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2142B1 - 지하시설물의 gis 데이터 구축을 위한 지하시설물 측량장치 - Google Patents
지하시설물의 gis 데이터 구축을 위한 지하시설물 측량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42142B1 KR102642142B1 KR1020230140140A KR20230140140A KR102642142B1 KR 102642142 B1 KR102642142 B1 KR 102642142B1 KR 1020230140140 A KR1020230140140 A KR 1020230140140A KR 20230140140 A KR20230140140 A KR 20230140140A KR 102642142 B1 KR102642142 B1 KR 10264214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magnet
- lighting
- measuring
- post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group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933 burial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50 mark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G01C15/002—Active optical surveying mea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4—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 F16M11/26—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by telescoping, with or without folding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28—Structurally-combined illuminating devic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30—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an instrument;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a set of instru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지하시설물의 GIS 데이터 구축을 위한 지하시설물 측량장치는, 측량부, 삼각대, 상기 삼각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측량부의 포스트부를 시준하고 시준값을 무선송출하는 레벨기가 구비된 레벨기기 및 카메라, 디스플레이 및 상기 카메라와 상기 디스플레이를 작동제어하고 상기 레벨기로부터의 시준값 및 상기 측량부의 거리 측정부로부터의 측정 거리값을 수신하여 상기 시준값 및 상기 측정 거리값을 디스플레이에 나타내며 상기 측량부에 마련된 조명부의 조명 부재를 원격제어하는 제어유닛이 구비된 휴대용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지하시설물 측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하시설물의 GIS 데이터 구축을 위한 지하시설물 측량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하수라인과, 각종 통신라인 및, 도심지 구성을 위한 다양한 지하시설물이 지하에 매설되고, 이러한 지하시설물은 매설 위치 및 깊이가 측량되어,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지리정보체계) 데이터의 자료로 사용된다.
이러한 지하시설물은 지하시설물 측량장치를 통해 측량이 이루어지는 데, 종래에는 지하시설물 측량장치를 통해 측량 작업을 수행할 시 갑자기 주변 환경이 어두워지면 정확한 지하시설물 측량 작업을 수행하기 어려웠다.
또한 종래에는 지하시설물 측량 작업 시 사용되는 기기의 작동상태 및 상기 기기에서 수집하는 데이터를 한번에 확인할 수 없어, 지하시설물 측량을 신속 편리하게 수행하는데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지하시설물 측량장치는 하나의 지하시설물의 측량만 가능하여, 다양한 깊이에 설치된 다수의 지하시설물에 대한 측량에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더해, 종래의 지하시설물 측량장치는, 지하시설물이 상하로 배치되고, 지하시설물의 평면 위치가 서로 다를 시, 각각의 지하시설물에 대한 측량이 어려웠다.
따라서 종래에는 지하시설물의 GIS 데이터를 구축하기 위한 정확한 측량 데이터를 확보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이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30955호(2018.02.13.)에 개시되어 있다. 이 선행기술은 제1지하시설물 및 제2지하시설물이 상하로 배치되어 표척을 제2지하시설물에 배치하기 쉽지 않은 경우에도 제2지하시설물에 대한 매설 깊이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다만 전술한 선행기술은 제1가로측량기구와 제2가로측량기구가 볼트 형태로 결합되어 제1지하시설물 및 제2지하시설물의 높이에 대응되게 위치를 조절하는 경우 일일이 볼트를 풀고 조여야 되어서 불편한 점이 있다. 특히 작업자가 좁은 지하 환경에 있는 경우 더욱 더 불편한 점이 있다.
또한 전술한 선행기술은 제1가로측량기구와 제2가로측량기구가 회전에 의해 작동되어 작동 한계가 있으므로 다양한 지하시설물에 대응되게 제1가로측량기구와 제2가로측량기구의 위치를 가변하기 어려우므로 이에 대한 개선책도 요구된다.
