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3789B1 - 보행자 안전시스템 - Google Patents

보행자 안전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3789B1
KR101933789B1 KR1020170056063A KR20170056063A KR101933789B1 KR 101933789 B1 KR101933789 B1 KR 101933789B1 KR 1020170056063 A KR1020170056063 A KR 1020170056063A KR 20170056063 A KR20170056063 A KR 20170056063A KR 101933789 B1 KR101933789 B1 KR 1019337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sswalk
pedestrian
objects
traversing
monitor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60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2081A (ko
Inventor
이지환
장수희
Original Assignee
이지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지환 filed Critical 이지환
Priority to KR10201700560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3789B1/ko
Publication of KR201801220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20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37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37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6K9/00369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03Static body considered as a whole, e.g. static pedestrian or occupant recogni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행자 안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한 쌍의 기둥; 감시수단; 카운터수단; 및 제어수단; 을 포함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경보가 차량 운전자에게 전달될 수 있어 보행자의 보행안전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횡단보도에서 일어나는 교통사고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횡단보도에서의 사고 발생시 정확한 증거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보행자 안전시스템{SAFETY SYSTEM FOR PEDESTRIAN}
본 발명은 보행자 안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보다 효과적으로 경보가 차량 운전자에게 전달될 수 있어 보행자의 보행안전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횡단보도에서 일어나는 교통사고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횡단보도에서의 사고 발생시 정확한 증거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보행자 안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에는 보행자가 안전하게 도로를 횡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노면에 횡단보도 표시를 하고 신호등을 설치하여 보행자가 안전하게 도로를 횡단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신호등은 보행자 이동신호와 보행자 정지신호가 소정의 시간동안 교번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는데, 정형화된 시간 간격에 따라 신호가 바뀌기 때문에 노약자나 장애인 등과 같이 걸음이 느린 보행자의 경우 다 건너지 못한 상태에서 보행자 정지신호가 표시되어 보행에 어려움을 줄 뿐만 아니라 통행 신호를 보고 달려오는 자동차에 의해 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이 보완된 보행자 안전시스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1-0103326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다 효과적으로 경보가 차량 운전자에게 전달될 수 있어 보행자의 보행안전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횡단보도에서 일어나는 교통사고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보행자 안전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횡단보도에서의 사고 발생시 정확한 증거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보행자 안전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보행자 안전시스템에 있어서, 횡단보도를 사이에 두고 설치되는 한 쌍의 기둥; 기둥에 각각 설치되고, 횡단보도에 근접하는 객체를 감지하며, 객체가 횡단보도를 횡단하는지의 여부를 감시하는 감시수단; 객체가 횡단보도를 횡단하기 전의 횡단 전 객체 숫자를 집계하고, 횡단보도를 횡단한 후의 횡단 후 객체 숫자를 집계하는 카운터수단; 및 카운터수단에 의해 집계된 횡단 전 객체 숫자와 횡단 후 객체 숫자를 비교하여 차이가 있는 경우 경보부를 통해 횡단보도를 향해 접근하는 차량의 운전자에게 경보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 