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9401B1 - 지아이에스를 기반으로 하는 지하시설물 측량데이터 갱신관리시스템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지아이에스를 기반으로 하는 지하시설물 측량데이터 갱신관리시스템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9401B1
KR102379401B1 KR1020210133873A KR20210133873A KR102379401B1 KR 102379401 B1 KR102379401 B1 KR 102379401B1 KR 1020210133873 A KR1020210133873 A KR 1020210133873A KR 20210133873 A KR20210133873 A KR 20210133873A KR 102379401 B1 KR102379401 B1 KR 1023794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agement system
survey data
underground
data management
movabl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38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배
Original Assignee
(주)국토공간정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국토공간정보 filed Critical (주)국토공간정보
Priority to KR10202101338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94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94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94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1/00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e.g. stereogrammetry; Photographic surveying
    • G01C11/02Picture tak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hotogrammetry or photographic surveying, e.g. controlling overlapping of pic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7/00Tracing profiles
    • G01C7/06Tracing profiles of cavities, e.g. tunne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아이에스를 기반으로 하는 지하시설물 측량데이터 갱신관리시스템 제공방법에 있어서, 측량데이터 관리시스템이 설계되는 단계; 상기 측량데이터 관리시스템이 제작되는 단계; 및 상기 측량데이터 관리시스템이 적용되어 운용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측량데이터 관리시스템은, 위성(G)으로부터 현재 위치값을 수신받아 현재 위치값과 저장된 절대값을 상호연산하여 GPS보정값을 무선송출하는 기준국(10), 상하로 관통된 설치홀(111a)을 갖춘 베이스(111), 베이스(111)의 단부 하부에 설치되며 베이스(111)를 지상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지지부(112a)와, 지지부(112a)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바퀴(112b)를 구비한 이동기구(112)를 갖춘지중탐사장치설치부(110)를 포함하며, 측량데이터 관리시스템은, 상기 측량데이터 관리시스템의 제작과 설치 운용에 대한 상황을 관리하는 상황관리유닛을 더 포함하는, 지아이에스를 기반으로 하는 지하시설물 측량데이터 갱신관리시스템 제공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지아이에스를 기반으로 하는 지하시설물 측량데이터 갱신관리시스템 제공방법{Providing Method of Geodetic Survey Data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지하시설물 측량 기술 분야 중 지아이에스를 기반으로 하는 지하시설물 측량데이터 갱신관리시스템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상세하게는 조명장치를 통해 어두운 환경에서도 지상과 지하 측지측량 작업을 용이하게 하거나 마무리 지을 수 있고 지하 구조물의 변화여부를 측지측량하며 지하의 변화와 함께 지상에 변화가 발생하였는지를 확인하여 지하와 지상에 대한 정확한 측지측량이 가능하므로 지하 시설물을 위한 지도제작 등의 경우 정밀하게 측량하고, 지상의 지형데이터 대비 지하구조에 대한 측지측량값 처리가 가능한 지아이에스를 기반으로 하는 지하시설물 측량데이터 갱신관리시스템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하 구조물에 대한 측지측량은 지중지물을 탐사하여 탐사영상을 수집할 수 있는 지중탐사레이더장치(GPR;Ground Penetrating Radar)를 통해 이루어지며, 이때 지하시설에 대한 정확한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지상 위치에 대한 정확한 측지측량 또한 필요하다.
이때 상기 지상 측지측량은 토탈스테이션(Total Station)을 통해 이루어지며, 이러한 토탈스테이션(Total Station)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전자식 세오돌라이트(Electronic Theodolite)와 광파측거기(EDM:Electro-Optical Instruments)가 하나의 기기로 통합되어 있는 것으로, 토탈스테이션(TotalStation)의 구조 크게 4가지로 구분되는데, 망원경의 상하 이동으로 생기는 연직각을 측정하는 연직각 검출부와, 본체의 좌우 회전으로 생기는 수평각을 측정하는 수평각 검출부, 본체의 중심부에서 프리즘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측정부, 본체의 수평을 측정하고 보정하는 틸링 센서로 되어 있으며, 측정한 자료와 거리 정보를 단시간 내에 처리하고, 결과를 출력하는 전자식 측거측각기이다.
한편 종래에는 측지측량을 하는 데 있어, 주변이 어두우면, 측지측량 작업을 진행하기가 쉽지 않았고, 측지측량 작업을 맞친 후 주변이 어두우면, 마무리 정리 작업을 하기도 많이 어려웠다. 또한, 종래에는 상기 지하 구조물을 탐지하는 데 있어, 기존의 측지측량데이터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지아이에스(GIS)를 기반으로 하는 정확한 지하 구조물에 대한 지도제작을 할 수 없었다.
즉, 종래에는 지하 시설물(구조물)을 탐지할 때의 정확한 측지측량데이터를 확보할 수 없었으며, 이로 인해 정확한 위치정보에 의한 지하 구조물(시설물)에 대한 지도제작을 할 수 없었다.
