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0399Y1 - 건축용 레벨 체크기 - Google Patents

건축용 레벨 체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0399Y1
KR200250399Y1 KR2020010017499U KR20010017499U KR200250399Y1 KR 200250399 Y1 KR200250399 Y1 KR 200250399Y1 KR 2020010017499 U KR2020010017499 U KR 2020010017499U KR 20010017499 U KR20010017499 U KR 20010017499U KR 200250399 Y1 KR200250399 Y1 KR 2002503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l
frame member
fixing member
building
referenc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74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술
Original Assignee
김진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술 filed Critical 김진술
Priority to KR20200100174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039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03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0399Y1/ko

Links

Landscapes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용 레벨체크기에 관한 것으로, 건축현장의 스라브 레벨 계측시 셋팅위치와 높이 조절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고 형성되며, 몸체 하부로는 레벨기준판(11)이 구비되고, 상기 레벨기준판(11)의 저면부에는 암나사(13)가 위치되며, 몸체 상부 내측으로는 삽입홈(14)이 형성되는 프레임부재(10)와;
상기 프레임부재(10)의 레벨기준판(11) 저면부 삽입홈(14)에 끼워져 위치되어, 스라브 두께에 따라 길이를 조절하면 사용할 수 있도록, 몸체 외측부로는 나사부(21)가 구비되는 지지대(20)와;
상기 지지대(20)의 상부와 레벨기준판(11)의 저면에 설치되어 지지대(20)의 셋팅된 위치를 단속하는 위치제어구(30)와;
상기 프레임부재(10)의 상부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져 위치되며, 몸체 전면부에는 제 1 장착부(41)가 구비되고, 몸체 후면으로는 제 2 장착부(42)가 형성되는 고정부재(40)와;
상기 고정부재(40)의 저면에서 프레임부재(10)의 안내에 따라 슬라이드되는 고정부재(40)를 높이를 단속하는 위치결정구(50)와;
상기 프레임부재(10)의 상부에 고정되며, 몸체 내측으로는 안내홈(61)이 형성되며, 상기 안내홈(61)과 몸체 외측부로는 높이조절수단(62)이 구비되는 높이조절구(60)와;
상기 높이조절구(60)의 내측으로 삽입 설치되어 지지대(20)와 연결 고정되며, 몸체 외측 단부에는 높이조절수단(62)과 연계되게 위치되어, 높이조절구(60)의 작동시, 프레임부재(10)와 높이조절구(60)가 승,하강 되도록 하는 안내프레임(70)으로 구성되므로, 건축현장의 규모 및 상황에 따라 선택적으로 고정부재(40)의 몸체 전,후로 형성된 제 1 장착부(41)와 제 2 장착부(42)에 스타프(80) 및 레이저 레벨기(90)를 장착한 후 높이조절구(60)의 작동에 의해 레벨 셋팅 위치를 조절하면서 간편하게 계측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계측의 정확성 및 계측 시간을 단축시켜 작업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건축용 레벨 체크기{Level checking apparatus for construction}
본 고안은 건축용 레벨체크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각종 건축현장에서 스라브 레벨을 측정할 때 사용하는 스타프 및 레이저 레벨기를 선택적으로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수평의 셋팅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여 작업 정밀성, 편의성 및 측정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건축현장의 바닥면 슬라브 시공시에는 레벨의 편차를 측정하여 수평을 맞추기 위하여 각종 레벨기가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통상적으로 슬라브 레벨을 측정하는 방식은 다수의 작업자가 동원되어 스타프를 이용하는 방식이 사용된다.
상기 스타프를 이용한 방식은 스타프 눈금을 기준으로 하여 기준치보다 높으면 -로 표시하고, 낮으면 +로 표시하여 상기와 같이 ±로 표시된 부분에 번호를 부여하여 각각 몇번은 + 몇 mm, - 몇 mm임을 기록한 다음 거기에 맞추어 바닥면 슬라브 등의 레벨작업을 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이경우 작업과정에서 작업자에게 착각을 일으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표시를 한 각각의 부분을 자로 재서 맞추기 때문에 작업성이 저하됨과 동시에 부실시공의 원인이 되었던 것이다.
