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9000B1 - 창문 및/또는 도어의 피팅 장치 - Google Patents

창문 및/또는 도어의 피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9000B1
KR102449000B1 KR1020197034739A KR20197034739A KR102449000B1 KR 102449000 B1 KR102449000 B1 KR 102449000B1 KR 1020197034739 A KR1020197034739 A KR 1020197034739A KR 20197034739 A KR20197034739 A KR 20197034739A KR 102449000 B1 KR102449000 B1 KR 1024490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polygon
blocking
window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47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2994A (ko
Inventor
헬무트 알버
크리스티안 요세프 스테판 제우스
Original Assignee
호페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페 아게 filed Critical 호페 아게
Publication of KR202000029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29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90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90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3/00Devices preventing the key or the handle or both from being used
    • E05B13/002Devices preventing the key or the handle or both from being used locking the handle
    • E05B13/004Devices preventing the key or the handle or both from being used locking the handle by locking the spindle, follower,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3/00Devices preventing the key or the handle or both from being used
    • E05B13/10Devices preventing the key or the handle or both from being used formed by a lock arranged in the handle
    • E05B13/106Devices preventing the key or the handle or both from being used formed by a lock arranged in the handle for handles pivoted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0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flat filtering elements
    • B01D29/05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flat filtering elements suppor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0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flat filtering elements
    • B01D29/05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flat filtering elements supported
    • B01D29/07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flat filtering elements supported with corrugated, folded or wound filtering sheets
    • B01D29/07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flat filtering elements supported with corrugated, folded or wound filtering sheets with curved filter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3/00Devices preventing the key or the handle or both from being used
    • E05B13/005Disconnecting the handl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3/00Devices preventing the key or the handle or both from being used
    • E05B13/10Devices preventing the key or the handle or both from being used formed by a lock arranged in the handle
    • E05B13/101Devices preventing the key or the handle or both from being used formed by a lock arranged in the handle for disconnecting the handl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053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means providing a stable, i.e. indexed, position of lock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053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means providing a stable, i.e. indexed, position of lock parts
    • E05B15/006Spring-biased ball or roller entering a notc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 F01L1/20Adjusting or compensating clearance
    • F01L1/22Adjusting or compensating clearance automatically, e.g. mechanically
    • F01L1/24Adjusting or compensating clearance automatically, e.g. mechanically by fluid means, e.g. hydraulic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 F01L1/20Adjusting or compensating clearance
    • F01L1/22Adjusting or compensating clearance automatically, e.g. mechanically
    • F01L1/24Adjusting or compensating clearance automatically, e.g. mechanically by fluid means, e.g. hydraulically
    • F01L1/2405Adjusting or compensating clearance automatically, e.g. mechanically by fluid means, e.g. hydraulically by means of a hydraulic adjusting device located between the cylinder head and rocker ar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 F01L1/34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means for changing the timing of the valves without changing the duration of opening and without affecting the magnitude of the valve lift
    • F01L1/344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means for changing the timing of the valves without changing the duration of opening and without affecting the magnitude of the valve lift changing the angular relationship between crankshaft and camshaft, e.g. using helicoidal gear
    • F01L1/3442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means for changing the timing of the valves without changing the duration of opening and without affecting the magnitude of the valve lift changing the angular relationship between crankshaft and camshaft, e.g. using helicoidal gear using hydraulic chambers with variable volume to transmit the rotating force
    • F01L2001/34423Details relating to the hydraulic feeding circuit
    • F01L2001/34436Features or method for avoiding malfunction due to foreign matters in oil
    • F01L2001/3444Oil fil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 Seal Device For Vehicle (AREA)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 또는 창문에 고정되는 엔드 스톱 바디(20)의 외면 또는 내부에 회전축(D)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핸들(10); 도어 또는 창문의 메커니즘 시스템의 작동을 위한 폴리곤(40); 핸들(10)을 폴리곤(40)과 체결하기 위한 체결 부재(50); 및 폐쇄 위치(A)에서 회전축(D)을 중심으로 폴리곤(40)의 회전을 차단하는 차단 장치(70)를 포함하고, 차단 장치(70)가 핸들(10)이 제1 핸들 위치로부터 제2 핸들 위치로의 축 방향 작동을 통하여 회전축(D)을 따라서 해제 위치(B)로 이동하는 도어 또는 창문의 메커니즘 시스템의 작동을 위한 피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제2 핸들 위치에 도달함으로써 핸들은 폴리곤과 결속되고, 폴리곤은 메커니즘의 작동을 위하여 해제된다.

Description

창문 및/또는 도어의 피팅 장치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상위개념에 따른 도어 또는 창문의 메커니즘의 작동을 위한 피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창문 또는 도어의 피팅 장치는 대부분 회전 조작으로 이루어진다. 그러한 회전 조작 또는 회전 핸들은 창문의 윙 또는 도어 판에 고정되기 위하여 도어 로제트, 엔드 스톱 바디, 베이스 플레이트 또는 그와 유사한 종류의 엔드 스톱 부재를 포함한다. 피팅 장치와 관련되는 메커니즘은, 예를 들면 잠금 메커니즘은 피팅 장치에 배치되는 파지 핀, 예컨대 폴리곤을 통하여, 대개의 경우는 사각핀의 형태로, 창문의 윙 또는 도어 판에서 구현된다.
폴리곤과 작동 조작부 사이에서 경직된 체결이 이루어지는 경우, 예컨대 창문 윙이 창문틀에 대항하여 들어올려 지게 됨으로써 창문 윙을 잠그기 위한 목적으로 구비되는 맨드릴이 레버 공구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조작될 수 있는 위험이 존재한다. 이와 동시에, 맨드릴을 이용하는 잠금 메커니즘과 피팅 장치의 폴리곤 사이에 이루어지는 경직된 체결을 통하여 창문을 잠그는 모든 맨드릴이 개방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창문 또는 그와 상응하는 도어에 적용되는 그러한 종류의 구조에 있어서 침입할 수 있는 위험요소가 더욱 증가되는 것이다.
이러한 침입 위험요소를 회피하고자 외부로부터 폴리곤의 작동을 어렵게 하거나 또는 통상적인 방식으로 창문의 윙 또는 도어 판에 적용되는 잠그는 기능을 발휘하는 맨드릴의 조작을 어렵게 만드는 다양한 종류의 메커니즘이 발전하여 왔다.
독일특허 공개공보 DE 10 2014 103 994 A1에 예컨대 파지 부재가 잠금 메커니즘의 작동을 위하여 손잡이에 배치되는 핸들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외부에서 무단으로 핸들 장치를 작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폐쇄 위치에 있어서 손잡이를 엔드 스톱 바디 쪽으로 비교적 인접하게 이동시킴으로써 손잡이의 회전을 봉쇄하는 스냅-인 형식의 메커니즘이 제안되었다. 창문 또는 도어의 잠금 메커니즘이 작동되기 위해서 엔드 스톱 바디 쪽으로 비교적 가깝게 접근시키는 조작을 통하여 손잡이가 해제 위치로 옮겨지게 되고, 이로써 스냅-인 메커니즘을 통한 봉쇄가 해제된다. 스냅-인 메커니즘은 통 모양으로 이루어지는데, 이 통은 단부에 핸들 장치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엔드 스톱 바디의 록크 슬롯과 맞물리게 되는 록크 캠을 포함한다. 창문 또는 도어의 잠금 메커니즘과 맞물리게 되는 파지 부재 역시 이러한 방식으로 차단이 되어, 창문 또는 도어는 외부로부터 무단으로 조작될 수 없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종래 기술에 비하여 간단하고도 내구성이 향상된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창문 또는 도어에 적용되는 메커니즘의 작동을 위한 피팅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더 나아가서, 본 발명에 따른 피팅 장치의 제공을 통하여 피팅 장치의 무단 작동이나 창문 또는 도어에 있어서 피팅 장치와 연관되는 메커니즘의 무단 조작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야 하며, 아울러 이 장치는 간단히 작동될 수 있어야 한다. 더 나아가서 간단하고 비용이 경감되는 구조의 피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과제이다.
본 발명의 주요 기술적 특징들은 청구항 1의 특징부에 기술되어 있으며, 실시예들은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15의 대상들이다.
도어 또는 창문에 고정되는 엔드 스톱 바디의 외면 또는 내부에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핸들, 도어 또는 창문의 메커니즘 시스템의 작동을 위한 폴리곤, 핸들이 폴리곤과 체결될 수 있는 체결 부재 및 폐쇄 위치에서 회전축을 중심으로 폴리곤의 회전을 차단하는 차단 장치를 포함하고, 차단 장치가 핸들이 제1 핸들 위치로부터 제2 핸들 위치로의 축 방향 작동을 통하여 회전축을 따라서 해제 위치로 이동하는 도어 또는 창문의 메커니즘 시스템의 작동을 위한 피팅 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은 제1 핸들 위치에 있어서 핸들은 폴리곤과의 체결에서 해제되어 차단 장치가 폐쇄 위치에 놓이게 되고, 제2 핸들 위치에 있어서 체결 부재는 핸들이 폴리곤과 체결되고, 차단 장치를 해제 위치에서 지탱하는 피팅 장치를 제안한다.
제1 핸들 위치에 있어서 핸들이 폴리곤에서 해제됨으로써 창문 또는 도어가 실수로 잘못 작동되는 일이 방지되는데, 이는 창문 또는 도어에 적용되는 메커니즘은 핸들이 제2 핸들 위치로 놓이게 될 때 비로소 작동하기 때문이다. 동시에 피팅 장치의 차단 장치가, 핸들이 제1 핸들 위치에 놓여 있는 한, 모든 종류의 폴리곤 작동을 방해하는데, 즉 창문 또는 도어는 외부에서 무단으로 조작되어 개방되지 않게 된다.
창문 또는 도어를 개방하기 위해서 핸들을 두 단계의 과정을 거쳐서 움직이는 것이 필요하다. 먼저 핸들을 제1 핸들 위치에서 제2 핸들 위치로 이동시켜야 하고, 그 다음으로 핸들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어야만 한다.
핸들을 두 단계에 걸쳐 조작하는 과정은 특히 어린이에게는 어려운 일인데, 이는 이미 안전 문제를 향상시키는 데 기여한다. 차단 장치를 통하여 그럼에도 폴리곤과 메커니즘의 외부로부터의 무단 조작이 가능하다는 사실이 효과적으로 차단된다. 이러한 차단은 핸들이 제1 핸들 위치로부터 제2 핸들 위치로 이동될 때 비로소 해제된다. 이때, 체결 부재는 핸들을 폴리곤과 체결시키고, 동시에 차단 장치는 폐쇄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 이동한다. 핸들, 따라서 창문과 도어는 곧이어서 평상시처럼 작동이 된다.
