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3413B1 - 구동부와 톱날홀더가 이원화된 구조의 고소톱 - Google Patents

구동부와 톱날홀더가 이원화된 구조의 고소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3413B1
KR102453413B1 KR1020200059734A KR20200059734A KR102453413B1 KR 102453413 B1 KR102453413 B1 KR 102453413B1 KR 1020200059734 A KR1020200059734 A KR 1020200059734A KR 20200059734 A KR20200059734 A KR 20200059734A KR 102453413 B1 KR102453413 B1 KR 1024534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w blade
saw
extension
blade holder
guide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9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42509A (ko
Inventor
류욱현
Original Assignee
류욱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욱현 filed Critical 류욱현
Priority to KR10202000597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3413B1/ko
Publication of KR202101425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25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34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34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00Cutting imp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horticultural purposes; Delimbing standing trees
    • A01G3/08Other tools for pruning, branching or delimbing standing trees
    • A01G3/085Motor-driven saws for pruning or bran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BSAW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COMPONENTS OR ACCESSORIES THEREFOR
    • B27B19/00Other reciprocating saws with power drive; Fret-saws
    • B27B19/002Power-driven hand saw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Sa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동부와 톱날홀더가 이원화된 구조의 고소톱에 관련되며, 이는 톱질에 필요한 직선 왕복운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부와 톱날이 설치되는 톱날홀더를 이원화시켜 연장대를 매개로 직선 왕복 운동력이 전달되도록 구조 개선됨에 따라 고소톱 무게 중심이 작업자 측으로 편중되어 고소 톱질 작업 중 적은 힘으로도 톱날 위치이동이 자유롭고, 특히 연장대를 분할 형성하여 간단한 조작으로 조립되므로 휴대성이 우수함과 더불어 직선 왕복 이동력이 손실없이 전달되도록 하기 위해 구동부(100), 연장대(200), 가이드모듈(300), 톱날홀더(400)를 주요구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구동부와 톱날홀더가 이원화된 구조의 고소톱 {High place work saw with dual structure of drive part and saw blade holder}
본 발명은 구동부와 톱날홀더가 이원화된 구조의 고소톱에 관련되며, 보다 상세하게는 톱질에 필요한 직선 왕복운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부와 톱날이 설치되는 톱날홀더를 이원화시켜 연장대를 매개로 직선 왕복 운동력이 전달되도록 구조 개선됨에 따라 고소톱 무게 중심이 작업자 측으로 편중되어 고소 톱질 작업 중 적은 힘으로도 톱날 위치이동이 자유롭고, 특히 연장대를 분할 형성하여 간단한 조작으로 조립되므로 휴대성이 우수함과 더불어 직선 왕복 이동력이 손실없이 전달되는 구동부와 톱날홀더가 이원화된 구조의 고소톱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톱은 강철로 된 얇은 톱양에 날카로운 이가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직선 왕복운동력에 의해 날카로운 이가 나무를 포함하는 피절삭물을 절삭하는 장치로서, 주로 과수 가지치기, 가로수 가지정리, 산림 숲 가꾸기 사업을 포함하는 고소 작업용도로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원거리에 피절삭물을 수작업으로 톱질함에 있어 많은 힘이 소요됨과 더불어 장시간 작업이 불가능한 실정이다.
이에 종래에 개시된 특허등록번호 제10-1129771호에서, 동력을 발생하는 동력발생장치 및 전선과 같은 전력전달수단과,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동력발생장치의 전력을 전달받아 구동되는 모터 및 상기 모터와 연동 회전되며 타측에 웜기어를 형성하여 회전을 전달하는 구동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편심캠과, 상기 편심캠의 캠부에 결합되어 직선 이송되는 로드부와, 상기 로드부의 끝단에 구비되는 이송기어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고정되어 이송기어를 기어 물림 형태로 결합하는 고정랙기어와, 상기 고정랙기어에 수평 이격하게 위치되어 이송기어에 의해 전후 왕복 구동되는 구동체와, 상기 구동체의 전방에 설치되는 톱날로 구성되어 적은 동력에 의해 충분한 칼날의 구동력과, 스트로크를 얻을 수 있도록 구성된 기술이 선 등록된바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모터 회전력이 편심캠과 로드부에 의해 직선 왕복운동으로 전환되어 톱날이 절삭이송되는 것이나, 톱날과, 톱날을 구동하는 모터 및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는 구동체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지지대 단부에 설치됨에 따라 무게 중심이 톱날이 설치된 지지대 단부로 집중되어 작업자가 지지대 다른 일단을 잡고 고소 톱질작업시, 많은 힘이 소요되면서 피로도가 증가되는 폐단이 따랐다.
