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3681B1 - 측량용 표척을 지면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측지측량장치 - Google Patents

측량용 표척을 지면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측지측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3681B1
KR102573681B1 KR1020230033248A KR20230033248A KR102573681B1 KR 102573681 B1 KR102573681 B1 KR 102573681B1 KR 1020230033248 A KR1020230033248 A KR 1020230033248A KR 20230033248 A KR20230033248 A KR 20230033248A KR 102573681 B1 KR102573681 B1 KR 1025736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unit
lifting
base
shie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332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태
조준희
장시훈
이규현
박준신
Original Assignee
삼부기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부기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부기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332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36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36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36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G01C15/02Means for marking measuring points
    • G01C15/06Surveyors' staffs; Movable mark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측지측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면에 설치되는 기초대, 기초대의 상부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수평회전부, 수평회전부의 상부에 이격 배치되는 표척지지대, 수평회전부의 상부에 결합되며 표척지지대의 측면에 연결되어 표척지지대를 승강 및 회전시키는 승강회전부, 승강회전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이동보조장치, 이동보조장치의 상부에 결합되는 차폐부 및 차폐부의 내부에 수용되며 상측단위막대가 하측단위막대에 삽입되어 슬라이드 신축식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한 표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표척수가 제자리에서 표척의 눈금이 표시된 방향을 바꾸는 경우 표척을 지면에서 들어올리지 않고 지면에 내려놓은 상태에서 수평 회전시켜 기계수의 레벨기를 향하게 할 수 있는 측량용 표척을 지면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측지측량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측량용 표척을 지면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측지측량장치{GEODETIC SURVEYING DEVICE FOR STABLY FIXING STAFF TO GROUND}
본 발명은 측지측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측량용 표척을 지면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측지측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토목설계나 건축설계 등을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측지측량이 이루어져야 한다. 측지측량이란 수평거리와 고저차 및 방향을 측정하여 각 측정점들 상호간의 위치를 결정하여 이를 도면이나 수치로 표시하고, 현장에서 측설하는 제반 활동을 말하는 것이다. 이러한 측지측량 가운데 수준(level) 측량은 표척과 레벨기를 이용하여 두 지점 간의 높이차를 구하는 측량으로 매우 세밀한 측량이 요구된다.
도 1은 종래 표척과 레벨기를 이용하여 수준을 측량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제1단계로, 표척수(標尺手)가 표척(1)을 고도를 알고 있는 지상기준점(a0)에 세우고, 기계수(機械手)는 일정 거리 떨어진 제1관측점(b1)에서 레벨기 등의 측량기기(2)로 표척(1)의 눈금을 읽는다.
제2단계로, 표척수가 제1지점(a1)으로 이동하여 표척(1)을 세우고, 기계수가 관측점(b1)에서 레벨기 등의 측량기기(2)의 방향을 전환하여 레벨기 등의 측량기기(2)를 통해 제1지점의 표척 눈금을 읽는다. 여기서 지상기준점(a0)과 제1지점(a1)에서 읽은 눈금의 차와 지상기준점의 고도로부터 제1지점의 고도를 구한다.
제3단계로, 기계수는 제1지점(a1) 뒤의 제2관측점(b2)으로 이동하고, 표척수가 표척(1)을 제자리(제1지점)에서 방향 전환시켜 표척(1)이 레벨기 등의 측량기기(2)를 바라보도록 하면 기계수가 제2관측점(b2)에서 레벨기로 제1지점(a1)의 표척 눈금을 읽는다.
제4단계로, 표척수가 제2지점(a2)으로 이동하여 표척(1)을 세우고, 기계수가 제2관측점(b2)에서 제2지점(a2)의 표척 눈금을 읽는다. 여기서 제2관측점(b2)에서 읽은 제1지점(a1)과 제2지점(a2)의 눈금 차이로부터 제2지점의 고도를 구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표척(1)과 레벨기 등의 측량기기(2)를 계속하여 이동시키면서 각 지점의 표척과 각 관측점에서의 레벨기의 방향을 전환시켜 눈금을 읽어 목표지점까지 각 지점의 고도를 구한다.
이때, 표척이 세워지는 기준점(a0)이나 제1, 제2지점(a1, a2)과 레벨기 등의 측량기기(2)가 거치되는 제1, 제2관측점(b1, b2)의 표고차에 따라 표척의 높낮이를 조절해야 하는바, 종래의 표척은 상하 2개의 척대를 슬라이드 신축식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결합한다.
