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0483B1 - 라벨을 가진 번들 밴드 - Google Patents

라벨을 가진 번들 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0483B1
KR102450483B1 KR1020220028886A KR20220028886A KR102450483B1 KR 102450483 B1 KR102450483 B1 KR 102450483B1 KR 1020220028886 A KR1020220028886 A KR 1020220028886A KR 20220028886 A KR20220028886 A KR 20220028886A KR 102450483 B1 KR102450483 B1 KR 1024504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bel
bundle band
bundle
product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8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성덕
김미리
고희영
Original Assignee
한국씨씨엘레이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씨씨엘레이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씨씨엘레이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288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04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04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04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3/00Flexible elongated elements, e.g. straps, for bundling or supporting articles
    • B65D63/10Non-metallic straps, tapes, or bands; Filamentary elements, e.g. strings, threads or wires; Joints between ends thereof
    • B65D63/1009Adhesive ta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B65D25/205Means for the attachment of labels, cards, coupon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71/02Arrangements of flexible bin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러 개의 제품을 묶어 번들 제품을 만들기 위해 사용되는 번들 밴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라벨을 가진 번들 밴드는 여러 개의 제품을 묶어 번들 제품을 만들기 위한 번들 밴드로서, 상기 번들 밴드를 제거할 때 제품 정보를 표시하는 라벨이 상기 번들 제품에 잔류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라벨을 가진 번들 밴드{Bundle band having label}
본 발명은 여러 개의 제품을 묶어 번들 제품을 만들기 위해 사용되는 번들 밴드에 관한 것이다.
번들(bundle) 제품이란 여러 개의 제품을 한데 모으거나 다른 제품에 끼워 함께 판매하는 묶음으로 된 제품을 말한다.
번들 제품은 묶음으로 판매되기 때문에 여러 개의 제품을 하나로 묶어 포장해야 한다. 여러 개의 제품을 하나로 묶어 포장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플라스틱 봉지가 사용된다. 플라스틱 봉지는 편리하게 번들 제품을 포장할 수 있지만 많은 플라스틱 쓰레기가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플라스틱 쓰레기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제품 전체를 감싸는 밴드(띠지)를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밴드를 사용해 번들 제품을 포장하는 공정은 각 제품에 대한 라벨링을 한 후 수축 또는 점착식 번들 밴드로 포장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 번들 밴드를 이용한 포장 방식은 제품 라벨링과 번들 포장이라는 두 단계의 공정을 거쳐야 하므로 제작 공정이 번거롭고 플라스틱의 사용량이 여전히 많다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문헌 1) 공개실용신안 제20-2019-0001733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번들 제품을 포장할 때 플라스틱의 사용량을 줄이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구입한 번들 제품의 용기와 라벨의 분리 배출을 쉽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품의 번들 포장에서 번들 밴드를 제거한 후에 제품 용기에 제품 정보가 남도록 하여 소비자의 편익성을 도모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라벨을 가진 번들 밴드는 여러 개의 제품을 묶어 번들 제품을 만들기 위한 번들 밴드로서, 상기 번들 밴드를 제거할 때 제품 정보를 표시하는 라벨이 상기 번들 제품에 잔류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품 정보를 표시하는 라벨이 절취선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절취선은 상기 번들 밴드를 제거하는 방향으로 제1 절취선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1 절취선에 이어서 상기 제1 절취선과 다른 형태의 제2 절취선이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2 절취선은 처음 부분과 끝 부분의 곡률 반지름 또는 둔각이 다르며.