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6984B1 - 지표면 지형지물의 기준점 위치 확인과 지형정보를 이용한 공간영상도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지표면 지형지물의 기준점 위치 확인과 지형정보를 이용한 공간영상도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6984B1
KR101896984B1 KR1020180066701A KR20180066701A KR101896984B1 KR 101896984 B1 KR101896984 B1 KR 101896984B1 KR 1020180066701 A KR1020180066701 A KR 1020180066701A KR 20180066701 A KR20180066701 A KR 20180066701A KR 101896984 B1 KR101896984 B1 KR 1018969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enoid actuator
position measuring
housing
image
rot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67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종배
Original Assignee
(주)원지리정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원지리정보 filed Critical (주)원지리정보
Priority to KR10201800667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69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69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69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05Geographic mode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 G09B29/003Ma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32Satellite or aerial image; Remote sen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ometry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형물의 각 기준점에 배치되는 위치측정기들이 평상 시에는 외부로부터 가려져 잘 보호되면서 그 작동 시에만 한시적으로 외부에 노출되고, 높이 조절은 물론 조절된 높이에서의 회전이 가능하여 보다 다양한 측정 및 그 측정 값의 획득이 가능토록 한 지표면 지형지물의 기준점 위치 확인과 지형정보를 이용한 공간영상도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지표면 지형지물의 기준점 위치 확인과 지형정보를 이용한 공간영상도화 시스템은 수치지도 DB, 위치측정기, 영상도화기 및 측정기 보호 가동부를 포함하며, 측정기 보호 가동부는 위치측정기별로 설치되어 해당 위치측정기가 외부로부터 가려져 보호되는 동시에 높이 조절 및 조절된 높이에서의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측정기 보호 가동부는 하우징, 제1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 제2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 회전판, 회전링, 회전동력 발생부, 카메라, 디스플레이 패널, 제어부, 조작 스위치부, 무선통신모듈 및 도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지표면 지형지물의 기준점 위치 확인과 지형정보를 이용한 공간영상도화 시스템{Topography modification system by the confirmation for the reference point`s location and geospatial data}
본 발명은 공간영상 도화 기술 분야 중 지표면 지형지물의 각 기준점에 배치되는 위치확인용 위치측정기들이 평상 시에는 외부로부터 가려져 잘 보호되면서 그 작동 시에만 지형정보를 이용하여 한시적으로 외부에 노출되고, 높이 조절은 물론 조절된 높이에서의 회전이 가능하여 보다 다양한 측정 및 그 측정 값의 획득이 가능토록 한 지표면 지형지물의 기준점 위치 확인과 지형정보를 이용한 공간영상도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수치지도 제작을 위해 사용되는 도화이미지는 지도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이해를 돕고 시각적인 거부감을 최소화 하기 위해 가능한 간단한 이미지로 제작된다.
특히, 내비게이션 등과 같이 사용자가 모니터에 출력되고 있는 도화이미지를 쉽고 빠르게 확인하고 이해할 수 있어야 하는 기기의 경우에는 도화이미지의 배경이 실제 모습과는 확연한 차이를 갖는다.
도 1(도화된 이미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의 (a)는 지형 정보를 최대한 단순화시킨 도화이미지이고, (b)는 실제 지형의 모습을 보인 도화이미지이다.
도 1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도 1의 (a)의 경우에는 해당 지형의 도로 상태와 지형물이미지(B)의 배치모습 등이 이용자에 의해 쉽고 빠르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나, 실제 현장에서 해당 도화이미지와 지형을 비교할 경우, 서로 상이한 지형물이미지(B, B')와 지형물 간의 모습으로 인해 이용자는 실제 현장과 도화이미지의 동일성 여부에 혼란을 느낄 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종래에는 도 2(보정시스템의 모습을 도시한 블록도)에 도시한 시스템을 기반으로 도화이미지에 대한 수정 및 갱신 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이 개발되었다.
상술한 종래 시스템 및 방법은 현장의 실제 지형물에 위치측정기(100)를 설치해서 지형물의 이미지를 확인하고, GPS(20)에서 위치측정기(100)의 좌표값과 위치정보를 별도로 수집하며, 영상도화기(30)는 이렇게 확인된 지형물의 이미지와, 별도로 측정된 좌표값 및 위치정보를 서로 결합시켜서 수치지도DB(10)에 저장되어 있던 기존 도화이미지를 갱신하는 것이다.
그런데, 종래 위치측정기(100)는 현장에서 GPS(20)와 결합돼 작업이 진행되므로, 각종 지형물에 의한 가림이 없는 광야 또는 상대적으로 한적한 도외지 전용으로 제작되었다. 따라서, 마천루와 같은 고층건물이 집중돼 GPS위성과의 통신이 곤란하고, 수많은 방해 전파가 범람하며, 이로 인한 각종 센서의 오작동 발생이 빈번한 도심지에서는 지형물에 대한 정확한 위치측정이 불가능했다.
결국, 도심에서도 지형물의 정확한 위치측정을 통해 지형물이미지를 도화이미지 내에 정확히 표현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수치지도 이용시 발생했던 종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신뢰도 높은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었다.
이러한 요구의 일환으로, 한국 등록특허 제10-1002407호 “지표면의 기준점 위치확인 및 지형정보를 적용한 공간영상도화용 보정시스템”이 제안된바 있다.
그러나 상술한 한국 등록특허 제10-1002407호 “지표면의 기준점 위치확인 및 지형정보를 적용한 공간영상도화용 보정시스템”의 경우, 지형물의 각 기준점에 배치되는 위치측정기들이 외부에 그대로 노출되는 상태로 설치됨에 따라 훼손 내지 파손의 위험이 높았고, 위치측정기의 높이 조절은 물론이고 조절된 높이에서의 회전이 불가능하여 다양한 측정 및 그 측정 값의 획득에 제약이 따르는 것이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002407호(2010.12.21.공고.), “지표면의 기준점 위치확인 및 지형정보를 적용한 공간영상도화용 보정시스템” 한국 등록특허 제10-1495735호(2015.03.02.공고.), “지표면의 기준점 위치확인 및 지형정보를 응용한 공간영상 도화용 보정방법이 적용된 시스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지형물의 각 기준점에 배치되는 위치측정기들이 평상 시에는 외부로부터 가려져 잘 보호되면서 그 작동 시에만 한시적으로 외부에 노출되고, 높이 조절은 물론 조절된 높이에서의 회전이 가능하여 보다 다양한 측정 및 그 측정 값의 획득이 가능토록 한 지표면 지형지물의 기준점 위치 확인과 지형정보를 이용한 공간영상도화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지형물의 각 기준점에 배치되는 위치측정기들이 조절된 높이 및 조절된 회전 각도를 서로 용이하게 일치시킬 수 있도록 한 지표면 지형지물의 기준점 위치 확인과 지형정보를 이용한 공간영상도화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표면 지형지물의 기준점 위치 확인과 지형정보를 이용한 공간영상도화 시스템은, 지형물이미지가 포함된 도화이미지를 저장하는 수치지도DB(10): 지면에 안착되는 받침(111)과, 구획벽(113)에 의해 상하로 구획된 중공을 가지며 받침(111)에 입설 고정되는 지지관(112)과, 내부에 유체를 수용하는 링 형상을 이루고 지지관(112)의 내면 둘레에서 상하로 이격 배치 고정되는 제1,2튜브(116, 116')와, 제1,2튜브(116, 116') 내부의 유압을 각각 측정하는 제1,2유압기(117, 117')와, 중앙에 관통구멍(118a)을 형성하고 제1,2튜브(116, 116') 사이에 배치되는 경계판(118)으로 