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7042A - 세탁장치 - Google Patents

세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7042A
KR20180027042A KR1020160114125A KR20160114125A KR20180027042A KR 20180027042 A KR20180027042 A KR 20180027042A KR 1020160114125 A KR1020160114125 A KR 1020160114125A KR 20160114125 A KR20160114125 A KR 20160114125A KR 20180027042 A KR20180027042 A KR 201800270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
water
water supply
washing
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4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민규
김광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141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27042A/ko
Publication of KR201800270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70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4Condens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06F37/06Ribs, lifters, or rubbing means forming part of the receptacl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2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42Safety arrangements, e.g. for stopping rotation of the receptacle upon opening of the casing do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06F39/02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in a liquid stat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7Water level measuring or regulat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06F58/263Gas heating equipment
    • D06F2204/086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장치에 관한 것으로, 세탁수가 저장되며 세탁물의 건조시 내부면이 응축면을 형성하는 터브와; 터브 상부 후방 일측에 형성되는 흡기덕트와, 터브 전방 중앙에 위치하는 토출덕트와, 흡기덕트에 구비되는 송풍팬과, 송풍팬과 토출덕트를 연결하는 연결덕트 및 연결덕트 내부에 구비되며 연결덕트를 통과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를 구비하며, 터브 내부의 공기를 터브 후방에서 터브 전방으로 순환 공급하는 공기공급장치와; 세탁수를 공급하는 급수부; 터브 상부 전방 타측에 위치하며 투입되는 세제와 급수부에서 공급되는 세탁수를 혼합하며, 세탁수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세제디스펜서와; 터브 상부 후방 타측에 위치하며, 세제디스펜서에 연결되어 세제디스펜서에서 이동되는 세탁수의 일부가 저수되어 저수된 세탁수가 터브 내의 거품 또는 습공기가 세제디스펜서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급수가이드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세탁장치{LAUNDRY MACHINE}
본 발명은 세탁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세탁수 및 냉각수를 하나의 급수구를 통하여 공급하여 터브 내면을 냉각하여 터브 내면에서 응축수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한 세탁장치에 과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장치는 세탁장치, 건조 겸용 세탁장치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여기서 세탁장치는 유화작용과 펄세이터 또는 드럼의 회전에 따른 수류의 마찰작용 및 세탁물에 가하는 충격작용 등을 이용하여 의복 및 침구 등에 부착된 각종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제품이다. 최근에 등장하는 전자동 세탁장치는 중간에 사용자의 조작없이 세탁코스, 헹굼코스, 탈수코스 등으로 이어지는 일련의 행정을 자동으로 진행한다.
또한, 건조 겸용 세탁장치는 상술한 세탁장치의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세탁물을 세탁 후 건조할 수 있는 세탁기의 일종이다. 이러한 건조 겸용 세탁장치는 터브 내부의 공기를 인출하여 응축용수에 의해 공기 중의 수분을 제거한 후 가열시켜 다시 터브로 투입하는 응축식 세탁건조기가 있다.
이하 도 1을 참고하여 종래 기술에 따른 응축식 건조 세탁장치를 간략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 겸용 세탁장치(10)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11)과, 캐비닛(11)의 내부에 수용되는 터브(12)와, 터브(12)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13)과, 터브(12)로부터 생성된 습기를 함유한 공기가 응축될 수 있도록 터브(12)의 외부에 형성되는 응축덕트(14)와,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응축덕트(14)의 하류측에 연결되어 히터(16)에 의해 공기를 가열하여 터브(12)의 내부로 제공하는 가열덕트(15)와, 터브(12)의 공기가 응축덕트(14) 및 가열덕트(15)를 따라 순환되도록 하는 송풍팬(17)을 구비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건조 겸용 세탁장치(10)는 세탁물의 건조시 송풍팬(17)에 이동되는 공기가 가열덕트(15)에 마련되는 히터(16)에 의해 가열되고, 가열 공기는 터브(12)의 내측으로 공급되어 드럼(13)의 회전과 열풍에 의해 세탁물을 건조한다.
이후 세탁물을 건조한 가열 공기는 세탁물의 건조에 따라 습한 공기로 변환되고 터브(12)에서 응축덕트(14)로 유입되어 응축덕트(14)에서 습기가 제거된다. 여기서, 응축덕트(14)에는 습한 공기를 응축시키기 위하여 별도의 냉각수가 공급된다. 한편 응축덕트(14)로 유입된 공기는 송풍팬(17)에 의해 다시 가열덕트(15)로 공급되며, 상술한 과정을 반복하여 공기가 순환되도록 마련된다.
한편, 상술한 응축덕트(14)의 경우 송풍팬(17)의 송풍 용량과 공기의 원활한 유동을 고려하여 파이프 형태로 마련되며, 응축덕트(14)의 내부면에서 습한 공기와의 열교환을 통하여 습한 공기에 포함된 습기를 응축시켜 습기를 제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종래 기술에 따른 건조 겸용 세탁장치(10)는 응축덕트(14)로 유입되는 습한 공기에서 수분을 응축하기 위해서 세탁물의 건조가 진행되는 과정 중 응축덕트(14)에 지속적으로 냉각수를 공급하여야 한다.
하지만 기존의 응축덕트(14)의 경우 습한 공기와의 열교환을 위한 면적이 비교적 작게 형성되어 있어,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냉각수가 장시간 공급되어야 함으로 냉각수의 낭비를 초래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세탁물의 건조시에 세탁물에 포함되어 있던 린트가 공기와 함께 응축덕트(14)를 통하여 유입되고 응축덕트(14), 송풍팬(17), 가열덕트(15) 등에 잔류할 수 있다. 이에 응축덕트(14)에 잔류된 린트는 응축덕트의 효율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송풍팬(17)에 잔류된 린트는 송풍기의 고장을 유발할 수 있으며, 가열덕트(15)에 잔류된 린트는 가열덕트(15)에 마련되는 히터(16)의 고장 또는 화재를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최근에는 세탁장치의 터브 내면이 응축덕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개선된 세탁장치가 개발되었으며, 터브 내면에 별도의 냉각수를 공급하여 터브를 냉각하여 터브 내면에서 응축수가 생성될 수 있도록 한 세탁장치가 개발되었다.