을 포함하는 보행자 안전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감시수단은, 횡단보도의 신호가 보행자 이동신호인 상태에서 객체가 횡단보도로부터 차도측으로 이탈하는지의 여부를 감시하고, 감시수단을 통해 객체가 횡단보도로부터 차도측으로 이탈하는 것이 감지되는 경우, 카운터수단은, 횡단보도로부터 차도측으로 이탈한 객체의 이탈객체 숫자를 집계하고, 제어수단은, 횡단 전 객체 숫자와 횡단 후 객체 숫자의 비교시 횡단 전 객체 숫자에서 이탈객체 숫자를 차감하여 비교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어수단은, 횡단보도의 신호가 보행자 이동신호인 상태에서, 감시수단을 통해 차량이 횡단보도를 침범하는 것이 감지되는 경우 감시수단이 차량 주위를 촬영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어수단은, 횡단보도의 신호가 보행자 정지신호인 상태에서, 감시수단을 통해 객체가 횡단보도를 횡단하는 것이 감지되는 경우 횡단보도를 향해 접근하는 차량의 운전자에게 경보부를 통해 경보가 출력되도록 하고, 감시수단이 객체 주위를 촬영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감시수단은, 객체의 높이를 파악하여 제어수단에 전송하고, 제어수단은, 감시수단으로부터 전송된 객체의 높이를 통해 객체가 사람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감시수단은, 인도에 설정되는 제1 설정구역과, 제1 설정구역에 접하고 인도의 일부와 차도의 일부를 포함하여 횡단보도의 말단측에 설정되는 제2 설정구역을 촬영하고, 제1 설정구역, 제2 설정구역 중 어느 하나에 진입한 객체의 높이를 파악하는 제1 촬영부; 및 객체가 횡단보도를 횡단하는지의 여부와 객체가 횡단보도로부터 차도측으로 이탈하는지의 여부를 감시하는 제2 촬영부; 를 포함하고, 제어수단은, 제1 및 제2 촬영부에 의해 촬영된 촬영영상을 전송받고, 제1 설정영역, 제2 설정영역 중 어느 하나에 진입한 객체가 사람인 경우 객체별 식별번호의 부여 및 위치 체크를 수행하며, 횡단보도의 신호가 보행자 정지신호인 상태에서 제1 촬영부를 통해 객체의 이동방향이 제2 설정영역으로부터 횡단보도측으로 이동하는 방향성을 갖는 것으로 파악되면서 제2 촬영부를 통해 객체가 차도 또는 횡단보도에 진입하는 것이 감지되는 경우 경보부를 통해 경보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보다 효과적으로 경보가 차량 운전자에게 전달될 수 있어 보행자의 보행안전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횡단보도에서 일어나는 교통사고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보행자 안전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횡단보도에서의 사고 발생시 정확한 증거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안전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보행자 안전시스템이 횡단보도에 적용된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행자 안전시스템이 횡단보도에 적용된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안전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안전시스템이 사용되는 상태의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안전시스템이 사용되는 상태의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보행자 안전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안전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보행자 안전시스템이 횡단보도에 적용된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안전시스템(100)은 크게 기둥(10)과 감시수단(20), 카운터수단(30) 및 제어수단(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기둥(10)은 횡단보도(CrossWalk; CW)를 사이에 두고 설치되는 한 쌍으로 구성되는데, 소정의 높이를 갖는 금속이나 합성수지 재질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하단은 지면에 형성된 콘크리트 기초위에 앵커볼트 등을 이용하여 흔들림 없도록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기둥(10)은 본 발명에 따른 보행자 안전시스템(100)을 횡단보도(CW)에 적용하기 위해 별도로 설치될 수도 있으나,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차량 신호등(Traffic Light; TL)이나 보행자 신호등(Pedestrian Light; PL)을 이용할 수도 있다.
감시수단(20)은 기둥(10)에 각각 설치되고, 횡단보도(CW)에 근접하는 객체를 감지하며, 객체가 횡단보도(CW)를 횡단하는지의 여부를 감시하는 구성요소로써, 본 발명에서는 카메라를 감시수단(20)으로 사용하게 된다. 감시수단(20)은 기둥(10)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고, 기둥(10)에 별도의 횡바를 설치한 후 이러한 횡바에 설치될 수도 있다.
카운터수단(30)은 객체가 횡단보도(CW)를 횡단하기 전의 횡단 전 객체 숫자를 집계하고, 횡단보도(CW)를 횡단한 후의 횡단 후 객체 숫자를 집계하는 구성요소로, 감시수단(20)과 마찬가지로 한 쌍의 기둥(10)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제어수단(40)은 카운터수단(30)에 의해 집계된 횡단 전 객체 숫자와 횡단 후 객체 숫자를 비교하여 차이가 있는 경우 경보부(42)를 통해 횡단보도(CW)를 향해 접근하는 차량의 운전자에게 경보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구성요소이다.