KR 10-1129771 B1 (2012.03.15)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착안 된 것으로서, 톱질에 필요한 직선 왕복운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부와 톱날이 설치되는 톱날홀더를 이원화시켜 연장대를 매개로 직선 왕복 운동력이 전달되도록 구조 개선됨에 따라 고소톱 무게 중심이 작업자 측으로 편중되어 고소 톱질 작업 중 적은 힘으로도 톱날 위치이동이 자유롭고, 특히 연장대를 분할 형성하여 간단한 조작으로 조립되므로 휴대성이 우수함과 더불어 직선 왕복 이동력이 손실없이 전달되는 구동부와 톱날홀더가 이원화된 구조의 고소톱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특징은, 동력원의 회전운동을 직선 왕복운동으로 전환하여 출력하도록 구비되는 구동부(100); 상기 구동부(100)에 연결되어 직선 왕복운동력을 소정의 이격된 거리로 전달하는 축심(220)과, 축심(220)을 직선 왕복운동가능하게 수용하는 가이드관(240)으로 이루어지는 연장대(200); 상기 가이드관(240) 단부에 설치되어, 피 절삭물에 거치되는 고리암(320)이 구비되는 가이드모듈(300); 및 상기 축심(220) 단부에 설치되어 톱날(420)이 장착되고, 가이드모듈(300)을 타고 직선 왕복이동되도록 구비되는 톱날홀더(4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연장대(200)는 복수로 분할 형성되어 조인트모듈(500)에 의해 탈부착식으로 연결되고, 상기 조인트모듈(500)은, 어느 일측 연장대(200)의 축심(220) 및 가이드관(240) 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내, 외측 암나사부(512)(514)와, 다른 일측 연장대(200)의 축심(220) 및 가이드관(240) 단부에 형성되어 내, 외측 암나사부(512)(514)와 나사 결합하는 내, 외측 수나사부(522)(524)와, 축심(220) 외주면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키홈(530)과, 키홈(530)에 맞물리도록 가이드관(240)에 구비되는 키(532)로 구성되고, 이웃하는 연장대(200)를 상호 역방향으로 회전시, 내, 외측 암나사부(512)(514)와 내, 외측 수나사부(522)(524)의 나사결합에 의해 이웃하는 축심(220)과 가이드관(240)이 각각 연결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장대(200)는 복수로 분할 형성되어 조인트모듈(500)에 의해 탈부착식으로 연결되고, 상기 조인트모듈(500)은, 이웃하는 연장대(200)의 가이드관(240) 단부에 형성되어 나사 결합하는 외측 암, 수나사부(514)(524)와, 어느 일측 연장대(200)의 가이드관(240) 외부로 노출되도록 축심(220) 단부 편심 위치에 구비되고, 일면에 제 1치형돌기(542)가 형성되는 제 1조인트부재(540)와, 다른 일측 연장대(200)의 가이드관(240) 내부에 인입되도록 축심(220) 단부 편심 위치에 구비되고, 제 1치형돌기(542)와 치합되도록 일면에 제 2치형돌기(542')가 형성되는 제 2조인트부재(540')와, 제 2조인트부재(540')와 대응하는 위치에 삽입되어 가이드관(240)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홀(543)을 타고 이동되면서 제 1, 2치형돌기(542)(542')에 의해 치합된 제 1, 2조인트부재(540)(540') 외주면을 구속하도록 구비되는 내부 슬리브(544)와, 가이드관(240) 외주면에 설치되고, 가이드홀(543)을 관통하는 연결핀(545)에 의해 내부 슬리브(544)와 연결되는 외부 슬리브(546)와, 가이드관(240) 외주면에 설치되어 외부 슬리브(546)가 이동시 압축되어 복귀 이동력을 발생하도록 구비되는 탄성체(547)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부 슬리브(546)를 당기면, 내부 슬리브(544)가 제 2조인트부재(540') 영역에서 이탈되고, 제 1조인트부재(540)의 제 1치형돌기(542)가 제 2조인트부재(540')의 제 2치형돌기(542')에 치합되도록 삽입한 상태로, 상기 외부 슬리브(546)를 당김력을 해제하면, 탄성체(547)에 