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4932B1 - 지하시설물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지하시설물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4932B1
KR101444932B1 KR1020120142306A KR20120142306A KR101444932B1 KR 101444932 B1 KR101444932 B1 KR 101444932B1 KR 1020120142306 A KR1020120142306 A KR 1020120142306A KR 20120142306 A KR20120142306 A KR 20120142306A KR 101444932 B1 KR101444932 B1 KR 1014449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magnetic field
magnetic marker
screw
fluxgate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23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4092A (ko
Inventor
안일규
김남수
Original Assignee
(주)이엠시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엠시스텍 filed Critical (주)이엠시스텍
Priority to KR10201201423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4932B1/ko
Publication of KR201400740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40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49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49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3/00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 G01V3/08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operating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produced or modified by objects or geological structures or by detecting devices
    • G01V3/081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operating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produced or modified by objects or geological structures or by detecting devices the magnetic field is produced by the objects or geological struc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15/00Tags attached to, or associated with, an object, in order to enable detection of the objec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3/00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 G01V3/38Processing data, e.g. for analysis, for interpretation, for corr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00Technologies having an indirect contribution to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30Assessment of water resour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phys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olog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매설물에 자기마커를 부착하고 이 자기마커를 탐지하여 그 위치량을 수행하여 DB를 구축하고 나아가 GIS와 연계하여 효율적인 관리를 노리는 지하시설물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도시화의 진행에 따라서 도시가스 공급관, 상하수도관, 전기 및 통신선로 등의 설치가 급증하고 있다. 이러한 설비들은 미관상의 이유, 지상의 환경으로부터 설비보호를 위해서 지중에 매립되는 것이 대세이다.

Description

지하시설물관리시스템{A Magnetic Applied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지하매설물에 자기마커를 부착하고 이 자기마커를 탐지하여 그 위치량을 수행하여 DB를 구축하고 나아가 GIS와 연계하여 효율적인 관리를 노리는 지하시설물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도시화의 진행에 따라서 도시가스 공급관, 상하수도관, 전기 및 통신선로 등의 설치가 급증하고 있다. 이러한 설비들은 미관상의 이유, 지상의 환경으로부터 설비보호를 위해서 지중에 매립되는 것이 대세이다. 그러나 이러한 지하시설물의 위치 및 깊이 정보가 제대로 축적되지 않아서 시각적으로만 그 위치나 상태를 파악하기 쉽지 않다.
더하여, 지하매설물 등을 새로이 설치할 때, 기존 지하시설물의 정확한 위치파악이 어려워 시간, 비용이 증가하고, 기존 지하매설물을 파손시키거나 작업자의 안전문제도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등록특허 제10-0732127호(2007.06.27)와 관련한다. 상기 등록특허는 지하에 매립된 원통형 관로의 시설물을 관리하는 시스템이며 더욱 구체적으로,
"지구 자장의 방향을 감지할 수 있는 적어도 2개의 자기벡터센서가 평행선상에 정렬되어 있어 지구 자장을 상쇄하고 순수 왜곡 자계 만을 감지하는 센서수단, 상기 센서수단에서 감지된 왜곡 자계의 방향과 크기를 탐지수치로 변환하여 저장한 후 문자, 숫자 또는 그래픽으로 표시하는 제어수단 및 자성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원통형 관로에 부착되는 자기마커부를 포함하며, 상기 자기마커부는 상단부와 하단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단부는 상기 자성체의 중심부 위치가 지표면과 직교 되도록 곡면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자기마커부의 상단부에 자기의 극성이 표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시설물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영구 자석에서 발생하는 자력선의 방향에 의해 발생하는 지구 자장의 변화의 패턴 혹은 변화량을 측정하여 자기마커부가 부착된 지하 시설물의 평면적 매설 위치를 오류없이 포착함으로써 설계와 시공의 불일치로 초래하는 지하 굴착 안전 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지하시설물관리시스템을 제공하고,
