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9918B1 - 수준점 및 기준점 측량이 가능한 측지측량장치 - Google Patents

수준점 및 기준점 측량이 가능한 측지측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9918B1
KR101829918B1 KR1020170133082A KR20170133082A KR101829918B1 KR 101829918 B1 KR101829918 B1 KR 101829918B1 KR 1020170133082 A KR1020170133082 A KR 1020170133082A KR 20170133082 A KR20170133082 A KR 20170133082A KR 101829918 B1 KR101829918 B1 KR 1018299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support
horizontal support
front piece
suppor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3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공운
Original Assignee
서광항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광항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광항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330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99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99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99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G01C15/02Means for marking measuring points
    • G01C15/06Surveyors' staffs; Movable mark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2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with approximately constant height, e.g. with constant length of column or of le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5/00Measuring height; Measuring distances transverse to line of sight; Levelling between separated points; Surveyors' lev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 Measuring Device Byusing Mechanical Metho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준점 및 기준점 측량이 가능한 측지측량장치에 관한 것으로, 삼각거치대(10)와, 레벨기(20) 및, 측량보조기구(30)로 이루어져, 수준점 및 기준점 측량 및, 수준점 및 기준점 표석 설치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수준점 및 기준점 측량이 가능한 측지측량장치{Equipment For Surveying Bench Mark And Control Point}
본 발명은 수준점 및 기준점 측량이 가능한 측지측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준점 또는 기준점을 측량하기 위해 레벨기 및 표척을 이용한 측지측량장치가 사용된다.
그러나, 종래의 측지측량장치는 표척의 높이 조절이 용이하지 않고, 표척을 직립시키는 것이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측지측량장치는 수준점 또는 기준점을 측량한 후에, 수준점 또는 기준점을 나타내는 표석을 정확하게 설치할 수 없어, 수준점 또는 기준점 측량에 있어 활용성이 떨어졌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48746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수준점 또는 기준점 측량이 용이하고, 수준점 또는 기준점 측량 후 수준점 또는 기준점을 나타내는 표석을 정확하게 설치할 수 있는 '수준점 및 기준점 측량이 가능한 측지측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지다리(11)와; 지지다리(11)의 상부에 구비되는 지지판(12)을 갖춘 삼각거치대(10)와:
삼각거치대(10)의 지지판(12)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레벨기(20) 및:
지지부재(31)의 우측에 측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된 제1나사부(31a)와, 지지부재(31)의 좌측에 측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된 다수의 제2나사부(31b) 및, 상방으로 개구되며 하측이 제1나사부(31a)와 연통되는 와이어유입부(31c)를 구비하고서, 삼각거치대(10)의 지지판(12)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부재(31)와;
좌우로 개구된 삽입부(32a1)를 구비하여 지지부재(31)의 제1나사부(31a)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는 제1수평지지대(32a)와, 좌우로 개구된 삽입부(32b1), 제2수평지지대(32b)의 우측에 상하로 개구되게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32b1)와 연통되는 관통부(32b2)를 구비하여 제1수평지지대(32a)의 삽입부(32a1)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는 제2수평지지대(32b)를 구비한 수평길이조절기구(32)와;