상술한 바와 같은 터브 내면을 이용하여 응축수를 생성하는 세탁장치의 경우 터브 내면에 냉각수를 공급하기 위한 별도의 냉각수 유로를 형성하여야 하며, 동시에 터브 내면에 냉각수를 확산하기 위한 별도의 노즐을 구비하여야 하는 구조적 문제점이 있다.
또한, 터브 내면을 이용하여 응축수를 생성하기 위해서 터브 내면에 공급되는 냉각수의 경우 터브 내부에 위치하는 드럼의 탈수공을 통하여 드럼 내부로 유입되며 드럼 내부로 유입된 냉각수는 드럼 내부에서 건조가 진행되는 세탁물을 젖게하여 건조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터브의 내면을 응축면으로 하여 세탁물을 건조시킨 공기 중의 습기를 응축할 수 있도록 한 세탁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터브의 내면에 냉각수를 공급하기 위한 별도의 구조물의 추가 없이 세탁수의 공급유로를 이용하여 냉각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한 세탁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터브의 내면에 냉각수를 공급하여 터브 내면을 응축면으로 사용할 때 터브 내면으로 공급되는 냉각수를 확산시켜 터브 내면에 의한 응축수 생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세탁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터브의 내면에 냉각수를 공급할 때 터브로 공급되는 냉각수가 드럼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여 세탁물의 건조 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한 세탁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세탁물의 세탁시 세제에 의해 발생되는 거품 및 건조시 발생하는 습공기가 급수부를 통하여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세탁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는, 세탁수가 저장되며 세탁물의 건조시 내부면이 응축면을 형성하는 터브와; 상기 터브 상부 후방 일측에 형성되는 흡기덕트와, 상기 터브 전방 중앙에 위치하는 토출덕트와, 상기 흡기덕트에 구비되는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과 상기 토출덕트를 연결하는 연결덕트 및 상기 연결덕트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연결덕트를 통과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를 구비하며, 상기 터브 내부의 공기를 상기 터브 후방에서 상기 터브 전방으로 순환 공급하는 공기공급장치와; 세탁수를 공급하는 급수부; 상기 터브 상부 전방 타측에 위치하며 투입되는 세제와 급수부에서 공급되는 세탁수를 혼합하며, 세탁수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세제디스펜서와; 상기 터브 상부 후방 타측에 위치하며, 상기 세제디스펜서에 연결되어 상기 세제디스펜서에서 이동되는 세탁수의 일부가 저수되어 저수된 세탁수가 상기 터브 내의 거품 또는 습공기가 상기 세제디스펜서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급수가이드를 포함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급수가이드는 상기 터브의 외주면에서 돌출되며 중공이 형성되는 외측 연장부와, 상기 외측 연장부의 내측에서 돌출되며 중공이 형성되는 내측 연장부와, 상기 외측 연장부와 상기 내측 연장부 사이의 공간에 상기 터브 외주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유입구와, 상기 외측 연장부에 안착되어 상기 내측 연장부에 삽입되어 트랩을 형성하는 유로캡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입구는 상기 외측 연장부와 상기 내측 연장부 사이의 공간에 링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입구는 상기 외측 연장부와 상기 내측 연장부 사이의 공간에 원호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입구는 상기 외측 연장부와 상기 내측 연장부 사이의 공간에 형성되며 상기 내측 연장부를 지지하는 리브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입구는 상기 외측 연장부와 상기 내측 연장부 사이의 공간에 형성되며 상기 내측 연장부의 중심에서 방사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내측 연장부를 지지하는 리브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측 연장부는 중앙부에 상기 세탁수가 일시 저수되는 저수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유로캡은 상기 저수공간에 저수된 세탁수에 삽입되어 상기 급수가이드의 유로를 차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제 디스펜서는 상기 세탁수가 일시 저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으로 상기 세제가 투입되는 세제 투입구가 형성되는 하우징 커버와,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어 상기 터브로 상기 세탁수를 안내하는 급수관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세제와 상기 세탁수와 혼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급수관은 U형상의 U-트랩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급수부는 상기 세탁수 및 상기 냉각수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급수밸브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급수부는 상기 세탁수 및 상기 냉각수를 공급시간을 제어하여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급수가이드는 상기 터브의 원주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흡기덕트에 대향되는 위치로 상기 터브의 후방 타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터브 전방에 가스켓이 구비되며, 상기 토출덕트는 상기 가스켓을 관통하여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에 따르면 터브의 내면을 응축면으로 하여 세탁물을 건조시킨 공기 중의 습기를 응축할 수 있도록 한 세탁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에 따르면 터브의 내면에 냉각수를 공급하기 위한 별도의 구조물의 추가 없이 세탁수의 공급유로를 이용하여 냉각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한 세탁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에 따르면 터브의 내면에 냉각수를 공급하여 터브 내면을 응축면으로 사용할 때 터브 내면으로 공급되는 냉각수를 확산시켜 터브 내면에 의한 응축수 생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세탁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에 따르면 터브의 내면에 냉각수를 공급할 때 터브로 공급되는 냉각수가 드럼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여 세탁물의 건조 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한 세탁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에 따르면 세탁물의 세탁시 세제에 의해 발생되는 거품 및 건조시 발생하는 습공기가 급수부를 통하여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세탁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세탁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의 급수구조를 간략히 나타낸 간략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의 급수가이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급수가이드를 나타낸 분해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급수가이드를 나타낸 간략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급수가이드의 유입구를 나타낸 간략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급수가이드의 급수 과정을 나타낸 간략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급수부의 공기배출 차단을 나타낸 간략도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각 구성요소들의 명칭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에 정의된 각각의 명칭들은 당업계에서 다른 명칭으로 호칭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세탁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세탁장치의 터브에 세탁수 및 냉각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부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급수부 이외의 세탁장치 구성은 일반적인 세탁장치의 구성과 동일할 수 있고, 이러한 구성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일반적인 세탁장치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간략히 하고, 급수부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세탁장치(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상면커버(113), 전면커버(115), 측면커버(116), 후면커버(미도시) 등으로 이루어진 캐비닛(110)과, 캐비닛(110) 내부에 구비되어 세탁수를 저장하는 터브(120)와, 터브(120)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드럼(130)과, 터브(120)내 공기를 가열 순환시키는 공기공급장치(140)와, 외부의 물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세탁장치의 작동에 따라 세탁수 또는 냉각수 등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급수부(150)와, 급수부(150)에 연결되어 급수부(150)에서 공급되는 세탁수와 세제를 혼합하여 터브(120)로 공급함과 동시에 급수부(150)에서 공급되는 냉각수의 압력을 감압하여 터브(120)로 공급하는 세제 디스펜서(160)와, 세제 디스펜서(160)와 터브(120) 사이에 구비되어 세제 디스펜서(160)로부터 급수되는 세탁수 및 냉각수를 드럼(130)과 이격되어 터브(120)로 안내하는 급수가이드(180)와, 급수가이드(180)를 통하여 터브(120)로 유입된 세탁수 또는 냉각수 등을 배수하기 위한 배수부(190)를 구비한다.
