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2737B1 - 측지측량용 삼각대 수평 유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측지측량용 삼각대 수평 유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2737B1
KR102412737B1 KR1020220004669A KR20220004669A KR102412737B1 KR 102412737 B1 KR102412737 B1 KR 102412737B1 KR 1020220004669 A KR1020220004669 A KR 1020220004669A KR 20220004669 A KR20220004669 A KR 20220004669A KR 102412737 B1 KR102412737 B1 KR 1024127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ues
slope
tripod
value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46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창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고산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고산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고산자
Priority to KR10202200046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27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27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27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4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9/00Gyroscopes; Turn-sensitive devices using vibrating masses; Turn-sensitive devices without moving masses; Measuring angular rate using gyroscopic effec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9/0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 G01C9/02Detai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2200/00Details of stands or supports
    • F16M2200/02Locking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자가 삼각대 본체의 상판을 시각을 통한 직관적인 방식, 다시 말해 눈대중으로 대략적인 수평 상태로 조절한 다음, 스위치를 온(ON) 시키는 매우 용이하고 편리한 조작을 통해 측량 기기가 실제 설치되는 테이블 구성을 수평 상태로 자동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며, 측지측량 작업 시의 기상 상태 변화에 따라 강풍이 부는 상황에서 삼각대의 넘어질 위험성이 작업자에게 시각적 및 청각적인 방식을 통해 통보될 수 있어, 강풍에 따른 삼각대의 넘어짐과 그에 기인한 측량기기의 파손 위험성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측지측량용 삼각대 수평 유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측지측량용 삼각대 수평 유지 시스템은 삼각대 본체와, 수평 테이블 유닛과, 자이로센서, 표시램프, 작동스위치, 데이터베이스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는 수평 조절용 제어장치부와, 넘어짐 경고장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넘어짐 경고장치부는 거리감지센서, 디지털 풍향풍속계, 하중계, 경사면 기울기 DB, 넘어짐 경고 값 세트 DB, 경고장치 및 제어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측지측량용 삼각대 수평 유지 시스템{System for maintaining horizontal of tripod in geodetic}
본 발명은 측지측량 기술 분야 중 작업자가 삼각대 본체의 상판을 시각을 통한 직관적인 방식, 다시 말해 눈대중으로 대략적인 수평 상태로 조절한 다음, 스위치를 온(ON) 시키는 매우 용이하고 편리한 조작을 통해 측량 기기가 실제 설치되는 테이블 구성을 수평 상태로 자동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며, 측지측량 작업 시의 기상 상태 변화에 따라 강풍이 부는 상황에서 삼각대의 넘어질 위험성이 작업자에게 시각적 및 청각적인 방식을 통해 통보될 수 있어, 강풍에 따른 삼각대의 넘어짐과 그에 기인한 측량기기의 파손 위험성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측지측량용 삼각대 수평 유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측지측량은 한 국가의 기본지형도의 기준점 좌표를 결정하는 측량을 말하며, 삼각점의 좌표를 결정하는 삼각측량, 수준점의 표고를 결정하는 수준측량, 그에 부수하는 천문, 기선, 검조 등의 여러 관측들이 포함된다.
측지측량 시 측정점을 정밀 측위하기 위한 장비로서 토탈스테이션 등의 여러 장비가 사용된다.
그러나, 토탈스테이션 등의 측지측량 장비는 통상 삼각대에 고정시켜 사용하게 되는데, 측지측량이 항상 평지에서만 수행되는 것은 아니므로, 산악 지형과 같이 굴곡이 심한 거친 지면 또는 경사진 지형에서의 측지측량 시 삼각대를 수평으로 유지시키는데 어려움이 따르고, 이는 측량 결과의 정확도가 저하되는 현상으로도 이어진다.