구성된 지지대(110); 중앙에 통공(121)이 형성된 링 형상으로, 외면 둘레에는 홈부(122)가 형성되고, 내면 둘레에는 투명체(123)가 배치되며, 지지대(110)의 상단이 통공(121)으로 삽입되면서 축조되는 헤드(120); 구획벽(113)의 상방 중공에서 제1,2튜브(116, 116') 사이까지 주입되는 제1겔(G1); 제1겔(G1) 상에 주입되고 제1겔(G1)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밀도와 높은 점성을 갖는 제2겔(G2); 극성이 서로 대향하게 발생하는 자석재질이고, 통공(121)으로 삽입되어 제2겔(G2)의 수면에 부유하도록 설치되며, 제1,2겔(G1, G2)을 관통하도록 하방으로 돌출된 앵커(131)가 구성된 회전구(130); 투명체(123)를 조준하도록 수평배치되어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라이트건(151)이 구성되고, 회전구(130)에 내설되는 레이저(150); 일정한 주파수대 및 세기의 초음파를 발신하면서 회전구(130)에 내설되는 초음파발신장치(170); 홈부(122)를 따라 일렬로 배치돼 초음파를 개별적으로 감지하는 다수의 감지모듈(161)과, 투명체(123)를 중심으로 라이트건(151)과 마주하면서 헤드(120)의 내면 둘레를 따라 일렬로 배치돼 라이트건(151)의 레이저를 개별적으로 감지하는 다수의 수광모듈(162)과, 상기 다수의 감지모듈(161) 및 수광모듈(162) 중 수신감도가 가장 큰 감지모듈(161)과 수광모듈(162)을 각각 확인하는 제어모듈(163)로 구성된 초음파수신장치(160); 레이저(150), 초음파발신장치(170) 및 초음파수신장치(16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제어반(142)을 구비하고, 감지모듈(161)과 수광모듈(162)이 각각 감지한 초음파와 레이저광의 각도와 수신감도의 세기를 이용해 초음파의 발신 위치를 확인해서 데이터로 저장하되, 제어반(142)은 제1,2유압기(117, 117')의 감지신호를 받아 알람램프(144)를 동작시키도록 설정된 제어장치(140);를 포함하는 다수의 위치측정기(100): 상기 데이터를 위치측정기(100)로부터 수신해서, 위치측정기(100)를 기준점(P)으로 하는 지형물이미지(B')를 완성하고, 기준점(P)에 의해 연산된 중심점을 해당 지형물의 대표 GPS좌표에 매치시켜 수치지도DB(10)에 저장된 도화이미지를 갱신하는 영상도화기(30): 및 상기 위치측정기(100)별로 설치되어 해당 위치측정기(100)가 외부로부터 가려져 보호되는 동시에 높이 조절 및 조절된 높이에서의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측정기 보호 가동부(200)를 포함하며, 상기 측정기 보호 가동부(200)는 상기 위치측정기(100)의 수납 및 수납된 위치측정기(100)의 승하강 및 회전을 위한 가동 구조의 설치 공간이 내측에 형성되고, 상면에 상기 위치측정기(100)의 수납 및 인출을 위한 개방구(211)가 형성되며, 상기 위치측정기(100)의 승강 또는 하강 후 정지된 지점에서의 높이 표시를 위한 제1 눈금(212)이 내면에 수직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하우징(210); 상기 하우징(210)의 하면 중앙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세워져 설치되는 제1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220); 상기 하우징(210)의 하면에 상기 제1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220)를 중심으로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서 각각 수직 방향으로 세워져 설치되며, 상기 제1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220)의 작동에 동기화되어 상기 제1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220)와 동시 작동되는 한 쌍의 제2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230); 상기 제1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220)의 제1 작동로드(221) 선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220)의 작동 시 상기 제1 작동로드(221)와 연동하여 승강 또는 하강되고, 상면에 상기 위치측정기(100)의 받침(111)이 결합되며,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기 위한 회전력 전달 기능의 종동 베벨기어(241)가 측면을 따라 형성되고, 상면 둘레의 한 지점에 회전 각도의 표시를 위한 지시침(242)이 형성되는 회전판(240); 상기 회전판(240)의 삽입을 위한 삽입홀(251)이 중앙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판(240)을 수평 방향을 기준으로 감싸는 상태로 상기 제2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230)들의 제2 작동로드(231) 선단에 두 지점이 각각 결합되며, 상기 회전판(240)의 종동 베벨기어(241)에 대한 회전력 전달을 위해 수평 방향의 관통홀(252)이 측면에 형성되며, 상면의 둘레를 따라 상기 위치측정기(100)의 회전 각도를 표시하기 위한 제2 눈금(253)이 표시되는 회전링(250); 상기 회전링(250)의 관통홀(252)에 삽입되어 상기 회전판(240)의 종동 베벨기어(241)와 치합되는 구동 베벨기어(261), 상기 구동 베벨기어(261)에 구동축(262a)이 결합되어 상기 구동 베벨기어(261)에 정역 회전하는 동력을 제공하는 정역회전모터(262), 상기 정역회전모터(262)를 결합시킨 상태로 상기 하우징(210)의 내면에 수직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하우징(210)의 제1 눈금(212)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슬라이딩 되도록 설치되는 슬라이딩 플레이트(263) 및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263)가 상기 제2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230)들 중 하나의 제2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230)와 연동하도록 해당 제2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230)의 제2 작동로드(231)와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263)를 연결하는 연결바(264)를 포함하는 회전동력 발생부(260); 상기 회전판(240)의 회전에 따른 그 지시침(242)의 상기 회전링(250)의 제2 눈금(253)에 대한 표시 상태 그리고 상기 회전판(240)의 승강 또는 하강에 따른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263)의 상기 하우징(210) 내면의 상기 제1 눈금(212)에 대한 표시 상태를 촬영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210)의 내측에 설치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카메라(270); 상기 하우징(210)의 외면에 설치되어 상기 카메라(270)를 통해 획득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280); 상기 하우징(210)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220), 제2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230), 정역회전모터(262), 카메라(270) 및 디스플레이 패널(28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290); 상기 하우징(210)의 외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220), 제2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230), 정역회전모터(262), 카메라(270) 및 디스플레이 패널(280)의 작동용 신호를 상기 제어부(290)에 입력하는 조작 스위치부(300); 상기 하우징(210)의 외면에 설치되어 상기 카메라(270)를 통해 획득되는 영상정보를 외부의 수신 대상에 무선 전송하고, 외부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제1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220), 제2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230), 정역회전모터(262), 카메라(270) 및 디스플레이 패널(280)의 작동 제어용 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입력하는 무선통신모듈(310); 상기 하우징(210)의 개방구(211)를 개폐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210)의 개방구(211) 주연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3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지형물의 각 기준점에 배치되는 위치측정기들이 평상 시에는 외부로부터 가려져 잘 보호되면서 그 작동 시에만 한시적으로 외부에 노출되고, 높이 조절은 물론 조절된 높이에서의 회전이 가능하여 보다 다양한 측정 및 그 측정 값의 획득이 가능케 된다.
