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8829B1 - 멀티 디스플레이 패널의 거치대 및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멀티 디스플레이 패널의 거치대 및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8829B1
KR101758829B1 KR1020100127632A KR20100127632A KR101758829B1 KR 101758829 B1 KR101758829 B1 KR 101758829B1 KR 1020100127632 A KR1020100127632 A KR 1020100127632A KR 20100127632 A KR20100127632 A KR 20100127632A KR 101758829 B1 KR101758829 B1 KR 1017588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abandoned
main frame
disposed
registration f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76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66344A (ko
Inventor
최만용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276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8829B1/ko
Publication of KR201200663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63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88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88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06F1/1607Arrangements to support accessories mechanically attached to the display hou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5Picture in picture, e.g. displaying simultaneously another television channel in a region of the scree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0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s on the outside of ca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 디스플레이 패널의 거치대 및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패널의 거치대는 메인 프레임(Main Frame), 상기 메인 프레임에 배치되고, 영상을 표시하는 패널이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패널 거치대 및 회전하는 힘을 수직방향으로 변환하여 상기 패널을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높이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멀티 디스플레이 패널의 거치대 및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Supporter for Multi Display Panel and Multi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멀티 디스플레이 패널의 거치대 및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패널은 화면에 소정의 영상을 표시하는 것으로, 디스플레이 패널에는 액정 표시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LCD), 전계 방출 표시 패널(Field Emission Display, FED), 유기 표시 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등과 같은 종류가 있다.
본 발명은 멀티 디스플레이 패널을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 및 이를 포함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패널의 거치대는 메인 프레임(Main Frame), 상기 메인 프레임에 배치되고, 영상을 표시하는 패널이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패널 거치대 및 회전하는 힘을 수직방향으로 변환하여 상기 패널을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높이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높이 조절부는 회전하는 힘을 수직방향으로 변환하는 베벨기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벨기어부는 상기 패널 거치대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제 1 축, 상기 제 1 축에 연결되는 제 1 기어, 상기 제 1 기어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맞물리는 제 2 기어 및 상기 제 2 기어에 연결되는 제 2 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축은 상기 제 1 축과 직교하고, 상기 제 2 축의 끝단에는 손잡이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프레임에는 홀(Hole)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축은 상기 메인 프레임에 형성된 홀을 관통하고, 상기 손잡이는 상기 메인 프레임의 외곽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널 거치대의 양쪽 끝단에 배치되는 롤러(Roll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프레임은 사각 틀 형태를 갖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메인 프레임의 테두리에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롤러는 상기 홈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홈은 상기 메인 프레임의 테두리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롤러는 메인 롤러 및 상기 메인 롤러의 측면에 배치되며, 직경이 상기 메인 롤러보다 작은 가이드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롤러는 상기 홈 내에 위치하고, 상기 가이드 롤러는 상기 홈의 주연(Fringe)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롤러의 축과 상기 가이드 롤러의 축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롤러와 상기 가이드 롤러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프레임의 모서리에는 상기 패널 거치대 및/또는 상기 롤러와 상기 메인 프레임의 충돌을 방지하는 제 1 완충부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널 거치대의 양쪽 끝단에는 상기 패널 거치대 및/또는 상기 롤러와 상기 제 1 완충부의 충돌을 방지하는 제 2 완충부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완충부의 높이는 상기 롤러의 직경보다는 작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패널 거치대는 복수개이고, 인접하는 두 개의 상기 패널 거치대를 연결하는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널 거치대에는 패널을 결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에는 고정부가 배치되고, 상기 고정부의 전면에 상기 패널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배치되는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에 결합되는 머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홀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머리부는 상기 홀의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홀 내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는 수나사를 포함하고, 상기 머리부는 상기 수나사에 대응하는 암나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은 상기 고정부의 상기 머리부의 직경보다 큰 폭을 갖는 제 1 부분 및 상기 제 1 부분과 연결되며, 상기 머리부의 직경보다 작은 폭을 갖는 제 2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프레임(Base Frame)을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상기 메인 프레임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프레임은 복수개이고, 복수의 상기 메인 프레임은 매트릭스(Matrix)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프레임은 제 1 메인 프레임과 상기 제 1 메인 프레임과 수직 방향으로 인접하는 제 2 메인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메인 프레임과 상기 제 2 메인 프레임의 사이에는 양쪽 내측에 롤러를 가이드 하기 위한 홀이 각각 형성된 공통 바(Bar)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메인 프레임과 상기 제 2 메인 프레임은 상기 공통 바를 공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높이 조절부는 상기 패널 거치대의 하부에 배치되고, 회전 시 상기 패널을 수직이동시키는 나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멀티 디스플레이 패널의 거치대는 메인 프레임(Main Frame), 상기 메인 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 프레임, 상기 고정 프레임에 연결되며, 영상을 표시하는 패널이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패널 거치대 및 상기 고정 프레임과 상기 패널 거치대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패널을 상기 패널의 전방으로 기울이기 위한 틸팅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프레임에는 상기 틸팅부를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 홀이 형성되고, 상기 틸팅부의 일측은 상기 가이드 홀에 연결되고, 상기 틸팅부의 타측은 상기 패널 거치대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패널 거치대의 타측은 상기 고정 프레임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프레임에는 제 1 연결부가 배치되고, 상기 패널 거치대의 일측 상부에는 상기 제 1 연결부에 대응되는 제 2 연결부가 배치되고, 상기 틸팅부의 움직임에 의해 상기 제 1 연결부가 상기 제 2 연결부에 걸릴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연결부와 상기 제 2 연결부의 연결을 해제하기 위한 연결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 제어부는 상기 고정 프레임을 관통할 수 있다.
또한, 회전하는 힘을 수직방향으로 변환하여 상기 패널을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높이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메인 프레임(Main Frame), 각각의 상기 메인 프레임에 배치되는 복수의 패널 거치대, 상기 패널 거치대에 거치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 및 각각의 상기 패널 거치대에 배치되며, 회전하는 힘을 수직방향으로 변환하여 상기 패널을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복수의 높이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널 거치대에는 홀이 형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에는 플레이트가 배치되고, 상기 플레이트에는 상기 홀에 거치되는 고정부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배치되는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에 결합되는 머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홀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머리부는 상기 홀의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홀 내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은 상기 고정부의 상기 머리부의 직경보다 큰 폭을 갖는 제 1 부분 및 상기 제 1 부분과 연결되며, 상기 머리부의 직경보다 작은 폭을 갖는 제 2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메인 프레임(Main Frame), 상기 메인 프레임에 고정되는 복수의 고정 프레임, 상기 고정 프레임에 연결되는 복수의 패널 거치대, 상기 패널 거치대에 거치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고정 프레임과 상기 패널 거치대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상기 패널의 전방으로 기울이기 위한 틸팅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패널의 거치대 및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는 보다 손쉽게 디스플레이 패널들을 거치할 수 있으며, 거치한 디스플레이 패널들의 조정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5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 및 그의 구동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및
도 6 내지 도 46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패널의 거치대 및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
아울러, 이하의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디스플레이 패널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에 적용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이외에 액정 표시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LCD), 전계 방출 표시 패널(Field Emission Display, FED), 유기 표시 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인 경우도 가능하다.