전술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작업자가 좁은 지하 환경에 있는 경우에도 볼트르 조이거나 푸는 작업 없이 작업을 편리하게 함과 아울러 다양한 지하시설물에 대응되게 위치를 가변하여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지하시설물의 GIS 데이터 구축을 위한 지하시설물 측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조명부를 이용하여 어두운 환경에서 지하시설물을 정확하게 측량할 수 있고, 휴대용단말기를 연동시켜 측량부와 레벨기기와 휴대용단말기를 통해 수집한 측량 데이터를 휴대용단말기에서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지하시설물의 GIS 데이터 구축을 위한 지하시설물 측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측량부; 삼각대, 상기 삼각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측량부의 포스트부를 시준하고 시준값을 무선송출하는 레벨기가 구비된 레벨기기; 및 카메라, 디스플레이 및 상기 카메라와 상기 디스플레이를 작동제어하고 상기 레벨기로부터의 시준값 및 상기 측량부의 거리 측정부로부터의 측정 거리값을 수신하여 상기 시준값 및 상기 측정 거리값을 디스플레이에 나타내며 상기 측량부에 마련된 조명부의 조명 부재를 원격제어하는 제어유닛이 구비된 휴대용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측량부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마련되는 연장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각도 조절되게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 다리부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부에 마련되는 포스트부가 구비된 본체; 상기 포스트부에 마련되는 상기 조명부; 상기 연장 플레이트에 마련되어 거리를 측정하는 상기 거리 측정부; 상기 복수의 지지 다리부 중 하나의 지지 다리부 및 상기 다른 하나의 지지 다리부에 각각 자력으로 탈착 결합되어 지하 매설 배관을 포함하는 측정 대상물의 직경을 측정하는 제1 측정부; 및 상기 제1 측정부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하나의 지지 다리부 및 상기 다른 하나의 지지 다리부에 각각 자력으로 탈착 결합되어 측정 대상물의 직경을 측정하는 제2 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지지 다리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회전되게 각각 힌지 결합되는 제1 다리; 상측부는 상기 제1 다리에 결합되고 하측부는 지면에 고정되는 제2 다리; 및 상기 제1 다리 및 상기 제2 다리에 각각 마련되는 복수의 다리 자석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포스트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부에 결합되는 제1 포스트; 상기 제1 포스트에 높이 조절되게 결합되는 제2 포스트; 및 상기 제2 포스트에 높이 조절되게 결합되는 제3 포스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3 포스트에는 포스트 자석 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조명부는 상기 포스트 자석 부재에 의해 상기 제3 포스트에 탈착 결합되고, 상기 조명부는, 상기 제3 포스트에 탈착 결합되는 조명 바디; 상기 조명 바디의 하부에 마련되는 조명 부재; 상기 조명 바디에 마련되는 복수의 조명 자석 부재; 상기 조명 바디에 마련되는 복수의 조명 다리; 및 상기 조명 바디에 마련되는 수평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조명 자석 부재와 상기 포스트 자석 부재는 서로 인력이 작용되어 상기 조명 바디의 위치를 가변할 수 있고, 상기 거리 측정부는, 상기 연장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거리 측정 바디; 및 상기 거리 측정 바디에 마련되어 상기 제1 측정부 또는 상기 제2 측정부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초음파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거리 측정 바디에는 바디 결합홈이 마련되고, 상기 바디 결합홈은 상기 연장 플레이트에 마련된 결합바에 탈착되게 끼워 맞춤 결합되고, 상기 제1 측정부는, 상기 제2 측정부의 상부에 배치되며 제1 눈금이 마련되는 제1 측정 바디; 상기 제1 측정 바디의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다리 자석 부재와 인력이 작용되어 상기 제1 측정 바디를 상기 제1 다리에 자력으로 탈착 결합시키는 제1 자석부; 및 상기 제1 측장 바디와 상기 제1 자석부의 사이 공간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1 측정 바디의 내벽과 상기 제1 자석부의 외벽을 가압하는 복수의 제1 고정바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측정부는, 상기 제1 측정부의 하부에 배치되며 제2 눈금이 마련되는 제2 측정 바디; 상기 제2 측정 바디의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다리 자석 부재와 인력이 작용되어 상기 제2 측정 바디를 상기 제2 다리에 자력으로 탈착 결합시키는 제2 자석부; 및 상기 제2 측정 바디와 상기 제2 자석부의 사이 공간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2 측정 바디의 내벽과 상기 제2 자석부의 외벽을 가압하는 복수의 제2 고정바를 포함하는 지하시설물의 GIS 데이터 구축을 위한 지하시설물 측량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자석부는, 상기 제1 측정 