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0846B1 - 측지측량용 삼각대의 수평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측지측량장치 - Google Patents

측지측량용 삼각대의 수평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측지측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0846B1
KR102310846B1 KR1020210092256A KR20210092256A KR102310846B1 KR 102310846 B1 KR102310846 B1 KR 102310846B1 KR 1020210092256 A KR1020210092256 A KR 1020210092256A KR 20210092256 A KR20210092256 A KR 20210092256A KR 102310846 B1 KR102310846 B1 KR 1023108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unit
coupled
buf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2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욱
최준오
정세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그린블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그린블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그린블루
Priority to KR10202100922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08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08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08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4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9/00Gyroscopes; Turn-sensitive devices using vibrating masses; Turn-sensitive devices without moving masses; Measuring angular rate using gyroscopic effects
    • G01C19/02Rotary gyroscop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3/00Measuring distances in line of sight; Optical rangefinders
    • G01C3/02Detai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5/00Measuring height; Measuring distances transverse to line of sight; Levelling between separated points; Surveyors' lev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Measuring And Other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측지측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삼각대 본체, 수평 조절 레그부, 제어부, 제1 조작스위치, 제2 조작스위치, 완충기구, 측량수납부, 개폐유닛, 제1홀딩부 및 제2홀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삼각대의 상판이 1차의 대략적인 수평 조절을 거쳐 2차의 정확한 수평 조절이 이루어진 후 최종적으로 수평 상태의 안정적인 유지가 이루어질 수 있는 측지측량용 삼각대의 수평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측지측량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측지측량용 삼각대의 수평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측지측량장치{GEODETIC SURVEYING DEVICE FOR PRECISELY ADJUSTING LEVEL OF TRIPOD}
본 발명은 측지측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측지측량용 삼각대의 수평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측지측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국가 등 공공기관에서 발주하는 공공측량, 지하시설물 측량 등을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측지측량이 이루어져야 한다. 측지측량이란 수평거리와 고저차 및 방향을 측정하여 각 측정점들 상호간의 위치를 결정하여 이를 도면이나 수치로 표시하고, 현장에서 측설하는 제반 활동을 말하는 것이다.
측지측량에 있어서는 레벨기, VRS(가상기준점), RTK, 토탈스테이션 등의 측량장비 (또는 측정기기) 를 사용하며, 이들 정밀측량기기들은 지면에서 일정 높이에 위치하도록 하기 위하여 삼각대에 탑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측지측량용 삼각대에 요구되는 조건은 지면에 견고하게 삽입되어 바람이나 외부 충격에 의하여 쉽게 넘어지지 않고 측량장비를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과 측량장비가 높이 및 방향을 조절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종래의 측지측량용 삼각대는 3개의 다리와 다리들의 상단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상단지지대 및 상단지지대의 상부에 결합되어 측량장비가 장착되는 측량장비 마운트 등의 구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다리들은 상부다리와 하부다리를 구비하여 길이조절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부다리의 상단이 상단지지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다리를 벌렸다 오므렸다 할 수 있게 구성된다.
즉, 측지측량용 삼각대를 이용하여 측지측량을 함에 있어서는 지면의 굴곡에 따라 3개의 다리의 길이를 각각 조절함으로써 상단지지대의 수평을 대략적으로 조절한 다음, 상단지지대에 장착된 측량장비 자체의 수평조절 기능에 의하여 최종적인 수평을 조절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 측지측량용 삼각대는 산악 지형과 같이 굴곡이 심한 거친 지면 또는 경사진 지형에서의 수준측량 시 토탈스테이션 등의 측량장비 및 삼각대를 수평으로 유지시키는데 어려움이 따르고, 이는 측량 결과의 정확도가 저하되는 현상으로도 이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위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해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삼각대의 상판이 1차의 대략적인 수평 조절을 거쳐 2차의 정확한 수평 조절이 이루어진 후 최종적으로 수평 상태의 안정적인 유지가 이루어질 수 있는 측지측량용 삼각대의 수평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측지측량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탈착형의 수평 조절 레그부를 구비함에 따라, 측지측량 작업이 진행되는 지면의 기울기 크기 내지 변화에 따라 수평 조절 레그부의 사용 여부를 결정하면서 측지측량 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측지측량용 삼각대의 수평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측지측량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본 발명의 기재로부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측지측량을 위한 측량장비가 상면에 설치되며 하면에 제1나선홈이 형성되는 상판 및 상판의 하면에 사선 방향으로 결합되는 다수의 고정 레그부를 구비하는 삼각대 본체; 상기 제1나선홈에 나사 결합되는 구동부 몸체, 구동부 몸체의 하면에 결합되는 세 개의 수평 조절 레그, 구동부 몸체의 내측에 설치되며 수평 조절 레그에 작동 동력을 제공하는 세 개의 레그 구동부, 구동부 몸체의 외부에 설치되는 세 개의 에어컴프레샤, 수평 조절 레그의 하단에 결합되며 에어공급구가 각각 형성되는 세 개의 에어 튜브, 및 에어컴프레샤와 에어 튜브들을 일대일로 매칭시키며 하나의 에어컴프레샤에 길이 방향의 일단이 연결되고 하나의 에어 튜브의 에어공급구에 길이 방향의 타단이 연결되어 에어컴프레샤의 작동 시 에어 튜브에 에어를 주입하는 세 개의 에어 호스를 구비하는 수평 조절 레그부; 상기 구동부 몸체에 내장되며, 가상의 수평선과 상판의 하면이 이루는 각도를 기준으로 수평 조절 레그들의 길이가 개별 조절되기 위한 기울기 조정 등급이 사전에 설정되고, 외부로부터 제1 제어신호가 입력 시 상판에 설치된 자이로센서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에 따라 기울기 조정 등급들 중 선택되는 기울기 조정 등급에 맞춰 수평 조절 레그들 각각의 길이가 조절되는 1차 수평 조절 모드를 진행시키고, 외부로부터 제2 제어신호가 입력 시 