상기 캐비닛(110)의 상부에는 세제 디스펜서(160)가 캐비닛(110) 상부의 일부가 개폐됨에 따라 노출되도록 장착된다. 이를 위하여 캐비닛(110)의 상부는 캐비닛(110) 상면의 일부를 형성하는 상면커버(113) 및 세제 디스펜서(160)를 차폐 및 노출시키는 디스펜서 커버(114)가 구비된다.
또한, 캐비닛(110)의 전방에는 내부를 개폐하는 도어(111)가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고 캐비닛(110)의 전면 상부에는 세탁 내지 건조 등의 행정을 수행하는 특정 코스를 입력하는 컨트롤 패널(112)이 설치될 수 있다. 컨트롤 패널(112)은 사용자가 세탁 내지 건조 행정 과정을 선택하기 위한 조작부(미도시)와, 사용자가 선택한 행정 및 세탁장치(100)의 작동과정을 표시하는 표시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도어(111)와, 컨트롤 패널(112)을 별도 분리하여 설명하였으나 컨트롤 패널(112)이 도어(111)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컨트롤 패널(112)의 조작부 및 표시부가 도어(111)의 소정 위치(바람직하게는 도어(111)의 상부 내측)에 삽입 설치되어 도어(111)와 같이 회동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도어(111)의 외측면은 단일 곡면 또는 평면으로 형성되어 도어(111) 및 세탁장치(100) 외형에 미려함을 더 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터브(120)는 캐비닛(110) 내측에 세탁수를 저수하도록 구비되며 전방에 세탁물을 드럼(130)으로 투입하기 위한 터브 개구부(121)가 형성된다. 터브(120)의 후방에는 드럼(130)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126)가 장착된다. 또한, 터브 개구부(121)에는 캐비닛의 전면커버와 연결되는 가스켓(122)을 구비하며, 터브(120)와 캐비닛(110) 사이에는 터브(120)를 완충 가능하게 지지하는 스프링(미도시) 및 댐퍼(124) 등을 포함한다.
한편, 터브(120)의 상부에는 공기공급장치(140)가 구비될 수 있다. 터브(120) 후방 외주면 일측에는 공기공급장치(140)로 터브(120) 내부의 공기가 흡입되는 흡기덕트(125)가 형성되며, 터브(120) 전방 터브 개구부 중앙 상측에 공기공급장치(140)에서 공급되는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덕트(123)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흡기덕트(125)에는 공기공급장치(140)에 의해 순환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린트를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127)(도 6b 참고)가 구비되며, 필터(127)의 상부에는 필터(127)에 필터링된 린트에 세척수를 분사하여 터브(120)로 떨어뜨리는 필터세척노즐(128)(도 6b 참고)이 구비된다. 이러한 필터(127) 및 필터세척노즐(128)은 흡기덕트(125) 내측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필터세척노즐(128)에는 후술할 급수부(150)의 세척수밸브(158)에 연결된 세척수호스(159)가 연결되어 급수부(150)의 제어에 따라 세척수를 독립적으로 분사할 수 있다. 하지만 세척수호스(159)의 경우 세탁수를 급수하는 급수호스(153)에서 분지되어 급수밸브(152)의 작동에 따라 세탁수와 세척수를 동시 공급할 수도 있다.
그리고 토출덕트(123)는 상술한 터브 개구부(121)에 구비되는 가스켓(122)을 관통하여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토출덕트(123)는 토출덕트(123)로 공급되는 공기가 터브 개구부(121)를 통과하여 드럼(130)의 내부면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흡기덕트(125)는 터브와 별도의 구조물로 형성될 수 있으나 터브(120)와 동일한 재질로 터브(12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토출덕트(123)는 후술할 공기공급장치(140)의 순환덕트(142)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어 터브(120) 또는 가스켓(122)에 삽입되어 체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토출덕트(123)가 가스켓(122)에 구비되는 것을 일예로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하지만 토출덕트(123)의 위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드럼(130)은 터브(120)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드럼(130)의 내측에는 도어(111) 측으로 투입되는 세탁물이 투입되어 적재된다. 이러한 드럼(130)에는 세탁수가 통공되는 다수의 탈수공(미도시)이 형성되며, 드럼(130)의 내측에는 드럼(130)이 회전될 때 드럼(130)에 적재된 세탁물을 거치하여 상승시킨 후 낙하시키는 리프트(132)가 형성된다. 리프트(132)에 의한 세탁물의 유동에 따라 세탁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공기공급장치(140)는 터브(120)의 공기를 가열 및 순환시켜 터브(120) 내부로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여 드럼(130) 내에 위치하는 세탁물을 건조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공기공급장치(140)는 터브(120)에 형성되는 흡기덕트(125)와, 가스켓(122)에 구비되는 토출덕트(123)를 연결하여 터브(120) 내부의 공기가 순환될 수 있는 유로를 형성한다.
