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0955B1 - 지하시설물의 gis데이터 구축을 위한 정밀측량장치 - Google Patents

지하시설물의 gis데이터 구축을 위한 정밀측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0955B1
KR101830955B1 KR1020170122342A KR20170122342A KR101830955B1 KR 101830955 B1 KR101830955 B1 KR 101830955B1 KR 1020170122342 A KR1020170122342 A KR 1020170122342A KR 20170122342 A KR20170122342 A KR 20170122342A KR 101830955 B1 KR101830955 B1 KR 1018309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transverse
fastening hole
fastening
ope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2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성유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성유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성유아이
Priority to KR10201701223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09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09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09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G01C15/002Active optical surveying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15/00Tags attached to, or associated with, an object, in order to enable detection of the objec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8/00Prospecting or detecting by optical means
    • G01V8/10Detecting, e.g. by using light barri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phys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With Unspecified Measu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시설물의 GIS데이터 구축을 위한 정밀측량장치에 관한 것으로,
측량기기(MA)와, 레벨기기(LA) 및, 휴대용단말기(TA)를 갖추고서, 지하시설물의 GIS데이터 구축을 위한 지하시설물 측량 데이터를 수집한다.

Description

지하시설물의 GIS데이터 구축을 위한 정밀측량장치{Precision Surveying Equipment}
본 발명은 지하시설물의 GIS데이터 구축을 위한 정밀측량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하수라인과, 각종 통신라인 및, 도심지 구성을 위한 다양한 지하시설물이 지하에 매설되고, 이러한 지하시설물은 매설 위치 및 깊이가 측량되어,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지리정보체계) 데이터의 자료로 사용된다.
이러한 지하시설물은 지하시설물 측량장치를 통해 측량이 이루어지는 데, 종래에는 지하시설물 측량장치를 통해 측량 작업을 수행할 시 갑자기 주변 환경이 어두워지면 정확한 지하시설물 측량 작업을 수행하기 어려웠다.
또한, 종래에는 지하시설물 측량 작업 시 사용되는 기기의 작동상태 및 상기 기기에서 수집하는 데이터를 한번에 확인할 수 없어, 지하시설물 측량을 신속 편리하게 수행하는데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지하시설물 측량장치는 하나의 지하시설물의 측량만 가능하여, 다양한 깊이에 설치된 다수의 지하시설물에 대한 측량에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더해, 종래의 지하시설물 측량장치는, 지하시설물이 상하로 배치되고, 지하시설물의 평면 위치가 서로 다를 시, 각각의 지하시설물에 대한 측량이 어려웠다.
따라서, 종래에는 지하시설물의 GIS 데이터를 구축하기 위한 정확한 측량 데이터를 확보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72124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어두운 주변 환경에서도 지하시설물 측량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지하시설물 측량 작업시 수집하는 데이터를 한번에 확인할 수 있으며, 다양한 위치에 매설된 지하시설물을 정확하게 측량하여 GIS데이터를 보다 정확하게 구축할 수 있는 '지하시설물의 GIS데이터 구축을 위한 정밀측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지대(11)의 내부에 상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는 공간부(11a)와, 공간부(11a)와 연통되게 좌우로 관통형성되어 지지대(11)의 상하를 따라 구비되되 지지대(11)의 측면 둘레를 따라 방사형으로 구비되는 다수의 체결홀(11b)을 갖춘 원형 바 형상의 지지대(11)와; 상기 지지대(11)의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어 지지대(11)의 공간부(11a)를 개폐하는 커버(12)로 구성되어, 지하시설물이 매설된 굴착홈(G)에 직립되게 배치되는 지지기구(10)와:
좌우로 개구되어 지지대(11)의 체결홀(11b)과 연통되는 체결홀(21a1)을 구비하여 지지기구(10)의 지지대(11)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회전체(21a)와, 상방으로 개구된 가이드부(21b1)를 구비하여 상기 회전체(21a)의 좌측에 구비되며 상면에 눈금이 표시되는 지지체(21b)를 갖춘 가로지지대(21)와; 상하로 개구된 체결홀(22a)을 구비하여 상기 가로지지대(21)의 가이드부(21b1)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면에 눈금이 표시된 슬라이드체(22)와; 상하로 개구되는 표척삽입부(23a)를 가지고서 상기 슬라이드체(22)의 좌측에 구비되는 표척삽입체(23)와; 지지기구(10)의 지지대(11)의 공간부(11a)로 노출가능하게 상기 회전체(21a)의 체결홀(21a1) 및 지지기구(10)의 지지대(11)의 체결홀(11b)에 나사산 결합되는 제1체결체(24) 및; 상기 슬라이드체(22)의 체결홀(22a)에 이동가능하게 체결되어 상기 가로지지대(21)를 가압하는 제2체결체(25)로 구성된 제1가로측량기구(20)와:
