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0294B1 - 멀티디스플레이의 갭 조절장치 및 이를 갖는 멀티디스플레이 - Google Patents

멀티디스플레이의 갭 조절장치 및 이를 갖는 멀티디스플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0294B1
KR102550294B1 KR1020180116182A KR20180116182A KR102550294B1 KR 102550294 B1 KR102550294 B1 KR 102550294B1 KR 1020180116182 A KR1020180116182 A KR 1020180116182A KR 20180116182 A KR20180116182 A KR 20180116182A KR 102550294 B1 KR102550294 B1 KR 1025502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display
leaf spring
guide hole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61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36489A (ko
Inventor
김용준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161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0294B1/ko
Priority to CN201910924923.9A priority patent/CN110969947B/zh
Priority to US16/587,916 priority patent/US10816022B2/en
Publication of KR202000364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64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02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02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geometrical disposition of the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geometrical disposition of the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6Video wall, i.e. stackable semiconductor matrix display modu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41Allowing quick release of the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46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display composed of modules, e.g. video wal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21Side-by-side or stacked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2200/00Details of stands or supports
    • F16M2200/02Lock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멀티디스플레이의 갭 조절장치는 제1 고정부, 제2 고정부, 홀더, 제1 판스프링, 제2 판스프링 및 가압 스위치를 포함한다. 제1 고정부는 제1 디스플레이에 고정된다. 제2 고정부는 제1 디스플레이에 인접한 제2 디스플레이에 고정된다. 홀더는 천장부, 제1 측벽부 및 제1 측벽부에 마주하는 제2 측벽부를 포함하고, 홀더의 하측에 개구된 부분을 통해 홀더는 제1 고정부와 제2 고정부에 결합된다. 제1 판스프링은 제1 측벽부와 제1 고정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제1 고정부 측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제2 판스프링은 제2 측벽부와 제2 고정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제2 고정부 측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가압 스위치는 홀더에 결합되어 제1 판스프링과 제2 판스프링을 제1 고정부와 제2 고정부에 각각 가압한다.

Description

멀티디스플레이의 갭 조절장치 및 이를 갖는 멀티디스플레이{GAP REGULATOR OF MULTI DISPLAY AND MULTI DISPLAY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멀티디스플레이의 갭 조절 장치 및 이를 갖는 멀티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멀티디스플레이의 서로 인접한 디스플레이들에 결합되어 디스플레이들 간의 갭을 용이하게 조절하는 갭 조절장치 및 이를 갖는 멀티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이다.
많은 사람들이 운집한 장소나 이용하는 공공시설에 디스플레이 장치가 설치되는 경우에, 설치되는 장소의 특성 상 대형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필요하다. 멀티디스플레이는 다수의 디스플레이로 구성되나, 멀티디스플레이는 마치 하나의 화면에서 영상이 구동되는 것처럼 구동되므로, 멀티디스플레이는 공공장소에서 많은 사람들에게 영상 정보를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대형의 디스플레이, 예를 들어 100인치 이상의 대형의 디스플레이는 특수한 목적으로 설치되어 수요가 일정하지 않으므로, 대형의 디스플레이를 양산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디스플레이로 대형의 디스플레이를 구현하는 것 보다는 다수의 디스플레이를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형태로 결합시킨 멀티디스플레이가 보다 실용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멀티디스플레이의 서로 인접한 다수의 디스플레이들 간의 갭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갭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서로 인접한 다수의 디스플레이들 간의 갭을 조절하는 갭 조절장치를 포함하여 설치가 용이한 멀티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멀티디스플레이의 서로 인접한 디스플레이들의 갭을 조절하는 갭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술한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멀티디스플레이의 갭 조절장치는 제1 고정부, 제2 고정부, 홀더, 제1 판스프링, 제2 판스프링 및 가압 스위치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고정부는 제1 디스플레이에 고정된다.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에 인접한 제2 디스플레이에 고정되고,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제1 고정부에 대향한다. 상기 홀더는 천장부, 제1 측벽부 및 상기 제1 측벽부에 마주하는 제2 측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의 하측에 개구된 부분을 통해 상기 홀더는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제2 고정부에 결합된다.
상기 제1 판스프링은 상기 제1 측벽부와 상기 제1 고정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고정부 측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기 제2 판스프링은 상기 제2 측벽부와 상기 제2 고정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2 고정부 측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기 가압 스위치는 상기 홀더에 결합되어 상기 제1 판스프링과 상기 제2 판스프링을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제2 고정부에 각각 가압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멀티 디스플레이는 제1 디스플레이, 상기 제1 디스플레이에 인접하게 배치된 제2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1 디스플레이와 상기 제2 디스플레이와 결합되어 상기 제1 디스플레이와 상기 제2 디스플레이의 갭(gap)을 조절하는 상술한 갭 조절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멀티디스플레이의 갭 조절장치에 따르면, 서로 인접한 디스플레이들 간의 갭이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멀티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하기 위하여 다수의 디스플레이들을 배열하는 과정 중에 발생되는 갭이 갭조절 장치에 의해 용이하게 조절되어, 멀티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체 표시화면에서 갭에 의해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부분이 최소화되어 멀티디스플레이 장치의 표시품질이 향상되는 효과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들의 배면에 결합된 갭조절 장치에 의해 디스플레이들의 갭이 조절되므로, 디스플레이들의 갭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들의 전면에 설치되는 프레임들이 생략될 수 있다. 따라서 멀티디스플레이의 설치 작업이 단순해질 수 있고, 디스플레이들의 전면에 설치되는 프레임들이 생략됨에 따라 멀티디스플레이의 표시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멀티디스플레이 장치의 배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1 디스플레이와 제2 디스플레이에 결합된 갭 조절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갭 조절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I-I`을 따라 절취된 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a는 도 4에 도시된 가압 스위치의 배면이 나타나는 사시도이다.
도 6b는 도 4에 도시된 홀더의 배면이 나타나는 사시도이다.
도 6c는 도 4에 도시된 제1 판스프링의 배면이 나타나는 사시도이다.
