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6834B1 - 지리정보를 수집하여 수준 측량을 할 수 있는 측지측량시스템 - Google Patents

지리정보를 수집하여 수준 측량을 할 수 있는 측지측량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6834B1
KR102336834B1 KR1020210075375A KR20210075375A KR102336834B1 KR 102336834 B1 KR102336834 B1 KR 102336834B1 KR 1020210075375 A KR1020210075375 A KR 1020210075375A KR 20210075375 A KR20210075375 A KR 20210075375A KR 102336834 B1 KR102336834 B1 KR 1023368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case
rod
unit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5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해숙
백호종
고운석
백승재
백승환
Original Assignee
(주)필공간정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필공간정보 filed Critical (주)필공간정보
Priority to KR10202100753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68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68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68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G01C15/02Means for marking measuring points
    • G01C15/06Surveyors' staffs; Movable mark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5/00Measuring height; Measuring distances transverse to line of sight; Levelling between separated points; Surveyors' lev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8Energy storage means, e.g. batteri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V modu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측지측량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우징, 승하강 링크, 지지 플레이트, 토탈스테이션, 자가발전장치, 전원공급 커넥터, 실린더 전원커넥터, 토탈스테이션 전원커넥터, 신호 수신부, 저장부, 제어부, 무선통신모듈, 국가수준점 이용 현황 통합관리서버, 사용자 스마트 단말기, 지도정보 관리장치, 회전기구, 완충기구, 수평조절부 및 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측지측량의 작업자가 토탈스테이션 및 필요에 따라 스타프만을 고지대의 해당 위치로 이동시킨 후 해당 국가수준점을 기반으로 보다 정확한 측지측량을 수행 할 수 있는 지리정보를 수집하여 수준 측량을 할 수 있는 측지측량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지리정보를 수집하여 수준 측량을 할 수 있는 측지측량시스템{GEODETIC SURVEYING SYSTEM FOR LEVEL SURVEY BY COLLECTING GEOGRAPHIC INFORMATION}
본 발명은 측지측량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리정보를 수집하여 수준 측량을 할 수 있는 측지측량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국가 등 공공기관에서 발주하는 공공측량, 지하시설물 측량 등을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측지측량이 이루어져야 한다. 측지측량이란 수평거리와 고저차 및 방향을 측정하여 각 측정점들 상호간의 위치를 결정하여 이를 도면이나 수치로 표시하고, 현장에서 측설하는 제반 활동을 말하는 것이다.
이러한 측지측량 가운데 수준(level) 측량은 표척과 레벨기, 토탈스테이션 등의 측량장치를 이용하여 두 지점 간의 높이차를 구하는 측량으로 그 정확도는 2급 수준 측량의 경우 5mm * S/2 (여기서, S는 편도거리로서 단위는 km 이다) 이내로 규정하고 있을 정도로 세밀한 측량이 요구된다.
상기 토탈스테이션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면, 토탈스테이션은 전자식 세오돌라이트(Electronic Theodolite)와 광파측거기(EDM: Electro-Optical Instruments)가 하나의 기기로 통합된 형태이다.
이러한 토탈스테이션은 망원경의 상하 이동으로 생기는 연직각을 측정하는 연직각 검출부와, 본체의 좌우회전으로 생기는 수평각을 측정하는 수평각 검출부, 본체의 중심부에서 프리즘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측정부, 본체의 수평을 측정하고 보정하는 틸팅 센서로서, 크게 4개의 구성으로 구분된다.
그리고 상기 토탈스테이션을 통한 지리정보의 수집 시 통상 국가수준점의 좌표를 기반으로 측지측량 작업을 하게 된다.
상기 국가수준점은 수직위치의 기준이 되는 점으로써, 국가수준점의 표고는 수준원점을 기준으로 노선을 따라 직접수준측량에 의해 측정된다.
그리고 이러한 국가수준점은 1등 수준노선을 따라 매설된 1등 수준점과 2등 수준노선을 따라 매설된 2등 수준점으로 구분되며, 이때 국가수준점의 등급은 측정값의 정확도와 바로 대응된다.
국가수준점의 이용 예를 설명하면, 특정 지역의 사업수행 업체는 국가수준점을 이용하기 위해 국토지리정보원으로부터 사업수행 해당 지역의 국가수준점 위치를 기록한 국가수준점 성과표를 발급받아 활용하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국가수준점은 측지측량 작업을 하는 작업자의 편의만을 고려하여 설치될 수는 없는 바, 상당한 수의 국가수준점은 산악지형 등과 같이 고지대에 설치되는 것인 동시에 이러한 고지대의 국가수준점을 기반으로 측지측량 작업이 이루어질 밖에 없는 게 현실이다.
이에 따라, 측지측량의 작업자가 토탈스테이션 및 삼각대 등 측량 장비를 고지대에 위치한 국가수준점 인근까지 이동시키는데 따른 어려움이 따르는 동시에 이렇게 측량 장비의 이송에 체력을 소모한 작업자는 측지측량 작업에 대한 집중도가 저하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산악지형에서는 거친 지면으로 인해 삼각대를 수평으로 유지시키는 것이 용이치 못하며,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체력적으로 지친 작업자의 입장에서 더 큰 부담으로 다가오는 것이었다.
