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9437B1 - 파우더 슬러쉬 몰딩용 폴리염화비닐 분말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파우더 슬러쉬 몰딩용 폴리염화비닐 분말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9437B1
KR101989437B1 KR1020150035106A KR20150035106A KR101989437B1 KR 101989437 B1 KR101989437 B1 KR 101989437B1 KR 1020150035106 A KR1020150035106 A KR 1020150035106A KR 20150035106 A KR20150035106 A KR 20150035106A KR 101989437 B1 KR101989437 B1 KR 1019894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pvc resin
powder
polyvinyl chloride
pv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51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0839A (ko
Inventor
홍민기
전병주
송은호
송권빈
김병민
허유랑
전성모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1500351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9437B1/ko
Publication of KR201601108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08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94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94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7/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7/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7/04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chlorine atoms
    • C08L27/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 chlor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4Stabilisers against oxidation, heat, light or o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16Plastici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5Stabilisers against oxidation, heat, light, o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2Flame or fire retardant/resista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oulding By Coating Mould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어용 PVC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 코어층 및 상기 코어층의 표면에 형성된 코팅용 PVC 수지 쉘층을 포함하고, 상기 코어용 PVC 수지 조성물은 코어용 PVC 수지 및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트리메틸레이트계 가소제를 포함하는 파우더 슬러쉬 몰딩용 폴리염화비닐 분말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15024877907-pat00013
,
상기 화학식 1에서, R1, R2 및 R3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탄소수가 8~12개인 알킬기이다.

Description

파우더 슬러쉬 몰딩용 폴리염화비닐 분말 및 이의 제조방법{PVC POWDER FOR POWDER SLUSH MOLDING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파우더 슬러쉬 몰딩용 폴리염화비닐 분말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우더 슬러쉬 몰딩(Powder Slush Molding) 공법은 기존의 진공성형 공법에 비하여 의장형상, 엠보싱 효과를 충실히 전사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고급 자동차의 계기판에는 주로 파우더 슬러쉬 몰딩 공법을 통하여 생산한 성형스킨을 적용하여 왔으나, 최근에는 중소형 차종으로 확산 적용되고 되고 있고, 적용부위 또한 계기판에서 하부패널, 기어박스, 도어 트림 등으로 계속 확대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현재 자동차용 표피재로 사용하고 있는 소재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계 수지, 열가소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및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등이 주로 사용되고 있으나, 열가소성 폴리우레탄계 수지 및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가격이 너무 비싸 고급 차종에만 일부 적용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타 소재 대비 성형성이 떨어져서 불량율 증가에 따른 비용 부담이 과다하여 관련 업체에서 사용을 기피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감성품질, 내구성능은 물론 성형성이 우수하고, 코스트 경쟁력을 갖춘 폴리염화비닐계 수지를 적용한 표피재 개발을 절실히 요구하고 있는 실정인바, 폴리염화비닐계 수지를 적용한 표피재의 내열성 및 저온 유연성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코어용 PVC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 코어층 및 상기 코어층의 표면에 형성된 코팅용 PVC 수지 쉘층을 포함하고, 상기 코어용 PVC 수지 조성물은 코어용 PVC 수지 및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트리멜리테이트계 가소제를 포함하는 파우더 슬러쉬 몰딩용 폴리염화비닐 분말 등을 제공하고자 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5024877907-pat00001
,
상기 화학식 1에서, R1, R2 및 R3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탄소수가 8~12개인 알킬기이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코어용 PVC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 코어층 및 상기 코어층의 표면에 형성된 코팅용 PVC 수지 쉘층을 포함하고, 상기 코어용 PVC 수지 조성물은 코어용 PVC 수지 및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트리메틸레이트계 가소제를 포함하는 파우더 슬러쉬 몰딩용 폴리염화비닐 분말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5024877907-pat00002
,
상기 화학식 1에서, R1, R2 및 R3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탄소수가 8~12개인 알킬기이다.