또한 측지측량 작업 과정에서 기상 상태의 급격한 변화에 따라 강풍이 불면서 삼각대가 넘어질 위험성이 상존하고, 이러한 사고에 따른 측지측량 장비의 파손 위험이 상존하는 것이었다. 그리고 해당 위험성은 경사진 지형에서의 측지측량 작업 시 더 높아지게 된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789211호(2017.10.26.공고.), “측지측량의 효율적인 수행을 위한 삼각대 자동 수평조절 장치” 한국 등록특허 제10-1820122호(2018.01.18.공고.), “측지측량을 위한 스테레오 카메라 수평유지장치”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작업자가 삼각대 본체의 상판을 시각을 통한 직관적인 방식, 다시 말해 눈대중으로 대략적인 수평 상태로 조절한 다음, 스위치를 온(ON) 시키는 매우 용이하고 편리한 조작을 통해 측량 기기가 실제 설치되는 테이블 구성을 수평 상태로 자동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측지측량용 삼각대 수평 유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측지측량 작업 시의 기상 상태 변화에 따라 강풍이 부는 상황에서 삼각대의 넘어질 위험성이 작업자에게 시각적 및 청각적인 방식을 통해 통보될 수 있어, 강풍에 따른 삼각대의 넘어짐과 그에 기인한 측량기기의 파손 위험성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측지측량용 삼각대 수평 유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측지측량용 삼각대 수평 유지 시스템은, 상판 및 상기 상판의 하면에 삼각형의 배치 형태로 결합되고 각각은 전체 길이의 조절이 가능한 세 개의 레그를 포함하는 삼각대 본체와, 상기 상판으로부터 상측에 위치되고 상면에 측량 기기가 설치되는 기기 설치 프레임 및 상기 기기 설치 프레임을 수평 상태로 유지시키는 수평 조절부를 포함하는 수평 테이블 유닛과, 상기 상판에 설치되는 자이로센서, 상기 기기 설치 프레임에 설치되는 표시램프 및 작동스위치, 상기 기기 설치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자이로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상기 상판의 기울기 값 및 상기 기울기 값별 상기 수평 조절부가 상기 기기 설치 프레임을 수평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작동 값이 해당 기울기 값과 서로 매핑되어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수평 조절부의 작동 개시를 위한 임계 기울기가 사전에 설정되어 상기 자이로센서로부터 수신되는 기울기 값이 상기 임계 기울기 이하가 되면 상기 표시램프를 점등시키고, 상기 작동스위치가 온(ON) 동작되면 상기 자이로센서로부터 수신되는 기울기 값과 매핑된 상기 작동 값을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로부터 검출하여 상기 수평 조절부를 작동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삼각대 본체의 경사면 위치 시 바람에 의해 넘어지는 사고 방지용의 넘어짐 경고장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넘어짐 경고장치부는, 경사면의 경사진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상판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경사면에 대한 수직 거리를 각각 감지하는 한 쌍의 거리감지센서와, 상기 기기 설치 프레임의 상면에 설치되어 풍향 및 풍속을 감지하는 디지털 풍향풍속계와, 상기 기기 설치 프레임의 상면에 설치되어 상기 측량 기기의 하중을 측정하는 하중계와, 상기 상판이 수평 상태라는 조건 하에 상기 거리감지센서들로부터 각각 감지되는 수직 거리의 값 간의 차이 값들을 토대로 산출된 경사면의 기울기 값들이 상기 차이 값들 중 해당 차이 값과 각각 매핑되는 방식으로 저장되는 경사면 기울기 DB와, 상기 경사면 기울기 DB의 상기 기울기 값들을 기준으로 상기 디지털 풍향풍속계의 풍향 및 풍속의 값들 및 상기 하중계의 하중 값들이 상기 기울기 값들 중 어느 하나의 기울기 값과 각각 매핑되는 방식으로 저장되되, 상기 기울기 값을 기준으로 매핑된 상기 디지털 풍향풍속계의 풍향 및 풍속의 값 그리고 상기 하중계의 하중 값이 하나의 값 세트를 형성하며, 각각의 상기 값 세트는 경사면의 상기 삼각대 본체가 바람에 의해 넘어질 위험이 있는 상황에 해당됨을 나타내는 넘어짐 경고 값 세트 DB와, 상기 기기 설치 프레임에 설치되고, 외부로부터 전송되는 작동제어신호에 따라 작동하여 경사면의 상기 삼각대 본체가 바람에 의해 넘어질 위험이 있음을 사용자에게 시각적 및 청각적으로 경고하는 경고장치와, 상기 거리감지센서들 및 디지털 풍향풍속계 그리고 하중계를 통해 감지되는 값들을 실시간으로 수신하며, 수신된 상기 거리감지센서들의 감지 값들을 토대로 상기 경사면 기울기 DB에서 어느 하나의 기울기 값을 검출하고, 검출된 기울기 값 및 수신된 상기 디지털 풍향풍속계와 하중계의 감지 값들을 토대로 해당 값들의 세트가 상기 넘어짐 경고 값 세트 DB의 값 세트들 중 어느 하나의 값 세트에 해당되는지 판단하여 해당될 시 상기 경고장치에 상기 