또한, 고지대에 위치하는 국가수준점 중에서도 그를 기반으로 측지측량이 빈번이 발생하는 국가수준점이 있을 것이며, 이와 같이 주변의 지리정보 수집을 위해 빈번히 이용되는 국가수준점의 정보를 통계적으로 잘 정리 후 이를 전체적인 수준측량의 필요 데이터로 활용할 경우 보다 효율적인 측지측량 작업을 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위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해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측지측량의 작업자가 토탈스테이션 및 필요에 따라 스타프만을 고지대의 해당 위치로 이동시킨 후 해당 국가수준점을 기반으로 보다 정확한 측지측량을 수행 할 수 있는 지리정보를 수집하여 수준 측량을 할 수 있는 측지측량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국가수준점의 이용 빈도에 따라 측지측량 도움 설비의 상시 비치 여부를 결정하므로 고지대의 국가수준점별 측지측량 도움 설비의 비치 여부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지리정보를 수집하여 수준 측량을 할 수 있는 측지측량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본 발명의 기재로부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상단에 180 도 이상의 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어 그 회전을 통해 수용공간을 개폐하는 커버 및 커버의 외측에 설치되는 발광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고 중앙에 설치된 힌지를 기점으로 회전되면서 상부가 승강되는 승하강 링크; 상기 승하강 링크가 승하강 되도록 구동모터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증앙을 기점으로 양측에 암나사부와 숫나사부가 각각 형성된 스크류축; 상기 승하강 링크의 상단에 설치된 안내롤이 저면에 접촉되게 설치되어 승하강 링크의 상하 이동에 따라 연동하여 승하강되면서 소정 높이로 승강되고, 상면에는 대상물의 고정을 위한 고정부가 구비되는 지지 플레이트;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고정부와 대응되는 지지부를 구비하여 지지 플레이트의 상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외부로부터의 전원 공급을 위한 제1 접속부 및 외부로부터의 각종 데이터 및 전기적 신호의 수신을 위한 제2 접속부를 포함하는 토탈스테이션; 상기 하우징과 인접하게 설치되며, 태양광을 전기에너지로 전환하는 태양전지가 포함된 제1 발전장치 및 설치 위치의 주변에서 발생되는 풍속을 이용해 발전을 하는 제2 발전장치 그리고 제1 발전장치 및 제2 발전장치에 병렬 접속되어 제1 발전장치 및 제2 발전장치에서 각각 생성되는 전기에너지를 충전하는 충전지를 포함하는 자가발전장치; 상기 자가발전장치의 충전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동시에 하우징의 내측 수용공간까지 연장되는 제1 전원공급선을 매개로 하우징 내측의 수용공간에 설치되는 전원공급 커넥터; 상기 전원공급 커넥터와의 전기적 접속을 통해 승하강 링크에 전원을 공급하는 실린더 전원커넥터; 상기 자가발전장치의 충전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동시에 지지플레이트까지 연장되는 제2 전원공급선을 매개로 지지플레이트에 설치되어 토탈스테이션의 제1 접속부와의 전기적 접속을 통해 토탈스테이션에 전원을 공급하는 토탈스테이션 전원커넥터;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설치되며 토탈스테이션의 제2 접속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토탈스테이션에서 처리되는 각종 데이터들이 수신되는 신호 수신부;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설치되며 신호 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설치되며 신호 수신부로부터 신호 수신 시마다 수신되는 정보에 국가수준점의 실시간 사용된 사실정보 및 국가수준점의 고유식별코드를 동기화시켜 국가수준점 이용정보를 생성 후 생성된 국가수준점 이용정보를 출력하고 신호 수신부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들을 저장부에 저장시키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국가수준점 이용정보를 통신망을 매개로 외부의 서버에 전송하는 무선통신모듈; 상기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전송되는 국가수준점 이용정보를 통신망을 매개로 수신하며 국가수준점별로 고유식별코드 및 제어부에서 생성되어 전송된 국가수준점 이용정보를 매핑하여 테이블 형태로 저장하는 국가수준점 이용 현황 통합관리서버; 상기 커버에 설치된 발광부 온/오프 조작 및 승하강 링크의 작동 조작을 위한 측지측량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어 발광부 및 승하강 실린더를 원격 조정하는 리모콘 기능을 하는 사용자 스마트 단말기;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결합되는 회전기구; 상기 회전기구의 하부에 결합되는 완충기구; 상기 완충기구의 하부에 결합된 수평대의 하부에 결합되는 다수의 수평조절부; 및 상기 수평조절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이동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리정보를 수집하여 수준 측량을 할 수 있는 측지측량시스템에서 상기 회전기구는, 하우징의 하단에 결합되어 하우징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수평회전부; 및 수평회전부의 하단에 장착되는 회전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회전부는, 하우징의 하단에 결합되며 상단과 후단이 개방된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회전케이스; 회전케이스 내부에 수용되며 상단이 높이조절부의 하단에 결합되고 하단이 회전케이스의 하단을 관통하여 회전제어부에 수용되는 회전로드; 회전로드의 측부에 돌출 연장되는 회전연장판; 회전케이스의 상단에 형성되며 회전연장판의 상부면과 접촉되는 회전걸림부; 및 회전연장판의 하부면과 회전케이스의 내측 하부면 사이에 배치되는 다수의 회전볼; 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제어부는, 회전케이스의 하단에 결합되며 회전로드의 하단이 수용되는 제어케이스; 제어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며 회전로드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어로드; 제어로드의 일단에 결합되며 회전로드의 하부에 형성된 다수의 멈춤홈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될 수 있는 멈춤부; 멈춤부와 회전케이스의 내측면 사이에 결합되는 제어스프링; 제어로드의 타단에 결합되며 제어케이스의 측부에 형성된 방지홈의 삽입될 수 있는 방지부; 방지부의 일측에 결합되며 삼각형 형태의 단면을 가지는 제어이동부; 제어케이스의 측부에 결합되며 제어이동부가 좌우로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제어이동케이스; 및 제어이동케이스의 상부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하단이 제어이동부의 상부면에 접촉되는 제어손잡이;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리정보를 수집하여 수준 측량을 할 수 있는 측지측량시스템에서 상기 수평조절부는,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의 높낮이케이스; 높낮이케이스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수용되며 측면에 다수의 고정홈이 형성되는 높낮이로드; 및 높낮이케이스의 상단에 결합되며 다수의 고정홈으로 진입 가능한 고정로드를 구비하는 높낮이고정부; 를 포함하며, 상기 높낮이고정부는, 높낮이케이스의 상단에 결합되는 고정케이스; 고정케이스에 좌우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수용되며 단부가 다수의 고정홈에 진입할 수 있는 고정로드; 고정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며 고정로드의 우단과 고정케이스의 내측 우단 사이를 연결하는 고정스프링; 및 고정케이스의 상부에 장착되며 고정로드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는 고정제한부; 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제한부는, 고정케이스의 상부면에 결합되는 제한판; 제한판의 상단에 결합되는 한 쌍의 제한스프링; 제한스프링의 하단에 연결되는 링 형태의 제한이동부; 및 제한이동부의 하단에 결합되는 제한로드;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리정보를 수집하여 수준 측량을 할 수 있는 측지측량시스템에서 상기 이동부는, 다수의 수평조절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이동판; 이동판의 하부에 결합되며 승강홈이 형성된 승강브라켓; 승강브라켓에 내장된 승강실린더를 매개로 승강브라켓에 결합되어 상하로 승강될 수 있는 바퀴; 승강브라켓의 하면에 결합되는 마찰부; 및 승강브라켓의 측부에 결합되며 줄을 매개로 연결되어 감기거나 풀릴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고정쇠; 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슬린더가 최대로 전개되었을 때 바퀴의 최하단은 승강브라켓의 하부면보다 상대적으로 더 아래에 위치하고, 승강실린더가 최대로 축소되었을 때 바퀴의 최하단은 승강브라켓의 하부면보다 상대적으로 더 위에 위치하여 승강홈 내부에 완전히 수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고지대에 위치하는 동시에 통계적으로 이용이 빈번한 국가수준점의 인근에 삼각대 기능을 포함하는 측지측량 도움 설비를 설치하여 이를 통해 측지측량의 작업자가 토탈스테이션 및 필요에 따라 스타프만을 고지대의 해당 위치로 이동시킨 후 보다 해당 국가수준점을 기반으로 보다 정확한 측지 측량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국가수준점의 이용 빈도에 따라 측지측량 도움 설비의 상시 비치 여부를 결정함에 따라 고지대의 국가수준점별 측지측량 도움 설비의 비치 여부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리정보를 수집하여 수준 측량을 할 수 있는 측지측량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보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리정보를 수집하여 수준 측량을 할 수 있는 측지측량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지측량시스템의 하우징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지측량시스템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기구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로드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완충기구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평조절부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부의 측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리정보를 수집하여 수준 측량을 할 수 있는 측지측량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보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리정보를 수집하여 수준 측량을 할 수 있는 측지측량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지측량시스템의 하우징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지측량시스템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지측량시스템은 고지대에 위치한 국가수준점(A) 인근에 토탈스테이션의 측지측량을 위한 도움 설비(S)를 설치하는 동시에 이러한 도움 설비(S)가 토탈스테이션과의 연계 사용시마다 해당 국가수준점(A)의 이용 사실 정보를 원거리의 국가수준점 이용현황 통합관리서버(600)에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게 된다.