상기 탄소수가 8~12개인 알킬기는 직쇄형일 수 있다.
상기 코어용 PVC 수지 100 중량부 대비, 상기 트리메틸레이트계 가소제는 100 중량부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어용 PVC 수지는 중합도 800 내지 1700의 스트레이트(Straight) 수지를 단독 또는 혼합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코어용 PVC 수지는 냉 가소제 흡수(CPA; Cold Plasticizer Absorption)가 30%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코어용 PVC 수지 조성물은 고내열 안정제, 활제, 및 광안정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팅용 PVC 수지는 중합도 800 내지 1300의 페이스트(Paste) 수지를 단독 또는 혼합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로, (a) 현탁 중합에 의해 코어용 PVC 수지를 제조한 후,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트리메틸레이트계 가소제를 혼합하여 코어용 PVC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 코어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b) 에멀젼 중합에 의해 코팅용 PVC 수지를 제조한 후, 상기 (a)에서 형성된 코어층의 표면에 PVC 수지 쉘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파우더 슬러쉬 몰딩용 폴리염화비닐 분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5024877907-pat00003
,
상기 화학식 1에서, R1, R2 및 R3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탄소수가 8~12개인 알킬기이다.
상기 (a) 단계에서 혼합은 40~150℃에서 10~120분 동안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파우더 슬러쉬 몰딩용 폴리염화비닐 분말은 탄소수가 8~12개인 알킬기(R1, R2 및 R3)를 가지는 트리멜리테이트계 가소제를 포함하는 코어용 PVC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바, 상기 폴리염화비닐 분말은 유하성이 우수하고, 상기 폴리염화비닐 분말을 성형한 성형품은 저온 유연성 및 내열성이 우수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파우더 슬러쉬 몰딩용 폴리염화비닐 분말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도면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층 및 영역의 두께를 과장되게 나타내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코어용 PVC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 코어층 및 상기 코어층의 표면에 형성된 코팅용 PVC 수지 쉘층을 포함하고, 상기 코어용 PVC 수지 조성물은 코어용 PVC 수지 및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트리멜리테이트계 가소제를 포함하는 파우더 슬러쉬 몰딩용 폴리염화비닐 분말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5024877907-pat00004
,
상기 화학식 1에서, R1, R2 및 R3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탄소수가 8~12개인 알킬기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파우더 슬러쉬 몰딩용 폴리염화비닐 분말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파우더 슬러쉬 몰딩용 폴리염화비닐 분말은 코어용 PVC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 코어층(1) 및 상기 코어층의 표면에 형성된 코팅용 PVC 수지 쉘층(2)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즉, 상기 폴리염화비닐 분말은 코어층-쉘층 구조를 가지는바, 파우더 슬러쉬 몰딩 공정에서 공정 작업성 및 성형품의 표면 특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코어용 PVC 수지 조성물은 코어용 PVC 수지 및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트리메틸레이트계 가소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5024877907-pat00005
,
상기 화학식 1에서, R1, R2 및 R3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탄소수가 8~12개인 알킬기이다.
상기 탄소수가 8~12개인 알킬기는 직쇄형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 직쇄형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탄소수가 8~12개인 알킬기가 측쇄형인 경우, 직쇄형에 비하여 분자의 분극이 작아져 충분한 내한성 및 내열안정성을 갖기 어렵다.
