 높이결정홈에 삽입되며, 방지단부에 가로막혀 더 이상 회동하지 못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및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측지측량용 표척 구조에서 상기 완충부는, 하부결합편의 하부에 장착되며 회전베어링을 매개로 하부결합편과 결합되어 하부결합편이 상대적인 회전이 가능한 완충지지부; 완충지지부의 하부에 결합되며 완충관통홀이 형성되는 직육면체 형태의 완충본체부; 완충본체부의 하부면을 덮을 수 있도록 결합되며 완충헤드홀이 형성되는 완충덮개부; 및 완충헤드홀과 완충관통홀을 관통하여 완충지지부에 형성된 완충결합홀에 체결되며 완충덮개부, 완충본체부 및 완충지지부를 하나로 이어주는 완충볼트;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및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측지측량용 표척 구조에서 상기 완충볼트는, 내측에 나사산이 형성된 완충결합홀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볼트나사부; 완충관통홀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는 볼트관통부; 및 완충헤드홀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는 볼트헤드부;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및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측지측량용 표척 구조에서 상기 접지부는, 완충덮개부의 하부에 완충헤드홀을 사이에 두고 한 쌍이 서로 마주보도록 결합되며, 한 쌍의 접지부 사이에는 삽입공간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완충부를 이용하여 지면으로부터 표척부에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감쇠시킬 수 있으므로 측지측량 작업의 정확도가 현저히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높이조절부를 이용하여 표척부의 높낮이를 변경할 수 있으므로 주변에 장애물이 있어서 작업자가 손쉽게 표척의 눈금을 읽을 수 있어 측지측량 작업의 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접지부를 이용하여 표척부를 지면에 수직으로 강건하게 세울 수 있으므로 측지측량 작업 과정에서 표척부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접지보조부를 이용하여 지면의 상태에 맞추어 표척부를 손쉽게 세울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표척과 측량기기를 이용하여 수준을 측량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동 및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측지측량용 표척 구조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평조절부의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부조절바, 하부조절바 및 높이고정부를 위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완충부의 각 부품이 분해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지보조부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동 및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측지측량용 표척 구조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진동 및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측지측량용 표척 구조는 표척부(100), 높이조절부(200), 완충부(500), 접지부(550) 및 수평조절부(6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표척부(100)는 신축 방식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2개 이상 복수 개의 단위막대(110. 120)를 포함한다. 하측단위막대(120)는 그 상부에 위치하는 상측단위막대(110)보다 굵게 형성된다. 여기에서 하측단위막대(120)와 상측단위막대(110)는 각각 필요에 의하여 2 개 이상의 다수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측단위막대(110)와 하측단위막대(120)에는 기계수가 레벨기로 읽을 수 있도록 눈금이 새겨져 있다. 하측단위막대(120)는 개방된 상단과 폐쇄된 하단을 가지는 기다란 사각 통모양으로 형성되며, 상측단위막대(110)는 전면이 모두 폐쇄된 사각 막대모양으로 형성된다.
상측단위막대(110)는 하측단위막대(120)에 삽입되어 슬라이드 신축식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여기서 하측단위막대(120)와 상측단위막대(110)는 원통 또는 다각통 형상을 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평조절부의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평조절부(600)는 회전가이드(620), 수평케이스(630) 및 승강로드(6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그 상부에 장착된 표척부(100)의 수평을 조절한다.
상기 회전가이드(620)는 네크(621)와 그 상단에 형성되는 회전돌기(622)로 구성된다. 상기 회전돌기(622)는 하측단위막대(120)의 하부에 결합된 안착편(610)의 하부면 중앙에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되며, 구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네크(621)는 안착편(610)의 하측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도록 돌출된다.
상기 안착편(610)의 하부에는 후술되는 상부결합편(300)이 위치한다. 상부결합편(300)과 안착편(610)은 서로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되고, 상부결합편(300)의 상부면에는 회전가이드(620)의 네크(621) 하단이 결합된다.