이에 따라 국가수준점 이용현황 통합관리서버(600)는 고지대의 국가수준점(A)별 측지측량 도움 설비(S)로부터 전송되는 해당 국가수준점(A)의 이용 사실 정보에 따라 고지대의 국가수준점(A)별 이용 빈도 수 등 이용현황을 분석할 수 있고, 측지측량 도움 설비(S)의 전체 구성 중 주요 구성을 이동 가능한 형태로 구성하여 이렇게 이동 가능한 측지측량 도움 설비(S)의 주요 구성을 상술한 국가수준점 이용현황 통합관리서버(600)의 고지대 국가수준점(A)별 이용현황에 따라 이용 빈도가 잦은 국가수준점(A)들 중심으로 설치하여 효율적인 운영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측지측량시스템은 하우징(210), 승하강 링크(240), 지지 플레이트(230), 토탈스테이션(100), 자가발전장치(300), 전원공급 커넥터(350), 실린더 전원커넥터(243), 토탈스테이션 전원커넥터(231), 신호 수신부(232), 저장부(260), 제어부(250), 무선통신모듈(270), 국가수준점 이용 현황 통합관리서버(600), 사용자 스마트 단말기(400), 지도정보 관리장치(500), 회전기구(700), 완충기구(800), 수평조절부(900), 이동부(10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우징(210)의 상면에는 커버(212)가 설치되고, 상기 커버(212)에는 발광부(214)가 설치된다.
상기 하우징(210)은 국가수준점(A)과 인접하여 설치되며, 커버(212)는 이러한 하우징(210)의 상단에 180 도 이상의 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어 그 회전을 통해 하우징(210)의 내측 수용공간(211)을 개폐한다.
즉, 커버(212)는 하우징(210)의 상단에 180 도 이상의 회전이 가능하게 하는 힌지결합부(213)를 통해 결합되어 회전되면서 하우징(210)의 수용공간(211)을 개방하거나 폐쇄한다.
그리고 발광부(214)는 커버(212)에 외부에서 시각적 확인이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며, 이러한 발광부(214)는 외부의 조작신호 수신을 위한 무선통신부(미도시)를 구비한다.
본 실시 예를 기준으로 부연 설명하면, 발광부(214)는 사용자 스마트 단말기(400)에서 전송되는 제어신호를 통해 온/오프되며, 또한 발광부(214)는 사용자 스마트 단말기(400)에서 무선 전송되는 제어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무선통신부(미도시)를 구비(포함)한다.
승하강 링크(240)는 하우징(210)의 내부에 설치되며, 하부 양측에는 스크류축(241)이 나사결합되어 있되, 상기 스크류축(241)은 중앙을 기점으로 일측은 암나사부(241a)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숫나사부(241b)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정방향으로 회전될 때 승하강 링크(240)가 상승되고 역방향으로 회전될 때 승하강 링크(240)가 하강되는 것이다.
상기 승하강 링크(240)의 상단에는 안내롤(244)을 매개로 지지 플레이트(230)가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서, 승하강 링크(240)가 작동됨에 따라 연동하여 승하강되는 것이다.
그리고 지지 플레이트(230)는 그 상면에 지지되기 위한 대상물의 고정을 위한 고정부(233)가 구비된다. 다시 말해, 지지 플레이트(230)의 상면에는 토탈스테이션(100)의 고정부(130)와 대응되는 고정부(233)가 구비됨으로써, 이러한 지지 플레이트(230)의 고정부(233) 및 토탈스테이션(100)의 고정부(130)를 통해 토탈스테이션(100)이 지지 플레이트(230)의 상면에 탈착 가능하게 지지된다.
토탈스테이션(100)은 상술한 지지 플레이트(230)의 설명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지지 플레이트(230)의 고정부(233)와 대응되는 지지부(130)를 구비하며, 이러한 고정부(233)와 지지부(130)의 결합을 통해 토탈스테이션(100)이 지지 플레이트(230)의 상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이러한 토탈스테이션(100)은 외부로 부터의 전원 공급을 위한 제1 접속부(110) 및 외부로부터의 각종 데이터 및 전기적 신호의 수신을 위한 제2 접속부(120)를 포함하며, 이외의 토탈스테이션(100)의 전체 구성은 기존의 측지측량에 사용되는 통상의 토탈스테이션 구성과 동일하며, 따라서 본 발명에서 이러한 토탈스테이션(100)의 세부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자가발전장치(300)는 하우징(210)과 인접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자가발전장치(300)는 태양광을 전기에너지로 전환하는 태양전지가 포함된 제1 발전장치(310) 및 설치 위치의 주변에서 발생되는 풍속을 이용해 발전을 하는 제2 발전장치(320)를 포함한다.
또한 자가발전장치(300)는 제1 발전장치(310) 및 제2 발전장치(320)에 병렬 접속되어 제1 발전장치(310) 및 제2 발전장치(320)에서 각각 생성되는 전기에너지를 충전하는 충전지(330)를 포함한다.
전원공급 커넥터(350)는 자가발전장치(300)의 충전지(33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동시에 하우징(210)의 내측 수용공간(211)까지 연장되는 제1 전원공급선(340)을 매개로 수용공간(211)에 설치된다.
실린더 전원커넥터(243)는 승하강 실린더(240)의 전원공급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동시에 하우징(210)의 외측까지 연장될 수 있는 전원선(242)의 선단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즉, 실린더 전원커넥터(243)는 전원공급 커넥터(350)와의 전기적 접속을 통해 승하강 실린더(240)에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토탈스테이션 전원커넥터(231)는 자가발전장치(300)의 충전지(33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동시에 지지 플레이트(230)까지 연장되는 제2 전원공급선(234)을 매개로 지지 플레이트(230)에 설치된다.
이러한 토탈스테이션 전원커넥터(231)는 토탈스테이션(100)의 제1 접속부(110)와의 전기적 접속을 통해 해당 토탈스테이션(100)에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한다.
신호 수신부(232)는 지지 플레이트(230)에 설치되며, 이러한 신호 수신부(232)는 토탈스테이션(100)의 제2 접속부(12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토탈스테이션(100)의 측지측량 시 측량 값들 및 토탈스테이션(100)에서 처리되는 각종 데이터들을 수신한다.
저장부(260)는 지지 플레이트(230)에 설치되며, 이러한 저장부(260)는 신호 수신부(232)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 및 기타 다양한 데이터들을 저장하기 위한 용도로 설치된다.
제어부(250)는 지지 플레이트(230)에 설치되며, 이러한 제어부(250)는 신호 수신부(232)로부터 신호 수신 시마다 수신되는 정보에 해당 국가수준점(A)의 실시간 사용된 사실정보 및 국가수준점(A)의 고유식별 코드를 동기화시켜 국가수준점 이용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제어부(250)는 이렇게 생성한 국가수준점 이용정보를 무선통신모듈(270)에 출력하며, 또한 제어부(250)는 신호 수신부(232)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들을 저장부(260)에 저장시킨다.