도 1 내지 도 5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 및 그의 구동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살펴보면,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0, 110, 120, 130)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0~130) 중 제 1 패널(100)에는 제 1-1 구동부(101)와 제 1-2 구동부(102)가 구동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1 구동부(101)와 제 1-2 구동부(102)는 하나의 통합 구동부로 병합될 수 있다.
또한, 제 2 패널(110)에는 제 2-1 구동부(111)와 제 2-2 구동부(112)가 구동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각각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0, 110, 120, 130)에는 서로 다른 구동부가 각각 구동신호를 공급하도록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에서 각각의 구동부는 구동보드일 수 있다.
또한, 도 2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제 1 패널(100)의 후면, 즉 제 1 패널(100)의 후면기판의 후면에 제 1 플레이트(300)가 배치되고, 제 2 패널(110)의 후면에는 제 2 플레이트(310)가 배치되고, 제 3 패널(120)의 후면에는 제 3 플레이트(320)가 배치되고, 제 4 패널(130)의 후면에는 제 4 플레이트(330)가 배치될 수 있다.
제 1, 2, 3, 4 플레이트(300~330)의 배면에는 제 1, 2, 3, 4 패널(100~130)에 구동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구동보드(101~132)가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1, 2, 3, 4 플레이트(300~330)의 배면에는 컨트롤 보드, 데이터 보드 및 스캔/서스테인 통합 구동보드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인접하는 두 개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사이에는 Seam부(140, 15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Seam부(140, 150)를 인접하는 두 개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사이 영역이라고 할 수 있다.
멀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10)는 개별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0~130)들을 인접하게 배치하여 영상을 구현하기 때문에 인접하는 두 개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0~130)의 사이에는 Seam(140, 150)부가 형성될 수 있다.
도 3을 살펴보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0~130)은 복수의 제 1 전극(202(Y), 203(Z))과 교차하는 복수의 제 2 전극(213, X)이 형성되는 후면 기판(211)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전극(202, 203)은 서로 나란한 스캔 전극(202, Y)과 서스테인 전극(203, Z)을 포함할 수 있고, 제 2 전극(211)은 어드레스 전극이라고 할 수 있다.
스캔 전극(202, Y)과 서스테인 전극(203, Z)이 형성된 전면 기판(201)에는 스캔 전극(202, Y) 및 서스테인 전극(203, Z)의 방전 전류를 제한하며 스캔 전극(202, Y)과 서스테인 전극(203, Z) 간을 절연시키는 상부 유전체 층(204)이 배치될 수 있다.
상부 유전체 층(204)이 형성된 전면 기판(201)에는 방전 조건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보호 층(205)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보호 층(205)은 2차 전자 방출 계수가 높은 재질, 예컨대 산화마그네슘(MgO)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후면 기판(211) 상에는 어드레스 전극(213, X)이 형성되고, 이러한 어드레스 전극(213, X)이 형성된 후면 기판(211)의 상부에는 어드레스 전극(213, X)을 덮으며 어드레스 전극(213, X)을 절연시키는 하부 유전체 층(215)이 형성될 수 있다.
하부 유전체 층(215)의 상부에는 방전 공간 즉, 방전 셀을 구획하기 위한 스트라이프 타입(Stripe Type), 웰 타입(Well Type), 델타 타입(Delta Type), 벌집 타입 등의 격벽(212)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면 기판(201)과 후면 기판(211)의 사이에서 적색(Red : R)광을 방출하는 제 1 방전 셀, 청색(Blue : B)광을 방출하는 제 2 방전 셀 및 녹색(Green : G)광을 방출하는 제 3 방전 셀 등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방전셀에서는 어드레스 전극(213)이 스캔 전극(202) 및 서스테인 전극(203)과 교차할 수 있다. 즉, 방전셀은 어드레스 전극(213)이 스캔 전극(202) 및 서스테인 전극(203)과 교차하는 지점에 형성되는 것이다.
격벽(212)에 의해 구획된 방전 셀 내에는 소정의 방전 가스가 채워질 수 있다.
아울러, 격벽(212)에 의해 구획된 방전 셀 내에는 어드레스 방전 시 화상표시를 위한 가시 광을 방출하는 형광체 층(214)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적색 광을 발생시키는 제 1 형광체 층, 청색 광을 발생시키는 제 2 형광체 층 및 녹색 광을 발생시키는 제 3 형광체 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후면 기판(211) 상에 형성되는 어드레스 전극(213)은 폭이나 두께가 실질적으로 일정할 수도 있지만, 방전 셀 내부에서의 폭이나 두께가 방전 셀 외부에서의 폭이나 두께와 다를 수도 있을 것이다. 예컨대, 방전 셀 내부에서의 폭이나 두께가 방전 셀 외부에서의 그것보다 더 넓거나 두꺼울 수 있을 것이다.
스캔 전극(202), 서스테인 전극(203) 및 어드레스 전극(213) 중 적어도 하나로 소정의 신호가 공급되면 방전셀 내에서는 방전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방전셀 내에서 방전이 발생하게 되면, 방전셀 내에 채워진 방전 가스에 의해 자외선이 발생할 수 있고, 이러한 자외선이 형광체층(214)의 형광체 입자에 조사될 수 있다. 그러면, 자외선이 조사된 형광체 입자가 가시광선을 발산함으로써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화면에는 소정의 영상이 표시될 수 있는 것이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영상의 계조를 구현하기 위한 영상 프레임(Frame)에 대해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여기서, 프레임은 영상 프레임(Image Frame)으로서 이후에 설명된 멀티 디스플레이 패널의 거치대에 포함된 프레임, 예컨대 메인 프레임과는 다른 것이다.
도 4를 살펴보면 영상의 계조(Gray Level)를 구현하기 위한 프레임은 복수의 서브필드(Subfield, SF1~SF8)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복수의 서브필드는 방전셀을 방전이 발생하지 않을 방전셀을 선택하거나 혹은 방전이 발생하는 방전셀을 선택하기 위한 어드레스 기간(Address Period) 및 방전횟수에 따라 계조를 구현하는 서스테인 기간(Sustain Period)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56 계조로 영상을 표시하고자 하는 경우에 예컨대 하나의 프레임은 도 4와 같이 8개의 서브필드들(SF1 내지 SF8)로 나누어지고, 8개의 서브 필드들(SF1 내지 SF8) 각각은 어드레스 기간과 서스테인 기간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프레임의 복수의 서브필드 중 적어도 하나의 서브필드는 초기화를 위한 리셋 기간을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프레임의 복수의 서브필드 중 적어도 하나의 서브필드는 서스테인 기간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서스테인 기간에 공급되는 서스테인 신호의 개수를 조절하여 해당 서브필드의 가중치를 설정할 수 있다. 즉, 서스테인 기간을 이용하여 각각의 서브필드에 소정의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서브필드의 가중치를 20으로 설정하고, 제 2 서브필드의 가중치를 21로 설정하는 방법으로 각 서브필드의 가중치가 2n(단, n = 0, 1, 2, 3, 4, 5, 6, 7)의 비율로 증가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 서브필드에서 가중치에 따라 각 서브필드의 서스테인 기간에서 공급되는 서스테인 신호의 개수를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영상의 계조를 구현할 수 있다.