도 7a는 가압 스위치가 오프 상태의 위치일 때 제1 디스플레이와 제2 디스플레이와 결합된 갭 조절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7b는 가압 스위치가 오프 상태의 위치일 때 제1 디스플레이와 제2 디스플레이와 결합된 갭 조절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8은 가압 스위치가 온 상태의 위치일 때 제1 디스플레이와 제2 디스플레이에 결합된 갭 조절장치의 배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효과는 도면과 관련된 실시예들을 통해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응용되어 변형될 수도 있다. 오히려 후술될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에 의해 개시된 기술 사상을 보다 명확히 하고, 나아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당업자에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가 후술될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한편, 하기 실시예와 도면 상에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 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제1' 및 '제2'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또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있다고 할 때,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멀티디스플레이 장치의 배면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 2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멀티디스플레이 장치를 제1 시야방향(V1)에서 볼 때 멀티디스플레이 장치의 배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멀티디스플레이 장치(500)는 제1 디스플레이(101), 제2 디스플레이(102), 제3 디스플레이(103), 제4 디스플레이(104), 프레임부(FR) 및 다수의 갭 조절장치들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1 내지 제4 디스플레이들(101,102,103,104)의 각각은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면을 갖고, 제1 내지 제4 디스플레이들(101,102,103,104)은 제1 방향(D1)의 행 방향과 제2 방향(D2)의 열 방향을 갖는 타일의 형상으로 배열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멀티디스플레이 장치(500)는 총 4개의 디스플레이들로 구성되나, 본 발명이 멀티디스플레이 장치(500)를 구성하는 디스플레이들의 개수나 디스플레이들의 배열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다른 실시예에서는 멀티디스플레이 장치(500)를 구성하는 디스플레이들의 개수는 2개, 3개 또는 5개 이상일 수 있고,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멀티디스플레이 장치(500)의 다수의 디스플레이들은 하나의 행 또는 하나의 열로 배열될 수도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1 내지 제4 디스플레이들(101,102,103,104)의 각각은 유기발광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이 제1 내지 제4 디스플레이들(101,102,103,104)의 각각의 종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1 내지 제4 디스플레이들(101,102,103,104)의 각각은 액정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프레임부(FR)는 제1 내지 제4 디스플레이들(101,102,103,104)의 배면에 결합되고, 프레임부(FR)에 의해 제1 내지 제4 디스플레이들(101,102,103,104)이 상호 간에 결합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프레임부(FR)는 제1 방향(D1)으로 연장된 제1 프레임(F1)과 제2 방향(D2)으로 연장된 제2 프레임(F2)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프레임부(FR)는 벽면에 고정된 거치장치(미도시)에 결합되어 제1 내지 제4 디스플레이들(101,102,103,104)이 상기 벽면에 거치되거나, 프레임부(FR)는 지면에 설치된 다른 거치장치(미도시)에 결합되어 제1 내지 제4 디스플레이들(101,102,103,104)이 상기 지면 위에 설치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1 내지 제4 디스플레이들(101,102,103,104)이 갖는 다수의 표시면들을 통해 하나의 영상이 표시되도록 제1 내지 제4 디스플레이들(101,102,103,104)이 구동될 수 있다. 따라서, 멀티디스플레이 장치(500)는 대형의 표시면을 통해 공공장소에서 많은 사람들에게 영상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다수의 갭 조절장치들(201, 202, 203, 204)은 제1 내지 제4 디스플레이들(101,102,103,104)의 배면에 결합된다. 다수의 갭 조절장치들(201, 202, 203, 204)의 각각은 제1 내지 제4 디스플레이들(101,102,103,104) 중 서로 인접한 두 개의 디스플레이들에 결합되어 상기 두 개의 디스플레이들 간의 갭(gap)을 조절한다.
한편, 멀티디스플레이 장치(500)에서 상기 갭은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부분으로 시인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다수의 갭 조절장치들(201, 202, 203, 204)을 이용하여 상기 갭이 최소화되도록 상기 갭이 조절되어, 멀티디스플레이 장치(500)의 표시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다수의 갭 조절장치들(201, 202, 203, 204)은 제1 갭 조절장치들(201), 제2 갭 조절장치들(202), 제3 갭 조절장치들(203) 및 제4 갭 조절장치들(204)을 포함한다.
제1 갭 조절장치들(201)의 각각은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들(101, 102)에 결합되어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들(101,102) 간의 제1 방향(D1)의 갭을 조절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제1 갭 조절장치들(201)의 각각은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들(101, 102)의 제1 경계(BA1)에 중첩되고, 제1 갭 조절장치들(201)은 제1 경계(BA1)를 따라 제2 방향(D2)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2 갭 조절장치들(202)의 각각은 제3 및 제4 디스플레이들(103, 104)에 결합되어 제3 및 제4 디스플레이들(103,104) 간의 제1 방향(DR1)의 갭을 조절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제2 갭 조절장치들(202)의 각각은 제3 및 제4 디스플레이들(103, 104)의 제2 경계(BA2)에 중첩되고, 제2 갭 조절장치들(202)은 제2 경계(BA2)를 따라 제2 방향(D2)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3 갭 조절장치들(203)의 각각은 제1 및 제3 디스플레이들(101, 103)에 결합되어 제1 및 제3 디스플레이들(101,103) 간의 제2 방향(DR2)의 갭을 조절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제3 갭 조절장치들(203)의 각각은 제1 및 제3 디스플레이들(101, 103)의 제3 경계(BA3)에 중첩되고, 제3 갭 조절장치들(203)은 제3 경계(BA3)를 따라 제1 방향(D1)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4 갭 조절장치들(204)의 각각은 제2 및 제4 디스플레이들(102, 104)에 결합되어 제2 및 제4 디스플레이들(102,104) 간의 제2 방향(DR2)의 갭을 조절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제4 갭 조절장치들(204)의 각각은 제2 및 제4 디스플레이들(102, 104)의 제4 경계(BA4)에 중첩되고, 제4 갭 조절장치들(204)은 제4 경계(BA4)를 따라 제2 방향(D2)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는 제1 내지 제4 경계들(BA1, BA2, BA3, BA4)의 각각에 두 개의 갭 조절장치들이 설치된다. 하지만, 본 발명이 제1 내지 제4 경계들(BA1, BA2, BA3, BA4)의 각각에 설치되는 갭 조절장치들의 개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 내지 제4 경계들(BA1, BA2, BA3, BA4)의 각각의 길이에 따라 설치되는 갭 조절장치들의 개수는 조절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다수의 갭 조절장치들(201, 202, 203, 204)이 설치되는 위치는 서로 상이할 수 있으나, 다수의 갭 조절장치들(201, 202, 203, 204)은 서로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이하 다수의 갭 조절장치들(201, 202, 203, 204) 중 하나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1 디스플레이와 제2 디스플레이에 결합된 갭 조절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갭 조절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의 I-I`을 따라 절취된 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또한, 도 6a는 도 4에 도시된 가압 스위치(SW)의 배면이 나타나는 사시도이고, 도 6b는 도 4에 도시된 홀더(HD)의 배면이 나타나는 사시도이고, 도 6c는 도 4에 도시된 제1 판스프링(LS1)의 배면이 나타나는 사시도이다. 도 6a, 도 6b 및 도 6c들은 갭 조절장치(500)의 가압 스위치(SW), 홀더(HD) 및 제1 판스프링(LS1)의 보다 자세한 구조들을 도시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으로, 이하 갭 조절장치(201)의 설명에서 도 6a, 도 6b 및 도 6c가 참조될 수 있다.
도 3,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갭 조절장치(201)는 제1 디스플레이(101)와 제2 디스플레이(102)에 결합되어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들(101,102) 간의 제1 방향(D1)의 갭(GP)을 조절하는 데 사용된다. 즉, 갭 조절장치(201)를 이용하여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들(101,102)이 상호 간에 가까워지도록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들(101,102)에 힘이 가해질 수 있고, 이에 따라 갭(GP)의 크기가 감소되거나 실질적으로 제로로 구현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갭 조절장치(201)는 제1 고정부(FX1), 제2 고정부(FX2), 제1 패드(PD1), 제2 패드(PD2), 홀더(HD), 제1 판스프링(LS1), 제2 판스프링(LS2) 및 가압 스위치(SW)를 포함한다.
