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9397B1 - 안정되게 설치된 정밀 수준측량용 표척의 표면청소와 높이를 조절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안정되게 설치된 정밀 수준측량용 표척의 표면청소와 높이를 조절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9397B1
KR101349397B1 KR1020130092211A KR20130092211A KR101349397B1 KR 101349397 B1 KR101349397 B1 KR 101349397B1 KR 1020130092211 A KR1020130092211 A KR 1020130092211A KR 20130092211 A KR20130092211 A KR 20130092211A KR 101349397 B1 KR101349397 B1 KR 1013493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elevation information
scale
length
elev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2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헌
Original Assignee
명화지리정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명화지리정보(주) filed Critical 명화지리정보(주)
Priority to KR10201300922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93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93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93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G01C15/02Means for marking measuring points
    • G01C15/06Surveyors' staffs; Movable mark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02Rulers with scales or marks for direct read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3/00Measuring distances in line of sight; Optical rangefind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5/00Measuring height; Measuring distances transverse to line of sight; Levelling between separated points; Surveyors' leve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 Measuring Device Byusing Mechanical Metho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정되게 설치된 정밀 수준측량용 표척의 표면청소와 높이를 조절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면 상태에 따른 오차를 방지하고, 표척을 정확히 세울 수 있으며, 표척을 용이하게 닦을 수 있고, 정확한 눈금확인이 가능하며, 표고 정보를 통합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안정되게 설치된 정밀 수준측량용 표척의 표면청소와 높이를 조절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표척을 닦을 시 표척수가 편한 위치에서 닦을 수 있어 표척의 표면을 편리하면서도 신속하게 닦을 수 있으며, 표척의 표면의 먼지를 제거함으로써, 수준측량을 할 시 기계수가 보다 정밀한 측량을 할 수 있고, 여러 곳에서 작업이 진행 중인 표고측정장치로부터 표고정보를 통합적으로 수집할 수 있어, 표고정보의 통합관리가 가능고, 또한 길이조절대의 길이, 더 정확하게는 높이 조절을 쉽고 편리하게 하면서 정확한 조절이 가능한 효과도 있다.

Description

안정되게 설치된 정밀 수준측량용 표척의 표면청소와 높이를 조절하는 장치{Apparatus of staff installation with clean surface and adjusting hight for precise scaling}
본 발명은 수준측량을 안정되게 진행하여 표고 정보를 정밀하게 확인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준측량시에 지면 상태에 따른 오차 발생을 방지하고, 지정위치에 표척을 정확히 세울 수 있으며, 표척의 표면을 용이하며 깨끗하게 청소하고, 표척의 높이 조절이 쉽고 편리하며 표척의 눈금을 정확하게 확인 가능하고 여러 곳에서 진행중인 수준측량의 해당 표고 정보를 통합적으로 수집 확인할 수 있는 안정되게 설치된 정밀 수준측량용 표척의 표면청소와 높이를 조절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토목설계나 건축설계 등을 위해서는 수준측량이 먼저 이루어진다. 측량이란 수평거리와 고저차 및 방향을 측정하여 점들의 상호간의 위치를 결정하여 이를 도면이나 수치로 표시하고, 또한 현장에서 측설하는 제반 활동을 지칭한다.
수준(level) 측량은 표척(스타프)과 레벨기를 이용하여 두 지점간의 높이차를 구하는 측량이다.
이러한 수준측량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우선 표척수가 표고를 알고 있는 지상기준점에 표척을 세우고, 기계수는 일정거리 떨어진 제1관측점에서 레벨기로 표척의 눈금을 읽는다.
이후 상기 표척수가 제1지점으로 이동하여 표척을 세우고, 기계수가 제1지점 표척의 눈금을 읽는다. 여기서 지상기준점과 제1지점에서 읽은 눈금의 차와 지상기준점의 표고로부터 제1지점의 표고가 구해진다.
다음으로 기계수는 제1지점 뒤의 제2관측점으로 이동한 후에 표척수가 표척을 제자리에서 방향전환시켜, 표척이 레벨기를 바라보도록 하면 기계수는 레벨기로 표척의 눈금을 읽는다.
이후 표척수가 제2지점으로 이동하여 표척을 세우고, 기계수가 제2지점 표척의 눈금을 읽는다. 여기서 제2관측점에서 읽은 제1지점과 제2지점의 눈금 차이로부터 제2지점의 표고가 구해진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표척과 레벨기를 계속해서 이동시키고, 각 지점에서 표척과 레벨기의 방향을 전환시켜 눈금을 읽어 목표지점까지 각 지점의 표고를 구한다.
