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1334A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조립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조립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1334A
KR20230001334A KR1020210084080A KR20210084080A KR20230001334A KR 20230001334 A KR20230001334 A KR 20230001334A KR 1020210084080 A KR1020210084080 A KR 1020210084080A KR 20210084080 A KR20210084080 A KR 20210084080A KR 20230001334 A KR20230001334 A KR 202300013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module
module
fastening
display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40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21288B1 (ko
Inventor
박용남
강기태
허진하
최동헌
정동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840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1288B1/ko
Priority to EP22833422.3A priority patent/EP4365879A1/en
Priority to PCT/KR2022/007827 priority patent/WO2023277366A1/ko
Publication of KR202300013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13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12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12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geometrical disposition of the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6Video wall, i.e. stackable semiconductor matrix display modu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6Combining plural substrates to produce large-area displays, e.g. tiled display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배면에 위치하는 체결브라켓; 상기 체결브라켓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결합하는 레진;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배면에 위치하는 모듈홀더; 상기 모듈홀더의 배면에서 전면방향으로 관통하며 상기 체결브라켓과 결합하는 체결구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구를 상기 체결브라켓에서 분리하면, 상기 모듈홀더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디바이스{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멀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란, 기업들의 마케팅, 광고, 트레이닝 효과, 및 고객 경험을 유도할 수 있는 커뮤티케이션 툴(Communicaiton tool)로 공항, 호텔, 병원, 지하철역 등의 공공 장소에서 방송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특정 정보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이다.
디지털 사이니지는 옥외의 일정한 장소 또는 가로 시설물(street furniture)등의 장치에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치하여 다양한 콘텐츠와 상업 광고 등을 표출하는 매체로서 현재 아파트 엘리베이터, 지하철 역 내, 지하철 내, 버스 내, 대학교, 은행, 편의점, 할인점, 쇼핑몰 등 대중이 움직이는 모든 동선 상에 설치될 수 있다.
디지털 사이니지는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을 이용하여 단일 화면을 구성할 때, 상하방향 또는 좌우방향으로 이웃하는 디스플레이 패널들 간의 단차로 인해 화면의 왜곡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이웃하여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모듈 간의 높낮이차 또는 고저차를 조정할 수 있는 멀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배면에 위치하는 체결브라켓; 상기 체결브라켓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결합하는 레진;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배면에 위치하는 모듈홀더; 상기 모듈홀더의 배면에서 전면방향으로 관통하며 상기 체결브라켓과 결합하는 체결구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구를 상기 체결브라켓에서 분리하면, 상기 모듈홀더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제공한다.
상기 모듈홀더에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모듈이 체결되며, 상기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모듈은 전면이 동일 평면을 이루며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모듈은 제1 두께를 가지는 제1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제1 두께보다 두꺼운 제2 두께를 가지는 제2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의 제1 레진의 양은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모듈의 제2 레진의 양보다 더 많을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배면에 형성된 체결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체결브라켓은 상기 체결보스에 삽입되는 너트이며, 상기 레진은 상기 너트와 상기 체결보스 사이의 빈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체결구는 상기 모듈홀더의 전면에 돌출된 부분이 상기 체결브라켓의 두께보다 짧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체결구와 상기 너트의 체결 후 상기 너트의 전면에 삽입되는 마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브라켓과 상기 모듈홀더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브라켓에 형성된 레진홀; 및 상기 레진홀에 상응하는 위치의 상기 모듈홀더에 형성된 주입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레진홀에 상기 레진이 채워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 조립방법은, 배면에 형성된 체결보스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전면이 작업대에 맞닿도록 안착하는 단계; 모듈홀더의 배면에서 체결구를 삽입하고 전면으로 돌출된 체결구의 단부에 너트를 체결하는 단계; 상기 체결보스에 레진을 주입하는 단계; 및 상기 너트가 상기 체결보스에 삽입되도록 상기 모듈홀더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배면에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복수개가 격자형으로 배치되며, 상기 모듈홀더는 상기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배면을 커버하며, 상기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체결보스와 각각 삽입되는 복수개의 체결구와 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두께에 따라 상기 레진의 주입량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체결구를 상기 너트에서 해제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레진 및 상기 너트를 상기 모듈홀더에서 분리하고, 다른 디스플레이 모듈을 체결할 수 있다.