좌우로 개구되어 지지대(11)의 체결홀(11b)과 연통되는 체결홀(31a1)을 구비하여 지지기구(10)의 지지대(11)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회전체(31a)와, 상방으로 개구된 가이드부(31b1)를 구비하여 상기 회전체(31a)의 좌측에 구비되며 상면에 눈금이 표시되는 지지체(31b)를 갖춘 가로지지대(31)와; 상하로 개구된 체결홀(32a)을 구비하여 상기 가로지지대(31)의 가이드부(31b1)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면에 눈금이 표시된 슬라이드체(32)와; 상하로 개구되는 표척삽입부(33a)를 가지고서 상기 슬라이드체(32)의 좌측에 구비되는 표척삽입체(33)와; 지지기구(10)의 지지대(11)의 공간부(11a)로 노출가능하게 상기 회전체(31a)의 체결홀(31a1) 및 지지기구(10)의 지지대(11)의 체결홀(11b)에 나사산 결합되는 제1체결체(34) 및; 상기 슬라이드체(32)의 체결홀(32a)에 이동가능하게 체결되어 상기 가로지지대(31)를 가압하는 제2체결체(35)로 구성되어, 제1가로측량기구(20)보다 상방에 배치되는 제2가로측량기구(30)와:
지지기구(10)의 커버(12)의 하측에 설치되어 지지기구(10)의 지지대(11)의 공간부(11a)에 배치되며, 제1가로측량기구(20)의 제1체결체(24) 또는 제2가로측량기구(30)의 제1체결체(34)까지의 거리를 측정하여 측정 거리값을 무선 송출하는 초음파거리측정기(40)와:
제1가로측량기구(20)의 표척삽입체(23)의 표척삽입부(23a) 또는 제2가로측량기구(30)의 표척삽입체(33)의 표척삽입부(33a)에 삽탈가능하게 삽입되는 표척(50)과:
조명기구설치체(81)의 하부에 하방으로 개구되게 구비되어 표척(50)의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는 사각홈 형상의 삽입부(81a)와, 조명기구설치체(81)의 상부에 상방으로 개구되게 구비되되 지지기구(10)의 커버(12)에 나사산 체결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나사부(81b) 및, 조명기구설치체(81)의 측부에 구비되는 볼트체(81c)를 갖춘 조명기구설치체(81)와; 조명기구설치체(81)의 볼트체(81c)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조명등연결체(82) 및; 조명등연결체(82)에 설치되는 조명등(83)을 갖춘 조명기구(80)와:
상하로 개구되며 표척(50)이 삽탈가능하게 삽입되는 표척삽입부(61)와; 좌우로 관통되게 형성된 가로지지기구삽입부(62)를 갖춘 연결기구(60) 및:
연결기구(60)의 가로지지기구삽입부(62)에 삽탈가능하게 삽입되며, 양단이 상기 굴착홈(G)의 상부에 배치되는 가로지지기구(70)
로 구성되는 측량기기(MA),
삼각대(LA1)와: 삼각대(LA1)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며, 측량기기(MA)의 표척(50)을 시준하고 시준값을 무선송출하는 레벨기(LA2)로 구성된 레벨기기(LA),
카메라(TA1)와: 디스플레이(TA2) 및: 카메라(TA1)와 디스플레이(TA2)를 작동제어하고, 레벨기(LA2)로부터의 시준값 및 초음파거리측정기(40)로부터의 측정 거리값을 수신하여 상기 시준값 및 측정 거리값을 디스플레이(TA2)에 나타내며, 조명기구(80)의 조명등(83)을 원격제어하는 제어유닛(TA3)으로 구성된 휴대용단말기(TA)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조명기구(80)를 이용하여, 어두운 환경에서 지하시설물을 정확하게 측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측량기기(MA) 및 레벨기기(LA) 및 휴대용단말기(TA)를 연동시켜, 측량기기(MA) 및 레벨기기(LA) 및 휴대용단말기(TA)를 통해 수집한 측량 데이터를 휴대용단말기(TA)에서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지하시설물(P1) 및 제2지하시설물(P2)의 매설 깊이, 상호 간의 이격 거리 등을 측정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제1지하시설물(P1) 및 제2지하시설물(P2)이 상하로 배치되어 표척(50)을 제2지하시설물(P2)에 배치하기 쉽지 않은 경우에도 제2지하시설물(P2)에 대한 매설 깊이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하시설물의 GIS데이터 구축을 위한 정밀측량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전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휴대용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조명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 1의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A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평단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일부를 나타낸 정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1가로측량기구 및 제2가로측량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고,
도 8은 지지기구 및 표척이 설치된 상태에서의 X-X선 및 Y-Y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0 내지 도 23은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하시설물의 GIS데이터 구축을 위한 정밀측량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전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휴대용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조명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 1의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A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평단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일부를 나타낸 정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1가로측량기구 및 제2가로측량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고, 도 8은 지지기구 및 표척이 설치된 상태에서의 X-X선 및 Y-Y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지하시설물의 GIS데이터 구축을 위한 정밀측량장치의 구조적 특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지하시설물의 GIS데이터 구축을 위한 정밀측량장치는 측량기기(MA)와, 레벨기기(LA) 및, 휴대용단말기(TA)를 포함한다.
