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1444B1 - 이동식 핸드레일 지지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식 핸드레일 지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1444B1
KR101241444B1 KR1020110140603A KR20110140603A KR101241444B1 KR 101241444 B1 KR101241444 B1 KR 101241444B1 KR 1020110140603 A KR1020110140603 A KR 1020110140603A KR 20110140603 A KR20110140603 A KR 20110140603A KR 101241444 B1 KR101241444 B1 KR 1012414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et
extrapolated
handrail
support device
longitudin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0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호원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406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14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14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14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17/04Stanchions; Guard-rails ; Bulwark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17Connectio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36Handrails of balustrades; Connections between handrail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17/04Stanchions; Guard-rails ; Bulwarks or the like
    • B63B2017/045Bulwark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이동식 핸드레일 지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동식 핸드레일 지지 장치는 바닥에 외삽형 소켓을 장착한 선박의 핸드레일이 설치될 때 사용되는 장치로서 상기 외삽형 소켓에 끼워지는 원형을 길이방향으로 분리되게 구성하는 복수의 외륜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외륜들은 상기 길이방향으로 갈수록 점점 벌어지는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외륜들의 상단에 배치되는 고정링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가 상기 외삽형 소켓에 삽입되면 상기 고정링을 상기 길이 방향으로 내려서 상기 복수의 외륜들을 부분적으로 감싸는 이동식 핸드레일 지지 장치이다. 본 출원에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이동식 핸드레일 지지 장치는 용도에 따라 설치 및 철거를 쉽게 할 수 있게 함으로써 핸드레일의 이동을 간편하게 할 수 있으며, 흔들림 없이 고정되는 핸드레일을 설치 할 수 있게 하여 보행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식 핸드레일 지지 장치 {PORTABLE HANDRAIL STANCHION}
본 출원은 이동식 핸드레일 지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박에서 작업자 및 검사관이 통행을 하기 위한 통로에서 안전을 위하여 설치하는 핸드레일을 용도에 따라 이동하기 위하여 설치 및 철거를 용이하게 하고, 흔들리지 않도록 단단하게 고정하여 보행자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핸드레일 지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식 핸드레일 지지 장치는 선박의 통로에서 보행자의 안전을 위한 장치로서 널리 쓰이고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이동식 핸드레일 지지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들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이동식 핸드레일 지지 장치(100)는 바닥에 외삽형 소켓(120)이 장착되어 있고, 길이방향의 원주홀을 포함하는 지지부(110)는 외삽형 소켓(120)에 끼워지며, 토글핀(130)은 외삽형 소켓(120) 및 지지부(110)를 관통하는 길이방향과 수직인 원주홀을 관통하여 삽입되어 지지부(110)를 외삽형 소켓(120)에서 빠지지 않게 고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이러한 종래의 이동식 핸드레일 지지 장치(100)는 토글핀(130)과 외삽형 소켓(120) 및 지지부(110)를 관통하는 길이방향과 수직인 원주홀 사이의 결합이 어렵고, 유격으로 인해서 이동식 핸드레일 지지 장치 (100)가 흔들려서 안전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한국실용신안등록출원 제 20-2004-0037189 호는 가설용 난간지주에 관한 것으로서, 길이방향에 와이어 로우프를 횡으로 설치하기 위한 고리가 부착된 지주와, 교량의 슬라브 끝에 상부지지편과 하부지지편 사이를 위치시켜 조임부재로 상기 지주와 함께 고정 설치되는 지지틀과, 지주의 상부에 설치되어 와이어 로우프를 지지하는 고정대로 이루어진 가설용 난간지주에 있어서, 상기 지지틀을 형성하는 측판으로부터 돌출된 상부지지편 및 하부지지편이 상호 ㄷ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지주를 안내하기 위한 고정홀을 갖고, 상기 고정홀이 형성되는 지지틀의 측판에 체결나사를 통해 지주를 고정하는 결합공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공과 일치되도록 지주의 길이방향 적소에 체결공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대는 지주 상면에 고정되는 브라켓트로부터 힌지축으로 연결되고, 힌지축에 토션스프링이 설치되되, 