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6566B1 - 플로팅 기구 부착 동축 커넥터 - Google Patents

플로팅 기구 부착 동축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6566B1
KR102446566B1 KR1020200071395A KR20200071395A KR102446566B1 KR 102446566 B1 KR102446566 B1 KR 102446566B1 KR 1020200071395 A KR1020200071395 A KR 1020200071395A KR 20200071395 A KR20200071395 A KR 20200071395A KR 102446566 B1 KR102446566 B1 KR 1024465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socket
shell
floating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13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11323A (ko
Inventor
요지 오치
다다히토 사사키
후미오 오사와
Original Assignee
에스에무케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에무케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에스에무케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113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13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65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65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 H01R13/631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allow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coupling parts, e.g. floating conn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42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comprising impedance matching means or electrical components, e.g. filters or switches
    • H01R24/44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comprising impedance matching means or electrical components, e.g. filters or switches comprising impedance match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52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mounted in or to a panel or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91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 H01R13/6592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the conductive member being a shielded cable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Abstract

(과제)본 발명은, 플로팅 성능을 확보하면서, 부품 수가 적고 또한 소형화가 가능하고 고주파 성능이 우수한 플로팅 기구 부착 동축 커넥터를 제공한다.
(해결수단)플로팅 기구 부착 동축 커넥터(1)는, 플러그측 중심 콘택트(3) 및 플러그측 절연체(5)가 지지되는 쉘 본체(41)와, 쉘 본체(41)에 요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고 소켓측 쉘(7)과 감합되는 가동 쉘(42)을 플러그측 쉘(4)에 구비하고, 쉘 본체(41)는, 소켓측 끝면으로 개구되고 하우징 가동부(82)가 삽입되는 삽입용 오목부(413)를 구비하고 있음으로써, 높은 고주파 성능을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플로팅 기구 부착 동축 커넥터{COAXIAL CONNECTOR WITH FLOATING MECHANISM}
본 발명은, 전자기기(電子機器)와 동축 케이블(同軸 cable)의 접속이나 전자기기 사이의 접속 등에 사용되는 동축 커넥터(同軸 connector)로서, 특히 플러그(plug)와 소켓(socket)의 접속성이 우수한 플로팅 기구 부착 동축 커넥터(floating 機構 附着 同軸 connector)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동축 커넥터의 소켓은, 소켓의 중앙에 배치된 소켓측 중심 콘택트(socket側 中心 contact)와, 소켓측 중심 콘택트의 외측에 배치된 소켓측 쉘(socket側 shell)을 구비하고, 플러그와의 접속 시에는, 소켓측 중심 콘택트 및 소켓측 쉘의 양방(兩方)이 상대방의 플러그측 중심 콘택트(plug側 中心 contact) 및 플러그측 쉘(plug側 shell)과 적절하게 접속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전자기기에 내장된 기판이나 섀시 등의 지지체에 대한 소켓 및 플러그의 부착위치 등에 의하여, 서로 접속되는 플러그와 소켓의 사이에 축방향 또는 지름방향으로 위치 어긋남이 생겼다고 하더라도 양 동축 커넥터의 접속 시에는, 위치 어긋남이 수정되지 않으면 안 된다.
그래서 종래의 동축 커넥터의 소켓에는, 기판이나 케이스 등의 지지체에 고정되는 소켓 기부(socket 基部)에 대하여 지름방향(xy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된 하우징 가동부(housing 可動部)를 구비한 플로팅 기구가 부착된 것이 사용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1을 참조).
소켓 기부는, 가동 하우징의 외측에 배치된 통 모양의 소켓측 쉘과, 소켓측 쉘 내의 중앙부에 배치되는 소켓측 중심 콘택트와, 소켓측 중심 콘택트와 소켓측 쉘을 절연하는 소켓측 절연부재(socket側 絶緣部材)와, 소켓측 쉘에 지지된 커넥터 본체를 지름방향을 향하여 가압하는 코일 스프링이나 접시 스프링 등의 가압수단을 구비하여, 축 어긋남이 생기더라도 하우징 가동부가 플러그와 상호 접속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특허문헌1):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8―262736호 공보
그러나 동축 커넥터에 있어서는, 고주파 성능이 중요한 바, 플로팅 기구를 갖는 것은, 소켓 본체와 함께 중심도체(中心導體)가 이동하여, 중심도체와 소켓 기부의 중심도체 사이에 축 어긋남이 생기면 고주파 성능의 저하를 초래할 우려가 있었다.
또한 동축 커넥터에서는, 하기의 수학식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측 중심 콘택트의 외경에 대하여 플러그측 중심 콘택트가 삽입되는 소켓측의 하우징(하우징 가동부)의 외경(두께)이 커지게 되면 임피던스가 커지게 되기 때문에, 임피던스를 적정하게 설정하기 위해서는, 하우징 가동부의 외경(두께)이 지나치게 커지게 되지 않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112020060539616-pat00001
또한 상기 식에 있어서, Zox는 임피던스, d는 플러그측 중심 콘택트의 직경, D는 하우징 가동부의 직경, εr은 하우징 가동부의 재질에 의한 유전율(誘電率)이다.
한편 플러그측 외부 쉘(plug側 外部 shell)의 내경에 대하여 가동 하우징의 외경(두께)이 작으면, 가동 하우징과 플러그측 외부 쉘의 사이에 유전율이 수지(樹脂)보다 낮은 공기층이 형성되기 때문에 임피던스가 더 커지게 되어 버린다.
