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4048B1 - 냉방효율이 향상된 냉방조끼 - Google Patents

냉방효율이 향상된 냉방조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4048B1
KR102454048B1 KR1020220022319A KR20220022319A KR102454048B1 KR 102454048 B1 KR102454048 B1 KR 102454048B1 KR 1020220022319 A KR1020220022319 A KR 1020220022319A KR 20220022319 A KR20220022319 A KR 20220022319A KR 102454048 B1 KR102454048 B1 KR 1024540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h
mesh cloth
nape
space
endothel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2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민
정규환
Original Assignee
(주) 에스에스에이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에스에스에이치 filed Critical (주) 에스에스에이치
Priority to KR10202200223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40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40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40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2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 A41D13/0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with controlled temperature
    • A41D13/0053Cooled 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4Vests, jerseys, sweate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2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 A41D13/002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by means of forced air circ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2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 A41D13/0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with controlled temperature
    • A41D13/0058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with controlled temperature having pockets for heated or cooled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02Lining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08Trimmings; Ornaments
    • A41D27/085Luminous orna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냉방효율이 향상된 냉방조끼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냉방효율이 향상된 냉방조끼는, 외피와 내피로 이루어진 뒷판과, 좌,우 앞판 및 상기 좌,우 앞판에 마련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냉방조끼로서, 상기 뒷판의 외피와 내피 사이에는, 80-100 메시의 제1 메시천과 50-70 메시의 제2 메시천이 겹쳐지게 배치되되, 상기 제1 메시천이 상기 외피에 접하고 상기 제2 메시천은 상기 내피에 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외피와 제1,2 메시천 및 상기 내피 가장자리가 결합되어 내부에 상기 외피와 상기 제1 메시천 사이에는 제1 송풍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메시천과 상기 제2 메시천 사이에는 제2 송풍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제2 메시천과 상기 내피 사이에는 제3 송풍공간이 차례로 형성되고, 상기 내피의 양쪽 겨드랑이 영역과 목덜미 영역에는, 상기 제3 송풍공간에 채워진 공기가 착용자의 양쪽 겨드랑이로 토출되도록 하기 위한 좌,우 토출구 및 목덜미로 토출하기 위한 목덜미 토출구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외피의 좌,우측 하부영역에는 배터리에 의해 작동되어 외부공기를 상기 제1 송풍공간으로 동시에 공급하기 위한 2개의 송풍팬이 마련되어 송풍팬에 의해 유입되어 온도가 낮아진 공기가 좌,우 토출구 및 상기 목덜미 토출구를 통하여 토출되면서 착용자의 양쪽 겨드랑이와 목덜미의 온도를 낮추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냉방효율이 향상된 냉방조끼{COOLING JACKET HAVING IMPROVER COOLING EFFICINCY}
본 발명은 냉방효율이 향상된 냉방조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피의 내피 사이에 메시가 서로 다른 제1,2 메시천으로 제1,2,3 송풍공간을 형성하여 송풍팬에 의해 공급되는 외부공기를 제1,2,3 송풍공간에 차례로 채운 후 착용자의 양쪽 겨드랑이와 목덜미 쪽으로 토출함으로써 제1,2,3 송풍공간이 단열기능을 하게 되어 외부열기를 차단할 수 있고, 온도가 낮아진 공기가 양쪽 겨드랑이와 목덜미로만 토출됨으로써 착용자에게 냉방효과를 제공할 수 있으며, 뒷판에 조명을 구비시켜 야간에 착용자의 위치를 명확하게 표시할 수 있는 냉방효율이 향상된 냉방조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방조끼는, 기온이 높은 여름철에 야외에서 긴 시간 활동하는 활동자, 또는 제철, 제강, 제련 작업, 토목공사 등과 같이 고온의 환경에서 지속적으로 육체노동을 하는 작업자가 착용하여 체온을 낮추고 있다.
