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5299B1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5299B1
KR102455299B1 KR1020180027042A KR20180027042A KR102455299B1 KR 102455299 B1 KR102455299 B1 KR 102455299B1 KR 1020180027042 A KR1020180027042 A KR 1020180027042A KR 20180027042 A KR20180027042 A KR 20180027042A KR 102455299 B1 KR102455299 B1 KR 1024552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frame
display module
dispose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7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6080A (ko
Inventor
허진하
김기태
김도현
백진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270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5299B1/ko
Priority to EP19150963.7A priority patent/EP3537415B1/en
Priority to CN201910119469.XA priority patent/CN110246423B/zh
Priority to US16/296,067 priority patent/US10626961B2/en
Publication of KR201901060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60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52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52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geometrical disposition of the individual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geometrical disposition of the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6Video wall, i.e. stackable semiconductor matrix display modul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6Combining plural substrates to produce large-area displays, e.g. tiled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46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display composed of modules, e.g. video wal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21Side-by-side or stacked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개시한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후방에 위치하는 프레임;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프레임 사이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코너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상기 프레임에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 기어; 그리고, 상기 제1 기어에 맞물리고, 상기 프레임에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은 상기 제1 기어와 접촉하고, 상기 제1 기어는 상기 제2 기어의 회전에 의해 상기 프레임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디바이스{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멀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란, 기업들의 마케팅, 광고, 트레이닝 효과, 및 고객 경험을 유도할 수 있는 커뮤티케이션 툴(Communicaiton tool)로 공항, 호텔, 병원, 지하철역 등의 공공 장소에서 방송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특정 정보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이다.
디지털 사이니지는 옥외의 일정한 장소 또는 가로 시설물(street furniture)등의 장치에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치하여 다양한 콘텐츠와 상업 광고 등을 표출하는 매체로서 현재 아파트 엘리베이터, 지하철 역 내, 지하철 내, 버스 내, 대학교, 은행, 편의점, 할인점, 쇼핑몰 등 대중이 움직이는 모든 동선 상에 설치될 수 있다.
디지털 사이니지는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을 이용하여 단일 화면을 구성할 때, 상하방향 또는 좌우방향으로 이웃하는 디스플레이 패널들 간의 단차로 인해 화면의 왜곡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이웃하여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모듈 간의 높낮이차 또는 고저차를 조정할 수 있는 멀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후방에 위치하는 프레임;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프레임 사이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코너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상기 프레임에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 기어; 그리고, 상기 제1 기어에 맞물리고, 상기 프레임에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은 상기 제1 기어와 접촉하고, 상기 제1 기어는 상기 제2 기어의 회전에 의해 상기 프레임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기어의 두께는 상기 제2 기어의 두께 보다 클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기어의 직경은 상기 제2 기어의 직경 보다 클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기어를 상기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회전축;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내에 위치하는 자성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은,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2 기어를 마주하며 형성되는 슬릿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슬릿은, 상기 제2 기어의 곡률에 대응하는 곡률을 지니고, 상기 제2 기어는, 상기 제2 기어의 일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슬릿에 삽입되는 스토퍼를 구비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2 기어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제2 기어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2 기어에 장착되는 복수개의 자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자성체는, 상기 제2 기어의 회전중심에 대하여 서클을 형성하며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복수개의 자성체는, 서로 다른 극성을 지니는 자성체들이 서로 교번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복수개의 자성체는, 같은 극성을 지니는 자성체들이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기어와 상기 제2 기어의 기어비는 1 : 4 ~ 5일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기어는 상기 프레임에서 스크류에 의해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이웃하여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모듈 간의 높낮이차 또는 고저차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이웃하여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모듈 간의 높낮이차 또는 고저차를 조정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의 왜곡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9 내지 도 12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3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9 내지 도 2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멀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23 내지 도 2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27 내지 도 34는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35 내지 42는 본 발명의 제7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43 및 44는 본 발명의 제8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45는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46 및 47은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 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해 LED 패널(Light Emitting Diode, LED)을 일례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LED 패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유기 표시 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전계 방출 표시 패널(Field Emission Display, FED), 액정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LCD)인 것도 가능하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멀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는 화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모듈(100), 디스플레이 모듈(100)을 지지하는 프레임(200) 및 디스플레이 모듈(100)과 프레임(200) 사이에 장착되어, 이들의 간격을 조정하는 변위조절유닛(300)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디스플레이 패널(101)과 디스플레이 패널(101)의 후방에 위치하는 모듈 커버(11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1)은 복수 개의 픽셀들(R,G,B)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픽셀들(R,G,B)은 다수의 데이터라인들과 다수의 게이트라인들이 교차되는 영역마다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픽셀들(R,G,B)은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 또는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픽셀들(R,G,B)은 적색(Red, 이하 'R') 서브 픽셀, 녹색(Green, 'G') 서브 픽셀 및 청색(Blue, 'B') 서브 픽셀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픽셀들(R,G,B)은 화이트(White, 이하 'W') 서브 픽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1)은 화상을 표시하는 쪽을 전방 또는 전면이라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1)은 화상을 표시할 때, 화상을 관측할 수 없는 쪽을 후방 또는 후면이라 할 수 있다. 전방 또는 전면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01)을 바라 볼 때, 위쪽을 상측 또는 상면이라 할 수 있다. 동일하게, 아래쪽을 하측 또는 하면이라 할 수 있다. 동일하게, 오른쪽을 우측 또는 우면이라 할 수 있고, 왼쪽을 좌측 또는 좌면이라 할 수 있다.
모듈 커버(110)는 디스플레이 패널(101)의 후방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01)의 후면을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제1 디스플레이 모듈(100a) 내지 제6 디스플레이 모듈(100f)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모듈(100a) 내지 제6 디스플레이 모듈(100f)은 상하방향 또는 좌우방향으로 이웃하여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디스플레이 모듈(100a)은 프레임(200)의 상단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모듈(100b)은 제1 디스플레이 모듈(100a)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디스플레이 모듈(100c)은 제2 디스플레이 모듈(100b)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4 디스플레이 모듈(100d)은 제1 디스플레이 모듈(100a)의 좌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5 디스플레이 모듈(100e)은 제4 디스플레이 모듈(100d)의 하측과 제2 디스플레이 모듈(100b)의 좌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6 디스플레이 모듈(100f)은 제5 디스플레이 모듈(100e)의 하측과 제3 디스플레이 모듈(100c)의 좌측에 배치될 수 있다.
프레임(200)은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프레임(200)의 전면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과 마주할 수 있다. 프레임(200)은 디스플레이 모듈(100)과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두께방향 또는 전후방향으로 대응되어 배치될 수 있다. 프레임(200)은 중앙영역이 오픈된 액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모듈(100)이 장착되도록 프레임(200)은 상하방향과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200)의 상측의 길이는 제1 디스플레이 모듈(100a)의 상측과 제4 디스플레이 모듈(100d)의 상측을 합한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그리고, 프레임(200)의 우측의 길이는 제1 디스플레이 모듈(100a)의 우측, 제2 디스플레이 모듈(100b)의 우측 및 제3 디스플레이 모듈(100c)의 우측을 합한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프레임(200)은 설치되는 건물 또는 벽 등의 외부 환경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00)보다 길거나 짧게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200)은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두께보다 더 두꺼운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는 하나의 프레임(200)으로 형성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프레임(200)은 제1 프레임(200a) 내지 제6 프레임(200f)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프레임(200a) 내지 제6 프레임(200f)은 상술한 제1 디스플레이 모듈(100a) 내지 제6 디스플레이 모듈(100f)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적층 또는 조립될 수 있다. 이에 제n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제n 프레임(200)에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n은 자연수 일 수 있다.