영구자석으로 만든 자기마커부를 지하매설물에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고, 자력선의 방향을 일정하게 하여 자기장을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는 지하시설물관리시스템을 제공하고,
자기마커부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을 탐지하여 그 크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숫자나 그래픽 등의 처리가 용이하도록 하여, 탐지 결과를 다양한 시각적 형태로 출력할 수 있고, 여러 가지 분석이 용이하게 하는 지하시설물관리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등록특허에서와 같이 자기탐지기를 사용할 경우 일반적으로 지구 자장 변화를 증폭시키기 위해 자성체를 지하매설물 주위에 부착하여 사용하나 방향성이 없어 일반 금속체와 자성체와의 구분이 어려운 점, 기존의 일반 탐지기는 탐지수치를 순시적으로 표시하므로 탐지수치의 변화 패턴을 탐지자가 인식하기 어려운 점, 추후 굴착 및 매설 시공시에 자기코일의 설치 부정확으로부터 위치 파악의 난해하고 자기코일의 분실할 우려가 있는 점을 해소하면서 특히,
지구 자장 변화의 증폭을 위하여 사용하는 자성체를 원통형의 관로에 부착시 관로와 접촉하고 부착하는 것에 관하여 보다 유용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지하에 매립된 원통형 관로의 시설물관리시스템으로서,
지구 자장의 방향을 감지할 수 있는 복수의 자기벡터센서가 평행선상에 정렬되어 있어 지구 자장을 상쇄하고 순수 왜곡자계 만을 감지하는 센서수단, 상기 센서수단에서 감지된 왜곡자계의 방향과 크기를 탐지수치로 변환하여 저장한 후 그래픽으로 표시하는 제어 수단 및 자성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원통형 관로에 부착되는 자기마커부를 포함하며, 상기 자기마커부는 상단부와 하단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단부는 상기 자성체의 중심부 위치가 지표면과 직교 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자기마커부의 상단부에 자기의 극성이 표시된다. 상기 극성표시부에 표시된 자기의 극성은 바람직하게는 N극을 선택한다.
또, 상기 자기마커부는 상기 자성체의 전면에 걸쳐 방수 및 방습을 위해 표면처리된 피복재를 구비하고, 상기 자기마커부의 상단부에는 상기 자기의 극성을 나타내는 극성표시부가 마련된다.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센서수단의 2개의 자기벡터센서의 출력을 입력으로, 두 신호의 주파수 차에 해당하는 주파수를 생성하여 디지털 데이터로 출력하는 디지털그래디오미터, 상기 디지털데이터를 입력받아 그 크기를 아날로그 신호로 발생시키는 디지털아날로그변환기,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화기에서 발생된 아날로그 신호를 청각이 느낄 수 있는 주파수대로 출력하는 전압제어발진기, 상기 전압제어발진기의 출력을 음성으로 보낼 수 있도록 증폭하는 음성증폭기, 상기 디지털그래디오미터의 출력을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입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 상기 인터페이스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처리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숫자 또는 그래픽으로 출력하기 위한 엘시디표시장치, GPS를 통해 현재의 위치를 수신하여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로 입력하는 GPS 수신부 및 외부의 GIS 시스템으로부터 입력되는 GIS 정보를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하는 외부 시스템 연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상기 GPS 수신부로부터 수신된 위치정보와 상기 외부의 GIS시스템으로부터 측정지역의 매설정보를 비교하고 검색하여, 수신된 위치에 해당하는 매설정보를 상기 엘시디표시장치로 출력한다.
상기 제어 수단은 탐지수치의 변화 패턴에 의해 자연 자화되는 일반 금속물 또는 지하에 매립된 시설물 주변의 자계 교란 물체와 상기 자기마커부를 구분하도록, 스캔 방식에 따라 지표에서 탐지되는 탐지수치를 일정한 패턴으로 유지하게 한다.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1주기 스캔 동안의 탐지수치를 높은 해상도로 저장하여 연속적으로 상기 엘시디표시장치를 통하여 출력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를 토대로,
본 발명에 따르면, 자기탐지기를 사용할 경우 일반적으로 지구 자장 변화를 증폭시키기 위해 자성체를 지하매설물 주위에 부착하여 사용하나 방향성이 없어 일반 금속체와 자성체와의 구분이 어려운 점, 기존의 일반 탐지기는 탐지수치를 순시적으로 표시하므로 탐지수치의 변화 패턴을 탐지자가 인식하기 어려운 점을 해소하면서,
자기코일의 설치를 정확히 하여서 추후 굴착 및 매설 시공시에 위치 파악을 용이하게 하고 자기코일의 분실 우려를 줄이고, 원통형의 관로에 자성체의 부착을 정확하고 용이하게 유도하여서 지하시설물의 위치를 효과적이고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도 1 A 본 발명 자기마커부의 평면도; 정면도; 측면도; B 측면에서 보인 설치도; C 측면에서 보인 다른 설치도;
도 2 A 본 발명 자기마커부의 다른 실시를 보인 측면도; B 설치방법을 예시한 부분도; C 다른 설치방법을 예시한 부분도;
도 3 지하시설물에 설치된 자기마커의 자력선 분포 및 탐지 방법을 나타낸 예시도
도 4 지하시설물탐지시스템의 블록도
도 5 자기센서의 출력특성곡선을 나타낸 예시도
도 6 탐지수치변화패턴을 나타내는 그래프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도면과 함께 개시한다.