무선통신모듈(270)은 제어부(250)에서 출력되는 국가수준점 이용정보를 통신망을 매개로 외부의 서버, 다시 말해 국가수준점 이용 현황 통합관리서버(600)에 전송한다.
국가수준점 이용 현황 통합관리서버(600)는 무선통신모듈(270)을 통해 전송되는 국가수준점 이용정보를 통신망을 매개로 수신하며, 이러한 국가수준점 이용 현황 통합관리서버(600)는 국가수준점별로 고유식별코드 및 제어부(250)에서 생성되어 전송된 국가수준점 이용정보를 매핑하여 테이블 형태로 저장한다.
즉, 국가수준점의 고유식별코드를 기준으로 각 국가수준점의 총 누적 이용 횟수, 최근 일정 기간 동안의 누적 이용 횟수, 최근 일정 기간 동안의 이용 일자 및 시간 등의 정보가 해당 국가수준점과 매핑되어 저장된다.
그리고, 사용자 스마트 단말기(400)는 커버(212)에 설치된 발광부(214)에 대한 온/오프 조작 및 구동모터(245)의 작동 조작을 위한 측지측량 전용 어플리케이션(410)이 탑재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 스마트 단말기(400)는 그 측지측량 전용 어플리케이션(410)의 실행을 통해 발광부(214) 및 스마트 승하강 링크(240)가 작동되도록 구동모터(245)를 원격 조정하는 리모콘으로 기능하게 된다.
구동모터(245)가 정방향으로 구동되면, 중앙을 기점으로 양측에 암사사부(241a)와 숫나사부(241b)가 형성된 스크류축(241)이 회전되고 승하강 링크(240)의 하단에 중앙으로 당겨지고 상기 승하강 링크(240)는 힌지(246)를 중심으로 이동되면서 상단부는 중앙으로 이동되는 것이다.
상기 승하강 링크(240)의 상단부가 모아질때 안내롤(244)이 회전되면서, 지지 플레이트(230)가 상승되는 것이다.
한편, 지도정보 관리장치(500)는 지형정보DB(510), 지리정보DB(520), 수집정보 비교모듈(530), 갱신모듈(540), 수치지도 출력모듈(5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지형정보DB(510)는 이미지화된 지형정보를 저장하며, 지리정보DB(520)는 지형정보에 상응하는 수치정보인 지리정보를 저장한다.
수집정보 비교모듈(530)은 토탈스테이션(100)으로부터 전송된 국가수준점(A) 기반의 측지측량 데이터를 포함한 지리정보를 지리정보DB(520)에 기저장된 해당 기존 지리정보와 비교한다.
갱신모듈(540)은 수집정보 비교모듈(530)의 비교 결과 기준치 이상의 차이가 [0054] 발생할 경우 토탈스테이션(100)로 부터 전송된 지리정보에 기반하여 지리정보DB(520)의 지리정보를 수정 갱신한다.
수치지도 출력모듈(550)은 지형정보DB(510)에 저장된 지형정보와 지리정보DB(520)에 저장된 지리정보를 합성하여 수치지도를 완성 출력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기구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로드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기구(700)는, 하우징(210)의 하단에 결합되어 하우징(210) 및 토탈스테이션(100)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수평회전부(710) 및 수평회전부(710)의 하단에 장착되는 회전제어부(7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수평회전부(710)는, 하우징(210)의 하단에 결합되며 상단과 후단이 개방된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회전케이스(711), 회전케이스(711) 내부에 수용되며 상단이 하우징(210)의 하단에 결합되고 하단이 회전케이스(711)의 하단을 관통하여 회전제어부(720)에 수용되는 회전로드(712), 회전로드(712)의 측부에 돌출 연장되는 회전연장판(713), 회전케이스(711)의 상단에 형성되며 회전연장판(713)의 상부면과 접촉되는 회전걸림부(711a) 및 회전연장판(713)의 하부면과 회전케이스(711)의 내측 하부면 사이에 배치되는 다수의 회전볼(714)을 포함한다.
상기 회전로드(712)는 회전케이스(711) 및 다른 부품에 대해 상대적인 수평 회전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회전로드(712)의 상단에 결합된 하우징(210) 및 토탈스테이션(100)도 수평 회전이 가능하다.
상기 회전로드(712)는 전체적으로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회전로드(712)의 측부에는 회전연장판(713)이 외측으로 링 형태로 돌출 연장된다. 회전연장판(713)은 회전걸림부(711a)에 접촉된다.
상기 다수의 회전볼(714)은 회전케이스(711) 내부에 수용되며, 회전로드(712)가 수평 회전할 때 회전케이스(711)와 회전로드(712) 사이의 마찰력을 줄여주어 회전로드(712)가 더욱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토탈스테이션(100)의 방향을 전환함에 있어서 토탈스테이션(100)을 들어올렸다가 다시 착지시키거나 하지 않고, 토탈스테이션(100)을 결합한 상태에서 그대로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으므로 토탈스테이션(100)의 위치가 변동됨에 따른 측량 오차를 확실하게 배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회전제어부(720)는 수평회전부(710)의 하단에 장착되며, 제어케이스(721), 제어로드(722), 멈춤부(723), 제어스프링(724), 방지부(725), 제어이동부(726), 제어이동케이스(727) 및 제어손잡이(72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어케이스(721)는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회전케이스(711)의 하단에 결합된다. 제어케이스(721)의 상단에는 회전케이스(711)와 연통될 수 있도록 홀이 형성되며, 이러한 홀을 통해 회전로드(712)의 하단이 제어케이스(721)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어로드(722)는 제이케이스 내부에 수용되며, 회전로드(712)와 직교하는 방향(즉,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제어로드(722)의 우측 단부에는 멈춤부(723)가 결합되고, 제어로드(722)의 좌측 단부에는 방지부(725)가 결합된다.
상기 멈춤부(723)는 납작한 판 형태로 형성되며, 제어로드(722)의 좌우 이동에 따라 좌우로 이동 가능하다. 상기 회전로드(712)의 하부에는 다수의 멈춤홈(712a)이 방사형으로 형성되는데, 멈춤부(723)는 이러한 멈춤홈(712a)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어로드(722)가 좌측으로 이동되었을 때 멈춤부(723)는 회전로드(712)의 멈춤홈(712a)에 삽입 수용되고, 제어로드(722)가 우측으로 이동되었을 때 멈춤부(723)는 회전로드(712)의 멈춤홈(712a)으로부터 이탈된다.
상기 멈춤부(723)가 회전로드(712)의 멈춤홈(712a)에 삽입 수용되면, 회전로드(712)는 멈춤부(723)에 가로막혀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하고 제자리에서 고정된다. 멈춤부(723)가 회전로드(712)의 멈춤홈(712a)으로부터 이탈되면 회전로드(712)는 다시 수평 회전 가능하다.