따라서, 최근에는 건축물의 기본인 바닥면 레벨을 정확히 측정하여 부실시공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작업방식은 슬라이드 레벨조정 기어작동이 없이 수직으로 스타프(자눈금)를 여러군데 요소에 세워 이 스타프의 눈금을 읽어 가감하여 ±후 작업을 시행하기 때문에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작업자의 착오와 착각 및 작업성 저하등의 문제점으로 인하여 정밀시공이 사실상 불가능한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또한, 최근에는 고가의 레이저 레벨기를 보유하고 있는 현장이 상당수 있으나, 레벨작업할 경우 상기 레이저 레벨기의 지시에 따라 움직일 수 있는 기구가 전혀 없었으므로, 사용에 많은 제약이 발생되는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즉, 레이저 레벨기에서 발산되는 빛의 신호를 수신기에서 받아 상기한 빛신호의 지시에 따라 슬라이드방식으로 승, 하강하는 기구가 없어 상기한 레이저 레벨기를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실정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각종 건축현장에서 슬라브 레벨을 측정할 경우 사용하는 일반 레벨기와 스타프 레이저 레벨기 및 레이저 수신기를 선택적으로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레벨조정 및 셋팅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여 레벨작업의 편의성을 증대시키고, 정밀측정을 하여 측정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고안한 건축용 레벨체크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확인점검용 및 레모도설치용등 여러가지로 응용하여 사용가능한 건축용 레벨체크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제품의 신뢰성 및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한 건축용 레벨체크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는 본 고안인 건축용 레벨체크기의 형상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프레임부재를 분리한 분해도.
도 3은 본 고안인 건축용 레벨체크기의 고정부재의 형상 및 위치결정구의 형상을 도시한 요부확대 단면도.
도 4은 본 고안인 건축용 레벨체크기의 높이조절 상태를 도시한 요부확대도.
도 5는 건축현장에서 본 고안인 건축용 레벨체크기에 스타프를 장착하여 사용하는 상태를 도시한 작업 구성도.
도 6는 건축현장에서 본 고안인 건축용 레벨체크기에 레이저 레벨기를 장착하여 사용하는 상태를 도시한 작업 구성도.
도 7 ∼ 도 8은 본 고안을 응용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9 - 속프레임부재 10 - 프레임부재
11 - 레벨기준판 12 - 접지면
13 - 암나사 14 - 삽입나사홈
15 - 암나사부 20 - 지지대
21 - 나사부 30 - 위치제어구
40 - 고정부재 41 - 제 1 장착부
42 - 제 2 장착부 43 - 지지판
44 - 단속부재 45 - 스프링부재
46 - 장착홈 50 - 위치결정구
51 - 단속레버 52 - 체결홈
53 - 나선부 55 - 셋팅암나사
60 - 슬라이드 기어박스 61 - 승하강 조정장치
62 - 높이조절수단 63 - 피니언기어
64 - 조절레버 70 - 안내프레임
71 - 래크기어부 72 - 수평안내구
80 - 수신 스타프 81 - 기준선
90 - 레이저 레벨 수신기 100 - 레벨기
150 - 삼각대 151 - 슬라이딩이동부재
152 - 연결대 200 - 레이저 레벨기
300 - 먹매김 마킹대 301 - 높이조정나사홈
302 - 제 1 마감 레벨점판 303 - 제 2 마감레벨점판
304 - 셋팅단속나사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건축현장의 스라브 레벨 계측시 셋팅위치와 높이 조절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고 형성되며, 몸체 하부로는 레벨기준판(11)이 구비되고, 상기 레벨기준판(11)의 저면부에는 암나사(13)가 위치되며, 몸체 상부 내측으로는 삽입나사홈(14)이 형성되는 프레임부재(10)와;
상기 프레임부재(10)의 레벨기준판(11) 저면부 삽입나사홈(14)에 끼워져 위치되며, 슬라브 두께에 따라 길이를 조절하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몸체 외측부로는 나사부(21)가 구비되는 지지대(20)와;
상기 지지대(20)의 상부와 레벨기준판(11)의 저면에 설치되어 지지대(20)의 셋팅된 위치를 단속하는 위치제어구(30)와;
상기 프레임부재(10)의 상부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져 위치되며, 몸체 전면부에는 제 1 장착부(41)가 구비되고, 몸체 후면으로는 제 2 장착부(42)가 형성되는 고정부재(40)와;
상기 고정부재(40)의 저면에서 프레임부재(10)의 안내에 따라 슬라이드되는 고정부재(40)의 높이를 단속하는 위치결정구(50)와;
상기 프레임부재(10)의 상부에 고정되며, 몸체 내측으로는 승하강 조정장치(61)가 형성되며, 상기 승하강 조정장치(61)와 몸체 외측부로는 높이조절수단(62)이 구비되는 슬라이드 기어박스(60)와;
상기 슬라이드 기어박스(60)의 내측으로 삽입 설치되어 지지대(20)와 연결 고정되며, 몸체 외측 단부에는 높이조절수단(62)과 연계되어 위치되며, 슬라이드 기어박스(60)의 작동시, 프레임부재(10)와 슬라이드 기어박스(60)가 승,하강 되도록 하는 안내프레임(70)으로 구성되어 달성된다.