상기 제2 절취선의 처음 부분과 끝 부분이 연속적으로 찢어지도록 서로 마주보며 겹치는 구조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번들 밴드의 단부에는 분리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분리 손잡이에는 점착제가 도포되어 있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품 정보를 표시하는 라벨의 일부에 점착제가 도포되어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 및 제3 실시예에 따른 라벨을 가진 번들 밴드는 여러 개의 제품을 묶어 번들 제품을 만들기 위한 번들 밴드로서, 제품 정보를 표시하는 라벨이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품 정보를 표시하는 라벨이 절취선에 의해 형성되어 있되, 그 일부에 점착제가 도포되어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품 정보를 표시하는 라벨이 번들 제품의 두껑 상면에 부착될 수 있도록 뚜껑 상면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로 제작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 및 제5 실시예에 따른 라벨을 가진 번들 밴드는 여러 개의 제품을 묶어 번들 제품을 만들기 위한 번들 밴드로서, 상기 번들 밴드를 번들 제품으로부터 제거할 때 상기 번들 제품에 잔류하도록 형성된 제1 라벨과, 상기 번들 밴드와 분리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제2 라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라벨은 상기 번들 밴드 내에서 절취선에 의해 구분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라벨은 상기 번들 밴드의 모서리에 걸쳐 배치되어 상기 번들 밴드 내에 위치한 테두리가 절취선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제1 라벨은 상기 번들 밴드의 모서리에 걸쳐 배치되어 상기 번들 밴드 내에 위치한 테두리가 절취선으로 형성되어 있어 원형의 라벨을 구성하며, 상기 제2 라벨은 상기 번들 밴드의 모서리 경계를 하부 테두리로 가지도록 배치되어 상기 번들 밴드 내에 위치한 테두리가 절취선으로 형성되어 있어 장방형의 라벨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번들 밴드로 번들 제품을 포장하게 되면 제품에 대한 라벨링이 필요 없기 때문에 플라스틱 사용량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처럼 플라스틱 사용의 감소를 위해 제품에 대한 라벨링이 없지만, 소비자가 번들 밴드를 떼어 번들 제품을 분리할 때 제품에 라벨이 붙은 채로 잔류해 있기 때문에 제품정보를 확인하는데 아무런 문제가 없다. 한편 잔류해 있는 라벨의 일부가 무점착으로 되어 있어서, 용기 배출 시 사용자가 쉽게 라벨을 뗄 수 있다.
또한 소비자는 번들 밴드를 뜯기 전에 번들 밴드에 부착되어 있는 라벨을 제품 용기의 뚜껑이나 다른 부분에 붙일 수 있어서 쉽게 제품을 식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번들 제품 포장에 드는 플라스틱의 사용량을 줄이는 동시에 제품을 식별하는데 전혀 문제가 없으며 더욱이 제품 용기의 분리 배출 시 소비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라벨을 가진 번들 밴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라벨을 가진 번들 밴드를 번들 제품에 적용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라벨을 가진 번들 밴드를 제거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라벨을 가진 번들 밴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라벨을 가진 번들 밴드를 번들 제품에 적용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라벨을 가진 번들 밴드에 부착된 라벨을 용기 뚜껑에 적용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라벨을 가진 번들 밴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라벨을 가진 번들 밴드를 번들 제품에 적용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라벨을 가진 번들 밴드에 부착된 라벨을 용기 뚜껑에 적용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라벨을 가진 번들 밴드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라벨을 가진 번들 밴드를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확히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표시하며, 공지된 구성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함에 유의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 따른 라벨을 가진 번들 밴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번들 밴드(10)의 전면(도 1의 (a) 참조)에는 제품 이름, 제품 성분, 바코드 등의 제품과 관련한 다양한 정보가 표시되어 있다.
번들 밴드(10)의 단부에는 분리 손잡이(12)가 형성되어 있다. 분리 손잡이(12)는 사용자가 번들 제품을 묶고 있는 번들 밴드(10)를 뗄 때 잡는 부분이다. 분리 손잡이(12)에는 점착제가 도포되어 있지 않아서 사용자가 쉽게 분리 손잡이(12)를 잡을 수 있다.
또한 번들 밴드(10)에는 제품 이름 등의 제품 정보를 표시하는 라벨(14)이 포함되어 있다. 라벨(14)은 번들 밴드(10) 내에 형성되며 절취선(15)에 의해 구분되어 있다. 사용자가 번들 밴드(10)를 제거할 때 라벨(14)이 절취선(15)로 인해 번들 제품의 표면에 남게 된다.
