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9213B1 - 수준측량을 통한 표고 확인 시스템 - Google Patents

수준측량을 통한 표고 확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9213B1
KR101349213B1 KR1020130082212A KR20130082212A KR101349213B1 KR 101349213 B1 KR101349213 B1 KR 101349213B1 KR 1020130082212 A KR1020130082212 A KR 1020130082212A KR 20130082212 A KR20130082212 A KR 20130082212A KR 101349213 B1 KR101349213 B1 KR 1013492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ion information
support plate
scale
elevation
d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2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용호
Original Assignee
(주)미도지리정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미도지리정보 filed Critical (주)미도지리정보
Priority to KR10201300822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92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92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92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G01C15/02Means for marking measuring points
    • G01C15/06Surveyors' staffs; Movable mark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02Rulers with scales or marks for direct read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5/00Measuring height; Measuring distances transverse to line of sight; Levelling between separated points; Surveyors' leve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 Measuring Device Byusing Mechanical Method (AREA)

Abstract

수준측량을 통한 표고 확인 시스템은 표척의 일측에 표척의 표면을 닦을 수 있는 먼지제거체를 구비하고 표척의 후면에 발광시트를 구비하여 발광함으로써 어두운 환경에서도 수준측량이 가능하고 표척의 표면을 자동으로 닦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표고 확인 시스템은 표척의 기울기를 감지하여 수평을 유지시키도록 조절하는 수평조절장치를 구비하여 지면의 상태에 따라 수평을 조절하여 표척을 정확히 세울 수 있어 정확한 표척의 눈금 확인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수준측량을 통한 표고 확인 시스템{System for Verifying Elevation by Leveling Survey}
본 발명은 수준측량을 통한 표고 확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표척의 표면을 자동으로 닦을 수 있고 표척을 발광시켜 어두운 환경에서도 수준측량이 가능하며 지면의 상태에 따라 수평을 유지하도록 조절하여 표척을 정확히 세울 수 있어 정확한 표척의 눈금 확인이 가능한 수준측량을 통한 표고 확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토목 설계나 건축 설계를 위해서는 측량이 먼저 이루어진다. 측량이란 수평 거리와 고저차 및 방향을 측정하여 점들의 상호 간의 위치를 결정하여 이를 도면이나 수치로 표현하고 현장에서 측설하는 제반 활동을 나타낸다.
이 중에서 수준측량은 표척(스타프)과 레벨기를 이용하여 두 지점 간의 높이차를 구하는 측량이다.
이러한 수준측량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먼저, 표척수가 표고를 알고 있는 지상 기준점에 표척을 세우고, 기계수는 일정 거리 떨어진 제1 관측점에서 레벨기로 표척의 눈금을 읽는다.
이후 표척수가 제1 지점으로 이동하여 표척을 세우고, 기계수가 제1 지점의 표척의 눈금을 읽는다.
여기서, 지상 기준점과 제1 지점에서 읽은 눈금의 차와 지상 기준점의 표고로부터 제1 지점의 표고가 구해진다.
다음으로 기계수는 제1 지점 뒤의 제2 관측점으로 이동한 후에 표척수가 표척을 제자리에서 방향 전환시켜 표척이 레벨기를 바라보도록 하면 기계수는 표척의 눈금을 읽는다.
이후 표척수가 제2 지점으로 이동하여 표척을 세우고 기계수가 제2 지점의 표척의 눈금을 읽는다.
여기서, 제2 관측점에서 읽은 제1 지점과 제2 지점의 눈금 차이로부터 제2 지점의 표고가 구해진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표척과 레벨기를 계속해서 이동시키고 각 지점에서 표척과 레벨기의 방향을 전환시켜 눈금을 읽어 목표 지점까지 각 지점의 표고를 구한다.
종래의 수준측량은 제자리에서 표척의 방향을 전환시켜 눈금을 읽어야 하므로 지면의 상태에 따라 여러가지 오차가 발생되며, 표척을 정확히 세우기 어려워 표척수가 표척을 잡고 있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의 수준측량은 어두운 주변이나 야간에 작업을 수행할 시 기계수가 표척의 눈금을 정확히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수준측량은 표척의 표면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묻어 눈금이 정확히 보이지 않는 경우, 기계수가 표척의 눈금을 확인하기 어렵기 때문에 표척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해야 한다.