여기, 도 4에서는 하나의 영상 프레임이 8개의 서브필드로 이루어진 경우만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와는 다르게 하나의 영상 프레임을 이루는 서브필드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서브필드부터 제 12 서브필드까지의 12개의 서브필드로 하나의 영상 프레임을 구성할 수도 있고, 10개의 서브필드로 하나의 영상 프레임을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여기 도 4에서는 하나의 영상 프레임에서 가중치의 크기가 증가하는 순서에 따라 서브필드들이 배열되었지만, 이와는 다르게 하나의 영상 프레임에서 서브필드들이 가중치가 감소하는 순서에 따라 배열될 수도 있고, 또는 가중치에 관계없이 서브필드들이 배열될 수도 있는 것이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파형에 대해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도 5를 살펴보면, 프레임(Frame)의 복수의 서브필드(Sub-Field) 중 적어도 하나의 서브필드의 초기화를 위한 리셋 기간(Reset Period : RP)에서는 스캔 전극(Y)으로 리셋 신호(RS)를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리셋 신호(RS)는 전압이 점진적으로 상승하는 상승 램프 신호(Ramp-Up : RU) 및 전압이 점진적으로 하강하는 하강 램프 신호(Ramp-Down : RD)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리셋 기간의 셋업 기간(SU)에서는 스캔 전극에 상승 램프 신호(RU)가 공급되고, 셋업 기간 이후의 셋다운 기간(SD)에서는 스캔 전극에 하강 램프 신호(RD)가 공급될 수 있다.
스캔 전극에 상승 램프 신호가 공급되면, 상승 램프 신호에 의해 방전 셀 내에는 약한 암방전(Dark Discharge), 즉 셋업 방전이 일어난다. 이 셋업 방전에 의해 방전 셀 내에는 벽 전하(Wall Charge)의 분포가 균일해질 수 있다.
상승 램프 신호가 공급된 이후, 스캔 전극에 하강 램프 신호가 공급되면, 방전 셀 내에서 미약한 소거 방전(Erase Discharge), 즉 셋다운 방전이 발생한다. 이 셋다운 방전에 의해 방전 셀 내에는 어드레스 방전이 안정되게 일어날 수 있을 정도의 벽전하가 균일하게 잔류될 수 있다.
리셋 기간 이후의 어드레스 기간(AP)에서는 하강 램프 신호의 최저 전압보다는 높은 전압을 갖는 스캔 기준 신호(Ybias)가 스캔 전극에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어드레스 기간에서는 스캔 기준 신호(Ybias)의 전압으로부터 하강하는 스캔 신호(Sc)가 스캔 전극에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적어도 하나의 서브필드의 어드레스 기간에서 스캔 전극으로 공급되는 스캔 신호의 펄스폭은 다른 서브필드의 스캔 신호의 펄스폭과 다를 수 있다. 예컨대, 시간상 뒤에 위치하는 서브필드에서의 스캔 신호의 폭이 앞에 위치하는 서브필드에서의 스캔 신호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서브필드의 배열 순서에 따른 스캔 신호 폭의 감소는 2.6㎲(마이크로초), 2.3㎲, 2.1㎲, 1.9㎲ 등과 같이 점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거나 2.6㎲, 2.3㎲, 2.3㎲, 2.1㎲......1.9㎲, 1.9㎲ 등과 같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스캔 신호가 스캔 전극으로 공급될 때, 스캔 신호에 대응되게 어드레스 전극(X)에 데이터 신호(Dt)가 공급될 수 있다.
이러한 스캔 신호와 데이터 신호가 공급되면, 스캔 신호와 데이터 신호 간의 전압 차와 리셋 기간에 생성된 벽 전하들에 의한 벽 전압이 더해지면서 데이터 신호가 공급되는 방전 셀 내에는 어드레스 방전이 발생될 수 있다.
아울러, 어드레스 방전이 발생하는 어드레스 기간에서 서스테인 전극에는 스캔 전극과 어드레스 전극 사이에서 어드레스 방전이 효과적으로 발생하도록 하기 위해 서스테인 기준 신호(Zbias)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어드레스 기간 이후의 서스테인 기간(SP)에서는 스캔 전극 또는 서스테인 전극 중 적어도 하나에 서스테인 신호(SUS)가 공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캔 전극과 서스테인 전극에 교번적으로 서스테인 신호가 공급될 수 있다.
이러한 서스테인 신호가 공급되면, 어드레스 방전에 의해 선택된 방전 셀은 방전 셀 내의 벽 전압과 서스테인 신호의 서스테인 전압(Vs)이 더해지면서 서스테인 신호가 공급될 때 스캔 전극과 서스테인 전극 사이에 서스테인 방전 즉, 표시방전이 발생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46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패널의 거치대 및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 예컨대, 이하에서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이 적용되는 경우만을 설명하지만,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이외에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등의 다른 종류의 디스플레이 패널도 적용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도 6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패널의 거치대 및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는 메인 프레임(Main Frame, 4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메인 프레임(400)은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기 위해 충분히 높은 강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러한 메인 프레임(400)은 금속 재질, 예컨대 알루미늄 재질, 철 재질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또는 나무 등의 비금속 재질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메인 프레임(400)은 사각 틀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며, 아울러 메인 프레임(400)의 테두리에는 홈(410)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홈(410)은 메인 프레임(400)의 테두리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도 7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패널의 거치대 및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는 메인 프레임(400)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패널 거치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패널 거치대(500)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등의 디스플레이 패널이 거치될 수 있고, 이를 위해 패널 거치대(500)는 충분히 높은 강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패널 거치대(500)에는 패널이 거치되기 위한 홀(51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홀(510)의 쓰임새는 이후에 상세히 설명한다.
아울러, 패널 거치대(500)의 양쪽 끝단에는 롤러(Roller, 600)가 설치될 수 있다.
패널 거치대(500)의 끝단에 설치된 롤러(600)는 메인 프레임(400)에 형성된 홈(410)에 끼워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패널 거치대(500)에 거치된 디스플레이 패널은 메인 프레임(400) 내에서 자유로운 좌/우 이동이 가능하다.
도 8의 (a), (b), (c)를 살펴보면, 롤러(600)는 메인 롤러(610) 및 메인 롤러(610)의 측면에 배치되는 가이드 롤러(6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 롤러(620)의 직경은 메인 롤러(610)의 직경보다 작고, 가이드 롤러(620)의 축은 메인 롤러(610)의 축은 동일할 수 있다.
이러한 메인 롤러(610)와 가이드 롤러(620)는 별개로 형성된 이후에 결합되어 하나의 롤러(600)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롤러(600)의 강도를 충분히 높은 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해 메인 롤러(610)와 가이드 롤러(620)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 9와 같이, 메인 롤러(610)는 메인 프레임(400)에 형성된 홈(410)에 끼워져 홈(410) 내에 위치할 수 있고, 가이드 롤러(620)는 홈(410)의 주연(Fringe, 420)에 위치할 수 있다.
