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7432B1 - 목조 건물용 제진 댐퍼 장치, 및 그 목조 건물용 제진 댐퍼 장치를 사용한 목조 건물 - Google Patents

목조 건물용 제진 댐퍼 장치, 및 그 목조 건물용 제진 댐퍼 장치를 사용한 목조 건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7432B1
KR102457432B1 KR1020210005051A KR20210005051A KR102457432B1 KR 102457432 B1 KR102457432 B1 KR 102457432B1 KR 1020210005051 A KR1020210005051 A KR 1020210005051A KR 20210005051 A KR20210005051 A KR 20210005051A KR 102457432 B1 KR102457432 B1 KR 1024574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ongate member
vibration damping
wooden building
back plate
damping dam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50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58300A (ko
Inventor
츠요시 마키타
Original Assignee
비엑스카네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엑스카네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비엑스카네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1583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83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74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74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8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vibrations or shocks; against mechanical destruction, e.g. by air-rai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1Bearing, supporting or connecting construct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7Preventive constructional measures against earthquake damage in existing build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과제] 고감쇠 고무 등을 설치한 제진 댐퍼 기구부를 불필요하게 한 단순한 구조로 제조 비용을 저감한다.
[해결수단] 목조 건물의 종재 또는 횡가재 중 어느 일방에 기단부측이 제 1 고정부(14)를 통해 고정되는 제 1 장척 부재(11)와, 제 1 고정부(14)가 고정된 종재 또는 횡가재 중 타방에 기단부(12c)가 제 2 고정부(15)를 통해 고정되는 한편, 선단부측이 제 1 장척 부재(11)에 고정되고, 상기 선단부로부터 기단부를 향해서 제 1 장척 부재(11)와 겹치는 겹침 개소가 형성된 제 2 장척 부재(12)와, 제 1 장척 부재(11) 및 제 2 장척 부재(12)를 덮도록 설치되고, 제 2 장척 부재(12)에 있어서의 겹침 개소에는 상기 제 2 장척 부재(12)에 있어서의 다른 개소보다 약체화시킴으로써 신축되기 쉬운 신축부(12a3)를 형성함과 아울러, 그 신축부(12a3)를 덮도록 제 3 장척 부재(13)를 설치한다.

Description

목조 건물용 제진 댐퍼 장치, 및 그 목조 건물용 제진 댐퍼 장치를 사용한 목조 건물{VIBRATION CONTROL DAMPER SYSTEM FOR WOODEN BUILDING AND WOODEN BUILDING USING THE VIBRATION CONTROL DAMPER SYSTEM}
본 발명은 목조 건물의 종재와 횡가재로 둘러싸인 개구부에 설치하는 목조 건물용 제진 댐퍼 장치, 및 그 목조 건물용 제진 댐퍼 장치를 사용한 목조 건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목조 건물용 제진 댐퍼 장치로서, 예를 들면 이간한 한 쌍의 종재 및 횡가재에 둘러싸인 개구부에 있어서의 횡가재에 가동판과 고정판 사이에 고감쇠 고무를 설치한 제진 댐퍼 기구를 고정하는 한편, 종재에 암 부착 금물을 고정하고, 제진 댐퍼 기구부의 가동판과 암 부착 금물을 장척의 암에 의해 연결한 구조가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이 장치에서는, 지진 등에 의해 개구부가 변형되었을 때, 제진 댐퍼 기구부의 가동판이 고정판에 대하여 회동하고, 그 회동 에너지를 고감쇠 고무로 흡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2017-31691호 공보
그러나, 상술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종래의 목조 건물 제진 댐퍼 장치는 암이나 암 부착 금물 이외에 고감쇠 고무를 설치한 제진 댐퍼 기구부가 필요하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해지고, 또한 비용이 크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고감쇠 고무 등을 설치한 제진 댐퍼 기구부를 불필요하게 한 단순한 구조로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는 목조 건물용 제진 댐퍼 장치, 및 그 목조 건물용 제진 댐퍼 장치를 이용한 목조 건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목조 건물용 제진 댐퍼 장치는 목조 건물의 종재 또는 횡가재 중 어느 일방에 기단부측이 제 1 고정부를 통해 고정되는 제 1 장척 부재와, 상기 제 1 고정부가 고정된 상기 종재 또는 횡가재 중 타방에 기단부측이 제 2 고정부를 통해 고정되는 한편, 선단부측이 상기 제 1 장척 부재의 선단부보다 기단부측에 접합되어, 상기 제 1 장척 부재와 겹치는 겹침 개소가 형성된 제 2 장척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장척 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장척 부재의 겹침 개소에는 상기 제 2 장척 부재에 있어서의 다른 개소보다 약체화시킴으로써 신축되기 쉽게 구성한 신축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목조 건물용 제진 댐퍼 장치에서는, 상기 제 2 장척 부재는 배판부와 상기 배판부 양측에 각각 측판부를 갖는 단면이 コ자 형상이고, 상기 신축부는 상기 제 2 장척 부재의 상기 배판부 양측의 측판부의 일부를 결락시켜서 약체화함으로써 설치되어 있는 것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목조 건물용 제진 댐퍼 장치에서는, 상기 제 2 장척 부재는 상기 제 1 장척 부재의 외측에 설치되고, 또한 관 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제 1 장척 부재의 배판과의 사이에서 상기 신축부를 끼우도록 상기 제 1 장척 부재 및 상기 제 2 장척 부재의 외측에 제 3 장척 부재를 설치한 것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목조 건물용 제진 댐퍼 장치에서는 상기 제 3 장척 부재는그 길이 방향 중 적어도 일단에 있어서 상기 제 1 장척 부재에 접합되어 있는 것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주택 구조는 상술의 것 중 어느 하나의 목조 건물용 제진 앰퍼 장치를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목조 건물용 제진 댐퍼 장치는 제 1 장척 부재, 제 2 장척 부재를 구비하고, 제 2 장척 부재에 있어서의 제 1 장척 부재의 겹침 개소에는 상기 제 2 장척 부재에 있어서의 다른 개소보다 약체화시킴으로써 상기 제 2 장척 부재 있어서의 다른 개소 및 제 1 장척 부재보다 신축되기 쉬운 신축부를 형성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본 발명에 의한 목조 건물용 제진 댐퍼 장치를 사용한 목조 건물에서 흔들림 등이 발생한 경우, 약체화시킨 제 2 장척 부재의 신축부가 신축해서 그 흔들림 등을 흡수하기 때문에, 고감쇠 고무 등을 설치한 제진 댐퍼 기구부가 불필요해져서 구조가 단순해지므로,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실시형태의 목조 건물용 제진 댐퍼 장치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의 (a)~(c)는 각각 본 발명에 의한 실시형태의 목조 건물용 제진 댐퍼 장치의 평면도, 정면도, 저면도이다.