상기 상부결합편(300)의 상부면에는 다수의 수평케이스(630)가 설치된다. 상기 수평케이스(630)는 회전가이드(620)를 중심으로 4방향에 배치되어 회전가이드(620)를 에워싸도록 배치된다.
상기 수평케이스(630)에는 승강로드(640)가 상하로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안착편(610)의 하부면을 접촉 지지한다. 승강로드(640)의 상단은 둥글게 형성되어 안착편(610)의 하부면과 접촉되므로 안착편(610)의 하부면과의 마찰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승강로드(640)는 수평케이스(630)의 내부에 내장된 승강모터(미도시)의 작동에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하다. 이러한 승강모터의 제어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제어하거나 또는 안착편(610)의 기울기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안착편(610)의 일측이 타측에 비해 상대적으로 내려가 있는 것이 감지되면, 일측에 배치된 승강로드(640)가 상승하여 안착편(610)이 균형을 맞추고, 반대로 안착편(610)의 일측이 타측에 비해 상대적으로 올라가 있는 것이 감지되면, 일측에 배치된 승강로드(640)가 하강하여 안착편(610)이 균형을 맞추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부조절바, 하부조절바 및 높이고정부를 위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하측단위막대(120)의 하부에는 판상의 안착편(610)이 결합되고, 안착편(610)의 하부에는 수평조절부(600)를 사이에 두고 상부결합편(300)이 결합되며, 완충부(500)의 상부에는 판상의 하부결합편(310)이 결합된다. 상부결합편(300)과 하부결합편(310)은 상하로 이격 배치되어 있다.
상부결합편(300)의 하부에는 상부조절바(410)가 결합되고, 하부결합편(310)의 상부에는 하부조절바(420)가 결합된다. 상부조절바(410)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가지도록 다수의 높이결정홈(411)이 형성되고, 하부조절바(420)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높이조절홀(421)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조절바(410)는 하부조절바(420)에 형성된 높이조절홀(421)에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 가능하며, 이에 따라 그 상부에 결합된 표척부(100)의 전체적인 높낮이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하부조절바(420)의 상단 측부에는 높낮이가 조절된 상부조절바(410)를 고정시킬 수 있는 높이고정부(400)가 장착된다. 사용자는 높이고정부(400)를 이용하여 상부조절바(410)를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높이고정부(400)는 하부조절바(420)의 상단 측부에 돌출 연장된 높이연장부(도 2 참조, 430)에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회동부(440), 회동부의 외측으로 연장되며 다수의 절개부(451)가 형성되어 탄성 복원력을 가지는 탄성연장부(450) 및 하부조절바(420)의 상단면에 결합되며 높이조절홀(421)의 외측 둘레를 감쌀 수 있도록 배치되는 'C'자 형태의 걸림부(460)를 포함한다.
상기 탄성연장부(450)의 중간 부분에 다수의 절개부(451)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으므로 탄성연장부(450)는 회동부(440) 방향으로 오므라들거나 또는 회동부(440) 반대방향으로 펼쳐질 수 있다.
상기 걸림부(460)의 일측 단부에는 접촉단부(461)가 형성되고, 타측 단부에는 방지단부(462)가 형성된다. 상부조절바(410)의 높이가 결정되었을 때 탄성연장부(450)는 접촉단부(461)와 방지단부(462) 사이에 위치하여 높이결정홈(411)에 삽입되고, 상부조절바(410)의 높이가 아직 결정되지 않아 상하로 이동 가능할 때 탄성연장부(450)는 도 4에서처럼 접촉단부(461) 바깥 영역에 위치한다.
상기 접촉단부(461)는 탄성연장부(450)의 회동에 따라 탄성연장부(450)의 말단과 접촉되며, 탄성연장부(450)가 선택적으로 타고 넘을 수 있다. 탄성연장부(450)의 탄성 복원력은 회동부(440)에 형성된 공구홈에 공구를 끼워 회동부(440)를 회전시켰을 때 탄성연장부(450)가 접촉단부(461)를 타고 넘어갈 수 있을 정도에서 결정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접촉단부(461)는 탄성연장부(450)의 단부와 유사하게 라운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높이결정홈(411)이 배치된 영역을 넘어서지 않는 위치에 배치된다.
