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8832B1 - 스노우 타이어 - Google Patents

스노우 타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8832B1
KR102458832B1 KR1020220044109A KR20220044109A KR102458832B1 KR 102458832 B1 KR102458832 B1 KR 102458832B1 KR 1020220044109 A KR1020220044109 A KR 1020220044109A KR 20220044109 A KR20220044109 A KR 20220044109A KR 102458832 B1 KR102458832 B1 KR 1024588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sorption structure
road surface
tread
tread block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4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47559A (ko
Inventor
김성민
홍상해
Original Assignee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441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8832B1/ko
Publication of KR202200475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75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88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88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14Anti-skid inserts, e.g. vulcanised into the tread band
    • B60C11/16Anti-skid inserts, e.g. vulcanised into the tread band of plug form, e.g. made from metal, textile
    • B60C11/1606Anti-skid inserts, e.g. vulcanised into the tread band of plug form, e.g. made from metal, textile retractable plug
    • B60C11/1612Anti-skid inserts, e.g. vulcanised into the tread band of plug form, e.g. made from metal, textile retractable plug actuated by fluid, e.g. using fluid pressure differe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11Tread patterns in which the raised area of the pattern consists only of isolated elements, e.g. b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12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narrow slits or incisions, e.g. sipes
    • B60C11/1204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narrow slits or incisions, e.g. sipes with special shape of the sipe
    • B60C11/1218Three-dimensional shape with regard to depth and extending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12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narrow slits or incisions, e.g. sipes
    • B60C11/1204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narrow slits or incisions, e.g. sipes with special shape of the sipe
    • B60C2011/1213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narrow slits or incisions, e.g. sipes with special shape of the sipe sinusoidal or zigzag at the tread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14Anti-skid inserts, e.g. vulcanised into the tread band
    • B60C2011/147Foamed rubber or sponge rubber on the tread ba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노우 타이어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노우 타이어는 트레드, 상기 트레드 상에 원주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그루브, 상기 트레드 상에 폭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그루브, 상기 제1 그루브와 상기 제2 그루브에 의해 분할되는 트레드 블록, 상기 트레드 블록의 표면을 가로질러 복수 개 배치되며, 웨이브 형상을 갖는 홈인 커프 및 상기 트레드 블록의 표면에서 돌출되며, 상기 트레드 블록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을 따라 복수 개 배치되는 흡착 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흡착 구조물은 상기 트레드의 표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높이 H만큼 연장되는 외벽 및 상기 외벽에서 반경 방향 내측 및 하방을 향해 각도 θ의 기울기로 연장되는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경사면의 상단 가장자리는 상기 외벽의 상단과 첨단을 형성함으로써 평면 상에서 보았을 때 상기 경사면의 상단 가장자리와 상기 외벽의 상단이 하나의 원을 이루도록 상기 외벽의 상단과 직접 연결된다.

Description

스노우 타이어{SNOW TIRE}
본 발명은 스노우 타이어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설상 또는 빙상 노면에서 개선된 주행 특성을 갖는 스노우 타이어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입 타이어(pneumatic tire)는 노면과 접촉하는 트레드(tread)와, 트레드의 양측에 배치되는 사이드월(side wall) 및 휠에 결합되어 공기압을 유지하는 비드(bead)를 포함한다.
트레드는 노면과의 접지력, 마찰력 등을 향상시켜 타이어의 주행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원주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종그루브와, 폭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횡그루브를 포함하며, 이들 종그루브와 횡그루브에 의해 구획되는 복수 개의 트레드 블록을 포함한다.