핸들이 제1 핸들 위치에 있게 될 때 차단 장치는 폐쇄 위치에 놓이게 됨으로써 해제와 차단 장치의 결합은 따라서 조작 안정성과 침입에 대한 안정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킨다. 따라서, 잠금 위치의 창문 또는 도어에 있어서 핸들은 제1 핸들 위치에 있게 되고, 회전축을 통한 폴리곤의 회전은 차단 장치를 통하여 방해받는 효과가 발생한다. 창문 또는 도어가 개방 위치를 점하게 되자마자, 핸들이 비교적 엔드 스톱 바디 가까이 움직이는 조작을 통하여 차단 장치는 해제 위치에 도달하게 되고, 그렇게 됨으로써 폴리곤은 - 폴리곤과 핸들 사이에 형성되는 체결을 통하여 - 체결 부재를 수단으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중요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체결 부재는 차단 장치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작동 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제안된다. 그러한 작동 부재가 제안됨으로써 차단 장치가 항시 믿을 수 있게 작동이 되고, 해제 위치로 옮겨지는 효과를 나타낸다. 핸들을 손에서 놓거나 또는 핸들을 다시 제1 핸들 위치로 옮기게 되면 차단 장치는 다시 폐쇄 위치에 도달하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엔드 스톱 바디에 분리되어 배치되거나 또는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차단 부재를 포함하는 차단 장치가 제안된다. 이로써 롤러 바디, 록크 바디, 볼트 및 그와 유사한 종류의 것을 포함하는, 침입 가능성을 매우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차단 장치의 매우 견고한 구성이 가능케 되는데, 핸들이 제2 핸들 위치로 이동 따라서 폴리곤과의 체결위치로 이동되는 경우에만 비로소, 그리고 이런 위치에서 작동 부재가 차단 장치의 차단 부재를 해제 위치로 이동시키는 경우에만 비로소 창문 또는 도어의 핸들과 메커니즘이 작동이 된다.
이에 추가하여, 본 발명은 앤드 스톱 바디에 있어서 모든 차단 부재를 위한 리세스가 형성되는 것을 제안한다. 이러한 차단 부재들은 따라서 엔드 스톱 바디 내부에 확실하고 정밀하게 유입되고, 그렇게 함으로써 폐쇄 위치에 있을 때 폴리곤의 지속적이고 확실한 차단/봉쇄를 보증하게 되는 것이다.
차단 부재가 회전축과 관련하여 방사 또는 축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단 부재는 리세스 내에서 회전축과 관련하여 방사 또는 축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구성이 제안된다.
차단 부재가 폴리곤의 운동, 따라서 폐쇄 위치에 있어서 메커니즘의 운동을 봉쇄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는데, 이로써 구조적으로 단순하고 비용이 절감되는 피팅 장치에 있어서 침입에 대한 향상된 안전성이 보장되는 것이다. 엔드 스톱 바디에 형성되는 노치를 통하여 차단 부재는 차단되어야 하는 폴리곤에 대항하여 효과적인 방식으로 유도되고 위치를 점하게 된다. 이에 더하여, 방사 방향 또는 축 방향 운동을 통하여 차단 부재는 신속하고 정밀하게 작동 부재들로부터 폐쇄 위치에서 해제 위치로 또는 그 반대로 움직여질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차단 부재들의 방사 운동 및 정렬을 통하여 엔드 스톱 바디의 설치 높이를 현저히 줄일 수 있다.
더 나아가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든 차단 부재는 회전축과 관련하여 방사 또는 축 방향으로, 바람직하게는 스프링에 의해 생성되는 힘이 실린 채로 움직일 수 있는 구성이 제안되는데, 즉 모든 차단 부재는 스프링을 수단으로 개개의 리세스 내에서 장력이 담지된 상태로 배치된다.
차단 부재에 응력이 부여됨으로써 차단 부재들은 스프링의 작용력에 대항하여 작동 부재로부터 벗어나서 해제 위치로 이동된다. 이에 반하여 핸들을 다시 제1 핸들 위치로 돌리게 되면, 스프링은 차단 부재들을 자동으로 다시 폐쇄 위치로 되돌려 놓게 되고, 그 결과 폴리곤 및 따라서 피팅 장치는 항상 확실하게 차단되는 것이다. 이는 차단 장치를 폐쇄 위치에서 해제 위치로 바꾸어주기 위해 들이게 되는 피팅 장치의 조작과 관련한 수고를 덜어주는 효과를 제공한다.
대안으로, 해제 위치는 장력을 통하여 유지되고 폐쇄 위치는 체결 부재의 작동을 통하여 보증되는 그런 반대의 경우도 역시 고려해 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단 부재가 폐쇄 위치에서 폴리곤과 직접 또는 간접으로 맞물리는 구성이 제안된다. 그래서 특히 자리를 적게 차지하는 차단 장치의 구성이 바람직한 방식으로 가능해진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엔드 스톱 바디가 도어판 또는 창문틀에 장착될 때 이는 시각적으로 매력적인 모습을 연출하고, 따라서 이는 미학적인 관점에서 피팅 장치 전체의 인상을 각인시킨다.
본 발명의 중요하고 효과적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체결 부재는 두 개의 부품으로 이루어지고, 체결 부재는 회전할 수 없도록 핸들과 체결되는 핸들 파지부와 회전할 수 없도록 폴리곤과 체결되는 폴리곤 파지부를 각각 포함한다. 체결 부재가 두 개의 부품으로 구성됨으로써, 간단하고 비용이 절감되는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는 차단 장치의 작동이 정밀하고 믿을 수 있게 발휘되는 장점이 있다. 더 나아가서, 특히 핸들 파지부와 폴리곤 파지부가 서로 맞물리게 되면, 핸들과 폴리곤 사이의 체결이 효과적인 방식으로 항상 믿음직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폴리곤 파지부가 폴리곤과 맞대어 또는 폴리곤 위에 형성되는 반면, 핸들 파지부는 바람직하게는 핸들에 연접 배치되거나 고정된다.
체결 부재의 작동 부재가 핸들 파지부에 형성되는 것이 구조상으로 유익하다. 이때 차단 장치의 작동은 체결이 이루어지게 되면, 따라서 핸들이 제2 핸들 위치를 점하게 되는 경우에만 비로소 효과적인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핸들 파지부는 작동 부재가 연접 배치되거나 형성되는 플랜지 섹션을 포함하는데, 이때 작동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엔드 스톱 바디를 향하는 플랜지 섹션의 전면 평면부에 배치된다. 플랜지 섹션은 체결 부재가 엔드 스톱 바디에 확실히 자리 잡도록 하는 데 기여한다. 또한, 플랜지 섹션은 작동 부재의 수용 또는 형성을 위한 더욱 넓은 평면을 형성하게 되어, 그 결과 작동 부재가 차단 장치의 작동을 위하여 적절한 규격을 갖게 된다.
핸들 파지부 및 폴리곤 파지부를 통하여 핸들을 폴리곤과 확실하게 체결시키기 위하여, 본 발명은 더 나아가서 핸들 파지부 내지 핸들 파지부의 플랜지에 적어도 하나의 물림 부재가 배치되는 것을 제안한다. 이런 물림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플랜지 섹션의 전면 평면부에 배치되거나 형성된다. 물림 부재가 플랜지에 배치됨으로써, 물림 부재가 더욱 넓은 평면에 배치되는 효과가 발생하는데, 이로써 물림 부재의 형상을 보다 크게 만들어줄 수 있게 되고, 따라서 물림 부재를 통하여 전달되는 힘의 크기가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체결이 지속적으로 확실하게 유지되는 것이 보장된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구성상의 옵션에 따르면, 물림 부재는 작동 부재와 일체로 형성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분리된 부품들이 결합되어 하나의 유니트를 형성하는 것에 비하여 현저히 견고성이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핸들 파지부가 핸들과 확실하게 고정되기 위하여 핸들 파지부는 목 섹션을 포함하는 것이 제안되는데, 핸들 파지부는 회전에 저항하는 결속을 위하여 핸들 면에 폴리곤 영역을 포함한다. 그 외에도 핸들 파지부는 폴리곤 파지부를 수용하기 위하여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용 공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핸들 파지부는 고정 수단, 예컨대 나사를 통하여 핸들 목에 고정되고, 이때 핸들 파지부는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 소재를 서로 접착시키는 방식으로, 예컨대 본딩(bonding)을 통하여 회전할 수 없도록 핸들 목과 체결될 수 있다. 목 영역은 이때 접촉 평면으로 구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핸들과 핸들 파지부 사이에 이루어지는 체결이 폴리곤 영역을 통하여 회전 저항성을 발휘하게 한다.
핸들 파지부에 형성되는 수용 공간은 폴리곤 및/또는 폴리곤 파지부가 효과적인 방식으로 종축 방향으로 변위 하는데 도움이 되고, 이때 축 방향의 경계는 스프링을 위한 엔드 스톱 포인트로서 이용된다. 수용 공간에 유입되는 폴리곤 및/또는 폴리곤 파지부는 스프링으로 인하여 엔드 스톱 바디에 대항하여 장력을 갖게 된다. 이러한 장력은 바람직한 방식으로 핸들이 제1 핸들 위치에서 제2 핸들 위치로 이동하는 힘에 반대하는 힘으로 작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핸들과 엔드 스톱 바디 사이에, 핸들을 엔드 스톱 바디에 대항하여 장력을 지탱할 수 있도록 하는 외부 스프링이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동시에 엔드 스톱 바디로부터 창문 측 또는 도어 측에 돌출하는 폴리곤의 길이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폴리곤 파지부가 차단 부재를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차단 리세스를 포함하는 것이 제안된다. 이때,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폴리곤 파지부는 제1 플랜지 섹션을 포함하고,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차단 리세스가 제1 플랜지 섹션에 형성되고,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차단 리세스는 제1 플랜지 섹션의 외연의 면에 배치된다.