번들 밴드(10)에서 라벨(14)을 구분하는 절취선(15)은 제1 절취선(15a)과 제2 절취선(15b)으로 구성되어 있다. 사용자가 제품에서 번들 밴드(10)를 분리할 때 라벨(14)이 제품의 표면에 남지 못하고 찢어질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번들 밴드(10)가 제거되는 방향으로 제1 절취선(15a)을 배치하고 이어서 제2 절취선(15b)을 연속적으로 배치하여 라벨(14)의 절취선(15)을 구성한다.
제2 절취선(15b)의 시작과 끝이 각각 다른 형상으로 되어 있는데, 시작 부분의 곡률 반지름이 끝 부분의 곡률 반지름보다 크며 그 중간은 직선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제2 절취선(15b)의 처음 부분과 끝 부분이 연속적으로 찢어지도록 서로 마주보며 겹치는 구조로 배치되어 있다. 만약 제2 절취선(15b)의 처음 부분과 끝 부분이 곡선 형태가 아니라 직선 형태인 경우 시작 부분의 둔각이 끝 부분의 둔각의 크기가 보다 클 수 있다.
번들 밴드(10)의 후면(도 1의 (b) 참조)을 보면, 점착 부분(10a)과 무점착 부분(10b)이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점착 부분(10a)은 번들 제품을 묶을 때 제품에 부착되는 부분이고, 무점착 부분(10b)은 제품과 제품 사이의 벌어진 틈에 위치하는 부분이다. 점착 부분(10a)에는 라벨(14)이 포함되어 있는데, 라벨(14)의 후면 일부는 무점착으로 되어 있다. 또한 분리 손잡이(12)의 후면도 무점착 부분에 해당한다
라벨(14)의 후면 일부가 무점착으로 되어 있어서, 용기 배출 시에 사용자가 무점착 부분을 잡고 용기에 붙은 라벨(14)을 쉽게 제거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라벨을 가진 번들 밴드를 번들 제품에 적용한 모습을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라벨을 가진 번들 밴드를 제거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두 개의 제품(20)이 번들 밴드(10)에 의해 번들 제품으로 묶여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번들 밴드(10)는 샴푸, 식용유, 간장 등과 같은 용기 제품을 하나의 번들 제품으로 묶는데 사용될 수 있다.
(a)는 번들 제품의 앞 모습을 나타내고, (b)는 번들 제품의 뒷 모습을 나타낸다. 앞 모습의 번들 밴드(10)에는 상표, 제품명이 표시되어 있고, 뒷 모습의 번들 밴드(10)에는 제품과 관련된 정보가 표시되어 있으며, 번들 제품(20)을 분리하기 위한 분리 손잡이(12)가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사용자가 분리 손잡이(12)를 잡고 번들 밴드(10)를 떼어 내면, 도 3와 같이 번들 제품이 떨어지면서 번들 제품의 표면에 라벨(14)이 잔류된다. 즉, 번들 밴드(10)를 떼어 내게 되면, 절취선(15a)에 의해 라벨(14)만 남게 되고 나머지 부분은 제거된다. 이렇게 라벨(14)이 제품 표면에 남게 되므로, 번들 밴드(10) 제거 이후에도 사용자는 제품을 식별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 따른 라벨을 가진 번들 밴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번들 밴드(10')는 제1 실시예의 번들 밴드(10)와 그 형태는 동일하나, 제품 정보를 표시하는 라벨(16)의 구성이 다르다.
제1 실시예의 번들 밴드(10)의 경우 그 내부에 절취선에 의해 구분된 라벨이 포함되어 있는 구성인데 반해, 제2 실시예의 번들 밴드(10')의 경우 번들 밴드(10')의 모서리에 걸쳐 라벨이 배치되어 분리 가능하게 절취선(17)에 의해 구분되어 있는 구성이다.