한편 상기 측량을 함에 있어, 종래에는 제자리에서 표척의 방향을 전환시켜 눈금을 읽어야 하므로 지면의 상태에 따라 여러 가지 오차가 발생되며, 표척을 정확히 세우기 어려워, 표척수가 표척을 잡고 있어야만 했다.
또한 종래에는 표척 표면에 먼지 등이 묻어 눈금이 정확히 보이지 않을 경우, 표척수는 길이가 긴 표척을 닦아야 하는데, 이럴 경우 표척을 잡으면서 닦기가 매우 어려웠다.
그리고 종래에는 상기 측정된 표고 정보를 통합적으로 확인할 수 없어, 효율적인 관리가 어려웠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특허등록 제10-1227189호(2013.01.22.) "정밀 수준측량을 통한 표고 정보 확인시스템"이 개시된 바 있다.
그런데, 상기 등록특허의 경우에는 길이조절대를 회전대에 대해 길이조절할 때 제2체결부재를 풀고 조이는 방식으로 조절해야 하므로 매우 번거로웠으며, 또한 길이조절된 정도를 눈대중으로 가늠해야 하므로 정확한 수평위치를 잡기가 어려웠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227189호(2013.01.22.) "정밀 수준측량을 통한 표고 정보 확인시스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지면 상태에 따른 오차를 방지하고, 표척을 정확히 세울 수 있으며, 표척을 용이하게 닦을 수 있고, 정확한 눈금확인이 가능하며, 표고 정보를 통합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면서 길이조절대의 높이를 조절하기 쉽고 편리하며 정확한 높이조절 정도를 즉시 확인할 수 있도록 한 안정되게 설치된 정밀 수준측량용 표척의 표면청소와 높이를 조절하는 장치을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내부에 형성되는 수용공간(111a)과, 수용공간(111a)의 하부에 배치되어 수용공간(111a)과 연통되며 하방으로 개구되는 거리측정기설치홀(111b)과, 수용공간(111a)의 상부에 배치되어 수용공간(111a)과 연통되며 상방으로 개구되는 표척삽입홀(111c)과, 측면 상부에 측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는 고정홀(111d)을 구비한 바디부(111), 바디부(111)의 상부 측단에 상방으로 돌출되는 걸림부(112), 바디부(111)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바디부(111)를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부(113)를 갖춘 표척고정기구(110); 표척고정기구(110)의 바디부(111)의 상부에 설치되며 걸림부(112)의 전방에 배치되는 지지대(121),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측방으로 개구된 길이조절홀(122a)과, 길이조절홀(122a)과 연통되며 상방으로 개구된 다수의 체결홀(122b)을 구비하여 지지대(12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대(122), 회전대(122)의 상부 측단에 상방으로 돌출되는 돌출부(123a)와, 상방으로 개구된 관통홀(123b1)을 구비하며 돌출부(123a)로부터 측방으로 돌출되는 고정부(123b)를 구비한 체결부(123), 회전대(122)의 길이조절홀(122a)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길이조절대와(124a)와, 길이조절대(124a)의 측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체(124b)와, 측방으로 개구된 표척통과홀(124c1)을 구비하여 회전체(124b)의 상부에 설치되는 표척통과부(124c)와, 내부에 먼지제거부설치홀(124d1)이 형성되며 표척통과부(124c)의 표척통과홀(124c1)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고 먼지제거부설치홀(124d1)에 파이프 형상을 이루는 천 재질의 먼지제거부(124d2)가 설치되는 착탈체(124d)를 갖춘 먼지제거체(124)를 구비한 표척먼지제거기구(120); 체결부(123)의 관통홀(123b1) 및 바디부(111)의 고정홀(111d)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어 표척먼지제거기구(120)를 고정하는 제1체결부재(130); 회전대(122)의 길이조절홀(122a)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어 길이조절대(124a)를 고정하는 제2체결부재(140); 를 갖춘 표척설치기구(100)와: 표척설치기구(100)의 표척삽입홀(111c)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며 둘레면에 눈금이 표시되는 표척(200)과: 표척고정기구(110)의 거리측정기설치홀(111b)에 설치되어, 표척(200)의 저면으로부터 지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측정기(300)와: 표척설치기구(100)에 설치되어, 거리측정기(300)의 거리값을 송출하는 송신기(400)와: 표척설치기구(100)에 설치된 표척(200)의 눈금을 확인하는 한편, 확인된 눈금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장치(510)를 구비하고, 입력장치(510)로부터의 눈금과 거리측정기(300)로부터의 거리값를 연산하여, 지면으로부터 표척(200)의 눈금까지의 높이를 연산하는 레벨기(500)와: 레벨기(500)를 이용하여 수집된 각각의 지점의 표고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610); 표고 정보를 