또한, 지형물의 각 기준점에 배치되는 위치측정기들이 조절된 높이 및 조절된 회전 각도를 서로 용이하게 일치시킬 수 있어, 위치측정기 간 위치를 확인하는 작업이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진행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도화된 이미지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도면
도 2는 보정시스템의 모습을 예시한 블록도
도 3은 GPS좌표가 적용된 도화이미지를 예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정시스템에서 위치측정기를 예시한 사시도
도 5는 위치측정 대상인 실제 지형물에 위치측정기를 설치해서 각 지점에 대한 좌표값을 확인한 후, 이를 이용해 지형물이미지를 완성한 모습을 예시한 도면
도 6은 도 4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측정기를 분해된 상태로 예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4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측정기를 결합된 상태로 예시한 단면도
도 8은 도 4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측정기가 기울어지게 배치된 모습을 예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보정시스템에서 위치측정기 및 측정기 보호 가동부를 예시한 측면도
도 10은 도 9의 실시 예에 따른 보정 시스템에서 측정기 보호 가동부를 위에서 본 평면도
도 11은 도 9의 실시 예에 따른 보정 시스템에서 하우징 내부의 눈금을 통해 위치측정기의 현재 높이가 표시되는 상태를 예시한 측면도
도 12는 도 9의 실시 예에 따른 측정기 보호 가동부의 전기적 구성을 예시한 블록도
이하의 본 발명에 관한 상세한 설명들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실시 예이고 해당 실시 예의 예시로써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의 실시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기재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발명에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표면 지형지물의 기준점 위치 확인과 지형정보를 이용한 공간영상도화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GPS좌표가 적용된 도화이미지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정시스템에서 위치측정기를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위치측정 대상인 실제 지형물에 위치측정기를 설치해서 각 지점에 대한 좌표값을 확인한 후, 이를 이용해 지형물이미지를 완성한 모습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4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측정기를 분해된 상태로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4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측정기를 결합된 상태로 예시한 단면도이며, 도 8은 도 4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측정기가 기울어지게 배치된 모습을 예시한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치지도는 통상 지형물이미지(B')를 포함하는 도화이미지에 GPS좌표가 합성되어 제작된다. 이때, 도화이미지는 항공촬영이미지를 배경으로 하여 도시한 이미지일 수도 있고, 항공촬영이미지 그 자체일 수도 있다. 그런데, 항공촬영이미지를 배경으로 하여 도시한 이미지의 경우에는 앞서 문제점으로 제시한 바와 같이 다양한 이유로 인해 지형물이미지(B; 도 1(a) 참조)를 단순화시켰다. 즉, 실제 지형물이미지(B')와는 다르게 도시되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차이는 수치지도를 활용하는 이용자에게 혼선을 일으킨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화이미지에 도시되는 지형물이미지(B')를 실제 지형물의 평면모습과 동일하게 함은 물론, 그 위치 또한 GPS좌표를 기준으로 제 위치에 정확히 게시되도록 해서, 도화이미지의 내용을 통해 지형을 이해하고 파악하는 이용자에게 정확한 정보제공이 가능하도록 했다. 이를 위해서는 지형물이미지(B')의 정확한 이미지 확인이 요구되고, 상기 이미지를 표현하기 위해서는 꼭지점이라 할 수 있는 기준점(P)의 위치를 정확히 확인해야 한다. 물론, 이렇게 확인된 기준점(P)의 정보가 GPS좌표에 적용되면서, 해당 지형물이미지(B')는 도화이미지에 합성된다.
한편, 상기 기준점(P)을 확인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보정시스템은 위치측정기(100)를 포함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정시스템의 필수구성인 위치측정기를 도시한 사시도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위치측정기(100)는 지형물의 각 기준점(P)에 배치되고, 일정 세기의 초음파를 발,수신해서 상호 간의 위치를 확인한다.
위치측정기(100)는 지형물에 인접해 용이하게 입설할 수 있는 기둥형상으로, 지지대(110)와, 지지대(110)의 상단에 위치하는 헤드(120)와, 헤드(120)의 상단에 안착되는 회전구(130)를 포함한다. 이때, 지지대(110), 헤드(120) 및 회전구(130)는 후술하는 제어장치(140), 레이저(150), 초음파수신장치(160) 및 초음파발신장치(170) 등의 전자장비를 탑재 및 보호하기 위한 하우징으로, 외부 충격에 대한 완충은 물론 기밀성을 담보할 수 있는 합성수지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지지대(110), 헤드(120) 및 회전구(130)에 세부적인 설명은 아래에서 상세히 한다.
계속해서, 도심에 건축되는 지형물은 다양한 형상의 입체물인데, 위치측정기(100)는 지형물의 각 꼭지점에 배치되어서 이웃하는 다른 위치측정기(100)의 신호를 수신한다. 한편, 다른 위치측정기(100)로부터 발신된 초음파를 수신하는 초음파수신장치(160; 도 7 참조)는 헤드(120)에 탑재되고, 헤드(120)는 다른 위치측정기(100)로부터 발신된 초음파의 수평 수신율을 높이기 위해 그 둘레면이 곡면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헤드(120)의 둘레면은 초음파의 수신율을 높이기 위한 곡면 형상의 홈부(122)를 형성시켰다.
회전구(130)는 헤드(120)의 상방으로 돌출되어 독립적인 유동성을 갖는 구조로, 초음파를 발신하는 초음파발신장치(170; 도 7 참조)를 탑재한다. 즉, 초음파발신장치(170)를 탑재한 회전구(130)는 위치측정기(100)의 최상에 배치되어서, 초음파의 발신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5는 위치측정 대상인 실제 지형물에 상기 위치측정기를 설치해서 각 지점에 대한 좌표값을 확인한 후, 이를 이용해 지형물이미지를 완성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측정기의 모습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측정기의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측정기가 기울어지게 배치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위치측정기(100)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지지대(110)와 헤드(120)와 회전구(130)가 순차로 축조되어 입설되되, 지지대(110)에는 제어장치(140)가 내설되고, 헤드(120)에는 초음파수신장치(160)가 내설되며, 회전구(130)에는 레이저(150) 및 초음파발신장치(170)가 내설된다.
한편, 지지대(110)는 지지관(112)의 내면을 따라 수평하게 고정배치되는 링 형상의 제1,2튜브(116, 116')와, 제1,2튜브(116, 116')에 각각 내설되는 제1,2유압기(117, 117')와, 제1,2튜브(116, 116') 사이에 수평 배치되는 경계판(118)을 더 포함한다. 이때, 제1,2튜브(116, 116')에는 외압에 따른 압력 변화가 큰 유체가 주입된다. 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내용은 아래에서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제어장치(140)는 입설관 형태를 한 지지관(112) 중공에 내설되어서, 초음파수신장치(160)가 수신한 정보를 확인하여 저장하고, 레이저(150) 및 초음파발신장치(170)의 동작을 제어한다. 참고로, 측정자의 조작을 위해 제어장치(140)에는 제어반(142)이 구비되고, 제어반(142)은 지지관(112)의 외면에 개폐가능하게 형성된 도어(112a)에 의해 보호된다. 따라서, 측정자는 도어(112a)를 열고 닫아서 제어반(142)을 조작하거나 또는 이를 보호하게 된다.
한편, 제어장치(140)에는 저장수단(143)이 더 포함된다. 저장수단(143)은 초음파수신장치(160)가 수신한 이웃하는 다른 위치측정기까지의 거리정보 및 방향정보를 저장하는 것으로, 제어장치(140)와 분리가능한 USB 장치 또는 MD 등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분리된 저장수단(143)은 위치측정기(100)들로부터 수집되어 영상도화기(30)가 이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
계속해서, 제어장치(140)는 알람램프(144)를 더 포함한다. 알람램프(144)는 제1,2유압기(117, 117')의 신호를 받은 제어반(142)의 설정된 명령에 따라 동작하는 것으로, 이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도록 한다.
알람램프(144)는 측정자가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야 하므로, 제어반(142)을 덮는 도어(112a)에는 알람램프(144)가 외관으로 노출되도록 투명창(112b)이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헤드(120)는 중앙에 지지관(112)이 삽입되는 관통공(121)을 구비한 링 형상으로, 둘레면은 초음파의 수신효율을 높이기 위해 곡면 형상의 홈부(122)가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헤드(120)에는 초음파수신장치(160)가 탑재된다.