의해 외부 슬리브(546)가 원위치로 복귀되면서 내부 슬리브(544)가 제 1, 2치형돌기(542)(542')에 의해 치합된 제 1, 2걸림부재(540)(540') 외주면을 구속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 의하면, 본 발명은 톱질에 필요한 직선 왕복운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부와 톱날이 설치되는 톱날홀더를 이원화시켜 연장대를 매개로 직선 왕복 운동력이 전달되도록 구조 개선됨에 따라 고소톱 무게 중심이 작업자 측으로 편중되어 고소 톱질 작업 중 적은 힘으로도 톱날 위치이동이 자유롭고, 특히 연장대를 분할 형성하여 간단한 조작으로 조립되므로 휴대성이 우수함과 더불어 직선 왕복 이동력이 손실없이 전달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동부와 톱날홀더가 이원화된 구조의 고소톱을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동부와 톱날홀더가 이원화된 구조의 고소톱의 조인트모듈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와 톱날홀더가 이원화된 구조의 고소톱의 조인트모듈을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동부와 톱날홀더가 이원화된 구조의 고소톱을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구동부와 톱날홀더가 이원화된 구조의 고소톱에 관련되며, 이는 톱질에 필요한 직선 왕복운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부와 톱날이 설치되는 톱날홀더를 이원화시켜 연장대를 매개로 직선 왕복 운동력이 전달되도록 구조 개선됨에 따라 고소톱 무게 중심이 작업자 측으로 편중되어 고소 톱질 작업 중 적은 힘으로도 톱날 위치이동이 자유롭고, 특히 연장대를 분할 형성하여 간단한 조작으로 조립되므로 휴대성이 우수함과 더불어 직선 왕복 이동력이 손실없이 전달되도록 하기 위해 구동부(100), 연장대(200), 가이드모듈(300), 톱날홀더(400)를 주요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구동부(100)는 동력원의 회전운동을 직선 왕복운동으로 전환하여 출력하도록 구비된다. 구동부(100)는 모터 또는 엔진의 회전동력을 동력전환수단을 이용하여 직선 왕복운동으로 출력하는 구성이다. 이때 동력전환수단은 본 출원이 출원한 고소톱 관련 기술은 물론 통상의 방식으로 적용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100)에는 벨트를 포함하는 견착수단이 구비되어, 작업자가 몸에 견착한 상태로 이동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연장대(200)는 상기 구동부(100)에 연결되어 직선 왕복운동력을 소정의 이격된 거리로 전달하는 축심(220)과, 축심(220)을 직선 왕복운동가능하게 수용하는 가이드관(240)으로 이루어진다. 가이드관(240)은 구동부(100)와 후술하는 가이드모듈(300)을 연결하고, 축심(220)은 구동부(100)의 출력단과 후술하는 톱날홀더(400)를 연결하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축심(220)은 바 형태 또는 내부가 빈 관체로 형성되고, 구동부(100)에서 출력되는 직선 왕복운동력을 톱날홀더(400)로 전달하도록 구비된다.
이처럼, 톱질에 필요한 직선 왕복운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부(100)와 톱날(420)이 설치되는 톱날홀더(400)를 이원화시켜 연장대(200)를 매개로 직선 왕복 운동력이 전달되도록 구조 개선됨에 따라 고소톱 무게 중심이 작업자 측으로 편중되어 고소 톱질 작업 중 적은 힘으로도 톱날(420) 위치이동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연장대(200)는 고소작업 높이에 따라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연장대(200)를 복수로 분할 형성되어 조인트모듈(500)에 의해 탈부착식으로 길이 조절되는바, 이에 따른 연장대(200)의 실시예는 후술하는 도 2 내지 도 3의 설명을 참조한다.