표척수는 표척에 이물질이 묻어 있는 경우, 길이가 긴 표척을 닦아야 하는데 매번 표척을 잡고 닦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1227189호(등록일: 2013년 1월 22일), 발명의 명칭: "정밀 수준측량을 통한 표고 정보 확인시스템"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필요성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표척의 표면을 자동으로 닦을 수 있고 표척을 발광시켜 어두운 환경에서도 수준측량이 가능하며 지면의 상태에 따라 수평을 유지하도록 조절하여 표척을 정확히 세울 수 있어 정확한 표척의 눈금 확인이 가능한 수준측량을 통한 표고 확인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준측량을 통한 표고 확인 시스템은,
내부에 형성되는 수용공간(211)과, 상기 수용공간(211)의 하부에 배치되어 수용공간(211)과 연통되며 하방으로 개구되는 거리측정기설치홀(212)과, 상기 수용공간(211)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수용공간(211)과 연통되며 상방으로 개구되는 표척삽입홀(213)을 형성하고, 상기 표척삽입홀(213)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며 수직 방향으로 일정 길이로 세워지며 둘레면에 눈금이 표시되는 표척(300)과, 상기 표척설치기구(200)의 거리측정기설치홀(212)에 설치되어 상기 표척(300)의 저면으로부터 지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측정기(400)와, 상기 표척설치기구(200)에 설치되어 상기 거리측정기(400)의 거리값을 송출하는 송신기(410)를 포함한 바디부(210)와, 상기 바디부(210)의 하부에 수평조절장치(700)를 형성하고, 상기 수평조절장치(700)의 하부에 지지부(800)를 형성하는 표척설치기구(200);
상기 표척설치기구(200)에 설치된 상기 표척(300)의 눈금을 확인하고 확인된 눈금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장치(540)를 구비하고, 상기 입력장치(540)로부터의 눈금과 거리측정기(400)로부터의 거리값를 연산하여 지면으로부터 표척(300)의 눈금까지의 높이를 연산하는 레벨기(500);
상기 레벨기(500)를 이용하여 수집된 각각의 지점의 표고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610)와, 표고 정보를 송신하는 표고정보송신모듈(620)를 구비한 표고정보수집기(600)를 포함한 표고정보수집기(600); 및
다수의 지점에서 획득된 각각의 표고정보를 표고정보수집기(600)의 표고정보송신모듈(620)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모듈(910)과, 각각의 지점에 따른 표고정보를 저장하는 표고정보DB(920)와, 상기 표고정보DB(920)에 저장된 표고정보를 표시하는디스플레이모듈(930)를 포함한 표고정보수집장치(900)를 포함하며,
상기 표척(300)은 테두리를 감싸도록 표척통과홀(302)이 형성된 표척지지대(306)와, 상기 표척(300)과 상기 표척지지대(306)의 사이에 위치하고 파이프 형상을 이루는 천 재질의 먼지제거부(308)를 형성하고 랙기어(320)와 연결되도록 접속된 기어연결체(309)를 형성한 먼지제거체(310)를 구비하고, 상기 랙기어(320)는 바디부(210)의 수용공간(211)에 형성되고 상기 표척(300)의 하단 일측에 상기 먼지제거체(310)를 이용하여 상기 표척(300)과 연결되며 상기 랙기어(320)는 상기 수용공간(211)에 피니언기어(330)와 맞물려 있어 피니어기언(330)의 회전에 따라 상하 이동하고 상기 표척(300)의 길이와 대응되고 상기 먼지제거체(310)와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랙기어(320)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먼지제거체(310)도 함께 상기 표척(300)의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표척(300)의 표면의 이물질을 세척하며,
상기 표척(300)의 후면에는 발광시트(350)가 설치되어 빛을 발광하며, 상기 수평조절장치(700)는 평판 형태의 제1 지지판(712)과 상기 제1 지지판(712)으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된 제2 지지판(714)으로 이루어진 몸체(710)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710)의 내부에는 제1 지지판(712)의 하측에 형성되는 상부힌지부(722)와, 제2 지지판(714)의 상측에 형성되는 하부힌지부(724)와, 상부힌지부(722)와 하부힌지부(724)를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핀(726)으로 이루어진 상기 제1 지지판(712)이 수평 조절이 가능하게 하는 힌지수단(720)과, 상기 제1 지지판(712)의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지지판(712)의 기울기에 따라 좌우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균형추(734)와, 상기 균형추(734)의 좌우측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좌우측 근접센서(736, 738)로 이루어져 상기 제1 지지판(712)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감지수단(730)과, 상기 제2 지지판(714)의 상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감지수단(730)으로부터 전달받은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지지판(712)의 각도를 조절하여 수평으로 유지시키게 구동수단(740)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표척의 일측에 먼지제거체를 구비하고 랙기어와 피니언기어를 이용하여 먼지제거체를 표척의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켜 표척의 표면을 자동으로 닦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표척의 후면에 발광시트를 구비하여 발광함으로써 어두운 환경에서도 