또한 종래의 플로팅 기구 부착 동축 커넥터에서는, 상대방 동축 커넥터와 상호 접속하는 하우징 가동부와, 하우징 고정부를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커넥터 기부(connector 基部)를 별개로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그 만큼 동축 커넥터 전체의 외형이 커지게 되어, 소형화가 저해되고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플로팅 기구 부착 동축 커넥터에서는, 하우징 가동부를 축방향 또는 지름방향으로 가압하는 코일 스프링이나 접시 스프링을 필요로 하여, 그 만큼 부품의 수가 증가함으로써 제품 코스트나 제조공정이 증가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러한 종류의 종래의 플로팅 기구 부착 동축 커넥터에서는, 하우징 가동부의 중심 콘택트와 커넥터 기부의 중심도체를 별개로 형성하여, 하우징 가동부에 대하여 커넥터 본체를 축방향 및 지름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중심 콘택트와 중심도체를 서로 이동시킬 수 있고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구조를 필요로 하여, 구조가 복잡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고려하여, 플로팅 성능을 확보하면서, 부품의 수가 적고 또한 소형화가 가능하고 고주파 성능이 우수한 플로팅 기구 부착 동축 커넥터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청구항1에 기재되어 있는 발명의 특징은, 서로 접속되는 플러그와 소켓을 구비한 동축 커넥터로서, 상기 플러그는, 중앙에 배치된 플러그측 중심 콘택트와, 그 플러그측 중심 콘택트의 외측에 배치된 플러그측 쉘과, 상기 플러그측 중심 콘택트와 플러그측 쉘의 사이에 삽입된 플러그측 절연체를 구비하고, 상기 소켓은, 중앙에 배치된 소켓측 중심 콘택트와, 실장기판, 전자기기 케이스 또는 동축 케이블에 고정되는 하우징 기부와, 그 하우징 기부의 플러그측 끝면 위를 상기 소켓측 중심 콘택트와 함께 지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하우징 가동부와, 상기 하우징 기부의 외측을 덮는 소켓측 쉘을 구비하고, 상기 플러그측 중심 콘택트와 상기 소켓측 중심 콘택트가 접속됨과 아울러, 상기 플러그측 쉘과 상기 소켓측 쉘이 접속되도록 한 플로팅 기구 부착 동축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소켓측 쉘은, 상기 하우징 기부의 외주를 덮고 조인트가 없는 외주벽부와, 상기 외주벽부의 상측 가장자리에 일체로 지지된 원환 모양의 상면 차폐부를 구비하고,
상기 플러그측 쉘은, 상기 플러그측 중심 콘택트 및 상기 플러그측 절연체가 지지되는 쉘 본체와, 그 쉘 본체에 요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고 상기 소켓측 쉘과 감합되는 가동 쉘을 구비하고, 상기 쉘 본체에는, 소켓측 끝면으로 개구되고 상기 하우징 가동부가 삽입되는 삽입용 오목부를 구비하고, 그 삽입용 오목부를 형성하는 상기 쉘 본체의 육후부가 고정실드벽을 이루고, 그 고정실드벽의 외측에 상기 가동 쉘이 배치되어 있는 것에 있다.
청구항2에 기재되어 있는 발명의 특징은, 청구항1의 구성에 추가하여, 상기 소켓은, 일단이 상기 하우징 기부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하우징 가동부에 고정된 플로팅용 스프링체를 구비하고, 상기 플로팅용 스프링체는, 상기 하우징 기부에 고정되는 지지고정부와, 상기 하우징 가동부에 고정되는 플로팅 고정부와, 상기 지지고정부와 상기 플로팅 고정부를 연결하고 탄성변형될 수 있는 요동 스프링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 가동부가 상기 플로팅용 스프링체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 기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는 것에 있다.
청구항3에 기재되어 있는 발명의 특징은, 청구항2의 구성에 추가하여, 상기 소켓측 중심 콘택트는, 상기 하우징 가동부와 함께 이동하는 접촉부와, 실장기판에 접속되는 기판접속 단자편을 구비하고, 상기 접촉부를 상기 플로팅 고정부에 일체로 지지시키고, 상기 기판접속 단자편을 상기 지지고정부에 일체로 지지시켜서, 상기 소켓측 중심 콘택트와 상기 플로팅용 스프링체가 일체화되어 있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관한 플로팅 기구 부착 동축 커넥터는, 청구항1에 기재되어 있는 구성을 구비함으로써, 하우징 가동부의 외경을 작게 하는 경우이더라도, 소켓측 쉘과 하우징 가동부의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되지 않아서, 임피던스 매칭이 우수하여 높은 고주파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고주파 성능 및 실드특성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청구항2에 기재되어 있는 구성을 구비함으로써, 플러그와 상호 접속되는 부분과 플로팅 기구를 구성하는 부분을 일체적으로 구성할 수 있어, 커넥터의 소형화가 도모됨과 아울러 부품 수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청구항3에 기재되어 있는 구성을 구비함으로써, 부품 수의 저감 및 조립작업의 간소화가 도모됨과 아울러, 소켓측 중심 콘택트가 하우징 가동부의 이동에 추종하기 때문에 커넥터 내에서의 중심축의 어긋남이 방지할 수 있어, 고주파 성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도1] 본 발명에 관한 플로팅 기구 부착 동축 커넥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2] 도1에 있어서의 플러그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3] (a)는 도1에 있어서의 플러그의 정면도, (b)는 도1에 있어서의 플러그의 저면도, (c)는 도1에 있어서의 플러그의 종단면도이다.
[도4] 도1에 있어서의 소켓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5] (a)는 도1에 있어서의 소켓을 나타내는 확대 종단면도, (b)는 동(同) A-A선 단면도이다.
[도6] (a)는 도1에 있어서의 소켓의 플로팅용 스프링체를 나타내는 정면도, (b)는 동 평면도, (c)는 동 B―B선 단면도, (d)는 동 C―C선 단면도이다.