폴리곤 파지부에 형성되는 차단 리세스를 통하여 차단 부재는 폴리곤 파지부와 확실하게 맞물리게 되고, 폴리곤 및/또는 폴리곤 파지부에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힘 또는 토크 모멘트를 지속적으로 확실히 수용할 수 있도록 차단 리세스는 차단 부재의 크기 및 용적에 따라 최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폴리곤 파지부의 제1 플랜지 섹션은 바람직하게는 엔드 스톱 바디를 향하는 폴리곤 파지부의 단부에 배치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엔드 스톱 바디의 바닥 섹션 또는 개구 섹션과 인접하게 배치된다. 폴리곤 파지부의 플랜지 섹션을 통하여 효과적인 방식으로 폴리곤 및/또는 폴리곤 파지부가 회전축을 대항하여 전복되는 것이 어렵게 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피팅 장치가 매우 큰 부하를 받을 때에도 회전축에 수직하여 항상 확실하게 작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 나아가서, 플랜지 섹션에 차단 리세스를 배치하는 것이 효과적인데, 그 이유는 회전축과 관련한 방사 방향의 운동에 있어서 폐쇄 위치에 있는 차단 장치의 지속 모멘트는 폴리곤 및/또는 폴리곤 파지부로부터 멀어질수록 증가하기 때문이다. 마찬가지 사실이 외연의 면에 배치되는 차단 리세스의 경우에도 해당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플랜지 섹션에 바람직하게는 전면부에 핸들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가 형성되는 것이 제안된다. 이러한 리세스는, 핸들이 제1 핸들 위치로부터 제2 핸들 위치에 도달하여 핸들 파지부와 폴리곤 파지부로 이루어지는 체결 부재가 핸들을 폴리곤에 결속하는 경우, 핸들 파지부가 형상 끼움 맞춤 방식으로 수용되는데 도움이 된다. 리세스는 바람직하게는 엔드 스톱 바디 방향으로 바닥면에서 닫혀 있다.
본 발명의 중요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체결 부재 및/또는 핸들 파지부의 작동 부재가 제2 핸들 위치에 있을 때 폴리곤 파지부의 차단 리세스와 맞물린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제2 핸들 위치에 있는 작동 부재는 폴리곤 파지부의 차단 리세스와 형상끼움 방식으로 물리게 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리세스를 잠가버린다. 여기서 폴리곤 파지부의 외연면은 제2 핸들 위치에서 완성되게 된다.
체결 부재 및/또는 핸들 파지부의 작동 부재가 폴리곤 파지부의 차단 리세스와 맞물리게 됨으로써, 차단 부재가 폴리곤 또는 폴리곤 파지부로부터 구축되는 가운데 차단 장치가 해제된다. 그 외에도 작동 부재가 차단 리세스와 형상 끼움 방식으로 맞물리게 되므로 형상 결합이, 따라서 핸들로부터 폴리곤으로의 회전 모멘트의 확실한 전달이 가능케 되는 체결이 수행된다. 두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체결 부재는 따라서 핸들이 제2 핸들 위치에 도달했을 때 차단 장치를 해제하고, 동시에 핸들을 폴리곤과 체결시킨다.
차단 리세스를 폐쇄함으로써 차단 리세스는 제2 핸들 위치에 놓이게 될 때 더는 차단 장치와 맞물리지 않게 되고, 오히려 폴리곤 파지부에 본질적으로 평탄한 외부 면이 생겨나는데, 이런 평면은 엔드 스톱 바디에 있어서 회전 시 제1 플랜지 섹션이 피팅 장치의 다른 부품들과 걸리거나 또는 끼어서 움직이지 않게 되는 현상을 막아준다.
작동 부재가 제2 핸들 위치에 놓이게 될 때, 작동 부재가 폴리곤 파지부의 제1 플랜지 섹션의 차단 리세스와 맞물리는 것뿐만 아니라, 작동 부재가 폴리곤 파지부의 플랜지 섹션에 있어서도 형상 끼움 방식으로 또한 차단 리세스와 맞물리는 것이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리세스의 내벽과 작동 부재의 측면은 핸들 파지부와 폴리곤 파지부 사이에서 발생하는 회전 모멘트의 전달에 기여한다. 따라서 더욱 큰 회전 모멘트가 핸들로부터 폴리곤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는 특히, 메커니즘을 통하여 큰 하중이, 예컨대 다수의 잠금 장치 또는 스토퍼를 구비하는 대형 창문 또는 도어의 경우에, 전달되어야 할 때 효과가 있다.
위에서 언급한 경우에 핸들 파지부에 형성되는 물림 부재 역시 도움이 되는데, 물림 부재들이 작동 부재와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에 특히 그러하다.
그럼에도, 핸들이 제1 핸들 위치에 있게 되면, 핸들 파지부와 폴리곤 파지부는 서로 맞물림에서 해제되고, 그 결과 차단 장치는 폴리곤이 무단으로 작동되는 것을 막아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폴리곤 파지부는 폴리곤과 동일 형상의 폴리곤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이 제안된다. 더 나아가서, 폴리곤은 폴리곤 수용부와 맞물리는 것이 제안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체결 부재의 핸들 파지부와 또는, 체결 부재가 하나의 부품으로 이루어져 있는 경우, 체결 부재가 폴리곤과 확실하게 맞물리게 되는데, 즉 제2 핸들 위치에 있어서 회전 모멘트는 핸들로부터 확실하게 폴리곤으로 전달될 수 있다.
회전 모멘트의 전달은 특히 바람직하게는, 폴리곤과 동일 형상의 폴리곤 수용부를 통하여 수행된다. 더 나아가서, 폴리곤이 폴리곤 수용부와의 맞물림을 통하여, 특히 형상 끼움 방식의 맞물림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효과적이다. 따라서 폴리곤과 폴리곤 수용부 사이에 발생하는 유격과 체결 부재를 통한 회전 모멘트가 전달되는 과정에서 핸들과 폴리곤 사이의 발생하는 유격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폴리곤 파지부는 핸들 측으로 목 섹션을 포함하는 것과, 목 섹션은 바람직하게는 핸들 측을 향하여 종결되고, 종결부와 폴리곤 사이에 스프링이 배치되는 것이 제안된다.
목 섹션이 제안됨으로써, 목 섹션을 구비하는 폴리곤 파지부가 핸들 파지부의 목 섹션의 수용 공간으로 더욱 긴 거리를 통하여 이동되는 효과가 있다. 회전축을 따라서 이루어지는 이러한 축 방향의 이동은 피팅 장치, 특히 피팅 장치에 구비되는 메커니즘 구동 부재의 비틀림 강도를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된다. 더 나아가서, 목 섹션을 구비함으로써 얻게 되는 장점은 폴리곤 파지부가 회전축과 관련하여 축 방향으로 밀려 이동하여 폴리곤에 자리를 잡게 되고 및/또는 폴리곤은 회전축과 관련하여 축 방향으로 밀려 이동하여 폴리곤 파지부에 안착한다는 것이다. 이때, 폴리곤 파지부의 목 섹션은 핸들 파지부와 함께 회전축을 따라서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를 형성한다. 이와 연관하여 폴리곤 파지부 및/또는 폴리곤에 가해지는 스프링 부하 내지 장력이 유익한 것이 되는데, 그 이유는 폴리곤이 그렇게 다양한 장착 깊이에 적응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폴리곤 파지부가 제2 플랜지 섹션을 포함하는 것이 제안되고, 이때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플랜지 섹션은 핸들 측으로 제1 플랜지 섹션에 연접하여 형성된다.
제2 플랜지 섹션이 제안됨으로써 비틀림에 대한 폴리곤 파지부의 견고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특히, 창문 윙 또는 도어 판에 구비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록크 부재들을 통하여 잠금 메커니즘을 외부에서 무단으로 조작하는 경우, 차단 장치가 폐쇄 위치에 있게 되는 폴리곤 파지부는 밖에서 가해진 힘을 수용해야만 하고, 기계적으로 기능을 잃지 않고 작동해야만 하는데, 그렇지 않다면 메커니즘은 남아 있는 다른 록크 부재의 조작에 무방비 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플랜지 섹션 또는 제2 플랜지 섹션의 외연면에 적어도 하나의 스냅-인 부재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록크-인 포지션 스킵이 형성되는 것이 제안되고, 이때, 바람직하게 스냅-인 부재는 엔드 스톱 바디에 배치되는 것이 제안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스냅-인 부재가 스냅-인 부재 스프링을 통하여 방사 방향으로 제1 플랜지 섹션 또는 제2 플랜지 섹션에 대항하여 장력을 받는 것이 제안된다.
스냅-인 부재 및 록크-인 포지션 스킵이 제안됨으로써, 핸들을 조작할 때 스냅-인 위치가 생성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특히 이때,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시 제1 핸들 위치에 대하여 도달하게 되는 90도 및 180도 스냅-인 위치가 효과적으로 형성되는데, 이와 조율되는 도어 판 또는 창문 윙에 적용되는 메커니즘의 기능성에 있어서 다양한 상태들, 예컨대 기울기 위치 또는 해제 위치가 사용자에게 촉각적으로 피드백 되기 때문이다. 스냅-인 부재를 엔드 스톱 바디에 배치하는 것이 효과적인 것은 이러한 배치를 통하여 설치 면적을 줄인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폴리곤 파지부는 적어도 하나의 포지션 풋트 브리지를 포함하는 것이 제안되고, 포지션 풋트 브리지는 바람직하게는 핸들 측으로 플랜지 섹션에 배치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엔드 스톱 바디는 포지션 풋트 브리지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포지션 슬롯을 포함하는 것이 제안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포지션 풋트 브리지가 제1 핸들 위치에 있어서 포지션 슬롯과 맞물리는 것이 제안된다.
포지션 풋트 브리지가 제안됨으로써, 회전할 수 없도록 핸들과 체결되는 핸들 파지부를 통하여 제1 핸들 위치에 있는 핸들이 효과적으로 정해진 위치에 놓이게 되고 고정될 수 있다. 특히, 포지션 풋트 브리지가 핸들을 향하는, 핸들 파지부의 플랜지 섹션에 배치되는 것이 효과적인데, 그 이유는 그러한 방식으로 물림이, 예컨대 일정한 위치에 고정되어 있는 엔드 스톱 바디와의 맞물림이 포지션 슬롯을 통하여 생겨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엔드 스톱 바디는 강화 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제안되는데, 강화 부재는 엔드 스톱 바디에 밀착 형성되고, 포지션 풋트 브리지가 포지션 슬롯과 맞물리는 범위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를 포함한다.
강화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핸들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발생하는 부하를 수용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리세스는 포지션 슬롯의 둘레에 형성됨으로써, 포지션 슬롯과 포지션 풋트 브리지가 서로 맞물리는 힘에 대항하는 힘들이 강화 부재를 통하여 흡수하게 되어 엔드 스톱 바디를 통한 힘의 수용을 대부분 회피시키게 만든다. 그렇게 함으로써 엔드 스톱 바디는 기계적으로 내구성이 약한 재료로도 이루어지고 또는 특히 설치 면적을 줄일 수 있게 구성된다. 강화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고, 바람직하게는 판형의 형태로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핸들 위치에 있어서 포지션 풋트 브리지는 각각의 포지션 슬롯과의 맞물림에서 해제된다.