초음파수신장치(160)는 홈부(122)로 수집되는 초음파를 감지하는 감지모듈(161)과, 레이저(150)에서 발사되는 레이저광을 수광하는 수광모듈(162)과, 감지모듈(161)과 수광모듈(162)에서 각각 감지 및 수광한 초음파정보와 레이저광 정보를 처리해서 제2라인(L2)을 통해 제어장치(140)로 전송하는 제어모듈(163)로 구성된다. 이때, 감지모듈(161) 및 수광모듈(162)은 다수 개가 독립적으로 일렬 배치되어서, 초음파 및 레이저광을 각각 독립적으로 수신한다. 물론, 감지모듈(161) 및 수광모듈(162)은 모두 고유코드로 식별되고, 제어모듈(163)은 감지모듈(161)과 수광모듈(162)의 배치 데이터를 포함하면서, 감지모듈(161)이 감지한 초음파 정보와, 수광모듈(162)이 감지한 레이저광 정보 및 상기 배치 데이터를 제어장치(140)로 전송한다.
초음파수신장치(160)는 이웃하는 다른 위치측정기로부터 발신된 초음파를 수신해서 이웃하는 다른 위치측정기까지의 거리와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제어모듈(163)은 규정된 세기로 발신된 초음파 감소율을 확인해서 위치측정기(100) 간의 거리를 확인한다. 또한, 수광모듈(162)이 수광하는 상기 레이저광의 수광위치를 확인해서, 이웃하는 다른 위치측정기의 방향을 추적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레이저(150)를 설명하면서 상세히 한다.
참고로, 초음파를 감지하는 감지모듈(161)과, 레이저광을 수광하는 수광모듈(162)은 각각 헤드(120)의 외면 둘레와 내면 둘레를 따라 배치되어서, 다양한 방향에서 유입되는 초음파 및 레이저광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헤드(120)의 내면은 레이저광이 통과할 수 있는 투명체(123)로 마감되어서, 레이저광의 투과율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지지관(112)의 둘레에는 헤드(120)의 안정된 안착을 위한 지지턱(115)이 돌출 형성되어서, 헤드(120)와 지지대(110) 간의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회전구(130)는 초음파발신장치(170)와 레이저(150)를 탑재하기 위해 중공을 갖춘 구 형상으로, 헤드(120)의 관통공(121)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고, 저면에는 지지관(112)으로 삽입되는 앵커(131)가 돌출 형성된다. 이때, 앵커(131)는 레이저(150) 및 초음파발신장치(170)의 제어를 위해 제어장치(140)와 연결하는 제1라인(L)을 감싸 보호할 수도 있다.
레이저(150)는 초음파수신장치(160)의 수광모듈(162)과 마주하는 라이트건(151)을 갖추고, 제어장치(140)의 제어신호에 따라 레이저광을 수광모듈(162)로 조사한다. 이때, 수광모듈(162)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헤드(120)의 내면 둘레를 따라 배치되면서 각 지점별로 고유코드가 설정돼 독립적으로 레이저광을 수신한다. 즉, 헤드(120)의 내면 둘레를 따라 독립적으로 배치된 수광모듈(162)은 자신이 수신한 레이저광을 제어장치(140)로 전송하면, 제어장치(140)는 어떤 수광모듈(162)이 레이저(150)의 레이저광을 수광했는지를 확인해서, 위치측정기(100)를 중심으로 한 방향을 추적할 수 있는 것이다.
지지관(112)은 제어장치(140)와의 구획 및 방수를 위한 구획벽(113)이 형성되고, 구획벽(113)의 상부에는 밀도가 다른 제1,2겔(G1, G2)을 주입하며, 회전구(130)는 제1,2겔(G1, G2)의 수면에 부유할 수 있도록 배치한다.
즉, 제1겔(G1)이 제2겔(G2)에 비해 밀도가 큰 액체라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겔(G1), 제2겔(G2) 및 회전구(130) 순으로 배치될 것이다. 참고로, 회전구(130)는 밀도와는 상관없이 자체 부력에 의해 제1,2겔(G1,G2)의 수면에 부유할 것이다. 참고로, 회전구(130)가 안정되면서도 자유로운 부유상태를 이루도록 하기 위해, 회전구(130)의 직경은 지지관(112)의 직경보다 크고, 관통공(121)의 직경보다는 작도록 한다. 한편, 회전구(130)와 직접 접하는 제2겔(G2)은 점성이 큰 재질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2겔(G2)의 지나친 이동과 너울 등으로 인해 회전구(130)가 불안정하게 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제1,2튜브(116, 116') 사이에 배치되는 경계판(118)은 제1겔(G1)보다 밀도가 작고 제2겔(G2)보다 밀도가 큰 재질로 제작해서, 제1,2겔(G1, G2)의 경계에 경계판(118)이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 참고로, 경계판(118)은 회전구(130)의 앵커(131)가 관통하기 위한 관통구멍(118a)이 형성된다.
계속해서, 회전구(130)는 자체적으로 자력을 갖는 자석으로 제작되고, 회전구(130)의 표면에는 극성을 확인할 수 있는 표시가 삽입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지지관(112)에 제1,2겔(G1, G2)이 주입된 후 회전구(130)가 수면에 안착되면, 회전구(130)가 자력에 의해 자체적으로 나침반의 기능을 하면서 S극이 북쪽을 향하게 된다. 이때, 앵커(131)는 제1,2겔(G1, G2)로 삽입되면서 회전구(130)가 안정성을 갖도록 한다.
이외에도,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회전구(130)를 중심으로 한 쌍의 막대를 서로 대향하게 배치하고, 상기 막대는 자화가능한 재질로 제작하거나 영구자석으로 제작해서 나침반의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초음파발신장치(170)는 회전구(130)에 탑재되고, 제어장치(140)의 제어에 따라 초음파를 무작위로 발신한다. 이때 초음파의 세기는 모든 위치측정기(100)가 일정하도록 설정하고, 이를 통해 수집된 정보를 토대로 지형물의 모습을 추적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위치측정기(100)는 지표면의 기준점에 배치되는 것이므로, 지표면의 표면 상태에 따라 도 8과 같이 기울어지게 위치할 수도 있다. 위치측정기(100)의 기울어진 배치는 수광모듈(162)에 대한 레이저광의 수평 조사를 불가능하게 하고, 수평으로 전달되는 초음파에 대한 직접 감지에 제한을 일으키므로, 이웃하는 위치측정기 간의 거리 측정에서 불리할 수 있다. 따라서, 측정자가 지표면의 표면 상태에 따라 위치측정기(100)를 정확히 입설 배치할 수 있도록, 해당 위치측정기(100)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울어지게 배치될 경우 이를 경고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치측정기(100)가 기울어지더라도 지지관(112)의 중공에 주입된 제1,2겔(G1, G2)은 수평을 유지하고, 이에 따라 경계판(118) 또한 수평을 유지한다. 그러나, 경계판(118)의 상하에 각각 배치된 제1,2튜브(116, 116')는 지지관(112)의 기울어짐과 더불어 기울어지므로, 경계판(118)의 양쪽 끝단은 제1,2튜브(116, 116')에 각각 압력을 가하게 된다.
계속해서, 제1,2튜브(116, 116')에 주입된 유체의 압력을 감지하는 제1,2유압기(117, 117')는 제1,2튜브(116,116')의 유압 변화를 감지하고, 이를 제어반(142)으로 전송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경계판(118)은 제1,2겔(G1, G2) 사이에 위치하면서 지지관(112)의 배치상태에 상관없이 독립적으로 위치한다. 따라서, 위치측정기(100)가 한쪽으로 기울어지더라도 경계판(118)은 수평한 상태를 지속하면서 제1,2튜브(116, 116')에 각각 압력을 가하게 된다. 즉, 위치측정기(100)가 한쪽으로 기울어지게 배치될 때만 경계판(118)은 제1,2튜브(116,116') 모두에 압력을 가할 것이고, 위치측정기(100)가 허용 범위 내에서 직립으로 입설된다면 제1,2튜브(116,116') 모두에 압력을 가하지 않거나, 어느 한쪽에만 압력을 가할 것이다.