수준측량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표척설치기구에 수평조절장치를 구비하여 지면에 상태에 따라 수평을 조절하여 표척을 정확히 세울 수 있으므로 정확한 표척의 눈금 확인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준측량을 통한 표고 확인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척설치기구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척설치기구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척설치기구의 먼지제거체와 랙기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척설치기구의 랙기어의 이동에 따라 먼지제거체의 상하 이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척설치기구의 표척과 발광시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척설치기구의 수평조절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척설치기구와 레벨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종래의 수준측량을 통한 표고 확인 시스템은 표척의 표면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묻어 눈금이 정확히 보이지 않는 경우, 기계수가 표척의 눈금을 확인하기 어렵기 때문에 표척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해야 하며 지면에 따라 수평을 맞추지 못하는 경우, 표척의 눈금의 오류가 생겨 정확한 눈금 확인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하 본 발명은 표척의 일측에 표척의 표면을 닦을 수 있는 먼지제거체를 구비하고 표척의 기울기를 감지하여 수평을 유지시키도록 조절하는 수평조절장치를 이용하여 표척의 표면을 자동으로 닦을 수 있고 지면의 상태에 따라 수평을 조절하며 이로 인하여 표척을 정확히 세울 수 있으므로 정확한 표척의 눈금 확인이 가능한 수준측량을 통한 표고 확인 시스템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준측량을 통한 표고 확인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척설치기구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척설치기구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척설치기구의 먼지제거체와 랙기어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척설치기구의 랙기어의 이동에 따라 먼지제거체의 상하 이동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척설치기구의 표척과 발광시트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척설치기구의 수평조절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준측량을 통한 표고 확인 시스템은 표고측정장치(100)와, 표고측정장치(100)와 통신하는 표고정보수집장치(900)를 포함한다.
표고측정장치(100)는 표척설치기구(200), 표척(300), 거리측정기(400), 송신기(410), 레벨기(500) 및 표고정보수집기(600)를 포함한다.
표척설치기구(200)는 바디부(210)와, 바디부(210)의 하부에 수평조절장치(700)와, 수평조절장치(700)의 하부에 지지부(800)를 형성한다.
바디부(210)는 내부에 형성되는 수용공간(211)과, 수용공간(211)의 하부에 배치되어 수용공간(211)과 연통되며 하방으로 개구되는 거리측정기설치홀(212)과, 수용공간(211)의 상부에 배치되어 수용공간(211)과 연통되며 상방으로 개구되는 표척삽입홀(213)을 형성한다.
표척(300)은 표척설치기구(200)의 표척삽입홀(213)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며 둘레면에 눈금이 표시된다.
본 실시예에서 표척(300)은 수준 측량에 사용되는 통상의 것으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표척(300)은 표척(300)의 테두리를 감싸도록 표척통과홀(302)이 형성된 표척지지대(306)와, 표척(300)과 표척지지대(306)의 사이에 위치하고 파이프 형상 또는 덩어리 형상을 이루는 천 재질의 먼지제거부(308)를 형성하고 랙기어(320)와 연결되도록 접속된 기어연결체(309)를 형성한 먼지제거체(310)를 포함한다.
먼지제거체(310)는 기어연결체(309)를 통해 수직으로 세워진 길이 방향의 랙기어(320)와 연결된다.
랙기어(320)는 바디부(210)의 수용공간(211)에 형성되고 표척(300)의 하단 일측에 먼지제거체(310)를 이용하여 표척(300)과 연결되며 표척(300)의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노출된다.
랙기어(320)는 표척(300)의 길이와 대응되고 먼지제거체(310)와 일체로 결합되어 랙기어(320)의 상하 이동에 따라 먼지제거체(310)도 함께 표척(300)의 상하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 먼지제거체(310)는 표척(300)의 표면의 이물질을 세척하게 된다.
랙기어(320)는 표척(300)의 후단 하부에서 상부까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한다.
피니언기어(330)는 랙기어(320)와 서로 맞물려 있고 구동모터(340)가 구동되면 정역 회전하여 랙기어(320)를 상하 이동시킨다.
거치대(342)와 표척(300) 사이에는 발광시트(350)가 설치되어 있다.
발광시트(350)는 유연한 특성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투명필름(351)과, 폴리에스테르 투명필름(351)의 배면에 전면적으로 도포되며 빛의 투과성과 도전성이 우수한 전면전극층(352)과, 전면전극층(352)의 배면에 형성되며 전자발광을 유도하는 형광층(353)과, 형광층(353)의 배면에 도포되며 전기적 절연 및 빛을 반사하는 유전체층(354)과, 유전체층(354)의 배면에 적층된 배면전극층(355)과, 배면전극층(355)의 배면에 형성되어 습기와 자외선로부터 보호하는 보호층(356)과, 전면전극층(352)과 배면전극층(355)에 접속되도록 형성된 전극층(357)과, 전극층(357)에 접속된 소정 길이의 접속 케이블(358)로 이루어져 있다.