그러나 이러한 수준측량 작업을 함에 있어 기존에는 제자리에서 표척의 방향을 전환시켜 눈금을 읽어야 하므로 지면의 상태에 따라 다양한 오차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측지측량장치는 표척을 정확하게 세우는 작업이 여의치 않아 통상 표척수가 표척을 계속하여 잡고 있어야하며, 이에 따라 안정적인 고정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위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해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표척수가 제자리에서 표척의 눈금이 표시된 방향을 바꾸는 경우 표척을 지면에서 들어올리지 않고 지면에 내려놓은 상태에서 수평 회전시켜 기계수의 레벨기를 향하게 할 수 있는 측량용 표척을 지면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측지측량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표척수가 표척을 잡지 않고도 표척을 지면에 세울 수 있는 측량용 표척을 지면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측지측량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본 발명의 기재로부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지면에 설치되는 기초대; 기초대의 상부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수평회전부; 수평회전부의 상부에 이격 배치되는 표척지지대; 수평회전부의 상부에 결합되며 표척지지대의 측면에 연결되어 표척지지대를 승강 및 회전시키는 승강회전부; 승강회전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이동보조장치; 이동보조장치의 상부에 결합되는 차폐부; 및 차폐부의 내부에 수용되며 상측단위막대가 하측단위막대에 삽입되어 슬라이드 신축식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한 표척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량용 표척을 지면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측지측량장치에서 상기 승강회전부는, 상기 기초부의 상부면에 결합되는 승강회전본체; 승강회전본체에 마련되는 모터프레임; 모터프레임에 마련되는 좌우이동모터; 모터프레임에 이동되게 마련되며 좌우이동모터와 연결되어 표척지지대의 방향으로 이동되는 좌우이동프레임; 좌우이동프레임에 마련되어 좌우이동프레임과 같이 이동되는 회전부회전모터; 회전부회전모터에 연결되어 표척지지대의 방향으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게 이동되며 표척지지대의 측면에 결합되는 홀더프레임; 및 모터프레임에 마련되며 승강회전본체에 마련된 승강가이드랙과 기어 결합되어 모터프레임을 승강시키는 상하승강모터;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량용 표척을 지면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측지측량장치에서 상기 이동보조장치는, 상기 승강하강부의 상부에 마련되어 표척부를 전후 방향과 높이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제1구동부; 제1구동부에 마련되어 전후 방향과 높이 방향으로 이동되는 연결유닛; 및 연결유닛에 일측부가 결합되며 표척부가 장착되는 제2구동부; 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유닛은 제2구동부에 회전 및 각도 조절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량용 표척을 지면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측지측량장치에서 상기 제1구동부는, 승강회전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이동바디; 이동바디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게 마련되는 수평이동조절부; 및 수평이동조절부에 승강되게 마련되며 연결유닛이 결합되는 승강조절부;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량용 표척을 지면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측지측량장치에서 상기 수평이동조절부는, 이동바디의 상면부에 이격 마련되는 한 쌍의 제1레일; 하측부가 한 쌍의 제1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제1블록; 한 쌍의 제1블록의 상면부에 결합되어 한 쌍의 제1블록과 같이 이동되는 이동플레이트; 및 이동플레이트에 수직되게 결합되는 승강지지플레이트;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량용 표척을 지면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측지측량장치에서 상기 승강조절부는, 승강지지플레이트에 이격 결합되는 한 쌍의 제2레일; 및 한 쌍의 제2레일에 승강 가능하게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제2블록; 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량용 표척을 지면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측지측량장치에서 상기 차폐부는, 상기 이동보조수단의 상부에 결합된 개방된 영역이 형성되는 베이스바디; 베이스바디의 상부에 마련되어 베이스바디의 개방된 영역을 덮는 베이스차폐바디; 베이스차폐바디에 승강되게 마련되어 베이스차폐바디의 하부의 개방된 영역을 덮는 제1차폐바디; 제1차폐바디에 승강되게 마련되어 제1차폐바디의 하부의 개방된 영역을 덮는 제2차폐바디; 및 일측부는 베이스차폐바디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2차폐바디에 결합되어 제1차폐바디와 제2차폐바디를 승강시키는 차폐구동부;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량용 표척을 지면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측지측량장치에서 상기 차폐구동부는, 베이스차폐바디의 상부에 마련되는 실린더바디; 실린더바디에 일측부가 연결되어 신축되는 실린더로드; 실린더로드의 단부에 결합되는 실린더브래킷; 실린더브래킷에 일측부가 결합되어 실린더로드와 같이 승강되는 