따라서 체결 부재가 해제되는 제1 핸들 위치에 있어서 핸들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움직이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핸들은 폴리곤을 통한 메커니즘과의 어떠한 체결작용도 수행하지 않게 된다.
그러한 핸들의 위치 점유를 통하여 제1 핸들 위치에 있는 핸들은 프리 롤링하지 않게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회전축을 따라서 핸들이 제2 핸들 위치로 축 방향으로 움직일 때 비로소 포지션 풋트 브리지와 포지션 슬롯의 맞물림이 해제된다. 작동 부재 및/또는 물림 부재가 리세스 및/또는 차단 리세스와 맞물리는데 필요한 경로의 길이만큼 포지션 풋트 브리지가 포지션 슬롯과의 맞물림에서 해제시키는 데 필요한 경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핸들이 조작 전에 그리고 조작 중에 정해지지 않은 위치에 놓이게 되는 것이 방지된다.
더 나아가서, 핸들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면 언제나 제2 핸들 위치를 점유한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핸들의 회전축과 관련하여 다양한 각도의 위치에 있어서 그에 상응하는 포지션 풋트 브리지와 포지션 슬롯의 배치를 통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의 대안적인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핸들이 창문 윙 또는 도어 판을 개방 위치로 두기 위한, 예를 들면 90도-위치가 될 수 있는 스냅-인 위치에 있거나, 또는 창문 윙 또는 도어 판을 기울기 위치로 두기 위한 180도-위치에 있거나, 핸들은 상응하는 배치를 통하여 제1 핸들 위치로 이동한다. 이런 방식으로 작동 부재들은 이런 위치들에 있어서도 차단 장치와의 맞물림 체결에서 해제되고, 메커니즘의 작동이 수행되도록 핸들은 재차 회전축을 따라서 축 방향으로 움직여야 하고, 곧이어 회전해야만 한다. 이러한 결합은 핸들의 조작을 어렵게 만들어야 하는 상황에는 특히 효과적이다.
더 나아가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핸들을 축 방향으로 고정하기 위하여 잠금 장치가 핸들에 포함되는 것이 제안되고,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잠금 장치는 록크 부재를 구비하는 자물쇠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이 제안된다. 이것은 록크 포지션에 있어서 엔드 스톱 바디에 연접하여 형성되고, 핸들을 제1 핸들 위치에서 지탱하는, 예컨대 볼트가 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차단 장치는, 핸들 파지부와 폴리곤 파지부 사이의 록크 포지션에 록크 부재를 배치하고 핸들을 제1 핸들 위치에서 지탱하는 록크 슬라이더를 포함하는 것이 제안된다.
차단 장치가 제안됨으로써, 두 개의 파지 위치 외에도 내부에서 무단으로 피팅 장치를 조작한다는 것이 록크 슬라이더의 경우 여전히 어려워지고, 자물쇠의 경우 대부분 저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특징들, 개별적인 사안 및 장점은 청구항 본문 및 도면에 의거한 아래의 구체적인 실시예의 기술로부터 밝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피팅 장치의 일 실시예(예컨대 도어 판, 창문 윙 또는 그와 유사한 것을 위한 피팅 장치)를 도시하는 부분 절개도를 포함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피팅 장치의 체결 부재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피팅 장치의 체결 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d)는 차단 위치에 있는 피팅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부분 절개된 개략 사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d)는 해제 위치에 있는 피팅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부분 절개된 개략 사시도이다.
도 6은 핸들 파지부를 구비하는 엔드 스톱 바디의 일 실시예를 분해하여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7은 핸들 파지부를 구비하는 엔드 스톱 바디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8은 자물쇠를 구비한 피팅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부분 절개도를 포함하는 개략도이다.
도 9는 록크 슬라이더를 구비하는 피팅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부분 절개 개략도이다.
도 10은 피팅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부분 절개 개략 사시도이다.
도 11은 체결 부재 및 차단 장치를 포함하는 피팅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부분 절개 개략 사시도이다.
도 12는 체결 부재 및 차단 장치를 포함하는 피팅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부분 절개 개략도이다.
도 13은 피팅 장치를 위한 체결 부재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14는 피팅 장치를 위한 체결 부재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피팅 장치(예컨대, 도어 판, 창문 윙 또는 그와 유사한 것들을 위한 피팅 장치)를 도시하는 부분 절개도를 포함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피팅 장치(1)의 구성요소들은 축 방향으로 정의되는 회전축(D)을 따라서 배열되어 있다. 방사 방향은 축 방향에 수직으로, 즉 회전축(D)에 수직으로 진행한다.
핸들은 핸들 목(11)을 포함하고, 핸들 목에 핸들 파지부(52)가 회전할 수 없도록, 축에 고정된 채로 수용된다. 핸들 파지부(52)의 수용 공간(56)으로 폴리곤(40)을 수용하는 폴리곤 파지부(60)가 배치된다. 폴리곤(40)은 엔드 스톱 바디(20)를 관통하여 돌출되고, 창문 또는 도어의 록크 메커니즘을 작동시키는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은 메커니즘과 연결된다.
폴리곤 파지부(60)는 엔드 스톱 바디(20) 내부에서 핸들 측에 축 방향으로 엔드 스톱 바디(20)의 베이스 인서트(26) 앞에 배치되는 제2 플랜지 섹션(64)을 포함한다. 더 나아가서 폴리곤 파지부(60)는 베이스 인서트(26)로 유입하여 돌출하는 제1 플랜지 섹션(62)(도 1에서는 보이지 않음)을 포함한다.
그 밖에도, 폴리곤 파지부(60)는 핸들 면에서 종결부(68b)와 경계를 이루는 목 섹션(68a)을 포함한다. 목 섹션(68a) 내부에 폴리곤(40)을 엔드 스톱 바디(20)의 방향으로 장력을 주는 스프링(69)이 배치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폴리곤(40)의 장착 깊이가 알려지지 않거나 또는 그 깊이가 창문 윙 또는 도어 판에 좌우되는 장착 깊이에 상응할 필요가 있을 때 특히 효과적이다.
다 나아가서 엔드 스톱 바디(20)의 베이스 인서트(26)는 차단 장치(70)의 차단 부재(71)와 스프링(72)을 위한 리세스(21)를 포함한다. 차단 부재(71)는 폴리곤 파지부(60)의 제1 플랜지 섹션(62)과 맞물려 체결된다. 차단 장치(70)의 기능은 이하 도 4와 도 5에 의거하여 설명이 된다.
더 나아가서, 베이스 인서트(26)에 창문 또는 도어의 그에 상응하는 리세스와 맞물리는 캠(27)이 배치된다. 베이스 인서트(26)는 고정 수단(도시하지 않음)을 통하여 엔드 스톱 바디(20)의 베이스 바디(28)에 대항하여 고정된다.
베이스 바디(28)와 덮개판(25) 사이에 강화 부재(23)가 배치되는데, 강화 부재의 기능은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핸들 파지부(52)와 폴리곤 파지부(60)는 함께 체결 부재(50)를 구성하고, 체결 부재(50)를 통하여 핸들(10)과 폴리곤(40) 사이에서 회전 모멘트의 전달이 이루어진다.
핸들 파지부(52)와 폴리곤 파지부(60)는 회전축(D)을 따라서 서로 대항하여 변위될 수 있으며, 이때 핸들(10)은 제1 핸들 위치(I) 및 제2 핸들 위치(II)(도시하지 않음)로 이동될 수 있다. 제1 핸들 위치(I)에 있어서 핸들(10)이 - 이 실시예에 있어서 - 엔드 스톱 바디(20)로부터 떨어져 있는 간격이 축 방향에서 볼 때 제2 핸들 위치(II)(도시하지 않음)에 있을 때보다 더 크다는 것을 보여준다.
창문 또는 도어가 잠기게 되면 핸들(10)은 제1 핸들 위치(I)에 놓여 있게 된다. 핸들 파지부(52)의 외부면에 배치되고, 핸들의 수용 영역(14)으로 개입되는 리턴 스프링(13)은 엔드 스톱 바디(20)에 대항하여 핸들(10)을 당겨주고, 그 결과 핸들(10)이 제1 핸들 위치(I)를 점하도록 압박이 된다. 동시에 리턴 스프링(13)이 수용 바디의 덮개판(25)에 대항하게 되고, 덮개판은 리턴 스프링(13)의 장력을 통하여 엔드 스톱 바디(20), 특히 엔드 스톱 바디(20)의 베이스 바디(28)에 대항하는 힘을 받게 된다.
핸들 목(11)에 핸들 파지부(52)를 고정하기 위하여 고정 수단(12)이 제안되는데, 고정 수단(12)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 핸들 파지부(52)의 핸들 측을 향하여 형성되는 폴리곤 영역(54)을 관통하여 돌출하고, 핸들(10)의 핸들 목(11)으로 유입되어 돌출하는 나사이다. 핸들에 핸들 파지부(52)를 고정하기 위하여 소재를 접착제로 맞붙이는 결합, 예컨대 본딩 수단을 통한 결합도 대안으로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핸들 파지부(52) 및 폴리곤 파지부(60)에 관한 상세한 묘사가 부가된 피팅 장치(1)의 체결 부재(5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이다.
핸들 파지부(52)가, 위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핸들(10)의 핸들 목(11)으로 삽입되고, 거기에서 고정 수단(12)을 통하여 회전할 수 없도록 고정된다. 이를 위하여 핸들 파지부(52)는 핸들 면 단부에 추가로 폴리곤 영역(54)을 포함한다. 폴리곤 영역(54)은 핸들에 형성되는 상응하는 리세스와 맞물리게 되어 핸들이 회전축(D)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막아준다.
더 나아가서, 핸들 파지부(52)는 본질적으로 실린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목 섹션(53)을 구비한다. 목 섹션(53)은 폴리곤 파지부(60) 방향으로 폴리곤 영역(54)과 연접한다. 목 섹션(53)은 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예컨대 폴리곤 파지부(60)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될 수 있도록 수용 공간(56)을 포함한다.
폴리곤 파지부(60)를 향하는 핸들 파지부(52)의 단부에 플랜지 섹션(55)이 구비되고, 플랜지 섹션(55)은 플랜지를 통하여 형성되고, 방사 방향으로 회전축(D)에 수직으로 연장된다. 핸들 파지부(52)의 플랜지 섹션(55)의 핸들 측으로, 이하 도 6 및 7에 의거하여 설명되는 바와 같이, 베이스 바디(28)에 위치하는 포지션 슬롯(22)과 맞물리게 되는 포지션 풋트 브리지(66)가 배치된다.