자이로센서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기반으로 에어컴프레샤들을 개별 작동시켜 에어 튜브들 각각의 팽창 정도를 조정하여 수평 조절 레그부를 통해 상판이 수평 상태로 지지되는 2차 수평 조절 모드를 진행시키는 제어부; 상기 상판에 설치되며, 제어부에 제1 제어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제1 조작스위치; 상기 상판에 설치되며, 제어부에 제2 제어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제2 조작스위치; 상기 상판의 상부에 장착되는 한 쌍의 완충기구; 상기 한 쌍의 완충기구의 상부에 장착되고, 측량장비를 수납할 수 있으며 상부면에 개방공간부가 형성되는 측량수납부; 상기 측량수납부의 상부에 설치되며 개방공간부를 개폐하는 개폐유닛; 상기 측량수납부의 내부에 설치되어 측량장비를 측량수납부의 내부에 배치시키는 제1홀딩부; 및 상기 개폐유닛의 상부에 장착되며 측량장비를 개폐유닛의 외부에 배치시키는 제2홀딩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지측량용 삼각대의 수평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측지측량장치에서 상기 측량장비는, 측지측량 작업을 수행하는 측량본체; 측량본체의 하부에 결합되는 측량안착부; 및 측량안착부에 장착되는 측량완충부; 를 포함하고, 상기 측량완충부는, 측량안착부의 저면부에 마련되는 완충바디; 완충바디의 양측 가장자리에 마련되어 완충바디의 변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한 쌍의 절개홀; 및 한 쌍의 절개홀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완충바디에 마련되어 완충바디의 수축 및 팽창이 부드럽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복수의 완충홀; 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지측량용 삼각대의 수평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측지측량장치에서 상기 개폐유닛은, 측량수납부의 상부에 마련되어 개방공간부의 일측부를 개폐하는 제1개폐부; 및 측량수납부의 상부에 마련되어 개방공간부의 타측부를 개폐하는 제2개폐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개폐부는, 측량수납부의 상부에 마련되어 개폐공간부의 일측부를 개폐하는 제1개폐바디; 측량수납부의 상부에 마련되며 제1개폐바디에 연결되어 제1개폐바디를 개폐시키는 제1개폐실린더; 일측부는 제1개폐바디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1개폐실린더의 바디에 결합되어 제1개폐실린더의 로드를 덮으며 제1개폐바디의 개폐시 신축되는 제1주름부; 및 드론수납부의 상부에 마련되어 제1개폐바디의 개폐를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레일; 을 포함하며, 상기 제2개폐부는, 측량수납부의 상부에 마련되어 개폐공간부의 타측부를 개폐하는 제2개폐바디; 측량수납부의 상부에 마련되며 제2개폐바디에 연결되어 제2개폐바디를 개폐시키는 제2개폐실린더; 일측부는 제2개폐바디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2개폐실린더의 바디에 결합되어 제2개폐실린더의 로드를 덮으며 제2개폐바디의 개폐시 신축되는 제2주름부; 및 드론수납부의 상부에 마련되어 제2개폐바디의 개폐를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레일; 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지측량용 삼각대의 수평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측지측량장치에서 상기 제1홀딩부는, 측량수납부의 내부에 설치되는 높낮이부; 높낮이부의 상부에 결합되며 개방공간부 방향으로 승강되는 베이스플레이트; 베이스플레이트에 마련되는 복수의 홀딩실린더; 복수의 홀딩 실린더에 각각 마련되어 베이스플레이트와 평행하게 이동되는 가압바; 및 가압바에 마련되며 랜딩기어의 하부를 가압하여 촬영드론을 위치 고정시키는 탄성 패드;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지측량용 삼각대의 수평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측지측량장치에서 상기 높낮이부는,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의 높낮이케이스; 높낮이케이스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수용되며 측면에 다수의 고정홈이 형성되는 높낮이로드; 및 높낮이케이스의 상단에 결합되며 다수의 고정홈으로 진입 가능한 고정로드를 구비하는 높낮이고정부; 를 포함하고, 상기 높낮이고정부는, 높낮이케이스의 상단에 결합되는 고정케이스; 고정케이스에 좌우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수용되며 단부가 다수의 고정홈에 진입할 수 있는 고정로드; 고정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며 고정로드의 우단과 고정케이스의 내측 우단 사이를 연결하는 고정스프링; 및 고정케이스의 상부에 장착되며 고정로드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는 고정제한부; 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제한부는, 고정케이스의 상부면에 결합되는 제한판; 제한판의 상단에 결합되는 한 쌍의 제한스프링; 제한스프링의 하단에 연결되는 링 형태의 제한이동부; 및 제한이동부의 하단에 결합되는 제한로드;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지측량용 삼각대의 수평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측지측량장치에서 상기 제2홀딩부는, 제1개폐바디에 마련되어 제1개폐바디와 같이 이동되는 제1바디; 제2개폐바디에 마련되어 제2개폐바디와 같이 이동되는 제2바디; 및 제1바디 및 제2바디에 각각 마련되어 측량안착부의 하부를 클램핑하여 위치 고정시키는 복수의 클램핑부;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클램핑부는, 제1바디 및 제2바디에 각각 마련되는 클램핑바디; 클램핑바디에 마련되는 한 쌍의 클램핑실린더; 및 한 쌍의 클램핑실린더에 각각 연결되어 랜딩기어의 하부를 클램핑하는 한 쌍의 클램핑 집게; 를 포함하고, 한 쌍의 클램핑 집게는 서로 접하는 영역이 회전 가능하도록 축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순차적인 2차의 스위치 조작을 통해 삼각대의 상판이 1차의 대략적인 수평 조절을 거쳐 2차의 정확한 수평 조절이 이루어진 후 최종적으로 수평 상태의 안정적인 유지가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자가 스위치들에 대한 순차적인 온(ON) 조작을 수반하는 용이한 작업을 통해 삼각대의 상판을 수평 상태로 유지시킨 후 측지측량 작업을 진행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판에 대한 탈착형의 수평 조절 레그부를 구비함에 따라, 작업자는 측지측량 작업이 진행되는 지면의 기울기 크기 내지 변화에 따라 수평 조절 레그부의 사용 여부를 결정하면서 측지측량 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측지측량 작업이 보다 효율적인 동시에 용이하게 진행되면서 작업자의 작업 용이성 향상 및 그에 따른 측정값의 정확도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지측량용 삼각대의 수평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측지측량장치의 각 부품이 분해된 모습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삼각대 본체와 수평 조절 레그부가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전기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완충기구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량장비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량장비가 제1홀딩부에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높낮이부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지측량용 삼각대의 수평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측지측량장치의 각 부품이 분해된 모습을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삼각대 본체와 수평 조절 레그부가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전기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측지측량장치는 삼각대 본체(100), 수평 조절 레그부(200), 제어부(300), 제1 조작스위치(320), 제2 조작스위치(330), 완충기구(800), 측량수납부(430), 개폐유닛(400), 제1홀딩부(500) 및 제2홀딩부(600)를 포함한다.
상기 삼각대 본체(100)는 측지측량을 위한 측량장비(700)가 상면에 설치되며 하면에 제1나선홈(120)이 형성되는 상판(110) 및 상판의 하면에 사선 방향으로 결합되는 다수의 고정 레그부(130)를 구비한다.