좌우로 개구된 삽입부(33a1)를 구비하여 지지부재(31)의 제2나사부(31b)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며 수평길이조절기구(32)의 제1수평지지대(32a)와 동일 형상을 이루는 제1수평맞춤대(33a)와, 좌우로 개구된 삽입부(33b1), 제2수평맞춤대(33b)의 좌측에 상하로 개구되게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33b1)와 연통되는 관통부(33b2)를 구비하여, 제1수평맞춤대(33a)의 삽입부(33a1)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며, 수평길이조절기구(32)의 제2수평지지대(32b)와 동일 형상을 이루는 제2수평맞춤대(33b) 및, 제2수평지지대(32b)에 나사산 체결되는 다수의 하중너트(33c)를 구비하고서, 수평길이조절기구(32)가 수평을 이루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평맞춤기구(33)와;
상방 및 좌우로 개구되게 제1표척(34a)의 상측에 형성되어 제2수평지지대(32b)의 하부가 나사산 체결되는 반나사부(34a1),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반나사부(34a1)와 연통되며 상측이 제2수평지지대(32b)의 관통부(32b2)와 연통되는 관통부(34a2), 제1표척(34a)의 상측 둘레부에 형성되는 플랜지부(34a3)를 구비하며, 외면에 눈금이 표시된 제1표척(34a)과, 하방 및 좌우로 개구되게 제2표척(34b)의 하측에 형성되어 제2수평지지대(32b)의 상부가 나사산 체결되는 반나사부(34b1), 제2표척(34b)의 하측 둘레부에 형성되어 제1표척(34a)의 플랜지부(34a3)와 맞대어져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플랜지부(34b2)를 구비하며, 외면에 눈금이 표시된 제2표척(34b)과, 상하로 개구되어 제1표척(34a)의 관통부(34a2)와 연통되는 관통부(34c1), 볼트체(34c)의 관통부(34c1)보다 큰 폭을 이루어 볼트체(34c)의 하측에 형성되되, 하방으로 개구되어 볼트체(34c)의 관통부(34c1)와 연통되게 형성되는 개구부(34c2)를 구비하여, 제1표척(34a)의 하측에 위치하는 볼트체(34c)와, 볼트체(34c)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는 너트체(34d) 및, 염색필름이 코팅되고 너트체(34d)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며 볼트체(34c)의 하방을 가리는 지지링패널(34e)를 갖춘 표척기구(34)와;
제2수평지지대(32b)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되, 제1표척(34a)의 좌측 및 제2표척(34b)의 좌측에 맞대어지고, 수평맞춤기구(33)의 하중너트(33c)와 동일 형상을 이루는 제1고정너트(35) 및;
제2수평지지대(32b)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되, 제1표척(34a)의 우측 및 제2표척(34b)의 우측에 맞대어지고, 수평맞춤기구(33)의 하중너트(33c)와 동일 형상을 이루는 제2고정너트(36) 및;
지지부재(31)의 와이어유입부(31c)로 유입되어, 지지부재(31)의 제1나사부(31a) 및 제1수평지지대(32a)의 삽입부(32a1) 및 제2수평지지대(32b)의 삽입부(32b1) 및 제2수평지지대(32b)의 관통부(32b2) 및 제1표척(34a)의 관통부(34a2) 및 볼트체(34c)의 관통부(34c1) 및 볼트체(34c)의 개구부(34c2)를 통과하는 와이어(37a)와, 지지부재(31)의 상측에 설치되어 와이어(37a)를 감거나 푸는 권취기구(37b) 및, 와이어(37a)의 끝단에 연결되어 볼트체(34c)의 개구부(34c2)에 배치되는 중심추(37c)를 갖춘 위치표시기구(37)로 구성된 측량보조기구(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수준점 및 기준점 측량과, 수준점 및 기준점 표석 설치를 함께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준점 및 기준점 측량 시 표척기구(34)의 길이를 조절하여, 수준점 및 기준점 측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준점 및 기준점 표석 설치 시, 수준점 및 기준점의 위치를 정확하게 확인하면서 수준점 및 기준점 표석을 설치할 수 있어, 보다 정확한 위치에 수준점 및 기준점 표석을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삼각지지대, 레벨기, 표척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삼각지지대, 레벨기, 측량보조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 내지 도 5는 도 2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지지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평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표척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8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삼각지지대, 레벨기, 표척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삼각지지대, 레벨기, 측량보조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 내지 도 5는 도 2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지지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평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표척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로소,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수준점 및 기준점 측량이 가능한 측지측량장치는 삼각거치대(10)와, 레벨기(20) 및, 측량보조기구(30)를 포함한다.
상기 삼각거치대(10)는 다수의 지지다리(11)와, 지지다리(11)의 상부에 구비되는 지지판(12)을 갖춘다.
