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3679B1 - 미세각 조절과 높이 조절이 가능한 측지측량용 삼각대 - Google Patents

미세각 조절과 높이 조절이 가능한 측지측량용 삼각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3679B1
KR102573679B1 KR1020230033246A KR20230033246A KR102573679B1 KR 102573679 B1 KR102573679 B1 KR 102573679B1 KR 1020230033246 A KR1020230033246 A KR 1020230033246A KR 20230033246 A KR20230033246 A KR 20230033246A KR 102573679 B1 KR102573679 B1 KR 1025736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rotating
lifting
base
surve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332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태
조준희
장시훈
이규현
박준신
Original Assignee
삼부기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부기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부기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332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36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36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36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30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an instrument;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a set of instru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2200/00Details of stands or supports
    • F16M2200/04Balanc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Measuring And Other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측지측량용 삼각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초대가 지지되는 회전판, 회전판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회전판을 회전지지하는 몸체, 몸체에 연결되어 몸체를 수평지지하는 3개의 다리 및 기초대가 몸체를 기준으로 좌우회전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몸체에 설치되고, 회전판과 연결되어 회전판을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기초대의 상부에 이격 배치되는 측량지지대, 기초대의 상부에 결합되며 측량지지대의 측면에 연결되어 측량지지대를 승강 및 회전시키는 승강회전부, 승강회전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이동보조장치, 이동보조장치의 상부에 결합되는 차폐부 및 차폐부의 내부에 수용되는 측량장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측량장비와 회전판을 서로 견고하게 고정 후 측량장비를 미세하게 회전시켜서 표정작업을 실시하게 되므로 측량장비의 표정과정에서 발생하는 표정오차를 원천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미세각 조절과 높이 조절이 가능한 측지측량용 삼각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미세각 조절과 높이 조절이 가능한 측지측량용 삼각대{GEODETIC SURVEYING TRIPOD FOR FINE ANGLE CONTROL AND HEIGHT ADJUSTMENT}
본 발명은 측지측량용 삼각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미세각 조절과 높이 조절이 가능한 측지측량용 삼각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토목설계나 건축설계 등을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측지측량이 이루어져야 한다. 측지측량이란 수평거리와 고저차 및 방향을 측정하여 각 측정점들 상호간의 위치를 결정하여 이를 도면이나 수치로 표시하고, 현장에서 측설하는 제반 활동을 말하는 것이다.
측지측량에 있어서는 레벨기, VRS(가상기준점), RTK 등의 측량기기 (또는 측정기기) 를 사용하며, 이들 정밀측량기기들은 지면에서 일정 높이에 위치하도록 하기 위하여 삼각대에 탑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측정기기, 측량기기 또는 측지측량기기 등은 동일한 의미를 가지며 문맥에 따라 적합하게 선택하여 사용하기로 한다.
이러한 측지측량용 삼각대에 요구되는 조건은 지면에 견고하게 삽입되어 바람이나 외부 충격에 의하여 쉽게 넘어지지 않고 측량기기를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종래의 측지측량용 삼각대는 3개의 다리와 다리들의 상단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상단지지대 및 상단지지대의 상부에 결합되어 측량기기가 장착되는 측정기기 마운트 등의 구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다리들은 상부다리와 하부다리를 구비하여 길이조절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부다리의 상단이 상단지지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다리를 벌렸다 오므렸다 할 수 있게 구성된다.
즉, 측지측량용 삼각대를 이용하여 측지측량을 함에 있어서는 지면의 굴곡에 따라 3개의 다리의 길이를 각각 조절함으로써 상단지지대의 수평을 대략적으로 조절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 측지측량용 삼각대는 측량장비를 회전시켜서 정확한 표정이 이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잠김쇠를 조이는 순간에 측량장비가 미세하게 움직여서 표정을 다시 실시하여야만 하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측지측량용 삼각대는 구조적으로 잠김쇠의 헐거워짐이 발생하여 표정 후 일정한 시간이 지나면 표정오차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으며, 표정 작업 중 고가의 측량장비가 추락하여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위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해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측량장비와 회전판을 서로 견고하게 고정 후 측량장비를 미세하게 회전시켜서 표정작업을 실시하게 되므로 측량장비의 표정과정에서 발생하는 표정오차를 원천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미세각 조절과 높이 조절이 가능한 측지측량용 삼각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초대와 회전판의 고정방식이 나사고정방식이므로 외부의 어떠한 충격이나 진동에도 고정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으며, 표정작업 도중에 측량장비의 추락을 예방하여 장비의 안전성과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미세각 조절과 높이 조절이 가능한 측지측량용 삼각대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본 발명의 기재로부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기초대가 지지되는 회전판; 회전판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회전판을 회전지지하는 몸체; 몸체에 연결되어 몸체를 수평지지하는 3개의 다리; 및 기초대가 몸체를 기준으로 좌우회전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몸체에 설치되고, 회전판과 연결되어 회전판을 회전시키는 회전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세각 조절과 높이 조절이 가능한 측지측량용 삼각대는, 상기 