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2046B1 - 어린이 보호구역 영상 감지 및 위험 신호 알림 방법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어린이 보호구역 영상 감지 및 위험 신호 알림 방법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2046B1
KR102452046B1 KR1020210058192A KR20210058192A KR102452046B1 KR 102452046 B1 KR102452046 B1 KR 102452046B1 KR 1020210058192 A KR1020210058192 A KR 1020210058192A KR 20210058192 A KR20210058192 A KR 20210058192A KR 102452046 B1 KR102452046 B1 KR 1024520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driving
vehicle
child protection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81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0808A (ko
Inventor
서영진
Original Assignee
(주)송우인포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송우인포텍 filed Critical (주)송우인포텍
Priority to KR10202100581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2046B1/ko
Publication of KR202200008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08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20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20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7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 G08G1/0175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by photographing vehicles, e.g. when violating traffic rul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04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어린이 보호구역 영상 감지 및 위험 신호 알림 방법 및 그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어린이 보호구역 내에서 차량을 감지하여 주행 속도를 알리고 과속, 신호 위반 및 불법주정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하여 단속하며, 어린이 보호 구역 내 보행자에게 위험 신호를 전달하는 어린이 보호구역 영상 감지 및 위험 신호 알림 방법으로서, 어린이 보호구역에 설치되는 주행 차량 감지부로부터 어린이 보호구역에서 주행중인 차량의 영상 및 주행 속도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주행 차량 감지부로부터 주행 차량의 주행 속도 정보를 전달받아 속도 표시부가 주행 차량의 운전자에게 주행 속도를 보여주는 단계, 어린이 보호구역에서 보행자의 위치 및 움직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지하는 보행자 감지부로부터 어린이 보호구역 내 차도를 횡단하는 횡단자와 어린이 보호구역에 설치된 횡단보도의 보행 신호를 대기중인 신호 대기자의 위치 및 움직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는 단계 및 횡단자 및 신호 대기자의 위치 및 움직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여 위험도에 따라 알림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어린이 보호구역 영상 감지 및 위험 신호 알림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어린이 보호구역 영상 감지 및 위험 신호 알림 방법 및 그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VIDEO FOR SCHOOL ZONE AND NOTICING DANGER SIGNALS}
본 발명은 어린이 보호구역 영상 감지 및 위험 신호 알림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어린이 보호구역은 교통사고의 위험으로부터 어린이를 보호하기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도로교통법」에 따라 지정된 구역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어린이 보호구역은 유치원, 초등학교 주변 도로 중 일정 구간에 지정되며, 이외에도 어린이를 보호하기 위하여 필요한 경우 지정될 수 있다.
이러한 어린이 보호구역 내에서는 차량의 주행속도가 시속 30km 이내로 제한될 수 있으며, 차량의 주정차가 금지될 수 있으며, 이를 위반하는 경우 운전자에게 벌점 및 범칙금을 부과하고 있다.
그러나 어린이 보호구역에서 계속하여 많은 수의 어린이 교통사고가 발생하고 있어 이를 예방할 수 있는 여러가지 방법이 제안되고 있으며, 그 방법 중 하나로 최근 어린이 보호구역 내 교통사고에 대하여 가중처벌하는 도로교통법 개정안이 시행되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00304호(2010.01.06.)
본 발명은 어린이 보호구역에서 주행중인 차량의 주행 속도를 운전자에게 알리고, 어린이 보호구역 내 횡단보도를 횡단하거나 대기하는 보행자의 위치나 움직임에 따라 위험도를 판단하여 알림 신호를 발생시키는 어린이 보호구역 영상감지 및 위험신호 알림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어린이 보호구역 내에서 차량을 감지하여 주행 속도를 알리고 과속, 신호 위반 및 불법주정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하여 단속하며, 어린이 보호 구역 내 보행자에게 위험 신호를 전달하는 어린이 보호구역 영상 감지 및 위험 신호 알림 방법으로서, 어린이 보호구역에 설치되는 주행 차량 감지부로부터 어린이 보호구역에서 주행중인 차량의 영상 및 주행 속도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주행 차량 감지부로부터 주행 차량의 주행 속도 정보를 전달받아 속도 표시부가 주행 차량의 운전자에게 주행 속도를 보여주는 단계, 어린이 보호구역에서 보행자의 위치 및 움직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지하는 보행자 감지부로부터 어린이 보호구역 내 차도를 횡단하는 횡단자와 어린이 보호구역에 설치된 횡단보도의 보행 신호를 대기중인 신호 대기자의 위치 및 움직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는 단계 및 횡단자 및 신호 대기자의 위치 및 움직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여 위험도에 따라 알림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어린이 보호구역에 설치되는 주정차 차량 감지부로부터 어린이 보호구역에 주정차중인 차량의 영상 및 주정차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알림 신호 발생 단계는 주행 차량 감지부가 어린이 보호구역에서 주행중인 차량을 감지하는 경우 및 주정차 차량 감지부가 어린이 보호구역에 주정차중인 차량을 감지하는 경우 중 어느 하나에서 알림 신호를 발생시키고, 속도 표시부가 보행자 감지부로부터 횡단자 및 신호 대기자의 위치 및 움직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아 주행 차량의 운전자에게 횡단자 및 신호 대기자의 유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어린이 보호구역 영상 감지 및 위험 신호 알림 방법이 제공된다.