따라서, 본 고안인 건축용 레벨체크기는 건축현장의 규모 및 상황에 따라 선택적으로 고정부재(40)의 몸체 전,후로 형성된 제 1 장착부(41)와 제 2 장착부(42)에 스타프(80) 및 레이저 레벨 수신기(90)를 장착한 후 슬라이드 기어박스(60)의 작동에 의해 레벨 셋팅 위치를 조절하면서 간편하게 계측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계측의 정확성 및 계측 시간을 단축시켜 작업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는 본 고안인 건축용 레벨체크기의 형상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인 프레임부재를 분리한 분해도로서, 상기 프레임부재가 속프레임부재과 분해되어 있으며 슬라이드기어박스, 속프레임부재, 프레임부재의 각 연결부를 요부확대하여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본 고안인 건축용 레벨체크기의 고정부재의 형상 및 위치결정구의 형상을 도시한 요부확대 단면도이다.
도 4은 본 고안인 건축용 레벨체크기의 높이조절 상태를 도시한 요부확대도이다.
도 5는 건축현장에서 본 고안인 건축용 레벨체크기에 스타프를 장착하여 사용하는 상태를 도시한 작업 구성도이다.
도 6는 건축현장에서 본 고안인 건축용 레벨체크기에 레이저 레벨기를 장착하여 사용하는 상태를 작업 구성도로 도시하고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프레임부재에 삼각대를 설치하여 지면에 고정시켜 레벨을 측정할 수 있는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8은 본 고안을 응용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레이저 레벨기를 부착하여 먹선 마킹하는 마킹대를 도시하고 있다.
즉, 도 1 ∼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건축용 레벨체크기의 프레임부재(10)는 건축현장의 슬라브 레벨 계측시 셋팅위치와 높이 조절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고 형성되며, 몸체 하부로는 레벨기준판(11)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 부재는 내부가 상단에는 후술될 슬라이드 기어박스(60)의 하부에 구비된 셋팅암나사(55)에 체결되도록 삽입나사홈(14)이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는 중앙이 관통된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후술될 안내프레임의 하단에 결합되는 속프레임부재(9)가 삽입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속프레임부재(9)의 상단 내부면에는 후술될 안내프레임 끝단에 형성된 체결나사에 결합되도록 체결나사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저면부에는 암나사(13)가 형성된다.
상기 암나사(13)는 후술될 지지대(20)가 장착되어, 슬라브 두께 설정시 지지대(20)를 선택적으로 인출 및 수납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프레임부재(10)의 몸체 하부로 형성되는 레벨기준판(11)은 콘크리트 타설 높이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레벨 기준점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레벨기준판(11)의 몸체 전면부와 후면부는 통상 건축현상의 벽면에 밀착 설치된 후 셋팅작업 및 계측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벽면과 동일한 접지면(12)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지지대(20)의 상부와 레벨기준판(11)의 저면으로는 지지대(20)의 인출 및 수납된 후 셋팅된 위치를 단속할 수 있도록 위치제어구(30)가 설치된다.
상기 위치제어구(30)는 지지대(20)의 몸체 외측부에 형성된 나사부(21)와 결합되어 지지대(20)의 셋팅위치를 결정할 수 있도록, 몸체 내측으로는 암나사부(15)가 형성되어 상호 나사결합에 의해 셋팅위치를 단속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레벨기준판(11)의 저면부에 장착되는 지지대(20)는 외부 및 내부로 스라브의 설정 두께에 맞게 인출 및 수납될 수 있도록 비교적 여유있는 길이로 삽입되어 있다.
한편, 상기 프레임부재(10)의 상부에는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져 위치 가변이 가능한 고정부재(40)가 설치된다.