이 외에, 제어수단(40)을 보행자 신호등(PL)이나 차량 신호등(TL)과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하여 신호등의 신호 변화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한 후 횡단보도(CW)의 신호가 보행자 이동신호인 상태에서, 감시수단(20)을 통해 차량이 횡단보도(CW)를 침범하는 것이 감지되는 경우 감시수단(20)이 차량 주위를 촬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차량 정지 신호를 위반한 차량의 이미지를 촬영하여 횡단보도(CW)에서 사고가 발생했을 때 시스템 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거나, 촬영한 이미지를 외부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하여 정지 신호의 위반 및 사고를 발생시킨 차량을 쉽게 단속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제어수단(40)은 횡단보도(CW)의 신호가 보행자 정지신호인 상태에서, 감시수단(20)을 통해 객체, 특히 사람이 횡단보도(CW)를 횡단(무단횡단)하는 것이 감지되는 경우 횡단보도(CW)를 향해 접근하는 차량의 운전자에게 경보부(42)를 통해 경보가 출력되도록 하고, 감시수단(20)이 객체 주위를 촬영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차량의 운전자 뿐만 아니라 무단횡단을 시도하는 객체에게도 스피커 등을 통해 경고음을 출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경보부(42)는 광원을 출력하는 경고등이나 엘이디(LED)로 구성되어 경고메시지를 출력하는 메시지 보드, 경고음을 송출하는 스피커, 3D 홀로그램을 통해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홀로그램 장치 등 다양한 장치를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차량 신호등(TL)과 유사한 위치에 설치되어 점멸되거나 문자 등을 표시할 수 있는 메시지 보드를 사용한다. 또한, 보행자 안전시스템(100)에 횡단보도(CW)를 향해 근접해 오는 차량의 속도를 검출하는 속도검출장치를 더 설치하고, 이러한 속도검출장치를 통해 검출된 차량의 속도에 따라 경보부(42), 예를 들어 엘이디의 점멸 속도를 증감시키거나 스피커의 경고음 크기 정도를 증감시키는 등과 같이 적절하게 응용하여 구성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보행자 안전시스템(100)에서는 감시수단(20)이 횡단보도(CW)에 근접하는 객체에 대한 명확한 분석, 예컨대 객체가 사람인지 강아지나 고양이와 같은 동물인지, 바람 등에 의해 날아가는 종이나 낙엽인지 등에 대한 분석을 명확하게 수행하여 하기의 카운터수단(30)이나 제어수단(40)이 보다 원활하게, 즉 보행자 안전시스템(100)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감시수단(20)으로 하여금 횡단보도(CW)에 근접한 객체의 높이를 파악하여 제어수단(40)에 전송하도록 구성하고, 제어수단(40)은 감시수단(20)으로부터 전송된 객체의 높이를 통해 객체가 사람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도록 하고, 해당 객체의 위치를 체크할 수 있게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쌍의 카메라를 나란히 설치하고, 나란히 설치된 카메라 중 어느 하나의 영상과 카메라 중 다른 하나의 영상 간의 변위로부터 깊이, 즉 한 쌍의 카메라와 객체 사이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즉, 카메라 중 어느 하나와 다른 하나로부터 입력된 영상의 광축을 서로 일치시켜 서로 간의 거리를 구할 수 있고, 각 카메라의 초점 거리, 그리고 변위(카메라 중 어느 하나의 영상을 기준 영상으로 할 경우 카메라 중 다른 하나의 영상에서 카메라 중 어느 하나의 영상 중 임의의 화소에 대응하는 화소의 위치 변화량)를 알면 계산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객체의 높이를 파악하고, 이를 통해 객체의 사람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나아가 사람인 경우에도 해당 객체가 어른인지 어린이인지를 대략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행자 안전시스템이 횡단보도에 적용된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에 나타나는 것과 같이, 객체인 사람이 횡단보도(CW)를 횡단하다가 횡단보도(CW)의 끝까지 횡단하지 않고 횡단보도(CW)를 이탈하여 차도측을 통해 횡단하거나, 차량에 탑승하여 사라지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카운터수단(30)에 의해 집계된 횡단 전 객체 숫자와 횡단 후 객체 숫자는 당연히 차이가 발생할 수 밖에 없으며, 아무런 문제가 없음에도 경보부(42)에서 차량의 운전자에게 경보가 출력, 즉 시스템 오류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보행자 안전시스템(100)의 원활한 운영을 위해 감시수단(20)은 횡단보도(CW)의 신호가 보행자 이동신호인 상태에서 객체가 횡단보도(CW)로부터 차도측으로 이탈하는지의 여부를 감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감시수단(20)을 통해 객체가 횡단보도(CW)로부터 차도측으로 이탈하는 것이 감지되는 경우, 카운터수단(30)은 횡단보도(CW)로부터 차도측으로 이탈한 객체의 이탈객체 숫자를 집계하게 된다.