폴리곤 파지부(60)를 향하는 핸들 파지부(52)의 단부에 작동 부재(51)와 물림 부재(57)가 형성된다. 특히, 플랜지 섹션(55)의 외주를 따라서 연장되고 외주를 따라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4개의 물림 부재(57)가 플랜지 섹션(55)에 각각 형성된다.
물림 부재(57)는 수용 공간(56)을 통해 형성되는 플랜지 섹션(55)의 내부 면으로부터 외부를 향하는 방사 방향으로 연장되나, 그렇다고 물림 부재(57)가 플랜지 섹션(55)의 반경 전체를 넘어가는 크기로 연장되는 것이 아니다.
작동 부재(51)는 외주 방향에 위치하는 물림 부재(57)의 단부에 배치되고, 각각 플랜지 섹션(55)의 방사 방향의 외부 단부로 연장된다.
작동 부재(51)는 물림 부재(57)와 일체로 이루어지고, 플랜지 섹션(55)의 외주 방향으로 물림 부재(57)보다 작은 크기로 연장된다.
폴리곤 파지부(60)는 핸들 파지부(52)를 향하는 단부에 종결부(68b)를 포함하고, 종결부(68b)에 핸들 파지부(52)를 등지는 폴리곤 파지부(60)의 단부 방향으로 목 섹션(68a), 제1 플랜지 섹션(62) 및 제2 플랜지 섹션(64)이 연결된다. 전면부(62b)는 핸들 파지부(52)의 맞은편의 단부에서 폴리곤 파지부(60)를 종결한다.
폴리곤 파지부의 목 섹션(68a)은 본질적으로 실린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부가 비어 있음으로써 목 섹션(68a), 제1 플랜지 섹션(62) 및 제2 플랜지 섹션(64) 각각의 내부에 폴리곤 수용부(67)가 형성된다.
목 섹션(68a)은 더 나아가서 그 외부 둘레에 회전축(D)과 평행하게 4개의 길쭉한 틈새를 형성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것은 폴리곤(40)이 사각형으로 형성될 때 효과가 있다. 목 섹션(68a)의 외주면이 틈새를 이루어 형성됨으로써 폴리곤의 모서리가 이와 맞물리게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설치 면적이 줄어들게 되고 폴리곤 파지부(60)와 폴리곤(40) 사이의 회전 모멘트 전달이 효과적으로 수행된다.
제2 플랜지 섹션(64)에 그 외주면을 따라서 록크-인 포지션 스킵(65)이 형성되는데, 그 기능은 나중에 설명키로 한다. 제1 플랜지 섹션(62)은 작동 부재(51)가 차단 리세스(61)와 형상 끼움 방식으로 맞물릴 수 있도록 배치되는 차단 리세스(61)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핸들 파지부(52)의 작동 부재(51)의 방사상 외부 모서리는, 핸들 파지부(52)의 플랜지 섹션(55)이 폴리곤 파지부(60)의 제1 플랜지 섹션(62)으로 유입하게 되면, 폴리곤 파지부(60)의 제1 플랜지 섹션(62)의 외주면(63)을 완성시킨다.
핸들 파지부(52)의 플랜지 섹션(55)은 폴리곤 파지부(60)의 플랜지 섹션(62)이 가지는 내경 보다 작거나 또는 동일한 크기의 외경을 가진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피팅 장치(1)의 체결 부재(50)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인데, 도 2와 마찬가지로 핸들 파지부(52)와 폴리곤 파지부(60)가 도시되어 있다.
핸들 파지부(52)의 폴리곤 영역(54)은 고정 수단(12)을 위한 관통 가이드를 포함한다.
핸들 파지부(52)의 플랜지 섹션(55)의 핸들 측 평면에 형성되는 포지션 풋트 브리지(66)가 도 3에 분명히 인식될 수 있도록 도시되어 있다. 플랜지 섹션(55)의 방사 방향의 가장자리로부터 핸들 파지부(52)의 목 섹션(53)에 이르기까지 연장되는 Y 자 형상으로 배치되는 3개의 포지션 풋트 브리지(66)가 플랜지 섹션(55)에 형성된다.
폴리곤 파지부(60)는 제1 플랜지 섹션(62)에 있어서 엔드 스톱 바디(20)를 향하는 전면부(62b)의 핸들 측을 향하는 전면 평면부(62a)를 포함하고, 전면부(62b)에 리세스(68)가 형성된다.
리세스(68)는 물림 부재(57) 및 작동 부재(51)와 형상 끼움 방식으로 맞물린다. 리세스(68)는 위에서 기술한 물림 부재(57) 및 작동 부재(51)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핸들 파지부(52)의 작동 부재(51)가 폴리곤 파지부(60)의 제1 플랜지 섹션(62)과 맞물리는 영역에서, 제1 플랜지 섹션(62)은 그 외주면에서 각각 하나의 차단 리세스(61)를 포함한다.
핸들 파지부(52)가 목 섹션(68a)으로 밀어지게 됨으로써 폴리곤 파지부(60)의 목 섹션(68a)이 핸들 파지부(52)의 수용 공간(56)으로 유입되는 그런 동작에 있어서 물림 부재(57)는 리세스(68)와 서로 맞물리게 된다. 그 밖에도 작동 부재(51)가 리세스(68) 및 차단 리세스(61)와 맞물리게 되고, 핸들 파지부(52)의 플랜지 섹션(55)이 폴리곤 파지부(60)의 플랜지 섹션(55)과 서로 맞물리게 된다.
제2 핸들 위치(II)(도 3에는 도시되지 않음)를 점하는 물림 위치에 있어서 핸들 파지부(52)는 회전할 수 없도록 폴리곤 파지부(60)와 체결된다. 결합이 이루어진다.
이 상태에서 체결 부재(50)는 핸들(10)이 폴리곤(40)과 체결하도록 만들어 준다. 이와 마찬가지로 이 상태에서 차단 리세스(61)가 완전해짐으로써 제1 플랜지 섹션(62)의 외주면(63)이 대부분 연속적이게 된다.
도 4a) 내지 도 4d)는 차단 위치(A)에 있는 피팅 장치(1)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부분 절개된 개략도이고, 이때 핸들(10)은 제1 핸들 위치(I)를 점하고 있다.
도 4a)는 핸들(10), 엔드 스톱 바디(20) 및 폴리곤(40)을 포함하는 제1 핸들 위치(I)에 있는 피팅 장치(1)의 측면도를 도시하는데, 제1 핸들 위치(I)에 있어서 핸들은 회전축(D)을 따라서 제2 핸들 위치(II)에 있을 때 엔드 스톱 바디(20)와 떨어진 간격보다 더 큰 간격을 보여준다(도 5a)를 비교하라).
도 4b)는 폴리곤(40), 엔드 스톱 바다(20)의 베이스 인서트(26), 차단 장치(70) 및 폴리곤 파지부(60)를 포함하는 피팅 장치의 부분 사시도를 나타낸다.
제1 핸들 위치(I)에 있어서 핸들 파지부(52)가 폴리곤 파지부(60)와의 맞물림에서 해제되어, 핸들(10)은 폴리곤(40)과 물리지 않게 된다. 따라서 도 4b)와 도 4c)에서는 핸들 파지부(52)는 더 이상 도시하지 않았다.
차단 장치(70)가 폐쇄 위치(A)에 있는 상태로, 리세스(21)로 유입되는 차단 장치(70)의 차단 부재(71)는, 스프링(72)을 통해 장력을 받게 됨으로써, 폴리곤 파지부(60)의 제1 플랜지 섹션(62)의 차단 리세스(61)와 서로 맞물리게 된다.
차단 부재(71)는 리세스(21)와 경계를 거쳐서 가이드 되는 원통형의 실린더로 이루어진다. 차단 부재(71)의 다른 대안적인 구성들, 예컨대 구(球) 또는 볼트 역시 가능하다.
차단 부재(71)가 폴리곤 파지부(60)의 제1 플랜지 섹션(62)과 맞물리게 됨으로써 제1 플랜지 섹션(62)은 회전할 수 없도록 엔드 스톱 바디(20)와 체결되고, 따라서 회전축(D)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폴리곤 수용부(67)에 수용되는 폴리곤(40)은 폐쇄 위치(A)와 제1 핸들 위치(I)에 있어서 마찬가지로 회전할 수 없도록 배치된다. 그럼에도 폴리곤(40)은, 예컨대 폴리곤(40)과 종결부(68b) 사이의 폴리곤 수용부(67)에 틈이 생겨나고, 스프링(69)이 배치된다면, 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폴리곤 파지부(40)에 자리잡을 수 있다.
제2 플랜지 섹션(64)의 외주면에 배치되는, 록크-인 포지션 스킵(65)을 포함하는 제2 플랜지 섹션(64)은 제1 핸들 위치(I)에 있어서 베이스 인서트(26) 위에 형성된다.
도 4c)는 베이스 인서트(26), 차단 장치(70), 제1 플랜지 섹션(62) 영역의 폴리곤 파지부(60) 및 폴리곤 파지부(60)의 폴리곤 수용부(67) 영역으로 유입되는 폴리곤(40)을 통하는 회전축(D)에 수직으로 진행되는 절개면을 도시한다. 더 나아가서, 작동 부재(51)가 리세스(68) 및 차단 리세스(61)와의 맞물림 상태에서 해제된 모습을 보여주며, 그 결과 리세스(68) 및 차단 리세스(61)는 폐쇄 위치(A)에 있어서 다만 차단 부재(71)와의 물림을 통하여 부분적으로 채워져 있다.
그 밖에도, 폐쇄위치(A)에 있어서 차단 장치(70)의 차단 부재(71)는 폴리곤 파지부(60)의 차단 리세스(61)와 맞물리는 것을 알 수 있다. 스프링(72)을 통하여 차단 부재(71)에 장력이 가해짐으로써, 차단 부재(71)는 베이스 인서트(26)의 리세스(21)에 있어서 축 방향으로 회전축(D)에 수직으로 내부를 향하여, 따라서 폴리곤(40) 방향으로 장력을 받게 된다.
도 4d)는 부분적으로 도시한 피팅 장치(1)의 수직 절단면을 나타낸다. 여기서 핸들 파지부(52)가 폴리곤 파지부(60)와 함께 차단 장치(70)가 폐쇄 위치(A)에 있는 모습을 도시한다.
