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5210B1 - 측지측량 삼각대의 수평을 정밀하게 조절하여 고정할수 있는 측지측량장치 - Google Patents

측지측량 삼각대의 수평을 정밀하게 조절하여 고정할수 있는 측지측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5210B1
KR102635210B1 KR1020230099336A KR20230099336A KR102635210B1 KR 102635210 B1 KR102635210 B1 KR 102635210B1 KR 1020230099336 A KR1020230099336 A KR 1020230099336A KR 20230099336 A KR20230099336 A KR 20230099336A KR 102635210 B1 KR102635210 B1 KR 1026352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coupled
horizontal
semicircular
b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993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선
Original Assignee
(주)신일지형정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일지형정보 filed Critical (주)신일지형정보
Priority to KR10202300993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52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52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52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4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Abstract

본 발명은 측지측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삼각대본체, 수평조절레그부, 제어부, 제1조작스위치, 제2조작스위치, 제1수직지지대와 제2수직지지대, 흡수연결유닛, 수평지지대, 탈착체결부, 반원바디부 및 측량장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삼각대의 상판이 1차의 대략적인 수평 조절을 거쳐 2차의 정확한 수평 조절이 이루어진 후 최종적으로 수평 상태의 안정적인 유지가 이루어질 수 있는 측지측량 삼각대의 수평을 정밀하게 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는 측지측량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측지측량 삼각대의 수평을 정밀하게 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는 측지측량장치{GEODETIC SURVEYING DEVICE FOR PRECISELY ADJUSTING LEVEL OF TRIPOD}
본 발명은 측지측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측지측량 삼각대의 수평을 정밀하게 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는 측지측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국가 등 공공기관에서 발주하는 공공측량, 지하시설물 측량 등을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측지측량이 이루어져야 한다. 측지측량이란 수평거리와 고저차 및 방향을 측정하여 각 측정점들 상호간의 위치를 결정하여 이를 도면이나 수치로 표시하고, 현장에서 측설하는 제반 활동을 말하는 것이다.
측지측량에 있어서는 레벨기, VRS(가상기준점), RTK(Real-Time Kinematic), 토탈스테이션 등의 측량장비 (또는 측정기기)를 사용하며, 이들 정밀측량기기들은 지면에서 일정 높이에 위치하도록 하기 위하여 삼각대에 탑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측지측량용 삼각대에 요구되는 조건은 지면에 견고하게 삽입되어 바람이나 외부 충격에 의하여 쉽게 넘어지지 않고 측량장비를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과 측량장비가 높이 및 방향을 조절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종래의 측지측량용 삼각대는 3개의 다리와 다리들의 상단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상단지지대 및 상단지지대의 상부에 결합되어 측량장비가 장착되는 측량장비 마운트 등의 구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다리들은 상부다리와 하부다리를 구비하여 길이조절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부다리의 상단이 상단지지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다리를 벌렸다 오므렸다 할 수 있게 구성된다.
즉, 측지측량용 삼각대를 이용하여 측지측량을 함에 있어서는 지면의 굴곡에 따라 3개의 다리의 길이를 각각 조절함으로써 상단지지대의 수평을 대략적으로 조절한 다음, 상단지지대에 장착된 측량장비 자체의 수평조절 기능에 의하여 최종적인 수평을 조절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 측지측량용 삼각대는 산악 지형과 같이 굴곡이 심한 거친 지면 또는 경사진 지형에서의 수준측량 시 토탈스테이션 등의 측량장비 및 삼각대를 수평으로 유지시키는데 어려움이 따르고, 이는 측량 결과의 정확도가 저하되는 현상으로도 이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위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해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삼각대의 상판이 1차의 대략적인 수평 조절을 거쳐 2차의 정확한 수평 조절이 이루어진 후 최종적으로 수평 상태의 안정적인 유지가 이루어질 수 있는 측지측량 삼각대의 수평을 정밀하게 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는 측지측량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탈착형의 수평조절레그부를 구비함에 따라, 측지측량 작업이 진행되는 지면의 기울기 크기 내지 변화에 따라 수평조절레그부의 사용 여부를 결정하면서 측지측량 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측지측량 삼각대의 수평을 정밀하게 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는 측지측량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본 발명의 기재로부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하면에 제1나선홈이 형성되는 상판 및 상판의 하면에 사선 방향으로 결합되는 다수의 고정레그부를 구비하는 삼각대본체; 상기 제1나선홈에 나사 결합되는 구동부몸체, 구동부몸체의 하면에 결합되는 세 개의 수평조절레그, 구동부몸체의 내측에 설치되며 수평조절레그에 작동 동력을 제공하는 세 개의 레그구동부, 구동부몸체의 외부에 설치되는 세 개의 에어컴프레샤, 수평조절레그의 하단에 결합되며 에어공급구가 각각 형성되는 세 개의 에어튜브, 및 에어컴프레샤와 에어튜브들을 일대일로 매칭시키며 하나의 에어컴프레샤에 길이 방향의 일단이 연결되고 하나의 에어튜브의 에어공급구에 길이 방향의 타단이 연결되어 에어컴프레샤의 작동 시 에어튜브에 에어를 주입하는 세 개의 에어호스를 구비하는 수평조절레그부; 상기 구동부몸체에 내장되며, 가상의 수평선과 상판의 하면이 이루는 각도를 기준으로 수평조절레그들의 길이가 개별 조절되기 위한 기울기 조정 등급이 사전에 설정되고, 외부로부터 제1 제어신호가 입력 시 상판에 설치된 자이로센서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에 따라 기울기 조정 