변위조절유닛(300)은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모듈(100)과 프레임(2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변위조절유닛(300)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두께방향으로 프레임(200)에 장착될 수 있다. 프레임(200)의 전면에 장착된 변위조절유닛(300)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에 부착될 수 있다. 변위조절유닛(300)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과 프레임(200)의 전면 간의 이격거리를 조정할 수 있다. 변위조절유닛(300)은 복수 개일 수 있다. 변위조절유닛(300)은 프레임(200)의 코너 각각에 배치될 수 있다. 변위조절유닛(300)은 디스플레이 모듈(100)과 프레임(200) 각 코너마다 배치되어, 이들의 이격거리를 조정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복수 개의 변위조절유닛(300)은 제1 프레임(200)에 장착되고, 제1 디스플레이 모듈(100a)에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 개의 변위조절유닛(300)은 제4 프레임(200)에 장착되고, 제4 디스플레이 모듈(100d)에 부착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모듈(100a)과 제1 프레임(200a) 간의 이격거리(D1)는 우측 이격거리(D1)일 수 있고, 제4 디스플레이 모듈(100d)과 제4 프레임(200) 간의 이격거리(D2)는 좌측 이격거리(D2)일 수 있다.
변위조절유닛(300)은 우측 이격거리(D1) 또는 좌측 이격거리(D1) 중 하나를 조정하거나, 우측 이격거리(D1)와 좌측 이격거리(D1)를 모두 조정하여 이들의 값을 동일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변위조절유닛(300)은 이웃하는 제1 디스플레이 모듈(100a)과 제4 디스플레이 모듈(100d) 간의 높낮이차 또는 고저차를 줄일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프레임(200)의 코너 중 하나를 확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제1 프레임(200)의 우상측 코너를 확대한 것이다. 이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변위조절유닛(300)은 헤드부(320a)와 바디부(320b)를 포함할 수 있다.
헤드부(320a)는 소정의 지름과 소정의 두께를 가진 원기둥으로 형성될 수 있다. 헤드부(320a)는 조정골을 포함할 수 있다. 조정골은 헤드부(320a)의 중심 라인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조정골은 헤드부(320a)의 외곽면 또는 둘레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헤드부(320a)의 상면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과 마주할 수 있다.
바디부(320b)는 헤드부(320a)의 하면 또는 하부면에 배치될 수 있다. 바디부(320b)는 헤드부(320a)의 하면으로부터 두께방향 또는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바디부(320b)는 헤드부(320a)의 지름보다 작은 지름을 가질 수 있다. 바디부(320b)는 나사골을 포함할 수 있다. 일정한 피치를 가진 나사골은 바디부(320b)의 둘레면에 형성될 수 있다.
부착부(310)는 변위조절유닛(300)의 상면 또는 상부면에 배치될 수 있다. 부착부(310)는 헤드부(320a)의 상면에 배치되고,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에 부착되거나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착부(310)는 자성이 있는 물질 또는 양면 테이프 등일 수 있다. 부착부(310)는 부착유닛(310)이라 칭할 수 있다.
프레임(200)은 복수 개의 장착홀(201)을 포함할 수 있다. 장착홀(201)은 프레임(200)의 전면에 복수 개에 배치될 수 있다. 장착홀(201)은 프레임(200)의 코너 각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배치될 수 있다. 장착홀(201)은 프레임(200)의 전면에서 프레임(200)의 후면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변위조절유닛(300)은 장착홀(201)에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다. 장착홀(201)은 헤드부(320a)의 지름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상부홀(201a)과 바디부(320b)의 지름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하부홀(201b)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변위조절유닛(300)은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제2 방향은 제1 방향과 반대방향일 수 있다. 제1 방향은 시계 방향이라 칭할 수 있고, 제2 방향은 반시계 방향이라 칭할 수 있다.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위조절유닛(300)은 제1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변위조절유닛(300)이 제1 방향으로 회전되면,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위조절유닛(300)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을 향해 장착홀(201)에서 돌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과 프레임(200)의 전면 사이의 이격거리는 제1 길이(d1)만큼 이격될 수 있다. 제1 길이(d1)는 제1 이격거리(d1)라 칭할 수 있다. 제1 이격거리(d1)는 점진적으로 길어질 수 있다.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위조절유닛(300)은 제2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변위조절유닛(300)이 제2 방향으로 회전되면,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위조절유닛(300)은 프레임(200)의 후방을 향해 장착홀(201)에 삽입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과 프레임(200)의 전면 사이의 이격거리는 제2 길이(d2)만큼 이격될 수 있다. 제2 길이(d2)는 제2 이격거리(d2)라 칭할 수 있다. 제2 이격거리(d2)는 점진적으로 짧아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변위조절유닛(300)이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회전동작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00)과 프레임(200) 사이의 이격거리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을 살펴보면,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디스플레이 패널(101) 그리고 디스플레이 패널(101)의 후방에 배치되는 모듈 커버(110)를 포함할 수 있다.
변위조절유닛(400)은 모듈 커버(110)에 장착될 수 있다. 변위조절유닛(400)은 헤드부(420a) 그리고 바디부(420b)를 포함할 수 있다.
부착부(410)는 변위조절유닛(400)의 상면 또는 상부면에 배치될 수 있다. 부착부(410)는 헤드부(420a)의 상면에 배치되고, 프레임(200)의 전면에 부착되거나 프레임(200)의 전면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착부(410)는 자성이 있는 물질 또는 양면 테이프 등일 수 있다.
장착부(430)는 모듈 커버(11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장착부(430)는 바디부(420b)의 지름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지름을 가질 수 있다. 장착부(430)는 나사골을 포함할 수 있다. 일정한 피치를 가진 나사골은 장착부(430)의 내부둘레면에 형성될 수 있다.
모듈 커버(110)는 복수 개의 커버홀(CH)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홀(CH)은 모듈 커버(110)를 관통할 수 있다. 커버홀(CH)은 장착부(430)와 대응되도록 모듈 커버(110)에 배치될 수 있다. 변위조절유닛(400)은 커버홀(CH)을 관통하여 장착부(430)에 삽입될 수 있다.
프레임(200)은 복수 개의 프레임홈(202)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홈(202)은 프레임(200)의 전면에 배치되고, 프레임(200)의 후방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변위조절유닛(400)의 헤드부(420a)는 프레임홈(202)에 삽입될 수 있다. 부착부(410)는 프레임홈(202)의 내부에 부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변위조절유닛(400)의 헤드부(420a)는 부착부(410)를 통해 프레임(200)에 형성되는 프레임홈(202)에 부착되고, 변위조절유닛(400)의 바디부(420b)는 모듈 커버(110)에 내장된 장착부(430)에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변위조절유닛(400)은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제2 방향은 제1 방향과 반대방향일 수 있다. 제1 방향은 시계 방향이라 칭할 수 있고, 제2 방향은 반시계 방향이라 칭할 수 있다.
도 1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위조절유닛(400)은 제1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변위조절유닛(400)이 제1 방향으로 회전되면, 도 1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위조절유닛(400)은 프레임(200)을 향해 장착부(430)에서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모듈 커버(110)와 프레임(200)의 전면 사이의 이격거리는 제3 길이(d3)만큼 이격될 수 있다. 제3 길이(d3)는 제3 이격거리(d3)라 칭할 수 있다. 제3 이격거리(d3)는 점진적으로 길어질 수 있다.
도 1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위조절유닛(400)은 제2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변위조절유닛(400)이 제2 방향으로 회전되면, 도 1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위조절유닛(400)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전방을 향해 장착부(430)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모듈 커버(110)와 프레임(200)의 전면 사이의 이격거리는 제4 길이(d4)만큼 이격될 수 있다. 제4 길이(d4)는 제4 이격거리(d4)라 칭할 수 있다. 제4 이격거리(d4)는 점진적으로 짧아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변위조절유닛(400)이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회전동작함에 따라, 모듈 커버(110)와 프레임(200) 사이의 이격거리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변위조절유닛(500)은 헤드부(520a)와 바디부(520b)를 포함할 수 있다.
부착부(510)는 변위조절유닛(500)의 상면 또는 상부면에 배치될 수 있다. 부착부(510)는 헤드부(520a)의 상면에 배치되고,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에 부착되거나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착부(510)는 자성이 있는 물질일 수 있다.