[도7] (a)는 도1에 있어서의 소켓의 하우징 기부를 나타내는 평면도, (b)는 동 D―D선 단면도, (c)는 종단면도이다.
[도8] (a)는 도1에 있어서의 소켓측 쉘을 나타내는 사시도, (b)는 동 종단면도, (c)는 (b)와 교차하는 종단면도이다.
[도9] (a)는 도1에 있어서의 하우징 가동부를 나타내는 평면도, (b)는 동 저면도, (c)는 동 E―E선 단면도, (d)는 동 종단면도이다.
[도10] 본 발명에 관한 플로팅 기구 부착 동축 커넥터의 동작을 설명하는 종단면도로서, (a)는 축 어긋남이 없는 상태, (b)는 전후방향(x축 방향)으로 축이 어긋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1] 본 발명에 관한 플로팅 기구 부착 동축 커넥터의 동작을 설명하는 종단면도로서, (a)는 축 어긋남이 없는 상태, (b)는 좌우방향(y축 방향)으로 축이 어긋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의 태양을 도1∼도11에 나타낸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면에서의 부호 1은, 플로팅 기구 부착 동축 커넥터(floating 機構 附着 同軸 connector)이다.
이 플로팅 기구 부착 동축 커넥터(1)는, 서로 접속되는 플러그(plug)(11)와 소켓(socket)(12)을 구비하고, 플러그(11)와 소켓(12)이 플로팅 기구(floating 機構)에 의하여 서로 지름방향(xy축 방향)의 위치 어긋남을 수정하면서 접속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플러그(11)는, 도2, 도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앙에 배치된 도전성 금속재(導電性 金屬材)로 이루어지는 플러그측 중심 콘택트(plug側 中心 contact)(3)와, 플러그측 중심 콘택트(3)의 외측에 배치된 플러그측 쉘(plug側 shell)(4)과, 플러그측 중심 콘택트(3)와 플러그측 쉘(4)의 사이에 삽입된 절연성의 플러그측 절연체(plug側 絶緣體)(5)를 구비하고, 플러그측 쉘(4) 내에 플러그측 절연체(5) 및 플러그측 중심 콘택트(3)가 갖추어져 있다.
플러그측 중심 콘택트(3)는, 도전성 금속재에 의하여 침봉(針棒) 모양으로 형성되고, 그 일단(一端)이 소켓측 중심 콘택트(socket側 中心 contact)(6)와 접촉하는 접촉부(31)를 이루고, 타단(他端)이 동축 케이블(同軸 cable)이나 다른 전자기기에 접속되는 단자부(端子部)(32)를 이루고 있다.
플러그측 절연체(5)는, 절연성 수지에 의하여 일체로 성형되고, 원기둥 모양의 절연체 본체부(51)와, 절연체 본체부(51)의 후단(後端)측으로 돌출된 통 모양의 확경통부(擴徑筒部)(52)를 구비하고, 플러그측 절연체(5)가 절연체 본체부(51)와 확경통부(52)를 갖고 단차(段差)를 형성한 볼록한 모양을 이루고 있다.
또한 플러그측 절연체(5)에는, 절연체 본체부(51)에 플러그측 중심 콘택트(3)가 그 양단(兩端) 즉 접촉부(31) 및 단자부(32)를 돌출시킨 상태로 삽입되어 있다.
확경통부(52)는, 절연체 본체부(51)보다 외경이 큰 상면이 개구되고 바닥을 갖는 통 모양으로 형성되고, 바닥면부에서 확경통부(52) 내로 단자부(32)가 돌출되어 있다.
플러그측 쉘(4)은, 플러그측 중심 콘택트(3) 및 플러그측 절연체(5)가 지지되는 쉘 본체(shell 本體)(41)와, 쉘 본체(41)에 요동(搖動)할 수 있도록 지지되고 소켓측 쉘과 감합(嵌合)되는 가동 쉘(可動 shell)(42)을 구비하고 있다.
쉘 본체(41)는, 도전성 금속재에 의하여 주조(鑄造)되고, 중앙에 플러그측 절연체(5)가 수용되는 절연체 수용구멍(411)을 갖는 통 모양으로 형성되고, 그 외주면의 하반부(下半部)에 가동 쉘(42)의 기단(基端)이 고착(固着)되어, 가동 쉘(42)이 요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다.
이 쉘 본체(41)의 외측에는, 가동 쉘(42)과 간격을 두고 규제커버부(412)가 구비되고, 가동 쉘(42)의 기단측이 규제커버부(412)의 내측에 삽입됨으로써, 가동 쉘(42)이 고착된 기단부를 기점으로 하는 요동을 허용함과 아울러 가동 쉘(42)의 요동범위를 규제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쉘 본체(41)는, 소켓측 단부(socket側 端部)에 절연체 수용구멍(411)의 소켓측으로 연통(連通)되고 소켓측 끝면으로 개구된 삽입용 오목부(413)를 구비하고 있다.
절연체 수용구멍(411)은, 내경이 서로 다른 확경부(擴徑部)(411a)와 축경부(縮徑部)(411b)가 서로 통하도록 배치되어 연속함으로써 단차를 형성한 구멍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단 개구(上端 開口)(소켓(12)과는 반대측의 단부 개구(端部 開口))에서 플러그측 절연체(5)가 삽입되고, 단차부(411c)에 플러그측 절연체(5)의 확경통부(52)의 끝면이 접촉함으로써, 쉘 본체(41)에 플러그측 절연체(5)가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삽입용 오목부(413)는, 쉘측으로 개구된 둥근 홀(hole) 모양으로 형성되고, 플러그측 중심 콘택트(3), 삽입용 오목부(413) 및 쉘 본체(41)의 육후부(肉厚部)가 동심(同心)으로 배치되고, 당해 육후부가 고정실드벽(固定shield壁)(414)을 이루고 있다. 또한 쉘측 절연체(5)는, 그 선단부(先端部)가 삽입용 오목부(413) 내로 돌출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 삽입용 오목부(413)는, 후술하는 소켓(12)의 하우징 가동부(82)의 외경에 의거하여 결정되고, 하우징 가동부(82)가 대략 간극 없이 삽입될 수 있는 내경이고, 또한 하우징 가동부(82)가 수용할 수 있는 깊이로 형성되어 있다.