도시된 것처럼 상기 회전로드(712)의 멈춤홈(712a)에는 다수의 멈춤돌기(712b)가 돌출될 수 있다. 다수의 멈춤돌기(712b)는 고무와 같이 탄성이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며, 멈춤홈(712a)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또한, 다수의 멈춤돌기(712b)는 마주보는 멈춤돌기(712b)끼리 소정의 높이 차이를 둘 수 있도록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다수의 멈춤돌기(712b)는 깍지를 낀 손처럼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어 있다.
다수의 멈춤돌기(712b)는 멈춤부(723)가 회전로드(712)의 멈춤홈(712a)에 삽입되었을 때 멈춤부(723)가 멈춤홈(712a)으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고 그 내부에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어스프링(724)은 멈춤부(723)와 회전케이스(711)의 내측면 사이에 결합된다. 제어스프링(724)은 제어로드(722) 및 멈춤부(723)를 좌측으로 밀어줄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기 방지부(725)는 제어케이스(721)의 측부에 형성된 방지홈(721a)에 삽입될 수 있다. 제어로드(722)가 좌측으로 이동되었을 때 방지부(725)는 방지홈(721a)에 삽입되고, 제어로드(722)가 우측으로 이동되었을 때 방지부(725)는 방지홈(721a)으로부터 이탈된다.
상기 방지부(725)의 외측면과 방지홈(721a)의 내측면은 톱니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방지부(725)가 방지홈(721a)에 삽입되었을 때, 제어로드(722) 및 멈춤부(723)는 축 회전 및 상하전후 이동이 불가능하고, 이에 따라 회전로드(712)의 고정 상태를 더욱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이동부(726)는 방지부(725)의 좌측 단부에 결합되며, 삼각형 형태의 단면을 가진다. 상기 제어이동케이스(727)는 제어케이스(721)의 측부에 결합되며 제어이동부(726)가 좌우로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어이동부(726)는 제어이동케이스(727)에 수용되어 좌우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어손잡이(728)는 제어이동케이스(727)의 상부에 결합된다. 제어손잡이(728)는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제어손잡이(728)의 하단은 제어이동부(726)의 상부면에 접촉된다.
사용자가 제어손잡이(728)를 잡고 아래로 힘을 가하면, 제어손잡이(728)의 하단부가 제어이동부(726)의 상부면에 접촉되면서 제어이동부(726)를 밀게되고, 이에 따라 제어이동부(726)는 우측으로 이동된다.
상기 제어이동부(726)가 우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방지부(725)는 방지홈(721a)으로부터 이탈되고, 제어로드(722)는 제어스프링(724)의 탄성력을 이겨내고 우측으로 이동된다.
상기 제어로드(722)가 우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멈춤부(723) 역시 멈춤홈(712a)으로부터 이탈되고, 회전로드(712) 및 그 상부에 결합된 하우징(210)은 멈춤부(723)의 제약 없이 자유롭게 수평 회전될 수 있다.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토탈스테이션(100)의 수평 회전이 끝나면, 사용자는 제어손잡이(728)를 놓고, 제어스프링(724)의 탄성력에 따라 제어로드(722)는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제어로드(722)가 좌측으로 이동하면, 멈춤부(723)가 멈춤홈(712a)에 삽입되어 회전로드(712)의 수평 회전이 제한된다. 이때, 방지부(725)는 방지홈(721a)에 삽입되며, 제어이동부(726)는 좌측으로 이동하여 제어손잡이(728)를 위로 들어올리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완충기구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완충기구(800)는 완충로드(810), 완충케이스(820), 완충스토퍼(830), 완충연결부(840) 및 완충굴곡부(8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회전기구(700)의 하단에 장착된다.
상기 완충로드(810)는 회전기구(700)의 하단에 결합되며, 원판 형태의 완충체결부(811) 및 완충체결부(811)의 하부 중앙에 연장되는 원통 형태의 완충원통부(812)로 이루어진다.
상기 완충케이스(820)는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완충로드(810)의 하단이 수용된다. 이러한 완충케이스(820)의 하단은 수평대(940)에 체결된다.
상기 완충스토퍼(830)는 완충로드(810)의 완충원통부(812)의 하부 외측면에 결합된다. 완충스토퍼(830)는 링 형태로 형성되며, 완충케이스(820)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지면으로부터 큰 진동이나 충격이 가해져서 완충로드(810)가 크게 흔들릴 때, 완충스토퍼(830)는 완충케이스(820)의 내측면에 접촉되어 대변위 제어를 수행한다. 상기 완충스토퍼(830)의 외측면과 완충케이스(820)의 내측면 사이에는 소정의 갭(G)이 형성된다.
상기 완충연결부(840)는 완충로드(810)의 하부에 결합되며 완충로드(810)와 완충케이스(820)의 내측면 사이를 연결한다. 상기 완충스토퍼(830)와 완충연결부(840)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완충연결부(840)는 완충로드(810)의 하단과 완충케이스(820)의 내측 하부면 사이를 상하로 연결하는 완충상하부(841) 및 완충상하부(841)의 측부에 연장되어 완충케이스(820)의 내측 측면 사이를 좌우로 연결하는 완충좌우부(842)를 포함한다. 상기 완충연결부(840)는 전체적으로 '십(十)'자 형태의 단면을 가진다.
상기 완충스토퍼(830)의 외측면과 완충케이스(820)의 내측면 사이, 즉 갭(G)에는 완충굴곡부(850)가 결합되어 완충스토퍼(830)와 완충케이스(820) 사이를 서로 연결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완충굴곡부(850)는 제1굴곡부(851), 제2굴곡부(852), 제3굴곡부(853), 제4굴곡부(854) 및 제5굴곡부(85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전체적으로 '지그재그' 형태의 단면을 가진다.
상기 제1굴곡부(851)는 완충스토퍼(830)의 외측면에 결합되며 1자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2굴곡부(852)는 제1굴곡부(851)의 하단으로부터 비스듬히 상부를 향해 연장된다. 상기 제3굴곡부(853)는 제2굴곡부(852)의 상단으로부터 하부로 연장되며 1자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4굴곡부(854)는 제3굴곡부(853)의 하단으로부터 비스듬히 상부를 향해 연장된다. 상기 제5굴곡부(855)는 제4굴곡부(854)의 상단으로부터 하부로 연장되고 1자 형태로 형성되며 완충케이스(820)의 내측면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1굴곡부(851)의 상하 높이는 제3굴곡부(853)의 상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되고, 제3굴곡부(853)의 상하 높이는 제5굴곡부(855)의 상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된다. 즉, 상기 제1굴곡부(851)로부터 제5굴곡부(855) 방향으로 갈수록 완충굴곡부(850)의 전체적인 높이는 점차 낮아지게 된다.