도 2에서, 상기 연장대(200)는 복수로 분할 형성되어 조인트모듈(500)에 의해 탈부착식으로 연결되고, 상기 조인트모듈(500)은, 어느 일측 연장대(200)의 축심(220) 및 가이드관(240) 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내, 외측 암나사부(512)(514)와, 다른 일측 연장대(200)의 축심(220) 및 가이드관(240) 단부에 형성되어 내, 외측 암나사부(512)(514)와 나사 결합하는 내, 외측 수나사부(522)(524)와, 축심(220) 외주면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키홈(530)과, 키홈(530)에 맞물리도록 가이드관(240)에 구비되는 키(532)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내, 외측 암나사부(512)(514)와 내, 외측 수나사부(522)(524)의 나사 피치는 동일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이웃하는 연장대(200)를 상호 역방향으로 회전시, 내, 외측 암나사부(512)(514)와 내, 외측 수나사부(522)(524)의 나사결합에 의해 이웃하는 축심(220)과 가이드관(240)이 각각 연결된다. 즉, 상기 축심(220)이 키홈(530)과 키(532)에 의해 가이드관(240) 내에서 직선 왕복 운동을 허용되나, 회전운동은 제한됨에 따라 가이드관(240)을 회전시 축심(220)이 함께 회전된다.
이처럼 상기 연장대(200)를 회전시키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내, 외측 암나사부(512)(514)와 내, 외측 수나사부(522)(524)가 동시에 나사 결합하므로, 누구나 손쉽게 분해 조립이 가능하여 휴대성이 우수함과 더불어 외측 암나사부(512)(514)와 내, 외측 수나사부(522)(524)의 나사결합 구조에 의해 직선 왕복 이동력이 손실없이 전달됨과 더불어 장시간 사용 중에도 유격이 방지된다.
도 3에서, 상기 연장대(200)는 복수로 분할 형성되어 조인트모듈(500)에 의해 탈부착식으로 연결되고, 상기 조인트모듈(500)은, 이웃하는 연장대(200)의 가이드관(240) 단부에 형성되어 나사 결합하는 외측 암, 수나사부(514)(524)와, 어느 일측 연장대(200)의 가이드관(240) 외부로 노출되도록 축심(220) 단부 편심 위치에 구비되고, 일면에 제 1치형돌기(542)가 형성되는 제 1조인트부재(540)와, 다른 일측 연장대(200)의 가이드관(240) 내부에 인입되도록 축심(220) 단부 편심 위치에 구비되고, 제 1치형돌기(542)와 치합되도록 일면에 제 2치형돌기(542')가 형성되는 제 2조인트부재(540')와, 제 2조인트부재(540')와 대응하는 위치에 삽입되어 가이드관(240)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홀(543)을 타고 이동되면서 제 1, 2치형돌기(542)(542')에 의해 치합된 제 1, 2조인트부재(540)(540') 외주면을 구속하도록 구비되는 내부 슬리브(544)와, 가이드관(240) 외주면에 설치되고, 가이드홀(543)을 관통하는 연결핀(545)에 의해 내부 슬리브(544)와 연결되는 외부 슬리브(546)와, 가이드관(240) 외주면에 설치되어 외부 슬리브(546)가 이동시 압축되어 복귀 이동력을 발생하도록 구비되는 탄성체(547)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 1, 2조인트부재(540)(540')는 단면형상이 반형으로 형성되고, 반원의 지름선 영역에 해당하는 외주면이 서로 대향하도록 구비되며, 외주면에 제 1, 2치형돌기(542)(542') 서로 치합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외부 슬리브(546)를 당기면, 내부 슬리브(544)가 제 2조인트부재(540') 영역에서 이탈되고, 제 1조인트부재(540)의 제 1치형돌기(542)가 제 2조인트부재(540')의 제 2치형돌기(542')에 치합되도록 삽입한 상태로, 상기 외부 슬리브(546)를 당김력을 해제하면, 탄성체(547)에 의해 외부 슬리브(546)가 원위치로 복귀되면서 내부 슬리브(544)가 제 1, 2치형돌기(542)(542')에 의해 치합된 제 1, 2걸림부재(540)(540') 외주면을 구속하도록 구비된다.