도 3의 (a)~(d)는 각각 본 발명에 의한 실시형태의 목조 건물용 제진 댐퍼 장치를 구성하는 제 1 장척 부재의 평면도, 정면도, 저면도, 우측면도이다.
도 4의 (a)~(d)는 각각 본 발명에 의한 실시형태의 목조 건물용 제진 댐퍼 장치를 구성하는 제 2 장척 부재의 평면도, 정면도, 저면도, 우측면도이다.
도 5의 (a)~(d)는 각각 본 발명에 의한 실시형태의 목조 건물용 제진 댐퍼 장치를 구성하는 제 3 장척 부재의 평면도, 정면도, 저면도, 우측면도이다.
도 6의 (a), (b)는 각각 본 발명에 의한 실시형태의 목조 건물용 제진 댐퍼 장치를 구성하는 제 1 장척 부재의 기단부에 부착하는 제 1 고정부의 평면도, 측면도이다.
도 7의 (a), (b)는 각각 본 발명에 의한 실시형태의 목조 건물용 제진 댐퍼 장치를 구성하는 제 2 장척 부재의 기단부에 부착하는 제 2 고정부의 평면도, 측면도이다.
도 8의 (a)~(c)는 각각 본 발명에 의한 실시형태의 목조 건물용 제진 댐퍼 장치를 구성하는 제 1 장척 부재의 사시도, 제 1 장척 부재에 제 2 장척 부재를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또한 제 3 장척 부재를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의 (a)~(c)는 각각 본 발명에 의한 실시형태의 목조 건물용 제진 댐퍼 장를 구성하는 제 1 장척 부재에 제 2 장척 부재를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정면도, 저면도이다.
도 10의 (a), (b)는 각각 도 9(b)에 있어서의 C-C선 확대 단면도, D-D선 확대 단면도이다.
도 11의 (a)~(c)는 각각 본 발명에 의한 실시형태의 목조 건물용 제진 댐퍼 장치를 구성하는 제 1 장척 부재에 제 2 장척 부재를 부착하고, 또한 제 3 장척 부재를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정면도, 저면도이다.
도 12의 (a), (b)는 각각 도 11(b)에 있어서의 E-E선 확대 단면도, F-F선 확대 단면도이다.
도 13의 (a), (b)는 각각 도 2(a)에 있어서의 A 부분의 용접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 도 2(c)에 있어서의 B 부분의 용접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에 나타내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형태의 목조 건물용 제진 댐퍼 장치의 사용예에 있어서, 화살표 방향의 전단력이 작용했을 때의 목조 건물용 제진 댐퍼 장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5는 도 1에 나타내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형태의 목조 건물용 제진 댐퍼 장치의 사용예에 있어서, 화살표 방향의 전단력이 작용했을 때의 목조 건물용 제진 댐퍼 장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실시형태의 목조 건물용 제진 댐퍼 장치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하기에 설명하는 실시형태는 형상이나 치수도 포함해 어디까지나 본 발명의 일례이며, 본 발명은 하기에 설명하는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형태의 목조 건물용 제진 댐퍼 장치(1)의 사용예나 구성 등>
본 발명에 의한 실시형태의 목조 건물용 제진 댐퍼 장치(1)는, 예를 들면 도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단은 기둥(2)에 고정하는 한편, 타단은 횡가재인 토대(3)나 보(4) 등에 고정하여 사용하는 것이고, 도 1에서는 2개의 기둥(2)과 토대(3) 및 보(4)로 둘러싸인 벽이 되는 공간에 2개의 목조 건물용 제진 댐퍼 장치(1)를 부착하고 있다.
목조 건물용 제진 댐퍼 장치(1)는 도 2(a)~(c)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장척 부재(11)와, 제 2 장척 부재(12)와, 제 3 장척 부재(3)와, 제 1 고정부(14)와, 제 2 고정부(15)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제 1 장척 부재(11))
제 1 장척 부재(11)는 목조 건물의 종재인 기둥(2) 또는 횡가재인 토대(3) 및 보(4) 중 어느 일방에 정면으로 봤을 때 비스듬하게 커팅된 기단부(11c)측에 용접 등에 의해 접합한 제 1 고정부(4)를 통해 고정되는 부재이고, 도 1에 나타내는 사용예에서는 기둥(2)에 고정되어 있다.
