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8944B1 - 수치지도를 통한 도시지역의 구조물 위치정보 확인시스템 - Google Patents

수치지도를 통한 도시지역의 구조물 위치정보 확인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8944B1
KR100978944B1 KR1020090048111A KR20090048111A KR100978944B1 KR 100978944 B1 KR100978944 B1 KR 100978944B1 KR 1020090048111 A KR1020090048111 A KR 1020090048111A KR 20090048111 A KR20090048111 A KR 20090048111A KR 100978944 B1 KR100978944 B1 KR 1009789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ps
total station
groove
fix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81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항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서지엔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서지엔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서지엔아이
Priority to KR10200900481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89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89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89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G01C15/14Artificial horiz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 G09B29/003Map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 G09B29/10Map spot or coordinate position indicators; Map reading aids
    • G09B29/106Map spot or coordinate position indicators; Map reading aids using electron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치지도를 통한 도시지역의 구조물 위치정보 확인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저면에 제1고정홈(112a)이 형성된 고정부(112)를 갖춘 본체(110)를 구비하고, 측정점의 각도와 거리 측정기능, 측정점의 위치좌표를 산출해 표시 및 저장하는 기능 및 유무선 통신기능을 갖는 토탈스테이션(100); 본체(110)의 상면에 탈착가능하게 고정되어 GPS인공위성 신호를 수신하는 GPS안테나(210)와, GPS안테나(210)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처리해서 토탈스테이션(100)이 위치좌표 산출을 위해 필요한 GPS정보를 확인 전송하는 GPS출력기(220)를 구비한 GPS측량기(200); 외주면에 나사산(313)이 형성되고 상면에는 반구 형상의 제1수용홈(311)을 갖는 원기둥 형상으로 되되 제1수용홈(311)의 중심에는 하방으로 개구된 관통홈(312)이 형성되고 제1수용홈(311)의 둘레에 윤활제를 충진하도록 위치하면서 하기 회전구(330)로의 윤활제 배출이 가능하도록 제1수용홈(311) 내면으로 개구된 구멍을 갖는 용기(314)가 형성되며 상기 구멍을 부분 폐구하면서 회전구(330)와 맞물려서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볼(315)을 갖춘 베이스(310)와, 일단이 베이스(310)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힌지고정되고 둘레면에 다수의 걸림홈(321)이 형성된 3개의 다리(320)와, 양단이 다리(320)의 둘레면을 감싸는 고리형상으로 된 고리부(322a)를 이루고 걸림홈(321)과 맞물리면서 양단이 고리부(322a)의 내면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걸림대(322b)를 갖춘 3개의 지지대(322)와, 고정부(112)와 나사결합되도록 돌출되는 고정돌기(331)를 가지며 제1수용홈(311)에 상응하는 곡률을 갖는 구 형상을 이루되 고정돌기(331)에 대향하는 외면에 형성된 체결홈(332)이 관통홈(312)과 마주하도록 제1수용홈(311)에 안착되고 외면에 미세한 수용라인(333)이 다수 형성된 회전구(330)와, 고정돌기(331)가 관통하는 제2고정홈(342)을 구비하고 베이스(310)를 덮어 회전구(330)를 감싸며 베이스(310)의 나사산(313)과 맞물려 결합되는 나사산(341a)을 형성하되 제2고정홈(342)의 내측면은 회전구(330)와의 접촉시 밀착되는 곡률로 형성되고 표면에는 마찰부재가 도포되어진 커버(340)와, 베이스(310)의 관통홈(312)을 관통해 회전구(330)의 체결홈(332)에 고정되는 무게추(350)를 구비한 삼각대(300); 및 GPS측량기(200) 및 토탈스테이션(100)과 유무선통신하면서 GPS측량기(200) 및 토탈스테이션(100)에서 각각 측정된 좌표값을 변환 및 편집 저장하여 정보를 갱신하는 작업용컴퓨터(400)로 이루어진 것이다.

Description

수치지도를 통한 도시지역의 구조물 위치정보 확인시스템{Position information confirming system using GPS measuring apparatus}
본 발명은 수치지도를 통한 도시지역의 구조물 위치정보 확인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측량은 GPS인공위성으로부터 전파를 수신하여 관측정점의 3차원 위치를 결정하는 것으로, 종래의 측량방법에 비하여 정확성, 경제성, 신속성에 있어서 그 우수성이 인정되어 현재 전 세계적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GPS측량은 크게 정지측량과 이동측량으로 구분된다. 여기서, 정지측량은 GPS를 이용한 타 측량방법에 비해 정확도가 높아서 기준점 측량에 많이 사용되나, 측량에 따른 소요시간이 많이 요구되었다. 반면, 이동측량은 가장 빠른시간에 상당히 많은 수의 측정점을 측정할 수 있으나, 정지측량에 비해 정확도가 떨어지고, 이동 중간에 위성신호의 차단이 발생하면 안되는 제약이 있었다.
근래에는, 이동측량 분야에서, 제약 조건이 적으면서도 정밀도가 타 GPS측량 기법보다 높은 측량기법인 실시간 이동 측량 기법(RTK:Real Time Kinematic)이 일 반적이다.