바디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고정바에 의해 가압되어 위치 고정되는 제1 자석 바디; 및 상기 제1 자석 바디의 내부에 결합되는 제1 자석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정바의 외벽에는 제1 나사산이 마련되어 상기 제1 측정 바디의 내벽에 마련된 제1 내벽 나사산 및 상기 제1 자석 바디의 외벽에 마련된 제1 바디 나사산과 나사 결합되고, 상기 제2 자석부는, 상기 제2 측정 바디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2 고정바에 의해 가압되어 위치 고정되는 제2 자석 바디; 및 상기 제2 자석 바디의 내부에 결합되는 제2 자석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고정바의 외벽에는 제2 나사산이 마련되어 상기 제2 측정 바디의 내벽에 마련된 제2 내벽 나사산 및 상기 제2 자석 바디의 외벽에 마련된 제2 바디 나사산과 나사 결합되고, 상기 제1 측정부는 상기 제1 자석부에 의해 상기 지지 다리부와 교차되는 방향 또는 상기 지지 다리부와 평행되는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상기 지지 다리부에 탈착 결합되고, 상기 제2 측정부는 상기 제2 자석부에 의해 상기 지지 다리부와 교차되는 방향 또는 상기 지지 다리부와 평행되는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상기 지지 다리부에 탈착 결합되고, 상기 제1 고정바 및 상기 제2 고정바의 단부에는 공구홈이 마련되고, 상기 조명 다리는 연질의 합성수지 재질로 마련됨과 아울러 내부에 철심을 구비하여 상기 조명 다리의 형상은 가변함으로써 지면에 설치된 상기 조명부의 조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제1 측정부와 제2 측정부가 자력에 의해 복수의 지지 다리부와 교차되는 방향 또는 지지 다리부와 평행되는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지지 다리부에 탈착 결합됨으로써 작업자가 좁은 지하 환경에 있는 경우에도 볼트르 조이거나 푸는 작업 없이 작업을 편리하게 함과 아울러 다양한 지하시설물에 대응되게 위치를 가변하여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조명부에 마련된 조명 자석 부재에 의해 복수의 지지 다리부, 제1 측정부 및 제2 측정부에도 선택적으로 탈착 결합될 수 있어 조명 위치를 편리하게 가변할 수 있고, 조명부에 마련된 수평계에 의해 제1 측정부와 제2 측정부의 수평을 편리하게 잡을 수 있다.
나아가 조명부에 마련된 조명 다리가 연질의 합성수지 재질로 마련됨과 아울러 내부에 철심을 구비하여 조명 다리의 형상은 가변함으로써 지면에 설치된 조명부의 조사 각도를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시설물의 GIS 데이터 구축을 위한 지하시설물 측량장치에 적용되는 측량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1 측정부와 제2 측정부가 본체의 높이 방향으로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1 측정부와 제2 측정부가 위치 변경되어어 복수의 지지 다리부와 평행되게 배치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조명부의 영역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조명부를 180도 회전시킨 도면으로 조명 다리가 가변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실시 예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1 측정부와 제2 측정부가 본체의 높이 방향으로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1 측정부와 제2 측정부가 위치 변경되어어 복수의 지지 다리부와 평행되게 배치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조명부의 영역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조명부를 180도 회전시킨 도면으로 조명 다리가 가변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실시 예의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실시예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시설물의 GIS 데이터 구축을 위한 지하시설물 측량장치에 적용되는 측량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1 측정부와 제2 측정부가 본체의 높이 방향으로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1 측정부와 제2 측정부가 위치 변경되어어 복수의 지지 다리부와 평행되게 배치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5는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조명부의 영역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조명부를 180도 회전시킨 도면으로 조명 다리가 가변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실시 예의 사용 상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IS 데이터 구축을 위한 정밀측량장치는, 측량부(1)와, 삼각대(11) 및 삼각대(11)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며 측량부(1)의 포스트부(140)를 시준하고 시준값을 무선송출하는 레벨기(12)가 구비된 레벨기기(10)와, 카메라와 디스플레이를 구비하고 카메라와 디스플레이를 작동제어하고 레벨기(12)로부터의 시준값 및 측량부(1)의 거리 측정부(300)로부터의 측정 거리값을 수신하여 시준값 및 측정 거리값을 디스플레이에 나타내며 측량부(1)에 마련된 조명부(200)의 조명 부재(220)를 원격제어하는 제어유닛이 구비된 휴대용단말기(미도시)를 구비한다.