기초대의 상부에 이격 배치되는 측량지지대; 기초대의 상부에 결합되며 측량지지대의 측면에 연결되어 측량지지대를 승강 및 회전시키는 승강회전부; 승강회전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이동보조장치; 이동보조장치의 상부에 결합되는 차폐부; 및 차폐부의 내부에 수용되는 측량장비; 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세각 조절과 높이 조절이 가능한 측지측량용 삼각대에서 상기 회전수단은, 일측단부가 회전판에 고정되고 타측단부가 몸체를 관통하는 연결봉; 몸체를 관통한 연결봉의 타측단부에 고정되고 원주면이 오목한 형상이며 오목한 원주면에 수직으로 치열이 형성되는 웜휠; 일측단부가 몸체에 소정의 각도로 회동가능하도록 지지되는 가이드부재에 회전자유로 지지되고, 중간부가 웜휠의 오목한 치열에 결치되도록 웜이 형성되며, 타측단부가 가이드부재의 회전중심을 기준 소정의 각도로 회동하여 웜이 웜휠의 방향으로 항상 가압되도록 스프링이 연결되는 웜봉; 및 웜봉을 회전시켜서 회전판이 회전되도록 웜봉의 타측단부에 고정되는 조절노브;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세각 조절과 높이 조절이 가능한 측지측량용 삼각대에서 상기 승강회전부는, 상기 기초부의 상부면에 결합되는 승강회전본체; 승강회전본체에 마련되는 모터프레임; 모터프레임에 마련되는 좌우이동모터; 모터프레임에 이동되게 마련되며 좌우이동모터와 연결되어 측량지지대의 방향으로 이동되는 좌우이동프레임; 좌우이동프레임에 마련되어 좌우이동프레임과 같이 이동되는 회전부회전모터; 회전부회전모터에 연결되어 측량지지대의 방향으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게 이동되며 측량지지대의 측면에 결합되는 홀더프레임; 및 모터프레임에 마련되며 승강회전본체에 마련된 승강가이드랙과 기어 결합되어 모터프레임을 승강시키는 상하승강모터;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세각 조절과 높이 조절이 가능한 측지측량용 삼각대에서 상기 이동보조장치는, 상기 승강하강부의 상부에 마련되어 측량장비를 전후 방향과 높이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제1구동부; 제1구동부에 마련되어 전후 방향과 높이 방향으로 이동되는 연결유닛; 및 연결유닛에 일측부가 결합되며 측량장비가 장착되는 제2구동부; 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유닛은 제2구동부에 회전 및 각도 조절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세각 조절과 높이 조절이 가능한 측지측량용 삼각대에서 상기 제1구동부는, 승강회전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이동바디; 이동바디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게 마련되는 수평이동조절부; 및 수평이동조절부에 승강되게 마련되며 연결유닛이 결합되는 승강조절부;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세각 조절과 높이 조절이 가능한 측지측량용 삼각대에서 상기 수평이동조절부는, 이동바디의 상면부에 이격 마련되는 한 쌍의 제1레일; 하측부가 한 쌍의 제1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제1블록; 한 쌍의 제1블록의 상면부에 결합되어 한 쌍의 제1블록과 같이 이동되는 이동플레이트; 및 이동플레이트에 수직되게 결합되는 승강지지플레이트;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세각 조절과 높이 조절이 가능한 측지측량용 삼각대에서 상기 승강조절부는, 승강지지플레이트에 이격 결합되는 한 쌍의 제2레일; 및 한 쌍의 제2레일에 승강 가능하게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제2블록; 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세각 조절과 높이 조절이 가능한 측지측량용 삼각대에서 상기 차폐부는, 상기 이동보조수단의 상부에 결합된 개방된 영역이 형성되는 베이스바디; 베이스바디의 상부에 마련되어 베이스바디의 개방된 영역을 덮는 베이스차폐바디; 베이스차폐바디에 승강되게 마련되어 베이스차폐바디의 하부의 개방된 영역을 덮는 제1차폐바디; 제1차폐바디에 승강되게 마련되어 제1차폐바디의 하부의 개방된 영역을 덮는 제2차폐바디; 및 일측부는 베이스차폐바디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2차폐바디에 결합되어 제1차폐바디와 제2차폐바디를 승강시키는 차폐구동부;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세각 조절과 높이 조절이 가능한 측지측량용 삼각대에서 상기 차폐구동부는, 베이스차폐바디의 상부에 마련되는 실린더바디; 실린더바디에 일측부가 연결되어 신축되는 실린더로드; 실린더로드의 단부에 결합되는 실린더브래킷; 실린더브래킷에 일측부가 결합되어 실린더로드와 같이 승강되는 연결유닛; 일단부는 베이스차폐바디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베이스차폐바디에 결합된 베이스지지판을 관통하여 제1차폐바디의 제1지지판에 결합되는 승강가이드바; 연결유닛과 승강가이드바를 연결시켜 연결유닛과 승강가이드바를 같이 승강시키며 승강가이드바의 내부에 배치되는 승강연결바디; 일측부는 승강가이드바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2차폐바디에 결합되어 승강가이드바와 같이 승강되는 하부승강바; 및 하부승강바에 마련되어 하부승강바의 상승 높이를 제한하는 하부스토퍼;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측량장비의 표정과정에서 발생하는 표정오차를 원천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외부의 어떠한 충격이나 진동에도 고정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작업시간 및 경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웜과 웜휠이 항상 밀착되도록 가압되어 훨거워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세각 조절과 높이 조절이 가능한 측지측량용 삼각대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몸체의 저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몸체를 부분 절단한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몸체의 저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측지측량용 삼각대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강회전부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보조장치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유닛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폐부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폐부의 배면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차폐바디와 제2차폐바디가 하강한 작동 모습을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세각 조절과 높이 조절이 가능한 측지측량용 삼각대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지측량용 삼각대는 기초대(1)가 안착되는 회전판(10)과, 상기 회전판(10)을 회전지지하는 몸체(20) 및 상기 몸체(20)를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지지하는 3개의 다리(3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회전판(10)은 기초대(1)와 나사고정되고, 상기 몸체(20)는 상기 회전판(10)의 회전이 자유롭도록 상기 회전판(10)을 회전지지하며, 3개의 상기 다리(30)는 상기 몸체(20)에 각각 힌지결합으로 연결되어 절첩이 가능하고, 그 길이 및 각도가 조절되는 것으로서, 상기 몸체(20)를 수평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지측량용 삼각대는 기초대(1)가 상기 몸체(20)를 기준으로 미세하게 좌/우회전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회전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몸체의 저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몸체를 부분 절단한 측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몸체의 저단면도이다.