신호 대기자의 위치 및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에서, 보행자 감지부는 횡단보도의 주변 인도에 형성되는 감지 영역을 감지하고, 감지 영역은 횡단보도가 설치된 차도로부터 일정 거리까지 구획되는 위험 영역 및 위험 영역으로부터 일정 거리까지 구획되는 주의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알림 신호 발생 단계는 신호 대기자가 위험 영역에 대기중인 경우, 경고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1 알림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알림 신호 발생 단계는 신호 대기자가 주의 영역에 대기중인 경우, 주의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2 알림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알림 신호 발생 단계는 횡단보도 주변 인도를 보행하는 보행자가 주의 영역으로부터 위험 영역으로 진입하는 경우 경고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3 알림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알림 신호 발생 단계는 횡단보도 주변 인도를 보행하는 보행자가 인도를 따라 위험 영역을 통과하여 보행하는 경우 주의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4 알림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알림 신호 발생 단계는 횡단자가 어린이 보호구역 내 차도를 무단 횡단하는 경우 경고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5 알림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어린이 보호구역 영상 감지 및 위험 신호 알림 방법은 주행 차량의 주행 속도가 제한 속도를 초과하는 경우, 경찰서 또는 지자체에 주행 차량의 영상 및 주행 속도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어린이 보호구역 영상 감지 및 위험 신호 알림 방법은 어린이 보호구역에 설치되는 주정차 차량 감지부로부터 어린이 보호구역에 주정차중인 차량의 영상 및 주정차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및 주정차 차량의 영상 및 주정차 상태 정보를 경찰서 또는 지자체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어린이 보호구역에서 주행중인 차량의 영상 및 주행 속도를 감지하는 주행 차량 감지부, 주행 차량 감지부로부터 주행 차량의 주행 속도 정보를 전달받아 주행 차량의 운전자에게 주행 속도를 보여주는 속도 표시부, 어린이 보호구역 내 차도를 횡단하는 횡단자 및 어린이 보호구역에 설치된 횡단보도의 보행 신호를 대기중인 신호 대기자의 위치 및 움직임을 감지하는 보행자 감지부, 횡단자 및 신호 대기자의 위치 및 움직임 정보에 따라 알림 신호를 발생시키는 알림부 및 주행 차량 감지부로부터 주행 차량의 영상 및 주행 속도 정보를 전달받고, 보행자 감지부로부터 횡단자와 신호 대기자의 위치 및 움직임 정보를 전달받아 속도 표시부 및 알림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관제부를 포함하고, 어린이 보호구역에 설치되어 어린이 보호구역에 주정차중인 차량의 영상 및 주정차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주정차 차량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알림부는 주행 차량 감지부가 어린이 보호구역에서 주행중인 차량을 감지하는 경우 및 주정차 차량 감지부가 어린이 보호구역에 주정차중인 차량을 감지하는 경우 중 어느 하나에서 알림 신호를 발생시키고, 속도 표시부는 보행자 감지부로부터 횡단자 및 신호 대기자의 위치 및 움직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아 주행 차량의 운전자에게 횡단자 및 신호 대기자의 유무를 표시하는, 어린이 보호구역 영상 감지 및 위험 신호 알림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어린이 보호구역에서 주행중인 차량의 주행 속도를 운전자에게 알리고, 어린이 보호구역 내 횡단보도를 횡단하거나 대기하는 보행자의 위치나 움직임에 따라 위험도를 판단하여 알림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린이 보호구역 영상 감지 및 위험 신호 알림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린이 보호구역 영상 감지 및 위험 신호 알림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린이 보호구역 영상 감지 및 위험 신호 알림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린이 보호구역 영상 감지 및 위험 신호 알림 방법의 제1 알림 단계의 상황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린이 보호구역 영상 감지 및 위험 신호 알림 방법의 제2 알림 단계의 상황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린이 보호구역 영상 감지 및 위험 신호 알림 방법의 제3 알림 단계의 상황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린이 보호구역 영상 감지 및 위험 신호 알림 방법의 제4 알림 단계의 상황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 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 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이 각 구성 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에 구성 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어린이 보호구역 영상 감지 및 위험 신호 알림 방법 및 그 시스템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어린이 보호구역에 설치되는 주행 차량 감지부(110)로부터 어린이 보호구역에서 주행중인 차량(10)의 영상 및 주행 속도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주행 차량 감지부(110)로부터 주행 차량(10)의 주행 속도 정보를 전달받아 속도 표시부(140)가 주행 차량(10)의 운전자에게 주행 속도를 보여주는 단계, 어린이 보호구역에서 보행자의 위치 및 움직임을 감지하는 보행자 감지부(130)로부터 어린이 보호구역 내 차도를 횡단하는 횡단자와 어린이 보호구역에 설치된 횡단보도의 보행 신호를 대기중인 신호 대기자의 위치 및 움직임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및 횡단자 및 신호 대기자의 위치 및 움직임 정보를 분석하여 알림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어린이 보호구역 영상 감지 및 위험 신호 알림 방법이 개시된다.