부착부(510)는 복수 개의 제1 자성부(510a)과 복수 개의 제2 자성부(51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자성부(510b)는 제1 자성부(510a)와 다른 극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자성부(510a)가 자석의 양극이면, 제2 자성부(510b)는 자석의 음극일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제1 자성부(510a)가 자석의 음극이면, 제2 자성부(510b)는 자석의 양극일 수 있다.
복수 개의 제1,2 자성부(510a,510b)는 헤드부(520a)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교호 또는 번갈아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제1 자성부(510a)는 상하방향과 좌우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2 자성부(510b)는 복수 개의 제1 자성부(510a)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조정부(55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전방에 위치 또는 배치될 수 있다. 조정부(550)는 자성 물질에 부착될 수 있는 금속 물질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조정부(550)와 변위조절유닛(5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조정부(550)는 변위조절유닛(500)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조정부(550)는 두께방향으로 변위조절유닛(500)와 중첩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조정부(550)의 단면적은 변위조절유닛(500)의 단면적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클 수 있다. 변위조절유닛(500)은 조정부(550)의 제어 하에 회전 동작할 수 있다.
조정부(550)는 손잡이(550a)를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550a)는 조정부(55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손잡이(550a)는 조정부(550)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정부(550)의 손잡이(550a)는 상하방향 또는 수직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1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정부(55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에 접하거나 마주할 수 있다. 조정부(550)의 손잡이(550a)는 6시 또는 12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1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위조절유닛(500)은 조정부(550)에 대응되어 복수 개의 제1 자성부(510a)는 3시, 6시, 9시 및 12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2 자성부(510b)는 복수 개의 제1 자성부(510a)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과 프레임(200) 간의 이격거리는 제5 길이(d5)만큼 이격될 수 있다. 제5 길이(d5)는 제5 이격거리(d5)라 칭할 수 있다.
조정부(550)는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제2 방향은 제1 방향과 반대방향일 수 있다. 제1 방향은 시계 방향이라 칭할 수 있고, 제2 방향은 반시계 방향이라 칭할 수 있다.
도 1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100)에 접하는 조정부(55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에 조정부(550)의 손잡이(550a)는 1시와 2시 사이 또는 7시와 8시 사이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1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정부(550)의 제어 하에, 변위조절유닛(500)은 회전될 수 있다. 변위조절유닛(500)은 조정부(550)가 회전된 만큼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복수 개의 제1 자성부(510a)는 1시와 2시 사이 또는 7시와 8시 사이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1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과 프레임(200) 간의 이격거리는 제6 길이(d6)만큼 이격될 수 있다. 제6 길이(d6)는 제6 이격거리(d6)라 칭할 수 있다. 제6 길이(d6)는 제5 길이(d5)보다 길 수 있다.
도 1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100)에 접하는 조정부(550)는 시계방향으로 계속해서 회전될 수 있다. 이에 조정부(550)의 손잡이(550a)는 3시 또는 9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1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정부(550)의 제어 하에, 변위조절유닛(500)은 계속해서 회전될 수 있다. 변위조절유닛(500)은 조정부(550)가 회전된 만큼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복수 개의 제1 자성부(510a)는 3시 또는 9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18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과 프레임(200) 간의 이격거리는 제7 길이(d7)만큼 이격될 수 있다. 제7 길이(d7)는 제7 이격거리(d7)라 칭할 수 있다. 제7 길이(d7)는 제6 길이(d6)보다 길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조정부(550)가 제1 방향으로 회전하면, 변위조절유닛(500)은 조정부(550)의 제어 하에 제1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과 프레임(200) 간의 이격거리는 점진적으로 길어질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조정부(550)는 제2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조정부(550)가 제2 방향으로 회전하면, 변위조절유닛(500)은 조정부(550)의 제어 하에 제2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과 프레임(200) 간의 이격거리는 점진적으로 짧아질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변위조절유닛(600)은 헤드부(620a), 바디부(620b) 그리고 조정바(630)를 포함할 수 있다.
조정바(630)는 헤드부(620a)의 일측에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정바(630)는 헤드부(620a)의 우측에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부착부(610)는 변위조절유닛(600)의 상면 또는 상부면에 배치될 수 있다. 부착부(610)는 헤드부(620a)와 조정바(630)의 상면에 배치되고,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에 부착되거나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착부(610)는 자성이 있는 물질일 수 있다.
부착부(610)는 복수 개의 제1 자성부(610a)과 복수 개의 제2 자성부(61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자성부(610b)는 제1 자성부(610a)와 다른 성질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자성부(610a)가 자석의 양극이면, 제2 자성부(610b)는 자석의 음극일 수 있다.
복수 개의 제1,2 자성부(610a,610b)는 헤드부(620a)의 상면과 조정바(630)의 상면에 서로 교호 또는 번갈아 배치될 수 있다.
조정부(65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전방에 위치 또는 배치될 수 있다. 조정부(650)는 자성 물질에 부착될 수 있는 금속 물질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조정부(650)와 변위조절유닛(6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조정부(650)는 변위조절유닛(600)의 형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0 내지 도 22을 참조하면, 조정부(650)는 변위조절유닛(600)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조정부(650)는 두께방향으로 변위조절유닛(600)와 중첩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조정부(650)의 단면적은 변위조절유닛(600)의 단면적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클 수 있다. 변위조절유닛(600)은 조정부(650)의 제어 하에 회전동작할 수 있다.
조정부(650)는 조정보조바(650a)를 포함할 수 있다. 조정보조바(650a)는 조정부(650)의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정보조바(650a)는 좌우방향 또는 수평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2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정부(65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에 접하거나 마주할 수 있다. 조정보조바(650a)는 3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2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위조절유닛(600)은 조정부(650)에 대응될 수 있다. 이에 조정바(630)는 3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20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과 프레임(200) 간의 이격거리는 제8 길이(d8)만큼 이격될 수 있다. 제8 길이(d8)는 제8 이격거리(d8)라 칭할 수 있다.
조정부(650)는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제2 방향은 제1 방향과 반대방향일 수 있다. 제1 방향은 시계 방향이라 칭할 수 있고, 제2 방향은 반시계 방향이라 칭할 수 있다.
도 2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100)에 접하는 조정부(65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에 조정보조바(650a)는 4시와 5시 사이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2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정부(650)의 제어 하에, 변위조절유닛(600)은 회전될 수 있다. 변위조절유닛(600)의 조정바(630)는 조정부(650)의 조정보조바(650a)가 회전된 만큼 회전될 수 있다. 이에 조정바(630)는 4시와 5시 사이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21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과 프레임(200) 간의 이격거리는 제9 길이(d9)만큼 이격될 수 있다. 제9 길이(d9)는 제9 이격거리(d9)라 칭할 수 있다. 제9 길이(d9)는 제8 길이(d8)보다 길 수 있다.
도 2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100)에 접하는 조정부(650)는 시계방향으로 계속해서 회전될 수 있다. 이에 조정보조바(650a)는 6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2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정부(650)의 제어 하에, 변위조절유닛(600)은 계속해서 회전될 수 있다. 변위조절유닛(600)의 조정바(630)는 조정부(650)의 조정보조바(650a)가 회전된 만큼 회전될 수 있다. 이에 조정바(630)는 6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2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과 프레임(200) 간의 이격거리는 제10 길이(d10)만큼 이격될 수 있다. 제10 길이(d10)는 제10 이격거리(d10)라 칭할 수 있다. 제10 길이(d10)는 제9 길이(d9)보다 길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조정부(650)가 제1 방향으로 회전하면, 변위조절유닛(600)은 조정부(650)의 제어 하에 제1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과 프레임(200) 간의 이격거리는 점진적으로 길어질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조정부(650)는 제2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조정부(650)가 제2 방향으로 회전하면, 변위조절유닛(600)은 조정부(650)의 제어 하에 제2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과 프레임(200) 간의 이격거리는 점진적으로 짧아질 수 있다.