마찬가지로 도 4d)를 통하여 차단 장치(70)의 차단 부재(71)가 폴리곤 파지부(60)의 차단 리세스(61)와 맞물려 있는 상태를 명확히 알 수 있다. 제1 핸들 위치에 있어서 핸들 파지부(52)는 차단 장치(70)의 위쪽의 평면에 배치됨으로써 작동 부재(51)는 차단 장치(70)의 작용 범위를 벗어나 있게 된다.
도 5a) 내지 도 5d)는 해제 위치(B)에 있는 피팅 장치(1)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부분 절개된 개략 사시도이다.
도 5a)는 핸들(10), 엔드 스톱 바디(20) 및 폴리곤(40)을 포함하는 피팅 장치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여기서 제2 핸들 위치(II)에 있어서 핸들(10)은 회전축(D)을 따라서 제1 핸들 위치(I)에 있을 때의 엔드 스톱 바디(20)와의 떨어진 간격보다 더 작은 간격을 보여준다(도 4a)를 비교하기 바란다).
도 5b) 폴리곤(40), 엔드 스톱 바다(20)의 베이스 인서트(26), 차단 장치(70), 폴리곤 파지부(60) 및 핸들 파지부(52)를 포함하는 피팅 장치의 부분 사시도를 나타낸다. 여기서 도시한 제2 핸들 위치(II)에 있어서 핸들 파지부(52)가 폴리곤 파지부(60)와 맞물리게 된다.
차단 장치(70)가 해제 위치(B)에 있는데, 리세스(21)로 유입되는 차단 장치(70)의 차단 부재(71)는 폴리곤 파지부(60)의 차단 리세스(61)와의 맞물림에서 해제된다.
차단 장치(70)의 차단 리세스(71)는, 차단 부재(71)가 차단 리세스(61)와의 맞물림에서 해제될 때까지, 핸들 파지부의 작동 부재(51)를 통하여 스프링(72)의 장력에 대항하여 베이스 바디(28)의 리세스(21)로 압박이 된다.
해제 위치(B)에 있어서 폴리곤 파지부는 따라서 차단 장치(70)를 통하여 회전할 수 없는 상태에서 해제되고, 그렇게 함으로써 회전할 수 없도록 핸들 파지부(52)와 체결되는 핸들(10)과 핸들 파지부(52)와 폴리곤(40) 사이에서의 회전 모멘트의 전달이 수행된다.
회전 모멘트는 특히 체결 부재(50)를 통하여 수행되는 체결을 통하여 전달된다. 이때 체결은 특히 핸들 파지부(52)와 폴리곤 파지부(60) 사이에서 유지된다.
도 5c)는 베이스 인서트(26), 차단 장치(70), 제1 플랜지 섹션(62) 영역의 폴리곤 파지부(60), 플랜지 섹션 영역의 그리고 특히 작동 부재(51) 영역의 핸들 파지부 및 폴리곤 파지부(60)의 폴리곤 수용부(67) 영역으로 유입되는 폴리곤(40)을 망라하는 회전축(D)에 수직으로 진행되는 절개면을 도시한다.
여기서 분명히 알 수 있는 것은, 작동 부재(51)가 차단 부재(71)를 차단 리세스(61) 및 리세스(68)와의 맞물림에서 해제한다는 점이다. 더 나아가서, 물림 부재(57)가 리세스(68)와 맞물리게 되어 핸들 파지부(52)와 폴리곤 파지부(60) 사이의 체결이 회전축(D)을 중심으로 수행되는 회전을 위하여 유지된다. 체결은 폴리곤 파지부(60)와 핸들 파지부(52) 사이에서 회전 모멘트가 전달되도록 하고, 체결 부재(50)가 제2 핸들 위치(II)에 있어서 및 차단 장치(70)의 해제 위치(B)에 있어서 폴리곤(40)이 핸들(10)을 통하여 조작되도록 설치된다.
도 5d)는 부분적으로 도시한 피팅 장치(1)의 수직 절단면을 나타낸다. 여기서 핸들 파지부(52)는 폴리곤 파지부(60)와 함께 차단 장치(70)가 해제 위치(B)에 있는 모습을 도시한다.
마찬가지로 도 5d)를 통하여 차단 장치(70)의 차단 부재(71)가 폴리곤 파지부(60)의 차단 리세스(61)와 맞물려 있는 상태를 명확히 알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은 핸들 파지부(52)가 회전축(D)을 따라서 핸들(10)의 축 방향 조작을 통하여 제2 핸들 위치(II)로 이동함을 통하여 달성된다.
핸들 파지부(52)는 제2 핸들 위치(II)에 있어서 적어도 작동 부재(51)를 통하여 폴리곤 파지부과 맞물리게 되고, 작동 부재(51)는 폴리곤 파지부의 제1 플랜지 섹션(62)의 외주면(63)을 완성시킨다. 차단 부재(71)는 폴리곤 파지부와의 맞물림에서 해제되고, 이때, 차단 부재(71)는 베이스 인서트(26)의 리세스(21)에 위치하고, 스프링(72)을 통하여 발생하는 장력에 근거하여 작동 부재(51)를 수단으로 완전하게 되는 제1 플랜지 섹션(62)의 외주면(63)을 압박하게 된다.
도 6은 핸들 파지부(52)를 구비하는 엔드 스톱 바디(20)의 일 실시예를 분해하여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이다.
엔드 스톱 바디를 향한 단부에 배치되는, 위에서 기술한 실시예에서 이미 설명되었던 작동 부재(51) 및 물림 부재(57)가 도 6에 명확히 도시되어 있다.
더 나아가서, 엔드 스톱 바디(20)의 베이스 인서트(28)가 도시되어 있다. 엔드 스톱 바디(20)는 베이스 인서트(28)에, 제1 핸들 위치(I)에 있어서 핸들 파지부(52)의 포지션 풋트 브리지(66)와 맞물리는 포지션 슬롯(22)을 포함한다.
제2 핸들 위치(II)에서 포지션 풋트 브리지(66)가 포지션 슬롯(22)과의 맞물림에서 해제된다.
포지션 슬롯(22)은 핸들(10)을 향하는 핸들 파지부(52)의 플랜지 섹션(55)에 위치하는 포지션 풋트 브리지(66)와 마찬가지로 Y자 형상의 구조로 이루어진다.
도 7은 핸들 파지부(52)를 구비하는 엔드 스톱 바디(20)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 있어 엔드 스톱 바다(20)의 덮개판(25)이 도시되지 않았는데, 따라서 덮개판 아래의 엔드 스톱 바디에 장착되는 강화 부재(23)는 보이지 않는다. 강화 부재(23)는 포지션 슬롯(22)의 영역에 형성되는 리세스를 포함한다. 포지션 슬롯(22)의 개구부는 핸들 파지부(52)의 플랜지 섹션(55) 방향으로 형성된다. 핸들 파지부(52)는 엔드 스톱 바디(20)의 중앙의 리세스를 통하여 가이드 되고, 핸들 목(53)을 가지고 형태로 엔드 스톱 바디(20)를 관통하여 핸들 측으로 돌출된다.
강화 부재(23)에 위치하는 노치(24)는 베이스 바디(28)를 안정시켜줌으로써, 핸들(10)이 제1 핸들 위치(I)에 있을 때 핸들 파지부(52)가 포지션 풋트 브리지(66)와 회전할 수 없도록 결합되고, 강화 부재를 통하여 또한 회전축(D)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에 저항하도록 만들어 준다. 제1 핸들 위치에서 핸들을 조작함으로써 회전축(D)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을 통하여 포지션 풋트 브리지(66)와 포지션 슬롯(22)에 가해지는 부하는 강화 부재(23)에 의하여 수용되고, 에워싸고 있는 베이스 바디(28)로 균일하게 전달되고, 마지막으로는 베이스 인서트(26) 및 캠(27)을 구비하는 엔드 스톱 바디(20)의 전체로 유도된다.
도 8은 잠금 장치, 특히 자물쇠(81)를 구비한 피팅 장치(1)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부분 절개도를 포함하는 개략도이다. 여기서 자물쇠(81)는 폐쇄 위치에 있어서 엔드 스톱 바디(20)의 덮개판(25)에 대항하는 볼트(82)를 포함하는 잠금 메커니즘을 포함하는데, 그 결과 핸들(10)이 제1 핸들 위치(I)에서 제2 핸들 위치(II)로 이동하는 것을 막아준다.
도 9는 잠금 장치, 특히 록크 슬라이더(83)를 구비하는 피팅 장치(1)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부분 절개 개략도이다. 핸들 파지부(52)의 수용 공간(56)으로 유입되어 폴리곤 파지부(60)에 대항하는 핸들 파지부(52)의 축 방향 운동을 차단하거나 또는 반대로도 동작하는 록크(84)는 록크 슬라이더(83)를 통하여 조작된다. 이런 방식으로 핸들(10)이 잠금 장치(80)를 통하여 제1 핸들 위치(I)에서 폐쇄된다.
도 10은 피팅 장치(1)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부분 절개 개략 사시도이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핸들(10)은 제1 핸들 위치(I)가 유지되도록 장력이 내부 스프링(95)과 외부 스프링(96)을 통하여 생겨날 수 있도록 엔드 스톱 바디(20)에 대항하는 장력을 받게 된다. 외부 스프링(96)은 핸들(10)과 덮개판(25) 사이에 배치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핸들(10)의 핸들 목(11)과 맞물리게 된다.
폴리곤 파지부(60)는 핸들(10)을 향하는 부위에 내부 스프링(95)이 부분적으로 인입되는 노치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내부 스프링(95)은 핸들 파지부(52)의 수용 공간(56)에 배치되고, 핸들 파지부(52)의 핸들 측을 향하는 경계에 및/또는 고정 수단(12)에 배치된다.
내부 스프링(95) 및 외부 스프링(96)을 통하여 체결 부재(50)는 축 방향으로 회전축(D)을 따라서 서로 분리되어 압박된다. 이러한 장력에 베이스 바디(28)가 대항하여 작용하고, 베이스 바디(28)에 대하여 포지션 풋트 브리지(66)를 포함하는 핸들 파지부(52)가 연접 배치된다.
포지션 풋트 브리지(66)는 포지션 슬롯(22)과 맞물리게 될 때 제1 핸들 위치(I)를 허락하고, 이때, 포지션 풋트 브리지(66)는 포지션 슬롯(22)과의 맞물림에서 해제되어 핸들(10)을 제2 핸들 위치(II)로 유지시킨다.
도 11은 체결 부재(50) 및 차단 장치(70)를 포함하는 피팅 장치(1)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부분 절개 개략 사시도이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차단 장치는 축 방향으로 움직인다. 이때, 차단 부재(71)는 스프링(72)을 수단으로 하는 장력을 통하여 축 방향으로 밀어져서 엔드 스톱 바디(20)의 리세스(21)로 인입된다.
