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9903B1 -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9903B1
KR101969903B1 KR1020120102397A KR20120102397A KR101969903B1 KR 101969903 B1 KR101969903 B1 KR 101969903B1 KR 1020120102397 A KR1020120102397 A KR 1020120102397A KR 20120102397 A KR20120102397 A KR 20120102397A KR 101969903 B1 KR101969903 B1 KR 1019699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disposed
display module
display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2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5741A (ko
Inventor
이재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023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9903B1/ko
Priority to EP12008105.4A priority patent/EP2709086B1/en
Priority to US13/693,324 priority patent/US9414503B2/en
Priority to CN201310014745.9A priority patent/CN103680318B/zh
Publication of KR201400357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57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9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99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geometrical disposition of the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6Video wall, i.e. stackable semiconductor matrix display modul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6Combining plural substrates to produce large-area displays, e.g. tiled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46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display composed of modules, e.g. video wal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8Tiled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는 메인 프레임(Main Frame), 상기 메인 프레임에 배치되는 복수의 모듈 거치대, 상기 모듈 거치대에 거치되며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을 포함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Display Module) 및 인접하는 두 개의 디스플레이 모듈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두 개의 디스플레이 모듈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Multi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서로 인접하게 배치하여 제작할 수 있다.
이러한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는 작은 사이즈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이용하여 대형 사이즈의 화면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모듈을 보호하는 기판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인접하는 디스플레이 모듈들을 용이하게 정렬시킬 수 있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는 메인 프레임(Main Frame), 상기 메인 프레임에 배치되는 복수의 모듈 거치대, 상기 모듈 거치대에 거치되며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을 포함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Display Module) 및 인접하는 두 개의 디스플레이 모듈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두 개의 디스플레이 모듈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간격 조절부는 베이스 플레이트(Base Plate),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제 1 면(First Surface)에 배치되는 제 1 돌출부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기 제 1 면에 대항되는 제 2 면(Second Surface)에 배치되는 제 2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인접하는 제 1 디스플레이 모듈 및 제 2 디스플레이 모듈은 각각 홀(Hole)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돌출부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모듈에 형성되는 홀에 삽입되고, 상기 제 2 돌출부는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모듈에 형성되는 홀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돌출부 및 상기 제 2 돌출부 중 제 1 돌출부에는 나사선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돌출부의 직경은 상기 제 2 돌출부의 직경보다 더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돌출부의 길이는 상기 제 1 돌출부의 길이보다 길거나 같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기 제 1 면 및 상기 제 2 면에 인접하는 제 3 면(Third Surface)의 표면 거칠기는 상기 제 1 면 및 상기 제 2 면의 표면 거칠기보다 더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2 디스플레이 모듈은 각각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에 부착되는 프레임(Frame), 상기 프레임의 후방에 위치하는 후면커버(Back Cover) 및 상기 프레임과 상기 후면커버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홀을 포함하는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폭 방향으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직경은 상기 구조물의 폭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모듈의 경계부분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기 구조물 보다 후방으로 더 돌출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는 레일(Rail)을 포함하는 측면커버(Side Cover)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방에 기판을 위치시킴으로써 기판을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방에 용이하게 배치시킬 수 있으며 기판들을 용이하게 정렬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는 가스 스프링 등의 스프링을 이용함으로써 디스플레이 모듈의 상/하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는 인접하는 두 개의 디스플레이 모듈 사이에 간격 조절부를 배치함으로써 인접하는 두 개의 디스플레이 모듈 사이의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 및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4 내지 도 30은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방에 기판을 배치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1 내지 도 42는 간격조절부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 및
도 43 내지 도 63은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거치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
아울러, 이하의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anel)을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액정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전계 방출 표시 패널(Field Emission Display, FED), 유기 표시 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인 것도 가능하다.
도 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 및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살펴보면, 멀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0, 110, 120, 130)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0~130) 중 제 1 패널(100)에는 제 1-1 구동부(101)와 제 1-2 구동부(102)가 구동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1 구동부(101)와 제 1-2 구동부(102)는 하나의 통합 구동부로 병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 2 패널(110)에는 제 2-1 구동부(111)와 제 2-2 구동부(112)가 구동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각각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0, 110, 120, 130)에는 서로 다른 구동부가 각각 구동신호를 공급하도록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인접하는 두 개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사이에는 경계영역, 즉 Seam부(SA)가 형성될 수 있다.
멀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10)는 개별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0~130)들을 인접하게 배치하여 영상을 구현하기 때문에 인접하는 두 개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0~130)의 사이에는 Seam(SA)부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서 각각의 구동부는 구동보드일 수 있다.
도 2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제 1 패널(100)의 후면, 즉 제 1 패널(100)의 후면기판의 후면에 제 1 플레이트(Plate, 300)가 배치되고, 제 2 패널(110)의 후면에는 제 2 플레이트(310)가 배치되고, 제 3 패널(120)의 후면에는 제 3 플레이트(320)가 배치되고, 제 4 패널(130)의 후면에는 제 4 플레이트(330)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2, 3, 4 플레이트(300~330)는 금속 재질을 포함할 수 있고, 프레임, 방열판, 방열 프레임, 섀시(Chassis), 금속 플레이트 등으로 칭할 수 있다.
여기서, 아울러, 제 1, 2, 3, 4 플레이트(300~330)의 배면에는 제 1, 2, 3, 4 패널(100~130)에 구동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구동보드(1010~1320)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과 같이, 제 1 플레이트(300)의 배면에는 제 1-1 구동부(101), 제 1-2 구동부(102) 및 제 1 컨트롤부(301)가 보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 2 플레이트(310)의 배면에는 제 2-1 구동부(111), 제 2-2 구동부(112) 및 제 2 컨트롤부(311)가 보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 3 플레이트(320)의 배면에는 제 3-1 구동부(121), 제 3-2 구동부(122) 및 제 3 컨트롤부(321)가 보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 4 플레이트(330)의 배면에는 제 4-1 구동부(131), 제 4-2 구동부(132) 및 제 4 컨트롤부(331)가 보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1, 2-1, 3-1, 4-1 구동부(101, 111, 121, 131)는 제 1, 2, 3, 4 패널(300~330)의 어드레스 전극으로 구동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아울러, 제 1-2, 2-2, 3-2, 4-2 구동부(102, 112, 122, 132)는 제 1, 2, 3, 4 패널(300~330)의 스캔 전극 및 서스테인 전극으로 구동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아울러, 제 1, 2, 3, 4 컨트롤부(301, 311, 321, 331)는 제 1-1, 2-1, 3-1, 4-1 구동부(101, 111, 121, 131) 및 제 1-2, 2-2, 3-2, 4-2 구동부(102, 112, 122, 132)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컨트롤부(301), 제 1-1 구동부(101) 및 제 1-2 구동부(102)를 통칭하여 제 1 구동부라고 할 수 있다. 제 1 구동부는 제 1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구동신호를 공급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여기서, 제 2 컨트롤부(311), 제 2-1 구동부(111) 및 제 2-2 구동부(112)를 통칭하여 제 2 구동부라고 할 수 있다. 제 2 구동부는 제 2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구동신호를 공급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여기서, 제 3 컨트롤부(321), 제 3-1 구동부(121) 및 제 3-2 구동부(122)를 통칭하여 제 3 구동부라고 할 수 있다. 제 3 구동부는 제 3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20)에 구동신호를 공급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여기서, 제 4 컨트롤부(331), 제 4-1 구동부(131) 및 제 4-2 구동부(132)를 통칭하여 제 4 구동부라고 할 수 있다. 제 4 구동부는 제 4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30)에 구동신호를 공급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도 3에서는 각각의 제 1, 2, 3, 4 플레이트(300~330)의 배면에 하나씩의 컨트롤부(301~331)가 배치되는 경우를 개시하고 있으나, 제 1, 2, 3, 4 컨트롤부(301~331)하나의 보드로 통합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한편, 패널, 플레이트, 구동보드를 통치하여 디스플레이 모듈(Display Module, 100M, 110M, 120M, 130M)이라고 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르게 표현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0M , 110M, 120M, 130M)을 포함하는 것이다. 아울러, 디스플레이 모듈(100M , 110M, 120M, 130M)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플레이트, 구동보드, 후면커버(미도시)를 포함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더욱 자세하게는, 디스플레이 모듈(100M , 110M, 120M, 130M)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플레이트, 구동보드, 후면커버(미도시), 구동보드(미도시), 후면커버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조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MDL)들은, 도 4의 경우와 같이, 멀티 거치대(Multi Supporter, 20)에 거치될 수 있다.
도 4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멀티 거치대(20), 멀티 거치대(20)에 거치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MDL)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멀티 거치대(20)는 메인 프레임(Main Frame, 21)과 메인 프레임(21)에 연결되는 복수의 모듈 거치대(Module Supporter, 22)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MDL)은 각각 모듈 거치대(22)에 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멀티 거치대(20)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를 살펴보면, 멀티 거치대(20)는 스탠드(3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10)가 멀티 거치대(20)가 거치되는 스탠드(30)를 포함하는 경우로서, 스탠드 타입의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라고 칭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는 다르게,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10)에서 스탠드(30)가 생략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멀티 거치대(20)를 소정의 벽(Wall)에 거치하는 방식으로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10)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10)를 벽걸이 타입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라고 칭하는 것이 가능하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복수의 서브필드(Subfield)를 포함하는 프레임(Frame)으로 영상을 구현할 수 있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0~130)은, 도 6과 같이 제 1, 2, 3, 4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0~130)은 각각 복수의 제 1 전극(202(Y), 203(Z))과 교차하는 복수의 제 2 전극(213, X)이 형성되는 후면 기판(211)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전극(202, 203)은 서로 나란한 스캔 전극(202, Y)과 서스테인 전극(203, Z)을 포함할 수 있고, 제 2 전극(211)은 어드레스 전극이라고 할 수 있다.