먼저, 도 3은 지하시설물에 설치된 자기마커의 자력선 분포 및 탐지 방법을 도시한 것으로서, 자기마커(11)는 수명이 영구적인 것으로서 일정자력의 영구자석(페라이트)을 방수 및 방습을 위해 니켈도금, 우레탄 표막코팅 처리 등을 하여 이루어지고, 상하수도관, 도시가스 공급관, 전기 및 통신선로 등의 지하시설물(18)을 설치하는 공사시 이 시설물에 부착된다.
지하시설물탐지기(10)는 지지봉(15)과 이 지지봉(15) 내에 마련된 제1플럭스게이트센서(12) 및 제2플럭스게이트센서(13)를 구비하여 자기마커(11)의 정자계 자속(14)을 측정하며, 제1플럭스게이트센서(12) 및 제2플럭스게이트센서(13)는 벡터 센서들이고, 각 센싱 축에 해당하는 평균적인 자장성분을 측정한다.
또한, 제1플럭스게이트센서(12) 및 제2플럭스게이트센서(13)는 서로 측정된 자장의 극성이 반대가 되도록 서로 다른 방향에 위치하고, 플럭스게이트센서(12)와 제2플럭스게이트센서(13)에서 측정된 신호들을 합하면 지자장과 같이 두센서에 공통으로 감지되는 성분들을 제거할 수 있어 차액의 자장성분만 남는다.
자기마커(11)에 가까이 있는 제1플럭스게이트센서(12)에서 측정된 자장은 제2플럭스게이트센서(13)에서 특정된 값보다 훨씬 큰 값을 갖는다. 따라서, 이들의 차액은 자기성분을 띠고 있는 자기마커(11)의 자장세기 정도를 나타내며 이렇게 만들어진 차액의 자장은 지하시설물탐지기(10)에 내장된 스피커 또는 엘시디표시장치를 통하여 측정된 자장의 강약을 출력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하시설물탐지시스템의 블록도로서, 제1플럭스게이트센서(12) 및 제2플럭스게이트센서(13)는 지지봉(15)에 축이 일직선이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제1플럭스게이트센서(12) 및 제2플럭스게이트센서(13)는 자기마커(11)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을 각자의 위치에서 측정하고, 측정된 자기장은 디지털그래디오미터(20)로 입력시킨다. 디지털그래디오미터(20)는 제1플럭스게이트센서(12) 및 제2플럭스게이트센서(13)로부터 입력된 자기장 파형을 디지털 믹싱을 한다. 즉, 입력된 두 신호의 주파수 차에 해당하는 주파수 신호를 만들어 주고, 두 파형의 혼합된 주파수의 크기를 디지털 데이터로 출력한다. 디지털그래디오미터(20)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데이터는 숫자나 그래프로 출력하기 위하여, 입력 인터페이스(21)를 통해 마이크로프로세서(22)로 전달된다. 마이크로프로세서(22)는 저장수단을 구비하고, 자기장의 세기에 해당하는 디지털 신호를 입력받아 자기마커(11)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의 세기를 계산하고, 이렇게 계산된 값은 출력 인터페이스(23)를 통하여 엘시디표시장치(24)에 문자, 숫자나 그래프의 형식으로 표현된다. 또한, 마이크로프로세서(22)에는 GPS 수신부(32)와 외부 시스템 연결부(33)와 연결되어 있다. GPS 수신부(32)는 GPS를 통해 지하시설물탐지기(10)의 현재 위치를 수신받을 수 있다. 수신받은 위치정보는 마이크로프로세서(22)가 처리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22)의 저장수단에 기록저장한다.