상기 측량기기(MA)는 지지기구(10)와, 제1가로측량기구(20)와, 제2가로측량기구(30)와, 초음파거리측정기(40)와, 표척(50)과, 조명기구(80)와, 연결기구(60) 및, 가로지지기구(70)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기구(10)는 지지대(11)와, 커버(12)를 갖추고서, 지하시설물이 매설된 굴착홈(G)에 직립되게 배치된다.
상기 지지대(11)는 지지대(11)의 내부에 상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는 공간부(11a)와, 공간부(11a)와 연통되게 좌우로 관통형성되어 지지대(11)의 상하를 따라 구비되되 지지대(11)의 측면 둘레를 따라 방사형으로 구비되는 다수의 체결홀(11b)을 갖춘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대(11)는 원형 바 형상을 이룬다.
상기 커버(12)는 지지대(11)의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어, 지지대(11)의 공간부(11a)를 개폐한다.
상기 제1가로측량기구(20)는 가로지지대(21)와, 슬라이드체(22)와, 표척삽입체(23)와, 제1체결체(24) 및, 제2체결체(25)를 갖춘다.
상기 제1가로측량기구(20)의 가로지지대(21)는, 좌우로 개구되어 지지대(11)의 체결홀(11b)과 연통되는 체결홀(21a1)을 구비하여 지지기구(10)의 지지대(11)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회전체(21a)와, 상방으로 개구된 가이드부(21b1)를 구비하여 상기 회전체(21a)의 좌측에 구비되며 상면에 눈금이 표시되는 지지체(21b)를 갖춘다.
상기 제1가로측량기구(20)의 슬라이드체(22)는 상하로 개구된 체결홀(22a)을 구비하여, 제1가로측량기구(20)의 가로지지대(21)의 가이드부(21b1)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면에 눈금이 표시된다.
상기 제1가로측량기구(20)의 표척삽입체(23)는 상하로 개구되는 표척삽입부(23a)를 가지고서, 상기 슬라이드체(22)의 좌측에 구비된다.
상기 제1가로측량기구(20)의 제1체결체(24)는 지지기구(10)의 지지대(11)의 공간부(11a)로 노출가능하게 제1가로측량기구(20)의 회전체(21a)의 체결홀(21a1) 및 지지기구(10)의 지지대(11)의 체결홀(11b)에 나사산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체결체(24)는 볼트 타입을 이룬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체결체(24)는, 상기 회전체(21a)를 지지대(11)에 고정하면서, 초음파거리측정기(40)가 제1가로측량기구(20)의 배치 높이를 측정하도록, 제1가로측량기구(20)의 위치를 나타내는 기능을 한다.
상기 제1가로측량기구(20)의 제2체결체(25)는 제1가로측량기구(20)의 슬라이드체(22)의 체결홀(22a)에 이동가능하게 체결되어 상기 가로지지대(21)를 가압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체결체(25)는 볼트 타입을 이룬다.
상기 제2가로측량기구(30)는 가로지지대(31)와, 슬라이드체(32)와, 표척삽입체(33)와, 제1체결체(34) 및, 제2체결체(35)를 갖추고서, 제1가로측량기구(20)보다 상방에 배치된다.
상기 제2가로측량기구(30)의 가로지지대(31)는, 좌우로 개구되어 지지대(11)의 체결홀(11b)과 연통되는 체결홀(31a1)을 구비하여 지지기구(10)의 지지대(11)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회전체(31a)와, 상방으로 개구된 가이드부(31b1)를 구비하여 상기 회전체(31a)의 좌측에 구비되며 상면에 눈금이 표시되는 지지체(31b)를 갖춘다.
상기 제2가로측량기구(30)의 슬라이드체(32)는 상하로 개구된 체결홀(32a)을 구비하여, 제2가로측량기구(30)의 가로지지대(31)의 가이드부(31b1)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면에 눈금이 표시된다.