가동 쉘(42)은, 도전성 금속판재(導電性 金屬板材)를 프레스 가공함으로써 원통모양으로 형성되고, 기단부(基端部)가 쉘 본체(41)의 외측 또한 규제커버부(412)의 내측에 감합되고, 기단부가 코킹(caulking) 등에 의하여 쉘 본체(41)의 외주면에 고착되어, 쉘 본체(41)와 도통(導通)되어 있다. 또한 도면에서의 부호 421은 코킹부(caulking部)이다.
이 가동 쉘(42)은, 가동 쉘(42)의 고착위치로부터 쉘 본체(41)의 소켓측 끝면까지의 거리보다 축방향으로 길고, 선단측이 쉘 본체(41)의 소켓측 끝면보다 소켓측으로 연장되어, 연장부의 내측에, 후술하는 소켓(12)의 하우징 기부(housing 基部)(81)의 외측에 배치된 소켓측 쉘(7)이 끼워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가동 쉘(42)에는,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선단측으로 개구되고 복수의 길이방향을 향하는 슬릿(422, 422 … )이 형성되고, 슬릿(422)을 사이에 두고 각각 독립하여 변형될 수 있는 복수의 탄성접촉편(彈性接觸片)(423, 42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탄성접촉편(423, 423)의 선단측에는, 내측을 향하여 팽출(膨出)된 접점부(423a)가 형성되고, 접점부(423a)가 연장부의 내측에 끼워진 소켓측 쉘(7)의 외주면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소켓(12)에는, 도4, 도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앙에 배치된 소켓측 중심 콘택트(6)와, 기판이나 전자기기 케이스 등의 지지체에 고정되는 하우징 기부(81)와, 하우징 기부(81)의 플러그측 끝면 위를 소켓측 중심 콘택트(6)와 함께 지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하우징 가동부(housing 可動部)(82)와, 하우징 기부(81)의 외측을 덮는 소켓측 쉘(7)을 구비하고, 플러그(11)와 서로 관계 있는 중심 콘택트 및 쉘이 각각 접속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소켓(12)은, 일단이 하우징 기부(81)에 고정되고, 타단이 하우징 가동부(82)에 고정된 플로팅용 스프링체(floating用 spring體)(9)를 구비하고, 하우징 가동부(82)가 소켓측 중심 콘택트(6)와 함께 플로팅용 스프링체(9)를 통하여 하우징 기부(81)로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음으로써, 플로팅 기구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소켓(12)에서는, 소켓측 중심 콘택트(6)와 플로팅용 스프링체(9)를 일체화한 도전성 금속판재로 이루어지는 콘택트 부착 플로팅용 스프링체(contact 附着 floating用 spring體)(이하, 일체형 스프링체(一體型 spring體)라고 한다)(99)를 사용하여, 소켓측 중심 콘택트(6)가 하우징 가동부(82)의 이동에 추종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일체형 스프링체(99)는, 도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탄성을 갖는 도전성 금속판재를 블랭킹·벤딩가공(blanking·bending加工)함으로써 일체로 형성되고, 플로팅용 스프링체(9)에 소켓측 중심 콘택트(6)를 일체로 지지시켜서, 소켓측 중심 콘택트(6)의 구성의 일부를 플로팅용 스프링체(9)로 겸용시킨 구조로 되어 있다.
플로팅용 스프링체(9)는, 하우징 기부(81)에 고정되는 지지고정부(支持固定部)(91)와, 하우징 가동부(82)에 고정되는 플로팅 고정부(floating 固定部)(92)와, 지지고정부(91)와 플로팅 고정부(92)를 연결하고 탄성변형될 수 있는 요동 스프링부(搖動 spring部)(93)를 구비하고, 지지고정부(91)와 플로팅 고정부(92)가 서로 전후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어, 요동 스프링부(93)의 탄성변형에 의하여 지지고정부(91)에 대하여 플로팅 고정부(92)가 전후이동 및 좌우로 요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지지고정부(91)는, 직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되고, 그 상단(上端)에 요동 스프링부(93)의 일단이 일체로 지지되고, 하단(下端)에서 소켓측 중심 콘택트(6)를 구성하는 기판접속 단자편(基板接續 端子片)(61)이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요동 스프링부(93)는, 지지고정부(91)―플로팅 고정부(92) 사이의 방향 즉 전후방향으로 신축될 수 있는 탄성신축부(彈性伸縮部)(931)와, 지지고정부(91)―플로팅 고정부(92) 사이의 방향 축 주위로 비틀려질 수 있는 탄성 비틀림부를 일체로 구비하고, 탄성신축부(931)의 신축에 의하여 지지고정부(91)에 대한 플로팅 고정부(92)의 전후방향 이동을 허용하고, 각 탄성 비틀림부의 비틀림에 의하여 지지고정부(91)에 대한 플로팅 고정부(92)의 좌우방향 이동을 허용하고, 또한 탄성에 의하여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탄성신축부(931)는, 상단이 지지고정부(91)의 상측 가장자리에서 원호 모양으로 만곡(彎曲)된 폴딩부(folding部)(932)를 통하여 지지된 상태에서 비스듬하게 하방으로 연장되고, 하단에서 폴딩부(933)를 통하여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임피던스 조절부(impedance 調節部)(934)가 일체로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이 탄성신축부(931)는, 양 폴딩부(932, 933)에서 만곡됨으로써, 지지고정부(91)―플로팅 고정부(92) 사이의 방향 즉 전후방향으로 신축되어, 탄성에 의하여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임피던스 조절부(934)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세판(細板) 모양으로 형성되고, 일단이 폴딩부(933)를 통하여 탄성신축부(931)에 지지되고, 타단이 폴딩부(935)를 통하여 플로팅 고정부(92)의 하측 가장자리에 일체로 지지되어 있다.
