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7118B1 - 차량용 자동 선바이저 - Google Patents

차량용 자동 선바이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7118B1
KR102447118B1 KR1020210139996A KR20210139996A KR102447118B1 KR 102447118 B1 KR102447118 B1 KR 102447118B1 KR 1020210139996 A KR1020210139996 A KR 1020210139996A KR 20210139996 A KR20210139996 A KR 20210139996A KR 102447118 B1 KR102447118 B1 KR 1024471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blocking film
housing
nut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9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인행
김용수
고정민
유만수
Original Assignee
(주)에이테크오토모티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테크오토모티브 filed Critical (주)에이테크오토모티브
Priority to KR10202101399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71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71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71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2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adjustable in position
    • B60J3/0204Sun vi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19Roller blinds powered, e.g. by electric, hydraulic or pneumatic actu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66Arrangement of blinds in vehicles
    • B60J1/2086Arrangement of blind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openable windows, e.g. side wind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16H25/20Screw mechanisms
    • F16H25/2018Screw mechanisms with both screw and nut being driven, i.e. screw and nut are both rotat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구조변경 없이 탈부착 가능하게 전면윈도우에 부착되며, 차량의 전원을 사용하지 않으면서 차단막이 자동으로 펼쳐질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자동 선바이저에 관한 것으로, 차량에 설치되며, 외부로 전개되는 차단막이 내부에 배치된 소정 길이를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차단막 일단이 고정된 상태로 차단막을 탄성적으로 권취하는 권취바;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어 외부로 출몰하며, 상기 권취바에 권취된 차단막을 선택적 길이로 전개시키거나 전개된 차단막을 복귀시키는 전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차량용 자동 선바이저{Auto sun-viso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자동 선바이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구조변경 없이 탈부착 가능하게 전면윈도우에 부착되며, 차량의 전원을 사용하지 않으면서 차단막이 자동으로 펼쳐질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자동 선바이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바이저는, 차량의 전면 글래스를 통해 유입되는 햇빛 등을 차단하여 운전자의 전방 시인성을 확보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운전석 및 조수석 앞쪽 의 전면 글래스와 인접한 천정면(헤드라이닝)에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선바이저는, 힌지점을 중심으로 전후 및 좌우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선바이저를 직접 손으로 잡고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수동 조작 방법이 적용되고 있다.
즉, 사용자가 선바이저를 파지한 상태에서 전면 글래스쪽으로 선바이저를 내리는 동작을 취하거나, 연이어 햇빛 유입 각도에 따라 선바이저를 회전시키는 동작 등을 취하야 하므로, 선바이저의 조작 편의성에서 보면 불편한 점이 있다.
특히, 사용자가 운전자인 경우에는 운전중 조작이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운전의 안전성을 위협하게 되는 치명적인 문제를 갖게 된다.
근래에는 운전중 선바이저의 조작이 안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자동으로 구현되는 선바이저가 개발되고 있다.
위와 같은 선바이저에 대한 기술은 등록특허 제10-2180688호에, 차량 실내천정의 공간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롤러와; 상기 롤러에 감기거나 풀리도록 구성되고, 상기 롤러에서 풀리면서 햇빛을 차단하는 차단막과; 상기 롤러를 회전시키는 모터와; 상기 롤러에서 차단막이 풀려서 펼쳐진 후에 유동되지 않고, 평판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차단막과 함께 상기 롤러에 감기고 풀리도록 구성되는 체인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체인 프레임은, 상기 차단막의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막대 형상의 부재로 구성되되, 수직 방향으로 서로 연결되는 다수의 체인블록과; 상기 서로 이웃하는 체인블록을 연결하는 다수의 링크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체인블록은, 상기 체인 프레임이 일방향으로는 차단막과 함께 롤러에 감길 수 있고, 타방향으로는 롤러에 감기지 않도록 그 상단과 하단의 측단면에서 상기 차단막을 향하는 상단과 하단의 모서리를 곡면으로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차단막의 반대쪽을 향하는 상단과 하단의 모서리를 직각으로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체인블록은, 돌출부와 함몰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돌출부는, 적어도 하나의 체인블록이 다른 체인블록과 접하는 면 중 어느 한 면에 위치하고, 상기 함몰부는 돌출부가 위치하는 면과 마주보는 면에 위치하는, 차량용 선바이저로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위 차량용 선바이저는 햇빛을 차단하는 차단막의 수직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차단막이 감기는 롤러가 차량 실내천정의 공간부로 매립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롤러를 매립하기 위한 천정의 구조변경이 불가피한 치명적 문제가 있다.