제 1 장척 부재(11)는 도 3(a)~(d)에 나타내도록 배판부(11a)와 배판부(11a) 의 양측의 한 쌍의 측판부(11b, 11b)로부터 단면 コ자 형상으로 형성된 장척 부재이고, 길이 방향의 일방인 기단부(1c)는, 예를 들면 정면으로 봤을 때 28.7도의 경사로 커팅해서 도 1이나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고정부(14)가 용접 등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또한, 기단부(11c)의 반대측이 되는 선단부(1d)는 목재에 고정되지 않고, 제 1 고정부(14) 등의 고정 부재를 접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도 3(a)~(c)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스듬하게 커팅하지 않고 직각인 채로 하고 있다.
제 1 장척 부재(11)를 구성하는 강판의 두께는 도 3(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3.2mm이고, 배판부(11a)의 길이 방향의 길이는 830mm, 폭 즉 단수 방향의 길이는 30mm로 하고 있다. 또한, 측판부(1b)의 높이는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40mm로 한다.
(제 2 장척 부재(12))
제 2 장척 부재(2)는 도 1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장척 부재(11)의 기단부(11c)측의 제 1 고정부(4)가 고정되는 목재와는 타방의 목재에 대해, 정면으로 봤을 때 비스듬하게 커팅된 기단부(12c) 측에 용접 등에 의해 접합한 제 2 고정부(15)를 통해 고정되는 부재이며, 도 1에 나타내는 사용예에서는 횡가재인 토대(3) 또는 보(4)에 고정되어 있다.
제 2 장척 부재(12)는 도 4(a)~(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판부(12a)와 배판부(12a) 의 양측의 한 쌍의 측판부(12b, 12b)로 이루어지는 단면 コ자 형상으로 형성된 장척 부재이고, 길이 방향의 일방인 기단부(2)는, 예를 들면 정면으로 봤을 때 61.3도의 경사로 커팅되어 도 1이나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고정부(15)가 용접 등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또한, 기단부(12c)의 반대측이 되는 선단부(2d)도, 목재에 고정되지 않고, 제 2 고정부(15) 등의 고정 부재를 접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도 4(a)~(c)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장척 부재(11)의 선단부(1d)와 마찬가지로 비스듬하게 커팅되지 않고 직각인 채로 하고 있다.
또한, 제 2 장척 부재(12)는 제 1 장척 부재(11)와 마찬가지로 두께 3.2mm 의 강판을 사용하고 있고, 제 1 장척 부재(11)의 외측에 씌우도록 설치하기 때문에 배판부(12a)의 폭, 즉 단수 방향의 길이는 38mm로 하고, 제 2 장척 부재(12)의 길이 방향의 길이는 1146.58(35+400+687.69+23.89)mm로 하고 있다. 또한, 측판부(11b)의 높이는 43.6mm로 한다.
제 2 장척 부재(12)는 후술하는 도 8(b), (c) 등에 나타내도록 제 1 장척 부재(11) 상에 씌우고, 또한 기단부(12c)와는 반대측의 선단부(12d)에서 제 1 장척 부재(11) 및 제 3 장척 부재와 용접해서 접합하기 위해, 선단부(12d)로부터 기단부(12c)를 향해서 제 1 장척 부재(11)와 겹치는 겹침 개소가 형성되어 있고, 그 겹침 개소에는 제 1 장척 부재(11) 및 상기 제 2 장척 부재(12)에 있어서의 다른 개소보다 약체화시킴으로써 신축하기 쉽게 구성한 신축부(12a3)를 형성하고 있다.
신축부(12a3)는 도 4(a)~(c)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장척 부재(12)의 배판부(12a) 양측의 측판부(12b, 12b)를 결락시킴과 아울러, 측판부(12b, 12b)를 결락시킨 부분의 배판부(12a)의 양측도 깎아서 가늘게 함으로써 측판부(12b, 12b)가 존재하는 제 2 장척 부재(12)에 있어서의 다른 개소 및 제 1 장척 부재(11)보다 약체화시켜서 신축하기 쉽게 구성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신축부(12a3)는 제 2 장척 부재(12)의 선단부(12d)로부터 35mm 떨어진 지점으로부터 측판부(12b, 12b)를 400mm 정도 결락시키고, 400mm의 길이로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측판부(12b, 12b)를 결락시킨 부분의 배판부(12a)의 양측도 깎아서 도 4(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약 22m의 폭으로 해서 구성되어 있다. 즉, 신축부(12a3)는 배판부(12a)의 일부임과 아울러 배판부(12a)의 폭보다 좁게 해서 형성되어 있으며, 신축부(12a3)의 양측은 그 길이 방향으로 10mm 정도의 길이에 거쳐서 배판부(12a)의 폭까지 넓혀지도록 경사져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배판부(12a)는 신축부(12a3)보다 기단부(12c)측이고, 711.58(687.69+23.89)mm 정도의 길이를 갖는 장척 배판부(12a1)와, 신축부(12a3)보다 선단부(12d)측이고, 35mm 정도의 길이를 갖는 단척 배판부(12a2)로 구성되는 것으로 한다.
마찬가지로, 배판부(12a) 양측의 한 쌍의 측판부(12b, 12b)도, 각각 신축부(12a3)보다 기단부(12c)측에서 711.58(687.69+23.89)mm 정도의 길이를 갖는 장척 측판부(12b1)와, 신축부(12a3)보다 선단부(12d)측이고, 35mm 정도의 길이를 갖는 단척 측판부(12b2)로 구성되는 것으로 된다.