한편, 공기공급장치(140)는 흡기덕트(125) 상부에 위치하여 터브(120)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송풍팬(141)과, 송풍팬(141)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토출덕트(123)로 안내하는 순환덕트(142)와, 순환덕트(142) 내부에 구비되어 순환덕트(142)를 통과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순환덕트(142)는 흡기덕트(125)와 토출덕트(123) 사이를 연결하며 터브(120)의 후방 일측에서 터브(120) 전방 중앙으로 휘어지는 상태로 연장되는 형태를 갖는다. 또한, 순환덕트(142)의 외측면에는 순환덕트(142)가 터브(120) 상부에 고정되기 위한 결합플랜지(143)가 돌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터브(120) 상부에는 결합플랜지(143)가 안착 고정되는 다수의 결합보스(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공기의 흐름관점에서 송풍팬(141)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히터에 의해 가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공기 유로상에서 공기의 유로방향에 있어 송풍팬(141)이 먼저 위치하며 히터는 공기의 유로방향에 있어 송풍팬(141)의 다음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경우 터브(120)의 외주면에서 공기를 직접 흡입하여 가열하고 터브(120)의 전방으로 공급하는 순환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터브(120) 내부에서 세탁물을 건조하는 공기는 세탁물에서 발생하는 습기에 의해 습한 공기로 전환된다. 그리고 세탁물을 건조하면서 전환되는 습한 공기는 터브(120)의 내부면을 응축면으로 하여 터브(120) 내면에서 응축수가 발생되면서 건조 공기로 전환된다.
여기서, 터브(120) 내면에서의 응축수 발생을 위해서는 터브(120) 내면이 습한 공기와의 온도 차이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터브(120) 내면을 지속으로 냉각할 필요가 있다. 터브(120) 내면의 냉각은 터브(120) 외부 공기의 자연대류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보다 효과적인 냉각을 위해서는 터브(120) 내면에 별도의 냉각수를 공급하여 터브(120) 내면을 냉각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터브(120) 내면을 냉각하기 위한 냉각수는 터브(120) 내면에 직접 공급되어 터브(120)의 내면을 냉각시킬 수 있다.
여기서, 터브(120), 드럼(130), 공기공급장치(140) 등의 구성은 종래 기술에 따른 터브, 드럼, 공기공급장치 등이 사용될 수도 있으며, 종래 기술보다 개선된 터브, 드럼, 공기공급장치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터브(120)의 내면 냉각을 위하여 터브(120)에 세탁수를 공급하기 위한 세제 디스펜서(160) 및 급수가이드(180)가 사용될 수 있다. 세제 디스펜서(160) 및 급수가이드(180)에 의한 냉각수 급수에 대해서는 급수가이드(180)의 설명시 상세히 하도록 한다.
다르게는 세탁물을 건조한 공기를 건조한 공기로 변환시키기 위하여 터브(120) 내부의 습한 공기의 일부를 터브(120) 외부로 배출하고, 터브(120) 외부의 건조한 공기를 일부 터브(120)로 유입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급수부(150)는 터브 후방 상부에 위치하며 캐비닛(110)의 후면커버(미도시)에 체결되며 세탁수, 냉각수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밸브부(151)와, 밸브부(151)를 통해 공급되는 세탁수 및 냉각수를 안내하는 다수의 호스(153, 155, 157, 159)들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밸브부(151)는 세탁 및 헹굼을 위한 세탁수의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급수밸브(152)와, 온수의 급수를 제어하기 위한 온수밸브(156)와, 급수밸브(152)와 별도로 별도의 세탁수의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보조급수밸브(154), 필터의 세척을 위해 세척수의 공급을 제어하는 세척수급수밸브(158) 등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급수밸브(152), 온수밸브(156), 보조급수밸브(154), 세척수급수밸브(158) 등에는 각 밸브(152, 154, 156, 158)에서 공급이 제어되는 세탁수(또는 냉각수), 온수, 체척수 등의 유로를 형성하는 급수호스(153), 온수호스(157), 보조급수호스(155), 세척수호스(159) 등이 구비된다.
여기서, 밸브부(151)의 급수밸브(152)는 세탁수와 냉각수의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즉, 급수밸브(152)는 밸브의 온/오프 시간을 제어하여 세탁수와 냉각수를 구별하여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냉각수 공급시 급수밸브(152)의 온/오프 간격은 약 0.2~0.5초 간격으로 반복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급수밸브(152)의 세탁수 및 냉각수 공급 제어의 경우 급수가이드(180)의 설명시 상세히 하도록 한다.
한편, 밸브부(151)는 급수밸브(152)의 시간 제어를 통하여 세척수 및 냉각수를 구별하여 공급할 수 있으나, 별도의 밸브를 통하여 세척수 및 냉각수를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밸브부(151)는 세탁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밸브(152)에 별도로 냉각수를 공급하기 위한 별도의 냉각수밸브(미도시) 및 냉각수호스(미도시)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급수호스(153), 보조급수호스(155), 온수호스(157)의 경우 모두 세제 디스펜서(160)로 연결되며, 세제 디스펜서(160)를 통하여 단순 급수되거나, 세제 디스펜서(160)에 투입된 액체/분발세제, 에비세제, 표백제, 섬유유연제 등과 혼합되어 터브(120)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세제 디스펜서(160)는 캐비닛(110) 내측 터브(120) 전방 상면에 위치하며, 캐비닛(110) 상면커버(113)에 위치하는 디스펜서 커버(114)의 개방에 따라 노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세탁장치(100)의 공기공급장치(140)에 구비되는 토출덕트(123)의 경우 터브(120) 전방 상부에 위치하며 공기공급장치(140)의 순환덕트(142)는 터브(120) 후방 일측에서 토출덕트(123)로 연장되는 형태를 갖는다.
이에 세제 디스펜서(160)의 경우 공기공급장치(140)의 토출덕트(123) 또는 순환덕트(142)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터브(120) 전방 중앙부를 기준으로 일측 또는 타측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가적으로, 세제 디스펜서(160)는 공기공급장치(140)의 토출덕트(123) 또는 순환덕트(142)를 중심으로 양측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일측 세제 디스펜서(160)는 세탁물의 세탁에 필요한 분말세제(또는 액체세제) 또는 세탁물의 애벌 세탁시 사용되는 예비세제 등이 투입될 수 있으며, 타측 세제 디스펜서(160)는 세탁물의 세탁 및 헹굼시 보조적으로 사용되는 표백제, 섬유유연제 등이 투입될 수 있다.
여기서, 공기공급장치(140)의 양측에 구비되는 세제 디스펜서(160)의 경우 동일한 구성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하지만 공기공급장치(140)의 양측에 구비되는 세제 디스펜서(160)의 경우 설치 공간 및 투입되는 세제의 종류에 따라 다른 크기 및 다른 구성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세제 디스펜서(160)의 경우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이러한 세제 디스펜서(160)는 급수부로부터 공급되는 세탁수 또는 냉각수가 일시 저수되는 함체 형상의 하우징(161)과, 하우징(161)의 상부에 구비되어 세탁수 및 냉각수의 저수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 커버(166)와, 하우징(161)의 하부에 연결되며 하우징(161)으로 급수되는 세탁수 또는 냉각수를 터브(120)로 안내하는 급수관(164)을 구비한다.