이러한 본 실시예는 어린이 보호구역에서 주행중인 차량(10)의 주행 속도를 운전자에게 알려 현재 자신의 주행 속도를 인지시켜 이를 통해 어린이 보호구역 내에서 주행 속도를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어린이 보호구역 내 횡단보도를 횡단하거나 대기하는 보행자의 위치나 움직임에 따라 위험도를 판단하여 이에 따라 알림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어린이 보호구역 영상 감지 및 위험 신호 알림 방법의 각 단계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본 실시예에서 어린이 보호구역에서 차량(10)을 감지하는 방법은 어린이 보호구역에서 주행중인 차량(10)을 감지하는 경우와 어린이 보호구역에 주정차중인 차량(10)을 감지하는 경우로 나뉠 수 있다.
어린이 보호구역에서 주행중인 차량(10)을 감지하는 경우는 어린이 보호구역에 설치되는 주행 차량 감지부(110)로부터 어린이 보호구역에서 주행중인 차량(10)의 영상 및 주행 속도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및 주행 차량 감지부(110)로부터 주행 차량(10)의 주행 속도 정보를 전달받아 속도 표시부(140)가 주행 차량(10)의 운전자에게 주행 속도를 보여주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린이 보호구역에서 주행중인 차량(10)의 영상 및 주행 속도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는 주행 차량 감지부(110)를 통하여 주행 차량(10)의 주행 속도를 측정함과 동시에 주행 차량(10)의 영상을 촬영하여 영상 정보와 주행 속도 정보를 관제부(100)로 전달할 수 있다.
이어서, 운전자에게 주행 속도를 보여주는 단계에서는 속도 표시부(140)가 주행 차량 감지부(110)로부터 주행 차량(10)의 주행 속도 정보를 전달받아 주행 속도를 표시하여 운전자에게 주행 속도를 보여줄 수 있다.
또한, 어린이 보호구역에서 주행중인 차량(10)을 감지하는 경우에서, 주행 차량(10)의 주행 속도가 제한 속도를 초과하는 경우 경찰서 또는 지자체에 주행 차량(10)의 영상 및 주행 속도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이 단계에서 관제부(100)는 주행 차량 감지부(110)로부터 전달받은 주행 속도 정보를 제한 속도와 비교하여 주행 속도가 제한 속도를 초과하는 경우 주행 차량(10)의 영상 정보와 주행 속도 정보를 통합하여 통신부(160)를 이용하여 경찰서 또는 지자체로 송신할 수 있다.
한편, 어린이 보호구역에 주정차중인 차량(10)을 감지하는 경우는 어린이 보호구역에 설치되는 주정차 차량 감지부(120)로부터 어린이 보호구역에 주정차중인 차량(10)의 영상 및 주정차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및 주정차 차량(10)의 영상 및 주정차 상태 정보를 경찰서 또는 지자체에 송신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린이 보호구역에 주정차중인 차량(10)의 영상 및 주정차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는 주정차 차량 감지부(120)를 통하여 어린이 보호구역에서 주정차중인 차량(10)의 영상을 촬영하고 일정 기간동안 주정차 차량(10)의 위치 변화 여부를 파악하여 주정차 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관제부(100)로 전달할 수 있다.
이어서, 주정차 차량(10)의 영상 및 주정차 상태 정보를 경찰서 또는 지자체로 송신하는 단계는 관제부(100)가 주정차 차량 감지부(120)를 통해 수집한 영상 정보 및 주정차 상태 정보를 통신부(160)를 이용하여 경찰서 또는 지자체로 송신할 수 있다.