사용자가 회동부(44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탄성연장부(450)가 접촉단부(461)에 접촉되고, 이 상태에서 더욱 힘을 가하여 회동부(440)를 회전시키면 절개부(451)에 의해 탄성연장부(450)가 오므라들며 접촉단부(461)를 타고 넘어가서 높이결정홈(411)에 삽입된다.
만약, 탄성연장부(450)가 접촉단부(461)를 넘어간 상태에서, 사용자가 회동부(440)를 더욱 회전시키면 탄성연장부(450)의 측부는 방지단부(462)에 접촉되어 가로막히고, 이에 따라 탄성연장부(450)의 과도한 회동이 방지된다.
상기 방지단부(462)는 탄성연장부(450)의 측면과 접촉되며, 높이결정홈(411)이 배치되는 영역을 넘어서는 위치에 배치된다. 즉, 접촉단부(461)가 높이결정홈(411)이 배치되는 영역을 침범하지 않는 부분에 배치된다면, 방지단부(462)는 높이결정홈(411)이 배치되는 영역 상에 배치된다.
상기 접촉단부(461)가 탄성연장부(450)의 말단과 접촉되는 반면, 방지단부(462)는 탄성연장부(450)의 측면과 접촉될 수 있도록 형성되므로 탄성연장부(450)가 방지단부(462)를 넘어가는 것은 불가능하다.
사용자가 상부조절바(410)의 높이 조절을 다시 하기를 원하는 경우, 위 과정의 반대로 회동부(44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탄성연장부(450)가 수축하며 접촉단부(461)를 다시 타고 넘어가며 높이결정홈(411)으로부터 이탈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회동부(440)를 회전시키는 것만으로도 상부조절바(410)가 하부조절바(420)에 삽입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그 높이를 매우 손쉽게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완충부의 각 부품이 분해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하부결합편(310)의 하부에는 원통 형상의 완충지지부(510)가 장착된다. 완충지지부(510)의 외측에는 회전베어링(512)이 결합되어 있으며, 완충지지부(510)는 이러한 회전베어링(512)을 매개로 하부결합편(310)에 결합된다.
즉, 하부결합편(310)은 회전베어링(512)으로 인해 완충지지부(510)에 대해 상대적인 회전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작업자는 측지측량 작업시 표척부(100)를 원하는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시킬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완충부(500)는 완충지지부(510)의 하단에 결합되며, 완충본체부(520), 완충덮개부(530) 및 완충볼트(5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완충부(500)의 하부에는 접지부(550)가 결합된다.
상기 완충지지부(510)의 하부 중앙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완충결합홀(511)이 형성된다. 완충결합홀(511)의 내경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완충본체부(520)는 완충지지부(510)의 하부에 결합되며, 중앙에 완충관통홀(521)이 형성된다. 완충관통홀(521)의 내경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완충결합홀(511)과 차이가 있다.
상기 완충본체부(520)는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며, 탄성을 지니는 소재로 이루어져서 지면으로부터 표척부(100)로 가해지는 충격이나 진동이 상부로 전달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한다.
예컨대, 상기 완충본체부(520)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hermoplastic elastomer)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실온에서는 고무의 기능을 갖고 있지만 고온에서는 가소화되어 각종 성형 가공이 가능한 고분자 재료이다.
상기 완충덮개부(530)는 완충본체부(520)의 하부면을 덮을 수 있도록 결합되며, 중앙에 완충헤드홀(531)이 형성된다. 완충관통홀(521)과 마찬가지로 완충헤드홀(531)의 내경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는다.