메인 롤러(610)는 가이드 롤러(620)의 가이드(Guide)에 따라 홈(410)을 따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도 10을 살펴보면, 메인 프레임(400)의 모서리에는 패널 거치대(500) 및/또는 패널 거치대(500)의 끝단에 설치된 롤러(600)와 메인 프레임(400)의 충돌을 방지하는 제 1 완충부(420)가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도 11과 같이, 패널 거치대(500)의 양쪽 끝단에는 패널 거치대(500) 및/또는 롤러(600)와 제 1 완충부(420)의 충돌을 방지하는 제 2 완충부(520)가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제 1 완충부(420) 및/또는 제 2 완충부(520)의 재질은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한 고무 재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는, 제 1 완충부(420) 및/또는 제 2 완충부(520)가 패널 거치대(500) 및/또는 롤러(600)와 메인 프레임(400)을 소정 거리 이격시킬 수 있다는 것을 고려하면 제 1 완충부(420) 및/또는 제 2 완충부(520)가 금속 재질을 포함하더라도 패널 거치대(500) 및/또는 롤러(600)와 메인 프레임(400)의 충돌 시 충격량을 저감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완충부(420)는 고무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패널 거치대(500)에 거치된 패널을 도 10 및/또는 도 11에서 표시된 화살표의 방향으로 강하게 이동시키더라도 제 1 완충부(420) 및/또는 제 2 완충부(520)에 의해 충돌에 따른 충격량을 줄일 수 있다.
도 12를 살펴보면, 제 2 완충부(520)는 소정의 체결수단(521)에 의해 패널 거치대(500)에 체결될 수 있다. 이처럼, 제 2 완충부(520)가 체결수단(521)에 의해 패널 거치대(500)에 체결되는 것을 고려하면, 제 2 완충부(520)는 금속 재질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아울러, 제 2 완충부(520)는 패널 거치대(500) 및/또는 롤러(600)가 메인 프레임(400) 및/또는 제 1 완충부(420)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면 충분하기 때문에 그 크기가 크지 않아도 관계없다.
예를 들면, 도 12와 같이, 제 2 완충부(520)의 높이(H)는 롤러(600)의 직경, 즉 메인 롤러(610)의 직경(R)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패널 거치대(500)는 복수개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3의 경우와 같이, 패널 거치대(500)는 2개일 수 있다.
아울러, 인접하는 패널 거치대(500)의 사이에는 지지대(530)가 배치되어 인접하는 두 개의 패널 거치대(500)를 연결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지지대(530)의 측면에는 홀(531)을 형성하고, 패널 거치대(500)의 측면에도 홀(501)을 형성하고, 소정의 체결수단(532)을 이용하여 지지대(530)의 홀(531)과 패널 거치대(500)의 홀(501)을 통해 지지대(530)와 패널 거치대(500)를 체결할 수 있다.
한편, 패널 거치대(500)에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거치될 수 있는데, 이처럼 패널 거치대(500)에 디스플레이 패널이 거치되기 위해서는, 도 14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배면에 배치되는 플레이트(300)의 배면에 고정부(700)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고정부(700)는, 도 15와 같이, 베이스부(710), 베이스부(710)에 배치되는 돌출부(720) 및 돌출부(720)에 결합되는 머리부(7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머리부(720)의 폭(W2)은 베이스부(710)의 폭(W1)보다 작을 수 있다.
아울러, 돌출부(720)는 수나사를 포함하고, 머리부(730)는 돌출부(720)의 수나사에 대응하는 암나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머리부(730)와 돌출부(720)가 강한 힘으로 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고정부(700)의 전면, 즉 고정부(700)의 베이스부(710)에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에 플레이트가 배치되고, 플레이트의 배면은 고정부(700)의 베이스부(710)에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한 고정부(700)는 패널 거치대(500)에 형성된 홀(500)에 끼워짐으로써, 결과적으로 디스플레이 패널이 패널 거치대(500)에 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고정부(700)가 패널 거치대(500)의 홀(500)에 용이하게 끼워지기 위해서는, 도 16과 같이, 홀(510)은 고정부(700)의 머리부(730)의 직경(W2)보다 큰 폭(R1)을 갖는 제 1 부분(511) 및 제 1 부분(511)과 연결되며 머리부(730)의 직경(W2)보다 작은 폭(R2)을 갖는 제 2 부분(512)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도 17의 (a)와 같이, 고정부(700)의 머리부(730)가 제 1 부분(511)을 통과하여 홀(510)의 타측에 위치할 수 있고, 이때 고정부(700)의 베이스부(710)는 머리부(730)의 반대쪽, 즉 홀(51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베이스부(710)와 머리부(730)의 사이에 위치하는 돌출부(720)는 홀(510) 내에 위치하는 상태가 된다.
여기서, 머리부(730)를 회전시켜 머리부(730)가 베이스부(710)쪽으로 이동하도록 조이면, 고정부(700)가 패널 거치대(500)에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7의 (b)와 같이, 베이스부(710)에 연결된 플레이트(300)도 패널 거치대(500)에 고정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디스플레이 패널이 패널 거치대(500)에 거치될 수 있는 것이다.
도 18을 살펴보면, 패널 거치대(500)의 후방에는 홀(510)을 통해 결합된 패널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 조절부(800)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높이 조절부는 패널 거치대(500)에 결합되는 바디부(810), 바디부(810)의 수평방향으로 압력을 가하기 위한 수평 가압부(820) 및 수평 가압부(820)가 가하는 수평방향의 힘을 수직방향으로 변환하는 수직 가압부(8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패널 거치대(500)는 메인 프레임(400)의 전면을 향하는 제 1 면(First Plane, 540), 제 1 면(540)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며, 메인 프레임(400)의 후면을 향해 돌출되는 제 2 면(Second Plane, 550) 및 제 1 면(540)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되며, 메인 프레임(400)의 후면을 향해 돌출되는 제 3 면(Third Plane, 560)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패널 거치대(500)의 제 2 면(550) 및 제 3 면(560)에는 각각 제 1 홀(551, 561)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홀(551, 561)은 패널 거치대(500)의 길이방향으로의 폭(L1)이 패널 거치대(500)의 수직 방향으로의 폭(L2)보다 클 수 있다.
또한, 높이 조절부(800)의 바디부(810)의 양쪽 측면에는 제 2 홀(811)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 2 홀(811)은 패널 거치대(500)의 길이방향으로의 폭(L4)이 패널 거치대(500)의 수직 방향으로의 폭(L3)보다 작을 수 있다.
여기서, 높이 조절부(800)의 수직 가압부(830)는 제 1 가이드부(831)와 제 2 가이드부(832)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수직 가압부(830)는 제 1 가이드부(831)와 제 2 가이드부(832)를 연결하는 가이드 연결부(833)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가이드부(831)의 일측 끝단은 제 2 면(550)의 제 1 홀(551)에 끼워지고, 타측 끝단은 제 3 면(560)의 제 1 홀(561)에 끼워질 수 있다.
또한, 제 2 가이드부(832)의 양측 끝단은 각각 바디부(810)의 양쪽 측면에 형성되는 제 2 홀(811)에 끼워질 수 있다.
또한, 수평 가압부(820)는 수나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디부(810)에는 관통홀(812)이 형성될 수 있으며, 수평 가압부(820)는 관통홀(812)을 관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9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수평 가압부(820)에 패널 거치대(500)의 수직 방향으로 힘을 가했을 경우를 가정하여 보자. 이러한 경우는 사용자가 수평 가압부(82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바디부(810)에 형성된 관통홀(812)을 통해 수평 가압부(820)을 바디부(810)의 내부로 진입시키는 경우이다.