고정 레그부(130)는 고정 레그(131) 및 승하강 레그(1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고정 레그(131)는 상판(110)에 구동부 몸체(210)가 나사 결합된 상태를 기준으로 상판(110)의 하면에 구동부 몸체(210)의 바깥쪽에서 삼각형의 배치 형태로 형성되는 세 개의 구성이다. 여기서, 고정 레그(131)들은 상판(110)으로부터 바깥쪽으로의 사선 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고정 레그(131)들 각각은 내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제2 나선홈(131a)이 형성된다.
승하강 레그(132)는 고정 레그(131)별 설치되는 세 개의 구성이며, 이러한 승하강 레그(132)들 각각은 해당 고정 레그(131)의 제2 나선홈(131a)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산(132a)이 외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해당 고정 레그(131)에 나사 결합 방식으로 결합된다. 이에 따라 하나의 고정 레그(131) 및 승하강 레그(132)를 기준으로, 고정 레그(131)에 대한 승하강 레그(132)의 나사 결합된 길이에 따라 전체 길이의 조절이 이루어진다.
상기 수평 조절 레그부(200)는, 제1나선홈(120)에 나사 결합되는 구동부 몸체(210), 구동부 몸체의 하면에 결합되는 세 개의 수평 조절 레그(220), 구동부 몸체의 내측에 설치되며 수평 조절 레그에 작동 동력을 제공하는 세 개의 레그 구동부(230), 구동부 몸체의 외부에 설치되는 세 개의 에어컴프레샤(240), 수평 조절 레그의 하단에 결합되며 에어공급구(251)가 각각 형성되는 세 개의 에어 튜브(250), 및 에어컴프레샤와 에어 튜브들을 일대일로 매칭시키며 하나의 에어컴프레샤에 길이 방향의 일단이 연결되고 하나의 에어 튜브의 에어공급구에 길이 방향의 타단이 연결되어 에어컴프레샤의 작동 시 에어 튜브에 에어를 주입하는 세 개의 에어 호스(260)를 구비한다.
구동부 몸체(210)는 상판(110)의 제1 나선홈(120)에 나사 결합되는 나선봉(211)이 상면의 중앙에 형성되고, 하면의 세 위치에 레그 결합홀(212)이 삼각형의 배치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구동부 몸체(210)는 레그 결합홀(212)별로 해당 레그 결합홀(212)의 주변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하향 연장되는 레그 결합관(213)이 형성된다.
수평 조절 레그(220)는 구동부 몸체의 레그 결합홀(212)별로 레그 결합관(213)에 삽입 설치되는 세 개의 구성이다. 이러한 수평 조절 레그(220)는 해당 레그 결합홀(212)의 레그 결합관(213)에 길이 방향의 일단이 삽입되어 결합되며, 텔레스코픽 방식의 작동을 통해 전체 길이가 조절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레그 구동부(230)는 구동부 몸체(210)의 내측에 수평 조절 레그(220)들과 개별 대응되게 설치되는 세 개의 구성이며, 이러한 레그 구동부 각각은 대응된 수평 조절 레그(220)에 텔레스코픽 방식의 작동 동력을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텔레스코픽 방식의 작동을 하기 위한 수평 조절 레그(220)의 구성 및 이를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작동시키는 레그 구동부(230)의 구성은 관련 기술분야의 공지된 기술들을 통해 여러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바, 본 실시 예에서에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는 동시에 레그 구동부(230)를 간략하게 박스 형태로 도시하였음을 밝혀 둔다.
다음은 에어컴프레샤(240), 에어 튜브(250), 에어 호스(260), 자이로센서(310), 제어부(300), 제1 조작스위치(320) 및 제2 조작스위치(330), 제1 근거리 무선통신모듈(340) 및 제2 근거리 무선통신모듈(350)에 대해 설명한다.
에어컴프레샤(240)는 세 개의 구성이며, 이러한 에어컴프레샤(240)들은 구동부 몸체(210)의 외부에 설치된다.
에어 튜브(250)는 세 개의 구성으로써, 각각의 에어 튜브(250)는 수평 조절 레그(220)별로 해당 수평 조절 레그(220)의 하단에 결합되고, 에어공급구(251)가 형성된다.
에어 호스(260)는 에어컴프레샤(240)들 및 에어 튜브(250)들을 일대일로 매칭시키는 세 개의 구성이며, 각각의 에어 호스(260)는 해당 에어컴프레샤(240)에 길이 방향의 일단이 연결되고 해당 에어 튜브(250)의 에어공급구(251)에 길이 방향의 타단이 연결되어 해당 에어컴프레샤(240)의 작동 시 해당 에어 튜브(250)에 에어를 주입하는 기능을 한다.
자이로센서(310)는 삼각대 본체(100)의 상판(110)에 설치된다.
제어부(300)는 구동부 몸체(210)에 내장되며, 이러한 제어부(300)는 가상의 수평선과 상판(110)의 하면이 이루는 각도를 기준으로 수평 조절 레그(220)들의 길이가 개별 조절되기 위한 1∼10 레벨의 기울기 조정 등급이 사전에 설정된다. 그리고 제어부(300)는 외부로부터 제1 제어신호가 입력 시 자이로센서(31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기울기 조정 등급들 중 선택되는 기울기 조정 등급에 맞춰 수평 조절 레그(220)들 각각의 길이가 조절되는 1차 수평 조절 모드를 진행시킨다. 또한, 제어부(300)는 외부로부터 제2 제어신호가 입력 시 자이로센서(31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기반으로 에어컴프레샤(240)들을 개별 작동시켜 에어 튜브(250)들 각각의 팽창 정도를 조정하여 수평 조절 레그부(200)를 통해 상판(110)이 수평 상태로 지지되는 2차 수평 조절 모드를 진행시킨다.
제1 조작스위치(320)는 삼각대 본체(100)의 상판(110)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온(ON) 조작에 따라 제어부(300)에 상기 제1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기능을 한다.
제2 조작스위치(330)는 삼각대 본체(100)의 상판(110)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온(ON) 조작에 따라 제어부(300)에 상기 제2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기능을 한다.
제1 근거리 무선통신모듈(340)은 삼각대 본체(100)의 상판(110)에 설치되며, 이러한 제1 근거리 무선통신모듈(340)은 제1 조작스위치(320)의 온(ON) 조작을 통한 상기 제1 제어신호 그리고 제2 조작스위치(330)의 온(ON) 조작을 통한 제2 제어신호를 외부의 수신 대상, 다시 말해 이어서 설명되는 제2 근거리 무선통신모듈(350)에 전송하는 기능을 한다.