상기 레벨기(20)는 삼각거치대(10)의 지지판(12)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레벨기(20)는 수준 측량 또는 기준점 측량에 사용되는 통상의 측량기를 말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레벨기(20)는 통상의 결합방식을 통해 삼각거치대(1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레벨기(20) 대신에 토탈스테이션을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측량보조기구(30)는 지지부재(31)와, 수평길이조절기구(32)와, 수평맞춤기구(33)와, 표척기구(34)와, 제1고정너트(35)와, 제2고정너트(36) 및, 위치표시기구(37)을 갖춘다.
상기 지지부재(31)는 지지부재(31)의 우측에 측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된 제1나사부(31a)와, 지지부재(31)의 좌측에 측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된 다수의 제2나사부(31b) 및, 상방으로 개구되며 하측이 제1나사부(31a)와 연통되는 와이어유입부(31c)를 구비하고서, 삼각거치대(10)의 지지판(12)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지지부재(31)는 통상의 결합방식을 통해 삼각거치대(1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수평길이조절기구(32)는 제1수평지지대(32a)와, 제2수평지지대(32b)를 갖춘다.
상기 제1수평지지대(32a)는 좌우로 개구된 삽입부(32a1)를 구비하여, 지지부재(31)의 제1나사부(31a)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된다.
상기 제2수평지지대(32b)는 좌우로 개구된 삽입부(32b1)와, 제2수평지지대(32b)의 우측에 상하로 개구되게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32b1)와 연통되는 관통부(32b2)를 구비하여, 제1수평지지대(32a)의 삽입부(32a1)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관통부(32b2)는 다수 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수평길이조절기구(32)는 제1수평지지대(32a) 및 제2수평지지대(32b)의 상호 연결 구조를 통해, 길이조절이 가능하다.
상기 수평맞춤기구(33)는 제1수평맞춤대(33a)와, 제2수평맞춤대(33b) 및, 하중너트(33c)를 갖추고서,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된다.
상기 제1수평맞춤대(33a)는 좌우로 개구된 삽입부(33a1)를 구비하여, 지지부재(31)의 제2나사부(31b)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며, 수평길이조절기구(32)의 제1수평지지대(32a)와 동일 형상을 이룬다.
상기 제2수평맞춤대(33b)는 좌우로 개구된 삽입부(33b1)와, 제2수평맞춤대(33b)의 좌측에 상하로 개구되게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33b1)와 연통되는 관통부(33b2)를 구비하여, 제1수평맞춤대(33a)의 삽입부(33a1)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며, 수평길이조절기구(32)의 제2수평지지대(32b)와 동일 형상을 이룬다.
상기 하중너트(33c)는 제2수평지지대(32b)에 나사산 체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하중너트(33)는 다수 개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수평맞춤기구(33)는 제1수평맞춤대(33a)와, 제2수평맞춤대(33b) 및, 하중너트(33c)의 상호 연결 구조를 통해, 수평길이조절기구(32)가 수평을 이루도록 한다. 또한 수평맞춤기구(33)는 수평길이조절기구(32)와 동일 형상을 이루어 수평길이조절기구(32)의 손상시 신속한 대체가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표척기구(34)는 제1표척(34a)과, 제2표척(34b)과, 볼트체(34c)와, 너트체(34d) 및, 지지링패널(34e)을 갖춘다.
상기 제1표척(34a)은 상방 및 좌우로 개구되게 제1표척(34a)의 상측에 형성되어 제2수평지지대(32b)의 하부가 나사산 체결되는 반나사부(34a1),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반나사부(34a1)와 연통되며 상측이 제2수평지지대(32b)의 관통부(32b2)와 연통되는 관통부(34a2), 제1표척(34a)의 상측 둘레부에 형성되는 플랜지부(34a3)를 구비하며, 외면에 눈금이 표시된다.