작동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경사면 기울기 DB, 넘어짐 경고 값 세트 DB 및 제어유닛은 상기 상판에 설치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작업자가 삼각대 본체의 상판을 시각을 통한 직관적인 방식, 다시 말해 눈대중으로 대략적인 수평 상태로 조절한 다음, 스위치를 온(ON) 시키는 매우 용이하고 편리한 조작을 통해 측량 기기가 실제 설치되는 테이블 구성을 수평 상태로 자동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측지측량 작업 시의 기상 상태 변화에 따라 강풍이 부는 상황에서 삼각대의 넘어질 위험성이 작업자에게 시각적 및 청각적인 방식을 통해 통보될 수 있어, 강풍에 따른 삼각대의 넘어짐과 그에 기인한 측량기기의 파손 위험성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측지측량용 삼각대 수평 유지 시스템을 예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측지측량용 삼각대 수평 유지 시스템을 수평 테이블 유닛을 중심으로 예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측지측량용 삼각대 수평 유지 시스템에서 수평 테이블 유닛의 설치 상태를 예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측지측량용 삼각대 수평 유지 시스템의 전기적 구성을 예시한 블록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측지측량용 삼각대 수평 유지 시스템에서 제어부의 제어 동작을 예시한 플로우챠트
이하의 본 발명에 관한 상세한 설명들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실시 예이고 해당 실시 예의 예시로써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의 실시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기재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발명에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측지측량용 삼각대 수평 유지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측지측량용 삼각대 수평 유지 시스템을 예시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측지측량용 삼각대 수평 유지 시스템을 수평 테이블 유닛을 중심으로 예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측지측량용 삼각대 수평 유지 시스템에서 수평 테이블 유닛의 설치 상태를 예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측지측량용 삼각대 수평 유지 시스템의 전기적 구성을 예시한 블록 구성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측지측량용 삼각대 수평 유지 시스템에서 제어부의 제어 동작을 예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측지측량용 삼각대 수평 유지 시스템은 삼각대 본체(100)와, 수평 테이블 유닛(200)과, 자이로센서(300), 표시램프(400), 작동스위치(500), 데이터베이스부(600) 및 제어부(700)를 포함하는 수평 조절용 제어장치부(1000)와, 넘어짐 경고장치부(20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측지측량용 삼각대 수평 유지 시스템은 수평감지센서(800) 및 수평 재조정 표시램프(9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삼각대 본체(100)는 상판(110) 및 이러한 상판(110)의 하면에 삼각형의 배치 형태로 결합되는 세 개의 레그(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시 말해 삼각대 본체(100)는 기존의 측지측량용 삼각대와 기본적인 형태는 동일하며, 레그(120)별 전체 길이의 조정이 가능한 구성 그리고 상판(110)의 상면에 후술되는 수평 테이블 유닛(200) 중 수평 조절부(220)의 일부 구성을 수용하기 위한 수납공간(111)이 형성되는 구성을 기존의 측지측량용 삼각대와 차별화된 구성으로 더 포함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삼각대 본체의 레그(120)들 각각은 상판(110)에 고정되는 상부 레그(121) 및 이러한 상부 레그(121)와 결합되는 하부 레그(122)를 포함하며, 이때 하부 레그(1220)는 상부 레그(121)와 결합된 레그 전체 길이의 조절이 가능한 형태로 상부 레그(121)와 결합되는 형태를 갖는다.
본 실시 예를 기준으로 부연 설명하면, 상부 레그(121)는 하단으로부터 위쪽으로 나사홀(121a)이 형성되고, 하부 레그(122)는 상부 레그(121)의 나사홀(121a)에 나사 결합되기 위한 나선봉(122a)이 상단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부 레그(121)의 나사홀(121a)에 대한 하부 레그(122)의 나선봉(122a)의 나사 결합 길이를 조정하여 레그(120)의 전체 길이를 조정할 수 있다.