(제 3 장척 부재(13))
제 3 장척 부재(13)는 도 1이나 도 2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면이 직사각형 형상인 각진 관 형상의 부재이고, 신축부(12a3)를 덮는 길이를 갖고, 제 1 장척 부재(11)의 배판(11a)과의 사이에서 신축부(12a3)를 끼우도록 제 1 장척 부재(11) 및 제 2 장척 부재(12)의 외측에 설치됨으로써, 도 5(a)~(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판부(13a) 및 저판부(13c)와, 배판부(13a) 및 저판부(13c)의 양측을 연결하는 한 쌍의 측판부(13b, 13b)로 구성되어 있다.
제 3 장척 부재(11)도, 제 1 장척 부재(11) 및 제 2 장척 부재(12)와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두께 3.2mm의 두께의 각진 관을 사용한다. 제 3 장척 부재(13)의 길이 방향의 길이는 700mm, 단변 방향의 길이는 50mm이다.
(제 1 고정부(14))
제 1 고정부(14)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장척 부재(11)의 기단부(11c)에 용접 등에 의해 접합되어서, 본 실시형태의 경우, 기둥(2)에 나사나 못 등의 고정구 등에 의해 고정되는 부재이며,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두께 6mm이고, 단변이 80mm, 장변이 100mm인 강판으로 구성되어 있고, 직경 6mm의 고정구 삽통 구멍(14a)이 10개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6(a)에 있어서 파선(점선)으로 나타내는 부분은 제 1 장척 부재(11)의 기단부(11a)측이 용접 등에 의해 접합되는 개소를 나타내고 있다.
(제 2 고정부(15))
제 2 고정부(15)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 2 장척 부재(12)의 기단부(12c)에 용접 등에 의해 접합시키고, 본 실시형태의 경우, 토대(3) 또는 보(4)에 나사나 못 등의 고정구 등에 의해 고정되는 부재이고, 도 1 고정부(14)와 마찬가지로, 두께 6mm이고, 단변이 80mm, 장변이 100mm인 강판으로 구성되고 있고, 제 2 고정부(15)의 경우, 직경 6mm의 고정구 삽통 구멍(15a)이 11개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7(a)에 있어서 파선(점선)으로 나타내는 부분은 제 2 장척 부재(12)의 기단부(12c)측이 용접 등에 의해 접합되는 개소를 나타내고 있다.
제 1 고정부(14)와 제 2 고정부(15)는 각각 도 2(a), (b) 등으로 나타내도록 28.7도로 커팅된 제 1 장척 부재(11)의 기단부(11c)와, 61.3도로 커팅된 제 2 장척 부재(12)의 기단부(2c)에 접합되기 때문에 정면으로 볼 때에 90도의 각도를 이루는 것으로 된다.
(제 1 장척 부재(11), 제 2 장척 부재(12) 및 제 3 장척 부재(13)의 접합)
이어서, 제 1 장척 부재(11), 제 2 장척 부재(12) 및 제 3 장척 부재(13)의 접합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제 1 장척 부재(11), 제 2 장척 부재(12) 및 제 3 장척 부재(13)의 접합에 제 1 고정부(14)와 제 2 고정부(15)는 직접 관계가 있으므로, 제 1 고정부(14) 및 제 2 고정부(15)의 도시를 생략해서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제 1 장척 부재(11), 제 2 장척 부재(12) 및 제 3 장척 부재(13)는 우선 도 8(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장척 부재(12)의 신축부(12a3)가 제 1 장척 부재(11)의 배판부(11a)에 겹치도록 제 2 장척 부재(12)를 제 1 장척 부재(11)에 씌우고, 그 후 도 8(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장척 부재(12)의 신축부(12a3)가 숨겨지도록 제 3 장척 부재(13)를 씌운다.
도 9(a)~(c)는 각각 제 1 장척 부재(11)에 제 2 장척 부재(12)를 씌운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정면도, 저면도, 도 10(a), (b)는 각각 도 9(b)에 있어서의 C-C선 확대 단면도, D-D선 확대 단면도이다.
도 9(a)~(c)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제 2 장척 부재(12)는 적어도 신축부(12a3) 모두가 제 1 장척 부재(11)의 배판부(11a)에 겹치도록 제 1 장척 부재(11) 위에 씌우고 있다. 또한, 도 10(a)으로부터도 명확한 바와 같이 신축부(23)는 그 단수 방향의 길이인 폭이 제 1 장척 부재(11)의 배판부(11a)의 단수 방향의 길이인 폭보다 짧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신축부(12a3) 이외의 예를 들면, 도(b)에 있어서의 D-D선 부분에서는, 도 1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장척 부재(11)의 배판부(11a) 및 측판부(11b, 11b)의 외측을 제 2 장척 부재(12)의 장척 배판부(12a1) 및 장척 측판부(12b1, 12b1)가 둘러싸도록 설치된다. 또한, 제 2 장척 부재(12)의 단척 배판부(12a2) 및 단척 측판부(12b2, 12b2)도 마찬가지로 제 1 장척 부재(11)의 배판부(11a) 및 측판부(11b, 11b) 외측을 둘러싸도록 설치된다.
도 11(a)~(c)은 각각 본 발명에 의한 실시형태의 목조 건물용 제진 댐퍼 장치(1)를 구성하는 제 1 장척 부재(11)에 제 2 장척 부재(12)를 씌우고, 또한 제 3 장척 부재(13)를 씌운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정면도, 저면도이며, 도 12(a), (b)는 각각 도 11(b)에 있어서의 E-E선 확대 단면도, F-F선 확대 단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장척 부재(11)의 위로부터 제 2 장척 부재(2)를 씌우도록 부착되고, 또한 그 제 2 장척 부재(12)의 위로부터 제 3 장척 부재(13)를 씌우도록 부착되고, 그 후 도 2(a),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3 장척 부재(13)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인 A, B의 2개소에서 용접해서 접합한다.