여기서, 하우징(161)과 하우징 커버(166)에 의해 형성되는 세탁수 및 냉각수의 저수 공간은 세제 디스펜서(160)의 외부와 연통되도록 구비되어 세제 디스펜서(160) 내부와 세제 디스펜서(160) 외부가 동일한 대기압이 형성되도록 구비된다.
한편, 하우징(161)은 급수부(150)에서 공급되는 세탁수 또는 냉각수가 일시 저장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면이 개방되는 함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측에 급수호스(153), 온수호스(157), 보조급수호스(155)가 연결되며 세탁수, 냉각수 또는 온수의 이동 유로를 형성하는 연결부(163a, 163b, 163c)가 형성되고, 하우징(161)의 후방 하부에는 하우징(161)으로 급수되는 세탁수 및 냉각수를 터브(120)로 안내하는 급수관(164)이 연결되는 급수관 연결부(162)가 구비된다.
이러한 하우징(161)은 세탁수가 공급될 경우에는 세제 디스펜서(160)로 투입된 세제와 세탁수가 혼합되는 공간을 형성하고, 냉각수가 공급될 경우 급수부(150)에서 소정의 압력으로 공급되는 냉각수의 압력이 대기압 상태로 저하되는 감압공간을 형성한다.
즉, 세제 디스펜서(160)는 세제 디스펜서(160)로 세탁수가 공급될 때와 냉각수가 공급될 때 각기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먼저 세탁수가 공급될 때는 상술한 바와 같이 공급된 세제와 세탁수가 혼합될 수 있는 세제 디스펜서의 본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하지만 냉각수가 공급될 경우에는 세제 디스펜서(160)의 본연의 기능에 더하여 냉각수의 공급압력을 대기압 상태로 저하시켜 공급하는 감압장치의 역할을 수행 할 수 있다.
즉, 냉각수의 경우 세탁물의 건조시 터브(120) 내면을 냉각하기 위하여 공급되는 것으로 급수부(150)에서는 소정의 급수 압력을 갖는 상태로 냉각수가 공급된다. 따라서 급수부(150)에서 터브(120)로 직접 냉각수가 공급될 경우 냉각수의 공급압력에 의해 터브(120) 내부에서 냉각수가 비산되어 드럼(130) 내부에 위치하는 세탁물(다르게는 건조 대상물)에 냉각수가 유입되어 세탁물의 건조효율을 저하시킬 수 있다.
따라서 냉각수가 터브(120)로 직접 공급되어 세탁물이 젖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급수부(150)에서 공급되는 냉각수의 압력을 저하시킬 필요가 있다. 여기서, 세제 디스펜서(160)로 공급되는 냉각수의 경우 세제 디스펜서(160)로 공급됨에 따라 대기압 상태의 하우징(161) 내부에 일시 저수되어 급수관(164)을 공급된다. 따라서 급수부(150)에서 공급되는 냉각수의 압력이 대기압 상태로 저하되어 터브(120)로 공급될 수 있으며, 냉각수에 의해 드럼(130) 내부의 세탁물(또는 건조 대상물)이 냉각수에 의해 젖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하우징 커버(166)는 하우징(161)의 상부에 안착되어 하우징(161)으로 공급되는 세탁수 또는 냉각수의 저수 공간을 형성함과 동시에 중앙부에 세제를 투입하기 위한 세제투입구(167)가 형성된다.
여기서, 급수관(164)은 하우징(161)의 급수관 연결부(162)에 체결되어 하우징(161)에 저수되는 세탁수 및 냉각수를 터브(120)에 구비되는 급수가이드(180)로 안내한다. 이러한 급수관(164)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61)의 급수관 연결부(162)가 삽입되어 체결되는 연결부(165a)와, 연결부(165a)에서 연장되며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트랩을 형성하는 U-트랩부(165b)와, U-트랩부(165b) 후단에 형성되어 터브(120)에 형성되는 급수가이드(180)가 삽입되어 체결되는 삽입부(165d)가 형성된다.
여기서, U-트랩부(165b)와 삽입부(165d) 사이에는 터브(120)의 진동이 세제 디스펜서(160)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벨로우즈부(165c)가 더 형성될 수 있다.
한편, U-트랩부(165b)는 하우징(161)을 통하여 공급되는 세탁수 또는 냉각수가 이동될 때 이동되는 세탁수 또는 냉각수의 일부가 저수되어 급수관(164)의 이동경로를 밀폐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이러한 U-트랩부(165b)에 의해 터브(120) 내부에서 발생되는 세제 거품 또는 공기가 세제 디스펜서(160)로 역류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삽입부(165d)의 외주면에는 삽입부(165d)에 급수가이드(180)가 삽입되어 체결될 때 삽입부(165d)의 외주면을 급수가이드(180) 측으로 가압하고 고정하는 스냅링(미도시)이 구비되며 삽입부(165d)의 외주면에는 스냅링이 안착되는 체결부(165e)가 형성된다.
상기 급수가이드(180)는 세제 디스펜서(160)를 통하여 공급되는 세탁수 또는 냉각수를 터브(120)의 내면을 통하여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도 6a에 도시한 바와같이 급수가이드(180)는 터브(120)의 외주면에 상에 터브(120)의 외측면으로 돌출되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급수가이드(180)에는 세제 디스펜서(160)의 급수관(164)이 연결되며, 세제 디스펜서(160)에는 급수밸브(152)에 의해 급수가 제어되는 급수호스(153)가 연결된다. 여기서 급수밸브(152)의 제어에 의해 급수호스(153)를 통해 공급되는 세탁수는 급수밸브(152)의 개폐 제어에 따른 공급방법에 따라 세탁수 또는 냉각수로 사용된다.