냉방조끼의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396190호(공고일 : 2005.09.20)에는 전원 인가시 냉풍을 발생시키는 냉풍용팬과, 냉풍용팬에 전원을 공급하는 휴대용 배터리팩을 포함하는 충전식 배터리팩을 이용한 냉풍조끼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한 선행기술에 따른 냉풍조끼는 단순히 외부공기를 내풍조끼 내부로 주입하는 방식으로 구성됨으로써 냉각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다른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389555호(공고일 : 2005.07.14)에는 내피와 외피를 가지며, 상기 내피에 냉매팩을 설치하여 냉기를 발산하는 냉방 조끼에 있어서, 상기 내피의 일단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하는 복대와, 일단에 상기 냉매팩의 인출을 위한 개폐부가 포함되고, 상기 내피 및 상기 복대에 탈착되는 복수개의 냉매주머니를 구비하며, 상기 내피와 상기 복대 및 상기 냉매주머니에는 상호 탈착가능 하도록 벨크로로 구성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냉방 조끼는, 냉매팩을 주기적으로 냉동시켜야 하므로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고, 또한, 냉매팩과 접촉되는 부위에만 냉기가 집중되므로 전체적인 냉각 효율이 떨어지며, 냉매팩과 직접 접촉할 경우 부분적인 동상의 우려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냉매팩의 주변에 온도차에 의한 결로가 발생되어 조끼가 축축하게 젖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396190호(공고일 : 2005.09.20) .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389555호(공고일 : 2005.07.14)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 열을 차단하기 위한 단열효과를 향상시킴과 동시에 온도가 낮아진 공기를 착용자의 목덜미와 양쪽 겨드랑이로만 토출함으로써 냉방조끼의 냉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야간이나 우천시 냉방조끼를 착용한 착용자에 대한 시인성을 향상시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외피와 내피로 이루어진 뒷판과, 좌,우 앞판 및 상기 좌,우 앞판에 마련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냉방조끼로서, 상기 뒷판의 외피와 내피 사이에는, 80-100 메시의 제1 메시천과 50-70 메시의 제2 메시천이 겹쳐지게 배치되되, 상기 제1 메시천이 상기 외피 쪽에 위치하고 상기 제2 메시천은 상기 내피 쪽에 위치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외피와 제1,2 메시천 및 상기 내피 가장자리가 결합되어 내부에 상기 외피와 상기 제1 메시천 사이에는 제1 송풍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메시천과 상기 제2 메시천 사이에는 제2 송풍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제2 메시천과 상기 내피 사이에는 제3 송풍공간이 차례로 형성되고, 상기 내피의 양쪽 겨드랑이 영역과 목덜미 영역에는, 상기 제3 송풍공간에 채워진 공기가 착용자의 양쪽 겨드랑이로 토출되도록 하기 위한 좌,우 토출구 및 목덜미로 토출하기 위한 목덜미 토출구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외판의 좌,우측 하부영역에는 외부공기를 상기 제1 송풍공간으로 동시에 공급하기 위한 2개의 송풍팬이 마련되고, 상기 송풍팬에 의해 공급되는 외부공기가 상기 제1 송풍공간에 채워진 후 상기 제1 메시천을 통과하면서 압력과 온도가 낮아진 상태로 상기 제2 송풍공간으로 유입되어 채워지고, 상기 제2 메시천을 통과하여 상기 제3 송풍공간으로 유입되어 채워진 후 상기 좌,우 토출구 및 상기 목덜미 토출구를 통하여 토출되면서 착용자의 양쪽 겨드랑이와 목덜미의 온도를 낮추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효율이 향상된 냉방조끼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내피에는, 냉매를 수납할 수 있는 냉매 주머니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내피와 제1,2 메시천의 하부에는, 상기 제1 송풍공간의 하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개폐용 지퍼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외피와 마주보는 상기 제1 메시천의 외측면에는, 상기 배터리에 의해 작동되어 빛이 상기 외피를 통하여 외부로 비치도록 엘이디 램프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내피와 외피 사이에 다중의 공기층, 즉 제1,2,3 