또한, 롤러가 지정된 실내천정의 공간부에 매립되기 때문에 운전자의 신체조건에 맞도록 위치 변경이 불가능하다.
등록특허 제10-218068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 및 기술적 편견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차량 실내천정의 구조변경이 없고, 차량의 모델에 제한을 두지 않는 상태로 운전자의 신체조건에 맞도록 윈도우에 탈부착 가능하게 부착되며, 차량의 전원을 사용하지 않으면서 차단막이 자동으로 펼쳐질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자동 선바이저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용 자동 선바이저는, 차량에 설치되며, 외부로 전개되는 차단막이 내부에 배치된 소정 길이를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차단막 일단이 고정된 상태로 차단막을 탄성적으로 권취하는 권취바;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어 외부로 출몰하며, 상기 권취바에 권취된 차단막을 선택적 길이로 전개시키거나 전개된 차단막을 복귀시키는 전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전개수단은, 구동모터와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양측에 각각 서로 다른 방향의 나사산이 형성된 리드스크류; 상기 리드스크류의 각 나사산에 결합되어 리드스크류의 회전에 따라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동하는 한 쌍의 이동너트; 및 상기 한 쌍의 이동너트와 차단막을 연결한 상태로 이동너트의 이동방향에 따라 오버랩되거나 펼쳐지면서 상기 차단막을 전개시키거나 복귀시키는 크로스된 한 쌍의 이동링크;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차단막의 말단부에는 차단막이 전개될 때 전개된 상태의 장력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링크가이드바가 구비되고, 상기 링크가이드바에는 길이방향으로 한 쌍의 가이드슬롯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이동링크 각 일단은 상기 이동너트와 힌지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링크가이드바의 가이드슬롯에 결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더하여, 상기 이동너트는 상기 리드스크류의 나사산이 내측으로 결합되는 이동몸체와, 상기 이동몸체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이동링크의 일단이 연결되는 링크연결단과, 상기 링크연결단과 대향되게 상기 이동몸체로부터 돌츨되게 형성된 제1가이드돌기와, 상기 제1가이드돌기와 상기 링크연결단 사이에 이동몸체로부터 돌출된 제2가이드돌기,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하우징 내부에는 상기 이동너트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1너트가이드, 제2너트가이드 및 제3너트가이드가 구비되되, 상기 제1너트가이드는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로 배치되며, 내측에는 상기 이동너트의 제2가이드돌기가 끼워지는 장방향슬롯이 형성되고, 상단에는 상기 제1가이드돌기의 돌출된 일면을 지지하는 지지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제2너트가이드는 제1너트가이드와 마주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가이드돌기의 타면이 지지되는 제2지지단턱이 형성되며, 상기 제3너트가이드는 상기 제2너트가이드 하측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이동너트의 이동몸체를 지지하는 제3지지단턱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동모터에는 구동기어가 구비되고, 상기 리드스크류에는 상기 구동기어와 치합되는 종동기어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하우징에는 구동스위치가 구비되고, 하우징의 외면에는 차량의 전면 윈도우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접착테이프가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의 외면 적소에는 적어도 하나의 태양전지판이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상기 권취바 내부에는 복원스프링이 배치되고, 일단이 상기 하우징 내부에 고정된 상태로 복원스프링을 관통하여 복원스프링의 말단이 고정되는 고정봉이 배치되며, 상기 복원스프링의 탄성력이 부여된 상태로 상기 차단막의 전개 또는 권취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차단막의 전개시 팽팽함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차량용 자동 선바이저에 의하면, 운전자의 신체조건에 맞게 전면의 윈도우에 탈부착 가능하게 부착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롤러를 매립하기 위한 차량 천정의 구조변경이 필요없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의 선바이저가 구비된 차량에도 설치될 수 있기 때문에 차량의 모델에 제한이 없는 특징이 있다.