측량부(1)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하 매설 배관을 포함하는 측정 대상물이 마련된 영역에 배치되며 레벨기기(10)의 표척이 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측량부(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와, 본체(100)에 마련되는 조명부(200)와, 본체(100)에 마련되는 거리 측정부(300)와, 본체(100)에 마련되어 지하 매설 배관을 포함하는 측정 대상물의 직경을 측정하는 제1 측정부(400)와, 제1 측정부(400)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본체(100)에 마련되어 측정 대상물의 직경을 측정하는 제2 측정부(500)를 포함한다.
본체(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110)와,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가로 방향 가장자리에 마련되는 연장 플레이트(120)와,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각도 조절되게 결합되어 베이스 플레이트(110)를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 다리부(130)와,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상면부에 마련되며 조명부(200)가 탈착 결합되는 포스트부(140)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연장 플레이트(120)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바(121)가 마련되며 결합바(121)는 거리 측정부(300)에 마련된 바디 결합홈(311)에 탈착 가능하게 끼워 맞춤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복수의 지지 다리부(130)는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회전되게 각각 힌지 결합되는 제1 다리(131)와, 상측부는 제1 다리(131)에 결합되고 지면에 고정되는 제2 다리(132)와, 제1 다리(131) 및 제2 다리(132)에 각각 마련되는 복수의 다리 자석 부재(133)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복수의 다리 자석 부재(133)는 조명 자석 부재(230), 제1 측정부(400)의 제1 자석 부재(422), 제2 측정부(500)의 제2 자석 부재와 서로 인력이 작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 결과 조명부(200), 제1 측정부(400), 제2 측정부(500)를 복수의 지지 다리부(130) 중 선택된 임의의 영역에 부착할 수 있고, 그 위치 변경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체(100)의 포스트부(14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상면부에 결합되는 제1 포스트(141)와, 제1 포스트(141)에 높이 조절되게 결합되는 제2 포스트(142)와, 제2 포스트(142)에 높이 조절되게 결합되는 제3 포스트(143)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제2 포스트(142)는 제1 포스트(141)에 끼워 맞춤 또는 나사 결합되고, 제3 포스트(143)는 제2 포스트(142)에 끼워 맞춤 또는 나사 결합되어 각각의 포스트는 높이 조절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3 포스트(143)에는 포스트 자석 부재(143b)가 마련되고, 조명부(200)는 포스트 자석 부재(143b)에 의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포스트(143)에 탈착 결합될 수 있다.
조명부(200)는, 원칙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포스트(143)에 탈착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조명부(200)는 지지 다리부(130)와 제1 측정부(400)와 제2 측정부(500)에 탈착 결합 및 위치 가변될 수 있고, 지하 매설 배관이 있는 지면에도 배치되어 지면에서 작업 영역으로 빛을 조사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조명부(2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포스트(143)에 탈착 결합되는 조명 바디(210)와, 조명 바디(210)의 하부에 마련되는 조명 부재(220)와, 조명 바디(210)에 마련되는 복수의 조명 자석 부재(230)와, 조명 바디(210)에 마련되는 복수의 조명 다리(240)와, 조명 바디(210)에 마련되는 수평계(250)를 포함한다.
조명부(200)의 조명 바디(210)는,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포스트(143)에 마련된 지지 돌기(143a)에 걸림 지지될 수 있다.
조명부(200)의 조명 자석 부재(23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 부재(220)가 마련된 영역을 제외한 조명 바디(210)의 3면 영역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복수의 조명 자석 부재(230)와 포스트 자석 부재(143b)는 서로 인력이 작용되어 조명 바디(210)의 위치를 가변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조명부(200)에 마련된 조명 자석 부재(230)에 의해 복수의 지지 다리부(130), 제1 측정부(400) 및 제2 측정부(500)에도 선택적으로 탈착 결합될 수 있어 조명 위치를 편리하게 가변할 수 있고, 조명부(200)에 마련된 수평계(250)에 의해 제1 측정부(400)와 제2 측정부(500)의 수평을 편리하게 잡을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조명 다리(240)가 연질의 합성수지 재질로 마련됨과 아울러 내부에 철심을 구비하여 조명 다리(240)의 형상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변할 수 있어 지면에 설치된 조명부(200)의 조사 각도를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다.