수평 테이블 유닛(200)은 삼각대 본체(100)의 상판(110)으로부터 상측에 위치되고 상면에 측량 기기(10)가 설치되는 기기 설치 프레임(210)과, 이러한 기기 설치 프레임(210)을 수평 상태로 유지시키는 수평 조절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수평 조절부(220)는 삼각대 본체(100)의 상판(110) 및 기기 설치 프레임(210) 사이에 설치되는 것일 수 있으며, 이러한 수평 조절부(220)의 구체적인 구성을 본 실시 예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수평 조절부(220)는 네 개의 유압실린더(221) 및 이러한 유압실린더(221)별 제공되어 해당 유압실린더(221)의 작동로드(221a) 및 기기 설치 프레임(210)의 하면을 360° 회전 가능한 구성으로 연결하는 회전연결블록(22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네 개의 유압실린더(221)는 삼각대 본체(100)의 상판(110)에 형성된 수납공간(111)에 일부를 수납시키는 상태로 설치되며, 이때 유압실린더(221)들은 수납공간(111) 바닥면의 네 모서리 영역에 각각 설치되는 동시에 그 작동로드(221a)를 수직 방향으로 작동시키는 상태로 설치된다.
회전연결블록(222)은 기기 설치 프레임(210)의 하면에 유압실린더(221)들과 개별 대응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서, 다시 말해 회전연결블록(222)은 네 개로 이루어져, 각각의 회전연결블록(222)이 네 개의 유압실린더(221) 중 어느 하나의 유압실린더(221)와 대응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술한 것처럼 유압실린더(221)의 작동로드(221a) 선단 및 회전연결블록(222)은 회전볼 등을 통해 360° 회전이 가능한 결합 방식으로 연결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유압실린더(221)의 작동로드(221a) 선단 및 회전연결블록(222) 간 360° 회전이 가능한 결합 방식은 공지된 다양한 기술 중에서 선택 적용되면 될 것이므로, 본 실시 예에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한다.
자이로센서(300)는 삼각대 본체(100)의 상판(110)에 설치되며, 이러한 자이로센서(300)는 상판(110)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기능을 한다.
표시램프(400)는 수평 테이블 유닛(200)의 기기 설치 프레임(210)에 설치되며, 이러한 표시램프(400)는 삼각대 본체(100)의 상판(110) 기울기가 수평 테이블 유닛(200)의 수평 조절부(220)를 작동시키기 위한 기울기 범위 내로 조절되었음을 작업자에게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기능을 한다.
작동스위치(500)는 수평 테이블 유닛(200)의 기기 설치 프레임(210)에 설치되며, 이러한 작동스위치(500)는 작업자가 수평 테이블 유닛(200)의 수평 조절부(220)를 작동시키기 위해 후술되는 제어부(700)에 신호를 입력시키는 기능을 한다. 부연 설명하면, 작업자는 표시램프(400)의 점등을 확인 후 작동스위치(500)를 온(ON) 상태로 조작하여 제어부(700)에 신호를 입력하며, 이에 따라 제어부(700)가 수평 테이블 유닛(200)의 수평 조절부(220)를 작동시키는 것이다.
데이터베이스부(600)는 수평 테이블 유닛(200)의 기기 설치 프레임(210)에 설치되며, 이러한 데이터베이스부(600)는 자이로센서(300)를 통해 감지되는 상판(110)의 기울기 값 및 상기 기울기 값별 수평 조절부(200)가 기기 설치 프레임(210)을 수평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작동 값이 해당 기울기 값과 서로 매핑되어 저장된다.
제어부(700)는 수평 조절부(220)의 작동 개시를 위한 임계 기울기가 사전에 설정되며, 이에 따라 제어부(700)는 자이로센서(300)로부터 수신되는 기울기 값이 상기 임계 기울기 이하가 되면 표시램프(400)를 점등시킨다. 이어서 제어부(700)는 작동스위치(500)가 온(ON) 동작되면 자이로센서(300)로부터 수신되는 기울기 값과 매핑된 데이터베이스부(600)의 상기 작동 값을 데이터베이스부(600)로부터 검출하여 수평 조절부(220)를 작동 제어한다. 그리고 이러한 제어부(700)의 수평 조절부(220)에 대한 작동 제어를 통해 기기 설치 프레임(210)이 수평 상태로 조정된다.