등급들 중 선택되는 기울기 조정 등급에 맞춰 수평조절레그들 각각의 길이가 조절되는 1차 수평 조절 모드를 진행시키고, 외부로부터 제2 제어신호가 입력 시 자이로센서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기반으로 에어컴프레샤들을 개별 작동시켜 에어튜브들 각각의 팽창 정도를 조정하여 수평조절레그부를 통해 상판이 수평 상태로 지지되는 2차 수평 조절 모드를 진행시키는 제어부; 상기 상판에 설치되며, 제어부에 제1 제어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제1조작스위치; 상기 상판에 설치되며, 제어부에 제2 제어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제2조작스위치; 상기 상판의 상부에 직립 설치되는 제1수직지지대와 제2수직지지대; 상기 제1수직지지대와 제2수직지지대를 연결하면서 제1수직지지대와 제2수직지지대로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시키는 흡수연결유닛; 상기 제1수직지지대와 제2수직지지대의 상단에 수평으로 결합되는 수평지지대; 상기 수평지지대의 하부에 장착되는 탈착체결부; 상기 탈착체결부의 하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반원바디부; 및 상기 반원바디부의 하부에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측량장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흡수연결유닛은, 상기 제1수직지지대와 제2수직지지대의 사이에 배치되는 수평연결대; 상기 수평연결대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흡수연결케이스; 상기 흡수연결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며, 제1수직지지대 또는 제2수직지지대가 관통하는 홀(hole)을 구비하고, 수평연결대가 탈착 결합하는 홈을 구비하는 체결커넥터; 상기 수평연결대가 탈착 결합하는 체결커넥터의 반대 측과 흡수연결케이스 사이에 배치되는 스프링지지대; 상기 흡수연결케이스의 내부로 진입하는 제1수직지지대 또는 제2수직지지대와, 수평연결대 및 스프링지지대의 일영역에 각각 끼워지는 4개의 탄성고리; 상기 4개의 탄성고리(430)와 연결로드를 통해 각각 결합되는 커넥터볼; 상기 커넥터볼과 지지로드를 통해 결합되며, 흡수연결케이스의 내면 각 모서리 측에 형성되는 충격흡수부;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탈착체결부는, 수평지지대의 하부에 결합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ㄷ자 단면을 갖는 상부탈착케이스; 상기 상부탈착케이스의 수용공간에 삽입 체결되며, 역 ㄷ자 단면을 갖는 하부탈착케이스; 상기 상부탈착케이스의 수용공간을 기준으로 그 상부면과 하부면에 각각 대향되도록 형성되며 그 단면이 반원형상을 갖는 제1압착부와 제2압착부; 상기 하부탈착케이스의 상부 영역에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1탄성헤드와 제2탄성헤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반원바디부는, 탈착체결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반원연결대; 반원연결대의 하단에 결합되며 측량장비가 반원 경로로 이동되게 설치되는 반원본체; 반원본체의 하부에 형성되는 이동가이드홈; 및 이동가이드홈의 내부에 마련되어 측량장비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한 쌍의 이동가이드부;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측량장치는, 반원본체에 반원 방향으로 이동되게 마련되는 측량지지볼; 측량지지볼에 마련되어 측량지지볼과 같이 이동되는 측량지지대; 및 측량지지대의 단부에 결합되는 측량부;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이동가이드부는, 측량지지볼에 접하게 이동가이드홈에 마련되는 볼지지바디; 이동가이드홈의 가장자리에 마련되는 홈지지바디; 볼지지바디와 홈지지바디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이동가이드홈에 마련되는 중심지지부; 일측부는 볼지지바디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중심지지부에 결합되는 제1이동스프링; 및 일측부는 홈지지바디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중심지지부에 결합되는 제2이동스프링; 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중심지지부는, 이동가이드홈의 중간 높이에 배치되는 중심지지볼; 일단부가 중심지지볼에 연결되어 중심지지볼을 지지하는 복수의 중심연결다리; 및 복수의 중심연결다리의 타단부에 마련되어기 이동가이드홈의 내벽에 지지되는 복수의 중심가이드볼; 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순차적인 2차의 스위치 조작을 통해 삼각대의 상판이 1차의 대략적인 수평 조절을 거쳐 2차의 정확한 수평 조절이 이루어진 후 최종적으로 수평 상태의 안정적인 유지가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자가 스위치들에 대한 순차적인 온(ON) 조작을 수반하는 용이한 작업을 통해 삼각대의 상판을 수평 상태로 유지시킨 후 측지측량 작업을 진행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판에 대한 탈착형의 수평조절레그부를 구비함에 따라, 작업자는 측지측량 작업이 진행되는 지면의 기울기 크기 내지 변화에 따라 수평조절레그부의 사용 여부를 결정하면서 측지측량 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측지측량 작업이 보다 효율적인 동시에 용이하게 진행되면서 작업자의 작업 용이성 향상 및 그에 따른 측정값의 정확도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지측량 삼각대의 수평을 정밀하게 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는 측지측량장치의 각 부품이 분해된 모습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삼각대본체와 수평조절레그부가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전기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흡수연결유닛의 단면도.
도 5는 도 4의 B부분의 확대도.
도 6a 내지 도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착체결부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원바디부와 측량장비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가이드홈의 내부에 장착되는 이동가이드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지측량 삼각대의 수평을 정밀하게 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는 측지측량장치의 각 부품이 분해된 모습을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삼각대본체와 수평조절레그부가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전기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측지측량장치는 삼각대본체(100), 수평조절레그부(200), 제어부(270), 제1조작스위치(272), 제2조작스위치(273), 제1수직지지대(600), 제2수직지지대(610), 흡수연결유닛(400), 수평지지대(620), 탈착체결부(300), 반원바디부(500) 및 측량장비(700)를 포함한다.
상기 삼각대본체(100)는 측지측량을 위한 측량장비(700)가 상면에 설치되며 하면에 제1나선홈(120)이 형성되는 상판(110) 및 상판(110)의 하면에 사선 방향으로 결합되는 다수의 고정레그부(130)를 구비한다.