상술한 어린이 보호구역 내에서 차량(10)을 영상 감지하는 방법은 차량(10) 운전자가 과속 주행을 하거나 어린이 보호구역 내에서 주정차하는 것을 경찰서 또는 지자체에 신고하여 운전자가 스스로 어린이 보호구역 내에서 제한 속도를 지키고 주정차하지 않도록 예방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주행 차량(10)의 속도를 감지하여 운전자에게 주행 속도를 인지시켜 운전자가 스스로 제한 속도 미만으로 감속하여 주행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는 어린이 보호구역 내에 설치되는 차량 신호등의 신호를 위반하는 차량(10)의 영상 정보를 수집하여 경찰서 또는 지자체로 송신하여 신고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어린이 보호구역 내에서 차량(10)의 영상 정보를 수집하여 경찰서 또는 지자체로 송신하여 과속, 신호 위반 및 불법주정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하여 단속할 수 있다.
다음으로, 어린이 보호구역에서 보행자의 위치 및 움직임을 감지하여 알림 신호를 발생시키는 방법은 어린이 보호구역에서 보행자의 위치 및 움직임을 감지하는 보행자 감지부(130)로부터 어린이 보호구역 내 차도를 횡단하는 횡단자와 어린이 보호구역에 설치된 횡단보도의 보행 신호를 대기중인 신호 대기자의 위치 및 움직임 정보를 전달받는 단계 및 횡단자 및 신호 대기자의 위치 및 움직임 정보를 분석하여 위험도에 따라 알림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어린이 보호구역에서 보행자의 위치 및 움직임을 감지하여 알림 신호를 발생시키는 방법은 어린이 보호구역에 설치된 횡단보도를 횡단하기 위해 보행 신호를 대기하는 신호 대기자, 횡단보도 주변의 인도에서 보행하는 인도 보행자 및 어린이 보호구역 내 차도를 횡단하는 차도 횡단자 각각에 대하여 보행자의 위치 및 움직임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분석하여 위험도에 따라 알림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보행자의 위치 및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에서 보행자 감지부(130)는 횡단보도를 포함하는 차도 및 횡단보도의 주변 인도에 형성되는 감지 영역(40)을 감지할 수 있고, 여기서 감지 영역(40)은 횡단보도가 설치된 차도로부터 일정 거리까지 구획되는 위험 영역(42) 및 위험 영역(42)으로부터 일정 거리까지 구획되는 주의 영역(44)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 대기자의 위치 및 움직임을 감지하여 알림 신호를 발생시키는 위험 신호 알림 방법은 횡단보도 주변 인도에 형성되는 감지 영역(40)을 감지하여 횡단보도를 횡단하기 위해 보행 신호를 대기하고 있는 보행자의 위치 및 움직임을 감지하여 알림 신호를 발생시키는 방법으로, 신호 대기자가 위험 영역(42)에 대기중인 경우, 경고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1 알림 단계 및 신호 대기자가 주의 영역(44)에 대기중인 경우, 주의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2 알림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도 4 및 도 5 참고)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알림 단계는 신호 대기자가 차도로부터 일정 거리까지 구획되는 위험 영역(42)에 위치하여 신호를 대기하는 상태에서 경고 신호를 발생시켜 신호 대기자가 안전한 곳으로 이동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알림 단계는 신호 대기자가 위험 영역(42)으로부터 일정 거리 까지 구획되며 위험 영역(42)보다 차도로부터 멀리 떨어졌지만 안전에 주의해야하는 주의 영역(44)에 위치하여 신호를 대기하는 상태에서 주의 신호를 발생시켜 신호 대기자가 주의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경고 신호는 보행자가 보다 위험하다고 느낄 수 있도록 주의 신호보다 신호의 강도가 세거나 신호 주기가 짧게 설정될 수 있다.
이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인도 보행자의 위치 및 움직임을 감지하여 알림 신호를 발생시키는 위험 신호 알림 방법은 횡단보도 주변 인도를 보행하는 보행자가 주의 영역(44)으로부터 위험 영역(42)으로 진입하는 경우 경고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3 알림 단계 및 횡단보도 주변 인도를 보행하는 인도 보행자가 인도를 따라 위험 영역(42)을 통과하여 보행하는 경우 주의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4 알림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도 6 및 도 7 참고).
한편, 인도 보행자가 주의 영역(44) 인도를 따라 주의 영역(44)을 통과하여 보행하는 경우에는 위험 신호 알림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이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차도 횡단자의 위치 및 움직임을 감지하여 알림 신호를 발생시키는 위험 신호 알림 방법은 횡단자가 어린이 보호구역 내 차도를 무단 횡단하는 경우 경고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5 알림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5 알림 단계는 차도 횡단자가 보행 신호등(30)이 정지 신호일 때(차량 신호등(20)이 주행 신호일 때) 차도를 횡단하거나 횡단보도가 아닌 곳에서 횡단하는 무단 횡단의 경우 경고 신호를 발생하는 것으로, 교통 신호를 지키지 않고 차도를 횡단하는 보행자에게 경고할 수 있다.