이처럼, 상기 외부 슬리브(546)를 당기는 조작에 의해 제 1, 2걸림부재(540)(540')의 제 1, 2치형돌기(542)(542')가 간단하게 분리되므로, 누구나 손쉽게 분해 조립이 가능하여 휴대성이 우수함과 더불어 제 1, 2치형돌기(542)(542')에 의해 맞물림 구조에 의해 직선 왕복 이동력이 손실없이 전달됨과 더불어 장시간 사용 중에도 유격이 방지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모듈(300)은 가이드관(240) 단부에 설치되어, 피 절삭물에 거치되는 고리암(320)이 구비된다. 가이드모듈(300)은 후술하는 톱날홀더(400)를 직선 왕복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레일 또는 복수의 롤러베이링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고리암(320)은 'U'자형으로 형성되어, 일측 단부가 가이드모듈(300)에 연결되고, 다른 일측 단부에는 톱날(420)이 수용되는 톱날가이드홀이 형성된다. 여기서 톱날(420)이 'U'자형 고리암(320)의 양측 다리를 경유하도록 설치됨에 따라 고하중의 톱질하중이 작용하더라도 톱날(420) 휨, 변형이 방지된다.
이처럼 상기 가이드모듈(300)이 고리암(320)에 의해 피 절삭물에 걸린 상태로 지지되므로, 작업자가 큰 힘을 들이지 않고 고소 톱질작업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톱날홀더(400)는 상기 축심(220) 단부에 설치되어 톱날(420)이 장착되고, 가이드모듈(300)을 타고 직선 왕복이동되도록 구비된다. 톱날홀더(400)는 판형태로 형성되어 폭방향 양단부가 가이드모듈(300)을 타고 미끄럼 운동된다. 이때 톱날(420)는 미는 방향으로 절삭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되어, 고리암(320)과의 상호 작용으로 톱질 하중이 작업자에게 전달되지 않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톱날홀더(400)는 단부에 체결홀이 형성되고, 체결홀을 이용하여 볼트체결 방식으로 톱날(420)이 교체가능하게 설치된다.
100: 구동부 200: 연장대
300: 가이드모듈 400: 톱날홀더

Claims (4)

  1. 동력원의 회전운동을 직선 왕복운동으로 전환하여 출력하도록 구비되는 구동부(100); 상기 구동부(100)에 연결되어 직선 왕복운동력을 소정의 이격된 거리로 전달하는 축심(220)과, 축심(220)을 직선 왕복운동가능하게 수용하는 가이드관(240)으로 이루어지는 연장대(200); 상기 가이드관(240) 단부에 설치되어, 피 절삭물에 거치되는 고리암(320)이 구비되는 가이드모듈(300); 및 상기 축심(220) 단부에 설치되어 톱날(420)이 장착되고, 가이드모듈(300)을 타고 직선 왕복이동되도록 구비되는 톱날홀더(400);을 포함하고,
    상기 연장대(200)는 복수로 분할 형성되어 조인트모듈(500)에 의해 탈부착식으로 연결되고,
    상기 조인트모듈(500)은,
    이웃하는 연장대(200)의 가이드관(240) 단부에 형성되어 나사 결합하는 외측암, 수나사부(514)(524)와,
    어느 일측 연장대(200)의 가이드관(240) 외부로 노출되도록 축심(220) 단부 편심 위치에 구비되고, 일면에 제 1치형돌기(542)가 형성되는 제 1조인트부재(540)와,
    다른 일측 연장대(200)의 가이드관(240) 내부에 인입되도록 축심(220) 단부 편심 위치에 구비되고, 제 1치형돌기(542)와 치합되도록 일면에 제 2치형돌기(542')가 형성되는 제 2조인트부재(540')와,
    제 2조인트부재(540')와 대응하는 위치에 삽입되어 가이드관(240)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홀(543)을 타고 이동되면서 제 1, 2치형돌기(542)(542')에 의해 치합된 제 1, 2조인트부재(540)(540') 외주면을 구속하도록 구비되는 내부 슬리브(544)와,
    가이드관(240) 외주면에 설치되고, 가이드홀(543)을 관통하는 연결핀(545)에 의해 내부 슬리브(544)와 연결되는 외부 슬리브(546)와,
    가이드관(240) 외주면에 설치되어 외부 슬리브(546)가 이동시 압축되어 복귀 이동력을 발생하도록 구비되는 탄성체(547)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부와 톱날홀더가 이원화된 구조의 고소톱.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슬리브(546)를 당기면, 내부 슬리브(544)가 제 2조인트부재(540') 영역에서 이탈되고, 제 1조인트부재(540)의 제 1치형돌기(542)가 제 2조인트부재(540')의 제 2치형돌기(542')에 치합되도록 삽입한 상태로, 상기 외부 슬리브(546)를 당김력을 해제하면, 탄성체(547)에 의해 외부 슬리브(546)가 원위치로 복귀되면서 내부 슬리브(544)가 제 1, 2치형돌기(542)(542')에 의해 치합된 제 1, 2걸림부재(540)(540') 외주면을 구속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부와 톱날홀더가 이원화된 구조의 고소톱.