고정레그부(130)는 고정레그(131) 및 승하강레그(1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고정레그(131)는 상판(110)에 구동부몸체(210)가 나사 결합된 상태를 기준으로 상판(110)의 하면에 구동부몸체(210)의 바깥쪽에서 삼각형의 배치 형태로 형성되는 세 개의 구성이다. 여기서, 고정레그(131)들은 상판(110)으로부터 바깥쪽으로의 사선 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고정레그(131)들 각각은 내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제2나선홈(131a)이 형성된다.
승하강레그(132)는 고정레그(131)별 설치되는 세 개의 구성이며, 이러한 승하강레그(132)들 각각은 해당 고정레그(131)의 제2나선홈(131a)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산(132a)이 외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해당 고정레그(131)에 나사 결합 방식으로 결합된다. 이에 따라 하나의 고정레그(131) 및 승하강레그(132)를 기준으로, 고정레그(131)에 대한 승하강레그(132)의 나사 결합된 길이에 따라 전체 길이의 조절이 이루어진다.
상기 수평조절레그부(200)는, 제1나선홈(120)에 나사 결합되는 구동부몸체(210), 구동부몸체의 하면에 결합되는 세 개의 수평조절레그(220), 구동부몸체의 내측에 설치되며 수평조절레그에 작동 동력을 제공하는 세 개의 레그구동부(230), 구동부몸체의 외부에 설치되는 세 개의 에어컴프레샤(240), 수평조절레그의 하단에 결합되며 에어공급구(251)가 각각 형성되는 세 개의 에어튜브(250), 및 에어컴프레샤와 에어튜브들을 일대일로 매칭시키며 하나의 에어컴프레샤에 길이 방향의 일단이 연결되고 하나의 에어튜브의 에어공급구에 길이 방향의 타단이 연결되어 에어컴프레샤의 작동 시 에어튜브에 에어를 주입하는 세 개의 에어호스(260)를 구비한다.
구동부몸체(210)는 상판(110)의 제1나선홈(120)에 나사 결합되는 나선봉(211)이 상면의 중앙에 형성되고, 하면의 세 위치에 레그결합홀(212)이 삼각형의 배치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구동부몸체(210)는 레그결합홀(212)별로 해당 레그결합홀(212)의 주변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하향 연장되는 레그결합관(213)이 형성된다.
수평조절레그(220)는 구동부몸체의 레그결합홀(212)별로 레그결합관(213)에 삽입 설치되는 세 개의 구성이다. 이러한 수평조절레그(220)는 해당 레그결합홀(212)의 레그결합관(213)에 길이 방향의 일단이 삽입되어 결합되며, 텔레스코픽 방식의 작동을 통해 전체 길이가 조절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레그구동부(230)는 구동부몸체(210)의 내측에 수평조절레그(220)들과 개별 대응되게 설치되는 세 개의 구성이며, 이러한 레그구동부 각각은 대응된 수평조절레그(220)에 텔레스코픽 방식의 작동 동력을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텔레스코픽 방식의 작동을 하기 위한 수평조절레그(220)의 구성 및 이를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작동시키는 레그구동부(230)의 구성은 관련 기술분야의 공지된 기술들을 통해 여러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바, 본 실시 예에서에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는 동시에 레그구동부(230)를 간략하게 박스 형태로 도시하였음을 밝혀 둔다.
다음은 에어컴프레샤(240), 에어튜브(250), 에어호스(260), 자이로센서(271), 제어부(270), 제1조작스위치(272) 및 제2조작스위치(273), 제1근거리무선통신모듈(274) 및 제2근거리무선통신모듈(275)에 대해 설명한다.
에어컴프레샤(240)는 세 개의 구성이며, 이러한 에어컴프레샤(240)들은 구동부몸체(210)의 외부에 설치된다.
에어튜브(250)는 세 개의 구성으로써, 각각의 에어튜브(250)는 수평조절레그(220)별로 해당 수평조절레그(220)의 하단에 결합되고, 에어공급구(251)가 형성된다.
에어호스(260)는 에어컴프레샤(240)들 및 에어튜브(250)들을 일대일로 매칭시키는 세 개의 구성이며, 각각의 에어호스(260)는 해당 에어컴프레샤(240)에 길이 방향의 일단이 연결되고 해당 에어튜브(250)의 에어공급구(251)에 길이 방향의 타단이 연결되어 해당 에어컴프레샤(240)의 작동 시 해당 에어튜브(250)에 에어를 주입하는 기능을 한다.
자이로센서(271)는 삼각대본체(100)의 상판(110)에 설치된다.
제어부(270)는 구동부몸체(210)에 내장되며, 이러한 제어부(270)는 가상의 수평선과 상판(110)의 하면이 이루는 각도를 기준으로 수평조절레그(220)들의 길이가 개별 조절되기 위한 1∼10 레벨의 기울기 조정 등급이 사전에 설정된다. 그리고 제어부(270)는 외부로부터 제1 제어신호가 입력 시 자이로센서(271)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기울기 조정 등급들 중 선택되는 기울기 조정 등급에 맞춰 수평조절레그(220)들 각각의 길이가 조절되는 1차 수평 조절 모드를 진행시킨다. 또한, 제어부(270)는 외부로부터 제2 제어신호가 입력 시 자이로센서(271)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기반으로 에어컴프레샤(240)들을 개별 작동시켜 에어튜브(250)들 각각의 팽창 정도를 조정하여 수평조절레그부(200)를 통해 상판(110)이 수평 상태로 지지되는 2차 수평 조절 모드를 진행시킨다.
제1조작스위치(272)는 삼각대본체(100)의 상판(110)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온(ON) 조작에 따라 제어부(270)에 상기 제1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기능을 한다.
제2조작스위치(273)는 삼각대본체(100)의 상판(110)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온(ON) 조작에 따라 제어부(270)에 상기 제2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기능을 한다.
제1근거리무선통신모듈(274)은 삼각대본체(100)의 상판(110)에 설치되며, 이러한 제1근거리무선통신모듈(274)은 제1조작스위치(272)의 온(ON) 조작을 통한 상기 제1 제어신호 그리고 제2조작스위치(273)의 온(ON) 조작을 통한 제2 제어신호를 외부의 수신 대상, 다시 말해 이어서 설명되는 제2근거리무선통신모듈(275)에 전송하는 기능을 한다.