스캔 전극(202, Y)과 서스테인 전극(203, Z)이 형성된 전면 기판(201)에는 스캔 전극(202, Y) 및 서스테인 전극(203, Z)의 방전 전류를 제한하며 스캔 전극(202, Y)과 서스테인 전극(203, Z) 간을 절연시키는 상부 유전체 층(204)이 배치될 수 있다.
상부 유전체 층(204)이 형성된 전면 기판(201)에는 방전 조건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보호 층(205)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보호 층(205)은 2차 전자 방출 계수가 높은 재질, 예컨대 산화마그네슘(MgO)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후면 기판(211) 상에는 어드레스 전극(213, X)이 형성되고, 이러한 어드레스 전극(213, X)이 형성된 후면 기판(211)의 상부에는 어드레스 전극(213, X)을 덮으며 어드레스 전극(213, X)을 절연시키는 하부 유전체 층(215)이 형성될 수 있다.
하부 유전체 층(215)의 상부에는 방전 공간 즉, 방전 셀을 구획하기 위한 스트라이프 타입(Stripe Type), 웰 타입(Well Type), 델타 타입(Delta Type), 벌집 타입 등의 격벽(212)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면 기판(201)과 후면 기판(211)의 사이에서 적색(Red : R)광을 방출하는 제 1 방전 셀, 청색(Blue : B)광을 방출하는 제 2 방전 셀 및 녹색(Green : G)광을 방출하는 제 3 방전 셀 등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 2, 3 방전셀(R, G, B)이 모여 화소(Pixel)를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방전셀에서는 어드레스 전극(213)이 스캔 전극(202) 및 서스테인 전극(203)과 교차할 수 있다. 즉, 방전셀은 어드레스 전극(213)이 스캔 전극(202) 및 서스테인 전극(203)과 교차하는 지점에 형성되는 것이다.
격벽(212)에 의해 구획된 방전 셀 내에는 소정의 방전 가스가 채워질 수 있다.
아울러, 격벽(212)에 의해 구획된 방전 셀 내에는 어드레스 방전 시 화상표시를 위한 가시 광을 방출하는 형광체 층(214)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적색 광을 발생시키는 제 1 형광체 층, 청색 광을 발생시키는 제 2 형광체 층 및 녹색 광을 발생시키는 제 3 형광체 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후면 기판(211) 상에 형성되는 어드레스 전극(213)은 폭이나 두께가 실질적으로 일정할 수도 있지만, 방전 셀 내부에서의 폭이나 두께가 방전 셀 외부에서의 폭이나 두께와 다를 수도 있을 것이다. 예컨대, 방전 셀 내부에서의 폭이나 두께가 방전 셀 외부에서의 그것보다 더 넓거나 두꺼울 수 있을 것이다.
스캔 전극(202), 서스테인 전극(203) 및 어드레스 전극(213) 중 적어도 하나로 소정의 신호가 공급되면 방전셀 내에서는 방전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방전셀 내에서 방전이 발생하게 되면, 방전셀 내에 채워진 방전 가스에 의해 자외선이 발생할 수 있고, 이러한 자외선이 형광체층(214)의 형광체 입자에 조사될 수 있다. 그러면, 자외선이 조사된 형광체 입자가 가시광선을 발산함으로써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화면에는 소정의 영상이 표시될 수 있는 것이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영상의 계조를 구현하기 위한 영상 프레임(Frame)에 대해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도 7을 살펴보면 영상의 계조(Gray Level)를 구현하기 위한 프레임은 복수의 서브필드(Subfield, SF1~SF8)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복수의 서브필드는 방전셀을 방전이 발생하지 않을 방전셀을 선택하거나 혹은 방전이 발생하는 방전셀을 선택하기 위한 어드레스 기간(Address Period) 및 방전횟수에 따라 계조를 구현하는 서스테인 기간(Sustain Period)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56 계조로 영상을 표시하고자 하는 경우에 예컨대 하나의 프레임은 도 7과 같이 8개의 서브필드들(SF1 내지 SF8)로 나누어지고, 8개의 서브 필드들(SF1 내지 SF8) 각각은 어드레스 기간과 서스테인 기간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프레임의 복수의 서브필드 중 적어도 하나의 서브필드는 초기화를 위한 리셋 기간을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프레임의 복수의 서브필드 중 적어도 하나의 서브필드는 서스테인 기간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서스테인 기간에 공급되는 서스테인 신호의 개수를 조절하여 해당 서브필드의 가중치를 설정할 수 있다. 즉, 서스테인 기간을 이용하여 각각의 서브필드에 소정의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서브필드의 가중치를 20으로 설정하고, 제 2 서브필드의 가중치를 21로 설정하는 방법으로 각 서브필드의 가중치가 2n(단, n = 0, 1, 2, 3, 4, 5, 6, 7)의 비율로 증가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 서브필드에서 가중치에 따라 각 서브필드의 서스테인 기간에서 공급되는 서스테인 신호의 개수를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영상의 계조를 구현할 수 있다.
여기, 도 7에서는 하나의 영상 프레임이 8개의 서브필드로 이루어진 경우만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와는 다르게 하나의 영상 프레임을 이루는 서브필드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서브필드부터 제 12 서브필드까지의 12개의 서브필드로 하나의 영상 프레임을 구성할 수도 있고, 10개의 서브필드로 하나의 영상 프레임을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여기 도 7에서는 하나의 영상 프레임에서 가중치의 크기가 증가하는 순서에 따라 서브필드들이 배열되었지만, 이와는 다르게 하나의 영상 프레임에서 서브필드들이 가중치가 감소하는 순서에 따라 배열될 수도 있고, 또는 가중치에 관계없이 서브필드들이 배열될 수도 있는 것이다.
각각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파형에 대해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도 8을 살펴보면, 프레임(Frame)의 복수의 서브필드(Sub-Field) 중 적어도 하나의 서브필드의 초기화를 위한 리셋 기간(Reset Period : RP)에서는 스캔 전극(Y)으로 리셋 신호(RS)를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리셋 신호(RS)는 전압이 점진적으로 상승하는 상승 램프 신호(Ramp-Up : RU) 및 전압이 점진적으로 하강하는 하강 램프 신호(Ramp-Down : RD)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리셋 기간의 셋업 기간(SU)에서는 스캔 전극에 상승 램프 신호(RU)가 공급되고, 셋업 기간 이후의 셋다운 기간(SD)에서는 스캔 전극에 하강 램프 신호(RD)가 공급될 수 있다.
스캔 전극에 상승 램프 신호가 공급되면, 상승 램프 신호에 의해 방전 셀 내에는 약한 암방전(Dark Discharge), 즉 셋업 방전이 일어난다. 이 셋업 방전에 의해 방전 셀 내에는 벽 전하(Wall Charge)의 분포가 균일해질 수 있다.
상승 램프 신호가 공급된 이후, 스캔 전극에 하강 램프 신호가 공급되면, 방전 셀 내에서 미약한 소거 방전(Erase Discharge), 즉 셋다운 방전이 발생한다. 이 셋다운 방전에 의해 방전 셀 내에는 어드레스 방전이 안정되게 일어날 수 있을 정도의 벽전하가 균일하게 잔류될 수 있다.
리셋 기간 이후의 어드레스 기간(AP)에서는 하강 램프 신호의 최저 전압보다는 높은 전압을 갖는 스캔 기준 신호(Ybias)가 스캔 전극에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어드레스 기간에서는 스캔 기준 신호(Ybias)의 전압으로부터 하강하는 스캔 신호(Sc)가 스캔 전극에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적어도 하나의 서브필드의 어드레스 기간에서 스캔 전극으로 공급되는 스캔 신호의 펄스폭은 다른 서브필드의 스캔 신호의 펄스폭과 다를 수 있다. 예컨대, 시간상 뒤에 위치하는 서브필드에서의 스캔 신호의 폭이 앞에 위치하는 서브필드에서의 스캔 신호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서브필드의 배열 순서에 따른 스캔 신호 폭의 감소는 2.6㎲(마이크로초), 2.3㎲, 2.1㎲, 1.9㎲ 등과 같이 점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거나 2.6㎲, 2.3㎲, 2.3㎲, 2.1㎲......1.9㎲, 1.9㎲ 등과 같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스캔 신호가 스캔 전극으로 공급될 때, 스캔 신호에 대응되게 어드레스 전극(X)에 데이터 신호(Dt)가 공급될 수 있다.
이러한 스캔 신호와 데이터 신호가 공급되면, 스캔 신호와 데이터 신호 간의 전압 차와 리셋 기간에 생성된 벽 전하들에 의한 벽 전압이 더해지면서 데이터 신호가 공급되는 방전 셀 내에는 어드레스 방전이 발생될 수 있다.