한편, 겨울철 설상 또는 빙상 노면에 적합한 스노우 타이어는 트레드 블록에 커프(kerf)를 구비한다. 커프는 트레드 블록의 표면에 형성된 미세한 홈으로서, 설상 또는 빙상 노면에서 노면과 타이어의 접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커프의 개수가 많아질수록 타이어 블록의 강성이 떨어져, 젖은 노면 접지력(wet grip)과 마른 노면 접지력(dry grip)이 약화되는 문제가 있다.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 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1993-138762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발명으로, 블록 강성을 떨어뜨리지 않으면서도 설상 또는 빙상 노면에서의 접지력 등을 개선할 수 있는 스노우 타이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노우 타이어는 트레드, 상기 트레드 상에 원주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그루브, 상기 트레드 상에 폭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그루브, 상기 제1 그루브와 상기 제2 그루브에 의해 분할되는 트레드 블록, 상기 트레드 블록의 표면을 가로질러 복수 개 배치되며, 웨이브 형상을 갖는 홈인 커프 및 상기 트레드 블록의 표면에서 돌출되며, 상기 트레드 블록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을 따라 복수 개 배치되는 흡착 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흡착 구조물은 상기 트레드의 표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높이 H만큼 연장되는 외벽 및 상기 외벽에서 반경 방향 내측 및 하방을 향해 각도 θ의 기울기로 연장되는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경사면의 상단 가장자리는 상기 외벽의 상단과 첨단을 형성함으로써 평면 상에서 보았을 때 상기 경사면의 상단 가장자리와 상기 외벽의 상단이 하나의 원을 이루도록 상기 외벽의 상단과 직접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노우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흡착 구조물은 상기 트레드 블록의 표면에 돌출되며,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루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노우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흡착 구조물은 노면과의 접촉 압력이 변함에 따라 상기 내부 공간의 공기량이 변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노우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흡착 구조물은 노면과의 접촉 압력이 증가함에 따라 상기 내부 공간의 공기량이 감소하고, 노면과의 접촉 압력이 감소함에 따라 상기 내부 공간과 외부의 압력 차이를 통해 노면을 흡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노우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흡착 구조물은 노면과의 접촉 위치가 변함에 따라 노면에 의해 구획되는 상기 내부 공간의 부피가 변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노우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흡착 구조물은 노면과 수직으로 접촉하는 제1 위치에 이를 때까지 상기 내부 공간의 공기량이 감소하고, 상기 제1 위치를 지나면서 상기 내부 공간의 공기량이 증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노우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흡착 구조물은 외경이 2 mm 내지 5 mm이며, 내경이 1 mm 내지 4.5 mm이고, 높이가 0.5 mm 내지 1 mm이고, 상기 경사면의 기울기가 45° 내지 80°이고, 상기 경사면의 폭이 0.5 mm 내지 1 mm이고, 상기 커프와 상기 커프 사이에 1개 내지 6개가 1열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은 이하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청구범위 및 도면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노우 타이어는 트레드의 트레드 블록에 배치된 흡착 구조물을 통해 노면을 흡착함으로써 차량의 주행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노우 타이어는 커프의 개수를 적절히 유지함으로써 젖은 노면 접지력과 마른 노면 접지력이 저하되는 일 없이 설상 노면과 빙상 노면에서의 그립력 및 핸들링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노우 타이어는 흡착 구조물이 트레드 블록 상에 복수 개의 열로 배치됨으로써, 흡착 구조물과 노면의 접촉 면적을 넓혀 설상 노면과 빙상 노면에서의 그립력 및 핸들링 성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노우 타이어는 흡착 구조물이 경사면을 구비함으로써 흡착 구조물이 노면을 보다 강하게 흡착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노우 타이어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드 블록을 확대하여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착 구조물을 확대하여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착 구조물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착 구조물과 지면의 접촉 상태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발명의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예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다른 실시예에 도시되어 있다 하더라도,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서는 동일한 식별부호를 사용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노우 타이어(1)를 나타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드 블록(15)을 확대하여 나타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착 구조물(30)을 확대하여 나타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착 구조물(30)을 나타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착 구조물(30)과 지면의 접촉 상태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노우 타이어(1)는 동계용 타이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노우 타이어(1)는 설상 또는 빙상 노면에서 사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노우 타이어(1)는 트레드(10)와 사이드월(20)을 포함할 수 있다.