제2 근거리 무선통신모듈(350)은 수평 조절 레그부(200)의 구동부 몸체(210)에 설치되며, 이러한 제2 근거리 무선통신모듈(350)은 제1 근거리 무선통신모듈(340)을 통해 전송되는 상기 제1 제어신호 및 제2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300)에 전송하는 기능을 한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서, 제1 조작스위치(320) 및 제2 조작스위치(330)의 순차적인 조작 및 그에 따른 수평 조절 레그부(200)의 1차의 대략적인 수평 조절 및 2차의 정확한 수평 조절을 통해 삼각대 본체(100)의 상판(110)이 수평 상태로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부연 설명하면, 작업자는 삼각대 본체(100)의 상판(110)을 눈대중으로 대충의 수평 상태로 지지한 후 제1 조작스위치(320) 및 제2 조작스위치(330)의 순차적인 조작을 통해 삼각대 본체(100)의 상판(110)을 수평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이 삼각대 본체(100)의 상판(110)이 수평으로 유지된 상태에서, 작업자는 현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고정 레그부(130)들 각각의 길이를 조절하여 상판(110)의 수평 상태를 안정적으로 지지시키는 것이다.
또한, 삼각대 본체(100)의 상판(110) 및 수평 조절 레그부(200) 간 결합이 나사 결합 방식의 탈착형 구조인 동시에 상판(110)의 제1 및 제2 조작스위치(710,720) 그리고 제어부(300) 간의 신호 입력 구조가 제1 및 제2 근거리 무선통신모듈(800,900)을 통해 이루어짐에 따라, 작업이 진행되는 지면의 기울기 크기 내지 변화가 크지 않거나 많지 않은 경우, 상판(110) 및 고정 레그부(130) 만으로 상판을 어느 정도 수평 상태로 유지시키면서 측지측량 작업을 진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완충기구(800), 측량수납부(430), 개폐유닛(400), 제1홀딩부(500) 및 제2홀딩부(600)의 구체적인 구성은 아래에서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완충기구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완충기구(800)는 완충로드(810), 완충케이스(820), 완충스토퍼(830), 완충연결부(840) 및 완충굴곡부(8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판(110)의 상부에 장착된다.
상기 완충로드(810)는 측량수납부(430)의 하단에 결합되며, 원판 형태의 완충체결부(811) 및 완충체결부(811)의 하부 중앙에 연장되는 원통 형태의 완충원통부(812)로 이루어진다.
상기 완충케이스(820)는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완충로드(810)의 하단이 수용된다. 이러한 완충케이스(820)의 하단은 상판(110)에 체결된다.
상기 완충스토퍼(830)는 완충로드(810)의 완충원통부(812)의 하부 외측면에 결합된다. 완충스토퍼(830)는 링 형태로 형성되며, 완충케이스(820)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지면으로부터 큰 진동이나 충격이 가해져서 완충로드(810)가 크게 흔들릴 때, 완충스토퍼(830)는 완충케이스(820)의 내측면에 접촉되어 대변위 제어를 수행한다. 상기 완충스토퍼(830)의 외측면과 완충케이스(820)의 내측면 사이에는 소정의 갭(G)이 형성된다.
상기 완충연결부(840)는 완충로드(810)의 하부에 결합되며 완충로드(810)와 완충케이스(820)의 내측면 사이를 연결한다. 상기 완충스토퍼(830)와 완충연결부(840)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완충연결부(840)는 완충로드(810)의 하단과 완충케이스(820)의 내측 하부면 사이를 상하로 연결하는 완충상하부(841) 및 완충상하부(841)의 측부에 연장되어 완충케이스(820)의 내측 측면 사이를 좌우로 연결하는 완충좌우부(842)를 포함한다. 상기 완충연결부(840)는 전체적으로 '십(十)'자 형태의 단면을 가진다.
상기 완충스토퍼(830)의 외측면과 완충케이스(820)의 내측면 사이, 즉 갭(G)에는 완충굴곡부(850)가 결합되어 완충스토퍼(830)와 완충케이스(820) 사이를 서로 연결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완충굴곡부(850)는 제1굴곡부(851), 제2굴곡부(852), 제3굴곡부(853), 제4굴곡부(854) 및 제5굴곡부(85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전체적으로 '지그재그' 형태의 단면을 가진다.
상기 제1굴곡부(851)는 완충스토퍼(830)의 외측면에 결합되며 1자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2굴곡부(852)는 제1굴곡부(851)의 하단으로부터 비스듬히 상부를 향해 연장된다. 상기 제3굴곡부(853)는 제2굴곡부(852)의 상단으로부터 하부로 연장되며 1자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4굴곡부(854)는 제3굴곡부(853)의 하단으로부터 비스듬히 상부를 향해 연장된다. 상기 제5굴곡부(855)는 제4굴곡부(854)의 상단으로부터 하부로 연장되고 1자 형태로 형성되며 완충케이스(820)의 내측면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1굴곡부(851)의 상하 높이는 제3굴곡부(853)의 상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되고, 제3굴곡부(853)의 상하 높이는 제5굴곡부(855)의 상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된다. 즉, 상기 제1굴곡부(851)로부터 제5굴곡부(855) 방향으로 갈수록 완충굴곡부(850)의 전체적인 높이는 점차 낮아지게 된다.
또한, 상기 제1굴곡부(851) 내지 제5굴곡부(855)의 두께는 전체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굴곡부(851)와 제2굴곡부(852) 사이의 각도, 제2굴곡부(852)와 제3굴곡부(853) 사이의 각도, 제3굴곡부(853)와 제4굴곡부(854) 사이의 각도 및 제4굴곡부(854)와 제5굴곡부(855) 사이의 각도는 전체적으로 거의 동일하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완충스토퍼(830)와 완충케이스(820) 사이의 물리적인 갭(G)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완충굴곡부(850)를 이용하여 실질적으로 간격을 줄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완충스토퍼(830)의 잦은 접촉으로 인한 소음은 줄이면서 대변위 진동 제어에는 유리한 특성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량장비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량장비(700)는 측량본체(710), 측량본체(710)의 하부에 결합되는 측량안착부(720) 및 측량안착부(720)에 장착되는 측량완충부(730)를 포함한다.
상기 측량본체(710)는 측지측량 작업을 수행하며 토탈스테이션 등의 정밀 측지측량용 장비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측량안착부(720)를 이용하여 측량장비(700)는 제1홀딩부(500) 또는 제2홀딩부(600)에 선택적으로 체결될 수 있으며, 측량수납부(430)의 내부 또는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측량완충부(730)는 측량안착부(720)의 저면부에 마련되는 완충바디(731), 완충바디(731)의 양측 가장자리에 마련되어 완충바디(731)의 변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한 쌍의 절개홀(732) 및 한 쌍의 절개홀(732)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완충바디(731)에 마련되어 완충바디(731)의 수축 및 팽창이 부드럽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복수의 완충홀(733)을 포함한다.