실시간 이동 측량 기법은, 기지점의 보정정보를 실시간으로 미지점에 보내주는 것으로, 일반 GPS측량에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보정정보를 알려줌으로써 두 점간의 거리, 방위 고도차를 실시간으로 측량할 수 있는 기법으로서, 현재 GPS를 응용하는 여러 분야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GIS나 측량, 항법 등 모든 응용분야가 이 기법에 맞추어 실용화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실시간 이동 측량 기법을 포함한 GPS 측량은, 건물, 수림 등과 같은 지표상의 장애 요소가 없는 개할 지역에서만 측량이 가능하여 GPS측량이 불가능한 지역에서는 공지기술인 토탈스테이션을 이용해 측량을 하게 되며, 도심지역의 현황측량을 하고자 할 경우에는 GPS/RTK 측량과 토탈스테이션 측량을 병행하는 것이 유리하다. 참고로, 토탈스테이션은 현 위치를 기준으로 특정 지점에 대한 거리, 높이 등을 종합 측량할 수 있는 공지된 장치이다. 따라서, 여기서는 토탈스테이션의 세부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계속해서, 이렇게 GPS/RTK 측량과 토탈스테이션 측량을 병행하는 경우, GPS측량의 결과를 토탈스테이션 측량에 이용하기 위해서, GPS측량으로 산출되는 3차원 측지좌표를 토탈스테이션에서 이용되는 현행국가좌표체계로 변환해야 하는데, 이러한 변환 과정에서, 작업자가 변환된 좌표를 직접 토탈스테이션에 입력하는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721764호와 같은 GPS 및 토탈스테이션이 결합된 토탈측량시스템이 제안되었다.
상기 등록특허공보 제0721764호는, GPS 장비와 토탈스테이션 장비를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일체화시키고, 이동수단이 구비되며, 측량된 결과를 이용하여 현장에서 지형도 또는 지적도와 같은 측량도를 제작할 수 있는 통합측량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GPS측량기, 토탈스테이션, 작업용컴퓨터로 이루어져, 차량에 탑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GPS측량기의 GPS안테나는 토탈스테이션의 손잡이에 일체로 결합되어, 토탈스테이션의 중심축과 GPS안테나의 중심축이 정확하게 일치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토탈스테이션은 차량에 설치되는 삼각대를 매개로, 삼각대에 고정되어 차량에 탑재되어, 일반적인 측량작업을 수행한다. 그리고, GPS출력기 및 토탈스테이션은, 작업용컴퓨터와 유선 또는 블루투스(Bluetooth) 같은 근거리무선통신으로 연결되어, 데이터의 송수신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GPS측량의 결과 산출되는 위치좌표가 현행 국가좌표체계로 자동 변환되어, 별도의 좌표변환 및 입력작업이 불필요하고, GPS측량기, 토탈스테이션, 작업용컴퓨터가 유무선으로 연결되고 차량에 탑재되어 하나의 시스템을 이루어서 작업이 편리해지고, 현장에서 측량도를 제작할 수 있게 되어 효율성도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런데, 이러한 측량시스템은, 토탈스테이션의 이용시마다 원형 기포관 및 수평 기포관의 기포가 관의 중앙에 오도록, 토탈스테이션에 설치된 다수개의 수평조절나사를 개별적으로 조절해서 토탈스테이션의 수평을 맞춘 후 측정하고, 하나의 측정점을 측량한 후 이동하여 다른 측정점을 측정하게 되는데, 이동시 차량의 진동으로 인해 토탈스테이션의 수평이 틀어진다. 또한, 새로운 측정점으로 이동 하는 경우, 토탈스테이션이 삼각대에 재설치되므로, 수평을 새로 맞춰야 하는 등, 매번 토탈스테이션의 수평을 맞춰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토탈스테이션의 수평조절 및 고정이 편리한 수치지도를 통한 도시지역의 구조물 위치정보 확인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저면에 제1고정홈(112a)이 형성된 고정부(112)를 갖춘 본체(110)를 구비하고, 측정점의 각도와 거리 측정기능, 측정점의 위치좌표를 산출해 표시 및 저장하는 기능 및 유무선 통신기능을 갖는 토탈스테이션(100);
본체(110)의 상면에 탈착가능하게 고정되어 GPS인공위성 신호를 수신하는 GPS안테나(210)와, GPS안테나(210)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처리해서 토탈스테이션(100)이 위치좌표 산출을 위해 필요한 GPS정보를 확인 전송하는 GPS출력기(220)를 구비한 GPS측량기(200);