송풍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외부 열기를 완전하게 차단할 수 있고, 공기가 미세한 메시천을 차례대로 통과하면서 낮은 압력과 온도로 변화되고 낮은 온도의 공기를 양쪽 겨드랑이와 목덜미에만 형성된 토출구로 토출함으로써 착용자의 신체를 신속하고 지속적으로 냉방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 메시천에 엘이디 램프가 구비됨으로써 야간에 착용자의 야간식별성을 향상시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방효율이 향상된 냉방조끼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의 (a) 및 (b)는 도 1에 도시된 냉방효율이 향상된 냉방조끼를 도시한 결합상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냉방효율이 향상된 냉방조끼의 배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냉방효율이 향상된 냉방조끼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상태 단면도로,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냉방조끼에 구비된 엘이디 램프가 점등된 상태를 도시한 냉방조끼의 배면 사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방효율이 향상된 냉방조끼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냉방효율이 향상된 냉방조끼를 도시한 결합상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냉방효율이 향상된 냉방조끼의 배면도이다. 그리고, 도 4 및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냉방효율이 향상된 냉방조끼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상태 단면도로,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냉방효율이 향상된 냉방조끼(10)는, 2개의 송풍팬(30)으로 외부공기를 제1,2,3 송풍공간(S1,S2,S3)으로 차례로 송풍하여 착용자의 양쪽 겨드랑이 영역과 목덜미 영역에만 토출하여 냉방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냉방조끼(10)는, 외피(22)와 내피(28)로 이루어진 뒷판과, 좌,우 앞판 및 좌,우 앞판에 마련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냉방조기(10)의 기본적인 구성요소는 공지된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외피(22)는 방풍 기능과 빛 투과성이 우수한 직물(천)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1 송풍공간(S1)으로 공급된 공기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하고, 엘이디 램프(40)의 빛이 외피(22)를 투과하여 외부로 비춰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뒷판의 외피(22)와 내피(28) 사이에는, 80-100 메시의 제1 메시천(24)과 50-70 메시의 제2 메시천(26)이 차례로 겹쳐지게 배치된다. 제1 메시천(24)는 외피(22) 쪽에 위치하고 제2 메시천(26)은 내피(28) 쪽에 위치하도록 각각 배치된다.
제1 메시천(24)을 80-100 메시로 형성하는 것은, 송풍팬(30)에 의해 공급되는 외부공기가 제1 메시천(24)을 빠르게 빠져 나가지 못하도록 하여 제1 송풍공간(S1)에 채워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송풍팬(30)에 의해 외부공기가 외피(22)와 제1 메시천(24) 사이의 제1 송풍공간(S1)에 가득 채워지도록 하여 첫번째 단열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제1 송풍공간(S1)에 가득 채워진 공기가 80-100 메시의 작은 통공을 빠르게 통과할 때 압력이 낮아지게 되고 온도가 낮아지게 된다. 즉, 베르누이의 법칙(또는 줄톰슨효과-Joule-Thomson effect)에 의하면, 공기가 제1 송풍공간(S1)의 넓은 공간에서 80-100 메시의 미세한 작은 통공을 통과할 때 압력이 낮아지고 이와 동시에 온도도 낮아지게 된다.
제2 메시천(26)을 50-70 메시로 형성하는 것은, 제1 메시천(24)을 저압 저온으로 빠르게 통과한 공기가 제1 메시천(24)과 제2 메시천(26) 사이의 제2 송풍공간(S2)에 신속하게 채워지도록 하고, 제2 송풍공간(S2)에 채워진 공기가 제2 메시천(26)을 통과하면서 저압 저온상태로 제3 송풍공간(S3)에 빠르게 채워지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외피(22)와 내피(28) 사이에, 80-100 메시의 제1 메시천(24)과 50-70 메시의 제2 메시천(26)이 차례로 겹쳐지게 배치됨으로써 2개의 송풍팬(30)에 의해 공급되는 외부공기가 제1,2,3 송풍공간(S1,S2,S3)에 차례로 채워져 압축된 후 각 토출구(D1,D2)를 통하여 강하게 토출될 수 있다.