이하의 설명에서 지하시설물과 지하구조물은 같은 의미이고 문맥에 적합하게 선택적으로 기재하기로 한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21347350000호(2020. 07. 10.) '정밀도를 향상시킨 지아이에스 측지측량 시스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조명장치를 통해 어두운 환경에서도 지상과 지하 측지측량 작업을 용이하게 하거나 마무리 지을 수 있는 지아이에스를 기반으로 하는 지아이에스를 기반으로 하는 지하시설물 측량데이터 갱신관리시스템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지하 구조물의 변화여부를 측지측량하고, 지하의 변화와 함께 지상에 변화가 발생하였는지를 확인하여 지하와 지상에 대한 정확한 측지측량이 가능하므로 지하 시설물의 설치를 위한 지도제작 등의 경우 정밀하게 측량할 수 있는 지아이에스를 기반으로 하는 지아이에스를 기반으로 하는 지하시설물 측량데이터 갱신관리시스템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측지측량장치를 통해 지하측지측량 및 지상측지측량을 함께 수행할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이 매우 우수하며, 시간 또한 절약할 수 있는 지아이에스를 기반으로 하는 지하시설물 측량데이터 갱신관리시스템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지하측지측량을 하면서 지상측지측량을 위한 사전작업을 할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할수 있는 지아이에스를 기반으로 하는 지하시설물 측량데이터 갱신관리시스템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시스템 제공에 따른 각종 작업과정과 시공 관련 작업의 규정대로 이루어졌는지 여부 및 필요한 전반적 사항을 모니터 및 검증할 수 있는 지아이에스를 기반으로 하는 지하시설물 측량데이터 갱신관리시스템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모니터와 검증을 통해 이상발생에 따른 책임여부와 여러가지 분쟁, 원안피악 등의 문제를 보다 분명하게 할 수 있는 지아이에스를 기반으로 하는 지하시설물 측량데이터 갱신관리시스템 제공방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모니터와 검증을 통해 시스템의 설치상의 품질을 높이고 그 이후의 모든 과정에서 안정적 관리를 통하여 즉각적인 유지보구관리 등이 가능하여 추가적인 파손과 보수불능 등으로 악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지아이에스를 기반으로 하는 지하시설물 측량데이터 갱신관리시스템 제공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모니터와 검증을 위한 수단을 다양한 구도와 구조환경에서 설치제공하여 모니터와 검증을 보다 효과적으로 다양하고 안정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지아이에스를 기반으로 하는 지하시설물 측량데이터 갱신관리시스템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지아이에스를 기반으로 하는 지하시설물 측량데이터 갱신관리시스템 제공방법에 있어서, 측량데이터 관리시스템이 설계되는 단계; 상기 측량데이터 관리시스템이 제작되는 단계; 및 상기 측량데이터 관리시스템이 적용되어 운용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측량데이터 관리시스템은, 위성(G)으로부터 현재 위치값을 수신받아 현재 위치값과 저장된 절대값을 상호연산하여 GPS보정값을 무선송출하는 기준국(10), 상하로 관통된 설치홀(111a)을 갖춘 베이스(111), 베이스(111)의 단부 하부에 설치되며 베이스(111)를 지상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지지부(112a)와, 지지부(112a)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바퀴(112b)를 구비한 이동기구(112)를 갖춘지중탐사장치설치부(110)를 포함하며, 측량데이터 관리시스템은, 상기 측량데이터 관리시스템의 제작과 설치 운용에 대한 상황을 관리하는 상황관리유닛을 더 포함하는, 지아이에스를 기반으로 하는 지하시설물 측량데이터 갱신관리시스템 제공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이 있다.
본 발명은 조명장치를 통해 어두운 환경에서도 지상 및 지하 측지측량 작업을 용이하게 하거나 마무리 지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하 구조물의 변화여부를 측지측량할 수 있고, 지하의 변화와 함께 지상의 변화가 발생했는 지를 확인할 수 있어, 지하 및 지상에 대한 정확한 측지측량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지하 구조물을 설치하기 위한 지도제작 등을 할 시, 정밀하게 측지측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측지측량장치를 통해 지하측지측량 및 지상측지측량을 함께 수행할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이 매우 우수하며, 시간 또한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지하측지측량을 하면서 지상측지측량을 위한 사전작업을 할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할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시스템 제공에 따른 각종 작업과정과 시공 관련 작업의 규정대로 이루어졌는지 여부 및 필요한 전반적 사항을 모니터 및 검증할 수 있는 측량데이터 관리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모니터와 검증을 통해 이상발생에 따른 책임여부와 여러가지 분쟁, 원안피악 등의 문제를 보다 분명하게 할 수 있는 측량데이터 관리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모니터와 검증을 통해 시스템의 설치상의 품질을 높이고 그 이후의 모든 과정에서 안정적 관리를 통하여 즉각적인 유지보구관리 등이 가능하여 추가적인 파손과 보수불능 등으로 악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모니터와 검증을 위한 수단을 다양한 구도와 구조환경에서 설치제공하여 모니터와 검증을 보다 효과적으로 다양하고 안정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측량데이터 관리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환경에서 운용 상의 필요에 따라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를 위한 단계적인 동작을 통해 촬영부가 외부환경으로부터 단기적 혹은 장지적으로 보호되고, 특히 이러한 보호를 단계별로 수행하여 필요에 따른 가변적인 촬영수단의 단계적 보호가 가능한 측량데이터 관리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시스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측지측량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측지측량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측량데이터 관리시스템-측량데이터 관리시스템선 부분 평단면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도 3의 일부 상세도이고,
도 7은 도 4의 일부 상세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조명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 내지 도 19는 도 2에 따른 구성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시스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지하시설물 측지측량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측지측량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측량데이터 관리시스템-측량데이터 관리시스템선 부분 평단면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도 3의 일부 상세도이고, 도 7은 도 4의 일부 상세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조명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기준국(10), 측지측량장치(20) 및, 측지측량업데이트센터(30)를 포함한다. 상기 기준국(10)은 GPS안테나(11a)를 갖추고서, 인공위성(G)로부터 위치값을 수신받는 GPS수신기(11)와, GPS수신기(11)로부터 전달받은 현재의 위치값과 저장된 절대값을 상호 연산하여 GPS보정값을 출력하는 제어부(12)와, DGPS안테나(13a)를 갖추고서, 제어부(12)로부터 GPS보정값을 전달받아 외부로 무선송출하는 DGPS송신기(13)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기준국(10)의 제어부(12)를 통해 연산된 GPS보정 값(즉 위치 값)은 DGPS송신기(13)로 전달되고, DGPS송신기(13)와 연결된 DGPS안테나(13a)를 통해 이후에 설명된 토탈스테이션(320)의 DGPS안테나(321a)로 무선송출하게 된다. 상기 측지측량장치(20)는 측지측량장치본체(100), 지중탐사장치(200), 토탈스테이션(300), 조명장치(700), 수용체(800), 디스플레이장치(400), 제어유닛(500) 및, 데이터송신기(600)를 갖춘다. 상기 측지측량장치본체(100)는 지중탐사장치설치부(110) 및 토탈스테이션설치부(120)를 갖춘다. 상기 지중탐사장치설치부(110)는 상하로 관통된 설치홀(111a)을 갖춘 패널 형상의 베이스(111)와, 베이스(111)의 각 단부 하부에 설치되어 베이스(111)를 이동시키는 이동기구(112)를 갖춘다.