상기 코어용 PVC 수지 100 중량부 대비, 상기 트리메틸레이트계 가소제는 100 중량부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트리메틸레이트계 가소제는 105 중량부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상기 트리메틸레이트계 가소제는 105 중량부 내지 15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상기 트리멜리테이트계 가소제가 상기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인비져블(invisible)용 크래쉬 패드 스킨(crash pad skin)에 적용하기 위한 내열성 및 내한성을 갖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상기 트리멜리테이트계 가소제가 상기 중량부 초과인 경우에는 내열/내광 등의 내구성 조건에서 스킨 내 가소제가 외부로 빠져나올 수 있고 이로 인해 스킨의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트리멜리테이트계 가소제를 상기 범위로 포함함으로써, 뛰어난 저온 유연성 및 내구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코어용 PVC 수지는 중합도 800 내지 1700의 스트레이트(Straight) 수지를 단독 또는 혼합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스트레이트 수지로는 현탁 중합에 의해 제조된 수지가 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코어용 PVC는 CPA(Cold Plasticizer Absorption)가 3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나,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상기 코어용 PVC 수지 조성물 내 코어용 PVC 수지의 CPA(Cold Plasticizer Absorption)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코어용 PVC 수지가 트리메틸레이트계 가소제를 충분히 흡유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코어용 PVC 수지 조성물은 고내열 안정제, 활제, 및 광안정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내열 안정제로는 Ba-Zn계, Ca-Zn계, Na-Zn계, Ca-Mg계 및 주석(Tin)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코어용 PVC 수지 100 중량부 대비, 상기 고내열 안정제는 2 중량부 내지 8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활제로는 실리콘계 또는 폴리에스터계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코어용 PVC 수지 100 중량부 대비, 상기 활제는 0.2 중량부 내지 3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광안정제로는 벤조페논(Benzopenones), 벤조아지논(Benzoazinone), 트리아진(Triazine) 및 벤조트리아졸(Benxotriazol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코어용 PVC 수지 100 중량부 대비, 상기 광안정제는 0.1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코어층은 100㎛ 내지 250㎛의 직경을 유지하는 것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코팅용 PVC 수지는 중합도 800 내지 1300의 페이스트(Paste) 수지를 단독 또는 혼합 사용할 수 있다. 이때, 페이스트 수지로는 에멀젼 중합에 의해 제조된 수지가 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쉘층은 0.1㎛ 내지 10㎛의 두께를 유지하는 것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a) 현탁 중합에 의해 코어용 PVC 수지를 제조한 후,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트리멜리테이트계 가소제를 혼합하여 코어용 PVC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 코어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b) 에멀젼 중합에 의해 코팅용 PVC 수지를 제조한 후, 상기 (a)에서 형성된 코어층의 표면에 PVC 수지 쉘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파우더 슬러쉬 몰딩용 폴리염화비닐 분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5024877907-pat00006
,
상기 화학식 1에서, R1, R2 및 R3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탄소수가 8~12개인 알킬기이다.
상기 (a) 단계는 현탁 중합에 의해 제조된 코어용 PVC 수지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현탁 중합"이라 함은 물에 녹지 않는 단량체를 지름 100~500㎛ 정도의 기름 방울로 하여 수중에 분산시켜 중합시키는 방법으로,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코어용 PVC 수지는 중합도 800 내지 1700의 스트레이트(Straight) 수지일 수 있다.
또한, 상기 (a) 단계에서 혼합은 40~150℃에서 10~120분 동안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혼합이 상기 온도 및 시간 동안 수행됨으로써, 충분한 블렌딩을 통해 상기 코어용 PVC 수지 조성물 내 상기 트리멜리테이트계 가소제 흡유량을 높일 수 있다.