이러한 경우에는, 도 20과 같이 수평 가압부(820)가 가하는 힘은 수직 가압부(830)에 의해 패널 거치대(500)와 나란한 방향의 힘으로 변환될 수 있다. 즉, 수평 가압부(820)는 제 2 가이드부(832)에 압력을 가하여 제 2 가이드부(832)가 바디부(810)의 제 2 홀(811) 내에서 패널 거치대(500)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 1 가이드부(8310)가 제 1 홀(551,561) 내에서 패널 거치대(500)의 길이방향, 즉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패널 거치대(500)의 홀(510)에 배치된 고정부(700)를 수직 가압부(830)가 지지하면서 밀어 올리게 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인접하는 디스플레이 패널들을 밀착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18을 살펴보면, 패널 거치대(500)의 후방에는 홀(510)을 통해 결합된 패널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 조절부(800)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높이 조절부는 패널 거치대(500)에 결합되는 바디부(810), 바디부(810)의 수평방향으로 압력을 가하기 위한 수평 가압부(820) 및 수평 가압부(820)가 가하는 수평방향의 힘을 수직방향으로 변환하는 수직 가압부(8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패널 거치대(500)는 메인 프레임(400)의 전면을 향하는 제 1 면(First Plane, 540), 제 1 면(540)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며, 메인 프레임(400)의 후면을 향해 돌출되는 제 2 면(Second Plane, 550) 및 제 1 면(540)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되며, 메인 프레임(400)의 후면을 향해 돌출되는 제 3 면(Third Plane, 560)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패널 거치대(500)의 제 2 면(550) 및 제 3 면(560)에는 각각 제 1 홀(551, 561)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홀(551, 561)은 패널 거치대(500)의 길이방향으로의 폭(L1)이 패널 거치대(500)의 수직 방향으로의 폭(L2)보다 클 수 있다.
또한, 높이 조절부(800)의 바디부(810)의 양쪽 측면에는 제 2 홀(811)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 2 홀(811)은 패널 거치대(500)의 길이방향으로의 폭(L4)이 패널 거치대(500)의 수직 방향으로의 폭(L3)보다 작을 수 있다.
여기서, 높이 조절부(800)의 수직 가압부(830)는 제 1 가이드부(831)와 제 2 가이드부(832)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수직 가압부(830)는 제 1 가이드부(831)와 제 2 가이드부(832)를 연결하는 가이드 연결부(833)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가이드부(831)의 일측 끝단은 제 2 면(550)의 제 1 홀(551)에 끼워지고, 타측 끝단은 제 3 면(560)의 제 1 홀(561)에 끼워질 수 있다.
또한, 제 2 가이드부(832)의 양측 끝단은 각각 바디부(810)의 양쪽 측면에 형성되는 제 2 홀(811)에 끼워질 수 있다.
또한, 수평 가압부(820)는 수나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디부(810)에는 관통홀(812)이 형성될 수 있으며, 수평 가압부(820)는 관통홀(812)을 관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9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수평 가압부(820)에 패널 거치대(500)의 수직 방향으로 힘을 가했을 경우를 가정하여 보자. 이러한 경우는 사용자가 수평 가압부(82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바디부(810)에 형성된 관통홀(812)을 통해 수평 가압부(820)을 바디부(810)의 내부로 진입시키는 경우이다.
이러한 경우에는, 도 20과 같이 수평 가압부(820)가 가하는 힘은 수직 가압부(830)에 의해 패널 거치대(500)와 나란한 방향의 힘으로 변환될 수 있다. 즉, 수평 가압부(820)는 제 2 가이드부(832)에 압력을 가하여 제 2 가이드부(832)가 바디부(810)의 제 2 홀(811) 내에서 패널 거치대(500)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 1 가이드부(8310)가 제 1 홀(551,561) 내에서 패널 거치대(500)의 길이방향, 즉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패널 거치대(500)의 홀(510)에 배치된 고정부(700)를 수직 가압부(830)가 지지하면서 밀어 올리게 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인접하는 디스플레이 패널들을 밀착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높이 조절부의 또 다른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1을 살펴보면, 패널 거치대(500)의 후방에는 홀(510)을 통해 결합된 패널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 조절부(2101)가 배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높이 조절부(2101)는 회전하는 힘을 수직방향으로 변환하여 패널을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서 패널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높이 조절부(2101)는, 도 21의 경우와 같이, 회전하는 힘을 수직방향으로 변환하는 베벨기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자세하게는, 베벨기어부는 패널 거치대(500)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제 1 축(2100), 제 1 축(2100)에 연결되는 제 1 기어(2110), 제 1 기어(2110)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맞물리는 제 2 기어(2130) 및 제 2 기어(2130)에 연결되는 제 2 축(2120)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제 2 축(2120)은 제 1 축(2100)과 직교하고, 제 2 축(2120)의 끝단에는 손잡이(2140)가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사용자가 제 2 축(2120)에 연결된 손잡이(2140)를 회전시키게 되면, 손잡이(2140)에 가해지는 회전력이 제 2 기어(2130) 및 제 1 기어(2110)를 회전시키게 된다. 그러면, 제 1 기어(2110)가 회전하면서 제 1 축(2100)을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제 1 기어(2110)가 회전하면서 제 1 축(2100)을 밀어 올리거나 혹은 끌어내리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이를 위해, 제 1 축(2100)에는 나사선이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22와 같은 상태에서 손잡이(2140)를 회전시키게 되면, 제 1 기어(2110)가 회전하면서 제 1 축(2100)을 상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러면, 도 23의 경우와 같이, 제 1 축(2100)의 끝단에 형성된 받침대(2210)에 의해 고정부(700)가 밀려 올라감으로써, 고정부(700)에 연결된 패널이 상측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또한, 패널의 높이 조절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해 각각의 패널 거치대(500)에 각각 높이 조절부(2101)를 배치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4의 경우와 같이, 하나의 메인 프레임(400)에 두 개의 패널 거치대(500A, 550B), 즉 제 1 패널 거치대(500A)와 제 2 패널 거치대(500B)가 배치될 수 있고, 이러한 제 1 패널 거치대(500A)와 제 2 패널 거치대(500B)에 각각 높이 조절부(2101A, 2101B)가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도 25의 경우와 같이, 제 1 패널 거치대(500A)에는 제 1 높이 조절부(2101A)가 배치되고, 제 2 패널 거치대(500B)에는 제 2 높이 조절부(2101B)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 1 패널 거치대(500A)와 제 2 패널 거치대(500B)가 메인 프레임(400)의 제 1 장변(First Long Side, LS1)과 제 2 장변(Second Long Side, LS2)에 걸쳐 있다고 가정하면, 제 1 높이 조절부(2101A)와 제 2 높이 조절부(2101B)의 손잡이(2140A, 2140B)는 제 1 단변(Frist Short Side, SS1)과 제 2 단변(Second Short Side, SS2) 중 어느 한쪽에 위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1 패널 거치대(500A)와 메인 프레임(400)의 제 2 단변(SS2) 간의 간격(D1)이 제 2 패널 거치대(500B)와 메인 프레임(400)의 제 1 단변(SS1) 간의 간격(D2)보다 큰 경우에, 제 1 높이 조절부(2101A)와 제 2 높이 조절부(2101B)의 손잡이(2140A, 2140B)는 제 1 단변(SS1)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 1 높이 조절부(2101A)와 제 2 높이 조절부(2101B)의 제 2 축(2120A, 2120B)의 길이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제 1 높이 조절부(2101A)의 제 2 축(2120A)의 길이는 제 2 높이 조절부(2101B)의 제 2 축(2120B)의 길이보다 길 수 있고, 제 1 높이 조절부(2101A)의 제 1 축(2100A)의 길이는 제 2 높이 조절부(2101B)의 제 2 축(2100B)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
또한, 제 2 높이 조절부(2101B)의 제 2 축(2120B)의 길이보다 더 긴 길이를 갖는 제 1 높이 조절부(2101A)의 제 2 축(2120A)은 제 2 패널 거치대(500B)를 관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26의 경우와 같이, 제 2 패널 거치대(500B)에는 소정의 홀(2600)이 형성되고, 이러한 홀(2600)을 통해 제 1 높이 조절부(2101A)의 제 2 축(2120A)이 관통할 수 있다.