아울러, 어드레스 방전이 발생하는 어드레스 기간에서 서스테인 전극에는 스캔 전극과 어드레스 전극 사이에서 어드레스 방전이 효과적으로 발생하도록 하기 위해 서스테인 기준 신호(Zbias)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어드레스 기간 이후의 서스테인 기간(SP)에서는 스캔 전극 또는 서스테인 전극 중 적어도 하나에 서스테인 신호(SUS)가 공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캔 전극과 서스테인 전극에 교번적으로 서스테인 신호가 공급될 수 있다.
이러한 서스테인 신호가 공급되면, 어드레스 방전에 의해 선택된 방전 셀은 방전 셀 내의 벽 전압과 서스테인 신호의 서스테인 전압(Vs)이 더해지면서 서스테인 신호가 공급될 때 스캔 전극과 서스테인 전극 사이에 서스테인 방전 즉, 표시방전이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9를 살펴보면, (a)와 같이 전면 기판(201) 및 배기홀(Exhaust hole, 240)이 형성된 후면 기판(211) 중 적어도 하나의 가장자리에 실부(Seal Portion, 500)를 형성하고, (b)와 같이 전면 기판(201)과 후면 기판(211)을 합착할 수 있다.
이후, (c)와 같이 배기홀(240)에 배기팁(Exhaust Tip, 250)을 연결하고, 이러한 배기팁(250)에 배기펌프(230)를 연결할 수 있다.
아울러, 배기펌프(230)를 이용하여 전면 기판(201)과 후면 기판(211) 사이의 방전 공간에 잔존하는 불순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고, 아울러 아르곤(Ar), 네온(Ne), 크세논(Xe) 등의 방전가스를 방전 공간에 주입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전면 기판(201)과 후면 기판(211) 사이의 방전공간을 봉합할 수 있다.
이후, 도 10의 (a)와 같이, 전면 기판(201)과 후면 기판(211) 사이의 방전공간을 봉합한 이후에 전면기판(201)과 후면기판(211)을 합착한 상태에서 전면기판(201) 및 후면기판(211)의 일부를 소정의 커팅 라인(CL)에 따라 자를 수 있다. 여기서, 커팅과 함께 그라인딩(Grinding)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전면기판(201) 및 후면기판(211)의 한쪽 장변 및 한쪽 단변을 커팅 및 그라인딩 할 수 있다.
그러면, 도 10의 (b) 및 도 (c)와 같이 커팅을 실시한 부분에서는 전면기판(201) 및 후면기판(211) 중 적어도 하나가 과도하게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부분의 크기를 줄일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도 10의 (b) 및 (c)와 같이 전면기판(201)과 후면기판(211)의 일부를 자르는 공정에서 실부(500)를 함께 커팅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처럼, 실부(500)를 커팅하게 되면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부분의 크기를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0과 같은 방법으로 제작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들을 서로 인접하게 배치하여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작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1의 경우와 같이, 제 1 모듈(100M), 제 2 모듈(110M), 제 3 모듈(120M) 및 제 4 모듈(130M)을 2×2 매트릭스(Matrix) 형태로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제 1 모듈(100M), 제 2 모듈(110M), 제 3 모듈(120M) 및 제 4 모듈(130M)을 커팅면이 서로 인접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모듈(100M), 제 2 모듈(110M), 제 3 모듈(120M) 및 제 4 모듈(130M)에서 각각 제 2 단변(SS2) 및 제 2 장변(LS2)측에서 커팅 및 그라인딩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아울러, 제 1 모듈(100M)의 제 2 단변(SS2)과 제 2 모듈(110M)의 제 2 단변(SS2)을 서로 인접하도록 배치하고, 제 3 모듈(120M)의 제 2 단변(SS2)과 제 4 모듈(130M)의 제 2 단변(SS2)을 서로 인접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아울러, 제 1 모듈(100M)의 제 2 장변(LS2)과 제 3 모듈(120M)의 제 2 장변(LS2)을 서로 인접하도록 배치하고, 제 2 모듈(110M)의 제 2 장변(LS2)과 제 4 모듈(130M)의 제 2 장변(LS2)을 서로 인접하도록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제 1 모듈(100M), 제 2 모듈(110M), 제 3 모듈(120M) 및 제 4 모듈(130M)을 커팅면이 서로 인접하도록 배치하게 되면,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심영역(SA)의 크기를 줄일 수 있고, 이에 따라 보다 자연스러운 영상을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는, 제 1 모듈(100M), 제 2 모듈(110M), 제 3 모듈(120M) 및 제 4 모듈(130M)을 2×2 매트릭스(Matrix) 형태로 배치하는 경우를 설명하고 있지만, 이와는 다르게 복수의 모듈을 1×2 매트릭스 형태 또는 2×1 매트릭스(Matrix)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복수의 모듈들을 배치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예를 들면, 또는, 도 12의 경우와 같이, 4×4 매트릭스 형태로 모듈들을 배치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여기서는 4×4 매트릭스 형태의 예를 설명하지만 3×3 이상의 매트릭스 형태는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적용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2의 4×4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제 1~16 모듈(1000M~1330M) 중 제 1 모듈(1000M), 제 2 모듈(1010M), 제 5 모듈(1100M) 및 제 6 모듈(1110M)의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도 13의 경우와 같다.
도 13을 살펴보면, 제 1 모듈(1000M)과 제 2 모듈(1010M)은 제 1 방향(DRH, 수평방향)으로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고, 제 1 모듈(1000M)과 제 5 모듈(1100M)은 제 1 방향(DRH)과 교차하는 제 2 방향(DRV, 수직방향)으로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고, 제 6 모듈(1110M)과 제 2 모듈(1010M)은 제 2 방향(DRV)으로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고, 제 6 모듈(1110M)과 제 5 모듈(1100M)은 제 1 방향(DRH)으로 서로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제 1 모듈(1000M), 제 2 모듈(1010M), 제 5 모듈(1100M) 및 제 6 모듈(1110M)에서 각각 제 1, 2 단변(SS1, SS2) 및 제 1, 2 장변(LS1, LS2)측에서 커팅 및 그라인딩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아울러, 제 1 모듈(1000M)의 제 2 단변(SS2)과 제 2 모듈(1010M)의 제 1 단변(SS1)을 서로 인접하도록 배치하고, 제 5 모듈(1100M)의 제 2 단변(SS2)과 제 6 모듈(1110M)의 제 1 단변(SS1)을 서로 인접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아울러, 제 1 모듈(1000M)의 제 2 장변(LS2)과 제 5 모듈(1100M)의 제 1 장변(LS1)을 서로 인접하도록 배치하고, 제 2 모듈(1010M)의 제 2 장변(LS2)과 제 6 모듈(1110M)의 제 1 장변(LS1)을 서로 인접하도록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4 내지 도 30은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방에 기판을 배치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14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에 포함된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MDL)은 각각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PNL), 디스플레이 패널(PNL)의 후방에 배치되는 플레이트(300, 310, 320, 330), 플레이트(300~330)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면커버(Back Cover, 6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패널(PNL)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플레이트(300~330)를 프레임이라고 칭하기로 한다.
또한, 디스플레이 모듈(MDL)은 프레임(300~330)과 후면커버(600)의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구조물(63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구조물(630)은 제 1 보조 프레임(610)과 제 2 보조 프레임(62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16을 살펴보면, 프레임(300~330)과 디스플레이 패널(PNL)의 사이에는 접착층(AHDL)이 배치될 수 있다. 즉, 프레임(300~330)은 디스플레이 패널(PNL)의 후면기판에 접착층(AHDL)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
아울러, 제 1 보조 프레임(610)과 프레임(300~330)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6의 경우와 같이, 프레임(300~330)에 팸넛(Pem-Nut) 등의 지지수단(PM)이 배치되고, 제 1 보조 프레임(610)은 스크류(Screw) 등의 소정의 체결수단(S110)에 의해 지지수단(PM)에 체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체결 수단으로 스크류가 사용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스크류가 아닌 다른 종류의 체결수단, 예컨대 핀(Pin), 클립(Clip) 등의 체결수단이 사용되는 경우도 가능한 것이다.
아울러, 소정의 체결수단(S110)은 제 1 보조 프레임(610)과 제 2 보조 프레임(620)을 함께 프레임(300~330)에 체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는 다르게,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지지수단(PM)이 생략되고 제 1 보조 프레임(610)이 프레임(300~330)에 소정의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제 2 보조 프레임(620)은 후면커버(600)와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16의 경우와 같이, 제 2 보조 프레임(620)은 소정의 체결수단(S100)에 의해 후면커버(600)에 체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는 다르게,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 1 보조 프레임(610)과 제 2 보조 프레임(620)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또는, 제 1 보조 프레임(610)과 제 2 보조 프레임(620)은 생략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도 17의 경우와 같이, 후면커버(600)와 프레임(300~330)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레임(300~330)에 지지수단(PM)이 배치되고, 후면커버(600)는 소정의 체결수단(S120)에 의해 지지수단(PM)에 체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8을 살펴보면, 각각의 디스플레이 모듈(100M~130M)의 전방에는 기판(220~223)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기판(220~223)은 유리 기판(Glass Substrate) 또는 플라스틱 기판(Plastic Substrate)인 것이 가능하다. 열 및/또는 외력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기판(220~223)은 유리 기판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디스플레이 패널(100~130)의 전면기판의 전방에 기판(220~223)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기판(220~223)을 고정하기 위해, 도 19의 경우와 같이, 측면커버(Side Cover, SC)를 사용할 수 있다.