송신하는 표고정보송신모듈(620);를 구비한 표고정보수집기(600):를 갖춘 표고측정장치(A), 다수의 지점에서 획득된 각각의 표고정보를 표고정보수집기(600)의 표고정보송신모듈(620)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모듈(B1)과: 각각의 지점에 따른 표고정보를 저장하는 표고정보DB(B2)과: 표고정보DB(B2)에 저장된 표고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모듈(B3):을 갖춘 표고정보수집장치(B),를 포함하되; 상기 회전대(122)는 공압실린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회전대(122)의 내부에는 피스톤(PT)이 구비되며; 상기 피스톤(PT)의 일측면에는 상기 회전대(122)의 선단면을 관통하여 상기 길이조절대(124a)의 하단이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회전대(122)의 내경 상단부에는 제1공급홀(SH1)이 형성되며; 상기 제1공급홀(SH1)은 상기 회전대(122)의 내부에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후 하단면에서 개방된 제1공급라인(SL1)과 연통되고; 상기 회전대(122)의 내경 하단부에는 제2공급홀(SH2)이 형성되며; 상기 제2공급홀(SH2)은 상기 회전대(122)의 내부에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후 하단면에서 개방된 제2공급라인(SL2)과 연통되고; 상기 회전대(122)의 내경에 설치되고,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배열되며, 제어부와 연결된 제1,2,3,4위치검출센서(S1,S2,S3,S4)를 포함하며; 상기 제1,2공급라인(SL1,SL2)은 표적고정기구(110) 상에 고정되고 제어부와 연결된 공압펌프(SP)와 연통되고; 상기 공압펌프(SP)에는 상기 제1,2,3,4위치검출센서(S1,S2,S3,S4)가 피스톤(PT)의 위치검출을 통해 제어부가 계산한 길이조절대(124a)의 인출길이를 실시간 표시하는 디지털표시기(DS)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되게 설치된 정밀 수준측량용 표척의 표면청소와 높이를 조절하는 장치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표척을 닦을 시 표척수가 편한 위치에서 닦을 수 있어 표척의 표면을 편리하면서도 신속하게 닦을 수 있으며, 표척의 표면의 먼지를 제거함으로써, 수준측량을 할 시 기계수가 보다 정밀한 측량을 할 수 있고, 여러 곳에서 작업이 진행 중인 표고측정장치로부터 표고정보를 통합적으로 수집할 수 있어, 표고정보의 통합관리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길이조절대의 길이, 더 정확하게는 높이 조절을 쉽고 편리하게 하면서 정확한 조절이 가능한 효과도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표고측정장치를 설명하는 도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표척설치기구를 상세히 설명하는 도시도 이고,
도 3 은 도 2의 X부분을 상세히 나타낸 상세도이고,
도 4 는 도 2의 Y부분을 상세히 나타낸 상세도이고,
도 5 는 도 2의 평면도이고,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표고측정장치의 기능블록 구성도이고,
도 7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2 는 본 발명 중 길이조절대의 개량 구조를 예시한 추가 실시예를 보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 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후술되는 선등록특허 제1227189호를 그대로 이용한다. 때문에, 이하 설명되는 장치 구성상 특징들은 모두 등록특허 제1227189호에 기재된 사항들이다.
다만, 본 발명은 상기 등록특허 제1227189호에 개시된 구성들 중 길이조절대의 길이조절을 용이하게 하고, 정확한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개선한 부분이 가장 핵심적인 구성상 특징을 이룬다.
따라서, 이하 설명되는 장치 구성과 특징 및 작동관계는 상기 등록특허 제1227189호의 내용을 그대로 인용하기로 하며, 후단부에서 본 발명의 주된 특징과 관련된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것으로 안정되게 설치된 정밀 수준측량용 표척의 표면청소와 높이를 조절하는 장치는 표고측정장치(A)와, 표고측정장치(A)와 통신하는 표고정보수집장치(도면 도시를 하지 않음)를 포함한다.
상기 표고측정장치(A)는 표척설치기구(100), 표척(200), 거리측정기(300), 송신기(400), 레벨기(500) 및, 표고정보수집기(600)를 갖춘다.
상기 표고설치기구(100)는 표척고정기구(110), 표척먼지제거기구(120), 제1체결부재(130) 및, 제2체결부재(140)를 갖춘다.
상기 표척고정기구(110)는 바디부(111), 걸림부(112) 및, 지지부(113)를 갖춘다.
상기 바디부(111)는 내부에 형성되는 수용공간(111a)과, 수용공간(111a)의 하부에 배치되어 수용공간(111a)과 연통되며 하방으로 개구되는 거리측정기설치홀(111b)과, 수용공간(111a)의 상부에 배치되어 수용공간(111a)과 연통되며 상방으로 개구되는 표척삽입홀(111c)과, 측면 상부에 측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는 고정홀(111d)을 갖춘다.