또한, 상기 제1굴곡부(851) 내지 제5굴곡부(855)의 두께는 전체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굴곡부(851)와 제2굴곡부(852) 사이의 각도, 제2굴곡부(852)와 제3굴곡부(853) 사이의 각도, 제3굴곡부(853)와 제4굴곡부(854) 사이의 각도 및 제4굴곡부(854)와 제5굴곡부(855) 사이의 각도는 전체적으로 거의 동일하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완충스토퍼(830)와 완충케이스(820) 사이의 물리적인 갭(G)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완충굴곡부(850)를 이용하여 실질적으로 간격을 줄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완충스토퍼(830)의 잦은 접촉으로 인한 소음은 줄이면서 대변위 진동 제어에는 유리한 특성이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평조절부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조절부(900)는,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의 높낮이케이스(910), 높낮이케이스(910)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수용되며 측면에 다수의 고정홈(921)이 형성되는 높낮이로드(920) 및 높낮이케이스(910)의 상단에 결합되며 다수의 고정홈(921)으로 진입 가능한 고정로드(932)를 구비하는 높낮이고정부(9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높낮이케이스(910)는 이동부(1000)의 상부에 결합되며, 내부에 높낮이스프링(911)이 수용된다. 높낮이스프링(911)은 높낮이로드(920)의 하단과 높낮이케이스(910)의 내측 하단 사이를 연결하며, 높낮이로드(920)가 상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기 높낮이로드(920)는 높낮이케이스(910)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높낮이로드(920)의 상하 이동에 따라 그 상부에 결합된 수평대(940)의 높낮이도 가변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수평대(940)를 수평으로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높낮이고정부(930)는, 높낮이케이스(910)의 상단에 결합되는 고정케이스(931), 고정케이스(931)에 좌우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수용되며 단부가 다수의 고정홈(921)에 진입할 수 있는 고정로드(932), 고정케이스(931)의 내부에 수용되며 고정로드(932)의 우단과 고정케이스(931)의 내측 우단 사이를 연결하는 고정스프링(933) 및 고정케이스(931)의 상부에 장착되며 고정로드(932)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는 고정제한부(9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케이스(931)는 내부가 비어있으며, 고정로드(932)를 수용할 수 있다. 고정케이스(931)의 상부면에는 후술되는 고정제한부(934)의 제한로드(938)가 진입할 수 있도록 제한홀(931a)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로드(932)는 고정케이스(931)에 좌우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고정로드(932)의 단부는 쐐기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고정로드(932)의 단부가 쐐기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고정로드(932)는 높낮이로드(920)에 형성된 다수의 고정홈(921)을 타고 넘을 수 있다.
즉, 높낮이로드(920)가 상하로 이동할 때, 고정로드(932)는 고정홈(921)이 위치한 부분에서는 좌측으로 이동하고, 고정홈(921)이 위치하지 않은 부분에서는 높낮이로드(920)의 외측면에 접촉되어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고정스프링(933)에 의해 고정로드(932)는 좌우로 이동하였다가 원래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고정로드(932)의 상부면에는 고정케이스(931)의 제한홀(931a)에 대응하는 위치에 로드홈(932a)이 형성된다. 이러한 로드홈(932a) 역시 후술되는 고정제한부(934)의 제한로드(938)가 진입할 수 있다.
상기 고정제한부(934)는, 고정케이스(931)의 상부면에 결합되는 제한판(935), 제한판(935)의 상단에 결합되는 한 쌍의 제한스프링(936), 제한스프링(936)의 하단에 연결되는 링 형태의 제한이동부(937) 및 제한이동부(937)의 하단에 결합되는 제한로드(93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한 쌍의 제한스프링(936)은 제한이동부(937) 및 제한로드(938)가 하부로 이동될 수 있도록 탄성력을 가한다. 상기 제한로드(938)는 고정케이스(931)의 제한홀(931a) 및 고정로드(932)의 로드홈(932a)에 진입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평조절부(900)의 수평 조절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제한이동부(937)가 한 쌍의 제한스프링(936)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상부로 이동된다. 제한이동부(937)의 이동에 따라 제한로드(938) 역시 제한홀(931a) 및 로드홈(932a)으로부터 이탈되고, 고정로드(932)는 자유롭게 좌우로 움직일 수 있게 된다.
그 다음, 높낮이로드(920)를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높낮이로드(920)가 높낮이케이스(910)에 삽입되는 정도를 결정한다. 이때, 높낮이스프링(911)은 높낮이로드(920)가 상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기 높낮이로드(920)가 상하로 이동될 때 고정로드(932)는 다수의 고정홈(921)을 타고 넘을 수 있으며, 고정홈(921)이 위치한 부분에서는 좌측으로 이동하고, 고정홈(921)이 위치하지 않은 부분에서는 높낮이로드(920)의 외측면에 접촉되어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높낮이로드(920)의 높낮이가 결정되면, 제한이동부(937)를 놓아 제한스프링(936)의 탄성력에 의해 제한로드(938)가 하부로 이동되도록 하고, 제한로드(938)의 하단은 제한홀(931a) 및 로드홈(932a)에 삽입되어 고정로드(932)가 더 이상 이동되지 않도록 한다.
이에 따라 수평조절부(900)는 더 이상 상하로 움직이지 않고 높낮이가 고정되며, 다수의 수평조절부(900)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수평대(940)를 수평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부의 측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부(1000)는 하우징(210) 및 기타 다른 부품들을 이동시켜 보관하는 구성으로서, 이동판(1010), 승강브라켓(1020) 및 바퀴(1030)로 이루어진다.
상기 이동판(1010)의 상부면에는 다수의 수평조절부(900)가 결합된다. 상기 이동판(1010)의 하부에 결합된 승강브라켓(1020)에는 바퀴(1030)가 수납 또는 전개될 수 있도록 승강홈(1021)이 형성된다.
상기 승강브라켓(1020)은 바퀴(1030)의 외부를 보호할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ㄷ'자 단면을 가지는 형태로 형성되며, 하단부는 지면에 안정적으로 접지될 수 있도록 평평하게 형성된다.
상기 바퀴(1030)는 승강실린더(1022)를 매개로 승강브라켓(1020)에 결합되어 상하로 승강될 수 있다. 상기 승강실린더(1022)는 제어유닛 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동되거나 이동부에서 자체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동부(1000)를 이동시킬 때에는 바퀴(1030)가 승강브라켓(1020)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여 이동부(1000)가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하고, 토탈스테이션(100) 등을 이용하여 측지측량 작업을 수행할 때에는 바퀴(1030)가 승강브라켓(1020) 내부로 인입되어 이동부(1000)가 지면 위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승강실린더(1022)가 최대로 전개되었을 때 바퀴(1030)의 최하단은 승강브라켓(1020)의 최하단보다 상대적으로 더 아래에 위치하고, 승강실린더(1022)가 최대로 축소되었을 때 바퀴(1030)의 최하단은 승강브라켓(1020)의 최하단보다 상대적으로 더 위에 위치한다.
상기 승강브라켓(1020)의 하면에는 마찰부(1040)가 결합된다. 상기 마찰부(1040)는 바퀴(1030)가 승강브라켓(1020) 내부에 수납되었을 때, 지면과의 마찰력을 높여 승강브라켓(1020)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승강브라켓(1020)에는 하나 이상의 고정쇠(1050)가 추가로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쇠(1050)는 승강브라켓(1020)의 측부에 장착된 고정브라켓(1051)에 줄을 매개로 연결되어 감기거나 풀릴 수 있다.