이 임피던스 조절부(934)는, 프레스 성형할 때에 좌우방향의 판폭(板幅)을 변경할 수 있어, 임피던스 조절부(934)의 폭을 적절하게 변경함으로써, 플로팅용 스프링체(9)와 일체화된 소켓측 중심 콘택트(6)의 임피던스를 적절한 값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각 폴딩부(932, 933, 935)는, 각각 지지고정부(91) 및 플로팅 고정부(92)의 판폭보다 좁게 형성되어, 요동 스프링부(93)에 있어서의 탄성 비틀림부를 구성하고 있다.
즉 지지고정부(91)에 대하여 플로팅 고정부(92)가 좌우방향으로 상대이동하였을 경우에, 각 폴딩부(932, 933, 935)가 지지고정부(91)―플로팅 고정부(92) 사이의 방향 축 둘레로 비틀림으로써, 당해 좌우방향의 이동을 허용함과 아울러 탄성에 의하여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플로팅 고정부(92)는, 상하방향을 향하는 직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되고, 중앙부에 지지고정부(91)측으로 팽출된 세로방향의 돌출가닥 모양인 팽출부(膨出部)(921)를 일체로 구비하고, 하단의 양 측부에 소켓측 중심 콘택트(6)의 접속부(62)를 구성하는 탄성협지편(彈性挾持片)(621, 621)이 일체로 지지되어 있다.
소켓측 중심 콘택트(6)는, 플러그측 중심 콘택트(3)와 접속하는 접속부(62)와, 접속기판에 접속되는 기판접속 단자편(61)을 구비하고, 접속부(62)와 기판접속 단자편(61)이 플로팅용 스프링체(9)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접속부(62)는, 서로 좌우방향으로 대향(對向)하는 1쌍의 탄성협지편(621, 621)을 구비하고, 핀 모양의 플러그측 중심 콘택트(3)의 접촉부(31)를 양 탄성협지편(621, 621)에 의하여 협지(挾持)함으로써 플러그측 중심 콘택트(3)와 접속하도록 되어 있다.
각 탄성협지편(621, 621)은, 상하로 긴 띠판(帶板) 모양으로 형성되고, 그 하방측 가장자리가 플로팅 고정부(92)의 하단측 가장자리에서 수직으로 구부린 지지편(支持片)(63)에 일체로 지지되고, 지지고정부(91)와 플로팅 고정부(92)의 사이에 좌우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각 탄성협지편(621, 621)에는, 상단에 내측으로 만곡된 접점(622)이 형성되고, 서로 대향하는 접점(622, 622)의 사이에 플러그측 중심 콘택트(3)가 협지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각 탄성협지편(621, 621)의 하단에는, 수평 외측을 향하여 연장된 빠짐방지 가이드편(64)이 일체로 지지되고, 이 빠짐방지 가이드편(64)이 전후좌우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우징 기부(81)의 하단에 접촉되어 있다.
하우징 기부(81)는, 도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연성 합성수지에 의하여 상하로 개구된 콘택트 수용부(contact 收容部)(811)를 갖는 원통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면측에서 하우징 가동부(82)와 소켓측 쉘(7)이 순차적으로 조립됨과 아울러, 하면측에서 콘택트 수용부(811)에 일체형 스프링체(99)가 갖추어져서, 플로팅용 스프링체(9)를 통하여 하우징 가동부(82)와 하우징 기부(81)가 이동할 수 있도록 접합된다.
하우징 기부(81)에는, 콘택트 수용부(811) 외측의 육후부에 상하방향을 향하는 지지고정부 압입부(812)가 형성되고, 이 지지고정부 압입부(812)에 플로팅용 스프링체(9)의 지지고정부(91)가 압입됨으로써, 플로팅용 스프링체(9)의 일단 즉 지지고정부(91)가 하우징 기부(81)에 고정된다.
또한 하우징 기부(81)에는, 지지고정부 압입부(812)의 내측으로 개구되고 또한 지지고정부 압입부(812)와 연통된 회피홈(回避groove)(813)이 형성되어, 요동 스프링부(93)가 간섭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일체형 스프링체(99)의 플로팅 고정부(92) 및 양 탄성협지편(621, 621)은, 하부가 요동 스프링부(93)를 통하여 하우징 기부(81)에 지지됨과 아울러 콘택트 수용부(811) 내로 이동할 수 있는 상태로 수용되고, 또한 상부가 콘택트 수용부(811)의 상단 개구에서 돌출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 기부(81)에는, 외측에 도전성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소켓측 쉘(7)이 조립되고, 소켓측 쉘(7)을 통하여 실장기판(實裝基板) 등의 지지체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소켓측 쉘(7)은, 도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전성 금속재를 인발가공(引拔加工)함으로써 일체로 형성되고, 하우징 기부(81)의 외주를 덮고 조인트(joint)가 없는 원통 모양의 외주벽부(外周壁部)(71)와, 외주벽부(71)의 상측 가장자리에 일체로 지지되고 하우징 기부(81)의 상면 둘레 가장자리를 덮고 중앙에 개구부(72a)를 갖는 원환 모양의 상면 차폐부(上面 遮蔽部)(72)와, 외주벽부(71)의 하측 가장자리에 외측을 향하여 돌출된 기판접속부(73)를 구비하고 있다.