상기 다른 디스플레이 모듈은 배면에 형성된 체결보스 및 상기 체결보스에 삽입된 너트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보스 또는 상기 너트와 상기 모듈홀더 사이에 위치하는 탄성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 조립방법은, 전면이 작업대에 맞닿도록 디스플레이 모듈을 안착하는 단계; 모듈홀더를 관통하는 체결구와 체결브라켓을 체결하여 상기 체결브라켓을 상기 모듈홀더의 전면에 결합하는 단계; 상기 체결브라켓과 상기 모듈홀더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배면에 안착하는 단계; 및 상기 체결브라켓에 형성된 레진홀에 레진을 주입하여 상기 체결브라켓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모듈홀더는 상기 레진홀과 연결되는 주입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복수개가 격자형으로 배치되며, 상기 모듈홀더는 상기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배면을 커버하고, 상기 체결브라켓과 상기 모듈홀더 사이에 위치하는 탄성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레진을 이용하여 패널 모듈간의 치수 편차, 조립공차를 보상할 수 있어 디스플레이 모듈간의 단차와 갭을 줄일 수 있다.
주입하는 레진양으로 단차 조정을 손쉽게 할 수 있어 디스플레이 모듈의 조립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을 모듈홀더로 부터 손쉽게 분리할 수 있어 유지보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내지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A-A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4의 (b)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과 모듈홀더를 체결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도 7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과 모듈홀더를 체결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해 LED 패널(Light Emitting Diode, LED)을 일례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LED 패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유기 표시 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전계 방출 표시 패널(Field Emission Display, FED), 액정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LCD)인 것도 가능하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멀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는 화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모듈(100), 디스플레이 모듈(100)을 지지하는 프레임(200) 및 디스플레이 모듈(100)과 프레임(200) 사이에 장착되어, 이들의 간격을 조정하는 변위조절유닛(300)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디스플레이 패널(101)과 디스플레이 패널(101)의 후방에 위치하는 모듈 커버(11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1)은 복수 개의 픽셀들(R,G,B)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픽셀들(R,G,B)은 다수의 데이터라인들과 다수의 게이트라인들이 교차되는 영역마다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픽셀들(R,G,B)은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 또는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픽셀들(R,G,B)은 적색(Red, 이하 'R') 서브 픽셀, 녹색(Green, 'G') 서브 픽셀 및 청색(Blue, 'B') 서브 픽셀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픽셀들(R,G,B)은 화이트(White, 이하 'W') 서브 픽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1)은 화상을 표시하는 쪽을 전방 또는 전면이라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1)은 화상을 표시할 때, 화상을 관측할 수 없는 쪽을 후방 또는 후면이라 할 수 있다. 전방 또는 전면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01)을 바라 볼 때, 위쪽을 상측 또는 상면이라 할 수 있다. 동일하게, 아래쪽을 하측 또는 하면이라 할 수 있다. 동일하게, 오른쪽을 우측 또는 우면이라 할 수 있고, 왼쪽을 좌측 또는 좌면이라 할 수 있다.
모듈 커버(110)는 디스플레이 패널(101)의 후방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01)의 후면을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제1 디스플레이 모듈(100a) 내지 제6 디스플레이 모듈(100f)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모듈(100a) 내지 제6 디스플레이 모듈(100f)은 상하방향 또는 좌우방향으로 이웃하여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디스플레이 모듈(100a)은 프레임(200)의 상단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모듈(100b)은 제1 디스플레이 모듈(100a)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디스플레이 모듈(100c)은 제2 디스플레이 모듈(100b)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4 디스플레이 모듈(100d)은 제1 디스플레이 모듈(100a)의 좌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5 디스플레이 모듈(100e)은 제4 디스플레이 모듈(100d)의 하측과 제2 디스플레이 모듈(100b)의 좌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6 디스플레이 모듈(100f)은 제5 디스플레이 모듈(100e)의 하측과 제3 디스플레이 모듈(100c)의 좌측에 배치될 수 있다.