따라서, 제어수단(40)은 횡단 전 객체 숫자와 횡단 후 객체 숫자의 비교시 횡단 전 객체 숫자에서 이탈객체 숫자를 차감하여 비교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시스템 오류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안전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에 나타나는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안전시스템(100)은 전술한 제1 실시예와 거의 유사하나, 감시수단(20)이 제1 촬영부(22)와 제2 촬영부(24)로 나뉘어 구성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감시수단(20) 중 제1 촬영부(22)는 실질적으로 객체의 첫 등장 감지, 객체의 사람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본 발명에서는 인도에 설정되는 제1 설정구역(Z1)과, 제1 설정구역(Z1)에 접하고 인도의 일부와 차도의 일부를 포함하여 횡단보도(CW)의 말단측에 설정되는 제2 설정구역(Z2)을 촬영하고, 제1 설정구역(Z1), 제2 설정구역(Z2) 중 어느 하나에 진입한 객체의 높이를 파악하는 구성요소로,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를 갖는 위치에서 지면측을 바라보도록 설치된다.
감시수단(20) 중 제2 촬영부(24)는 객체가 횡단보도(CW)를 횡단하는지의 여부와 객체가 횡단보도(CW)로부터 차도측으로 이탈하는지의 여부를 감시하는 구성요소로, 횡단보도(CW)측을 바라보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제어수단(40)은 제1 및 제2 촬영부(22, 24)에 의해 촬영된 촬영영상을 전송받고, 제1 설정영역, 제2 설정영역 중 어느 하나에 진입한 객체가 사람인 경우 객체별 식별번호의 부여 및 위치 체크를 수행하게 된다. 이때, 객체 당 식별번호를 부여하면서 횡단보도(CW)를 횡단하기 전의 횡단 전 객체 숫자가 집계된다.
또한, 제어수단(40)은 횡단보도(CW)의 신호가 보행자 정지신호인 상태에서 제1 촬영부(22)를 통해 객체의 이동방향이 제2 설정영역으로부터 횡단보도(CW)측으로 이동하는 방향성을 갖는 것으로 파악되면서, 제2 촬영부(24)를 통해 객체가 차도 또는 횡단보도(CW)에 진입하는 것이 감지되는 경우 경보부(42)를 통해 경보가 출력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즉, 객체가 횡단보도(CW)측으로 이동 중이라는 조건과 함께 차도나 횡단보도(CW)에 진입하는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경우 객체가 무단횡단을 시도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경보가 출력되도록 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2 실시예에서도 신호등의 신호가 보행자 이동신호인 상태에서 감시수단(20)을 통해 차량이 횡단보도(CW)를 침범하는 것이 감지되는 경우 감시수단(20)이 차량 주위를 촬영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사람이 횡단보도(CW)를 횡단(무단횡단)하는 것이 감지되는 경우 무단횡단을 시도하는 객체에게 스피커 등을 통해 경고음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지금부터는 본 발명에 따른 보행자 안전시스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안전시스템이 사용되는 상태의 순서도이다.
도 5를 살펴보면, 먼저 횡단보도(CW)에 근접한 객체를 감지(S100)하게 된다. 이때, 횡단보도(CW)에 제1 설정구역(Z1)과 제2 설정구역(Z2)을 설정한 경우 제1 설정구역(Z1) 또는 제2 설정구역(Z2)에 진입한 객체를 감지하게 된다. 여기서, 감시수단(20)은 전원이 오프(Off)인 상태로 대기하고 있다가 객체가 감지되는 경우 전원이 온(On)되면서 보행자 안전시스템(100)이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음, 횡단보도(CW)에 근접한 객체의 숫자를 집계, 즉 카운터수단(30)에서 횡단 전 객체의 숫자를 집계(S200)한다. 여기서, 횡단보도(CW)에 근접한 객체가 다수일 수 있으며, 이를 구분하여 숫자를 집계할 수 있도록 식별번호를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ㄷ다. 이처럼 식별번호를 부여하게 되면 각각의 객체의 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게 되며, 이러한 식별번호의 부여는 객체가 다수일 때 뿐만 아니라 단수일 경우에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감시수단(20)이 객체의 높이를 파악하도록 구성하여 제어수단(40)이 이를 통해 객체가 사람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사람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예를 들어 해당 객체가 동물이나 낙엽 등과 같은 경우에는 보행자 안전시스템(100)이 더 이상의 동작을 정지하고 대기 상태를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후, 신호등의 신호가 보행자 정지신호에서 보행자 이동신호로 바뀌게 되면(S300), 객체가 횡단보도(CW)를 횡단하게 된다.