상기 제2표척(34b)은 하방 및 좌우로 개구되게 제2표척(34b)의 하측에 형성되어 제2수평지지대(32b)의 상부가 나사산 체결되는 반나사부(34b1)와, 제2표척(34b)의 하측 둘레부에 형성되어 제1표척(34a)의 플랜지부(34a3)와 맞대어져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플랜지부(34b2)를 구비하며, 외면에 눈금이 표시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표척(34a)과 제2표척(34b)가 착탈가능하게 연결되기 때문에, 위치표시기구(37)의 와이어(37a)를 표척기구(34)에 내설하기가 용이하다.
상기 볼트체(34c)는 상하로 개구되어 제1표척(34a)의 관통부(34a2)와 연통되는 관통부(34c1)와, 볼트체(34c)의 관통부(34c1)보다 큰 폭을 이루어 볼트체(34c)의 하측에 형성되되, 하방으로 개구되어 볼트체(34c)의 관통부(34c1)와 연통되게 형성되는 개구부(34c2)를 구비하여, 제1표척(34a)의 하측에 위치한다.
상기 너트체(34d)는 볼트체(34c)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된다.
상기 지지링패널(34e)는 염색필름이 코팅되고, 너트체(34d)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며, 볼트체(34c)의 하방을 가린다. 상기 염색필름이란 필름에 색상이 들어간 셀로판 필름을 말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지지링패널(34e)은 염색필름이 코팅되지만, 빛 투과를 낮게할 수 있는 필름이면 다양한 필름이 코팅될 수도 있다.
상기 제1고정너트(35)는 제2수평지지대(32b)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되, 제1표척(34a)의 좌측 및 제2표척(34b)의 좌측에 맞대어지고, 수평맞춤기구(33)의 하중너트(33c)와 동일 형상을 이룬다.
상기 제2고정너트(36)는 제2수평지지대(32b)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되, 제1표척(34a)의 우측 및 제2표척(34b)의 우측에 맞대어지고, 수평맞춤기구(33)의 하중너트(33c)와 동일 형상을 이룬다.
이와 같은 상기 제1고정너트(35) 및 제2고정너트(36)는, 제1표척(34a)이 제1표척(34a)의 플랜지부(34a3)를 갖추지 않고, 제2표척(34b)이 제2표척(34b)의 플랜지부(34b2)를 갖추지 않더라도, 제1표척(34a)과 제2표척(34b)이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위치표시기구(37)는 지지부재(31)의 와이어유입부(31c)로 유입되어, 지지부재(31)의 제1나사부(31a) 및 제1수평지지대(32a)의 삽입부(32a1) 및 제2수평지지대(32b)의 삽입부(32b1) 및 제2수평지지대(32b)의 관통부(32b2) 및 제1표척(34a)의 관통부(34a2) 및 볼트체(34c)의 관통부(34c1) 및 볼트체(34c)의 개구부(34c2)를 통과하는 와이어(37a)와, 지지부재(31)의 상측에 설치되어 와이어(37a)를 감거나 푸는 권취기구(37b) 및, 와이어(37a)의 끝단에 연결되어 볼트체(34c)의 개구부(34c2)에 배치되는 중심추(37c)를 갖춘다. 본 실시예에서 권취기구(37b)는 와이어(37a)를 감거나 풀 수 있는 것이면, 자동 또는 수동 방식 모두가 적용가능하다.
이와 같은 상기 위치표시기구(37)는 수준점 또는 기준점에 표석을 설치할 시 사용된다.
도 8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8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직접수준측량 또는 간접수준측량으로 수준점 측량 또는 기준점 측량을 수행할 시, 작업자는 도 8과 같이 표척기구(34)를 세운 후 레벨기(20) 또는 토탈스테이션을 통해 직접수준측량 또는 간접수준측량을 수행한다.
이때, 작업자는 도 8과 같이 표척기구(34)의 지지링패널(34e)이 지면에 닿게 하여, 표척기구(34)가 보다 안정적으로 직립되도록 한다.