외주면에 나사산(313)이 형성되고 상면에는 반구 형상의 제1수용홈(311)을 갖는 원기둥 형상으로 되되 제1수용홈(311)의 중심에는 하방으로 개구된 관통홈(312)이 형성되고 제1수용홈(311)의 둘레에 윤활제를 충진하도록 위치하면서 하기 회전구(330)로의 윤활제 배출이 가능하도록 제1수용홈(311) 내면으로 개구된 구멍을 갖는 용기(314)가 형성되며 상기 구멍을 부분 폐구하면서 회전구(330)와 맞물려서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볼(315)을 갖춘 베이스(310)와, 일단이 베이스(310)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힌지고정되고 둘레면에 다수의 걸림홈(321)이 형성된 3개의 다리(320)와, 양단이 다리(320)의 둘레면을 감싸는 고리형상으로 된 고리부(322a)를 이루고 걸림홈(321)과 맞물리면서 양단이 고리부(322a)의 내면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걸림대(322b)를 갖춘 3개의 지지대(322)와, 고정부(112)와 나사결합되도록 돌출되는 고정돌기(331)를 가지며 제1수용홈(311)에 상응하는 곡률을 갖는 구 형상을 이루되 고정돌기(331)에 대향하는 외면에 형성된 체결홈(332)이 관통홈(312)과 마주하도록 제1수용홈(311)에 안착되고 외면에 미세한 수용라인(333)이 다수 형성된 회전구(330)와, 고정돌기(331)가 관통하는 제2고정홈(342)을 구비하고 베이스(310)를 덮어 회전구(330)를 감싸며 베이스(310)의 나사산(313)과 맞물려 결합되는 나사산(341a)을 형성하되 제2고정홈(342)의 내측면은 회전구(330)와의 접촉시 밀착되는 곡률로 형성되고 표면에는 마찰부재가 도포되어진 커버(340)와, 베이스(310)의 관통홈(312)을 관통해 회전구(330)의 체결홈(332)에 고정되는 무게추(350)를 구비한 삼각대(300); 및
GPS측량기(200) 및 토탈스테이션(100)과 유무선통신하면서 GPS측량기(200) 및 토탈스테이션(100)에서 각각 측정된 좌표값을 변환 및 편집 저장하여 정보를 갱신하는 작업용컴퓨터(400)로 이루어진 고정밀 수치지도의 위치정보 확인시스템이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매 측정점마다 삼각대에 재설치되는 토탈스테이션의 수평조절이 간편하면서도 단시간에 이루어지므로, 토탈스테이션의 설치가 편리한 효과가 예상 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정보 확인시스템을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측정장치의 요부를 분해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측정장치의 요부단면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위치정보 확인시스템은, 토탈스테이션(100), GPS측량기(200) 및 삼각대(300)를 포함하는 측정장치(10)와, 작업용컴퓨터(400)로 구성된다.
상기 토탈스테이션(100)은, 상단에 손잡이부(111)가 형성되고, 하단에 고정부(112)가 구비된 본체(110)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측정점의 각도와 거리를 측정하고, 측정점의 위치좌표를 산출해 표시 및 저장하며, 작업용컴퓨터(400)와 양방향 유선통신 또는 블루투스(Bluetooth)를 통해 근거리 무선통신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110)의 손잡이부(111) 상면에는 토탈스테이션(100)의 중심축 방향으로 결합홈(111a)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110)의 고정부(112)에는 본체(110)의 무게중심 방향으로 제1고정홈(112a)이 형성된다.
상기 GPS측량기(200)는, GPS인공위성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GPS안테나(210)와, GPS안테나(210)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처리하여 측정점의 위치좌표를 산출하여 외부로 표시 및 저장하는 GPS출력기(220)로 이루어진다. GPS출력기(220)는 작업자의 사용 편의를 고려해 토탈스테이션(100)과 분리되어 유동성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토탈스테이션(100)에 고정된 GPS안테나(210)는 GPS출력 기(22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것이다. 한편, 상기 GPS안테나(210)의 중심축에 결합돌기(211)가 형성되어, 토탈스테이션(100)의 본체(110) 손잡이부(111)에 형성된 결합홈(111a)에 나사결합되고, 토탈스테이션(100)의 중심축과 GPS안테나(210)의 중심축이 일치하도록 토탈스테이션(100)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GPS출력기(220)는 작업용컴퓨터(400)와 양방향 유선통신 또는 블루투스를 통해 근거리 무선통신한다. 또한, 상기 GPS측량기(200)는 3차원 좌표체계로 표시되는 측정치를 현행 국가좌표체계로 변환시키는 소프트웨어가 내장될 수도 있다.
상기 삼각대(300)는 베이스(310), 3개의 다리(320), 회전구(330), 커버(340) 및 무게추(350)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310)는 중심에 상방으로 개구된 반구형상의 제1수용홈(311)이 형성되고, 제1수용홈(311)의 바닥 중심에는 상하로 관통하도록 개구된 관통홈(31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310)는 외주면에 나사산(313)이 형성된다.
한편, 회전구(330)와 마주하는 제1수용홈(311)의 가장자리에는 윤활제가 충진되는 용기(314)가 형성된다. 용기(314)는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구(330)의 원활한 이동을 위한 윤활제가 충진되고, 바닥은 제1수용홈(311)으로 개구되어서 윤활제가 제1수용홈(311) 바닥의 구멍을 통해 배출되도록 된다.