도 19를 살펴보면, 측면커버(SC)는 인접하는 디스플레이 모듈(MDL)의 사이에는 배치되지 않고,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의 가장자리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커버(SC)는 디스플레이 모듈(MDL) 및 기판(220~223)의 측면에 위치하고, 디스플레이 모듈(MDL)에 연결되며, 기판(220~223)이 끼워지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0의 경우와 같이, 기판(220~223)은 디스플레이 패널(PNL)의 전방에 배치되고, 측면커버(SC)는 기판(220~223)의 끝단이 끼워지는 부분(R10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기판(220~223)의 끝단이 끼워지는 부분(R100)을 레일(Rail)이라고 칭할 수 있다.
또한, 측면커버(SC)는 디스플레이 패널(PNL)의 측면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하고, 디스플레이 모듈(MDL)과의 연결을 위한 홀(H11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모듈(MDL)은 측면커버(SC)와의 연결을 위한 홀(H10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0의 경우와 같이, 프레임(300~330)과 후면커버(600)의 사이에 위치하며 프레임(300~330)과 후면커버(600)를 연결하는 구조물(630)에 측면커버(SC)와의 연결을 위한 홀(H100)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는, 구조물(630)의 제 2 보조 프레임(620)에 홀(H100)이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홀(H100)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홀(H100)은 제 1 보조 프레임(610)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여기서, 측면커버(SC)에 형성된 홀(H110)과 구조물(630)에 형성된 홀(H100)은 대응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소정의 체결수단(S130)이 측면커버(SC)에 형성된 홀(H110)과 구조물(630)에 형성된 홀(H100)을 관통하여 연결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기판(200~223)과 디스플레이 패널(PNL)의 사이에는 에어층(Air Gap, 2000)이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MDL)과 측면커버(SC)를 체결하기 위한 홀이 디스플레이 모듈(MDL)의 후면커버(600)에 형성되는 경우도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1의 경우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MDL)에서 측면커버(SC)와의 연결을 위한 홀(H120)이 후면커버(600)에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후면커버(600)에 형성된 홀(H120)과 측면커버(SC)에 형성된 홀(H110)을 소정의 체결수단(S130)이 관통하여 디스플레이 모듈(MDL)과 측면커버(SC)를 체결할 수 있다.
아울러, 이러한 경우에는 후면커버(600)가 프레임(300~330)에 연결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후면커버(600)와 프레임(300~330)의 사이에 소정의 구조물(630)이 배치되고, 구조물(630)에 홀(H100)이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한편, 측면커버(SC)는 외측 커버(Outer Cover, OSC)와 내측 커버(Inner Cover, ISC)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2의 경우와 같이, 측면커버(SC)는 외측 커버(OSC) 및 외측 커버(OSC)와 기판(200~223)의 사이에 위치하는 내측 커버(ISC)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내측 커버(ISC)는 외측 커버(OSC)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내측커버(ISC)의 탄력성은 외측 커버(OSC)의 탄력성보다 큰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내측커버(ISC)는 실리콘 재질, 수지 재질 등 탄력성이 있는 재질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PNL)의 끝단을 손상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외측커버(OSC)는 알루미늄 등의 금속성 재질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외측커버(OSC)의 길이(S10)는 내측커버(ISC)의 길이(S11)보다 더 길 수 있다. 자세하게는, 제 1 방향(DRH) 및 제 2 방향(DRV)과 교차하는 제 3 방향(DRZ)으로 외측커버(OSC)의 길이(S10)는 내측커버(ISC)의 길이(S11)보다 더 길 수 있다. 아울러, 외측커버(OSC)는 기판(220~223)의 측면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하고, 디스플레이 모듈(MDL)의 측면에 위치하는 부분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외측 커버(OSC)는 디스플레이 모듈(MDL)과의 체결을 위한 홀(H110)을 포함하면서도, 기판(220~223)에 대응되는 레일(R10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외측커버(OSC)에 형성되는 레일(R100)을 제 1 레일(R100)이라 칭할 수 있다.
내측커버(ISC)는 외측커버(OSC)의 제 1 레일(R100)에 위치하는 제 2 레일(R1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내측커버(ISC)의 제 2 레일(R110)에 기판(220~223)의 끝단이 삽입될 수 있다.
도 23을 살펴보면, 내측커버(ISC)의 단면은 기판(220~223)의 전면(Front Surface, FS)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하며 제 2 방향(DRV)으로 연장되는 제 1 부분(700), 제 1 부분(700)으로부터 제 3 방향(DRZ)으로 연장되며 기판(220~223)의 측면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제 2 부분(710), 제 2 부분(710)으로부터 제 2 방향(DRV)으로 연장되며 기판(220~223)의 후면(Rear Surface, RS)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제 3 부분(720), 제 3 부분(720)으로부터 제 3 방향(DRZ)으로 연장되는 제 4 부분(73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내측커버(ISC)는 기판(220~223)과의 접촉면적을 줄이기 위한 돌출부(P10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내측커버(ISC)의 제 3 부분(720)에서 기판(220~223)을 향해 돌출되는 돌출부(P10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기판(220~223)이 내측커버(ISC)에서 보다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고, 기판(220~223)에 가해지는 충격량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내측 커버(ISC)는 디스플레이 모듈(MDL)의 디스플레이 패널(PNL)의 측면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내측커버(ISC)의 제 4 부분(730)이 디스플레이 패널(PNL)의 측면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는, 내측커버(ISC)의 제 3 부분(720)에 돌출부(P100)가 형성되는 경우만을 도시하고 있지만, 내측커버(ISC)의 제 1 부분(700) 및 제 2 부분(710) 중 적어도 하나에 기판(220~223)을 향해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아울러, 외측 커버(OSC)는 내측 커버(ISC)와 중첩되지 않는 영역에 형성되며 디스플레이 모듈(MDL)을 향해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P1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외측 커버(OSC)에 돌출부(P110)를 형성하게 되면, 측면커버(SC)와 디스플레이 모듈(MDL)의 충돌로 인한 손상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MDL)에 하나의 기판(220~223)이 대응되는 경우만을 설명하지만, 하나의 기판은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MDL)에 대응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4의 경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모듈(100M)과 제 3 모듈(120M)에 대응되는 제 1 공통 기판(CG1), 제 2 모듈(110M)과 제 4 모듈(130M)에 대응되는 제 2 공통 기판(CG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도 24의 구조를 앞선 도 19의 구조와 비교하면, 도 19에서 제 1 기판(220)과 제 3 기판(222)이 제 1 공통 기판(CG1)으로 대체되고, 제 2 기판(221)과 제 4 기판(223)이 제 2 공통 기판(CG2)으로 대체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기판(CG1, CG2)의 개수는 디스플레이 모듈(100M~130M)의 개수보다 더 적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제 1 모듈(100M) 및 제 3 모듈(120M)의 전방에 제 1 공통 기판(CG1)을 위치시키기 위해 측면커버(SC)가 배치될 수 있고, 아울러 제 2 모듈(110M) 및 제 4 모듈(130M)의 전방에 제 2 공통 기판(CG2)을 위치시키기 위해 측면커버(SC)가 배치될 수 있다.
