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9143A - 의료 - Google Patents

의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9143A
KR20200059143A KR1020190127457A KR20190127457A KR20200059143A KR 20200059143 A KR20200059143 A KR 20200059143A KR 1020190127457 A KR1020190127457 A KR 1020190127457A KR 20190127457 A KR20190127457 A KR 20190127457A KR 20200059143 A KR20200059143 A KR 202000591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ing
air
wearer
medical
exhaust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7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오히로 노다
시게키 사노
고다이 이마하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데상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8217402A external-priority patent/JP682303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9034817A external-priority patent/JP694557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9132814A external-priority patent/JP6970714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데상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데상트
Publication of KR202000591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91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2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 A41D13/002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by means of forced air circ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2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 A41D13/0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with controlled temperature
    • A41D13/0053Cooled 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10Sleeves; Armhol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18Cloth colla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8Means for venti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2Layere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4Air permeable, i.e. capable of being penetrated by gases
    • A41D31/145Air permeable, i.e. capable of being penetrated by gases using layere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200/00Components of garments
    • A41D2200/20Hood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600/0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A41D2600/1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sport activiti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600/0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A41D2600/2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working activi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Abstract

(과제) 착용자가 움직이거나 자세를 바꾸어도 의료 전체를 냉각하면서 슬림한 실루엣도 얻어지는 송풍기가 부착된 의료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겉감(11)과, 겉감(11)보다 착용자의 피부측에 배치되어 있는 안감(12)과, 겉감(11)의 가장자리부(11a)와 안감(12)이 서로 고정 부착되어 있는 제 1 고정 부착부(21)와, 겉감(11)에 부착되어 있으며, 외부의 공기를 겉감(11)과 안감(12) 사이에 도입하는 송풍기(15)와, 안감(12)에 형성되어 있으며, 겉감(11)과 안감(12) 사이의 공기를 착용자측으로 배출하는 복수의 배기구를 갖고 있는 의료(1)로서, 제 1 고정 부착부(21)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위치에 있어서 겉감(11)과 안감(12)이 서로 고정 부착되어 있는 복수의 제 2 고정 부착부(22)가 형성되어 있으며, 복수의 제 2 고정 부착부(22)는 체폭 방향(x)의 일방측(x1)과 타방측(x2) 각각에 있어서 신장 방향(y)으로 이격해서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의료{GARMENT}
본 발명은 겉감과 안감 사이에 공기를 통과시킴으로써 신체의 열을 밖으로 내보낼 수 있는 송풍기가 부착된 의료에 관한 것이다.
열중증 등의 대책으로서 현장 작업시, 운동시, 스포츠 관전시 등에 착용하는 송풍기가 부착된 의복이 개발되어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겉면과 안면 사이 통기 덕트에 해당하는 개소에 개재하여 통기 덕트의 통기 가능 상태를 유지하는 스페이서 수단이 형성되어 있는 의복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공개 2015-212447호 공보
그러나 종래의 송풍기가 부착된 의료는 신체를 구부리거나 비틀거나 하는 등 착용자의 움직임이나 자세에 따라서는 공기의 흐름이 악화되어 부분적으로 냉각할 수 없을 우려가 있거나, 의료 전체가 부풀어서 살이 쪄 보이는 경우가 있었다(제 1 과제). 또한, 종래의 송풍기가 부착된 의료는 부분적으로 냉각할 수 없는 것이나 의료 전체가 부풀어서 살이 쪄 보이는 것 외 착용자의 두부(頭部)나 목을 냉각하기 어렵다는 문제도 있었다(제 2 과제). 또한, 종래의 송풍기가 부착된 의료는 착용자의 신체를 효율적으로 차게 하는 관점으로부터는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제 3 과제).
그래서 본 발명의 제 1 관점은 착용자가 움직이거나 자세를 바꾸어도 의료 전체를 냉각하면서 슬림한 실루엣도 얻어지는 송풍기가 부착된 의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은 착용자의 동체뿐만 아니라 두부나 목도 냉각하면서 슬림한 실루엣도 얻어지는 송풍기가 부착된 의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관점은 착용자의 신체를 효율적으로 차게 할 수 있는 의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제 1 과제를 해결할 수 있었던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의한 의료의 일실시형태는 겉감과, 겉감보다 착용자의 피부측에 배치되어 있는 안감과, 겉감의 가장자리부와 안감이 서로 고정 부착되어 있는 제 1 고정 부착부와, 겉감에 부착되어 있으며, 외부의 공기를 겉감과 안감 사이에 도입하는 송풍기와, 안감에 형성되어 있으며, 겉감과 안감 사이에 공기를 착용자측으로 배출하는 복수의 배기구를 갖고 있는 의료이며, 제 1 고정 부착부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위치에 있어서 겉감과 안감이 서로 고정 부착되어 있는 복수의 제 2 고정 부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복수의 제 2 고정 부착부는 체폭 방향의 일방측과 타방측 각각에 있어서 신장 방향으로 이격해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송풍기가 부착된 의료에 있어서는 공기가 효율 좋게 흐르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에 제 1 고정 부착부 이외의 개소에서는 겉감과 안감이 고정 부착되어 있지 않는 것이 본래 바람직하다. 그러나 착용자의 자세는 직립 부동일 때뿐만 아니라 신체를 구부리거나 비틀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의한 의료에 의하면 상기 배치에서 제 2 고정 부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 겉감과 안감 사이의 공기의 흐름을 적당하게 분기시킬 수 있기 때문에 송풍기로부터 공기는 복수의 루트를 통해 배기구로부터 배출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착용자가 신체를 구부리거나 비틀거나 하는 등 자세를 바꾸어도 공기의 흐름을 막지 않고 유지할 수 있어 의료 전체를 냉각할 수 있다. 또한, 제 2 고정 부착부가 복수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의료의 부풂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슬림한 실루엣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의한 의료에 있어서 제 2 고정 부착부가 체폭 방향의 일방측과 타방측 각각에 있어서 적어도 3개씩 배치되어 있으며, 체폭 방향의 일방측과 타방측 각각에 있어서 이웃하는 제 2 고정 부착부 사이의 신장 방향의 거리는 공기의 흐름 방향의 하류측일수록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하류측에서의 공기의 흐름 방향을 제어하기 쉬워져서 의료 전체를 적합하게 냉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의한 의료에 있어서 제 2 고정 부착부는 띠 형상 또는 선 형상으로 형성되고, 신장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고정 부착부를 이러한 형상으로 함으로써 공기의 흐름 방향의 제어나 의료의 실루엣의 조정이 행하기 쉬워진다. 또한, 제 2 고정 부착부를 이러한 방향으로 연장함으로써 공기를 신장 방향을 따라서 흐르기 쉽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공기의 유속이 높아져서 높은 냉각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의한 의료는 제 2 고정 부착부에 있어서 겉감과 안감 사이에 한쪽 주면과, 한쪽 주면과 반대측의 다른 쪽 주면을 갖는 속감이 배치되어 있으며, 속감의 한쪽 주면의 한쪽 단부가 겉감의 이면측 면에 부착되어 있으며, 속감의 한쪽 주면의 다른 쪽 단부가 안감의 표면측 면에 부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속감을 배치함으로써 제 2 고정 부착부에 있어서의 공기의 흐름 저항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공기의 흐름 방향을 제어하기 쉬워진다.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의한 의료에 있어서 속감의 다른 쪽 주면은 공기의 흐름 방향의 하류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속감을 배치함으로써 송풍기로부터의 공기 저항을 작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의한 의료에 있어서 의료는 앞길과 뒷길을 갖는 상의이며, 송풍기는 뒷길에 부착되어 있으며, 복수의 제 2 고정 부착부는 앞길의 체폭 방향의 일방측과 타방측과, 뒷길의 체폭 방향의 일방측과 타방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송풍기를 의료를 착용했을 때에 방해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하면서 제 2 고정 부착부에 의해 앞길과 뒷길의 양쪽에서 공기의 흐름 방향이 제어되기 때문에 의료 전체를 효율 좋게 냉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의한 의료는 겉감과, 상기 겉감보다 착용자의 피부측에 배치되어 있는 안감을 갖고 착용자의 두부 및 목을 덮는 후드가 부착되어 있는 상의이며, 제 2 고정 부착부는 후드의 체폭 방향의 일방측과 타방측에 각각 배치되어있으며, 후드의 안감에 배기구가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착용자의 얼굴 주위나 두부에 바람을 보낼 수 있기 때문에 신체 전체를 효율 좋게 냉각할 수 있다.
상기 제 2 과제를 해결할 수 있었던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의한 의료의 일실시형태는 겉감과, 상기 겉감보다 착용자의 피부측에 배치되어 있는 안감과, 겉감의 가장자리부와 안감을 서로 고정 부착하고 있는 제 1 고정 부착부와, 제 1 고정 부착부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위치에 있어서 겉감과 안감을 서로 고정 부착하고 있는 제 2 고정 부착부와, 겉감에 부착되어 있으며, 외부의 공기를 겉감과 안감 사이에 있는 제 1 공간에 도입하는 송풍기와, 안감에 형성되어 있으며, 제 1 공간의 공기를 착용자측으로 배출하는 제 1 배기구와, 스탠드 칼라부와, 상기 스탠드 칼라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스탠드 칼라부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제 2 공간의 공기를 배출하는 제 2 배기구를 갖고 있으며, 제 1 공간과 제 2 공간은 서로 연통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의한 의료에 의하면 제 2 고정 부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 제 1 공간의 공기의 흐름을 적당하게 분기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슬림한 실루엣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송풍기로부터의 제 1 공간에 도입된 공기가 제 1 배기구로부터 배출됨으로써 착용자의 적어도 동체를 냉각할 수 있다. 또한, 제 1 공간과 제 2 공간이 서로 연통하고 있음으로써 제 1 공간으로부터 제 2 공간으로 공기가 이동하고, 이 공기가 스탠드 칼라부에 형성되어 있는 제 2 배기구로부터 배출됨으로써 착용자의 두부나 목을 냉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의한 의료에 있어서 스탠드 칼라부는 제 1 공간으로부터 제 2 공간으로 흐르는 공기의 양을 증감시키는 조절부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착용자의 기호에 맞춰 제 2 배기구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의한 의료에 있어서 스탠드 칼라부를 착용자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 전방측 스탠드 칼라부와 후방측 스탠드 칼라부로 이등 분할했을 때에 후방측 스탠드 칼라부의 신장 방향의 상단이 전방측 스탠드 칼라부의 신장 방향의 상단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후방측 스탠드 칼라부를 전방측 스탠드 칼라부 보다 높게 형성함으로써 제 2 배기구로부터의 공기를 후두부를 향해 배출하기 쉬워진다. 또한, 착용자가 모자를 쓰고 있을 경우에는 착용자의 머리와 모자의 간극에 공기를 보내기 쉬워진다.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의한 의료에 있어서 제 2 배기구는 스탠드 칼라부에 있어서의 신장 방향의 상단보다 하방이며, 스탠드 칼라부의 피부측면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이 제 2 배기구를 형성함으로써 스탠드 칼라부를 부풀게 했을 때에 제 2 배기구가 신장 방향의 상단에 위치하기 쉬워진다. 이 때문에 제 2 배기구로부터의 공기가 신장 방향의 상방으로 배출되기 쉬워져 착용자의 두부나 목을 냉각하기 쉬워진다.