이 소켓측 쉘(7)은, 하우징 기부(81)의 상면측에서 씌워지고, 기판접속부(73)를 지지체인 실장기판 위의 패턴에 납땜함으로써, 하우징 기부(81)가 지지체인 실장기판에 고정됨과 아울러 소켓측 쉘(7)이 실장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GND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하우징 가동부(82)는, 도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연성 합성수지재에 의하여 일체로 성형되고, 편평한 원기둥 모양의 가동 본체부(821)와, 가동 본체부(821)의 하단에서 돌출된 원기둥 모양의 돌출부(822)와, 돌출부(822)의 하단에서 좌우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된 슬라이딩부(823, 823)를 구비하고, 가동 본체부(821) 및 돌출부(822)에 걸쳐서 하면측으로 개구된 앵글홀(angle hole) 모양의 콘택트 수용부(824)가 형성되어 있다.
이 하우징 가동부(82)에는, 콘택트 수용부(824)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하면으로 개구된 고정부 압입구멍(825)이 형성되고, 하우징 가동부(82)를 하우징 기부(81)의 상면부에 조립함으로써, 고정부 압입구멍(825)에 하우징 기부(81)의 상단에서 돌출된 플로팅 고정부(92)의 상단부가 압입됨과 아울러, 콘택트 수용부(824) 내에 소켓측 중심 콘택트(6)의 접속부(62) 즉 양 탄성협지편(621, 621)의 상부가 수용된다.
가동 본체부(821)는, 그 직경이 플러그측 중심 콘택트의 외경에 의거하여 최소가 되도록 형성되어 플러그(11)와 소켓(12)을 접속하였을 때에, 삽입용 오목부(413) 내에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가동 본체부(821)는, 상단의 외주부에 상방을 향하여 축경(縮徑)되는 테이퍼 모양의 유도면부(誘導面部)(821a)를 구비하고 있음과 아울러, 상단면(上端面)으로 개구되고 또한 콘택트 수용부(824)와 연통된 콘택트 삽통구멍(contact 揷通hole)(82lb)을 구비하고, 이 콘택트 삽통구멍(82lb)을 통하여 핀 모양의 플러그측 중심 콘택트(3)가 하우징 기부(81) 내에 삽입됨과 아울러, 플러그측 중심 콘택트(3)로 안내되어 가동 본체부(821)가 삽입용 오목부(413) 내에 삽입된다.
또한 콘택트 삽통구멍(82lb)은, 그 개구 가장자리부가 하방을 향하여 축경되는 테이퍼 모양으로 형성되어, 플러그측 중심 콘택트(3)가 구멍 중심으로 유도되도록 되어 있다.
돌출부(822)는, 가동 본체부(821)보다 외경이 작은 편평한 원기둥 모양으로 형성되고, 가동 본체부(821)와 슬라이딩부(823, 823) 사이 즉 돌출부(822)의 외측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회피홈(826)이 형성되고, 회피홈(826)에 상면 차폐부(72)를 회피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슬라이딩부(823, 823)는, 하우징 기부(81)의 상면측에 형성된 가이드홈(814, 814)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삽입되어 통과됨과 아울러, 가이드홈(814)의 상측에 씌워진 소켓측 쉘의 상면 차폐부(72)에 의하여 이탈이 제한되어, 하우징 가동부(82)가 하우징 기부(81)의 플러그측 끝면 위를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플로팅 기구 부착 동축 커넥터(1)에서는, 플러그(11)와 소켓(12)을 상호 접속할 때에, 하우징 가동부(82)가 플로팅용 스프링체(9)를 통하여 하우징 기부(81)로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소켓측 중심 콘택트(6)와 함께 이동하기 때문에, 상호 접속 시에 플러그(11)에 대하여 전후좌우 어떤 방향(xy방향)으로 축 어긋남이 생기고 있더라도 자동적으로 축 어긋남을 조정하여, 플러그측 중심 콘택트(3)가 하우징 가동부(82)의 콘택트 삽통구멍(82lb)에 삽입됨과 아울러, 하우징 가동부(82)가 쉘 본체(41)의 소켓측 단부(端部)에 형성된 삽입용 오목부(413) 내에 삽입된다.
따라서 플러그측 중심 콘택트(3)가 삽입된 하우징 가동부(82)는, 그 외측에 고정실드벽(414)이 대략 간극 없이 끼워져서 외주면이 고정실드벽(414)으로 덮여지고, 또한 쉘 본체(4)의 끝면이 소켓측 쉘(7)의 상면 즉 상면 차폐부(72)에 접촉하기 때문에 높은 고주파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플러그(11)와 소켓(12)을 접속할 때에, 도10(a)에 나타내는 전후로 위치 어긋남이 없는 경우에 대하여, 도1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11)와 소켓(12)의 사이에 전후방향으로 위치 어긋남이 생기고 있는 경우에, 하우징 가동부(82)가 플러그측 중심 콘택트(3)로 안내되고, 플러그(11)의 쉘 본체(4)와 하우징 가동부(82)가 서로 감합하려고 하고, 요동 스프링부(93)의 탄성신축부(931)가 휘어져서 전후로 수축되어, 하우징 기부(81)에 대한 하우징 가동부(82) 및 소켓측 중심 콘택트(6)의 접촉부의 전후이동을 허용하여, 플러그측 중심 콘택트(3)와 소켓측 중심 콘택트(6)가 접속된다.