한편, 보행자의 위치 및 움직임을 감지하여 알림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들은 상술한 주행 차량 감지부(110)가 어린이 보호구역 내에서 주행하는 차량(10)을 감지하는 경우 및 주정차 차량 감지부(120)가 주정차 차량(10)을 감지한 경우 중 어느 하나의 경우에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보행자의 위치 및 움직임을 감지하여 알림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들은 주행 차량 감지부(110)가 규정 속도를 초과하여 주행하는 차량(10)을 감지한 경우에 수행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보행자의 위치 및 움직임을 감지하여 알림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들은 어린이 보호구역 내에 주행하는 차량(10)이 있거나 주정차중인 차량(10)이 있을 때 보행자에게 위험 신호를 알리기 위해 수행될 수 있다.
이어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어린이 보호구역 영상 감지 및 위험 신호 알림 시스템의 각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의 어린이 보호구역 영상 감지 및 위험 신호 알림 시스템은 어린이 보호구역에서 주행중인 차량(10)의 영상 및 주행 속도를 감지하는 주행 차량 감지부(110), 주행 차량 감지부(110)로부터 주행 차량(10)의 주행 속도 정보를 전달받아 주행 차량(10)의 운전자에게 주행 속도를 보여주는 속도 표시부(140), 어린이 보호구역 내 차도를 횡단하는 횡단자 및 어린이 보호구역에 설치된 횡단보도의 보행 신호를 대기중인 신호 대기자의 위치 및 움직임을 감지하는 보행자 감지부(130), 횡단자 및 신호 대기자의 위치 및 움직임 정보에 따라 알림 신호를 발생시키는 알림부(150) 및 주행 차량 감지부(110)로부터 주행 차량(10)의 영상 및 주행 속도 정보를 전달받고, 보행자 감지부(130)로부터 횡단자와 신호 대기자의 위치 및 움직임 정보를 전달받아 속도 표시부(140) 및 알림부(150)의 작동을 제어하는 관제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행 차량 감지부(110)는 어린이 보호구역에서 주행중인 차량(10)의 영상 및 주행 속도를 감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주행 차량 감지부(110)는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및 주행 속도를 감지하는 속도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카메라만을 통하여 주행 속도도 감지하는 경우, 카메라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주행 차량 감지부(110)는 속도 표시부(140) 및 관제부(100)로 수집한 영상 및 주행 속도 정보를 송신할 수도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속도 표시부(140)는 주행 차량 감지부(110)로부터 주행 차량(10)의 주행 속도 정보를 전달받아 주행 차량(10)의 운전자에게 주행 속도를 보여줄 수 있다.
또한, 보행자가 차도를 횡단하거나 횡단보도에서 보행 신호를 대기중인 경우, 속도 표시부(140)에 보행자가 있음을 표시할 수도 있으며, 이를 통하여 운전자에게 속도를 줄이고 안전 운전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행자 감지부(130)는 어린이 보호구역 내 차도를 횡단하는 횡단자 및 어린이 보호구역에 설치된 횡단보도의 보행 신호를 대기중인 신호 대기자의 위치 및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카메라를 통해 보행자의 위치 및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보행자 감지부(130)는 상술한 차도 횡단자, 인도 보행자 및 보행 신호 대기자의 위치 및 움직임을 모두 감지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정차 차량 감지부(120)는 어린이 보호구역 내에 주정차중인 차량(10)을 감지할 수 있으며, 주정차 차량(10)의 영상 및 주정차 상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정차 차량 감지부(120)는 어린이 보호구역 내 횡단보도 근처에 설치되어 주정차 차량(10)에 의해 주행중인 차량(10)의 운전자가 보행자를 못보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림부(150)는 횡단자 및 신호 대기자의 위치 및 움직임 정보에 따라 알림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제1 알림 단계 내지 제5 알림 단계의 경우와 같이, 알림부(150)는 경고 신호 또는 주의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경고 신호는 주의 신호보다 소리가 크거나 발생 주기가 짧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알림부(150)는 소리를 발생시켜 위험 신호를 전달할 수도 있으며, 빛을 발생시켜 위험 신호를 전달할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제부(100)는 주행 차량 감지부(110)로부터 주행 차량(10)의 영상 및 주행 속도 정보를 전달받고, 보행자 감지부(130)로부터 횡단자와 신호 대기자의 위치 및 움직임 정보를 전달받아 속도 표시부(140), 알림부(15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관제부(100)는 상술한 주정차 차량 감지부(120)로부터 주정차 차량(10)의 영상 및 주정차 상태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부(160)는 관제부(100)로 전달되는 정보를 수신하거나 관제부(100)에 의해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60)는 주행 차량 감지부(110), 주정차 차량 감지부(120) 및 보행자 감지부(130)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관제부(100)의 지시에 의해 수집한 정보를 기초로 과속 차량(10)이나 주정차 차량(10)에 대한 정보를 경찰서 또는 지자체로 송신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차량