상기 제 3 과제를 해결할 수 있었던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의한 의료의 일실시형태는 겉감과, 겉감보다 착용자의 피부측에 배치되어 있는 안감과, 겉감의 가장자리부와 안감이 서로 고정 부착되어 있는 제 1 고정 부착부와, 겉감에 부착되어 있으며, 외부의 공기를 겉감과 안감 사이에 도입하는 송풍기를 갖는 상의를 구비한 의료이며, 상의에는 길이 방향과 폭 방향을 갖고, 길이 방향이 암홀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서 배치되어 있는 띠 형상 직물이며, 폭 방향의 일방측이 겉감에 접속되어 있으며, 폭 방향의 타방측이 안감에 접속되어 있는 띠 형상 직물이 형성되어 있으며, 띠 형상 직물에는 겉감과 안감 사이의 공기를 착용자측으로 배출하는 복수의 제 3 배기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의한 의료에 의하면 상의의 암홀을 따라 배치되어 있는 띠 형상 직물에 복수의 제 3 배기구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땀을 흘리기 쉬운 착용자의 겨드랑이를 향해서 공기를 배출하거나, 또는 열이 머무르기 쉬운 소매 내에 공기를 흐르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착용자의 신체를 효율 좋게 차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의한 의료에 있어서 띠 형상 직물 중 겉감과 접속되어 있는 부분의 길이는 안감과 접속되어 있는 부분의 길이보다 긴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신장 방향에 있어서 암홀을 상측 영역과 하측 영역으로 이등 분할했을 때에 하측 영역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띠 형상 직물의 폭 방향이 착용자의 체폭 방향을 따라 쓰러지도록 배치되기 쉬워져서 착용자의 겨드랑이측을 향해서 공기가 배출되기 쉬워진다. 또한, 상측 영역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띠 형상 직물의 폭 방향이 착용자의 신장 방향을 따라 일어서도록 배치되기 쉬워져서 소맷부리측을 향해서 공기가 배출되기 쉬워진다.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의한 의료는 신장 방향에 있어서 암홀을 상측 영역과 하측 영역으로 이등 분할했을 때에 띠 형상 직물은 하측 영역에만 배치되어 있으며, 하측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제 3 배기구로부터 착용자의 겨드랑이측을 향해 공기가 배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땀을 흘리기 쉬운 착용자의 겨드랑이에 중점적으로 공기를 배출할 수 있기 때문에 착용자의 신체를 효율 좋게 차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의한 의료는 신장 방향에 있어서 암홀을 상측 영역과 하측 영역으로 이등 분할했을 때에 띠 형상 직물은 상측 영역에만 배치되어 있으며, 상측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제 3 배기구로부터 소맷부리측을 향해서 공기가 배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열이 머무르기 쉬운 소매 내에 공기를 흐르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착용자의 신체를 효율 좋게 차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의한 의료에 있어서 띠 형상 직물은 암홀의 전체 둘레에 걸쳐 환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신장 방향에 있어서 암홀을 상측 영역과 하측 영역으로 이등 분할했을 때에 상측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제 3 배기구로부터 소맷부리측을 향해 공기가 배출되고, 하측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제 3 배기구로부터 착용자의 겨드랑이측을 향해 공기가 배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땀을 흘리기 쉬운 착용자의 겨드랑이에 중점적으로 공기를 배출하면서 열이 머무르기 쉬운 소매 내에 공기를 흐르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착용자의 신체를 효율 좋게 차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의한 의료에 있어서 띠 형상 직물은 띠 형상 직물의 어깨 정상부를 중앙에 포함하는 전체 길이의 4분의 1의 길이 부분(A)이 평면 전개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80° 이상 140° 이하 만곡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띠 형상 직물을 형성함으로써 띠 형상 직물 중 부분(A)의 폭 방향이 착용자의 신장 방향을 따라 일어서도록 배치되기 쉬워지기 때문에 소맷부리측을 향해서 공기를 배출하기 쉬워진다.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의한 의료에 있어서 띠 형상 직물은 띠 형상 직물의 어깨 정상부의 반대측을 중앙에 넣는 전체 길이의 4분의 1의 길이 부분(B)이 평면 전개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10° 이상 80° 이하 만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띠 형상 직물을 형성함으로써 띠 형상 직물 중 부분(B)의 폭 방향이 착용자의 체폭 방향을 따라 쓰러지도록 배치되기 쉽기 때문에 착용자의 겨드랑이측을 향해서 공기가 배출되기 쉬워진다.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의한 의료에 있어서 상기 부분(A)에 배치되어 있는 제 3 배기구로부터의 배기 방향을 나타내는 단위 벡터(a)는 상기 부분(B)에 배치되어 있는 제 3 배기구로부터의 배기 방향을 나타내는 단위 벡터(b)보다 체폭 방향의 외방을 향하는 성분이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 3 배기구를 배치함으로써 땀을 흘리기 쉬운 착용자의 겨드랑이에 중점적으로 공기를 배출하면서 열이 머무르기 쉬운 소매 내에 공기를 흐르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착용자의 신체를 효율 좋게 차게 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의한 의료는 상기 배치에서 제 2 고정 부착부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겉감과 안감 사이의 공기의 흐름을 적당하게 분기시킬 수 있기 때문에 송풍기로부터의 공기는 복수의 루트를 통해 배기구로부터 배출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착용자가 신체를 구부리거나 비틀거나 하는 등 자세를 바꾸어도 공기의 흐름을 막지 않고 유지할 수 있어 의료 전체를 냉각할 수 있다. 또한, 제 2 고정 부착부가 복수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의료의 부풂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슬림한 실루엣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의한 의료에 의하면 제 2 고정 부착부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제 1 공간의 공기의 흐름을 적당하게 분기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슬림한 실루엣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송풍기로부터의 제 1 공간에 도입된 공기가 제 1 배기구로부터 배출됨으로써 착용자의 적어도 동체를 냉각할 수 있다. 또한, 제 1 공간과 제 2 공간이 서로 연통하고 있음으로써 제 1 공간으로부터 제 2 공간으로 공기가 이동하고, 이 공기가 스탠드 칼라부에 형성되어 있는 제 2 배기구로부터 배출됨으로써 착용자의 두부나 목을 냉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의한 의료는 상의의 암홀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는 띠 형상 직물에 복수의 제 3 배기구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땀을 흘리기 쉬운 착용자의 겨드랑이를 향해서 공기를 배출하거나 또는 열이 머무르기 쉬운 소매 내에 공기를 흐르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착용자의 신체를 효율 좋게 차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의한 의료의 앞길을 표면측으로부터 본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앞길을 이면측으로부터 본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의료의 뒷길을 표면측으로부터 본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낸 의료의 뒷길을 이면측으로부터 본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도 3의 V-V선을 따른 단면도를 나타내고, 제 2 고정 부착부의 고정 부착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낸 제 2 고정 부착부의 고정 부착 상태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관점의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의료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8은 도 7에 나타낸 의료의 배면도를 나타낸다.
도 9는 도 7에 나타낸 의료에 형성되어 있는 후드를 표면측으로부터 본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10은 도 7에 나타낸 의료에 형성되어 있는 후드를 이면측으로부터 본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의한 의료의 정면도를 나타내고, 잠금쇠를 결합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2는 도 11에 나타낸 의료의 배면도를 나타낸다.
도 13은 도 11에 나타낸 의료의 잠금쇠의 결합을 해제하고, 의료를 표면측으로부터 본 도면을 나타낸다.
도 14는 도 11에 나타낸 의료의 잠금쇠의 결합을 해제하고, 의료를 이면측으로부터 본 도면을 나타낸다.
도 15는 도 11의 XV-XV 단면도를 나타내고, 제 1 공간과 제 2 공간의 연통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의한 의료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17은 도 16에 나타낸 의료의 배면도를 나타낸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의한 의료의 일실시형태의 확대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9는 도 18에 나타낸 띠 형상 직물의 평면 전개도를 나타낸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의한 의료의 다른 실시형태의 확대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1은 도 20에 나타낸 띠 형상 직물의 평면 전개도를 나타낸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의한 의료의 또 다른 실시형태의 확대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3은 도 22에 나타낸 띠 형상 직물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24는 도 22에 나타낸 띠 형상 직물의 부분(A)의 평면 전개도를 나타낸다.
도 25는 도 22에 나타낸 띠 형상 직물의 부분(B)의 평면 전개도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의료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물론 도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하기 취지에 적합할 수 있는 범위에서 적당히 변경을 추가하여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며, 그들은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의료는 몸에 착용하는 것이며, 코트·재킷·점퍼 등의 상의, 바지·스커트 등의 하의, 원피스·오버올 등의 상의와 하의가 일체화된 점프슈트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의의 소매는, 예를 들면 긴 소매나 7부 소매와 같이 팔꿈치보다 손목측에 소맷부리가 있는 것이어도 좋고, 예를 들면 반소매나 소매가 없는 노슬리브와 같이 팔꿈치보다 어깨측에 소맷부리가 있는 것이어도 좋고, 5부 소매와 같이 팔꿈치의 위치에 소맷부리가 있는 것이어도 좋다. 본 발명의 의료는 방서용, 스포츠용, 아웃도어용으로서 적합하게 사용된다. 의료는 지퍼, 면 패스너, 스냅 단추 등의 잠금쇠에 의해 좌측 앞길와 우측 앞길의 결합 해제가 행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의료의 이면측이란 의료를 착용했을 때의 착용자의 피부를 향하는 측을 의미하고, 의료의 표면측이란 의료를 착용했을 때의 착용자와는 반대측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체폭 방향이란 착용자의 좌우 방향을 의미하고, 신장 방향이란 착용자의 신장 방향으로서 상하 방향을 의미한다.
(제 1 관점에 의한 의료)
도 1~도 4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의한 의료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도 2는 각각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의한 의료(1)의 앞길(3)을 표면측과 이면측으로부터 본 정면도를 나타내고, 도 3~도 4는 각각 도 1에 나타낸 의료(1)의 뒷길(4)을 표면측과 이면측으로부터 본 정면도를 나타낸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체폭 방향(x)의 일방측(x1)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우측 앞길(3R), 타방측(x2)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좌측 앞길(3L)이다. 도 1~도 4에서는 의료(1)가 소매가 없는 베스트인 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지만, 의료의 실시형태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소매가 부착된 것이어도 좋다. 소매부는 안감이 없고, 겉감 1장으로 구성되는 것이어도 좋다.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의한 의료(1)는 겉감(11)과, 안감(12)과, 제 1 고정 부착부(21)와, 송풍기(15)와, 복수의 배기구(16)와, 복수의 제 2 고정 부착부(22)를 갖고 있다.
겉감(11)은 의료(1)의 표면측에 배치되어 있는 천이며, 안감(12)은 겉감(11)보다 착용자의 피부측에 배치되어 있는 생지이다. 겉감(11)과 안감(12)은 각각 1장의 천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고, 복수의 천을 적층함으로써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배기구(16)와는 별도로 안감(12)으로부터 착용자측으로 공기를 배출함으로써 냉각 효과를 한층 높이기 위해 안감(12)은 겉감(11)보다 높은 통기성을 갖고 있어도 좋다.
겉감(11)이나 안감(12)을 구성하는 천의 재료는 의료(1)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직물(직포, 편물, 부직포 등), 수지가 적층되어 있는 직물, 수지 필름, 이들을 조합한 재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직물을 구성하는 섬유로서는, 예를 들면 면·비단 등의 천연 섬유, 폴리에스테르·폴리에틸렌·나일론 등의 합성 섬유를 들 수 있다. 천끼리는 봉합, 접착제에 의한 접착, 열 융착, 초음파 융착 등에 의해 접합할 수 있다.
겉감은 안감에 비해 통기도(프레이저 통기도: JIS L 1096)가 낮은 천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에 따라, 겉감으로부터 외부로 공기가 빠지는 것에 기인하는 공기의 도입 효율이 떨어질 일이 없고, 또한 안감으로부터 전체적으로 신체에 공기를 부여할 수 있다. 겉감의 통기도는 낮을수록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프레이저 통기도를 제로(측정 한계 이하)로 할 수 있다.