제2근거리무선통신모듈(275)은 수평조절레그부(200)의 구동부몸체(210)에 설치되며, 이러한 제2근거리무선통신모듈(275)은 제1근거리무선통신모듈(274)을 통해 전송되는 상기 제1 제어신호 및 제2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270)에 전송하는 기능을 한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서, 제1조작스위치(272) 및 제2조작스위치(273)의 순차적인 조작 및 그에 따른 수평조절레그부(200)의 1차의 대략적인 수평 조절 및 2차의 정확한 수평 조절을 통해 삼각대본체(100)의 상판(110)이 수평 상태로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부연 설명하면, 작업자는 삼각대본체(100)의 상판(110)을 눈대중으로 대충의 수평 상태로 지지한 후 제1조작스위치(272) 및 제2조작스위치(273)의 순차적인 조작을 통해 삼각대본체(100)의 상판(110)을 수평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이 삼각대본체(100)의 상판(110)이 수평으로 유지된 상태에서, 작업자는 현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고정레그부(130)들 각각의 길이를 조절하여 상판(110)의 수평 상태를 안정적으로 지지시키는 것이다.
또한, 삼각대본체(100)의 상판(110) 및 수평조절레그부(200) 간 결합이 나사 결합 방식의 탈착형 구조인 동시에 상판(110)의 제1 및 제2조작스위치(710,720) 그리고 제어부(270) 간의 신호 입력 구조가 제1 및 제2근거리무선통신모듈(800,900)을 통해 이루어짐에 따라, 작업이 진행되는 지면의 기울기 크기 내지 변화가 크지 않거나 많지 않은 경우, 상판(110) 및 고정레그부(130) 만으로 상판을 어느 정도 수평 상태로 유지시키면서 측지측량 작업을 진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흡수연결유닛(400), 탈착체결부(300), 반원바디부(500)의 구체적인 구성은 아래에서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흡수연결유닛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B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상판(110)의 상부에는 제1수직지지대(600)와 제2수직지지대(610)가 직립 설치되고, 제1수직지지대(600)와 제2수직지지대(610)의 사이는 흡수연결유닛(400)으로 연결되어 제1수직지지대(600)와 제2수직지지대(610)로 전달되는 충격이 완충되며, 제1수직지지대(600)와 제2수직지지대(610)의 상단에는 수평지지대(620)가 수평으로 결합되고, 수평지지대(620)의 하부에는 탈착체결부(300)가 장착되며, 탈착체결부(300)의 하부에는 반원바디부(500)가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반원바디부(500)의 하부에는 측량장비(700)가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제1수직지지대(600)와 제2수직지지대(610) 또는 수평지지대(620)는, 2.2 ~ 4.4 중량%의 니켈(Ni), 0.4 ~ 2.3 중량%의 망간(Mn), 2.1 ~ 7.9 중량%의 구리(Cu), 0.5 ~ 2.7 중량%의 텅스텐(W), 0.4 ~ 2.6 중량%의 철(Fe), 0.5 ~0.9 중량%의 크롬(Cr), 6.8 ~ 7.2 중량%의 아연(Zn), 7.1 ~ 8.8 중량%의 규소(Si), 1.8 ~ 1.9 중량%의 마그네슘(Mg) 및 잔부의 알루미늄(Al)을 포함하는 것을 고강도 알루미늄 합금으로 형성될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발명의 필요에 따라 흡수연결유닛(400)의 수평연결대(401)도 위와 같은 고강도 알루미늄 합금으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고강도 알루미늄 합금으로 제1수직지지대(600)와 제2수직지지대(610) 또는 수평지지대(620)를 형성하면, 그 압축강도는 590MPa ~ 640MPa의 값을 가지며, 연신율은 12.3% ~ 16.9%의 값을 갖게 되며, 강성, 내구성. 피로강도 등에서 우수한 기계적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흡수연결유닛(400)은 제1수직지지대(600)와 제2수직지지대(610)로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시킴과 동시에 제1수직지지대(600)와 제2수직지지대(610)를 연결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흡수연결유닛(400)은 자체적으로 삼각대 본체(100) 내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등 충격을 흡수하여 완화함과 동시에 측정장비(700)의 정밀한 측정을 가능하도록 조력한다.
상기 흡수연결유닛(400)은, 제1수직지지대(600)와 제2수직지지대(610)의 사이에 배치되는 수평연결대(401), 수평연결대(401)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흡수연결케이스(480)를 포함한다.
상기 흡수연결케이스(480)는 그 내부에 제1수직지지대(600) 또는 제2수직지지대(610)가 관통하는 홀(hole)을 구비하고, 수평연결대(401)가 탈착 결합하는 홈을 구비하는 체결커넥터(410)를 구비한다. 상기 체결커넥터(410)와 수평연결대(401)는 암나사와 수나사를 각각 구비하여 체결하는 것도 가능하고, 발명의 필요에 따라 수평연결대(410)의 끝단에 체결고리(미도시)를 형성하여 체결커넥터(410)의 홈 턱에 걸리도록 체결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수평연결대(401)가 탈착 결합하는 체결커넥터(410)의 반대 측과 흡수연결케이스(480) 사이에는 스프링지지대(420)가 구비되어 수평연결대(401) 양측의 충격을 흡수하고 지지한다.