핸들 파지부(52)의 축 방향 운동에 있어서 핸들 파지부는 작동 부재(51)를 통하여 폴리곤 파지부(60)와 맞물리게 되고, 그렇게 됨으로써 차단 부재(71)는 폴리곤 파지부(60)의 제1 플랜지 섹션(62)에서 차단 리세스(61)와의 맞물림에서 해제된다.
도 12는 체결 부재(50) 및 차단 장치(70)를 포함하는 피팅 장치(1)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부분 절개 개략도이고, 차단 장치(70)는 위에 기술한 바와 같이 축 방향으로 움직인다.
도면에 체결된 위치에 있는 체결 부재(50)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것은 도 12에는 도시하지 않은 핸들(10)이 제2 핸들 위치(II)에, 그리고 차단 부재(70)가 해제 위치(B)에 있음을 나타낸다.
더 나아가서, 도 12는 제1 플랜지 섹션(62)에 대하여 장력을 받는 상태의 스냅-인 부재 스프링(91)을 포함하는 스냅-인 부재(90)를 도시한다. 스냅-인 부재(90)는 미리 설정되는 핸들의 핸들 위치에 상응하는 스냅-인 위치에서 체결 부재(50)를 유지케 할 수 있다. 스냅-인 위치에서 벗어나기 위하여, 즉 도 12에는 도시하지 않은 록크-인 포지션 스킵(65)이 스냅-인 부재(90)와의 맞물림에서 해제되기 위하여 사용자는 이 동작을 작동시키기 위하여 더 많은 힘을 가해야만 하고, 스냅-인 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사용자가 촉감으로 느낄 수 있는 피드백이 이루어진다.
도 13은 피팅 장치(1)를 위한 체결 부재(5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이다. 체결 부재(50)는, 설치된 상태에서 폴리곤 파지부(60)의 목 섹션(68a)이 축 방향으로 특히 길게 연장되는 길이를 거쳐서 핸들 파지부(52)의 수용 공간(56)으로 덮여지도록 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런 식으로, 피팅 장치(1)에서 핸들(10)의 가이딩이 개선된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폴리곤 파지부(60)의 제1 플랜지 섹션(62)에 방사 방향으로 외부 쉐이핑(shaping)(68c)과 방사 방향으로 내부 쉐이핑(68c)이 형성되는 것이 제안되는데, 이 쉐이핑(68c)들은 제2 핸들 위치(II)에 있을 때 핸들 파지부(52)에 방사 방향으로 상응하게 형성되는 외부 및 내부 리세스(59)와 서로 맞물리게 된다.
도 14는 엔드 스톱 바디(20)로부터 바라본 피팅 장치(1)를 위한 체결 부재(50)의 개략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는 방사 방향으로 형성되는, 핸들 파지부의 외부 및 내부 리세스(59)가 분명히 도시되어 있다. 리세스는 핸들 파지부(52)의 플랜지 섹션(55)에 형성된다.
본 발명은 위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에만 국한하지 않으며, 다양한 방식으로 변형될 수 있다. 예컨대, 체결 부재(50)는 하나의 부품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폐쇄 위치(A)에 도달하기 위하여 차단 장치(70)는 폴리곤(40)과 맞물리게 되고 또는 해제 위치(B)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그 맞물림이 해제되거나 또는 해제를 허락하도록 체결 부재(50)는 엔드 스톱 바디(20)에 배치되는 차단 장치(70)와 맞물리게 된다.
더 나아가서, 핸들(10)이 제2 핸들 위치(II)에 있을 때 비로소 차단 장치(70)는 폐쇄 위치(A)에 도달하고, 핸들(10)이 제1 핸들 위치(I)에 있을 때 비로소 차단 장치(70)는 해제 위치(B)에 도달하는 것이 제안된다.
그 밖에도, 체결 부재(50)가 두 개의 부품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체결 부재는 핸들 파지부(52)가 폴리곤 파지부(60)에서 가이드 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도어 또는 창문의 메커니즘 시스템의 작동을 위하여 피팅 장치(1)는 도어 또는 창문에 고정되는 엔드 스톱 바디(20)의 외면 또는 내부에 회전축(D)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핸들(10)을 포함한다. 더 나아가서, 피팅 장치(1)는 도어 또는 창문의 메커니즘 시스템의 작동을 위하여 폴리곤(40), 핸들(10)이 폴리곤(40)과 체결될 수 있는 체결 부재(50) 및 폐쇄 위치(A)에서 회전축(D)을 중심으로 폴리곤(40)의 회전을 차단하는 차단 장치(70)를 포함하고, 이때, 차단 장치(70)가 핸들(10)이 제1 핸들 위치(I)로부터 제2 핸들 위치(II)로의 축 방향 작동을 통하여 회전축(D)을 따라서 해제 위치로 이동한다. 무단으로 피팅 장치(1)를 조작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하여 또는 창문 또는 도어에 적용되는 피팅 장치의 메커니즘의 무단 조작을 예방하기 위하여 및 간단하게 조작할 수 있고 비용이 절감되는 피팅 장치를 제공할 수 있도록, 제1 핸들 위치(I)에서 핸들(10)은 폴리곤(40)과의 체결에서 해제되어 차단 장치(70)가 폐쇄 위치(A)에 놓이게 되고, 제2 핸들 위치(II)에 있어서 체결 부재(50)는 핸들(10)이 폴리곤(40)과 체결되게 함으로써 차단 장치(70)를 해제 위치(B)에서 지탱하는 것이 제안된다. 제2 핸들 위치에 도달함으로써 핸들은 폴리곤과 서로 맞물리게 되고, 폴리곤은 메커니즘의 작동을 위하여 차단에서 해제된다.
본 발명의 청구범위, 명세서 및 도면에서 추론되는 모든 기술적 특징 및 효과들은, 구성적인 세부사항, 공간상의 배치 형태 및 수행 절차를 포함하여, 그 자체로서 뿐만 아니라 매우 다양한 결합에 있어서도 본 발명의 본질적인 측면을 형성한다.
1: 피팅 장치 10: 핸들
11: 핸들 목 12: 고정 수단
13: 리턴 스프링 14: 수용 영역
20: 엔드 스톱 바디 21: 리세스
22: 포지션 슬롯 23: 강화 부재
24: 노치 25: 덮개판
26: 베이스 인서트 27: 캠
28: 베이스 바디 40: 폴리곤
50: 체결 부재 51: 작동 부재
52: 핸들 파지부 53: 목 섹션
54: 폴리곤 영역 55: 플랜지 섹션
56: 수용 공간 57: 물림 부재
58: 전면 평면부 59: 리세스
60: 폴리곤 파지부 61: 차단 리세스
62: 제1 플랜지 섹션 62a: 전면 평면부
62b: 전면부 63: 외주면
64: 제2 플랜지 섹션 65: 록크-인 포지션 스킵
66: 포지션 풋트 브리지 67: 폴리곤 수용부
68: 리세스 68a: 목 섹션
68b: 종결부 68c: 쉐이핑(shaping)
69: 스프링 70: 차단 장치
71: 차단 부재 72: 스프링
80: 잠금 장치 81: 자물쇠 실린더
82: 볼트 83: 록크 슬라이더
84: 록크 90: 스냅-인 부재
91: 스냅-인 부재 스프링 95: 내부 스프링
96: 외부 스프링 D: 회전축
A: 폐쇄 위치 B: 해제 위치
I: 제1 핸들 위치 II: 제2 핸들 위치

Claims (15)

  1. 도어 또는 창문에 고정되는 엔드 스톱 바디(20)의 외면 또는 내부에 회전축(D)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핸들(10);
    도어 또는 창문의 메커니즘의 작동을 위한 폴리곤(40);
    상기 핸들(10)을 상기 폴리곤(40)과 체결하기 위한 체결 부재(50); 및
    폐쇄 위치(A)에서 상기 회전축(D)을 중심으로 한 상기 폴리곤(40)의 회전을 차단하는 차단 장치(70)를 포함하는, 도어 또는 창문의 메커니즘을 작동(actuating)시키기 위한 피팅 장치(1)로서,
    a. 상기 차단 장치(70)는, 상기 회전축(D)을 따른(along) 제1 위치(I)와 제2 위치(II) 간에 상기 핸들을 축 방향으로(axially)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폐쇄 위치(A)와 해제 위치(B) 간에 이동가능하며,
    b. 상기 차단 장치(70)는, 상기 차단 장치(70)가 상기 해제 위치(B)에 있는 경우 상기 메커니즘을 해제시키며,
    c. 상기 핸들(10)이 상기 상기 제1 위치(I)에 있는 경우, 상기 차단 장치(70)가 상기 폐쇄 위치(A)에 놓이고 상기 핸들(10)이 상기 폴리곤(40)으로부터 분리되며, 그리고,
    d. 상기 핸들이 상기 제2 위치(II)에 있는 경우에만, 상기 체결 부재(50)가, 상기 핸들(10)을 상기 폴리곤(40)과 체결하고 상기 차단 장치(70)를 상기 해제 위치(B)에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또는 창문의 메커니즘의 작동을 위한 피팅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결 부재(50)는 상기 차단 장치(70)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작동 부재(5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또는 창문의 메커니즘의 작동을 위한 피팅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차단 장치(70)는 상기 엔드 스톱 바디(20)에 분리되어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차단 부재(7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또는 창문의 메커니즘의 작동을 위한 피팅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차단 부재(71)는 상기 회전축(D)과 관련하여 방사 방향 또는 축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고, 이때, 각각의 차단 부재(71)가 상기 회전축(D)과 관련해 방사 방향 또는 축 방향으로 힘이 실려진 상태로 움직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또는 창문의 메커니즘의 작동을 위한 피팅 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차단 부재(71)는 상기 폐쇄 위치(A)에서 상기 폴리곤(40)과 직접 또는 간접으로 서로 맞물리는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또는 창문의 메커니즘의 작동을 위한 피팅 장치.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체결 부재(50)는 두 개의 부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체결 부재(50)는 회전할 수 없도록 상기 핸들(10)과 체결되는 핸들 파지부(52) 및 회전할 수 없도록 상기 폴리곤(40)과 체결되는 폴리곤 파지부(60)를 각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또는 창문의 메커니즘의 작동을 위한 피팅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체결 부재(50)의 작동 부재(51)는 상기 핸들 파지부(52)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또는 창문의 메커니즘의 작동을 위한 피팅 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폴리곤 파지부(60)는 상기 차단 부재(71)를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차단 리세스(6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또는 창문의 메커니즘의 작동을 위한 피팅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폴리곤 파지부(60)는 제1 플랜지 섹션(6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또는 창문의 메커니즘의 작동을 위한 피팅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차단 리세스(61)가 상기 제1 플랜지 섹션(62)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또는 창문의 메커니즘의 작동을 위한 피팅 장치.