발광시트(350)는 전면에 빛을 투과시키기 위해서 투명재질의 표척(300)을 설치하고 후면에 지지되는 거치대(342)를 설치한다.
발광시트(350)는 전극층(357)과 접속 케이블(368)를 통해 전원부(440)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면, 표척(300)을 투과하여 빛이 발광되며 이에 따라 어두운 환경에서 표척(300)의 눈금을 읽을 수 있게 된다.
표척설치기구(200)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440)와, 발광시트(350)를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구동시키는 구동부(420)와, 전원부(440)에 의해 발광시트(350)에 전원을 공급하고 구동부(420)에 의해 발광시트(350)에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구동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430)를 포함한다.
제어부(430)는 구동부(420)와 전원부(440)를 제어하여 발광시트(350)를 발광하도록 제어하는데 시간을 두고 순차적으로 점멸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연속적으로 발광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투명한 재질의 표척(300)은 발광시트(350)의 발광이 투과되어 먼거리에서나 야간에 표척(300)의 눈금을 읽을 수 있게 된다.
표척설치기구(200)는 바디부(210)의 하부에 기울기에 따라 수평을 유지시키는 수평조절장치(700)를 형성한다.
수평조절장치(700)는 평판 형태의 제1 지지판(712)과 제1 지지판(712)으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된 제2 지지판(714)으로 이루어진 몸체(710)를 포함한다.
몸체(710)의 내부에는 제1 지지판(712)이 수평 조절이 가능하게 하는 힌지수단(720)이 설치된다.
힌지수단(720)은 제1 지지판(712)의 하측에 형성되는 상부힌지부(722)와, 제2 지지판(714)의 상측에 형성되는 하부힌지부(724)와, 상부힌지부(722)와 하부힌지부(724)를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핀(726)으로 이루어진다.
힌지수단(720)은 제1 지지판(712)이 좌측과 우측으로 일정 각도로 회동할 수 있도록 몸체(710)의 중앙부에 설치된다.
몸체(710)의 내부에는 제1 지지판(712)의 각도를 조절하여 수평을 유지시키는 감지수단(730)과 구동수단(740)이 설치된다.
감지수단(730)은 제1 지지판(712)의 하측에 형성되어 제1 지지판(712)의 기울기에 따라 좌우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균형추(734)와, 균형추(734)의 좌우측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좌우측 근접센서(736, 738)로 이루어진다.
몸체(710)의 내부에는 균형추(734)와 좌우측 근접센서(736, 738)를 설치하기 위한 박스(732)가 설치되며, 박스(732)의 내부의 상측면에는 균형추(734)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지지판(739)이 형성되어 있다.
좌우측 근접센서(736, 738)는 박스(732) 내부의 바닥면에 상호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고정 설치된다.
균형추(734)의 하단부는 좌우측 근접센서(736, 738)의 사이에 위치한다.
균형추(734)는 제1 지지판(712)의 기울기와 관계없이 항상 지상면과 수직을 이루게 된다.
감지수단(730)은 제1 지지판(712)의 기울기에 따라 균형추(734)가 좌우측 근접센서(736, 738)에 접근하는 거리를 검출하여 구동수단(740)에 제어 신호를 전달한다.
몸체(710)가 우측 방향으로 기울어지면 균형추(734)가 우측 근접센서(738)에 근접하게 되고, 몸체(710)가 좌측 방향으로 기울어지면 균형추(734)가 좌측 근접센서(736)에 근접하게 된다.
감지수단(730)은 좌우측 근접센서(736, 738)와 균형추(734) 사이의 접근 거리를 검출하여 제1 지지판(712)의 기울기를 파악하고 이러한 정보를 구동모터(742)에 전달하게 된다.
구동수단(700)은 제2 지지판(714)의 상측면에 설치되어 감지수단(730)으로부터 전달받은 제어 신호에 따라 제1 지지판(712)의 각도를 조절하여 수평으로 유지시키게 된다.
구동수단(700)은 제2 지지판(714)의 상측면에 설치되는 구동모터(742)와, 제1 지지판(712)의 하측면에 설치되어 구동모터(742)에 의해 승하강되면서 제1 지지판(712)의 각도를 조절하는 지지축(746)으로 이루어진다. 지지축(746)은 스크류축으로 구성되어 있다.