프레임(200)은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프레임(200)의 전면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과 마주할 수 있다. 프레임(200)은 디스플레이 모듈(100)과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두께방향 또는 전후방향으로 대응되어 배치될 수 있다. 프레임(200)은 중앙영역이 오픈된 액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모듈(100)이 장착되도록 프레임(200)은 상하방향과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200)의 상측의 길이는 제1 디스플레이 모듈(100a)의 상측과 제4 디스플레이 모듈(100d)의 상측을 합한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그리고, 프레임(200)의 우측의 길이는 제1 디스플레이 모듈(100a)의 우측, 제2 디스플레이 모듈(100b)의 우측 및 제3 디스플레이 모듈(100c)의 우측을 합한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프레임(200)은 설치되는 건물 또는 벽 등의 외부 환경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00)보다 길거나 짧게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200)은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두께보다 더 두꺼운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는 하나의 프레임(200)으로 형성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프레임(200)은 제1 프레임(200a) 내지 제6 프레임(200f)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프레임(200a) 내지 제6 프레임(200f)은 상술한 제1 디스플레이 모듈(100a) 내지 제6 디스플레이 모듈(100f)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적층 또는 조립될 수 있다. 이에 제n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제n 프레임(200)에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n은 자연수 일 수 있다.
변위조절유닛(300)은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모듈(100)과 프레임(2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변위조절유닛(300)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두께방향으로 프레임(200)에 장착될 수 있다. 프레임(200)의 전면에 장착된 변위조절유닛(300)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에 부착될 수 있다. 변위조절유닛(300)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과 프레임(200)의 전면 간의 이격거리를 조정할 수 있다. 변위조절유닛(300)은 복수 개일 수 있다. 변위조절유닛(300)은 프레임(200)의 코너 각각에 배치될 수 있다. 변위조절유닛(300)은 디스플레이 모듈(100)과 프레임(200) 각 코너마다 배치되어, 이들의 이격거리를 조정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각각의 디스플레이 모듈은 복수개의 을 격자로 배치하고 모듈홀더(120)의 전면에 결합할 수 있다. 모듈홀더(120)는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모듈(110)을 묶어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로 구성하고 모듈홀더(120)의 배면은 프레임과 결합하여 대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구현할 수 있다.
모듈홀더(120)는 디스플레이 모듈(110) 각각과 결합하기 위해 체결구(130)가 관통하는 체결홀(123)이 형성되어 있다. 체결구(130)는 스크류와 같은 부재가 모듈홀더(120)의 배면에서 삽입되어 모듈홀더(120)의 전면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모듈(110)의 배면과 체결된다.
도 4는 도 3의 A-A단면도로서, 도 4의 (a)의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모듈(110)은 영상이 출력되는 발광패널(111)과 발광패널(111) 배면에 위치하는 패널 플레이트(112)를 포함한다. 발광패널(111)과 패널 플레이트(112)는 접착테이프 등을 통해 부착될 수 있으며 패널 플레이트(112)의 배면에 형성된 체결보스(113)에 체결구(130)가 결합하여 모듈홀더(120)에 디스플레이 모듈(110)이 고정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10)의 배면에 위치하는 체결보스(113)는 체결구(130)가 결합하는 홈부를 포함하며, 홈부에 체결구(130)의 단부가 결합한다. 체결구(130)로 나선이 형성된 스크류 등을 이용하는 경우 회전량으로 체결보스(113)에 체결구(130)의 체결량을 조절할 수 있어, 디스플레이 모듈(110)과 패널 플레이트(112)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다만, 체결구(130)를 단단하게 체결하지 않는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110)의 고정이 불안정하여 흔들리거나 갭이 발생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모듈(110)이 떨어질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체결보스(113)와 모듈홀더(120) 사이에 탄성링(151)을 개재하여 탄성링(151)의 탄성을 통해 디스플레이 모듈(110) 사이의 두께차를 보상할 수 있다. 탄성링(151)은 실리콘과 같은 소재를 이용한 링형상의 부재로, 압력을 가하면 부피가 줄어들고 마찰계수가 커서 맞닿는 체결보스(113)와 모듈홀더(120) 사이의 체결력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다만, 실리콘링으로 보상 가능한 단차는 제한적이고 결과적으로 체결구(130)와 체결보스(113) 사이의 결합력이 디스플레이 모듈(110)마다 차이가 발생하여 전술한 문제점이 제한적이지만 여전히 남아있게 된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진(150)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10)과 모듈홀더(120)를 체결할 수 있다. 레진(150)은 페이스트나 액상의 물질을 경화시켜 빈공간을 채우거나 두 부재를 접합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디스플레이 모듈(110a)과 제2 디스플레이 모듈(110b)는 두께가 차이가 있다. 이러한 두께차를 디스플레이 모듈(110)과 모듈홀더(120) 사이에 주입되는 레지의 양을 조절하여 보사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도 4의 (b)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110)과 모듈홀더(120)를 체결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의 (a)를 참고하면 디스플레이 모듈(110)의 배면에 위치하는 체결보스(113)는 패널 플레이트(112)와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체결보스(113)는 우물형상의 수용부를 포함하며 배면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모듈(110)을 조립대의 편평한 면에 전면에 접하도록 거치한다. 이렇게 배치하면 디스플레이 모듈(110)의 전면은 동일한 평면을 이룰 수 있고, 대신 디스플레이 모듈(110)의 두께가 상이한 경우 배면의 높이가 차이가 날 수 있다. 배면의 높이차를 레진(150)을 이용하여 보상할 수 있다.