상기 이동기구(112)는 베이스(111)의 단부 하부에 설치되며 베이스(111)를 지상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지지부(112a)와, 지지부(112a)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바퀴(112b)를 갖춘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부(112a)는 상호대향되는 한 쌍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지지부(112s)와 바퀴(112b)에 착탈되어 바퀴(112b)를 고정하는 고정축(미인출)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이동기구(112)는 별도의 브레이크 장비를 갖출 수도 있다.
상기 토탈스테이션설치부(120)는 설치체본체(121), 손잡이부(122), 토탈스테이션설치체(123), 표시기구(124)및, 지지기구(125)를 갖춘다. 상기 설치체본체(121)는 내부에 형성되는 수용홀(121a)과, 수용홀(121a)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방으로 개구된 상부개구홀(121b)과, 수용홀(121a)의 하부에 위치하며 하방으로 개구된 하부개구홀(121c)과, 상부 측부에 측방으로 관통형성되며 상부개구홀(121b)의 하부에 위치하는 연통홀(121d)을 갖추고서, 베이스(111)의 설치홀(111a)에 설치되어 상방으로 돌출된다. 본 실시예에서 설치체본체(121)는 사각바 형상을 이루지만, 그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122)는 설치체본체(121)의 상부에 설치되되 연통홀(121d)의 하부에 위치하게 설치되어 측방으로 돌출되는 연결체(122a)와, 연결체(122a)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호 대향되는 한 쌍의 지지대(122b)와, 각각의 지지대(122b)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체(122c)와, 지지대(122b)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체(122c)와 연결되어 회전체(122c)를 회전시키는 손잡이(122d)를 갖춘다. 본 실시예에서 손잡이는(122d)는 원형바 형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토탈스테이션설치체(123)는 설치체본체(121)의 상부개구홀(121b)에 삽탈되는 삽입부(123a)와, 삽입부(123a)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롤러(123b)를 갖춘다. 이때 삽입부(123a)는 별도의 체결부재(미도시)를 통해 설치체본체(121)의 상부에 체결되거나, 설치체본체(121)의 상부개구홀(121b)에 압입될 수 있다. 상기 표시기구(124)는 표시부재(124a)와, 표시부재(124a)에 설치되는 걸림부재(124b)와, 걸림부재(124b)를 탄발지지하는 탄발부재(124c)를 갖춘다. 상기 표시부재(124a)는 상방으로 개구된 제1개구홀(124a1)과, 제1개구홀(124a1) 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하방으로 개구되어 제1개구홀(124a1)에 연통되는 제2개구홀(124a2)과, 하부 둘레부에 형성되어 측방으로 개구되는 걸림부재설치홈(124a3)을 갖춘다. 이때 표시부재(124a)는 시각적 효과를 높이기 위해 원색으로 도색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재(124b)는 표시부재(124a)의 걸림부재설치홈(124a3)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일단이 라운드 져 걸림부재설치홈(124a3)으로부터 측방으로 돌출된다. 상기 탄발부재(124c)는 표시부재(124a)의 걸림부재설치홈(124a3)에 설치되어 걸림부재(124b)를 측방으로 탄발지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탄발부재(124c)는 스프링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표시기구(124)는 다수 개 구비되어 설치체본체(121)의 수용홀(121a)에 상하방으로 이동가능하게 적층되어 수용된다. 상기 지지기구(125)는 신축재질의 지지구(125a)와, 지지구(125a)에 설치되는 지지와이어(125b)를 갖춘다. 상기 지지구(125a)는 표시기구(124)의 제2개구홀(124a2) 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다수의 표시기구(124) 중 가장하부의 표시기구(124)의 하부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구(125a)는 구형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와이어(125b)는 일단이 지지구(125a)에 연결되는 한편, 타단이 다수의 표시기구(124)의 제1개구홀(124a1) 및 제2개구홀(124a2)를 통과하고, 토탈스테이션설치체(123)이 롤러(123b)를 경유하여 설치체본체(121)의 연통홀(121d)를 통과하며, 손잡이부(122)의 회전체(122c)에 연결되어 감기거나 풀린다. 상기 지중탐사장치(200)는 지중탐사장치설치부(110)의 베이스(111) 하부에 설치되어, 지하를 탐지한다. 지중탐사레이더장치(GPR;Ground Penetrating Radar, 200)는 지중지물에 변화가 발생할 시 지중지물을 탐사하여, 지하측지측량데이터를 수집한다. 이때 지중탐사레이더장치(200)는 전파 또는 레이저를 이용하여 지중을 탐사하고, 이를 통해 지중지물 또는 지하시설물의 변화를 탐사하는 통상의 것으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토탈스테이션장치(300)는 토탈스테이션설치체(123)의 삽입부(123a) 상부에 설치되는 고정부(310)와, 측정점의 각도와 거리측정, 측정점의 위치좌표를 산출해 표시 및 저장하는 기능 및 유무선 통신기능을 갖춘 토탈스테이션(320)을 구비한다. 상기 토탈스테이션(320)은, 기준국(10)으로부터 GPS보정 값과 위성(G)로부터 받은 GPS 값을 연산하여, 자신의 정밀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정밀위치를 기준으로 측정점의 좌표를 연산처리하기 위해 측정점의 각도와 거리를 정밀 측위한다. 그리고 상기 토탈스테이션(320)은, DGPS안테나(321a)를 갖추고서, 기준국(10)의 DGPS송신기(13)로부터 GPS보정값을 수신받는 DGPS수신기(321)와, GPS안테나(322a)를 갖추고서, 위성(G)으로부터 현재 위치값을 수신받는 GPS수신기(322)와, 일측에 렌즈부를 갖추고서, 측정점의 각도와 거리를 정밀측정할 수 있도록 된 측정장치부(323)와, DGPS수신기(321)로부터 받은 GPS보정 값을 이용하여 GPS안테나(322a)의 정밀위치 연산을 통해 토탈스테이션(320)의 정밀위치를 확인하고, 측정장치부(323)로부터 측정된 측정점의 각도와 거리를 입력받아 상기 정밀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측정점의 위치좌표를 연산처리하는 제어부(324)를 갖춘다. 한편 상기 토탈스테이션(320)은 측지 측량에 사용되는 통상의 것으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한다.
