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1308B1 - 금속 티오옥토일 히알루로네이트 복합체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금속 티오옥토일 히알루로네이트 복합체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1308B1
KR102451308B1 KR1020220021954A KR20220021954A KR102451308B1 KR 102451308 B1 KR102451308 B1 KR 102451308B1 KR 1020220021954 A KR1020220021954 A KR 1020220021954A KR 20220021954 A KR20220021954 A KR 20220021954A KR 102451308 B1 KR102451308 B1 KR 1024513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hyaluronic acid
metal
magnesium
alph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19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미
Original Assignee
이광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광미 filed Critical 이광미
Priority to KR10202200219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13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13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1308B1/ko
Priority to PCT/KR2023/002389 priority patent/WO202315828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B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Preparation of polysacchar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B1/00 - C08B35/00;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6Heteroglycans, i.e. polysaccharides having more than one sugar residue in the main chain in either alternating or less regular sequence; Gellans; Succinoglycans; Arabinogalactans; Tragacanth or gum tragacanth or traganth from Astragalus; Gum Karaya from Sterculia urens; Gum Ghatti from Anogeissus latifolia;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63Glycosaminoglycans or mucopolysaccharides, e.g. keratan sulfate; Derivatives thereof, e.g. fucoidan
    • C08B37/0072Hyaluronic acid, i.e. HA or hyaluronan; Derivatives thereof, e.g. crosslinked hyaluronic acid (hylan) or hyaluron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or phosphor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5Mucopolysaccharides, e.g. hyaluronic aci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7Compounds covalently linked to a(n inert) carrier molecule, e.g. conjugates, pro-fragran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saccharides And Polysaccharide Derivati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 티오옥토일 히알루로네이트 복합체 및 1) 히알루론산 폴리머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2) 히알루론산 폴리머에 산을 처리하여 히알루론산 올리고머로 전환하는 단계; 3) 히알루론산 올리고머에 금속 수산화물을 처리하여 히알루론산 금속염을 합성하는 단계; 4) 히알루론산 금속염에 염기를 첨가하여 히알루론산 가교 결합 측쇄를 해리시키는 단계; 및 5) 히알루론산 금속염과 알파-리포산의 복합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금속 티오옥토일 히알루로네이트 복합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금속 티오옥토일 히알루로네이트 복합체는 알파-리포산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알파-리포산의 역취를 저감화하며, 금속, 예컨대 마그네슘, 알파-리포산, 및 히알루론산의 경피 흡수율 및 생체 이용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금속 티오옥토일 히알루로네이트 복합체 및 이의 제조 방법{Metal Thiooctoyl Hyaluronate Complex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히알루론산 올리고머를 지지체로 하여 세포 활성화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알파-리포산 및 금속 이온을 결합시켜 수불용성인 알파-리포산과 금속의 용해도 및 이온화율을 향상시키고, 피부에서 항산화 작용 및 피부 보호막 생성을 통한 경피 수분 손실량 감소와 손상 각질층의 정상화를 기대할 수 있는 알파-리포산, 금속, 및 히알루론산의 복합체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알파-리포산(α-lipoic acid)은 일명 티옥트산(thioctic acid)으로도 불리며, 그 산화체인 베타-리포산과 구분된다. 알파-리포산은 1951년에 처음으로 분리되었으며, 1990년대까지 간경변이나 버섯 및 중금속 중독, 다발성 신경질환, 및 괴사성 뇌척수염 등에 대한 의약품으로 적용되어 왔다. 알파-리포산은 지방산의 일종으로 세포내 미토콘드리아에 존재하며, 당대사에 관여하는 필수적인 보효소이다. 알파-리포산은 해당과정의 최종산물인 활성 아세트산의 대사에 관여하여 생명유지의 기본이 되는 ATP를 생산한다. 알파-리포산이 부족하게 되면, 체지방의 축적과 에너지 결손이 초래되어 피로가 누적되고, 두뇌활동 둔화 등의 장해가 일어날 수 있다.