상기 고정부재(40)는 몸체 전면부에 제 1 장착부(41)가 구비되고, 몸체 후면으로는 제 2 장착부(42)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재(40)의 몸체 전면부에 형성되는 제 1 장착부(41)는 레이저 레벨수신기(90)를 장착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 1 장착부(41)의 구성은 몸체 후측으로는 지지판(43)이 구비되고, 지지판(43)의 상부에서 외측으로 소정의 폭만큼 외측으로 이동가능한 단속부재(51)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단속부재(51)의 후측부에는 스프링부재(45)가 설치되어 레이저 레벨수신기(90)의 고정후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 상기 고정부재(40)의 몸체 후측으로 형성되는 제 2 장착부(42)는 스타프(80)를 사용하는 경우 스타프(80)를 상부에서 끼워 직립되게 위치 고정시킬 수 있도록 장착홈(46)이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재(40)는 프레임부재(10)의 상부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며, 몸체 전면부와 후면부에는 레이저 레벨수신기(90)와 스타프(80)를 선택적으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제 1 장착부(41)와 제 2 장착부(42)가 구비되므로, 건축현장의 상황에 맞게 레벨측정 기구를 설정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작업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고정부재(40)의 저면부에는 프레임부재(10)의 안내에 따라 슬라이드되는 고정부재(40)를 높이를 단속하는 위치결정구(50)가 구비된다.
상기 위치결정구(50)는 프레임부재(10)의 몸체에 끼워져 고정되며, 몸체 단부에는 외측부에서 내측으로 트여지게 형성되고, 몸체 내측으로는 체결홈(52)이 구비도어 있으므로, 단속레버(51)의 축에 형성된 나선부(53)에 의해 단속레버(51)의작동시 나사결합되면서 고정부재(40)가 하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셋팅위치를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즉, 일반 레벨기나 레이저 레벨기의 기준점(0점)을 맞출경우에는 상기 고정부재(40), 위치결정구(50)를 승하강하여 기준점에 맞춘 다음 상기 단속레버(51)을 회전시켜 조이면 상기 위치결정구(50)가 상기 고정부재(40)를 가압하여 기준점에 고정시켜 기준점셋팅이 끝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부재(10)의 상부에는 몸체 내측으로는 삽입나사홈(14)이 형성되며, 상기 승하강 조정장치(61)와 몸체 외측부로는 높이조절수단(62)이 구비되는 슬라이드 기어박스(60)가 고정된다.
상기 슬라이드 기어박스(60)는 실질적으로 고정부재(40)에 장착되는 스타프(80) 및 레이저 레벨수신기(90)의 높이를 셋팅 계측위치로 승,하강 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즉,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속프레임부재(9)에는 레크기어부(71)가 구비된 안내프레임(70)이 연결되어 있으며, 내측에는 상기 레크기어부(71)에 맞물리는 피니언기어(63)가 결합된 슬라이드 기어박스(60)가 조립되어 있으며, 상기 슬라이드 기어박스(60)에는 하단에는 셋팅암나사(55)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프레임부재(10)에는 하단에 레벨기준판(11)이 고정부착되어 있으며, 상단에는 상기 셋팅암나사(55)에 결합되는 삽입나사홈(14)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바와 같이 고정부재(40)와 위치결정구(50)가 각각 끼워져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프레임부재(10)는 상기 속프레임부재(9)에 끼워져, 상기 삽입나사홈(14)이 상기 셋팅암나사(55)에 체결되어 상기한 슬라이드 기어박스(60)의 이동에 따라 승하강되는 것이다.
상기 슬라이드 기어박스(60)의 구성은 몸체 내측으로는 승하강 조정장치(61)가 형성되며, 상기 삽입나사홈(14)과 몸체 외측부로는 높이조절수단(62)이 구비되며, 하부에는 상기 프레임부재(10)의 상단 삽입나사홈(14)과 결합하는 셋팅암나사(55)가 설치되어 있다.