아울러, 도 27의 경우와 같이, 제 1 높이 조절부(2101A)의 제 2 축(2120A)과 제 2 높이 조절부(2101B)의 제 2 축(2120B)은 메인 프레임(400)을 관통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를 위해, 메인 프레임(400)에는 소정의 홀(2700, 2710)이 형성되고, 이러한 홀(2700, 2710)을 통해 제 1 높이 조절부(2101A)의 제 2 축(2120A)과 제 2 높이 조절부(2101B)의 제 2 축(2120B)이 관통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 1 높이 조절부(2101A)의 손잡이(2140A)와 제 2 높이 조절부(2101B)의 손잡이(2140B)는 메인 프레임(400)의 외곽에 위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복수의 메인 프레임(400)을 인접하게 배치하는 경우 인접하는 두 개의 메인 프레임(400)에서는 서로 다른 위치에 높이 조절부(2101)의 손잡이(2140)를 위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28의 경우와 같이, 제 1 메인 프레임(400A)의 제 2 단변(SS2)과 제 2 메인 프레임(400B)의 제 1 단변(SS1)이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경우를 가정하여 보자.
이러한 경우, 제 1 높이 조절부(2101A)의 손잡이(2140A)와 제 2 높이 조절부(2101B)의 손잡이(2140B)는 제 1 메인 프레임(400A)에서는 제 1 단변(SS1)측에 배치되고, 제 1 높이 조절부(2101A)의 손잡이(2140A)와 제 2 높이 조절부(2101B)의 손잡이(2140B)는 제 2 메인 프레임(400B)에서는 제 2 단변(SS2)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 패널들의 높이 조절이 더욱 용이할 수 있다.
또는, 도 29의 경우와 같이, 또 다른 형태의 높이 조절부(2900)가 패널 거치대(500)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높이 조절부(2900)는 메인 프레임(400)의 제 2 장변(LS2)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높이 조절부(2900)는, 도 30의 경우와 같이, 손잡이(2901)와 나사선(2902)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나사선(2902)은 손잡이(2901)를 통해 가해지는 회전력을 패널 거치대(500)에 수직 방향으로 전달함으로써 패널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메인 프레임(400)에는 높이 조절부(2900)의 나사선(2902)이 관통하기 위한 소정의 홀(3000)이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패널 거치대(500)에 연결된 패널을 패널의 전방으로 기울이기 위한 틸팅부에 대해 설명한다.
도 31을 살펴보면, 메인 프레임(400)에 고정 프레임(3100)이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 프레임(3100)에는 패널이 고정되지 않기 때문에 패널 거치대(500)와는 다르게 패널을 고정시키기 위한 홀이 형성되지 않아도 관계없다.
이러한 경우를 앞선 도 7의 경우와 비교하면, 패널 거치대(500)가 고정 프레임(3100)으로 대체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고정 프레임(3100)에 롤러(600)가 배치되는 것이다.
패널이 고정되는 패널 거치대(500)는 고정 프레임(310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패널 거치대(500)와 고정 프레임(3100)의 사이에는 패널을 패널의 전방으로 기울이기 위한 틸팅부(3110)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틸팅부(3110)는 고정 프레임(3100) 및 패널 거치대(500)에 고정되지 않고 움직임이 가능한 수준에서 고정 프레임(3100)과 패널 거치대(500)에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2를 살펴보면, 고정 프레임(3100)에는 틸팅부(3110)를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 홀(3200)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틸팅부(3110)의 일측은 가이드 홀(3200)에 연결되고, 틸팅부(3110)의 타측은 패널 거치대(500)의 일측에 연결되고, 패널 거치대(500)의 타측은 고정 프레임(3100)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패널 거치대(500)의 타측은 고정 프레임(3100)에 고정되지 않고 움직일 수 있는 수준에서 연결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에서 틸팅부(3110)의 움직임에 따라 패널 거치대(500)가 전방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패널 거치대(500)에 고정되는 패널이 전방으로 기울어질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도 33의 (A)와 같이 틸팅부(3110)의 일측이 가이드 홀(3200)의 상부(Po1)에 위치하는 경우에 틸팅부(3110)의 타측이 고정 프레임(3100)으로부터 멀어짐으로써 패널 거치대(500)가 전방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반면에, 도 33의 (B)와 같이 틸팅부(3110)의 일측이 가이드 홀(3200)의 하부(Po2)에 위치하는 경우에 틸팅부(3110)의 타측이 고정 프레임(3100)에 접근함으로써 패널 거치대(500)가 고정 프레임(3100)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처럼, 패널을 전방으로 기울일 수 있는 경우에는 패널들의 연결 공정이 보다 용이해질 수 있다.
도 34를 살펴보면, 고정 프레임(3100)에는 제 1 연결부(3400)가 배치되고, 패널 거치대(500)의 일측 상부에는 제 1 연결부(3400)에 대응되는 제 2 연결부(3410)가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제 1 연결부(3400)는 틸팅부(3110)의 움직임에 의해 제 2 연결부(3410)에 걸리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35의 경우와 같이, 틸팅부(3110)의 일측이 가이드 홀(3200)의 하부에 위치하여 패널 거치대(500)가 고정 프레임(3100)쪽으로 접근하게 되면, 제 1 연결부(3400)가 제 2 연결부(3410)에 걸리게 되고, 이에 따라 패널 거치대(500)가 고정 프레임(3100)에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제 1 연결부(3400)가 제 2 연결부(3410)에 보다 강하게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 제 2 연결부(3410)는 구부러진 형태를 갖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36의 경우와 같이, 제 2 연결부(3410)는 패널 거치대(500)의 일부가 길이방향(DR1)과 교차하는 방향(DR2)으로 구부러짐으로써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제 2 연결부(3410)는 패널 거치대(500)의 외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 1 연결부(3400)와 제 2 연결부(3410)의 연결을 해제하기 위해 연결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도 37의 경우와 같이, 고정 프레임(3100)에는 소정의 홀(370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홀(3700)에는 도 38의 경우와 같이 연결 제어부(3800)가 위치할 수 있다.
연결 제어부(3800)는 폭이 서로 다른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연결 제어부(3800)는 제 1 폭(T1)을 갖는 제 1 부분(3801)과 제 1 폭(T1)보다 작은 제 2 폭(T2)을 갖는 제 2 부분(3802)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연결 제어부(3800)의 제 2 부분(3802)이 고정 프레임(3100)의 홀(3700) 내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도 39의 경우와 같이, 제 1 고정부(3700)가 제 2 부분(3802)에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고정부(3700)는 중력에 의해 도 35의 경우와 같이 제 2 고정부(3410)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반면에, 연결 제어부(3800)의 제 1 부분(3801)이 고정 프레임(3100)의 홀(3700) 내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도 40의 경우와 같이, 제 1 고정부(3700)가 제 1 부분(3801)에 의해 밀려 올라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고정부(3700)는 제 2 고정부(3410)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패널 거치대(500)에 고정된 패널이 전방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연결 제어부(3800)를 이용하게 되면, 용이하게 패널을 전방으로 기울일 수 있다.