식사로 섭취한 알파-리포산과 그 환원체인 디히드로리포산은 비타민 C나 E, 플라보노이드 등과 같은 다른 항산화 영양소에 비해 강력한 항산화 작용을 갖고 있다. 따라서, 자유 라디칼이 관련된 심장병이나 암, 노화, 당뇨병 등의 발생 예방에 유효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알파-리포산은 기존의 항산화제인 Co-Q10과 비타민 C와 E, 그리고 글루타치온 등의 성분이 산화되었을 때 이들 물질을 다시 재생시키는 효과도 갖고 있다. 그 밖에 활성산소에 의한 피부의 산화적 손상도 예방하거나 경감시킬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에는 알파-리포산을 화장품에 적용하는 사례가 보고되고 있으나(특허문헌 1), 알파-리포산은 지방산의 일종으로 물에 불용성이므로 오일과 함께 혼합하여 가열 용해시켜 제품화에 적용하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산화되어 알파-리포산의 기능적 특성이 저감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고유의 특이취가 강렬해 매우 소량의 저농도로 첨가되고, 인공 향료에 의한 마스킹이 필수적으로 수행되어야 하기 때문에, 알파-리포산의 수용해도 향상과 특이취의 저감화 기술은 알파-리포산을 화장품 원료로 활용하기 위해 반드시 선행되어져야 할 과제라 할 수 있다.
또한, 생체 세포내에서 금속, 예컨대 가장 많은 2가 양이온인 마그네슘은 다양한 세포내 공정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허혈, 부정맥, 고혈압과 같은 심혈관 질환에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을 뿐 아니라, 세포내 에너지 대사, 호르몬 분비 및 조절, 당뇨병과 같은 대사성 질환과도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마그네슘은 경피 흡수율이 낮아 화장품 원료로의 활용도가 제한적인 문제가 있으며, 공기 중 산소와 반응하여 산화물로서 존재하기 때문에 화장품의 원료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유기산 또는 무기산과의 환원반응 및 중화반응을 거쳐 사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최근에는 화장품 보습 원료로써 히알루론산이 각광받고 있으며, 히알루론산에 대한 인식이 증가하면서 히알루론산의 활용도를 증대할 목적의 많은 유도체 및 저분자화 올리고머 등이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히알루론산은 β-글루쿠론산과 N-아세틸글루코사민이 상호 베타 결합으로 구성된 직쇄상의 긴 고분자 물질로서, 원료, 제조법, 정제법에 따라 0.1×106 내지 10×106 Da의 분자량으로 매우 다양하게 존재하며, 수용액 상에서 점성, 탄성 및 보습성을 갖고, 이러한 성질은 분자량과 농도에 밀접한 관계가 있다.
히알루론산의 저분자화 방법은 산 염기 촉매, 고온 가열, 초음파, 효소 등을 이용한 분해 방법 등이 있으나(특허문헌 2), 가장 작은 분자량 범위가 5,000 Da 이상으로 피부투과율이 15% 정도에 지나지 않는다. 또한, 가수분해 과정에서 갈변이나 부산물이 생성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피부 침투성과 생체 이용률이 높은 히알루론산의 저분자화에 있어서 갈변이 없으며 산업적 생산에 적합한 방법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다.
한편, 종래에는 알파-리포산과 같은 지용성 활성 물질을 히알루론산과 같은 고분자 중합체로 코팅한 캡슐에 관한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특허문헌 3). 그러나, 이러한 캡슐은 그 제조 공정이 다소 복잡하고, 지용성 활성 물질의 이용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기 때문에 10,000 Da 이상의 큰 분자량을 갖는 히알루론산의 피부 침투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히알루론산, 알파-리포산 및 금속, 예컨대 마그네슘의 피부 침투성 및 생체 이용률을 개선하기 위하여, 히알루론산 올리고머를 지지체로 하여 알파-리포산 및 금속 이온을 결합시킨 복합체를 제조하였고, 상기 복합체가 히알루론산, 알파-리포산 및 금속의 경피 흡수율 및 생체 이용률을 모두 향상시킬 수 있음을 밝힘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97703호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29492호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08824호
본 발명은 상기 기술된 알파-리포산, 금속, 예컨대 마그네슘, 히알루론산 올리고머 등으로부터 종래 개별 원료들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경피흡수율 향상 및 생체 이용률 증대를 목적으로 화장품 원료로 사용가능한 금속 티오옥토일 히알루로네이트 복합체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금속 티오옥토일 히알루로네이트 복합체를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22060536424-pat00010
상기에서, n은 2 내지 50의 정수이고, Mt는 금속이다.