트레드(10)는 차량이 주행할 때 노면과 직접 접촉하는 부분으로서 스노우 타이어(1)의 최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레드(10)는 스노우 타이어(1)의 폭 방향으로 중앙 영역을 포함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레드(10)의 표면에는 제1 그루브(11) 및 제2 그루브(13)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그루브(11)는 스노우 타이어(1)의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홈으로서, 스노우 타이어(1)의 폭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1 그루브(11)는 스노우 타이어(1)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그루브(11)는 고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는, 제1 그루브(11)는 스노우 타이어(1)의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분할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2 그루브(13)는 스노우 타이어(1)의 폭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홈으로서, 스노우 타이어(1)의 원주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2 그루브(13)는 스노우 타이어(1)의 폭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제2 그루브(13)는 스노우 타이어(1)의 폭 방향으로 트레드(10)의 양단 사이에 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제2 그루브(13)는 스노우 타이어(1)의 폭 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분할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1 그루브(11) 및 제2 그루브(13)는 트레드(10)에 배치되어 스노우 타이어(1)의 노면에 대한 접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 그루브(11) 및 제2 그루브(13)의 개수나 형상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스노우 타이어(1)의 타이어 특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트레드(10)의 표면에는 트레드 블록(15)이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레드(10)의 표면에 복수 개의 제1 그루브(11)와 제2 그루브(13)가 배치됨에 따라 트레드(10)는 복수 개의 영역으로 분할되며, 이와 같이 분할된 영역이 트레드 블록(15)일 수 있다.
트레드 블록(15)의 개수나 형상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트레드 블록(15)은 제1 그루브(11) 및 제2 그루브(13)의 형상 및 개수에 따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레드 블록(15)은 상면이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인 것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일 실시예로, 트레드 블록(15)에는 커프(kerf; 17)가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커프(17)는 트레드 블록(15)의 표면에 형성되는 얇은 선 또는 홈으로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프(17)는 트레드 블록(15)의 표면에 적어도 1개 이상 배치될 수 있다. 도 2에는 커프(17)가 트레드 블록(15)을 폭 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복수 개가 배치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커프(17)는 트레드 블록(15)의 폭 방향으로 일부 영역에만 부분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커프(17)는 트레드 블록(15)을 길이 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커프(17)는 다양한 형상과 개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커프(17)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웨이브 형상 또는 사인파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커프(17)는 트레드 블록(15) 상에 적어도 1개 이상 배치되어, 트레드 블록(15)의 강성을 분산시켜 소음을 줄이고, 승차감을 향상시키며, 빙상 또는 설상에서의 타이어 접지력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노우 타이어(1)는 흡착 구조물(30)을 포함할 수 있다.
흡착 구조물(30)은 스노우 타이어(1)의 표면에 배치되며, 차량이 주행할 때 노면을 흡착하여, 스노우 타이어(1)의 노면에 대한 접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흡착 구조물(30)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트레드(10)의 재질과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흡착 구조물(30)은 노면과의 접촉 압력 또는 접촉 위치가 변함에 따라 탄성적으로 변하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그 재질은 합성 고무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착 구조물(30)은 트레드(10)의 표면, 보다 구체적으로 트레드 블록(15)의 표면에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흡착 구조물(30)은 트레드 블록(15)의 표면에 복수 개의 열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흡착 구조물(30)이 배치되는 열 방향은 스노우 타이어(1)의 폭 방향일 수 있다. 또한, 흡착 구조물(30)이 포함되는 열이 서로 이격되는 방향은 스노우 타이어(1)의 원주 방향일 수 있다.
도 2에는 흡착 구조물(30)이 트레드 블록(15)의 표면에 4열로 배치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흡착 구조물(30)이 배치되는 열의 개수는 스노우 타이어(1)가 사용되는 노면의 상태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흡착 구조물(30)은 1개의 열에 1개 내지 6개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흡착 구조물(30)은 커프(17)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착 구조물(30)은 트레드 블록(15)의 표면에 복수 개의 열로 배치되며, 각각의 열은 커프(17)를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도 2에는 하나의 열에 포함된 흡착 구조물(30)이 이웃하는 열에 포함된 흡착 구조물(30)과 스노우 타이어(1)의 원주 방향으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열에 배치된 흡착 구조물(30)은 원주 방향으로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는, 홀수 번째 열에 포함된 흡착 구조물(30)끼리 원주 방향으로 서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고, 짝수 번째 열에 포함된 흡착 구조물(30)끼리 각각 원주 방향으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홀수 번째 열에 포함된 흡착 구조물(30)과 짝수 번째 열에 포함된 흡착 구조물(30)은 원주 방향으로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흡착 구조물(30)과 노면이 접촉하는 위치가 국소적으로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고, 흡착 구조물(30)이 가급적 넓은 범위의 노면을 커버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노우 타이어(1)가 빙상 또는 설상에서 미끄러지는 일 없이 보다 안정적으로 주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흡착 구조물(30)은 트레드 블록(15)의 표면에 돌출되며, 내부 공간(33)을 구획하는 루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착 구조물(30)은 트레드 블록(15)의 표면 상에 높이 H만큼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흡착 구조물(30)은 외경 D1과 내경 D2를 갖는 고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는 흡착 구조물(30)이 원형 고리인 것으로 나타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흡착 구조물(30)은 삼각형, 사각형 또는 오각형 이상의 다각 형상의 고리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흡착 구조물(30)이 원형 고리인 것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일 실시예로, 흡착 구조물(30)은 노면과의 접촉 압력이 변함에 따라 내부 공간(33)의 공기량이 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노우 타이어(1)가 일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트레드(10) 상에 배치된 복수 개의 흡착 구조물(30)은 원주 방향을 따라 차례대로 노면과 접촉하게 된다.