제 1 고정 부착부(21)에서는 겉감(11)의 가장자리부(11a)와 안감(12)이 서로 고정 부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겉감(11)의 가장자리부(11a)가 안감(12)에 고정 부착되어 있음으로써 겉감(11)과 안감(12) 사이에 공기를 통과시키는 유로의 베이스가 되는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 고정 부착부(21)를 형성함으로써 의료(1)에 포켓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겉감(11)의 가장자리부(11a)는 겉감(11)의 가장자리로부터 5㎝ 이내의 범위이며, 바람직하게는 3㎝ 이내, 더 바람직하게는 1㎝ 이내의 범위이다.
제 1 고정 부착부(21)에 있어서 겉감(11)의 가장자리부(11a)와 안감(12)의 가장자리부가 서로 고정 부착되어 있어도 좋다. 도 1~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고정 부착부(21)에 있어서 겉감(11)의 둘레 가장자리부와 안감(12)의 둘레 가장자리부가 서로 고정 부착되어 있어도 좋다. 제 1 고정 부착부(21)의 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복수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송풍기(15)는 겉감(11)에 부착되어 있으며, 외부의 공기를 겉감(11)과 안감(12) 사이에 도입한다. 복수의 배기구(16)는 안감(12)에 형성되어 있으며, 겉감(11)과 안감(12) 사이의 공기를 착용자측으로 배출한다. 배기구(16)는 안감(12)의 표면측으로부터 이면측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겉감(11)과 안감(12) 사이에 도입된 공기가 배기구(16)로부터 배출됨으로써, 예를 들면 땀이 증발할 때의 기화열을 이용해서 신체의 열을 내보낼 수 있다.
송풍기(15)는 의료(1)를 착용했을 때에 방해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면 좋다. 예를 들면, 의료(1)가 상의(2)일 경우, 송풍기(15)는 앞길(3)과 뒷길(4)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뒷길(4)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송풍기(15)는 신장 방향(y)에 있어서 견갑골보다 하방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착용자의 허리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또한 소매에는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송풍기(15)의 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신체 전체를 효율 좋게 냉각하기 위해서 송풍기(15)는 체폭 방향(x)의 일방측(x1)과 타방측(x2)에 각각 부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뒷길(4)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부착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송풍기(15)는 체폭 방향(x)으로 이격해서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의한 의료(1)에 있어서 체폭 방향(x)의 일방측(x1)과 타방측(x2)은 각각 체폭 방향(x)의 중앙선(C)의 우측과 좌측을 의미한다.
배기구(16)는 겉감(11)과 안감(12) 사이의 공기를 착용자측으로 배출하기 위해서 안감(12)에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배기구(16)는 겉감(11)에는 형성되어 있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송풍기(15)로부터 겉감(11)과 안감(12) 사이에 도입된 공기가 배기구(16)로부터 배출됨으로써 착용자의 적어도 동체를 냉각할 수 있다. 배기구(16)는 안감(12)의 표면측으로부터 이면측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배기구(16)는 땀을 흘리기 쉬운 곳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두부, 목, 겨드랑이, 가슴, 좌우의 견갑골 사이, 무릎의 뒤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배기구(16)는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배기구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원형상, 타원형상, 다각형상,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할 수 있다. 복수의 배기구의 형상은 동일해도 좋고, 서로 상이해도 좋다. 도 2 및 도 4에서는 배기구(16)가 앞길(3) 및 뒷길(4)의 겨드랑이에 대응하는 위치, 뒷길(4)의 좌우의 견갑골 사이에 대응하는 위치(특히, 도 4에서는 체폭 방향(x)의 중앙선(C)에 겹치는 위치), 앞길(3)의 흉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배기구(16)의 개구 면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1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0㎟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또한 3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8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50㎟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배기구(16)가 원형일 경우, 배기구(16)의 직경은 5㎜ 이상, 바람직하게는 7㎜ 이상으로 할 수 있으며, 20㎜ 이하, 바람직하게는 15㎜의 범위로 해도 좋다.
배기구(16)의 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신체 전체를 효율 좋게 냉각하기 위해서 배기구(16)는 체폭 방향(x)의 일방측(x1)과 타방측(x2)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뒷길(4)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복수의 배기구(16)는 체폭 방향(x)의 일방측(x1)과 타방측(x2)에 각각에 있어서 신장 방향(y)으로 이격해서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배기구(16)가 체폭 방향(x)의 일방측(x1)과 타방측(x2) 각각에 있어서 적어도 2개씩 배치되어 있으며, 체폭 방향(x)의 일방측(x1)과 타방측(x2) 각각에 있어서 배기구(16)의 개구 면적은 공기의 흐름 방향의 하류측일수록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공기의 흐름 방향의 하류측에서 공기를 적극적으로 배출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공기의 유속이 높아져 의료(1)를 재빠르게 냉각할 수 있다.
신장 방향(y)에 있어서 의료(1)를 상측(y1)과 하측(y2)으로 이등 분할했을 때에 상측(y1)에 복수의 배기구(16)가 배치되어 있으며, 하측(y2)에 송풍기(15)가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송풍기(15)를 의료(1)를 착용했을 때에 방해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하면서 신장 방향(y)의 하방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공기를 흐르게 함으로써 의료(1) 전체를 효율 좋게 냉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의한 의료(1)에서는 제 1 고정 부착부(21)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위치에 있어서 겉감(11)과 안감(12)이 서로 고정 부착되어 있는 복수의 제 2 고정 부착부(22)가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제 2 고정 부착부(22)는 체폭 방향(x)의 일방측(x1)과 타방측(x2) 각각에 있어서 신장 방향(y)으로 이격해서 배치되어 있다. 상기 배치에서 제 2 고정 부착부(22)가 형성되어 있으므로써 겉감(11)과 안감(12) 사이의 공기의 흐름을 적당하게 분기시킬 수 있기 때문에 송풍기(15)로부터의 공기는 복수의 루트를 통해 배기구(16)로부터 배출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착용자가 신체를 구부리거나 비틀거나 하는 등 자세를 바꾸어도 공기의 흐름을 막지 않고 유지할 수 있으며, 의료(1) 전체를 냉각할 수 있다. 또한, 제 2 고정 부착부(22)가 복수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의료(1)의 부풂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슬림한 실루엣을 얻을 수 있다.
공기 유통성의 향상의 관점으로부터 제 1 고정 부착부(21)와 제 2 고정 부착부(22)의 이격 거리는 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3㎝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의료(1)의 부풂 억제의 관점으로부터 제 1 고정 부착부(21)와 제 2 고정 부착부(22)의 이격 거리는 3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5㎝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0㎝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제 2 고정 부착부(22)는 제 1 고정 부착부(21)보다 체폭 방향(x)의 내방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특히 부풀기 쉬운 위치에서의 팽창 억제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제 2 고정 부착부(22)의 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제 2 고정 부착부(22)는 체폭 방향(x)의 일방측(x1)과 타방측(x2) 각각에 있어서 적어도 3개씩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적어도 4개씩 배치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제 2 고정 부착부(22)의 체폭 방향(x)의 일방측(x1)과 타방측(x2) 각각에 있어서 제 2 고정 부착부(22)는 15개 이하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12개 이하 배치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겉감(11)과 안감(12) 사이의 공기의 흐름을 보다 다수로 분기시킬 수 있게 된다.
의료(1)는 앞길(3)과 뒷길(4)을 갖는 상의(2)이며, 송풍기(15)는 뒷길(4)에 부착되어 있으며, 복수의 제 2 고정 부착부(22)는 앞길(3)의 체폭 방향(x)의 일방측(x1)과 타방측(x2)과, 뒷길(4)의 체폭 방향(x)의 일방측(x1)과 타방측(x2)에 각각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송풍기(15)를 의료(1)를 착용했을 때 에 방해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하면서 제 2 고정 부착부(22)에 의해 앞길(3)과 뒷길(4)의 양쪽에서 공기의 흐름 방향이 제어되기 때문에 의료(1) 전체를 효율 좋게 냉각할 수 있다.
복수의 제 2 고정 부착부(22)는 체폭 방향(x)의 일방측(x1)과 타방측(x2) 각각에 있어서 체폭 방향(x)으로도 이격해서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공기의 흐름을 보다 다수로 분기시킬 수 있다.
제 2 고정 부착부(22)가 체폭 방향(x)의 일방측(x1)과 타방측(x2) 각각에 있어서 적어도 3개씩 배치되어 있으며, 체폭 방향(x)의 일방측(x1)과 타방측(x2) 각각에 있어서 이웃하는 제 2 고정 부착부(22) 사이의 신장 방향(y)의 거리는 공기의 흐름 방향의 하류측일수록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하류측에서의 공기의 흐름 방향을 제어하기 쉬워져서 의료(1) 전체를 적합하게 냉각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이웃하는 제 2 고정 부착부(22) 사이의 신장 방향(y)의 거리는 신장 방향(y)에 있어서 상측에 위치하는 제 2 고정 부착부(22)의 하방단과, 하측에 위치하는 제 2 고정 부착부(22)의 상방단의 최단 거리를 의미한다.
하나의 제 2 고정 부착부(22)가 체폭 방향(x)으로 이웃하는 다른 제 2 고정 부착부(22)와의 거리는 하나의 제 2 고정 부착부(22)가 신장 방향(y)으로 이웃하는 또 다른 제 2 고정 부착부(22)와의 거리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공기를 체폭 방향(x)보다 신장 방향(y)으로 우선적으로 흐르기 쉽게 할 수 있다. 여기에서, 하나의 제 2 고정 부착부(22)가 체폭 방향(x)으로 이웃하는 다른 제 2 고정 부착부(22)와의 거리(즉, 체폭 방향(x)에 있어서 이웃하는 제 2 고정 부착부(22) 사이의 거리)는 체폭 방향(x)에 있어서 좌측에 위치하는 제 2 고정 부착부(22)의 우방단과, 우측에 위치하는 제 2 고정 부착부(22)의 좌방단의 최단 거리를 의미한다.
이웃하는 제 2 고정 부착부(22) 사이의 체폭 방향(x)의 거리는 신장 방향(y)에 있어서 일정해도 좋다. 이에 따라, 공기의 흐름 방향을 제어하기 쉬워져 의료(1)의 대량 생산에도 적합하다.
이웃하는 제 2 고정 부착부(22) 사이의 체폭 방향(x)의 거리는 공기의 흐름 방향의 하류측일수록 작아져 있어도 좋다. 이에 따라, 하류측에서의 공기의 흐름 방향을 제어하기 쉬워져 의료(1) 전체를 적합하게 냉각할 수 있다.
제 2 고정 부착부(22)는 의료(1)의 신장 방향(y)의 전체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신장 방향(y)의 일부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도 1~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고정 부착부(22)는 신장 방향(y)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공기를 신장 방향(y)을 따라서 흐르기 쉽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공기의 유속이 높아져서 의료(1)를 재빠르게 냉각할 수 있다. 또한, 제 2 고정 부착부(22)는 체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좋다.
제 2 고정 부착부(22)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제 2 고정 부착부(22)는 띠 형상 또는 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고정 부착부(22)를 이러한 형상으로 함으로써 공기의 흐름 방향의 제어나 의료(1)의 실루엣의 조정이 행하기 쉬워진다. 또한, 제 2 고정 부착부(22)는 연속적 또는 단속적인 띠 형상 또는 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제 2 고정 부착부(22)는 띠 형상 또는 선 형상으로 형성되고, 신장 방향(y)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고정 부착부(22)를 이러한 형상으로 함으로써 공기의 흐름 방향의 제어나 의료의 실루엣의 조정이 행하기 쉬워진다. 또한, 제 2 고정 부착부(22)를 이러한 방향으로 연장함으로써 공기를 신장 방향(y)을 따라 흐르기 쉽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공기의 유속이 높아져서 높은 냉각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복수의 제 2 고정 부착부(22)의 길이나 폭은 동일해도 좋고, 서로 상이해도 좋다. 제 1 고정 부착부(21)와 제 2 고정 부착부(22)가 각각 띠 형상 또는 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을 경우, 모든 제 2 고정 부착부(22)의 합계 길이가 모든 제 1 고정 부착부(21)의 합계 길이보다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공기의 흐름을 저하시키지 않는 정도로 적당하게 분기시킬 수 있기 때문에 공기가 의료(1) 전체에 널리 퍼지기 쉬워져서 의료(1) 전체를 냉각할 수 있다.