이때, 상기 구멍은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볼(315)에 의해 부분적으로 폐구되어서, 윤활제가 볼(315)을 통해 부분적으로 배출되도록 제한한다. 여기서, 볼(315)은 제1수용홈(311)에 안착된 회전구(330)와 맞물려서, 회전구(330)의 회전 과 더불어 회전하고, 용기(314)에 충진된 윤활제는 볼(315)을 통해 회전구(330) 표면에 전달된다. 참고로, 볼(315)은 윤활제의 원활한 전달을 위해 거친 표면을 갖는 구형상인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3개의 다리(320)는 베이스(310)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힌지고정되고, 타단은 지면에 고정되어, 베이스(310)의 설치각과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다리(320)의 둘레면에는 다수의 걸림홈(321)이 형성된다. 한편, 이웃하는 다리(320)를 서로 연결하는 3개의 지지대(322)를 더 포함한다.
지지대(322)는 베이스(310)를 기준으로 상호 이격된 다리(320)를 서로 연결해서 외력에 의해 지지대(322)가 고정위치를 이탈하지 않도록 보완하는 것으로, 3개의 지지대(322)는 모두 그 길이가 다르게 형성된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지지대(322)의 양단에는 각각 다리(320)를 감싸는 고리부(322a)가 형성되고, 이 고리부(322a) 내측에는 다리(320)의 걸림홈(321)과 맞물리는 걸림대(322b)가 형성된다. 이때, 걸림대(322b)는 고리부(322a)와 회동가능하게 형성되어서, 걸림대(322b)의 배치 위치에 상관없이 걸림홈(321)과 긴밀히 맞물릴 수 있도록 된다.
다리(320)의 구조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아래에서 도면을 참조해 설명하겠다.
상기 회전구(330)는 토탈스테이션(100)의 수평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베이스(310)의 제1수용홈(311)에 회전가능하게 안착된다. 또한, 상기 회전구(330)는 상방으로 돌출된 고정돌기(331)가 형성되어서, 토탈스테이션(100)의 본체(110) 고정부(112)의 제1고정홈(112a)에 삽입될 수 있고, 이를 통해 회전구(330) 와 본체(110)의 상호 고정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회전구(330)는 고정돌기(331)와 대향하는 반대측면에 체결홈(332)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구(330)는 고정돌기(331)가 회전구(330)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었지만, 운반 및 설치의 편의를 위해 분리식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회전구(330)의 둘레면에는 다수의 수용라인(333)이 형성된다. 수용라인(333)은 구멍으로부터 배출되는 윤활제가 회전구(330)에 효과적으로 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미세한 폭을 갖도록 되어서 윤활제가 회전구(330) 표면에 안정적으로 위치하고, 이를 통해 윤활제의 윤활기능이 최적화되도록 한다.
상기 커버(340)는 하방으로 개구되고, 개구된 내주면에는 나사산(341a)이 형성된 제2수용홈(341)이 형성되어, 커버(340)가 베이스(310)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나사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2수용홈(341)과 연통되어 상방으로 개구되되, 회전구(330) 보다 직경축소된 제2고정홈(342)이 형성된다. 이때, 회전구(330)의 외면과 직접 접하는 제2고정홈(342)의 내측면은 회전구(330)의 표면곡률에 상응하게 절개 형성되어서, 회전구(330)의 표면이 제2고정홈(342)의 내측면과 긴밀히 접할 수 있도록 된다. 이는 제2고정홈(342)의 내측면이 회전구(330)의 제동 기능을 수행하면서 커버(340)의 압력을 받을 경우 효율적으로 회전구(330)의 이동을 차단하기 위함이다. 한편, 커버(340)가 갖는 회전구(330)의 정지기능을 높이기 위해 상기 내측면에는 마찰계수가 높은 합성수지재질의 마찰부재를 도포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도 6 참조)
상기 무게추(350)는 베이스(310)의 관통홈(312)을 관통하여, 회전구(330)의 결합홈(111a)에 나사결합방식으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구(330)를 회전시켜, 토탈스테이션(100)이 연직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운반 및 설치 편의를 위해, 상기 무게추(350)와 회전구(330)가 분리형으로 형성되어 무게추(350)가 회전구(330)에 탈착가능하게 고정되지만, 필요에 의해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작업용컴퓨터(400)는 GPS측량기(200) 및 토탈스테이션(100)과 유선 또는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연결되어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고, 좌표체계가 상호 다른 GPS측량기(200) 및 토탈스테이션(100)에서 각각 측정된 좌표값을 상호 이용가능하게 변환한다. 이러한 작업용컴퓨터(400)는 현장에서 측정된 위치좌표 데이타를 이용하여 지형도 또는 지적도와 같은 측량도 작성 및 편집이 가능한 CAD 프로그램이 내장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위치정보 확인시스템에 적용된 측정장치(10)의 조립 및 설치모습을 설명한다.