연결유닛; 일단부는 베이스차폐바디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베이스차폐바디에 결합된 베이스지지판을 관통하여 제1차폐바디의 제1지지판에 결합되는 승강가이드바; 연결유닛과 승강가이드바를 연결시켜 연결유닛과 승강가이드바를 같이 승강시키며 승강가이드바의 내부에 배치되는 승강연결바디; 일측부는 승강가이드바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2차폐바디에 결합되어 승강가이드바와 같이 승강되는 하부승강바; 및 하부승강바에 마련되어 하부승강바의 상승 높이를 제한하는 하부스토퍼;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표척을 지면 상태에 기인한 오차가 방지되는 상태로 설치할 수 있는 동시에 표척의 길이 내지 주변 풍속 등을 고려하여 표척의 하단이 놓이는 지점을 다양한 높이에서 선택적으로 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면과 접촉하는 면적이 증가하므로 인해 지면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표척수가 제자리에서 표척의 눈금이 표시된 방향을 바꾸는 경우 표척을 지면에서 들어올리지 않고 지면에 내려놓은 상태에서 수평 회전시켜 기계수의 레벨기를 향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도 1은 종래 표척과 레벨기를 이용하여 수준을 측량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량용 표척을 지면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측지측량장치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강회전부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보조장치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결유닛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폐부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폐부의 배면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차폐바디와 제2차폐바디가 하강한 작동 모습을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량용 표척을 지면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측지측량장치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강회전부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측지측량장치는, 지면에 설치되는 기초대(200), 기초대(200)의 상부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수평회전부(300), 수평회전부(300)의 상부에 이격 배치되는 표척지지대(210), 수평회전부(300)의 상부에 결합되며 표척지지대(210)의 측면에 연결되어 표척지지대(210)를 승강 및 회전시키는 승강회전부(400), 승강회전부(400)의 상부에 결합되는 이동보조장치(500), 이동보조장치(500)의 상부에 결합되는 차폐부(600) 및 차폐부(600)의 내부에 수용되며 상측단위막대(110)가 하측단위막대(120)에 삽입되어 슬라이드 신축식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한 표척부(100)를 포함한다.
상기 수평회전부(300)는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수평 회전이 가능하며, 그 상부에 배치된 표척지지대(210) 등의 다른 부품과 표척부(100)를 함께 수평 회전시킨다.
상기 수평회전부(300)에 의해 표척부(100)가 회전 가능하므로 표척수는 표척부(100)를 지면에서 들어올리지 않고 지면에 내려놓은 상태에서 수평 회전시켜 기계수의 레벨기를 향하게 할 수 있다.
상기 표척부(100)는 슬라이드식이고 신축방식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2 개 이상 복수 개의 상측단위막대(110)와 하측단위막대(120)를 포함한다. 하측단위막대(120)는 상측에 위치하는 상측단위막대(110) 보다 굵게 형성된다. 여기서 하측단위막대(120)와 상측단위막대(110)는 각각 필요에 의하여 2 개 이상의 다수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상측단위막대(110)와 하측단위막대(120)에는 기계수가 레벨기로 읽을 수 있도록 눈금이 새겨져 있다.
상기 하측단위막대(120)는 개방된 상단과 폐쇄된 하단을 가지는 기다란 사각 통모양으로 형성되며, 상측단위막대(110)는 전면이 모두 폐쇄된 사각 막대모양으로 형성되어 상측단위막대(110)가 하측단위막대(120)에 삽입되어 슬라이드 신축식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여기서 하측단위막대(120)와 상측단위막대(110)는 원통 또는 다각통 형상을 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표척지지대(210)는 표척부(100)를 지지하는 것으로, 육면체 형태로 형성된다. 표척지지대(210)의 상단에는 이동보조장치(500), 차폐부(600) 및 표척부(100) 등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 승강회전부(400)는 표척부(100)가 장착되는 표척지지대(210)를 상하 방향으로 승강시킴과 아울러 전후 방향으로 회전시켜 표척부(100)의 수직선상 위치를 더 원활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승강회전부(400)는, 수평회전부(300)의 상부면에 결합되는 승강회전본체(410)와, 승강회전본체(410)에 마련되는 모터프레임(420)과, 모터프레임(420)에 마련되는 좌우이동모터(430)와, 모터프레임(420)에 이동되게 마련되며 좌우이동모터(430)와 연결되어 표척지지대(210)의 방향으로 이동되는 좌우이동프레임(440)과, 좌우이동프레임(440)에 마련되어 좌우이동프레임(440)과 같이 이동되는 회전부회전모터(450)와, 회전부회전모터(450)에 연결되어 표척지지대(210)의 방향으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게 이동되며 표척지지대(210)의 측면에 결합되는 홀더프레임(460)과, 모터프레임(420)에 마련되며 승강회전본체(410)에 마련된 승강가이드랙(413)과 기어 결합되어 모터프레임(420)을 승강시키는 상하승강모터(470)를 포함한다.