20: 차량 신호등
30: 보행 신호등
40: 감지 영역
42: 위험 영역
44: 주의 영역
100: 관제부
110: 주행 차량 감지부
120: 주정차 차량 감지부
130: 보행자 감지부
140: 속도 표시부
150: 알림부
160: 통신부

Claims (10)

  1. 어린이 보호구역 내에서 차량을 감지하여 주행 속도를 알리고 과속, 신호 위반 및 불법주정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하여 단속하며, 상기 어린이 보호 구역 내 보행자에게 위험 신호를 전달하는 어린이 보호구역 영상 감지 및 위험 신호 알림 방법으로서,
    상기 어린이 보호구역에 설치되는 주행 차량 감지부로부터 상기 어린이 보호구역에서 주행중인 차량의 영상 및 주행 속도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주행 차량 감지부로부터 상기 주행 차량의 주행 속도 정보를 전달받아 속도 표시부가 상기 주행 차량의 운전자에게 주행 속도를 보여주는 단계;
    상기 어린이 보호구역에서 상기 보행자의 위치 및 움직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지하는 보행자 감지부로부터 상기 어린이 보호구역 내 차도를 횡단하는 횡단자와 상기 어린이 보호구역에 설치된 횡단보도의 보행 신호를 대기중인 신호 대기자의 위치 및 움직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는 단계; 및
    상기 횡단자 및 상기 신호 대기자의 위치 및 움직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여 위험도에 따라 알림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어린이 보호구역에 설치되는 주정차 차량 감지부로부터 상기 어린이 보호구역에 주정차중인 차량의 영상 및 주정차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알림 신호 발생 단계는 상기 주행 차량 감지부가 상기 어린이 보호구역에서 주행중인 차량을 감지하는 경우 및 상기 주정차 차량 감지부가 상기 어린이 보호구역에 주정차중인 차량을 감지하는 경우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횡단자 및 상기 신호 대기자에게 위험 신호를 알리기 위해 알림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속도 표시부가 상기 보행자 감지부로부터 상기 횡단자 및 상기 신호 대기자의 위치 및 움직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주행 차량의 운전자에게 상기 횡단자 및 상기 신호 대기자의 유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속도 표시부는 상기 주행 차량의 운전자에게 상기 주행 차량의 주행 속도 및 상기 횡단자 및 상기 신호 대기자의 유무를 보여주어 운전자의 안전운전을 유도하고,
    상기 주행 차량의 주행 속도가 제한 속도를 초과하는 경우, 경찰서 또는 지자체에 상기 주행 차량의 영상 및 주행 속도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주정차 차량의 영상 및 주정차 상태 정보를 경찰서 또는 지자체에 송신하는 단계; 및
    차량 신호등의 신호를 위반하는 상기 주행 차량의 영상 및 신호 위반 정보를 경찰서 또는 지자체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신호 대기자의 위치 및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에서,
    상기 보행자 감지부는 상기 횡단보도의 주변 인도에 형성되는 감지 영역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 영역은,
    상기 횡단보도가 설치된 차도로부터 일정 거리까지 구획되는 위험 영역; 및
    상기 위험 영역으로부터 일정 거리까지 구획되는 주의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위험 영역은 상기 보행자가 인도로부터 상기 횡단보도로 진입 가능하도록 상기 횡단보도가 설치된 상기 차도와 접하여 형성되고,
    상기 주의 영역은 상기 차도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위험 영역과 연결되고,
    상기 알림 신호 발생 단계는 상기 신호 대기자가 상기 주의 영역 또는 상기 위험 영역에 위치함에 따라 상기 알림 신호의 강도를 상이하게 발생시키는, 어린이 보호구역 영상 감지 및 위험 신호 알림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 신호 발생 단계는,
    상기 신호 대기자가 상기 위험 영역에 대기중인 경우, 경고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1 알림 단계를 포함하는, 어린이 보호구역 영상 감지 및 위험 신호 알림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 신호 발생 단계는,
    상기 신호 대기자가 상기 주의 영역에 대기중인 경우, 주의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2 알림 단계를 포함하는, 어린이 보호구역 영상 감지 및 위험 신호 알림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 신호 발생 단계는,
    상기 횡단보도 주변 인도를 보행하는 보행자가 상기 주의 영역으로부터 상기 위험 영역으로 진입하는 경우 경고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3 알림 단계를 포함하는, 어린이 보호구역 영상 감지 및 위험 신호 알림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 신호 발생 단계는,
    상기 횡단보도 주변 인도를 보행하는 보행자가 인도를 따라 상기 위험 영역을 통과하여 보행하는 경우 주의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4 알림 단계를 포함하는, 어린이 보호구역 영상 감지 및 위험 신호 알림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 신호 발생 단계는,
    상기 횡단자가 상기 어린이 보호구역 내 차도를 무단 횡단하는 경우 경고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5 알림 단계를 포함하는, 어린이 보호구역 영상 감지 및 위험 신호 알림 방법.