한 구현예에서, 상기 n은 2 내지 10의 정수일 수 있고, 상기 금속은 알칼리 토류 금속, 예컨대 마그네슘(Mg), 베릴륨(Be), 칼슘(Ca), 스트론튬(Sr), 바륨(Ba), 라듐(Ra), 또는 2가 전이 금속, 예컨대 철(Fe), 코발트(Co), 니켈(Ni), 구리(Cu), 아연(Zn) 등이 비제한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복합체는 금속이 마그네슘인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복합체일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112022018885514-pat00002
상기에서, n은 2 내지 10의 정수이다.
또한, 본 발명은 1) 히알루론산 폴리머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2) 히알루론산 폴리머에 산을 처리하여 히알루론산 올리고머로 전환하는 단계; 3) 히알루론산 올리고머에 금속 수산화물을 처리하여 히알루론산 금속염을 합성하는 단계; 4) 히알루론산 금속염에 염기를 첨가하여 히알루론산 가교 결합 측쇄를 해리시키는 단계; 및 5) 히알루론산 금속염과 알파-리포산의 복합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금속 티오옥토일 히알루로네이트 복합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금속은 마그네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 구현예에서, 단계 1)의 히알루론산 폴리머 용액은 1 내지 10%(w/w)의 농도 범위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 구현예에서, 단계 2)의 산은 유기산 또는 무기산일 수 있고, 상기 유기산은 락트산, 아세트산, 포름산, 시트르산, 옥살산, 말산, 숙신산, 또는 타르타르산이 비제한적으로 사용될 수 있고, 락트산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유기산의 수용액은 1 내지 5 N의 농도 범위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단계 3)의 금속 수산화물은 수산화마그네슘이고, 상기 히알루론산 금속염은 히알루론산 마그네슘염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 구현예에서, 단계 3)의 히알루론산 올리고머 1 mol 대비 금속 수산화물의 부가 몰수는 0.1 내지 0.5 mol의 범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 구현예에서, 단계 4)의 염기는 무기염기, 바람직하게는 2가의 무기염기일 수 있고, 상기 무기염기는 수산화마그네슘, 수산화칼슘, 산화마그네슘, 산화칼슘, 탄산칼슘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 구현예에서, 상기 무기염기는 1 내지 5 N의 농도 범위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 구현예에서, 단계 5)의 히알루론산 금속염 1 mol 대비 알파-리포산의 부가 몰수는 0.1 내지 0.8 mol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금속 티오옥토일 히알루로네이트 복합체를 함유하는 조성물, 예컨대 화장료 조성물 또는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금속 티오옥토일 히알루로네이트 복합체는 광, 열, 산소 등에 대한 산화로부터 알파-리포산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알파-리포산의 역취를 저감화하며, 지용성인 알파-리포산을 수용성 약물로서 활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금속, 예컨대 마그네슘, 알파-리포산, 및 히알루론산의 경피 흡수율 및 생체 이용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아니하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하기의 기재로부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금속 티오옥토일 히알루로네이트 복합체의 합성 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a는 금속 티오옥토일 히알루로네이트 복합체의 제조시에 원료로 사용된 알파-리포산 분말을 나타낸 것이고, 도 2b는 합성된 마그네슘 티오옥토일 히알루로네이트 복합체 수용액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금속 티오옥토일 히알루로네이트 복합체를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22060536424-pat00011
상기에서, n은 2 내지 50, 예컨대 2 내지 30, 2 내지 20, 2 내지 10, 또는 2 내지 5의 정수이고, Mt는 알칼리 토류 금속 또는 2가 전이 금속일 수 있다. 상기 알칼리 토류 금속은 마그네슘(Mg), 베릴륨(Be), 칼슘(Ca), 스트론튬(Sr), 바륨(Ba), 라듐(Ra), 등이 있을 수 있고, 상기 2가 전이 금속은 철(Fe), 코발트(Co), 니켈(Ni), 구리(Cu), 아연(Zn)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복합체는 히알루론산, 바람직하게는 히알루론산 올리고머를 지지체로 하여 마그네슘 및 알파-리포산이 결합된 형태인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마그네슘 티오옥토일 히알루로네이트 복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2]
Figure 112022018885514-pat00004
상기에서, n은 2 내지 50, 예컨대 2 내지 30, 2 내지 20, 2 내지 10, 또는 2 내지 5의 정수이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1) 히알루론산 폴리머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2) 히알루론산 폴리머에 산을 처리하여 히알루론산 올리고머로 전환하는 단계;
3) 히알루론산 올리고머에 금속 수산화물을 처리하여 히알루론산 금속염을 합성하는 단계;
