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5287B1 -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염화비닐 수지 성형체 및 적층체 - Google Patents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염화비닐 수지 성형체 및 적층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5287B1
KR102455287B1 KR1020197022338A KR20197022338A KR102455287B1 KR 102455287 B1 KR102455287 B1 KR 102455287B1 KR 1020197022338 A KR1020197022338 A KR 1020197022338A KR 20197022338 A KR20197022338 A KR 20197022338A KR 102455287 B1 KR102455287 B1 KR 1024552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nyl chloride
chloride resin
heat
resin molded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23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1956A (ko
Inventor
쇼타 니시무라
Original Assignee
니폰 제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폰 제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폰 제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119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19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52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52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7/00Shaping techniques not covered by groups B29C39/00 - B29C65/00, B29C70/00 or B29C73/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fillers, pigments, thixotrop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plastici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halide (co)polymers, e.g. PVC, PVDC, PVF, PVD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4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ureth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3Fillers, pigments or reinforc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16Plastici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91Complexes with metal-heteroatom-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7/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7/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7/04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chlorine atoms
    • C08L27/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 chlor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0Vehicles, e.g. ships or aircraft, or body parts thereof
    • B29L2031/3005Body finishings
    • B29L2031/3008Instrument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22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24All layers being polyme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2Organic
    • B32B2266/0214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6/0278Polyureth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7/00Polyvinylhalogenides
    • B32B2327/06PVC, i.e. polyvinylchlor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B32B2605/003Interior finish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51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chrom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62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65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ir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하는 암색계의 색조를 얻으면서 차열성이 우수한 염화비닐 수지 성형체를 제조 가능한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은, (a) 염화비닐 수지, (b) 가소제 및 (c) 차열성 안료를 포함하고, 상기 (c) 차열성 안료는, L*a*b* 표색계에 있어서의 L*값이 18.0 이상 70.0 이하이고, 또한, 분광 반사율 곡선에서의 파장 800 nm 이상 2400 nm 이하의 영역에 있어서 반사율이 20% 이상인 파장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염화비닐 수지 성형체 및 적층체
본 발명은,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염화비닐 수지 성형체 및 적층체에 관한 것이다.
염화비닐 수지는, 일반적으로, 내한성, 내열성, 내유성 등의 특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여러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자동차 인스트루먼트 패널 및 도어 트림 등의 자동차 내장 부품의 형성에는, 염화비닐 수지 성형체로 이루어지는 표피나 염화비닐 수지 성형체로 이루어지는 표피에 발포 폴리우레탄 등의 발포체를 배접하여 이루어지는 적층체 등의 자동차 내장재가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자동차 인스트루먼트 패널 등의 자동차 내장 부품의 표피를 구성하는 염화비닐 수지 성형체에는, 예를 들어, 차내에 들어간 태양광 등에 의해 자동차 내장 부품 자체나 차내 환경의 온도가 과도하게 상승하지 않도록, 높은 차열성을 발휘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서는, 폴리에스테르 부직포를 표피로 한 자동차 내장재에 있어서, 차열성을 갖는 수지 시트를 표피에 배접함으로써, 자동차 내장재의 차열성을 높이고 있다. 그리고, 특허문헌 1에서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와, 가소제와, 주석 도프 산화인듐 입자를 사용하여, 상기 차열성을 갖는 수지 시트를 조제하고 있다.
일본 공개 특허 공보 2005 - 206118 호
그러나, 상기 종래의 수지 시트를 배접한 기술에서는, 자동차 내장재로서의 표피 부분에 높은 차열성을 발휘시키는 점에 있어서, 가일층의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특히, 근년에는, 고급감이 있는 자동차 내장재의 소재로서, 흑색계(검은빛을 띤 암색계)의 염화비닐 수지 성형체로 이루어지는 표피가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흑색계의 염화비닐 수지 성형체로는, 카본 블랙을 첨가한 성형체가 많이 사용되고 있는 바, 카본 블랙은, 일반적으로, 축열되기 쉬운 경향이 있다. 따라서, 염화비닐 수지 성형체로 이루어지는 표피에는, 카본 블랙을 첨가한 경우와 동일한 색조를 얻으면서, 차열성을 높이는 것이 요구되고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원하는 암색계의 색조를 얻으면서 차열성이 우수한 염화비닐 수지 성형체를 제조 가능한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원하는 암색계의 색조를 얻으면서 차열성이 우수한 염화비닐 수지 성형체 및 적층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예의 검토를 행하였다. 그리고, 본 발명자는, 염화비닐 수지와, 가소제와, 소정의 명도 및 소정의 반사율을 갖는 차열성 안료를 포함하는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면, 원하는 암색계의 색조를 갖고, 또한, 차열성이 우수한, 자동차 인스트루먼트 패널용 표피 등의 자동차 내장재로서 호적하게 사용할 수 있는 염화비닐 수지 성형체가 얻어지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즉, 이 발명은, 상기 과제를 유리하게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은, (a) 염화비닐 수지, (b) 가소제 및 (c) 차열성 안료를 포함하고, 상기 (c) 차열성 안료는, L*a*b* 표색계에 있어서의 L*값이 18.0 이상 70.0 이하이고, 또한, 분광 반사율 곡선에서의 파장 800 nm 이상 2400 nm 이하의 영역에 있어서 반사율이 20% 이상인 파장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정 범위의 L*값을 갖고, 또한, 상기 소정 이상의 반사율을 갖는 (c) 차열성 안료를 배합하면, 원하는 암색계의 색조를 얻으면서 차열성이 우수한 염화비닐 수지 성형체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염화비닐 수지 성형체를, 예를 들어, 원하는 암색계의 자동차 인스트루먼트 패널용 표피 등의 자동차 내장재로서 호적하게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L*값」이란, 국제 조명 위원회(CIE)에서 규격화된 L*a*b* 표색계에 있어서 명도를 나타내는 값이다. 또한, 「L*값」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분광 반사율 곡선」은, 분광 광도계를 사용하여 얻을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은, 상기 (c) 차열성 안료가, Mn, Bi, Fe 및 Cr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2 개 이상의 금속 원소를 함유하는 금속 복합 산화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c) 차열성 안료가 상기 소정의 금속 복합 산화물이면, 원하는 암색계의 색조를 보다 양호하게 얻으면서, 차열성이 보다 우수한 염화비닐 수지 성형체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의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은, 상기 (c) 차열성 안료가, Mn-Bi 복합 산화물 및 Fe-Cr 복합 산화물의 어느 일방의 금속 복합 산화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c) 차열성 안료가 상기 소정의 금속 복합 산화물이면, 원하는 암색계의 색조를 더욱 양호하게 얻으면서, 차열성이 더욱 우수한 염화비닐 수지 성형체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의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은, 상기 (c) 차열성 안료의 함유량이, 상기 (a) 염화비닐 수지 100 질량부당 5 질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이 (c) 차열성 안료를 상기 소정량 이상 함유하면, 원하는 암색계의 색조를 보다 양호하게 얻으면서, 차열성이 보다 우수한 염화비닐 수지 성형체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의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은, 카본 블랙의 함유량이, 상기 (c) 차열성 안료 100 질량부당 0.1 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이 함유할 수 있는 카본 블랙의 함유량을 상기 소정 이하로 하면, 차열성이 한층 더 우수한 염화비닐 수지 성형체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본 발명의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은 소정의 (c) 차열성 안료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카본 블랙의 함유량을 상기 소정 이하로 한 경우라도, 염화비닐 수지 성형체에 있어서 원하는 암색계의 색조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은, 분체 성형에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을 분체 성형에 사용하면, 예를 들어, 자동차 인스트루먼트 패널용 표피 등의 자동차 내장재로서 양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염화비닐 수지 성형체가 용이하게 얻어지기 때문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은, 파우더 슬러시 성형에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을 파우더 슬러시 성형에 사용하면, 예를 들어, 자동차 인스트루먼트 패널용 표피 등의 자동차 내장재로서 양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염화비닐 수지 성형체가 보다 용이하게 얻어지기 때문이다.