상기 측량장비(700)가 제1홀딩부(500)의 베이스플레이트(520) 또는 제2홀딩부(600)의 제1바디(610)와 제2바디(620)에 체결시 한 쌍의 절개홀(732)에 의해 체결되는 영역에 대응되게 변형되어 접촉 영역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측량장비(700)의 체결 시 복수의 완충홀(733)에 의해 완충바디(731)가 부드럽게 수축 또는 팽창되어 측량장비(700)에 가해지는 충격을 대폭 완화할 수 있다. 또한, 측량장비(700)를 제2홀딩부(600)에 체결한 상태에서 이동시키는 경우에도 충격이나 진동을 크게 완화할 수 있다.
상기 측량완충부(730)는 고무나 섬유 강화플라스틱을 포함하는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량장비가 제1홀딩부에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한 쌍의 완충기구(800)는 상판(110)의 상부에 장착되고, 측량수납부(430)는 한 쌍의 완충기구(800)의 상부에 장착되고, 측량장비(700)를 수납할 수 있으며 상부면에 개방공간부가 형성되며, 개폐유닛(400)은 측량수납부(430)의 상부에 설치되며 개방공간부를 개폐하고, 제1홀딩부(500)는 측량수납부(430)의 내부에 설치되어 측량장비(700)를 측량수납부(430)의 내부에 배치시키며, 제2홀딩부(600)는 개폐유닛(400)의 상부에 장착되며 측량장비(700)를 개폐유닛(400)의 외부에 배치시킨다.
상기 측량장비(700)는 제1홀딩부(500)에 의해 측량수납부(430) 내부에 배치되거나, 또는 제2홀딩부(600)에 의해 측량수납부(430)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개폐유닛(400)은 개방공간부(431)가 마련된 측량수납부(430)의 상부에 마련되어 측량장비(700)를 측량수납부(430) 내부에 배치시 측량장비의 하강이 가능하도록 개방공간부(431)를 개방할 수 있다.
상기 개폐유닛(400)은 측량수납부(430)의 상부에 마련되어 개방공간부(431)의 일측부를 개폐하는 제1개폐부(410), 측량수납부(430)의 상부에 마련되어 개방공간부(431)의 타측부를 개폐하는 제2개폐부(420)를 포함한다.
상기 제1개폐부(410)는 측량수납부(430)의 상부에 마련되어 개폐 공간부의 일측부를 개폐하는 제1개폐바디(411), 측량수납부(430)의 상부에 마련되며 제1개폐바디(411)에 연결되어 제1개폐바디(411)를 개폐시키는 제1개폐실린더(412), 일측부는 제1개폐바디(411)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1개폐실린더(412)의 바디에 결합되어 제1개폐실린더(412)의 로드를 덮는 제1주름부(413), 측량수납부(430)의 상부에 마련되어 제1개폐바디(411)의 개폐를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레일(414)을 포함한다.
상기 제1개폐부(410)의 제1개폐바디(411)와 제2 개폐바디(421)는 내부가 비어있어 하중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제1개폐부(410)의 제1개폐실린더(412)는 공압 또는 유압으로 작동될 수 있고, 측량수납부(430)의 내부에 배치되는 공압 펌프나 유압 펌프로부터 작동에 필요한 공기나 오일을 공급받을 수 있고, 이는 제2개폐실린더(422)에도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제1주름부(413)는 주름지게 마련되어 제1개폐바디(411)의 개폐시 신축되어 길이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제1주름부(413)는 제1개폐실린더(412)의 로드를 덮도록 마련되어 물이나 먼지 등이 제1개폐실린더(412)의 내부나 로드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는 제2주름부(423)에도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레일(414)은 측량수납부(430)의 상부에 마련되어 제1개폐바디(411)의 이동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제2개폐부(420)는 측량수납부(430)의 상부에 마련되어 개방공간부(431)의 타측부를 개폐하는 제2개폐바디(421), 측량수납부(430)의 상부에 마련되며 제2개폐바디(421)에 연결되어 제2개폐바디(421)를 개폐시키는 제2개폐실린더(422), 일측부는 제2개폐바디(421)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2개폐실린더(422)의 바디에 결합되어 제2개폐실린더(422)의 로드를 덮는 제2주름부(423), 측량수납부(430)의 상부에 마련되어 제2개폐바디(421)의 개폐를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레일(424)을 포함한다.
상기 제1홀딩부(500)는 측량수납부(430)의 내부에 마련되어 측량장비(700)를 측량수납부(430)의 내부에 안정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홀딩부(500)는 측량장비(700)를 장기간 사용하지 않고 보관하거나, 작업 중 비나 눈이 오는 경우 또는 바람이 심한 경우 측량장비를 측량수납부(430)의 내부에 배치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1홀딩부(500)는 측량수납부(430)의 내부에 마련되는 높낮이부(900), 높낮이부(900)의 상부에 마련되어 개방공간부(431)의 방향으로 승강(상승 또는 하강)되는 베이스플레이트(520), 베이스플레이트(520)에 마련되는 복수의 홀딩실린더(530), 복수의 홀딩실린더(530)에 마련되어 베이스플레이트(520)와 평행하게 이동되는 가압바(540), 가압바(540)에 마련되며 측량안착부의 하부를 가압하여 측량장비(700)를 위치 고정시키는 탄성패드(550)를 포함한다.
상기 높낮이부(900)의 구체적인 구성은 아래에서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복수의 홀딩실린더(530)는 공압 또는 유압으로 작동될 수 있다. 상기 탄성패드(550)는 측량안착부의 하부에 접촉되어 측량안착부를 가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탄성패드(550)는 고무를 포함하는 신축성 있는 재질로 마련되어 측량안착부의 형상에 대응되게 변형되어 측량안착부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측량장비(700)를 측량수납부(430)의 내부에 배치할 경우, 제1개폐바디(411)와 제2개폐바디(421)를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개방공간부(431)를 개방시킨다. 이때, 제1개폐바디(411)와 제2개폐바디(421)는 제1개폐실린더(412)와 제2개폐실린더(422)에 의해 당겨져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후, 높낮이부(900)를 이용하여 베이스플레이트(520)를 개방공간부(431)에 삽입되게 상승시키며 이때 측량장비(700)는 개방공간부(431)의 상부에 배치되어 바로 하강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복수의 홀딩실린더(530)를 작동시켜 탄성패드(550)로 측량안착부의 하부를 가압한다.
마지막으로 높낮이부(900)를 작동시켜 베이스플레이트(520)를 설정 위치까지 하강시킨 후 제1개폐바디(411)와 제2개폐바디(421)로 개방공간부(431)를 밀폐한다.