도 41을 살펴보면, 복수의 메인 프레임(400A~400D)이 매트릭스(Matrix)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각각의 메인 프레임(400A~400D)에는 플레이트(300~330)가 배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패널(100~130)이 대응될 수 있다. 즉, 각각의 메인 프레임(400A~400D)에는 패널 거치대(500)에 플레이트(300~330)가 배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패널(100~130)이 하나씩 거치될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복수의 메인 프레임(400A~400D)에 하나씩의 디스플레이 패널(100~130)을 배치할 때,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100~130)을 보다 밀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패널 거치대(500)의 양쪽 끝단에 배치되는 롤러(600)를 이용하여 도 42와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메인 프레임(400A)의 측면에서 끼워 넣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의 조립 공정이 단순해 질 수 있다.
아울러,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메인 프레임(400A)의 측면에서 끼워 넣을 수 있기 때문에 수평 방향으로 인접한 두 개의 패널, 예컨대 제 1 패널(100)과 제 2 패널(110) 간의 간격 및 제 3 패널(120)과 제 4 패널(130) 간의 간격을 줄일 수 있다. 즉, 인접하는 두 개의 패널의 경계영역(Seam)의 크기를 줄일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현하는 영상의 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각각의 디스플레이 패널(100~130)의 수평방향으로의 이동이 자유로워 미세 조정이 용이할 수 있다.
또한, 앞선 도 19 내지 도 20과 같은 방법을 사용하게 되면, 수직 방향으로의 이동이 자유로울 수 있고, 수직 방향으로 미세 조정이 용이하며, 아울러 수직 방향으로 인접한 두 개의 패널, 예컨대 제 1 패널(100)과 제 3 패널(120) 간의 간격 및 제 2 패널(110)과 제 4 패널(130) 간의 간격을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현하는 영상의 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43을 살펴보면, 제 1 메인 프레임(400A)과 제 1 메인 프레임(400A)과 수직 방향으로 인접하는 제 3 메인 프레임(400C)은 공통 바(Common Bar, 900)를 공유할 수 있다.
여기서, 공통 바(900)는 제 1 메인 프레임(400A)과 제 3 메인 프레임(400C)의 사이에 배치되며, 양쪽 내측에 롤러(600)를 가이드 하기 위한 홀(410A, 410B)이 각각 형성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수직 방향으로 인접하는 두 개의 메인 프레임(400A, 400B)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수직 방향으로 인접하는 두 개의 메인 프레임(400A, 400B)의 사이에 배치되는 공통 바(900)는 제 1 메인 프레임(400A)에서 사용되는 홈(410A) 및 제 2 메인 프레임(400B)에서 사용되는 홈(400B)을 모두 포함할 수 있는 것이다.
도 44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패널의 거치대 및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는 베이스 프레임(Base Frame, 10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베이스 프레임(1000)에는 메인 프레임(400A~400D)이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탠드 타입의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가 완성될 수 있다.
또는, 베이스 프레임(1000)을 생략하고, 각각의 메인 프레임(400A~400D)을 벽(Wall) 등에 고정하여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를 완성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한편, 틸팅부(311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여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45의 경우와 같이, 2ㅧ2 매트릭스(Matrix) 형태로 배치된 제 1, 2, 3, 4 패널(400A~400D)을 포함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를 가정하여 보자.
이러한 경우, 제 1, 2 패널(400A, 400B)에 대응하여 베벨기어 타입의 높이 조절부(2101)를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대해서는 앞선 도 21 내지 도 28에서 상세히 설명하였다.
반면에, 제 3, 4 패널(400C, 400D)에 대응하여서는 앞선 도 29 내지 도 40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높이 조절부 및 틸팅부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1, 2 패널(400A, 400B)은 제 3, 4 패널(400C, 400D)의 상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베벨기어 타입의 높이 조절부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제 1, 2 패널(400A, 400B)을 들어 올릴(Lift)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46의 경우와 같이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제 1, 2 패널(400A, 400B)을 상부 방향(DR30)으로 용이하게 분리하거나 또는 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3, 4 패널(400C, 400D)은 제 1, 2 패널(400A, 400B)의 하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제 3, 4 패널(400C, 400D)을 상부로 들어 올려 분리하기는 어려울 수 있다. 반면에,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틸팅부를 사용하게 되면, 제 3, 4 패널(400C, 400D)을 전방으로 기울일 수 있기 때문에, 도 46의 경우와 같이, 제 1, 2 패널(400A, 400B)이 결합된 상태에서도 제 3, 4 패널(400C, 400D)을 전방(DR31)으로 용이하게 분리하거나 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37)

  1. 메인 프레임(Main Frame);
    상기 메인 프레임에 배치되고, 영상을 표시하는 패널이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패널 거치대; 및
    회전하는 힘을 수직방향으로 변환하여 상기 패널을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높이 조절부;
    를 포함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패널의 거치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부는 회전하는 힘을 수직방향으로 변환하는 베벨기어부를 포함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패널의 거치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베벨기어부는 상기 패널 거치대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제 1 축;
    상기 제 1 축에 연결되는 제 1 기어;
    상기 제 1 기어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맞물리는 제 2 기어; 및
    상기 제 2 기어에 연결되는 제 2 축;
    을 포함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패널의 거치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축은 상기 제 1 축과 직교하고, 상기 제 2 축의 끝단에는 손잡이가 연결되는 멀티 디스플레이 패널의 거치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에는 홀(Hole)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축은 상기 메인 프레임에 형성된 홀을 관통하고, 상기 손잡이는 상기 메인 프레임의 외곽에 위치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패널의 거치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거치대의 양쪽 끝단에 배치되는 롤러(Roller)를 더 포함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패널의 거치대.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은 사각 틀 형태를 갖는 멀티 디스플레이 패널의 거치대.
  8. [청구항 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의 테두리에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롤러는 상기 홈에 위치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패널의 거치대.
  9. [청구항 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메인 프레임의 테두리의 내측에 형성되는 멀티 디스플레이 패널의 거치대.
  10. [청구항 1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메인 롤러; 및
    상기 메인 롤러의 측면에 배치되며, 직경이 상기 메인 롤러보다 작은 가이드 롤러;
    를 포함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패널의 거치대.
  11. [청구항 1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롤러는 상기 홈 내에 위치하고, 상기 가이드 롤러는 상기 홈의 주연(Fringe)에 위치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패널의 거치대.
  12.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롤러의 축과 상기 가이드 롤러의 축은 동일한 멀티 디스플레이 패널의 거치대.
  13.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롤러와 상기 가이드 롤러는 일체로 형성되는 멀티 디스플레이 패널의 거치대.
  14.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의 모서리에는 상기 패널 거치대 및/또는 상기 롤러와 상기 메인 프레임의 충돌을 방지하는 제 1 완충부가 배치되는 멀티 디스플레이 패널의 거치대.
  15. [청구항 1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거치대의 양쪽 끝단에는 상기 패널 거치대 및/또는 상기 롤러와 상기 제 1 완충부의 충돌을 방지하는 제 2 완충부가 배치되는 멀티 디스플레이 패널의 거치대.
  16. [청구항 1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완충부의 높이는 상기 롤러의 직경보다는 작은 멀티 디스플레이 패널의 거치대.