외부 시스템 연결부(33)는 외부의 GIS 시스템과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하여 현재 측정하는 지역의 매설정보를 조회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22)는 디지털그래디오미터(20)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데이터를 참조하여, 만약 자기마커(11)가 매설된 것을 확인하면, GPS 수신부로부터 현재의 위치정보를 수신받고, 외부시스템 연결부(33)를 통해 외부의 GIS 시스템으로부터 현재의 위치에 해당하는 매설정보를 조회하여 수신받는다. 그리고, 마이크로프로세서(22)는 매설정보와 위치를 비교하여 검색하여 지하매설물에 대한 매설정보를 확인하여 출력 인터페이스(23)를 통하여 엘시디표시장치(24)에 그래픽의 형식으로 출력한다. 디지털그래디오미터(20)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데이터는 그 크기에 상응하는 세기의 외부음성으로 출력하기 위하여, 디지털아날로그변환기(25)의 입력으로 보내진다. 디지털아날로그변환기(25)는 입력된 디지털데이터를 그 크기대로 0 ~ 2.5 V의 범위의 아날로그 형태의 음성신호로 출력한다. 민감도 조절기(26)는 디지털아날로그변환기(25)의 문턱전압을 조절함으로서 신호의 민감도를 조절한다.
제1플럭스게이트센서(12), 제2플럭스게이트센서(13)와 디지털그래디오미터(20)는 한 개의 정전압원에 의해서 +5V의 전원이 공급되고, 디지털아날로그변환기(25)와 전압제어발진기(27)와 음성증폭기(28)에는 또 다른 정전압원에 의해서 구동이 된다.
또, 자기마커(11)의 존재유무를 알리는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제1플럭스게이트센서(12)와 제2플럭스게이트센서(13)에서 나오는 출력 주파수를 측정된 자장의 차이를 얻기 위하여 믹싱(Mixing)한다. 이 믹싱은 디지털그래디오미터(20)에서 실행된다. 디지털그래디오미터(20)에서 나오는 출력은 혼합된 주파수의 크기에 따라 변하는 병렬 데이터 구조로 되어있다. 또한 sign bit를 나타내는 출력도 더 갖고 있다. 이는 제1플럭스게이트센서(12)와 제2플럭스게이트센서(13) 중에서 어느 쪽 센서의 자기장이 큰가를 나타낸다. 따라서 출력 "0" 은 두 센서가 같은 크기의 자장을 탐지하는 것을 뜻하고 최고치(예를 들어 255)의 출력은 자장의 차이가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디지털그래디오미터(20)는 수정 발진기 주파수에 따라 다르지만 스위치가 켜졌을 때부터 10초에서 20초 동안 자동적으로 조정( calibration )을 하면서, 지자장의 최대값과 최소값을 관측한다. 이때, 디지털그래디오미터(20)를 남북방향으로 배열시키되 끝부분이 지자계의 경사각도 만큼 기울이게 하여 시행한다. 그리고, 스위치를 켜고 조정시간(약 10초) 동안 디지털그래디오미터(20)를 180°회전시킴으로서 센서에 대한 민감도와 제로 옵셋을 결정하고 센서 차이에서 오는 에러를 보정하게 된다.
지하시설물탐지기(10)의 성능을 극대화하는데 가장 어려운 부분은 제1플럭스게이트센서(12)와 제2플럭스게이트센서(13)를 기계적으로 배열시키는 것이다. 제1플럭스게이트센서(12)와 제2플럭스게이트센서(13)의 고정은 제1플럭스게이트센서(12)가 제2플럭스게이트센서(13)의 축과 정확히 맞도록 배치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먼저 제1플럭스게이트센서(12)를 고정시키고 비자성체의 성질을 가지는 고정나사로 제2플럭스게이트센서(13)를 고정시킨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센서 기구물을 측정하는 동안 계속 돌려 보면서 일정한 측정값들이 유지되도록 고정나사를 돌려가면서 제1플럭스게이트센서(12)와 제2플럭스게이트센서(13)의 축을 맞추어 나간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탐지수치변화패턴을 탐지자가 쉽게 인식하게 하기 위하여 탐지기(10)에 내장된 마이크로프로세서(22)의 반도체 메모리 소자에 탐지기(10)의 1주기 스캔 동안의 탐지수치를 높은 해상도로 저장하여 연속적으로 탐지기(10)의 엘시디표시장치(24)를 통하여 출력하여 자기마커부(100)와 자계 교란 물체와의 구별을 그래프의 형태로 구분하게하여 판단을 쉽게 한다.