상기 제2홀딩부(600)는 제1개폐바디(411) 및 제2개폐바디(421)에 마련되어 제1홀딩부(500)자는 별개로 측량장비(700)를 위치 고정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측량장비(700)를 이용하여 작업을 수행할 시, 측량수납부(430)의 외부에 배치되는 제2홀딩부(600)에 측량장비(700)를 체결시켜 위치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제2홀딩부(600)는 제1개폐바디(411)에 마련되어 제1개폐바디(411)와 같이 이동되는 제1바디(610), 제2개폐바디(421)에 마련되어 제2개폐바디(421)와 같이 이동되는 제2바디(620), 제1바디(610) 및 제2바디(620)에 각각 마련되어 측량안착부의 하부를 클램핑하여 위치 고정시키는 복수의 클램핑부(630)를 포함한다.
상기 제1바디(610)는 제1개폐바디(411)의 상면부에 마련되어 제1개폐바디(411)와 같이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2바디(620)는 제2개폐바디(421)의 상면부에 마련되어 제2개폐바디(421)와 같이 이동될 수 있다.
도시된 것처럼 상기 복수의 클램핑부(630)는 제1바디(610) 및 제2바디(620)에 각각 마련되는 클램핑바디(631), 클램핑바디(631)에 마련되는 한 쌍의 클램핑실린더(632), 한 쌍의 클램핑실린더(632)에 각각 연결되어 측량안착부의 하부를 클램핑하는 한 쌍의 클램핑집게(633)를 포함한다.
상기 제2홀딩부(600)는 측량장비(700)를 위치 고정한 상태에서 사용될 수 있으므로 고정의 견고성을 전술한 제1홀딩부(500)와 다르게 집게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클램핑집게(633)는 서로 접하는 영역이 회전 가능하도록 축으로 결합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높낮이부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높낮이부(900)는,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의 높낮이케이스(910), 높낮이케이스(910)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수용되며 측면에 다수의 고정홈(921)이 형성되는 높낮이로드(920) 및 높낮이케이스(910)의 상단에 결합되며 다수의 고정홈(921)으로 진입 가능한 고정로드(932)를 구비하는 높낮이고정부(9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높낮이케이스(910)는 측량수납부(430)의 내측 하부에 결합되며, 내부에 높낮이스프링(911)이 수용된다. 높낮이스프링(911)은 높낮이로드(920)의 하단과 높낮이케이스(910)의 내측 하단 사이를 연결하며, 높낮이로드(920)가 상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기 높낮이로드(920)는 높낮이케이스(910)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높낮이로드(920)의 상하 이동에 따라 그 상부에 결합된 베이스플레이트(520)의 높낮이도 가변될 수 있다.
상기 높낮이고정부(930)는, 높낮이케이스(910)의 상단에 결합되는 고정케이스(931), 고정케이스(931)에 좌우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수용되며 단부가 다수의 고정홈(921)에 진입할 수 있는 고정로드(932), 고정케이스(931)의 내부에 수용되며 고정로드(932)의 우단과 고정케이스(931)의 내측 우단 사이를 연결하는 고정스프링(933) 및 고정케이스(931)의 상부에 장착되며 고정로드(932)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는 고정제한부(9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케이스(931)는 내부가 비어있으며, 고정로드(932)를 수용할 수 있다. 고정케이스(931)의 상부면에는 후술되는 고정제한부(934)의 제한로드(938)가 진입할 수 있도록 제한홀(931a)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로드(932)는 고정케이스(931)에 좌우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고정로드(932)의 단부는 쐐기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고정로드(932)의 단부가 쐐기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고정로드(932)는 높낮이로드(920)에 형성된 다수의 고정홈(921)을 타고 넘을 수 있다.
즉, 높낮이로드(920)가 상하로 이동할 때, 고정로드(932)는 고정홈(921)이 위치한 부분에서는 좌측으로 이동하고, 고정홈(921)이 위치하지 않은 부분에서는 높낮이로드(920)의 외측면에 접촉되어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고정스프링(933)에 의해 고정로드(932)는 좌우로 이동하였다가 원래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고정로드(932)의 상부면에는 고정케이스(931)의 제한홀(931a)에 대응하는 위치에 로드홈(932a)이 형성된다. 이러한 로드홈(932a) 역시 후술되는 고정제한부(934)의 제한로드(938)가 진입할 수 있다.
상기 고정제한부(934)는, 고정케이스(931)의 상부면에 결합되는 제한판(935), 제한판(935)의 상단에 결합되는 한 쌍의 제한스프링(936), 제한스프링(936)의 하단에 연결되는 링 형태의 제한이동부(937) 및 제한이동부(937)의 하단에 결합되는 제한로드(93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한 쌍의 제한스프링(936)은 제한이동부(937) 및 제한로드(938)가 하부로 이동될 수 있도록 탄성력을 가한다. 상기 제한로드(938)는 고정케이스(931)의 제한홀(931a) 및 고정로드(932)의 로드홈(932a)에 진입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부(900)의 높이 조절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제한이동부(937)가 한 쌍의 제한스프링(936)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상부로 이동된다. 제한이동부(937)의 이동에 따라 제한로드(938) 역시 제한홀(931a) 및 로드홈(932a)으로부터 이탈되고, 고정로드(932)는 자유롭게 좌우로 움직일 수 있게 된다.
그 다음, 높낮이로드(920)를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높낮이로드(920)가 높낮이케이스(910)에 삽입되는 정도를 결정한다. 이때, 높낮이스프링(911)은 높낮이로드(920)가 상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기 높낮이로드(920)가 상하로 이동될 때 고정로드(932)는 다수의 고정홈(921)을 타고 넘을 수 있으며, 고정홈(921)이 위치한 부분에서는 좌측으로 이동하고, 고정홈(921)이 위치하지 않은 부분에서는 높낮이로드(920)의 외측면에 접촉되어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높낮이로드(920)의 높낮이가 결정되면, 제한이동부(937)를 놓아 제한스프링(936)의 탄성력에 의해 제한로드(938)가 하부로 이동되도록 하고, 제한로드(938)의 하단은 제한홀(931a) 및 로드홈(932a)에 삽입되어 고정로드(932)가 더 이상 이동되지 않도록 한다.