제어반(142)은 제1,2유압기(117, 117') 모두로부터 지속적인 감지신호가 전송되면, 설정된 내용에 따라 위치측정기(100)가 기울어진 것으로 보고 알람램프(144)를 작동시킨다.
미설명된 인출기호 "114"는 구획벽(113)에 형성된 인입로를 인출한 것으로, 제어장치(140)와 레이저(150) 및 초음파발신장치(170)를 연결하는 제1라인(L1)이 관통하는 공간이다.
미설명된 인출기호 "P"는 인입로(114)를 폐구하는 부재로, 제1,2겔(G1, G2)이 인입로(114)를 통해 제어장치(140)로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한다.
미설명된 인출기호 "111"은 지지대(110)의 일 구성인 받침을 인출한 것으로, 지지대(110), 헤드(120) 및 회전구(130)가 순차적으로 축조돼 입설된 위치측정기(100)가 흔들림없이 안정하게 현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단이 확장 형성된 구조를 이룬다.
미설명된 인출기호 "141"는 인입로(114)에 삽입되는 코드(141)를 인출한 것으로, 제1라인(L1)을 제어장치(140)로 안내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정시스템의 동작모습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1단계
보정이 필요한 지형물을 확인하고, 상기 지형물의 기준점(P)에 각각 위치측정기(100)를 배치한다.
제2단계
위치측정기(100)를 물리적으로 안정화시킨 후 회전구(130)의 모습을 관찰한다. 이때, 지형물의 기준점(P)에 위치한 모든 위치측정기(100)의 회전구(130)가 동일한 방향으로 위치되었는지를 확인한다.
제3단계
위치측정기(100) 각각의 제어장치(140)를 제어반(142)을 통해 조작해서, 레이저(150)의 레이저광을 수신한 수광모듈(162)의 고유코드를 확인하고, 상기 고유코드가 위치한 수광모듈(162)을 기준으로 방향을 확정한다. 이때, 레이저(150)의 라이트건(151)을 정북쪽을 향하는 회전구(130)의 위치와 나란히 해서, 회전구(130)의 위치가 확정돼 레이저(150)가 레이저광을 조사하면 상기 레이저광은 곧 정북쪽을 향해 조사되는 것이고, 이를 수광한 수광모듈(162)은 곧 정북쪽이 된다.
제4단계
제어장치(140)는 수광모듈(162)의 레이저광 수신을 통해 자신이 소속된 위치측정기(100)를 중심으로 한 방향을 확정한다
제5단계
위치측정기(100) 각각의 제어장치(140)를 제어반(142)을 통해 조작해서, 초음파발신장치(170)가 일정한 주파수대와 세기의 초음파를 발하도록 한다. 이때, 초음파의 간섭을 방지하고, 서로 이웃하는 위치측정기(100)의 정확한 위치 확인을 위해 지형물의 기준점(P)에 각각 위치한 위치측정기(100)의 동작을 동시가 아닌 순차적으로 하나하나 진행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4단계에서 모든 위치측정기(100)의 방향이 확정되면, 초음파발신장치(170)는 위치측정기(100)별로 하나씩 동작하면서 양쪽에 이웃한 다른 위치측정기로 초음파가 발신되도록 하고, 상기 초음파를 수신한 다른 위치측정기의 초음파발신장치는 초음파를 발신해서 상기 다른 위치측정기에 이웃하는 또 다른 위치측정기가 상기 초음파를 수신하도록 한다.
제6단계
이웃하는 위치측정기의 초음파는 원형의 헤드(120) 둘레를 따라 배치된 독립된 감지모듈(161)이 각각 독립적으로 수신한다.
주지된 바와 같이, 초음파는 위치측정기(100)를 중심으로 한 동심원 형태로 전달되고, 감지모듈(161)은 원형으로 배치되므로, 이웃하는 위치측정기의 초음파발신장치로부터 직접 직선으로 수신한 감지모듈(161)의 수신감도가 다른 감지모듈(161)에서 수신한 초음파의 수신감도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된다. 즉, 위치측정기(100)는 수신감도를 통해 초음파를 발신한 이웃하는 위치측정기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제7단계
제어모듈(163)은 초음파를 수신한 감지모듈(161)들 중 감도가 가장 큰 감지모듈(161)의 위치를 확인하고, 수광모듈(162)의 레이저광 감지를 통해 확인된 방향에 따라 이웃하는 위치측정기의 초음파가 어느 방향으로부터 발신된 것인지를 확인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레이저광을 수광한 수광모듈(162)과, 초음파의 수신감도가 가장 큰 감지모듈(161)의 사이 각을 확인해서, 이웃하는 위치측정기가 북쪽(레이저광의 조사방향이 정북쪽을 향하는 경우)으로부터 몇 도로 각을 이루는지를 알 수 있고, 이를 통해 위치측정기(100)로부터 이웃하는 위치측정기가 어느 방향이 위치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초음파발신장치(170)로부터 발신되는 초음파는 그 세기가 모두 일정하다. 따라서, 이웃하는 위치측정기가 발신한 초음파를 수신한 위치측정기(100)는 감소된 초음파의 세기를 확인해서, 위치측정기 간의 거리를 연산할 수 있다.
제8단계
이러한 과정으로 이웃하는 위치측정기의 위치와 거리에 관한 데이터가 확인되면, 위치측정기 각각의 제어모듈(163)은 제어장치(140)로 이를 전송하고, 제어장치(140)는 저장수단(143)에 상기 데이터를 저장시킨다.
제9단계
측정자는 모든 위치측정기(100)의 저장수단(143)을 수거해서, 영상도화기(30)에 입력하고, 영상도화기(30)는 저장수단(143)에 입력된 데이터를 근거로 위치측정기(100) 간의 거리와 방향을 확인해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준점(P)마다 좌표(x1 내지 x7, y1 내지 y7)를 생성시킨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위치측정기(100)는 GPS측정을 위한 장치와는 무관하게 동작하므로, 상기 좌표(x1 내지 x7, y1 내지 y7) 중 하나의 기준점(P)을 원점(0, 0)으로 해서 다른 기준점들의 좌표를 생성시킬 것이다.
제10단계
영상도화기(30)는 상기 좌표(x1 내지 x7, y1 내지 y7)를 기준점으로 한 다각형의 중심점을, [수학식 1]을 이용해 연산한다
[수학식 1]
Figure 112018056850209-pat00001
제11단계
[수학식 1]을 통해 확인된 중심점의 좌표와, 도화이미지에서 해당 지형물의 대표 GPS좌표를 매치시켜서, 새로운 지형물이미지(B')를 도화이미지에 적용한다.
이렇게 갱신된 도화이미지는 수치지도DB(10)에 저장된다.
다음은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지표면 지형지물의 기준점 위치 확인과 지형정보를 이용한 공간영상도화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보정시스템에서 위치측정기 및 측정기 보호 가동부를 예시한 측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실시 예에 따른 보정 시스템에서 측정기 보호 가동부를 위에서 본 평면도이고, 도 11은 도 9의 실시 예에 따른 보정 시스템에서 하우징 내부의 눈금을 통해 위치측정기의 현재 높이가 표시되는 상태를 예시한 측면도이며, 도 12는 도 9의 실시 예에 따른 측정기 보호 가동부의 전기적 구성을 예시한 블록도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지표면 지형지물의 기준점 위치 확인과 지형정보를 이용한 공간영상도화 시스템은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지표면 지형지물의 기준점 위치 확인과 지형정보를 이용한 공간영상도화 시스템과 비교하여 측정기 보호 가동부(200)를 포함하는 점에서 차이가 있으며,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 측정기 보호 가동부(200)를 중심으로 설명하며, 그 이외의 구성은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지표면 지형지물의 기준점 위치 확인과 지형정보를 이용한 공간영상도화 시스템과 동일하므로 그를 통해 이해하면 될 것이다.