도 12(a), (b)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제 1 장척 부재(11), 제 2 장척 부재(12) 및 제 3 장척 부재(13)는 상하 방향의 겹침 상태는 거의 제 1 장척 부재(11), 제 2 장척 부재(12) 및 제 3 장척 부재(13) 사이에 간극이 생기지 않도록 설치하고 있으며, 도 11(b)에 있어서의 E-E선 부분에서는 제 2 장척 부재(12)의 신축부(12a3)는 제 1 장척 부재(11)의 배판부(11a)와 제 3 장척 부재(13)의 배판부(13a)에 끼워져 있음과 아울러, 제 1 장척 부재(11)의 측판부(11b, 11b) 하단부는 제 3 장척 부재(3)의 저판부(13c) 상면(내측면)에 접촉 또는 근접해 있다. 또한, 도 11(b)에 있어서의 F-F선 부분에서는 제 2 장척 부재(12)의 장척 배판부(12a1)는 제 1 장척 부재(11)의 배판부(11a)와 제 3 장척 부재(13)의 배판부(13a)에 끼워져 있음과 아울러, 제 1 장척 부재(11)의 측판부(11b, 11b) 하단부 및 제 2 장척 부재(12)의 장척 측판부(12b1, 12b1) 하단부는 제 3 장척 부재(13)의 저판부(13c) 상면(내측면)에 접촉 또는 근접해 있다.
이것에 대해, 제 1 장척 부재(11), 제 2 장척 부재(12) 및 제 3 장척 부재(13)의 횡방향의 겹침 상태는 도 11(b)에 있어서의 E-E선 부분에서는 제 2 장척 부재(12)는 측판부(12b, 12b)가 없기 때문에 큰 간극이 생기지만, 도 11(b)에 있어서의 F-F선 부분의 제 2 장척 부재(12)의 장척 측판부(12b1, 12b1)가 있는 개소라도, 제 1 장척 부재(11)의 측판부(11b, 11b)와 제 3 장척 부재(13)의 측판부(13b, 13b) 사이에 제 2 장척 부재(12)는 측판부(12b, 12b)의 두께 이상의 간극이 생기도록 하고 있다.
도 13(a), (b)는 각각 도 2(a)에 있어서의 A 부분의 용접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 도 2(c)에 있어서의 B 부분의 용접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2(a)에 있어서의 A 부분에 있어서 제 1 장척 부재(11)~제 3 장척 부재(13)의 배판부(11a~13a)측에서는 도 1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장척 부재(11)의 배판부(11a) 상면에 대해 제 2 장척 부재(12)의 배판부(12a) 선단부 및 제 3 장척 부재(13)의 배판부(13a) 선단부가 가려지도록 우육 용접 등에 의해 접합한다. 도 13(a)에 있어서의 16a가 그 용접부이다.
또한, 도 2(a)에 있어서의 A 부분에 있어서 제 1 장척 부재(11)~제 3 장척 부재(3)의 배판부(11a~13a)측이란 반대측이 되는 제 1 장척 부재(11)의 측판부(1 b, 11b) 하단부와, 제 2 장척 부재(12)의 측판부(12b, 12b) 하단부와, 제 3 장척 부재(13)의 저판부(13c)도, 각각 도 1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육 용접 등에 의해 용접해서 접합한다. 도 13(a)에 있어서의 16b, 16b가 그 용접부이다.
즉, 도 2(a)에 있어서의 A 부분에서는 제 1 장척 부재(11)~제 3 장척 부재(13)의 상하로 제 1 장척 부재(11)~제 3 장척 부재(13)의 3개의 부재를 함께 접합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도 13(a)에 나타내는 용접부(16b, 16b)는 생략할 수 있다.
한편, 도 2(c)에 있어서의 B 부분에서는 도 1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장척 부재(11)의 측판부(11b, 11b) 하단부와 제 3 장척 부재(13)의 저판부(3) 사이에서만, 예를 들면 점부 용접 등에 의해 스폿적으로 용접을 행한다. 도 13(b)에 있어서의 16c, 16c가 그 용접부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도 2(c)에 있어서의 B 부분에 있어서의 제 1 장척 부재(11)와 제 3 장척 부재(11) 사이의 용접은 생략할 수 있다.
즉, 도 2(c)에 있어서의 B 부분에서는 제 1 장척 부재(11)와 제 3 장척 부재(3) 사이에서만 접촉하고, 신축부(12a3)를 갖는 제 2 장척 부재(12)는 제 1 장척 부재(11) 및 제 3 장척 부재(13)에 용접되지 않으므로, 그 길이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도 2(a)에 있어서의 부분에서는 제 1 장척 부재(11)~제 3 장척 부재(13) 모두가 접합되는 한편, 도 2(c)에 있어서의 부분에서는 제 1 장척 부재(11)와 제 3 장척 부재만이 접합되고, 제 2 장척 부재(12)는 접합되지 않기 때문에, 도 1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장척 부재(11)의 기단부(11c)측의 제 1 고정부(14)와 제 2 장척 부재(12)의 기단부(12c)측의 제 2 고정부(15)를 각각 기둥(2)이나 토대(3) 또는 보(4) 등의 목재에 고정하면, 제 1 장척 부재(11) 및 제 2 장척 부재(12)의 쌍방에서 브레이스재(심재)를 구성하게 되므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 1 고정부(14)와 제 2 고정부(15)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거나 좁아지면, 주로 제 2 장척 부재(12)의 신축부(12a3)가 신축하게 된다.