상기 회전수단은 일측단부가 상기 회전판(10)에 고정되고 타측단부가 상기 몸체(20)를 관통하는 연결봉(42), 상기 몸체(20)를 관통한 상기 연결봉(42)의 타측단부에 고정되고 원주면이 오목한 형상이며 오목한 원주면에 수직으로 치열이 형성되는 웜휠(44), 일측단부가 상기 몸체(20)에 소정의 각도로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가이드부재(50)에 회전자유로 지지되고 중간부가 상기 웜휠(44)의 오목한 치열에 결치되도록 웜(52)이 형성되며, 타측단부가 상기 가이드부재(50)의 회전중심을 기준 소정의 각도로 회동하여 상기 웜(52)이 상기 웜휠(44)의 방향으로 항상 가압되도록 스프링(54)이 연결되는 웜봉(46)을 구비한다.
상기 스프링(54)은 일측단부가 상기 밑판(58)에 고정되고, 타측단부가 상기 웜봉(46)의 타측단부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상기 웜(52)과 웜휠(44)이 헐거워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잦은 작동으로 윔(52)이나 윔휠(44)이 마모되더라도 웜휠(44)은 웜(52) 방향으로 항상 가압되어 견고하게 밀착될 수 있기 때문에 미세조정에서 가장 중요한 기기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웜봉(46)을 회전시켜서 상기 회전판(10)이 미세하게 회전되도록 상기 웜봉(46)의 타측단부에 조절노브(48)가 고정된다.
상기 조절노브(48) 대신 모터 및 모터를 제어하는 콘트롤박스를 설치하여 수동식이 아닌 자동식으로 상기 회전판(10)이 회전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연결봉(42)과 몸체(20) 사이에는 베어링(56)이 설치되고, 상기 베어링(56)은 상기 몸체(20)에 나사고정되는 밑판(58)에 고정된다.
상기 기초대(1)와 상기 회전판(10)을 서로 고정시키도록 기초대(1)의 밑면에는 암나사홀(1a)이 형성된 철판(1b)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봉(42)에는 상기 연결봉(42)을 관통하는 고정나사(60)가 설치된다.
상기 고정나사(60)는 일측단부에 암나사홀(1a)과 나사결합하는 수나사(60s)가 형성되고, 타측단부에 사용자에 의해 회전되어 기초대(1)와 상기 회전판(10)을 고정시키는 고정노브(62)가 형성된다.
여기서, 측량이 필요한 주변상황 등에 따라 상기 고정노브(62)를 통한 상기 고정나사(60)의 회전과 함께 기초대(1)의 회전을 통해 상기 수나사(60s)와 암나사홀(1a)이 상호 나사결합되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지측량용 삼각대의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먼저 작업자는 상기 삼각대의 다리(30)를 벌려서 상기 삼각대를 지면에 고정시킨 후 상기 삼각대의 다리(30)의 벌려진 각도를 조절하거나 다리(30)의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삼각대의 높이 및 수평을 맞추고, 기초대(1)를 상기 삼각대의 회전판(10)에 안착시킨다.
그리고, 상기 고정노브(62)를 회전시켜서 상기 수나사(60s)가 기초대(1)의 암나사홀(1a)에 나사결합되도록 한다.
작업자는 상기 조절노브(48)를 손으로 파지하여 미세하게 회전시키면서 기초대(1)에 올려놓은 조준의(도시하지 않음)의 지향하는 방향(광파데오도라이트인 경우에는 렌즈의 십자선)을 표간(Pole)의 중심에 일치시키는 표정작업을 실시한다.
작업자에 의해 상기 조절노브(48)가 정/역회전되면 상기 조절노브(48)에 연결된 웜봉(46)이 정/역회전하게 되고, 상기 웜휠(44)에 치합된 상기 웜봉(46)의 웜(52)이 상기 웜봉(46)과 함께 정/역회전하면서 상기 웜휠(44)이 미세하게 좌/우회전한다.