제1 고정부(FX1)는 제1 디스플레이(101)의 배면에 고정된다. 제2 고정부(FX2)는 제1 디스플레이(101)에 제1 방향(D1)으로 인접된 제2 디스플레이(102)의 배면에 고정된다. 제2 고정부(FX2)는 제1 경계(도 2의 BA1)를 사이에 두고 제1 고정부(FX1)에 마주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 고정부들(FX1,FX2)은 서로 대칭적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고정부들(FX1,FX2) 중 제1 고정부(FX1)의 구조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1 고정부(FX1)는 바닥부(FP1), 상단부(FP2) 및 연결부(FP3)를 포함한다. 제1 고정부(FX1)는 제1 디스플레이(101)의 일측 에지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제1 고정부(FX1)는 바닥부(FP1), 상단부(FP2) 및 연결부(FP3)의 각각은 제1 방향(D1)에 교차하는 제2 방향(D2)으로 연장된 프레임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바닥부(FP1)는 제1 디스플레이(101)의 배면에 고정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바닥부(FP1)와 제1 디스플레이(101)의 배면 사이에는 접착성 레진(미도시)이 개재될 수 있고, 상기 접착성 레진에 의해 바닥부(FP1)가 제1 디스플레이(101)의 배면에 고정된다. 또한, 제1 고정부(FX1)가 제1 판스프링(LS1)과 홀더(HD)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바닥부(FP1) 위에 제1 판스프링(LS1)이 배치될 수 있다.
상단부(FP2)는 바닥부(FP1)으로부터 일 높이에 위치한다. 제1 고정부(FX1)가 가압 스위치(SW)와 홀더(HD)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가압 스위치(SW)의 지지부(SP2)는 상단부(FP2)에 접촉되어 상단부(FP2)가 지지될 수 있다.
연결부(FP3)는 바닥부(FP1)와 상단부(FP2) 각각에 대해 수직으로 연결되고, 연결부(FP3)는 바닥부(FP1)를 상단부(FP2)에 연결한다. 또한, 전술된 바와 같이, 제1 판스프링(LS1)이 바닥부(FP1) 위에 배치되되, 가압 스위치(SW)에 의해 제1 판스프링(LS1)이 제1 고정부(FX1)에 가압되는 경우에 제1 판스프링(LS1)이 연결부(FP3)의 제1 외측면(SS1)에 접촉된다. 즉, 가압 스위치(SW)에 의해 가압되는 제1 판스프링(LS1)은 제1 외측면(SS1)을 통해 제1 고정부(FX1) 측으로 제1 방향(D1)의 힘을 가한다.
마찬가지로, 제2 고정부(FX2)는 제1 고정부(FX1)의 구성과 대응되도록 바닥부, 상단부 및 연결부를 포함하되, 가압 스위치(SW)에 의해 제2 판스프링(LS2)이 제2 고정부(FX2)에 가압되는 경우에 제2 판스프링(LS2)이 제2 고정부(FX2)의 제2 외측면(SS2)에 접촉될 수 있다. 즉, 가압 스위치(SW)에 의해 가압되는 제2 판스프링(LS2)은 제2 외측면(SS2)을 통해 제2 고정부(FX2) 측으로 제1 방향(D1)의 역방향인 제3 방향(D3)의 힘을 가할 수 있다.
따라서, 가압 스위치(SW), 제1 판스프링(LS1) 및 제2 판스프링(LS2)의 상호 작용에 의해 제1 및 제2 고정부들(FX1,FX2)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힘을 받으므로, 제1 및 제2 고정부들(FX1,FX2)에 고정된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들(101,102)은 서로 가까워지도록 쉬프트되어 갭(GP)의 크기가 작아지거나 실질적으로 제로(zero)로 구현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연결부(FP3)의 제1 외측면(SS1)에 대향하는 제1 내측면에는 제2 방향(D2)으로 홈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홈의 내부에는 제1 패드(PD1)가 수용될 수 있다. 제1 패드(PD1)의 구성물질은 고무와 같은 탄성을 갖는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정부(FX1)와 마찬가지로, 제2 고정부(FX2)의 연결부의 제2 외측면(SS2)에 대향하는 제2 내측면에는 제2 방향(D2)으로 홈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홈에는 제2 패드(PD2)가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갭 조절장치(201)를 이용하여 갭(GP)을 감소시키는 과정에서, 제1 고정부(FX1)와 제2 고정부(FX2)가 상호 간에 과도한 압력으로 접촉되어 파손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홀더(HD)는 천장부(CP), 제1 측벽부(SW1) 및 제2 측벽부(SW2)를 포함하고, 홀더(HD)는 홀더(HD)의 하측에 개구된 부분을 통해 제1 고정부(FX1)와 제2 고정부(FX2)에 결합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홀더(HD)를 평면상에서 볼 때 홀더(HD)는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들(101,102)에 중첩될 수 있고, 천장부(CP), 제1 측벽부(SW1) 및 제2 측벽부(SW2)의 각각은 제2 방향(D2)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천장부(CP)에는 가이드홀(GH), 제1 보조 가이드홀(AH1) 및 제2 보조 가이드홀(AH2)이 정의될 수 있다. 가이드홀(GH), 제1 보조 가이드홀(AH1) 및 제2 보조 가이드홀(AH2)의 각각의 길이 방향은 제2 방향(D2)과 나란할 수 있다. 제1 보조 가이드홀(AH1)은 제1 측벽부(SW1)에 인접하여 제1 측벽부(SW1)를 따라 형성되고, 제2 보조 가이드홀(AH2)은 제2 측벽부(SW2)에 인접하여 제2 측벽부(SW2)를 따라 형성된다. 또한, 가이드홀(GH)은 제1 보조 가이드홀(AH1)과 제2 보조 가이드홀(AH2)의 사이를 따라 형성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가이드홀(GH), 제1 보조 가이드홀(AH1) 및 제2 보조 가이드홀(AH2)은 가압 스위치(SW)를 부분적으로 홀더(HD)에 수용하기 위해 천장부(CP)에 형성된다. 또한, 가이드홀(GH), 제1 보조 가이드홀(AH1) 및 제2 보조 가이드홀(AH2) 각각이 제2 방향(D2)을 따라 형성되어, 가압 스위치(SW)가 홀더(HD)의 내부에 부분적으로 수용된 상태에서 가압 스위치(SW)는 제2 방향(D2) 및 제2 방향(D2)의 역 방향으로 이동되고, 이와 동시에 가압 스위치(SW)는 홀더(HD) 내의 위치에 따라 제1 및 제2 판스프링들(LS1,LS2)을 이용한 제1 및 제2 고정부들(FX1,FX2) 측의 가압을 스위칭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7a, 도 7b 및 도 8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홀더(HD)의 천장부(CP)에 걸림홀(SH)이 더 정의될 수 있다. 