4) 히알루론산 금속염에 염기를 첨가하여 히알루론산 가교 결합 측쇄를 해리시키는 단계; 및
5) 히알루론산 금속염과 알파-리포산의 복합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금속 티오옥토일 히알루로네이트 복합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한 구현예에서, 상기 금속은 알칼리 토류 금속 또는 2가 전이 금속일 수 있다. 상기 알칼리 토류 금속은 마그네슘(Mg), 베릴륨(Be), 칼슘(Ca), 스트론튬(Sr), 바륨(Ba), 라듐(Ra), 등이 있을 수 있고, 상기 2가 전이 금속은 철(Fe), 코발트(Co), 니켈(Ni), 구리(Cu), 아연(Zn)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금속은 마그네슘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계 1)에 있어서, 상기 히알루론산 폴리머 용액은 1 내지 10%(w/w),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w/w)의 농도 범위를 갖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히알루론산 폴리머 용액의 농도가 1%(w/w) 미만일 경우에는 점도 상승으로 인한 교반이 어려워 가공 공정의 운전이 용이하지 않게 되고, 10%(w/w) 초과일 경우에는 가공 원료의 처리 용량이 작아 공정 경제성이 나오지 않는다.
단계 2)에 있어서, 상기 산은 임의의 유기산 또는 무기산의 수용액이 비제한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나, 유기산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기산으로는 락트산, 아세트산, 포름산, 시트르산, 옥살산, 말산, 숙신산, 타르타르산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상기 무기산으로는 염산, 질산, 인산, 황산, 붕산, 탄산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유기산, 예컨대 락트산의 수용액은 1 내지 5 N,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 N의 농도 범위를 갖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유기산의 농도가 1 N 미만일 경우에는 산 가수분해 반응이 원활하게 수행되지 아니하고, 5 N 초과일 경우에는 산 가수분애 반응 이후에 별도의 중화 반응이 요구될 수 있다.
상기 산 처리시의 반응 온도는 60 내지 100℃, 예컨대 60 내지 90℃, 또는 60 내지 80℃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반응 온도가 60℃ 미만일 경우에는 온도가 낮아 가수분해 반응이 수행되지 않을 수 있고, 100℃ 초과일 경우에는 반응 속도는 증가하나 가압 반응 설비 등이 요구되어 설비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산 처리시의 반응 시간은 0.5 내지 8시간, 바람직하게는 1 내지 6시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반응 시간이 1시간 미만일 경우에는 히알루론산 올리고머로의 전환이 충분히 수행되지 않을 수 있고, 6시간 초과일 경우에는 히알루론산 올리고머가 다시 히알루론산 모노머까지 가수분해가 진행되어 히알루론산 올리고머의 전환율은 감소하고 모노머의 전환율이 증가할 우려가 있다.
단계 3)에 있어서, 상기 금속 수산화물은 바람직하게는 수산화마그네슘이 사용될 수 있고, 상기 히알루론산 금속염은 바람직하게는 히알루론산 마그네슘염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히알루론산 올리고머 1 mol 대비 금속 수산화물, 예컨대 수산화마그네슘의 부가 몰수는 0.1 내지 0.5 mol,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0.3 mol 범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히알루론산 올리고머 1 mol 대비 금속 수산화물의 몰수가 0.1 mol 미만일 경우에는 히알루론산 올리고머와 금속, 예컨대 마그네슘의 이온 결합수가 작아 히알루론산 금속염의 합성 수율이 낮아질 수 있고, 0.5 mol 초과일 경우에는 미반응 금속 산화물이 히알루론산 화합물 내에 잔존하여 수용액 상에서 투명도가 불량하고 침전물이 발생하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단계 4)에 있어서, 상기 염기는 임의의 유기염기 또는 무기염기의 수용액이 비제한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나, 무기염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기염기로는 피리딘, 이미다졸, 히스티딘, 구아니딘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상기 무기염기로는 수산화마그네슘, 수산화칼슘, 산화마그네슘, 산화칼슘, 탄산칼슘,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무기염기, 예컨대 수산화나트륨의 수용액은 1 내지 5 N, 바람직하게는 1 내지 4 N, 예컨대 1 내지 3 N의 농도 범위를 갖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무기염기의 농도가 1 N 미만일 경우에는 히알루론산 가교 결합의 측쇄 해리가 완벽히 수행되지 않아 이후 공정인 마그네슘 티오옥토일 히알루로네이트 합성 전환율이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고, 4N 초과일 경우에는 히알루론산 가교 결합의 측쇄 해리뿐만 아니라 마그네슘과의 치환반응에 의하여 나트륨 이온으로 친환되어서 이후 공정인 마그네슘 티오옥토일 히알루로네이트 합성 전환율이 감소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염기 처리시의 반응 온도는 30 내지 80℃, 예컨대 40 내지 70℃, 또는 40 내지 60℃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반응 온도가 30℃ 미만일 경우에는 온도가 낮아 반응이 수행되지 않을 수 있고, 80℃ 초과일 경우에는 실질적으로 유의한 반응 증가 효과를 얻을 수 없다.