자기마커의 극성을 이용한 지하시설물관리시스템의 특성과 관련하여, 도 5는 자기센서의 출력 특성 곡선을 도시한 것으로서, 지구 자계의 범위는 -0.5G ~ +0.5G 이다. +/-는 지구 자계의 방향을 나타낸다. 한편, 도 6은 탐지수치변화패턴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하지만, 전산 해석을 하게되면 자기마커부(100) 상부 중심의 수직점을 중심으로 자속 밀도의 분포가 규칙적으로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제1플럭스게이트센서(12) 및 제2플럭스게이트센서(13)가 플럭스게이트 방식의 자기센서로서 방향성을 가지는 벡터 센서를 사용하며, 지구 자장의 방향이 제1플럭스게이트센서(12) 및 제2플럭스게이트센서(13)의 수직축에 일치하면 최대값을 가지고, 수평축에 일치하면 최소값을 갖는다. 따라서 제1플럭스게이트센서(12) 및 제2플럭스게이트센서(13)의 벡터량의 차이는 지구 자장 변화의 크기이며, 벡터량의 방향은 자기마커부(100)의 극성 위치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시설물에 부착되는 자기마커부의 부착방법은 N극으로 표시된 부분이 위가 되게 하여서 작업수행 중 자성체의 부착상태를 일정하게 하고, 지표에서 탐지되는 탐지수치가 탐지기(10)의 스캔방식에 따라 일정한 패턴을 유지하게하면, 탐지수치의 변화패턴에 의해 자연 자화되는 일반금속물 또는 매설물 주변의 자계교란 물체와 시설물에 부착된 자기마커부를 용이하게 구분하여 탐지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게된다.
더하여, 지구자장 변화 정도가 매설물에 부착되어 있는 자성체에서 발생하는 자속밀도의 크기와 비례하는 점에 따라서, 자성체의 중심부의 위치가 지표면과 직교가 되도록 원통형 관로에 부착하기 용이한 구조를 택하고, 자성체의 부착상태를 일정하게 하기 위하여 자기마커부의 상단에 극성표시부를 형성하여 작업자가 극성을 그 위치대로 쉽게 부착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 있어서 더욱 자세한 사항은 상기 등록특허 제10-0732127호에 기재된 바를 인용하기로 한다.
전술한 바를 토대로 특히 본 발명의 자기마커부에 있어서,
도 1 A에 도시된 자기마커부(100)의 평면도; 정면도; 측면도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부가 N극 하부가 S극으로 배치되는 영구자석 부재의 자성체(101); 상기 자성체(101)의 방수 및 방습을 위해 니켈도금(또는 우레탄표막코딩) 처리 후에 플라스틱(또는 아크릴수지)으로 피복한 상단부(103) 및 도시가스공급관(또는, 상하수도관, 전기통신선로)의 지하시설물(18)에 부착하기 위한 하단부(104)로 이루어지는 피복재(102); 상기 상단부(103)의 상면(100a)에 마련되는 극성표시부(105); 상기 하단부(104)에 대하여 상기 상단부(103)가 기울임 가능하도록 힌지결합하는 힌지부(10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하단부(104)의 저면(100b)은 원통형상의 관로에 부착면을 증가시키고 지표면과의 직교위치를 맞추기 용이하도록 곡면형상을 취할 수 있다.
상기 피복재의 상기 상단부(103)와 하단부(104)를 힌지부(106)를 통하여 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상단부(103)와 상기 하단부(104) 사이는 상대적인 기울임이 가능하도록 이격된 간격을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힌지부(106)는 상기 피복재의 상단부(103)와 하단부(104)를 단단하게 고정하면서 어느정도 굴절 가능한 가소성이 있는 금속재, 합성수지재 등의 부재를 채택한다. 특히, 상기 힌지부(106)는 상기 자기마커부(100)의 몸체에 손상을 주지 않도록 상기 피복재(102)의 측벽 표면에 고정부를 구성하고 상기 상단부(103) 및 하단부(104)의 측벽면에 부착하도록 한다.
도 1 B 및 도 1 C의 도시와 함께 실제 설치작업을 살펴보면,
우선, 상기 하단부(104)의 저면(100b)을 지하시설물(18) 관로에 부착한다. 이때 상기 부착은 기존의 작업방식을 따른다.