상기 제2가로측량기구(30)의 표척삽입체(33)는 상하로 개구되는 표척삽입부(33a)를 가지고서, 제2가로측량기구(30)의 슬라이드체(32)의 좌측에 구비된다.
상기 제2가로측량기구(30)의 제1체결체(34)는 지지기구(10)의 지지대(11)의 공간부(11a)로 노출가능하게 제2가로측량기구(30)의 회전체(31a)의 체결홀(31a1) 및 지지기구(10)의 지지대(11)의 체결홀(11b)에 나사산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체결체(34)는 볼트 타입을 이룬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체결체(34)는, 상기 회전체(31a)를 지지대(11)에 고정하면서, 초음파거리측정기(40)가 제2가로측량기구(30)의 배치 높이를 측정하도록, 제2가로측량기구(30)의 위치를 나타내는 기능을 한다.
상기 제2가로측량기구(30)의 제2체결체(35)는 제2가로측량기구(30)의 슬라이드체(32)의 체결홀(32a)에 이동가능하게 체결되어 제2가로측량기구(30)의 가로지지대(31)를 가압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체결체(35)는 볼트 타입을 이룬다.
상기 초음파거리측정기(40)는 지지기구(10)의 커버(12)의 하측에 설치되어 지지기구(10)의 지지대(11)의 공간부(11a)에 배치되며, 제1가로측량기구(20)의 제1체결체(24) 또는 제2가로측량기구(30)의 제1체결체(34)까지의 거리를 측정하여 측정 거리값을 무선 송출한다. 초음파거리측정기(40)는 지지기구(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출력되는 초음파가 외부 신호에 의해 간섭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거리 측정을 위해 초음파거리측정기가 사용되지만, 상기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거리 측정기이면 다양한 거리측정기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초음파거리측정기(40)는 휴대용단말기(TA)에 의해 원격제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표척(50)은 제1가로측량기구(20)의 표척삽입체(23)의 표척삽입부(23a) 또는 제2가로측량기구(30)의 표척삽입체(33)의 표척삽입부(33a)에 삽탈가능하게 삽입된다.
상기 조명기구(80)는 조명기구설치체(81)와, 조명등연결체(82) 및, 조명등(83)을 갖춘다.
상기 조명기구설치체(81)는 조명기구설치체(81)의 하부에 하방으로 개구되게 구비되어 표척(50)의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는 사각홈 형상의 삽입부(81a)와, 조명기구설치체(81)의 상부에 상방으로 개구되게 구비되되 지지기구(10)의 커버(12)에 나사산 체결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나사부(81b) 및, 조명기구설치체(81)의 측부에 구비되는 볼트체(81c)를 갖춘다.
상기 조명등연결체(82)는 조명기구설치체(81)의 볼트체(81c)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된다.
상기 조명등(83)은 조명등연결체(82)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조명등(83)은 자체 배터리를 갖추며, 휴대용단말기(TA)에 의해 원격제어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연결기구(60)는, 상하로 개구되며 표척(50)이 삽탈가능하게 삽입되는 표척삽입부(61)와, 좌우로 관통되게 형성된 가로지지기구삽입부(62)를 갖춘다.
상기 가로지지기구(70)는 연결기구(60)의 가로지지기구삽입부(62)에 삽탈가능하게 삽입되며, 양단이 상기 굴착홈(G)의 상부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가로지지기구(70)는 사각 바 형상을 이룬다.