구동모터(742)는 일측에 구비된 기어박스(744)를 통해 지지축(746)과 결합된다. 따라서, 구동모터(742)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 구동시 기어박스(744)를 통해 지지축(746)을 승하강시켜 제1 지지판(712)의 각도를 조절하여 수평을 유지시키게 된다.
지지부(800)는 바디부(210)의 하부에 설치되어 바디부(210)를 지지한다. 이때, 지지부(800)는 복수개가 구비되며, 바디부(2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각각의 지지부(800)는 지지부본체(810)와 지지부본체(810)의 내측으로 나사산이 형성된 서브지지부(820)가 형성되어 지지부본체(810)를 회전시켜 길이를 가변시킨다.
지지부(800)는 길이가 가변되므로 표척설치기구(200)가 평면이 아닌 장소에도 위치시킬 수 있다.
거리측정기(400)는 바디부(210)의 거리측정기설치홀(212)에 설치되고 표척(300)의 저면으로부터 지면까지의 거리를 측정한다. 본 실시예에서 거리측정기(400)는 초음파, 적외선 등을 이용하여 거리를 측정하는 통상의 것으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송신기(410)는 바디부(210)의 측면에 설치되어 거리측정기(400)의 거리값을 무선 송출한다.
레벨기(500)는 표척설치기구(200)에 설치된 표척(300)의 눈금을 확인하고 확인된 눈금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장치(540)를 구비하고, 입력장치(540)로부터의 눈금과 거리측정기(400)로부터의 거리값을 연산하여 지면으로부터 표척(300)의 눈금까지의 높이를 연산한다.
또한, 레벨기(500)는 기준국(10) 및 인공위성(20)과 통신하여 정확한 평면 위치 좌표값을 획득하도록 할 수 있다.
기준국(10)은 GPS안테나(14)를 구비하여 인공위성(20)로부터 위치값을 수신받는 GPS수신기(14)와, GPS수신기(14)로부터 전달받은 현재의 위치값과 저장된 절대값을 상호 연산하여 GPS보정값을 출력하는 제어부(12)와, DGPS안테나(15)를 구비하며, 제어부(12)로부터 GPS보정값을 전달받아 외부로 무선송출하는 DGPS송신기(16)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는 기준국(10)의 제어부(12)를 통해 연산된 GPS보정값(즉 위치 값)은 DGPS송신기(16)로 전달되고, DGPS송신기(16)와 연결된 DGPS안테나(15)를 통해 레벨기(500)로 무선 송출된다.
레벨기(500)는 DGPS안테나(510)를 구비하여 기준국(10)의 DGPS송신기(16)로부터 GPS보정 값을 수신받는 DGPS수신기(512)와, GPS안테나(520)를 구비하고 인공위성(20)으로부터 현재 위치값을 수신받는 GPS수신기(522)와, DGPS수신기(512)로부터 받은 GPS보정값을 이용하여 GPS안테나(520)의 정밀위치 연산을 통해 레벨기(500)의 정밀위치를 확인하는 제어부(530)를 포함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레벨기(500)의 일반적인 기능은 널리 알려진 공지기술로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표고정보수집기(600)는 레벨기(500)를 이용하여 수집된 각각의 지점의 표고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610)와, 표고 정보를 송신하는 표고정보송신모듈(620)을 포함한.
표고정보수집장치(900)는 다수의 지점에서 획득된 각각의 표고정보를 표고정보수집기(600)의 표고정보송신모듈(620)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모듈(910)과, 각각의 지점에 따른 표고정보를 저장하는 표고정보DB(920)와, 표고정보DB(920)에 저장된 표고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모듈(930)을 포함한다. 이때 표고정보수집장치(900)는 단말기 형태로 사용자가 소지하거나 레벨기(500)에 설치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수준측량을 통한 표고 확인 시스템의 사용 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표척설치기구(200)는 제어부(430)의 제어에 따라 구동모터(340)를 구동시켜 정역 회전하면, 구동모터(340)에 연결된 피니언기어(330)가 회전하게 된다.
피니언기어(320)가 회전함에 따라 피니언기어(320)와 서로 맞물려 있는 랙기어(320)가 구동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랙기어(32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랙기어(320)의 상단에 설치된 먼지제거체(310)도 동시에 이동하여 먼지제거체(310)의 먼지제거부(308)에 의해 표척(300)의 표면에 이물질을 닦게 된다.
표척설치기구(200)는 야간 또는 어두운 환경에서 표고정보의 측량이 이루어지는 경우, 제어부(430)는 전원부(440)에 의해 발광시트(350)에 전원을 공급하고 구동부(420)에 의해 발광시트(350)에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구동하도록 제어한다.