도 23 내지 도 25를 참조하면, 멀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 도 1 참조)는 디스플레이 모듈(100), 프레임(200), 변위조절유닛(700), 체결부(750) 그리고 장착부(74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화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디스플레이 패널(101), 모듈 커버(110) 그리고 구동회로기판(105)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1)은 복수 개의 픽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모듈 커버(110)는 디스플레이 패널(101)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모듈 커버(110)는 소정의 내부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모듈 커버(110)는 가이드홈(111)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홈(111)은 모듈 커버(110)의 후면에 배치되고,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홈(111)은 모듈 커버(110)의 코너 주변에 위치될 수 있다. 가이드홈(111)은 경사진 내부면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회로기판(105)은 디스플레이 패널(101)의 후방 또는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구동회로기판(105)은 모듈 커버(110)의 내부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구동회로기판(105)은 디스플레이 패널(101)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프레임(200)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프레임(200)은 복수 개의 장착홀(205)을 포함할 수 있다. 장착홀(205)은 프레임(200)의 코너 각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배치될 수 있다. 장착홀(205)은 프레임(200)의 전면에서 프레임(200)의 후면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750)는 장착홀(205)에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다. 체결부(750)는 체결헤드부(750a) 그리고 체결바디부(750b)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헤드부(750a)는 소정의 지름과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체결헤드부(750a)는 원기둥형상일 수 있다.
체결바디부(750b)는 체결헤드부(750a)의 하부 또는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체결바디부(750b)는 체결헤드부(750a)의 하부에서 연장될 수 있다. 체결바디부(750b)는 체결헤드부(750a)의 지름보다 작은 지름을 가질 수 있다.
체결부(750)는 금속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장착부(740)는 모듈 커버(110)의 내부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장착부(740)는 프레임(200)의 코너에 배치되는 체결부(750)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장착부(740)는 체결부(750)와 두께방향 또는 전후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장착부(740)는 자성을 가지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장착부(740)는 이하 및 이하의 실시예들에서 자성체(740)라 칭할 수 있다.
장착부(740)와 체결부(750)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나, 이들 사이에 발생되는 자성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이에 디스플레이 모듈(110)은 프레임(200)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변위조절유닛(700)은 모듈 커버(110)와 프레임(2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변위조절유닛(700)은 모듈 커버(110)의 코너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변위조절유닛(700)은 모듈 커버(110)의 후면에 형성되는 가이드홈(111)에 삽입되어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동작할 수 있다.
변위조절유닛(700)은 이동부(710), 하우징부(730) 그리고 슬라이딩부(7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부(710)는 디스플레이 패널(101)의 후면에 마주하거나 접할 수 있다. 이동부(710)는 가이드홈(11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동부(710)는 소정의 면적과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부(710)는 직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이동부(710)는 자성이 있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부(730)는 이동부(71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부(730)는 모듈 커버(110)와 마주하는 이동부(710)의 면을 제외한 모든 면을 감쌀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이동부(710)는 하우징부(730)의 내부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
슬라이딩부(720)는 하우징부(730)에 체결 또는 결합되는 슬라이딩 바디(720a) 그리고, 슬라이딩 바디(720a)의 상측 또는 일측에서 연장되는 연장부(720b)를 포함할 수 있다. 연장부(720b)는 가이드홈(111)을 덮을 수 있는 상부면과 모듈 커버와 마주하는 하부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면은 가이드홈(111)을 전체적으로 덮을 수 있도록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하부면은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홈(111)의 내부면은 경사진 연장부(720b)의 하부면에 대응되도록 경사질 수 있다. 연장부(720b)의 두께는 슬라이딩 바디(720a)에서 멀어질수록 얇아질 수 있다. 연장부(720b)의 하부면은 슬라이딩 바디(720a)에서 멀어질수록 두께가 낮아지는 경사면일 수 있다. 연장부(720b)는 경사홀(SH)을 포함할 수 있다. 경사홀(SH)은 연장부(720b)를 관통할 수 있다. 연장부(720b)를 관통한 경사홀(SH)은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도 26을 참조하면, 조정부(76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조정부(76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에 접하거나 마주할 수 있다.
도 2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전면에 마주하는 조정부(760)는 변위조절유닛(700) 중 이동부(710)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과 프레임(200) 간의 이격거리는 제11 길이(d11)만큼 이격될 수 있다. 제11 길이(d11)는 제11 이격거리(d11)라 칭할 수 있다.
슬라이딩부(720b)의 일측은 체결부(740)와 장착부(75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슬라이딩부(720b)의 상부면은 가이드홈(111, 도 24 참조)의 내부에 배치거나, 모듈 커버(110)의 후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정부(76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조정부(76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상측을 향해 이동될 수 있다.
조정부(760)의 제어하에, 이동부(71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상측을 향해 이동 또는 조정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과 프레임(200) 간의 이격거리는 제12 길이(d12)만큼 이격될 수 있다. 제12 길이(d12)는 제12 이격거리(d12)라 칭할 수 있다. 제12 길이(d12)는 제11 길이(d11)보다 길 수 있다.
슬라이딩부(720b)의 일측은 디스플레이 모듈(100)과 프레임(20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경사홀(SH)의 일측은 체결부(740)와 장착부(75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이때 슬라이딩부(720b)의 상부면은 가이드홈(111, 도 24 참조)의 바깥에 배치거나, 모듈 커버(110)의 후면과 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슬라이딩부(720b)의 하부면은 경사진 가이드홈(111, 도 24 참조)의 내부면을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조정부(760)가 상하방향 중 윗방향 또는 상방향으로 이동하면, 변위조절유닛(700)은 조정부(760)에 대응되어 윗방향 또는 상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디스플레이 모듈(100)과 프레임(200) 간의 이격거리를 점진적으로 길어질 수 있다. 그리고, 변위조절유닛(700)은 모듈 커버(110)에서 돌출되어 위치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조정부(760)가 상하방향 중 아랫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이동하면, 변위조절유닛(700)은 조정부(760)의 제어하에 아랫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디스플레이 모듈(100)과 프레임(200) 간의 이격거리를 점진적으로 짧아질 수 있다. 그리고, 변위조절유닛(700)은 모듈 커버(110)에 삽입되어 위치될 수 있다.
도 27 내지 도 29를 참조하면, 멀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 도 1 참조)는 디스플레이 모듈(100), 프레임(200) 그리고 변위조절유닛(800)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화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프레임(200)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프레임(200)은 복수 개의 장착홀(206)을 포함할 수 있다. 장착홀(206)은 프레임(200)의 코너 각각에 배치될 수 있다. 장착홀(206)은 프레임(200)의 전면에서 프레임(200)의 후면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장착홀(206)은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변위조절유닛(800)은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장착홀(206)에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다. 변위조절유닛(800)은 제1 체결부(820), 제2 체결부(830), 벨트부(840) 그리고 이동부(8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체결부(820)는 장착홀(206)의 내부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체결부(820)의 상면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에 마주하거나 접할 수 있다.
제2 체결부(830)는 제1 체결부(820)와 상하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2 체결부(830)는 장착홀(206)의 내부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체결부(830)의 상면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에 마주하거나 접할 수 있다.
벨트부(840)는 장착홀(206)의 내부에 배치되고, 제1 체결부(820)의 외주면 또는 둘레면와 제2 체결부(830)의 외주면 또는 둘레면을 감쌀 수 있다. 벨트부(840)는 안쪽 또는 내측에 복수 개의 산과 골이 배치될 수 있다.