이러한 웜휠(44)의 회전으로 말미암아 상기 연결봉(42) 및 상기 회전판(10)이 함께 좌/우회전하면서 상기 회전판(10)에 고정된 기초대(1)가 미세하게 좌/우회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측량장비를 상기 삼각대에 체결하는 순간 측량장비가 미세하게 움직이더라도 표정작업은 측량장비의 고정이 완료된 후에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측량장비의 체결작업시 발생하는 표정오차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측량장비가 상기 회전판(10)에 지지되면서 측량작업 도중에 측량장비가 추락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하고, 일상적 작업환경인 도로변이나 중장비작업장 근처에서 측량작업이 실시되는 경우에도 대형차량이나 중장비에 의한 지면의 진동에도 상기 측량장비가 쉽게 틀어지지 않아 측량작업이 용이하고, 측량에 대한 신뢰도가 향상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측지측량용 삼각대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강회전부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측지측량용 삼각대는, 기초대(1)의 상부에 이격 배치되는 측량지지대(200), 기초대(1)의 상부에 결합되며 측량지지대(200)의 측면에 연결되어 측량지지대(200)를 승강 및 회전시키는 승강회전부(400), 승강회전부(400)의 상부에 결합되는 이동보조장치(500), 이동보조장치(500)의 상부에 결합되는 차폐부(600) 및 차폐부(600)의 내부에 수용되는 측량장비(300)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초대(1)의 하부에는 몸체(20), 3개의 다리(30) 등의 부품이 결합되어 기초대(1)를 지지한다.
상기 측량지지대(200)는 측량장비(300)를 지지하는 것으로, 육면체 형태로 형성된다. 측량지지대(200)의 상단에는 이동보조장치(500), 차폐부(600) 및 측량장비(300) 등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 측량장비(300)는 광파측량기, 데오도라이트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승강회전부(400)는 측량장비(300)가 장착되는 측량지지대(200)를 상하 방향으로 승강시킴과 아울러 전후 방향으로 회전시켜 측량장비(300)의 수직선상 위치를 더 원활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승강회전부(400)는, 기초대(1)의 상부면에 결합되는 승강회전본체(410)와, 승강회전본체(410)에 마련되는 모터프레임(420)과, 모터프레임(420)에 마련되는 좌우이동모터(430)와, 모터프레임(420)에 이동되게 마련되며 좌우이동모터(430)와 연결되어 측량지지대(200)의 방향으로 이동되는 좌우이동프레임(440)과, 좌우이동프레임(440)에 마련되어 좌우이동프레임(440)과 같이 이동되는 회전부회전모터(450)와, 회전부회전모터(450)에 연결되어 측량지지대(200)의 방향으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게 이동되며 측량지지대(200)의 측면에 결합되는 홀더프레임(460)과, 모터프레임(420)에 마련되며 승강회전본체(410)에 마련된 승강가이드랙(413)과 기어 결합되어 모터프레임(420)을 승강시키는 상하승강모터(470)를 포함한다.
상기 승강회전본체(410)는 복수의 세로프레임(411)과 복수의 가로프레임(412)을 결합시켜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복수의 세로프레임(411)에는 세로프레임(411)의 높이 방향으로 승강가이드랙(413)이 마련되고, 이 승강가이드랙(413)은 상하승강모터(470)의 구동 기어와 맞물려 모터프레임(420)의 승강을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좌우이동모터(430)는 좌우이동프레임(440)을 측량지지대(200)의 방향으로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회전부회전모터(450)는 홀더프레임(460)을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고, 이때 홀더프레임(460)에 결합된 측량지지대(200)도 홀더프레임(460)과 같이 시계 방향(후방) 또는 반시계 방향(전방)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상하승강모터(470)는 모터프레임(420)에 마련되며 승강회전본체(410)에 마련된 승강가이드랙(413)과 기어 결합되어 모터프레임(420)을 상하로 승강시킬 수 있다. 모터프레임(420)의 승강에 따라 측량장비(300)도 상하로 승강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승강회전부(400)에 의해 능동적으로 측량장비(300)의 수직 선상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보조장치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유닛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보조장치(500)는 승강회전부(400)의 상부에 결합되어 측량장비(300)를 전후 방향과 높이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제1구동부(510)와, 제1구동부(510)에 마련되어 전후 방향과 높이 방향으로 이동되는 연결유닛(520)과, 연결유닛(520)에 일측부가 결합되며 차폐부(600) 및 측량장비(300)가 장착되는 제2구동부(530)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1구동부(510)는 이동바디(511)와, 이동바디(511)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게 마련되는 수평이동조절부(512)와, 수평이동조절부(512)에 승강되게 마련되며 연결유닛(520)이 결합되는 승강조절부(513)를 포함한다.
상기 제1구동부(510)의 이동바디(511)는, 승강회전부(400)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구동부(510)의 수평이동조절부(512)는 이동바디(511)의 상면부에 이격 마련되는 한 쌍의 제1레일(512a)과, 하측부가 한 쌍의 제1레일(512a)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제1블록(512b)과, 한 쌍의 제1블록(512b)의 상면부에 결합되어 한 쌍의 제1블록(512b)과 같이 이동되는 이동플레이트(512c)와, 이동플레이트(512c)에 수직되게 결합되는 승강지지플레이트(512d)를 포함한다.