흡수연결케이스(480) 내로 진입한 제1수직지지대(600) 또는 제2수직지지대(610)와, 수평연결대(401) 및 스프링지지대(420)는 그 일영역에 탄성고리(430)가 끼워지며, 4개의 탄성고리(430)는 연결로드(440)를 통해 커넥터볼(450)과 결합하게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커넥터볼(450)는 지지로드(460)를 통해 흡수연결케이스(480)의 각 모서리 측에 형성되는 충격흡수부(470)에 결합되게 된다. 상기 충격흡수부(470)는 그 단면이 반원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충격흡수부(470)는 그 내부에 끝단이 절단된 형태의 반원뿔 형상으로 형성되는 탄성바디(490)를 구비할 수 있고, 상기 커넥터볼(450)로부터 연장되는 지지로드(460)는 탄성바디(490)에 안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로드(460)의 끝단은 다수의 탄성바퀴(461)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탄성바디(490)에는 탄성바퀴(461)의 이동을 제한하는 바퀴스토퍼(491)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삼각대 본체(100) 내외부에서 충격 또는 외력이 전달될 때, 지지로드(460) 및 탄성바퀴(461)가 탄성바디(490) 상에서 움직이거나 뒤틀리며 이동함으로써 외력/충격을 완화하게 되며, 다만, 흡수연결케이스(480) 내부 부품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탄성바디(490)의 양단 상면에 구비된 바퀴스토퍼(491)까지만 이동할 수 있도록 제한할 수 있다. 상기 바퀴스토퍼(491)는 바퀴스토퍼(491)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탄성바퀴(461)의 이동제한거리를 고려하여 탄성바디(490)의 상면에서 위치를 조정하여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제1수직지지대(600)와 제2수직지지대(610) 사이에 수평연결대(401)를 포함한 흡수연결유닛(400)을 구비함으로써, 삼각대 본체 내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충격, 풍력을 완화하고 삼각대 본체(100) 상부에 강성을 부여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은 제1수직지지대(600)와 제2수직지지대(610) 사이에서 한 쌍의 체결커넥터(410)를 통해 수평연결대(401)를 배치하여, 제1수직지지대(600), 제2수직지지대(610) 및 수평연결대(401) 간의 일체성을 부여하여 충격을 분산하게 된다.
또한, 흡수연결케이스(480) 내부에 배치되는 스프링지지대(420)로 인해 수평방향의 충격을 완화하고, 4개의 탄성고리(430)와, 8개의 연결로드(440), 4개의 커넥터볼(450), 4개의 지지로드(460) 및 4개의 충격흡수부(470)의 구비로 인해 어떠한 방향으로부터 충격 및 외력이 전달되더라도 이를 완화시키는데 최적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탄성고리(430), 탄성바디(490) 또는 탄성바퀴(461)는, 에틸렌프로필렌다이엔고무(EPDM) 100 중량부에 대하여, 카본블랙 34 내지 58 중량부, 디펜타메틸렌티우람테트라설파이드 및 N-옥시디에틸렌 술펜아미드가 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되는 가교촉진제 2 내지 6 중량부, 트리메틸 퀴놀린 4 내지 9 중량부, 산화주석 2 내지 7 중량부 및 황 0.4 내지 1 중량부를 포함하는 탄성체 조성물로 형성될 수 있다.
위와 같은 탄성체 조성물로 탄성고리(430), 탄성바디(490) 또는 탄성바퀴(461)를 형성하면, 인장강도 230 ~ 240 kgf/cm2, KSM 6518에 따른 진동절연성은 1.9~2.6의 범위 내에서 기계적 물성 및 내구성 향상과 더불어 진동소음 성능향상 등의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착체결부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탈착체결부(300)는 수평지지대(620)의 하부에 장착되며, 탈착체결부(300)의 하부에는 반원바디부(500)가 결합된다. 탈착체결부(300)는 반원바디부(500)와 측량장비(700)를 용이하게 탈부착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탈착체결부(300)는 반원바디부(500)와 측량장비(700)를 용이하게 탈부착시면서도 체결의 견고함을 유지시킬 수 있으므로, 측량장비(700)의 정밀한 측정 및 관련 데이터 획득이 가능하고 또한, 측량 중이 아니라면, 측량장비(700)의 별도 보관 및 관리가 용이해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탈착체결부(300)는, 수평지지대(620)의 하부에 결합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상부탈착케이스(310)와, 상기 상부탈착케이스(310)의 수용공간에 삽입 체결될 수 있는 하부탈착케이스(3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탈착케이스(310)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ㄷ'자 형태의 단면을 가질수 있며, 수용공간을 기준으로 상부면 및 하부면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상기 하부탈착케이스(320)는 상부탈착케이스(310)의 수용공간에 삽입, 체결될 수 있으며, 하부탈착케이스(320)의 하부에는 반원바디부(500)가 결합된다. 상기 하부탈착케이스(320)는 '역 ㄷ'자 형태의 단면을 가질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부탈착케이스(310)의 형상에 따라 삽입, 체결이 용이하도록 변형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상부탈착케이스(310) 및 하부탈착케이스(320)의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상하 내부면은, 발명의 필요에 따라 탄소를 함유하는 금속 나노 입자들인 은, 구리, 니켈 또는 알루미늄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합금 또는 혼합물 3 내지 17 중량부, 폴리에틸렌 글리콜 알킬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라노린알콜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계면활성제 0.2 내지 7중량부, 폴리비닐피롤리돈, 소듐시트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분산제 0.2 내지 6중량부 및 잔부는 윤활유인 코팅제 조성물로 코팅될 수 있다.