상기 레벨기기(LA)는 삼각대(LA1)와, 삼각대(LA1)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며, 측량기기(MA)의 표척(50)을 시준하고 시준값을 무선송출하는 레벨기(LA2)를 갖춘다. 본 실시예에서는 표척(50)을 시준하여 측량에 사용되는 기기면 레벨기(LA2) 대신에 다양한 측량용 기기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휴대용단말기(TA)는 카메라(TA1)와, 디스플레이(TA2) 및, 카메라(TA1)와 디스플레이(TA2)를 작동제어하고, 레벨기(LA2)로부터의 시준값 및 초음파거리측정기(40)로부터의 측정 거리값을 수신하여 상기 시준값 및 측정 거리값을 디스플레이(TA2)에 나타내며, 조명기구(80)의 조명등(83)을 원격제어하는 제어유닛(TA3)을 갖춘다. 본 실시예에서 휴대용단말기(TA)의 디스플레이(TA2)는 터치스크린 타입을 이룰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제어유닛(TA3)는 연산 기능 등을 더 갖출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23은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10 내지 도 2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주변 환경이 어두운 상태에서 도 10과 같이 지하시설물을 측량할 시, 작업자는 휴대용단말기(TA)를 통해 조명기구(80)의 조명등(83)을 원격하여, 조명등(83)이 점등되도록 한다. 그러면 조명등(83)은 표척(50) 주변을 조명하고, 작업자는 레벨기(LA2)를 통해 표척(50)을 정확하게 시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주변 환경이 어두운 상태에서 도 11과 같이 제1가로측량기구(20) 및 제2가로측량기구(30)의 눈금을 읽을 시, 조명기구(80)의 나사부(81b)가 지지기구(10)의 커버(12)에 나사산 결합되게 한 후, 조명기구(80)의 조명등(83)이 하방을 향하도록 셋팅한다. 그러면 조명등(83)은 제1가로측량기구(20) 및 제2가로측량기구(30)의 주변을 조명하고, 작업자는 제1가로측량기구(20) 및 제2가로측량기구(30)에 표시된 눈금을 정확하게 읽을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을 이용한 제1지하시설물(P1) 및 제2지하시설물(P2)의 측량 방법을 보다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같이, 제1지하시설물(P1) 및 제2지하시설물(P2)이 굴착홈(G)에 매설되어 있을 시, 도 1과 같이 본 발명의 지하시설물 측량장치를 설치한다. 이때 제1가로측량기구(20)를 제2지하시설물(P2)에 안착시키기 위해, 제1가로측량기구(20)를 하방으로 이동시킬 시, 제1가로측량기구(20)는 제1지하시설물(P1)과 간섭이 발생할 수 있어, 도 12와 같이 제1가로측량기구(20)를 회전시킨 후 하방으로 이동시켜 제1가로측량기구(20)와 제1지하시설물(P1)의 간섭을 방지한다.
여기서, 제1지하시설물(P1)을 측량하기 위해서는 도 13과 같이 본 발명의 지하시설물 측량장치를 설치한 후, 레벨기(LA2)를 이용한 표척(50) 시준 작업을 통해, 제1지하시설물(P1)의 매설 깊이(a)를 구할 수 있다.
또한, 제2지하시설물(P2)의 매설 깊이를 구하기 위해서는 도 13과 같은 상태에서 도 14와 같이 제2가로측량기구(30)의 제1체결체(34)를 우방으로 이동시킨 후, 초음파거리측정기(40)를 구동하여, 도 15와 같이 지지기구(10)의 상단에서 제1가로측량기구(20)의 제1체결체(24)까지의 거리(b)를 측정한다.
그리고, 도 16과 같이 제2가로측량기구(30)의 제1체결체(34)를 좌방으로 이동시킨 후, 초음파거리측정기(40)를 구동하여, 도 17과 같이 지지기구(10)의 상단에서 제2가로측량기구(30)의 제1체결체(34)까지의 거리(c)를 측정한다.
이후, 측정된 제1지하시설물(P1)의 매설 깊이(a), 지지기구(10)의 상단에서 제1가로측량기구(20)의 제1체결체(24)까지의 거리(b), 지지기구(10)의 상단에서 제2가로측량기구(30)의 제1체결체(34)까지의 거리(c)를 이용해(도 18 참조), 제2지하시설물(P2)의 매설 깊이(d)를 구한다. 즉 d = a+(b-c)의 연산을 통해 제2지하시설물(P2)의 매설 깊이(d)를 구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도 19와 같이 제1가로측량기구(20) 및 제2가로측량기구(30)를 위치시킨 후, 제1지하시설물(P1)의 상하 폭을 구할 수 있다.
이때, 도 14와 같은 방식으로 지지기구(10)의 상단에서 제1가로측량기구(20)까지의 거리(e)를 구하고, 도 16과 같은 방식으로 지지기구(10)의 상단에서 제2가로측량기구(30)까지의 거리(c)를 구해, 제1지하시설물(P1)의 상하 폭(f = e-c)를 구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도 20과 같이 제1가로측량기구(20) 및 제2가로측량기구(30)를 배치시킨 상태에서 초음파거리측정기구(40)를 구동하여, 도 21과 같이 지지기구(10)의 길이(g)를 구하고, 도 14와 같은 방식으로 지지기구(10)의 상단에서 제1가로측량기구(20)의 제1체결체(24)까지의 거리(b)를 구해, 제2지하시설물(P2)의 상하 폭(h = g-b, 도 21 참조)을 구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초음파거리측정기(40)로 측정하는 거리는 별도의 측량기구(예를 들어 줄자 등)을 통해 작업자가 직접 측정할 수도 있다.