또한, 이 발명은, 상기 과제를 유리하게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염화비닐 수지 성형체는, 상술한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의 어느 하나를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염화비닐 수지 성형체를 형성하면, 원하는 암색계의 색조를 얻으면서 차열성이 우수하여, 예를 들어, 자동차 인스트루먼트 패널용 표피 등의 자동차 내장재로서 호적하게 사용할 수 있는 염화비닐 수지 성형체가 얻어진다.
여기서, 본 발명의 염화비닐 수지 성형체는, 표면의 L*a*b* 표색계에 있어서의 L*값이 23.0 ± 2.5이고, a*값이 -0.5 ± 1.0이고, b*값이 0.0 ± 1.0인 것이 바람직하다. 염화비닐 수지 성형체의 표면에 있어서의 L*값, a*값 및 b*값이 각각 상기 범위 내이면, 원하는 검은빛을 띤 암색계의 색조를 갖는 자동차 인스트루먼트 패널용 표피 등의 자동차 내장재로서 호적하게 사용할 수 있는 염화비닐 수지 성형체가 얻어지기 때문이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a*값」 및 「b*값」이란, 국제 조명 위원회(CIE)에서 규격화된 L*a*b* 표색계에 있어서 색도(색상 및 채도)를 나타내는 값이다. 또한, 「a*값」 및 「b*값」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염화비닐 수지 성형체는, 자동차 내장 부품의 표피용인 것이 바람직하다. 염화비닐 수지 성형체를 자동차 내장 부품의 표피에 사용하면, 원하는 암색계의 색조 및 우수한 차열성을 갖는 표피를 구비한, 자동차 인스트루먼트 패널 등의 자동차 내장 부품이 얻어지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 발명은, 상기 과제를 유리하게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적층체는, 발포 폴리우레탄 성형체와, 상술한 염화비닐 수지 성형체의 어느 하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포 폴리우레탄 성형체 및 상술한 염화비닐 수지 성형체를 갖는 적층체는, 원하는 암색계의 색조를 발휘하고, 또한, 차열성이 우수한 표면을 갖는 자동차 인스트루먼트 패널 등의 자동차 내장 부품의 제조에 사용되는 자동차 내장재로서 호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원하는 암색계의 색조를 얻으면서 차열성이 우수한 염화비닐 수지 성형체를 제조 가능한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이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원하는 암색계의 색조를 얻으면서 차열성이 우수한 염화비닐 수지 성형체 및 적층체가 얻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은,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염화비닐 수지 성형체를 형성할 때에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한 염화비닐 수지 성형체는, 예를 들어, 자동차 인스트루먼트 패널 및 도어 트림 등의 자동차 내장 부품이 구비하는 표피 등의 자동차 내장재로서 호적하게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한 염화비닐 수지 성형체는, 검은빛을 띤 암색계의 표피 등의 자동차 내장재로서 보다 호적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염화비닐 수지 성형체는,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적층체를 형성할 때에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염화비닐 수지 성형체를 사용하여 형성한 적층체는, 예를 들어, 자동차 인스트루먼트 패널 및 도어 트림 등의 자동차 내장 부품을 제조할 때에 사용하는 자동차 내장재로서 호적하게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염화비닐 수지 성형체를 사용하여 형성한 적층체는, 검은빛을 띤 암색계의 표피를 구비하는 자동차 내장 부품을 제조할 때에 사용하는 자동차 내장재로서 보다 호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본 발명의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은, (a) 염화비닐 수지, (b) 가소제 및 (c) 차열성 안료를 포함하고, 임의로, (d) 그 밖의 안료 및 첨가제를 더 포함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c) 차열성 안료는, 소정 범위의 명도 및 소정 이상의 반사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은, 적어도, 상기 (a) 염화비닐 수지와, (b) 가소제와, 상기 소정의 성상을 갖는 (c) 차열성 안료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원하는 암색계의 색조를 확보하면서 차열성이 우수한 염화비닐 수지 성형체의 형성에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면, 원하는 암색계의 색조를 갖고 있어도 우수한 차열성을 발휘할 수 있는, 자동차 인스트루먼트 패널 및 도어 트림용 표피 등의 자동차 내장재로서 특히 호적한 염화비닐 수지 성형체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자동차 내장재로서 양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염화비닐 수지 성형체를 용이하게 얻는 관점에서는, 본 발명의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은, 분체 성형에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파우더 슬러시 성형에 사용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a) 염화비닐 수지>
여기서, (a) 염화비닐 수지로는, 예를 들어, 1 종류 또는 2 종류 이상의 염화비닐 수지 입자를 함유할 수 있고, 임의로, 1 종류 또는 2 종류 이상의 염화비닐 수지 미립자를 더 함유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a) 염화비닐 수지는, 적어도 염화비닐 수지 입자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염화비닐 수지 입자 및 염화비닐 수지 미립자를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그리고, (a) 염화비닐 수지는, 현탁 중합법, 유화 중합법, 용액 중합법, 괴상 중합법 등, 종래부터 알려져 있는 어느 제조법에 의해서도 제조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있어서, 「수지 입자」란, 입자경이 30 μm 이상인 입자를 가리키고, 「수지 미립자」란, 입자경이 30 μm 미만인 입자를 가리킨다.
또한, (a) 염화비닐 수지로는, 염화비닐 단량체 단위로 이루어지는 단독 중합체 외에, 염화비닐 단량체 단위를 바람직하게는 50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질량% 이상 함유하는 염화비닐계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그리고, 염화비닐계 공중합체를 구성할 수 있는, 염화비닐 단량체와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공단량체)의 구체예로는, 예를 들어, 국제 공개 제 2016 / 098344 호에 기재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성분은, 1 종류를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류 이상을 임의의 비율로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염화비닐 수지 입자>>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염화비닐 수지 입자는, 통상, 매트릭스 수지(기재)로서 기능한다. 한편, 염화비닐 수지 입자는, 현탁 중합법에 의해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평균 중합도]
그리고, 염화비닐 수지 입자를 구성하는 염화비닐 수지의 평균 중합도는, 100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30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염화비닐 수지 입자를 구성하는 염화비닐 수지의 평균 중합도가 상기 하한 이상이면,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한 염화비닐 수지 성형체의 물리적 강도를 충분히 확보하면서, 예를 들어, 인장 특성, 특히 인장 신장을 보다 양호하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인장 신장이 양호한 염화비닐 수지 성형체는, 예를 들어, 에어백이 팽창, 전개되었을 때에, 파편이 비산하지 않고 설계대로 터지는, 양호한 연성을 갖는 자동차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표피 등의 자동차 내장재로서 호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염화비닐 수지 입자를 구성하는 염화비닐 수지의 평균 중합도가 상기 상한 이하이면,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의 용융성을 향상시켜, 당해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한 염화비닐 수지 성형체의 표면 평활성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평균 중합도」는, JIS K6720 - 2에 준거하여 측정할 수 있다.
[평균 입자경]
또한, 염화비닐 수지 입자의 평균 입자경은, 통상 30 μm 이상이고, 50 μm 이상이 바람직하며, 100 μm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500 μm 이하가 바람직하며, 200 μm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염화비닐 수지 입자의 평균 입자경이 상기 하한 이상이면,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의 분체 유동성이 보다 향상되기 때문이다. 또한, 염화비닐 수지 입자의 평균 입자경이 상기 상한 이하이면,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의 용융성이 보다 향상되는 동시에, 당해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한 염화비닐 수지 성형체의 표면 평활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평균 입자경」은, JIS Z8825에 준거하여, 레이저 회절법에 의해 체적 평균 입자경으로서 측정할 수 있다.