여기서, 작업자는 도 9와 같이 표척기구(34)의 너트체(34d)의 상하 위치를 조절하여, 표척기구(34)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작업자는 수준점 측량 또는 기준점 측량을 완료하고, 수준점 또는 기준점에 표석을 설치할 시, 본 발명을 이용하여 신속하게 표석을 설치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을 이용한 표석의 설치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작업자는 삼각거치대(10)에서 레벨기(20)를 분리한 후, 도 10과 같이 삼각거치대(10)에 측량보조기구(30)를 설치한다.
이때, 작업자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위치표시기구(37)의 와이어(37a)를 측량보조기구(30)에 설치한다.
즉, 작업자는 위치표시기구(37)의 와이어(37a)를 지지부재(31)의 와이어유입부(31c)에 삽입하고, 와이어유입부(31c)를 통과한 와이어(37a)를 제1수평지지대(32a)의 삽입부(32a1) 및 제2수평지지대(32b)의 삽입부(32b1)에 삽입한 후 제2수평지지대(32b)의 관통부(32b2)로 노출시킨다.
여기서, 작업자는 제1수평지지대(32a)를 지지부재(31)에 설치하고, 제1수평지지대(32a)에 제2수평지지대(32b)를 설치한다.
이후, 작업자는 위치표시기구(37)의 와이어(37a)를 제1표척(34a)의 관통부(34a2)에 삽입하고, 와이어(37a)를 볼트체(34c)의 관통부(34c1)을 통과시킨 후, 와이어(37a)에 위치표시기구(37)의 중심추(37c)를 연결한다.
그리고, 작업자는 제2표척(34b)을 제1표척(34a)에 결합한다.
상기와 같이 표척기구(34)를 조립하면, 위치표시기구(37)의 와이어(37a)를 표척기구(34)에 쉽게 내설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와이어(37a)가 바람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표척기구(34)가 삼각거치대(10)에 설치되면, 작업자는 도 10과 같이 지지부재(31)의 제2나사부(31b)에 수평맞춤기구(33)를 설치하여, 수평길이조절기구(32)가 수평을 이루도록 한다.
이때, 작업자는 도 11과 같이 수평길이조절기구(32)의 제2수평지지대(32b)의 좌우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표척기구(34)의 좌우 위치를 조절하여, 표석을 설치하기 위한 굴착지점의 위치에 따라 위치표시기구(37)의 중심추(37c)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작업자는 도 12와 같이 수평맞춤기구(33)의 위치를 조절하여 수평맞춤기구(33)를 지지부재(31)에 설치하거나, 수평맞춤기구(33)의 하중너트(33c)의 갯수를 조절함으로써, 수평길이조절기구(32)의 수평을 맞출 수 있다.
이와 같이 삼각거치대(10)에 표척기구(34)가 설치되면, 작업자는 도 10과 같이 배치된 위치표시기구(37)의 중심추(37c)를 보면서, 정확한 위치의 수준점 또는 기준점을 굴착한다. 이때 작업자는 위치표시기구(37)의 권취기구(37b)를 작동하여 중심추(37c)의 상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중심추(37c)의 식별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10과 같이 수준점 또는 기준점에 굴착이 이루어지면, 작업자는 위치표시기구(37)의 중심추(37c)를 바라보면서 도 13과 같이 하부표석(BS)을 굴착홈(G)에 배치시킨다.
그리고, 작업자는 위치표시기구(37)의 중심추(37c)를 바라보면서 도 14와 같이 상부표석(TS)를 하부표석(BS)의 상부에 안착시킨다.