제품 정보를 표시하는 라벨(16)은 번들 밴드(10')의 하단 또는 상단 모서리에 돌출된 형태로 배치되어 있다. 즉, 라벨(16) 전체가 번들 밴드(10') 내부에 위치하지 않고, 라벨(16)의 일부가 번들 밴드(10')의 밖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와 같이 라벨(16)은 번들 밴드(10')의 모서리에 걸쳐 배치되어 번들 밴드(10') 내에 위치한 라벨(16)의 테두리가 절취선(17)으로 형성되어 잇다.
또한, 번들 밴드(10') 밖으로 나온 라벨(16) 부분의 일부에는 점착제가 도포되지 않은 부분(16b)이 포함되어 있다. 이 무점착 부분(16b)이 바로 라벨(16)을 떼기 위해 사용자가 손으로 잡게 되는 부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라벨을 가진 번들 밴드를 번들 제품에 적용한 모습을 나타낸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라벨을 가진 번들 밴드에 부착된 라벨을 용기 뚜껑에 적용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a)는 번들 밴드(10')에 의해 포장된 번들 제품의 앞 모습을 나타내고, (b)는 번들 제품의 뒷 모습을 나타낸다. (a)에서, 그 내부의 테두리가 절취선(17)으로 형성된 라벨(16)이 번들 밴드(10')와 제품(20)의 표면에 걸쳐 부착되어 있다.
앞 모습의 번들 밴드(10')에는 제품명이 표시되어 있고, 뒷 모습의 번들 밴드(10')에는 제품과 관련된 정보가 표시되어 있으며, 번들 제품(20)을 분리하기 위한 분리 손잡이(12)가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사용자가 분리 손잡이(12)를 잡고 번들 밴드(10')를 떼어 내기 전에, 사용자가 라벨(16)의 무점착 부분(16b)를 잡고 라벨(16)을 떼어낸다. 이어서 사용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떼어낸 라벨(16)을 제품 용기의 뚜껑이나 다른 부분에 붙인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떼어낸 라벨(16)을 뚜껑에 붙이는 것을 상정하여, 라벨(16)이 원형으로 되어 있으나, 원형 이외에 다양한 형태의 라벨로 제작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라벨(16)은 제품의 두껑 상면에 부착될 수 있도록 뚜껑 상면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로 제작될 수 있다.
이렇게 사용자가 번들 밴드(10')에 부착된 라벨(16)을 떼어 뚜껑이나 다른 위치의 제품 표면에 붙일 수 있어서, 번들 밴드(10') 제거 이후에도 사용자는 제품을 식별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라벨을 가진 번들 밴드를 나타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라벨을 가진 번들 밴드를 번들 제품에 적용한 모습을 나타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라벨을 가진 번들 밴드에 부착된 라벨을 용기 뚜껑에 적용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제3 실시예에 따른 번들 밴드(10'')는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의 번들 밴드(10, 10')와 그 형태는 동일하나, 제품 정보를 표시하는 라벨(18)의 구성이 다르다.
제2 실시예의 라벨(16)은 라벨(16)의 일부가 번들 밴드(10')의 밖으로 돌출되어 있는 반면, 제3 실시예의 라벨(18)은 번들 밴드(10'')의 내부에 위치한다. 즉, 라벨(18)은 번들 밴드(10'')의 하단 또는 상단 모서리 경계를 하부 테두리로 가지도록 배치되어 번들 밴드(10'') 내에 위치한 라벨(18)의 테두리가 절취선(19)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때 라벨(18)의 후면에는 점착 부분(18a) 및 무점착 부분(18b)이 포함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무점착 부분(18b)을 손으로 잡고 라벨(18)을 떼어 낼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라벨을 가진 번들 밴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4 실시예의 번들 밴드(10'')는 제1 실시예의 번들 밴드(10)와 제2 실시예의 번들 밴드(10')를 결합한 형태이다.
제3 실시예의 번들 밴드(100)는 제1 실시예의 번들 밴드(10)의 라벨(14)과 제2 실시예의 번들 밴드(10')의 라벨(16)을 모두 포함하고 있다.