수평감지센서(800)는 수평 테이블 유닛(200)의 기기 설치 프레임(210)에 설치되며, 이러한 수평감지센서(800)는 수평 테이블 유닛(200)의 수평 조절부(220)가 작동되어 기기 설치 프레임(210)이 수평 상태로 조절된 후 그 결과 확인 및 수평 조절이 잘 안되었을 경우 다시 수평 조절 작업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수평 재조정 표시램프(900)는 수평 테이블 유닛(200)의 기기 설치 프레임(210)에 설치되며, 이러한 수평 재조정 표시램프(900)는 제어부(700)의 제어신호에 따라 점등 동작하여 작업자에게 수평 조절 작업이 정상적이지 못해 다시 수행해야 함을 알리는 기능을 수행한다. 다시 말해 제어부(700)는 수평 조절부(220)를 동작시킨 후 수평감지센서(80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가 기기 설치 프레임(210)의 수평 신호가 아닐 경우 수평 재조정 표시램프(900)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점등시키는 것이다.
제어부(700)의 제어 동작에 대해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700)는 단계(S110)에서, 자이로센서(300)로부터 삼각대 본체(100)의 상판(110)에 대한 기울기의 신호를 수신한다.
단계(S120)에서, 단계(S110)을 통해 수신된 기울기 신호가 사전에 설정된 임계 기울기와 비교하여 그 이하의 기울기인지 판단한다.
단계(S130)에서, 단계(S120)의 판단 결과 수신된 기울기가 상기 임계 기울기 이하인 것으로 판단됨에 따라 표시램프(400)를 점등 상태로 제어한다.
단계(S140)에서 작동스위치(500)로부터 수평 테이블 유닛(200)의 수평 조절부(220)가 작동되기 위한 신호가 입력되는지 확인한다.
단계(S150)에서, 단계(S140)을 통해 작동스위치(500)로부터 신호가 입력된 것으로 확인되면, 데이터베이스부(600)로부터 수평 조절부(220)에 대한 작동 값을 검출 후 검출된 작동 값에 따라 수평 조절부(220)를 작동 제어한다.
단계(S160)에서, 수평감지센서(800)로부터 수평 테이블 유닛(200)의 기기 설치 프레임(210)에 대한 수평 감지 신호를 수신한다.
단계(S170)에서, 단계(S160)을 통해 수신된 신호가 기기 설치 프레임(210)의 수평 상태에 해당하는 신호인지 확인한 다음, 기기 설치 프레임(210)의 수평 상태 신호가 수신되면 제어 동작을 종료한다.
그리고 단계(S170)에서, 단계(S160)을 통해 수신된 신호가 기기 설치 프레임(210)의 수평 상태에 해당하는 신호가 아닌 것으로 확인되면, 단계(S180)을 통해 수평 재조정 표시램프(900)를 점등 상태로 제어한 다음, 작동스위치(500)의 신호가 입력되는지 대기하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넘어짐 경고장치부(2000)는 거리감지센서(2100), 디지털 풍향풍속계(2200), 하중계(2300), 경사면 기울기 DB(2400), 넘어짐 경고 값 세트 DB(2500), 경고장치(2600) 및 제어유닛(27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거리감지센서(2100)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즉 거리감지센서(2100)는 경사면의 경사진 방향을 기준으로 삼각대 본체(100)의 상판(110) 양단에 각각 설치되며, 이러한 거리감지센서(2100)들 각각은 상기 경사면에 대한 수직 거리를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디지털 풍향풍속계(2200)는 수평 테이블 유닛(200)의 기기 설치 프레임(210)의 상면에 설치되어 풍향 및 풍속을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하중계(2300)는 수평 테이블 유닛(200)의 기기 설치 프레임(210) 상면에 설치되어 측량 기기(10)의 하중을 측정한다.
경사면 기울기 DB(2400)는 삼각대 본체(100)의 상판(110)이 수평 상태라는 조건 하에 거리감지센서(2100)들로부터 각각 감지되는 수직 거리의 값 간의 차이 값들을 토대로 산출된 경사면의 기울기 값들이 상기 차이 값들 중 해당 차이 값과 각각 매핑되는 방식으로 저장된다.
넘어짐 경고 값 세트 DB(2500)는 경사면 기울기 DB(2400)의 상기 기울기 값들을 기준으로 디지털 풍향풍속계(2200)의 풍향 및 풍속의 값들 및 하중계(2300)의 하중 값들이 상기 기울기 값들 중 어느 하나의 기울기 값과 각각 매핑되는 방식으로 저장된다. 이때, 상기 기울기 값을 기준으로 매핑된 디지털 풍향풍속계(2200)의 풍향 및 풍속의 값 그리고 하중계(2300)의 하중 값이 하나의 값 세트를 형성하며, 각각의 상기 값 세트는 경사면의 삼각대 본체(100)가 바람에 의해 넘어질 위험이 있는 상황에 해당됨을 나타낸다.