모듈홀더(120)에 형성된 체결홀(123)을 관통하는 체결구(130)는 모듈홀더(120)의 전면에 위치하는 체결브라켓(141)과 결합한다. 본 실시예에서 체결구(130)는 스크류이고 체결브라켓(141)은 너트를 이용할 수 있다. 체결구(130)에 형성된 나선에 상응하는 나선이 형성된 나선홀이 체결브라켓(141)에 형성되고 체결브라켓(141), 체결구(130) 그리고 모듈홀더(120)가 하나의 모듈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체결보스(113)에 주입된 레진(150)의 양이 너무 많으면 레진(150)이 넘쳐서 모듈홀더(120)와 부착될 수 있다. 레진(150)의 양은 체결보스(113)에서 넘치지 않을 양을 계산하여 적정량을 주입하고, 부착하고자 하는 디스플레이 모듈(110)의 두께에 따라 달리 구성할 수 있다.
도 5의 (b)와 같이 스크류와 결합된 너트는 체결보스(113)에 삽입되고 체결보스(113)에 주입된 레진(150)은 체결보스(113)와 너트 사이의 빈공간에 채워지며 너트와 체결보스(113)를 결합한다. 체결보스(113)는 레진(150)이 너트와 부착되는 면적을 넓히기 위해, 레진(150)이 퍼지지 않고 체결브라켓(141)에 상응하는 위치에 모여있도록 잡아둔다.
체결보스(113)를 생략하고 직접 디스플레이 모듈(110)의 배면에 레진(150)을 도포하거나, 모듈홀더(120)에 개구부를 형성하여 모듈홀더(120)를 디스플레이 모듈(110) 배면에 배치한 후에 레진(150)을 주입하여 레진(150) 주입량을 조절할 수 있다.
레진(150)은 체결브라켓(141), 너트와 부착되고 체결구(130), 스크류와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스크류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스크류가 모듈홀더(120)의 전면으로 돌출되는 부분의 길이를 너트의 두께보다 짧게 형성하여 스크류가 너트보다 전방으로 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너트의 내부로 레진(150)이 유입되어 스크류와 레진(150)이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너트는 스크류가 삽입되는 방향만 개방될 수 있다. 스크류가 삽입되는 반대방향을 막기 위해 스크류와 너트를 조립한 이후 마개로 막을 수도 있다.
도 6은 유지보수를 위해 결합된 디스플레이 모듈(110)을 분리하여 교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의 (a)를 참조하면 체결구(130)를 체결브라켓(141)에서 분리하면 체결구(130), 모듈홀더(120) 및 체결브라켓(141)이 분리된다. 체결브라켓(141)은 레진(150)을 통해 디스플레이 모듈(110)의 배면에 부착되어 디스플레이 모듈(110)과 함께 분리된다.
디스플레이 모듈(110) 수리 이후 다시 그대로 결합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110)의 전면 높이는 그대로 유지되나, 디스플레이 모듈(110)을 교체하는 경우 이전의 디스플레이 모듈(110)과 두께가 다를 수 있다. (b)는 교체하는 디스플레이 모듈(110)을 모듈홀더(120)에 결합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으로, 디스플레이 모듈(110)의 배면에 레진(150)으로 체결브라켓(141)을 결합한 상태의 교체 디스플레이 모듈(110)을 이용할 수 있다.