먼저 흡착 구조물(30)의 일측이 노면과 접촉하면서 가압되어 압축되고, 스노우 타이어(1)가 회전하면서 흡착 구조물(30)과 노면의 접촉 압력이 증가한다(도 5의 좌측). 그리고 흡착 구조물(30)과 노면의 접촉 압력이 최대에 이르면, 예를 들어, 흡착 구조물(30)과 노면이 수직으로 접촉하면, 흡착 구조물(30)의 가장자리 전체가 노면과 접촉하게 되고, 내부 공간(33)은 노면에 의해 완전히 폐쇄된다. 또한 흡착 구조물(30)의 변형량이 최대에 이르러 흡착 구조물(30)이 트레드 블록(15)의 내측으로 함몰됨에 따라 내부 공간(33)의 공기량도 최소에 이른다(도 5의 중앙).
이후 스노우 타이어(1)가 계속 회전하면 흡착 구조물(30)과 노면의 접촉 압력이 감소하게 되고, 노면에 의해 폐쇄된 내부 공간(33)이 점차 개방된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내부 공간(33)은 흡착 구조물(30)의 외부보다 공기량이 적은 상태를 일시적으로 유지하기 때문에, 흡착 구조물(30)은 노면과 떨어지면서 압력 차이에 따라 노면을 강하게 흡착한다. 이에 따라 스노우 타이어(1)가 빙상 또는 설상 노면 상에서 우수한 제동력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흡착 구조물(30)은 노면과의 접촉 위치가 변함에 따라 노면에 의해 구획되는 내부 공간(33)의 부피가 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면과 접촉하지 않은 상태의 흡착 구조물(30)은 노면에 의해 폐쇄되지 않으며, 내부 공간(33)은 완전히 개방된 상태일 수 있다.
이후 스노우 타이어(1)가 회전함에 따라 흡착 구조물(30)이 노면과 접촉하는 면적이 점차 증가하고, 내부 공간(33)도 노면에 의해 점차 폐쇄되며, 내부 공간(33)의 공기량도 점차 감소한다. 그리고 흡착 구조물(30)이 노면과 수직으로 접촉하는 제1 위치(도 5의 중앙)에 이르면 내부 공간(33)은 노면에 의해 완전히 폐쇄된다. 또한 흡착 구조물(30)이 노면에 압착됨에 따라 내부 공간의 공기량도 최소가 된다.
다시 스노우 타이어(1)가 회전하여 제1 위치를 지날 때, 내부 공간(33)과 외부의 압력 차에 의해 흡착 구조물(30)이 노면을 강하게 흡착하게 되고, 이에 따라 스노우 타이어(1)가 빙상 또는 설상 노면 상에서 우수한 제동력을 가질 수 있다.