상기 승강회전본체(410)는 복수의 세로프레임(411)과 복수의 가로프레임(412)을 결합시켜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복수의 세로프레임(411)에는 세로프레임(411)의 높이 방향으로 승강가이드랙(413)이 마련되고, 이 승강가이드랙(413)은 상하승강모터(470)의 구동 기어와 맞물려 모터프레임(420)의 승강을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좌우이동모터(430)는 좌우이동프레임(440)을 표척지지대(210)의 방향으로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회전부회전모터(450)는 홀더프레임(460)을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고, 이때 홀더프레임(460)에 결합된 표척지지대(210)도 홀더프레임(460)과 같이 시계 방향(후방) 또는 반시계 방향(전방)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상하승강모터(470)는 모터프레임(420)에 마련되며 승강회전본체(410)에 마련된 승강가이드랙(413)과 기어 결합되어 모터프레임(420)을 상하로 승강시킬 수 있다. 모터프레임(420)의 승강에 따라 표척부(100)도 상하로 승강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승강회전부(400)에 의해 능동적으로 표척부(100)의 수직 선상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보조장치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결유닛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보조장치(500)는 승강회전부(400)의 상부에 결합되어 표척부(100)를 전후 방향과 높이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제1구동부(510)와, 제1구동부(510)에 마련되어 전후 방향과 높이 방향으로 이동되는 연결유닛(520)과, 연결유닛(520)에 일측부가 결합되며 차폐부(600) 및 표척부(100)가 장착되는 제2구동부(530)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1구동부(510)는 이동바디(511)와, 이동바디(511)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게 마련되는 수평이동조절부(512)와, 수평이동조절부(512)에 승강되게 마련되며 연결유닛(520)이 결합되는 승강조절부(513)를 포함한다.
상기 제1구동부(510)의 이동바디(511)는, 승강회전부(400)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구동부(510)의 수평이동조절부(512)는 이동바디(511)의 상면부에 이격 마련되는 한 쌍의 제1레일(512a)과, 하측부가 한 쌍의 제1레일(512a)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제1블록(512b)과, 한 쌍의 제1블록(512b)의 상면부에 결합되어 한 쌍의 제1블록(512b)과 같이 이동되는 이동플레이트(512c)와, 이동플레이트(512c)에 수직되게 결합되는 승강지지플레이트(512d)를 포함한다.
상기 제1구동부(510)의 승강조절부(513)는 승강지지플레이트(512d)에 이격 결합되는 한 쌍의 제2레일(513a)과, 한 쌍의 제2레일(513a)에 승강 가능하게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제2블록(513b)을 포함하고, 연결유닛(520)은 한 쌍의 제2블록(513b)에 탈착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표척부(100)가 장착되는 제2구동부(530)는 연결유닛(520)에 결합되고, 연결유닛(520)은 한 쌍의 제2블록(513b)에 결합되므로 한 쌍의 제2블록(513b)의 승강 시 표척부(100)도 한 쌍의 제2레일(513a)의 높이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제2레일(513a)은 승강지지플레이트(512d)에 결합되고, 승강지지플레이트(512d)는 이동플레이트(512c)와 같이 이동되고, 이동플레이트(512c)는 한 쌍의 제1블록(512b)에 의해 한 쌍의 제1레일(512a)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블록(512b)과 제2블록(513b)은 제어유닛(미도시)에 연결되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연결유닛(520)은 일측부는 한 쌍의 제2블록(513b)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2구동부(530)에 결합되며 제2구동부(530)에 회전 및 각도 조절되게 결합되어 제2구동부(530)에 장착된 표척부(100)도 회전 및 각도 조절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연결유닛(520) 제2블록(513b)에 결합되는 결합판(521)과, 결합판(521)의 일측에 마련되는 연결베이스바디(522)와, 연결베이스바디(522)의 단부에 마련되는 볼부재(523)와, 제2구동부(530)에 마련된 프레임바디(531)에 탈착 결합되며 내부에 볼부재(523)가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는 결합바디(524)와, 결합바디(524)의 내벽과 볼부재(523)의 사이에 배치되어 볼부재(523)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회전가이드바디(525)와, 결합판(521)과 마주보는 영역의 결합바디(524)에 마련되어 볼부재(523)의 