앞선 도 19와 같은 구조에서는, 도 25의 (A)의 경우와 같이, 제 1 기판(220)의 제 1 장변(LS1)에 측면커버(SC) 중 제 1 수평 측면커버(SCH1)가 배치되고, 제 1 기판(220)의 제 2 단변(SS2)에는 측면커버(SC) 중 제 1 수직 측면커버(SCV1)가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제 3 기판(222)의 제 2 단변(SS2)에는 제 3 수직 측면커버(SCV3)가 배치되고, 제 3 기판(222)의 제 2 장변(LS2)에는 제 3 수평 측면커버(SCH3)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설명하지 않은 부호 SCH2는 제 2 수평 측면커버이고, 부호 SCH4는 제 4 수평 측면커버이고, 부호 SCV2는 제 2 수직 측면커버이고, 부호 SCV4는 제 4 수직 측면커버일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앞선 도 24와 같은 구조에서는, 도 25의 (B)의 경우와 같이, 제 1 공통 기판(CG1)의 제 1 단변(SS1)에는 제 1 수평 측면커버(SCH1)가 배치되고, 제 2 단변(SS2)에는 제 3 수평 측면커버(SCH3)가 배치되고, 제 2 장변(LS2)에는 제 1 수직 측면커버(SCV1)와 제 3 수직 측면커버(SCV3)가 함께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제 2 공통 기판(CG2)의 제 1 단변(SS1)에는 제 2 수평 측면커버(SCH2)가 배치되고, 제 2 단변(SS2)에는 제 4 수평 측면커버(SCH4)가 배치되고, 제 1 장변(LS1)에는 제 2 수직 측면커버(SCV2)와 제 4 수직 측면커버(SCV4)가 함께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공통 기판(CG1)의 제 1 장변(LS1)과 제 2 공통 기판(CG2)의 제 2 장변(LS2)은 서로 인접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내측커버(ISC) 중 적어도 하나는 복수의 기판에 대응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도 26의 경우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내측커버(ISC)의 제 2 레일(R110)에는 복수개의 기판이 삽입될 수 있다. 또 다르게 표현하면, 적어도 하나의 내측커버(ISC)는 인접하는 두 개의 디스플레이 모듈(MDL)과 공통 중첩(Overlap)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6 및 도 27의 경우와 같이, 제 3 수평 외측커버(OSCH3)와 제 4 수평 외측커버(OSCH4)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고, 이러한 제 3 수평 외측커버(OSCH3)와 제 4 수평 외측커버(OSCH4)의 제 1 레일에 제 2 수평 내측커버(ISCH2)가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제 1 공통 기판(CG1)과 제 2 공통 기판(CG2)의 끝단이 제 2 수평 내측커버(ISCH2)의 제 2 레일에 끼워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제 1 공통기판(CG1)과 제 2 공통기판(CG2)을 용이하게 정렬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내측커버(ISC)는 기판(CG1, CG2)의 끝단의 손상을 방지하면서도, 기판(CG1, CG2)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을 고려할 때, 도 27의 경우와 같이, 제 1 방향(DRH)으로 내측커버(ISC)의 길이(L1)는 외측커버(OSC)의 길이(L2)보다 더 짧을 수 있다. 혹은, 제 1 방향(DRH)과 교차하는 제 2 방향(DRV)으로 내측커버(ISC)의 길이는 외측커버(OSC)의 길이보다 더 짧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도 28의 (A)의 경우와 같이, 제 1 공통 기판(CG1)의 제 1 단변(SS1)에는 제 1 수평 외측커버(OSCH1)가 배치되고, 제 2 단변(SS2)에는 제 3 수평 외측커버(OSCH3)가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제 2 공통 기판(CG2)의 제 1 단변(SS1)에는 제 2 수평 외측커버(OSCH2)가 배치되고, 제 2 단변(SS2)에는 제 4 수평 외측커버(OSCH4)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 1 수평 외측커버(OSCH1)와 제 2 수평 외측커버(OSCH2)의 레일에는 제 1 수평 내측커버(ISCH1)이 배치되고, 제 3 수평 외측커버(OSCH3)와 제 4 수평 외측커버(OSCH4)의 레일에는 제 2 수평 내측커버(ISCH2)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공통 기판(CG1)의 제 1 장변(LS1)과 제 2 공통 기판(CG2)의 제 2 장변(LS2)은 서로 인접할 수 있다.
또는, 도 28의 (B)의 경우와 같이, 제 1 공통 기판(CG1)의 제 1 단변(SS1)과 제 2 공통 기판(CG2)의 제 1 단변(SS1)에는 제 1 수평 측면커버(SCH1)가 배치되고, 제 1 공통 기판(CG1)의 제 2 단변(SSS)과 제 2 공통 기판(CG2)의 제 2 단변(SS2)에는 제 2 수평 측면커버(SCH2)가 배치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도 28의 (B)의 구조를 도 28의 (A)의 구조와 비교하면, 도 28의 (B)의 제 1 수평 측면커버(SCH1)는 도 28의 (A)의 제 1 수평 외측커버(OSCH1)와 제 2 수평 외측커버(OSCH2)가 하나로 병합되고, 병합된 제 1 수평 외측커버(OSCH1)와 제 2 수평 외측커버(OSCH2)의 레일에 제 1 수평 내측커버(ISCH1)가 배치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도 28의 (B)의 경우와 같이, 제 1 공통 기판(CG1)의 제 2 장변(LS2)에는 제 1 수직 측면커버(SCV1)가 배치되고, 제 2 공통 기판(CG2)의 제 1 장변(LS1)에는 제 2 수직 측면커버(SCV2)가 배치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도 29와 같이, 제 1 모듈(1000M)부터 제 9 모듈(1220M)이 3×3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는 경우를 가정하여 보자.
이러한 경우, 제 1 공통 기판(CG10)은 제 1, 4, 7 모듈(1000M, 1100M, 1200M)의 전방에 배치되고, 제 2 공통 기판(CG20)은 제 2, 5, 8 모듈(1010M, 1110M, 1210M)의 전방에 배치되고, 제 3 공통 기판(CG30)은 제 3, 6, 9 모듈(1020M, 1120M, 1220M)의 전방에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는, 도 30의 경우와 같이, 제 1 공통 기판(CG10)의 제 1 단변(SS1)에는 제 1 수평 외측커버(OSCH1)가 배치되고, 제 2 단변(SS2)에는 제 4 수평 외측커버(OSCH3)가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제 2 공통 기판(CG20)의 제 1 단변(SS1)에는 제 2 수평 외측커버(OSCH2)가 배치되고, 제 2 단변(SS2)에는 제 5 수평 외측커버(OSCH5)가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제 3 공통 기판(CG30)의 제 1 단변(SS1)에는 제 3 수평 외측커버(OSCH3)가 배치되고, 제 2 단변(SS2)에는 제 6 수평 외측커버(OSCH6)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 1 수평 외측커버(OSCH1)와 제 2 수평 외측커버(OSCH2)의 레일에는 제 1 수평 내측커버(ISCH1)가 배치되고, 제 2 수평 외측커버(OSCH2)와 제 3 수평 외측커버(OSCH3)의 레일에는 제 2 수평 내측커버(ISCH2)가 배치되고, 제 4 수평 외측커버(OSCH4)와 제 5 수평 외측커버(OSCH5)의 레일에는 제 3 수평 내측커버(ISCH3)가 배치되고, 제 5 수평 외측커버(OSCH5)와 제 6 수평 외측커버(OSCH6)의 레일에는 제 4 수평 내측커버(ISCH4)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공통 기판(CG10)의 제 1 장변(LS1)과 제 2 공통 기판(CG20)의 제 2 장변(LS2)은 서로 인접하고, 제 2 공통 기판(CG20)의 제 1 장변(LS1)과 제 3 공통 기판(CG30)의 제 2 장변(LS2)은 서로 인접할 수 있다.
또한, 제 1 공통 기판(CG10)의 제 2 장변(LS2)에는 제 1 수직 외측커버(OSCV1), 제 2 수직 외측커버(OSCV2), 제 3 수직 외측커버(OSCV3)가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제 3 공통 기판(CG30)의 제 1 장변(LS1)에는 제 4 수직 외측커버(OSCV4), 제 5 수직 외측커버(OSCV5), 제 6 수직 외측커버(OSCV6)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 1 수직 외측커버(OSCV1)와 제 2 수직 외측커버(OSCV2)의 레일에는 제 1 수직 내측커버(ISCV1)가 배치되고, 제 2 수직 외측커버(OSCV2)와 제 3 수직 외측커버(OSCV3)의 레일에는 제 2 수직 내측커버(ISCV2)가 배치되고, 제 4 수직 외측커버(OSCV4)와 제 5 수직 외측커버(OSCV5)의 레일에는 제 3 수직 내측커버(ISCV3)가 배치되고, 제 5 수직 외측커버(OSCV5)와 제 6 수직 외측커버(OSCV6)의 레일에는 제 4 수직 내측커버(ISCV4)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6 수직 외측커버(OSCV1~OSCV6) 및 제 1~4 수직 내측커버(ISCV1~ISCV4)는 생략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1 내지 도 42는 간격조절부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 예를 들면, 이하에서 설명하는 구조는 앞선 도 1 내지 도 30의 내용에 적용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도 31을 살펴보면, 인접하는 두 개의 디스플레이 모듈(MDL)의 사이에는 디스플레이 모듈(MDL)들의 사이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간격조절부(GC)가 배치될 수 있다.
간격 조절부(GC)는, 도 32의 경우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Base Plate, 800), 베이스 플레이트(800)의 제 1 면(First Surface, S1)에 배치되는 제 1 돌출부(810) 및 베이스 플레이트(800)의 제 1 면(S1)에 대항되는 제 2 면(Second Surface, S2)에 배치되는 제 2 돌출부(82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제 1 돌출부(810)는 베이스 플레이트(800)의 제 1 면(S1)에서 돌출되고, 제 2 돌출부(820)는 베이스 플레이트(800)의 제 2 면(S2)에서 돌출될 수 있다.
제 1 돌출부(810)의 축과 제 2 돌출부(820)의 축은 동일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돌출부(810) 및 제 2 돌출부(820) 중 어느 하나에는 나사선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 1 돌출부(810)에 나사선이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간격조절부(GC)를 보다 용이하게 회전시키기 위해 도 33의 (B)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800)의 제 1, 2 면(S1, S2)에 인접하는 제 3 면(Third Surface, S3)의 표면 거칠기는 도 33의 (A)와 같이 제 1 면(S1) 및 제 2 면(S2)의 표면 거칠기보다 더 큰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간격조절부(GC)의 베이스 플레이트(800)의 제 3 면(S3)에는 돌기(801)가 형성될 수 있다.