토션스프링의 일단은 브라켓트의 힌지축에 설치되어 로우프의 소정부분을 지지하는 지지편대에 연결되어 지지편대와 함께 와이어 로우프를 관통하는 홀더부분을 브라켓트로부터 회동가능하게 탄력 설치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 실질적인 난간이 설치되기 이전의 난간 작업위치로부터 난간지주와 지지틀을 별개로 설치하여 자체중량에 대한 무게를 줄여줌으로써, 운반성과 설치및 해체에 따른 조립성을 용이하게 하는 한편, 난간외측 작업시 와이어 로우프를 지지하는 고정대로부터 설치된 와이어 로우프 측은 고정대의 지지편대가 작업위치에 따라 탄력적으로 이동되도록 하여 작업상태에서 작업자와 연결된 안전클립의 통과이동을 원활하여 작업성의 편의와 안전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국실용신안등록출원 제 20-2005-0012361 호는 난간지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선박의 건조시에 발판브라켓의 파이프와 결합되는 난간지주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흔들림 방지구가 구비된 난간지주에 관한 것이며, 선박 건조시 발판을 설치하기 위해 사용되며, 발판브라켓의 파이프에 끼움되어 고정되는 난간지주(Stanchion)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발판브라켓의 파이프에 끼움되는 부분의 상부에 결합되며, 난간지주 또는 발판브라켓의 파이프 외주면과 밀착되는 상하판을 구비한 본체와 상기 본체를 상기 난간지주에 결합시키는 결합판으로 구성된 흔들림 방지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국실용신안등록출원 제 20-2004-0037189 호 한국실용신안등록출원 제 20-2005-0012361 호
본 출원은 이동식 핸드레일 지지 장치를 사용하여 용도에 따라 설치 및 철거를 쉽게 할 수 있게 함으로써 핸드레일의 이동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이동식 핸드레일 지지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출원은 이동식 핸드레일 지지 장치를 사용하여 흔들림 없이 고정되는 핸드레일을 설치 할 수 있게 하여 보행자의 안전을 확보하는 이동식 핸드레일 지지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바닥에 외삽형 소켓을 장착한 선박의 핸드레일이 설치될 때 사용되는 이동식 핸드레일 지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외삽형 소켓에 끼워지는 원형을 길이방향으로 분리되게 구성하는 복수의 외륜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외륜들은 상기 길이방향으로 갈수록 점점 벌어지는 지지부, 상기 복수의 외륜들의 상단에 배치되는 고정링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가 상기 외삽형 소켓에 삽입되면 상기 고정링을 상기 길이 방향으로 내려서 상기 복수의 외륜들을 부분적으로 감싼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복수의 외륜들 반대 방향의 경우 T자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외륜들은 상기 길이 방향의 끝단에서 바깥으로 절곡되어 상기 고정링이 빠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링은 상기 복수의 외륜들의 절곡된 부분까지 내려와서 상기 외삽형 소켓에 상기 이동식 핸드레일 지지 장치를 고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외삽형 소켓은 상기 지지부가 상기 외삽형 소켓에 삽입될 때 상기 복수의 외륜들 사이에 위치되는 돌출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지지부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이동식 핸드레일 지지 장치 및 이와 관련된 기술(들)은 용도에 따라 설치 및 철거를 쉽게 할 수 있게 함으로써 핸드레일의 이동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이동식 핸드레일 지지 장치 및 이와 관련된 기술(들)은 흔들림 없이 고정되는 핸드레일을 설치 할 수 있게 하여 보행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이동식 핸드레일 지지 장치 구조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종래의 이동식 핸드레일 지지 장치 구조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핸드레일 지지 장치 구조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에 있는 이동식 핸드레일 지지 장치 구조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7는 도 3에 있는 이동식 핸드레일 지지 장치가 외삽형 소켓에 고정된 구조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5에 있는 이동식 핸드레일 지지 장치가 외삽형 소켓에 고정된 구조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개시된 기술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개시된 기술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개시된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3은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핸드레일 지지 장치를 설명하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있는 이동식 핸드레일 지지 장치 구조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또한, 도 7은 도 3에 있는 이동식 핸드레일 지지 장치가 외삽형 소켓에 고정된 구조를 설명하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 있는 이동식 핸드레일 지지 장치가 외삽형 소켓에 고정된 구조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이동식 핸드레일 지지 장치(200)는 지지부(210) 및 고정링(220)을 포함하고, 선박 바닥에 장착된 외삽형 소켓(230)에 끼워지는 구조로 구성된다.