  11. 청구항 6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68)가 상기 폴리곤 파지부(60)의 전면부(62b)에 상기 핸들(10)을 향하여 형성되는 전면 평면부(62a)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또는 창문의 메커니즘의 작동을 위한 피팅 장치.
  12.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작동 부재(51)가 상기 제2 핸들 위치(II)에 있어서 상기 폴리곤 파지부(60)의 상기 차단 리세스(61)와 서로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또는 창문의 메커니즘의 작동을 위한 피팅 장치.
  13.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폴리곤 파지부(60)는 핸들 측을 향하여 목 섹션(6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또는 창문의 메커니즘의 작동을 위한 피팅 장치.
  14.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폴리곤 파지부(60)는 제2 플랜지 섹션(64)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플랜지 섹션(64) 또는 상기 제1 플랜지 섹션(62)의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의 스냅-인 부재(90)를 위한 록크-인 포지션 스킵(65)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또는 창문의 메커니즘의 작동을 위한 피팅 장치.
  15.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핸들 파지부(52)는 적어도 하나의 포지션 풋트 브리지(66)를 포함하고, 상기 엔드 스톱 바디(20)는 상기 포지션 풋트 브리지(66)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포지션 슬롯(22)을 포함하고, 상기 모든 포지션 풋트 브리지(66)는 상기 제1 핸들 위치(I)에 있어서 각각의 그에 대응하는 상기 포지션 슬롯(22)과 맞물릴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또는 창문의 메커니즘의 작동을 위한 피팅 장치.
KR1020197034739A 2017-04-28 2018-03-15 창문 및/또는 도어의 피팅 장치 KR1024490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7109289.7A DE102017109289A1 (de) 2017-04-28 2017-04-28 Fenster und/oder Türbeschlag
DE102017109289.7 2017-04-28
PCT/EP2018/056611 WO2018197104A1 (de) 2017-04-28 2018-03-15 Fenster und/oder türbeschla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994A KR20200002994A (ko) 2020-01-08
KR102449000B1 true KR102449000B1 (ko) 2022-09-29

Family

ID=61800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4739A KR102449000B1 (ko) 2017-04-28 2018-03-15 창문 및/또는 도어의 피팅 장치

Country Status (18)

Country Link
US (1) US11391059B2 (ko)
EP (1) EP3615749B1 (ko)
KR (1) KR102449000B1 (ko)
CN (1) CN109844244B (ko)
CY (1) CY1124498T1 (ko)
DE (2) DE202017006959U1 (ko)
DK (1) DK3615749T3 (ko)
ES (1) ES2887938T3 (ko)
HR (1) HRP20211409T1 (ko)
HU (1) HUE055754T2 (ko)
LT (1) LT3615749T (ko)
PL (1) PL3615749T3 (ko)
PT (1) PT3615749T (ko)
RS (1) RS62331B1 (ko)
RU (1) RU2749584C2 (ko)
SI (1) SI3615749T1 (ko)
UA (1) UA124900C2 (ko)
WO (1) WO201819710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71360B (en) * 2018-02-27 2022-08-17 Laporta Giovanni A handle assembly for a window or door leaf
DE102018129450B4 (de) * 2018-11-22 2023-05-04 Griffwerk GmbH Türgarnitur mit einer einseitig verriegelbaren Handhabe
DE202019103678U1 (de) * 2019-07-04 2020-10-06 Franz Schneider Brakel Gmbh + Co Kg Haltevorrichtung für einen Tür- oder Fensterdrücker
US11976494B2 (en) * 2019-09-11 2024-05-07 Carrier Corporation Door handle assembly
US20220042346A1 (en) * 2019-09-11 2022-02-10 Carrier Corporation Hub assembly for door handle
US11834864B2 (en) 2021-02-10 2023-12-05 Schlage Lock Company Llc Handle retention
US20220356729A1 (en) * 2021-05-05 2022-11-10 Assa Abloy Access And Egress Hardware Group, Inc. Door lock assembly with waggle reduction
US11885161B2 (en) 2021-08-13 2024-01-30 Assa Abloy Access And Egress Hardware Group, Inc. Door lock assembly including weatherization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73259C (de) * 1923-04-10 Rudolf Benda Schloss, insbesondere fuer Eisenbahnwagen
US613169A (en) * 1898-10-25 Door-knob attachment and lock
US1575330A (en) * 1925-05-25 1926-03-02 Mt Carmel Mfg Company Adjustable escutcheon
US1835946A (en) * 1928-10-29 1931-12-08 Jewell Frank Doorlock
US1968285A (en) * 1932-08-20 1934-07-31 John J Egan Doorlatch
DE670268C (de) * 1936-03-22 1939-01-14 Gottfried Reinhard Drueckeranordnung mit zwei unabhaengigen Drueckern
US4773240A (en) * 1986-10-20 1988-09-27 Best Lock Corporation Lock with force-override assembly
JPH06105020B2 (ja) * 1992-06-09 1994-12-21 ホッペ・アーゲー ラッチ及びロックアップシステム
JP2704374B2 (ja) * 1995-07-07 1998-01-26 タキゲン製造株式会社 抜差しハンドル装置の挿入口の閉塞装置
DK1121501T3 (da) * 1998-10-17 2003-10-20 Hoppe Ag Vindues- og/eller dørbeslag
JP3291282B2 (ja) * 1999-08-12 2002-06-10 タキゲン製造株式会社 抜差し型扉用ロックハンドル装置
CN2421383Y (zh) * 2000-02-01 2001-02-28 刘南宏 一种铝门窗的把手扣锁
WO2002014634A1 (de) * 2000-08-11 2002-02-21 Claudia Schreiner Sicherungsvorrichtung, beispielsweise kindersicherung sowie schliesseinrichtung mit einer solchen sicherungsvorrichtung
DE10100874A1 (de) * 2000-10-07 2002-09-26 Claudia Schreiner Sicherungsvorrichtung, bspw. Kindersicherung sowie Schliesseinrichtung mit einer solchen Sicherungsvorrichtung
GB0216354D0 (en) * 2002-07-12 2002-08-21 Heeley Peter Door locking mechanism
DE10360188A1 (de) * 2003-12-20 2005-07-14 Aug. Winkhaus Gmbh & Co. Kg Fehlschaltsicherung für ein Fenster, eine Tür oder dergleichen
US7439850B2 (en) * 2005-04-27 2008-10-21 Superb Industries, Inc. Keyless entry system
DE102006009371A1 (de) * 2006-03-01 2007-09-06 Hoppe Ag Rastmittel und Verwendung bei Betätigungshandhaben
TW200902823A (en) * 2007-07-05 2009-01-16 Thase Entpr Co Ltd Door handle apparatus
US20100005841A1 (en) * 2008-07-08 2010-01-14 Ming-Huei Lin Auto steering wheel safety lock
CN203113918U (zh) * 2012-08-06 2013-08-07 优护国际企业股份有限公司 免钥匙式把手锁
WO2015003189A1 (en) * 2013-07-05 2015-01-08 Schlage Lock Company Llc Lock mechanism with egress pelease
DE102014103994B4 (de) 2014-03-24 2023-03-09 Engeltech Gmbh Griffvorrichtung zur Bedienung eines Schließmechanismus eines Fenster- oder Türflügels
DE102014104119B4 (de) * 2014-03-25 2015-10-15 Hoppe Ag Anschlagkörper für Tür- und/oder Fenstergriffe und Griffanordnung mit einem Anschlagkörper
KR101723943B1 (ko) * 2015-09-14 2017-04-06 (주)혜강씨큐리티 도어록의 외부 강제 해정 방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202017006959U1 (de) 2019-01-03
SI3615749T1 (sl) 2021-11-30
LT3615749T (lt) 2021-10-25
CN109844244A (zh) 2019-06-04
ES2887938T3 (es) 2021-12-29
WO2018197104A1 (de) 2018-11-01
EP3615749A1 (de) 2020-03-04
PT3615749T (pt) 2021-09-16
PL3615749T3 (pl) 2021-12-13
EP3615749B1 (de) 2021-07-21
DE102017109289A1 (de) 2018-10-31
UA124900C2 (uk) 2021-12-08
RU2019136160A (ru) 2021-05-28
US11391059B2 (en) 2022-07-19
RS62331B1 (sr) 2021-10-29
US20200115921A1 (en) 2020-04-16
HUE055754T2 (hu) 2021-12-28
HRP20211409T1 (hr) 2021-12-10
CN109844244B (zh) 2021-08-10
KR20200002994A (ko) 2020-01-08
RU2749584C2 (ru) 2021-06-15
CY1124498T1 (el) 2022-07-22
DK3615749T3 (da) 2021-09-27
RU2019136160A3 (ko) 2021-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9000B1 (ko) 창문 및/또는 도어의 피팅 장치
JP6789725B2 (ja) 車両用シンチングラッチ組立体
RU2324042C2 (ru) Блокирующий механизм для двери
TWI485312B (zh) 圓筒式鎖具
KR101356668B1 (ko) 록 기구
HU226577B1 (en) Window and/or door fitting
CN110536994B (zh) 可逆式离合器榫眼锁
PT1431481E (pt) Fechadura
US5878605A (en) Lock, in particular mortise lock
KR101012996B1 (ko) 차체의 이동성 부분용 래치
RU2200798C2 (ru) Затво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 выборочным запиранием
KR101256040B1 (ko) 슬라이딩 도어 핸들
US20080105010A1 (en) Door lock assembly having a cam associated with a handle to transmit movements to a latch operating spindle
KR100866172B1 (ko) 차량용 도어에 구비된 도어록의 록킹 방지 장치
US8196973B2 (en) Device for childproofing a door lock
GB2226358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handle assemblies
EA010916B1 (ru) Устройство с вспомогательной задвижкой в дверном замке
KR102618779B1 (ko) 도어용 비상 개방장치
KR102539975B1 (ko) 안전해정용 창호 핸들장치
GB2295190A (en) Door or window fastener with lock preventing perpendicular movement of handle
KR200282709Y1 (ko) 도어락 장치
KR200293454Y1 (ko) 도어랫치의 양방향 잠금장치
EP3252252B1 (en) Lock with dead bolt and latch bolt
JP4512912B2 (ja) 門扉錠の操作軸防護機構
JPS5829716Y2 (ja) ドア−ロツ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