간격조절부(GC)의 제 1 돌출부(810) 및 제 2 돌출부(820)는 인접하는 디스플레이 모듈(MDL)에 형성된 홀에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4의 경우와 같이, 제 1 패널(100)을 포함하는 제 1 모듈의 구조물(630A)에는 간격조절부(GC)에 대응하는 홀(H130A)이 형성되고, 제 1 모듈과 인접하고 제 3 패널(120)을 포함하는 제 3 모듈의 구조물(630C)에는 간격조절부(GC)에 대응하는 홀(H130C)이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간격조절부(GC)의 제 1, 2 돌출부(810, 820)에 대응되어 구조물(630A, 630C)에 형성되는 홀(H130A, H130C)은 앞선 도 20에서 설명한 부호 H100의 홀과는 다른 것일 수 있다.
아울러, 도 34의 제 1 모듈 및 제 3 모듈의 배치구조는 앞선 도 11, 도 13, 도 18, 도 19, 도 24, 도 25, 도 28, 도 29, 및 도 30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될 수 있다.
여기서는, 구조물(630A, 630C)의 제 2 보조 프레임(620A, 620C)에 홀(H130A, H130C)이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홀(H130A, H130C)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홀(H130A, H130C)은 제 1 보조 프레임(610A, 610C)에 형성되거나 후면커버(600A, 600C)에 형성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간격조절부(GC)의 제 1 돌출부(810)는 제 3 모듈의 홀(H130C)에 삽입되고, 제 2 돌출부(820)는 제 1 모듈의 홀(H130A)에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간격조절부(GC)가 제 1 모듈과 제 3 모듈이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나사선이 형성된 제 1 돌출부(810)가 삽입되는 제 3 모듈의 홀(H130C)에도 나사선이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사용자는 간격조절부(GC)의 베이스 플레이트(800)를 회전시키는 방법으로 제 1 모듈과 제 3 모듈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5의 경우와 같이, 제 1 모듈과 제 3 모듈의 사이에 간격조절부(GC)가 배치된 상태에서 제 1 모듈의 제 1 패널(100)과 제 3 모듈의 제 3 패널(120) 사이의 간격이 G1인 경우를 가정하여 보자.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간격조절부(GC)의 베이스 플레이트(8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그러면, 나사선이 형성된 제 1 돌출부(810)가 제 3 모듈의 구조물(630C)의 홀(H130C)에 더 깊이 삽입될 수 있기 때문에, 제 1 모듈의 제 1 패널(100)과 제 3 모듈의 제 3 패널(120) 사이의 간격이 G1보다 작은 G2로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간격조절부(GC)의 베이스 플레이트(800)는 제 1 모듈과 접촉할 수 있다. 아울러, 간격조절부(GC)의 제 1 돌출부(810)가 제 3 모듈의 구조물(630C)의 홀(H130C)에 최대 깊이로 삽입되는 경우에는 간격조절부(GC)의 베이스 플레이트(800)는 제 3 모듈과 접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800)를 보다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37의 경우와 같이, 인접하는 제 1 모듈과 제 3 모듈의 경계부분에서 베이스 플레이트(800)는 구조물(600A, 600C) 보다 소정 길이(W1)만큼 후방으로 더 돌출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방에서, 사용자가 베이스 플레이트(800)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베이스 플레이트(800)는 구조물(630A, 630C) 및/또는 후면커버(600A, 600C)보다 더 돌출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도 38의 경우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MDL)의 폭 방향, 즉 제 3 방향(DRZ)으로, 베이스 플레이트(800)의 직경(W10)은 구조물(630A, 630C)의 폭(W13)보다 더 클 수 있다. 자세하게는, 제 3 방향(DRZ)으로, 베이스 플레이트(800)의 직경(W10)은 구조물(630A, 630C)의 제 1 보조 프레임(610A, 610C)의 폭(W11) 및/또는 제 2 보조 프레임(620A, 620B)보다 더 클 수 있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800)의 직경(W10)은 구조물(630A, 630C)의 제 1 보조 프레임(610A, 610C)의 폭(W11)과 제 2 보조 프레임(620A, 620B)의 합(W11+W12, W13)보다 더 클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간격조절부(GC)의 베이스 플레이트(800)가 후방으로 충분히 돌출될 수 있다.
도 39를 살펴보면, 나사선이 형성된 제 1 돌출부(810)의 직경(W20)은 나사선이 형성되지 않은 제 2 돌출부(820)의 직경(W21)보다 더 클 수 있다.
나사선이 형성된 제 1 돌출부(810)는 상대적으로 강하게 제 3 모듈의 홀(H130C)과 결합될 수 있기 때문에 충분히 큰 직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따라서, 나사선이 형성된 제 1 돌출부(810)의 직경(W20)은 나사선이 형성되지 않은 제 2 돌출부(820)의 직경(W21)보다 더 큰 경우에는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나사선이 형성된 제 1 돌출부(810)는 상대적으로 강한 힘으로 제 3 모듈의 홀(H130C)과 결합될 수 있기 때문에 그 길이(L10)는 과도하게 길지 않아도 관계없다.
반면에, 나사선이 형성되지 않은 제 2 돌출부(820)는 제 1 모듈의 홀(H130A)과의 충분히 강한 결합을 위해 그 길이(L20)가 충분히 긴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2 돌출부(820)의 길이(L20)는 제 1 돌출부(810)의 길이(L10)보다 긴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혹은 제 2 돌출부(820)의 길이(L20)는 제 1 돌출부(810)의 길이(L10)와 동일한 경우도 가능할 수 있다.
도 40을 살펴보면, 제 2 돌출부(820)는 상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제 2 돌출부(820)에서 베이스 플레이트(800)와 인접한 하부 부분의 폭(W30)은 상부 부분의 폭(W31)보다 더 클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 2 돌출부(820)를 제 1 모듈의 홀(H130A)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또는, 도 41의 경우와 같이, 제 2 돌출부(820)는 베이스 플레이트(800)와 인접한 하부 부분(821)과 하부 부분(821)의 상부에 위치한 상부 부분(822)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부 부분(822)은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항부 부분(821)은 그 폭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제 2 돌출부(820)를 제 1 모듈의 홀(H130A)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간격조절부(GC)는 제 1 방향(DRH), 즉 수평방향으로 인접하는 두 개의 디스플레이 모듈(MDL) 사이에 위치하는 것이 가능하고, 아울러 제 2 방향(DRV), 즉 수직방향으로 인접하는 두 개의 디스플레이 모듈(MDL)의 사이에 위치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2의 경우와 같이, 제 1 모듈(100M)과 제 3 모듈(120M)의 사이 및 제 2 모듈(110M)과 제 4 모듈(130)의 사이에는 제 1 방향(DRH)으로 복수의 제 1 간격조절부(GCH)가 나란하게 배치되고, 제 1 모듈(100M)과 제 2 모듈(110M)의 사이 및 제 3 모듈(120M)과 제 4 모듈(130)의 사이에는 제 2 방향(DRH)으로 복수의 제 2 간격조절부(GCV)가 나란하게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3 내지 도 63은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거치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 예를 들면, 이하에서 설명하는 구조는 앞선 도 1 내지 도 42의 내용에 적용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도 43 및 도 44를 살펴보면,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MDL)들이 거치되는 멀티 거치대(20)는 메인 프레임(21)과 메인 프레임(21)에 연결되는 모듈 거치대(22)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모듈 거치대(22)에는 디스플레이 모듈(MDL)이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메인 프레임(21)은, 도 44의 경우와 같이, 복수의 서브 메인 프레임(21A~21J)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복수개의 서브 메일 프레임(21A~21J)이 모여 하나의 메인 프레임(21)을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복수의 서브 메인 프레임(21A~21J)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5의 경우와 같이, 서로 인접하는 제 1 서브 메인 프레임(21A)과 제 D 서브 메인 프레임(21D)은 소정의 체결수단(S140~S142)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제 1 서브 메인 프레임(21A)에는 제 1 체결 구조물(900A)이 배치되고, 제 4 서브 메인 프레임(21D)에는 제 4 체결 구조물(900D)이 배치될 수 있다.
제 1 체결 구조물(900A) 및/또는 제 4 체결 구조물(900D)에는 체결을 위한 홀이 형성될 수 있고, 아울러 제 1 서브 메인 프레임(21A) 및 제 4 서브 메인 프레임(21D)에도 체결을 위한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소정의 체결수단(S140~S143)은 제 1 체결 구조물(900A) 및/또는 제 4 체결 구조물(900D)에 형성된 홀과 제 1 서브 메인 프레임(21A) 및 제 4 서브 메인 프레임(21D)에 형성된 홀을 관통하여 제 1 서브 메인 프레임(21A)과 제 4 서브 메인 프레임(21D)을 체결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체결 구조물(900A) 및 제 4 체결 구조물(900D)은 생략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6을 살펴보면, 모듈 거치대(22)는 메인 프레임(21)의 서브 메인 프레임(21A)에 수평방향, 즉 제 1 방향(DRH)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평부분(Horizontal Portion, 22H) 및 수평부분(22H)에 수직방향, 즉 제 2 방향(DRV)으로 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직부분(Vertical Portion, 22V)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인 프레임(21)의 복수의 서브 메인 프레임 중 제 1 서브 메인 프레임(21A)에는 제 1 수평부분(22HA) 및 제 2 수평부분(22HB)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수평부분(22HA)은 제 2 수평부분(22HB)보다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아울러, 제 1 수평부분(22HA) 및 제 2 수평부분(22HB)에는 제 1 수직부분(22VA) 및 제 2 수직부분(22VB)이 나란하게 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수직부분(22VA) 및 제 2 수직부분(22VB)은 제 1 수평부분(22HA)에 거치되는 부분 및/또는 제 2 수평부분(22VB)에 거치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멀티 거치대(10)는 제 1 수직부분(22VA)과 제 2 수직부분(22VB)을 연결하는 연결부(22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22C)는 복수개의 수직부분을 연결할 수 있다.