  8. 삭제
  9. 삭제
  10. 어린이 보호구역에서 주행중인 차량의 영상 및 주행 속도를 감지하는 주행 차량 감지부;
    상기 주행 차량 감지부로부터 상기 주행 차량의 주행 속도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주행 차량의 운전자에게 주행 속도를 보여주는 속도 표시부;
    상기 어린이 보호구역 내 차도를 횡단하는 횡단자 및 상기 어린이 보호구역에 설치된 횡단보도의 보행 신호를 대기중인 신호 대기자의 위치 및 움직임을 감지하는 보행자 감지부;
    상기 횡단자 및 상기 신호 대기자의 위치 및 움직임 정보에 따라 알림 신호를 발생시키는 알림부; 및
    상기 주행 차량 감지부로부터 상기 주행 차량의 영상 및 주행 속도 정보를 전달받고, 상기 보행자 감지부로부터 상기 횡단자와 상기 신호 대기자의 위치 및 움직임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속도 표시부 및 상기 알림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관제부를 포함하고,
    상기 어린이 보호구역에 설치되어 상기 어린이 보호구역에 주정차중인 차량의 영상 및 주정차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주정차 차량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알림부는 상기 주행 차량 감지부가 상기 어린이 보호구역에서 주행중인 차량을 감지하는 경우 및 상기 주정차 차량 감지부가 상기 어린이 보호구역에 주정차중인 차량을 감지하는 경우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횡단자 및 상기 신호 대기자에게 위험 신호를 알리기 위해 알림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속도 표시부는 상기 보행자 감지부로부터 상기 횡단자 및 상기 신호 대기자의 위치 및 움직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주행 차량의 운전자에게 상기 횡단자 및 상기 신호 대기자의 유무를 표시하고,
    상기 속도 표시부는 상기 주행 차량의 운전자에게 상기 주행 차량의 주행 속도 및 상기 횡단자 및 상기 신호 대기자의 유무를 보여주어 운전자의 안전운전을 유도하고,
    상기 관제부는 상기 주정차 차량 감지부로부터 주정차 차량의 영상 및 주정차 상태 정보를 전달받고,
    상기 관제부로 전달되는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주행 차량의 주행 속도가 제한 속도를 초과하는 경우 경찰서 또는 지자체에 상기 주행 차량의 영상 및 주행 속도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주정차 차량의 영상 및 주정차 상태 정보를 경찰서 또는 지자체 송신하고,
    상기 통신부는 차량 신호등의 신호를 위반하는 상기 주행 차량의 영상 및 신호 위반 정보를 경찰서 또는 지자체에 송신하고,
    상기 보행자 감지부는 상기 횡단보도의 주변 인도에 형성되는 감지 영역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 영역은,
    상기 횡단보도가 설치된 차도로부터 일정 거리까지 구획되는 위험 영역; 및
    상기 위험 영역으로부터 일정 거리까지 구획되는 주의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위험 영역은 상기 보행자가 인도로부터 상기 횡단보도로 진입 가능하도록 상기 횡단보도가 설치된 상기 차도와 접하여 형성되고,
    상기 주의 영역은 상기 차도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위험 영역과 연결되고,
    상기 알림부는 상기 신호 대기자가 상기 주의 영역 또는 상기 위험 영역에 위치함에 따라 상기 알림 신호의 강도를 상이하게 발생시키는, 어린이 보호구역 영상 감지 및 위험 신호 알림 시스템.