걸림홀(SH)은 가이드홀(GH)과 연결되어 가이드홀(GH)의 양측들의 각각에 위치할 수 있다. 걸림홀(SH)은 가압 스위치(SW)의 지지부(SP2)를 홀더(HD)의 내부에 수용하기 위하여 홀더(HD)에 형성될 수 있다. 걸림홀(SH)의 형상은 가압 스위치(SW)의 지지부(SP2)의 형상에 대응될 수 있고, 걸림홀(SH)의 크기는 지지부(SP2)의 크기보다 크고 스위치부(SP1)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한편, 가압 스위치(SW)를 홀더(HD)에 결합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제1 가압부(PS1), 제2 가압부(PS2) 및 지지부(SP2)는 제1 보조 가이드홀(AH1), 제2 보조 가이드홀(AH2) 및 걸림홀(SH)에 일대일 대응되어 삽입되되, 스위치부(SP1)는 천장부(CP)를 통과하지 못하고 천장부(CP) 위에 놓일 수 있다. 따라서, 스위치부(SP1)는 천장부(CP) 위에서 가이드홀(GH)을 통해 제2 방향(D2) 또는 제2 방향(D2)의 역방향으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홀더(HD)는 다수의 제1 돌출부들(EB1)과 다수의 제2 돌출부들(EB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제1 돌출부들(EB1)은 제1 판스프링(LS1)과 결합될 수 있고, 다수의 제2 돌출부들(EB2)은 제2 판스프링(LS2)과 결합될 수 있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는 다수의 제1 돌출부들(EB1)의 개수는 2개일 수 있고, 다수의 제1 돌출부들(EB1)은 제1 측벽부(SW1)의 양단부들에 일대일 대응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제1 돌출부들(EB1)의 각각은 홀더(HD)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이 실시예에서는 다수의 제1 돌출부들(EB1)의 각각은 천장부(CP)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이 실시예에서는 다수의 제2 돌출부들(EB2)의 개수는 2개일 수 있고, 다수의 제2 돌출부들(EB2)은 제2 측벽부(SW2)의 양단부들에 일대일 대응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제2 돌출부들(EB2)의 각각은 홀더(HD)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이 실시예에서는 다수의 제2 돌출부들(EB2)의 각각은 천장부(CP)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판스프링(LS1)과 제2 판스프링(LS2)의 각각은 제2 방향(D2)으로 연장된 판을 다수회 벤딩시킨 구조를 갖는다. 제1 판스프링(LS1)은 제1 측벽부(SW1)와 제1 고정부(FX1)의 사이에 배치되고, 제2 판스프링(LS2)은 제2 측벽부(SW2)와 제2 고정부(FX2)의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가압 스위치(SW)가 홀더(HD)에 결합된 상태에서 가압 스위치(SW)가 제2 방향(D2) 및 제2 방향(D2)의 역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가압 스위치(SW)가 제1 및 제2 판스프링들(LS1,LS2)을 가압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가압 스위치(SW)의 동작에 의해 제1 판스프링(LS1)은 제1 고정부(FX1) 측으로 제1 방향(D1)의 탄성력을 제공하며, 제2 판스프링(LS2)은 제2 고정부(FX2) 측으로 제2 방향(D2)의 탄성력을 제공한다. 이 경우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판스프링(LS1)의 탄성력은 제1 외측면(SS1)을 통해 제1 고정부(FX1) 측으로 전달될 수 있으며, 제2 판스프링(LS2)의 탄성력은 제2 외측면(SS2)을 통해 제2 고정부(FX2) 측으로 전달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판스프링들(LS1,LS2)이 제1 및 제2 고정부들(FX1,FX2)이 서로 가까워지도록 제1 및 제2 고정부들(FX1,FX2) 측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경우에, 제1 고정부(FX1)에 고정된 제1 디스플레이(101)가 제1 방향(D1)으로 쉬프트되고, 제2 고정부(FX2)에 고정된 제2 디스플레이(102)가 제2 방향(D1)으로 쉬프트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들(101,102) 간의 제1 방향(D1) 또는 제2 방향(D2)의 갭(GP)의 크기가 감소되거나 실질적으로 제로로 구현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홀더(HD)의 내부에서 제1 판스프링(LS1)과 제2 판스프링(LS2)의 위치들은 서로 상이하나, 제1 판스프링(LS1)과 제2 판스프링(LS2)은 서로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이하 제1 판스프링(LS1)의 구조에 대해 설명하고, 제2 판스프링(LS2)의 구조의 설명은 생략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1 판스프링(LS1)은 중앙부(P1), 제1 탄성부(P2), 제2 탄성부(P3), 제1 벤딩부(P4), 제2 벤딩부(P5), 제1 결합부(P6) 및 제2 결합부(P7)를 포함한다. 하지만, 설명의 편의 상 제1 판스프링(LS1)이 다수의 부분들로 구분된 것으로 설명되며, 이 실시예에서는 제1 판스프링(LS1)은 상기 다수의 부분들이 일체로 형성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중앙부(P1)는 제1 판스프링(LS1)의 중앙에 위치한다. 제1 탄성부(P2)는 중앙부(P1)의 일 측에 배치되고, 제2 탄성부(P3)는 중앙부(P1)의 타 측에 배치되고, 제1 탄성부(P2)와 제2 탄성부(P3)의 각각은 중앙부(P1)와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벤딩부(P4)는 중앙부(P1)와 제1 탄성부(P2)의 사이에 위치하여 중앙부(P1)를 제1 탄성부(P2)에 연결하고, 제1 벤딩부(P4)는 중앙부(P1)와 제1 탄성부(P2)의 각각으로부터 벤딩된 형상을 갖는다. 또한, 제2 벤딩부(P5)는 중앙부(P1)와 제2 탄성부(P3)의 사이에 위치하여 중앙부(P1)를 제2 탄성부(P3)에 연결하고, 제2 벤딩부(P5)는 중앙부(P1)와 제2 탄성부(P3)의 각각으로부터 벤딩된 형상을 갖는다.
이 실시예에서는, 중앙부(P1)와 제1 벤딩부(P4) 간의 제1 각도(A1)가 정의될 때, 제1 각도(A1)는 둔각일 수 있다. 또한, 전술된 바와 같이, 제1 탄성부(P2)는 중앙부(P1)와 평행하므로, 제1 탄성부(P2)와 제1 벤딩부(P4) 간의 형성하는 각도 또한 둔각일 수 있다.