전술한 외피(22)와 제1,2 메시천(24,26) 및 내피(28)의 가장자리는 접착되거나 재봉되어 결합된다. 그리고, 외피(22)와 내피(28)는 바람을 통과시키지 않는 방풍소재의 직물로 구성된다. 외피(22)와 제1,2 메시천(24,26) 및 내피(28)의 가장자리가 결합됨에 따라 외피(22)와 제1 메시천)24) 사이에는 제1 송풍공간(S1)이 형성되고, 제1 메시천(24)과 제2 메시천(26) 사이에는 제2 송풍공간(S2)이 형성되며, 제2 메시천(26)과 내피(28) 사이에는 제3 송풍공간(S3)이 차례로 각각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각 송풍팬(30)에 의해 공급되는 외부공기는 제1 송풍공간(S1)과 제2 송풍공간(S2) 및 제3 송풍공간(S3)에 채워진 후 각 토출구(D1,D2)로만 강하게 토출될 수 있다.
내피(28)의 양쪽 겨드랑이 영역(A1)에는, 제3 송풍공간(S3)에 채워진 공기가 착용자의 양쪽 겨드랑이로 토출되도록 하기 위한 좌,우 토출구(D1)이 각각 형성되고, 목덜미 영역(A2)에는 제3 송풍공간(S3)에 채워진 공기가 목덜미로 토출되도록 하기 위한 목덜미 토출구(D2)가 형성된다. 좌,우측 토출구(D1)과 목덜미 토출구(D2)는 내피(28)의 일부가 절개된 절개부(28A)되어 형성되므로, 제3 송풍공간(S3)에 채워진 공기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착용자의 신체쪽으로만 토출될 수 있다.
내피(28)에는, 냉매를 수납할 수 있는 냉매 주머니(28B)가 마련된다. 냉매 주머니(28B)는 착용자의 신체에 접하는 내피(28)의 외측면에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냉매를 냉매 주머니(28B)에 넣어 사용하거나 교체할 수 있다.
전술한 내피(28)와 제1,2 메시천(22,26)의 하부에는, 제1 송풍공간(S1)의 하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개폐용 지퍼(28C)가 마련된다. 개폐용 지퍼(28C)는 제1 송풍공간(S1)을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제1 메시천(24)에 구비되는 엘이디 램프(40)를 정비 또는 교체하거나, 송풍팬(30)을 교체 또는 정비하기 위한 것이다.
삭제
송풍팬(30)은, 외피(22)의 좌,우측 하부영역에 각각 설치된다. 2개로 이루어진 송풍팬(30)은 조끼에 별도로 구비되는 배터리에 의해 작동되어 외부공기를 제1 송풍공간(S1)으로 동시에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송풍팬(30)을 2개로 구성하고 외피(22)의 하부 좌,우측에 각각 설치됨으로써 보다 많은 외부공기를 신속하게 제1 송풍공간(S1)으로 공급할 수 있고, 따라서 제1 송풍공간(S1)을 높은 압력으로 형성하여 제1 송풍공간(S1)의 공기가 제1 메시천(24)의 미세한 좁은 통공(눈)들을 통과하면서 압력과 온도가 낮아진 상태로 제2 송풍공간(S2)으로 이동할 수 있다.
외피(22)와 마주보는 제1 메시천(24)의 외측면에는, 배터리에 의해 작동되어 빛이 외피(22)를 통하여 외부로 비치도록 하기 위한 엘이디 램프(40)가 마련된다.
엘이디 램프(40)는, 제1 메시천(24)의 외측면에 재봉되어 고정되거나 부착되어 고정되고, 점등, 점멸, 순차적 점멸 등 다양한 형식으로 작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엘이디 램프(40)는 다양한 색상으로 발광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야간이나 우천시, 안개 발생시 시인성이 우수한 색상으로 발광되도록 구성된다.
엘이디 램프(40)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되어 구비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플렉시블한 바 형태의 몸체에 엘이디 칩이 실장된 구조의 엘이디 램프(40)가 적용된다.