복수의 제 2 고정 부착부(22)의 폭은 동일해도 좋고, 상이해도 좋다. 제 2 고정 부착부(22)의 폭은, 예를 들면 0.5㎜ 이상, 1㎜ 이상, 3㎜ 이상, 또는 20㎜ 이하, 15㎜ 이하, 10㎜ 이하로 할 수 있다. 제 2 고정 부착부(22)의 폭을 이러한 범위로 설정함으로써 적당하게 공기의 흐름을 확보하면서 의료(1)의 부풂을 억제할 수 있다.
제 2 고정 부착부(22)는 좌우 대칭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의료(1)의 좌우 균등하게 냉각 효과가 얻어짐과 아울러, 의료(1)의 찌그러지는 팽창을 억제할 수 있다.
송풍기(15)는 체폭 방향(x)의 일방측(x1)과 타방측(x2)에 각각 부착되어 있으며, 체폭 방향(x)에 있어서 제 2 고정 부착부(22)는 2개의 송풍기(15)의 내방단보다 내방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송풍기(15)로부터의 공기를 스무드하게 제 2 고정 부착부(22)로 유도하면서 체폭 방향(x)의 내방측의 부풂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슬림한 실루엣을 얻을 수 있다. 마찬가지의 이유로부터, 체폭 방향(x)의 일방측(x1)과 타방측(x2) 각각에 있어서 추가로 체폭 방향(x)을 내방측과 외방측으로 이등 분할했을 때의 내방측에 제 2 고정 부착부(22)가 배치되어 있으며, 외방측에 송풍기(15)가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신장 방향(y)에 있어서 송풍기(15)의 중심부는 가장 하방측에 배치되어 있는 제 2 고정 부착부(22)의 상방단보다 상방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게 실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송풍기(15)로부터의 공기는 가장 하방측에 나란히 배치되어 있는 2개의 제 2 고정 부착부(22) 사이를 상방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통과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공기가 상하 여러 방향으로 흐르기 쉬워져서 의료(1) 전체에 널리 퍼지기 쉬워진다.
신장 방향(y)에 있어서 송풍기(15)의 중심부는 가장 하방측에 배치되어 있는 제 2 고정 부착부(22)의 하방단보다 상방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송풍기(15)로부터의 공기는 가장 하방측에 나란히 배치되어 있는 2개의 제 2 고정 부착부(22) 사이를 통과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공기가 여러 방향으로 흐르기 쉬워져서 의료(1) 전체에 널리 퍼지기 쉬워진다.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신장 방향(y)에 있어서 송풍기(15)의 중심부는 가장 하방측에 배치되어 있는 제 2 고정 부착부(22)의 하방단보다 하방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에 따라, 송풍기(15)로부터의 공기는 체폭 방향(x)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는 2개의 제 2 고정 부착부(22) 사이를 통과하여, 신장 방향(y)을 따라 흐르기 쉬워진다.
체폭 방향(x)의 일방측(x1)과 타방측(x2) 각각에 있어서 체폭 방향(x)으로 배열되어 있는 하나의 제 2 고정 부착부(22)와 다른 제 2 고정 부착부(22) 사이에 복수의 배기구(16)가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체폭 방향(x)으로 배열되어 있는 제 2 고정 부착부(22) 사이에 유도된 공기를 효율 좋게 배기구(16)로부터 배출할 수 있기 때문에 의료(1)의 냉각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배기구(16)의 위치는 물론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도 4에 나타내어져 있는 바와 같이 등부 또는 겨드랑이부에 있어도 좋다.
신장 방향(y)에 있어서 가장 상방에 배치되어 있는 배기구(16)의 상방단은 가장 상방에 배치되어 있는 제 2 고정 부착부(22)의 상방단보다 하방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신장 방향(y)에 있어서 가장 하방에 배치되어 있는 배기구(16)의 하방단은 가장 하방에 배치되어 있는 제 2 고정 부착부(22)의 하방단보다 상방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제 2 고정 부착부(22)에서 공기의 흐름 방향을 제어하면서 공기를 효율 좋게 배기구(16)로부터 배출할 수 있다.
도 5는 도 3에 나타낸 V-V선을 따른 단면도를 나타내고, 제 2 고정 부착부(22)에 있어서의 고정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5에서는 겉감(11)과 안감(12)이 적층되어 있는 방향을 z라고 나타내고 있다. 제 2 고정 부착부(22)에 있어서 겉감(11)과 안감(12)은 봉합, 접착제의 도포, 가열 밀봉이나 열 음파 융착 등의 열 융착, 압정 고정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고정 부착할 수 있다. 또한, 제 1 고정 부착부(21)도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고정 부착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겉감(11)과 안감(12)이 접착제(14)에 의해 접착되어 있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의료(1)의 부풂을 억제하기 위해서 제 2 고정 부착부(22)는 겉감(11)의 이면측 면과 안감(12)의 표면측 면이 서로 접촉해 있어도 좋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내는 단면도의 변형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고정 부착부(22)에 있어서 겉감(11)과 안감(12) 사이에 한쪽 주면(13A)과, 상기 한쪽 주면(13A)과 반대측의 다른 쪽 주면(13B)을 갖는 속감(13)이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그 경우, 속감(13)의 한쪽 주면(13A)의 한쪽 단부가 겉감(11)의 이면측 면에 부착되어 있으며, 속감(13)의 한쪽 주면(13A)의 다른 쪽 단부가 안감(12)의 표면측 면에 부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속감(13)을 배치함으로써 제 2 고정 부착부(22)에 있어서의 공기의 흐름 저항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공기의 흐름 방향을 제어하기 쉬워진다.
속감(13)을 구성하는 재료로서는 겉감(11)이나 안감(12)을 구성하는 재료와 마찬가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제 2 고정 부착부(22)에 있어서의 공기의 흐름 저항을 낮게 하기 위해서는 속감(13)은 겉감(11)과 안감(12)보다 높은 통기성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속감(13)은 메시 천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제 2 고정 부착부(22)에 있어서도 공기가 흐르기 쉬워지기 때문에 의료(1) 전체의 냉각 효과를 보다 한층 높일 수 있다.
제 2 고정 부착부(22)에 있어서의 공기의 흐름 저항을 높게 하기 위해서는 속감(13)은 겉감(11)과 안감(12)보다 낮은 통기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속감(13)의 다른 쪽 주면(13B)은 공기의 흐름 방향의 하류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속감(13)을 배치함으로써 송풍기(15)로부터의 공기 저항을 작게 할 수 있다.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속감(13)의 한쪽 주면(13A)이 공기의 흐름 방향의 하류측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이 속감(13)을 배치함으로써 송풍기(15)로부터 공기 저항을 크게 할 수 있다.
겉감(11) 및 속감(13)과, 안감(12) 및 속감(13)은 봉합, 접착제의 도포, 가열 밀봉이나 열 음파 융착 등의 열 융착, 압정 고정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고정 부착할 수 있다. 겉감(11) 및 속감(13)의 고정 부착 방법과, 안감(12) 및 속감(13)의 고정 부착 방법은 동일해도 좋고, 상이해도 좋다.
이어서, 도 1~도 6에 나타낸 의료와는 상이한 실시형태의 의료에 대해서 도 7~도 10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도 7~도 10의 설명에 있어서 상기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관점의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의료(1)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8은 도 7에 나타낸 의료(1)의 배면도를 내고있다. 도 9 및 도 10에 각각 도 7에 나타낸 후드(5)를 표면측 또는 이면측으로부터 본 측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의료(1)는 겉감(11)과, 겉감(11)보다 착용자의 피부측에 배치되어 있는 안감(12)을 갖고, 착용자의 두부 및 목을 덮는 후드(5)가 부착되어 있는 상의(2)이며, 제 2 고정 부착부(22)는 후드(5)의 체폭 방향(x)의 일방측(x1)과 타방측(x2)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후드(5)의 안감(12)에 배기구(16)가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착용자의 두부나 목에 바람을 보낼 수 있기 때문에 신체를 효율 좋게 냉각할 수 있다. 겉감(11)은 안감(12)에 비해 통기도(프레이저 통기도: JIS L 1096)가 낮은 천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에 따라, 겉감(11)으로부터 외부로 공기가 빠지는 것에 기인하는 공기의 도입 효율이 떨어질 일이 없고, 또한 안감(12)으로부터 전체적으로 두부에 공기를 부여할 수 있다.
후드(5)의 좌측 두측부와 우측 두측부의 안감(12)에 각각 복수의 배기구(16)가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착용자의 얼굴 주위나 두부에 추가로 바람을 보낼 수 있기 때문에 신체 전체를 효율 좋게 냉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의한 의료(1)에 있어서 후드(5)의 두측부는 착용자의 두부의 측부를 덮는 부분이며, 예를 들면 볼, 귀, 측두골, 접형골, 측두근을 덮는다. 착용자의 좌측의 두측부를 덮는 부분이 좌측 두측부, 우측의 두측부를 덮는 부분이 우측 두측부이다. 도 9~도 10에서는 좌측 두측부로부터 본 후드(5)의 측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드(5)의 후두부에도 배기구(16)(보다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배기구(16))가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착용자의 두부에도 바람을 보낼 수 있다. 또한, 후드(5)의 후두부는 두부의 후방측이나 목의 후방측을 덮는 부분이며, 예를 들면 후두골, 두정골의 후방측 반분, 후두근, 승모근의 목 부분을 덮는다.
(제 2 관점에 의한 의료)
도 11~도 15를 사용하여 제 2 관점에 의한 의료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의한 의료(101)의 정면도를 나타내고, 잠금쇠(104)를 결합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2는 도 11에 나타낸 의료(101)의 배면도를 나타낸다. 도 13, 도 14는 각각 도 11에 나타낸 의료(101)의 잠금쇠(104)의 결합을 해제해서 의료(101)의 표면측 또는 이면측으로부터 본 도면을 나타낸다. 도 15는 도 11의 XV-XV 단면도를 나타내고, 제 1 공간(115)과 제 2 공간(116)의 연통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를 나타낸다. 도 11~도 14에 있어서 의료(101)는 상의(102)이며, 착용자가 팔을 통과하기 위한 개구부(105)를 갖고 있다. 도 11~도 14에서는 의료(101)가 소매를 갖고 있지 않는 베스트인 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지만, 의료(101)의 실시형태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소매가 부착된 것이어도 좋다. 소매는 안감(107)이 없고, 겉감(106) 1장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의한 의료(101)의 일실시형태는 겉감(106)과, 상기 겉감(106)보다 착용자의 피부측에 배치되어 있는 안감(107)과, 겉감(106)의 가장자리부(106a)와 안감(107)을 서로 고정 부착하고 있는 제 1 고정 부착부(121)와, 제 1 고정 부착부(121)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위치에 있어서 겉감(106)과 안감(107)을 서로 고정 부착하고 있는 제 2 고정 부착부(122)와, 겉감(106)에 부착되어 있으며, 외부의 공기를 겉감(106)과 안감(107) 사이에 있는 제 1 공간(115)에 도입하는 송풍기(110)와, 안감(107)에 형성되어 있으며, 제 1 공간(115)의 공기를 착용자측으로 배출하는 제 1 배기구(111)와, 스탠드 칼라부(103)와, 상기 스탠드 칼라부(103)에 형성되어 있으며, 스탠드 칼라부(103)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제 2 공간(116)의 공기를 배출하는 제 2 배기구(112)를 갖고 있으며, 제 1 공간(115)과 제 2 공간(116)은 서로 연통하고 있다. 제 2 고정 부착부(122)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제 1 공간(115)의 공기의 흐름을 적당하게 분기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슬림한 실루엣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송풍기(110)로부터 제 1 공간(115)에 도입된 공기가 제 1 배기구(111)로부터 배출됨으로써 착용자의 적어도 동체를 냉각할 수 있다. 또한, 제 1 공간(115)과 제 2 공간(116)이 서로 연통하고 있음으로써 제 1 공간(115)으로부터 제 2 공간(116)으로 공기가 이동하고, 이 공기가 스탠드 칼라부(103)로 형성되어 있는 제 2 배기구(112)로부터 배출됨으로써 착용자의 두부나 목을 냉각할 수 있다.