또한, 제 3 장척 부재(3)는 그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 있어서 모두 제 1 장척 부재(11)와 접합되므로, 기둥(2)이나 토대(3), 보(4) 등을 통해 작은 진동 등이 목조 건물용 제진 댐퍼 장치(1)에 전달된 경우라도, 제 3 장척 부재(13)가 단독으로 흔들려서 다른 제 1 장척 부재(11)나 제 2 장척 부재(12)에 닿아서 충돌음을 발생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실시형태의 목조 건물용 제진 댐퍼 장치(1)의 기능>
이어서,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실시형태의 목조 건물용 제진 댐퍼 장치(1)의 기능 대해서 설명한다.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개의 기둥(2)과 토대(3) 및 보(4)에 의해 둘러싸인 벽이 되는 공간에 2세트의 목조 건물용 제진 댐퍼 장치(1)를 각각 부착하고, 지진의 가로 흔들림 등에 의해 도 14에 있어서의 화살표(α) 방향으로 전단력이 작용한 경우, 상측의 목조 건물용 제진 댐퍼 장치(1)에서는 제 1 고정부(14)와 제 2 고정부(15) 사이의 간격이 좁아져서 압축력이 작용하게 되므로, 제 2 장척 부재(12)의 신축부(12a3)는 수축해서 그 벽에 작용하는 외력을 흡수한다.
이것에 대해, 하측의 목조 건물용 제진 댐퍼 장치(1)에는 도 14에 있어서의 화살표(α) 방향으로 전단력이 작용한 경우, 제 1 고정부(14)와 제 2 고정부(15) 사이의 간격이 넓어져서 인장력이 작용하게 되므로, 제 2 장척 부재(12)의 신축부(12a3)는 신장하고, 그 벽에 작용하는 외력을 흡수해서 벽의 파괴 등을 방지한다.
한편, 지진의 가로 흔들림 등에 의해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살표(β) 방향으로 전단력이 작용한 경우, 상측의 목조 건물용 제진 댐퍼 장치(1)에서는 제 1 고정부(14)와 제 2 고정부(15) 사이의 간격이 넓어져서 인장력이 작용하게 되므로, 제 2 장척 부재(12)의 신축부(12a3)는 신장해서, 이 벽에 작용하는 외력을 흡수하는 한편, 하측의 목조 건물용 제진 댐퍼 장치(1)에서는 제 1 고정부(14)와 제 2 고정부(1) 사이의 간격이 좁아져서 압축력이 작용하게 되므로, 제 2 장척 부재(12)의 신축부(12a3)는 수축되어 이 벽에 작용하는 외력을 흡수하여 벽의 파괴 등을 방지한다.
<본 발명에 의한 실시형태의 목조 건물용 제진 댐퍼 장치(1)의 정리>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실시형태의 목조 건물용 제진 댐퍼 장치(1)는 목조 건물의 종재 및 횡가재 중 어느 일방에 기단부(11c)가 고정되는 제 1 장척 부재(11)와, 제 1 장척 부재(11)의 기단부(11c)가 고정된 종재 또는 횡가재 중 타방에 기단부(12c)가 고정되는 한편, 선단부가 제 1 장척 부재(11)에 고정되어, 상기 선단부로부터 기단부(12c)를 향해서 제 1 장척 부재(11)와 겹치는 겹침 개소가 설치된 제 2 장척 부재(12)를 구비하고, 제 2 장척 부재(11)에 있어서의 제 1 장척 부재(11)의 겹침 개소에는 상기 제 2 장척 부재(12)에 있어서의 다른 개소보 약체화시켜서 신축하기 쉽게 구성한 신축부(12a3)를 설치하고 있다.
그 때문에, 본 발명에 의한 실시형태의 목조 건물용 제진 댐퍼 장치(1)에서는 제 1 장척 부재(11)의 기단부(11c)와 제 2 장척 부재(12)의 기단부(12c)를 각각 제 1 고정부(14)와 제 2 고정부(15)를 통해 종재와 횡가재에 고정해서 흔들림 등이 발생한 경우, 주로 제 2 장척 부재(12)의 신축부(12a3)가 신축되어 그 흔들림 등을 흡수한다. 그 결과, 고감쇠 고무 등을 설치한 제진 댐퍼 기구부가 불필요해져서 구조가 단순해지므로,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목조 건물용 제진 댐퍼 장치(1)에서는, 제 2 장척 부재(11)는 배판부(12a)와 상기 배판부(12a) 양측에 각각 측판부(12b, 12b)를 갖는 단면이 コ자 형상이며, 신축부(12a3)는 제 2 장척 부재(12)의 배판부(12a) 양측 각각의 측판부(12b, 12b)의 일부를 결락시켜서 약체화함으로써 설치하고 있다.
그 때문에, 제 2 장척 부재(12)에 신축부(12a3)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므로, 이 점에서도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실시형태의 목조 건물용 제진 댐퍼 장치(1)에서는, 제 2 장척 부재(12)는 제 1 장척 부재(11)의 외측에 설치되고, 또한 단면이 정사각형 형상인 관상 부재의 각진 관이며, 적어도 제 2 장척 부재(12)의 신축부(12a3)를 덮는 길이를 갖고, 제 1 장척 부재(11)의 배판부(11a) 사이에서 제 2 장척 부재(12)의 신축부(12a3)를 끼우도록 장척 부재(11) 및 제 2 장척 부재(12)의 외측에 제 3 장척 부재(13)를 설치하고 있다.