또한, 중앙부(P1)와 제2 벤딩부(P5) 간의 제2 각도(A2)가 정의될 때, 제2 각도(A2)는 둔각일 수 있다. 또한, 전술된 바와 같이, 제2 탄성부(P3)는 중앙부(P1)와 평행하므로, 제2 탄성부(P3)와 제2 벤딩부(P5) 간의 형성하는 각도는 둔각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각도(A1)와 제2 각도(A2)가 둔각인 경우에, 가압 스위치(SW)가 홀더(HD)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1 판스프링(LS1)의 탄성력 발생을 유도하기 위하여 제2 방향(D2)으로 슬라이딩 동작될 때, 가압 스위치(SW)는 제1 탄성부(P2) 또는 제2 탄성부(P3)로부터 중앙부(P1) 측으로 이동이 보다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1 판스프링(LS1)의 양측 에지들에 일대일 대응되어 제1 결합부(P6) 및 제2 결합부(P7)가 구비된다. 제1 결합부(P6)는 다수의 제1 돌출부들(EB1)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고, 제2 결합부(P7)는 다수의 제1 돌출부들(EB1) 중 다른 하나에 결합된다. 따라서, 제1 판스프링(LS1)이 홀더(HD)에 결합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1 판스프링(LS1)을 평면에서 볼 때, 제1 결합부(P6)에는 일 측으로 개구된 형상의 제1 결합홈(GH1)이 정의되고, 제2 결합부(P7)에는 일 측으로 개구된 형상의 제2 결합홈(GH2)이 정의된다. 따라서, 다수의 제1 돌출부들(EB1)이 제1 및 제2 결합홈들(GH1,GH2)의 내부에 수용되는 방식으로 제1 판스프링(LS1)이 홀더(HD)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1 판스프링(LS1)과 마찬가지로, 제2 판스프링(LS2)의 양측 에지들에 제1 및 제2 결합부들(P6,P7)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 두 개의 결합부들이 구비될 수 있으며, 제2 판스프링(LS2)의 상기 두 개의 결합부들은 다수의 제2 돌출부들(EB2)에 결합되어 제2 판스프링(LS2)이 홀더(HD)에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각도(A1)와 제2 각도(A2)가 둔각인 경우에, 가압 스위치(SW)가 홀더(HD)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1 판스프링(LS1)의 탄성력 발생을 유도하기 위하여 제2 방향(D2)으로 슬라이딩 동작될 때, 가압 스위치(SW)는 제1 탄성부(P2) 또는 제2 탄성부(P3)로부터 중앙부(P1) 측으로 이동이 보다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제1 및 제2 결합부들(P6,P7)에 의해 제1 판스프링(LS1)이 홀더(HD)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1 판스프링(LS1)의 벤딩 구조에 의해 제1 탄성부(P2)는 중앙부(P1) 보다 가이드홀(GH)에 인접하게 위치하고, 제2 탄성부(P3)는 중앙부(P1) 보다 가이드홀(GH)에 인접하게 위치한다. 따라서, 가압 스위치(SW)의 제1 가압부(PS1)에 의해 중앙부(P1)에 제1 방향(D1)으로 가압력이 작용하는 경우에, 상기 가압력이 제1 탄성부(P2)와 제2 탄성부(P3) 측으로 전달되어 제1 탄성부(P2)와 제2 탄성부(P3)가 제1 방향(D1)으로 가압된다.
또한, 제1 탄성부(P2)와 제2 탄성부(P3)가 제1 방향(D1)으로 가압되는 경우에, 제1 탄성부(P2)와 제2 탄성부(P3)는 제1 고정부(FX1)에 접촉되어 제1 고정부(FX1)를 가압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제1 판스프링(LS1)의 벤딩구조에 의해 제1 탄성부(P2)와 제2 탄성부(P3)에 탄성력이 작용되어 제1 탄성부(P2)와 제2 탄성부(P3)가 제1 고정부(FX1)를 가압하는 작용이 유지될 수 있다.
가압 스위치(SW)는 홀더(HD)에 결합된다. 또한, 가압 스위치(SW)는 가이드홀(GH)을 따라 홀더(HD)의 천장부(CP)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되며, 가압 스위치(SW)의 상기 슬라이딩 방식의 이동에 따라 가압 스위치(SW)는 제1 판스프링(LS1)과 제2 판스프링(LS2) 측의 가압을 스위칭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1 가압부(PS1), 제2 가압부(PS2), 스위치부(SP1) 및 지지부(SP2)를 포함한다. 제1 가압부(PS1)는 제1 보조 가이드홀(AH1)을 통해 홀더(HD)의 내부에 수용되며, 제1 가압부(PS1)는 제1 측벽부(SW1)와 제1 판스프링(LS1)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제2 가압부(PS2)는 제2 보조 가이드홀(AH2)을 통해 홀더(HD)의 내부에 수용되며, 제2 가압부(PS2)는 제2 측벽부(SW2)와 제2 판스프링(LS2) 사이에 배치된다.
스위치부(SP1)는 천장부(CP) 위에 배치된다. 스위치부(SP1)는 가압 스위치(SW)에서 외부에 노출된 부분으로, 작업자에 의해 스위치부(SP1)가 핸들링되어 가압 스위치(SW)의 상기 슬라이딩 방식의 이동이 조작될 수 있다.
지지부(SP2)는 걸림홀(SH)을 통해 홀더(HD)의 내부에 수용된다. 지지부(SP2)는 걸림홀(SH) 또는 가이드홀(GH)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대향할 수 있다. 지지부(SP2)는 제1 및 제2 고정부들(FX1,FX2)의 각각의 상단부(FP2)를 지지한다. 따라서, 지지부(SP2)에 의해 제1 및 제2 고정부들(FX1,FX2)이 견고하게 지지된 상태에서 가압 스위치(SW)를 조작하여 발생된 제1 및 제2 판스프링들(SP1,SP2)의 탄성력이 제1 및 제2 고정부들(FX1,FX2)에 전달될 수 있다.
이하, 도 7a, 도 7b 및 도 8을 참조하여 가압 스위치(SW)의 조작에 의해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들(101,102) 간의 갭(GP)이 조절되는 과정을 은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a는 가압 스위치가 오프(off) 상태의 위치일 때 제1 디스플레이와 제2 디스플레이와 결합된 갭 조절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7b는 가압 스위치가 오프 상태의 위치일 때 제1 디스플레이와 제2 디스플레이와 결합된 갭 조절장치의 배면도이다. 또한, 도 8은 가압 스위치가 온(on) 상태의 위치일 때 제1 디스플레이와 제2 디스플레이에 결합된 갭 조절장치의 배면도이다. 한편, 도 7a, 도 7b 및 도 8을 설명하는 데 있어서, 앞서 설명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도면 부호를 병기하고,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된다.