상기 걸림부(112)는 바디부(111)의 상부 측단에 형성되며, 상방으로 돌출된다.
상기 지지부(113)는 바디부(111)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바디부(111)를 지지한다. 이때 지지부(113)는 다수 개가 구비되며, 삼각대 구조를 이뤄 바디부(111)를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상기 표척먼지제거기구(120)는 지지대(121), 회전대(122), 체결부(123) 및, 먼지제거체(124)를 갖춘다.
상기 지지대(121)는 표척고정기구(110)의 바디부(111)의 상부에 설치되며 걸림부(112)의 전방에 배치된다.
상기 회전대(122)는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측방으로 개구된 길이조절홀(122a)과, 길이조절홀(122a)과 연통되며 상방으로 개구된 다수의 체결홀(122b)을 구비하여, 지지대(12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체결부(123)는 회전대(122)의 상부 측단에 상방으로 돌출되는 돌출부(123a)와, 상방으로 개구된 관통홀(123b1)을 구비하며 돌출부(123a)로부터 측방으로 돌출되는 고정부(123b)를 갖춘다.
상기 먼지제거체(124)는 회전대(122)의 길이조절홀(122a)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며 일단이 길이조절홀(122a)로부터 돌출되는 길이조절대와(124a)와, 길이조절대(124a)의 일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체(124b)와, 측방으로 개구된 표척통과홀(124c1)을 구비하여 회전체(124b)의 상부에 설치되는 표척통과부(124c)와, 내부에 먼지제거부설치홀(124d1)이 형성되며 표척통과부(124c)의 표척통과홀(124c1)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고 먼지제거부설치홀(124d1)에 파이프 형상을 이루는 천 재질의 먼지제거부(124d2)가 설치되는 착탈체(124d)를 갖춘다.
상기 제1체결부재(130)는 체결부(123)의 관통홀(123b1) 및 바디부(111)의 고정홀(111d)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어 표척먼지제거기구(120)를 고정한다. 이때 제1체결부재(130)는 체결부(123)의 관통홀(123b1) 및 바디부(111)의 고정홀(111d)에 나사산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체결부재(140)는 회전대(122)의 길이조절홀(122a)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어 길이조절대(124a)를 고정한다. 이때 제2체결부재(140)는 회전대(122)의 길이조절홀(122a)에 나사산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척(200)은 표척설치기구(100)의 표척삽입홀(111c)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며 둘레면에 눈금이 표시된다.
본 실시 예에서 표척(200)은 수준 측량에 사용되는 통상의 것으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거리측정기(300)는 표척고정기구(110)의 거리측정기설치홀(111b)에 설치되어, 표척(200)의 저면으로부터 지면까지의 거리를 측정한다. 본 실시 예에서 거리측정기(300)는 초음파, 적외선 등을 이용하여 거리를 측정하는 통상의 것으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송신기(400)는 표척설치기구(100)에 설치되어, 거리측정기(300)의 거리값을 무선 송출한다.
상기 레벨기(500)는 표척설치기구(100)에 설치된 표척(200)의 눈금을 확인하는 한편, 확인된 눈금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장치(510)를 구비하고, 입력장치(510)로부터의 눈금과 거리측정기(300)로부터의 거리값을 연산하여 지면으로부터 표척(200)의 눈금까지의 높이를 연산한다.
또한 상기 레벨기(500)는 기준국 및 인공위성과 통신하여 정확한 평면 위치 좌표값을 획득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기준국은 GPS안테나를 갖추고서,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값을 수신받는 GPS수신기와, GPS수신기로부터 전달받은 현재의 위치값과 저장된 절대값을 상호 연산하여 GPS보정값을 출력하는 제어부와, DGPS안테나를 갖추고서, 제어부로부터 GPS보정값을 전달받아 외부로 무선송출하는 DGPS송신기로 구성된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기준국의 제어부를 통해 연산된 GPS보정값(즉 위치 값)은 DGPS송신기로 전달되고, DGPS송신기와 연결된 DGPS안테나를 통해 레벨기(500)로 무선 송출된다.
그리고 상기 레벨기(500)는 DGPS안테나(521)를 갖추고서, 기준국의 DGPS송신기로부터 GPS보정 값을 수신받는 DGPS수신기(520)와, GPS안테나(531)를 갖추고서, 인공위성으로부터 현재 위치값을 수신받는 GPS수신기(530)와, DGPS수신기(520)로부터 받은 GPS보정값을 이용하여 GPS안테나(531)의 정밀위치 연산을 통해 레벨기(500)의 정밀위치를 확인하는 제어부(540)를 갖춘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 레벨기(500)의 일반적인 기능은 널리 알려진 공지기술로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표고정보수집기(600)는 레벨기(500)를 이용하여 수집된 각각의 지점의 표고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610)와, 표고 정보를 송신하는 표고정보송신모듈(620)을 갖춘다.