겉감(106), 안감(107)의 설명은 제 1 관점에 의한 의료(101)의 겉감(11), 안감(12)의 설명을 각각 참조할 수 있다.
제 1 고정 부착부(121)는 겉감(106)의 가장자리부(106a)와 안감(107)을 서로 고정 부착하고 있는 부분이다. 제 1 고정 부착부(121)에 의해 겉감(106)과 안감(107) 사이에 공기를 통과시키는 유로인 제 1 공간(115)의 베이스가 되는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 고정 부착부(121)를 형성함으로써 의료(101)에 포켓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겉감(106)의 가장자리부(106a)는 겉감(106)의 가장자리로부터 5㎝ 이내의 범위이며, 바람직하게는 3㎝ 이내, 더 바람직하게는 1㎝ 이내의 범위이다. 그 외 제 1 고정 부착부(121)의 구성은 제 1 관점에 의한 의료(1)의 제 1 고정 부착부(21)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제 2 고정 부착부(122)는 제 1 고정 부착부(121)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위치에 있어서 겉감(106)과 안감(107)을 서로 고정 부착하고 있는 부분이다. 제 2 고정 부착부(122)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제 1 공간(115)의 공기의 흐름을 적당하게 분기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슬림한 실루엣을 얻을 수 있다.
제 2 고정 부착부(122)는 복수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에 따라, 의료(101)의 부풂을 보다 한층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슬림한 실루엣이 얻기 쉬워진다. 그 외 제 2 고정 부착부(122)의 구성은 제 1 관점에 의한 의료(1)의 제 2 고정 부착부(22)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송풍기(110)는 외부의 공기를 겉감(106)과 안감(107) 사이에 있는 제 1 공간(115)에 도입한다. 송풍기(110)는 의료(101)를 착용했을 때에 방해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면 좋다. 예를 들면, 의료(101)가 상의(102)의 경우, 송풍기(110)는 앞길과 뒷길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뒷길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송풍기(110)는 신장 방향(y)에 있어서 견갑골보다 하방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착용자의 허리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또한 소매에는 형성되어 있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의한 의료(101)에 있어서 체폭 방향(x)의 일방측(x1)과 타방측(x2)은 각각 의료(101)에 배치되어 있는 잠금쇠(104)를 결합한 상태에서의 체폭 방향(x)의 중앙선(C)의 우측과 좌측을 의미한다.
제 1 배기구(111)는 안감(107)에 형성되어 있으며, 제 1 공간(115)의 공기를 착용자측으로 배출한다. 이 때문에 제 1 배기구(111)는 겉감(106)에는 형성되어 있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송풍기(110)로부터 제 1 공간(115)에 도입된 공기가 제 1 배기구(111)로부터 배출됨으로써 착용자의 적어도 동체를 냉각할 수 있다. 제 1 배기구(111)는 안감(107)의 표면측으로부터 이면측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제 1 배기구(111)는 땀을 흘리기 쉬운 곳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착용자의 겨드랑이, 가슴, 좌우의 견갑골 사이 또는 무릎 뒤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4에서는 제 1 배기구(111)가 앞길 및 뒷길의 겨드랑이에 대응하는 위치, 뒷길의 좌우의 견갑골 사이에 대응하는 위치(특히 도 14에서는 체폭 방향(x)의 중앙선(C)에 겹치는 위치), 앞길의 흉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그 외 제 1 배기구(111)의 구성에 대해서는 제 1 관점에 의한 의료(1)의 배기구(16)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스탠드 칼라부(103)는 되접지 않고 신장 방향(y)으로 연장되어 서도록 형성되어 있는 옷깃 부분이며, 착용자의 목 둘레에 배치되어 있다. 스탠드 칼라부(103)의 내부에는 제 2 공간(116)이 형성되어 있다.
스탠드 칼라부(103)는 착용자 전방측으로부터 후방측을 향해서 높게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착용자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 높이가 일정해도 좋다.
스탠드 칼라부(103)는 띠 형상의 스탠드 칼라용 직물(108)을 사용해서 다음과 같이 형성할 수 있다. 띠 형상의 스탠드 칼라용 직물(108)을 폭 방향의 대략 중앙에서 되접고, 하나의 짧은 변에 있어서 대향하는 단 가장자리끼리, 다른 짧은 변에 있어서 대향하는 단 가장자리끼리를 각각 접합하여 주머니상으로 형성한다. 또는 2장의 띠 형상의 스탠드 칼라용 직물(108)을 적층하고, 하나의 긴 변에 있어서 대향하는 단 가장자리끼리, 하나의 짧은 변에 있어서 대향하는 단 가장자리끼리, 다른 짧은 변에 있어서 대향하는 단 가장자리끼리 각각 접합하여 주머니상으로 형성한다. 주머니상의 스탠드 칼라용 직물(108)의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이 제 2 공간(116)에 상당한다. 그리고 주머니상으로 형성된 스탠드 칼라용 직물(108) 중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하나의 개구 단 가장자리를 상의(102)의 겉감(106)에, 상기 하나의 개구 단 가장자리와 대향하고 있는 다른 개구 단 가장자리를 상의(102)의 안감(107)에 접합함으로써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공간(115)과 제 2 공간(116)을 연통시킬 수 있다.
스탠드 칼라용 직물(108)로서는 겉감(106) 또는 안감(107)과 마찬자기의 천을 사용할 수 있으며, 1장의 천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고, 복수의 천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제 2 배기구(112)는 스탠드 칼라부(103)로 형성되어 있으며, 스탠드 칼라부(103)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제 2 공간(116)의 공기를 배출한다.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공간(115)과 제 2 공간(116)이 서로 연통하고 있음으로써 제 1 공간(115)으로부터 제 2 공간(116)으로 공기가 이동하고, 이 공기가 제 2 배기구(112)로부터 배출됨으로써 착용자의 두부나 목을 냉각할 수 있다.
스탠드 칼라부(103)는 착용자의 피부측면과, 상기 피부측면과 반대측의 외측면을 갖고 있다. 그 경우, 제 2 배기구(112)는 스탠드 칼라부(103)의 피부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제 2 배기구(112)로부터의 공기를 착용자를 향해서 배출하기 쉬워진다.
제 2 배기구(112)의 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1개 또는 복수 개로 할 수 있다. 복수의 제 2 배기구(112)는 목 둘레를 따라 서로 이격해서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제 2 배기구(112)는 신장 방향(y)으로 서로 이격해서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제 2 배기구(112)는 체폭 방향(x)의 일방측(x1)과 타방측(x2)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 2 배기구(112)를 복수 배치함으로써 착용자의 두부나 목의 냉각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제 2 배기구(112)는 착용자의 두부 또는 목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배기구(112)는 후두부, 측두부 또는 목덜미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도 11에서는 제 2 배기구(112)가 목덜미에 대응하는 위치에 3개 형성되어 있다.
제 2 배기구(112)는 공기를 착용자의 두부 방향으로 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착용자의 두부나 목을 냉각하기 쉬워진다.
착용자의 전후 방향으로 이격해서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제 2 배기구(112)는 전방측에 위치하는 제 2 배기구(112)보다 후방측에 위치하는 제 2 배기구(112)가 신장 방향(y)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복수의 제 2 배기구(112)는 착용자의 전후 방향의 후방측일수록 신장 방향(y)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착용자의 전방측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 2 배기구(112)로부터는 전방측이나 횡측을 향해서 공기를 배출하기 쉬워지고, 착용자의 후방측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 2 배기구(112)로부터는 두부 방향으로 공기를 배출하기 쉬워진다.
복수의 제 2 배기구(112)가 착용자의 전후 방향으로 이격해서 배치되어 있을 경우, 후방측에 위치하는 제 2 배기구(112)의 중심으로부터 스탠드 칼라부(103)의 상단까지의 신장 방향(y)의 거리는 전방측에 위치하는 제 2 배기구(112)의 중심으로부터 스탠드 칼라부(103)의 상단까지의 신장 방향(y)의 거리보다 긴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2 배기구(112)의 중심으로부터 스탠드 칼라부(103)의 상단까지의 신장 방향(y)의 거리는 착용자의 전후 방향의 후방측일수록 긴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전방측에 위치하는 제 2 배기구(112)와 스탠드 칼라부(103)의 상단까지의 신장 방향(y)의 거리를 짧게 함으로써 착용자가 하측이나 횡측을 향하도록 목을 구부려도 스탠드 칼라부(103)가 방해되기 어려워진다. 또한, 후방측에 위치하는 제 2 배기구(112)와 스탠드 칼라부(103)의 상단까지의 신장 방향(y)의 거리를 길게함으로써 제 2 배기구(112)로부터의 공기를 후두부를 향해서 배출하기 쉬워진다. 또한, 착용자가 모자나 헬멧을 쓰고 있을 경우에는 착용자의 머리와 모자나 헬멧의 간극에 공기를 보내기 쉬워진다.
제 2 배기구(112)는 스탠드 칼라부(103)를 착용자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 전방측 스탠드 칼라부(103A)와 후방측 스탠드 칼라부(103B)로 이등 분할했을 때에 전방측 스탠드 칼라부(103A)와 후방측 스탠드 칼라부(103B)에 각각 배치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착용자의 두부나 목의 냉각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전방측 스탠드 칼라부(103A)에 형성되어 있는 제 2 배기구(112)와 후방측 스탠드 칼라부(103B)에 형성되어 있는 제 2 배기구(112)의 수는 동일해도 서로 상이해도 좋다.
제 2 배기구(112)는 후방측 스탠드 칼라부(103B)이며, 체폭 방향(x)의 중심선(C)과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에 따라, 제 2 배기구(112)로부터의 공기를 착용자의 후두부 방향으로 배출하기 쉬워진다.
제 2 배기구(112)는 공기를 착용자의 귀부 방향으로 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귀부에는 다수의 모세혈관이 지나가고 있기 때문에 귀부를 냉각함으로써 착용자는 시원함을 느끼기 쉬워진다.
제 2 배기구(112)는 스탠드 칼라부(103)에 있어서의 신장 방향(y)의 상단부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제 2 배기구(112)로부터의 공기가 신장 방향(y)의 상방으로 배출되기 쉬워지기 때문에 착용자의 두부나 목을 냉각하기 쉬워진다. 또한, 스탠드 칼라부(103)에 있어서의 신장 방향(y)의 상단부는 스탠드 칼라부(103)에 있어서의 신장 방향(y)의 상단으로부터 2㎝ 이내의 범위이며, 바람직하게는 1.5㎝ 이내, 더 바람직하게는 1㎝ 이내의 범위이다.