그때에 플러그측 쉘(4)의 가동 쉘(42)과 소켓측 쉘(7)은, 서로 전후좌우방향(xy축 방향)으로 축 어긋남이 생기지만, 가동 쉘(42)이 쉘 본체(41)에 대하여 요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도1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요동한 상태로 접촉되어, 플러그측 쉘과 소켓측 쉘이 안정된 접속상태에 있다.
한편 하우징 가동부(82)는, 플로팅 모양체이더라도 외주면이 고정실드벽(414)으로 덮여 있기 때문에, 실드 성능이 유지되고 있다.
또한 플러그(11)가 이탈하였을 때에는, 휘어진 탄성신축부(931)가 탄성복귀함으로써, 요동 스프링부(93)의 변형에 연동하여 하우징 가동부(82)가 하우징 기부(81) 위의 중심위치로 복귀한다.
또한 도11(a)에 나타내는 좌우방향으로 축 어긋남이 없는 경우에 대하여, 도1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방향으로 축 어긋남이 생기고 있는 경우에, 하우징 가동부(82)가 플러그측 중심 콘택트(3)로 안내되고, 플러그(11)의 쉘 본체(41)와 하우징 가동부(82)가 상호 감합하려고 하고, 요동 스프링부(93)의 각 탄성 비틀림부(932, 933, 935)가 전후 축 주위로 비틀어져서, 하우징 기부(81)에 대한 하우징 가동부(82) 및 소켓측 중심 콘택트(6)의 접속부(62)의 좌우 이동을 허용하여, 플러그측 중심 콘택트(3)와 소켓측 중심 콘택트(6)가 접속된다.
그때에 플러그측 쉘(4)의 가동 쉘(42)과 소켓측 쉘(7)은, 서로 전후좌우방향(xy축 방향)으로 축 어긋남이 생기지만, 가동 쉘(42)이 쉘 본체(41)에 대하여 요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도1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탄성접촉편(423)이 요동한 상태로 접촉하여, 플러그측 쉘(4)과 소켓측 쉘(7)이 안정된 접속상태에 있다.
한편 하우징 가동부(82)는, 플로팅된 상태이더라도 외주면이 고정실드벽(414)으로 덮여 있기 때문에, 실드 성능이 유지되고 있다.
또한 플러그(11)가 이탈하였을 때에는, 휘어진 탄성신축부(931)가 탄성복귀함으로써, 요동 스프링부(93)의 변형에 연동하여 하우징 가동부(82)가 하우징 기부(81) 위의 중심위치로 복귀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플로팅 기구 부착 동축 커넥터(1)에서는, 수지제(樹脂製)의 하우징 가동부를 소형화한 경우이더라도, 하우징 가동부가 플러그의 쉘 본체의 소켓측 끝면으로 개구된 삽입용 오목부(413)에 삽입됨으로써, 항상 하우징 가동부의 외측이 고정실드벽에 의하여 간극 없이 덮여지기 때문에, 플로팅된 상태에 있어서도 쉘과 하우징 가동부의 사이에 공기층이 생기기 어려워서, 임피던스 매칭(impedance matching)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 플로팅 기구 부착 동축 커넥터에서는, 지름방향(xy축 방향) 즉 전후좌우의 위치 어긋남에 대해서는, 전후방향의 위치 어긋남을 탄성신축부(931)에서, 좌우방향의 위치 어긋남을 탄성 비틀림부(932, 933, 935)에서 복합적으로 허용할 수 있기 때문에, 어떤 방향으로의 플로팅도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일체형 스프링체(99)를 사용하여 플로팅 고정부(92)에 소켓측 중심 콘택트(6)의 접속부(62)를 일체로 지지시킴으로써, 소켓측 중심 콘택트(6)의 중심위치가 플로팅 동작과 함께 플러그측 중심 콘택트(3)의 중심위치에 추종하여 이동하기 때문에, 커넥터 내에서의 중심축의 어긋남이 방지될 수 있고, 또한 하우징 가동부(82)가 하우징 기부(81)에 대하여 수평이동하기 때문에, 고정실드벽(414)이 상면 차폐부(72)로부터 떠오르지 않아서, 높은 고주파 성능 및 실드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하우징(8)이 지지되는 지지체를 전자부품에 내장되는 실장기판으로 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지지체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전자기기 케이스를 지지체로 하여도 좋고, 동축 케이블에 접속하여 동축 케이블을 지지체로 하여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플로팅 기구 부착 동축 커넥터(1)는, 하우징 기부(81) 위에 복수의 하우징 가동부(82)를 이동할 수 있도록 접합시킨 다연형 동축 커넥터(多連型 同軸 connector)에 적용하여도 좋다.