또한, 태양열전지판이 적용됨에 따라 차량의 전원을 사용하지 않으면서, 차단막이 윈도우에 인접하게 자동으로 펼쳐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원발명의 차량용 자동 선바이저는 전면윈도우 설치뿐만 아니라, 도어 내부에 설치되어 차단막이 도어 윈도우측으로 펼처짐에 따라 적용범위가 넓은 탁월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자동 선바이저가 차량의 전면윈도우와 도어의 윈도우에 각각 설치된 상태를 표현한 참고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자동 선바이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에서 하우징의 일측부를 제거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5는 하우징 일측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6 및 도 7은 하우징을 요부단면하여 보여주는 결합도 및 분해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자동 선바이저의 구성중 제1너트가이드와 이동너트의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자동 선바이저의 차단막이 전개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작용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들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난 각 요소의 형상은 보다 분명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자동 선바이저가 차량의 전면윈도우와 도어의 윈도우에 각각 설치된 상태를 표현한 참고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자동 선바이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에서 하우징의 일측부를 제거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5는 하우징 일측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6 및 도 7은 하우징을 요부단면하여 보여주는 결합도 및 분해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자동 선바이저의 구성중 제1너트가이드와 이동너트의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자동 선바이저의 차단막이 전개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작용도이다.
도 1 내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용 자동 선바이저(400)는, 차량에 설치되며, 외부로 전개되는 차단막(210)이 내부에 배치된 소정 길이를 갖는 하우징(100);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차단막(210) 일단이 고정된 상태로 차단막(210)을 탄성적으로 권취하는 권취바(200); 및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 배치되어 외부로 출몰하며, 상기 권취바(200)에 권취된 차단막(210)을 선택적 길이로 전개시키거나 전개된 차단막(210)을 복귀시키는 전개수단(300);을 포함한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차량용 자동 선바이저(400)의 가장 큰 특징은, 차량 천정의 구조변경 없이 기존의 선바이저가 설치된 차량에도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운전자 또는 동승자의 신체 조건에 맞게 설치되어 차단막(210)이 원하는 길이만큼 자동으로 전개되도록 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차량용 자동 선바이저(400)는 도 1과 같이 운전석 또는 보조석의 전면윈도우에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맞게 설치되어 챠량 실내로 유입되는 햇빛을 차단함으로써 주행의 안전을 도모하게 된다.
또한, 차량용 자동 선바이저(400)는 도 1과 같이 도어에도 설치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차량용 자동 선바이저(400)의 하우징(100)이 도면과 같이 도어의 내부로 고정되게 설치되고, 차단막(210)이 도어 윈도우 방향으로 노출되게 설치됨으로써, 인가된 전원에 의해 차단막(210)이 도면과 같이 윈도우 방향으로 상승하면서 햇빛의 유입을 차단하게 된다.
이때, 차량용 자동 선바이저(400)의 하우징(100)은 도어 내부에서 도시하지 않은 별도의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차량용 자동 선바이저(400)의 구조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하며, 운전석의 전면윈도우에 설치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하우징(100)은 후술하는 차단막(210)이 전면윈도우의 상측에서 소정의 폭을 유지한 상태로 윈도우의 하측 방향을 향하여 전개될 수 있도록, 차단막(210)을 여유있게 수용할 수 있게 소정의 길이를 유지하고 있으며, 도 1과 같이 차량의 전면윈도우의 상측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된다.