이탈을 방지하는 지지시트(526)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2구동부(530)는 프레임바디(531)에 의해 결합바디(524)에 탈착 결합되고, 결합바디(524)는 볼부재(523)에 회전 및 각도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제2구동부(530)도 회전 및 각도 조절되고 이로 인해 제2구동부(530)에 마련된 표척부(100)도 회전 및 각도 조절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연결베이스바디(522)의 내부에는 홀부재(522a)가 마련되고, 이 홀부재(522a)는 볼부재(523)의 내부에도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회전가이드바디(525)의 내벽에는 지지돌기(525a)가 마련되고, 이 지지돌기(525a)는 볼부재(523)의 외벽에 마련된 홈에 삽입되어 볼부재(523)의 회전을 더 안정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폐부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폐부의 배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차폐바디와 제2차폐바디가 하강한 작동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폐부(600)는 내부에 배치된 표척부(100)를 외부와 차폐시킬 수 있다. 차폐부(600)는 내부 부품과 외부를 차단할 수 차폐할 수 있으므로 측지측량장치의 운반, 설치시 표척부(100)가 손상되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차폐부(600)는 베이스바디(601), 베이스차폐바디(610), 제1차폐바디(620), 제2차폐바디(630), 차폐구동부(640) 및 스토퍼부(650) 등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바디(601)는 이동보조장치(500)의 상부에 결합되며, 전방부가 개방된 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고, 후방부도 개방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바디(601)의 상단부에는 전방으로 돌출되는 돌출지지바디(602)가 마련되어 베이스차폐바디(610)의 탈착 결합 장소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돌출지지바디(602)에는 가이드절개홀(603)이 마련되고 여기에는 차폐부(600)에 마련된 실린더바디(641)가 삽입되어 수용될 수 있다. 그 결과 실린더바디(641)가 돌출지지바디(602)와 간섭 즉 충돌되는 것은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차폐바디(610)는 베이스바디(601)의 돌출지지바디(602)에 결합되어 베이스바디(601)의 개방된 영역 예를 들어 베이스바디(601)의 전방 영역 또는 후방 영역을 차폐할 수 있고, 베이스바디(601)의 전방 영역과 후방 영역을 모두 차폐하는 경우 베이스바디(601)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차폐바디(610)는 베이스바디(601)의 상부에 결합되어 베이스바디(601)의 개방된 영역을 덮고, 제1차폐바디(620)는 베이스차폐바디(610)에 승강되게 마련되어 베이스차폐바디(610)의 하부의 개방된 영역을 덮으며, 제2차폐바디(630)는 제1차폐바디(620)에 승강되게 마련되어 제1차폐바디(620)의 하부의 개방된 영역을 덮는다.
상기 차폐구동부(640)의 일측부는 베이스차폐바디(610)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2차폐바디(630)에 결합되어 제1차폐바디(620)와 제2차폐바디(630)를 승강시킨다. 상기 스토퍼부(650)는 베이스차폐바디(610)와 제1차폐바디(620)에 마련되어 제1차폐바디(620)와 제2차폐바디(630)의 하강 높이를 제한한다.
상기 베이스차폐바디(610)의 양측에는 베이스절곡판(611)이 마련되어 베이스바디(601)의 외벽에 지지될 수 있다. 베이스절곡판(611)에는 베이스지지레일(613)이 마련되어 제1차폐바디(620)에 마련된 제1승강레일(623)의 승강을 가이드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베이스차폐바디(610)의 중앙부에는 베이스지지판(612)이 마련된다. 베이스지지판(612)에는 베이스가이드바디(614)가 마련되어 차폐구동부(640)의 승강가이드바(645)의 승강을 가이드할 수 있다. 승강가이드바(645)에는 절개홀(645a)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차폐바디(620)는 베이스차폐바디(610)에 승강되게 마련되어 베이스바디(601)의 개방된 영역을 차폐할 수 있다.
상기 제1차폐바디(620)의 양측에는 제1절곡판(621)이 마련되어 베이스바디(601)의 외벽에 지지될 수 있다. 제1지지판(622)에는 제1승강레일(623)이 마련되고, 제1승강레일(623)은 전술한 베이스지지레일(613)에 지지되어 슬라이딩 방식으로 승강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제1승강레일(623)에는 제1지지레일(624)이 결합되어 제2차폐바디(630)에 마련된 제2 승강레일(633)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차폐바디(620)의 중앙부에는 제1지지판(622)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2차폐바디(630)는 제1차폐바디(620)에 승강되게 마련되어 베이스바디(601)의 개방된 영역을 차폐할 수 있다.