제 2 배기구(112)는 스탠드 칼라부(103)에 있어서의 신장 방향(y)의 상단보다 하방이며, 스탠드 칼라부(103)의 피부측면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이 제 2 배기구(112)를 형성함으로써 스탠드 칼라부(103)를 부풀게 했을 때에 제 2 배기구(112)가 신장 방향(y)의 상단에 위치하기 쉬워진다. 이 때문에 제 2 배기구(112)로부터의 공기가 신장 방향(y)의 상방으로 배출되기 쉬워져서 착용자의 두부나 목을 냉각하기 쉬워진다.
제 2 배기구(112)는 스탠드 칼라부(103)에 있어서의 신장 방향(y)의 하단부이며, 스탠드 칼라부(103)의 피부측면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에 따라, 제 2 배기구(112)로부터의 공기가 착용자의 목의 조인트 방향으로 배출되기 쉬워진다. 또한, 스탠드 칼라부(103)에 있어서의 신장 방향(y)의 하단부는 스탠드 칼라부(103)에 있어서의 신장 방향(y)의 하단으로부터 2㎝ 이내의 범위이며, 바람직하게는 1.5㎝ 이내, 더 바람직하게는 1㎝ 이내의 범위이다.
스탠드 칼라부(103)를 착용자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 전방측 스탠드 칼라부(103A)와 후방측 스탠드 칼라부(103B)로 이등 분할했을 때에 후방측 스탠드 칼라부(103B)의 신장 방향(y)의 상단이 전방측 스탠드 칼라부(103A)의 신장 방향(y)의 상단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후방측 스탠드 칼라부(103B)를 전방측 스탠드 칼라부(103A)보다 높게 형성함으로써 제 2 배기구(112)로부터의 공기를 후두부를 향해서 배출하기 쉬워진다. 또한, 착용자가 모자나 헬멧을 쓰고 있을 경우에는 착용자의 머리와 모자나 헬멧의 간극에 공기를 보내기 쉬워진다.
스탠드 칼라부(103)는 제 1 공간(115)으로부터 제 2 공간(116)으로 흐르는 공기의 양을 증감시키는 조절부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착용자의 기호에 맞춰 제 2 배기구(112)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조절부는 제 2 공간(116)의 입구를 넓게 또는 좁게 할 수 있는 구성을 갖고 있으면 좋고, 예를 들면 제 2 공간(116)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고 있는 스탠드 칼라용 직물(108)의 일방측과 타방측을 부분적으로 접합 또는 해제하기 위한 면 패스너, 선 패스너, 스냅 단추 등의 체결구를 들 수 있다. 체결구의 결합 또는 해제에 의해 제 2 공간(116)의 입구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체결구는 목 둘레를 따라 연장되어 배치되어 있거나 또는 복수의 체결구가 목 둘레를 따라 이격해서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절부는 스탠드 칼라부(103)에 배치되어 있는 끈이어도 좋다. 예를 들면, 끈은 일부가 스탠드 칼라부(103)의 내부에 삽입 통과되고, 타부가 스탠드 칼라부(103)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끈의 적어도 한쪽 단부와 다른 쪽 단부가 스탠드 칼라부(103)의 외측으로 노출되고, 끈의 중도부가 스탠드 칼라부(103)의 내부에 삽입 통과된다. 끈은 목 둘레를 따라 연장되어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끈을 묶거나 또는 풀어서 스탠드 칼라부(103)의 내부에 삽입 통과되어 있는 끈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제 2 공간(116)의 입구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끈의 구성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섬유, 금속 또는 플라스틱이어도 좋다.
제 1 배기구(111) 또는 제 2 배기구(112)는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어도 좋고, 좌우 비대칭으로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제 1 배기구(111) 또는 제 2 배기구(112)의 개구 면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1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0㎟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또한 3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80㎟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50㎟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제 1 배기구(111) 또는 제 2 배기구(112)가 원형일 경우 그 직경은 5㎜ 이상, 바람직하게는 7㎜ 이상으로 할 수 있으며 20㎜ 이하, 바람직하게는 15㎜ 이하의 범위로 해도 좋다.
(제 3 관점에 의한 의료)
도 16~도 17을 사용해서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의한 의료의 구성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6~도 17은 각각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의한 의료(201)의 정면도와 배면도를 나타낸다. 또한, 도 16에 있어서 체폭 방향(x)의 일방측(x1)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우측 앞길(203R), 타방측(x2)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좌측 앞길(203L)이다. 도 17에서는 의료(201)의 뒷길(204)이 나타내어져 있다. 도 16~도 17에서는 의료(201)가 소매가 없이 스탠드 칼라(207)를 갖는 상의(202)(베스트)인 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지만, 의료의 형태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소매가 부착된 것이어도 좋고, 또한 옷깃이 없어도 좋고, 추가로 별도의 형태의 옷깃이나 후드를 갖고 있어도 좋다. 소매가 부착된 경우, 소매는 안감이 없고, 겉감 1장으로 구성되는 것이어도 좋다. 의료(201)는 겉감(211)과, 안감(212)과, 제 1 고정 부착부(221)와, 송풍기(215)를 구비한 상의(202)이며, 상의(202)에는 띠 형상 직물(213)이 형성되어 있으며, 띠 형상 직물(213)에는 복수의 제 3 배기구(21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6~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고정 부착부(221)에 있어서 겉감(211)의 가장자리부(211a)와 안감(212)의 가장자리부가 서로 고정 부착되어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의한 의료(201)의 일실시형태는 겉감(211)과, 겉감(211)보다 착용자의 피부측에 배치되어 있는 안감(212)과, 겉감(211)의 가장자리부(211a)와 안감(212)이 서로 고정 부착되어 있는 제 1 고정 부착부(221)와, 겉감(211)에 부착되어 있으며, 외부의 공기를 겉감과 안감 사이에 도입하는 송풍기(215)를 갖는 상의(202)를 구비한 의료(201)이며, 상의(202)에는 길이 방향(p)과 폭 방향(q)을 갖고, 길이 방향(p)이 암홀(202A)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배치되어 있는 띠 형상 직물(213)이며, 폭 방향(q)의 일방측이 겉감(211)에 접속되어 있으며, 폭 방향(q)의 타방측이 안감(212)에 접속되어 있는 띠 형상 직물(213)이 배치되어 있으며, 띠 형상 직물(213)에는 겉감(211)과 안감(212) 사이의 공기를 착용자측으로 배출하는 복수의 제 3 배기구(216)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의한 의료(201)에 의하면 상의(202)의 암홀(202A)을 따라 배치되어 있는 띠 형상 직물(213)에 복수의 제 3 배기구(216)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땀을 흘리기 쉬운 착용자의 겨드랑이를 향해서 공기를 배출하거나 또는 열이 머무르기 쉬운 소매 내에 공기를 흐르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착용자의 신체를 효율 좋게 차게 할 수 있다.
겉감(211), 안감(212), 송풍기(215), 제 1 고정 부착부(221)의 설명은 제 1 관점에 의한 의료(1)의 겉감(11), 안감(12), 송풍기(15), 제 1 고정 부착부(21)의 설명을 각각 참조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의한 의료(201)의 일실시형태에 있어서 좌측 앞길(203L)을 확대한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19는 도 18에 나타낸 띠 형상 직물(213)의 평면 전개도를 나타낸다. 도 18에서는 의료(201)가 소매(206)가 없는 상의(202)(베스트)인 예를 나타내고 있다. 띠 형상 직물(213)은 길이 방향(p)과, 길이 방향(p)과 수직인 폭 방향(q)을 갖는 직물이며, 암홀(202A)의 둘레에 제 3 배기구(216)를 배치하기 위해서 형성되어 있다. 띠 형상 직물(213)은 그 길이 방향(p)이 암홀(202A)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배치되어 있다. 또한, 띠 형상 직물(213)은 그 폭 방향(q)의 일방측(213Ba)이 겉감에 접속되어 있으며, 폭 방향(q)의 타방측(213Bb)이 안감(212)에 접속되어 있다. 길이 방향(p) 및 폭 방향(q)의 쌍방과 수직인 방향이 띠 형상 직물(213)의 두께 방향이다. 또한, 도 18에서는 좌측 앞길(203L)의 암홀(202A)에 띠 형상 직물(213)이 형성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냈지만, 우측 앞길의 암홀에도 마찬가지로 띠 형상 직물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3 배기구(216)의 형상이나 개구 면적에 대해서는 제 1 관점에 의한 의료(1)의 배기구(16)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띠 형상 직물(213)은 복수의 천이 길이 방향(p) 또는 폭 방향(q)에 접속됨으로써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띠 형상 직물(213)은 1개 또는 복수 개의 천이 두께 방향으로 적층됨으로써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띠 형상 직물(213)은 폭 방향(q)의 길이(즉, 폭)가 길이 방향(p)의 길이보다 짧은 것이면 좋고, 그 길이는 제 3 배기구(216)의 형상이나 개구 면적에 따라 설정할 수 있다. 띠 형상 직물(213)의 폭은 길이 방향(p)에 있어서 일정해도 좋고, 길이 방향(p)의 장소에 따라 상이해도 좋다. 띠 형상 직물(213)은 길이 방향(p)의 일부가 직선상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좋고, 또한 길이 방향(p)의 적어도 일부가 만곡해 있어도 좋고, 길이 방향(p)의 전체가 만곡하고 있어도 좋다.
띠 형상 직물(213)에는 복수의 제 3 배기구(216)가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제 3 배기구(216)는 띠 형상 직물(213)의 길이 방향(p)으로 이격해서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꾸어 말하면, 복수의 제 3 배기구(216)는 암홀(202A)의 둘레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웃하는 제 3 배기구(216)끼리의 이격 거리는 일정해도, 변화되어 있어도 좋다. 예를 들면, 띠 형상 직물(213)에 적어도 3개의 제 3 배기구(216)가 길이 방향(p)으로 이격해서 배치되어 있을 경우 이들을 제 3-1 배기구, 제 3-2 배기구, 제 3-3 배기구라고 하면 제 3-1 배기구와 제 3-2 배기구의 이격 거리는 제 3-2 배기구와 제 3-3 배기구의 이격 거리와 동일해도 좋고, 서로 상이해도 좋다.
1개의 암홀(202A)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제 3 배기구(216)는 띠 형상 직물(213)의 어깨 정상부(213C)를 통과하고, 또한 신장 방향(y)에 평행한 직선에 대해서 선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착용자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 밸런스 좋게 신체를 냉각할 수 있다.
띠 형상 직물(213)은 제 3 배기구(216)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의 폭이 제 3 배기구(216)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띠 형상 직물(213)에 제 3 배기구(216)를 형성하기 쉬워진다.
띠 형상 직물(213) 구성하는 천의 재료로서는 겉감이나 안감을 구성하는 천의 재료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제 3 배기구(216)와는 별도로 착용자측으로 공기를 배출함으로써 냉각 효과를 한층 높이기 위해서 띠 형상 직물(213)은 안감과 동 정도의 통기성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겉감보다 높은 통기성을 갖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띠 형상 직물(213)과 겉감(211) 또는 띠 형상 직물(213)과 안감(212)은 봉합, 접착제에 의한 접착, 열 융착, 초음파 융착 등에 의해 접합할 수 있다.
띠 형상 직물(213) 중 겉감(211)과 접속되어 있는 부분의 길이는 안감(212)과 접속되어 있는 부분의 길이보다 긴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신장 방향(y)에 있어서 암홀(202A)을 상측 영역(202Aa)과 하측 영역(202Ab)으로 이등 분할했을 때에 하측 영역(202Ab)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띠 형상 직물(213)의 폭 방향(q)이 착용자의 체폭 방향(x)을 따라 쓰러지도록 배치되기 쉬워져 착용자의 겨드랑이측을 향해서 공기가 배출되기 쉬워진다. 또한, 상측 영역(202Aa)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띠 형상 직물(213)의 폭 방향(q)이 착용자의 신장 방향(y)을 따라 일어서도록 배치되기 쉬워져 소맷부리(206A)측을 향해서 공기가 배출되기 쉬워진다.