이후, 지표면과 직교하도록 상기 상단부의 상면(100a) 수평각을 조절하는데, 이와같은 작업수행은 상기 힌지부(106)가 굴절할 수 있어서 가능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하단부(104)의 저면(100b)이 원통형 관로로 된 지하시설물(18)의 곡면상에서 수평을 잘 못 잡은채로 부착되어서 좌측기울임(+a) 또는 우측기울임(-a) 현상이 발생하여 기울어지면, 상기 상단부(103)의 기울어진 상면(100a`)을 수평계를 이용하여 이리저리 움직이면서 상기 힌지부(106)의 꺽임(굴절)을 유도하여 바른기울임(a)의 상면(100a)을 정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바른기울임(a)의 상태가 구해지면 상기 상태를 지속하기 위하여 상기 상단부(103)와 하단부(104)의 사이에는 시멘트, 실리콘, 합성수지 등의 충진부재(107)를 채워서 굳히는 것이다.
한편, 도 2 A의 도시와 같이 상기 힌지부(106)의 반대편에 기울임조절나사부(108)를 구성할 수 있다. 도 2 B 및 도 2 C의 실시에서 상기 기울임조절나사부(108)는 가운데에 손으로 돌릴 수 있는 조절손잡이(108a); 상기 조절손잡이(108a)에서 상하방향으로 각각 연장되고 외주에 나사형상이 형성되어서 상기 돌림을 따라 감기고 풀릴 수 있는 조절나사(108b); 상기 조절나사(108b)와 대응하여 내부에 나사형상이 형성되어 상기 조절나사(108b)를 끼우고, 외부가 상기 피복재(102)의 측벽에 부착되는 관 형상의 상하 부착부(108c);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2 B 및 도 2 C의 예시와 같이 상기 조절손잡이(108a)를 돌리는 방향(sp)에 따라 나사가 풀리거나 그 반대로 감기면서, 도 1 C 및 도 1 B의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조절손잡이(108a)는 약간의 굴절(밴딩)이 가능하도록 하는 부재를 채택하여 상기 힌지부를 회전축으로 굴절할 때 상기 상단부와 상기 하단부의 변화된 각도에 적응할 수 있다.
상기 기울임조절나사부(108)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충진부재를 채워서 굳히는 작업을 생략하고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물론, 설치 후 내구성을 위하여 함께 병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지하시설물탐지기(10); 자기마커(11); 제1플럭스게이트센서(12) 지하시설물(18); 디지털그래디오미터(20); 마이크로프로세서(22); 엘시디표시장치(24); 디지털아날로그변환기(25); 자기마커부(100); 자성체(101)

Claims (1)

  1. 지구 자장을 상쇄하고 순수왜곡 자계 만을 감지하도록 지구 자장의 방향을 감지할 수 있는 복수의 자기벡터센서가 평행선상에 정렬되어 있는 센서수단 및
    상기 센서수단에서 감지된 왜곡 자계의 방향 및 크기를 탐지수치로 변환하여 저장한 후 그래픽으로 표시하는 제어수단과 자성체로 이루어지고, 원통형 관로에 부착되는 자기마커부를 포함하여서 매립된 지하시설물을 관리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자기마커부는,
    상부가 N극으로 배치되는 영구자석 부재의 자성체; 상기 자성체의 방습을 위해 우레탄표막코딩 처리 후에 아크릴수지로 피복한 상단부 및 지하시설물에 부착하기 위한 하단부; 상기 상단부와 상기 하단부가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하단부에 대하여 상기 상단부의 기울임이 가능하도록 힌지결합하는 힌지부;를 포함하고,
    조절손잡이; 상기 조절손잡이로부터 상하방향으로 각각 연장되고 외주에 나사형상이 형성된 조절나사; 상기 조절나사를 끼울 수 있도록 내부에 상기 조절나사와 대응하는 나사형상이 형성된 관 형상의 상하 부착부;로 이루어져서 상기 힌지부의 반대편에 구비되는 기울임조절나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시설물관리시스템
KR1020120142306A 2012-12-07 2012-12-07 지하시설물관리시스템 KR1014449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2306A KR101444932B1 (ko) 2012-12-07 2012-12-07 지하시설물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2306A KR101444932B1 (ko) 2012-12-07 2012-12-07 지하시설물관리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4092A KR20140074092A (ko) 2014-06-17
KR101444932B1 true KR101444932B1 (ko) 2014-11-03

Family