상기 표고정보수집장치(B)는 다수의 지점에서 획득된 각각의 표고정보를 표고정보수집기(600)의 표고정보송신모듈(620)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모듈(B1)과, 각각의 지점에 따른 표고정보를 저장하는 표고정보DB(B2)와, 표고정보DB(B2)에 저장된 표고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모듈(B3)을 갖춘다. 이때 표고정보수집장치(B)는 단말기 형태로 사용자가 소지하거나, 레벨기(500)에 설치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1 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7 내지 도 11 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표척수는 도 7 과 같이 표척먼지제거기구(120)를 세운 후, 제1체결부재(130)를 이용하여 표척먼지제거기구(120)를 고정한다.
이때, 상기 표척수는 표척먼지제거기구(120)의 길이조절대(124a)를 상하 이동시키면서 먼지제거체(124)의 착탈체(124d)의 높이를 조절한 후, 제2체결부재(140)를 이용하여 길이조절대(124a)를 도 8 과 같이 고정한다.
계속해서 상기 표척수는 먼지제거체(124)의 착탈체(124d)를 표척(200)을 삽입시키기 편한 위치로 회전시킨 후, 도 9 와 같이 표척(200)을 삽입한다.
이때, 상기 표척수는 표척(200)을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표척(200)의 표면은 먼지제거체(124)의 먼지제거부(124d)에 의해 닦여 표면에 묻은 먼지가 제거된다.
한편, 상기 먼지제거체(124)의 착탈체(124d)는 회전가능하기 때문에, 표척수는 도 10 과 같이 작업하기 편한 다양한 위치에서 표척(200)의 표면을 닦을 수 있다.
계속해서 상기 표척수는 표척고정기구(110)의 지지부(113)를 조절하여 표척설치기구(100)의 수평을 맞힌 후, 닦여진 표척(200)을 도 11 과 같이 표척고정기구(110)의 표척삽입홀(111c)에 삽입한다. 이후 기계수는 레벨기(500)로 표척(200)의 눈금을 읽는다.
이때, 상기 표척고정기구(110)에 설치된 거리측정기(300)는 도 11 과 같이 표척(200)의 저면으로부터 지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고, 측정된 거리값은 송신기(400)를 통해 레벨기(500)로 전송된다.
그러면 상기 레벨기(500)는 기계수가 입력한 눈금과 거리측정기(300)가 측정한 거리값을 합산하여 표척(200)이 설치된 지점의 표고정보를 획득한다.
이후, 상기 표척수 및 기계수는 일반적인 수준측량 방법을 지속적으로 수행하여, 다양한 지점의 표고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해당위치에 따른 표고정보를 표고정보수집기(600)의 표고정보송신모듈(620)을 통해 표고정보수집장치(B)로 송출한다.
이때, 상기 표고정보수집장치(B)는 수신모듈(B1)를 통해 표고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표고정보를 해당위치에 따라 표고정보DB(B2)에 저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표척(200)을 닦을 시 표척수가 편한 위치에서 닦을 수 있어 표척(200)의 표면을 편리하면서도 신속하게 닦을 수 있으며, 표척(200)의 표면의 먼지를 제거함으로써, 수준측량을 할 시 기계수가 보다 정밀한 측량을 할 수 있고, 여러 곳에서 작업이 진행 중인 표고측정장치(A)로부터 표고정보를 통합적으로 수집할 수 있어, 표고정보의 통합관리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추가 실시예는 상술한 구성을 그대로 포함하면서 도 12 에 예시된 바와 같이, 길이조절대(124a)의 구조를 개량하여 정확한 길이 조절 및 조절된 길이가 얼마인지를 즉시에 실시간 확인하면서 작업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의 편의성과 정확성을 더욱 더 향상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길이조절대(124a)는 앞서 설명한 예와 다른 구조를 갖는다.
즉, 도 12 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회전대(122)는 실린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회전대(122)의 내부에는 피스톤(PT)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피스톤(PT)에는 길이조절대(124a)가 일체로 고정되는데, 이때 상기 길이조절대(124a)는 일종의 피스톤로드가 되는 것이다.
이 경우 상기 길이조절대(124a)는 상기 회전대(122)의 선단면을 관통하여 배치되며, 관통된 부분은 씰링되어 공기가 빠져나가지 않도록 구성된다.
특히, 본 발명 추가 실시예에 따른 회전대(122)는 실린더 형태,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공압실린더 형태로 이루어지는데, 통상적인 공압실린더의 경우 공압라인(공급, 배출)이 몸체 외부에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몸체 안에 형성된다는 점이 큰 특징이라 하겠다.