상기 제2차폐바디(630)의 양측에는 제2절곡판(631)이 마련될 수 있다. 제2절곡판(631)에는 전술한 제2승강레일(633)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제2차폐바디(630)의 하단부에는 절곡편(632)이 마련되고, 이 절곡편(632)은 베이스바디(601)의 전방벽 또는 후방벽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차폐구동부(640)는, 일측부는 베이스차폐바디(610)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2차폐바디(630)에 결합되어 제1차폐바디(620)와 제2차폐바디(630)를 승강시킬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차폐구동부(640)는 제어모듈(미도시)에 연결되어 작동될 수 있다.
상기 차폐구동부(640)는, 베이스차폐바디(610)의 상부에 마련되는 실린더바디(641)와, 실린더바디(641)에 일측부가 연결되어 신축되는 실린더로드(642)와, 실린더로드(642)의 단부에 결합되는 실린더브래킷(643)과, 실린더브래킷(643)에 일측부가 결합되어 실린더로드(642)와 같이 승강되는 연결유닛(644)과, 일단부는 베이스차폐바디(610)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베이스지지판(612)을 관통하여 제1차폐바디(620)의 제1지지판(622)에 결합되는 승강가이드바(645)와, 연결유닛(644)과 승강가이드바(645)를 연결시켜 연결유닛(644)과 승강가이드바(645)를 같이 승강시키며 승강가이드바(645)의 내부에 배치되는 승강연결바디(646)와, 일측부는 승강가이드바(645)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2차폐바디(630)에 결합되어 승강가이드바(645)와 같이 승강되는 하부승강바(647)와, 하부승강바(647)에 마련되어 하부승강바(647)의 상승 높이를 제한하는 하부스토퍼(648)를 포함한다.
상기 실린더바디(641)의 상단부는 브래킷을 이용하여 베이스차폐바디(610)에 탈착 가능하게 볼트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연결유닛(644)은, 실린더브래킷(643)에 결합되며 제1지지판(622)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1연결바디(644a)와, 제1연결바디(644a)에 결합되며 제1지지판(622)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연결바디(644b)와, 일측부는 제2연결바디(644b)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승강연결바디(646)에 결합되는 제3연결바디(644c)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제3연결바디(644c)는 승강가이드바(645)의 외벽을 둘러싸도록 마련되고, 제1연결바디(644a)와 제2연결바디(644b)와 제3연결바디(644c)는 평면상 '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승강가이드바(645)에는 절개홀(645a)이 마련되어 승강연결바디(646)와 승강가이드바(645)의 마찰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스토퍼부(650)는 베이스지지레일(613)과 제1지지레일(624)에 마련되어 제1차폐바디(620)와 제2차폐바디(630)의 하강 높이를 제한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스토퍼부(650)는, 스토퍼판(651)과, 스토퍼판(651)의 벽부 내측과 외측으로 돌출되게 마련되는 복수의 스토퍼볼(652)을 포함한다.
본 실시 예는 복수의 스토퍼볼(652)이 제1승강레일(623) 또는 제2승강레일(633)에 접촉되어 제1차폐바디(620)와 제2차폐바디(630)의 하강 높이를 제한할 수 있다.
이하에서 차폐구동부(640)의 작동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상기 차폐구동부(640)의 실린더로드(642)가 하강하면, 연결유닛(644), 연결유닛(644)과 연결된 승강가이드바(645)가 하강된다. 이때, 승강가이드바(645)의 하부에는 하부승강바(647)가 결합되어 있으므로 하부승강바(647)도 같이 하강된다.