한편, 급수가이드(180)에는 공급되는 세탁수 또는 냉각수를 터브(120)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유입구(183)가 형성된다. 유입구(183)는 공급되는 세탁수 또는 냉각수가 터브(120)의 내면을 따라 흐르도록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터브(120)로 공급되는 세탁수 또는 냉각수가 드럼(130)으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 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특히, 급수가이드(180)의 유입구(183)는 유입구(183)에서 토출되는 세탁수 또는 냉각수가 드럼(130)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터브(120)의 내부에 위치하는 드럼(130)의 외측면보다 적어도 외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유입구(183)에서 바로 토출되는 냉각수가 드럼(130)에 유입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급수가이드(180)에 대하여 도 6b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세제 디스펜서(160)를 통하여 공급되는 세탁수 또는 냉각수를 터브(120)의 내면을 통하여 공급함과 동시에 세탁시 터브(120) 내부에서 발생하는 세제 거품 및 건조시 터브(120) 내부에서 발생하는 습한 공기가 세제 디스펜서(160)를 통하여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급수가이드(180)는 냉각수의 공급시 냉각수가 터브(120)의 내면을 따라 흐르도록 하여 냉각수가 드럼(130) 내부의 세탁물을 적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급수가이드(180)의 형성 위치는 터브(120)의 원주면 가장 외측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드럼(130)의 외주면과 가장 이격되어 급수가이드(180)로 공급되는 냉각수가 드럼(130)의 세탁물을 적실 가능성이 가장 저하될 수 있다. 또한, 급수가이드(180)는 세제디스펜서(160)에 인접하는 터브(120) 후방 외주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급수가이드(180)의 경우 세제디스펜서(160)의 급수관(164)에 삽입되어 스냅링(미도시)에 의해 고정되는 것으로, 스냅링에 의한 급수관(164)과의 결합시 급스관에 스냅링에 의한 체결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급수가이드(180)의 경우 캐비닛의 측면커버와 소정 간격(D)만큼 이격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급수가이드(180)는 세제 디스펜서(160)의 급수관(164)이 연결되는 중공이 형성되는 원기둥형태의 외측 연장부(181)와, 외측 연장부(181) 내측에 외측 연장부(181)의 내주면에 대하여 소정 간격 이격되는 형성되는 중공이 형성되는 원기둥 형태의 내측 연장부(182)와, 외측 연장부(181) 거치되며 내측 연장부(182) 내측으로 이격 삽입되어 세탁수 또는 냉각수가 저수됨에 따라 밀폐 공간을 형성하는 유로캡(185)을 구비한다.
여기서, 외측 연장부(181) 및 내측 연장부(182)는 터브(120)의 외주면에서 돌출 연장되며, 바람직하게는 터브(120)와 동일한 재질로 터브(120)의 외주면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외측 연장부(181)의 상단 외주면에는 세제 디스펜서(160)의 급수관(164)에 삽입되는 결합단턱(181a)이 형성되며, 외측 연장부(181)와 내측 연장부(182) 사이의 터브(120) 면에는 터브(120)를 관통하는 링 형상의 유입구(183)가 형성된다. 또한, 유입구(183)에는 내측 연장부(182)가 형성되는 터브(120) 면을 지지하기 위한 다수의 리브(184)가 내측 연장부(182)를 중심 방향으로 방사 형태로 형성된다.
한편, 외측 연장부(181)와 내측 연장부(182) 사이에 형성되는 유입구(183)는 링 형태 이외에 원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외측 연장부(181)와 내측 연장부(182) 사이에 형성되는 유입구(183) 이외의 공간은 세탁수 또는 냉각수가 유입구(183) 측으로 이동될 수 있는 원형유로(182a)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내측 연장부(182)의 내측에 형성되는 공간은 세탁수 또는 냉각수의 일부가 저수되어 저수공간(182b)을 형성하며, 저수공간(182b)은 유로캡(185)에 의해 유로캡(185)을 기준으로 급수관(164)과 터브(120) 내측을 차단한다.
이러한, 유로캡(185)은 외측 연장부(181)의 상단에 안착되고 중앙부에 세탁수 또는 냉각수가 내측 연장부(182)의 내측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관통되는 유입홀(187)이 형성되는 지지프랜지(186)가 구비된다. 지지프랜지(186)의 하부에서 링 형태로 연장되어 외측 연장부(181)의 내주면에 지지되는 장착턱(189)이 형성되며, 유입홀(187)의 내주면에는 내측 연장부(182)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콘 형태의 유로리브(188)가 형성된다. 여기서 유로리브(188)는 내측 연장부(182)의 내주면에 대하여 소정간격 이격되어 내측 연장부(182)의 높이보다 더 아래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급수가이드(180)의 설치 형태에 따르면, 세제디스펜서(160)를 통하여 세탁수 또는 냉각수가 급수됨에 따라 세탁수 또는 냉각수가 급수관(164)을 통하여 급수가이드(180)로 유입된다. 여기서 급수가이드(180)로 유입되는 세탁수 또는 냉각수는 급수가이드(180)의 유로캡(185)에 형성된 유입홀(187)을 따라 내측 연장부(182)의 저수공간(182b)으로 유입되어 저수공간(182b)에 일정량의 세탁수 또는 냉각수가 저장된다. 여기서 저수공간(182b)에 저장되는 세탁수 또는 냉각수는 내측 연장부(182)의 높이만큼 저장되며, 저수공간(182b)에 저장된 세탁수 또는 냉각수에는 유로캡(185)의 유로리브(188)의 하단부가 삽입된다. 따라서 내측 연장부(182)의 저수공간(182b)을 기준으로 외측 연장부(181)와 내측 연장부(182) 사이 공간과 유로캡(185) 상부 공간의 연통이 차폐된다.
한편, 외측 연장부(181)와 내측 연장부(182) 사이에 형성되는 유입구(183)의 경우 도 8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다수의 리브(184)에 의해 구획되는 링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링 형태로 형성되는 유입구(183)의 경우 터브(120) 내부에 위치하는 드럼(130)의 외주면과 중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급수가이드(180)의 유입구(183)를 통하여 급수되는 세탁수 또는 냉각수가 드럼(130)에 형성되는 다수의 탈수공으로 유입되어 드럼(130) 내부에 위치하는 세탁물을 적실 수 있다. 여기서 세탁수가 급수가이드(180)로 공급되는 경우에는 세탁물이 젖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냉각수가 급수가이드(180)로 공급될 경우에는 건조대상물인 세탁물이 젖게 되어 세탁물의 건조효율을 떨어뜨릴 수 있다.