이는 공압라인이 몸체 외부에 있을 경우 동작시 간섭이 일어나 동작이 부자연스럽고, 걸림 현상에 의한 공압라인 파손 등 많은 문제가 있으므로 이를 일소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회전대(122)의 내주면 상단부에 제1공급홀(SH1)이 형성되고, 제1공급홀(SH1)은 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하단면에서 개방된 제1공급라인(SL1)과 연통된다.
또한, 회전대(122)의 내주면 하단부에는 제2공급홀(SH2)이 형성되고, 제2공급홀(SH2)은 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하다면에서 개방된 제2공급라인(SL2)과 연통된다.
따라서 제1공급라인(SL1)과 제1공급홀(SH1)로 공압이 공급되면 제2공급홀(SH2)과 제2공급라인(SL2)을 통해 피스톤(PT) 하측의 공기가 빠져나가므로 피스톤(PT)은 하강하고, 그 반대의 경우에는 피스톤(PT)이 상승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피스톤(PT)과 함께 움직이는 길이조절대(124a)의 인출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제1,2공급라인(SL1,SL2)은 각각 표적고정기구(110) 상에 구비된 공압펌프(SP)와 연결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공압펌프(SP)에는 디지털표시기(DS)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디지털표시기(DS)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에는 제 1, 2, 3, 4위치검출센서(S1, S2, S3, S4)가 연결된다.
이때, 상기 제1, 2, 3, 4위치검출센서(S1, S2, S3, S4)는 상기 회전대(122)의 내주면에 상하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상기 피스톤(PT)의 위치를 검출하여 제어부로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2, 3, 4위치검출센서(S1, S2, S3, S4)의 검출신호를 수신한 후 산술연산하여 피스톤(PT)이 움직인 거리를 계산하고, 이를 디지털표시기(DS)에 표시함으로써 길이조절대(124a)의 인출길이를 즉시에 실시간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준다.
여기에서 길이조절대(124a)의 인출길이 계산은 상기 제 1, 2, 3, 4 위치검출센서(S1, S2, S3, S4)들 간의 거리를 결정되어 있기 때문에 피스톤(PT)이 이들 사이의 거리를 이동하는 시간을 이용하여 나누어주면 피스톤(PT)의 속도를 계산할 수 있다.
이러한 속도는 공급되는 공기압에 따라 달라지므로 결국, 공기압을 일정하게 유지한다면 길이조절대(124a)의 인출길이를 정확하게 계산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통상 공압펌프(SP)에는 정압으로 조절하는 레귤레이터가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설정된 공기압으로 항상 일정하게 공급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공압펌프(SP)도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제어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공압을 일정하게 유지하되, 길이조절대(124a)가 서서히 움직이도록 설정해 둔 상태에서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하고, 그 인출된 높이는 즉시에 표시되게 함으로써 작업자가 쉽고 빠르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하는 편의성을 증대시킨다.
A; 표고측정장치 100; 표척설치기구
200; 표척 300; 거리측정기
400; 송신기 500; 레벨기
600; 표고정보수집기 B; 표고정보수집장치
B1; 수신모듈 B2; 표고정보DB
B3; 디스플레이모듈

Claims (1)

  1. 내부에 형성되는 수용공간(111a)과, 수용공간(111a)의 하부에 배치되어 수용공간(111a)과 연통되며 하방으로 개구되는 거리측정기설치홀(111b)과, 수용공간(111a)의 상부에 배치되어 수용공간(111a)과 연통되며 상방으로 개구되는 표척삽입홀(111c)과, 측면 상부에 측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는 고정홀(111d)을 구비한 바디부(111), 바디부(111)의 상부 측단에 상방으로 돌출되는 걸림부(112), 바디부(111)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바디부(111)를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부(113)를 갖춘 표척고정기구(110); 표척고정기구(110)의 바디부(111)의 상부에 설치되며 걸림부(112)의 전방에 배치되는 지지대(121),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측방으로 