하우징(100)은 내부에 설치되는 후술하는 구조들의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결합볼트를 통해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제1하우징(110)과 제2하우징(120)으로 구성되며, 하우징(100)의 하부에는 후술하는 이동링크(330)와 차단막(210)이 입,출하는 입출슬롯(100a)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전면윈도우와 접촉되는 윈도우를 향하는 제1하우징(110)의 외면에는 도 3과 같이 길이방향을 따라 3개의 접착테이프(111)가 구비된다. 이 접착테이프(111)를 통해 하우징(100)이 전면윈도우에 손쉽게 부착 및 탈착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제2하우징(120)의 외면에는 도 2와 같이 구동스위치(121)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 구동스위치(121)의 터치를 통해 후술하는 차단막(210)이 하우징(100) 외부로 원하는 길이만큼 선택적으로 전개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차단막(210)의 선택적인 전개는 운전자의 신체조건 즉 신장의 사이즈에 맞게 전개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차단막(210)의 맞춤 전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더하여, 구동스위치(121)는 후술하는 리드스크류(310)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3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됨은 물론이다.
한편, 제1하우징(110)의 외면 적소에는 도 3과 같이 두개의 태양전지판(113)이 구비될 수도 있으며, 하우징(100)의 내부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태양전지판(113)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개의 캐패시터가 구비될 수도 있다.
태양전지판(113)은 차량용 자동 선바이저(400)와 차량 전원과의 불필요한 연결을 제거할 뿐만 아니라, 차단막(210)을 전개하기 위한 구동에너지를 자를체적으로 자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구동모터(311)의 구동을 위한 태양전지판(113)이 하우징(100)에 부착된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구동모터(311)는 차량의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차단막(210)은 후술하는 이동링크(330)의 구동에 의해 전면윈도우를 향해 하우징(100)의 외부로 전개되는 것으로, 하우징(100)의 내부에 배치된다.
차단막(210)은 메쉬타입의 천막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실리콘 등과 같은 소정의 탄성을 갖는 연성재질로 구성될 수도 있다.
특히, 차단막(210)은 전개된 상태에서 운전자의 시야를 완전하게 가리는 경우 운전의 방해요소로 작용하기 때문에 소정의 빛이 투과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차단막(210)의 말단부에는 후술하는 이동링크(330)에 의해 차단막(210)이 전개될 때 차단막(210)의 전개된 상태의 장력이 유지될 수 있도록 차단막(210) 말단부 전체를 동시에 지지하는 링크가이드바(331)가 고정된다.
그리고, 링크가이드바(331)에는 길이방향을 중심으로 한 쌍의 이동링크(330)의 각 하단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가이드슬롯(332)이 형성된다. 가이드슬롯(332)과 이동링크(330)의 결합관계는 후술하기로 한다.
권취바(200)는 차단막(210)이 제2하우징(120) 내부에 권취된 상태로 머물도록 하는 것으로, 차단막(210)이 권취될 수 있도록 차단막(210)보다 다소 긴 길이를 유지한 상태로 봉 형상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권취바(200)에는 차단막(210)의 권취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차단막(210)의 일단이 고정되어 있으며, 차단막(210)은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권취된다.
이를 위해, 권취바(200) 내부에는 도 4와 같이 일단이 권취바(200)에 고정된 상태로 소정의 길이를 갖는 복원스프링(220)이 배치되고, 일단이 제2하우징(120) 내부에 별도의 고정홈(미부호)에 고정된 상태로 복원스프링(220)을 관통하여 복원스프링(220)의 타단이 고정되는 소정 길이의 고정봉(230)이 배치된다.
위와 같은 권취바(200)는, 권취바(200)의 회전에 따라 복원스프링(220)의 직경이 확장되고, 전개된 차단막(210)이 권취될 때 확장된 복원스프링(220)의 직경이 복원되는 탄성력을 이용하여 차단막(210)의 전개 또는 권취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즉, 차단막(210)이 후술하는 이동링크(330)에 의해 전개 또는 권취될 때, 복원스프링(220) 직경의 확장과 복원에 의한 탄성력을 통해 전개 또는 권취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더하여, 차단막(210)이 복원스프링(220)에 의해 상시적으로 탄성지지되기 때문에 전개시 차단막(210) 표면이 팽팽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차단막(210) 표면에 주름 등이 생성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한다.