사용자는 번들 밴드(100)를 떼어 내기 전에, 사용자가 라벨(16)의 무점착 부분(16b)를 잡고 라벨(16)을 떼어내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떼어낸 라벨(16)을 제품 용기의 뚜껑에 붙인 후 분리 손잡이(12)를 잡고 번들 밴드(100)를 떼어 내면, 도 3와 같이 번들 제품의 표면에 라벨(14)이 잔류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라벨을 가진 번들 밴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5 실시예의 번들 밴드(101)는 제1 실시예의 번들 밴드(10)와 제3 실시예의 번들 밴드(10'')를 결합한 형태이다.
제5 실시예의 번들 밴드(101)는 제1 실시예의 번들 밴드(10)의 라벨(14)과 제3 실시예의 번들 밴드(10'')의 라벨(18)을 모두 포함하고 있다.
사용자는 번들 밴드(101)를 떼어 내기 전에, 사용자가 라벨(18)의 무점착 부분(18b)를 잡고 라벨(18)을 떼어내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떼어낸 라벨(18)을 제품 용기의 뚜껑에 붙인 후 분리 손잡이(12)를 잡고 번들 밴드(101)를 떼어 내면, 도 3와 같이 번들 제품의 표면에 라벨(14)이 잔류된다.
이와 같이, 제4 및 제5 실시예에서는 라벨이 뚜껑과 제품 몸체에 모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 제품을 좀더 쉽게 식별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10, 10', 10'', 100, 101: 번들 밴드 12: 분리 손잡이
10a, 16a, 18a : 점착 부분 10b, 16b, 18b: 무점착 부분
14, 16, 18: 라벨 15, 17, 19: 절취선
15a: 제1 절취선 15b: 제2 절취선
20: 제품

Claims (18)

  1. 여러 개의 제품을 묶어 번들 제품을 만들기 위한 번들 밴드에 있어서,
    상기 번들 밴드를 제거할 때 제품 정보를 표시하는 라벨이 상기 번들 제품에 잔류하도록 절취선에 의해 형성되어,
    상기 절취선은 상기 번들 밴드를 제거하는 방향으로 제1 절취선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1 절취선에 이어서 상기 제1 절취선과 다른 형태의 제2 절취선이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구성되며,
    상기 제2 절취선은 처음 부분과 끝 부분의 곡률 반지름 또는 둔각이 다르며 처음 부분과 끝 부분이 연속적으로 찢어지도록 서로 마주보며 겹치는 구조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절취선과 만나는 상기 제1 절취선의 양단이 라운드 처리되어 있고 그 끝 부분이 곡률 또는 둔각 처리되어 상기 제2 절취선의 처음 부분과 서로 마주보며 겹쳐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을 가진 번들 밴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번들 밴드의 단부에 분리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을 가진 번들 밴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손잡이에는 점착제가 도포되어 있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을 가진 번들 밴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 정보를 표시하는 라벨의 일부에 점착제가 도포되어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을 가진 번들 밴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여러 개의 제품을 묶어 번들 제품을 만들기 위한 번들 밴드에 있어서,
    상기 번들 밴드를 번들 제품으로부터 제거할 때 상기 번들 제품에 잔류하도록 절취선에 의해 형성된 제1 라벨과,
    상기 번들 밴드와 분리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제2 라벨을 포함하여
    상기 절취선은 상기 번들 밴드를 제거하는 방향으로 제1 절취선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1 절취선에 이어서 상기 제1 절취선과 다른 형태의 제2 절취선이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구성되며,
    상기 제2 절취선은 처음 부분과 끝 부분의 곡률 반지름 또는 둔각이 다르며 처음 부분과 끝 부분이 연속적으로 찢어지도록 서로 마주보며 겹치는 구조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절취선과 만나는 상기 제1 절취선의 양단이 라운드 처리되어 있고 그 끝 부분이 곡률 또는 둔각 처리되어 상기 제2 절취선의 처음 부분과 서로 마주보며 겹쳐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을 가진 번들 밴드.