즉, 슬라이드 기어박스(60)의 몸체 내측으로 형성되는 승하강 조정장치(61)는 후술될 안내프레임(70)이 위치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며, 몸체 삽입나사홈(14)과 외측으로 형성되는 높이조절수단(62)은 승하강 조정장치(61)의 내측으로 단부에 피니언기어(63)가 형성되는 조절레버(64)의 작동에 의해 상기 셋팅암나사(55)에 결합된 프레임부재(10)의 높이를 조절시켜, 결과적으로 고정부재(40)에 설치되는 스타프(80) 및 레이저 레벨기(90)의 높이를 가변시키면서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 기어박스(60)의 내측으로 설치되는 안내프레임(70)은 몸체 외측 단부에 조절레버(64)의 피니언기어(63)와 맞물리는 래크기어부(71)가 형성므로, 조절레버(64)의 작동에 의해 프레임부재(10)는 안내프레임(70)에 가이드 되어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작업자가 본 고안인 건축용 레벨체크기를 사용할 경우 먼저 지지대(20)를 회전시켜 스라브 두께로 설정하여 위치제어구(30)를 통해 설정위치를 단속한 후 선택적으로 스타프(80) 및 레이저 레벨기(90)를 고정부재(40)의 제 1,2장착부(41)(42)에 설치하여 저면에서 위치결정구(50)를 통해 고정부재(40)의 고정위치를 결정한다.
그후, 프레임부재(10)의 상부로 위치되는 위치결정구(50)의 조절레버(64)를 작동시켜 프레임부재(10)의 높이를 레벨 셋팅점에 맞게 승,하강 시키면서 레벨 셋팅점을 확정하므로 정확하고 빠른 계측이 이루어 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레벨 셋팅점은 프레임부재(10)의 레벨기준판(11)에 맞게 셋팅하여 벤치마크에 맞춘 후 이동하면 오차 범위 계측에 대해서만 조절레버(64)를 작동시켜 편리하게 레벨작업을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안내프레임(70)의 상부에는 직립높이에 대한 수평상태를 작업자가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수평안내구(72)를 형성하여 사용하므로, 보다 정확한 계측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또, 상기 안내프레임(70)은 지지대(20)와 상호 연결되게 구성되어, 수직으로 직립되게 형성되는 기둥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을 사용하여 레벨작업을 실시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일단, 거푸집등 기존 바닥면에서 슬라브의 두께를 확인하여 그 두께에 맞추어 지지대(20)의 나사부(21)를 조정하여 레벨기준판(11)을 위치시킨다음 위치제어구(30)를 상기 지지대(20)의 나사부(21)의 하부로 체결하여 단속한다.
그리고, 일반 레벨기라면 상기 고정부재(40)에 스타프(80)를 장착하고, 레이저레벨기를 사용할 경우에는 레이저 레벨수신기(90)를 장착하여 벤치마크(레벨점)를 찾아 본 고안을 수직으로 세워 조절레버(64)를 조정하여 상기한 레벨기준판(11)이 위치된 레벨점과 일치시킨다.
이경우, 상기 안내프레임(70) 상단에 장착된 수평안내구(72)를 확인하여 본 고안이 수직으로 정확하게 세우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위치결정구(50)의 단속레버(51)를 해제하여 고정부재(40)에 장착된 스타프(80)나 레이저 레벨수신기(90)를 승하강하여 각종 레벨기와 기준점(0점)을 맞춘다음 해제된 상기 단속레버(51)을 조여 단속하면 셋팅이 끝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셋팅이 되면 레벨을 확인하고자 하는 위치에 각종 레벨 체크기를 세우고, 조절레버(64)를 작동하여 기준점(0점)만 맞추면 기존의 바닥면에 관계없이 레벨기준판(11)의 위치에 맞추어진 물체는 정확한 수평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인 건축용 레벨체크기는 건축현장 상황 등에 맞게 스타프(80)와 레이저 레벨기(90)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비교적 면적이 넓은 공간을 이동하면서도 간편하게 레벨점을 파악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은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삼각대(150)를 상기 슬라이드 기어박스에 장착하여 지면에 안정적으로 설치되어 레벨작업을 더욱 용이하도록 응용할 수 도 있다.
그리고, 상기 삼각대(150) 는 슬라이드 기어박스에 회동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고, 프레임부재(10)에 결합되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슬라이딩이동부재(151)에 연결대(152)로 연결되어 사용하지 않을 경우 삼각대(150)를 접어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삼각대(150)를 접을 경우 슬라이딩이동부재(151)가 프레임부재(10)의 상부로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접히는 것이다.
이 경우 건축현장의 슬라브 레벨 계측시 셋팅위치와 높이 조절을 용이하게 수행하는 레벨기준판(11)은 셋팅단속나사(304)에 의해 몸체 외측부로는 나사부(21)가 구비되는 지지대(20)에 체결되어 고정되며 나머지 구성은 본 고안의 구성과 동일하다.