상기 조명장치(700)는 손잡이부(122)의 손잡이(122d)에 삽입되는 삽입홈(711)을 갖추고서 손잡이(122d)에 착탈가능하면서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고정대(710)와, 고정대(710)의 삽입홈(711)에 끼워지는 링 형상의 밀착패드(720)와, 고정대(710)에 설치되며 조명 기능을 하는 조명기기(730)를 갖추고서, 수용체(800)에 수용된다. 본 실시예에서 조명기기(730)는 별도의 충전지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용체(800)는 베이스(111)의 상부에 설치되며, 조명장치(700)가 수용된다. 본 실시예에서 수용체(800)는 내부 수용공간을 개폐하기 위한 별도의 도어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디스플레이장치(400)는 손잡이부(122)의 연결체(122a)에 설치되며, 각각의 전기적 구성요소의 작동상태 또는 지중탐사장치(200)로부터의 지하측지측량데이터를 나타낸다.
상기 제어유닛(500)은 디스플레이장치(400)를 작동제어하며, 지중탐사장치(200)로부터의 탐지신호를 분석하여기존의 지하측지측량데이터와 측정된 지하측지측량데이터를 비교하고, 측정된 지하측지측량데이터가 기준값 이상 변화되었을 시 디스플레이장치(400)에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 제어유닛(500)은 손잡이부(122)의 연결체(122a)에 설치된다. 상기 데이터송신기(600)는 손잡이부(122)의 연결체(122a)에 설치되며, 제어유닛(500)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토탈스테이션(300)으로부터의 지상측지측량데이터와 지중탐사장치(200)로부터의 지하측지측량데이터를 외부로 무선 송출한다.
상기 측지측량업데이트센터(30)는 측지측량장치(20)로부터의 지상측지측량데이터와 지하측지측량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수신기(31)와, 데이터수신기(31)로부터의 지상측지측량데이터 및 지하측지측량데이터를 분석하는 측지측량업데이트장치(32)를 갖춘다.
상기 측지측량업데이트장치(32)는 지상측지측량데이터를 저장하는 지상측지측량데이터DB(32a)와, 지하측지측량데이터를 저장하는 지하측지측량데이터DB(32b)와, 기존의 지상측지측량데이터와 새로 수신된 지상측지측량데이터를 비교하여 지상측지측량데이터를 업데이트하며 기존의 지하측지측량데이터와 새로 수신된 지하측지측량데이터를 비교하여 지하측지측량데이터를 업데이트하는 측지측량데이터업데이트모듈(32c)을 갖춘다.
이하 도 9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작업자는 도 9와 같이 지하를 측지측량 하기 위해 해당 지역을 측지측량장치(20)를 통해 측지측량 한다. 이때 작업자는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지도를 이용하여 해당 지역을 측지측량한다. 여기서 상기 측지측량장치(20)는 지하 구조물을 측지측량하고, 측지측량된 지하측지측량데이터를 제어유닛(500)으로 송출한다. 그러면 상기 제어유닛(500)은 기존의 지하측지측량데이터와 새로 측지측량된 지하측지측량데이터를 비교하고, 새로 측지측량된 지하측지측량데이터와 기존의 지하측지측량데이터가 기준값 이상 차이가 날 경우, 디스플레이장치(400)에 해당 지역에 대한 지상측지측량의 필요성을 나타내고, 데이터송신기(600)를 통해 새로 측지측량된 지하측지측량데이터를 측지측량업데이트센터(30)로 송출한다.