또한, 도 22와 같이 제1지하시설물(P1) 및 제2지하시설물(P2)의 평면 위치가 서로 다를 경우, 도 22와 같이 표척(50)을 설치하여, 제1지하시설물(P1)의 매설 깊이를 구할 수 있고, 도 23과 같이 표척(50)을 설치하여, 제2지하시설물(P2)의 매설 깊이를 구할 수 있다. 여기서 제2지하시설물(P2)의 매설 깊이를 구하기 위해 표척(50)을 설치할 시 표척(50)과 제2가로측량기구(30) 사이에 간섭이 발생하기 때문에, 도 23과 같이 제2가로측량기구(30)를 회전시킨 후 표척(50)을 제2지하시설물(P2)의 상측에 배치시킨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제1지하시설물(P1)과 제2지하시설물(P2)의 이격거리를 구할 수 있다.
이때, 도 22와 같이 제2가로측량기구(30)를 펼친 후, 제2가로측량기구(30)의 가로지지대(31) 및 슬라이드체(32)의 눈금을 읽어 제1지하시설물(P1)의 중심에서 지지기구(10)까지의 수평거리(i)를 구하고, 도 23과 같이 제1가로측량기구(20)의 가로지지대(21)의 눈금을 읽어 제2지하시설물(P2)에서 지지기구(10)까지의 수평거리(j)를 구해, 제1지하시설물(P1)과 제2지하시설물(P2)의 이격거리(k = i-j)를 구한다. 여기서 작업자가 굴착홈(G)의 외부에 있을 시, 작업자는 휴대용단말기(TA)의 카메라(TA1)를 통해 제1가로측량기구(20) 또는 제2가로측량기구(30)를 촬영하여, 제1가로측량기구(20) 또는 제2가로측량기구(30)에서 확인하고자 하는 눈금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초음파거리측정기(40)에서 측정된 거리값 및 레벨기(LA2)에서 시준한 시준값은 휴대용단말기(TA)에 전송되고, 상기 측정된 거리값 및 상기 시준값이 휴대용단말기(TA)의 디스플레이(TA2)에 표시된다. 이때 작업자는 휴대용단말기(TA)에서, 상기 측정된 거리값, 상기 시준값, 작업자가 확인한 눈금 등을 이용하여, 계산하고자 하는 측량값을 계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지하시설물을 측량하여, 지하시설물 측량 데이터를 확보하고, 이를 기반으로 GIS 데이터를 구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조명기구(80)를 이용하여, 어두운 환경에서 지하시설물을 정확하게 측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측량기기(MA) 및 레벨기기(LA) 및 휴대용단말기(TA)를 연동시켜, 측량기기(MA) 및 레벨기기(LA) 및 휴대용단말기(TA)를 통해 수집한 측량 데이터를 휴대용단말기(TA)에서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지하시설물(P1) 및 제2지하시설물(P2)의 매설 깊이, 상호 간의 이격 거리 등을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제1지하시설물(P1) 및 제2지하시설물(P2)이 상하로 배치되어 표척(50)을 제2지하시설물(P2)에 배치하기 쉽지 않은 경우에도 제2지하시설물(P2)에 대한 매설 깊이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조명기구(80)를 통해 어두운 환경에서도 정확하게 측량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한편, 제1지하시설물(P1) 및 제1지하시설물(P1)의 하방에 위치하는 제2지하시설물(P2)에 대해서도 정확하게 측량하고, GIS 데이터 구축을 위한 지하시설물 측량을 수행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본 발명의 명칭 및 청구대상을 지하시설물의 GIS데이터 구축을 위한 정밀측량장치로 정의한다.
