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0827B1 - 현수볼트 걸이장치 - Google Patents

현수볼트 걸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0827B1
KR102450827B1 KR1020200030467A KR20200030467A KR102450827B1 KR 102450827 B1 KR102450827 B1 KR 102450827B1 KR 1020200030467 A KR1020200030467 A KR 1020200030467A KR 20200030467 A KR20200030467 A KR 20200030467A KR 102450827 B1 KR102450827 B1 KR 1024508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spension bolt
bolt
hole
suspensio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04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15125A (ko
Inventor
추용대
추혜진
Original Assignee
추용대
추혜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용대, 추혜진 filed Critical 추용대
Priority to KR10202000304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0827B1/ko
Publication of KR202101151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51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08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08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18Means for suspend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Abstract

본 발명은 중앙에 통공을 구비하는 상부판과, 상기 상부판의 양측으로 부터 하부로 연장되는 측면판과, 상기 측면판에 양단부가 연결되고 중앙에 관통공이 천공된 하부판과, 상기 하부판의 양측에 형성된 힌지부에 의해 회전가능토록 형성되는 한쌍의 현수볼트걸이부와, 상기 현수볼트걸이부의 일측단부에는 각각 현수볼트의 헤드부가 걸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오목홈이 형성되는 현수볼트 걸이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효과로는 현수볼트를 앵커너트에 결합하기 위한 매개로 사용하는 현수볼트 걸이장치가 나사결합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아닌 현수볼트의 헤드부를 위로 밀어올렸다가 내리는 동작만으로도 현수볼트가 현수볼트 걸이장치에 걸리도록 하여 결국 앵커볼트와 현수볼트가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현수볼트의 설치가 매우 편리하고 많은 시간이 소요되지 않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현수볼트 걸이장치{Hanging device}
본 발명은 현수볼트 걸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구조물 천장에 조명등이나 배수관 등과 같은 현수부재를 고정하기 위해 현수볼트를 설치함에 있어 상기 현수볼트를 앵커너트에 가장 편리하고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는 현수볼트 걸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타설 작업은 구조물의 형태에 맞는 거푸집을 제작하고 상기 커푸집에 콘크리트를 부어 콘크리트가 건조 및 경화되면 거푸집을 제거함으로써 콘크리트형태가 노출되도록 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건설되는 구조물, 예를 들면 터널이나 건물과 같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천정에는 조명이 설치되거나 각종 배관 설비들이 설치되게 된다.
이처럼 조명이나 배관 등을 콘크리트 구조물의 천정에 고정하기위해서는 천정 저면에 앵커너트를 박고 상기 앵커너트에 현수볼트 또는 앵커볼트를 나사결합하여 고정되도록 한 다음, 상기 조명이나 배관 등과 같은 현수부재를 현수볼트 또는 앵커볼트에 설치하게 된다.
상기 앵커너트에 현수볼트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현수볼트를 앵커너트에 나사결합시켜야 하는데 이는 설치에 많은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숙련된 작업자들도 작업의 난이도가 높고 위험하여 꺼려하는 작업이다.
따라서 앵커너트에 현수볼트를 보다 쉽고 빠르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현수볼트 걸이장치의 개발이 그 어느때보다 절실한 실정이다.
[선행기술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276988호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앵커너트에 현수볼트를 설치하되, 현수볼트를 앵커너트에 나사결합시키는 방식이 아닌 현수볼트의 헤드부를 위로 밀어올렸다가 내리는 동작만으로도 현수볼트가 현수볼트 걸이장치에 걸리도록 하여 앵커너트와 현수볼트를 쉽고 편리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성취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현수볼트 걸이장치는, 중앙에 통공을 구비하는 상부판과, 상기 상부판의 양측으로 부터 하부로 연장되는 측면판과, 상기 측면판에 양단부가 연결되고 중앙에 관통공이 천공된 하부판과, 상기 하부판의 양측에 형성된 힌지부에 의해 회전가능토록 형성되는 한쌍의 현수볼트걸이부와, 상기 현수볼트걸이부의 일측단부에는 각각 현수볼트의 헤드부가 걸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오목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측면판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는 안전고리가 형성되고 상기 안전고리에는통공이 형성되어 작업자 안전벨트의 안전고리를 걸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부판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의 직경은 현수볼트의 헤드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현수볼트걸이부의 한쌍의 오목홈에 의해 형성되는 통공의 직경 크기는 현수볼트의 헤드부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효과로는 현수볼트를 앵커너트에 결합하기 위한 매개로 사용하는 현수볼트 걸이장치가 나사결합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아닌 현수볼트의 헤드부를 위로 밀어올렸다가 내리는 동작만으로도 현수볼트가 현수볼트 걸이장치에 걸리도록 하여 결국 앵커볼트와 현수볼트가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현수볼트의 설치가 매우 편리하고 많은 시간이 소요되지 않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수볼트 걸이장치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사시도.