지지부(210)는 외삽형 소켓(230)에 끼워지는 원형을 길이방향으로 분리되게 구성하는 복수의 외륜들(211)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부(210)는 복수의 외륜들(211) 반대 방향의 경우 T자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복수의 외륜들(211)은 분리되어 있으나 합쳐지면 원형의 일부를 구성하고, 예를 들어, 원형을 균분하여 4개의 외륜들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의 분리는 길이 방향(즉, 도 4에서의 세로 방향)으로 구성된다.
또한, 복수의 외륜들(211)은 길이방향으로 갈수록 점점 벌어질 수 있다. 즉, 복수의 외륜들(211)은 도 3에서와 같이, 하단으로 갈수록 점점 벌어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는 복수의 외륜들(211)을 외삽형 소켓(230)에 끼우기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외륜들(211)은 길이 방향의 끝단에서 바깥으로 절곡되어 고정링(220)이 빠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절곡은 복수의 외륜들(211)을 외삽형 소켓(230)에 끼우는 것을 매우 용이하게 해줄 수 있다.
결과적으로, 지지부(210)는 복수의 외륜들(211)을 통해 외삽형 소켓(230)에 삽입된다.
고정링(220)은 지지부(210) 외측에 삽입되고 복수의 외륜들(211)의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고정링(220)은 지지부(210)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고정링(220)의 길이는 약 7 cm ~ 13 cm 정도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고정링(220)은 복수의 외륜들(211)의 상단에서 길이 방향으로 내려와서 복수의 외륜들(211)을 부분적으로 감싸며 이동식 핸드레일 지지 장치(200)를 외삽형 소켓(230)에 고정할 수 있다. 즉, 고정링(220)은 복수의 외륜들(211)을 감쌀 때 바깥으로 절곡된 복수의 외륜들(211)을 조여줌으로써 지지부(210)를 외삽형 소켓(23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외삽형 소켓(230)은 지지부(210)가 외삽형 소켓(230)에 상입될 때 복수의 외륜들(211) 사이에 위치되는 돌출부(231)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돌출부(231)는 복수의 외륜들(211) 사이에서 지지부(210)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돌출부(231)는 지지부(210)의 외경보다 크고, 고정링(220)의 내경보다 작게 돌출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출원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출원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종래의 핸드레일 지지 장치 110 : 지지부
120 : 토글핀 130 : 외삽형 소켓
200 : 이동식 핸드레일 지지 장치 210 : 지지부
211 : 복수의 외륜들 220 : 고정링
230 : 외삽형 소켓 231 : 돌출부

Claims (5)

  1. 바닥에 외삽형 소켓을 장착한 선박의 핸드레일이 설치될 때 사용되는 이동식 핸드레일 지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외삽형 소켓에 끼워지는 원형을 길이방향으로 분리되게 구성하는 복수의 외륜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외륜들은 상기 길이방향으로 갈수록 점점 벌어지는 지지부; 및
    상기 복수의 외륜들의 상단에 배치되는 고정링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가 상기 외삽형 소켓에 삽입되면 상기 고정링을 상기 길이 방향으로 내려서 상기 복수의 외륜들을 부분적으로 감싸는 이동식 핸드레일 지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복수의 외륜들 반대 방향의 경우 T자 형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핸드레일 지지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외륜들은
    상기 길이 방향의 끝단에서 바깥으로 절곡되어 상기 고정링이 빠지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핸드레일 지지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링은
    상기 복수의 외륜들의 절곡된 부분까지 내려와서 상기 외삽형 소켓에 상기 이동식 핸드레일 지지 장치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핸드레일 지지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외삽형 소켓은
    상기 지지부가 상기 외삽형 소켓에 삽입될 때 상기 복수의 외륜들 사이에 위치되는 돌출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지지부의 회전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핸드레일 지지 장치.