전개수단(300)은 하우징(100) 내부에 배치되어 하우징(100) 외부로 출몰하는 것으로, 하우징(100) 권취바(200)에 권취된 차단막(210)을 전면윈도우에 인접한 상태로 선택적 길이가 이루어지도록 전개시키거나 또는 전개된 차단막(210)을 하우징(100) 내부로 복귀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하우징(100)이 전면윈도우에 설치된 상태에서 운전자의 신체적조건 즉 운전자의 시야에 맞도록 차단막(210)의 선택적 전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전개수단(300)은 리드스크류(310), 이동너트(320) 및 이동링크(330)를 포함한다.
리드스크류(310)는 도 4와 같이 제2하우징(120) 내부에 배치된 권취바(200)의 하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길이방향을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서로 다른 방향의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리드스크류(310)의 도면상 좌측에는 리드스크류(31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311)가 연결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으며, 구동모터(311)에는 구동모터(311)의 동력이 리드스크류(310)로 전달될 수 있도록 구동기어(312)가 구비되고, 리드스크류(310)에는 구동기어(312)와 치합되는 종동기어(313)가 구비되어 있다.
이때, 구동기어(312)와 종동기어(313)의 기어비는 4:3인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예를 들어 하우징(100) 내부에서 구동기어(312)의 15 잇수와 종동기어(313)의 20 잇수의 치합이 가장 이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리드스크류(310)의 회전이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후술하는 이동링크(330)에 의해 차단막(210)이 신속하게 전개 또는 권취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구동모터(311)의 동력 전달이 구동기어(312)와 종동기어(313)를 통해 구현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벨트 또는 체인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음에 따라 구조를 한정하지 않는다.
이동너트(320)는 한 쌍으로 구성되며, 각각 리드스크류(310)의 서로 다른 방향의 나사산에 각각 결합되고, 리드스크류(310)의 회전에 따라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후술하는 이동링크(330)를 펼쳐지도록 하거나 오므려지도록 한다(도 9 및 도 10 참조).
이동너트(320)는 도 4 및 도 8과 같이, 리드스크류(310) 나사산이 내측으로 나선 결합되는 원통형의 이동몸체(321)와, 이동몸체(321)로부터 도면상 하측으로 연장되게 돌출되어 후술하는 이동링크(330)의 상측 일단이 연결되는 링크연결단(322)과, 링크연결단(322)과 대향되게 이동몸체(321)로부터 도면상 상측방향으로 연장되게 돌출된 제1가이드돌기(323)와, 제1가이드돌기(323)와 링크연결단(322) 사이에 이동몸체(321)로부터 도면상 우측방향으로 연장되게 돌출된 제2가이드돌기(324)로 구성된다.
위와 같이 이동너트(320)에 이동몸체(321), 링크연결단(322), 제1가이드돌기(323) 및 제2가이드돌기(324)를 형성하는 것은, 이동너트(320)가 후술하는 너트가이드들에 의해 지지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이동간에도 지지가 계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리드스크류(310)의 회전에 따라 이동하는 이동너트(320)는 제1하우징(110) 및 제2하우징(120) 내부에 마련된 제1너트가이드(130), 제2너트가이드(140) 및 제3너트가이드(150)에 의해 가이드 된다.
제1너트가이드(1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하우징(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각 이동너트(320)를 각각 가이드할 수 있도록 소정의 길이로 2개로 배치되며, 내측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너트(320)의 제2가이드돌기(324)가 끼워지는 장방향슬롯(131)이 형성되고, 상단에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가이드돌기(323)의 돌출된 일면(도면상 우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돌기(132)가 형성되어 있다.
제2너트가이드(140)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너트가이드(130)와 마주하게 제1하우징(110) 내부에 배치되며, 제1가이드돌기(323)의 타면(도면상 좌측면)이 지지될 수 있도록 제2지지단턱(141)이 형성되어 있다.
제3너트가이드(150)는 제2너트가이드(140) 하측으로 제1하우징(110)에 배치되어 있으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너트(320)의 이동몸체(321)를 지지할 수 있도록 제3지지단턱(151)이 형성되어 있다.