객체의 횡단이 완료되면 카운터 수단은 횡단 후 객체의 숫자를 집계(S400)하게 되며, 제어수단(40)은 횡단 전 객체 숫자와 횡단 후 객체의 숫자를 비교(S500)하여 동일한 경우 보행자 안전시스템(100)이 객체를 감지할 때까지 대기 상태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고, 만약 횡단 전 객체 숫자와 횡단 후 객체의 숫자에 차이가 있는 경우 경보부(42)를 통해 경보를 출력(S600)하여 횡단보도(CW)에 접근하는 차량의 운전자에게 알리게 된다.
그리고, 도 6에 나타나는 보행자 안전시스템(100)의 경우 도 5에 도시된 보행자 안전시스템(100)과 유사하나 객체가 횡단보도(CW)에서 차도측으로 이탈이 발생하는지의 여부에 따라 도 5와 같은 동작을 수행하거나 도 5와 다른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즉, 객체를 감지(S100)하고, 횡단 전 객체의 숫자를 집계(S200)하며, 보행자 이동신호(S300)시 객체가 횡단보도(CW)를 횡단하게 되는데, 객체가 횡단보도(CW)에서 차도측으로 이탈하는지의 여부에 따라 이탈하는 객체가 없으면 도 5와 마찬가지로 횡단 후 객체의 숫자를 집계(S400)하고, 횡단 전 객체 숫자와 횡단 후 객체의 숫자를 비교(S500)하여 차이가 있는 경우 경보부(42)를 통해 경보를 출력(S600)하게 된다.
그런데, 객체가 횡단보도(CW)에서 차도측으로 이탈하는 것이 감지되면, 카운터수단(30)은 이탈한 객체의 숫자를 집계(S360)하며, 제어수단(40)에서는 횡단 전 객체 숫자에서 이탈한 객체의 숫자를 차감(S370)한다.
이후, 이탈한 객체의 숫자를 차감한 횡단 전 객체 숫자와 횡단 후 객체의 숫자를 비교하여 동일하면 도 5와 마찬가지로 보행자 안전시스템(100)이 객체를 감지할 때까지 대기 상태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고, 차이가 있으면 경보부(42)를 통해 경보를 출력(S600)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안전시스템이 사용되는 상태의 순서도이다.
도 7에 나타나는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안전시스템(100)은 전술한 제1 실시예, 특히 도 6에 나타나는 보행자 안전시스템(100)과 거의 동일하나 보행자 정지신호인 상태에서 객체가 무단횡단을 시도하는 경우 도 6과 다른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우선 제1 설정구역(Z1), 제2 설정구역(Z2) 중 어느 하나에 객체의 진입을 감지(S100)하게 되면, 감시수단(20)을 통해 감지한 해당 객체의 높이를 파악(S110)한 후 제어수단(40)에서 해당 객체의 사람여부를 판단(S120)하여 사람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계속해서 보행자 안전을 위한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다음, 감지된 해당 객체에 식별번호 부여하게 되며, 이를 통해 횡단 전 객체의 숫자 집계 및 위치 체크(S200)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신호등의 신호가 보행자 이동신호인 상태(S300)에서 객체가 횡단보도(CW)를 횡단하게 되면, 도 6과 마찬가지로 객체가 횡단보도(CW)에서 차도측으로 이탈하는지의 여부에 따라 횡단 전 객체 숫자와 횡단 후 객체의 숫자를 비교(S500)하거나, 이탈한 객체의 숫자를 차감(S360)한 횡단 전 객체 숫자와 횡단 후 객체의 숫자를 비교(S370)하여 차이가 있으면 경보부(42)를 통해 경보를 출력(S600)한다.