KR1020110140603A 2011-12-22 2011-12-22 이동식 핸드레일 지지 장치 KR1012414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0603A KR101241444B1 (ko) 2011-12-22 2011-12-22 이동식 핸드레일 지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0603A KR101241444B1 (ko) 2011-12-22 2011-12-22 이동식 핸드레일 지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1444B1 true KR101241444B1 (ko) 2013-03-11

Family

ID=48181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0603A KR101241444B1 (ko) 2011-12-22 2011-12-22 이동식 핸드레일 지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144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6048B1 (ko) 2012-01-27 2013-09-0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이동식 핸드레일 지지 장치
KR20160061779A (ko) 2014-11-24 2016-06-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핸드레일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7845A (ja) * 1993-09-29 1995-04-11 Tsuzuki:Kk 手摺用支柱の立設方法及び手摺用支柱の構造
KR100640022B1 (ko) 2004-08-06 2006-10-31 김오형 핸드레일 구조
KR20110014602A (ko) * 2008-05-21 2011-02-11 인벤티오 아게 에스컬레이터 또는 이동식 보도용 핸드레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7845A (ja) * 1993-09-29 1995-04-11 Tsuzuki:Kk 手摺用支柱の立設方法及び手摺用支柱の構造
KR100640022B1 (ko) 2004-08-06 2006-10-31 김오형 핸드레일 구조
KR20110014602A (ko) * 2008-05-21 2011-02-11 인벤티오 아게 에스컬레이터 또는 이동식 보도용 핸드레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6048B1 (ko) 2012-01-27 2013-09-0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이동식 핸드레일 지지 장치
KR20160061779A (ko) 2014-11-24 2016-06-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핸드레일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1444B1 (ko) 이동식 핸드레일 지지 장치
KR20120140340A (ko) 비계장치
KR101325688B1 (ko) 안전 고리
KR20120029524A (ko) 비계용 클램프
JP3180696U (ja) 手摺取付金具
KR200391346Y1 (ko) 난간지주
JP3212961U (ja) 親綱中間支持具
KR200452023Y1 (ko) 비계용 클램프어셈블리
KR200415653Y1 (ko) 천정구조물 지지용 브래킷
JP2008255689A (ja) 仮設手摺の支柱取付け具及び仮設手摺の形成方法
JP2013048644A (ja) 親綱支持装置
KR101253030B1 (ko) 도르래 및 볼베어링을 이용한 내부펼침 낙하물 방지망
KR101285583B1 (ko) 펜스의 수평연결프레임
JP3904873B2 (ja) 手摺支柱および仮設手摺
KR20130000012U (ko) 건축용 비계 안전 난간대
JP3212296U (ja) 建築足場の固定構造
KR200459397Y1 (ko) 갱 폼의 추락방지를 위한 지지브라켓 구조
KR101306048B1 (ko) 이동식 핸드레일 지지 장치
JP3125149U (ja) 屋根用落下防止装置
KR101244502B1 (ko) 추락방지망 설치장치
JP4596950B2 (ja) 水平移動用金具
KR100448097B1 (ko) 안전난간대
KR101785682B1 (ko) 탈부착이 자유로운 안전 맨홀커버
KR200303809Y1 (ko) 건축용 낙하 방지장치
KR20100046867A (ko) 가설난간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