MA; 측량기기 10; 지지기구
20; 제1가로측량기구 30; 제2가로측량기구
40; 초음파거리측정기 50; 표척
60; 연결기구 70; 가로지지기구
80; 조명기구 LA; 레벨기기
LA1; 삼각대 LA2; 레벨기
TA; 휴대용단말기 TA1; 카메라
TA2; 디스플레이 TA3; 제어유닛

Claims (1)

  1. 지지대(11)의 내부에 상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는 공간부(11a)와, 공간부(11a)와 연통되게 좌우로 관통형성되어 지지대(11)의 상하를 따라 구비되되 지지대(11)의 측면 둘레를 따라 방사형으로 구비되는 다수의 체결홀(11b)을 갖춘 원형 바 형상의 지지대(11)와; 상기 지지대(11)의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어 지지대(11)의 공간부(11a)를 개폐하는 커버(12)로 구성되어, 지하시설물이 매설된 굴착홈(G)에 직립되게 배치되는 지지기구(10)와:
    좌우로 개구되어 지지대(11)의 체결홀(11b)과 연통되는 체결홀(21a1)을 구비하여 지지기구(10)의 지지대(11)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회전체(21a)와, 상방으로 개구된 가이드부(21b1)를 구비하여 상기 회전체(21a)의 좌측에 구비되며 상면에 눈금이 표시되는 지지체(21b)를 갖춘 가로지지대(21)와; 상하로 개구된 체결홀(22a)을 구비하여 상기 가로지지대(21)의 가이드부(21b1)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면에 눈금이 표시된 슬라이드체(22)와; 상하로 개구되는 표척삽입부(23a)를 가지고서 상기 슬라이드체(22)의 좌측에 구비되는 표척삽입체(23)와; 지지기구(10)의 지지대(11)의 공간부(11a)로 노출가능하게 상기 회전체(21a)의 체결홀(21a1) 및 지지기구(10)의 지지대(11)의 체결홀(11b)에 나사산 결합되는 제1체결체(24) 및; 상기 슬라이드체(22)의 체결홀(22a)에 이동가능하게 체결되어 상기 가로지지대(21)를 가압하는 제2체결체(25)로 구성된 제1가로측량기구(20)와:
    좌우로 개구되어 지지대(11)의 체결홀(11b)과 연통되는 체결홀(31a1)을 구비하여 지지기구(10)의 지지대(11)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회전체(31a)와, 상방으로 개구된 가이드부(31b1)를 구비하여 상기 회전체(31a)의 좌측에 구비되며 상면에 눈금이 표시되는 지지체(31b)를 갖춘 가로지지대(31)와; 상하로 개구된 체결홀(32a)을 구비하여 상기 가로지지대(31)의 가이드부(31b1)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면에 눈금이 표시된 슬라이드체(32)와; 상하로 개구되는 표척삽입부(33a)를 가지고서 상기 슬라이드체(32)의 좌측에 구비되는 표척삽입체(33)와; 지지기구(10)의 지지대(11)의 공간부(11a)로 노출가능하게 상기 회전체(31a)의 체결홀(31a1) 및 지지기구(10)의 지지대(11)의 체결홀(11b)에 나사산 결합되는 제1체결체(34) 및; 상기 슬라이드체(32)의 체결홀(32a)에 이동가능하게 체결되어 상기 가로지지대(31)를 가압하는 제2체결체(35)로 구성되어, 제1가로측량기구(20)보다 상방에 배치되는 제2가로측량기구(30)와:
    지지기구(10)의 커버(12)의 하측에 설치되어 지지기구(10)의 지지대(11)의 공간부(11a)에 배치되며, 제1가로측량기구(20)의 제1체결체(24) 또는 제2가로측량기구(30)의 제1체결체(34)까지의 거리를 측정하여 측정 거리값을 무선 송출하는 초음파거리측정기(40)와:
    제1가로측량기구(20)의 표척삽입체(23)의 표척삽입부(23a) 또는 제2가로측량기구(30)의 표척삽입체(33)의 표척삽입부(33a)에 삽탈가능하게 삽입되는 표척(50)과:
    조명기구설치체(81)의 하부에 하방으로 개구되게 구비되어 표척(50)의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는 사각홈 형상의 삽입부(81a)와, 조명기구설치체(81)의 상부에 상방으로 개구되게 구비되되 지지기구(10)의 커버(12)에 나사산 체결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나사부(81b) 및, 조명기구설치체(81)의 측부에 구비되는 볼트체(81c)를 갖춘 조명기구설치체(81)와; 조명기구설치체(81)의 볼트체(81c)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조명등연결체(82) 및; 조명등연결체(82)에 설치되는 조명등(83)을 갖춘 조명기구(80)와:
    상하로 개구되며 표척(50)이 삽탈가능하게 삽입되는 표척삽입부(61)와; 좌우로 관통되게 형성된 가로지지기구삽입부(62)를 갖춘 연결기구(60) 및:
    연결기구(60)의 가로지지기구삽입부(62)에 삽탈가능하게 삽입되며, 양단이 상기 굴착홈(G)의 상부에 배치되는 가로지지기구(70)
    로 구성되는 측량기기(MA),
    삼각대(LA1)와: 삼각대(LA1)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며, 측량기기(MA)의 표척(50)을 시준하고 시준값을 무선송출하는 레벨기(LA2)로 구성된 레벨기기(LA),
    카메라(TA1)와: 디스플레이(TA2) 및: 카메라(TA1)와 디스플레이(TA2)를 작동제어하고, 레벨기(LA2)로부터의 시준값 및 초음파거리측정기(40)로부터의 측정 거리값을 수신하여 상기 시준값 및 측정 거리값을 디스플레이(TA2)에 나타내며, 조명기구(80)의 조명등(83)을 원격제어하는 제어유닛(TA3)으로 구성된 휴대용단말기(TA)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시설물의 GIS데이터 구축을 위한 정밀측량장치.