우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토탈스테이션(100)의 설치위치에 삼각대(300)를 설치한다. 이때, 상기 삼각대(300)는 베이스(310), 3개의 다리(320), 회전구(330), 커버(340) 및 무게추(350)가 일체로 결합된 상태이다. 한편, 설치위치의 지형에 따라, 상기 삼각대(300)는 3개의 다리(320)의 기울기나 연장된 길이 등에 차이가 생겨, 회전구(330)의 고정돌기(331)가 연직상태가 아닌 기울어지게 배치될 수 있으므로, 커버(340) 제2고정홈(342)의 내측면에 의해 가압 되어 고정된 회전구(330)가 회전할 수 있도록, 작업자는 커버(340)가 베이스(310)의 상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조작한다. 이때, 커버(340)와 베이스(310)는 나사산 결합돼 고정되므로, 작업자는 커버(340)를 회전시킴으로서 커버(340)의 높낮이를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계속해서, 커버(340)의 이동으로 회전구(330)의 구속이 해제되면, 회전구(330)는 중력방향으로 위치를 고수하는 무게추(350)의 상대적인 이동을 따라 회전하고, 작업자가 특정 지점에서의 GPS위치 확인을 위해 일시정지하면, 무게추(350)는 상대적으로 기울어진 현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물론, 작업자는 커버(340)를 회전시켜서 베이스(310)의 하방으로 이동시키고, 이렇게 이동하는 커버(340)는 제2고정홈(342)의 내측면이 회전구(330)와 긴밀히 접하면서 구속된다.
마지막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토탈스테이션(100) 본체(110)의 고정부(112) 저면에 형성된 제1고정홈(112a)이 커버(340)의 외부로 돌출된 회전구(330)의 고정돌기(331)와 나사결합되어 삼각대(300)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토탈스테이션(100)은 수평을 이루므로, 토탈스테이션(100)에 설치된 원형 기포관(미도시) 및 수평 기포관(미도시)의 기포는 관의 중앙에 배치된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위치정보 확인시스템을 이용한 지형 측량순서를 설명한다.
수신된 GPS인공위성의 반송파와 기준국GPS로부터 수신된 오차보정 신호를 통해 GPS측량기(200)의 위치좌표(3차원 위치좌표계:경도,위도,높이)를 산출한다(S1).
상기 GPS측량기(200)로부터 산출된 GPS위치좌표를 유선 또는 근거리무선통신을 통해 작업용컴퓨터(400)로 송신한다(S2).
상기 작업용컴퓨터(400)는 수신된 GPS위치좌표를 토탈스테이션(100)에서 사용가능한 좌표(현행 국가좌표체계:방위각, 거리)로 변환한다(S3).
상기 작업용컴퓨터(400)에서 변환된 좌표를 토탈스테이션(100)의 기계점으로 동기화한다(S4).
상기 토탈스테이션(100)을 사용하여 측정점의 방위각 및 거리를 측정한다(S5). 이때, 상기 토탈스테이션(100)의 측정과정은 일반적인 토탈스테이션의 측정과 마찬가지로 이미 알고 있는 지상의 기준점을 시준하는 후시 및 측정하고자 하는 지점을 시준하는 전시 작업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토탈스테이션(100)에서 측정된 위치좌표를 유선 또는 근거리무선통신을 통해 작업용컴퓨터(400)로 송신한다(S6).
상기 작업용컴퓨터(400)는 측정된 위치좌표를 이용하여 측량도 작성 및 편집하고, 기존 정보를 갱신한다(S7).
상기 GPS측량기(200) 또는 토탈스테이션(100)으로부터 측정되어 작업용컴퓨터(400)가 수신한 측정점의 위치좌표를 작업용컴퓨터(400)의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메인컴퓨터로 송신하거나, 메인컴퓨터에 저장된 위치좌표를 수신받아 현장에서 작업할 수 있다(S8).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대의 일부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리와 연결된 지지대의 구동모습을 도시한 도면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3개의 다리(320)는 측정장치(10)가 위치하는 지면의 상태에 따라 이웃하는 다리(320) 간의 내각이 달리 이루어진다. 한편, 이렇게 벌어진 다리(320)의 하단은 지면에 단단히 박혀 고정된다. 그러나, 측정장치(10)에 외력이 가해지거나, 지면이 미끄러운 장소일 경우에는 이웃하는 다리(320) 간의 내각이 벌어지면서 초기 설정 위치를 벗어날 수 있다. 물론, 측정장치(10)의 초기 설정 위치 이탈은 정확한 측정 및 측량에 오차를 야기하므로, 다리(320)의 안정적인 고정은 측정작업에서 반드시 요구되는 조건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측정장치(10)는 이웃하는 다리(320) 간의 연결을 위한 3개의 지지대(322)를 더 포함한다. 이때, 3개의 지지대(322)는 그 길이를 모두 달리해서,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리(320)의 다양한 지점에서 상호 간섭없이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한다.