한편, 냉방조끼(10)의 앞판 등에는 송풍팬(30)을 온 오프 시키기 위한 스위치가 마련되고, 엘이디 램프(40)를 작동시키기 위한 스위치가 구비된다. 따라서 착용자는 각 스위치를 선택하여 송풍팬(30)을 온/오프 시키거나, 엘이디 램프(40)를 온/오프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냉방조끼(10)의 제1 메시천(24)에 엘이디 램프(40)가 구비됨으로써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이디 램프(40)의 빛이 외피(22) 전체에 비추게 되고,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냉방조끼(10) 착용자의 시인성이 현저하게 향상될 수 있다. 즉, 외피(22)와 제1 메시천(24) 사이에는 외피(22)와 제1 메시천(24)이 이격되어 제1 송풍공간(S1)이 형성되므로 엘이디 램프(40)의 빛이 제1 송풍공간(S1) 전체로 퍼지면서 제1 송풍공간(S1)에 접한 외피(22) 전체에 비춰진다. 따라서 외피(22) 전체가 엘이디 램프(40)의 빛을 난반사하게 되어 야간에 냉방조끼(10)의 시인성은 현저하게 향상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이디 램프(40)의 색상이나 외피(22)의 색상에 따라 시인성을 더욱 더 향상시킬 수도 있다.
이를 위해서 외피(22)는 빛 투과성이 우수한 천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냉방효율이 향상된 냉방조끼(10)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공기가 2개의 송풍팬(50)에 의해 제1 송풍공간(S1)으로 공급되어 채워지면 제1 송풍공간(S1)의 압력은 상승한다. 이어서, 제1 송풍공간(S1)에 채워진 공기는 송풍팬(50)들의 송풍압력으로 제1 메시천(24)의 미세한 통공들을 통과하면서 압력이 낮아지고 온도도 낮아진다. 제1 메시천(24)을 통과한 공기는 다시 제2 송풍공간(S2)에 채워진 후 제2 메시천(26)을 통과하면서 압력과 온도가 낮아진 상태로 제3 송풍공간(S3)로 공급되어 채워진다.
이러한 현상은 전술한 바와 같이 베르누이의 법칙과 줄-톰슨 효과로 설명할 수 있다. 즉, 유체가 넓은 공간에서 좁은 공간을 통과할 때 압력이 낮아지고, 유체가 다공성 소재를 통과할 때 외부와의 열의 이동이 없을 경우에 온도가 변화하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현상에 의해 제1,2 송풍공간(S1,S2)에 채워진 공기가 제1,2 메시천(24,26)을 통과할 때 온도가 낮아질 수 있다.
전술한 과정으로 온도가 낮아진 상태로 제3 송풍공간(S3)으로 유입된 공기는, 제3 송풍공간(S3)을 채운 후 양쪽의 겨드랑이 토출구(D1)와 목덜미 토출구(D2)로 토출된다. 이때, 넓은 공간의 제3 송풍공간(S3)에 채워진 공기는 현저하게 좁아진 겨드랑이 토출구(D1)와 목덜미 토출구(D2)로 토출되면서 다시한번 온도가 낮아지게 된다. 즉, 제1,2 메시천(24,26)을 통과하면서 온도가 낮아진 공기는 최종적으로 겨드랑이 토출구(D1)와 목덜미 토출구(D2)로 토출되면서 다시한 번 온도가 낮아지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송풍팬(30)에 의해 공급되는 외부공기가 제1,2 메시천(24,26)을 통과하면서 온도가 낮아지고, 최종적으로 겨드랑이 토출구(D1)와 목덜미 토출구(D2)로 토출되면서 온도가 더 낮아지게 되므로, 본 발명에 따른 냉방조끼(10)의 착용자에게 현저하게 향상된 냉방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낮아진 온도의 공기가 착용자의 양쪽 겨드랑이와 목덜미로만 토출되므로 착용자는 땀이 많이 차는 양쪽 겨드랑이와 목덜미에서 더욱더 시원함을 느끼게 된다.
그리고, 외피(22)와 내피(28) 사이에 제1,2,3 송풍공간(S1,S2,S3)이 형성되어 외부공기가 채워지면서 공기층을 형성하므로 외부 열기가 착용자의 신체에 전달되지 않게 된다. 즉 각 제1,2,3 송풍공간(S1,S2,S3)이 단열층 역할을 하는 것이다.