상기 제1구동부(510)의 승강조절부(513)는 승강지지플레이트(512d)에 이격 결합되는 한 쌍의 제2레일(513a)과, 한 쌍의 제2레일(513a)에 승강 가능하게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제2블록(513b)을 포함하고, 연결유닛(520)은 한 쌍의 제2블록(513b)에 탈착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측량장비(300)가 장착되는 제2구동부(530)는 연결유닛(520)에 결합되고, 연결유닛(520)은 한 쌍의 제2블록(513b)에 결합되므로 한 쌍의 제2블록(513b)의 승강 시 측량장비(300)도 한 쌍의 제2레일(513a)의 높이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제2레일(513a)은 승강지지플레이트(512d)에 결합되고, 승강지지플레이트(512d)는 이동플레이트(512c)와 같이 이동되고, 이동플레이트(512c)는 한 쌍의 제1블록(512b)에 의해 한 쌍의 제1레일(512a)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블록(512b)과 제2블록(513b)은 제어유닛(미도시)에 연결되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연결유닛(520)은 일측부는 한 쌍의 제2블록(513b)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2구동부(530)에 결합되며 제2구동부(530)에 회전 및 각도 조절되게 결합되어 제2구동부(530)에 장착된 측량장비(300)도 회전 및 각도 조절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연결유닛(520) 제2블록(513b)에 결합되는 결합판(521)과, 결합판(521)의 일측에 마련되는 연결베이스바디(522)와, 연결베이스바디(522)의 단부에 마련되는 볼부재(523)와, 제2구동부(530)에 마련된 프레임바디(531)에 탈착 결합되며 내부에 볼부재(523)가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는 결합바디(524)와, 결합바디(524)의 내벽과 볼부재(523)의 사이에 배치되어 볼부재(523)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회전가이드바디(525)와, 결합판(521)과 마주보는 영역의 결합바디(524)에 마련되어 볼부재(523)의 이탈을 방지하는 지지시트(526)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2구동부(530)는 프레임바디(531)에 의해 결합바디(524)에 탈착 결합되고, 결합바디(524)는 볼부재(523)에 회전 및 각도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제2구동부(530)도 회전 및 각도 조절되고 이로 인해 제2구동부(530)에 마련된 측량장비(300)도 회전 및 각도 조절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연결베이스바디(522)의 내부에는 홀부재(522a)가 마련되고, 이 홀부재(522a)는 볼부재(523)의 내부에도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회전가이드바디(525)의 내벽에는 지지돌기(525a)가 마련되고, 이 지지돌기(525a)는 볼부재(523)의 외벽에 마련된 홈에 삽입되어 볼부재(523)의 회전을 더 안정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폐부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폐부의 배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차폐바디와 제2차폐바디가 하강한 작동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폐부(600)는 내부에 배치된 측량장비(300)를 외부와 차폐시킬 수 있다. 차폐부(600)는 내부 부품과 외부를 차단할 수 차폐할 수 있으므로 삼각대의 운반, 설치시 측량장비(300)가 손상되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차폐부(600)는 베이스바디(601), 베이스차폐바디(610), 제1차폐바디(620), 제2차폐바디(630), 차폐구동부(640) 및 스토퍼부(650) 등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바디(601)는 이동보조장치(500)의 상부에 결합되며, 전방부가 개방된 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고, 후방부도 개방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바디(601)의 상단부에는 전방으로 돌출되는 돌출지지바디(602)가 마련되어 베이스차폐바디(610)의 탈착 결합 장소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돌출지지바디(602)에는 가이드절개홀(603)이 마련되고 여기에는 차폐부(600)에 마련된 실린더바디(641)가 삽입되어 수용될 수 있다. 그 결과 실린더바디(641)가 돌출지지바디(602)와 간섭 즉 충돌되는 것은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차폐바디(610)는 베이스바디(601)의 돌출지지바디(602)에 결합되어 베이스바디(601)의 개방된 영역 예를 들어 베이스바디(601)의 전방 영역 또는 후방 영역을 차폐할 수 있고, 베이스바디(601)의 전방 영역과 후방 영역을 모두 차폐하는 경우 베이스바디(601)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차폐바디(610)는 베이스바디(601)의 상부에 결합되어 베이스바디(601)의 개방된 영역을 덮고, 제1차폐바디(620)는 베이스차폐바디(610)에 승강되게 마련되어 베이스차폐바디(610)의 하부의 개방된 영역을 덮으며, 제2차폐바디(630)는 제1차폐바디(620)에 승강되게 마련되어 제1차폐바디(620)의 하부의 개방된 영역을 덮는다.
상기 차폐구동부(640)의 일측부는 베이스차폐바디(610)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2차폐바디(630)에 결합되어 제1차폐바디(620)와 제2차폐바디(630)를 승강시킨다. 상기 스토퍼부(650)는 베이스차폐바디(610)와 제1차폐바디(620)에 마련되어 제1차폐바디(620)와 제2차폐바디(630)의 하강 높이를 제한한다.
상기 베이스차폐바디(610)의 양측에는 베이스절곡판(611)이 마련되어 베이스바디(601)의 외벽에 지지될 수 있다. 베이스절곡판(611)에는 베이스지지레일(613)이 마련되어 제1차폐바디(620)에 마련된 제1승강레일(623)의 승강을 가이드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베이스차폐바디(610)의 중앙부에는 베이스지지판(612)이 마련된다. 베이스지지판(612)에는 베이스가이드바디(614)가 마련되어 차폐구동부(640)의 승강가이드바(645)의 승강을 가이드할 수 있다. 승강가이드바(645)에는 절개홀(645a)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차폐바디(620)는 베이스차폐바디(610)에 승강되게 마련되어 베이스바디(601)의 개방된 영역을 차폐할 수 있다.