위와 같은 윤활 코팅제 조성물로 상부탈착케이스(310) 및 하부탈착케이스(320)의 내부면을 코팅하면, 하부탈착케이스(320)의 제1탄성헤드(321)와 제2탄성헤드(322)가 삽입, 체결, 이탈을 반복하더라도 금속 나노 입자의 금속상 이용 효율을 향상되고, 이를 통해 접동 부위 표면의 윤활성 및 내마모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마찰부의 손상 부위를 회복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상부탈착케이스(310)의 상부면과 하부면에는 제1압착부(313)와 제2압착부(314)가 대향되도록 형성된다. 이는 하부탈착케이스(320)가 상부탈착케이스(310)에 삽입, 체결할 시 하부탈착케이스의 제1탄성헤드(321)와 제2탄성헤드(322)를 압착하여 고정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1압착부(313)와 제2압착부(314)는 그 단면이 반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하고, 다양한 도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부탈착케이스(310)의 상부면에는 제1탈착스토퍼(311)가 형성되고, 상부탈착케이스(310)의 하부면에는 제2탈착스토퍼(312)가 형성된다. 이는 하부탈착케이스의 탄성헤드(321, 322)가 상부탈착케이스(310)에 체결된 후, 차량의 진동, 충격이 발생하더라도 용이하게 빠져나오도록 하지 못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1탈착스토퍼(311)와 제2탈착스토퍼(312)는 대향되도록 형성되지는 아니하고, 하부탈착케이스(320)의 측면 두께(d)만큼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탈착케이스(320)도, 상부탈착케이스(310)의 하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수용공간을 구비하며, 하부탈착케이스(320)의 상부에는 제1탄성헤드(321)와 제2탄성헤드(322)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탄성헤드(321)와 제2탄성헤드(322)는 탄성복원력이 우수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부탈착케이스(310)의 수용공간으로 삽입되어 제1압착부(313) 또는 제2압착부(314)에 압착되도록 그 직경을 고려하여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탄성헤드(321) 및 제2탄성헤드(322)는, 제1탈착스토퍼(311)와 제2탈착스토퍼(312)를 지나면서 수평으로 찌그러져서 삽입되고, 제1탄성헤드(321)는 제2압착부(314)를 지나 제1압착부(313)에 의해 압착되도록 작업자가 힘을 가하게 되면, 자연스럽게 제2탄성헤드(322)는 제2압착부(314)에 의해 압착되면서, 상부탈착케이스(310) 및 하부탈착케이스(320)의 삽입, 체결이 완료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탄성헤드(321) 및 제2탄성헤드(322)는, 발명의 필요에 따라 에틸렌프로필렌다이엔고무(EPDM) 100 중량부에 대하여, 카본블랙 34 내지 58 중량부, 디펜타메틸렌티우람테트라설파이드 및 N-옥시디에틸렌 술펜아미드가 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되는 가교촉진제 2 내지 6 중량부, 트리메틸 퀴놀린 4 내지 9 중량부, 산화주석 2 내지 7 중량부 및 황 0.4 내지 1 중량부를 포함하는 탄성체 조성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고탄성 고무 조성물 외에도 탄성복원력이 좋은 공지의 재료라면 이 또한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이와 같이 용이한 상부탈착케이스(310) 및 하부탈착케이스(320)의 삽입, 체결을 위해 제1탄성헤드(321)가 제2탄성헤드(322)에 비해 탄성복원력이 더 좋은 재료로 형성되거나 또는 제1탄성헤드의 직경이 제2탄성헤드의 직경보다 작도록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일 실시예로, 제1탄성헤드의 직경이 제2탄성헤드의 직경보다 작도록 형성하면, 제1압착부(313)의 반경이 제2압착부(314)의 반경보다 크도록 형성하면, 견고한 체결이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1수직지지대(600), 제2수직지지대(610), 수평지지대(620)와, 탈착체결부(300)의 각 구성요소 또는 흡수연결유닛(400)의 각 구성요소는,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각각 25-37 중량%의 부틸렌글리콜, 1.0-2.0 중량%의 트리페닐포스페이트, 1.0-4.0 중량%의 푸시톨(Fucitol), 1.0-2.0 중량%의 몰리브데이트, 60-72 중량%의 트리메틸렌글리콜을 포함하는 유체조성물로 코팅될 수 있다.
위와 같은 유체조성물로 제1수직지지대(600), 제2수직지지대(610), 수평지지대(620)와, 탈착체결부(300)의 각 구성요소 또는 흡수연결유닛(400)의 각 구성요소를 코팅하면, 기존의 충격 흡수 장치용 유체조성물에 대비하여 고무제 등 탄성체와 금속제에 미치는 영향이 적어 물리적인 충격으로 인한 크랙의 발생을 방지하고, 고무제 신율 변화감소 및 금속제에 대한 우수한 내식성을 나타내며, 노화 및 열화로 인한 고무제 및 각종 금속 합금의 내구성 저하 및 체적변화로 인한 제품변형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원바디부와 측량장비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가이드홈의 내부에 장착되는 이동가이드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반원바디부(500)는 측량장비(700)가 연직 방향을 유지하며 이동될 수 있도록 하고, 측량장비(700)가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반원바디부(500)는 탈착체결부(300)와 연결됨과 아울러 측량장비(700)의 결합 장소로 제공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반원바디부(500)는, 탈착체결부(300)의 하부에 결합되는 반원연결대(510), 반원연결대(510)의 하단에 결합되며 측량장비(700)가 반원 경로로 이동되게 설치되는 반원본체(520), 반원본체(520)의 하부에 형성되는 이동가이드홈(530) 및 이동가이드홈(530)의 내부에 마련되어 측량장비(70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한 쌍의 이동가이드부(540)를 포함한다.
상기 반원본체(520)의 하부에는 이동가이드홈(530)이 마련된다. 본 실시 예에서 측량장비(700)의 측량지지볼(710)은 이동가이드홈(530)에 배치되어 반원본체(520)의 경사에 대응되게 중력 중심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즉, 본 실시 예에서 측량지지볼(710)은 이동가이드홈(530)의 좌우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측량장비(700)는 반원본체(520)의 이동가이드홈(530)에 반원 방향으로 이동되게 마련되는 측량지지볼(710), 측량지지볼(710)에 마련되어 측량지지볼(710)과 같이 이동되는 측량지지대(720), 측량지지대(720)의 단부에 마련되는 측량부(730)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가이드부(540)는 반원본체(520)의 이동가이드홈(530)에 마련되어 측량장비(700)의 측량지지볼(710)이 원활하게 이동되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이동가이드부(540)는 측량지지볼(710)의 좌우 측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이동가이드부(540)는, 측량지지볼(710)에 접하게 이동가이드홈(530)에 마련되는 볼지지바디(541), 이동가이드홈(530)의 가장자리에 마련되는 홈지지바디(542), 볼지지바디(541)와 홈지지바디(542)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이동가이드홈(530)에 마련되는 중심지지부(550), 일측부는 볼지지바디(541)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중심지지부(550)에 결합되는 제1이동스프링(543), 일측부는 홈지지바디(542)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중심지지부(550)에 결합되는 제2이동스프링(544)을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도면의 (b)는 측량지지볼(710)이 좌측으로 이동된 것으로, 이 상태에서 좌측에 배치되는 제1이동스프링(543)은 수축되고, 우측에 배치되는 제1이동스프링(543)은 팽창될 수 있다.