사용자는 평상시 고정쇠(1050)를 고정브라켓(1051)에 감아놓은 상태로 보관하다가, 측지측량 작업을 수행할 때 고정쇠(1050)를 뽑아내어 지면에 추가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쇠(1050)가 지면에 추가로 고정됨에 따라 승강브라켓(1020)의 고정력이 더욱 높아서 하우징(210) 및 토탈스테이션(100)의 미세한 이동이나 자세 변형이 더욱 방지될 수 있다.
상기 고정쇠(1050)는 금속재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쇠(1050)는 한 쌍으로 장착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황에 따라 3개 이상으로 장착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0 : 토탈스테이션 210 : 하우징 230 : 지지플레이트
240 : 승하강링크 250 : 제어부 260 : 저장부
270 : 무선통신모듈 300 : 자가발전장치 400 : 스마트단말기
500 : 지도정보관리장치 600 : 통합관리서버 700 : 회전기구
710 : 수평회전부 711 : 회전케이스 711a : 회전걸림부
712 : 회전로드 712a : 멈춤홈 712b : 멈춤돌기
713 : 회전연장판 714 : 회전볼 720 : 회전제어부
721 : 제어케이스 721a : 방지홈 722 : 제어로드
723 : 멈춤부 724 : 제어스프링 725 : 방지부
726 : 제어이동부 727 : 제어이동케이스 728 : 제어손잡이
800 : 완충기구 810 : 완충로드 811 : 완충체결부
812 : 완충원통부 820 : 완충케이스 830 : 완충스토퍼
840 : 완충연결부 841 : 완충상하부 842 : 완충좌우부
850 : 완충굴곡부 851 : 제1굴곡부 852 : 제2굴곡부
853 : 제3굴곡부 854 : 제4굴곡부 855 : 제5굴곡부
900 : 수평조절부 910 : 높낮이케이스 911 : 높낮이스프링
920 : 높낮이로드 921 : 고정홈 930 : 높낮이고정부
931 : 고정케이스 931a : 제한홀 932 : 고정로드
932a : 로드홈 933 : 고정스프링 934 : 고정제한부
935 : 제한판 936 : 제한스프링 937 : 제한이동부
938 : 제한로드 940 : 수평대 1000 : 이동부
1010 : 이동판 1020 : 승강브라켓 1021 : 승강홈
1022 : 승강실린더 1030 : 바퀴 1040 : 마찰부
1050 : 고정쇠 1051 : 고정브라켓

Claims (1)

  1. 상단에 180 도 이상의 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어 그 회전을 통해 수용공간을 개폐하는 커버 및 커버의 외측에 설치되는 발광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고 중앙에 설치된 힌지를 기점으로 회전되면서 상부가 승강되는 승하강 링크;
    상기 승하강 링크가 승하강 되도록 구동모터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증앙을 기점으로 양측에 암나사부와 숫나사부가 각각 형성된 스크류축;
    상기 승하강 링크의 상단에 설치된 안내롤이 저면에 접촉되게 설치되어 승하강 링크의 상하 이동에 따라 연동하여 승하강되면서 소정 높이로 승강되고, 상면에는 대상물의 고정을 위한 고정부가 구비되는 지지 플레이트;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고정부와 대응되는 지지부를 구비하여 지지 플레이트의 상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외부로부터의 전원 공급을 위한 제1 접속부 및 외부로부터의 각종 데이터 및 전기적 신호의 수신을 위한 제2 접속부를 포함하는 토탈스테이션;
    상기 하우징과 인접하게 설치되며, 태양광을 전기에너지로 전환하는 태양전지가 포함된 제1 발전장치 및 설치 위치의 주변에서 발생되는 풍속을 이용해 발전을 하는 제2 발전장치 그리고 제1 발전장치 및 제2 발전장치에 병렬 접속되어 제1 발전장치 및 제2 발전장치에서 각각 생성되는 전기에너지를 충전하는 충전지를 포함하는 자가발전장치;
    상기 자가발전장치의 충전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동시에 하우징의 내측 수용공간까지 연장되는 제1 전원공급선을 매개로 하우징 내측의 수용공간에 설치되는 전원공급 커넥터;
    상기 전원공급 커넥터와의 전기적 접속을 통해 승하강 링크에 전원을 공급하는 실린더 전원커넥터;
    상기 자가발전장치의 충전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동시에 지지플레이트까지 연장되는 제2 전원공급선을 매개로 지지플레이트에 설치되어 토탈스테이션의 제1 접속부와의 전기적 접속을 통해 토탈스테이션에 전원을 공급하는 토탈스테이션 전원커넥터;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설치되며 토탈스테이션의 제2 접속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토탈스테이션에서 처리되는 각종 데이터들이 수신되는 신호 수신부;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설치되며 신호 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설치되며 신호 수신부로부터 신호 수신 시마다 수신되는 정보에 국가수준점의 실시간 사용된 사실정보 및 국가수준점의 고유식별코드를 동기화시켜 국가수준점 이용정보를 생성 후 생성된 국가수준점 이용정보를 출력하고 신호 수신부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들을 저장부에 저장시키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국가수준점 이용정보를 통신망을 매개로 외부의 서버에 전송하는 무선통신모듈;
    상기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전송되는 국가수준점 이용정보를 통신망을 매개로 수신하며 국가수준점별로 고유식별코드 및 제어부에서 생성되어 전송된 국가수준점 이용정보를 매핑하여 테이블 형태로 저장하는 국가수준점 이용 현황 통합관리서버;
    상기 커버에 설치된 발광부 온/오프 조작 및 승하강 링크의 작동 조작을 위한 측지측량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어 발광부 및 승하강 실린더를 원격 조정하는 리모콘 기능을 하는 사용자 스마트 단말기;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결합되는 회전기구;
    상기 회전기구의 하부에 결합되는 완충기구;
    상기 완충기구의 하부에 결합된 수평대의 하부에 결합되는 다수의 수평조절부; 및
    상기 수평조절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이동부; 를 포함하되,
    상기 회전기구는,
    하우징의 하단에 결합되어 하우징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수평회전부; 및 수평회전부의 하단에 장착되는 회전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회전부는,
    하우징의 하단에 결합되며 상단과 후단이 개방된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회전케이스; 회전케이스 내부에 수용되며 상단이 높이조절부의 하단에 결합되고 하단이 회전케이스의 하단을 관통하여 회전제어부에 수용되는 회전로드; 회전로드의 측부에 돌출 연장되는 회전연장판; 회전케이스의 상단에 형성되며 회전연장판의 상부면과 접촉되는 회전걸림부; 및 회전연장판의 하부면과 회전케이스의 내측 하부면 사이에 배치되는 다수의 회전볼; 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제어부는,
    회전케이스의 하단에 결합되며 회전로드의 하단이 수용되는 제어케이스; 제어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며 회전로드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어로드; 제어로드의 일단에 결합되며 회전로드의 하부에 형성된 다수의 멈춤홈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될 수 있는 멈춤부; 멈춤부와 회전케이스의 내측면 사이에 결합되는 제어스프링; 제어로드의 타단에 결합되며 제어케이스의 측부에 형성된 방지홈의 삽입될 수 있는 방지부; 방지부의 일측에 결합되며 삼각형 형태의 단면을 가지는 제어이동부; 제어케이스의 측부에 결합되며 제어이동부가 좌우로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제어이동케이스; 및 제어이동케이스의 상부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하단이 제어이동부의 상부면에 접촉되는 제어손잡이; 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조절부는,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의 높낮이케이스; 높낮이케이스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수용되며 측면에 다수의 고정홈이 형성되는 높낮이로드; 및 높낮이케이스의 상단에 결합되며 다수의 고정홈으로 진입 가능한 고정로드를 구비하는 높낮이고정부; 를 포함하며,
    상기 높낮이고정부는,
    높낮이케이스의 상단에 결합되는 고정케이스; 고정케이스에 좌우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수용되며 단부가 다수의 고정홈에 진입할 수 있는 고정로드; 고정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며 고정로드의 우단과 고정케이스의 내측 우단 사이를 연결하는 고정스프링; 및 고정케이스의 상부에 장착되며 고정로드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는 고정제한부; 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제한부는,
    고정케이스의 상부면에 결합되는 제한판; 제한판의 상단에 결합되는 한 쌍의 제한스프링; 제한스프링의 하단에 연결되는 링 형태의 제한이동부; 및 제한이동부의 하단에 결합되는 제한로드; 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부는,
    다수의 수평조절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이동판; 이동판의 하부에 결합되며 승강홈이 형성된 승강브라켓; 승강브라켓에 내장된 승강실린더를 매개로 승강브라켓에 결합되어 상하로 승강될 수 있는 바퀴; 승강브라켓의 하면에 결합되는 마찰부; 및 승강브라켓의 측부에 결합되며 줄을 매개로 연결되어 감기거나 풀릴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고정쇠; 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실린더가 최대로 전개되었을 때 바퀴의 최하단은 승강브라켓의 하부면보다 상대적으로 더 아래에 위치하고, 승강실린더가 최대로 축소되었을 때 바퀴의 최하단은 승강브라켓의 하부면보다 상대적으로 더 위에 위치하여 승강홈 내부에 완전히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리정보를 수집하여 수준 측량을 할 수 있는 측지측량시스템.