또한, 상기 염기 처리시의 반응 시간은 0.1 내지 1시간,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0.5시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반응 시간이 0.1시간 미만일 경우에는 반응이 충분히 수행되지 않을 수 있고, 1시간 초과일 경우에는 실질적으로 유의한 반응 증가 효과를 얻을 수 없다.
단계 5)에 있어서, 상기 히알루론산 금속염 1 mol 대비 알파-리포산의 부가 몰수는 0.1 내지 0.8 mol, 예컨대 0.71 mol,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0.5 mol 범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히알루론산 올리고머 1 mol 대비 알파-리포산의 몰수가 0.1 mol 미만일 경우에는 금속 티오옥토일 히알루로네이트 합성 수율이 낮으며 본 발명에서 목적하는 금속 티오옥토일 히알루론이트 복합체의 특성, 예컨대 경피흡수율 향상 및 생체 이용률 증대 등을 나타내지 못할 수 있고, 0.8 mol 초과일 경우에는 유리 알파-리포산으로서 합성물에 잔류할 가능성이 높다.
또한, 상기 반응 온도는 40 내지 120℃, 예컨대 50 내지 100℃, 또는 60 내지 90℃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반응 온도가 40℃ 미만일 경우에는 온도가 낮아 반응이 수행되지 않을 수 있고, 120℃ 초과일 경우에는 알파-리포산의 산화 반응에 의한 부반응이 수행되어 최종 제품에 갈변, 역취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기 금속 티오옥토일 히알루로네이트 복합체를 함유하는 조성물, 특히 화장료 조성물 또는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또는 화장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마그네슘 티오옥토일 히알루로네이트 복합체의 제조
<1-1> 히알루론산 용액의 제조
1,2-헥산디올 60 g에 히알루론산 0.0718 mol을 분산시킨 후, 정제수 510 g을 투입해 완전 용해시켜 히알루론산 5% 용액을 제조하였다.
<1-2> 히알루론산 올리고머로의 전환
실시예 <1-1>에서 제조된 히알루론산 5% 용액에 2.94 N의 락트산 수용액 10 ㎖를 첨가한 후, 80℃, 200 rpm에서 4시간 동안 산 가수분해 반응을 수행하여 히알루론산 올리고머로 전환하였다.
<1-3> 히알루론산 금속염의 합성
실시예 <1-2>에서 제조된 가수분해 완료된 히알루론산 올리고머에 수산화마그네슘 0.145 mol을 부가하여 히알루론산 마그네슘 금속염을 합성한 후, 이를 45℃까지 방냉하였다.
<1-4> 히알루론산 가교결합 측쇄의 해리
실시예 <1-3>에서 제조된 히알루론산 마그네슘 금속염 용액에 3.25 N의 NaOH 수용액 10 ㎖를 첨가하고, 45℃, 400 rpm에서 10분 동안 가열 교반하여 히알루론산 가교 결합 측쇄의 해리 반응을 수행하였다.
<1-5> 마그네슘 티오옥토일 히알루로네이트 복합체의 합성
실시예 <1-4>에서 해리 반응이 완료된 히알루론산 마그네슘 금속염 용액에 알파-리포산 0.101 mol을 수차례 분할 부가하였고, 반응물이 투명해질 때까지 45℃, 400 rpm에서 가열 교반하여 마그네슘 티오옥토일 히알루로네이트 복합체를 합성하였다.