이때 상기 지하측지측량데이터의 변화는 지하의 구조물에 변화가 발생하여 생길 수도 있으나. 지상의 지형지물에 변화가 발생하여 생길 수도 있기 때문에, 지상에 대한 측지측량도 필요하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장치(400)에 지상측지측량 표시가 나타나면 작업자는 이를 확인한 후, 조금 전 지나친 부분에 측지측량장치(20)를 위치시킨다. 이후 상기 작업자는 토탈스테이션설치부(120)의 손잡이(122d)를 회전시키면, 손잡이부(122)이 회전체(122c)가 회전하면서 지지기구(125)의 지지와이어(122b)를 감는다. 그러면 상기 지지기구(125)의 지지구(125a)는 지지와이어(125b)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하려 하고, 신축재질인 지지구(125a)는 도 10과 같이 수축되면서 표시부재(124a)의 제2개구홀(124a2)를 통과한다. 이때 표시기구(124)의 걸림부재(124b)는 설치체본체(121)의 하부에 걸리기 때문에 표시기구(124)는 지지구(125a)와 함께 이동하지 않는다. 이후 상기 표시기구(124)는 지지구(125a)에 의한 고정이 해제되면서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하고, 도 11과 같이 지면에 안착된다.
이때 상기 작업자가 손잡이(122d)를 통해 감았던 지지와이어(125b)를 풀면, 표시기구(124) 중 지면에 안착된 표시기구(124)의 상부에 위치한 표시기구(124)는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하고, 도 12와 같이 그 중 가장 하부에 있는 표시기구(124)가 설치체본체(121)의 하부에 위치한다.
한편 상기 표시기구(124)가 하방으로 이동할 시, 표시기구(124)의 자중은 걸림부재(124b)를 횡방으로 탄발지지하는 탄발력 보다 커 표시기구(124)가 용이하게 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작업자는 상기와 같이 측지측량장치(20)를 이동시키면서 지하 구조물을 탐지하고, 지하측지측량 데이터변화가 발생한 부분은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표시기구(124)를 안착시킨다. 계속해서 상기 지중 탐지작업을 마친 작업자는 측지측량장치(20)의 토탈스테이션장치(300)를 이용하여 각각의 위치에 놓인 표시기구(124)를 측지측량하고, 측지측량된 지상측지측량데이터는 데이터송신기(600)를 통해 측지측량업데이트센터(30)로 송출된다. 이때 상기 지상측지측량 작업을 하기에 앞서 작업자는 측정점을 더욱더 잘 보이게 하기 위해 표시기구(124)의 제1개구홀(124a1)에 도 13과 같이 표시바(B)를 설치하여 지상측지측량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측지측량업데이트센터(30)는 데이터수신기(31)를 통해 새로운 지하측지측량데이터 및 지상측지측량데이터를 수신하고, 측지측량데이터업데이터모듈(32c)은 지상측지측량데이터DB(32a) 및 지하측지측량데이터DB(32b)에 저장된 지상측지측량데이터 및 지하측지측량데이터를 업데이트한다. 한편 상기 지상 및 지하 측지측량을 하는 데 있어 주변이 어둡거나, 지상 및 지하 측지측량 작업을 마무리 하는데 있어, 주변이 어두울 경우, 작업자는 도 14와 같이 조명장치(700)를 수용체(800)로부터 빼낸 후, 손잡이부(122)의 손잡이(122d)에 설치한다.
이때 상기 조명장치(700)는, 고정대(710)가 손잡이(122d)에 회전가능하게 압입된다. 그러면 고정대(710)는 밀착패드(720)와 손잡이(122d)의 마찰에 의해 회전 및 고정이 가능하다. 이후 상기 작업자는 조명기기(730)를 점등한 후 주변을 밝힌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조명장치(700)를 통해 어두운 환경에서도 지상 및 지하 측지측량 작업을 용이하게하거나 마무리 지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하 구조물의 변화여부를 측지측량할 수 있고, 지하의 변화와 함께 지상의 변화가 발생했는 지를 확인할 수 있어, 지하 및 지상에 대한 정확한 측지측량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지하 구조물을 설치하기 위한 지도제작 등을 할 시, 정밀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측지측량장치(20)를 통해 지하측지측량 및 지상측지측량을 함께 수행할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이 매우 우수하며, 시간 또한 절약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지하측지측량을 하면서 지상측지측량을 위한 사전작업을 할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할수 있다.
도 15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지아이에스를 기반으로 하는 지하시설물 측량데이터 갱신관리시스템 제공방법에 있어서, 측량데이터 관리시스템이 설계되는 단계; 상기 측량데이터 관리시스템이 제작되는 단계; 및 상기 측량데이터 관리시스템이 적용되어 운용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측량데이터 관리시스템은, 위성(G)으로부터 현재 위치값을 수신받아 현재 위치값과 저장된 절대값을 상호연산하여 GPS보정값을 무선송출하는 기준국(10), 상하로 관통된 설치홀(111a)을 갖춘 베이스(111), 베이스(111)의 단부 하부에 설치되며 베이스(111)를 지상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지지부(112a)와, 지지부(112a)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바퀴(112b)를 구비한 이동기구(112)를 갖춘 중탐사장치설치부(110)를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측량데이터 관리시스템은, 상기 측량데이터 관리시스템의 제작과 설치 운용에 대한 상황을 관리하는 상황관리유닛을 더 포함한다. 상기 상황관리유닛은, 상기 측량데이터 관리시스템의 제작과 설치 운용상 설치 동작 과정을 촬영하여 촬영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촬영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상황을 사전적 및 후속적으로 관리한다.