상기 (b) 단계는 에멀젼 중합에 의해 제조된 코팅용 PVC 수지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에멀젼 중합"이라 함은 물에 녹지 않는 단량체를 지름 0.05~10㎛ 정도의 기름 방울로 하여 수중에 분산시켜 중합시키는 방법으로,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코팅용 PVC 수지는 중합도 800 내지 1300의 페이스트(Paste) 수지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파우더 슬러쉬 몰딩용 폴리염화비닐 분말은 탄소수가 8~12개인 알킬기(R1, R2 및 R3)를 가지는 트리멜리테이트계 가소제를 포함하는 코어용 PVC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바, 상기 폴리염화비닐 분말은 유하성이 우수하고, 상기 폴리염화비닐 분말을 성형한 성형품은 저온 유연성 및 내열성이 우수하다. 즉, 상기 폴리염화비닐 분말을 성형한 성형품은 자동차의 하부패널, 기어박스, 도어 트림, 인스투르먼트 패널, 콘솔 박스 등의 표피재의 제조에 적합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실시예 1
현탁 중합에 의해 코어용 PVC 수지[중합도: 1300의 스트레이트 수지](CPA=35%) 100g을 제조한 후,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트리멜리테이트계 가소제 105g, Ba-Zn계 고내열 안정제 6g, 실리콘계 활제 2g, 및 벤조페논계 광안정제 0.3g을 100?에서 1시간 동안 혼합하여 코어용 PVC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 직경이 200㎛인 코어층을 형성하였다:
[화학식 2]
Figure 112015024877907-pat00007
(R1,R2 및 R3는 직쇄형 C8H17).
에멀젼 중합에 의해 코팅용 PVC 수지[중합도: 1000의 페이스트 수지] 10g을 제조한 후, PVC 수지 쉘층을 코팅하여 파우더 슬러쉬 몰딩용 폴리염화비닐 분말을 최종 제조하였다.
실시예 2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트리멜리테이트계 가소제 대신 하기 화학식 3로 표시되는 트리멜리테이트계 가소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파우더 슬러쉬 몰딩용 폴리염화비닐 분말을 최종 제조하였다:
[화학식 3]
Figure 112015024877907-pat00008
(R1,R2, R3 직쇄형 C10H21).
비교예 1
PVC 수지 쉘층의 코팅을 생략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파우더 슬러쉬 몰딩용 폴리염화비닐 분말을 최종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트리멜리테이트계 가소제의 함량을 70g으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파우더 슬러쉬 몰딩용 폴리염화비닐 분말을 최종 제조하였다.
비교예 3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트리멜리테이트계 가소제 대신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트리멜리테이트계 가소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파우더 슬러쉬 몰딩용 폴리염화비닐 분말을 최종 제조하였다:
[화학식 4]
Figure 112015024877907-pat00009
(R1,R2 및 R3는 직쇄형 C4H9).
비교예 4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트리멜리테이트계 가소제 대신 하기 화학식 5로 표시되는 트리멜리테이트계 가소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파우더 슬러쉬 몰딩용 폴리염화비닐 분말을 최종 제조하였다:
[화학식 5]
Figure 112015024877907-pat00010
(R1,R2 , R3는 측쇄형 C8H17(2-에틸헥실기)).
비교예 5
CPA가 27%인 코어용 PVC 수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파우더 슬러쉬 몰딩용 폴리염화비닐 분말을 최종 제조하였다.
비교예 6
CPA가 27%인 코어용 PVC 수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다만, 코어용 PVC 수지가 트리메틸레이트계 가소제를 모두 흡유하기 전에, 겔화가 발생되어 파우더 슬러쉬 몰딩용 폴리염화비닐 분말을 최종 제조하지 못하였다.