[함유 비율]
그리고, (a) 염화비닐 수지 중의 염화비닐 수지 입자의 함유 비율은, 70 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80 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00 질량%로 할 수 있고, 95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90 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a) 염화비닐 수지 중의 염화비닐 수지 입자의 함유 비율이 상기 하한 이상이면,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한 염화비닐 수지 성형체의 물리적 강도를 충분히 확보하면서 인장 신장을 보다 양호하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a) 염화비닐 수지 중의 염화비닐 수지 입자의 함유 비율이 상기 상한 이하이면,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의 분체 유동성이 향상되기 때문이다.
<<염화비닐 수지 미립자>>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염화비닐 수지 미립자는, 통상, 더스팅제(분체 유동성 개량제)로서 기능한다. 한편, 염화비닐 수지 미립자는, 유화 중합법에 의해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평균 중합도]
그리고, 염화비닐 수지 미립자를 구성하는 염화비닐 수지의 평균 중합도는, 500 이상이 바람직하고, 700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며, 1000 이하가 바람직하고, 90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더스팅제로서의 염화비닐 수지 미립자를 구성하는 염화비닐 수지의 평균 중합도가 상기 하한 이상이면,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의 분체 유동성이 보다 양호해지는 동시에, 당해 조성물을 사용하여 얻어지는 성형체의 인장 신장이 보다 양호해지기 때문이다. 또한, 염화비닐 수지 미립자를 구성하는 염화비닐 수지의 평균 중합도가 상기 상한 이하이면,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의 용융성이 보다 향상되어, 당해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한 염화비닐 수지 성형체의 표면 평활성이 보다 향상되기 때문이다.
[평균 입자경]
또한, 염화비닐 수지 미립자의 평균 입자경은, 통상 30 μm 미만이고, 10 μ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5 μ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1 μ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1 μm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염화비닐 수지 미립자의 평균 입자경이 상기 하한 이상이면, 예를 들어 더스팅제로서의 사이즈를 과도하게 작게 하지 않고,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의 분체 유동성을 더욱 양호하게 발휘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염화비닐 수지 미립자의 평균 입자경이 상기 상한 이하이면,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의 용융성이 보다 높아져, 형성되는 염화비닐 수지 성형체의 표면 평활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함유 비율]
그리고, (a) 염화비닐 수지 중의 염화비닐 수지 미립자의 함유 비율은, 0 질량%여도 되지만, 5 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30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a) 염화비닐 수지 중의 염화비닐 수지 미립자의 함유 비율이 상기 하한 이상이면,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의 분체 유동성이 더욱 향상되기 때문이다. 또한, (a) 염화비닐 수지 중의 염화비닐 수지 미립자의 함유 비율이 상기 상한 이하이면,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한 염화비닐 수지 성형체의 물리적 강도를 보다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b) 가소제>
또한, (b) 가소제로는, 예를 들어, 국제 공개 제 2016 / 098344 호에 기재된 1 차 가소제 및 2 차 가소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성분은, 1 종류를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류 이상을 임의의 비율로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상술한 가소제 중에서도,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및 염화비닐 수지 성형체가 용이하고 양호하게 얻어지는 관점에서는, (b) 가소제로는, 적어도 1 차 가소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 차 가소제 및 2 차 가소제를 병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b) 가소제로는, 트리멜리트산에스테르 및/또는 피로멜리트산에스테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적어도 트리멜리트산에스테르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트리멜리트산에스테르와 에폭시화 대두유를 병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함유량]
그리고, (b) 가소제의 함유량은, (a) 염화비닐 수지 100 질량부에 대하여, 10 질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60 질량부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80 질량부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200 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160 질량부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20 질량부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b) 가소제의 함유량이 상기 하한 이상이면,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한 염화비닐 수지 성형체의 인장 신장을 충분히 높일 수 있다. 또한, (b) 가소제의 함유량이 상기 상한 이하이면, 염화비닐 수지 성형체의 표면에 가소제가 이행(移行)하여 성형체 표면이 달라붙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c) 차열성 안료>
본 발명의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이 포함하는 (c) 차열성 안료는, L*값이 소정 범위 내이고, 또한, 반사율이 소정 이상이다.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이, 이러한 소정의 성상을 갖는 (c) 차열성 안료를 포함하지 않으면, 당해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한 염화비닐 수지 성형체에 원하는 암색계의 색조 및 우수한 차열성을 부여할 수 없다.
<<L*값, a*값, b*값>>
[L*값]
여기서, (c) 차열성 안료는, L*a*b* 표색계에 있어서의 L*값이 18.0 이상 70.0 이하일 필요가 있다. 또한, (c) 차열성 안료의 L*값은, 19.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0.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21.0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6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50.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40.0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25.0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23.5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23.0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22.5 이하인 것이 한층 더 바람직하며, 22.0 이하인 것이 보다 한층 더 바람직하다. L*값은 100에 가까울수록 밝고, 0에 가까울수록 어두운 것을 나타내는 바, (c) 차열성 안료의 L*값이 상기 상한 범위 내가 아니면,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되는 염화비닐 수지 성형체에, 원하는 암색계의 색조를 부여할 수 없다. 따라서, (c) 차열성 안료의 L*값이 상기 범위 내이면, 당해 성형체를 원하는 암색계의 자동차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표피 등에 양호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c) 차열성 안료의 L*값이 상기 상한 이하이면, 염화비닐 수지 성형체의 색조를 보다 원하는 어둡기로 조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c) 차열성 안료의 L*값이 상기 하한 이상이면, 염화비닐 수지 성형체에 보다 높은 차열성을 부여할 수 있기 때문이다.
[a*값]
또한, (c) 차열성 안료는, L*a*b* 표색계에 있어서의 a*값이 -1.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5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1.1 이상인 것이 한층 더 바람직하며, 2.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a*값은 플러스를 향할수록 붉은빛이 강하고, 마이너스를 향할수록 초록빛이 강한 것을 나타내는 바, (c) 차열성 안료의 a*값이 상기 범위 내이면, 예를 들어, 염화비닐 수지 성형체에, 자동차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표피 등에 보다 적합한 원하는 색조를 부여할 수 있기 때문이다.
[b*값]
또한, (c) 차열성 안료는, L*a*b* 표색계에 있어서의 b*값이 0.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5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0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4.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3.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5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b*값은 플러스를 향할수록 노란빛이 강하고, 마이너스를 향할수록 푸른빛이 강한 것을 나타내는 바, (c) 차열성 안료의 b*값이 상기 범위 내이면, 예를 들어, 염화비닐 수지 성형체에, 자동차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표피 등에 보다 적합한 원하는 색조를 부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반사율>>
또한, (c) 차열성 안료는, 분광 반사율 곡선에서의 파장 800 nm 이상 2400 nm 이하의 영역에 있어서 반사율이 20% 이상인 파장이 존재할 필요가 있다. 또한, (c) 차열성 안료는, 분광 반사율 곡선에서의 파장 800 nm 이상 2400 nm 이하의 영역에 있어서 반사율이 40% 이상인 파장이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반사율이 60% 이상인 파장이 존재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나아가서는, (c) 차열성 안료는, 분광 반사율 곡선에서의 파장 800 nm 이상 2400 nm 이하의 영역에 있어서의 평균 반사율이 2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3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40%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50% 이상인 것이 한층 더 바람직하다. 그리고, (c) 차열성 안료의 상기 반사율은, 통상 100% 이하이다.