또한, 내피(28)는 착용자의 신체에 접촉된 상태이고 제3 송풍공간(S3)으로 유입된 공기의 온도가 낮은 상태를 유지하므로 착용자는 내피(28)에 접촉된 피부에서 시원함을 느낄 수 있다.
한편, 착용자는 본 발명에 따른 냉방조끼(10)를 착용한 후 야간, 우천시, 안개 등이 발생할 경우, 또는 어두운 작업장에서 작업할 경우에 엘이디 램프(40)를 점등시킨다. 이와 같이 엘이디 램프(40)를 점등시키면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이디 램프(40)의 빛이 외피(22) 전체를 투과하면서 외부로 확산(난반사)된다. 특히, 외피(22)의 색상이나 엘이디 램프(40)의 색상에 따라 외피(22) 전체가 발광되는 작용을 하므로 시인성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송풍공간(S1)에 구비된 엘이디 램프(40)의 빛이 외피(22) 전체를 통하여 외부로 비춰짐으로써 냉방조끼(10)를 착용한 착용자의 식별성이 현저하게 향상될 수 있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냉방조끼 20 : 뒷판
22 : 외피 24 : 제1 메시천
26 : 제2 메시천 28 : 내피
30 : 송풍팬 40 : 엘이디 램프
A1 : 겨드랑이 영역 A2 : 목덜미 영역
D1 : 겨드랑이 토출구 D2 : 목덜미 토출구
S1 : 제1 송풍공간 S2 : 제2 송풍공간
S3 : 제3 송풍공간

Claims (4)

  1. 외피와 내피로 이루어진 뒷판과, 좌,우 앞판 및 상기 좌,우 앞판에 마련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냉방조끼로서,
    상기 뒷판의 외피와 내피 사이에는, 80-100 메시의 제1 메시천과 50-70 메시의 제2 메시천이 겹쳐지게 배치되되, 상기 제1 메시천이 상기 외피에 접하고 상기 제2 메시천은 상기 내피에 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외피와 내피는, 바람을 통과시키지 않는 방풍소재의 직물로 이루어지며, 상기 외피는 빛 투과성이 있는 직물로 이루어지며,
    상기 외피와 제1,2 메시천 및 상기 내피 가장자리가 결합되어 내부에 상기 외피와 상기 제1 메시천 사이에는 제1 송풍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메시천과 상기 제2 메시천 사이에는 제2 송풍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제2 메시천과 상기 내피 사이에는 제3 송풍공간이 차례로 형성되고,
    상기 내피의 양쪽 겨드랑이 영역과 목덜미 영역에는, 상기 내피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되는 각각의 절개부에 의해 상기 제3 송풍공간에 채워진 공기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착용자의 양쪽 겨드랑이로 토출되도록 하기 위한 좌,우 토출구 및 목덜미로 토출하기 위한 목덜미 토출구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외피의 좌,우측 하부영역에는 배터리에 의해 작동되어 외부공기를 상기 제1 송풍공간으로 동시에 공급하기 위한 2개의 송풍팬이 마련되고,
    상기 송풍팬에 의해 공급되는 외부공기가 상기 제1 송풍공간에 채워진 후 상기 제1 메시천을 통과하면서 압력이 낮아진 상태로 상기 제2 송풍공간으로 유입되어 채워지고, 상기 제2 송풍공간에 채워진 후 상기 제2 메시천을 통과하여 상기 제3 송풍공간으로 유입되어 채워진 후 상기 좌,우 토출구 및 상기 목덜미 토출구를 통하여 토출되면서 착용자의 양쪽 겨드랑이와 목덜미의 온도를 낮추도록 구성되며,
    상기 내피와 제1,2 메시천의 하부에는,
    상기 제1 송풍공간의 하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개폐용 지퍼가 마련되고,
    상기 외피와 마주보는 상기 제1 메시천의 외측면에는,
    상기 배터리에 의해 작동되어 빛이 상기 외피를 통하여 외부로 비치도록 플렉시블한 바 형태의 몸체에 엘이디 칩이 실장된 구조의 엘이디 램프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방효율이 향상된 냉방조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피에는,
    냉매를 수납할 수 있는 냉매 주머니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방효율이 향상된 냉방조끼.