따라서 급수가이드(180)의 유입구(183)를 통하여 터브(120)로 공급되는 냉각수가 드럼(13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도 10 내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 연장부(181)와 내측 연장부(182) 사이에 형성되는 유입구(183)의 형상을 드럼(130)과 중첩되는 부분을 차폐하여 유입구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외측 연장부(181)와 내측 연장부(182) 사이에 형성되는 링형태의 유입구(183)에서 드럼(130)과 중첩되는 일부를 차폐하여 링형태의 유입구(183)를 원호 형태로 변경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급수가이드(180)의 유입구(183)가 드럼(130)의 최 외측부분과 이격되어 어 유입구에서 공급되는 냉각수가 비교적 적게 드럼으로 유입된다. 유입구의 면적은 링형태의 유입구를 기준으로 적어도 25-75% 이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50%정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급수가이드(180)의 유입구(183)에 형성되는 리브(184)의 경우 단순 방사 형태로 내측 연장부(182)를 지지할 수 있다. 하지만 급수가이드(180)에 냉각수가 공급될 경우 급수가이드(180)에서 공급되는 냉각수는 터브(120)의 내면을 냉각시켜야 됨으로 비교적 넒은 범위로 냉각수를 확산시킬 필요가 있다. 유입구(183)에 형성되는 리브(184)의 경우 유입구(183)에서 배출되는 세탁수 또는 냉각수가 확장될 수 있도록 유입구(183)의 중심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a)로 확장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12 참고).
상술한 바와 같은 세탁장치(100) 작동을 간략히 살펴보면, 급수부(150)를 통해 터브(120)로 세탁수가 유입되고, 드럼(130)의 회전에 의해 세탁, 헹굼, 탈수행정이 수행된다. 한편, 세탁, 헹굼시 세탁수는 배수부(190)를 통해서 터브(120)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세탁과 헹굼 후 세탁물의 탈수행정이 진행되어 세탁과정이 완료된다.
또한, 건조행정이 진행될 경우 공기공급장치(140)의 송풍팬(141)에 의해 터브(120) 내부의 공기가 순환되며, 공기공급장치(140)의 히터가 공기를 가열한다. 이에 가열된 공기는 터브(120)와 공기공급장치를 순환하면서 드럼(130)에 적재된 세탁물을 건조한다. 여기서, 세탁물을 건조한 공기는 터브(120)의 내부와 외부의 온도 차이에 의해 터브(120)의 내주면에서 응축되어 배수부(190)에 의해 터브(120) 외부로 배수된다.
한편, 상술한 세탁장치(100)의 작동에 있어서 세탁물의 세탁/헹굼을 위하여 세탁수가 공급되어야 되며, 세탁물의 건조를 위하여 냉각수가 공급되어야 한다. 세탁수와 냉각수의 공급은 상술한 바와 같이 급수부(150)의 급수제어에 따라 구별될 수 있다.
이하 도 13을 참고하여 급수가이드(180)의 세탁수 급수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세탁수 급수의 경우 급수부(150)는 급수밸브(152)를 제어하여 터브로 세탁수를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급수밸브(152)는 터브(120)에 일정량의 세탁수가 급수될 때가지 연속적으로 개방되어 세탁수를 공급한다.
이때 급수부(150)에서 공급되는 세탁수는 세제디스펜서(160)에서 일시 저장되어 급수가이드(180)를 통하여 터브(120)로 공급된다. 여기서, 세제디스펜서(160)에서 급수가이드(180)로 안내되는 세탁수는 세제디스펜서(160)의 급수관을 통과하면서 일부 세탁수가 급수관(164)의 U-트랩부(165b)에 저수되어 급수관에서 트랩을 형성하면서 급수가이드(180)로 이동된다(도 5참조). 또한, 급수가이드(180)로 이동되는 세탁수는 급수가이드(180)의 내측 연장부(182)의 저수공간(182b)에 저수되고 저수공간(182b)에 저장된 세탁수에 유로리브(188)의 하단부가 삽입된 유로캡(185)에 의해 트랩을 형성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세탁수가 지속적으로 공급되면 세탁수는 사이펀 현상에 의해 급수관의 U-트랩부(165b)와 급수가이드(180)의 저수공간(182b)을 통과하면서 터브(120)로 세탁수가 공급된다.
이하 도 14를 참고하여 급수가이드(180)의 냉각수 급수과정을 설명한다. 냉각수 급수의 경우 급수부(150)는 급수밸브(152)를 제어하여 터브로 냉각수를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급수밸브(152)는 소정 시간 간혈적으로 온/오프를 반복하여 냉각수를 공급한다.
이때 급수부(150)에서 공급되는 냉각수는 세제디스펜서(160)에서 일시 저장되어 급수가이드(180)를 통하여 터브(120)로 공급된다. 여기서, 세제디스펜서(160)에서 급수가이드(180)로 안내되는 냉각수는 세제디스펜서(160)의 급수관을 통과하면서 일부 세탁수가 급수관(164)의 U-트랩부(165b)에 저수되어 급수관에서 트랩을 형성하면서 급수가이드(180)로 이동된다(도 5참조). 또한, 급수가이드(180)로 이동되는 냉각수는 급수가이드(180)의 내측 연장부(182)의 저수공간(182b)에 저수되고 저수공간(182b)에 저장된 세탁수에 유로리브(188)의 하단부가 삽입된 유로캡(185)에 의해 트랩을 형성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냉각수가 지속적으로 공급되면 세탁수는 사이펀 현상에 의해 급수관의 U-트랩부(165b)와 급수가이드(180)의 저수공간(182b)을 통과하면서 터브(120)로 냉각수가 공급된다.