상기 완충덮개부(530)는 완충본체부(520)의 하부면 형상에 대응하여 'ㄷ'자 형태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완충덮개부(530)는 완충본체부(520)가 외부와 접촉되어 쉽게 마모되는 것을 방지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완충덮개부(530)는 완충본체부(520)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경도를 지니는 소재로 이루어진다. 완충덮개부(530)는 높은 경도의 플라스틱 또는 금속 등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위에서 살펴본 것처럼 상기 완충본체부(520)는 외부의 진동을 완충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너무 높은 경도를 지니면 완충 기능을 거의 수행할 수 없고, 너무 낮은 경도를 지니면 지나치게 부드러워 쉽게 마모될 수 있다. 즉, 2가지 성능을 한꺼번에 만족시키기 매우 어렵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여 완충본체부(520)는 최대한 부드럽고 탄성이 있는 소재로 구성하여 완충 기능을 극대화시키고, 완충덮개부(530)는 높은 경도의 소재로 구성하여 마모가 방지되도록 함으로써, 2가지 기능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다.
상기 완충볼트(540)는 완충헤드홀(531) 및 완충관통홀(521)을 관통하여 완충결합홀(511)에 체결되며 완충덮개부(530), 완충본체부(520) 및 완충지지부(510)를 하나로 이어준다.
구체적으로 상기 완충볼트(540)는 완충결합홀(511)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볼트나사부(541), 완충관통홀(521)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는 볼트관통부(542) 및 완충헤드홀(531)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는 볼트헤드부(543)를 포함한다.
상기 볼트관통부(542)의 길이는 완충관통홀(521)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상대적으로 조금 길게 형성되어 완충볼트(540)에 의해 완충본체부(520)가 압착되지 않고 경도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볼트헤드부(543)의 길이는 완충헤드홀(531)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상대적으로 조금 짧게 형성되어 볼트헤드부(543)가 완충헤드홀(531) 바깥으로 돌출되지 않는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지보조부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완충덮개부(530)의 하부에는 한 쌍의 접지부(550)가 결합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처럼 접지부(550)는 완충헤드홀(531)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서로 마주보도록 한 쌍이 형성되고, 뾰족한 삼각형 단면을 가지도록 돌출된다.
접지부(550)는 측지측량 작업을 위해 장치를 지면에 설치할 때, 지면에 박혀서 표척부(100)가 외부의 바람 등에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측량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한 쌍의 접지부(550) 사이에는 삽입공간(551)이 형성되고, 삽입공간(551)을 기준으로 한 쌍의 접지부(550)가 서로 마주보는 일측면에는 금속 등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고정판(552)이 결합된다.
상기 접지부(550)는 뾰족한 삼각형 단면을 가지도록 돌출되므로 흙이나 모래와 같이 무른 토질의 지면에서는 쉽게 박힐 수 있지만, 실내나 콘크리트 바닥 등 쉽게 박히기 어려운 지형에서는 밑면적이 좁아 오히려 안정성을 방해하는 요소가 될 수 있다.
그러므로 콘크리트 바닥 등 쉽게 박히기 어려운 지형에서는 한 쌍의 접지부(550) 사이의 삽입공간(551)에 추가로 접지보조부(560)를 삽입하여 뾰족한 접지부(550)를 평평하게 바꾸어줄 수 있다. 이때에는 접지보조부(560)가 주로 지면과 접촉될 것이다.