(c) 차열성 안료에, 분광 반사율 곡선에서의 파장 800 nm 이상 2400 nm 이하의 영역에 있어서 반사율이 20% 이상인 파장이 존재하지 않으면,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한 염화비닐 수지 성형체의 표면에 충분한 차열성을 부여할 수 없다. 그리고, (c) 차열성 안료가 나타내는 반사율 및 평균 반사율이 상기 하한 이상이면, 염화비닐 수지 성형체의 적외선에 대한 반사율이 보다 높아지기 때문에, 예를 들어, 당해 성형체를 자동차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표피 등에 사용한 경우에, 태양 및 인공 조명 등으로부터의 열에 대하여 더욱 높은 차열 효과를 발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우수한 차열성을 갖는 염화비닐 수지 성형체를, 예를 들어 자동차 내장 부재로서 사용함으로써, 더욱 양호한 차내 환경을 실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평균 반사율」은, 상술한 분광 광도계를 사용하여 얻어지는 분광 반사율 곡선으로부터, 각 파장에 있어서의 반사율을 상가평균함으로써 산출할 수 있다.
<<입자경>>
또한, (c) 차열성 안료의 입자경은, 메디안 직경(D50)으로 100 μ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0 μ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5 μm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3 μm 이하인 것이 한층 더 바람직하며, 0.1 μ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5 μm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c) 차열성 안료의 입자경이 상기 상한 이하이면, (c) 차열성 안료의 적외선에 대한 반사율이 더욱 높아질 수 있기 때문에,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한 염화비닐 수지 성형체의 차열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c) 차열성 안료의 입자경이 상기 하한 이상이면, (c) 차열성 안료의 핸들링성 및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의 분체 유동성을 보다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메디안 직경」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구할 수 있다.
<<조성>>
여기서, (c) 차열성 안료의 조성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Mn, Bi, Fe 및 Cr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2 개 이상의 금속 원소를 함유하는 금속 복합 산화물인 것이 바람직하고, Mn-Bi 복합 산화물 및 Fe-Cr 복합 산화물 중 적어도 일방의 금속 복합 산화물을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Mn-Bi 복합 산화물 및 Fe-Cr 복합 산화물의 어느 일방의 금속 복합 산화물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c) 차열성 안료는, 1 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c) 차열성 안료의 조성이 상기와 같으면, (c) 차열성 안료의 반사율, 특히 적외선에 대한 반사율이 더욱 높아지기 때문에,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한 염화비닐 수지 성형체의 차열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c) 차열성 안료의 조성이 상기와 같으면,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한 염화비닐 수지 성형체에 원하는 암색계의 색조를 보다 양호하게 부여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c) 차열성 안료가 「금속 복합 산화물이다」라는 것은, (c) 차열성 안료 중의 금속 복합 산화물의 함유 비율이 90 질량% 이상인 것을 가리키며, 제조시에 불가피하게 혼입되는 불순물 이외의 성분을 포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함유량>>
그리고, (c) 차열성 안료의 함유량은, 상술한 (a) 염화비닐 수지 100 질량부당 1 질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5 질량부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6 질량부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10 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8 질량부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c) 차열성 안료의 함유량이 상기 하한 이상이면,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되는 염화비닐 수지 성형체에 원하는 암색계의 색조를 더욱 부여하면서 차열성을 더욱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c) 차열성 안료의 함유량이 상기 하한 이상이면, 염화비닐 수지 성형체의 인장 신장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d) 그 밖의 안료>
본 발명의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이 더 포함할 수 있는 (d) 그 밖의 안료로는, 상술한 (c) 차열성 안료 이외의 안료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여기서, (d) 그 밖의 안료의 구체예는, 퀴나크리돈계 안료, 페릴렌계 안료, 폴리아조 축합 안료, 이소인돌리논계 안료, 프탈로시아닌계 안료, 카본 블랙이다.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안료가 사용된다.
퀴나크리돈계 안료는, p-페닐렌디안트라닐산류가 농황산으로 처리되어 얻어지고, 노란빛이 도는 빨강에서부터 빨간빛이 도는 보라의 색상을 나타낸다. 퀴나크리돈계 안료의 구체예는, 퀴나크리돈 레드, 퀴나크리돈 마젠타, 퀴나크리돈 바이올렛이다.
페릴렌계 안료는, 페릴렌-3,4,9,10-테트라카르복실산 무수물과 방향족 제 1 급 아민의 축합 반응에 의해 얻어지고, 빨강에서부터 적자, 갈색의 색상을 나타낸다. 페릴렌계 안료의 구체예는, 페릴렌 레드, 페릴렌 오렌지, 페릴렌 머룬, 페릴렌 버밀리온, 페릴렌 보르도이다.
폴리아조 축합 안료는, 아조 색소가 용제 중에서 축합되어 고분자량화되어 얻어지고, 노랑, 적계 안료의 색상을 나타낸다. 폴리아조 축합 안료의 구체예는, 폴리아조 레드, 폴리아조 옐로우, 크로모프탈 오렌지, 크로모프탈 레드, 크로모프탈 스칼렛이다.
이소인돌리논계 안료는, 4,5,6,7-테트라클로로이소인돌리논과 방향족 제 1 급 디아민의 축합 반응에 의해 얻어지고, 초록빛이 도는 노랑색에서부터, 빨강, 갈색의 색상을 나타낸다. 이소인돌리논계 안료의 구체예는, 이소인돌리논 옐로우이다.
프탈로시아닌계 안료는, 프탈로시아닌류에 구리를 배위한 안료로, 노란빛이 도는 초록에서부터 선명한 파랑의 색상을 나타낸다. 프탈로시아닌계 안료의 구체예는, 프탈로시아닌 블루 등의 프탈로시아닌 구리, 프탈로시아닌 그린(피그먼트 그린 7) 등의 고염소화구리 프탈로시아닌이다.
카본 블랙은, 탄소를 주성분으로 하고, 산소, 수소, 질소를 포함하는 흑색 안료이다. 카본 블랙의 구체예는, 서멀 블랙, 아세틸렌 블랙, 채널 블랙, 퍼니스 블랙, 램프 블랙, 본 블랙이다.
<<함유량>>
그리고, (d) 그 밖의 안료의 함유량은, (c) 차열성 안료 100 질량부당 30 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질량부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 질량부로 할 수 있다. (d) 그 밖의 안료의 함유량이 상기 상한 이하이면,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한 염화비닐 수지 성형체의 차열성을 보다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d) 그 밖의 안료 중에서도, 카본 블랙은 일반적으로 축열되기 쉽다. 따라서, (d) 그 밖의 안료로서의 카본 블랙의 함유량은, (c) 차열성 안료 100 질량부당 0.1 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05 질량부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 질량부인(카본 블랙이 포함되지 않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첨가제>
본 발명의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은, 상술한 성분 이외에, 각종 첨가제를 더 함유해도 된다. 첨가제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과염소산 처리 하이드로탈사이트, 제올라이트, β-디케톤, 지방산 금속염 등의 안정제; 이형제; 상기 염화비닐 수지 미립자 이외의 그 밖의 더스팅제; 내충격성 개량제; 과염소산 처리 하이드로탈사이트 이외의 과염소산 화합물(과염소산나트륨, 과염소산칼륨 등); 산화 방지제; 방미제; 난연제; 대전 방지제; 충전제; 광 안정제; 발포제; 등을 들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과염소산 처리 하이드로탈사이트, 제올라이트, β-디케톤, 지방산 금속염, 이형제, 그 밖의 더스팅제, 내충격성 개량제, 과염소산 처리 하이드로탈사이트 이외의 과염소산 화합물, 산화 방지제, 방미제, 난연제, 대전 방지제, 충전제, 광 안정제, 발포제로는, 예를 들어, 국제 공개 제 2016 / 098344 호에 기재된 것을 사용할 수 있고, 그 호적 함유량도 동일하게 할 수 있다.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의 조제 방법>
본 발명의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은, 상술한 성분을 혼합하여 조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a) 염화비닐 수지와, (b) 가소제와, (c) 차열성 안료와, 필요에 따라 더 배합되는 (d) 그 밖의 안료 및 각종 첨가제의 혼합 방법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염화비닐 수지 미립자를 포함하는 더스팅제를 제외한 성분을 드라이 블렌드에 의해 혼합하고, 그 후, 더스팅제를 첨가, 혼합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여기서, 드라이 블렌드에는, 헨셀 믹서의 사용이 바람직하다. 또한, 드라이 블렌드시의 온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50 ℃ 이상이 바람직하고, 70 ℃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며, 200 ℃ 이하가 바람직하다.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의 용도>
그리고, 얻어진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은, 분체 성형에 호적하게 사용할 수 있고, 파우더 슬러시 성형에 보다 호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염화비닐 수지 성형체)
본 발명의 염화비닐 수지 성형체는, 상술한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을, 임의의 방법으로 성형함으로써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염화비닐 수지 성형체는, 상술한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의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형성되고, 적어도, (a) 염화비닐 수지와, (b) 가소제와, 상기 소정의 성상을 갖는 (c) 차열성 안료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원하는 암색계의 색조를 얻으면서 차열성이 우수하다. 특히, 염화비닐 수지 성형체를 검은빛을 띤 암색계로 해도, 우수한 차열성을 발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염화비닐 수지 성형체는, 자동차 내장 부품의 표피용으로 호적하게 사용되고, 특히, 원하는 암색계의 자동차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표피용 등으로 보다 호적하게 사용된다.