한편, 급수가이드(180)의 유입구(183)를 통하여 터브(120)로 공급되는 냉각수는 세제디스펜서(160)의 감압작용에 의해 대기압상태로 공급되며, 급수부(150)의 간혈공급에 의해 비교적 적은양의 냉각수가 공급된다. 따라서 급수가이드(180)의 유입구(183)에서 공급되는 냉각수는 유입구(183)를 통과함에 따라 자중에 의해 터브(120)의 내면을 따라 흐르면서 터브(120)의 내면을 냉각하게 된다. 또한, 유입구(183)에 형성되는 리브(184)에 의해 유입구(183)를 통과하는 냉각수가 유입구(183)를 통과하면서 확산되어 터브의 내면을 따라 확산되면서 흐르면서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을 냉각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100)에 따르면 터브(120)의 내면을 응축면으로 하여 세탁물을 건조시킨 공기 중의 습기를 응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100)에 따르면 터브(120)의 내면에 냉각수를 공급하기 위한 별도의 구조물의 추가 없이 세탁수의 공급유로를 이용하여 냉각수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100)에 따르면 터브(120)의 내면에 냉각수를 공급하여 터브(120) 내면을 응축면으로 사용할 때 터브(120) 내면으로 공급되는 냉각수를 확산시켜 터브(120) 내면에 의한 응축수 생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100)에 따르면 터브(120)의 내면에 냉각수를 공급할 때 터브(120)로 공급되는 냉각수가 드럼(130)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여 세탁물의 건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100)에 따르면 세탁물의 세탁시 세제에 의해 발생되는 거품 및 건조시 발생하는 습공기가 세제디스펜서(160)를 통하여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 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앞으로의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Claims (14)

  1. 세탁수가 저장되며 세탁물의 건조시 내부면이 응축면을 형성하는 터브와;
    상기 터브 상부 후방 일측에 형성되는 흡기덕트와, 상기 터브 전방 중앙에 위치하는 토출덕트와, 상기 흡기덕트에 구비되는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과 상기 토출덕트를 연결하는 연결덕트 및 상기 연결덕트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연결덕트를 통과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를 구비하며, 상기 터브 내부의 공기를 상기 터브 후방에서 상기 터브 전방으로 순환 공급하는 공기공급장치와;
    세탁수를 공급하는 급수부;
    상기 터브 상부 전방 타측에 위치하며 투입되는 세제와 급수부에서 공급되는 세탁수를 혼합하며, 세탁수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세제디스펜서와;
    상기 터브 상부 후방 타측에 위치하며, 상기 세제디스펜서에 연결되어 상기 세제디스펜서에서 이동되는 세탁수의 일부가 저수되어 저수된 세탁수가 상기 터브 내의 거품 또는 습공기가 상기 세제디스펜서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급수가이드를 포함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가이드는
    상기 터브의 외주면에서 돌출되며 중공이 형성되는 외측 연장부와,
    상기 외측 연장부의 내측에서 돌출되며 중공이 형성되는 내측 연장부와,
    상기 외측 연장부와 상기 내측 연장부 사이의 공간에 상기 터브 외주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유입구와,
    상기 외측 연장부에 안착되어 상기 내측 연장부에 삽입되어 트랩을 형성하는 유로캡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는 상기 외측 연장부와 상기 내측 연장부 사이의 공간에 링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는 상기 외측 연장부와 상기 내측 연장부 사이의 공간에 원호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는 상기 외측 연장부와 상기 내측 연장부 사이의 공간에 형성되며 상기 내측 연장부를 지지하는 리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는 상기 외측 연장부와 상기 내측 연장부 사이의 공간에 형성되며 상기 내측 연장부의 중심에서 방사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내측 연장부를 지지하는 리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연장부는 중앙부에 상기 세탁수가 일시 저수되는 저수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유로캡은 상기 저수공간에 저수된 세탁수에 삽입되어 상기 급수가이드의 유로를 차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 디스펜서는
    상기 세탁수가 일시 저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으로 상기 세제가 투입되는 세제 투입구가 형성되는 하우징 커버와,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어 상기 터브로 상기 세탁수를 안내하는 급수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세제와 상기 세탁수와 혼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관은 U형상의 U-트랩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부는 상기 세탁수 및 상기 냉각수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급수밸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부는 상기 세탁수 및 상기 냉각수를 공급시간을 제어하여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가이드는 상기 터브의 원주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흡기덕트에 대향되는 위치로 상기 터브의 후방 타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 전방에 가스켓이 구비되며, 상기 토출덕트는 상기 가스켓을 관통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KR1020160114125A 2016-09-05 2016-09-05 세탁장치 KR201800270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4125A KR20180027042A (ko) 2016-09-05 2016-09-05 세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4125A KR20180027042A (ko) 2016-09-05 2016-09-05 세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7042A true KR20180027042A (ko) 2018-03-14

Family

ID=61660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4125A KR20180027042A (ko) 2016-09-05 2016-09-05 세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2704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37415A1 (en) 2018-03-07 2019-09-11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CN110894664A (zh) * 2018-09-12 2020-03-20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提升装置及洗衣机
WO2022028272A1 (zh) * 2020-08-06 2022-02-10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洗衣设备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37415A1 (en) 2018-03-07 2019-09-11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CN110894664A (zh) * 2018-09-12 2020-03-20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提升装置及洗衣机
CN110894664B (zh) * 2018-09-12 2023-08-01 青岛海尔洗涤电器有限公司 一种洗衣机提升装置及洗衣机
WO2022028272A1 (zh) * 2020-08-06 2022-02-10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洗衣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09921B2 (en) Detergent dispenser for washing machine
CA2893205C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with sealing unit
CN103924428B (zh) 衣物处理机
CA2658603C (en) Multiple laundry treat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200270793A1 (en)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KR101594368B1 (ko)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CA2659256A1 (en) Multiple laundry treating machine
KR100808199B1 (ko) 복합 의류 처리 장치
JP2008099920A (ja) 洗濯機
KR20180027042A (ko) 세탁장치
JP2012223305A (ja) 洗濯機
KR101560386B1 (ko) 의류처리장치
KR20180055419A (ko) 의류처리장치
EP3907325A1 (en) Air inlet assembly and laundry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20180027040A (ko) 세탁장치
KR20180027041A (ko) 세탁장치
KR101176486B1 (ko) 세탁기의 증기 역류 방지 장치
JP2007229001A (ja) 乾燥機能付き洗濯機
KR100562623B1 (ko) 세탁 건조기
KR20230104838A (ko) 의류처리장치
KR101594369B1 (ko) 의류처리장치
JPH11290581A (ja) ドラム式洗濯機
JP6609442B2 (ja) 自動洗濯機
KR100717457B1 (ko) 드럼 세탁기
KR20200081348A (ko) 의류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