  3. 삭제
  4. 삭제
KR1020220022319A 2022-02-21 2022-02-21 냉방효율이 향상된 냉방조끼 KR1024540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2319A KR102454048B1 (ko) 2022-02-21 2022-02-21 냉방효율이 향상된 냉방조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2319A KR102454048B1 (ko) 2022-02-21 2022-02-21 냉방효율이 향상된 냉방조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4048B1 true KR102454048B1 (ko) 2022-10-14

Family

ID=83600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2319A KR102454048B1 (ko) 2022-02-21 2022-02-21 냉방효율이 향상된 냉방조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404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7407B1 (ko) * 2023-01-17 2023-05-03 주식회사 사릭 특수복용 에어포켓
KR200496967Y1 (ko) 2022-10-24 2023-06-20 김인철 패션용 조끼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9555Y1 (ko) 2005-04-12 2005-07-14 김재열 냉방 조끼
KR200396190Y1 (ko) 2005-06-22 2005-09-20 디지털파워 (주) 충전식 배터리팩을 이용한 냉풍 조끼
WO2019097596A1 (ja) * 2017-11-15 2019-05-23 有限会社ワーカー 体温上昇抑制手段
KR20200059143A (ko) * 2018-11-20 2020-05-28 가부시키가이샤 데상트 의료
KR20200132374A (ko) * 2019-05-17 2020-11-25 박태욱 냉풍조끼용 냉풍스트랩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9555Y1 (ko) 2005-04-12 2005-07-14 김재열 냉방 조끼
KR200396190Y1 (ko) 2005-06-22 2005-09-20 디지털파워 (주) 충전식 배터리팩을 이용한 냉풍 조끼
WO2019097596A1 (ja) * 2017-11-15 2019-05-23 有限会社ワーカー 体温上昇抑制手段
KR20200059143A (ko) * 2018-11-20 2020-05-28 가부시키가이샤 데상트 의료
KR20200132374A (ko) * 2019-05-17 2020-11-25 박태욱 냉풍조끼용 냉풍스트랩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6967Y1 (ko) 2022-10-24 2023-06-20 김인철 패션용 조끼
KR102527407B1 (ko) * 2023-01-17 2023-05-03 주식회사 사릭 특수복용 에어포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4048B1 (ko) 냉방효율이 향상된 냉방조끼
US11832660B2 (en) Garment having an internal airflow space between inner and outer fabrics and a separate heat insulation material in the internal airflow space
JP3118697U (ja) 冷暖房衣服
JP3213394U (ja) 空調被服及び保水シート装着装置
KR102056913B1 (ko) 냉각장치를 구비한 의류
KR20120077197A (ko) 송풍팬을 구비한 조끼
JP3244984U (ja) 送風機能付き衣服
JP2023175913A (ja) 空調衣服の服本体及び空調衣服
JP7396605B1 (ja) 冷却被服
KR200396191Y1 (ko) 충전식 배터리팩을 이용한 온열냉풍 조끼
JP2020133007A (ja) ファン付き衣服
KR20150001907U (ko) 에어 상의
JP6963802B2 (ja) リュックサック型の人体用送風装置
KR200396190Y1 (ko) 충전식 배터리팩을 이용한 냉풍 조끼
KR20200002398U (ko) 의류용 냉풍 패드
JP7057024B1 (ja) 空調衣服
JP2012140737A (ja) ヘルメット及びチョッキ
JP2018135614A (ja) 人体用送風装置
KR200373004Y1 (ko) 소형 팬이 부착된 의류용 공조장치
WO2021221041A1 (ja) ファン付きウェアのウェア本体及びファン付きウェア
JP7290237B1 (ja) 被服用冷却装置
JP7462366B1 (ja) 送風機能付き衣服
KR20070044893A (ko) 에어거들
KR0114594Y1 (ko) 용접용 의복
CN215531790U (zh) 一种空调服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