표척수는 표척설치기구(200)의 지지부본체(810)를 회전하고 서브지지부(820)가 외부로 노출되면서 연장되어 길이가 늘어나도록 조절하여 표척설치기구(200)의 수평을 맞힌다.
몸체(710)가 우측 방향으로 기울어지면 균형추(734)가 우측 근접센서(738)에 근접하게 되고, 몸체(710)가 좌측 방향으로 기울어지면 균형추(734)가 좌측 근접센서(736)에 근접하게 된다.
감지수단(730)은 좌우측 근접센서(736, 738)와 균형추(734) 사이의 접근 거리를 검출하여 제1 지지판(712)의 기울기를 파악하고 이러한 정보를 구동모터(742)에 전달하게 된다.
감지수단(730)으로부터 제어 신호를 전달받은 구동모터(742)는 지지축(746)을 승하강시켜 제1 지지판(712)의 각도를 조절하게 되는데 균형추(734)가 우측 근접센서(738)에 근접하게 되면 제1 지지판(712)이 우측 방향으로 기울어진 것이다.
따라서, 구동모터(742)는 지지축(746)을 하강시켜 제1 지지판(712)을 좌측 방향으로 각도 조절하여 제1 지지판(712)의 수평을 유지시킨다.
균형추(734)가 좌측 근접센서(736)에 근접하게 되면 제1 지지판(712)이 좌측 방향으로 기울어진 것이다.
따라서, 구동모터(742)는 지지축(746)을 상승시켜 제1 지지판(712)을 우측 방향으로 각도 조절하여 제1 지지판(712)의 수평을 유지시킨다.
표척수는 표척설치기구(200)의 지지부(800)를 조절하여 표척설치기구(200)의 수평을 맞춘다.
이후 기계수는 레벨기(500)로 닦여진 표척(300)의 눈금을 읽는다.
이때, 표척설치기구(200)에 설치된 거리측정기(400)는 표척(300)의 저면으로부터 지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고, 측정된 거리값은 송신기(410)를 통해 레벨기(500)로 전송된다.
레벨기(500)는 기계수가 입력한 눈금과 거리측정기(400)가 측정한 거리값을 합산하여 표척(300)이 설치된 지점의 표고정보를 획득한다.
이후 표척수 및 기계수는 일반적인 수준측량 방법을 지속적으로 수행하여, 다양한 지점의 표고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해당위치에 따른 표고정보를 표고정보수집기(600)의 표고정보송신모듈(620)을 통해 표고정보수집장치(900)로 송출한다.
표고정보수집장치(900)는 수신모듈(910)를 통해 표고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표고정보를 해당위치에 따라 표고정보DB(920)에 저장한다.
본 발명은 표척(300)을 닦을 시 표척수가 편한 위치에서 닦을 수 있어 표척(300)의 표면을 편리하면서도 신속하게 닦을 수 있으며, 표척(300)의 표면의 먼지를 제거함으로써, 수준측량을 할 시 기계수가 보다 정밀한 측량을 할 수 있고, 여러 곳에서 작업이 진행 중인 표고측정장치(100)로부터 표고정보를 통합적으로 수집할 수 있어 표고정보의 통합관리가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표고측정장치 200: 표척설치기구
210: 바디부 211: 수용공간
212: 거리측정기설치홀 213: 표척삽입홀
300: 표척 306: 표척지지대
308: 먼지제거부 310: 기어연결체
310: 먼지제거체 310: 먼지제
320: 랙기어 330: 피니언기어
340: 구동모터 342: 거치대
350: 발광시트 351: 투명필름
352: 전면전극층 353: 형광층
354: 유전체층 355: 배면전극층
356: 보호층 357: 전극층
358: 접속 케이블 400: 거리측정기
410: 송신기 420: 구동부
430: 제어부 440: 전원부
500: 레벨기 510: DGPS 안테나
512: DGPS 수신기 520: GPS 안테나
522: GPS 수신기 530: 제어부
540: 입력장치 600: 표고정보수집기
610: 저장부 620: 표고정보송신모듈
700: 수평조절장치 710: 몸체
712: 제1 지지판 714: 제2 지지판
720: 힌지수단 722: 상부힌지부
724: 하부힌지부 726: 힌지핀
730: 감지수단 732: 박스
734: 균형추 736: 좌측 근접센서
738: 우측 근접센서 739: 지지판
740: 구동수단 742: 구동모터
744: 기어박스 746: 지지축
800: 지지부 810: 지지부본체
820: 서브지지부 900: 표척정보수집장치
910: 수신모듈 920: 표고정보DB
930: 디스플레이모듈

Claims (1)

  1. 내부에 형성되는 수용공간(211)과, 상기 수용공간(211)의 하부에 배치되어 수용공간(211)과 연통되며 하방으로 개구되는 거리측정기설치홀(212)과, 상기 수용공간(211)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수용공간(211)과 연통되며 상방으로 개구되는 표척삽입홀(213)을 형성하고, 상기 표척삽입홀(213)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며 수직 방향으로 일정 길이로 세워지며 둘레면에 눈금이 표시되는 표척(300)과, 표척설치기구(200)의 상기 거리측정기설치홀(212)에 설치되어 상기 표척(300)의 저면으로부터 지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측정기(400)와, 상기 표척설치기구(200)에 설치되어 상기 거리측정기(400)의 거리값을 송출하는 송신기(410)를 포함한 바디부(210)와, 상기 바디부(210)의 하부에 수평조절장치(700)를 형성하고, 상기 수평조절장치(700)의 하부에 지지부(800)를 형성하는 표척설치기구(200);