도 3는 도 2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있어서 현수볼트걸이부의 작동상태를 보이기 위한 참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 참고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 사시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또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사시도를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 예를 들면 제조 방법 및/또는 사양의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예를 들면, 편평하다고 도시되거나 설명된 영역은 일반적으로 거칠거나/거칠고 비선형인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날카로운 각도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된 부분은 라운드질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된 영역은 원래 대략적인 것에 불과하며, 이들의 형태는 영역의 정확한 형태를 도시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를 좁히려고 의도된 것이 아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수볼트 걸이장치를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사시도이며, 도 3는 도 2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있어서 현수볼트걸이부의 작동상태를 보이기 위한 참고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 참고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 사시도이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 현수볼트 걸이장치(100)는, 중앙에 통공(111)을 구비하는 상부판(110)과, 상기 상부판(110)의 양측으로 부터 하부로 연장되는 측면판(120)과, 상기 측면판(120)에 양단부가 연결되고 중앙에 관통공(130a)이 천공된 하부판(130)과, 상기 하부판(130)의 양측에 힌지부(140)에 의해 회전가능토록 형성되는 한쌍의 현수볼트걸이부(150)와, 상기 현수볼트걸이부(150)의 일측단부에는 각각 현수볼트(180)의 헤드부가 걸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오목홈(160)이 형성된다.
상기 통공(111)은 앵커너트(A)에 나사결합되어 현수볼트 걸이장치(100)를 고정시키기 위한 결합볼트(170)가 관통되기 위한 구성이다. 이때 상기 통공(111)의 직경은 결합볼트(170)의 헤드부(171)의 직경보다 적게 형성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상기 현수볼트걸이부(150)는 하부판(130) 위에 얹혀진 상태이고, 힌지부(140)에 의해 회전가능한 상태이다. 이처럼 상기한 현수볼트걸이부(150)가 힌지부(140)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구성한 이유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수볼트(180)의 헤드부(181)가 하부판(130)의 관통공(130a)을 관통한 상태로 위로 상승하면서 한쌍의 현수볼트걸이부(150)를 아래로 부터 위로 밀게 되면 상기 한쌍의 현수볼트걸이부(150)는 각각 힌지부(140)에 의해 회전하면서 서로 벌어지게 되고 현수볼트(180)의 헤드부(181)가 지날수 있을 만큼 상승했다가 현수볼트(180)의 헤드부(181)가 지나게 되면 안쪽으로 회전하면서 하강해서 닫힌 상태, 즉 다시 하부판(130) 위에 얹혀진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처럼 상기 한쌍의 현수볼트걸이부(150)가 닫히게 되면 상기 한쌍의 현수볼트걸이부(150)의 단부가 각각 서로 맞닿게 되면서 현수볼트걸이부(150)의 단부 중간에 형성된 반원형상의 오목홈(181)에 의해 통공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한 통공, 즉 맞닿은 오목홈(181)의 직경은 현수볼트(180)의 헤드부(181)보다 작은 상태여서 현수볼트(180)의 헤드부(181)는 상기 현수볼트걸이부(150)에 걸리게 된다. 이때 맞닿은 오목홈(181)의 직경은 현수볼트(180)에 있어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부의 직경보다는 커야함은 당연하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측면판(120)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는 안전고리(121)가 형성되고 상기 안전고리(121)에는 통공(121a)이 천공되어 작업자가 착용한 안전벨트의 안전고리(미도시)를 걸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데, 이는 작업자가 현수볼트(180)를 설치하거나 상기 현수볼트(180)에 현수부재를 설치하는 작업을 할 때 본 발명 현수볼트 걸이장치(100)에 안전벨트의 안전고리를 걸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을 지켜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이다.
상술 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들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100: 본 발명 현수볼트 걸이장치
110: 상부판 120: 측면판
130: 하부판 140: 힌지부
150: 현수볼트걸이부 160: 오목홈
A: 앵커너트 B: 슬라브