상기 중심지지부(550)는, 이동가이드홈(530)의 중간 높이에 배치되는 중심지지볼(551), 일단부가 중심지지볼(551)에 연결되어 중심지지볼(551)을 지지하는 복수의 중심연결다리(552), 복수의 중심연결다리(552)의 타단부에 마련되어 이동가이드홈(530)의 내벽에 지지되는 복수의 중심가이드볼(553)을 포함한다.
상기 중심지지부(550)가 볼지지바디(541)와 홈지지바디(542)의 중간 위치에 배치됨으로써 제1이동스프링(543)과 제2이동스프링(544)의 처짐을 방지하여 측량장비(700)의 이동이 원할히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중심연결다리(552)는 4개가 마련될 수 있고, 각각의 중심연결다리(552)의 단부에는 중심가이드볼(553)이 마련되어 중심지지부(550)도 원할하게 이동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중심가이드볼(553)은 중심지지볼(551)의 직경의 1/6 내지 1/5 사이즈로 마련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0 : 삼각대본체 110 : 상판 120 : 제1나선홈
130 : 고정레그부 200 : 수평조절레그부 210 : 구동부몸체
220 : 수평조절레그 230 : 레그구동부 240 : 에어컴프레샤
250 : 에어튜브 260 : 에어호스 270 : 제어부
300 : 탈착체결부 310 : 상부탈착케이스 311 : 제1탈착스토퍼
312 : 제2탈착스토퍼 313: 제1압착부 314: 제2압착부
320 : 하부탈착케이스 321 : 제1탄성헤드 322: 제2탄성헤드
400 : 흡수연결유닛 401: 수평연결대 410: 체결커넥터
420: 스프링지지대 430: 탄성고리 440: 연결로드
450: 커넥터볼 460: 지지로드 461: 탄성바퀴
470: 충격흡수부 480: 흡수연결케이스 490: 탄성바디
491: 바퀴스토퍼 500 : 반원바디부
510 : 반원연결대 520 : 반원본체 530 : 이동가이드홈
540 : 이동가이드부 541 : 볼지지바디 542 : 홈지지바디
543 : 제1이동스프링 544 : 제2이동스프링 550 : 중심지지부
551 : 중심지지볼 552 : 중심연결다리 553 : 중심가이드볼
600 : 제1수직지지대 610 : 제2수직지지대 620 : 수평지지대
700 : 측량장비 710 : 측량지지볼 720 : 측량지지대
730 : 측량부

Claims (1)

  1. 하면에 제1나선홈이 형성되는 상판 및 상판의 하면에 사선 방향으로 결합되는 다수의 고정레그부를 구비하는 삼각대본체;
    상기 제1나선홈에 나사 결합되는 구동부몸체, 구동부몸체의 하면에 결합되는 세 개의 수평조절레그, 구동부몸체의 내측에 설치되며 수평조절레그에 작동 동력을 제공하는 세 개의 레그구동부, 구동부몸체의 외부에 설치되는 세 개의 에어컴프레샤, 수평조절레그의 하단에 결합되며 에어공급구가 각각 형성되는 세 개의 에어튜브 및 에어컴프레샤의 작동 시 에어튜브에 에어를 주입하는 세 개의 에어호스를 구비하는 수평조절레그부;
    상기 구동부몸체에 내장되며, 외부로부터 제1 제어신호가 입력 시 상판에 설치된 자이로센서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에 따라 미리 정해진 기울기 조정 등급들 중 선택되는 기울기 조정 등급에 맞춰 수평조절레그들 각각의 길이가 조절되는 1차 수평 조절 모드를 진행시키고, 외부로부터 제2 제어신호가 입력 시 자이로센서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기반으로 에어컴프레샤들을 개별 작동시켜 에어튜브들 각각의 팽창 정도를 조정하여 수평조절레그부를 통해 상판이 수평 상태로 지지되는 2차 수평 조절 모드를 진행시키는 제어부;
    상기 상판의 상부에 직립 설치되는 제1수직지지대와 제2수직지지대;
    상기 제1수직지지대와 제2수직지지대를 연결하면서 제1수직지지대와 제2수직지지대로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시키는 흡수연결유닛;
    상기 제1수직지지대와 제2수직지지대의 상단에 수평으로 결합되는 수평지지대;
    상기 수평지지대의 하부에 장착되는 탈착체결부;
    상기 탈착체결부의 하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반원바디부; 및
    상기 반원바디부의 하부에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측량장비;를 구비하되,
    상기 흡수연결유닛은,
    상기 제1수직지지대와 제2수직지지대의 사이에 배치되는 수평연결대; 상기 수평연결대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흡수연결케이스; 상기 흡수연결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며, 제1수직지지대 또는 제2수직지지대가 관통하는 홀(hole)을 구비하고, 수평연결대가 탈착 결합하는 홈을 구비하는 체결커넥터; 상기 수평연결대가 탈착 결합하는 체결커넥터의 반대 측과 흡수연결케이스 사이에 배치되는 스프링지지대; 상기 흡수연결케이스의 내부로 진입하는 제1수직지지대 또는 제2수직지지대와, 수평연결대 및 스프링지지대의 일영역에 각각 끼워지는 4개의 탄성고리; 상기 4개의 탄성고리(430)와 연결로드를 통해 각각 결합되는 커넥터볼; 상기 커넥터볼과 지지로드를 통해 결합되며, 흡수연결케이스의 내면 각 모서리 측에 형성되는 충격흡수부; 를 포함하고,
    상기 탈착체결부는,
    수평지지대의 하부에 결합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ㄷ자 단면을 갖는 상부탈착케이스; 상기 상부탈착케이스의 수용공간에 삽입 체결되며, 역 ㄷ자 단면을 갖는 하부탈착케이스; 상기 상부탈착케이스의 수용공간을 기준으로 그 상부면과 하부면에 각각 대향되도록 형성되며 그 단면이 반원형상을 갖는 제1압착부와 제2압착부; 상기 하부탈착케이스의 상부 영역에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1탄성헤드와 제2탄성헤드;를 포함하며,
    상기 반원바디부는,