  17. [청구항 1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거치대는 복수개이고, 인접하는 두 개의 상기 패널 거치대를 연결하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패널의 거치대.
  18. [청구항 1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거치대에는 패널을 결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홀이 형성되는 멀티 디스플레이 패널의 거치대.
  19. [청구항 1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홀에는 고정부가 배치되고, 상기 고정부의 전면에 상기 패널이 결합되는 멀티 디스플레이 패널의 거치대.
  20. [청구항 2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배치되는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에 결합되는 머리부;
    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홀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머리부는 상기 홀의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홀 내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패널의 거치대.
  21. [청구항 2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수나사를 포함하고, 상기 머리부는 상기 수나사에 대응하는 암나사를 포함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패널의 거치대.
  22. [청구항 2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홀은
    상기 고정부의 상기 머리부의 직경보다 큰 폭을 갖는 제 1 부분; 및
    상기 제 1 부분과 연결되며, 상기 머리부의 직경보다 작은 폭을 갖는 제 2 부분;
    을 포함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패널의 거치대.
  23. [청구항 2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에 있어서,
    베이스 프레임(Base Frame)을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상기 메인 프레임에 연결되는 멀티 디스플레이 패널의 거치대.
  24. [청구항 2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은 복수개이고,
    복수의 상기 메인 프레임은 매트릭스(Matrix) 형태로 배치되는 멀티 디스플레이 패널의 거치대.
  25. [청구항 2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은 제 1 메인 프레임과 상기 제 1 메인 프레임과 수직 방향으로 인접하는 제 2 메인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메인 프레임과 상기 제 2 메인 프레임의 사이에는 양쪽 내측에 롤러를 가이드 하기 위한 홀이 각각 형성된 공통 바(Bar)가 배치되는 멀티 디스플레이 패널의 거치대.
  26. [청구항 2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인 프레임과 상기 제 2 메인 프레임은 상기 공통 바를 공유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패널의 거치대.
  27. [청구항 2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부는 상기 패널 거치대의 하부에 배치되고, 회전 시 상기 패널을 수직이동시키는 나사를 포함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패널의 거치대.
  28. 메인 프레임(Main Frame);
    상기 메인 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 프레임; 및
    상기 고정 프레임에 연결되며, 영상을 표시하는 패널이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패널 거치대; 및
    상기 고정 프레임과 상기 패널 거치대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패널을 상기 패널의 전방으로 기울이기 위한 틸팅부;
    를 포함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패널의 거치대.
  29. [청구항 2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프레임에는 상기 틸팅부를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 홀이 형성되고,
    상기 틸팅부의 일측은 상기 가이드 홀에 연결되고, 상기 틸팅부의 타측은 상기 패널 거치대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패널 거치대의 타측은 상기 고정 프레임에 연결되는 멀티 디스플레이 패널의 거치대.
  30. [청구항 3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프레임에는 제 1 연결부가 배치되고,
    상기 패널 거치대의 일측 상부에는 상기 제 1 연결부에 대응되는 제 2 연결부가 배치되고,
    상기 틸팅부의 움직임에 의해 상기 제 1 연결부가 상기 제 2 연결부에 걸리는 멀티 디스플레이 패널의 거치대.
  31. [청구항 3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부와 상기 제 2 연결부의 연결을 해제하기 위한 연결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 제어부는 상기 고정 프레임을 관통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패널의 거치대.
  32. [청구항 3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28 항에 있어서,
    회전하는 힘을 수직방향으로 변환하여 상기 패널을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높이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패널의 거치대.
  33. 복수의 메인 프레임(Main Frame);
    각각의 상기 메인 프레임에 배치되는 복수의 패널 거치대;
    상기 패널 거치대에 거치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 및
    각각의 상기 패널 거치대에 배치되며, 회전하는 힘을 수직방향으로 변환하여 상기 패널을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복수의 높이 조절부;
    를 포함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34. [청구항 3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거치대에는 홀이 형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에는 플레이트가 배치되고,
    상기 플레이트에는 상기 홀에 거치되는 고정부가 배치되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35. [청구항 3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배치되는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에 결합되는 머리부;
    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홀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머리부는 상기 홀의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홀 내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36. [청구항 3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홀은
    상기 고정부의 상기 머리부의 직경보다 큰 폭을 갖는 제 1 부분; 및
    상기 제 1 부분과 연결되며, 상기 머리부의 직경보다 작은 폭을 갖는 제 2 부분;
    을 포함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37. [청구항 3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복수의 메인 프레임(Main Frame);
    상기 메인 프레임에 고정되는 복수의 고정 프레임;
    상기 고정 프레임에 연결되는 복수의 패널 거치대;
    상기 패널 거치대에 거치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고정 프레임과 상기 패널 거치대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상기 패널의 전방으로 기울이기 위한 틸팅부;
    를 포함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00127632A 2010-12-14 2010-12-14 멀티 디스플레이 패널의 거치대 및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KR1017588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7632A KR101758829B1 (ko) 2010-12-14 2010-12-14 멀티 디스플레이 패널의 거치대 및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7632A KR101758829B1 (ko) 2010-12-14 2010-12-14 멀티 디스플레이 패널의 거치대 및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6344A KR20120066344A (ko) 2012-06-22
KR101758829B1 true KR101758829B1 (ko) 2017-07-18

Family

ID=46685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7632A KR101758829B1 (ko) 2010-12-14 2010-12-14 멀티 디스플레이 패널의 거치대 및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882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2968A (ko) * 2018-01-31 2019-08-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00036408A (ko) * 2018-09-28 2020-04-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멀티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설치 방법
WO2022203254A1 (ko) * 2021-03-22 2022-09-2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9903B1 (ko) * 2012-09-14 2019-04-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50293B1 (ko) * 2012-09-14 2019-1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55299B1 (ko) * 2018-03-07 2022-10-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WO2022192903A1 (en) * 2021-03-12 2022-09-15 Sage Electrochromics, Inc. Support system for transparent devices
KR102522816B1 (ko) * 2022-09-14 2023-04-19 고윤찬 디스플레이 패널 거치 프레임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2968A (ko) * 2018-01-31 2019-08-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421442B1 (ko) 2018-01-31 2022-07-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00036408A (ko) * 2018-09-28 2020-04-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멀티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설치 방법
KR102550293B1 (ko) * 2018-09-28 2023-07-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멀티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설치 방법
WO2022203254A1 (ko) * 2021-03-22 2022-09-2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6344A (ko) 2012-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8829B1 (ko) 멀티 디스플레이 패널의 거치대 및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KR101969903B1 (ko)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KR20140035739A (ko)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KR101969902B1 (ko)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KR100330030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구동방법
US2004025731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gain for each position of plasma display panel
EP2824500A1 (en) Multiple three-dimensional display
KR20110111190A (ko) 멀티 디스플레이 패널의 거치대 및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KR20010054282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
KR101596387B1 (ko) 멀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59449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166691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및 멀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849108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에 따른 제조과정
KR20110128561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를 이용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어레이
KR20010037563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구동방법
KR100806304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1707575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어레이
KR20130101948A (ko) 멀티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
KR20130101950A (ko) 멀티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
KR20130101951A (ko) 멀티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
KR20080049410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599648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의 구동 방법
KR20130101949A (ko) 멀티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
KR20010087719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의 구동방법
KR20090077261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