아울러 상기 상황관리유닛은, 모니터링 기능을 포함하는 하부파츠와 상기 하부파츠에 장착되는 상부파츠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파츠는, 제1구동패널(311')과, 상기제1구동패널(311')과 상측의 제1연결바(331')와 하측의 제2연결바(341')를 통해 진퇴이동 가능하게 연동되는 제2구동패널(321')과, 상기 제1구동패널(311')에 구비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가동체(312')와, 상기 제1구동패널(311')에 구비되어 제1베이스패널(333')을 기반으로 상기 제1가동체(312')와 연동되는 제2가동체(322')와, 상기 제1베이스패널(333')상에 장착되는 제1촬영감시모듈(332')을 포함하는 제1유동체와, 상기 제1구동패널(311')에 구비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3가동체(313')와, 상기 제1구동패널(311')에 구비되어 제2베이스패널(343')을 기반으로 상기 제3가동체(313')와 연동되는 제4가동체(323')와, 상기 제2베이스패널(343')상에 장착되는 제2촬영감시모듈(342')을 포함하는 제2유동체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진퇴이동을 기반으로 상기 제1베이스패널(333')과 상기 제1촬영감시모듈(332')은 상기 제1가동체(312')내부로 수납되어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 관리되며, 상기 진퇴이동을 기반으로 상기 제2베이스패널(343')과 상기 제2촬영감시모듈(342')은 상기 제3가동체(313')내부로 수납되어 외부화경으로부터 보호 관리된다.
이러한 상기 상부파츠는, 상기 제1구동패널(311')상에서 상기 제1가동체(312')와 상기 제3가동체(313')사이로 구비되는 제1보조구동체(411')와, 상기 제1보조구동체(411')에 연동설치되며 상하둘레부와 길이방향 단부로 설정온도의 제1유체를 상기 제1촬영감시모듈(332')과 상기 제2촬영감시모듈(342')의 주변공간으로 분사하여 상기 제1촬영감시모듈(332')과 상기 제2촬영감시모듈(342')의 촬영 및 구동에 적합한 온도환경이 조성되도록 하는 제1분사구동체(412')와, 상기 제2구동패널(321')상에서 상기 제2가동체(322')와 상기 제4가동체(323')사이로 구비되는 제2보조구동체(511')와, 상기 제2보조구동체(511')에 연동설치되며 상하둘레부와 길이방향 단부로 설정온도의 제2유체를 상기 제1촬영감시모듈(332')과 상기 제2촬영감시모듈(342')의 주변공간으로 분사하여 상기 제1촬영감시모듈(332')과 상기 제2촬영감시모듈(342')의 촬영 및 구동에 적합한 온도환경이 조성되도록 하는 제2분사구동체(512')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파츠는, 상기 제1구동패널(311')과 상기 제2구동패널(321')이 삽입장착되는 하판패널부(421')와, 상기 하판패널부(421')가 설치되고 상기 하판패널부(421')가 둘레부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최하판패널부(422')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하판패널부(421')는, 중앙의 중앙하판패널부(4211')와, 상기 중앙하판패널부(4211')의 일측에 출몰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1구동패널(311')이 삽입장착되는 일측하판패널부(4212')와, 상기 중앙하판패널부(4211')의 타측에 출몰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2구동패널(321')이 삽입장착되는 타측하판패널부(4213')를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일측하판패널부(4212')와 상기 타측하판패널부(4213')는 상기 중앙하판패널부(4211')상에서 상기 진퇴이동이 대응하여 유동되고, 상기 하부파츠는, 상기 일측하판패널부(4212')에 하방이 연동설치되고 내측면이 상기 제1구동패널(311')에 접하되 내측으로 출몰되는 제1-1출몰돌기(5111')가 상기 제1구동패널(311')에 장착되는 제1-1접촉몸체(511')와, 상기 제1-1접촉몸체(511')에서 상부로 이동하는 제1-1이동구(5112')와, 상기 제1-1이동구(5112')를 통해 상기 제1-1접촉몸체(511')와 연결되고 내측면이 상기 제1구동패널(311') 중간부에 접하는 제1-2접촉몸체(512')와, 상기 제1-2접촉몸체(512')에서 상부로 이동하는 제1-2이동구(5121')와 상기 제1-2이동구(5121')를 통해 상기 제1-2접촉몸체(512')와 연결되고 내측면이 상기 제1구동패널(311') 상단부에 접하되 제1-2출몰돌기(5131') 제1구동패널(311')에 장착되는 제1-3접촉몸체(513')를 포함하는 제1접촉고정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상황관리유닛은, 한편 상기 타측하판패널부(4213')에 하방이 연동설치되고 내측면이 상기 제2구동패널(321')에 접하되 내측으로 출몰되는 제2-1출몰돌기(5211')가 상기 제2구동패널(321')에 장착되는 제2-1접촉몸체(521')와, 상기 제2-1접촉몸체(521')에서 상부로 이동하는 제2-1이동구(5212')와, 상기 제2-1이동구(5212')를 통해 상기 제2-1접촉몸체(521')와 연결되고 내측면이 상기 제2구동패널(321') 중간부에 접하는 제2-2접촉몸체(522')와, 상기 제2-2접촉몸체(522')에서 상부로 이동하는 제2-2이동구(5221')와 상기 제2-2이동구(5221')를 통해 상기 제2-2접촉몸체(522')와 연결되고 내측면이 상기 제2구동패널(321') 상단부에 접하되 제2-2출몰돌기(5231') 제2구동패널(321')에 장착되는 제2-3접촉몸체(523')를 포함하는 제2접촉고정모듈을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제1접촉고정모듈은, 상기 제1-1접촉몸체(511')가 상기 제1-1이동구(5112')를 매개로 상기 제1-2접촉몸체(512')를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시키는 제1-1동작과 상기 제1-2접촉몸체(512')는 상기 제1-2이동구(5121')를 매개로 상기 제1-2출몰돌기(5131')가 상기 제1구동패널(311')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3접촉몸체(513')를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시키는 제1-2동작을 수행한다.