띠 형상 직물(213) 중 겉감(211)과 접속되어 있는 부분의 길이는 안감(212)과 접속되어 있는 부분의 길이의 1.01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05배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7배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또한 2배 이하, 1.5배 이하, 1.3배 이하, 또는 1.25배 이하로 하는 것도 허용된다.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신장 방향(y)에 있어서 암홀(202A)을 상측 영역(202Aa)과 하측 영역(202Ab)으로 이등 분할했을 때에 띠 형상 직물(213)은 하측 영역(202Ab)에만 배치되어 있으며, 하측 영역(202Ab)에 배치되어 있는 제 3 배기구(216)로부터 착용자의 겨드랑이측을 향해서 공기가 배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땀을 흘리기 쉬운 착용자의 겨드랑이에 중점적으로 공기를 배출할 수 있기 때문에 착용자의 신체를 효율 좋게 차게 할 수 있다.
제 3 배기구(216)로부터 착용자의 겨드랑이측을 향해서 공기를 배출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는 암홀(202A)의 신장 방향(y)의 하단부에 있어서 띠 형상 직물(213)의 두께 방향과 신장 방향(y)이 이루는 각도가 45° 이내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30° 이내의 범위에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 이내의 범위에 있는 것이 더 바람직하고, 띠 형상 직물(213)의 두께 방향과 신장 방향(y)이 평행한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띠 형상 직물(213)이 암홀(202A)의 하측 영역(202Ab)에만 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측 영역(202Aa)에만 배치될 경우,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띠 형상 직물(213)의 길이 방향(p)의 적어도 한쪽 단부가 그 한쪽 단(213Aa)측을 향해서 폭 좁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띠 형상 직물(213)의 길이 방향(p)의 한쪽 단부가 그 한쪽 단(213Aa)측을 향해서 폭 좁게 형성되어 있으며, 다른 쪽 단부가 그 다른 쪽 단(213Ab)측을 향해서 폭 좁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암홀(202A)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겉감(211)과 안감(212) 사이에 띠 형상 직물(213)이 존재하고 있는 부분으로부터 존재하고 있지 않는 부분으로 스위칭되는 부분에 있어서 겉감(211)과 안감(212)을 스무드하게 접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의한 의료(201)의 다른 실시형태의 좌측 앞길(203L) 및 소매(206) 부분을 확대한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21은 도 20에 나타낸 띠 형상 직물(213)의 평면 전개도를 나타낸다. 도 20에서는 의료(201)가 긴 소매를 갖는 상의(202)인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신장 방향(y)에 있어서 암홀(202A)을 상측 영역(202Aa)과 하측 영역(202Ab)으로 이등 분할했을 때에 띠 형상 직물(213)은 상측 영역(202Aa)에만 배치되어 있으며, 상측 영역(202Aa)에 배치되어 있는 제 3 배기구(216)로부터 소맷부리(206A)측을 향해서 공기가 배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열이 머무르기 쉬운 소매(206) 내에 공기를 흐르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착용자의 신체를 효율 좋게 차게 할 수 있다.
제 3 배기구(216)로부터 착용자의 소맷부리(206A)측을 향해 공기를 배출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 암홀(202A)의 신장 방향(y)의 상단부(띠 형상 직물(213)의 어깨 정상부(213C))에 있어서 띠 형상 직물(213)의 두께 방향과 체폭 방향(x)이 이루는 각도가 45° 이내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30° 이내의 범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 이내의 범위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띠 형상 직물(213)의 두께 방향과 체폭 방향(x)이 평행한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의한 의료(201)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좌측 앞길(203L) 및 소매(206) 부분을 확대한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2에서는 의료(201)가 긴 소매를 갖는 상의(202)인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띠 형상 직물(213)은 암홀(202A)의 전체 둘레에 걸쳐 환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신장 방향(y)에 있어서 암홀(202A)을 상측 영역(202Aa)과 하측 영역(202Ab)으로 이등 분할했을 때에 상측 영역(202Aa)에 배치되어 있는 제 3 배기구(216)로부터 소맷부리(206A)측을 향해서 공기가 배출되고, 하측 영역(202Ab)에 배치되어 있는 제 3 배기구(216)로부터 착용자의 겨드랑이측을 향해서 공기가 배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땀을 흘리기 쉬운 착용자의 겨드랑이에 중점적으로 공기를 배출하면서 열이 머무르기 쉬운 소매(206) 내에 공기를 흐르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착용자의 신체를 효율 좋게 차게 할 수 있다.
띠 형상 직물(213)이 암홀(202A)의 전체 둘레에 걸쳐 환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을 경우, 상측 영역(202Aa)에 배치되어 있는 제 3 배기구(216)의 수와 하측 영역(202Ab)에 배치되어 있는 제 3 배기구(216)의 수는 동일해도 좋고, 서로 상이해도 좋다. 의료(201) 내의 풍량을 확보하는 관점으로부터는 상측 영역(202Aa)에 배치되어 있는 제 3 배기구(216)의 수를 하측 영역(202Ab)에 배치되어 있는 제 3 배기구(216)의 수보다 많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겨드랑이측을 중점적으로 냉각하는 관점으로부터는 하측 영역(202Ab)에 배치되어 있는 제 3 배기구(216)의 수를 상측 영역(202Aa)에 배치되어 있는 제 3 배기구(216)의 수보다 많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측 영역(202Aa)에 배치되어 있는 제 3 배기구(216)와 하측 영역(202Ab)에 배치되어 있는 제 3 배기구(216)의 개구 면적은 동일해도 좋고, 서로 상이해도 좋다.
도 23은 도 22에 나타낸 띠 형상 직물(213)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23에서는 띠 형상 직물(213)이 암홀(202A)의 전체 둘레에 걸쳐 환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기 때문에 띠 형상 직물(213) 중 암홀(202A)의 상측 영역(202Aa)에 배치되어 있는 부분이 지면 수직 방향을 향하도록, 암홀(202A)의 하측 영역(202Ab)에 배치되어 있는 부분이 지면의 상방향을 향하도록, 입체적으로 나타내어져 있다.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체적 형상을 갖는 띠 형상 직물(213)의 전체 길이를 띠 형상 직물(213)의 폭 방향(q)과 평행한 직선(L1)에 의해 사등 분할해서 재단하고, 4개의 파트(부분)로 나눈다. 또한, 띠 형상 직물(213)을 4개의 파트로 분할할 때에는 띠 형상 직물(213)의 어깨 정상부(213C)에 4개의 파트 중 1개의 파트의 길이 방향(p)의 중앙이 위치하도록 4개의 직선(L1)을 배치한다. 분할해서 재단된 파트 중 띠 형상 직물(213)의 어깨 정상부(213C)를 중앙에 포함하는 부분을 부분 A, 어깨 정상부(213C)와 반대측(213D)을 중앙에 포함하는 부분을 부분 B라고 칭한다. 도 24, 도 25는 각각 분할해서 재단된 부분(A) 및 부분(B)을 상방으로부터 눌러서 편평 형상으로 했을 때의 평면 전개도이다.
띠 형상 직물(213)의 부분(A)의 만곡 각도(θ1)를 이하와 같이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띠 형상 직물(213)은 띠 형상 직물(213)의 어깨 정상부(213C)를 중앙에 포함하는 전체 길이의 4분의 1의 길이 부분(A)이 평면 전개시에 있어서 80° 이상 만곡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90° 이상 만곡하고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0° 이상 만곡하고 있는 것이 더 바람직하고, 또한 140° 이하 만곡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130° 이하 만곡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20° 이하 만곡하고 있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띠 형상 직물(213)의 만곡 각도(θ1)를 설정함으로써 띠 형상 직물(213) 중 부분(A)의 폭 방향(q)이 착용자의 신장 방향(y)을 따라 일어서도록 배치되기 쉬워지기 때문에 소맷부리(206A)측을 향해서 공기를 배출하기 쉬워진다.
또한, 띠 형상 직물(213)의 부분(B)의 만곡 각도(θ2)를 이하와 같이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띠 형상 직물(213)은 띠 형상 직물(213)의 어깨 정상부(213C)의 반대측을 중앙에 포함하는 전체 길이의 4분의 1의 길이 부분(B)이 평면 전개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10° 이상 만곡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20° 이상 만곡하고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0° 이상 만곡하고 있는 것이 더 바람직하고, 또한 80° 이하 만곡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70° 이하 만곡하고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60° 이하 만곡하고 있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띠 형상 직물(213) 중 부분(B)의 폭 방향(q)이 착용자의 체폭 방향(x)을 따라 쓰러지도록 배치되기 쉬워지기 때문에 착용자의 겨드랑이측을 향해서 공기가 배출되기 쉬워진다.
또한, 도 24~도 25에 있어서 띠 형상 직물(213)의 만곡 각도(θ1, θ2)는 직선(L2)과 직선(L3)이 이루는 각도에 의해 나타낼 수 있다. 직선(L2)은 띠 형상 직물(213)의 부분(A) 또는 부분(B)의 길이 방향(p)의 한쪽 단의 위치에 있어서의 폭 방향(q)의 중심점(213E)과 띠 형상 직물(213)이 가장 만곡하고 있는 위치에 있어서의 폭 방향(q)의 중심점(213G)을 연결한 직선이며, 직선(L3)은 띠 형상 직물(213)의 부분(A) 또는 부분(B)의 길이 방향(p)의 다른 쪽 단의 위치에 있어서의 폭 방향(q)의 중심점(213F)과 상기 점(213G)을 연결한 직선이다.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분(A)에 배치되어 있는 제 3 배기구(216)로부터의 배기 방향을 나타내는 단위 벡터(a)는 부분(B)에 배치되어 있는 제 3 배기구(216)로부터의 배기 방향을 나타내는 단위 벡터(b)보다 체폭 방향(x)의 외방을 향하는 성분이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 3 배기구(216)를 배치함으로써 땀을 흘리기 쉬운 착용자의 겨드랑이에 중점적으로 공기를 배출하면서 열이 머무르기 쉬운 소매(206) 내에 공기를 흐르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착용자의 신체를 효율 좋게 차게 할 수 있다.