<<L*값, a*값, b*값>>
여기서, 본 발명의 염화비닐 수지 성형체는, 초기(성형 후 미가열) 상태에 있어서, 표면의 L*a*b* 표색계에 있어서의 L*값이 20.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1.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21.7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21.8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며, 25.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5.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23.7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23.5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염화비닐 수지 성형체는, 초기(성형 후 미가열) 상태에 있어서, 표면의 L*a*b* 표색계에 있어서의 a*값이 -1.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염화비닐 수지 성형체는, 초기(성형 후 미가열) 상태에 있어서, 표면의 L*a*b* 표색계에 있어서의 b*값이 -1.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5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5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나아가서는, 본 발명의 염화비닐 수지 성형체는, 초기(성형 후 미가열) 상태에 있어서, 표면의 L*a*b* 표색계에 있어서의 적어도 L*값이 상기 범위 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L*값, a*값 및 b*값 전부가 상기 범위 내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염화비닐 수지 성형체의 표면의 L*값, a*값, b*값이 각각 상기 범위 내이면, 염화비닐 수지 성형체가 원하는 검은빛을 띤 암색계의 색조를 보다 양호하게 갖는다. 따라서, 염화비닐 수지 성형체를, 의장성이 높은 자동차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표피 등의 자동차 내장재로서, 보다 호적하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암색계의 색조를 갖는 염화비닐 수지 성형체는, 일반적으로는, 축열되기 쉽다. 그러나, 본 발명의 염화비닐 수지 성형체는, 적어도, (a) 염화비닐 수지와, (b) 가소제와, 상기 소정의 성상을 갖는 (c) 차열성 안료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검은빛을 띤 암색계라도 우수한 차열성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염화비닐 수지 성형체의 표면의 L*값, a*값, b*값은, 염화비닐 수지 성형체가 장시간에 걸쳐 고온하에 놓인 경우라도, 값이 크게 변동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염화비닐 수지 성형체의 표면의 L*값, a*값, b*값이 이러한 과혹한 환경하에 있어도 크게 변동되지 않으면, 예를 들어, 염화비닐 수지 성형체를, 열노화되기 어려운 자동차 내장재로서 한층 더 양호하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관점에서, 본 발명의 염화비닐 수지 성형체의 표면은, 예를 들어, 염화비닐 수지 성형체가 온도 130 ℃의 환경하에 100 시간 놓인 가열 후라도, L*값이 20.5 이상 25.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염화비닐 수지 성형체의 표면은, 상기 가열 후라도 a*값이 -1.5 이상 0.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염화비닐 수지 성형체의 표면은, 상기 가열 후라도 b*값이 -1.0 이상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서는, 본 발명의 염화비닐 수지 성형체의 표면은, 상기 가열 후에 있어도, 적어도 L*값이 상기 범위 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L*값, a*값 및 b*값 전부가 상기 범위 내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염화비닐 수지 성형체의 형성 방법>>
여기서, 파우더 슬러시 성형에 의해 염화비닐 수지 성형체를 형성하는 경우, 파우더 슬러시 성형시의 금형 온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200 ℃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220 ℃ 이상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300 ℃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280 ℃ 이하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그리고, 염화비닐 수지 성형체를 제조할 때에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이하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즉, 상기 온도 범위의 금형에 본 발명의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을 뿌려, 5 초 이상 30 초 이하 동안 방치한 후, 잉여의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을 흔들어 떨어뜨리고, 다시, 임의의 온도하, 30 초 이상 3 분 이하 동안 방치한다. 그 후, 금형을 10 ℃ 이상 60 ℃ 이하로 냉각하고, 얻어진 본 발명의 염화비닐 수지 성형체를 금형으로부터 탈형한다. 그리고, 금형의 형상을 본뜬 시트상의 성형체를 얻는다.
(적층체)
본 발명의 적층체는, 발포 폴리우레탄 성형체와, 상술한 염화비닐 수지 성형체의 어느 하나를 갖는다. 한편, 염화비닐 수지 성형체는, 통상, 적층체의 일방의 표면을 구성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적층체는,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된 염화비닐 수지 성형체를 갖고 있기 때문에, 당해 성형체측의 표면의 차열성이 우수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적층체는, 예를 들어, 자동차 인스트루먼트 패널 및 도어 트림 등의 자동차 내장 부품을 형성하는 자동차 내장재로서 호적하게 사용되고, 특히, 원하는 암색계의 자동차 내장 부품을 형성하는 자동차 내장재로서 호적하게 사용된다.
여기서, 발포 폴리우레탄 성형체와 염화비닐 수지 성형체의 적층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이하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즉, (1) 발포 폴리우레탄 성형체와, 염화비닐 수지 성형체를 별도 준비한 후에, 열 융착, 열 접착, 또는 공지의 접착제 등을 사용함으로써 첩합하는 방법; (2) 염화비닐 수지 성형체 상에서 발포 폴리우레탄 성형체의 원료가 되는 이소시아네이트류와 폴리올류 등을 반응시켜 중합을 행하는 동시에, 공지의 방법에 의해 폴리우레탄의 발포를 행함으로써, 염화비닐 수지 성형체 상에 발포 폴리우레탄 성형체를 직접 형성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공정이 간소한 점, 및 여러 형상의 적층체를 얻는 경우에 있어서도 염화비닐 수지 성형체와 발포 폴리우레탄 성형체를 강고하게 접착하기 쉬운 점에서, 후자의 방법(2)이 호적하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에 기초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양을 나타내는 「%」 및 「부」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질량 기준이다.
그리고, (c) 차열성 안료 및 (d) 그 밖의 안료의 색조(L*값, a*값, b*값), 반사율, 입자경; 염화비닐 수지 성형체의 표면의 색조(L*값, a*값, b*값) 및 저온에서의 인장 특성; 적층체에 있어서의 염화비닐 수지 성형체의 차열성;은, 하기의 방법으로 측정 및 평가하였다.
<(c) 차열성 안료 및 (d) 그 밖의 안료의 색조>
표 1에 나타내는 각 (c) 차열성 안료 및 (d) 그 밖의 안료에 대해, 색채 색차계(코니카 미놀타 제조, 제품명 「CR - 400」, C광원)를 사용하여, CIE에서 규격화된 L*a*b* 표색계의 L*값, a*값 및 b*값을 각각 측정하였다.
한편, L*값, a*값 및 b*값은, 각 안료에 있어서의 임의의 3 개소에 대한 측정값의 평균값으로 하였다.