그 때문에, 본 발명에 의한 실시형태의 목조 건물용 제진 댐퍼 장치(1)에서는 제 2 장척 부재(12)의 신축부(12a3)는 제 1 장척 부재(11)의 배판부(11a)와 제 3 장척 부재(3)의 배판부(13a) 사이에서 끼워지고 있으므로, 신축부(12a3)의 면외 방향으로 절곡이나 휨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에 의한 실시형태의 목조 건물용 제진 댐퍼 장치(1)는 제 2 장척 부재(12)의 신축부(12a3)에 큰 압축력이 작용한 경우라도, 그 압축력을 확실하게 흡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실시형태의 목조 건물용 제진 댐퍼 장치(1)에서는 제 3 장척 부재(13)는 그 길이 방향의 양단부를 각각 도 13(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장척 부재(11)에 접합하고 있다.
그 때문에, 본 발명에 의한 실시형태의 목조 건물용 제진 댐퍼 장치(1)에서는 기둥(2)이나 토대(3), 보(4) 등을 통해 작은 진동 등이 목조 건물용 제진 댐퍼 장치(1)에 전달된 경우라도, 제 3 장척 부재(3)가 흔들려서 다른 제 1 장척 부재(11)나 제 2 장척 부재(12)에 닿는 등 해서 발생되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의 설명에서는 제 1 장척 부재(11)의 배판부(11a)와 겹쳐 있는 제 2 장척 부재(12)의 배판부(12a)에 있어서의 신축부(12a3) 양측의 측판부(12b, 12b)를 결락시킴과 아울러, 측판부(12b, 12b)를 결락시킨 부분의 배판부(12a)의 양측도 깎아서 가늘게 함으로써 제 2 장척 부재(12)에 신축부(12a3)를 형성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제 2 장척 부재(12)에 있어서의 제 1 장척 부재(12)의 겹침 개소에 제 2 장척 부재(12)에 있어서의 다른 개소보다 약체화시켜서 신축하기 쉽게 신축부를 형성할 수 있다면 충분하기 때문에, 예를 들면 배판측(12a)에 있어서의 신축부(12a3) 양측의 측판부(12b, 12b)를 모두 결락시키지 않고, 신축부(12a3) 양측에 측판부(12b, 12b)를 남기고 있어도 좋고, 또한 제 1 장척 부재(11)와 겹치는 제 2 장척 부재(12)의 배판부(12a)나 측판부(12b, 12b)에 구멍을 뚫는 등 해서, 다른 개소보다 약체화시켜서 신축하기 쉬운 신축부(12a3)를 설치하는 등 해도 물론 좋다. 또한, 신축부(12a3)의 길이나 형상에 따라, 소성 및 파단의 타이밍 조정이 가능해지고, 폭·단면 두께에 의해 소성 하중이 조정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의 설명에서는 제 1 고정부(14)와 제 2 고정부(15)를 각각 제 1 장척 부재(11)와 제 2 장척 부재(12)와는 다른 부재로 구성하고, 각각의 기단부(11c, 12c)측에 접합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에서는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제 1 장척 부재(11) 및 제 2 장척 부재(12) 각각의 기단부(11c, 12c)측을 절단이나 굽히는 등의 가공을 실시해서 제 1 고정부(14) 및 제 2 고정부(15)를 설치하도록 해도 물론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의 설명에서는 제 1 장척 부재(11)의 기단부(11c)측은 제 1 고정부(14)를 통해서 기둥(2)에 고정하는 한편, 제 2 장척 부재(12)의 기단부(12c)측은 제 2 고정부(15)를 통해서 토대(3) 또는 보(4)에 고정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에서는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제 1 장척 부재(11)의 기단부(11c)측은 제 1 고정부(14)를 통해서 토대(3) 또는 보(4)에 고정하는 한편, 제 2 장척 부재(12)의 기단부(12c)측은 제 2 고정부(15)를 통해서 기둥(2)에 고정하도록 해도 물론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의 설명에서는, 도(a)에 있어서의 A 부분에서는 도 1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장척 부재(11)~제 3 장척 부재(13)의 모두를 용접하는 한편, 도 2(c)에 있어서의 B 부분에서는 도 1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장척 부재(11)와 제 3 장척 부재(13)만 용접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에서는 도 2(c)에 있어서의 B 부분의 제 1 장척 부재(11)와 제 3 장척 부재(13)의 용접은 생략해도 좋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도 13(a)에 나타내는 용접부(16b, 16b)도 생략할 수 있다.