기존의 디스플레이 모듈(110)과 교체 디스플레이 모듈(110)의 두께 차를 보상하기 위해 도 6의 (b)와 같이 탄성링(151)을 이용하여 오차를 보상할 수 있다.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모듈을 관통한 체결구(130)에 체결브라켓(141)을 결합하고, 교체 디스플레이 모듈(110)의 체결보스(113)에 레진(150)을 주입한 후에 모듈홀더(120)에 디스플레이 모듈(110)을 결합하여 높이차를 보상할 수도 있다.
다만, 이 방법은 전술한 바와 같이 편평한 평면에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모듈(110)을 거치한 상태에서 조립하는 것이 아니므로 레진(150)이 경화하는 시간동안 디스플레이 모듈(110)을 고정하는 데 어려움이 있으므로 도 6과 같이 탄성링(151)을 이용하여 유지보수를 진행하는 편이 용이할 수 있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으로 디스플레이 모듈(110), 체결브라켓(142) 및 모듈홀더(120)를 도시하고 있다. 4장의 디스플레이 모듈(110), 디스플레이 모듈(110)의 배면에 위치하는 4개의 체결브라켓(142) 및 체결브라켓(142)의 배면에 위치하는 모듈홀더(12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모듈(110)과 체결브라켓(142)의 개수는 4개로 제한되지 않고, 더 많거나 적은 수가 한 장의 모듈홀더(120)에 결합할 수 있다.
도면상으로 체결브라켓(142)은 액자형상으로 디스플레이 모듈(110)의 배면 둘레에 위치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 않고, 디스플레이 모듈(110)의 중간을 가로지르는 형태도 가능하다.
도 8 내지 도 10은 도 7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110)과 모듈홀더(120)를 체결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모듈홀더(120)는 체결브라켓(142)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주입구(120h)를 포함하고, 체결브라켓(142)은 주입구(120h)와 연통되며 디스플레이 모듈(110)을 노출시키는 레진홀(142h)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의 (a)와 같이 체결브라켓(142)과 모듈홀더(120)를 체결구(130)를 통해 결합하고 디스플레이 모듈(110)의 배면에 적층한다.
이후 주입구(120h)를 통해 레진홀(142h)에 레진(150)을 주입하고 레진(150)은 레진홀(142h) 내에서 경화되며 체결브라켓(142)과 디스플레이 모듈(110)을 결합한다. 디스플레이 모듈(110)의 두께가 얇은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110)과 체결브라켓(142) 사이에 이격공간이 형성되며 이격공간에 레진(150)이 주입됨으로써, 디스플레이 모듈(110) 사이의 단차를 보상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110)사이의 단차를 보상하기 위해 체결구(130)를 체결브라켓(142)에 체결시 체결브라켓(142)과 모듈홀더(120) 사이에 탄성링(151)을 개재할 수 있다.
주입구(120h)는 체결브라켓(142)과 모듈홀더(120)가 결합된 상태에서 레진홀(142h)에 레진(150)을 주입하기 위한 개구부로서, 주입구(120h)에는 레진(150)이 채워지지 않는다. 주입구(120h)에 레진(150)이 채워지면 모듈홀더(120)와 체결브라켓(142)이 레진(150)에 의해 결합되어 체결구(130)를 제거하더라도 체결브라켓(142)과 모듈홀더(120)를 분리할 수 없다.
도 9는 레진홀(142h)과 디스플레이 모듈(110)의 다양한 체결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모듈(110)의 배면에 위치하는 패널 플레이트(112)의 단부를 꺾어 배면방향으로 돌출되게 구성한 경우 도 9의 (a)-(c)와 같이 꺾어진 부분에 상응하는 위치에 레진홀(142h)을 위치할 수 있다.
레진홀(142h)에 삽입된 패널 플레이트(112)는 레진(150)이 주입되면 레진(150)을 통해 체결브라켓(142)과 결합할 수 있다. (a) 및 (b)와 가이 레진홀(142h)에 부부적으로 레진(150)을 주입할 수도 있고, (c)와 같이 레진홀(142h)에 전부 주입할 수도 있다.
(d)내지 (f)와 같이 패널 플레이트(112)가 레진홀(142h)에 삽입되지 않고 편평한 형상을 가지는 경우 패널 플레이트(112)의 배면 및 레진홀(142h)의 내측면에 접하는 레진(150)을 통해 체결브라켓(142)과 디스플레이 모듈(110)이 결합할 수 있다.