Claims (3)

  1. 중앙에 통공을 구비하는 상부판과, 상기 상부판의 양측으로 부터 하부로 연장되는 측면판과, 상기 측면판에 양단부가 연결되고 중앙에 관통공이 천공된 하부판을 구비하는 현수볼트 걸이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부판의 양측에 형성된 힌지부에 의해 측면판의 안쪽으로 회전가능토록 형성되는 한쌍의 현수볼트걸이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하부판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의 직경은 현수볼트의 헤드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현수볼트걸이부의 이격간격은 현수볼트의 헤드부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도록 하여 현수볼트걸이부의 일측단부에 현수볼트의 헤드부가 걸릴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볼트 걸이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측면판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는 안전고리가 형성되고 상기 안전고리에는 통공이 형성되어 작업자 안전벨트의 안전고리를 걸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볼트 걸이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현수볼트걸이부의 일측단부에는 현수볼트의 헤드부가 걸릴 수 있도록 오목홈이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오목홈에 의해 형성되는 통공의 직경 크기는 현수볼트의 헤드부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볼트 걸이장치.
KR1020200030467A 2020-03-12 2020-03-12 현수볼트 걸이장치 KR1024508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0467A KR102450827B1 (ko) 2020-03-12 2020-03-12 현수볼트 걸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0467A KR102450827B1 (ko) 2020-03-12 2020-03-12 현수볼트 걸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5125A KR20210115125A (ko) 2021-09-27
KR102450827B1 true KR102450827B1 (ko) 2022-10-05

Family

ID=77925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0467A KR102450827B1 (ko) 2020-03-12 2020-03-12 현수볼트 걸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082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8614B1 (ko) * 2022-05-25 2022-09-27 정진호 개폐가 용이한 용기 회전식 뚜껑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97055A (ja) * 2005-03-23 2006-11-02 Tanizawa Seisakusho Ltd 脱落防止用安全帯のフック保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65091Y2 (ja) * 1992-02-28 1998-03-11 株式会社国元商会 デッキプレート用天井吊り金具
KR101263484B1 (ko) * 2010-08-27 2013-05-10 정진우 구조물 지지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결합클립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97055A (ja) * 2005-03-23 2006-11-02 Tanizawa Seisakusho Ltd 脱落防止用安全帯のフック保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5125A (ko) 2021-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0827B1 (ko) 현수볼트 걸이장치
US5428936A (en) Suspension system for concrete structures
KR101467161B1 (ko) 그레이팅 패널 체결용 고정구
KR100893947B1 (ko) 건축용 천정판
EP2743426A1 (en) Embeddable security anchor
KR101386278B1 (ko) 그레이팅 스토퍼
EP3121349A1 (en) Formwork structure for the execution of horizontal castings for the provision of floor slabs
KR20100010069U (ko) 파이프 행거
KR200489729Y1 (ko) 데크플레이트용 인서트기구
KR20110003965U (ko) 갱폼 하부 고정용 볼트
CN203605170U (zh) 灯具安装悬索挂接夹具
KR200284897Y1 (ko) 선박용 가설난간기둥
KR200482903Y1 (ko) 생명선 설치용 지주
KR101910729B1 (ko) 배관 고정 장치
JPH11293910A (ja) 仮設工事用吊下げ装置
KR100843934B1 (ko) 각도 조절용 인서트
DE2515131A1 (de) Installationsdose mit mindestens einem loesbaren anschlussteil
KR101241444B1 (ko) 이동식 핸드레일 지지 장치
CN209604679U (zh) 一种组装式管道吊架
KR20090122670A (ko) 브라켓을 이용한 천정틀 시설재
KR102460786B1 (ko) 전산볼트 연결을 위한 행거용 브라켓
JP3170632U (ja) 吊りチェーンクランプ
KR102498406B1 (ko) 입상배관 고정 구조
CN106871077B (zh) 抱箍
JP2003096896A (ja) 水抜き穴付ボックスカルバート等の水抜き穴を利用した吊り込み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