이후 스노우 타이어(1)가 더 회전하면, 노면에 의해 폐쇄된 내부 공간(33)이 개방되고, 내부 공간(33)으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흡착 구조물(30)은 노면과 수직으로 접촉하는 제1 위치를 벗어나면서 즉시 개방되는 것이 아니라, 스노우 타이어(1)가 제1 위치를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한 후에 개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흡착 구조물(30)이 제1 위치에 이르렀을 때, 흡착 구조물(30)과 노면이 수직으로 접촉하면서 내부 공간(33)은 노면에 의해 폐쇄된다. 이후 스노우 타이어(1)가 회전하면 흡착 구조물(30)이 노면과 즉시 떨어지는 것이 아니라, 내부 공간(33)과 외부의 압력 차이에 의해 흡착 구조물(30)이 노면을 흡착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스노우 타이어(1)가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하면 흡착 구조물(30)이 노면으로부터 이격되어, 내부 공간(33)이 개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흡착 구조물(30)은 내측을 향해 기울어진 경사면(31)을 구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착 구조물(30)은 트레드 블록(15) 상에 돌출되며, 외경 D1과 내경 D2를 갖는 고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흡착 구조물(30)은 반경 방향 내측을 향해 제1 각도 θ만큼 기울어진 경사면(31)을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경사면(31)의 외측은 트레드 블록(15)의 표면에서 높이 H만큼 돌출될 수 있다. 또한, 경사면(31)의 내측은 트레드 블록(15)의 표면에서 연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흡착 구조물(30)의 경사면(31)이 노면과 접촉하면서 흡착 구조물(30)이 반경 방향 외측으로 가압되어 벌어지게 된다. 그리고 흡착 구조물(30)의 내부 공간에 대응되는 트레드 블록(15)이 노면과 접촉하고, 경사면(31)이 해당 노면 영역의 외측을 감싸도록 배치되어, 흡착 구조물(30)과 노면이 보다 밀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흡착 구조물(30)의 내부 공간(33)과 노면에 의해 구획되는 영역이 보다 확실하게 밀폐되면서 흡착 구조물(30)과 노면이 밀착되었을 때, 내부 공간(33)에는 극소량의 공기만을 남기게 되고, 흡착 구조물(30)이 노면을 보다 강하게 흡착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흡착 구조물(30)의 외경 D1은 2 mm 내지 5 mm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흡착 구조물(30)의 내경 D2는 1 mm 내지 4.5 mm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흡착 구조물(30)의 높이 H는 0.5 mm 내지 1 mm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흡착 구조물(30)의 경사면(31)의 기울기인 제1 각도 θ는 45° 내지 80°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흡착 구조물(30)의 경사면(31)의 폭은 평면에서 보았을 때, 0.5 mm 내지 1 mm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흡착 구조물(30)의 내부 공간(33)은 트레드 블록(15)의 표면이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 공간(33)의 하면이 트레드 블록(15)의 표면과 동일 높이에 위치하는 것이 아니라, 스노우 타이어(1)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 더 함몰되어, 트레드 블록(15)의 표면보다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노면과 접촉하여 구획되는 내부 공간(33)의 부피가 더 커져, 흡착 구조물(30)이 노면을 보다 강하게 흡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노우 타이어(1)는 트레드(10)의 트레드 블록(15)에 배치된 흡착 구조물(30)을 통해 노면을 흡착함으로써 차량의 주행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노우 타이어(1)는 커프(17)의 개수를 적절히 유지함으로써 젖은 노면 접지력과 마른 노면 접지력이 저하되는 일 없이 설상 노면과 빙상 노면에서의 그립력 및 핸들링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노우 타이어(1)는 흡착 구조물(30)이 트레드 블록(15) 상에 복수 개의 열로 배치됨으로써, 흡착 구조물(30)과 노면의 접촉 면적을 넓혀 설상 노면과 빙상 노면에서의 그립력 및 핸들링 성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노우 타이어(1)는 흡착 구조물(30)이 경사면(31)을 구비함으로써 흡착 구조물(30)이 노면을 보다 강하게 흡착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다.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기초하여 정해져야 한다.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특정 기술 내용은 일 실시예들로서, 실시예의 기술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발명의 설명을 간결하고 명확하게 기재하기 위해, 종래의 일반적인 기술과 구성에 대한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는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발명의 설명 및 청구범위에 기재된 "상기" 또는 이와 유사한 지시어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발명의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실시예들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실시예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통상의 기술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1: 스노우 타이어

Claims (7)

  1. 트레드;
    상기 트레드 상에 원주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그루브;
    상기 트레드 상에 폭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그루브;