상기 합성 공정을 도 1에 요약하였고, 원료로 사용된 알파-리포산 분말 및 상기 합성된 마그네슘 티오옥토일 히알루로네이트 복합체 용액을 각각 도 2a 및 도 2b에 나타내었다.

Claims (16)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금속 티오옥토일 히알루로네이트 복합체:
    [화학식 1]
    Figure 112022060536424-pat00012

    상기에서, n은 2 내지 50의 정수이고, Mt는 알칼리 토류 금속 또는 2가 전이 금속이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n은 2 내지 10의 정수이고, 상기 금속은 마그네슘(Mg), 베릴륨(Be), 칼슘(Ca), 스트론튬(Sr), 바륨(Ba), 라듐(Ra), 철(Fe), 코발트(Co), 니켈(Ni), 구리(Cu), 및 아연(Zn)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복합체.
  3. 청구항 2에 있어서,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복합체:
    [화학식 2]
    Figure 112022018885514-pat00006

    상기에서, n은 2 내지 10의 정수이다.
  4. 1) 히알루론산 폴리머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2) 히알루론산 폴리머에 산을 처리하여 히알루론산 올리고머로 전환하는 단계;
    3) 히알루론산 올리고머에 금속 수산화물을 처리하여 히알루론산 금속염을 합성하는 단계;
    4) 히알루론산 금속염에 염기를 첨가하여 히알루론산 가교 결합 측쇄를 해리시키는 단계; 및
    5) 히알루론산 금속염과 알파-리포산의 복합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의 금속 티오옥토일 히알루로네이트 복합체의 제조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금속은 마그네슘인 방법.
  6. 청구항 4에 있어서,
    단계 1)의 히알루론산 폴리머 용액은 1 내지 10%(w/w)의 농도 범위를 갖는 방법.
  7. 청구항 4에 있어서,
    단계 2)의 산은 유기산 또는 무기산인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유기산은 락트산, 아세트산, 포름산, 시트르산, 옥살산, 말산, 숙신산, 및 타르타르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유기산은 락트산인 방법.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유기산의 수용액은 1 내지 5 N의 농도 범위를 갖는 방법.
  11. 청구항 4에 있어서,
    단계 3)의 금속 수산화물은 수산화마그네슘이고, 상기 히알루론산 금속염은 히알루론산 마그네슘염인 방법.
  12. 청구항 4에 있어서,
    단계 3)의 히알루론산 올리고머 1 mol 대비 금속 수산화물의 부가 몰수는 0.1 내지 0.5 mol의 범위인 방법.
  13. 청구항 4에 있어서,
    단계 4)의 염기는 무기염기인 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무기염기는 수산화마그네슘, 수산화칼슘, 산화마그네슘, 산화칼슘, 및 탄산칼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무기염기는 1 내지 5 N의 농도 범위를 갖는 방법.
  16. 청구항 4에 있어서,
    단계 5)의 히알루론산 금속염 1 mol 대비 알파-리포산의 부가 몰수는 0.1 내지 0.8 mol인 방법.