도 16~도 17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3 관점에 의한 의료(201)에도 복수의 제 2 고정 부착부(22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고정 부착부(222)의 형상이나 배치에 대해서는 제 1 관점에 의한 의료(1)의 제 2 고정 부착부(22)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또한, 도 16~도 25에서는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제 3 관점에 의한 의료(201)에도 제 1 관점에 의한 의료(1)와 마찬가지로 안감에는 복수의 배기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기구의 형상이나 배치에 대해서는 제 1 관점에 의한 의료(1)의 배기구(16)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1: 의료 2: 상의
3: 앞길 3L: 좌측 앞길
3R: 우측 앞길 4: 뒷길
5: 후드 11: 겉감
12: 안감 13: 속감
13A: 옷감의 한쪽 주면 13B: 옷감의 다른 쪽 주면
14: 접착제 15: 송풍기
16: 배기구 21: 제 1 고정 부착부
22: 제 2 고정 부착부 101: 의료
102: 상의 103: 스탠드 칼라부
103A: 전방측 스탠드 칼라 103B: 후방측 스탠드 칼라
104: 잠금쇠 105: 개구부
106: 겉감 107: 안감
108: 스탠드 칼라용 직물 110: 송풍기
111: 제 1 배기구 112: 제 2 배기구
115: 제 1 공간 116: 제 2 공간
121: 제 1 고정 부착부 122: 제 2 고정 부착부
201: 의료 202: 상의
202A: 암홀 202Aa: 암홀의 상측 영역
202Ab: 암홀의 하측 영역 203: 앞길
203L: 좌측 앞길 203R: 우측 앞길
204: 뒷길 206: 소매
206A: 소맷부리 207: 스탠드 칼라
211: 겉감 212: 안감
213: 띠 형상 직물
213Aa: 띠 형상 직물의 길이 방향의 한쪽 단
213Ab: 띠 형상 직물의 길이 방향의 다른 쪽 단
213Ba: 띠 형상 직물의 폭 방향의 일방측
213Bb: 띠 형상 직물의 폭 방향의 타방측
213C: 띠 형상 직물의 어깨 정상부
213D: 띠 형상 직물의 어깨 정상부의 반대측
213E: 띠 형상 직물의 길이 방향의 한쪽단의 위치에 있어서의 폭 방향의 중심점
213F: 띠 형상 직물의 길이 방향의 한쪽 단의 위치에 있어서의 폭 방향의 중심점
213G: 띠 형상 직물의 가장 만곡하고 있는 위치에 있어서의 폭 방향의 중심점
215: 송풍기 216: 제 3 배기구
221: 제 1 고정 부착부 222: 제 2 고정 부착부
A: 띠 형상 직물의 어깨 정상부를 중앙에 넣는 전체 길이의 4분의 1의 길이 부분
B: 띠 형상 직물의 어깨 정상부의 반대측을 중앙에 포함하는 전체 길이의 4분의 1의 길이 부분
a: 부분(A)에 배치되어 있는 배기구로부터의 배기 방향을 나타내는 단위 벡터
b: 부분(B)에 배치되어 있는 배기구로부터의 배기 방향을 나타내는 단위 벡터
L1: 띠 형상 직물의 전체 길이를 사등 분할하는 직선
L2: 띠 형상 직물의 길이 방향의 한쪽 단의 위치에 있어서의 폭 방향의 중심점과 가장 만곡하고 있는 위치에 있어서의 폭 방향의 중심점을 연결한 직선
L3: 띠 형상 직물의 길이 방향의 한쪽 단의 위치에 있어서의 폭 방향의 중심점과 가장 만곡하는 위치에 있어서의 폭 방향의 중심점을 연결한 직선
p: 띠 형상 직물의 길이 방향 q: 띠 형상 직물의 폭 방향
x: 체폭 방향 x1: 체폭 방향의 일방측
x2: 체폭 방향의 타방측 y: 신장 방향
y1: 신장 방향의 상측 y2: 신장 방향의 하측
z: 겉감과 안감의 적층 방향

Claims (19)

  1. 겉감과,
    상기 겉감보다 착용자의 피부측에 배치되어 있는 안감과,
    상기 겉감의 가장자리부와 상기 안감이 서로 고정 부착되어 있는 제 1 고정 부착부와,
    상기 겉감에 부착되어 있으며, 외부의 공기를 상기 겉감과 상기 안감 사이에 도입하는 송풍기와,
    상기 안감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겉감과 상기 안감 사이의 공기를 착용자측으로 배출하는 복수의 배기구를 갖고 있는 의료로서,
    상기 제 1 고정 부착부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위치에 있어서 상기 겉감과 상기 안감이 서로 고정 부착되어 있는 복수의 제 2 고정 부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제 2 고정 부착부는 체폭 방향의 일방측과 타방측 각각에 있어서 신장 방향으로 이격해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고정 부착부가 체폭 방향의 일방측과 타방측 각각에 있어서 적어도 3개씩 배치되어 있으며,
    체폭 방향의 일방측과 타방측 각각에 있어서 이웃하는 제 2 고정 부착부 사이의 신장 방향의 거리는 공기의 흐름 방향의 하류측일수록 작은 의료.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고정 부착부는 띠 형상 또는 선 형상으로 형성되고, 신장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의료.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고정 부착부에 있어서 상기 겉감과 상기 안감 사이에 한쪽 주면과, 상기 한쪽 주면과 반대측의 다른 쪽 주면을 갖는 속감이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속감의 상기 한쪽 주면의 한쪽 단부가 상기 겉감의 이면측 면에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속감의 상기 한쪽 주면의 다른 쪽 단부가 상기 안감의 표면측 면에 부착되어 있는 의료.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속감의 상기 다른 쪽 주면은 공기의 흐름 방향의 하류측에 배치되어 있는 의료.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는 앞길과 뒷길을 갖는 상의이며,
    상기 송풍기는 상기 뒷길에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제 2 고정 부착부는 상기 앞길의 체폭 방향의 일방측과 타방측과, 상기 뒷길의 체폭 방향의 일방측과 타방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는 의료.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는 겉감과 상기 겉감보다 착용자의 피부측에 배치되어 있는 안감을 갖고 착용자의 두부 및 목을 덮는 후드가 부착되어 있는 상의이며,
    상기 제 2 고정 부착부는 상기 후드의 체폭 방향의 일방측과 타방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후드의 안감에 배기구가 배치되어 있는 의료.
  8. 겉감과,
    상기 겉감보다 착용자의 피부측에 배치되어 있는 안감과,
    상기 겉감의 가장자리부와 상기 안감을 서로 고정 부착하고 있는 제 1 고정 부착부와,
    상기 제 1 고정 부착부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위치에 있어서 상기 겉감과 상기 안감을 서로 고정 부착하고 있는 제 2 고정 부착부와,
    상기 겉감에 부착되어 있으며, 외부의 공기를 상기 겉감과 상기 안감 사이에 있는 제 1 공간에 도입하는 송풍기와,
    상기 안감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공간의 공기를 착용자측으로 배출하는 제 1 배기구와,
    스탠드 칼라부와,
    상기 스탠드 칼라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탠드 칼라부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제 2 공간의 공기를 배출하는 제 2 배기구를 갖고 있으며,
    상기 제 1 공간과 상기 제 2 공간은 서로 연통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 칼라부는 상기 제 1 공간으로부터 상기 제 2 공간으로 흐르는 공기의 양을 증감시키는 조절부를 갖고 있는 의료.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 칼라부를 착용자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 전방측 스탠드 칼라부와 후방측 스탠드 칼라부로 이등 분할했을 때에 상기 후방측 스탠드 칼라부의 신장 방향의 상단은 상기 전방측 스탠드 칼라부의 신장 방향의 상단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있는 의료.
  11. 제 8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배기구는 상기 스탠드 칼라부에 있어서의 신장 방향의 상단보다 하방이며, 상기 스탠드 칼라부의 피부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의료.
  12. 겉감과,
    상기 겉감보다 착용자의 피부측에 배치되어 있는 안감과,
    상기 겉감의 가장자리부와 상기 안감이 서로 고정 부착되어 있는 제 1 고정 부착부와,
    상기 겉감에 부착되어 있으며, 외부의 공기를 상기 겉감과 상기 안감 사이에 도입하는 송풍기를 갖는 상의를 구비한 의료로서,
    상기 상의에는 길이 방향과 폭 방향을 갖고, 상기 길이 방향이 암홀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배치되어 있는 띠 형상 직물로서, 상기 폭 방향의 일방측이 겉감에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폭 방향의 타방측이 안감에 접속되어 있는 띠 형상 직물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띠 형상 직물에는 상기 겉감과 상기 안감 사이의 공기를 착용자측으로 배출하는 복수의 제 3 배기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띠 형상 직물 중 상기 겉감과 접속되어 있는 부분의 길이는 상기 안감과 접속되어 있는 부분의 길이보다 긴 의료.
  14.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신장 방향에 있어서 상기 암홀을 상측 영역과 하측 영역으로 이등 분할했을 때에,
    상기 띠 형상 직물은 상기 하측 영역에만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하측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상기 제 3 배기구로부터 착용자의 겨드랑이측을 향해서 공기가 배출되는 의료.
  15.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신장 방향에 있어서 상기 암홀을 상측 영역과 하측 영역으로 이등 분할했을 때에,
    상기 띠 형상 직물은 상기 상측 영역에만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상측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제 3 배기구로부터 소맷부리측을 향해서 공기가 배출되는 의료.
  16.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띠 형상 직물은 상기 암홀의 전체 둘레에 걸쳐 환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신장 방향에 있어서 상기 암홀을 상측 영역과 하측 영역으로 이등 분할했을 때에,
    상기 상측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제 3 배기구로부터 소맷부리측을 향해서 공기가 배출되고,
    상기 하측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상기 제 3 배기구로부터 착용자의 겨드랑이측을 향해서 공기가 배출되는 의료.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띠 형상 직물은 상기 띠 형상 직물의 어깨 정상부를 중앙에 포함하는 전체 길이의 4분의 1의 길이 부분(A)이 평면 전개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80° 이상 140° 이하 만곡하고 있는 의료.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띠 형상 직물은 상기 띠 형상 직물의 어깨 정상부의 반대측을 중앙에 포함하는 전체 길이의 4분의 1의 길이 부분(B)이 평면 전개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10° 이상 80° 이하 만곡하고 있는 의료.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A)에 배치되어 있는 제 3 배기구로부터의 배기 방향을 나타내는 단위 벡터(a)는 상기 부분(B)에 배치되어 있는 제 3 배기구로부터의 배기 방향을 나타내는 단위 벡터(b)보다 체폭 방향의 외방을 향하는 성분이 큰 의료.
KR1020190127457A 2018-11-20 2019-10-15 의료 KR2020005914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217402 2018-11-20
JP2018217402A JP6823038B2 (ja) 2018-11-20 2018-11-20 衣料
JP2019034817A JP6945577B2 (ja) 2019-02-27 2019-02-27 衣料
JPJP-P-2019-034817 2019-02-27
JP2019132814A JP6970714B2 (ja) 2019-02-05 2019-07-18 衣料
JPJP-P-2019-132814 2019-07-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9143A true KR20200059143A (ko) 2020-05-28

Family

ID=70920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7457A KR20200059143A (ko) 2018-11-20 2019-10-15 의료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00059143A (ko)
CN (1) CN11129691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4048B1 (ko) * 2022-02-21 2022-10-14 (주) 에스에스에이치 냉방효율이 향상된 냉방조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212447A (ja) 2014-05-02 2015-11-26 孟華 喩 放熱機能付き衣服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212447A (ja) 2014-05-02 2015-11-26 孟華 喩 放熱機能付き衣服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4048B1 (ko) * 2022-02-21 2022-10-14 (주) 에스에스에이치 냉방효율이 향상된 냉방조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296917A (zh) 2020-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72690B1 (en) Head covering
US10159290B2 (en) Outwear with body mapping
KR102283989B1 (ko) 개선된 후드를 갖는 방호복
US20210260467A1 (en) Securing garment for a shoulder-pad system
JP6380964B1 (ja) 冷却衣服
US10568367B2 (en) Impact reducing sports bra
US20210386129A1 (en) Body of air-conditioning garment and air-conditioning garment
JP6587270B1 (ja) 剣道衣
KR20200059143A (ko) 의료
JP6945577B2 (ja) 衣料
JP3137899U (ja) 婦人用衣料
JP6970714B2 (ja) 衣料
CN212185187U (zh) 衣服
JP3226094U (ja) 衣料
JP6823038B2 (ja) 衣料
JP2005068562A (ja) 膝部保護パットを有する衣服
JP6467228B2 (ja) フードの構造体
JP3235935U (ja) 衣料
JP2023040467A (ja) 上半身用衣服
JP7226777B2 (ja) 衣服
JP2020084384A (ja) ベスト
JP7509478B1 (ja) ファン付衣服
JP7422106B2 (ja) 冷却服
JP7353000B1 (ja) 空調衣服
JP3234982U (ja) ファン付きベスト及びファン付きベスト用のベスト本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