한편, 지지대(322)의 양단은 다리(320)에 걸리는 고리부(322a)가 형성되고, 고리부(322a)의 내측에는 양단이 고리부(322a)와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걸림대(322b)가 배치된다. 여기서 걸림대(322b)는 다리(320)에 다수 형성된 걸림홈(321)과 맞물려 끼워진다. 따라서, 다리(320)가 지면을 기준으로 수직 배치될 경우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리부(322a)와 걸림대(322b)는 나란히 위치할 것이나, 다리(320)가 지면으로부터 기울어질 경우엔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리부(322a)와 걸림대(322b)는 서로 각을 이루며 위치할 것이다. 그러나, 두 경 우 모두 지지대(322)는 이웃하는 다리(320)를 벌어짐 없이 안정적으로 고정하므로, 다리(320)의 지면 이탈을 통한 측정위치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참고로, 지지대(322)의 고정작업 순서를 간단히 설명하면, 작업자는 3개의 다리(320)를 지면에 각각 배치하고, 양단이 다리(320)에 위치하도록 지지대(322)를 걸어 내리면서 걸림대(322b)와 걸림홈(321)이 긴밀히 맞물리도록 작업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위치정보 확인시스템은, 상기 삼각대(300)에 형성된 무게추(350)를 연직상태로 고정시킨 뒤, 토탈스테이션(100)을 회전구(330)에 고정시켜 설치하면 되므로 토탈스테이션(100)의 고정이 편리하여 설치가 간편한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위치정보 확인시스템은, 상기 토탈스테이션(100)이 회전구(330)에 고정되는 경우, 수평을 이루면서 설치되므로, 별도로 토탈스테이션(100)의 원형 기포관 또는 수평 기포관을 확인하여 종래의 토탈스테이션에 설치된 조절나사(미도시)를 통해 기포가 관의 중앙에 오도록 맞출 필요가 없으므로, 수평 조절이 편리한 장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정보 확인시스템을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측정장치의 요부를 분해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측정장치의 요부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측정장치의 설치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정보 확인시스템을 이용한 지형 측량순서를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측정장치의 동작모습을 도시한 요부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대의 일부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리와 연결된 지지대의 구동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 첨부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
100:토탈스테이션, 110:본체, 111:손잡이부,
111a:결합홈, 112:고정부, 112a:제1고정홈,
120:원형기포관, 130:관형기포관, 200:GPS측량기,
210:GPS안테나, 211:결합돌기, 220:GPS출력기,
300:삼각대, 310:베이스, 311:제1수용홈,
312:관통홈, 313:나사산, 320:3개의 다리,
330:회전구, 331:고정돌기,
332:체결홈, 340:커버, 341:제2수용홈,
341a:나사산, 342:제2고정홈, 350:무게추,
400:작업용컴퓨터.

Claims (1)

  1. 저면에 제1고정홈(112a)이 형성된 고정부(112)를 갖춘 본체(110)를 구비하고, 측정점의 각도와 거리 측정기능, 측정점의 위치좌표를 산출해 표시 및 저장하는 기능 및 유무선 통신기능을 갖는 토탈스테이션(100); 본체(110)의 상면에 탈착가능하게 고정되어 GPS인공위성 신호를 수신하는 GPS안테나(210)와, GPS안테나(210)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처리해서 토탈스테이션(100)이 위치좌표 산출을 위해 필요한 GPS정보를 확인 전송하는 GPS출력기(220)를 구비한 GPS측량기(200); 본체(110)와 결합하는 삼각대(300); GPS측량기(200) 및 토탈스테이션(100)과 유무선통신하면서 GPS측량기(200) 및 토탈스테이션(100)에서 각각 측정된 좌표값을 변환 및 편집 저장하여 정보를 갱신하는 작업용컴퓨터(400)로 이루어진 고정밀 수치지도의 지리정보별 수정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삼각대(300)는, 외주면에 나사산(313)이 형성되고 상면에는 반구 형상의 제1수용홈(311)을 갖는 원기둥 형상으로 되되 제1수용홈(311)의 중심에는 하방으로 개구된 관통홈(312)이 형성되고 제1수용홈(311)의 둘레에 윤활제를 충진하도록 위치하면서 하기 회전구(330)로의 윤활제 배출이 가능하도록 제1수용홈(311) 내면으로 개구된 구멍을 갖는 용기(314)가 형성되며 상기 구멍을 부분 폐구하면서 회전구(330)와 맞물려서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볼(315)을 갖춘 베이스(310)와, 일단이 베이스(310)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힌지고정되는 3개의 다리(320)과, 고정부(112)와 나사결합되도록 돌출되는 고정돌기(331)를 가지며 제1수용홈(311)에 상응하는 곡률을 갖는 구 형상을 이루되 고정돌기(331)에 대향하는 외면에 형성된 체결홈(332)이 관통홈(312)과 마주하도록 제1수용홈(311)에 안착되고 외면에 미세한 수용라인(333)이 다수 형성된 회전구(330)와, 고정돌기(331)가 관통하는 제2고정홈(342)을 구비하고 베이스(310)를 덮어 회전구(330)를 감싸며 베이스(310)의 나사산(313)과 맞물려 결합되는 나사산(341a)을 형성하되 제2고정홈(342)의 내측면은 회전구(330)와의 접촉시 밀착되는 곡률로 형성되고 표면에는 마찰부재가 도포되어진 커버(340)와, 베이스(310)의 관통홈(312)을 관통해 회전구(330)의 체결홈(332)에 고정되는 무게추(35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밀 수치지도의 지리정보별 수정시스템.