상기 제1차폐바디(620)의 양측에는 제1절곡판(621)이 마련되어 베이스바디(601)의 외벽에 지지될 수 있다. 제1지지판(622)에는 제1승강레일(623)이 마련되고, 제1승강레일(623)은 전술한 베이스지지레일(613)에 지지되어 슬라이딩 방식으로 승강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제1승강레일(623)에는 제1지지레일(624)이 결합되어 제2차폐바디(630)에 마련된 제2 승강레일(633)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차폐바디(620)의 중앙부에는 제1지지판(622)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2차폐바디(630)는 제1차폐바디(620)에 승강되게 마련되어 베이스바디(601)의 개방된 영역을 차폐할 수 있다.
상기 제2차폐바디(630)의 양측에는 제2절곡판(631)이 마련될 수 있다. 제2절곡판(631)에는 전술한 제2승강레일(633)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제2차폐바디(630)의 하단부에는 절곡편(632)이 마련되고, 이 절곡편(632)은 베이스바디(601)의 전방벽 또는 후방벽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차폐구동부(640)는, 일측부는 베이스차폐바디(610)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2차폐바디(630)에 결합되어 제1차폐바디(620)와 제2차폐바디(630)를 승강시킬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차폐구동부(640)는 제어모듈(미도시)에 연결되어 작동될 수 있다.
상기 차폐구동부(640)는, 베이스차폐바디(610)의 상부에 마련되는 실린더바디(641)와, 실린더바디(641)에 일측부가 연결되어 신축되는 실린더로드(642)와, 실린더로드(642)의 단부에 결합되는 실린더브래킷(643)과, 실린더브래킷(643)에 일측부가 결합되어 실린더로드(642)와 같이 승강되는 연결유닛(644)과, 일단부는 베이스차폐바디(610)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베이스지지판(612)을 관통하여 제1차폐바디(620)의 제1지지판(622)에 결합되는 승강가이드바(645)와, 연결유닛(644)과 승강가이드바(645)를 연결시켜 연결유닛(644)과 승강가이드바(645)를 같이 승강시키며 승강가이드바(645)의 내부에 배치되는 승강연결바디(646)와, 일측부는 승강가이드바(645)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2차폐바디(630)에 결합되어 승강가이드바(645)와 같이 승강되는 하부승강바(647)와, 하부승강바(647)에 마련되어 하부승강바(647)의 상승 높이를 제한하는 하부스토퍼(648)를 포함한다.
상기 실린더바디(641)의 상단부는 브래킷을 이용하여 베이스차폐바디(610)에 탈착 가능하게 볼트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연결유닛(644)은, 실린더브래킷(643)에 결합되며 제1지지판(622)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1연결바디(644a)와, 제1연결바디(644a)에 결합되며 제1지지판(622)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연결바디(644b)와, 일측부는 제2연결바디(644b)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승강연결바디(646)에 결합되는 제3연결바디(644c)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제3연결바디(644c)는 승강가이드바(645)의 외벽을 둘러싸도록 마련되고, 제1연결바디(644a)와 제2연결바디(644b)와 제3연결바디(644c)는 평면상 '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승강가이드바(645)에는 절개홀(645a)이 마련되어 승강연결바디(646)와 승강가이드바(645)의 마찰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스토퍼부(650)는 베이스지지레일(613)과 제1지지레일(624)에 마련되어 제1차폐바디(620)와 제2차폐바디(630)의 하강 높이를 제한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스토퍼부(650)는, 스토퍼판(651)과, 스토퍼판(651)의 벽부 내측과 외측으로 돌출되게 마련되는 복수의 스토퍼볼(652)을 포함한다.
본 실시 예는 복수의 스토퍼볼(652)이 제1승강레일(623) 또는 제2승강레일(633)에 접촉되어 제1차폐바디(620)와 제2차폐바디(630)의 하강 높이를 제한할 수 있다.
이하에서 차폐구동부(640)의 작동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상기 차폐구동부(640)의 실린더로드(642)가 하강하면, 연결유닛(644), 연결유닛(644)과 연결된 승강가이드바(645)가 하강된다. 이때, 승강가이드바(645)의 하부에는 하부승강바(647)가 결합되어 있으므로 하부승강바(647)도 같이 하강된다.