측정기 보호 가동부는 위치측정기(100)별로 설치되어 해당 위치측정기(100)가 외부로부터 가려져 보호되는 동시에 높이 조절 및 조절된 높이에서의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측정기 보호 가동부(200)는 하우징(210), 제1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220), 제2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230), 회전판(240), 회전링(250), 회전동력 발생부(260), 카메라(270), 디스플레이 패널(280), 제어부(290), 조작 스위치부(300), 무선통신모듈(310) 및 도어(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우징(210)은 위치측정기(100)의 수납 및 수납된 위치측정기(100)의 승하강 및 회전을 위한 가동 구조의 설치 공간이 내측에 형성되고, 상면에 위치측정기(100)의 수납 및 인출을 위한 개방구(211)가 형성된다. 또한, 하우징(210)은 위치측정기(100)의 승강 또는 하강 후 정지된 지점에서의 높이 표시를 위한 제1 눈금(212)이 내면에 수직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제1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220)는 하우징(210)의 하면 중앙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세워져 설치된다.
제2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230)는 하우징(210)의 하면에 제1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220)를 중심으로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서 각각 수직 방향으로 세워져 설치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한 쌍의 제2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230) 각각은 제1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220)의 작동에 동기화되어 제1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220)와 동시 작동된다.
회전판(240)은 제1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220)의 제1 작동로드(221) 선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220)의 작동 시 제1 작동로드(221)와 연동하여 승강 또는 하강된다. 여기서, 회전판(240) 및 제1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220)의 제1 작동로드(221) 간 회전 가능한 결합 구조는 베어링을 이용하거나 기타 공지의 기술 중 선택 적용되면 될 것이므로, 본 실시 예에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였다. 본 실시 예에서는 베어링(B)이 사용되는 것을 예로 하였다.
또한, 회전판(240)은 상면에 위치측정기(100)의 받침(111)이 결합되며,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기 위한 회전력 전달 기능의 종동 베벨기어(241)가 측면을 따라 형성된다. 그리고 회전판(240)은 상면 둘레의 한 지점에 회전 각도의 표시를 위한 지시침(242)이 형성된다.
회전링(250)은 회전판(240)의 삽입을 위한 삽입홀(251)이 중앙에 형성되어 회전판(240)을 수평 방향을 기준으로 감싸는 상태로 제2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230)들의 제2 작동로드(231) 선단에 두 지점이 각각 결합된다. 또한, 회전링(250)은 회전판(240)의 종동 베벨기어(241)에 대한 회전력 전달을 위해 수평 방향의 관통홀(252)이 측면에 형성되며, 상면의 둘레를 따라 위치측정기(100)의 회전 각도를 표시하기 위한 제2 눈금(253)이 표시된다.
회전동력 발생부(260)는 회전링(250)의 관통홀(252)에 삽입되어 회전판(240)의 종동 베벨기어(241)와 치합되는 구동 베벨기어(261), 이러한 구동 베벨기어(261)에 구동축(262a)이 결합되어 구동 베벨기어(261)에 정역 회전하는 동력을 제공하는 정역회전모터(262), 이러한 정역회전모터(262)를 결합시킨 상태로 하우징(210)의 내면에 수직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되 하우징(210)의 제1 눈금(212)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슬라이딩 되도록 설치되는 슬라이딩 플레이트(263) 및 이러한 슬라이딩 플레이트(263)가 제2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230)들 중 하나의 제2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230)와 연동하도록 해당 제2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230)의 제2 작동로드(231)와 슬라이딩 플레이트(263)를 연결하는 연결바(26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슬라이딩 플레이트(263)가 하우징(210)의 내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는 공지의 다양한 기술 중 선택 적용되면 될 것이므로, 본 실시 예에서 이에 대한 구체적인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하였다.
카메라(270)는 회전판(240)의 회전에 따른 그 지시침(242)의 회전링(250)의 제2 눈금(253)에 대한 표시 상태 그리고 회전판(240)의 승강 또는 하강에 따른 슬라이딩 플레이트(263)의 하우징(210) 내면의 제1 눈금(212)에 대한 표시 상태를 촬영하기 위해 하우징(210)의 내측에 설치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 설치된다.
디스플레이 패널(280)은 하우징(210)의 외면에 설치되어 카메라(270)를 통해 획득되는 영상을 표시한다.
제어부(290)는 하우징(210)의 내측에 설치되어 제1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220), 제2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230), 정역회전모터(262), 카메라(270) 및 디스플레이 패널(280)의 작동을 제어한다.
조작 스위치부(300)는 하우징(210)의 외면에 설치되어 제1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220), 제2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230), 정역회전모터(262), 카메라(270) 및 디스플레이 패널(280)의 작동용 신호를 제어부(290)에 입력한다.
무선통신모듈(310)은 하우징(210)의 외면에 설치되어 카메라(270)를 통해 획득되는 영상정보를 외부의 수신 대상에 무선 전송한다. 또한, 무선통신모듈(310)은 외부로부터 전송되는 제1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220), 제2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230), 정역회전모터(262), 카메라(270) 및 디스플레이 패널(280)의 작동 제어용 신호를 제어부에 입력한다.
도어(320)는 하우징(210)의 개방구(211)를 개폐하기 위해 하우징(210)의 개방구(211) 주연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서, 지형물의 각 기준점에 배치되는 위치측정기(100)들이 측정기 보호 가동부(200)의 하우징(210) 내에 수납되어 외부로부터 잘 가려져 보호될 수 있고, 위치측정기(100)의 작동 시에만 하우징(210)으로부터 인출되어 측정 작업을 할 수 있다.
또한, 위치측정기(100)가 측정기 보호 가동부(200)의 회전판(240)에 설치되어 승하강 및 회전이 가능함에 따라, 위치측정기(100)의 높이 조절은 물론 조절된 높이에서의 회전이 가능하여 보다 다양한 측정 및 측정 값의 획득이 가능해 진다.