1 : 목조 건물용 제진 댐퍼 장치 11 : 제 1 장척 부재
11a : 배판부 11b : 측판부
11c : 기단부 11d : 선단부
12 : 제 2 장척 부재 12a : 배판부
12a1 : 장척 배판부 12a2 : 단척 배판부
12b : 측판부 12b1 : 장척 측판부
12b2 : 단척 측판부 12c : 기단부
12d : 선단부 12a3 : 신축부
13 : 제 3 장척 부재 13a : 배판부
13b : 측판부 13c : 저판부
14 : 제 1 고정부 14a : 고정구 삽통 구멍
15 : 제 2 고정부 15a : 고정구 삽통 구멍
16a~16c : 용접부 2 : 기둥(종재)
3 : 토대(횡가재) 4 : 보(횡가재)

Claims (5)

  1. 목조 건물의 종재 또는 횡가재 중 어느 일방에 기단부측이 제 1 고정부를 통해 고정되는 제 1 장척 부재와,
    상기 제 1 고정부가 고정된 상기 종재 또는 횡가재 중 타방에 기단부측이 제 2 고정부를 통해 고정되는 한편, 선단부측이 상기 제 1 장척 부재의 선단부보다 기단부측에 접합되어, 상기 제 1 장척 부재와 겹치는 겹침 개소가 형성된 제 2 장척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장척 부재 있어서의 상기 제 1 장척 부재와의 겹침 개소에는, 상기 제 2 장척 부재에 있어서의 다른 개소보다 약체화시킴으로써 신축되기 쉽게 구성된 신축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 2 장척 부재는 배판부와 상기 배판부 양측에 각각 측판부를 갖는 단면이 コ자 형상이며,
    상기 신축부는 상기 제 2 장척 부재의 상기 배판부 양측의 측판부의 일부를 결락시켜서 약체화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조 건물용 제진 댐퍼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장척 부재는 배판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장척 부재는 상기 제 1 장척 부재의 외측에 설치되고,
    관 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제 1 장척 부재의 배판부와의 사이에서 상기 신축부를 끼우도록 상기 제 1 장척 부재 및 상기 제 2 장척 부재의 외측에 제 3 장척 부재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조 건물용 제진 댐퍼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장척 부재는 그 길이 방향의 적어도 일단에 있어서 상기 제 1 장척 부재에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조 건물용 제진 댐퍼 장치.
  4. 제 1 항에 기재된 목조 건물용 제진 댐퍼 장치를 이용한 목조 건물.
  5. 삭제
KR1020210005051A 2020-06-23 2021-01-14 목조 건물용 제진 댐퍼 장치, 및 그 목조 건물용 제진 댐퍼 장치를 사용한 목조 건물 KR1024574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107395 2020-06-23
JP2020107395A JP7450468B2 (ja) 2020-06-23 2020-06-23 木造建物用制震ダンパー装置、およびその木造建物用制震ダンパー装置を用いた木造建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8300A KR20210158300A (ko) 2021-12-30
KR102457432B1 true KR102457432B1 (ko) 2022-10-21

Family

ID=78962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5051A KR102457432B1 (ko) 2020-06-23 2021-01-14 목조 건물용 제진 댐퍼 장치, 및 그 목조 건물용 제진 댐퍼 장치를 사용한 목조 건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7450468B2 (ko)
KR (1) KR102457432B1 (ko)
CN (1) CN113833142B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25272A (ja) * 2013-07-25 2015-02-05 Jfeスチール株式会社 制振耐震複合部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建物
JP2015152166A (ja) * 2014-02-19 2015-08-24 千博産業株式会社 構造物の制振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62328B2 (ja) * 2003-07-22 2009-11-11 株式会社竹中工務店 超塑性合金による木造住宅用制震ダンパー
JP2007224575A (ja) 2006-02-23 2007-09-06 Yahagi Construction Co Ltd 三重管制震ブレース
CN203640078U (zh) * 2013-12-16 2014-06-11 大云股份有限公司 震动阻尼器
JP6624835B2 (ja) 2015-08-03 2019-12-25 大和ハウス工業株式会社 制震ダンパー用金物、及びその制震ダンパー用金物を使用した壁構造
CN107476459B (zh) * 2017-07-25 2019-03-08 山东大学 含有一字型耗能元件的屈曲约束支撑、建筑物及组装方法
CN209854964U (zh) * 2019-04-10 2019-12-27 河南省城乡规划设计研究总院有限公司 一种具备双阶屈服特性的承载-消能结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25272A (ja) * 2013-07-25 2015-02-05 Jfeスチール株式会社 制振耐震複合部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建物
JP2015152166A (ja) * 2014-02-19 2015-08-24 千博産業株式会社 構造物の制振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833142B (zh) 2023-04-07
KR20210158300A (ko) 2021-12-30
JP7450468B2 (ja) 2024-03-15
JP2022003189A (ja) 2022-01-11
CN113833142A (zh) 2021-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54913B2 (ja) 弾塑性履歴型ダンパ
JP4729134B1 (ja) 制震用金属板及び建築構造物
JP6941467B2 (ja) ダンパー、及びダンパーの製作方法
KR102457432B1 (ko) 목조 건물용 제진 댐퍼 장치, 및 그 목조 건물용 제진 댐퍼 장치를 사용한 목조 건물
JP2005048393A (ja) トグル制振装置の取付方法
JP5132503B2 (ja) 耐震構造、及び建物
JP4546619B2 (ja) 柱脚部制震構造
JP6635607B2 (ja) エネルギー吸収機構及び木造建物
KR20170101034A (ko) 힌지형 가새 구조물을 이용한 개구부 보강구조 및 이를 이용한 개구부 보강방법
JP4781058B2 (ja) 建物の制震構造
JP4049120B2 (ja) 建物の制震構造
JP6244053B1 (ja) 制振装置
JP5376933B2 (ja) 管状支柱
JP2020090812A (ja) 制振構造
JP6838877B2 (ja) 座屈拘束ブレースダンパー
JP6624835B2 (ja) 制震ダンパー用金物、及びその制震ダンパー用金物を使用した壁構造
JP6074773B2 (ja) 木造建築物の軸組補強構造
JP2019065532A (ja) 耐軸力部材
JP7487649B2 (ja) 制振システム及び制振方法
JP7243037B2 (ja) 木質構造
JP7276568B2 (ja) 木質構造
JP4787538B2 (ja) 制振構造
JP6177469B1 (ja) 制振装置
JP6185680B1 (ja) 制振装置及びその施工方法
JP2022182633A (ja) 制震装置の製造方法及び制震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