또한, 본 고안은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한번에 양면벽에 체킹이 가능한 먹매김 마킹대(300)로 응용되어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레임부재(10) 하단의 외부면에는 높이조정나사홈(301)을 형성한다.
그리고, 건축현장의 벽체마감 먹줄 계측시 셋팅위치와 높이 조절을 용이하게 수행하는 레벨기준판은 제 1 마감 레벨점판(302)과 제 2 마감 레벨점판(303)으로 구성하여 셋팅단속나사(304)에 의해 상기 프레임부재(10)의 높이조정나사홈(301)에 체결된다.
한편, 나머지 구성은 본 고안과 동일하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첫째, 종래에 비해 스라브 레벨점 계측을 간편하고 빠른 시간에 수행할 수 있으므로 작업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다수의 인원을 필요로 하던 레벨점 계측작업을 소수의 인원으로도 가능하므로, 인건비를 절약할 수 있다.
셋째, 정확한 레벨점 계측이 가능하여 부실시공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넷째, 각종 건축현장의 레벨계측에 활용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제품의 신뢰성 및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0)

  1. 건축현장의 스라브 레벨 계측시 셋팅위치와 높이 조절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고 형성되며, 몸체 하부로는 레벨기준판(11)이 구비되고, 상기 레벨기준판(11)의 저면부에는 암나사(13)가 위치되며, 몸체 상부 내측으로는 삽입나사홈(14)이 형성되는 프레임부재(10)와;
    상기 프레임부재(10)의 레벨기준판(11) 저면부 삽입나사홈(14)에 끼워져 위치되어, 스라브 두께에 따라 길이를 조절하면 사용할 수 있도록, 몸체 외측부로는 나사부(21)가 구비되는 지지대(20)와;
    상기 지지대(20)의 상부와 레벨기준판(11)의 저면에 설치되어 지지대(20)의 셋팅된 위치를 단속하는 위치제어구(30)와;
    상기 프레임부재(10)의 상부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져 위치되며, 몸체 전면부에는 제 1 장착부(41)가 구비되고, 몸체 후면으로는 제 2 장착부(42)가 형성되는 고정부재(40)와;
    상기 고정부재(40)의 저면에서 프레임부재(10)의 안내에 따라 슬라이드되는 고정부재(40)를 높이를 단속하는 위치결정구(50)와;
    상기 프레임부재(10)의 상부에 고정되며, 몸체 내측으로는 승하강 조정장치(61)가 형성되고, 상기 승하강 조정장치(61)와 몸체 외측부로는 높이조절수단(62)이 구비되는 슬라이드 기어박스(60)와;
    상기 슬라이드 기어박스(60)의 내측으로 삽입 설치되어 지지대(20)와 연결고정되며, 몸체 외측 단부에는 높이조절수단(62)과 연계되게 위치되어, 슬라이드 기어박스(60)의 작동시, 프레임부재(10)와 슬라이드 기어박스(60)가 승,하강 되도록 하는 안내프레임(7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레벨체크기.
  2. 청구항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기준판(11)의 몸체 전면부와 후면부는 건축현상의 벽면에 밀착 설치된 후 셋팅작업 및 계측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벽면과 동일한 접지면(12)으로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레벨체크기.
  3. 청구항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40)의 제 1 장착부(41)는 레이저 레벨기(90)를 장착할 수 있도록, 몸체 후측으로는 지지판(43)이 구비되고, 지지판(43)의 상부에서 외측으로 소정의 폭만큼 외측으로 이동가능한 단속부재(44)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레벨체크기.
  4. 청구항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단속부재(44)의 후측부에는 스프링부재(45)가 설치되어 레이저 레벨기(90)의 고정후 이탈을 방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레벨체크기.
  5. 청구항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40)의 몸체 후측으로 형성되는 제 2 장착부(42)는 스타프(80)를 사용하는 경우 스타프(80)를 상부에서 끼워 직립되게 위치 고정시킬 수 있도록 장착홈(46)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레벨체크기.
  6. 청구항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40)의 하측으로 위치되는 위치결정구(50)는 프레임부재(10)의 몸체에 끼워져 고정되며, 몸체 단부에는 외측부에서 내측으로 트여지게 형성되고, 몸체 내측으로는 체결홈(52)이 구비되어 단속레버(51)의 축에 형성된 나선부(53)에 의해 단속레버(51)의 작동시 나사결합되면서 고정부재(40)가 하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레벨체크기.