이동부(810)는 제1 체결부(820)와 제2 체결부(8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동부(810)는 벨트부(840)에 장착될 수 있다. 이동부(810)는 금속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0를 참조하면, 제1 체결부(820)는 제1 체결헤드부(820a), 제1 체결바디부(820b), 제1 벨트장착부(820c) 그리고 제1 이탈방지부(820d)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체결헤드부(820a)는 소정의 지름과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제1 체결부(820)는 상부면을 가로지르는 체결홈(H)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체결바디부(820b)는 제1 체결헤드부(820a)의 하면 또는 하부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체결바디부(820b)는 제1 체결헤드부(820a)의 지름보다 작은 지름을 가질 수 있다. 제1 체결바디부(820b)는 나사골을 포함할 수 있다. 일정한 피치를 가진 나사골은 제1 체결바디부(820b)의 둘레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벨트장착부(820c)는 제1 체결헤드부(820a)와 제1 체결바디부(820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벨트장착부(820c)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복수 개의 산과 골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벨트장착부(820c)는 벨트부(840)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폭을 가질 수 있다. 제1 벨트장착부(820c)는 고정홀(820e)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이탈방지부(820d)는 제1 벨트장착부(820c)와 제1 체결바디부(820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이탈방지부(820d)는 제1 벨트장착부(820c)의 지름보다 큰 지름을 가질 수 있다. 제1 이탈방지부(820d)는 제1 벨트장착부(820c)에 장착된 벨트부(84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1를 참조하면, 이동부(810)는 이동바디부(810b)와 이동커버부(810a)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바디부(810b)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부(810)는 직육면체형상일 수 있다. 이동부(810)는 금속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바디부(810b)는 결합영역(810b1)와 벨트장착영역(810b2)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영역(810b1)은 이동부(810)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결합영역(810b1)은 이동커버부(810a)의 내부면에 마주하거나 접할 수 있다. 결합영역(810b1)은 결합홀(H2)을 포함할 수 있다.
벨트장착영역(810b2)은 이동부(810)의 타측에 형성될 수 있다. 벨트장착영역(810b2)은 복수 개의 산과 골을 포함할 수 있다. 벨트장착영역(810b2)의 산과 골은 벨트부(840)의 산과 골과 맞물려서 결합 또는 체결될 수 있다.
이동커버부(810a)는 이동바디부(810b)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동커버부(810a)는 이동바디부(810b)의 결합영역(810b1)에 결합된 벨트부(840)도 감쌀 수 있다. 벨트부(840)는 벨트장착영역(810b2)과 이동커버부(810a)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동커버부(810a)는 커버홀(H1)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홀(H1)은 이동바디부(810b)의 결합홀(H2)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체결부재는 커버홀(H1)을 관통하여 결합홀(H2)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벨트부(840)는 이동부(810)에 견고하게 장착될 수 있다.
도 32 내지 도 34를 참조하면, 조정부(85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조정부(85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에 접하거나 마주할 수 있다. 조정부(850)는 변위조절유닛(800)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조정부(850)는 두께방향으로 이동부(810)와 중첩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조정부(850)의 단면적은 변위조절유닛(800)의 단면적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클 수 있다. 변위조절유닛(800)은 조정부(850)의 제어하에 상하방향으로 왕복 동작할 수 있다.
조정부(850)는 자성을 가지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정부(85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에 마주하고,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조정부(850)는 제1 체결부(820)에서 제2 체결부(830)로 이동될 수 있다. 조정부(850)는 제2 체결부(830)의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동부(810)는 조정부(850)의 제어 하에 제1 체결부(820)에서 제2 체결부(830)로 이동될 수 있다.
도 3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부(810)가 제1 체결부(820)에서 제2 체결부(830)로 이동되면, 이동부(810)에 장착된 벨트부(840)가 구동될 수 있다. 벨트부(840)가 구동되면, 벨트부(840)에 장착된 제1 체결부(820)와 제2 체결부(830)는 제1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제1 방향은 시계방향이라 칭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모듈(100)과 프레임(200) 간의 이격거리는 제13 길이(h13)만큼 이격될 수 있다. 제13 길이(h13)는 제13 이격거리(h13)라 칭할 수 있다.
도 3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정부(85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에 마주하고,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조정부(850)는 제2 체결부(830)에서 제1 체결부(820)로 이동될 수 있다. 조정부(850)는 제1 체결부(820)의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동부(810)는 조정부(850)의 제어 하에 제2 체결부(830)에서 제1 체결부(820)로 이동될 수 있다.
도 3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부(810)가 제2 체결부(830)에서 제1 체결부(820)로 이동되면, 이동부(810)에 장착된 벨트부(840)가 구동될 수 있다. 벨트부(840)가 구동되면, 벨트부(840)에 장착된 제1 체결부(820)와 제2 체결부(830)는 제2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제2 방향은 제1 방향과 반대방향일 수 있다. 제2 방향은 반시계방향이라 칭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모듈(100)과 프레임(200) 간의 이격거리는 제14 길이(h14)만큼 이격될 수 있다. 제14 길이(h14)는 제14 이격거리(h14)라 칭할 수 있다. 제14 길이(h14)는 제13길이(h13)보다 길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부(810)는 제1 체결부(820)의 중심축과 제2 체결부(830)의 중심축 사이(W1)에서 상하방향으로 왕복운동할 수 있다. 이동부(810)가 왕복운동할 수 있는 최대범위(W2)는 제1 체결부(820)와 이동부(810)의 상측 간의 간격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0)과 프레임(200) 간의 이격거리는 이동부(810)의 최대범위 내(W1)에서 조정될 수 있다.
도 35 내지 37을 참조하면, 레벨링기어(930)는 프레임(200)의 코너(FC)에 인접하여 회전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레벨링기어(930)는 프레임(200)에 스크류 방식으로 결합되고, 레벨링기어(930)가 회전하면 레벨링기어(930)의 상면(930US)과 프레임(200)의 거리는 변할 수 있다.
구동기어(910)는 레벨링기어(930)와 맞물려 회전가능하게 프레임(200)의 코너(FC)에 인접하여 장착될 수 있다. 레벨링기어(930)의 회전축(932) 및/또는 구동기어(910)의 회전축(912)은 금속일 수 있다. 구동기어(910)는 제2 기어(910), 레벨링기어(930)는 제1 기어(930)라 칭할 수 있다.
레벨링기어(930)의 두께(TL)는 구동기어(910)의 두께(TD) 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면, 레벨링기어(930)의 두께(TL)는 구동기어(910)의 두께(TD) 보다 0.5 내지 1 미리미터 클 수 있다. 레벨링기어(930)의 두께(TL)와 구동기어(910)의 두께(TD)의 차이는 레벨링기어(930)의 축방향 이동 범위일 수 있다.
구동기어(910)는 자성체(911)를 구비할 수 있다. 자성체(911)는 복수개일 수 있다. 복수개의 자성체(911)는 제1 자성체(911a), 제2 자성체(911b), 제3 자성체(911c), 제4 자성체(911d)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자성체(911a)는 제3 자성체(911c)와 동일한 극성을 지닐 수 있고, 제2 자성체(911b)는 제4 자성체(911d)와 동일한 극성을 지닐 수 있으며, 제1 자성체(911a)는 제2 자성체(911b)와 다른 극성을 지닐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자성체(911a) 및 제3 자성체(911c)는 N극의 자석일 수 있고, 제2 자성체(911b) 및 제4 자성체(911d)는 S극의 자석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제1 자성체(911a) 내지 제4 자성체(911d)는 모두 동일한 극성을 지닐 수 있다. 제1 자성체(911a) 내지 제4 자성체(911d)는 모두가 N극의 자석이거나 S극의 자석일 수 있다.
구동기어(910)의 직경(DD)은 레벨링기어(930)의 직경(DL) 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면, 구동기어(910)의 직경(DD)과 레벨링기어(930)의 직경(DL)의 비율은 1 대 4에서 1 대 5일 수 있다. 구동기어(910)의 톱니의 수는 레벨링기어(930)의 톱니의 수 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면, 구동기어(910)의 톱니의 수는 65 내지 70일 수 있고, 레벨링기어(930)의 톱니의 수는 12 내지 18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기어비는 4.25 대 1일 수 있다.