개구된 길이조절홀(122a)과, 길이조절홀(122a)과 연통되며 상방으로 개구된 다수의 체결홀(122b)을 구비하여 지지대(12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대(122), 회전대(122)의 상부 측단에 상방으로 돌출되는 돌출부(123a)와, 상방으로 개구된 관통홀(123b1)을 구비하며 돌출부(123a)로부터 측방으로 돌출되는 고정부(123b)를 구비한 체결부(123), 회전대(122)의 길이조절홀(122a)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길이조절대와(124a)와, 길이조절대(124a)의 측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체(124b)와, 측방으로 개구된 표척통과홀(124c1)을 구비하여 회전체(124b)의 상부에 설치되는 표척통과부(124c)와, 내부에 먼지제거부설치홀(124d1)이 형성되며 표척통과부(124c)의 표척통과홀(124c1)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고 먼지제거부설치홀(124d1)에 파이프 형상을 이루는 천 재질의 먼지제거부(124d2)가 설치되는 착탈체(124d)를 갖춘 먼지제거체(124)를 구비한 표척먼지제거기구(120); 체결부(123)의 관통홀(123b1) 및 바디부(111)의 고정홀(111d)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어 표척먼지제거기구(120)를 고정하는 제1체결부재(130); 회전대(122)의 길이조절홀(122a)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어 길이조절대(124a)를 고정하는 제2체결부재(140); 를 갖춘 표척설치기구(100)와: 표척설치기구(100)의 표척삽입홀(111c)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며 둘레면에 눈금이 표시되는 표척(200)과: 표척고정기구(110)의 거리측정기설치홀(111b)에 설치되어, 표척(200)의 저면으로부터 지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측정기(300)와: 표척설치기구(100)에 설치되어, 거리측정기(300)의 거리값을 송출하는 송신기(400)와: 표척설치기구(100)에 설치된 표척(200)의 눈금을 확인하는 한편, 확인된 눈금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장치(510)를 구비하고, 입력장치(510)로부터의 눈금과 거리측정기(300)로부터의 거리값를 연산하여, 지면으로부터 표척(200)의 눈금까지의 높이를 연산하는 레벨기(500)와: 레벨기(500)를 이용하여 수집된 각각의 지점의 표고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610); 표고 정보를 송신하는 표고정보송신모듈(620);를 구비한 표고정보수집기(600):를 갖춘 표고측정장치(A), 다수의 지점에서 획득된 각각의 표고정보를 표고정보수집기(600)의 표고정보송신모듈(620)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모듈(B1)과: 각각의 지점에 따른 표고정보를 저장하는 표고정보DB(B2)과: 표고정보DB(B2)에 저장된 표고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모듈(B3):을 갖춘 표고정보수집장치(B)를 포함하되;
    상기 회전대(122)는 공압실린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회전대(122)의 내부에는 피스톤(PT)이 구비되며;
    상기 피스톤(PT)의 일측면에는 상기 회전대(122)의 선단면을 관통하여 상기 길이조절대(124a)의 하단이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회전대(122)의 내경 상단부에는 제1공급홀(SH1)이 형성되며;
    상기 제1공급홀(SH1)은 상기 회전대(122)의 내부에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후 하단면에서 개방된 제1공급라인(SL1)과 연통되고;
    상기 회전대(122)의 내경 하단부에는 제2공급홀(SH2)이 형성되며;
    상기 제2공급홀(SH2)은 상기 회전대(122)의 내부에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후 하단면에서 개방된 제2공급라인(SL2)과 연통되고;
    상기 회전대(122)의 내경에 설치되고,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배열되며, 제어부와 연결된 제1,2,3,4위치검출센서(S1,S2,S3,S4)를 포함하며;
    상기 제1,2공급라인(SL1,SL2)은 표적고정기구(110) 상에 고정되고 제어부와 연결된 공압펌프(SP)와 연통되고;
    상기 공압펌프(SP)에는 상기 제1,2,3,4위치검출센서(S1,S2,S3,S4)가 피스톤(PT)의 위치검출을 통해 제어부가 계산한 길이조절대(124a)의 인출길이를 실시간 표시하는 디지털표시기(DS)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되게 설치된 정밀 수준측량용 표척의 표면청소와 높이를 조절하는 장치.