이러한 상기 제2접촉고정모듈은, 상기 제2-1접촉몸체(521')가 상기 제2-1이동구(5212')를 매개로 상기 제2-2접촉몸체(522')를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시키는 제2-1동작과 상기 제2-2접촉몸체(522')는 상기 제2-2이동구(5221')를 매개로 상기 제2-2출몰돌기(5231')가 상기 제2구동패널(321')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2-3접촉몸체(523')를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시키는 제2-2동작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제1접촉고정모듈과 상기 제2접촉고정모듈은, 상기 제1-1 내지 상기 제2-2동작을 기반으로 상기 제1구동패널(311'), 상기 제2구동패널(321')을 상기 하판패널부(421') 및 상기 최하판패널부(422')와 연동고정시키며, 상기 하부파츠는 인접영역 혹은 서로 상이한 별개의 영역에 다수로 구비되며, 상기 상부파츠는 상기 각 하부파츠에 선택적으로 장착되거나, 상기 각 하부파츠들에 대응하여 각각 장착된다.
상기 하부파츠는 상부설치면에 설치되어 상하반전형으로 위치되거나, 일측설치면에 설치되어 수평형으로 위치되거나 타측설치면에 설치되어 수평형으로 위치된다. 상기 제1-1출몰돌기(5111'), 상기 제1-2출몰돌기(5131'), 상기 제2-1출몰돌기(5211') 및 상기 제2-2출몰돌기(5231')는 각기 상기 제1구동패널(311')과 상기 제2구동패널(321')에 장착된 상태에서 냉각 기능 또는 히팅기능을 수행하여 상기 제1구동패널(311'), 상기 제2구동패널(321') 및 제1구동패널(311')과 상기 제2구동패널(321')의 주변부에 대한 온도조건이 설정되도록 한다.이상에서 전술한 물리적 구성들의 구동방식은 모터, 엑츄에이터 등을 기반으로 전후유동, 회전이동이 이루어지며 각 구성부의 형상과 크기는 설치 현장과 구현하고자하는 자재들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되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기준국 20; 측지측량장치
100; 측지측량장치본체 110; 지중탐사장치설치부
120; 토탈스테이션설치부 200; 지중탐사장치

Claims (2)

  1. 지아이에스를 기반으로 하는 지하시설물 측량데이터 갱신관리시스템 제공방법에 있어서,
    측량데이터 관리시스템이 설계되는 단계;
    상기 측량데이터 관리시스템이 제작되는 단계; 및
    상기 측량데이터 관리시스템이 적용되어 운용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측량데이터 관리시스템은,
    위성(G)으로부터 현재 위치값을 수신받아 현재 위치값과 저장된 절대값을 상호연산하여 GPS보정값을 무선송출하는 기준국(10), 상하로 관통된 설치홀(111a)을 갖춘 베이스(111), 베이스(111)의 단부 하부에 설치되며 베이스(111)를 지상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지지부(112a)와, 지지부(112a)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바퀴(112b)를 구비한 이동기구(112)를 갖춘 지중탐사장치설치부(110)를 포함하며,
    측량데이터 관리시스템은,
    상기 측량데이터 관리시스템의 제작과 설치 운용에 대한 상황을 관리하는 상황관리유닛을 더 포함하되,
    상기 상황관리유닛은,
    상기 측량데이터 관리시스템의 제작과 설치 운용상 설치 동작 과정을 촬영하여 촬영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촬영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상황을 사전적 및 후속적으로 관리하되,
    상기 상황관리유닛은,
    모니터링 기능을 포함하는 하부파츠와 상기 하부파츠에 장착되는 상부파츠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파츠는,
    제1구동패널(311')과,
    상기제1구동패널(311')과 상측의 제1연결바(331')와 하측의 제2연결바(341')를 통해 진퇴이동 가능하게 연동되는 제2구동패널(321')과,
    상기 제1구동패널(311')에 구비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가동체(312')와, 상기 제1구동패널(311')에 구비되어 제1베이스패널(333')을 기반으로 상기 제1가동체(312')와 연동되는 제2가동체(322')와, 상기 제1베이스패널(333')상에 장착되는 제1촬영감시모듈(332')을 포함하는 제1유동체와,
    상기 제1구동패널(311')에 구비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3가동체(313')와, 상기 제1구동패널(311')에 구비되어 제2베이스패널(343')을 기반으로 상기 제3가동체(313')와 연동되는 제4가동체(323')와, 상기 제2베이스패널(343')상에 장착되는 제2촬영감시모듈(342')을 포함하는 제2유동체를 포함하며,
    상기 진퇴이동을 기반으로 상기 제1베이스패널(333')과 상기 제1촬영감시모듈(332')은 상기 제1가동체(312')내부로 수납되어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 관리되며,
    상기 진퇴이동을 기반으로 상기 제2베이스패널(343')과 상기 제2촬영감시모듈(342')은 상기 제3가동체(313') 내부로 수납되어 외부화경으로부터 보호 관리되며,
    상기 상부파츠는,
    상기 제1구동패널(311')상에서 상기 제1가동체(312')와 상기 제3가동체(313')사이로 구비되는 제1보조구동체(411')와,
    상기 제1보조구동체(411')에 연동설치되며 상하둘레부와 길이방향 단부로 설정온도의 제1유체를 상기 제1촬영감시모듈(332')과 상기 제2촬영감시모듈(342')의 주변공간으로 분사하여 상기 제1촬영감시모듈(332')과 상기 제2촬영감시모듈(342')의 촬영 및 구동에 적합한 온도환경이 조성되도록 하는 제1분사구동체(412')와,
    상기 제2구동패널(321')상에서 상기 제2가동체(322')와 상기 제4가동체(323')사이로 구비되는 제2보조구동체(511')와,
    상기 제2보조구동체(511')에 연동설치되며 상하둘레부와 길이방향 단부로 설정온도의 제2유체를 상기 제1촬영감시모듈(332')과 상기 제2촬영감시모듈(342')의 주변공간으로 분사하여 상기 제1촬영감시모듈(332')과 상기 제2촬영감시모듈(342')의 촬영 및 구동에 적합한 온도환경이 조성되도록 하는 제2분사구동체(512')를 포함하는, 지아이에스를 기반으로 하는 지하시설물 측량데이터 갱신관리시스템 제공방법.