KR1020090048111A 2009-06-01 2009-06-01 수치지도를 통한 도시지역의 구조물 위치정보 확인시스템 KR1009789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8111A KR100978944B1 (ko) 2009-06-01 2009-06-01 수치지도를 통한 도시지역의 구조물 위치정보 확인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8111A KR100978944B1 (ko) 2009-06-01 2009-06-01 수치지도를 통한 도시지역의 구조물 위치정보 확인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8944B1 true KR100978944B1 (ko) 2010-08-31

Family

ID=42760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8111A KR100978944B1 (ko) 2009-06-01 2009-06-01 수치지도를 통한 도시지역의 구조물 위치정보 확인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8944B1 (ko)

Cited B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0995B1 (ko) 2010-12-01 2011-01-26 한국종합설계 주식회사 지피에스정보와 라이다에 의한 표고정보를 동시 측량해 실시간 이미지정보를 출력하는 표고측량시스템
KR101144200B1 (ko) 2012-02-24 2012-05-10 뉴비전엔지니어링(주) 일반도화기에서 사용되는 영상도화이미지의 데어터 수집시스템
KR101219238B1 (ko) * 2012-09-18 2013-01-09 (주)지오투정보기술 손떨림 오차보정 가능한 레이저 거리 측정기를 이용하여 측량기의 높이를 측정하는 장치
KR101227188B1 (ko) * 2012-08-07 2013-01-28 주식회사 한성유아이 측지측량데이터의 오차발생을 최소화하는 수준측량시스템
KR101227189B1 (ko) * 2012-08-06 2013-01-28 주식회사 한성유아이 정밀 수준측량을 통한 표고 정보 확인시스템
KR101232404B1 (ko) * 2011-11-18 2013-02-12 (주)지오투정보기술 지피에스 안테나를 이용하여 신호지연값을 보상하는 측량기 높이측정 장치
KR101235309B1 (ko) 2012-10-31 2013-02-20 네이버시스템(주) 지피에스를 기반으로 지형구조물의 위치별 측지측량 데이터를 갱신하는 측량시스템
KR101256630B1 (ko) 2013-02-26 2013-04-19 (주)선운 이앤지 측지용 현장 관측기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보정처리하는 측지데이터 통합관리시스템
KR101349397B1 (ko) 2013-08-02 2014-01-13 명화지리정보(주) 안정되게 설치된 정밀 수준측량용 표척의 표면청소와 높이를 조절하는 장치
KR101349958B1 (ko) 2013-08-08 2014-01-14 주식회사 성율이앤지 지형의 변위확인과 정밀 수준측량으로 표고를 확인하여 수치정보를 갱신하는 측지측량 시스템
KR101349213B1 (ko) 2013-07-12 2014-01-15 (주)미도지리정보 수준측량을 통한 표고 확인 시스템
KR101349215B1 (ko) 2013-08-20 2014-01-15 (주)미도지리정보 경사지의 수준측량 처리시스템
KR101353611B1 (ko) * 2013-08-20 2014-01-23 공간정보기술 주식회사 두 지점간 경로의 변동여부 확인을 위한 수준측량 높낮이 확인 장치
CN103557832A (zh) * 2013-11-11 2014-02-05 北京林业大学 一种以手持全站仪为工具的三维自动测地方法
KR101474617B1 (ko) 2012-11-22 2014-12-19 (주)지오투정보기술 삼각대, 트라이브랙, 트라이브랙 아답터 및 gps 안테나를 구비한 측량기 높이 측정 장치
KR101477770B1 (ko) * 2013-07-18 2014-12-31 신영측기(주) 계측장비를 위한 높이 조절 지지대
CN110763195A (zh) * 2019-11-13 2020-02-07 自然资源部第一海洋研究所 便携式地形剖面精准测量装置及方法
KR102337838B1 (ko) * 2021-03-24 2021-12-09 삼부기술 주식회사 3차원 데이터를 이용하여 지형정보의 변화를 신속하게 업데이트할 수 있는 수치지도제작시스템
KR102337846B1 (ko) * 2021-03-24 2021-12-09 삼부기술 주식회사 지형정보와 좌표정보의 합성을 통한 수치지도제작시스템
KR102359419B1 (ko) * 2021-09-02 2022-02-09 주식회사 엔지엘 측지측량을 위한 측지측량용 토탈스테이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1764B1 (ko) * 2006-08-01 2007-05-25 대한지적공사 Gps 및 토탈스테이션이 결합된 이동식 토탈측량시스템및 이를 이용한 측량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1764B1 (ko) * 2006-08-01 2007-05-25 대한지적공사 Gps 및 토탈스테이션이 결합된 이동식 토탈측량시스템및 이를 이용한 측량법

Cited B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0995B1 (ko) 2010-12-01 2011-01-26 한국종합설계 주식회사 지피에스정보와 라이다에 의한 표고정보를 동시 측량해 실시간 이미지정보를 출력하는 표고측량시스템
KR101232404B1 (ko) * 2011-11-18 2013-02-12 (주)지오투정보기술 지피에스 안테나를 이용하여 신호지연값을 보상하는 측량기 높이측정 장치
KR101144200B1 (ko) 2012-02-24 2012-05-10 뉴비전엔지니어링(주) 일반도화기에서 사용되는 영상도화이미지의 데어터 수집시스템