KR1020130092211A 2013-08-02 2013-08-02 안정되게 설치된 정밀 수준측량용 표척의 표면청소와 높이를 조절하는 장치 KR1013493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2211A KR101349397B1 (ko) 2013-08-02 2013-08-02 안정되게 설치된 정밀 수준측량용 표척의 표면청소와 높이를 조절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2211A KR101349397B1 (ko) 2013-08-02 2013-08-02 안정되게 설치된 정밀 수준측량용 표척의 표면청소와 높이를 조절하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9397B1 true KR101349397B1 (ko) 2014-01-13

Family

ID=50145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2211A KR101349397B1 (ko) 2013-08-02 2013-08-02 안정되게 설치된 정밀 수준측량용 표척의 표면청소와 높이를 조절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939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4857B1 (ko) 2014-11-04 2015-02-23 김은경 수준측량이 용이한 수준점 측량시스템
KR101585659B1 (ko) * 2015-11-12 2016-01-15 (주)그린공간정보 정확한 지하시설물 도면 작성을 위한 측량 장치
CN110021211A (zh) * 2019-02-28 2019-07-16 南京耀多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电网大数据的智能考试系统和考试客户端
CN111664770A (zh) * 2020-07-27 2020-09-15 瑞森新建筑有限公司 一种简易型带标尺的扬尘高度测量工具
KR102171730B1 (ko) * 2020-03-19 2020-10-29 (주)원지리정보 측량정보의 오차 발생 여부를 확인하여 정확한 측량이 가능한 수준 측지측량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3344B1 (ko) 2009-08-12 2009-10-27 이경주 지피에스정보를 적용한 항공영상의 도화시스템
KR100923528B1 (ko) 2009-08-07 2009-11-02 (주)한성유아이엔지니어링 항공촬영 및 지피에스측정 정보합성을 이용한 전자지도의 수치정보확인시스템
KR100978944B1 (ko) 2009-06-01 2010-08-31 주식회사 동서지엔아이 수치지도를 통한 도시지역의 구조물 위치정보 확인시스템
KR101227189B1 (ko) 2012-08-06 2013-01-28 주식회사 한성유아이 정밀 수준측량을 통한 표고 정보 확인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8944B1 (ko) 2009-06-01 2010-08-31 주식회사 동서지엔아이 수치지도를 통한 도시지역의 구조물 위치정보 확인시스템
KR100923528B1 (ko) 2009-08-07 2009-11-02 (주)한성유아이엔지니어링 항공촬영 및 지피에스측정 정보합성을 이용한 전자지도의 수치정보확인시스템
KR100923344B1 (ko) 2009-08-12 2009-10-27 이경주 지피에스정보를 적용한 항공영상의 도화시스템
KR101227189B1 (ko) 2012-08-06 2013-01-28 주식회사 한성유아이 정밀 수준측량을 통한 표고 정보 확인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4857B1 (ko) 2014-11-04 2015-02-23 김은경 수준측량이 용이한 수준점 측량시스템
KR101585659B1 (ko) * 2015-11-12 2016-01-15 (주)그린공간정보 정확한 지하시설물 도면 작성을 위한 측량 장치
CN110021211A (zh) * 2019-02-28 2019-07-16 南京耀多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电网大数据的智能考试系统和考试客户端
KR102171730B1 (ko) * 2020-03-19 2020-10-29 (주)원지리정보 측량정보의 오차 발생 여부를 확인하여 정확한 측량이 가능한 수준 측지측량장치
CN111664770A (zh) * 2020-07-27 2020-09-15 瑞森新建筑有限公司 一种简易型带标尺的扬尘高度测量工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7188B1 (ko) 측지측량데이터의 오차발생을 최소화하는 수준측량시스템
KR101349397B1 (ko) 안정되게 설치된 정밀 수준측량용 표척의 표면청소와 높이를 조절하는 장치
KR101217602B1 (ko) 지하시설의 지도제작을 위한 지피에스 기반 측지측량 시스템
KR101229129B1 (ko) Gnss를 이용한 건물의 수직도 측정 방법 및 시스템
AU2012282360B2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calibrating sensors in drilling equipment
CN106959450A (zh) 勘测杆
KR101347859B1 (ko) 지면의 표고와 곡률오차의 동시 측량이 가능한 수준측량시스템
CN105424011A (zh) 测量装置以及测量装置的设置方法
KR101349652B1 (ko) 표척의 안정적인 설치장치
KR101227189B1 (ko) 정밀 수준측량을 통한 표고 정보 확인시스템
KR101789211B1 (ko) 측지측량의 효율적인 수행을 위한 삼각대 자동 수평조절 장치
KR101223125B1 (ko) 정밀 수준측량에 따른 표고정보 업데이트시스템
KR101490312B1 (ko) 지형변화를 감지해 기준점별 지피에스 좌표로 지표면을 측지측량하는 관측 시스템
KR100791069B1 (ko) 지상기준점과 지피에스를 이용한 지형현황 측량 보정시스템
KR101705710B1 (ko) 측량 데이터의 오차 보정을 위한 레벨기기
KR101223124B1 (ko) 지표면 측지측량의 오차율을 최소화하는 수준측량 관측시스템
KR102415009B1 (ko) 측정된 데이터의 오차값을 최소화할 수 있는 측지측량시스템
KR101830955B1 (ko) 지하시설물의 gis데이터 구축을 위한 정밀측량장치
KR101629716B1 (ko) 굴삭작업을 위한 좌표측량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46203B1 (ko) 수준점 및 표고점을 기반으로 gps를 측량하는 기본측량시스템
KR101494852B1 (ko) 오차요인 확인을 통한 정밀성 향상 수준측량시스템
KR101256630B1 (ko) 측지용 현장 관측기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보정처리하는 측지데이터 통합관리시스템
KR100766070B1 (ko) 지피에스를 이용한 지형변화 모니터링 시스템
JP6812066B2 (ja) 位置方位測定装置及び測量装置
KR101210539B1 (ko) 지표면의 수준측량과 지형 간 거리를 측량하는 측지정보 확인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