    상기 표척설치기구(200)에 설치된 상기 표척(300)의 눈금을 확인하며 확인된 눈금의 값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장치(540)를 구비하고, 상기 입력장치(540)로부터의 눈금값과 거리측정기(400)로부터의 거리값를 연산하여 지면으로부터 표척(300)의 눈금까지의 높이를 연산하는 레벨기(500);
    상기 레벨기(500)에 접속하고 상기 레벨기(500)가 수집한 각 지점의 표고 정보를 입력하여 저장하는 저장부(610)와, 상기 저장부(610)에 저장된 표고 정보를 송신하는 표고정보송신모듈(620)을 구비한 표고정보수집기(600)로 이루어지는 표고정보수집기(600); 및
    상기 표고정보수집기(600)와 접속하고 다수의 지점에서 획득된 각각의 표고정보를 표고정보수집기(600)의 표고정보송신모듈(620)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모듈(910)과, 상기 수신모듈(910)이 수신한 각 지점에 따른 표고정보를 저장하는 표고정보DB(920)와, 상기 표고정보DB(920)에 저장된 표고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모듈(930)로 이루어지는 표고정보수집장치(900)를 포함하며,
    상기 표척(300)은 테두리를 감싸도록 표척통과홀(302)이 형성된 표척지지대(306)와, 상기 표척(300)과 상기 표척지지대(306)의 사이에 위치하고 덩어리 형상을 하는 천 재질의 먼지제거부(308)를 형성하고 랙기어(320)와 연결되도록 접속된 기어연결체(309)로 이루어진 먼지제거체(310)를 구비하고, 상기 랙기어(320)는 바디부(210)의 수용공간(211)에 형성되고 상기 표척(300)의 하단 일측에 상기 먼지제거체(310)를 이용하여 상기 표척(300)과 연결되며 상기 랙기어(320)는 상기 수용공간(211)에 피니언기어(330)와 맞물려 있어 피니어기언(330)의 회전에 따라 상하 이동하고 상기 표척(300)의 길이와 대응되고 상기 먼지제거체(310)와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랙기어(320)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먼지제거체(310)도 함께 상기 표척(300)의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표척(300)의 표면의 이물질을 세척하며,
    상기 표척(300)의 후면에는 발광시트(350)가 설치되어 빛을 발광하며, 상기 수평조절장치(700)는 평판 형태의 제1 지지판(712)과 상기 제1 지지판(712)으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된 제2 지지판(714)으로 이루어진 몸체(710)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710)의 내부에는 제1 지지판(712)의 하측에 형성되는 상부힌지부(722)와, 제2 지지판(714)의 상측에 형성되는 하부힌지부(724)와, 상부힌지부(722)와 하부힌지부(724)를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핀(726)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지지판(712)의 수평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힌지수단(720)과, 상기 제1 지지판(712)의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지지판(712)의 기울기에 따라 좌우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균형추(734)와, 상기 균형추(734)의 좌우측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각각 설치되는 좌우측 근접센서(736, 738)로 이루어져 상기 제1 지지판(712)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감지수단(730)과, 상기 제2 지지판(714)의 상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감지수단(730)으로부터 전달받은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지지판(712)의 각도를 조절하여 수평으로 유지시키게 구동수단(740)을 포함하는 수준측량을 통한 표고 확인 시스템.