도 4,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도 7a 및 도 7b에서는 갭 조절장치(201)의 가압 스위치(SW)의 오프(off) 상태가 도시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가압 스위치(SW)의 오프 상태는 가압 스위치(SW)가 제1 판스프링(LS1)과 제2 판스프링(LS2)을 가압하기 이전의 상태로 정의될 수 있다. 가압 스위치(SW)가 상기 오프 상태인 경우에는, 가압 스위치(SW)의 제1 가압부(PS1)는 제1 판스프링(LS1)의 중앙부(P1)로부터 이격될 수 있고, 가압 스위치(SW)의 제2 가압부(PS2)는 제2 판스프링(LS2)의 중앙부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판스프링(LS1)은 제1 디스플레이(101)에 고정된 제1 고정부(FX1)의 제1 외측면(SS1)과 이격되거나, 제1 판스프링(LS1)에 의해 제1 외측면(SS1)에 제1 방향(D1)의 가압력 또는 탄성력이 인가되지 않는다. 또한, 제1 판스프링(LS1)과 마찬가지로, 제2 판스프링(LS2)은 제2 디스플레이(102)에 고정된 제2 고정부(FX2)의 제2 외측면(SS2)과 이격되거나, 제2 판스프링(LS2)에 의해 제2 외측면(SS2)에 제3 방향(D3)의 가압력 또는 탄성력이 인가되지 않는다.
도 8을 참조하면, 도 8에서는 갭 조절장치(201)의 가압 스위치(SW)의 온 (on)상태가 도시된다. 가압 스위치(SW)가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변환되기 위해서는, 스위치부(SP1)를 제2 방향(D2)의 역 방향으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시켜 구현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가압 스위치(SW)의 온 상태는 가압 스위치(SW)가 제1 판스프링(LS1)과 제2 판스프링(LS2)을 가압하는 상태로 정의될 수 있다. 가압 스위치(SW)가 상기 온 상태인 경우에는, 가압 스위치(SW)의 제1 가압부(PS1)는 제1 판스프링(LS1)의 중앙부(P1)에 접촉되어 중앙부(P1)를 제1 방향(D1)으로 가압할 수 있고, 가압 스위치(SW)의 제2 가압부(PS2)는 제2 판스프링(LS2)의 중앙부에 접촉되어 제2 판스프링(LS2)의 중앙부를 제3 방향(D3)으로 가압할 수 있다.
한편, 가압 스위치(SW)의 제1 가압부(PS1)에 의해 제1 판스프링(LS1)에 가압력이 작용하는 경우에, 제1 판스프링들(LS1)의 벤딩 구조에 의해 상기 가압력은 제1 판스프링(LS1)의 제1 탄성부(P2)와 제2 탄성부(P3) 측으로 전달되고, 그 결과 제1 탄성부(P2)와 제2 탄성부(P3)가 제1 방향(D1)으로 가압된다.
또한, 제1 탄성부(P2)와 제2 탄성부(P3)가 제1 방향(D1)으로 가압되는 경우에, 제1 탄성부(P2)와 제2 탄성부(P3)는 제1 고정부(FX1)의 제1 외측면(SS1)에 접촉되어 제1 고정부(FX1)를 제1 방향(D1)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제1 판스프링(LS1)의 벤딩구조에 의해 제1 탄성부(P2)와 제2 탄성부(P3)에 제1 방향(D1)으로 탄성력이 작용되어 제1 탄성부(P2)와 제2 탄성부(P3)가 제1 고정부(FX1)를 제1 방향(D1)으로 가압하는 작용이 유지될 수 있다.
상술한 제1 판스프링(LS1)과 마찬가지로, 가압 스위치(SW)의 제2 가압부(PS2)에 의해 제2 판스프링(LS2)에 가압력이 작용하는 경우에, 제2 판스프링(LS2)은 제2 고정부(FX2)의 제2 외측면(SS2)과 접촉되어 제2 고정부(FX2)를 제3 방향(D3)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제2 판스프링(LS2)의 벤딩구조에 의해 제3 방향(D3)으로 탄성력이 작용되어 제2 고정부(FX2)를 제3 방향(D3)으로 가압하는 작용이 유지될 수 있다.
상술한 가압 스위치(SW), 제1 판스프링(LS1) 및 제2 판스프링(LS2)의 작용에 따르면, 제1 및 제2 고정부들(FX1,FX2)에는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할 수 있고, 그 결과 제1 및 제2 고정부들(FX1,FX2)에 고정된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들(101,102)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쉬프트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들(101,102) 간의 제1 방향(D1) 또는 제3 방향(D3)의 갭의 크기가 감소되거나 상기 갭이 제로로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FX1: 제1 고정부 FX2: 제2 고정부
101: 제1 디스플레이 102: 제2 디스플레이
PD1: 제1 패드 HD: 홀더
SW: 가압 스위치 GH: 가이드홀
AH1: 제1 보조 가이드홀 SW1: 제1 측벽부
CP: 천장부 LS1: 제1 판스프링
SP1: 스위치부 PS1: 제1 가압부
PS2: 제2 가압부 SP2: 지지부
201: 갭 조절장치 500: 멀티디스플레이

Claims (17)

  1. 멀티디스플레이의 서로 인접한 디스플레이들의 갭을 조절하는 갭 조절장치에 있어서,
    제1 디스플레이에 고정되는 제1 고정부;
    상기 제1 디스플레이에 인접한 제2 디스플레이에 고정되고, 상기 제1 고정부에 대향하는 제2 고정부;
    천장부, 제1 측벽부 및 상기 제1 측벽부에 마주하는 제2 측벽부를 포함하고, 하측에 개구된 부분을 통해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제2 고정부에 결합되는 홀더;
    상기 제1 측벽부와 상기 제1 고정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고정부 측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 판스프링;
    상기 제2 측벽부와 상기 제2 고정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2 고정부 측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 판스프링; 및
    상기 홀더에 결합되어 상기 제1 판스프링과 상기 제2 판스프링을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제2 고정부에 각각 가압하는 가압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 스위치는 상기 천장부에 정의된 가이드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1 판스프링과 상기 제2 판스프링 측의 가압을 스위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갭 조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스위치는,
    상기 제1 측벽부와 상기 제1 판스프링 사이에 배치되는 제1 가압부;
    상기 제2 측벽부와 상기 제2 판스프링 사이에 배치되는 제2 가압부; 및
    상기 제1 가압부와 상기 제2 가압부에 연결되어 상기 천장부 위에 배치되는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갭 조절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판스프링과 상기 제2 판스프링의 각각은,
    중앙부;
    상기 중앙부의 일 측에 배치되는 제1 탄성부;
    상기 중앙부와 상기 제1 탄성부의 사이에서 상기 중앙부를 상기 제1 탄성부에 연결하는 제1 벤딩부;
    상기 중앙부의 타 측에 배치되는 제2 탄성부; 및
    상기 중앙부와 상기 제2 탄성부의 사이에서 상기 중앙부를 상기 제2 탄성부에 연결하는 제2 벤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벤딩부의 벤딩 구조에 의해 상기 제1 탄성부는 상기 중앙부보다 상기 가이드홀에 인접하고, 상기 제2 벤딩부의 벤딩 구조에 의해 상기 제2 탄성부는 상기 중앙부보다 상기 가이드홀에 인접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갭 조절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부와 상기 제1 탄성부의 각각과 상기 제1 벤딩부가 형성하는 각도는 둔각이고, 상기 중앙부와 상기 제2 탄성부의 각각과 상기 제2 벤딩부가 형성하는 각도는 둔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갭 조절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천장부에는 상기 제1 측벽부에 인접한 제1 보조 가이드홀과 상기 제2 측벽부에 인접한 제2 보조 가이드홀이 정의되고,
    상기 홀더를 평면상에서 볼 때, 상기 제1 보조 가이드홀과 상기 제2 보조 가이드홀의 각각은 상기 가이드홀과 평행하도록 상기 가이드홀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홀은 상기 제1 및 제2 보조 가이드홀들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가압부는 상기 제1 보조 가이드홀을 통해 상기 스위치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2 가압부는 상기 제2 보조 가이드홀을 통해 상기 스위치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갭 조절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스위치는,
    상기 홀더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가이드홀을 통해 상기 스위치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1 가압부와 상기 제2 가압부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제2 고정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갭 조절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홀의 적어도 일 측에 상기 지지부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걸림홀이 정의되고, 상기 걸림홀은 상기 가이드홀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갭 조절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제2 고정부의 각각은,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들 중 대응되는 디스플레이의 배면에 고정되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로부터 일 높이 위에 위치하는 상단부; 및
    상기 바닥부를 상기 상단부에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부 위에 상기 제1 및 제2 판스프링들 중 대응되는 판스프링이 배치되어 상기 연결부의 외측면에 접촉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상단부 위에 상기 지지부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갭 조절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탄성을 갖는 물질로 형성되고,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제2 고정부의 사이에 개재되는 패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패드는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제2 고정부의 각각의 연결부에 정의된 홈에 수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갭 조절장치.