위와 같은 제1너트가이드(130), 제2너트가이드(140) 및 제3너트가이드(150)는, 제1하우징(110)과 제2하우징(120)이 결합된 상태에서 도 6과 같이 이동너트(320)의 이동몸체(321)와 제1가이드돌기(323)가 각각 제3지지단턱(151)과 제2지지단턱(141)에 안착되도록 하고, 제2가이드돌기(324)가 장방향슬롯(131)에 끼워지도록 하여 이동너트(320)의 이동몸체(321), 제1가이드돌기(323) 및 제2가이드돌기(324)가 도면상 양방향에서 동시에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리드스크류(310)의 회전에 의한 이동너트(320)의 이동시 지속적인 지지를 통한 유동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동링크(330)는 리드스크류(310)에 결합된 한 쌍의 이동너트(320)와 차단막(210)을 연결하는 것으로, 리드스크류(310)를 타고 이동하는 이동너트(320)들의 이동방향에 절첩되거나 펼쳐지면서 차단막(210)을 하우징(100) 외측으로 전개시키거나 또는 복귀시킬 수 있도록 길이방향 중심부가 상호 회동가능하게 크로스된 한 쌍으로 구성된다.
즉, 이동링크(330)는 도 10과 같이 이동링크(330)의 펼침을 통해 권취바(200)에 권취된 차단막(210)을 전개시키고, 이동링크(330)의 오버랩을 통해 도 9와 같이 펼쳐진 차단막(210)이 권취바(200)에 권취될 수 있도록 복귀시키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 쌍의 이동링크(330)의 각 일단(도면상 상측단부)은 도 4와 같이 이동너트(320)의 링크연결단(322)과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각 타단(도면상 하측단부)은 링크가이드바(331)의 두개의 가이드슬롯(332)에 가이드슬롯(332)을 타고 이동할 수 있도록 힌지결합된다.
이때, 차단막(210)에 연결된 링크가이드바(331)는 이동너트(320)의 양방향 이동에 따라 이동링크(330)가 펼쳐질 때 이동링크(330)의 지지를 받기 때문에 전개된 차단막(210)을 전체적으로 지지함으로써, 전개된 차단막(210)의 장력유지와 동시에 처짐을 방지하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자동 선바이저(400)가 구동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차량용 자동 선바이저(400)는 도 1과 같이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에 맞게 높이를 조절하여 차량의 전면윈도우에 부착된다.
이때, 차단막(210)은 하우징(100)의 권취바(200)에 권취된 상태이다.
이후, 사용자가 햇빛 유입 차단을 목적으로 구동스위치(121)를 누르면, 구동스위치(121)가 눌려지는 동안 구동모터(311)에 의해 구동기어(312)와 종동기어(313)가 구동하면서 도 9의 상태에서 리드스크류(310)가 회전하게 된다.
회전하는 리드스크류(310)는 나선결합된 한 쌍의 이동너트(320)를 도 9의 상태에서 마주하는 내측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이동스크류에 연결된 한 쌍의 이동링크(330)는 이동너트(320)의 이동에 따라 하측방향을 향하여 점진적으로 펼쳐지게 된다.
이 과정에서, 이동링크(330)가 링크가이드바(331)를 도면상 하측방향으로 밀어내기 때문에 링크가이드바(331)에 지지된 차단막(210)이 권취바(200)로부터 풀리면서 도 10과 같이 전개된다.
그리고, 차단막(210)의 전개가 원하는 만큼 이뤄졌으면 구동스위치(121)를 해제한다.
이후, 사용자가 차단막(210)의 필요성이 없다고 판단되면, 도 10의 상태에서 구동스위치(121)를 다시 누르면, 구동모터(311)가 역회전하면서 리드스크류(310)를 회전시켜 펼쳐진 한 쌍의 이동링크(330)를 복귀시킨다.
이때, 링크가이드바(331)가 이동링크(330)의 복귀에 따라 도면상 상측방향으로 상승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복원스프링(220)의 탄성에 의해 권취바(200)가 역회전하면서 전개된 차단막(210)을 권취하게 된다.
지금까지 서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용 자동 선바이저는, 운전자의 신체조건에 맞게 전면의 윈도우에 탈부착 가능하게 부착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롤러를 매립하기 위한 차량 천정의 구조변경이 필요없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의 선바이저가 구비된 차량에도 설치될 수 있기 때문에 차량의 모델에 제한이 없는 특징이 있다.