  2. 삭제
KR1020210133873A 2021-10-08 2021-10-08 지아이에스를 기반으로 하는 지하시설물 측량데이터 갱신관리시스템 제공방법 KR1023794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3873A KR102379401B1 (ko) 2021-10-08 2021-10-08 지아이에스를 기반으로 하는 지하시설물 측량데이터 갱신관리시스템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3873A KR102379401B1 (ko) 2021-10-08 2021-10-08 지아이에스를 기반으로 하는 지하시설물 측량데이터 갱신관리시스템 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9401B1 true KR102379401B1 (ko) 2022-03-29

Family

ID=80995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3873A KR102379401B1 (ko) 2021-10-08 2021-10-08 지아이에스를 기반으로 하는 지하시설물 측량데이터 갱신관리시스템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94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5894B1 (ko) 2022-10-19 2023-04-28 (주)조은공간정보 지하시설물의 측량 신뢰도를 향상시킨 지하시설물 탐사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3605B1 (ko) * 2012-06-14 2012-12-18 주식회사 첨단공간정보 지상의 지형데이터 대비 지하구조에 대한 측지측량값 처리가 가능한 지아이에스 기반 지점별 측량데이터 관리시스템
KR101231703B1 (ko) * 2012-11-30 2013-02-08 주식회사 한국에스지티 기준점을 통한 지형의 정밀 위치 확인용 지상 측량데이터 수집시스템
KR20150140247A (ko) * 2015-11-24 2015-12-15 주식회사 삼인공간정보 실시간 송수신 방식 무인항공기를 활용한 지하시설물 데이터베이스 구축 시스템
KR102134735B1 (ko) 2020-01-15 2020-07-16 (주)지오투정보기술 정밀도를 향상시킨 지아이에스 측지측량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3605B1 (ko) * 2012-06-14 2012-12-18 주식회사 첨단공간정보 지상의 지형데이터 대비 지하구조에 대한 측지측량값 처리가 가능한 지아이에스 기반 지점별 측량데이터 관리시스템
KR101231703B1 (ko) * 2012-11-30 2013-02-08 주식회사 한국에스지티 기준점을 통한 지형의 정밀 위치 확인용 지상 측량데이터 수집시스템
KR20150140247A (ko) * 2015-11-24 2015-12-15 주식회사 삼인공간정보 실시간 송수신 방식 무인항공기를 활용한 지하시설물 데이터베이스 구축 시스템
KR102134735B1 (ko) 2020-01-15 2020-07-16 (주)지오투정보기술 정밀도를 향상시킨 지아이에스 측지측량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5894B1 (ko) 2022-10-19 2023-04-28 (주)조은공간정보 지하시설물의 측량 신뢰도를 향상시킨 지하시설물 탐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7602B1 (ko) 지하시설의 지도제작을 위한 지피에스 기반 측지측량 시스템
US9653774B2 (en) System and method for accurately directing antennas
US592980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cision location of GPS survey tilt pole
US10749327B2 (en) Utility pole with tilt meters and related methods
CN101360967B (zh) 高层结构的勘测方法和系统
US11835632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gistration of survey points
KR101650525B1 (ko) 지아이에스 기반 신규데이터에 따른 영상 업데이트 도화시스템
KR102056752B1 (ko) 수준측량을 위한 측지 측량시스템
KR102379401B1 (ko) 지아이에스를 기반으로 하는 지하시설물 측량데이터 갱신관리시스템 제공방법
KR101213605B1 (ko) 지상의 지형데이터 대비 지하구조에 대한 측지측량값 처리가 가능한 지아이에스 기반 지점별 측량데이터 관리시스템
KR102203524B1 (ko) 디지피에스를 기반으로 하여 정확한 위치 계산이 가능한 지하시설물 측량시스템
KR102336834B1 (ko) 지리정보를 수집하여 수준 측량을 할 수 있는 측지측량시스템
KR101202833B1 (ko) 수준측량을 위한 측지측량용 토털 스테이션
KR100929120B1 (ko) 지리정보에 대한 수집 데이터와 지피에스 좌표의 매칭정보를 확인해서 수치정보에 적용하는 수치지도 제작시스템
KR101896984B1 (ko) 지표면 지형지물의 기준점 위치 확인과 지형정보를 이용한 공간영상도화 시스템
EP3427009A1 (en) Laser level checking
KR101318257B1 (ko) 지형변화 측량을 통한 통합기준점 및 수준점의 성과 수집장치
KR101058191B1 (ko) 지피에스 위성신호에 따른 지형 측지측량정보 수신처리시스템
KR101223177B1 (ko) 자동화 로봇을 이용한 위험지역의 수준측량 시스템
US20230272632A1 (en) Batter board installation method, batter board installation program and surveying system
CN105937901A (zh) 基于传感器集群的网络测斜系统及其测斜方法
KR101234344B1 (ko) 지리 참조된 영상정보와 지피에스 지상기준점 정보의 정밀해석을 통한 수치지도 위치오차 확인시스템
KR102183142B1 (ko) 국가기준점 위치의 변화 보정을 위한 측지정보 이력 검출시스템
KR101318268B1 (ko) 지피에스 성과를 기반으로 한 기준점 및 지형의 측량성과 갱신시스템
KR102596659B1 (ko) 현지 조사자료를 이용하여 정밀도와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수치지도 제작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