이에 따라 높낮이부(900)는 더 이상 상하로 움직이지 않고 높낮이가 고정되며, 높낮이부(900)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베이스플레이트(520)의 높이를 유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0 : 삼각대 본체 110 : 상판
120 : 제1 나선홈 130 : 고정 레그부
131 : 고정 레그 131a : 제2 나선홈
132 : 승하강 레그 132a : 나사산
200 : 수평 조절 레그부 210 : 구동부 몸체
211 : 나선봉 212 : 레그 결합홀
213 : 레그 결합관 220 : 수평 조절 레그
230 : 레그 구동부 240 : 에어컴프레샤
250 : 에어 튜브 251 : 에어공급구
260 : 에어 호스 300 : 제어부
310 : 자이로센서 320 : 제1 조작스위치
330 : 제2 조작스위치 340 : 제1 근거리 무선통신모듈
350 : 제2 근거리 무선통신모듈 400 : 개폐유닛
410 : 제1개폐부 411 : 제1개폐바디
412 : 제1개폐실린더 413 : 제1주름부
414 : 제1가이드레일 420 : 제2개폐부
421 : 제2개폐바디 422 : 제2개폐실린더
423 : 제2주름부 424 : 제2가이드레일
430 : 측량수납부 431 : 개방공간부
500 : 제1홀딩부 520 : 베이스플레이트
530 : 홀딩실린더 540 : 가압바
550 : 탄성패드 600 : 제2홀딩부
610 : 제1바디 620 : 제2바디
630 : 클램핑부 631 : 클램핑바디
632 : 클램핑실린더 633 : 클램핑집게
700 : 측량장비 710 : 측량본체
720 : 측량안착부 730 : 측량완충부
731 : 완충바디 732 : 절개홀
733 : 완충홀 800 : 완충기구
810 : 완충로드 811 : 완충체결부
812 : 완충원통부 820 : 완충케이스
830 : 완충스토퍼 840 : 완충연결부
841 : 완충상하부 842 : 완충좌우부
850 : 완충굴곡부 851 : 제1굴곡부
852 : 제2굴곡부 853 : 제3굴곡부
854 : 제4굴곡부 855 : 제5굴곡부
900 : 높낮이부 910 : 높낮이케이스
911 : 높낮이스프링 920 : 높낮이로드
921 : 고정홈 930 : 높낮이고정부
931 : 고정케이스 931a : 제한홀
932 : 고정로드 932a : 로드홈
933 : 고정스프링 934 : 고정제한부
935 : 제한판 936 : 제한스프링
937 : 제한이동부 938 : 제한로드

Claims (1)

  1. 측지측량을 위한 측량장비가 상면에 설치되며 하면에 제1나선홈이 형성되는 상판 및 상판의 하면에 사선 방향으로 결합되는 다수의 고정 레그부를 구비하는 삼각대 본체;
    상기 제1나선홈에 나사 결합되는 구동부 몸체, 구동부 몸체의 하면에 결합되는 세 개의 수평 조절 레그, 구동부 몸체의 내측에 설치되며 수평 조절 레그에 작동 동력을 제공하는 세 개의 레그 구동부, 구동부 몸체의 외부에 설치되는 세 개의 에어컴프레샤, 수평 조절 레그의 하단에 결합되며 에어공급구가 각각 형성되는 세 개의 에어 튜브, 및 에어컴프레샤와 에어 튜브들을 일대일로 매칭시키며 하나의 에어컴프레샤에 길이 방향의 일단이 연결되고 하나의 에어 튜브의 에어공급구에 길이 방향의 타단이 연결되어 에어컴프레샤의 작동 시 에어 튜브에 에어를 주입하는 세 개의 에어 호스를 구비하는 수평 조절 레그부;
    상기 구동부 몸체에 내장되며, 가상의 수평선과 상판의 하면이 이루는 각도를 기준으로 수평 조절 레그들의 길이가 개별 조절되기 위한 기울기 조정 등급이 사전에 설정되고, 외부로부터 제1 제어신호가 입력 시 상판에 설치된 자이로센서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에 따라 기울기 조정 등급들 중 선택되는 기울기 조정 등급에 맞춰 수평 조절 레그들 각각의 길이가 조절되는 1차 수평 조절 모드를 진행시키고, 외부로부터 제2 제어신호가 입력 시 자이로센서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기반으로 에어컴프레샤들을 개별 작동시켜 에어 튜브들 각각의 팽창 정도를 조정하여 수평 조절 레그부를 통해 상판이 수평 상태로 지지되는 2차 수평 조절 모드를 진행시키는 제어부;
    상기 상판에 설치되며, 제어부에 제1 제어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제1 조작스위치;
    상기 상판에 설치되며, 제어부에 제2 제어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제2 조작스위치;
    상기 상판의 상부에 장착되는 한 쌍의 완충기구;
    상기 한 쌍의 완충기구의 상부에 장착되고, 측량장비를 수납할 수 있으며 상부면에 개방공간부가 형성되는 측량수납부;
    상기 측량수납부의 상부에 설치되며 개방공간부를 개폐하는 개폐유닛;
    상기 측량수납부의 내부에 설치되어 측량장비를 측량수납부의 내부에 배치시키는 제1홀딩부; 및
    상기 개폐유닛의 상부에 장착되며 측량장비를 개폐유닛의 외부에 배치시키는 제2홀딩부; 를 포함하되,
    상기 측량장비는,
    측지측량 작업을 수행하는 측량본체; 측량본체의 하부에 결합되는 측량안착부; 및 측량안착부에 장착되는 측량완충부; 를 포함하고,
    상기 측량완충부는,
    측량안착부의 저면부에 마련되는 완충바디; 완충바디의 양측 가장자리에 마련되어 완충바디의 변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한 쌍의 절개홀; 및 한 쌍의 절개홀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완충바디에 마련되어 완충바디의 수축 및 팽창이 부드럽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복수의 완충홀; 을 포함하며,
    상기 개폐유닛은,
    측량수납부의 상부에 마련되어 개방공간부의 일측부를 개폐하는 제1개폐부; 및 측량수납부의 상부에 마련되어 개방공간부의 타측부를 개폐하는 제2개폐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개폐부는,
    측량수납부의 상부에 마련되어 개폐공간부의 일측부를 개폐하는 제1개폐바디; 측량수납부의 상부에 마련되며 제1개폐바디에 연결되어 제1개폐바디를 개폐시키는 제1개폐실린더; 일측부는 제1개폐바디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1개폐실린더의 바디에 결합되어 제1개폐실린더의 로드를 덮으며 제1개폐바디의 개폐시 신축되는 제1주름부; 및 드론수납부의 상부에 마련되어 제1개폐바디의 개폐를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레일; 을 포함하며,
    상기 제2개폐부는,
    측량수납부의 상부에 마련되어 개폐공간부의 타측부를 개폐하는 제2개폐바디; 측량수납부의 상부에 마련되며 제2개폐바디에 연결되어 제2개폐바디를 개폐시키는 제2개폐실린더; 일측부는 제2개폐바디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2개폐실린더의 바디에 결합되어 제2개폐실린더의 로드를 덮으며 제2개폐바디의 개폐시 신축되는 제2주름부; 및 드론수납부의 상부에 마련되어 제2개폐바디의 개폐를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레일; 을 포함하고,
    상기 제1홀딩부는,
    측량수납부의 내부에 설치되는 높낮이부; 높낮이부의 상부에 결합되며 개방공간부 방향으로 승강되는 베이스플레이트; 베이스플레이트에 마련되는 복수의 홀딩실린더; 복수의 홀딩 실린더에 각각 마련되어 베이스플레이트와 평행하게 이동되는 가압바; 및 가압바에 마련되며 랜딩기어의 하부를 가압하여 측량장비를 위치 고정시키는 탄성 패드; 를 포함하며,
    상기 높낮이부는,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의 높낮이케이스; 높낮이케이스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수용되며 측면에 다수의 고정홈이 형성되는 높낮이로드; 및 높낮이케이스의 상단에 결합되며 다수의 고정홈으로 진입 가능한 고정로드를 구비하는 높낮이고정부; 를 포함하고,
    상기 높낮이고정부는,