상기 접지보조부(560)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고, 양 측부에 고정판(552)과 상응하여 마주볼 수 있도록 영구자석판(561)이 각각 결합된다. 이러한 고정판(552)과 영구자석판(561)에 의해 접지보조부(560)는 자연스럽게 접지부(550) 사이의 삽입공간(551)에 안착될 수 있고, 어느정도 고정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접지보조부(560)는 완충덮개부(530)의 하면에 접촉되며 한 쌍의 영구자석판(561)과 직교하도록 배치되는 탄성부(562), 탄성부의 하면에 탄성부와 평행하도록 배치되는 제1보강부(563), 제1보강부의 하면에 제1보강부와 평행하도록 배치되는 제2보강부(564) 및 제2보강부의 하면에 제2보강부와 평행하도록 배치되는 코팅부(56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562)는 접지보조부(560)에 전체적으로 탄성력을 부여하여 접지보조부가 울퉁불퉁한 표면에서도 안정적으로 접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탄성부(562)는 에틸렌 100 중량부에 대하여 초산 비닐 모노머 20 내지 30 중량부를 중합하여 형성된 중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열가소성 폴리에테르에스테르 엘라스토머(TPEE) 10 내지 15 중량부, 아조다이카본아마이드(azodicarbonamide) 8 내지 10 중량부 및 글리옥살(glyoxal) 4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합물을 구성하는 초산 비닐 모노머가 20 중량부 미만이면 결정화도가 지나치게 높아져 탄성부의 경도가 지나치게 높아지고, 초산 비닐 모노머가 30 중량부 초과이면 유연성이 지나치게 높아져 탄성부가 제자리에 있지 못하고 미끌려 접히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열가소성 폴리에테르에스테르 엘라스토머(TPEE)는 탄성부에 경도를 부가하는 것으로서, 열가소성 폴리에테르에스테르 엘라스토머가 10 중량부 미만이면 경도를 보강하는 효과가 미미하고, 열가소성 폴리에테르에스테르 엘라스토머가 15 중량부 초과이면 용융지수가 떨어져 가공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아조다이카본아마이드(azodicarbonamide)는 탄성부에 탄성력을 추가로 부여하는 것으로서, 아조다이카본아마이드가 8 중량부 미만이면 탄성력 부가 효과가 미미하고, 아조다이카본아마이드가 10 중량부 초과이면 탄성력에 추가적인 영향은 미치지 못하면서 가격 경쟁력을 악화시키게 된다.
글리옥살(glyoxal)은 아조다이카본아마이드가 일정 온도 이상에서 발생한 가스를 포집하고 탄성부에 고온점탄성을 부여하는 것으로서, 글리옥살이 4 중량부 미만이면 탄성부의 기계적 물성이 부족해질 수 있고, 글리옥살이 5 중량부 초과이면 발포압이 지나치게 커져 탄성부가 터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제1보강부(563)는 탄성부(562)의 하면에 배치되어 탄성부가 찢어져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1보강부(563)는 망 형태로 이루어져 탄성부의 어느 부분으로 힘이 가해져도 탄성부가 쉽게 찢어지지 않도록 한다.
상기 제2보강부(564)는 제1보강부(563)의 하면에 배치되며 탄성부가 유연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제2보강부(564)는 유리섬유 또는 탄소섬유를 포함하는 직물로 형성된다.
상기 코팅부(565)는 제2보강부(564)의 하면에 배치되며 탄성부(562), 제1보강부(563) 및 제2보강부(564)를 포함하는 접지보조부(560)가 지면에 접촉될 때 접지보조부를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코팅부(565)는 폴리우레탄 100 중량부에 대하여 스틸렌 수지 25 내지 40 중량부, 비닐계 수지 10 내지 25 중량부 및 파라핀 20 내지 3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탄성부가 물에 젖는 것을 방지하는 방수 기능과 더불어 탄성부가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는 내마모 기능을 함께 구비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0 : 표척부 110 : 상측단위막대 120 : 하측단위막대
200 : 높이조절부 300 : 상부결합편 310 : 하부결합편
400 : 높이고정부 410 : 상부조절바 411 : 높이결정홈
420 : 하부조절바 421 : 높이조절홀 430 : 높이연장부
440 : 회동부 450 : 탄성연장부 451 : 절개부
460 : 걸림부 461 : 접촉단부 462 : 방지단부
500 : 완충부 510 : 완충지지부 511 : 완충결합홀
512 : 회전베어링 520 : 완충본체부 521 : 완충관통홀
530 : 완충덮개부 531 : 완충헤드홀 540 : 완충볼트
541 : 볼트나사부 542 : 볼트관통부 543 : 볼트헤드부