여기서는 하나의 서브 메인 프레임에 2개의 수평부분(22H)과 2개의 수직부분(22V)이 배치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하나의 서브 메인 프레임에 배치되는 수평 부분(22H)의 개수 및/또는 수직부분(22V)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수평부분(22H)에는 수평레일(Horizontal Rail)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7의 (A)의 경우와 같이 제 1 수평부분(22HA)에는 제 1 수평레일(22HAR)이 형성되고, 도 47의 (B)의 경우와 같이 제 2 수평부분(22HB)에는 제 2 수평레일(22HBR)이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도 48의 경우와 같이, 제 1 수평부분(22HA)에는 제 1 수평레일(22HAR) 및 제 2 수평레일(22HBR)이 모두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에를 들면, 제 1 수평부분(22HA)의 제 1 면(S1)에는 제 1 수평레일(22HAR)이 형성되고, 제 1 수평부분(22HA)의 제 1 면(S1)과 인접하는 제 2 면(S2)에는 제 2 수평레일(22HBR)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수평부분(22HA)의 제 3 면(S3)은 제 1 면(S1)과 대항되고, 제 2 면(S2)은 제 3 면(S3)과 대항되며 제 1, 4 면(S1, S4)과 인접할 수 있다.
아울러, 제 2 수평부분(22HB)도 제 1 수평부분(22HA)과 동일한 구조를 갖는 것이 가능하다.
모듈 거치대(22)의 수직부분(22V)에는 복수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9의 경우와 같이, 제 1 수직부분(22VA) 및 제 2 수직부분(22VB)에는 상부 홀(22VH1T) 및 하부 홀(22VH1B)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부 홀(22VH1T) 및 하부 홀(22VH1B)은 디스플레이 모듈(MDL)을 거치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아울러, 제 1 수직부분(22VA) 및 제 2 수직부분(22VB)에는 연결부(22C)와의 체결을 위한 체결홀(H14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체결홀(H140)에 대응하여 연결부(22C)에도 홀(H141)이 형성될 수 있다. 소정의 체결수단(S150)이 연결부(22C)의 홀(H141)과 체결홀(H140)을 관통하여 연결부(22C)를 제 1 수직부분(22VA) 및 제 2 수직부분(22VB)에 연결할 수 있다.
도 50을 살펴보면, 디스플레이 모듈(MDL)은 후면커버(60)에 배치되는 복수의 돌출부(10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돌출부(1000)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소정의 체결수단에 의해 후면커버(600)에 연결될 수 있다.
돌출부(1000)는, 도 51과 같이, 받침부(Stand Portion, 1010), 받침부(1010)에 배치되는 기둥부(1020) 및 기둥부(1020)에 결합되는 머리부(10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머리부(1020)의 폭(W2)은 받침부(1010)의 폭(W1)보다 작을 수 있다.
아울러, 기둥부(1020)는 수나사를 포함하고, 머리부(1030)는 기둥부(1020)의 수나사에 대응하는 암나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머리부(1030)와 기둥부(1020)가 강한 힘으로 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돌출부(1000)의 받침부(1010)는 디스플레이 모듈(MDL)의 후면커버(600)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소정의 체결수단에 의해 받침부(1010)가 후면커버(600)에 연결될 수 있다. 혹은,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받침부(1010)에는 후면커버(600)와의 체결을 위한 체결수단이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돌출부(1000)는 모듈 거치대(22)의 수직부분(22V)의 상부 홀(22VH1T) 및/또는 하부 홀(22VH1B)에 끼워짐으로써, 결과적으로 디스플레이 모듈(MDL)이 모듈 거치대(22)에 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돌출부(1000)가 모듈 거치대(22)의 수직부분(22V)의 상부 홀(22VH1T) 및/또는 하부 홀(22VH1B)에 용이하게 끼워지기 위해서는, 도 52의 경우와 같이, 수직부분(22V)의 상부 홀(22VH1T) 및/또는 하부 홀(22VH1B)은 돌출부(1000)의 머리부(1030)의 직경(W2)보다 큰 폭(R1)을 갖는 부분 및 머리부(1030)의 직경(W2)보다 작은 폭(R2)을 갖는 부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MDL)의 머리부(1030)는 수직부분(22V)의 상부 홀(22VH1T) 및/또는 하부 홀(22VH1B)의 R1의 폭을 갖는 부분으로 진입할 수 있다. 그러면, 도 53 내지 도 54의 경우와 같이, 돌출부(1000)의 머리부(1030)가 수직부분(22V)의 상부 홀(22VH1T) 및/또는 하부 홀(22VH1B)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고, 돌출부(1000)의 받침부(1010)는 머리부(1030)의 반대쪽, 즉 수직부분(22V)의 상부 홀(22VH1T) 및/또는 하부 홀(22VH1B)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MDL)이 모듈 거치대(22)의 수직부분(22V)에 거치될 수 있다.
도 55를 살펴보면, 수직부분(22V)은 복수의 홀이 형성되는 베이스부(Base Portion, 22VBE), 베이스부(22VBE)에 고정되는 스프링부(Spring Portion, GSP) 및 디스플레이 모듈(MDL)의 돌출부(1000)가 베이스부(22VBE)의 홀을 관통하여 거치되는 거치부(Supporting Portion, 22VSP)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수직부분(22V)은 스프링부(GSP)와 거치부(22VSP)를 연결하는 연결봉(Connection Rod, RD)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수직부분(22V)은 베이스부(22VBE)에 거치부(22GSP)를 고정시키는 고정부(HCS1, HCS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부(HCS1, HCS2)는 스크류 등의 체결수단일 수 있다.
수직부분(22V)의 베이스부(22VBE)에는 디스플레이 모듈(MDL)의 돌출부(1000)에 대응되는 상부 홀(22VH1T) 및 하부 홀(22VH1B)이 형성될 수 있다. 상부 홀(22VH1T) 및 하부 홀(22VH1B)에 대해서는 앞서 상세히 설명하였다.
또한, 수직부분(22V)의 베이스부(22VBE)에는 거치부(22VSP)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홀(22VH2, 22VH3)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수직부분(22V)의 베이스부(22VBE)에는 스프링부(GSP)를 배치하기 위한 스프링 고정부(22VGS)가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스프링 고정부(22VGS)에는 스프링부(GSP)의 일부가 삽입되는 홀(22VH4)이 형성될 수 있다.
거치부(22VSP)는 베이스부(22VBE)와의 체결을 위한 홀(22VSPH2, 22VSPH3)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거치부(22VSP)는 베이스부(22VBE)의 홀, 예컨대 상부 홀(22VH1T)에 대응되는 거치홀(22VSPH1)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홀(22VH1T)과 거치홀(22VSPH1)은 서로 중첩할 수 있다. 아울러, 거치홀(22VSPH1)의 크기는 상부 홀(22VH1T)보다 더 클 수 있다.
스피링부(GSP)는 가스 스프링 및 유압 스프링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스프링부(GSP)가 스프링 고정부(22VGS)의 홀(22VH4)에 끼워지고, 거치부(22VSP)가 베이스부(22VBE)에 안착되면, 도 56과 같이, 상부 홀(22VH1T)과 거치홀(22VSPH1)이 대응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모듈(MDL)의 돌출부(1000)를 상부 홀(22VH1T)과 거치홀(22VSPH1)에 거치시키면 도 57의 경우와 같은 상태가 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모듈(MDL)의 돌출부(1000)는 상부 홀(22VH1T)을 관통하여 거치홀(22VSPH1)에 거치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스프링부(GSP)의 도움으로 적은 힘을 사용하더라도 용이하게 디스플레이 모듈(MDL)을 들어올릴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MDL)의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할 수 있다.
아울러,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각각의 디스플레이 모듈(MDL)의 높이 조절이 용이할 수 있다.
스프링부(GSP)를 이용하여 각각의 디스플레이 모듈(MDL)의 높이를 조절한 이후에, 고정부(HCS1, HCS2)를 이용하여 거치부(22GSP)를 수직부분(22V)의 베이스부(22VBE)에 고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부(HCS1, HCS2)가 거치부(22GSP)에 형성된 홀(22VSPH2, 22VSPH3)과 수직부분(22V)의 베이스부(22VBE)에는 형성된 고정홀(22VH2, 22VH3)을 관통하여 거치부(22GSP)를 베이스부(22VBE)에 고정시킬 수 있다.