KR1020130082212A 2013-07-12 2013-07-12 수준측량을 통한 표고 확인 시스템 KR1013492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2212A KR101349213B1 (ko) 2013-07-12 2013-07-12 수준측량을 통한 표고 확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2212A KR101349213B1 (ko) 2013-07-12 2013-07-12 수준측량을 통한 표고 확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9213B1 true KR101349213B1 (ko) 2014-01-15

Family

ID=50144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2212A KR101349213B1 (ko) 2013-07-12 2013-07-12 수준측량을 통한 표고 확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92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9673B1 (ko) * 2021-09-14 2022-10-27 주식회사 첨단공간정보 오차값을 최소화한 측지측량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는 측지측량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3344B1 (ko) 2009-08-12 2009-10-27 이경주 지피에스정보를 적용한 항공영상의 도화시스템
KR100923528B1 (ko) 2009-08-07 2009-11-02 (주)한성유아이엔지니어링 항공촬영 및 지피에스측정 정보합성을 이용한 전자지도의 수치정보확인시스템
KR100936287B1 (ko) 2009-08-13 2010-01-13 대주항업 주식회사 지피에스기준점 합성방식의 영상이미지 갱신용 도화시스템
KR100978944B1 (ko) 2009-06-01 2010-08-31 주식회사 동서지엔아이 수치지도를 통한 도시지역의 구조물 위치정보 확인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8944B1 (ko) 2009-06-01 2010-08-31 주식회사 동서지엔아이 수치지도를 통한 도시지역의 구조물 위치정보 확인시스템
KR100923528B1 (ko) 2009-08-07 2009-11-02 (주)한성유아이엔지니어링 항공촬영 및 지피에스측정 정보합성을 이용한 전자지도의 수치정보확인시스템
KR100923344B1 (ko) 2009-08-12 2009-10-27 이경주 지피에스정보를 적용한 항공영상의 도화시스템
KR100936287B1 (ko) 2009-08-13 2010-01-13 대주항업 주식회사 지피에스기준점 합성방식의 영상이미지 갱신용 도화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9673B1 (ko) * 2021-09-14 2022-10-27 주식회사 첨단공간정보 오차값을 최소화한 측지측량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는 측지측량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7188B1 (ko) 측지측량데이터의 오차발생을 최소화하는 수준측량시스템
CN1892204B (zh) 测量电离辐射的水模型
KR100931004B1 (ko) 지리정보 및 지형정보에 따른 데이터의 오차 여부를 확인 및 갱신해서 수치지도의 정밀성을 향상시킨 수치지도 제작시스템
EP1836456B1 (en) Inclination detection methods and apparatus
US8280677B2 (en) Geographical data collecting device
KR100888716B1 (ko) 지피에스 수신기와 항공촬영 정보를 이용한 지아이에스수치지도 보정시스템
KR101223125B1 (ko) 정밀 수준측량에 따른 표고정보 업데이트시스템
CN106959450A (zh) 勘测杆
KR101347859B1 (ko) 지면의 표고와 곡률오차의 동시 측량이 가능한 수준측량시스템
KR100937983B1 (ko) 도화정보에 대한 기준점 대비 지피에스 좌표를 적용하여 정확도를 높인 수치지도 정보 갱신시스템
KR100929120B1 (ko) 지리정보에 대한 수집 데이터와 지피에스 좌표의 매칭정보를 확인해서 수치정보에 적용하는 수치지도 제작시스템
KR102056752B1 (ko) 수준측량을 위한 측지 측량시스템
ES2386944T3 (es) Captador autónomo de posición y sistema de determinación de posición de una herramienta de una máquina de trabajos de obras, por medio de captadores de posición
KR101791955B1 (ko) 측량정보의 오차발생 범위를 최소화하는 수준 측지측량 장치
KR101223124B1 (ko) 지표면 측지측량의 오차율을 최소화하는 수준측량 관측시스템
CN110824448B (zh) 雷达检测装置、雷达检测装置的工作方法和安装方法
KR101349397B1 (ko) 안정되게 설치된 정밀 수준측량용 표척의 표면청소와 높이를 조절하는 장치
KR101227189B1 (ko) 정밀 수준측량을 통한 표고 정보 확인시스템
KR100892442B1 (ko) 기준점 및 수준점 적용을 통한 삼차원 공간영상 도화시스템
KR101388425B1 (ko) 수치데이터가 실시간으로 업데이트 되는 수치지도 업데이트 시스템
KR100946783B1 (ko) 지피에스수신기의 동선을 따라 수치지도의 수치정보를 보정하는 지리정보시스템
KR101353611B1 (ko) 두 지점간 경로의 변동여부 확인을 위한 수준측량 높낮이 확인 장치
KR102415009B1 (ko) 측정된 데이터의 오차값을 최소화할 수 있는 측지측량시스템
KR101349213B1 (ko) 수준측량을 통한 표고 확인 시스템
KR101259921B1 (ko) 위치정보 및 촬영이미지 합성을 기반으로 한 수치지도 제작용 영상도화 처리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