  10. 멀티디스플레이의 서로 인접한 디스플레이들의 갭을 조절하는 갭 조절장치에 있어서,
    제1 디스플레이에 고정되는 제1 고정부;
    상기 제1 디스플레이에 인접한 제2 디스플레이에 고정되고, 상기 제1 고정부에 대향하는 제2 고정부;
    천장부, 제1 측벽부 및 상기 제1 측벽부에 마주하는 제2 측벽부를 포함하고, 하측에 개구된 부분을 통해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제2 고정부에 결합되는 홀더;
    상기 제1 측벽부와 상기 제1 고정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고정부 측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 판스프링;
    상기 제2 측벽부와 상기 제2 고정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2 고정부 측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 판스프링; 및
    상기 홀더에 결합되어 상기 제1 판스프링과 상기 제2 판스프링을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제2 고정부에 각각 가압하는 가압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제1 측벽부에 인접하여 상기 홀더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된 형상을 갖는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2 측벽부에 인접하여 상기 홀더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된 형상을 갖는 제2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판스프링은 상기 제1 돌출부에 결합되는 제1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판스프링은 상기 제2 돌출부에 결합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갭 조절장치.
  11. 제1 디스플레이;
    상기 제1 디스플레이에 인접하게 배치된 제2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1 디스플레이와 상기 제2 디스플레이와 결합되어 상기 제1 디스플레이와 상기 제2 디스플레이의 갭(gap)을 조절하는 갭 조절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갭 조절장치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에 고정되는 제1 고정부;
    상기 제2 디스플레이에 고정되고, 상기 제1 고정부에 대향하는 제2 고정부;
    천장부, 제1 측벽부 및 상기 제1 측벽부에 마주하는 제2 측벽부를 포함하고, 하측에 개구된 부분을 통해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제2 고정부에 결합되는 홀더;
    상기 제1 측벽부와 상기 제1 고정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고정부 측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 판스프링;
    상기 제2 측벽부와 상기 제2 고정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2 고정부 측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 판스프링; 및
    상기 홀더에 결합되어 상기 제1 판스프링과 상기 제2 판스프링을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제2 고정부에 각각 가압하는 가압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 스위치는 상기 천장부에 정의된 가이드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1 판스프링과 상기 제2 판스프링 측의 가압을 스위칭하는 멀티디스플레이.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스위치는,
    상기 제1 측벽부와 상기 제1 판스프링 사이에 배치되는 제1 가압부;
    상기 제2 측벽부와 상기 제2 판스프링 사이에 배치되는 제2 가압부;
    상기 제1 가압부와 상기 제2 가압부에 연결되어 상기 천장부 위에 배치되는 스위치부; 및
    상기 제1 가압부와 상기 제2 가압부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제2 고정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홀더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가이드홀을 통해 상기 스위치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디스플레이.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판스프링과 상기 제2 판스프링의 각각은,
    중앙부;
    상기 중앙부의 일 측에 배치되는 제1 탄성부;
    상기 중앙부와 상기 제1 탄성부의 사이에서 상기 중앙부를 상기 제1 탄성부에 연결하는 제1 벤딩부;
    상기 중앙부의 타 측에 배치되는 제2 탄성부; 및
    상기 중앙부와 상기 제2 탄성부의 사이에서 상기 중앙부를 상기 제2 탄성부에 연결하는 제2 벤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벤딩부의 벤딩 구조에 의해 상기 제1 탄성부는 상기 중앙부보다 상기 가이드홀에 인접하고, 상기 제2 벤딩부의 벤딩 구조에 의해 상기 제2 탄성부는 상기 중앙부보다 상기 가이드홀에 인접하고,
    상기 중앙부와 상기 제1 탄성부의 각각과 상기 제1 벤딩부가 형성하는 각도는 둔각이고, 상기 중앙부와 상기 제2 탄성부의 각각과 상기 제2 벤딩부가 형성하는 각도는 둔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디스플레이.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천장부에는 상기 제1 측벽부에 인접한 제1 보조 가이드홀과 상기 제2 측벽부에 인접한 제2 보조 가이드홀이 정의되고,
    상기 홀더를 평면상에서 볼 때, 상기 제1 보조 가이드홀과 상기 제2 보조 가이드홀의 각각은 상기 가이드홀과 평행하도록 상기 가이드홀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홀은 상기 제1 및 제2 보조 가이드홀들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가압부는 상기 제1 보조 가이드홀을 통해 상기 스위치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2 가압부는 상기 제2 보조 가이드홀을 통해 상기 스위치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디스플레이.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제2 고정부의 각각은,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들 중 대응되는 디스플레이의 배면에 고정되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로부터 일 높이 위에 위치하는 상단부; 및
    상기 바닥부를 상기 상단부에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부 위에 상기 제1 및 제2 판스프링들 중 대응되는 판스프링이 배치되어 상기 연결부의 측면에 접촉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상단부 위에 상기 지지부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디스플레이.
  16. 제 15 항에 있어서,
    탄성을 갖는 물질로 형성되고,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제2 고정부의 사이에 개재되는 패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패드는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제2 고정부의 각각의 연결부에 정의된 홈에 수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디스플레이.