이때, 작업자는 위치표시기구(37)의 중심추(37c)에 빛반사가 이루어져 눈이 부실수 있지만(특히 중심추와 상부표석 간의 거리가 가까워 상부표석에서 반사된 빛이 중심추에서 다시 반사되어 중심추가 더욱 눈부실 수 있음), 도 14와 같이 표척기구(34)의 지지링패널(34e)이 눈부심을 방지하여, 위치표시기구(37)의 중심추(37c)를 용이하게 바라볼 수 있다. 여기서 작업자는 지지링패널(34e)가 중심추(37c)를 바라보는 데 방해가 되면, 도 15와 같이 지지링패널(34e)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수준점 및 기준점 측량과, 수준점 및 기준점 표석 설치를 함께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준점 및 기준점 측량 시 표척기구(34)의 길이를 조절하여, 수준점 및 기준점 측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준점 및 기준점 표석 설치 시, 수준점 및 기준점의 위치를 정확하게 확인하면서 수준점 및 기준점 표석을 설치할 수 있어, 보다 정확한 위치에 수준점 및 기준점 표석을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에 의한 위치표시기구(37)의 와이어(37a)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어, 수준점 및 기준점 표석 설치 작업을 정확하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위치표시기구(37)의 와이어(37a)를 감거나 풀러 위치표시기구(37)의 중심추(37c)의 상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어, 수준점 및 기준점 표석을 설치할 시 작업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준점 및 기준점 측량시에는 표척기구(34)의 지지링패널(34e)을 통해 표척기구(34)의 직립을 용이하게 하고, 수준점 및 기준점 표석 설치시에는 지지링패널(34e)을 통해 위치표시기구(37)의 중심추(37c)에 의한 눈부심을 방지하여 중심추(37c)의 식별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표척기구(34)가 제1표척(34a) 및 제2표척(34b)으로 분리가능하게 이루어져, 위치표시기구(37)의 와이어(37a)를 표척기구(34)에 내설할 시 작업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평길이조절기구(32)를 통해 표척기구(34)의 좌우 배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어, 수준점 및 기준점 표석 설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평맞춤기구(33)를 통해 수평길이조절기구(32)의 수평을 맞출 수 있어, 수준점 및 기준점 표석 설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평길이조절기구(32) 및 수평맞춤기구(33)가 서로 호환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어, 수평길이조절기구(32) 또는 수평맞춤기구(33)의 긴급 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수준점 및 기준점을 측량하는 구성에, 수준점 및 기준점 표석을 설치하기 위한 구성을 더 포함한다는 의미에서, 본 발명의 명칭 및 청구대상을 수준점 및 기준점 측량이 가능한 측지측량장치로 정의한다.
10; 삼각거치대 11; 지지다리
12; 지지판 20; 레벨기
30; 측량보조기구 31; 지지부재
32; 수평길이조절기구 33; 수평맞춤기구
34; 표척기구 35; 제1고정너트
36; 제2고정너트 37; 위치표시기구

Claims (1)

  1. 지지다리(11)와; 지지다리(11)의 상부에 구비되는 지지판(12)을 갖춘 삼각거치대(10)와:
    삼각거치대(10)의 지지판(12)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레벨기(20) 및:
    지지부재(31)의 우측에 측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된 제1나사부(31a)와, 지지부재(31)의 좌측에 측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된 다수의 제2나사부(31b) 및, 상방으로 개구되며 하측이 제1나사부(31a)와 연통되는 와이어유입부(31c)를 구비하고서, 삼각거치대(10)의 지지판(12)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부재(31)와;