그 결과 제1차폐바디(620)와 제2차폐바디(630)도 같이 하강되며, 제1차폐바디(620)는 베이스지지레일(613)에 지지되면서 하강되고, 제2차폐바디(630)는 제1지지레일(624)에 지지되어 하강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0 : 표척부 110 : 상측단위막대 120 : 하측단위막대
200 : 기초대 210 : 표척지지대 300 : 수평회전부
400 : 승강회전부 410 : 승강회전본체 411 : 세로프레임
412 : 가로프레임 413 : 승강가이드랙 420 : 모터프레임
430 : 좌우이동모터 440 : 좌우이동프레임 450 : 회전부회전모터
460 : 홀더프레임 470 : 상하승강모터 500 : 이동보조장치
510 : 제1구동부 511 : 이동바디 512 : 수평이동조절부
512a : 제1레일 512b : 제1블록 512c : 이동플레이트
512d : 승강지지플레이트 513 : 승강조절부 513a : 제2레일
513b : 제2블록 520 : 연결유닛 521 : 결합판
522 : 연결베이스바디 522a : 홀부재 523 : 볼부재
524 : 결합바디 525 : 회전가이드바디 525a : 지지돌기
526 : 지지시트 530 : 제2구동부 531 : 프레임바디
600 : 차폐부 601: 베이스바디 602 : 돌출지지바디
603 : 가이드절개홀 610 : 베이스차폐바디 611 : 베이스절곡판
612 : 베이스지지판 613 : 베이스지지레일 614 : 베이스가이드바디
620 : 제1차폐바디 621 : 제1절곡판 622 : 제1지지판
623 : 제1승강레일 624 : 제1지지레일 630 : 제2차폐바디
631 : 제2절곡판 632 : 절곡편 633 : 제2승강레일
640 : 차폐구동부 641 : 실린더바디 642 : 실린더로드
643 : 실린더브래킷 644 : 연결유닛 644a : 제1연결바디
644b : 제2연결바디 644c : 제3연결바디 645 : 승강가이드바
645a : 절개홀 646 : 승강연결바디 647 : 하부승강바
648 : 하부스토퍼 650 : 스토퍼부 651 : 스토퍼판
652 : 스토퍼볼

Claims (1)

  1. 지면에 설치되는 기초대; 기초대의 상부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수평회전부; 수평회전부의 상부에 이격 배치되는 표척지지대; 수평회전부의 상부에 결합되며 표척지지대의 측면에 연결되어 표척지지대를 승강 및 회전시키는 승강회전부; 승강회전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이동보조장치; 이동보조장치의 상부에 결합되는 차폐부; 및 차폐부의 내부에 수용되며 상측단위막대가 하측단위막대에 삽입되어 슬라이드 신축식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한 표척부; 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회전부는,
    상기 수평회전부의 상부면에 결합되는 승강회전본체; 승강회전본체에 마련되는 모터프레임; 모터프레임에 마련되는 좌우이동모터; 모터프레임에 이동되게 마련되며 좌우이동모터와 연결되어 표척지지대의 방향으로 이동되는 좌우이동프레임; 좌우이동프레임에 마련되어 좌우이동프레임과 같이 이동되는 회전부회전모터; 회전부회전모터에 연결되어 표척지지대의 방향으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게 이동되며 표척지지대의 측면에 결합되는 홀더프레임; 및 모터프레임에 마련되며 승강회전본체에 마련된 승강가이드랙과 기어 결합되어 모터프레임을 승강시키는 상하승강모터; 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보조장치는,
    상기 승강회전부의 상부에 마련되어 표척부를 전후 방향과 높이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제1구동부; 제1구동부에 마련되어 전후 방향과 높이 방향으로 이동되는 연결유닛; 및 연결유닛에 일측부가 결합되며 표척부가 장착되는 제2구동부; 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유닛은 제2구동부에 회전 및 각도 조절되게 결합되며,
    상기 제1구동부는,
    승강회전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이동바디; 이동바디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게 마련되는 수평이동조절부; 및 수평이동조절부에 승강되게 마련되며 연결유닛이 결합되는 승강조절부; 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이동조절부는,
    이동바디의 상면부에 이격 마련되는 한 쌍의 제1레일; 하측부가 한 쌍의 제1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제1블록; 한 쌍의 제1블록의 상면부에 결합되어 한 쌍의 제1블록과 같이 이동되는 이동플레이트; 및 이동플레이트에 수직되게 결합되는 승강지지플레이트; 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조절부는,
    승강지지플레이트에 이격 결합되는 한 쌍의 제2레일; 및 한 쌍의 제2레일에 승강 가능하게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제2블록; 을 포함하며,
    상기 차폐부는,
    상기 이동보조장치의 상부에 결합된 개방된 영역이 형성되는 베이스바디; 베이스바디의 상부에 마련되어 베이스바디의 개방된 영역을 덮는 베이스차폐바디; 베이스차폐바디에 승강되게 마련되어 베이스차폐바디의 하부의 개방된 영역을 덮는 제1차폐바디; 제1차폐바디에 승강되게 마련되어 제1차폐바디의 하부의 개방된 영역을 덮는 제2차폐바디; 및 일측부는 베이스차폐바디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2차폐바디에 결합되어 제1차폐바디와 제2차폐바디를 승강시키는 차폐구동부; 를 포함하고,
    상기 차폐구동부는,
    베이스차폐바디의 상부에 마련되는 실린더바디; 실린더바디에 일측부가 연결되어 신축되는 실린더로드; 실린더로드의 단부에 결합되는 실린더브래킷; 실린더브래킷에 일측부가 결합되어 실린더로드와 같이 승강되는 연결유닛; 일단부는 베이스차폐바디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베이스차폐바디에 결합된 베이스지지판을 관통하여 제1차폐바디의 제1지지판에 결합되는 승강가이드바; 연결유닛과 승강가이드바를 연결시켜 연결유닛과 승강가이드바를 같이 승강시키며 승강가이드바의 내부에 배치되는 승강연결바디; 일측부는 승강가이드바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2차폐바디에 결합되어 승강가이드바와 같이 승강되는 하부승강바; 및 하부승강바에 마련되어 하부승강바의 상승 높이를 제한하는 하부스토퍼;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량용 표척을 지면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측지측량장치.