프레임(200)은 슬릿(200S)을 구비할 수 있다. 슬릿(200S)은 구동기어(910)의 곡률에 대응하는 곡률로 커브드될 수 있다. 슬릿(200S)은 구동기어(910)의 회전축(912)을 중심으로 90도의 구간에 형성될 수 있다. 구동기어(910)는 슬릿(200S)에 삽입되는 스토퍼(914)를 구동기어(910)의 후면에 구비할 수 있다. 슬릿(200S) 및 스토퍼(914)는 구동기어(910)의 회전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동기어(910)가 회전하면 레벨링기어(930)가 레벨링기어(930)의 회전축(932)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움직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구동기어(910)가 90도 회전하면 레벨링기어(930)는 0.5미리미터 움직일 수 있다.
도 38 및 39를 참조하면, 구동기(1000)는 바디(1110), 회전축(1120), 다이얼(1130), 로터(1140), 기어들(1150), 그리고 하우징(1160)을 포함할 수 있다. 바디(1110)는 일정한 두께를 지니는 원판형상일 수 있고, 홀(1112)을 구비할 수 있다. 홀(1112)은 바디(1110)의 중앙을 관통할 수 있다. 회전축(1120)은 바디(1110)의 홀(1112)에 삽입될 수 있는데, 홀(1112)에 장착된 상태에서 회전할 수 있다. 베어링(1160)은 회전축(1120)과 바디(1110)의 홀(1112)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로터(1140)는 바디(1110)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베어링(1160)은 바디홀(1112)의 상측 및 하측에 복수개(1162,1164)가 구비될 수 있는데, 회전축(1120)의 세차운동을 방지할 수 있다.
로터(1140)는 홀(1142)을 구비할 수 있는데, 홀(1142)은 로터(1140)의 중앙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회전축(1120)은 로터(1140)의 홀(1142)에 삽입될 수 있다. 회전축(1120)은 로터(1140)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다. 로터(1140)는 회전축(1120)의 회전방향에 대하여 역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볼트(B1)는 로터(1140)의 홀(1142)의 하방에 끼워질 수 있다. 볼트(B1)는 회전축(1120)의 하측에 축돌기(BP)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볼트(B1)는 회전축(1120)에 고정되어 회전축(1120)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볼트(B1)는 플렌지(P)를 구비할 수 있다. 볼트(B1)는 숄더볼트(B1)일 수 있다. 로터(1140)는 로터(1140)의 하면에 로터(1140)의 홀(1142)로 이어지는 단차부(1143)를 구비할 수 있다. 볼트(B1)의 플렌지(P)는 로터(1140)의 단차부(1143)에 걸림될 수 있다. 베어링(1170)은 로터(1140)의 단차부(1143)와 볼트(B1)의 플렌지(P)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로터(1140)의 하면에 복수개의 금속유닛(1144)이 구비될 수 있다. 복수개의 금속유닛(1144)은 전술한 구동기어(910)의 복수개의 자성체(911)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개의 자성체(911)의 개수에 대응하여 로터(1140)의 하면에 구비될 수 있다. 복수개의 금속유닛(1144)은 로터(1140)의 하면에 구비된 복수개의 자성체(911)에 자력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금속유닛(1144)은 자성체일 수도 있다.
회전축(1120)은 외면의 적어도 일부에 선기어(sun gear, 1151)를 구비할 수 있다. 로터(1140)는 사이드 월(1140S)을 구비할 수 있다. 로터(1140)는 사이드 월(1140S)의 내면에 랙기어(1153)를 구비할 수 있다. 위성기어(1152)는 로터(1140)의 상면에 설치될 수 있다. 위성기어(1152)는 홀(1152h)을 구비할 수 있다. 위성기어(1152)의 홀(1152h)은 위성기어(1152)의 중심을 관통할 수 있다. 볼트(B2)는 위성기어(1152)의 홀(1152h)에 삽입될 수 있다. 볼트(B2)는 축돌기(BP)를 구비할 수 있다. 축돌기(BP)는 볼트(B2)의 상면에서 바디(1110)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축돌기(BP)는 바디(1110)에 형성된 돌기홈(1119)에 삽입될 수 있다. 위성기어(1152)는 선기어(1151) 및 랙기어(1153)와 맞물릴 수 있다. 예를 들면, 선기어(1151)와 위성기어(1152)와 랙기어(1153)의 톱니의 비율은 8 대 30 대 68일 수 있다. 선기어(1151)는 제3 기어(1151), 위성기어(1152)는 제4 기어(1152), 랙기어(1153)는 제5 기어(1153)라 칭할 수 있다.
하우징(1160)은 바디(1110)와 로터(1140)를 수용할 수 있다. 바디(1110)는 원통형상의 터브(tub)일 수 있다. 다이얼(1130)은 하우징(1160)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고, 회전축(1120)에 고정될 수 있다. 다이얼(1130) 및 회전축(1120)이 회전하면서 선기어(1151)는 위성기어(1152)를 회전시키고 위성기어(1152)는 랙기어(1153)를 회전시킬 수 있다. 즉, 다이얼(1130)의 회전은 변속 또는 감속되어 로터(114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이얼(1130)의 충분한 회전에 불구하고 미세하게 로터(114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도 40 내지 42를 참조하면, 구동기(1000)의 다이얼(1130)을 회전시켜 구동기어(9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구동기어(910)의 회전에 따라 레벨링기어(930)는 회전할 수 있다. 레벨링기어(930)의 회전에 따라 레벨링기어(930)의 준위(level)는 높아지거나 낮아질 수 있다. 다시 말해, 레벨링기어(930)의 회전에 따라 프레임(200)과 레벨링기어(930)의 상면의 거리(D1,D2)가 달라질 수 있다. 이는, 디스플레이 모듈(100)과 프레임(200)간의 거리(D1,D2)를 조절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42에서 멀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이웃한 배치를 볼 수 있다. 이때, 경계영역(BA)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00)간의 단차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단차는 본 실시예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도 43 및 44를 참조하면, 레벨러(1200)는 헤드(1210), 그리고 로테이터(1230)를 구비할 수 있다. 헤드(1210)는 원기둥 형상일 수 있다. 헤드(1210)는 복수개의 자성체(1211)를 구비할 수 있다. 복수개의 자성체(1211)는 서로 다른 극성의 자석이 교번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개의 자성체(1211)는 N극 자석과 S극 자석이 교번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헤드(1210)의 하면에 스크류축(1213)이 형성될 수 있다.
로테이터(1230)는 헤드(1210)의 하부에서 스크류(1213)에 삽입될 수 있고, 회전할 수 있다. 로테이터(1230)는 홀(1231)을 구비할 수 있다. 홀(1231)은 로테이터(1230)를 관통할 수 있는데, 스크류축(1213)이 삽입될 수 있는 나사산(1231)을 구비할 수 있다. 로테이터(1230)는 자성체(1250)와 결합될 수 있다.
프레임(200)의 코너에 커플러(1270)가 장착될 수 있다. 커플러(1270)는 프레임(200)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커플러(1270)는 금속일 수 있다. 헤드(121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스크류축(1213)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에서 돌출될 수 있다. 로테이터(1230)는 스크류축(1231)에 삽입될 수 있다.
로테이터(1230)가 커플러(1270)에 고정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01)의 전면에서 자성력을 이용하여 헤드(1210)를 회전시키면 로테이터(1230)는 헤드(1210)로부터 멀어지거나 헤드(1210)에 가까워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00)과 프레임(200)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도 45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패널(101)과 모듈 커버(110) 사이에 제1 자성체(1310)가 위치할 수 있다. 제1 자성체(1310)는 모듈 커버(110)에서 회전할 수 있다. 제1 자성체(1310)의 상측과 하측에 마찰판들(1311,1312)이 구비될 수 있다. 레벨러(1300)는 헤드하우징(1350), 스크류(1351), 그리고 제2 자성체(1330)를 구비할 수 있다. 헤드하우징(1350)은 제2 자성체(1330)를 수용할 수 있다. 스크류(1351)는 헤드하우징(1350)의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자성체(1330)의 상측에 마찰판(1331)이 구비될 수 있다.