KR101227189B1 (ko) * 2012-08-06 2013-01-28 주식회사 한성유아이 정밀 수준측량을 통한 표고 정보 확인시스템
KR101227188B1 (ko) * 2012-08-07 2013-01-28 주식회사 한성유아이 측지측량데이터의 오차발생을 최소화하는 수준측량시스템
KR101219238B1 (ko) * 2012-09-18 2013-01-09 (주)지오투정보기술 손떨림 오차보정 가능한 레이저 거리 측정기를 이용하여 측량기의 높이를 측정하는 장치
KR101235309B1 (ko) 2012-10-31 2013-02-20 네이버시스템(주) 지피에스를 기반으로 지형구조물의 위치별 측지측량 데이터를 갱신하는 측량시스템
KR101474617B1 (ko) 2012-11-22 2014-12-19 (주)지오투정보기술 삼각대, 트라이브랙, 트라이브랙 아답터 및 gps 안테나를 구비한 측량기 높이 측정 장치
KR101256630B1 (ko) 2013-02-26 2013-04-19 (주)선운 이앤지 측지용 현장 관측기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보정처리하는 측지데이터 통합관리시스템
KR101349213B1 (ko) 2013-07-12 2014-01-15 (주)미도지리정보 수준측량을 통한 표고 확인 시스템
KR101477770B1 (ko) * 2013-07-18 2014-12-31 신영측기(주) 계측장비를 위한 높이 조절 지지대
KR101349397B1 (ko) 2013-08-02 2014-01-13 명화지리정보(주) 안정되게 설치된 정밀 수준측량용 표척의 표면청소와 높이를 조절하는 장치
KR101349958B1 (ko) 2013-08-08 2014-01-14 주식회사 성율이앤지 지형의 변위확인과 정밀 수준측량으로 표고를 확인하여 수치정보를 갱신하는 측지측량 시스템
KR101349215B1 (ko) 2013-08-20 2014-01-15 (주)미도지리정보 경사지의 수준측량 처리시스템
KR101353611B1 (ko) * 2013-08-20 2014-01-23 공간정보기술 주식회사 두 지점간 경로의 변동여부 확인을 위한 수준측량 높낮이 확인 장치
CN103557832A (zh) * 2013-11-11 2014-02-05 北京林业大学 一种以手持全站仪为工具的三维自动测地方法
CN110763195A (zh) * 2019-11-13 2020-02-07 自然资源部第一海洋研究所 便携式地形剖面精准测量装置及方法
KR102337838B1 (ko) * 2021-03-24 2021-12-09 삼부기술 주식회사 3차원 데이터를 이용하여 지형정보의 변화를 신속하게 업데이트할 수 있는 수치지도제작시스템
KR102337846B1 (ko) * 2021-03-24 2021-12-09 삼부기술 주식회사 지형정보와 좌표정보의 합성을 통한 수치지도제작시스템
KR102359419B1 (ko) * 2021-09-02 2022-02-09 주식회사 엔지엘 측지측량을 위한 측지측량용 토탈스테이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8944B1 (ko) 수치지도를 통한 도시지역의 구조물 위치정보 확인시스템
KR100978943B1 (ko) 고정밀 수치지도의 지리정보별 수정시스템
US9605962B2 (en) Inclination sensor
CA2583924C (en) Geodesic position determining system
US8773465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navigational information associated with locations of objects
US592980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cision location of GPS survey tilt pole
KR101217602B1 (ko) 지하시설의 지도제작을 위한 지피에스 기반 측지측량 시스템
CN105445774B (zh) 一种gnss与激光测距相结合的测量系统及测量方法
US8411285B2 (en) Stationing an unleveled optical total station
CN112964252B (zh) 基于惯性测量单元的定位方法、系统及rtk接收机
KR101160133B1 (ko) 지아이에스 기반 신규 데이터 업데이트를 이용한 영상처리시스템
EP3105616A1 (en) Determining a crane tilt angle
KR100978947B1 (ko) 지피에스 측정장치를 이용한 수치정보 갱신시스템
US20230184962A1 (en) Underground Line Locator System With Real Time Kinematic And Global Satellite Positioning
EP1726915A1 (en) Active surveying pole
CN111190204B (zh) 基于北斗双天线和激光测距仪的实时定位装置及定位方法
CN108775899B (zh) 基于伪卫星和惯性信息的深部开采井上下坐标系连接方法
EP2040029A1 (en) A multi mode active surveying pole
KR101256630B1 (ko) 측지용 현장 관측기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보정처리하는 측지데이터 통합관리시스템
CN101581778A (zh) 利用陀螺全站仪求取隐蔽点itrf框架坐标的方法
KR101495735B1 (ko) 지표면의 기준점 위치확인 및 지형정보를 응용한 공간영상 도화용 보정방법이 적용된 시스템
KR101633802B1 (ko) 지형지물 변화에 따른 지리정보 측량확인시스템
KR101576644B1 (ko) 사진과 위치 및 촬영정보(일시, 방향)를 함께 서버로 전송하는 모바일시스템
KR20120057931A (ko) 지형의 구조변화를 실시간으로 측량하는 측지시스템
Pirti et al. Real-time kinematic GPS for cadastral survey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