또한, 태양열전지판이 적용됨에 따라 차량의 전원을 사용하지 않으면서, 차단막이 윈도우에 인접하게 자동으로 펼쳐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원발명의 차량용 자동 선바이저는 전면윈도우 설치뿐만 아니라, 도어 내부에 설치되어 차단막이 도어 윈도우측으로 펼처짐에 따라 적용범위가 넓은 탁월한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차량용 자동 선바이저를 바람직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의 이해를 돕고자 하는 것일 뿐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이에 한정하고자 함이 아님은 물론이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형이나 개조가 가능함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이나 개조는 청구범위의 해석상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 있음은 말할 나위가 없다.
100 : 하우징 110 : 제1하우징
111 : 접착테이프 113 : 태양전지판
120 : 제2하우징 121 : 구동스위치
130 : 제1너트가이드 131 : 장방향슬롯
132 : 지지돌기 140 : 제2너트가이드
141 : 제2지지단턱 150 : 제3너트가이드
151 : 제3지지단턱 200 : 권취바
210 : 차단막 220 : 복원스프링
230 : 고정봉 300 : 전개수단
310 : 리드스크류 311 : 구동모터
312 : 구동기어 313 : 종동기어
320 : 이동너트 321 : 이동몸체
322 : 링크연결단 323 : 제1가이드돌기
324 : 제2가이드돌기 330 : 이동링크
331 : 링크가이드바 332 : 가이드슬롯
400 : 차량용 자동 선바이저

Claims (9)

  1. 차량에 설치되며, 외부로 전개되는 차단막(210)이 내부에 배치된 소정 길이를 갖는 하우징(100);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차단막(210) 일단이 고정된 상태로 차단막(210)을 탄성적으로 권취하는 권취바(200); 및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 배치되어 외부로 출몰하며, 상기 권취바(200)에 권취된 차단막(210)을 선택적 길이로 전개시키거나 전개된 차단막(210)을 복귀시키는 전개수단(300);을 포함하며,
    상기 전개수단(300)은,
    구동모터(311)와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양측에 각각 서로 다른 방향의 나사산이 형성된 리드스크류(310)와, 상기 리드스크류(310)의 각 나사산에 결합되어 리드스크류(310)의 회전에 따라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동하는 한 쌍의 이동너트(320)와, 상기 한 쌍의 이동너트(320)와 차단막(210)을 연결한 상태로 이동너트(320)의 이동방향에 따라 오버랩되거나 펼쳐지면서 상기 차단막(210)을 전개시키거나 복귀시키는 크로스된 한 쌍의 이동링크(330);로 구성되고,
    상기 이동너트(320)는 상기 리드스크류(310)의 나사산이 내측으로 결합되는 이동몸체(321)와, 상기 이동몸체(321)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이동링크(330)의 일단이 연결되는 링크연결단(322)과, 상기 링크연결단(322)과 대향되게 상기 이동몸체(321)로부터 돌츨되게 형성된 제1가이드돌기(323)와, 상기 제1가이드돌기(323)와 상기 링크연결단(322) 사이에 이동몸체(321)로부터 돌출된 제2가이드돌기(324),로 구성되며,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는 상기 이동너트(32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1너트가이드(130), 제2너트가이드(140) 및 제3너트가이드(150)가 구비되되,
    상기 제1너트가이드(130)는 하우징(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로 배치되며, 내측에는 상기 이동너트(320)의 제2가이드돌기(324)가 끼워지는 장방향슬롯(131)이 형성되고, 상단에는 상기 제1가이드돌기(323)의 돌출된 일면을 지지하는 지지돌기(132)가 형성되며,
    상기 제2너트가이드(140)는 제1너트가이드(130)와 마주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가이드돌기(323)의 타면이 지지되는 제2지지단턱(141)이 형성되고,
    상기 제3너트가이드(150)는 상기 제2너트가이드(140) 하측으로 배치되며, 상기 이동너트(320)의 이동몸체(321)를 지지하는 제3지지단턱(15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자동 선바이저.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막(210)의 말단부에는 차단막(210)이 전개될 때 전개된 상태의 장력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링크가이드바(331)가 구비되고, 상기 링크가이드바(331)에는 길이방향으로 한 쌍의 가이드슬롯(33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자동 선바이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이동링크(330) 각 일단은 상기 이동너트(320)와 힌지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링크가이드바(331)의 가이드슬롯(332)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자동 선바이저.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311)에는 구동기어(312)가 구비되고, 상기 리드스크류(310)에는 상기 구동기어(312)와 치합되는 종동기어(313)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자동 선바이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0)에는 구동스위치(121)가 구비되고,
    하우징(100)의 외면에는 차량의 전면윈도우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접착테이프(111)가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100)의 외면 적소에는 적어도 하나의 태양전지판(113)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자동 선바이저.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바(200) 내부에는 복원스프링(220)이 배치되고, 일단이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 고정된 상태로 복원스프링(220)을 관통하여 복원스프링(220)의 말단이 고정되는 고정봉(230)이 배치되며,
    상기 복원스프링(220)의 탄성력이 부여된 상태로 상기 차단막(210)의 전개 또는 권취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차단막(210)의 전개시 팽팽함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자동 선바이저.