  17. 제1 디스플레이;
    상기 제1 디스플레이에 인접하게 배치된 제2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1 디스플레이와 상기 제2 디스플레이와 결합되어 상기 제1 디스플레이와 상기 제2 디스플레이의 갭(gap)을 조절하는 갭 조절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갭 조절장치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에 고정되는 제1 고정부;
    상기 제2 디스플레이에 고정되고, 상기 제1 고정부에 대향하는 제2 고정부;
    천장부, 제1 측벽부 및 상기 제1 측벽부에 마주하는 제2 측벽부를 포함하고, 하측에 개구된 부분을 통해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제2 고정부에 결합되는 홀더;
    상기 제1 측벽부와 상기 제1 고정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고정부 측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 판스프링;
    상기 제2 측벽부와 상기 제2 고정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2 고정부 측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 판스프링; 및
    상기 홀더에 결합되어 상기 제1 판스프링과 상기 제2 판스프링을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제2 고정부에 각각 가압하는 가압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제1 측벽부에 인접하여 상기 홀더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된 형상을 갖는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2 측벽부에 인접하여 상기 홀더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된 형상을 갖는 제2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판스프링은 상기 제1 돌출부에 결합되는 제1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판스프링은 상기 제2 돌출부에 결합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디스플레이.
KR1020180116182A 2018-09-28 2018-09-28 멀티디스플레이의 갭 조절장치 및 이를 갖는 멀티디스플레이 KR1025502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6182A KR102550294B1 (ko) 2018-09-28 2018-09-28 멀티디스플레이의 갭 조절장치 및 이를 갖는 멀티디스플레이
CN201910924923.9A CN110969947B (zh) 2018-09-28 2019-09-27 多显示器设备的间隙调节器以及具有其的多显示器设备
US16/587,916 US10816022B2 (en) 2018-09-28 2019-09-30 Gap regulator of multi display and multi display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6182A KR102550294B1 (ko) 2018-09-28 2018-09-28 멀티디스플레이의 갭 조절장치 및 이를 갖는 멀티디스플레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6489A KR20200036489A (ko) 2020-04-07
KR102550294B1 true KR102550294B1 (ko) 2023-07-04

Family

ID=69945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6182A KR102550294B1 (ko) 2018-09-28 2018-09-28 멀티디스플레이의 갭 조절장치 및 이를 갖는 멀티디스플레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816022B2 (ko)
KR (1) KR102550294B1 (ko)
CN (1) CN11096994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1713670S (ja) * 2019-09-26 2022-04-26 電子看板
KR20220095466A (ko) * 2020-12-30 2022-07-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645292B1 (ko) * 2021-12-08 2024-03-12 (주)코텍 디스플레이 장치용 패널, 이의 제조 방법, 및 디스플레이 장치용 패널을 구비한 패널 조립체
CN114286572A (zh) * 2022-01-28 2022-04-05 利亚德光电股份有限公司 Led显示装置的对插组件、led箱体组件及led显示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5202Y1 (ko) 2011-04-19 2011-08-23 (주)하이브시스템 디스플레이 월의 스크린 변형방지 및 간격유지를 위한 위치 고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68873B1 (en) * 1999-07-20 2003-05-27 Wallace H. Peterson In-line connector for window spacer frame tubing
CN2901400Y (zh) * 2006-05-30 2007-05-16 英业达股份有限公司 电子装置的磁盘驱动器架抽取式结构
US7682043B2 (en) * 2007-07-05 2010-03-23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Wirelessly controlled light emitting display system
US8197088B2 (en) * 2008-06-13 2012-06-12 Barco, Inc. Vertical handling apparatus for a display
KR20120001142A (ko) * 2010-06-29 2012-01-04 주식회사 오리온 간격 방지 및 각도조절 기능을 가지는 양방향 체결구 및 이를 구비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CN102637389B (zh) * 2012-03-30 2014-01-01 深圳市立翔慧科光电科技有限公司 Led组合屏锁扣机构、led单元屏和led组合屏
KR101969903B1 (ko) * 2012-09-14 2019-04-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KR101477378B1 (ko) * 2013-03-21 2014-12-29 삼성전기주식회사 하우징 및 이를 구비하는 전력 모듈
CN103405076B (zh) * 2013-08-08 2015-07-08 杭州高脚马科技有限公司 拼接组装的展示体
US9462099B2 (en) * 2013-08-30 2016-10-04 Wimo Labs LLC Mobile device case
US9151060B2 (en) * 2013-10-22 2015-10-06 Stramos Oy Construction block
CN203743147U (zh) * 2013-12-20 2014-07-30 深圳市汉丰光电有限公司 一种搭扣式快速锁紧装置
US10030853B2 (en) * 2014-06-13 2018-07-24 Martin Professional Aps. LED screen comprising spring retainers for LED modules
US9477438B1 (en) * 2015-09-25 2016-10-25 Revolution Display, Llc Devices for creating mosaicked display systems, and display mosaic systems comprising same
CN205334892U (zh) * 2016-01-18 2016-06-22 深圳市光祥科技有限公司 一种易拆卸的led单元箱体弧形连接机构
US10121407B2 (en) * 2016-05-31 2018-11-06 Anthem Display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redundant data and power
US9877406B2 (en) * 2016-06-13 2018-01-23 Revolution Display, Llc Architectural panel system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sensory output tile modules and non-sensory-output tile modules, and components therefor
KR102647126B1 (ko) * 2016-12-09 2024-03-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N207145904U (zh) * 2017-08-28 2018-03-27 深圳市雷迪奥视觉技术有限公司 支撑架及具有其的显示屏
KR102407475B1 (ko) * 2017-12-08 2022-06-1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5202Y1 (ko) 2011-04-19 2011-08-23 (주)하이브시스템 디스플레이 월의 스크린 변형방지 및 간격유지를 위한 위치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816022B2 (en) 2020-10-27
KR20200036489A (ko) 2020-04-07
CN110969947A (zh) 2020-04-07
CN110969947B (zh) 2021-12-17
US20200102977A1 (en) 2020-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50294B1 (ko) 멀티디스플레이의 갭 조절장치 및 이를 갖는 멀티디스플레이
EP3249640B1 (en) Display device
KR102489223B1 (ko) 멀티디스플레이의 갭 조절장치 및 이를 갖는 멀티디스플레이
KR102116932B1 (ko) 인쇄회로기판 장착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N104280798B (zh) 棱镜片构件和具有该棱镜片构件的多屏显示设备
KR102170995B1 (ko) 바텀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US10162102B2 (en)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CN108091262B (zh) 曲面调节机构及背光模组
CN111542778A (zh) 显示装置和显示模块的铰链组件
EP4297002A1 (en) Backlight module and display device
US20160054614A1 (en) Display device
KR102196444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CN106842883B (zh) 全息显示装置
US20150234226A1 (en)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device
US10359562B2 (en) Light guide plate, backlight source and display device
KR102623906B1 (ko) 타일형 디스플레이 장치
KR20110133735A (ko) 굽힘형 고정 프레임을 구비한 엘이디 표시장치
CN113781910B (zh) 柔性显示模组和柔性显示装置
KR20160141085A (ko) 백라이트 유닛 수납용 커버와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 표시 장치
CN109031739A (zh) 一种液晶显示装置及分体式背光组件
KR20220052402A (ko) 표시모듈 위치조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060058860A (ko) 평판표시장치모듈용 마운팅프레임
KR20210042552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JP3417492B2 (ja) 透過型投影スクリーン
KR102461660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