KR1020210058192A 2020-06-26 2021-05-04 어린이 보호구역 영상 감지 및 위험 신호 알림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4520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8192A KR102452046B1 (ko) 2020-06-26 2021-05-04 어린이 보호구역 영상 감지 및 위험 신호 알림 방법 및 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8752A KR102251053B1 (ko) 2020-06-26 2020-06-26 어린이 보호구역 영상 감지 및 위험 신호 알림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0210058192A KR102452046B1 (ko) 2020-06-26 2021-05-04 어린이 보호구역 영상 감지 및 위험 신호 알림 방법 및 그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8752A Division KR102251053B1 (ko) 2020-06-26 2020-06-26 어린이 보호구역 영상 감지 및 위험 신호 알림 방법 및 그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808A KR20220000808A (ko) 2022-01-04
KR102452046B1 true KR102452046B1 (ko) 2022-10-07

Family

ID=7591865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8752A KR102251053B1 (ko) 2020-06-26 2020-06-26 어린이 보호구역 영상 감지 및 위험 신호 알림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0210058192A KR102452046B1 (ko) 2020-06-26 2021-05-04 어린이 보호구역 영상 감지 및 위험 신호 알림 방법 및 그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8752A KR102251053B1 (ko) 2020-06-26 2020-06-26 어린이 보호구역 영상 감지 및 위험 신호 알림 방법 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2510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7106B1 (ko) * 2021-09-24 2022-10-20 (주)큐엔큐 지능형 영상 감시 장치를 구비한 비콘 기반의 교통사고 예방시스템
KR20230054920A (ko) 2021-10-18 2023-04-25 아이씨유테크 주식회사 Ai를 이용한 사각지대 보행자의 차량 충돌방지 안내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6125B1 (ko) * 2009-08-28 2010-05-06 에이치씨테크(주) 어린이 보호구역용 통합 보안 시스템 및 그 작동 방법
KR101806470B1 (ko) * 2017-09-21 2018-01-10 (주)패스넷 비콘신호를 이용한 보행자 보호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6759A (ko) * 2006-06-08 2006-11-15 (주)한일에스티엠 어린이보호구역 통합 감시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00000304A (ko) 2008-06-24 2010-01-06 주식회사 엔텍 어린이 보호구역 내의 과속 차량 검지 시스템
KR101048369B1 (ko) * 2008-12-22 2011-07-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차량의 자동 주차 방법 및 그 장치
KR101635477B1 (ko) * 2015-12-29 2016-07-07 임철수 횡단보도의 교통신호안전시스템
KR200481229Y1 (ko) * 2015-09-22 2016-09-05 주식회사 창우 도로의 점멸신호 안전관리 시스템
KR101933789B1 (ko) * 2017-05-02 2019-03-15 이지환 보행자 안전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6125B1 (ko) * 2009-08-28 2010-05-06 에이치씨테크(주) 어린이 보호구역용 통합 보안 시스템 및 그 작동 방법
KR101806470B1 (ko) * 2017-09-21 2018-01-10 (주)패스넷 비콘신호를 이용한 보행자 보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1053B1 (ko) 2021-05-12
KR20220000808A (ko) 2022-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0340B1 (ko) 라이다를 이용한 교차로 운행 및 보행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KR102280338B1 (ko) 상황 예측 기반 교차로 위험 경보 시스템
KR101554971B1 (ko) 횡단보도의 보행자안전시스템
KR20140046953A (ko) 충돌 경고 장치 및 충돌 경고 방법
KR102296105B1 (ko) 스마트 센서 기반의 횡단보도 보행안전지원 시스템
JP4706315B2 (ja) 車両の運転支援システム
KR102452046B1 (ko) 어린이 보호구역 영상 감지 및 위험 신호 알림 방법 및 그 시스템
RU2598362C1 (ru) Система предупреждения столкновений участников дорожного движения
KR102002860B1 (ko) 보행자를 보호하는 알림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508510B1 (ko) 도로설치 기반 도로표면 레이저 마킹 시스템 및 방법
KR101917827B1 (ko) 난폭 운전 탐지 장치
KR102310435B1 (ko) 차량의 접근을 감지하여 보행자에게 경고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20200219396A1 (en) Automated detection of traffic incidents via intelligent infrastructure sensors
KR101855301B1 (ko) 교통보행 위험지역 내 차량진입 알림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KR20160134016A (ko) 시야 사각지대 위험 감지 및 알림 시스템
KR102107791B1 (ko) 어린이 보호구역의 안전속도준수 제어시스템
KR102226533B1 (ko) 일체형 가로등주로 구성된 스마트 도로 조명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180002976A (ko) 교통사고를 줄일 수 있는 횡단보도 신호 제어 방법
KR101466463B1 (ko) 일체형 통행 위반 경고 시스템
KR100980486B1 (ko) 횡단보도 보행자 사전 감지 및 안전운전 경고장치
KR100923586B1 (ko) 어린이보호구역 내 신호등 판별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정보 표시 방법
KR20100000306A (ko) 스쿨존 종합 교통 관리 시스템
KR101233929B1 (ko) 통행 위반 경고 시스템
KR20210135009A (ko) 어린이 보호 구역 내 보행자 교통 안전 시스템
KR101508663B1 (ko) 영상감지를 이용한 교통체계 컨트롤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