550 : 접지부 551 : 삽입공간 552 : 고정판
560 : 접지보조부 561 : 영구자석판 562 : 탄성부
563 : 제1보강부 564 : 제2보강부 565 : 코팅부
600 : 수평조절부 610 : 안착편 620 : 회전가이드
621 : 네크 622 : 회전돌기 630 : 수평케이스
640 : 승강로드

Claims (1)

  1. 수직으로 세울 수 있는 바 형태로 길이방향을 따라 눈금이 형성된 표척부; 표척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다수의 수평조절부; 수평조절부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하로 신축 가능하여 표척부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부; 높이조절부의 하부에 결합되며 지면으로부터 가해지는 진동을 완화시키는 완충부; 및 완충부의 하부에 결합되며 뾰족한 형태로 돌출 형성되는 접지부; 를 포함하되,
    상기 표척부는,
    표면에 눈금이 새겨지고 개방된 상단과 폐쇄된 하단을 가지는 하측단위막대; 및 전면이 모두 폐쇄된 사각 막대모양으로 형성되는 상측단위막대; 를 포함하며 상측단위막대는 하측단위막대에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수평조절부는,
    하측단위막대의 하부에 결합되는 안착편의 하부면 중앙에 삽입되어 안착편의 사방 회전을 안내하는 구 형상의 회전돌기를 구비한 회전가이드; 회전가이드를 중심으로 4 방향에 배치되며 내부가 비어있는 수평케이스; 및 수평케이스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그 상단이 안착편의 하부면을 접촉 지지하는 승강로드; 를 포함하며,
    상기 높이조절부는,
    수평조절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판상의 상부결합편; 상부결합편의 하부에 수직으로 결합되며 그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가지도록 다수의 높이결정홈이 형성되는 상부조절바; 상부조절바의 하부에 결합되며 그 길이방향을 따라 상부조절바가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높이조절홀이 관통 형성되는 하부조절바; 하부조절파의 하부에 결합되는 판상의 하부결합편; 및 하부조절바의 상단 측부에 결합되며 높낮이가 조절된 상부조절바를 고정시킬 수 있는 높이고정부; 를 포함하며,
    상기 높이고정부는,
    하부조절바의 상단 측부에 돌출 연장된 높이연장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회동부; 회동부의 외측으로 연장되며 다수의 절개부가 형성되어 탄성 복원력을 가지는 탄성연장부; 및 하부조절바의 상단면에 결합되며 높이조절홀의 외측 둘레를 감쌀 수 있도록 배치되는 ‘C’자 형태의 걸림부; 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부는,
    걸림부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어 탄성연장부의 말단과 접촉되며 다수의 높이결정홈이 배치된 영역을 넘어서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는 접촉단부; 및 걸림부의 타측 단부에 형성되어 탄성연장부의 측면과 접촉되며 높이결정홈이 배치되는 영역을 넘어서는 위치에 배치되는 방지단부; 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연장부는 회동부의 회동에 따라 함께 회동하여 말단이 접촉단부에 접촉되면서 오므라들고, 접촉단부를 넘어서면서 펼쳐져서 높이결정홈에 삽입되며, 방지단부에 가로막혀 더 이상 회동하지 못하고,
    상기 완충부는,
    하부결합편의 하부에 장착되며 회전베어링을 매개로 하부결합편과 결합되어 하부결합편이 상대적인 회전이 가능한 완충지지부; 완충지지부의 하부에 결합되며 완충관통홀이 형성되는 직육면체 형태의 완충본체부; 완충본체부의 하부면을 덮을 수 있도록 결합되며 완충헤드홀이 형성되는 완충덮개부; 및 완충헤드홀과 완충관통홀을 관통하여 완충지지부에 형성된 완충결합홀에 체결되며 완충덮개부, 완충본체부 및 완충지지부를 하나로 이어주는 완충볼트; 를 포함하며,
    상기 완충볼트는,
    내측에 나사산이 형성된 완충결합홀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볼트나사부; 완충관통홀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는 볼트관통부; 및 완충헤드홀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는 볼트헤드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접지부는, 완충덮개부의 하부에 완충헤드홀을 사이에 두고 한 쌍이 서로 마주보도록 결합되며, 한 쌍의 접지부 사이에는 삽입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및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측지측량용 표척 구조.