또한, 위치측정기(100)별 승강 또는 하강 후 정지된 지점에서의 높이 및 회전 각도를 하우징(210) 외부에서 디스플레이 패널(280)을 통해 시각적으로 확인하거나 원격지에서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이므로, 위치측정기(100) 간 높이 및 회전 각도를 서로 동일하게 맞추면서 상호 간 위치를 확인하는 작업이 보다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진행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하여 저서는 안되며, 후술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인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수치지도 DB 30 : 영상도화기
100 : 위치측정기 110 : 지지대
111 : 받침 112 : 지지관
113 : 구획벽 116 : 제1튜브
121 : 통공 122 : 홈부
123 : 투명체 130 : 회전구
131 : 앵커 140 : 제어장치
142 : 제어반 144 : 알람램프
150 : 레이저 151 : 라이트건
160 : 초음파수신장치 161 : 감지모듈
170 : 초음파발신장치 200 : 측정기 보호 가동부
210 : 하우징 211 : 개방구
212 : 제1 눈금 220 : 제1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
221 : 제1 작동로드 230 : 제2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
231 : 제2 작동로드 240 : 회전판
241 : 종동 베벨기어 242 : 지시침
250 : 회전링 251 : 삽입홀
252 : 관통홀 253 : 제2 눈금
260 : 회전동력 발생부 261 : 구동 베벨기어
262 : 정역회전모터 262a : 구동축
263 : 슬라이딩 플레이트 264 : 연결바
270 : 카메라 280 : 디스플레이 패널
290 : 제어부 300 : 조작 스위치부
310 : 무선통신모듈 320 : 도어

Claims (1)

  1. 지형물이미지가 포함된 도화이미지를 저장하는 수치지도DB(10):
    지면에 안착되는 받침(111)과, 구획벽(113)에 의해 상하로 구획된 중공을 가지며 받침(111)에 입설 고정되는 지지관(112)과, 내부에 유체를 수용하는 링 형상을 이루고 지지관(112)의 내면 둘레에서 상하로 이격 배치 고정되는 제1,2튜브(116, 116')와, 제1,2튜브(116, 116') 내부의 유압을 각각 측정하는 제1,2유압기(117, 117')와, 중앙에 관통구멍(118a)을 형성하고 제1,2튜브(116, 116') 사이에 배치되는 경계판(118)으로 구성된 지지대(110);
    중앙에 통공(121)이 형성된 링 형상으로, 외면 둘레에는 홈부(122)가 형성되고, 내면 둘레에는 투명체(123)가 배치되며, 지지대(110)의 상단이 통공(121)으로 삽입되면서 축조되는 헤드(120);
    구획벽(113)의 상방 중공에서 제1,2튜브(116, 116') 사이까지 주입되는 제1겔(G1);
    제1겔(G1) 상에 주입되고 제1겔(G1)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밀도와 높은 점성을 갖는 제2겔(G2);
    극성이 서로 대향하게 발생하는 자석재질이고, 통공(121)으로 삽입되어 제2겔(G2)의 수면에 부유하도록 설치되며, 제1,2겔(G1, G2)을 관통하도록 하방으로 돌출된 앵커(131)가 구성된 회전구(130);
    투명체(123)를 조준하도록 수평배치되어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라이트건(151)이 구성되고, 회전구(130)에 내설되는 레이저(150);
    일정한 주파수대 및 세기의 초음파를 발신하면서 회전구(130)에 내설되는 초음파발신장치(170);
    홈부(122)를 따라 일렬로 배치돼 초음파를 개별적으로 감지하는 다수의 감지모듈(161)과, 투명체(123)를 중심으로 라이트건(151)과 마주하면서 헤드(120)의 내면 둘레를 따라 일렬로 배치돼 라이트건(151)의 레이저광을 개별적으로 감지하는 다수의 수광모듈(162)과, 상기 다수의 감지모듈(161) 및 수광모듈(162) 중 수신감도가 가장 큰 감지모듈(161)과 수광모듈(162)을 각각 확인하는 제어모듈(163)로 구성된 초음파수신장치(160);
    레이저(150), 초음파발신장치(170) 및 초음파수신장치(16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제어반(142)을 구비하고, 감지모듈(161)과 수광모듈(162)이 각각 감지한 초음파와 레이저광의 각도와 수신감도의 세기를 이용해 초음파의 발신 위치를 확인해서 데이터로 저장하되, 제어반(142)은 제1,2유압기(117, 117')의 감지신호를 받아 알람램프(144)를 동작시키도록 설정된 제어장치(140)를 포함하는 다수의 위치측정기(100):
    상기 데이터를 위치측정기(100)로부터 수신해서, 위치측정기(100)를 기준점(P)으로 하는 지형물이미지(B')를 완성하고, 기준점(P)에 의해 연산된 중심점을 해당 지형물의 대표 GPS좌표에 매치시켜 수치지도DB(10)에 저장된 도화이미지를 갱신하는 영상도화기(30): 및
    상기 위치측정기(100)별로 설치되어 해당 위치측정기(100)가 외부로부터 가려져 보호되는 동시에 높이 조절 및 조절된 높이에서의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측정기 보호 가동부(200)를 포함하며,
    상기 측정기 보호 가동부(200)는
    상기 위치측정기(100)의 수납 및 수납된 위치측정기(100)의 승하강 및 회전을 위한 가동 구조의 설치 공간이 내측에 형성되고, 상면에 상기 위치측정기(100)의 수납 및 인출을 위한 개방구(211)가 형성되며, 상기 위치측정기(100)의 승강 또는 하강 후 정지된 지점에서의 높이 표시를 위한 제1 눈금(212)이 내면에 수직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하우징(210);
    상기 하우징(210)의 하면 중앙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세워져 설치되는 제1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220);
    상기 하우징(210)의 하면에 상기 제1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220)를 중심으로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서 각각 수직 방향으로 세워져 설치되며, 상기 제1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220)의 작동에 동기화되어 상기 제1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220)와 동시 작동되는 한 쌍의 제2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230);
    상기 제1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220)의 제1 작동로드(221) 선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220)의 작동 시 상기 제1 작동로드(221)와 연동하여 승강 또는 하강되고, 상면에 상기 위치측정기(100)의 받침(111)이 결합되며,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기 위한 회전력 전달 기능의 종동 베벨기어(241)가 측면을 따라 형성되고, 상면 둘레의 한 지점에 회전 각도의 표시를 위한 지시침(242)이 형성되는 회전판(240);
    상기 회전판(240)의 삽입을 위한 삽입홀(251)이 중앙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판(240)을 수평 방향을 기준으로 감싸는 상태로 상기 제2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230)들의 제2 작동로드(231) 선단에 두 지점이 각각 결합되며, 상기 회전판(240)의 종동 베벨기어(241)에 대한 회전력 전달을 위해 수평 방향의 관통홀(252)이 측면에 형성되며, 상면의 둘레를 따라 상기 위치측정기(100)의 회전 각도를 표시하기 위한 제2 눈금(253)이 표시되는 회전링(250);
    상기 회전링(250)의 관통홀(252)에 삽입되어 상기 회전판(240)의 종동 베벨기어(241)와 치합되는 구동 베벨기어(261), 상기 구동 베벨기어(261)에 구동축(262a)이 결합되어 상기 구동 베벨기어(261)에 정역 회전하는 동력을 제공하는 정역회전모터(262), 상기 정역회전모터(262)를 결합시킨 상태로 상기 하우징(210)의 내면에 수직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하우징(210)의 제1 눈금(212)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슬라이딩 되도록 설치되는 슬라이딩 플레이트(263) 및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263)가 상기 제2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230)들 중 하나의 제2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230)와 연동하도록 해당 제2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230)의 제2 작동로드(231)와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263)를 연결하는 연결바(264)를 포함하는 회전동력 발생부(260);
    상기 회전판(240)의 회전에 따른 그 지시침(242)의 상기 회전링(250)의 제2 눈금(253)에 대한 표시 상태 그리고 상기 회전판(240)의 승강 또는 하강에 따른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263)의 상기 하우징(210) 내면의 상기 제1 눈금(212)에 대한 표시 상태를 촬영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210)의 내측에 설치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카메라(270);
    상기 하우징(210)의 외면에 설치되어 상기 카메라(270)를 통해 획득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280);
    상기 하우징(210)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220), 제2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230), 정역회전모터(262), 카메라(270) 및 디스플레이 패널(28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290);
    상기 하우징(210)의 외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220), 제2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230), 정역회전모터(262), 카메라(270) 및 디스플레이 패널(280)의 작동용 신호를 상기 제어부(290)에 입력하는 조작 스위치부(300);
    상기 하우징(210)의 외면에 설치되어 상기 카메라(270)를 통해 획득되는 영상정보를 외부의 수신 대상에 무선 전송하고, 외부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제1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220), 제2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230), 정역회전모터(262), 카메라(270) 및 디스플레이 패널(280)의 작동 제어용 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입력하는 무선통신모듈(310);
    상기 하우징(210)의 개방구(211)를 개폐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210)의 개방구(211) 주연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320)를 포함하는 지표면 지형지물의 기준점 위치 확인과 지형정보를 이용한 공간영상도화 시스템.