스크류(1351)는 프레임(200)에 삽입될 수 있고, 프레임(200)에서 회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1)의 전면에서 제1 자성체(1310)를 회전시키면, 제1 자성체(1310)와 자기 결합된 제2 자성체(1330)가 회전할 수 있다. 제2 자성체(1330)의 회전에 의해 레벨러(1300)가 프레임(200)으로부터 멀어지거나 프레임(200)에 가까워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00)과 프레임(200)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도 46 및 47을 참조하면, 레벨러(1410)는 프레임(200)에 장착될 수 있다. 레벨러(1410)는 헤드(1411), 그리고 스크류(1413)를 구비할 수 있다. 스크류(1413)는 헤드(1411)의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헤드(1411)는 상면에 결합돌기(1415)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결합돌기(1415)는 양각 + 형상일 수 있다.
로테이터(143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모듈커버(110)는 홀(h)을 구비할 수 있고, 로테이터(1430)는 모듈커버(110)의 홀(h)에 삽입되어 회전할 수 있다. 모듈커버(110)의 홀(h)은 모듈커버(110)의 하면이 개방된 개구(OP)를 구비할 수 있다. 개구(OP)를 통해 로테이터(1430)의 하면이 모듈커버(11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로테이터(1430)의 하면은 결합돌기(1415)와 암수로 대응되는 형상을 지닐 수 있다. 예를 들면, 로테이터(1430)의 하면은 음각 + 형상일 수 있다.
자성체(1450)는 로테이터(1430)의 상측에 장착될 수 있다. 복수개의 자성체(1450)는 로테이터(1430)의 상측에 교번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들의 극성은 서로 다를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1)의 전면에서 자성력을 이용하여 로테이터(1430)를 회전시키면, 로테이터(1430)와 기계적으로 결합된 레벨러(1410)의 헤드(1411)가 회전하여 레벨러(1410)가 프레임(200)으로부터 멀어지거나 가까워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01)과 프레임(200)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후방에 배치되는 프레임;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또는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프레임 간의 이격거리를 조절하는 변위조절유닛; 및 상기 변위조절유닛의 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프레임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부착되거나 분리되는 부착부;를 포함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제1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하방향 또는 좌우방향으로 이웃하여 배열되는 제2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고, 복수 개의 상기 변위조절유닛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방 각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프레임 간의 제1 이격거리 또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프레임 간의 제2 이격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부착부는 자성이 있는 물질 또는 양면 테이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은 상기 프레임의 각 코너에 배치되는 장착홀을 포함하고, 상기 변위조절유닛은 상기 장착홀에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변위조절유닛은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방향인 제2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변위조절유닛이 제1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1 이격거리 또는 상기 제2 이격거리는 점진적으로 길어지고, 상기 변위조절유닛이 제2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1 이격거리 또는 상기 제2 이격거리는 점진적으로 짧아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배치되는 모듈 커버 상기 모듈 커버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변위조절유닛은 상기 장착부에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변위조절유닛을 조정할 수 있는 조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정부는 상기 변위조절유닛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두께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조정부가 제1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변위조절유닛은 상기 조정부의 제어 하에 상기 제1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조정부가 제2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변위조절유닛은 상기 조정부의 제어 하에 상기 제2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부착부는 복수 개의 제1 자성부; 그리고 상기 제1 자성부의 극성과 다른 극성을 가지는 복수 개의 제2 자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제1 자성부와 상기 복수 개의 제2 자성부는 상기 변위조절유닛의 상면에 배치되되, 서로 교호 또는 번갈아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변위조절유닛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에 마주하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를 감싸면서 배치되는 하우징부 및 상기 하우징부의 후면에 체결되는 슬라이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하우징의 후면에 체결되는 슬라이딩 바디와 상기 슬라이딩 바디의 상측에서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는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는 경사면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조정부는 상기 이동부를 상하방향으로 조정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프레임 간의 이격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은 전면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장착홀을 포함하고, 상기 변위조절유닛은 상기 장착홀의 내부 상측에 배치되는 제1 체결부, 상기 제1 체결부와 상하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장착홀의 내부 하측에 배치되는 제2 체결부, 상기 제1 체결부의 외주면과 상기 제2 체결부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배치되는 벨트부 및 상기 제1 체결부와 상기 제2 체결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벨트부에 장착되는 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조정부는 상기 이동부를 상하방향으로 조정하면, 상기 제1 체결부와 상기 제2 체결부가 회전운동하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프레임 간의 이격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조정부는 자성이 있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어떤 실시 예들 또는 다른 실시 예들은 서로 배타적이거나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된 본 발명의 어떤 실시 예들 또는 다른 실시 예들은 각각의 구성 또는 기능이 병용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A 구성과 다른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B 구성이 결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구성 간의 결합에 대해 직접적으로 설명하지 않은 경우라고 하더라도 결합이 불가능하다고 설명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결합이 가능함을 의미한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0)

  1.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후방에 위치하는 프레임;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프레임 사이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코너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상기 프레임에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 기어;
    상기 제1 기어를 상기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키며, 금속을 포함하는 회전축;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내에 위치하는 자성체; 그리고,
    상기 제1 기어에 맞물리고, 상기 프레임에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은 상기 제1 기어와 접촉하고,
    상기 제1 기어는 상기 제2 기어의 회전에 의해 상기 프레임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어의 두께는 상기 제2 기어의 두께 보다 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어의 직경은 상기 제1 기어의 직경 보다 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2 기어를 마주하며 형성되는 슬릿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슬릿은,
    상기 제2 기어의 곡률에 대응하는 곡률을 지니고,
    상기 제2 기어는,
    상기 제2 기어의 일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슬릿에 삽입되는 스토퍼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어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제2 기어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2 기어에 장착되는 복수개의 자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기어에 장착되는 복수개의 자성체는,
    상기 제2 기어의 회전중심에 대하여 서클을 형성하며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어에 장착되는 복수개의 자성체는,
    서로 다른 극성을 지니는 자성체들이 서로 교번적으로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어에 장착되는 복수개의 자성체는,
    같은 극성을 지니는 자성체들이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어와 상기 제2 기어의 기어비는 1 : 4 ~ 5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어는 상기 프레임에서 스크류에 의해 장착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0180027042A 2018-03-07 2018-03-07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4552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7042A KR102455299B1 (ko) 2018-03-07 2018-03-07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EP19150963.7A EP3537415B1 (en) 2018-03-07 2019-01-09 Display device
CN201910119469.XA CN110246423B (zh) 2018-03-07 2019-02-18 显示装置
US16/296,067 US10626961B2 (en) 2018-03-07 2019-03-07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7042A KR102455299B1 (ko) 2018-03-07 2018-03-07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6080A KR20190106080A (ko) 2019-09-18