거리 측정부(300)는, 제1 측정부(400)와 거리 또는 제2 측정부(500)와의 거리를 측정하여 지하 매설 배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거리 측정부(3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 플레이트(120)에 결합되는 거리 측정 바디(310)와, 거리 측정 바디(310)에 마련되어 제1 측정부(400) 또는 제2 측정부(500)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초음파 센서(320)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거리 측정 바디(310)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 결합홈(311)이 마련되고, 바디 결합홈(311)은 연장 플레이트(120)에 마련된 결합바(121)에 탈착되게 끼워 맞춤 결합될 수 있다.
제1 측정부(4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지지 다리부(130) 중 하나의 지지 다리부(130) 및 다른 하나의 지지 다리부(130)에 각각 자력으로 탈착 결합되어 지하 매설 배관을 포함하는 측정 대상물의 직경을 측정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측정부(400)는, 제2 측정부(500)의 상부에 배치되며 제1 눈금이 마련되는 제1 측정 바디(410)와, 제1 측정 바디(410)의 내부에 마련되며 다리 자석 부재(133)와 인력이 작용되어 제1 측정 바디(410)를 제1 다리(131)에 자력으로 탈착 결합시키는 제1 자석부(420)와, 제1 측장 바디와 제1 자석부(420)의 사이 공간부에 결합되어 제1 측정 바디(410)의 내벽과 제1 자석부(420)의 외벽을 가압하는 복수의 제1 고정바(430)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자석부(4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측정 바디(410)의 내부에 배치되며 제1 고정바(430)에 의해 가압되어 위치 고정되는 제1 자석 바디(421)와, 제1 자석 바디(421)의 내부에 결합되는 제1 자석 부재(422)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고정바(430)의 외벽에는 제1 나사산이 마련되어 제1 측정 바디(410)의 내벽에 마련된 제1 내벽 나사산 및 제1 자석 바디(421)의 외벽에 마련된 제1 바디 나사산과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고정바(430)의 단부에는 예를 들어 '+'자 또는 'ㅡ' 자 형상의 공구홈이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측정부(4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의 높이 방향으로 가변될 수도 있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다리부(130)와 평향되게 배치될 수도 있다. 본 실시 예는 제1 측정부(400)가 자력에 의해 복수의 지지 다리부(130)와 교차되는 방향 또는 지지 다리부(130)와 평행되는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지지 다리부(130)에 탈착 결합됨으로써 작업자가 좁은 지하 환경에 있는 경우에도 볼트르 조이거나 푸는 작업 없이 작업을 편리하게 함과 아울러 다양한 지하시설물에 대응되게 위치를 가변하여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2 측정부(500)는, 제1 측정부(400)의 하부에 배치되며 하나의 지지 다리부(130) 및 다른 하나의 지지 다리부(130)에 각각 자력으로 탈착 결합되어 측정 대상물의 직경을 측정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2 측정부(500)는, 제1 측정부(400)의 하부에 배치되며 제2 눈금이 마련되는 제2 측정 바디(510)와, 제2 측정 바디(510)의 내부에 마련되며 다리 자석 부재(133)와 인력이 작용되어 제2 측정 바디(510)를 제2 다리(132)에 자력으로 탈착 결합시키는 제2 자석부(520)와, 제2 측정 바디(510)와 제2 자석부(520)의 사이 공간부에 결합되어 제2 측정 바디(510)의 내벽과 제2 자석부(520)의 외벽을 가압하는 복수의 제2 고정바(미도시)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제2 자석부(520)는 제2 측정 바디(510)의 내부에 배치되며 제2 고정바에 의해 가압되어 위치 고정되는 제2 자석 바디(미도시)와, 제2 자석 바디의 내부에 결합되는 제2 자석 부재(미도시)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제2 고정바의 외벽에는 제2 나사산이 마련되어 제2 측정 바디(510)의 내벽에 마련된 제2 내벽 나사산 및 제2 자석 바디의 외벽에 마련된 제2 바디 나사산과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2 고정바의 단부에는 예를 들어 '+'자 또는 'ㅡ' 자 형상의 공구홈이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2 측정부(5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의 높이 방향으로 가변될 수도 있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다리부(130)와 평향되게 배치될 수도 있다. 본 실시 예는 제2 측정부(500)가 자력에 의해 복수의 지지 다리부(130)와 교차되는 방향 또는 지지 다리부(130)와 평행되는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지지 다리부(130)에 탈착 결합됨으로써 작업자가 좁은 지하 환경에 있는 경우에도 볼트르 조이거나 푸는 작업 없이 작업을 편리하게 함과 아울러 다양한 지하시설물에 대응되게 위치를 가변하여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레벨기기(10)는 삼각대(11)와, 삼각대(11)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며 측량부(1)의 포스트부(140)를 시준하고 시준값을 무선송출하는 레벨기(12)를 갖춘다. 본 실시예에서는 포스트부(140)를 시준하여 측량에 사용되는 기기면 레벨기(12) 대신에 다양한 측량용 기기를 사용할 수 있다.