KR1020210139996A 2021-10-20 2021-10-20 차량용 자동 선바이저 KR1024471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9996A KR102447118B1 (ko) 2021-10-20 2021-10-20 차량용 자동 선바이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9996A KR102447118B1 (ko) 2021-10-20 2021-10-20 차량용 자동 선바이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7118B1 true KR102447118B1 (ko) 2022-09-26

Family

ID=83452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9996A KR102447118B1 (ko) 2021-10-20 2021-10-20 차량용 자동 선바이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711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1009A (ko) * 2012-03-30 2013-10-10 표현학 차량용 선바이저
KR102180688B1 (ko) 2019-06-20 2020-11-19 최미선 차량용 선바이저
CN213167658U (zh) * 2020-07-24 2021-05-11 华人运通(江苏)技术有限公司 一种汽车遮阳板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1009A (ko) * 2012-03-30 2013-10-10 표현학 차량용 선바이저
KR102180688B1 (ko) 2019-06-20 2020-11-19 최미선 차량용 선바이저
CN213167658U (zh) * 2020-07-24 2021-05-11 华人运通(江苏)技术有限公司 一种汽车遮阳板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5206B1 (ko) 만곡 또는 비-장방형 차창용 블라인드
KR20020040577A (ko) 가변성 차양 효과를 갖는 권취식 윈도우 셰이드
JPH0478628A (ja) シート状物巻取装置
JP2002067688A (ja) 車両窓用日除けブラインドを格納した自動車及びルーフに格納できる車両窓用日除けブラインド
KR102447118B1 (ko) 차량용 자동 선바이저
WO2003104033A2 (en) Visor systems for accommodating overhead front air bag deployment
CN113879086B (zh) 一种车载遮阳顶棚
KR100327654B1 (ko) 실내용 전동 차양판
KR101264631B1 (ko) 차량용 롤 블라인드
KR20120103256A (ko) 차량용 롤 블라인드
KR102370816B1 (ko) 각도 가변형 다단 차양막장치
CN212889792U (zh) 一种汽车外用卷帘式遮阳装置
KR101223300B1 (ko) 차량용 선바이저
JP3595854B2 (ja) 自動車用日除け
KR0157840B1 (ko) 자동차용 자동커튼
KR100736739B1 (ko) 버스 차량용 선 바이저
KR0157788B1 (ko) 차량의 선 블라인드 장치
KR0119669Y1 (ko) 차창의 차양기구
KR0169637B1 (ko) 자동차의 차광장치
KR102655816B1 (ko) 다단 가변형 차양막 구조물
JP2009012500A (ja) サンシェード装置
TW202237430A (zh) 遮光裝置和車輛
KR100253511B1 (ko) 자동차용 전면 윈도우의 햇빛 차단장치
KR100803386B1 (ko) 전동식 썬 쉐이드
KR200143847Y1 (ko) 버스의 차양 자동 구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