경고장치(2600)는 수평 테이블 유닛(200)의 기기 설치 프레임(210)에 설치되고, 외부로부터 전송되는 작동제어신호에 따라 작동하여 경사면의 삼각대 본체(100)가 바람에 의해 넘어질 위험이 있음을 사용자에게 시각적 및 청각적으로 경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유닛(2700)은 거리감지센서(2100)들 및 디지털 풍향풍속계(2200) 그리고 하중계(2300)를 통해 감지되는 값들을 실시간으로 수신하며, 수신된 거리감지센서(2100)들의 감지 값들을 토대로 경사면 기울기 DB(2400)에서 어느 하나의 기울기 값을 검출하고, 검출된 기울기 값 및 수신된 디지털 풍향풍속계(2200)와 하중계(2300)의 감지 값들을 토대로 해당 값들의 세트가 넘어짐 경고 값 세트 DB(2500)의 값 세트들 중 어느 하나의 값 세트에 해당되는지 판단하여 해당될 시 경고장치(2600)에 상기 작동제어신호를 전송한다.
그리고 경사면 기울기 DB(2400), 넘어짐 경고 값 세트 DB(2500) 및 제어유닛(2700)은 삼각대 본체(100)의 상판(110)에 설치되는 것일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의해서, 삼각대 본체(100)의 레그(120)별 전체 길이를 각각 조절하는 작업을 통해서 삼긱대 본체(100)의 상판(110)을 대략적인 수평 상태로 조절하고, 이러한 대략적인 수평 상태 조절이 사전에 설정된 임계 범위에 해당되는지를 표시램프(400)를 통해 시각적으로 확인한 다음, 표시램프(400)의 점등에 따라 작동스위치(500)를 온(ON) 상태로 조작하면 측량 기기(10)의 실제 설치가 이루어지는 수평 테이블 유닛(200)의 기기 설치 프레임(210)이 수평 상태로 자동 조절되게 된다. 그리고 이렇게 수평 상태로 자동 조절된 기기 설치 프레임(210)의 상면에 측량 기기(10)를 설치하게 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작업자는 삼각대 본체(100)의 상판(110)을 시각을 통한 직관적인 방식, 다시 말해 눈대중으로 대략적인 수평 상태로 조절한 다음, 작업스위치(500)를 온(ON) 조작하는 매우 용이하고 편리한 조작을 통해 측량 기기(100)가 실제 설치되는 수평 테이블 유닛(200)의 기기 설치 프레임(210)을 수평 상태로 자동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기기 설치 프레임(210)의 수평 상태를 자동 조절한 후 해당 수평 상태 조절이 정상적으로 진행되었는지 여부를 수평감지센서(800) 및 수평 재조정 표시램프(900)를 통해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고, 이에 더하여 수평 테이블 유닛(200)의 수평 조절부(220)에 이상이 있다거나 자이로센서(300)의 이상 여부 등 전체 시스템의 이상 여부도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측지측량 작업 시 기상 상태의 급격한 변화에 따라 강풍이 부는 상황에서 삼각대의 넘어질 위험성이 작업자에게 시각적 및 청각적인 방식을 통해 통보됨에 따라, 해당 상황에서의 삼각대의 넘어짐 및 그에 따른 측량기기의 파손 위험성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는 경사면에서의 측지측량 작업 시 보다 효과적일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하여 저서는 안되며, 후술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인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측량 기기 100 : 삼각대 본체
111 : 상판 111 : 수납공간
120 : 레그 121 : 상부 레그
121a : 나사홀 122 : 하부 레그
122a : 나선봉 200 : 수평 테이블 유닛
210 : 기기 설치 프레임 220 : 수평 조절부
221 : 유압실린더 221a : 작동로드
222 : 회전연결블록 300 : 자이로센서
400 : 표시램프 500 : 작동스위치
600 : 데이터베이스부 700 : 제어부
800 : 수평감지센서 900 : 수평 재조정 표시램프
2000 : 넘어짐 경고장치부 2100 : 거리감지센서
2200 : 디지털 풍향풍속계 2300 : 하중계
2400 : 경사면 기울기 DB 2500 : 넘어짐 경고 값 세트 DB
2600 : 경고장치 2700 : 제어유닛

Claims (2)