KR102455299B1 true KR102455299B1 (ko) 2022-10-17

Family

ID=65019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7042A KR102455299B1 (ko) 2018-03-07 2018-03-07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626961B2 (ko)
EP (1) EP3537415B1 (ko)
KR (1) KR102455299B1 (ko)
CN (1) CN11024642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10880S1 (en) * 2018-01-31 2021-02-16 Revamp Panels, LLC Display panel
KR102421442B1 (ko) * 2018-01-31 2022-07-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11353732B2 (en) 2018-08-24 2022-06-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US11268552B2 (en) * 2018-09-10 2022-03-08 Apple Inc. Mechanical interlock connection of threaded fasteners to brittle materials
US11310927B2 (en) * 2018-11-23 2022-04-19 Shenzhen Gloshine Technology Co., Ltd. LED display screen
USD920434S1 (en) * 2018-12-03 2021-05-25 Lg Electronics Inc. Digital signage
USD920433S1 (en) * 2018-12-03 2021-05-25 Lg Electronics Inc. Frame for digital signage
USD920432S1 (en) * 2018-12-03 2021-05-25 Lg Electronics Inc. Digital signage
CN112211882B (zh) * 2019-07-12 2022-04-1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拼接显示屏的调整装置及拼接显示屏调整系统
KR102642789B1 (ko) * 2019-07-31 2024-02-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D941817S1 (en) * 2019-09-26 2022-01-25 Lg Electronics Inc. Indoor wall unit
CN110675762A (zh) * 2019-10-22 2020-01-10 深圳利亚德光电有限公司 显示屏模组
CN114730535A (zh) * 2019-11-20 2022-07-08 乐金显示有限公司 显示装置
CN111048002A (zh) * 2019-12-26 2020-04-21 深圳市联建光电有限公司 一种手持式调节组件
WO2021128202A1 (zh) * 2019-12-26 2021-07-01 深圳市联建光电有限公司 一种led显示屏
CN111276058B (zh) * 2020-02-11 2022-10-1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拼接显示面板及拼接显示装置
CN212959400U (zh) * 2020-08-25 2021-04-13 深圳市洲明科技股份有限公司 旋钮锁、维护工具和led显示屏
JPWO2022075164A1 (ko) * 2020-10-07 2022-04-14
CN112634670B (zh) * 2020-12-23 2022-05-31 深圳市尚为伟业有限公司 一种多功能智慧教育一体机及其使用方法
CN112991962B (zh) * 2021-02-20 2021-08-27 深圳日日佳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组合式节能柔性显示屏
KR102577922B1 (ko) * 2021-06-11 2023-09-14 주식회사 제이케이테크 스크린 보드의 설치를 위한 자석 철판 프레임 및 프레임 설치방법
KR102544445B1 (ko) * 2021-08-11 2023-06-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설치 시스템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설치방법
CN113707047A (zh) * 2021-08-26 2021-11-26 深圳市雷迪奥视觉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屏
CN113990210B (zh) * 2021-10-26 2024-02-09 杭州登虹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互联网的线上商业传播广告投放平台
CN114333608A (zh) * 2021-12-22 2022-04-12 深圳市雷迪奥视觉技术有限公司 一种位置调节装置及显示屏
CN114754048A (zh) * 2022-04-13 2022-07-15 深圳金立翔视效科技有限公司 框架及显示屏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047Y1 (ko) 2009-09-22 2011-04-12 (주)베이직테크 엘이디 표시장치의 연결장치
JP2016142861A (ja) * 2015-01-30 2016-08-08 株式会社フォトクラフト社 映像表示装置、及び、それの組み立て調整方法
JP2016218354A (ja) * 2015-05-25 2016-12-22 三菱電機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565100Y (zh) * 2002-09-13 2003-08-06 广视控股有限公司 可动态变换图案的展示架
WO2005069074A1 (ja) * 2004-01-15 2005-07-28 Keisuke Matsuyama 背面投射型マルチ画面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これに使用される集合スクリーン、集合スクリーン用光ファイバー、フラット光ファイバー
CN201152306Y (zh) * 2007-11-21 2008-11-19 苏永生 抽屉面板与抽屉侧板的连接装置
KR101391852B1 (ko) * 2008-03-07 2014-05-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유닛 및 그를 포함하는 멀티 표시 장치
DE202009006585U1 (de) * 2009-05-06 2009-08-13 Exact Planwerk Gmbh Aufhängevorrichtung für Bildschirme
US9372504B2 (en) * 2009-10-13 2016-06-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ulti display apparatus and hinge device therefor
KR101758829B1 (ko) * 2010-12-14 2017-07-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 디스플레이 패널의 거치대 및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CN202167200U (zh) * 2011-07-21 2012-03-14 深圳市华明力科技有限公司 一种显示屏安装锁闭结构及具有该结构的显示屏
CN202418467U (zh) * 2011-11-25 2012-09-05 黄积朋 一种间歇性往复运动机构
CN202619130U (zh) * 2012-06-04 2012-12-26 洪建乐 可升降枕芯及枕头
CN202841761U (zh) * 2012-09-04 2013-03-27 深圳市奥拓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led显示模组及其快速拆装装置
EP2709086B1 (en) * 2012-09-14 2019-08-21 LG Electronics, Inc. Multi-display device
CN202905058U (zh) * 2012-11-08 2013-04-24 上海三思电子工程有限公司 一种显示模块的安装结构
KR102120763B1 (ko) * 2013-05-09 2020-06-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사이니지
US9190198B2 (en) * 2013-08-22 2015-11-17 Apple Inc. Magnetic fasteners
US20150078861A1 (en) * 2013-09-18 2015-03-19 Spencer James Heinz Removable Vehicular Registration Plate Fastener
CN103644268A (zh) * 2013-11-25 2014-03-19 重庆市璧山爱华有限责任公司 斜齿轮变向摇动装置
KR20150081225A (ko) * 2014-01-03 2015-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KR102164184B1 (ko) * 2014-05-30 2020-10-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N204025276U (zh) * 2014-08-04 2014-12-17 温州市欧力尔标准件有限公司 一种螺钉
CN104464555B (zh) * 2014-12-26 2018-01-23 广东威创视讯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led拼接屏的结构
CN204895322U (zh) * 2015-06-19 2015-12-23 浙江奔野拖拉机制造有限公司 一种显示屏固定可靠防抖防炫目拖拉机方向盘
KR101705508B1 (ko) * 2015-10-08 2017-02-13 주식회사 에이블테크 디스플레이 장치
CN105513504A (zh) * 2015-11-17 2016-04-20 北京超亮科技有限公司 一种led全彩显示屏单元显示模块
KR102429119B1 (ko) * 2015-12-30 2022-08-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11150855B2 (en) * 2016-06-08 2021-10-19 Production Resource Group, L.L.C. Display support structure
KR102513194B1 (ko) * 2016-08-24 2023-03-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운드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N206084337U (zh) * 2016-08-18 2017-04-12 北京赛亚思科技有限公司 一种高精度电动伺服拧紧轴
CN106201412A (zh) * 2016-08-31 2016-12-07 北京时代奥视科技股份有限公司 电视墙
KR20180027042A (ko) 2016-09-05 2018-03-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047Y1 (ko) 2009-09-22 2011-04-12 (주)베이직테크 엘이디 표시장치의 연결장치
JP2016142861A (ja) * 2015-01-30 2016-08-08 株式会社フォトクラフト社 映像表示装置、及び、それの組み立て調整方法
JP2016218354A (ja) * 2015-05-25 2016-12-22 三菱電機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246423B (zh) 2021-10-12
US10626961B2 (en) 2020-04-21
EP3537415A1 (en) 2019-09-11
US20190277377A1 (en) 2019-09-12
KR20190106080A (ko) 2019-09-18
CN110246423A (zh) 2019-09-17
EP3537415B1 (en) 2020-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5299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421442B1 (ko) 멀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7948672B2 (en) System and methods for tiling display panels
KR102550293B1 (ko) 멀티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설치 방법
CN102067197A (zh) 显示装置和电子设备
KR101672345B1 (ko)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US7570314B2 (en) Display device including a bottom chassis having coupling areas and support areas
GB2528339A (en) Foldable display apparatus
CN112309267B (zh) 显示设备和平铺耦接器
WO2006016302A2 (en) Electrophoretic color display panel
CN104157216A (zh) 一种显示屏、拼接屏及其驱动方法
US10881010B2 (en) Display device and multi-panel display device
US9489012B2 (en) Video wall and fixing apparatus therefor
KR20160012308A (ko) 표시 장치
CN114967262B (zh) 显示面板及显示装置
US20160275881A1 (en) Display device
KR102511240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180061518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54850B1 (ko) 멀티비전용 엘이디 표시장치
KR20230001334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조립방법
KR20200059721A (ko) 표시 장치 및 타일링 표시 장치
CN219062219U (zh) 一种转轴机构和电子设备
KR20080061671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80025329A (ko) 표시장치
KR20240019795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