<반사율>
표 1에 나타내는 각 (c) 차열성 안료 및 (d) 그 밖의 안료에 대해, 분광 광도계(히타치 하이테크 사이언스 제조, 제품명 「U - 4100」)를 사용하여, 분광 반사율 곡선을 얻었다. 그리고, 얻어진 분광 반사율 곡선의 파장(가로축, nm)이 800 nm ~ 2400 nm인 영역에 있어서의 반사율(세로축, %)로부터, 반사율이 20% 이상인 파장이 존재하는지의 여부에 대하여 확인하였다.
또한, 얻어진 분광 반사율 곡선의 파장(가로축, nm)이 800 nm ~ 2400 nm인 영역에 있어서의 각 반사율(세로축, %)의 상가평균을 취함으로써, 평균 반사율(%)을 자동 산출하였다.
<입자경>
표 1에 나타내는 각 (c) 차열성 안료 및 (d) 그 밖의 안료의 입자경은, 입도 분포계(시마즈 제작소 제조, 제품명 「SALD - 2300」)를 사용하고, 레이저 회절·산란법을 이용하여, 메디안 직경(D50)을 구하였다.
<염화비닐 수지 성형체의 표면의 색조>
<<초기>>
초기(성형 후 미가열) 상태의 염화비닐 수지 성형 시트의 표면의 임의의 9 개소에 대해, 색채 색차계(코니카 미놀타 제조, 제품명 「CR - 400」, C광원)를 사용하여, CIE에서 규격화된 L*a*b* 표색계의 L*값, a*값 및 b*값을 각각 측정하였다.
한편, L*값, a*값 및 b*값은, 상기 9 개소에 대한 측정값의 평균값으로 하였다.
<<가열(열노화 시험) 후>>
발포 폴리우레탄 성형체가 배접된 적층체를 시료로 하였다. 당해 시료를 오븐에 넣고, 온도 130 ℃의 환경하에서 100 시간, 가열을 행하였다. 다음으로, 가열 후의 적층체로부터 발포 폴리우레탄 성형체를 박리하여, 염화비닐 수지 성형 시트만을 꺼냈다. 그리고, 상기 초기의 경우와 동일한 조건으로, 가열(열노화 시험) 후의 염화비닐 수지 성형 시트의 표면의 L*값, a*값 및 b*값을 각각 측정하였다.
<저온에서의 인장 특성>
염화비닐 수지 성형체의 저온에서의 인장 특성은, 이하와 같이, 초기(성형 후 미가열) 및 가열(열노화 시험) 후의 각각에 대해, 인장 신장(%) 및 인장 파괴 응력(MPa)을 측정함으로써 평가하였다.
<<초기>>
얻어진 염화비닐 수지 성형 시트를, JIS K6251에 기재된 1 호 덤벨로 블랭킹하고, JIS K7161에 준거하여, 인장 속도 200 mm/분으로, -35 ℃의 저온하에 있어서의 인장 신장(%) 및 인장 파괴 응력(MPa)을 측정하였다. 인장 신장의 값이 클수록, 초기(성형 후 미가열)의 염화비닐 수지 성형체의 저온에서의 연성이 우수하다.
<<가열(열노화 시험) 후>>
발포 폴리우레탄 성형체가 배접된 적층체를 시료로 하였다. 당해 시료를 오븐에 넣고, 온도 130 ℃의 환경하에서 100 시간, 가열을 행하였다. 다음으로, 가열 후의 적층체로부터 발포 폴리우레탄 성형체를 박리하여, 염화비닐 수지 성형 시트만을 꺼냈다. 그리고, 상기 초기의 경우와 동일한 조건으로, 가열 후의 염화비닐 수지 성형 시트의 인장 신장(%) 및 인장 파괴 응력(MPa)을 측정하였다. 인장 신장의 값이 클수록, 가열(열 노화 시험) 후에 있어서의 염화비닐 수지 성형체의 저온에서의 연성이 우수한 것을 나타낸다.
<차열성>
염화비닐 수지 성형 시트로 이루어지는 표피에 발포 폴리우레탄 성형체가 배접된 적층체를 5 cm × 5 cm의 치수로 잘라내어 시험편으로 하였다. 다음으로, 이하의 조건으로, 시험편의 염화비닐 수지 성형 시트측의 표면 전체에 할로겐 램프로부터 광을 조사함으로써, 시험편 표면을 가열하였다. 그리고, 이하의 조사 시간 후에, 시험편에 할로겐 램프로부터의 광을 조사시킨 채, 시험편의 염화비닐 수지 성형 시트측의 표면의 대략 중심에 대해, 서모 비전 카메라를 사용하여 온도(℃)를 측정하였다. 가열 후의 시험편의 표면 온도가 낮을수록, 염화비닐 수지 성형 시트가 차열성이 우수한 것을 나타낸다. 한편, 염화비닐 수지 성형 시트의 방사율은 0.92이다.
할로겐 램프로부터의 광의 유효 파장 : 800 nm ~ 2400 nm
할로겐 램프와 시험편 표면의 거리 : 35 cm
할로겐 램프로부터의 광의 조사 시간 : 1 시간
(실시예 1)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의 조제>
표 1에 나타내는 배합 성분 중, 가소제(트리멜리트산에스테르 및 에폭시화 대두유)와, 더스팅제인 염화비닐 수지 미립자를 제외한 성분을 헨셀 믹서에 넣어 혼합하였다. 그리고, 혼합물의 온도가 80 ℃로 상승한 시점에서 상기 가소제를 전부 첨가하고, 더욱 승온함으로써, 드라이 업(가소제가 염화비닐 수지인 염화비닐 수지 입자에 흡수되어, 상기 혼합물이 바슬바슬해진 상태를 말한다.)시켰다. 그 후, 드라이 업시킨 혼합물이 온도 100 ℃ 이하로 냉각된 시점에서 더스팅제인 염화비닐 수지 미립자를 첨가하여,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염화비닐 수지 성형체의 형성>
상술에서 얻어진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을, 온도 250 ℃로 가열한 엠보싱 형성 금형에 뿌리고, 8 초 ~ 20 초 정도의 임의의 시간 방치하여 용융시킨 후, 잉여의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을 흔들어 떨어뜨렸다. 그 후, 당해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을 뿌린 엠보싱 형성 금형을, 온도 200 ℃로 설정한 오븐 내에 정치하고, 정치로부터 60 초 경과한 시점에서 당해 엠보싱 형성 금형을 냉각수로 냉각하였다. 금형 온도가 40 ℃까지 냉각된 시점에서, 염화비닐 수지 성형체로서의, 200 mm × 300 mm × 1 mm의 염화비닐 수지 성형 시트를 금형으로부터 탈형하였다.
그리고, 얻어진 염화비닐 수지 성형 시트에 대해, 상술한 방법에 따라, 초기(성형 후 미가열) 상태에서의 색조, 초기(성형 후 미가열) 상태에서의 저온에서의 인장 특성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적층체의 형성>
얻어진 염화비닐 수지 성형 시트를, 200 mm × 300 mm × 10 mm의 금형 안에, 엠보싱 형성 면을 아래로 하여 깔았다.