그런데, 신호등의 신호가 보행자 이동신호가 아닌 보행자 정지신호인 상태(S300)에서 객체가 무단횡단을 시도하고자 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감시수단(20), 특히 제1 촬영부(22)를 통한 객체의 이동방향을 체크(S310)하고, 제2 촬영부(24)를 통해 객체가 차도 또는 횡단보도(CW)에 진입하는지를 체크(S320)하여 이를 모두 충족하는 경우 경보가 출력(S600)된다.
즉, 객체의 이동방향이 제2 설정영역에서 횡단보도(CW)측으로의 방향성을 갖는 것이 첫번째이고, 객체가 차도 또는 횡단보도(CW)에 진입하는 것이 두번째로 해당 객체의 행동이 이를 모두 충족하게 되면 해당 객체가 무단횡단을 시도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차량 운전자에게 이를 알리도록 하는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보행자 안전시스템(100)은 보다 효과적으로 경보가 차량 운전자에게 전달될 수 있어 보행자의 보행안전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횡단보도(CW)에서 일어나는 교통사고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횡단보도(CW)에서의 사고 발생시 정확한 증거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 기둥 20: 감시수단
22: 제1 촬영부 24: 제2 촬영부
30: 카운터수단 40: 제어수단
42: 경보부 100: 보행자 안전시스템
CW: 횡단보도 PL: 보행자 신호등
TL: 차량 신호등 Z1: 제1 설정구역
Z2: 제2 설정구역

Claims (6)

  1. 보행자 안전시스템에 있어서,
    횡단보도를 사이에 두고 설치되는 한 쌍의 기둥;
    상기 기둥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횡단보도에 근접하는 객체를 감지하며, 상기 객체가 상기 횡단보도를 횡단하는지의 여부를 감시하는 감시수단;
    상기 객체가 상기 횡단보도를 횡단하기 전의 횡단 전 객체 숫자를 집계하고, 상기 횡단보도를 횡단한 후의 횡단 후 객체 숫자를 집계하는 카운터수단; 및
    상기 카운터수단에 의해 집계된 횡단 전 객체 숫자와 횡단 후 객체 숫자를 비교하여 차이가 있는 경우 경보부를 통해 상기 횡단보도를 향해 접근하는 차량의 운전자에게 경보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
    을 포함하는 보행자 안전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수단은,
    상기 횡단보도의 신호가 보행자 이동신호인 상태에서 상기 객체가 상기 횡단보도로부터 차도측으로 이탈하는지의 여부를 감시하고,
    상기 감시수단을 통해 상기 객체가 상기 횡단보도로부터 차도측으로 이탈하는 것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카운터수단은,
    상기 횡단보도로부터 차도측으로 이탈한 상기 객체의 이탈객체 숫자를 집계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횡단 전 객체 숫자와 상기 횡단 후 객체 숫자의 비교시 상기 횡단 전 객체 숫자에서 상기 이탈객체 숫자를 차감하여 비교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안전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횡단보도의 신호가 보행자 이동신호인 상태에서,
    상기 감시수단을 통해 차량이 상기 횡단보도를 침범하는 것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감시수단이 상기 차량 주위를 촬영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안전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횡단보도의 신호가 보행자 정지신호인 상태에서,
    상기 감시수단을 통해 상기 객체가 상기 횡단보도를 횡단하는 것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횡단보도를 향해 접근하는 차량의 운전자에게 상기 경보부를 통해 경보가 출력되도록 하고, 상기 감시수단이 상기 객체 주위를 촬영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안전시스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수단은,
    상기 객체의 높이를 파악하여 상기 제어수단에 전송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감시수단으로부터 전송된 상기 객체의 높이를 통해 상기 객체가 사람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안전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수단은,
    인도에 설정되는 제1 설정구역과, 상기 제1 설정구역에 접하고 상기 인도의 일부와 차도의 일부를 포함하여 횡단보도의 말단측에 설정되는 제2 설정구역을 촬영하고, 상기 제1 설정구역, 상기 제2 설정구역 중 어느 하나에 진입한 상기 객체의 높이를 파악하는 제1 촬영부; 및
    상기 객체가 상기 횡단보도를 횡단하는지의 여부와 상기 객체가 상기 횡단보도로부터 차도측으로 이탈하는지의 여부를 감시하는 제2 촬영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제1 및 제2 촬영부에 의해 촬영된 촬영영상을 전송받고, 상기 제1 설정구역, 상기 제2 설정구역 중 어느 하나에 진입한 상기 객체가 사람인 경우 상기 객체별 식별번호의 부여 및 위치 체크를 수행하며,
    상기 횡단보도의 신호가 보행자 정지신호인 상태에서 상기 제1 촬영부를 통해 상기 객체의 이동방향이 상기 제2 설정구역으로부터 상기 횡단보도측으로 이동하는 방향성을 갖는 것으로 파악되면서 상기 제2 촬영부를 통해 상기 객체가 상기 차도 또는 상기 횡단보도에 진입하는 것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경보부를 통해 경보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안전시스템.