레진홀(142h)의 형상은 체결력을 높이기 위해 (e)와 같이 단차를 가질 수 있으며, 레진홀(142h)이 없으나 체결브라켓(142)과 디스플레이 모듈(110)의 두께가 얇아 디스플레이 모듈(110)과 체결브라켓(142) 사이에 갭이 있는 경우 (f)와 같이 갭에 레진(150)이 유입되어 디스플레이 모듈(110)과 체결브라켓(142)을 결합시킬 수 있다.
도 10은 디스플레이 모듈(110)을 유지보수하기 위해 분리하여 교체 디스플레이 모듈(110)을 모듈홀더(120)에 결합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체결구(130)를 체결브라켓(142)에서 분리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10)과 모듈홀더(120)를 분리한다. 모듈홀더(120)는 레진홀(142h)에 주입된 레진(150)을 통해 디스플레이 모듈(110)과 결합된 상태로 디스플레이 모듈(110)과 함께 모듈홀더(120)에서 분리된다.
(b)와 같이 교체 디스플레이 모듈(110)의 배면에 체결브라켓(142)을 배치하고, (c)와 같이 레진(150)을 주입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10)과 체결브라켓(142)을 결합한다. 단차보상을 위해 필요한 경우 탄성링(151)을 체결브라켓(142)과 모듈홀더(120) 사이에 개재할 수 있다. 탄성링(151)은 체결구(130)가 삽입되는 체결홀(143)의 둘레에 위치하여 체결구(130)의 체결량을 조절할 수 있다.
레진(150)이 경화되면 (d)와 같이 모듈홀더(120)에 디스플레이 모듈(110)을 배치하고 체결구(130)를 통해 결합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10)을 교체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전 실시예와 달리 체결보스(113)가 생략되고 대신에 체결브라켓(142)의 크기가 크고 체결브라켓(142)에 레진홀(142h)을 구비하여 추후 레진(150)을 주입하는 형태이나, 두 실시예 모두 레진(150)을 통해 체결브라켓(142)을 디스플레이 모듈(110) 배면에 결합하고 레진(150)의 주입량을 조절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10) 사이의 단차를 없앨 수 있다.
체결구(130)와 체결브라켓(142) 없이 레진(150)만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10)과 모듈홀더(120)를 결합할 수 있으나, 이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110)을 모듈홀더(120)에서 분리가 어렵다. 디스플레이 모듈(110)과 모듈홀더(120)가 일체형이 되면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110) 불량시 모듈홀더(120)에 결합된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모듈(110)을 동시에 교체해야 하므로 유지보수 비용이 증가한다.
본 발명은 체결브라켓(142)과 레진(150)을 이용하여 유지보수의 용이성을 고려하면서 디스플레이 모듈(110) 사이의 단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디스플레이 모듈
110: 디스플레이 모듈
120: 모듈홀더
113: 체결보스
130: 체결구
141: 너트
142: 체결브라켓
150: 레진

Claims (15)

  1.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배면에 위치하는 체결브라켓;
    상기 체결브라켓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결합하는 레진;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배면에 위치하는 모듈홀더;
    상기 모듈홀더의 배면에서 전면방향으로 관통하며 상기 체결브라켓과 결합하는 체결구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구를 상기 체결브라켓에서 분리하면, 상기 모듈홀더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홀더에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모듈이 체결되며,
    상기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모듈은 전면이 동일 평면을 이루며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모듈은 제1 두께를 가지는 제1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제1 두께보다 두꺼운 제2 두께를 가지는 제2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의 제1 레진의 양은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모듈의 제2 레진의 양보다 더 많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배면에 형성된 체결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체결브라켓은 상기 체결보스에 삽입되는 너트이며,
    상기 레진은 상기 너트와 상기 체결보스 사이의 빈 공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는 상기 모듈홀더의 전면에 돌출된 부분이 상기 체결브라켓의 두께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와 상기 너트의 체결 후 상기 너트의 전면에 삽입되는 마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브라켓과 상기 모듈홀더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브라켓에 형성된 레진홀;
    상기 레진홀에 상응하는 위치의 상기 모듈홀더에 형성된 주입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레진홀에 상기 레진이 채워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9. 배면에 형성된 체결보스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전면이 작업대에 맞닿도록 안착하는 단계;
    모듈홀더의 배면에서 체결구를 삽입하고 전면으로 돌출된 체결구의 단부에 너트를 체결하는 단계;
    상기 체결보스에 레진을 주입하는 단계; 및
    상기 너트가 상기 체결보스에 삽입되도록 상기 모듈홀더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배면에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조립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복수개가 격자형으로 배치되며,
    상기 모듈홀더는 상기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배면을 커버하며, 상기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체결보스와 각각 삽입되는 복수개의 체결구와 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조립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두께에 따라 상기 레진의 주입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조립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를 상기 너트에서 해제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레진 및 상기 너트를 상기 모듈홀더에서 분리하고,
    다른 디스플레이 모듈을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조립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디스플레이 모듈은
    배면에 형성된 체결보스 및 상기 체결보스에 삽입된 너트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보스 또는 상기 너트와 상기 모듈홀더 사이에 위치하는 탄성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조립방법.