KR1020180066701A 2018-06-11 2018-06-11 지표면 지형지물의 기준점 위치 확인과 지형정보를 이용한 공간영상도화 시스템 KR1018969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6701A KR101896984B1 (ko) 2018-06-11 2018-06-11 지표면 지형지물의 기준점 위치 확인과 지형정보를 이용한 공간영상도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6701A KR101896984B1 (ko) 2018-06-11 2018-06-11 지표면 지형지물의 기준점 위치 확인과 지형정보를 이용한 공간영상도화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6984B1 true KR101896984B1 (ko) 2018-09-10

Family

ID=63593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6701A KR101896984B1 (ko) 2018-06-11 2018-06-11 지표면 지형지물의 기준점 위치 확인과 지형정보를 이용한 공간영상도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698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7795B1 (ko) * 2018-11-02 2019-02-14 제일항업(주) 도화의 자동보정기능을 갖춘 공간영상도화 시스템
KR102047840B1 (ko) * 2019-09-11 2019-11-22 (주)미도지리정보 항공사진 촬영을 위한 중심 초점 확보형 카메라 시스템
CN114152964A (zh) * 2021-10-30 2022-03-08 安徽省公路工程建设监理有限责任公司 一种北斗定位户外设施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2410B1 (ko) * 2010-07-23 2010-12-21 (유)대산이앤씨 영상이미지의 기준점 대비 대상 지형물을 도화하는 공간 영상도화시스템
KR101002407B1 (ko) 2010-07-23 2010-12-21 (유)대산이앤씨 지표면의 기준점 위치확인 및 지형정보를 적용한 공간영상도화용 보정시스템
KR101002419B1 (ko) * 2010-07-23 2010-12-21 (유)대산이앤씨 지형정보 변화에 따른 영상이미지의 공간 영상도화시스템
KR101349392B1 (ko) * 2013-06-20 2014-01-13 명화지리정보(주) 설정기준점을 이용한 지형물의 영상도화 업데이트시스템
KR101463020B1 (ko) * 2014-09-01 2014-11-19 주식회사 고원항공정보 기준점 위치확인 및 지형정보를 응용한 공간영상도화용 보정방법이 적용된 시스템
KR101495735B1 (ko) 2014-06-27 2015-03-02 (주)올포랜드 지표면의 기준점 위치확인 및 지형정보를 응용한 공간영상 도화용 보정방법이 적용된 시스템
KR101567926B1 (ko) * 2015-08-07 2015-11-11 중앙지리정보주식회사 지형변화에 따른 정위치의 세부 정보를 보정 처리하는 수치지도 편집 시스템
KR101739776B1 (ko) * 2016-12-06 2017-05-26 주식회사 범아엔지니어링 영상물 교체시 촬영대상을 기준으로 영상합성을 진행하는 영상물 편집처리시스템
KR101830298B1 (ko) * 2017-09-13 2018-03-29 (주)원지리정보 영상정보와 수치데이터를 이용한 공간영상 도화 시스템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2410B1 (ko) * 2010-07-23 2010-12-21 (유)대산이앤씨 영상이미지의 기준점 대비 대상 지형물을 도화하는 공간 영상도화시스템
KR101002407B1 (ko) 2010-07-23 2010-12-21 (유)대산이앤씨 지표면의 기준점 위치확인 및 지형정보를 적용한 공간영상도화용 보정시스템
KR101002419B1 (ko) * 2010-07-23 2010-12-21 (유)대산이앤씨 지형정보 변화에 따른 영상이미지의 공간 영상도화시스템
KR101349392B1 (ko) * 2013-06-20 2014-01-13 명화지리정보(주) 설정기준점을 이용한 지형물의 영상도화 업데이트시스템
KR101495735B1 (ko) 2014-06-27 2015-03-02 (주)올포랜드 지표면의 기준점 위치확인 및 지형정보를 응용한 공간영상 도화용 보정방법이 적용된 시스템
KR101463020B1 (ko) * 2014-09-01 2014-11-19 주식회사 고원항공정보 기준점 위치확인 및 지형정보를 응용한 공간영상도화용 보정방법이 적용된 시스템
KR101567926B1 (ko) * 2015-08-07 2015-11-11 중앙지리정보주식회사 지형변화에 따른 정위치의 세부 정보를 보정 처리하는 수치지도 편집 시스템
KR101739776B1 (ko) * 2016-12-06 2017-05-26 주식회사 범아엔지니어링 영상물 교체시 촬영대상을 기준으로 영상합성을 진행하는 영상물 편집처리시스템
KR101830298B1 (ko) * 2017-09-13 2018-03-29 (주)원지리정보 영상정보와 수치데이터를 이용한 공간영상 도화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7795B1 (ko) * 2018-11-02 2019-02-14 제일항업(주) 도화의 자동보정기능을 갖춘 공간영상도화 시스템
KR102047840B1 (ko) * 2019-09-11 2019-11-22 (주)미도지리정보 항공사진 촬영을 위한 중심 초점 확보형 카메라 시스템
CN114152964A (zh) * 2021-10-30 2022-03-08 安徽省公路工程建设监理有限责任公司 一种北斗定位户外设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2407B1 (ko) 지표면의 기준점 위치확인 및 지형정보를 적용한 공간영상도화용 보정시스템
KR101896984B1 (ko) 지표면 지형지물의 기준점 위치 확인과 지형정보를 이용한 공간영상도화 시스템
CN1127666C (zh) 探测器
US20050057745A1 (en) Measurement methods and apparatus
CN109556580A (zh) 测绘仪器、ar系统和相对于参照系定位ar装置的方法
US10323941B2 (en) Offshore positioning system and method
WO2020102817A2 (en) Pipe inspection and/or mapping camera heads, systems, and methods
KR101517827B1 (ko) 기준점을 이용한 지형지물의 공간영상 도화 시스템
KR20120049995A (ko) 시추공형 지진센서의 방위각 및 수평 경사 보정 장치 및 방법
KR101009359B1 (ko) 지형구조물에 대한 항공 및 지상촬영이미지의 부분별 정보추출 및 합성을 통한 3차원 수치지도 작성용 3차원 영상도화시스템
KR101009355B1 (ko) 수치정보에 따른 지형이미지의 삼차원 공간 영상도화시스템
KR20180072914A (ko) 지리정보시스템과 노면영상정보의 동시간 활용을 통한 지표레이더탐사 위치확인 시스템
KR101002410B1 (ko) 영상이미지의 기준점 대비 대상 지형물을 도화하는 공간 영상도화시스템
KR101495735B1 (ko) 지표면의 기준점 위치확인 및 지형정보를 응용한 공간영상 도화용 보정방법이 적용된 시스템
KR101240310B1 (ko) 지피에스 기준점에 따라 수치지도 데이터를 갱신하는 수치 인식시스템
KR101605777B1 (ko) 기준점 위치확인 및 지형정보를 응용한 공간영상도화용 보정시스템
US20190242700A1 (en) Offshore positioning system and method
KR101463020B1 (ko) 기준점 위치확인 및 지형정보를 응용한 공간영상도화용 보정방법이 적용된 시스템
KR101239932B1 (ko) 영상이미지의 기준점 대비 대상 지형물을 도화하는 공간 영상도화시스템
KR101144200B1 (ko) 일반도화기에서 사용되는 영상도화이미지의 데어터 수집시스템
KR101349146B1 (ko) 위치정보와 촬영이미지 합성을 기반으로 한 수치지도 제작용 영상처리 시스템
KR101590946B1 (ko) 영상이미지로 대상지형물을 도화하는 공간영상도화장치
KR101947795B1 (ko) 도화의 자동보정기능을 갖춘 공간영상도화 시스템
KR101349387B1 (ko) 지표면의 기준점별 지형정보 변화에 따른 실시간 영상도화보정장치
KR20180069546A (ko) 면구성 지질정보의 좌표기반 모델구성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