휴대용단말기는 카메라와, 디스플레이 및, 카메라와 디스플레이를 작동제어하고, 레벨기(12)로부터의 시준값 및 초음파거리측정기로부터의 측정 거리값을 수신하여 시준값 및 측정 거리값을 디스플레이에 나타내며, 조명 부재(220)를 원격제어하는 제어유닛을 갖춘다. 본 실시예에서 휴대용단말기의 디스플레이는 터치스크린 타입을 이룰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제어 유닛은 연산 기능 등을 더 갖출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 측량부
100 : 본체 110 : 베이스 플레이트
120 : 연장 플레이트 121 : 결합바
130 : 지지 다리부 131 : 제1 다리
132 : 제2 다리 133 : 다리 자석 부재
140 : 포스트부 141 : 제1 포스트
142 : 제2 포스트 143 : 제3 포스트
143a : 지지 돌기 143b : 포스트 자석 부재
200 : 조명부 210 : 조명 바디
220 : 조명 부재 230 : 조명 자석 부재
240 : 조명 다리 250 : 수평계
300 : 거리 측정부 310 : 거리 측정 바디
311 : 바디 결합홈 320 : 초음파 센서
400 : 제1 측정부 410 : 제1 측정 바디
420 : 제1 자석부 421 : 제1 자석 바디
422 : 제1 자석 부재 430 : 제1 고정바
500 : 제2 측정부 510 : 제2 측정 바디
520 : 제2 자석부 10 : 레벨기기
11 : 삼각대 12 : 레벨기
100 : 본체 110 : 베이스 플레이트
120 : 연장 플레이트 121 : 결합바
130 : 지지 다리부 131 : 제1 다리
132 : 제2 다리 133 : 다리 자석 부재
140 : 포스트부 141 : 제1 포스트
142 : 제2 포스트 143 : 제3 포스트
143a : 지지 돌기 143b : 포스트 자석 부재
200 : 조명부 210 : 조명 바디
220 : 조명 부재 230 : 조명 자석 부재
240 : 조명 다리 250 : 수평계
300 : 거리 측정부 310 : 거리 측정 바디
311 : 바디 결합홈 320 : 초음파 센서
400 : 제1 측정부 410 : 제1 측정 바디
420 : 제1 자석부 421 : 제1 자석 바디
422 : 제1 자석 부재 430 : 제1 고정바
500 : 제2 측정부 510 : 제2 측정 바디
520 : 제2 자석부 10 : 레벨기기
11 : 삼각대 12 : 레벨기
Claims (1)
- 측량부;
삼각대, 상기 삼각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측량부의 포스트부를 시준하고 시준값을 무선송출하는 레벨기가 구비된 레벨기기; 및
카메라, 디스플레이 및 상기 카메라와 상기 디스플레이를 작동제어하고 상기 레벨기로부터의 시준값 및 상기 측량부의 거리 측정부로부터의 측정 거리값을 수신하여 상기 시준값 및 상기 측정 거리값을 디스플레이에 나타내며 상기 측량부에 마련된 조명부의 조명 부재를 원격제어하는 제어유닛이 구비된 휴대용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측량부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마련되는 연장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각도 조절되게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 다리부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부에 마련되는 포스트부가 구비된 본체;
상기 포스트부에 마련되는 상기 조명부;
상기 연장 플레이트에 마련되어 거리를 측정하는 상기 거리 측정부;
상기 복수의 지지 다리부 중 하나의 지지 다리부 및 다른 하나의 지지 다리부에 각각 자력으로 탈착 결합되어 지하 매설 배관을 포함하는 측정 대상물의 직경을 측정하는 제1 측정부; 및
상기 제1 측정부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하나의 지지 다리부 및 상기 다른 하나의 지지 다리부에 각각 자력으로 탈착 결합되어 측정 대상물의 직경을 측정하는 제2 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지지 다리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회전되게 각각 힌지 결합되는 제1 다리;
상측부는 상기 제1 다리에 결합되고 하측부는 지면에 고정되는 제2 다리; 및
상기 제1 다리 및 상기 제2 다리에 각각 마련되는 복수의 다리 자석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포스트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부에 결합되는 제1 포스트;
상기 제1 포스트에 높이 조절되게 결합되는 제2 포스트; 및