    좌우로 개구된 삽입부(32a1)를 구비하여 지지부재(31)의 제1나사부(31a)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는 제1수평지지대(32a)와, 좌우로 개구된 삽입부(32b1), 제2수평지지대(32b)의 우측에 상하로 개구되게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32b1)와 연통되는 관통부(32b2)를 구비하여 제1수평지지대(32a)의 삽입부(32a1)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는 제2수평지지대(32b)를 구비한 수평길이조절기구(32)와;
    좌우로 개구된 삽입부(33a1)를 구비하여 지지부재(31)의 제2나사부(31b)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며 수평길이조절기구(32)의 제1수평지지대(32a)와 동일 형상을 이루는 제1수평맞춤대(33a)와, 좌우로 개구된 삽입부(33b1), 제2수평맞춤대(33b)의 좌측에 상하로 개구되게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33b1)와 연통되는 관통부(33b2)를 구비하여, 제1수평맞춤대(33a)의 삽입부(33a1)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며, 수평길이조절기구(32)의 제2수평지지대(32b)와 동일 형상을 이루는 제2수평맞춤대(33b) 및, 제2수평지지대(32b)에 나사산 체결되는 다수의 하중너트(33c)를 구비하고서, 수평길이조절기구(32)가 수평을 이루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평맞춤기구(33)와;
    상방 및 좌우로 개구되게 제1표척(34a)의 상측에 형성되어 제2수평지지대(32b)의 하부가 나사산 체결되는 반나사부(34a1),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반나사부(34a1)와 연통되며 상측이 제2수평지지대(32b)의 관통부(32b2)와 연통되는 관통부(34a2), 제1표척(34a)의 상측 둘레부에 형성되는 플랜지부(34a3)를 구비하며, 외면에 눈금이 표시된 제1표척(34a)과, 하방 및 좌우로 개구되게 제2표척(34b)의 하측에 형성되어 제2수평지지대(32b)의 상부가 나사산 체결되는 반나사부(34b1), 제2표척(34b)의 하측 둘레부에 형성되어 제1표척(34a)의 플랜지부(34a3)와 맞대어져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플랜지부(34b2)를 구비하며, 외면에 눈금이 표시된 제2표척(34b)과, 상하로 개구되어 제1표척(34a)의 관통부(34a2)와 연통되는 관통부(34c1), 볼트체(34c)의 관통부(34c1)보다 큰 폭을 이루어 볼트체(34c)의 하측에 형성되되, 하방으로 개구되어 볼트체(34c)의 관통부(34c1)와 연통되게 형성되는 개구부(34c2)를 구비하여, 제1표척(34a)의 하측에 위치하는 볼트체(34c)와, 볼트체(34c)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는 너트체(34d) 및, 염색필름이 코팅되고 너트체(34d)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며 볼트체(34c)의 하방을 가리는 지지링패널(34e)를 갖춘 표척기구(34)와;
    제2수평지지대(32b)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되, 제1표척(34a)의 좌측 및 제2표척(34b)의 좌측에 맞대어지고, 수평맞춤기구(33)의 하중너트(33c)와 동일 형상을 이루는 제1고정너트(35) 및;
    제2수평지지대(32b)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되, 제1표척(34a)의 우측 및 제2표척(34b)의 우측에 맞대어지고, 수평맞춤기구(33)의 하중너트(33c)와 동일 형상을 이루는 제2고정너트(36) 및;
    지지부재(31)의 와이어유입부(31c)로 유입되어, 지지부재(31)의 제1나사부(31a) 및 제1수평지지대(32a)의 삽입부(32a1) 및 제2수평지지대(32b)의 삽입부(32b1) 및 제2수평지지대(32b)의 관통부(32b2) 및 제1표척(34a)의 관통부(34a2) 및 볼트체(34c)의 관통부(34c1) 및 볼트체(34c)의 개구부(34c2)를 통과하는 와이어(37a)와, 지지부재(31)의 상측에 설치되어 와이어(37a)를 감거나 푸는 권취기구(37b) 및, 와이어(37a)의 끝단에 연결되어 볼트체(34c)의 개구부(34c2)에 배치되는 중심추(37c)를 갖춘 위치표시기구(37)로 구성된 측량보조기구(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준점 및 기준점 측량이 가능한 측지측량장치.