  14. 삭제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라벨은 상기 번들 밴드의 모서리에 걸쳐 배치되어 상기 번들 밴드 내에 위치한 테두리가 절취선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을 가진 번들 밴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라벨은 원형의 라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을 가진 번들 밴드.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라벨은 상기 번들 밴드의 모서리 경계를 하부 테두리로 가지도록 배치되어 상기 번들 밴드 내에 위치한 테두리가 절취선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을 가진 번들 밴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라벨은 장방형의 라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을 가진 번들 밴드.
KR1020220028886A 2022-03-07 2022-03-07 라벨을 가진 번들 밴드 KR1024504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8886A KR102450483B1 (ko) 2022-03-07 2022-03-07 라벨을 가진 번들 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8886A KR102450483B1 (ko) 2022-03-07 2022-03-07 라벨을 가진 번들 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0483B1 true KR102450483B1 (ko) 2022-10-06

Family

ID=83597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8886A KR102450483B1 (ko) 2022-03-07 2022-03-07 라벨을 가진 번들 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0483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50046A (ja) * 2004-03-03 2005-09-15 Asahi Printing Co Ltd シーリングラベル
JP2006055392A (ja) * 2004-08-20 2006-03-02 Iwata Label Co Ltd 薬剤管理用ラベル
JP3125906U (ja) * 2006-07-25 2006-10-05 株式会社岩田レーベル 容器用表示ラベル
JP2010085576A (ja) * 2008-09-30 2010-04-15 Toppan Forms Co Ltd ラベル
US20130071585A1 (en) * 2010-03-23 2013-03-21 Marco Kettwig Making a package of plastic film
KR20210138345A (ko) * 2020-05-12 2021-11-19 김진벽 분리가 용이한 연속형 띠라벨지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50046A (ja) * 2004-03-03 2005-09-15 Asahi Printing Co Ltd シーリングラベル
JP2006055392A (ja) * 2004-08-20 2006-03-02 Iwata Label Co Ltd 薬剤管理用ラベル
JP3125906U (ja) * 2006-07-25 2006-10-05 株式会社岩田レーベル 容器用表示ラベル
JP2010085576A (ja) * 2008-09-30 2010-04-15 Toppan Forms Co Ltd ラベル
US20130071585A1 (en) * 2010-03-23 2013-03-21 Marco Kettwig Making a package of plastic film
KR20210138345A (ko) * 2020-05-12 2021-11-19 김진벽 분리가 용이한 연속형 띠라벨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3207612B2 (en) Reconfigurable package for confectionery products
MX2015002510A (es) Etiquetas de sujecion y metodos para su fabricacion y uso.
US20090246427A1 (en) Product labels having removable portions having adhesive and backing thereon
AU2011378451B2 (en) Packaged oral care implement and package
KR102324128B1 (ko) 번들 제품 포장용 라벨지
US7776418B2 (en) Package closure device
US20220242641A1 (en) Packaging made of cellulose material and opening method
KR102450483B1 (ko) 라벨을 가진 번들 밴드
KR100989183B1 (ko) 정품인증라벨
JP3648293B2 (ja) 店内用買物かご
JP2004142818A (ja) シーリングラベル
JPH0810819Y2 (ja) 多機能型ラベル
JP2006123955A (ja) 保存容器となるブリスターパック
CN211264818U (zh) 一种防揭起标签
JP2003175972A (ja) 包装容器および包装シート
JP3450199B2 (ja) 包装体
JP7296127B2 (ja) シール付ラベル、シール付ラベル帯状体及びシール付ラベルを用いた包装品
KR20180057376A (ko) 구강용품을 위한 접철식 포장 케이스
JPH0142532Y2 (ko)
JPH09165030A (ja) シート分配ケース
US20170369222A1 (en) Easy open package
JP3139490U (ja) シール製品
US20120211550A1 (en) Wrapper
JP2010160420A (ja) 特殊粘着テープ及び食品容器
JPH0518284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