    높낮이케이스의 상단에 결합되는 고정케이스; 고정케이스에 좌우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수용되며 단부가 다수의 고정홈에 진입할 수 있는 고정로드; 고정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며 고정로드의 우단과 고정케이스의 내측 우단 사이를 연결하는 고정스프링; 및 고정케이스의 상부에 장착되며 고정로드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는 고정제한부; 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제한부는,
    고정케이스의 상부면에 결합되는 제한판; 제한판의 상단에 결합되는 한 쌍의 제한스프링; 제한스프링의 하단에 연결되는 링 형태의 제한이동부; 및 제한이동부의 하단에 결합되는 제한로드; 를 포함하고,
    상기 제2홀딩부는,
    제1개폐바디에 마련되어 제1개폐바디와 같이 이동되는 제1바디; 제2개폐바디에 마련되어 제2개폐바디와 같이 이동되는 제2바디; 및 제1바디 및 제2바디에 각각 마련되어 측량안착부의 하부를 클램핑하여 위치 고정시키는 복수의 클램핑부;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클램핑부는,
    제1바디 및 제2바디에 각각 마련되는 클램핑바디; 클램핑바디에 마련되는 한 쌍의 클램핑실린더; 및 한 쌍의 클램핑실린더에 각각 연결되어 랜딩기어의 하부를 클램핑하는 한 쌍의 클램핑 집게; 를 포함하고, 한 쌍의 클램핑 집게는 서로 접하는 영역이 회전 가능하도록 축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지측량용 삼각대의 수평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측지측량장치.
KR1020210092256A 2021-07-14 2021-07-14 측지측량용 삼각대의 수평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측지측량장치 KR1023108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2256A KR102310846B1 (ko) 2021-07-14 2021-07-14 측지측량용 삼각대의 수평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측지측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2256A KR102310846B1 (ko) 2021-07-14 2021-07-14 측지측량용 삼각대의 수평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측지측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0846B1 true KR102310846B1 (ko) 2021-10-08

Family

ID=78609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2256A KR102310846B1 (ko) 2021-07-14 2021-07-14 측지측량용 삼각대의 수평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측지측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084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2737B1 (ko) * 2022-01-12 2022-06-27 주식회사 고산자 측지측량용 삼각대 수평 유지 시스템
CN117427406A (zh) * 2023-12-21 2024-01-23 河南永新科技有限公司 一种己二酸生产粗酸膜过滤增稠器滤棒连接结构
KR102635210B1 (ko) * 2023-07-31 2024-02-08 (주)신일지형정보 측지측량 삼각대의 수평을 정밀하게 조절하여 고정할수 있는 측지측량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9211B1 (ko) * 2017-07-24 2017-10-26 (주)인화엔지니어링 측지측량의 효율적인 수행을 위한 삼각대 자동 수평조절 장치
KR101892472B1 (ko) * 2018-03-16 2018-08-31 주식회사 다우 오토 레벨링이 가능한 측량용 삼각대 및 그 제어 시스템
KR102056755B1 (ko) * 2019-07-05 2019-12-18 (주)스페이스 측지측량용 삼각대 수평 유지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9211B1 (ko) * 2017-07-24 2017-10-26 (주)인화엔지니어링 측지측량의 효율적인 수행을 위한 삼각대 자동 수평조절 장치
KR101892472B1 (ko) * 2018-03-16 2018-08-31 주식회사 다우 오토 레벨링이 가능한 측량용 삼각대 및 그 제어 시스템
KR102056755B1 (ko) * 2019-07-05 2019-12-18 (주)스페이스 측지측량용 삼각대 수평 유지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2737B1 (ko) * 2022-01-12 2022-06-27 주식회사 고산자 측지측량용 삼각대 수평 유지 시스템
KR102635210B1 (ko) * 2023-07-31 2024-02-08 (주)신일지형정보 측지측량 삼각대의 수평을 정밀하게 조절하여 고정할수 있는 측지측량장치
CN117427406A (zh) * 2023-12-21 2024-01-23 河南永新科技有限公司 一种己二酸生产粗酸膜过滤增稠器滤棒连接结构
CN117427406B (zh) * 2023-12-21 2024-03-08 河南永新科技有限公司 一种己二酸生产粗酸膜过滤增稠器滤棒连接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10846B1 (ko) 측지측량용 삼각대의 수평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측지측량장치
CN108344405B (zh) 一种测绘仪器用自动调节装置
CN104838166A (zh) 车高调整装置
KR102171729B1 (ko) 수준점 및 기준점 측량과 표석 설치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측지측량장치
KR101869873B1 (ko) 측지측량의 정밀도를 향상시킨 토탈스테이션
CN109848965B (zh) 一种用于溶洞检测的多功能雷达辅助机械臂、系统及方法
CN106439402B (zh) 一种调平装置
KR101820129B1 (ko) 좌표정보와 지형정보 합성을 통한 정밀 수치지도 제작시스템
KR102310848B1 (ko) 경사면에서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지피에스 기반 정밀 측지측량시스템
KR102573680B1 (ko) 수평 유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측지측량용 삼각대
CN113063384B (zh) 一种工程管理用桩孔孔径检测装置
CN207280459U (zh) 棱镜脚架自动调平装置
KR102056755B1 (ko) 측지측량용 삼각대 수평 유지 장치
CN216408303U (zh) 一种光学经纬仪用水平金属三脚架
CN107783178B (zh) 无需调节水平的地震计摆体
CN215807341U (zh) 一种全站仪用可自动调平支架
CN209673105U (zh) 水准仪的安装托架
CN109470224A (zh) 一种工程测量用自稳定三脚架
KR102310847B1 (ko) 측지측량용 표척을 진동이나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측지측량장치
KR102635221B1 (ko) 지면에 고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측지측량용 삼각대구조
US5385219A (en) Vibration absorbing structures for heavy construction purposes
CN213143957U (zh) 一种便于定位的建筑用支撑装置
KR102635222B1 (ko) 측지측량용 표척을 멀티로 고정시킬 수 있는 측지측량장치
CN105387850A (zh) 一种水准仪夹持调平装置
CN204101047U (zh) 一种水准仪夹持调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