KR1020190141444A 2019-11-07 2019-11-07 진동 및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측지측량용 표척 구조 KR1020695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1444A KR102069570B1 (ko) 2019-11-07 2019-11-07 진동 및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측지측량용 표척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1444A KR102069570B1 (ko) 2019-11-07 2019-11-07 진동 및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측지측량용 표척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9570B1 true KR102069570B1 (ko) 2020-01-23

Family

ID=69368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1444A KR102069570B1 (ko) 2019-11-07 2019-11-07 진동 및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측지측량용 표척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957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9902B1 (ko) * 2021-07-02 2021-10-07 주식회사 지오앤 토탈스테이션을 이용하여 기준점 기반 지형지물 측지측량 작업이 가능한 측지측량시스템
KR102319786B1 (ko) * 2021-04-06 2021-11-01 (주)비아이티 하수관용 측지측량 표척 구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69370A (en) * 1995-12-29 1998-06-23 Javad Positioning, Llc Knock-down satellite positioning system antenna supporting tripod
CN108518628A (zh) * 2018-04-13 2018-09-11 安徽建筑大学 一种带有高精度gnss测地功能的智慧路灯
US20180347980A1 (en) * 2017-05-31 2018-12-06 Leica Geosystems Ag Geodetic surveying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69370A (en) * 1995-12-29 1998-06-23 Javad Positioning, Llc Knock-down satellite positioning system antenna supporting tripod
US20180347980A1 (en) * 2017-05-31 2018-12-06 Leica Geosystems Ag Geodetic surveying
CN108518628A (zh) * 2018-04-13 2018-09-11 安徽建筑大学 一种带有高精度gnss测地功能的智慧路灯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9786B1 (ko) * 2021-04-06 2021-11-01 (주)비아이티 하수관용 측지측량 표척 구조
KR102309902B1 (ko) * 2021-07-02 2021-10-07 주식회사 지오앤 토탈스테이션을 이용하여 기준점 기반 지형지물 측지측량 작업이 가능한 측지측량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9117B1 (ko) 지면 고정이 용이한 측지측량용 삼각대 구조
KR102069557B1 (ko) 지면에 따라 다양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측지측량용 표척 시스템
KR102069570B1 (ko) 진동 및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측지측량용 표척 구조
KR102171729B1 (ko) 수준점 및 기준점 측량과 표석 설치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측지측량장치
KR101413647B1 (ko) 산사태 발생면 가변형 토조 실험장치
FI80531B (fi) Styrspakanordning.
KR102039931B1 (ko) 수준점과 기준점 표석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측지측량장치
KR102068208B1 (ko) 측지측량용 삼각대의 고정을 위한 장치
KR102039932B1 (ko) 지표의 정밀한 수준측량이 가능한 측지측량장치
KR101949233B1 (ko) 측지측량용 표척의 수직 유지 및 충격 보호 장치
KR102357720B1 (ko) 측지측량용 표척을 지면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측지측량장치
KR101949726B1 (ko) 측지측량용 삼각대 장치
KR102171730B1 (ko) 측량정보의 오차 발생 여부를 확인하여 정확한 측량이 가능한 수준 측지측량장치
KR102069109B1 (ko) 측지측량용 표척의 진동 감쇠 보호장치
CN109854228B (zh) 一种石油勘探用便于控制的地球物理测井仪
KR102309902B1 (ko) 토탈스테이션을 이용하여 기준점 기반 지형지물 측지측량 작업이 가능한 측지측량시스템
KR101463911B1 (ko) 수준 측량용 스타프 높낮이 장치
KR102275453B1 (ko) 교량받침의 변위확인장치 및 이를 구비한 교량받침
KR101464168B1 (ko) 수준측량용 스타프 표시 장치
KR101804933B1 (ko) 측량용 표척의 안정적인 설치장치
KR102068202B1 (ko) 진동 감지센서를 이용한 정밀수준측량 정확도 향상 시스템
KR102072404B1 (ko) 측지측량용 표척의 멀티 고정 시스템
KR102319786B1 (ko) 하수관용 측지측량 표척 구조
KR102301803B1 (ko) 지하시설물 측량을 위한 회전 가능한 스타프 장치
KR101804935B1 (ko) 측량용삼각대의 수평유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