KR1020170056063A 2017-05-02 2017-05-02 보행자 안전시스템 KR1019337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6063A KR101933789B1 (ko) 2017-05-02 2017-05-02 보행자 안전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6063A KR101933789B1 (ko) 2017-05-02 2017-05-02 보행자 안전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2081A KR20180122081A (ko) 2018-11-12
KR101933789B1 true KR101933789B1 (ko) 2019-03-15

Family

ID=64398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6063A KR101933789B1 (ko) 2017-05-02 2017-05-02 보행자 안전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37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47864A (zh) * 2019-12-17 2020-04-21 浙江大华技术股份有限公司 闯红灯的警告方法、警告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KR102251053B1 (ko) * 2020-06-26 2021-05-12 (주)송우인포텍 어린이 보호구역 영상 감지 및 위험 신호 알림 방법 및 그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17086A (ja) 2002-01-23 2003-07-31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歩行者感応信号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9501B1 (ko) 2000-05-09 2003-06-27 유창열 보행자 보호용 신호등 제어방법
KR101385525B1 (ko) * 2012-07-27 2014-04-15 휴앤에스(주) 스쿨존 안전통행 시스템
KR101529620B1 (ko) * 2014-07-28 2015-06-22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이동 방향별 보행자 계수 방법 및 장치
KR20160067435A (ko) * 2014-12-04 2016-06-14 주식회사 창우 횡단보도의 무단횡단 알림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17086A (ja) 2002-01-23 2003-07-31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歩行者感応信号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2081A (ko) 2018-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7296B1 (ko) 보행안전시스템
KR101739988B1 (ko) 무신호 횡단보도에서의 보행자 보호 시스템
KR101861208B1 (ko) 횡단보도 안전시스템
KR101904762B1 (ko) 우회전 진입경고신호를 표시하는 보행자 신호등
US2015008479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safety of pedestrian at crosswalk
US20220172626A1 (en) System for warning about intersection danger based on situation prediction
KR102020340B1 (ko) 라이다를 이용한 교차로 운행 및 보행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KR102181222B1 (ko) 횡단보도 보행자의 안전 관리 시스템
KR101884324B1 (ko) 횡단보도 음성안내 보조장치
KR101554971B1 (ko) 횡단보도의 보행자안전시스템
KR101674443B1 (ko) 보행자 보호를 위한 횡단 보도 안전시스템
KR20160003715U (ko) 우회전 교통사고 예방 시스템
KR101800007B1 (ko) 횡단보도 보행자를 위한 안전지킴 cctv 시스템
KR101446048B1 (ko) 지능형 횡단보도 보행자 보호 장치 및 이를 가진 보호 시스템
KR20120068081A (ko) 횡단보도 보행보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211552B1 (ko) 역주행 방지 방법 및 장치
KR200481229Y1 (ko) 도로의 점멸신호 안전관리 시스템
KR102050064B1 (ko) 횡단 보도 보행자 안전시스템
KR102290649B1 (ko) 횡단보도 진입 안내용 차량 보조신호등
KR101933789B1 (ko) 보행자 안전시스템
KR20160067435A (ko) 횡단보도의 무단횡단 알림 시스템
KR20220117016A (ko) 교통약자 횡단보도 구역 보행자 위치 추적 스마트폴시스템
KR101248584B1 (ko) 보행속도에 따라 녹색현시를 결정하는 신호등 제어방법 및 장치
KR101466463B1 (ko) 일체형 통행 위반 경고 시스템
KR20160128169A (ko) 교차로 위험알림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