실험예
(1) 유하성 평가
실시예 1~2 및 비교예 1~6에서 제조된 폴리염화비닐 분말의 유하성은 시료 100ml를 KS M 3002의 겉보기 비중 측정 장치 깔때기에 부어 시료가 깔때기로부터 완전히 빠져 나오는데 걸리는 시간으로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2) 저온 유연성 평가
실시예 1~2 및 비교예 1~6에서 제조된 폴리염화비닐 분말을 성형한 성형품의 저온 유연성은 -35℃에서 볼(직경 50mm, 중량 500g)을 1m 높이에서 낙하시켜 성형품의 크랙의 유무로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3) 내열성 평가
실시예 1~2 및 비교예 1~6에서 제조된 폴리염화비닐 분말을 성형한 성형품의 내열성은 120℃에서 500시간 방치한 후, 볼(직경 50mm, 중량 500g)을 1m 높이에서 낙하시켜 성형품의 크랙의 유무로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유하성 저온 유연성 내열성
실시예 1 17 크랙 무 크랙 무
실시예 2 18 크랙 무 크랙 무
비교예 1 측정불가 크랙 무 크랙 무
비교예 2 17 크랙 유 크랙 유
비교예 3 18 크랙 무 크랙 유
비교예 4 18 크랙 무 크랙 유
비교예 5 17 크랙 유 크랙 유
비교예 5 측정불가 측정불가 측정불가
상기 표 1를 참고하면, 실시예 1~2에서 제조된 폴리염화비닐 분말은 분말의 용이한 성형을 위한 유하성이 우수하고, 폴리염화비닐 분말을 성형한 성형품은 저온 유연성 및 내열성과 같은 내구성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9)

  1. 코어용 PVC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 코어층 및 상기 코어층의 표면에 형성된 코팅용 PVC 수지 쉘층을 포함하고,
    상기 코어용 PVC 수지 조성물은 코어용 PVC 수지 및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트리멜리테이트계 가소제를 포함하고,
    상기 코어용 PVC 수지는 중합도 800 내지 1300의 스트레이트(Straight) 수지를 단독 또는 혼합 사용하고,
    상기 코어용 PVC 수지 100 중량부 대비, 상기 트리멜리테이트계 가소제는 105 중량부 내지 150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코어용 PVC 수지는 CPA(Cold Plasticizer Absorption)가 30% 이상이고,
    상기 코팅용 PVC 수지는 중합도 800 내지 1000의 페이스트(Paste) 수지를 단독 또는 혼합 사용하는
    파우더 슬러쉬 몰딩용 폴리염화비닐 분말:
    [화학식 1]
    Figure 112019037075017-pat00011
    ,
    상기 화학식 1에서, R1, R2 및 R3는 서로 동일하고, 탄소수가 8 또는 10의 직쇄형 알킬기이다.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용 PVC 수지 조성물은 고내열 안정제, 활제, 및 광안정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파우더 슬러쉬 몰딩용 폴리염화비닐 분말.
  7. 삭제
  8. (a) 현탁 중합에 의해 코어용 PVC 수지를 제조한 후,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트리멜리테이트계 가소제를 혼합하여 코어용 PVC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 코어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b) 에멀젼 중합에 의해 코팅용 PVC 수지를 제조한 후, 상기 (a)에서 형성된 코어층의 표면에 PVC 수지 쉘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코어용 PVC 수지는 중합도 800 내지 1300의 스트레이트(Straight) 수지를 단독 또는 혼합 사용하고,
    상기 코어용 PVC 수지 100 중량부 대비, 상기 트리멜리테이트계 가소제는 105 중량부 내지 150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a) 단계에서 혼합은 40~150℃에서 10~120분 동안 수행하고,
    상기 코어용 PVC 수지는 CPA(Cold Plasticizer Absorption)가 30% 이상이고,
    상기 코팅용 PVC 수지는 중합도 800 내지 1000의 페이스트(Paste) 수지를 단독 또는 혼합 사용하는
    파우더 슬러쉬 몰딩용 폴리염화비닐 분말의 제조방법:
    [화학식 1]
    Figure 112019037075017-pat00012
    ,
    상기 화학식 1에서, R1, R2 및 R3는 서로 동일하고, 탄소수가 8 또는 10의 직쇄형 알킬기이다.