KR1020220021954A 2022-02-21 2022-02-21 금속 티오옥토일 히알루로네이트 복합체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4513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1954A KR102451308B1 (ko) 2022-02-21 2022-02-21 금속 티오옥토일 히알루로네이트 복합체 및 이의 제조 방법
PCT/KR2023/002389 WO2023158281A1 (ko) 2022-02-21 2023-02-20 금속 티오옥토일 히알루로네이트 복합체 및 그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1954A KR102451308B1 (ko) 2022-02-21 2022-02-21 금속 티오옥토일 히알루로네이트 복합체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1308B1 true KR102451308B1 (ko) 2022-10-07

Family

ID=83596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1954A KR102451308B1 (ko) 2022-02-21 2022-02-21 금속 티오옥토일 히알루로네이트 복합체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13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58281A1 (ko) * 2022-02-21 2023-08-24 이광미 금속 티오옥토일 히알루로네이트 복합체 및 그의 용도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31136A (ja) * 2006-07-27 2008-02-14 Bhn Kk ヒアルロン酸産生増強剤
KR20110029492A (ko) 2009-09-15 2011-03-23 일동제약주식회사 히알루론산의 분자량을 조절하는 방법
KR20130108824A (ko) 2012-03-26 2013-10-07 (주)바이오제닉스 안정화된 지용성 활성 물질을 포함하는 화장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97703A (ko) 2013-01-29 2014-08-07 코스맥스 주식회사 알파리포산을 함유하는 비수계 화장료 조성물
KR20160038047A (ko) * 2013-07-30 2016-04-06 테옥산 히알루론산 및 메피바카인을 포함하는 조성물
WO2019211567A1 (fr) * 2018-05-04 2019-11-07 Naos Institute Of Life Science Composition comprenant de l'acide alpha-lipoique ou l'un de ses sels, un derive de vitamine c et de l'acide hyaluronique et son utilisation
WO2021034863A1 (en) * 2019-08-19 2021-02-25 Chorda Pharma, Inc. Chemical derivatives and methods for synthesizing and compounding chemical derivatives related to capsaicin palmitate and capsaicin prodrugs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31136A (ja) * 2006-07-27 2008-02-14 Bhn Kk ヒアルロン酸産生増強剤
KR20110029492A (ko) 2009-09-15 2011-03-23 일동제약주식회사 히알루론산의 분자량을 조절하는 방법
KR20130108824A (ko) 2012-03-26 2013-10-07 (주)바이오제닉스 안정화된 지용성 활성 물질을 포함하는 화장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97703A (ko) 2013-01-29 2014-08-07 코스맥스 주식회사 알파리포산을 함유하는 비수계 화장료 조성물
KR20160038047A (ko) * 2013-07-30 2016-04-06 테옥산 히알루론산 및 메피바카인을 포함하는 조성물
WO2019211567A1 (fr) * 2018-05-04 2019-11-07 Naos Institute Of Life Science Composition comprenant de l'acide alpha-lipoique ou l'un de ses sels, un derive de vitamine c et de l'acide hyaluronique et son utilisation
WO2021034863A1 (en) * 2019-08-19 2021-02-25 Chorda Pharma, Inc. Chemical derivatives and methods for synthesizing and compounding chemical derivatives related to capsaicin palmitate and capsaicin prodrug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58281A1 (ko) * 2022-02-21 2023-08-24 이광미 금속 티오옥토일 히알루로네이트 복합체 및 그의 용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beyrathna et al. Nonmetallic carbon monoxide releasing molecules (CORMs)
KR102451308B1 (ko) 금속 티오옥토일 히알루로네이트 복합체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839008B1 (ko) 신규 시스틴 유도체 및 염증인자 활성화 억제제
KR101509239B1 (ko) 화학적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N114058014B (zh) 一种硫辛酸基水凝胶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0883229B1 (ko) 비타민 c를 함유하는 조성물
CN103319388B (zh) 一种双功能聚乙二醇衍生物及其制备方法
US8148563B2 (en) Chemical compositions and methods of making them
US5863939A (en) Creatine ascorbates and a method of producing them
CN114306113A (zh) 一种超分子肌肽和含有超分子肌肽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TWI473623B (zh) 色素沉澱預防或改善劑
KR20200087729A (ko) 히알루론산 나노 입자를 합성하는 방법 및 이 방법으로 제조된 히알루론산 나노 입자
CN112370423A (zh) 一种左旋肉碱基乳液及制备方法与药物
JP4831849B2 (ja) 活性酸素消去剤およびその用途
CA2523042A1 (en) Stabilized derivatives of ascorbic acid
EP3504218A1 (fr) Composition comprenant du silicium et son procede de preparation
EP3782613A1 (en) Alginate microcapsules for cell encapsula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Song et al. Construction and evaluation of an iron delivery system by ultra-small nanoparticles from roast sturgeon (Acipenser schrenckiid)
WO2001097769A1 (en) Ferulic ester derivative, 3,9-diferulylcoumestrol and cosmetic product containing same
CN116284495A (zh) 全反式维甲酸低分子透明质酸酯衍生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2851484A (zh) 一种从柚皮素合成根皮素的方法
JP2003510358A (ja) α−リポン酸(−誘導体)を含有する遅延形
WO2015002279A1 (ja) グルタチオン生成促進用組成物
CN112175106A (zh) 一种高活性叠氮壳聚糖抗菌剂及其制备方法
JP2000290177A (ja) 一酸化窒素捕捉剤及び老化防止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