KR1020170133082A 2017-10-13 2017-10-13 수준점 및 기준점 측량이 가능한 측지측량장치 KR1018299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3082A KR101829918B1 (ko) 2017-10-13 2017-10-13 수준점 및 기준점 측량이 가능한 측지측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3082A KR101829918B1 (ko) 2017-10-13 2017-10-13 수준점 및 기준점 측량이 가능한 측지측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9918B1 true KR101829918B1 (ko) 2018-02-19

Family

ID=61387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3082A KR101829918B1 (ko) 2017-10-13 2017-10-13 수준점 및 기준점 측량이 가능한 측지측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991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9931B1 (ko) * 2019-06-25 2019-11-04 엘티메트릭 주식회사 수준점과 기준점 표석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측지측량장치
KR102171729B1 (ko) * 2020-03-19 2020-10-29 (주)원지리정보 수준점 및 기준점 측량과 표석 설치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측지측량장치
CN113464796A (zh) * 2021-07-29 2021-10-01 河北省特种设备监督检验研究院 一种用于工程检测的固定装置及其使用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8257B1 (ko) 2013-05-02 2013-10-15 주식회사 대한지오매틱스 지형변화 측량을 통한 통합기준점 및 수준점의 성과 수집장치
KR101318269B1 (ko) 2013-05-02 2013-10-15 (주)한국해양과학기술 기준점 및 수준점의 성과 비교를 통한 측량성과 업데이트용 관측시스템
KR101487464B1 (ko) 2013-09-17 2015-01-28 (주)신한항업 측량 기준점 설치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8257B1 (ko) 2013-05-02 2013-10-15 주식회사 대한지오매틱스 지형변화 측량을 통한 통합기준점 및 수준점의 성과 수집장치
KR101318269B1 (ko) 2013-05-02 2013-10-15 (주)한국해양과학기술 기준점 및 수준점의 성과 비교를 통한 측량성과 업데이트용 관측시스템
KR101487464B1 (ko) 2013-09-17 2015-01-28 (주)신한항업 측량 기준점 설치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9931B1 (ko) * 2019-06-25 2019-11-04 엘티메트릭 주식회사 수준점과 기준점 표석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측지측량장치
KR102171729B1 (ko) * 2020-03-19 2020-10-29 (주)원지리정보 수준점 및 기준점 측량과 표석 설치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측지측량장치
CN113464796A (zh) * 2021-07-29 2021-10-01 河北省特种设备监督检验研究院 一种用于工程检测的固定装置及其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9918B1 (ko) 수준점 및 기준점 측량이 가능한 측지측량장치
KR101675068B1 (ko) 계측장비를 위한 높이 조절 스탠드 어셈블리
KR101967712B1 (ko) 지하시설물 정밀 측량 장치
KR101586755B1 (ko) 정확한 지하시설물 측량을 위한 측량 장치
KR101938407B1 (ko) 정확한 표고 데이터 획득을 위한 수준측량용 측량장치
CN109357592A (zh) 人工挖孔桩桩径及垂直度检测装置
KR101721248B1 (ko) 지하시설물 실시간 위치 측량장치
KR101706209B1 (ko) 수준측량 데이터의 오차 감소를 위한 정확도 향상 수준측량기기
KR101826800B1 (ko) 지형지물의 측량 데이터 관리를 위한 측지측량장치
CN211080335U (zh) 一种高应变法桩基动测试验装置
KR101709679B1 (ko) 측량 데이터의 오차 보정을 위한 수준측량기기
KR101479604B1 (ko) 정밀 지적측량을 위한 측량장비
KR101826797B1 (ko) 기준점 측량을 위한 지형측량용 수준측량장치
KR101531025B1 (ko) 측지측량 시 삼각대 보호장치
KR102241488B1 (ko) 구조물의 균열길이 점검을 위한 안전진단장치
CN205580457U (zh) 测定建筑物垂直度的360°旋转棱镜
KR101938405B1 (ko) 정확한 고저측량이 가능한 표척장치
KR101938404B1 (ko) 경사지의 지점별 정밀 수준측량이 가능한 측량용 표척기구
KR101826804B1 (ko) 측량지점의 실시간 오류 확인이 가능한 정확도 향상 측량장치
JP5268179B2 (ja) 伸縮長表示式測量用標尺
KR101613240B1 (ko) 고층 건물의 시설물 설치용 레벨장치
CN213394216U (zh) 一种土木工程测量用三脚架
KR102001924B1 (ko) 측지측량 기기의 높이조절장치
KR101889261B1 (ko) 경사지의 지점별 정밀 수준측량이 가능한 수준측량용 표척기구
KR200250399Y1 (ko) 건축용 레벨 체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