그 결과 제1차폐바디(620)와 제2차폐바디(630)도 같이 하강되며, 제1차폐바디(620)는 베이스지지레일(613)에 지지되면서 하강되고, 제2차폐바디(630)는 제1지지레일(624)에 지지되어 하강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 : 기초대 10 : 회전판 20 : 몸체
30 : 다리 42 : 연결봉 50 : 가이드부재
60 : 고정나사 200 : 측량지지대 300 : 측량장비
400 : 승강회전부 410 : 승강회전본체 411 : 세로프레임
412 : 가로프레임 413 : 승강가이드랙 420 : 모터프레임
430 : 좌우이동모터 440 : 좌우이동프레임 450 : 회전부회전모터
460 : 홀더프레임 470 : 상하승강모터 500 : 이동보조장치
510 : 제1구동부 511 : 이동바디 512 : 수평이동조절부
512a : 제1레일 512b : 제1블록 512c : 이동플레이트
512d : 승강지지플레이트 513 : 승강조절부 513a : 제2레일
513b : 제2블록 520 : 연결유닛 521 : 결합판
522 : 연결베이스바디 522a : 홀부재 523 : 볼부재
524 : 결합바디 525 : 회전가이드바디 525a : 지지돌기
526 : 지지시트 530 : 제2구동부 531 : 프레임바디
600 : 차폐부 601: 베이스바디 602 : 돌출지지바디
603 : 가이드절개홀 610 : 베이스차폐바디 611 : 베이스절곡판
612 : 베이스지지판 613 : 베이스지지레일 614 : 베이스가이드바디
620 : 제1차폐바디 621 : 제1절곡판 622 : 제1지지판
623 : 제1승강레일 624 : 제1지지레일 630 : 제2차폐바디
631 : 제2절곡판 632 : 절곡편 633 : 제2승강레일
640 : 차폐구동부 641 : 실린더바디 642 : 실린더로드
643 : 실린더브래킷 644 : 연결유닛 644a : 제1연결바디
644b : 제2연결바디 644c : 제3연결바디 645 : 승강가이드바
645a : 절개홀 646 : 승강연결바디 647 : 하부승강바
648 : 하부스토퍼 650 : 스토퍼부 651 : 스토퍼판
652 : 스토퍼볼

Claims (1)

  1. 기초대가 지지되는 회전판; 회전판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회전판을 회전지지하는 몸체; 몸체에 연결되어 몸체를 수평지지하는 3개의 다리; 및 기초대가 몸체를 기준으로 좌우회전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몸체에 설치되고, 회전판과 연결되어 회전판을 회전시키는 회전수단; 을 포함하되,
    상기 기초대의 상부에 이격 배치되는 측량지지대; 기초대의 상부에 결합되며 측량지지대의 측면에 연결되어 측량지지대를 승강 및 회전시키는 승강회전부; 승강회전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이동보조장치; 이동보조장치의 상부에 결합되는 차폐부; 및 차폐부의 내부에 수용되는 측량장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수단은,
    일측단부가 회전판에 고정되고 타측단부가 몸체를 관통하는 연결봉; 몸체를 관통한 연결봉의 타측단부에 고정되고 원주면이 오목한 형상이며 오목한 원주면에 수직으로 치열이 형성되는 웜휠; 일측단부가 몸체에 소정의 각도로 회동가능하도록 지지되는 가이드부재에 회전자유로 지지되고, 중간부가 웜휠의 오목한 치열에 결치되도록 웜이 형성되며, 타측단부가 가이드부재의 회전중심을 기준 소정의 각도로 회동하여 웜이 웜휠의 방향으로 항상 가압되도록 스프링이 연결되는 웜봉; 및 웜봉을 회전시켜서 회전판이 회전되도록 웜봉의 타측단부에 고정되는 조절노브; 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회전부는,
    상기 기초대의 상부면에 결합되는 승강회전본체; 승강회전본체에 마련되는 모터프레임; 모터프레임에 마련되는 좌우이동모터; 모터프레임에 이동되게 마련되며 좌우이동모터와 연결되어 측량지지대의 방향으로 이동되는 좌우이동프레임; 좌우이동프레임에 마련되어 좌우이동프레임과 같이 이동되는 회전부회전모터; 회전부회전모터에 연결되어 측량지지대의 방향으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게 이동되며 측량지지대의 측면에 결합되는 홀더프레임; 및 모터프레임에 마련되며 승강회전본체에 마련된 승강가이드랙과 기어 결합되어 모터프레임을 승강시키는 상하승강모터; 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보조장치는,
    상기 승강회전부의 상부에 마련되어 측량장비를 전후 방향과 높이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제1구동부; 제1구동부에 마련되어 전후 방향과 높이 방향으로 이동되는 연결유닛; 및 연결유닛에 일측부가 결합되며 측량장비가 장착되는 제2구동부; 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유닛은 제2구동부에 회전 및 각도 조절되게 결합되며,
    상기 제1구동부는,
    승강회전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이동바디; 이동바디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게 마련되는 수평이동조절부; 및 수평이동조절부에 승강되게 마련되며 연결유닛이 결합되는 승강조절부; 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이동조절부는,
    이동바디의 상면부에 이격 마련되는 한 쌍의 제1레일; 하측부가 한 쌍의 제1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제1블록; 한 쌍의 제1블록의 상면부에 결합되어 한 쌍의 제1블록과 같이 이동되는 이동플레이트; 및 이동플레이트에 수직되게 결합되는 승강지지플레이트; 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조절부는,
    승강지지플레이트에 이격 결합되는 한 쌍의 제2레일; 및 한 쌍의 제2레일에 승강 가능하게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제2블록; 을 포함하며,
    상기 차폐부는,
    상기 이동보조장치의 상부에 결합된 개방된 영역이 형성되는 베이스바디; 베이스바디의 상부에 마련되어 베이스바디의 개방된 영역을 덮는 베이스차폐바디; 베이스차폐바디에 승강되게 마련되어 베이스차폐바디의 하부의 개방된 영역을 덮는 제1차폐바디; 제1차폐바디에 승강되게 마련되어 제1차폐바디의 하부의 개방된 영역을 덮는 제2차폐바디; 및 일측부는 베이스차폐바디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2차폐바디에 결합되어 제1차폐바디와 제2차폐바디를 승강시키는 차폐구동부; 를 포함하고,
    상기 차폐구동부는,
    베이스차폐바디의 상부에 마련되는 실린더바디; 실린더바디에 일측부가 연결되어 신축되는 실린더로드; 실린더로드의 단부에 결합되는 실린더브래킷; 실린더브래킷에 일측부가 결합되어 실린더로드와 같이 승강되는 연결유닛; 일단부는 베이스차폐바디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베이스차폐바디에 결합된 베이스지지판을 관통하여 제1차폐바디의 제1지지판에 결합되는 승강가이드바; 연결유닛과 승강가이드바를 연결시켜 연결유닛과 승강가이드바를 같이 승강시키며 승강가이드바의 내부에 배치되는 승강연결바디; 일측부는 승강가이드바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2차폐바디에 결합되어 승강가이드바와 같이 승강되는 하부승강바; 및 하부승강바에 마련되어 하부승강바의 상승 높이를 제한하는 하부스토퍼;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각 조절과 높이 조절이 가능한 측지측량용 삼각대.