상기 제2 포스트에 높이 조절되게 결합되는 제3 포스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3 포스트에는 포스트 자석 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조명부는 상기 포스트 자석 부재에 의해 상기 제3 포스트에 탈착 결합되고,
상기 조명부는,
상기 제3 포스트에 탈착 결합되는 조명 바디;
상기 조명 바디의 하부에 마련되는 조명 부재;
상기 조명 바디에 마련되는 복수의 조명 자석 부재;
상기 조명 바디에 마련되는 복수의 조명 다리; 및
상기 조명 바디에 마련되는 수평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조명 자석 부재와 상기 포스트 자석 부재는 서로 인력이 작용되어 상기 조명 바디의 위치를 가변할 수 있고,
상기 거리 측정부는,
상기 연장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거리 측정 바디; 및
상기 거리 측정 바디에 마련되어 상기 제1 측정부 또는 상기 제2 측정부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초음파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거리 측정 바디에는 바디 결합홈이 마련되고,
상기 바디 결합홈은 상기 연장 플레이트에 마련된 결합바에 탈착되게 끼워 맞춤 결합되고,
상기 제1 측정부는,
상기 제2 측정부의 상부에 배치되며 제1 눈금이 마련되는 제1 측정 바디;
상기 제1 측정 바디의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다리 자석 부재와 인력이 작용되어 상기 제1 측정 바디를 상기 제1 다리에 자력으로 탈착 결합시키는 제1 자석부; 및
상기 제1 측정 바디와 상기 제1 자석부의 사이 공간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1 측정 바디의 내벽과 상기 제1 자석부의 외벽을 가압하는 복수의 제1 고정바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측정부는,
상기 제1 측정부의 하부에 배치되며 제2 눈금이 마련되는 제2 측정 바디;
상기 제2 측정 바디의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다리 자석 부재와 인력이 작용되어 상기 제2 측정 바디를 상기 제2 다리에 자력으로 탈착 결합시키는 제2 자석부; 및
상기 제2 측정 바디와 상기 제2 자석부의 사이 공간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2 측정 바디의 내벽과 상기 제2 자석부의 외벽을 가압하는 복수의 제2 고정바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자석부는,
상기 제1 측정 바디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고정바에 의해 가압되어 위치 고정되는 제1 자석 바디; 및
상기 제1 자석 바디의 내부에 결합되는 제1 자석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정바의 외벽에는 제1 나사산이 마련되어 상기 제1 측정 바디의 내벽에 마련된 제1 내벽 나사산 및 상기 제1 자석 바디의 외벽에 마련된 제1 바디 나사산과 나사 결합되고,
상기 제2 자석부는,
상기 제2 측정 바디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2 고정바에 의해 가압되어 위치 고정되는 제2 자석 바디; 및
상기 제2 자석 바디의 내부에 결합되는 제2 자석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고정바의 외벽에는 제2 나사산이 마련되어 상기 제2 측정 바디의 내벽에 마련된 제2 내벽 나사산 및 상기 제2 자석 바디의 외벽에 마련된 제2 바디 나사산과 나사 결합되고,
상기 제1 측정부는 상기 제1 자석부에 의해 상기 지지 다리부와 교차되는 방향 또는 상기 지지 다리부와 평행되는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상기 지지 다리부에 탈착 결합되고,
상기 제2 측정부는 상기 제2 자석부에 의해 상기 지지 다리부와 교차되는 방향 또는 상기 지지 다리부와 평행되는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상기 지지 다리부에 탈착 결합되고,
상기 제1 고정바 및 상기 제2 고정바의 단부에는 공구홈이 마련되고,