ID=51127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2306A KR101444932B1 (ko) 2012-12-07 2012-12-07 지하시설물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49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6112A (ko) 2022-01-27 2023-08-04 (주)아르고스 스마트 시티 지하매립매설물 빅데이터 통합관제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0793B1 (ko) 2014-12-19 2016-09-28 신호테크 주식회사 지하매설물 좌표 탐지용 마커
KR102591146B1 (ko) 2022-09-16 2023-10-20 아태산업개발주식회사 시설물 관리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25743A (ja) 2001-05-02 2002-11-12 Shin Etsu Chem Co Ltd Mri用磁気回路構造
JP2003001262A (ja) 2001-06-26 2003-01-07 Shozo Nanba 磁気活水用磁石取付具
JP2004057830A (ja) 2002-07-29 2004-02-26 General Electric Co <Ge> 磁気共鳴イメージング・システム用の磁極片
KR100732127B1 (ko) * 2005-12-15 2007-06-27 (주) 이우티이씨 자기 마커의 극성을 이용한 지하 시설물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25743A (ja) 2001-05-02 2002-11-12 Shin Etsu Chem Co Ltd Mri用磁気回路構造
JP2003001262A (ja) 2001-06-26 2003-01-07 Shozo Nanba 磁気活水用磁石取付具
JP2004057830A (ja) 2002-07-29 2004-02-26 General Electric Co <Ge> 磁気共鳴イメージング・システム用の磁極片
KR100732127B1 (ko) * 2005-12-15 2007-06-27 (주) 이우티이씨 자기 마커의 극성을 이용한 지하 시설물 관리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6112A (ko) 2022-01-27 2023-08-04 (주)아르고스 스마트 시티 지하매립매설물 빅데이터 통합관제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4092A (ko) 2014-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2127B1 (ko) 자기 마커의 극성을 이용한 지하 시설물 관리 시스템
EP0388041B1 (en) Apparatus for determining direction to and position of an underground conductor
KR101487017B1 (ko) 자기마커식 지하시설물관리시스템
KR101128393B1 (ko) 지하시설물 탐지기 및 지하시설물의 위치 확인 관리 방법
JPH0637825B2 (ja) モーリング装置
KR101444932B1 (ko) 지하시설물관리시스템
KR101306882B1 (ko) 지하 매설물에 대한 정보 획득 방법 및 장치
KR101220268B1 (ko) 지하시설의 지도제작을 위한 지피에스 기반 측지측량 시스템
KR101166887B1 (ko) 지하시설의 지도제작을 위한 지피에스 기반 측지측량 시스템
KR101659938B1 (ko) 지피에스를 기반으로 한 지하시설물 측량시스템
KR101391797B1 (ko) 자기마커의 기울임조절이 가능한 지하시설물관리시스템
KR101424983B1 (ko) 자기마커를 구비한 지하시설물관리시스템
US11048010B2 (en) Removable buried asset locator assembly
KR100602525B1 (ko) 다수개의 센서가 구비된 지하매설물 탐지기
KR101494399B1 (ko) 지하매설물관리시스템
KR101896984B1 (ko) 지표면 지형지물의 기준점 위치 확인과 지형정보를 이용한 공간영상도화 시스템
KR101213605B1 (ko) 지상의 지형데이터 대비 지하구조에 대한 측지측량값 처리가 가능한 지아이에스 기반 지점별 측량데이터 관리시스템
KR101896643B1 (ko) 작업성이 향상된 지하시설물 측량기구
KR101494396B1 (ko) 자기마커를 이용한 지하시설물관리시스템
KR100430385B1 (ko) 지하매설물 관리를 위해 자기마커를 이용하여지하매설물의 위치를 파악하는 지하매설물 탐지기
KR100947659B1 (ko) 지하매설물 탐지기 및 이를 이용한 지하매설물 탐지방법
JP2001116850A (ja) 地中埋設管の探知方法および探知装置
KR102108794B1 (ko) 매설된 강 배관의 탐지 장치, 방법 및 컴퓨터로 독출 가능한 기록 매체
KR200333857Y1 (ko) 지하매설물 관리를 위해 자기마커를 이용하여지하매설물의 위치를 파악하는지하매설물 탐지기
KR101484522B1 (ko) 지하시설물의 지도제작을 위한 지피에스 기반 측지측량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