  7. 청구항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기어박스(60)의 높이조절수단(62)으로는 승하강 조정장치(61)의 내측으로 단부에 피니언기어(63)가 형성되고, 피니언기어(63)의 외측부에는 조절레버(64)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레벨체크기.
  8. 청구항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프레임(70)의 외측 단부에는 높이조절수단(62)의 피니언기어(63)와 치차결합되어 조절레버(64)의 작동시 프레임부재(10)가 승,하강 될 수 있도록 래크기어부(71)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레벨체크기.
  9. 청구항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프레임(70)의 상부에는 직립높이에 대한 수평상태를 작업자가 식별할 수 있도록, 수평안내구(72)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레벨체크기.
  10. 청구항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기어박스(60)에 삼각대(150)를 장착하여 지면에 안정적으로 설치되어 레벨작업을 더욱 용이하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레벨체크기.
KR2020010017499U 2001-06-12 2001-06-12 건축용 레벨 체크기 KR2002503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7499U KR200250399Y1 (ko) 2001-06-12 2001-06-12 건축용 레벨 체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7499U KR200250399Y1 (ko) 2001-06-12 2001-06-12 건축용 레벨 체크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2986A Division KR100418621B1 (ko) 2001-06-12 2001-06-12 건축용 레벨 체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0399Y1 true KR200250399Y1 (ko) 2001-11-16

Family

ID=73066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7499U KR200250399Y1 (ko) 2001-06-12 2001-06-12 건축용 레벨 체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039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626Y1 (ko) * 2009-02-13 2010-02-11 이기훈 레이저빔을 이용한 높이측정장치
CN107389043A (zh) * 2017-09-06 2017-11-24 天津企智科技股份有限公司 工程测量水准仪支撑装置及操作方法
CN112923835A (zh) * 2021-01-29 2021-06-08 淮北矿业股份有限公司 一种单持可拆伸缩式巷道测量装置及其使用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626Y1 (ko) * 2009-02-13 2010-02-11 이기훈 레이저빔을 이용한 높이측정장치
CN107389043A (zh) * 2017-09-06 2017-11-24 天津企智科技股份有限公司 工程测量水准仪支撑装置及操作方法
CN107389043B (zh) * 2017-09-06 2024-04-02 庐江骏鹏光电科技有限公司 工程测量水准仪支撑装置及操作方法
CN112923835A (zh) * 2021-01-29 2021-06-08 淮北矿业股份有限公司 一种单持可拆伸缩式巷道测量装置及其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98304B2 (en) Laser leveling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building construction
KR101477770B1 (ko) 계측장비를 위한 높이 조절 지지대
EP3636980B1 (en) Hanging type positioning and supporting device for laser level
US4691444A (en) Surveyor's level with constant instrument height and method
KR102081915B1 (ko) 표척의 정밀 측정을 위한 측지측량방법
KR101824714B1 (ko) 거리 측정이 가능한 레이저 계측기
CN214335221U (zh) 一种基于激光测距仪的辅助测量杆
KR102573679B1 (ko) 미세각 조절과 높이 조절이 가능한 측지측량용 삼각대
KR200250399Y1 (ko) 건축용 레벨 체크기
KR100418621B1 (ko) 건축용 레벨 체크기
US6760974B1 (en) Height determining instrument for poured floors, and method
KR101829918B1 (ko) 수준점 및 기준점 측량이 가능한 측지측량장치
CN205580457U (zh) 测定建筑物垂直度的360°旋转棱镜
KR102573680B1 (ko) 수평 유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측지측량용 삼각대
JPH06281461A (ja) 光波距離計用プリズム支持装置
CN111141236A (zh) 平整度的测量装置及其使用方法
CN206919890U (zh) 一种激光投线仪
CN220061250U (zh) 一种便于固定的便携式测距仪
CN219530428U (zh) 隧道激光测距全站仪
CN219495201U (zh) 一种精装修用的激光定位装置
JPH0322640Y2 (ko)
JPH1151653A (ja) 測量機用三脚の昇降装置
CN220705231U (zh) 一种用于钢网架焊接球的定位装置
JP2573132B2 (ja) 柱体立設用ベースモルタルの形成装置及びその方法
CN214369067U (zh) 一种电子水准仪的固定稳定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93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