상기 조명 다리는 연질의 합성수지 재질로 마련됨과 아울러 내부에 철심을 구비하여 상기 조명 다리의 형상은 가변함으로써 지면에 설치된 상기 조명부의 조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지하시설물의 GIS 데이터 구축을 위한 지하시설물 측량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140140A KR102642142B1 (ko) | 2023-10-19 | 2023-10-19 | 지하시설물의 gis 데이터 구축을 위한 지하시설물 측량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140140A KR102642142B1 (ko) | 2023-10-19 | 2023-10-19 | 지하시설물의 gis 데이터 구축을 위한 지하시설물 측량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642142B1 true KR102642142B1 (ko) | 2024-02-29 |
Family
ID=90041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140140A KR102642142B1 (ko) | 2023-10-19 | 2023-10-19 | 지하시설물의 gis 데이터 구축을 위한 지하시설물 측량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42142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30955B1 (ko) * | 2017-09-22 | 2018-02-23 | 주식회사 한성유아이 | 지하시설물의 gis데이터 구축을 위한 정밀측량장치 |
CN113503866A (zh) * | 2021-03-30 | 2021-10-15 | 白杨 | 一种地理信息工程测绘装置 |
KR102381415B1 (ko) * | 2020-02-06 | 2022-03-30 | 추선엽 | 조명수단이 구비된 수평자 |
-
2023
- 2023-10-19 KR KR1020230140140A patent/KR10264214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30955B1 (ko) * | 2017-09-22 | 2018-02-23 | 주식회사 한성유아이 | 지하시설물의 gis데이터 구축을 위한 정밀측량장치 |
KR102381415B1 (ko) * | 2020-02-06 | 2022-03-30 | 추선엽 | 조명수단이 구비된 수평자 |
CN113503866A (zh) * | 2021-03-30 | 2021-10-15 | 白杨 | 一种地理信息工程测绘装置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257903B2 (en) | Leveling rod with stencil | |
KR100928662B1 (ko) | 다용도 측량기 | |
JP2004212058A (ja) | 作業位置測定装置 | |
KR101349652B1 (ko) | 표척의 안정적인 설치장치 | |
US6209210B1 (en) | Leveling rod | |
KR101568639B1 (ko) |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레이저 레벨기 | |
CN108519044A (zh) | 一种基坑变形的测量系统及测量方法 | |
KR101896643B1 (ko) | 작업성이 향상된 지하시설물 측량기구 | |
KR102642142B1 (ko) | 지하시설물의 gis 데이터 구축을 위한 지하시설물 측량장치 | |
CN110864623A (zh) | 一种便携式塔上弧垂观测装置 | |
KR101487017B1 (ko) | 자기마커식 지하시설물관리시스템 | |
US3967381A (en) | Ground slope indicating instrument | |
KR101830955B1 (ko) | 지하시설물의 gis데이터 구축을 위한 정밀측량장치 | |
CN209945260U (zh) | 一种便携式塔上弧垂观测装置 | |
KR101444932B1 (ko) | 지하시설물관리시스템 | |
KR100911047B1 (ko) | 레이저 수평 수직장치용 삼발이 | |
WO2016027740A1 (ja) | 照度測定システム | |
KR102208395B1 (ko) | 지하시설물 데이터 구축이 가능한 정밀 지하시설물 측량시스템 | |
KR101424983B1 (ko) | 자기마커를 구비한 지하시설물관리시스템 | |
KR101391797B1 (ko) | 자기마커의 기울임조절이 가능한 지하시설물관리시스템 | |
KR100881144B1 (ko) | 레이저 수평 수직장치 | |
JP6937660B2 (ja) | 水準測量用の標尺 | |
KR20020073010A (ko) | 경사도 측량자 | |
US20120123736A1 (en) | System for rapid assessment of grade variations and method for using a system | |
KR200367953Y1 (ko) | 경사측정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