별도로, 프로필렌글리콜의 PO(프로필렌옥사이드)·EO(에틸렌옥사이드) 블록 부가물(수산기가 28, 말단 EO 단위의 함유량 = 10%, 내부 EO 단위의 함유량 4%)을 50 부, 글리세린의 PO·EO 블록 부가물(수산기가 21, 말단 EO 단위의 함유량 = 14%)을 50 부, 물을 2.5 부, 트리에틸렌디아민의 에틸렌글리콜 용액(토소사 제조, 상품명 「TEDA - L33」)을 0.2 부, 트리에탄올아민을 1.2 부, 트리에틸아민을 0.5 부, 및 정포제(신에츠 화학 공업 제조, 상품명 「F - 122」)를 0.5 부 혼합하여, 폴리올 혼합물을 얻었다. 또한, 얻어진 폴리올 혼합물과 폴리메틸렌폴리페닐렌폴리이소시아네이트(폴리머릭 MDI)를, 인덱스가 98이 되는 비율로 혼합한 혼합액을 조제하였다. 그리고, 조제한 혼합액을, 상술한 바와 같이 금형 내에 깔린 염화비닐 수지 성형 시트 상에 부었다. 그 후, 348 mm × 255 mm × 10 mm의 알루미늄판으로 상기 금형에 뚜껑을 덮어, 금형을 밀폐하였다. 금형을 밀폐하고 나서 5 분간 방치함으로써, 표피로서의 염화비닐 수지 성형 시트(두께 : 1 mm)에, 발포 폴리우레탄 성형체(두께 : 9 mm, 밀도 : 0.18 g/cm3)가 배접된 적층체가 금형 내에서 형성되었다.
그리고, 형성된 적층체를 금형으로부터 꺼내어, 적층체에 있어서의 염화비닐 수지 시트에 대해, 상술한 방법에 따라, 가열 후의 색조, 가열 후의 저온에서의 인장 특성, 및 차열성을 측정,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2)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의 조제에 있어서, (c) 차열성 안료로서, Mn-Bi 복합 산화물 대신에, Fe-Cr 복합 산화물 A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염화비닐 수지 성형 시트 및 적층체를 제조하였다.
그리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측정,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3)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의 조제에 있어서, (c) 차열성 안료로서, Mn-Bi 복합 산화물 대신에, Fe-Cr 복합 산화물 B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염화비닐 수지 성형 시트 및 적층체를 제조하였다.
그리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측정,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1)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의 조제에 있어서, (c) 차열성 안료를 사용하지 않고, (d) 그 밖의 안료로서 카본 블랙을 3.7 부 더 첨가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염화비닐 수지 성형 시트 및 적층체를 제조하였다.
그리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측정,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112019077790813-pct00001
1) 신다이이치 염화비닐사 제조, 제품명 「ZEST(등록상표) 2000Z」(현탁 중합법으로 조제, 평균 중합도 : 2000, 평균 입자경 : 125 μm)
2) 신다이이치 염화비닐사 제조, 제품명 「ZEST PQLTX」(유화 중합법으로 조제, 평균 중합도 : 800, 평균 입자경 : 1.8 μm)
3) 카오사 제조, 제품명 「트리멕스 N - 08」
4) ADEKA사 제조, 제품명 「아데카사이저 O - 130S」
5) 아사히 화성 공업사 제조, 제품명 「블랙 6301」(망간-비스무트(Mn-Bi) 복합 산화물, 색조 : L*값 = 21.8, a*값 = 1.2, b*값 = 1.0, 파장 800 nm ~ 2400 nm의 영역에 있어서의 평균 반사율 : 50%)
6) 아사히 화성 공업사 제조, 제품명 「블랙 6340」(철-크롬(Fe-Cr) 복합 산화물, 색조 : L*값 = 22.7, a*값 = 1.8, b*값 = 1.3, 파장 800 nm ~ 2400 nm의 영역에 있어서의 평균 반사율 : 50%)
7) 아사히 화성 공업사 제조, 제품명 「블랙 6350」(철-크롬(Fe-Cr) 복합 산화물, 색조 : L*값 = 23.8, a*값 = 1.5, b*값 = 3.7, 파장 800 nm ~ 2400 nm의 영역에 있어서의 평균 반사율 : 50%)
8) 다이니치 세이카사 제조, 제품명 「DA PX 1720(A)」(카본 블랙, 색조 : L*값 = 20.5, a*값 = 1.0, b*값 = 2.7, 파장 800 nm ~ 2400 nm의 영역에 있어서의 평균 반사율 : 2%)
9) DIC사 제조, 제품명 「FASTOGEN Blue PA5380」(프탈로시아닌 구리, 색조 : L*값 = 16.5, a*값 = 4.4, b*값 = -1.7, 파장 800 nm ~ 2400 nm의 영역에 있어서의 평균 반사율 : 20%)
10) DIC사 제조, 제품명 「FASTOGEN Green S」(피그먼트 그린 7, 색조 : L*값 = 17.1, a*값 = 1.3, b*값 = 0.7, 파장 800 nm ~ 2400 nm의 영역에 있어서의 평균 반사율 : 20%)
11) 쿄와 화학 공업사 제조, 제품명 「알카마이저 5」
12) 미즈사와 화학 공업사 제조, 제품명 「MIZUKALIZER DS」
13) 쇼와덴코사 제조, 제품명 「카렌즈 DK - 1」
14) 사카이 화학 공업사, 제품명 「SAKAI SZ2000」
15) ADEKA사 제조, 제품명 「아데카스타브 LS - 12」
표 1로부터, L*값이 소정 이하이고, 또한, 반사율이 소정 이상인 (c) 차열성 안료를 사용한 실시예 1 ~ 3에서는, 상기 (c) 차열성 안료를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1과 비교하여, 원하는 암색계의 색조를 얻으면서 차열성이 우수한 염화비닐 수지 성형체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원하는 암색계의 색조를 얻으면서 차열성이 우수한 염화비닐 수지 성형체를 제조 가능한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원하는 암색계의 색조를 얻으면서 차열성이 우수한 염화비닐 수지 성형체 및 적층체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1)

  1. (a) 염화비닐 수지, (b) 가소제 및 (c) 차열성 안료를 포함하고,
    상기 (c) 차열성 안료는, L*a*b* 표색계에 있어서의 L*값이 18.0 이상 70.0 이하이고, 또한, 분광 반사율 곡선에서의 파장 800 nm 이상 2400 nm 이하의 영역에 있어서 반사율이 20% 이상인 파장이 존재하며,
    상기 (c) 차열성 안료가, Mn-Bi 복합 산화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 차열성 안료의 함유량이, 상기 (a) 염화비닐 수지 100 질량부당 5 질량부 이상인,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카본 블랙의 함유량이, 상기 (c) 차열성 안료 100 질량부당 0.1 질량부 이하인,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분체 성형에 사용되는,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5. 제 4 항에 있어서,
    파우더 슬러시 성형에 사용되는,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염화비닐 수지 성형체.
  7. 제 6 항에 있어서,
    표면의 L*a*b* 표색계에 있어서의 L*값이 23.0 ± 2.5이고, a*값이 -0.5 ± 1.0이고, b*값이 0.0 ± 1.0인, 염화비닐 수지 성형체.
  8. 제 6 항에 있어서,
    자동차 내장 부품의 표피용인, 염화비닐 수지 성형체.
  9. 발포 폴리우레탄 성형체와, 제 6 항에 기재된 염화비닐 수지 성형체를 갖는 적층체.