    탈착체결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반원연결대; 반원연결대의 하단에 결합되며 측량장비가 반원 경로로 이동되게 설치되는 반원본체; 반원본체의 하부에 형성되는 이동가이드홈; 및 이동가이드홈의 내부에 마련되어 측량장비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한 쌍의 이동가이드부; 를 포함하며,
    상기 측량장비는,
    반원본체에 반원 방향으로 이동되게 마련되는 측량지지볼; 측량지지볼에 마련되어 측량지지볼과 같이 이동되는 측량지지대; 및 측량지지대의 단부에 결합되는 측량부; 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가이드부는,
    측량지지볼에 접하게 이동가이드홈에 마련되는 볼지지바디; 이동가이드홈의 가장자리에 마련되는 홈지지바디; 볼지지바디와 홈지지바디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이동가이드홈에 마련되는 중심지지부; 일측부는 볼지지바디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중심지지부에 결합되는 제1이동스프링; 및 일측부는 홈지지바디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중심지지부에 결합되는 제2이동스프링; 을 포함하며,
    상기 중심지지부는,
    이동가이드홈의 중간 높이에 배치되는 중심지지볼; 일단부가 중심지지볼에 연결되어 중심지지볼을 지지하는 복수의 중심연결다리; 및 복수의 중심연결다리의 타단부에 마련되어기 이동가이드홈의 내벽에 지지되는 복수의 중심가이드볼;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지측량 삼각대의 수평을 정밀하게 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는 측지측량장치.
KR1020230099336A 2023-07-31 2023-07-31 측지측량 삼각대의 수평을 정밀하게 조절하여 고정할수 있는 측지측량장치 KR1026352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9336A KR102635210B1 (ko) 2023-07-31 2023-07-31 측지측량 삼각대의 수평을 정밀하게 조절하여 고정할수 있는 측지측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9336A KR102635210B1 (ko) 2023-07-31 2023-07-31 측지측량 삼각대의 수평을 정밀하게 조절하여 고정할수 있는 측지측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5210B1 true KR102635210B1 (ko) 2024-02-08

Family

ID=89899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99336A KR102635210B1 (ko) 2023-07-31 2023-07-31 측지측량 삼각대의 수평을 정밀하게 조절하여 고정할수 있는 측지측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521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9233B1 (ko) * 2018-11-29 2019-02-18 네이버시스템(주) 측지측량용 표척의 수직 유지 및 충격 보호 장치
KR102056755B1 (ko) * 2019-07-05 2019-12-18 (주)스페이스 측지측량용 삼각대 수평 유지 장치
KR102310846B1 (ko) * 2021-07-14 2021-10-08 주식회사 그린블루 측지측량용 삼각대의 수평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측지측량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9233B1 (ko) * 2018-11-29 2019-02-18 네이버시스템(주) 측지측량용 표척의 수직 유지 및 충격 보호 장치
KR102056755B1 (ko) * 2019-07-05 2019-12-18 (주)스페이스 측지측량용 삼각대 수평 유지 장치
KR102310846B1 (ko) * 2021-07-14 2021-10-08 주식회사 그린블루 측지측량용 삼각대의 수평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측지측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050503B (zh) 具有伸缩柱的移动式x-射线设备
CN205088663U (zh) 土壤压实设备
KR102635210B1 (ko) 측지측량 삼각대의 수평을 정밀하게 조절하여 고정할수 있는 측지측량장치
KR102310846B1 (ko) 측지측량용 삼각대의 수평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측지측량장치
CN110067593B (zh) 隧道逃生管道
CN109457627A (zh) 一种轨道式铺设的桥梁施工用挂篮
CN209624052U (zh) 一种汽车传动轴检测装置
CN106122335B (zh) 一种带阻尼的限制力装置
CN105222972A (zh) 振动台体基座与地基之间的可移动连接结构
CN110480604A (zh) 一种具有三向导轨的三自由度并联机构
KR102635209B1 (ko) 측지측량용 표척을 수직으로 유지하고 충격을 보호하는측지측량장치
CN207878194U (zh) 一种无级调高轻轨支座
KR102597320B1 (ko) 측지측량용 삼각대의 고정장치
CN106197144A (zh) 一种空气炮多管群发可移动平台
CN110029861A (zh) 一种适用于山地的信号塔
CN209164756U (zh) 一种用于顶管机的纠偏支架
KR102635208B1 (ko) 수준 표척을 이용하여 지하시설물의 심도를 측정할수 있는 지하시설물 측량시스템
KR102597321B1 (ko) 지형 구조변화를 정밀하게 측량할 수 있는 측지측량시스템
CN110396922A (zh) 一种大跨度连续梁用具有隔震装置的支座
CN216748140U (zh) 路面下管线探测装置
CN108843248B (zh) 一种石油钻采安全缓冲系统
CN209323353U (zh) 一种公路桥梁抗震伸缩装置
CN220185678U (zh) 一种多级缓冲器
CN106903671A (zh) 一种具有弧形移动副的三自由度并联机构
CN215963502U (zh) 一种反应炉用支撑底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