  9. 삭제
KR1020150035106A 2015-03-13 2015-03-13 파우더 슬러쉬 몰딩용 폴리염화비닐 분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894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5106A KR101989437B1 (ko) 2015-03-13 2015-03-13 파우더 슬러쉬 몰딩용 폴리염화비닐 분말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5106A KR101989437B1 (ko) 2015-03-13 2015-03-13 파우더 슬러쉬 몰딩용 폴리염화비닐 분말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0839A KR20160110839A (ko) 2016-09-22
KR101989437B1 true KR101989437B1 (ko) 2019-06-17

Family

ID=57102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5106A KR101989437B1 (ko) 2015-03-13 2015-03-13 파우더 슬러쉬 몰딩용 폴리염화비닐 분말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94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12848B2 (en) 2017-10-16 2022-04-26 Kaneka Corporation Powder slush molded body of vinyl chloride resin composition, and laminate
WO2019078108A1 (ja) * 2017-10-16 2019-04-25 株式会社カネカ 粉体成形用塩化ビニル系樹脂組成物、塩化ビニル系樹脂成形体及び積層体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13363B2 (ja) * 2008-02-29 2014-02-12 日本ゼオン株式会社 粉体成形用塩化ビニル系樹脂組成物、塩化ビニル系樹脂成形体、積層体、自動車内装材及び粉体成形用塩化ビニル系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7767B1 (ko) * 2008-03-11 2013-05-23 (주)엘지하우시스 파우더 슬러쉬 몰딩용 폴리염화비닐 분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13363B2 (ja) * 2008-02-29 2014-02-12 日本ゼオン株式会社 粉体成形用塩化ビニル系樹脂組成物、塩化ビニル系樹脂成形体、積層体、自動車内装材及び粉体成形用塩化ビニル系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0839A (ko) 2016-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13645B1 (de) PVC-Zusammensetzung und deren Verwendung
JP6215685B2 (ja) 塩化ビニル系樹脂組成物、塩化ビニル系樹脂パウダースラッシュ成形体、樹脂積層体及びこれらの製造方法
KR101989437B1 (ko) 파우더 슬러쉬 몰딩용 폴리염화비닐 분말 및 이의 제조방법
CN106543401A (zh) 一种抗菌tpu材料及其制备方法
DE112017004476T5 (de) Butylkautschuk und seine Herstellungsverfahren, Kautschukprodukt und Zusammensetzung und Verwendung sowie luftdichte Schicht des Autoreifens, Schlauch und vulkanisierte Kapsel
CN103228711A (zh) 用于喷射模塑的塑料制品的塑料溶胶
JPWO2019087534A1 (ja) 粉体成形用塩化ビニル系樹脂組成物、塩化ビニル系樹脂成形体及び積層体
KR20190111956A (ko)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염화비닐 수지 성형체 및 적층체
JPH10120854A (ja) 粉末成形用塩化ビニル系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60148107A (ko) 자동차용 내장내 및 이의 제조방법
EP0354700B1 (en) Polyvinyl chloride resin composition for powder molding
KR20180130783A (ko) 파우더 슬러쉬 몰딩용 폴리염화비닐 분말 및 이의 제조방법
JP7160028B2 (ja) 塩化ビニル樹脂組成物、塩化ビニル樹脂成形体および積層体
KR101267767B1 (ko) 파우더 슬러쉬 몰딩용 폴리염화비닐 분말
KR20150143482A (ko) 플루오로수지 및 메조다공성 실리카 조성물 및 이의 성형물
JPWO2019087533A1 (ja) 粉体成形用塩化ビニル系樹脂組成物、塩化ビニル系樹脂成形体及び積層体
CN117836366A (zh) 氯乙烯树脂组合物、氯乙烯树脂成型体以及层叠体
KR20180040980A (ko) 파우더 슬러쉬 몰딩용 수지 입자 및 제조방법
CN104292558A (zh) 一种汽车门锁系统cr bumper胶料及其制备工艺
KR20100103008A (ko) Pvc 컴파운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13845728A (zh) 一种用于汽车内饰的聚丙烯材料及其制备方法
KR20200065903A (ko) 자동차 내장재용 표피재와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내장재
KR102140513B1 (ko) 파우더 슬러쉬 몰딩용 분말 조성물
KR102499858B1 (ko)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염화비닐 수지 성형체, 및 적층체
CN111073054B (zh) 一种抗湿滑树脂基多功能橡胶硫化促进剂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