KR1020230033248A 2023-03-14 2023-03-14 측량용 표척을 지면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측지측량장치 KR1025736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3248A KR102573681B1 (ko) 2023-03-14 2023-03-14 측량용 표척을 지면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측지측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3248A KR102573681B1 (ko) 2023-03-14 2023-03-14 측량용 표척을 지면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측지측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3681B1 true KR102573681B1 (ko) 2023-09-04

Family

ID=88018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3248A KR102573681B1 (ko) 2023-03-14 2023-03-14 측량용 표척을 지면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측지측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368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717808A1 (en) * 1993-09-10 1996-06-26 Weatherford U.S. Inc. Apparatus for use in a wellbore
KR20110088329A (ko) * 2010-01-28 2011-08-03 (주)해양정보기술 수준 측량용 표척
CN110107789A (zh) * 2019-06-06 2019-08-09 永城煤电控股集团有限公司 一种矿山测量用便携式激光仪器
CN112815915A (zh) * 2021-02-09 2021-05-18 胡小彦 一种地质工程用带红外辅助光的便携式测绘塔尺装置及使用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717808A1 (en) * 1993-09-10 1996-06-26 Weatherford U.S. Inc. Apparatus for use in a wellbore
KR20110088329A (ko) * 2010-01-28 2011-08-03 (주)해양정보기술 수준 측량용 표척
CN110107789A (zh) * 2019-06-06 2019-08-09 永城煤电控股集团有限公司 一种矿山测量用便携式激光仪器
CN112815915A (zh) * 2021-02-09 2021-05-18 胡小彦 一种地质工程用带红外辅助光的便携式测绘塔尺装置及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73679B1 (ko) 미세각 조절과 높이 조절이 가능한 측지측량용 삼각대
CN108344405B (zh) 一种测绘仪器用自动调节装置
CN109303983B (zh) 一种医用加速器治疗床
KR102573681B1 (ko) 측량용 표척을 지면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측지측량장치
CN110762361A (zh) 一种自动化监测全站仪
KR102573680B1 (ko) 수평 유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측지측량용 삼각대
CN207281182U (zh) 多向近场扫描架测试装置
CN109931953A (zh) 一种用于建筑施工检测的具有自动校准功能的全站仪
CN209810915U (zh) 一种宽度精确调节辊压机
CN112355377A (zh) 一种建筑工程用多功能切割装置
AU2015268653B2 (en) Crane and support unit for such a crane
CN115371615B (zh) 一种采煤塌陷区域深度智能测量设备
CN111828017A (zh) 一种隧道施工监测装置
CN217133449U (zh) 一种精密装调设备
CN110940291A (zh) 一种粗糙度轮廓测量设备
CN215371877U (zh) 一种可调节全站仪安置装置
CN116480911A (zh) 一种建筑工程场地勘察用测绘设备
KR102266849B1 (ko) 로봇-인간 동적 충돌 안정성 평가 시험장치
CN107764237B (zh) 移动式水准尺
CN220600981U (zh) 一种房地产测绘工程用支架
CN219200628U (zh) 一种用于光学干涉测量设备的多轴驱动机构
CN216869606U (zh) 一种光电测量仪器用调平补偿装置
KR102635222B1 (ko) 측지측량용 표척을 멀티로 고정시킬 수 있는 측지측량장치
CN212644026U (zh) 一种方便进行稳定测量的水准仪
CN220508022U (zh) 一种地基沉降检测系统标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