모듈 거치대(22)의 수직부분(22V)은 적어도 하나의 롤러(Roller)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8의 경우와 같이, 수직부분(22V)의 베이스부(22VBE)에는 제 1 롤러 받침대(RSP1)가 연결되고, 제 1 롤러 받침대(RSP1)에 제 1 롤러(1100)가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수직부분(22V)의 베이스부(22VBE)에는 제 1 롤러 받침대(RSP1)와의 체결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홀(H150)이 형성되고, 제 1 롤러 받침대(RSP1)에도 베이스부(22VBE)와의 체결을 위한 홀(H151)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소정의 체결수단(S160)이 베이스부(22VBE)의 홀(H150)과 제 1 롤러 받침대(RSP1)의 홀(H151)에 삽입되어 제 1 롤러 받침대(RSP1)를 베이스부(22VBE)에 연결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 1 롤러부(1100)의 축(RAX)은 제 3 방향(DRZ)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롤러부(1100)는 제 3 방향(DRZ)으로 연장된 축(RAX)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아울러, 도 59의 경우와 같이, 제 1 롤러 받침대(RSP1)에는 제 1 롤러(1100)를 연결하기 위한 홀(H152)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제 1 롤러부(1100)는 제 1 샤프트(First Shaft, 1110), 제 1 샤프트(1110)에 끼워지는 제 1 바퀴(First Caster, 1120), 제 1 볼트(1140), 제 1 볼트(1140)와 결합되는 제 1 너트(1150), 및 제 1 볼트(1140)와 제 1 바퀴(1120)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 1 와셔(First Washer, 11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바퀴(1120)는 제 1 샤프트(1110)에 끼워진 상태에서 회전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제 1 와셔(1130)는 제 1 볼트(1140)와 제 1 바퀴(1120)의 접촉으로 인해 제 1 바퀴(1120)의 회전력이 감소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볼트(1140)와 제 1 너트(1150)는 다른 종류의 체결수단으로 대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리벳(Rivet)을 이용하여 제 1 롤러부(1100)를 제 1 롤러 받침대(RSP1)에 연결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제 1 롤러부(1100)를 포함하는 수직 부분(22V)은 수평부분(22H)에 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60의 경우와 같이, 수직 부분(22V)의 제 1 롤러부(1100)는 제 1 수평부분(22HA)의 제 1 수평레일(22HAR)을 따라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모듈 거치대(22)의 수직부분(22V)은 제 1 롤러부(1100)와 다른 제 2 롤러부(120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61의 경우와 같이, 수직부분(22V)의 베이스부(22VBE)에는 제 2 롤러 받침대(RSP2)가 연결되고, 제 2 롤러 받침대(RSP2)에 제 2 롤러부(1200)가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수직부분(22V)의 베이스부(22VBE)에는 제 2 롤러 받침대(RSP2)와의 체결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홀(H160)이 형성되고, 제 2 롤러 받침대(RSP2)에도 베이스부(22VBE)와의 체결을 위한 홀(H161)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소정의 체결수단(S170)이 베이스부(22VBE)의 홀(H160)과 제 2 롤러 받침대(RSP2)의 홀(H161)에 삽입되어 제 2 롤러 받침대(RSP2)를 베이스부(22VBE)에 연결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 2 롤러부(1200)의 축(RBX)은 제 2 방향(DRV), 즉 수직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2 롤러부(1200)는 제 2 방향(DRV)으로 연장된 축(RBX)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아울러, 도 62의 경우와 같이, 제 2 롤러 받침대(RSP2)에는 제 2 롤러부(1200)를 연결하기 위한 홀(H162)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제 2 롤러부(1200)는 제 2 샤프트(Second Shaft, 1210), 제 2 샤프트(1210)에 끼워지는 제 2 바퀴(Second Caster, 1220), 제 2 볼트(1240), 제 2 볼트(1240)와 결합되는 제 2 너트(1250), 및 제 2 볼트(1240)와 제 2 바퀴(1220)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 2 와셔(Second Washer, 12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바퀴(1220)는 제 2 샤프트(1210)에 끼워진 상태에서 회전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제 2 와셔(1230)는 제 2 볼트(1240)와 제 2 바퀴(1220)의 접촉으로 인해 제 2 바퀴(1220)의 회전력이 감소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볼트(1240)와 제 2 너트(1250)는 다른 종류의 체결수단으로 대체될 수 있다.
제 1 롤러부(1100)와 제 2 롤러부(1200)를 포함하는 수직 부분(22V)이 제 1 수평부분(22HA)과 제 2 수평부분(22HB)에 거치될 수 있다. 그러면, 도 63의 경우와 같이, 수직 부분(22V)의 제 2 롤러부(1200)는 제 2 수평부분(22HB)의 제 2 수평레일(22HBR)을 따라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앞선, 도 60의 경우와 같이, 제 1 롤러부(1100)가 제 1 수평부분(22HA)에 거치되기 때문에 제 2 롤러부(1200)는 제 2 수평부분(22HB)에 거치되지 않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이처럼, 제 1 롤러부(1100)와 제 2 롤러부(1200)를 사용하게 되면, 사용자는 모듈 거치대(22)에 거치된 디스플레이 모듈(MDL)을 좌/우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으며, 아울러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각각의 디스플레이 모듈(MDL)의 좌/우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0)

  1. 메인 프레임(Main Frame);
    상기 메인 프레임에 배치되는 복수의 모듈 거치대;
    상기 모듈 거치대에 거치되며, 이미지를 표시하는 전면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을 포함하며, 서로 인접하는 제1 디스플레이 모듈(Display Module)과 제2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의 일측과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모듈의 일측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모듈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 조절부;
    를 포함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 조절부는
    베이스 플레이트(Base Plate);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제 1 면(First Surface)에 배치되는 제 1 돌출부;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기 제 1 면에 대항되는 제 2 면(Second Surface)에 배치되는 제 2 돌출부;
    를 포함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모듈은 각각 홀(Hole)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돌출부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모듈에 형성되는 홀에 삽입되고,
    상기 제 2 돌출부는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모듈에 형성되는 홀에 삽입되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돌출부 및 상기 제 2 돌출부 중 제 1 돌출부에는 나사선이 형성되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돌출부의 직경은 상기 제 2 돌출부의 직경보다 더 큰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돌출부의 길이는 상기 제 1 돌출부의 길이보다 길거나 같은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기 제 1 면 및 상기 제 2 면에 인접하는 제 3 면(Third Surface)의 표면 거칠기는 상기 제 1 면 및 상기 제 2 면의 표면 거칠기보다 더 큰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디스플레이 모듈은 각각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에 부착되는 프레임(Frame);
    상기 프레임의 후방에 위치하는 후면커버(Back Cover); 및
    상기 프레임과 상기 후면커버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홀을 포함하는 구조물;
    을 포함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폭 방향으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직경은 상기 구조물의 폭보다 큰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모듈의 경계부분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기 구조물 보다 후방으로 더 돌출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20102397A 2012-09-14 2012-09-14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KR1019699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2397A KR101969903B1 (ko) 2012-09-14 2012-09-14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EP12008105.4A EP2709086B1 (en) 2012-09-14 2012-12-04 Multi-display device
US13/693,324 US9414503B2 (en) 2012-09-14 2012-12-04 Multi-display device
CN201310014745.9A CN103680318B (zh) 2012-09-14 2013-01-15 多屏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2397A KR101969903B1 (ko) 2012-09-14 2012-09-14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5741A KR20140035741A (ko) 2014-03-24
KR101969903B1 true KR101969903B1 (ko) 2019-04-17

Family

ID=50645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2397A KR101969903B1 (ko) 2012-09-14 2012-09-14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990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2056B1 (ko) * 2015-03-09 2021-08-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10337B1 (ko) * 2015-12-16 2022-06-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비디오 월 배치를 위한 가이드 핀 및 이를 이용한 비디오 월
KR102400845B1 (ko) * 2017-11-20 2022-05-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타일형 표시장치
KR102489223B1 (ko) * 2018-09-28 2023-01-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멀티디스플레이의 갭 조절장치 및 이를 갖는 멀티디스플레이
KR102550294B1 (ko) * 2018-09-28 2023-07-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멀티디스플레이의 갭 조절장치 및 이를 갖는 멀티디스플레이
CN114730535A (zh) * 2019-11-20 2022-07-08 乐金显示有限公司 显示装置
CN111785182B (zh) * 2020-07-20 2022-07-12 Tcl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Led拼接面板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3987B1 (ko) * 2009-12-22 2011-06-24 주식회사 토비스 멀티 디스플레이 간격 조절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8829B1 (ko) * 2010-12-14 2017-07-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 디스플레이 패널의 거치대 및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3987B1 (ko) * 2009-12-22 2011-06-24 주식회사 토비스 멀티 디스플레이 간격 조절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5741A (ko) 2014-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9903B1 (ko)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EP2709086B1 (en) Multi-display device
KR102050293B1 (ko)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KR100909135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869415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1969902B1 (ko)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US20110260949A1 (en) Multi display device
KR101758829B1 (ko) 멀티 디스플레이 패널의 거치대 및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US20150138634A1 (en) Multiple three-dimensional display
KR101596387B1 (ko) 멀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20110111190A (ko) 멀티 디스플레이 패널의 거치대 및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49472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US8174192B2 (en) Plasma display panel
KR10166691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및 멀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172880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KR101707578B1 (ko)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JP2003043944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KR101707575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어레이
KR100577997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모듈
KR20110111773A (ko) 디스플레이 장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및 멀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1744085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및 멀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JP2011145432A (ja) 回路基板およ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KR20080052878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에 따른 제조과정
KR20130101950A (ko) 멀티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
KR20130101948A (ko) 멀티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