  14. 전면이 작업대에 맞닿도록 디스플레이 모듈을 안착하는 단계;
    모듈홀더를 관통하는 체결구와 체결브라켓을 체결하여 상기 체결브라켓을 상기 모듈홀더의 전면에 결합하는 단계;
    상기 체결브라켓과 상기 모듈홀더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배면에 안착하는 단계; 및
    상기 체결브라켓에 형성된 레진홀에 레진을 주입하여 상기 체결브라켓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모듈홀더는 상기 레진홀과 연결되는 주입구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조립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복수개가 격자형으로 배치되며,
    상기 모듈홀더는 상기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배면을 커버하고,
    상기 체결브라켓과 상기 모듈홀더 사이에 위치하는 탄성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조립방법.

KR1020210084080A 2021-06-28 2021-06-28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조립방법 KR1025212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4080A KR102521288B1 (ko) 2021-06-28 2021-06-28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조립방법
EP22833422.3A EP4365879A1 (en) 2021-06-28 2022-06-02 Display device
PCT/KR2022/007827 WO2023277366A1 (ko) 2021-06-28 2022-06-0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4080A KR102521288B1 (ko) 2021-06-28 2021-06-28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조립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1334A true KR20230001334A (ko) 2023-01-04
KR102521288B1 KR102521288B1 (ko) 2023-04-13

Family

ID=84692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4080A KR102521288B1 (ko) 2021-06-28 2021-06-28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조립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4365879A1 (ko)
KR (1) KR102521288B1 (ko)
WO (1) WO2023277366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9692A (ko) * 2004-04-12 2005-10-17 삼성전자주식회사 분할형 몰드 프레임을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KR20160097599A (ko) * 2015-02-09 2016-08-1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90092968A (ko) * 2018-01-31 2019-08-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190108665A (ko) * 2018-03-14 2019-09-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50544B1 (en) * 2018-02-06 2021-05-05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Multi-display system and video display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9692A (ko) * 2004-04-12 2005-10-17 삼성전자주식회사 분할형 몰드 프레임을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KR20160097599A (ko) * 2015-02-09 2016-08-1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90092968A (ko) * 2018-01-31 2019-08-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190108665A (ko) * 2018-03-14 2019-09-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77366A1 (ko) 2023-01-05
KR102521288B1 (ko) 2023-04-13
EP4365879A1 (en) 2024-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84986B2 (en) Display device
KR102455299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550293B1 (ko) 멀티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설치 방법
DE69525664T2 (de) Vorrichtung zum Ausrichten von Anzeigemodulen
US6056406A (en) Projection system having multiple screens
CN104347010B (zh) 底盖以及使用该底盖的显示装置
US20160197134A1 (en) Display module and multi-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1401599B1 (ko) 전원 분산 구조의 슬림형 엘이디 전광판
CN105044959A (zh) 一种可实现无缝拼接的多屏显示装置
CN103187008A (zh) 显示装置
US20140313645A1 (en) Video wall and fixing apparatus therefor
KR102521288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조립방법
US20110141404A1 (en) Outdoor large area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KR102511240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10015058A (ko) 표시 장치
KR200406425Y1 (ko) 멀티비전용 엘이디 표시장치
KR102544445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설치 시스템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설치방법
KR102410337B1 (ko) 비디오 월 배치를 위한 가이드 핀 및 이를 이용한 비디오 월
CN206224923U (zh) Led箱体及led显示屏
KR100654850B1 (ko) 멀티비전용 엘이디 표시장치
WO2022039306A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1754466B1 (ko) 전원 일체형 옥외용 조립식 엘이디 광고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KR20240019795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WO2022255504A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30121883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