KR1020200059734A 2020-05-18 2020-05-18 구동부와 톱날홀더가 이원화된 구조의 고소톱 KR1024534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9734A KR102453413B1 (ko) 2020-05-18 2020-05-18 구동부와 톱날홀더가 이원화된 구조의 고소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9734A KR102453413B1 (ko) 2020-05-18 2020-05-18 구동부와 톱날홀더가 이원화된 구조의 고소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2509A KR20210142509A (ko) 2021-11-25
KR102453413B1 true KR102453413B1 (ko) 2022-10-07

Family

ID=78745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9734A KR102453413B1 (ko) 2020-05-18 2020-05-18 구동부와 톱날홀더가 이원화된 구조의 고소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341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2511B2 (ja) * 1991-01-25 2000-07-10 東芝テック株式会社 電子式キャッシュレジスタ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55296A (ja) * 1994-03-23 1995-10-09 Kioritz Corp 枝打機
JP3062511U (ja) * 1999-03-26 1999-10-08 正彦 三浦 高所枝切り機
KR101129793B1 (ko) * 2009-12-24 2012-03-23 김원태 가지치기용 전동톱
KR101129771B1 (ko) 2009-12-24 2012-03-23 김원태 가지치기 전동톱
KR101878952B1 (ko) * 2016-11-22 2018-07-17 김근혜 캠 롤러타입 고소작업용 톱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2511B2 (ja) * 1991-01-25 2000-07-10 東芝テック株式会社 電子式キャッシュレジス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2509A (ko) 2021-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501631A (en) Mechanism for converting rotary motion to reciprocatory motion
DE112009005440B4 (de) Stichsäge
KR102453413B1 (ko) 구동부와 톱날홀더가 이원화된 구조의 고소톱
US4095654A (en) Impact device with multiple connecting rods and gearing
US5369887A (en) Powered coping saw
KR102132117B1 (ko) 타원형 내접기어를 이용한 톱
KR101972418B1 (ko) 타원형 편심궤적을 이용한 고소작업 가지정리톱
KR102375308B1 (ko) 진동 상쇄 구조를 가진 고소톱
KR100538256B1 (ko) 철근 단부 나사 가공장치
KR100505277B1 (ko) 낚시용 릴
EP3068586B1 (de) Oszillierend antreibbare werkzeugmaschine
KR102132119B1 (ko) 크랭크암의 굴절운동을 이용한 톱
KR102510583B1 (ko) 휴대용 저진동 고스톱
KR101931282B1 (ko) 가변 편심궤적을 이용한 고소작업 가지정리톱
CN115199739A (zh) 一种档位调节装置
CN210059895U (zh) 一种可变距铁轨配孔钻
US1169221A (en) Power-transmitting means.
CN209884308U (zh) 一种微型克氏针手机
JP3182189U (ja) 刈払機
CN112065813A (zh) 一种具有表面清洁结构的液压油缸压盖
CN215903553U (zh) 一种羊毛剪
GB2344562A (en) A hand machine tool
KR100250945B1 (ko) 레피어직기의 그리퍼헤드를 왕복이동시키는 동력장치
US2725771A (en) Ratchet wrench
CN217401478U (zh) 一种快速连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