    상기 제1 그루브와 상기 제2 그루브에 의해 분할되는 트레드 블록;
    상기 트레드 블록의 표면을 가로질러 복수 개 배치되며, 웨이브 형상을 갖는 홈인 커프; 및
    상기 트레드 블록의 표면에서 돌출되며, 상기 트레드 블록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을 따라 복수 개 배치되는 흡착 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흡착 구조물은 상기 트레드의 표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높이 H만큼 연장되는 외벽 및 상기 외벽에서 반경 방향 내측 및 하방을 향해 각도 θ의 기울기로 연장되는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경사면의 상단 가장자리는 상기 외벽의 상단과 첨단을 형성함으로써 평면 상에서 보았을 때 상기 경사면의 상단 가장자리와 상기 외벽의 상단이 하나의 원을 이루도록 상기 외벽의 상단과 직접 연결되고,
    상기 흡착 구조물은, 상기 경사면의 내측에 구획되며 바닥면이 상기 트레드 블록의 상면보다 반경 방향 내측으로 아래에 위치하는 평면인 내부 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흡착 구조물은 노면과 접촉함에 따라 변형되며, 노면과의 접촉 압력이 최대에 이르면 상기 트레드 블록의 내측으로 함몰되는, 스노우 타이어.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 구조물은 노면과의 접촉 압력이 변함에 따라 상기 내부 공간의 공기량이 변화하는, 스노우 타이어.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 구조물은 노면과의 접촉 압력이 증가함에 따라 상기 내부 공간의 공기량이 감소하고, 노면과의 접촉 압력이 감소함에 따라 상기 내부 공간과 외부의 압력 차이를 통해 노면을 흡착하는, 스노우 타이어.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 구조물은 노면과의 접촉 위치가 변함에 따라 노면에 의해 구획되는 상기 내부 공간의 부피가 변화하는, 스노우 타이어.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 구조물은 노면과 수직으로 접촉하는 제1 위치에 이를 때까지 상기 내부 공간의 공기량이 감소하고, 상기 제1 위치를 지나면서 상기 내부 공간의 공기량이 증가하는, 스노우 타이어.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 구조물은
    외경이 2 mm 내지 5 mm이며, 내경이 1 mm 내지 4.5 mm이고, 높이가 0.5 mm 내지 1 mm이고, 상기 경사면의 기울기가 45° 내지 80°이고, 상기 경사면의 폭이 0.5 mm 내지 1 mm이고, 상기 커프와 상기 커프 사이에 1개 내지 6개가 1열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스노우 타이어.
KR1020220044109A 2020-10-08 2022-04-08 스노우 타이어 KR1024588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4109A KR102458832B1 (ko) 2020-10-08 2022-04-08 스노우 타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0474 2020-10-08
KR1020220044109A KR102458832B1 (ko) 2020-10-08 2022-04-08 스노우 타이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0474 Division 2020-10-08 2020-10-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7559A KR20220047559A (ko) 2022-04-18
KR102458832B1 true KR102458832B1 (ko) 2022-10-26

Family

ID=81390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4109A KR102458832B1 (ko) 2020-10-08 2022-04-08 스노우 타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883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51483A (ja) * 2010-09-01 2012-03-15 Bridgestone Corp 空気入りタイヤ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51105A (ja) * 1984-01-19 1985-08-09 Shuichi Matsuoka 吸盤付タイヤ
JPH05138762A (ja) 1991-11-25 1993-06-08 Bridgestone Corp 氷雪路用空気入りタイヤおよ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51483A (ja) * 2010-09-01 2012-03-15 Bridgestone Corp 空気入りタイ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7559A (ko) 2022-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81697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5860451B2 (ja) 冬用タイヤ
JP5629286B2 (ja) 空気入りタイヤ
US20160297255A1 (en) Pneumatic tire
JP6010576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4713515B2 (ja) 空気入りタイヤ
CN107031307B (zh) 充气轮胎
JP2011084254A (ja) 空気入りタイヤ
JP4516415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2018001803A (ja) タイヤ
US8636043B2 (en) Pneumatic tire
CN109070650B (zh) 轮胎
JP5830079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4381869B2 (ja) 空気入りタイヤ
KR102458832B1 (ko) 스노우 타이어
JP2009078579A (ja) 空気入りタイヤ
JP2023064576A (ja) タイヤ
JP2007137110A (ja) 空気入りタイヤ
JP2008056057A (ja) 空気入りタイヤ
EP3539799B1 (en) Tire with main kerfs and sub-kerfs
JP7176320B2 (ja) タイヤ
US20170297380A1 (en) Pneumatic Tire
US20200307322A1 (en) Tire
JP6154937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4487668B2 (ja) 空気入りスタッドタイ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