KR1020170122342A 2017-09-22 2017-09-22 지하시설물의 gis데이터 구축을 위한 정밀측량장치 KR1018309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2342A KR101830955B1 (ko) 2017-09-22 2017-09-22 지하시설물의 gis데이터 구축을 위한 정밀측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2342A KR101830955B1 (ko) 2017-09-22 2017-09-22 지하시설물의 gis데이터 구축을 위한 정밀측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0955B1 true KR101830955B1 (ko) 2018-02-23

Family

ID=61387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2342A KR101830955B1 (ko) 2017-09-22 2017-09-22 지하시설물의 gis데이터 구축을 위한 정밀측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095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2139B1 (ko) * 2018-11-27 2019-08-19 박영인 레이저 레벨 측정시스템
KR102208395B1 (ko) * 2020-06-29 2021-01-27 주식회사 한국도시공간 지하시설물 데이터 구축이 가능한 정밀 지하시설물 측량시스템
KR102642142B1 (ko) * 2023-10-19 2024-02-29 (주)해동기술개발공사 지하시설물의 gis 데이터 구축을 위한 지하시설물 측량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1248B1 (ko) 2016-12-16 2017-03-30 주식회사 범아엔지니어링 지하시설물 실시간 위치 측량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1248B1 (ko) 2016-12-16 2017-03-30 주식회사 범아엔지니어링 지하시설물 실시간 위치 측량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2139B1 (ko) * 2018-11-27 2019-08-19 박영인 레이저 레벨 측정시스템
KR102208395B1 (ko) * 2020-06-29 2021-01-27 주식회사 한국도시공간 지하시설물 데이터 구축이 가능한 정밀 지하시설물 측량시스템
KR102642142B1 (ko) * 2023-10-19 2024-02-29 (주)해동기술개발공사 지하시설물의 gis 데이터 구축을 위한 지하시설물 측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7602B1 (ko) 지하시설의 지도제작을 위한 지피에스 기반 측지측량 시스템
KR101830955B1 (ko) 지하시설물의 gis데이터 구축을 위한 정밀측량장치
US8280677B2 (en) Geographical data collecting device
KR101227188B1 (ko) 측지측량데이터의 오차발생을 최소화하는 수준측량시스템
US20110066375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navigational information associated with locations of objects
KR101347859B1 (ko) 지면의 표고와 곡률오차의 동시 측량이 가능한 수준측량시스템
CN102168939B (zh) 一种地表裂缝的三维测量方法及测量装置
KR101233719B1 (ko) 측지측량에서 영상정보 취득을 이용한 국가수준기준점 측량장치
CN103983255A (zh) 用于测量和远程控制的移动场控制器
KR101349377B1 (ko) 측지측량용 표척의 정밀계측을 위한 안정적인 설치장치
KR101789211B1 (ko) 측지측량의 효율적인 수행을 위한 삼각대 자동 수평조절 장치
JPH1114355A (ja) 測量装置及び測量方法
KR101705710B1 (ko) 측량 데이터의 오차 보정을 위한 레벨기기
CN104374365A (zh) 一种手机测高软件及基于该软件的测高方法
KR101586755B1 (ko) 정확한 지하시설물 측량을 위한 측량 장치
KR101479604B1 (ko) 정밀 지적측량을 위한 측량장비
KR101830956B1 (ko) 정확도가 향상된 gis 데이터 수정용 지하시설물 측량장치
KR101349397B1 (ko) 안정되게 설치된 정밀 수준측량용 표척의 표면청소와 높이를 조절하는 장치
KR101213605B1 (ko) 지상의 지형데이터 대비 지하구조에 대한 측지측량값 처리가 가능한 지아이에스 기반 지점별 측량데이터 관리시스템
KR101240310B1 (ko) 지피에스 기준점에 따라 수치지도 데이터를 갱신하는 수치 인식시스템
KR101223124B1 (ko) 지표면 측지측량의 오차율을 최소화하는 수준측량 관측시스템
KR101820122B1 (ko) 측지측량을 위한 스테레오 카메라 수평유지장치
KR101346203B1 (ko) 수준점 및 표고점을 기반으로 gps를 측량하는 기본측량시스템
KR101217197B1 (ko) 지하설비 관측을 기초로 한 지피에스 연계형 지도 제작용 지하 정밀 측지시스템
KR101144200B1 (ko) 일반도화기에서 사용되는 영상도화이미지의 데어터 수집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