KR1020210075375A 2021-06-10 2021-06-10 지리정보를 수집하여 수준 측량을 할 수 있는 측지측량시스템 KR1023368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5375A KR102336834B1 (ko) 2021-06-10 2021-06-10 지리정보를 수집하여 수준 측량을 할 수 있는 측지측량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5375A KR102336834B1 (ko) 2021-06-10 2021-06-10 지리정보를 수집하여 수준 측량을 할 수 있는 측지측량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6834B1 true KR102336834B1 (ko) 2021-12-08

Family

ID=78867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5375A KR102336834B1 (ko) 2021-06-10 2021-06-10 지리정보를 수집하여 수준 측량을 할 수 있는 측지측량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683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3298B1 (ko) * 2022-01-04 2022-06-28 젠스코리아 주식회사 Gps 기반 지형구조물 위치 식별 데이터를 갱신할 수 있는 측지측량시스템
KR102492936B1 (ko) * 2022-08-23 2023-01-30 천지지에스티(주) 토탈스테이션을 이용한 지형지물의 측지측량 장치
CN117453199A (zh) * 2023-10-24 2024-01-26 成都愿景仿视科技有限公司 一种xml数据创建系统及应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3478Y1 (ko) * 2006-01-04 2006-04-07 프리캐스터 엔터프라이지즈 컴퍼니 리미티드 레이저 측정기기의 조정선반
KR101349383B1 (ko) * 2013-07-17 2014-01-14 (주)동광지엔티 수준측량용 스타프 높낮이 조절장치
KR102056752B1 (ko) * 2019-06-10 2020-01-22 (주)스페이스 수준측량을 위한 측지 측량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3478Y1 (ko) * 2006-01-04 2006-04-07 프리캐스터 엔터프라이지즈 컴퍼니 리미티드 레이저 측정기기의 조정선반
KR101349383B1 (ko) * 2013-07-17 2014-01-14 (주)동광지엔티 수준측량용 스타프 높낮이 조절장치
KR102056752B1 (ko) * 2019-06-10 2020-01-22 (주)스페이스 수준측량을 위한 측지 측량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3298B1 (ko) * 2022-01-04 2022-06-28 젠스코리아 주식회사 Gps 기반 지형구조물 위치 식별 데이터를 갱신할 수 있는 측지측량시스템
KR102492936B1 (ko) * 2022-08-23 2023-01-30 천지지에스티(주) 토탈스테이션을 이용한 지형지물의 측지측량 장치
CN117453199A (zh) * 2023-10-24 2024-01-26 成都愿景仿视科技有限公司 一种xml数据创建系统及应用
CN117453199B (zh) * 2023-10-24 2024-05-28 成都愿景仿视科技有限公司 一种xml数据创建系统及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6834B1 (ko) 지리정보를 수집하여 수준 측량을 할 수 있는 측지측량시스템
KR102056752B1 (ko) 수준측량을 위한 측지 측량시스템
CN106959450B (zh) 勘测杆
US5956660A (en) Personal inertial surveying system
US592980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cision location of GPS survey tilt pole
CN107631718B (zh) 一种基于tm30的智能机器人监测系统及方法
CN103718062A (zh) 用于确保个人导航设备的服务的持续性的方法及其设备
KR101915290B1 (ko) 기준점별 정밀도를 향상시킨 측지측량장치
KR102477382B1 (ko)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영상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영상처리시스템
KR102108446B1 (ko) 지피에스 좌표의 기준점을 활용한 수치지도 제작시스템
KR102415009B1 (ko) 측정된 데이터의 오차값을 최소화할 수 있는 측지측량시스템
KR101213605B1 (ko) 지상의 지형데이터 대비 지하구조에 대한 측지측량값 처리가 가능한 지아이에스 기반 지점별 측량데이터 관리시스템
KR101223124B1 (ko) 지표면 측지측량의 오차율을 최소화하는 수준측량 관측시스템
KR101217857B1 (ko) 토탈스테이션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측지측량 데이터 수집 전용 통합관리시스템
KR101318269B1 (ko) 기준점 및 수준점의 성과 비교를 통한 측량성과 업데이트용 관측시스템
KR101217849B1 (ko) 지형변화 측량을 통한 기준점 측지정보 수집 시스템
JP2002031529A (ja) 自動位置計測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KR101909627B1 (ko) 지리정보에 대한 수집 데이터를 정밀하게 획득하여 수치정보에 적용하는 수치지도 제작시스템
KR102336835B1 (ko) 국가기준점을 이용하는 측량 작업의 정밀도를 현저히 향상시킨 측지측량시스템
KR102459673B1 (ko) 오차값을 최소화한 측지측량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는 측지측량시스템
KR102379401B1 (ko) 지아이에스를 기반으로 하는 지하시설물 측량데이터 갱신관리시스템 제공방법
KR102494273B1 (ko) 기존과 갱신 정보를 비교하여 높은 정확도로 수치지도 이미지를 업데이트할 수 있는 수치지도 제작시스템
KR101476638B1 (ko) 수준측량기 접속으로 지리정보를 수집하는 측지측량 데이터 시스템
CN115854204A (zh) 一种建筑工程造价现场测绘装置
KR101319039B1 (ko) 공간영상도화 이미지 업그레이드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