  10. 삭제
  11. 삭제
KR1020197022338A 2017-02-06 2018-02-05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염화비닐 수지 성형체 및 적층체 KR1024552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019814 2017-02-06
JP2017019814 2017-02-06
PCT/JP2018/003809 WO2018143455A1 (ja) 2017-02-06 2018-02-05 塩化ビニル樹脂組成物、塩化ビニル樹脂成形体および積層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1956A KR20190111956A (ko) 2019-10-02
KR102455287B1 true KR102455287B1 (ko) 2022-10-14

Family

ID=63040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2338A KR102455287B1 (ko) 2017-02-06 2018-02-05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염화비닐 수지 성형체 및 적층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208549B2 (ko)
EP (1) EP3578604B1 (ko)
JP (1) JP6984617B2 (ko)
KR (1) KR102455287B1 (ko)
CN (1) CN110225946A (ko)
MX (1) MX2019008927A (ko)
WO (1) WO20181434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97613B2 (ja) * 2017-12-15 2022-01-17 アロン化成株式会社 硬質塩化ビニル系樹脂成形体
JP7196483B2 (ja) * 2018-09-13 2022-12-27 堺化学工業株式会社 塩素含有樹脂組成物
JP7196482B2 (ja) * 2018-09-13 2022-12-27 堺化学工業株式会社 塩素含有樹脂組成物
WO2023127609A1 (ja) * 2021-12-27 2023-07-06 日本ゼオン株式会社 可塑剤組成物、樹脂組成物、樹脂成形体および積層体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1049A (ja) 2000-02-22 2001-11-09 Nippon Paint Co Ltd 熱線遮蔽塗料組成物
JP2002012679A (ja) 2000-06-29 2002-01-15 Nippon Paint Co Ltd 遮熱性カラーフィルム
JP2004250553A (ja) 2003-02-19 2004-09-09 Techno Polymer Co Ltd 低蓄熱性熱可塑性樹脂組成物及び成形品
WO2009037905A1 (ja) 2007-09-19 2009-03-26 Techno Polymer Co., Ltd. 発泡成形用熱可塑性樹脂組成物、発泡成形品及び積層品
JP2010030829A (ja) 2008-07-29 2010-02-12 Toda Kogyo Corp 赤外線反射性黒色系顔料、該赤外線反射性黒色系顔料を用いた塗料及び樹脂組成物
JP2012197394A (ja) 2011-03-23 2012-10-18 Nippon Zeon Co Ltd 粉体成形用塩化ビニル樹脂組成物、塩化ビニル樹脂成形体及び積層体
WO2014091867A1 (ja) 2012-12-12 2014-06-19 日本ゼオン株式会社 粉体成形用塩化ビニル樹脂組成物、塩化ビニル樹脂成形体及び積層体
WO2015141182A1 (ja) * 2014-03-19 2015-09-24 日本ゼオン株式会社 粉体成形用塩化ビニル樹脂組成物、塩化ビニル樹脂成形体及び積層体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24292A (en) * 1982-03-08 1984-01-03 The B. F. Goodrich Company Infrared reflecting vinyl polymer compositions
AU571173B2 (en) 1982-03-08 1988-04-14 Geon Company, The Infrared reflecting vinyl polymer compositions
US6221147B1 (en) * 1998-12-18 2001-04-24 Cerdec Aktiengesellschaft Keramischre Farben Bismuth manganese oxide pigments
MY136929A (en) * 2000-04-21 2008-11-28 Nippo Corp Heat-shielding paint and paint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0970059B1 (ko) * 2002-08-07 2010-07-16 테크노 폴리머 가부시키가이샤 저 축열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성형품
JP2005206118A (ja) 2004-01-26 2005-08-04 Sekisui Chem Co Ltd 自動車内装材
JP2006273985A (ja) * 2005-03-29 2006-10-12 Shinto Paint Co Ltd 赤外線反射塗料組成物及び当該組成物で処理した道路面構造及び建築物屋上構造
JP2009091790A (ja) * 2007-10-06 2009-04-30 Sk Kaken Co Ltd 装飾性シート建材
CA2748886C (en) * 2010-08-30 2013-11-19 Milgard Manufacturing Incorporated Coating with improved heat reflection
EP2729414A1 (en) * 2011-07-07 2014-05-14 The Shepherd Color Company Low-loading titanate inorganic pigments for use in infrared reflective colors
MY179772A (en) * 2013-11-29 2020-11-13 Ishihara Sangyo Kaisha Black fine particulate near-infrared reflective material,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nd usage for same
JP2016037258A (ja) 2014-08-11 2016-03-22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の材料
WO2016098344A1 (ja) 2014-12-17 2016-06-23 日本ゼオン株式会社 塩化ビニル樹脂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塩化ビニル樹脂成形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積層体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1049A (ja) 2000-02-22 2001-11-09 Nippon Paint Co Ltd 熱線遮蔽塗料組成物
JP2002012679A (ja) 2000-06-29 2002-01-15 Nippon Paint Co Ltd 遮熱性カラーフィルム
JP2004250553A (ja) 2003-02-19 2004-09-09 Techno Polymer Co Ltd 低蓄熱性熱可塑性樹脂組成物及び成形品
WO2009037905A1 (ja) 2007-09-19 2009-03-26 Techno Polymer Co., Ltd. 発泡成形用熱可塑性樹脂組成物、発泡成形品及び積層品
JP2010030829A (ja) 2008-07-29 2010-02-12 Toda Kogyo Corp 赤外線反射性黒色系顔料、該赤外線反射性黒色系顔料を用いた塗料及び樹脂組成物
JP2012197394A (ja) 2011-03-23 2012-10-18 Nippon Zeon Co Ltd 粉体成形用塩化ビニル樹脂組成物、塩化ビニル樹脂成形体及び積層体
WO2014091867A1 (ja) 2012-12-12 2014-06-19 日本ゼオン株式会社 粉体成形用塩化ビニル樹脂組成物、塩化ビニル樹脂成形体及び積層体
WO2015141182A1 (ja) * 2014-03-19 2015-09-24 日本ゼオン株式会社 粉体成形用塩化ビニル樹脂組成物、塩化ビニル樹脂成形体及び積層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8143455A1 (ja) 2019-11-21
EP3578604B1 (en) 2023-06-14
JP6984617B2 (ja) 2021-12-22
EP3578604A1 (en) 2019-12-11
WO2018143455A1 (ja) 2018-08-09
KR20190111956A (ko) 2019-10-02
CN110225946A (zh) 2019-09-10
US11208549B2 (en) 2021-12-28
EP3578604A4 (en) 2020-09-30
MX2019008927A (es) 2019-09-26
US20190390049A1 (en) 2019-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5287B1 (ko)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염화비닐 수지 성형체 및 적층체
CN102918102B (zh) 粉体成形用氯乙烯树脂组合物、氯乙烯树脂成形体及层合体
KR20160135701A (ko) 분체 성형용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염화비닐 수지 성형체 및 적층체
JP6078001B2 (ja) 耐候性について高安定性を有する有機着色剤および着色ポリマー組成物
JP6504056B2 (ja) 塩化ビニル樹脂組成物、塩化ビニル樹脂成形体及び積層体
KR20140045996A (ko) 진공압 성형 또는 진공 성형에 의해 통합된 구조물 및 이의 제조 방법
US7893120B2 (en) Method for reclaiming pulverized synthetic resin product
CN110168022B (zh) 黑色异吲哚啉酮颜料和着色剂
KR20180127369A (ko)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염화비닐 수지 성형체, 및 적층체
EP3266826B1 (en) Vinyl chloride resin composition for powder molding, vinyl chloride resin molded body and laminate
JP7326735B2 (ja) 塩化ビニル樹脂組成物、塩化ビニル樹脂成形体および積層体
JP5049195B2 (ja) 近赤外線領域光反射性能を有する着色シート状物
CN109071903B (zh) 氯乙烯树脂组合物、氯乙烯树脂成型体、及层叠体
KR101989437B1 (ko) 파우더 슬러쉬 몰딩용 폴리염화비닐 분말 및 이의 제조방법
CN110325338B (zh) 聚丙烯系树脂组合物和成型体
JP6708201B2 (ja) 粉体成形用塩化ビニル樹脂組成物、塩化ビニル樹脂成形体及び積層体
JP6589881B2 (ja) 粉体成形用塩化ビニル樹脂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塩化ビニル樹脂成形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積層体
CN109082896A (zh) 一种高耐光照色牢度、抗紫外线汽车用革及其制备方法
KR102228985B1 (ko) 무스킨 선바이저
CN105392837A (zh) 粉体成形用氯乙烯树脂组合物、氯乙烯树脂成形体和层合体
CN110540793A (zh) 一种高闪银耐腐蚀粉末涂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