  1. 상판(110)과, 상기 상판(110)의 하면에 삼각형의 배치 형태로 결합되고 각각은 전체 길이의 조절이 가능한 세 개의 레그(120)를 포함하는 삼각대 본체(100):
    상기 상판(110)으로부터 상측에 위치되고 상면에 측량 기기(10)가 설치되는 기기 설치 프레임(210)과, 상기 기기 설치 프레임(210)을 수평 상태로 유지시키는 수평 조절부(220)를 포함하는 수평 테이블 유닛(200):
    상기 상판(110)에 설치되는 자이로센서(300)와, 상기 기기 설치 프레임(210)에 설치되는 표시램프(400) 및 작동스위치(500)와, 상기 기기 설치 프레임(210)에 설치되며, 상기 자이로센서(300)를 통해 감지되는 상기 상판(110)의 기울기 값 및 상기 기울기 값별 상기 수평 조절부(220)가 상기 기기 설치 프레임(210)을 수평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작동 값이 해당 기울기 값과 서로 매핑되어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부(600)와, 상기 수평 조절부(220)의 작동 개시를 위한 임계 기울기가 사전에 설정되어 상기 자이로센서(300)로부터 수신되는 기울기 값이 상기 임계 기울기 이하가 되면 상기 표시램프(400)를 점등시키고, 상기 작동스위치(500)가 온(ON) 동작되면 상기 자이로센서(300)로부터 수신되는 기울기 값과 매핑된 상기 작동 값을 상기 데이터베이스부(600)로부터 검출하여 상기 수평 조절부(220)를 작동 제어하는 제어부(700)를 포함하는 수평 조절용 제어장치부(1000): 및
    상기 삼각대 본체(100)의 경사면 위치 시 바람에 의해 넘어지는 사고 방지용의 넘어짐 경고장치부(2000)를 포함하며,
    상기 넘어짐 경고장치부(2000)는,
    경사면의 경사진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상판(110)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경사면에 대한 수직 거리를 각각 감지하는 한 쌍의 거리감지센서(2100);
    상기 기기 설치 프레임(210)의 상면에 설치되어 풍향 및 풍속을 감지하는 디지털 풍향풍속계(2200);
    상기 기기 설치 프레임(210)의 상면에 설치되어 상기 측량 기기(10)의 하중을 측정하는 하중계(2300);
    상기 상판(110)이 수평 상태라는 조건 하에 상기 거리감지센서(2100)들로부터 각각 감지되는 수직 거리의 값 간의 차이 값들을 토대로 산출된 경사면의 기울기 값들이 상기 차이 값들 중 해당 차이 값과 각각 매핑되는 방식으로 저장되는 경사면 기울기 DB(2400);
    상기 경사면 기울기 DB(2400)의 상기 기울기 값들을 기준으로 상기 디지털 풍향풍속계(2200)의 풍향 및 풍속의 값들 및 상기 하중계(2300)의 하중 값들이 상기 기울기 값들 중 어느 하나의 기울기 값과 각각 매핑되는 방식으로 저장되되, 상기 기울기 값을 기준으로 매핑된 상기 디지털 풍향풍속계(2200)의 풍향 및 풍속의 값 그리고 상기 하중계(2300)의 하중 값이 하나의 값 세트를 형성하며, 각각의 상기 값 세트는 경사면의 상기 삼각대 본체(100)가 바람에 의해 넘어질 위험이 있는 상황에 해당됨을 나타내는 넘어짐 경고 값 세트 DB(2500);
    상기 기기 설치 프레임(210)에 설치되고, 외부로부터 전송되는 작동제어신호에 따라 작동하여 경사면의 상기 삼각대 본체(100)가 바람에 의해 넘어질 위험이 있음을 사용자에게 시각적 및 청각적으로 경고하는 경고장치(2600); 및
    상기 거리감지센서(2100)들 및 디지털 풍향풍속계(2200) 그리고 하중계(2300)를 통해 감지되는 값들을 실시간으로 수신하며, 수신된 상기 거리감지센서(2100)들의 감지 값들을 토대로 상기 경사면 기울기 DB(2400)에서 어느 하나의 기울기 값을 검출하고, 검출된 기울기 값 및 수신된 상기 디지털 풍향풍속계(2200)와 하중계(2300)의 감지 값들을 토대로 해당 값들의 세트가 상기 넘어짐 경고 값 세트 DB(2500)의 값 세트들 중 어느 하나의 값 세트에 해당되는지 판단하여 해당될 시 상기 경고장치(2600)에 상기 작동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제어유닛(2700)을 포함하며,
    상기 경사면 기울기 DB(2400), 넘어짐 경고 값 세트 DB(2500) 및 제어유닛(2700)은 상기 상판(110)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지측량용 삼각대 수평 유지 시스템.