KR1020230033246A 2023-03-14 2023-03-14 미세각 조절과 높이 조절이 가능한 측지측량용 삼각대 KR1025736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3246A KR102573679B1 (ko) 2023-03-14 2023-03-14 미세각 조절과 높이 조절이 가능한 측지측량용 삼각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3246A KR102573679B1 (ko) 2023-03-14 2023-03-14 미세각 조절과 높이 조절이 가능한 측지측량용 삼각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3679B1 true KR102573679B1 (ko) 2023-09-01

Family

ID=87974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3246A KR102573679B1 (ko) 2023-03-14 2023-03-14 미세각 조절과 높이 조절이 가능한 측지측량용 삼각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367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053776A (zh) * 2023-10-11 2023-11-14 北京中联世建建设规划设计有限公司 一种城乡道路规划用测绘装置
KR102630944B1 (ko) * 2023-06-28 2024-01-30 주식회사 도명메타 측지 측량장비의 수평을 유지할 수 있는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0709A (ko) * 1998-12-19 2000-07-05 최운지 측량장비용 삼각대
JP2005114701A (ja) * 2003-10-10 2005-04-28 Motoyuki Hiraga ターゲットピンポールプリズム
JP3875443B2 (ja) * 2000-02-15 2007-01-31 株式会社和光測機 測量用ポール並びにgps測量用移動局アンテナポールの保持装置
KR101924046B1 (ko) * 2018-04-30 2018-11-30 삼부기술 주식회사 측량용 삼각대의 높이조절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0709A (ko) * 1998-12-19 2000-07-05 최운지 측량장비용 삼각대
JP3875443B2 (ja) * 2000-02-15 2007-01-31 株式会社和光測機 測量用ポール並びにgps測量用移動局アンテナポールの保持装置
JP2005114701A (ja) * 2003-10-10 2005-04-28 Motoyuki Hiraga ターゲットピンポールプリズム
KR101924046B1 (ko) * 2018-04-30 2018-11-30 삼부기술 주식회사 측량용 삼각대의 높이조절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0944B1 (ko) * 2023-06-28 2024-01-30 주식회사 도명메타 측지 측량장비의 수평을 유지할 수 있는 장치
CN117053776A (zh) * 2023-10-11 2023-11-14 北京中联世建建设规划设计有限公司 一种城乡道路规划用测绘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73679B1 (ko) 미세각 조절과 높이 조절이 가능한 측지측량용 삼각대
KR101834001B1 (ko) 측지 측량 시 삼각대의 지면 고정 장치
KR101503026B1 (ko) 수준측량을 위한 측지측량용 토털스테이션
KR102310846B1 (ko) 측지측량용 삼각대의 수평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측지측량장치
CN210198384U (zh) 一种全站仪的稳定支架
KR101924046B1 (ko) 측량용 삼각대의 높이조절시스템
CN103111914B (zh) 一种激光位移传感器安装及微调装置
KR102573680B1 (ko) 수평 유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측지측량용 삼각대
KR102573681B1 (ko) 측량용 표척을 지면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측지측량장치
CN212688947U (zh) 管桩定位装置及打桩机
CN215371877U (zh) 一种可调节全站仪安置装置
CN114779240A (zh) 防空洞地质雷达快速探测辅助装置
CN114909551A (zh) 一种多功能全站仪
GB2232651A (en) Support with mobile counterweight
KR200250399Y1 (ko) 건축용 레벨 체크기
CN118188962A (zh) 地质灾害裂缝专用测量设备及方法
CN217504792U (zh) 一种土建施工用定位测量装置
CN210739869U (zh) 一种用于工程测绘仪的快速定位装置
KR102596656B1 (ko) 항공촬영용 카메라의 초점 위치를 안정화할 수 있는 항공촬영장치
AU2003100592A4 (en) Post Driving Apparatus
CN217816110U (zh) 一种基于精准造价管理的现场测量辅助装置
KR102596657B1 (ko) Gnss를 기반으로 지형구조물의 위치별 측지측량 데이터를 처리하는 측지측량시스템
CN220508022U (zh) 一种地基沉降检测系统标定装置
CN220102678U (zh) 一种工程测绘全站仪用支撑架
CN217231979U (zh) 一种工程施工地基测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