  2. 삭제
KR1020220004669A 2022-01-12 2022-01-12 측지측량용 삼각대 수평 유지 시스템 KR1024127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4669A KR102412737B1 (ko) 2022-01-12 2022-01-12 측지측량용 삼각대 수평 유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4669A KR102412737B1 (ko) 2022-01-12 2022-01-12 측지측량용 삼각대 수평 유지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2737B1 true KR102412737B1 (ko) 2022-06-27

Family

ID=82247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4669A KR102412737B1 (ko) 2022-01-12 2022-01-12 측지측량용 삼각대 수평 유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273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9211B1 (ko) 2017-07-24 2017-10-26 (주)인화엔지니어링 측지측량의 효율적인 수행을 위한 삼각대 자동 수평조절 장치
KR101820122B1 (ko) 2017-07-19 2018-01-18 (주)해강 측지측량을 위한 스테레오 카메라 수평유지장치
KR20180072407A (ko) * 2016-12-21 2018-06-29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삼각대
KR20210035440A (ko) * 2019-09-24 2021-04-01 윤소영 경보 기능을 지닌 탄력봉
KR102310846B1 (ko) * 2021-07-14 2021-10-08 주식회사 그린블루 측지측량용 삼각대의 수평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측지측량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2407A (ko) * 2016-12-21 2018-06-29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삼각대
KR101820122B1 (ko) 2017-07-19 2018-01-18 (주)해강 측지측량을 위한 스테레오 카메라 수평유지장치
KR101789211B1 (ko) 2017-07-24 2017-10-26 (주)인화엔지니어링 측지측량의 효율적인 수행을 위한 삼각대 자동 수평조절 장치
KR20210035440A (ko) * 2019-09-24 2021-04-01 윤소영 경보 기능을 지닌 탄력봉
KR102310846B1 (ko) * 2021-07-14 2021-10-08 주식회사 그린블루 측지측량용 삼각대의 수평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측지측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74265A1 (en) Control and method of control for an earthmoving system
KR101892472B1 (ko) 오토 레벨링이 가능한 측량용 삼각대 및 그 제어 시스템
KR101116190B1 (ko) 지형정보 수집용 수준측량기를 통한 측지데이터 관리시스템
EP2998701A1 (en) Surveying instrument and method to install surveying instrument
EP0353968B1 (en) Detection and display device
CN102032899B (zh) 测绘仪器及其测量方法
KR101933787B1 (ko) 테이블 및 그의 자동 수평 조정방법
US5631732A (en) Surveyor device
US3533699A (en) System of alignment particularly suitable for use in automotive applications
US6137065A (en) Level weighing device
CN112064690B (zh) 一种基坑位移自动监测系统及方法
KR102483692B1 (ko) 공압식 가동보 제어방법
KR102412737B1 (ko) 측지측량용 삼각대 수평 유지 시스템
US20150062568A1 (en) Reference systems for indicating slope and alignment and related devices, systems, and methods
KR101318269B1 (ko) 기준점 및 수준점의 성과 비교를 통한 측량성과 업데이트용 관측시스템
CN113653107B (zh) 基于5g+信息化基坑监测方法及系统
EP1775549B1 (de) Neigungssteuerungsverfahren
KR101801692B1 (ko) 지형변화를 감지하여 기준점별 지피에스 좌표의 지표면 측지측량시스템
KR101303087B1 (ko) 고소작업차용 안전장치
KR102078929B1 (ko) 지표면 경사 감지장치 및 감지시스템
CN205640122U (zh) 一种水准仪支架结构
KR100267030B1 (ko) 건물 및 교량의 기울기 판단장치
CN107462216B (zh) 一种深基坑变形倾斜监测报警装置
CN202630951U (zh) 测倾设备
CN117367342B (zh) 一种滑坡位移监测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