1 : 플로팅 기구 부착 동축 커넥터
11 : 플러그
12 : 소켓
3 : 플러그측 중심 콘택트
31 : 접촉부
32 : 단자부
4 : 플러그측 쉘
41 : 쉘 본체
411 : 절연체 수용구멍
412 : 규제커버부
413 : 삽입용 오목부
414 : 고정실드벽
42 : 가동 쉘
421 : 코킹부
422 : 슬릿
423 : 탄성접촉편
5 : 플러그측 절연체
51 : 절연체 본체부
52 : 확경통부
6 : 소켓측 중심 콘택트
61 : 기판접속 단자편
62 : 접속부
621 : 탄성협지편
622 : 접점
63 : 지지편
64 : 빠짐방지 가이드편
7 : 소켓측 쉘
71 : 외주벽부
72 : 상면 차폐부
73 : 기판접속부
8 : 하우징
81 : 하우징 기부
811 : 콘택트 수용부
812 : 지지고정부 압입부
813 : 회피홈
814 : 가이드홈
82 : 하우징 가동부
821 : 가동 본체부
822 : 돌출부
823 : 슬라이딩부
824 : 콘택트 수용부
825 : 고정부 압입구멍
826 : 회피홈
9 : 플로팅용 스프링체
91 : 지지고정부
92 : 플로팅 고정부
921 : 팽출부
93 : 요동 스프링부
931 : 탄성신축부
932 : 폴딩부
933 : 폴딩부
934 : 임피던스 조절부
935 : 폴딩부
99 : 콘택트 부착 플로팅용 스프링체(일체형 스프링체)

Claims (3)

  1. 서로 접속되는 플러그(plug)와 소켓(socket)을 구비한 동축 커넥터(同軸 connector)로서,
    상기 플러그는, 중앙에 배치된 플러그측 중심 콘택트(plug側 中心 contact)와, 상기 플러그측 중심 콘택트의 외측에 배치된 플러그측 쉘(plug側 shell)과, 상기 플러그측 중심 콘택트와 플러그측 쉘의 사이에 삽입된 플러그측 절연체(plug側 絶緣體)를 구비하고,
    상기 소켓은, 중앙에 배치된 소켓측 중심 콘택트(socket側 中心 contact)와, 실장기판(實裝基板), 전자기기 케이스 또는 동축 케이블(同軸 cable)에 고정되는 하우징 기부(housing 基部)와, 상기 하우징 기부의 플러그측 끝면 위를 상기 소켓측 중심 콘택트와 함께 지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하우징 가동부(housing 可動部)와, 상기 하우징 기부의 외측을 덮는 소켓측 쉘(socket側 shell)을 구비하고,
    상기 플러그측 중심 콘택트와 상기 소켓측 중심 콘택트가 접속됨과 아울러, 상기 플러그측 쉘과 상기 소켓측 쉘이 접속되도록 한 플로팅 기구 부착 동축 커넥터(floating 機構 附着 同軸 connector)에 있어서,
    상기 소켓측 쉘은, 상기 하우징 기부의 외주를 덮고 조인트(joint)가 없는 외주벽부(外周壁部)와, 상기 외주벽부의 상측 가장자리에 일체로 지지된 원환 모양의 상면 차폐부(上面 遮蔽部)를 구비하고,
    상기 플러그측 쉘은, 상기 플러그측 중심 콘택트 및 상기 플러그측 절연체가 지지되는 쉘 본체(shell 本體)와, 상기 쉘 본체에 요동(搖動)할 수 있도록 지지되고 상기 소켓측 쉘과 감합(嵌合)되는 가동 쉘(可動 shell)을 구비하고,
    상기 쉘 본체는, 소켓측 끝면으로 개구되고 상기 하우징 가동부가 삽입되는 삽입용 오목부를 구비하고,
    상기 삽입용 오목부를 형성하는 상기 쉘 본체의 육후부(肉厚部)가 고정실드벽(固定shield壁)을 이루고, 상기 고정실드벽의 외측에 상기 가동 쉘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팅 기구 부착 동축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은, 일단(一端)이 상기 하우징 기부에 고정되고 타단(他端)이 상기 하우징 가동부에 고정된 플로팅용 스프링체(floating用 spring體)를 구비하고,
    상기 플로팅용 스프링체는, 상기 하우징 기부에 고정되는 지지고정부(支持固定部)와, 상기 하우징 가동부에 고정되는 플로팅 고정부(floating 固定部)와, 상기 지지고정부와 상기 플로팅 고정부를 연결하고 탄성변형될 수 있는 요동 스프링부(搖動 spring部)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 가동부가 상기 플로팅용 스프링체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 기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는 플로팅 기구 부착 동축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측 중심 콘택트는, 상기 하우징 가동부와 함께 이동하는 접촉부와, 실장기판에 접속되는 기판접속 단자편(基板接續 端子片)을 구비하고, 상기 접촉부를 상기 플로팅 고정부에 일체로 지지시키고, 상기 기판접속 단자편을 상기 지지고정부에 일체로 지지시켜서, 상기 소켓측 중심 콘택트와 상기 플로팅용 스프링체가 일체화(一體化)되어 있는 플로팅 기구 부착 동축 커넥터.
KR1020200071395A 2019-07-22 2020-06-12 플로팅 기구 부착 동축 커넥터 KR1024465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134767A JP6712376B1 (ja) 2019-07-22 2019-07-22 フローティング機構付き同軸コネクタ
JPJP-P-2019-134767 2019-07-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1323A KR20210011323A (ko) 2021-02-01
KR102446566B1 true KR102446566B1 (ko) 2022-09-22

Family

ID=71103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1395A KR102446566B1 (ko) 2019-07-22 2020-06-12 플로팅 기구 부착 동축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712376B1 (ko)
KR (1) KR102446566B1 (ko)
CN (1) CN112290294B (ko)
DE (1) DE102020209209A1 (ko)
TW (1) TWI76186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80558B2 (ja) * 2020-10-12 2023-05-24 Smk株式会社 同軸コネクタのフローティング構造
JPWO2022195987A1 (ko) * 2021-03-17 2022-09-22
JP2022174604A (ja) 2021-05-11 2022-11-24 ホシデン株式会社 同軸コネクタ
CN113871939B (zh) * 2021-08-20 2024-04-16 中航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免焊垂直表贴射频接触件及其模块
KR102361325B1 (ko) * 2021-08-31 2022-02-14 주식회사 파나시아 수치정보의 기준점을 업데이트한 수치지도 제작시스템
CN114361833A (zh) * 2021-12-08 2022-04-15 北京天玛智控科技股份有限公司 插针连接装置
JP2023134094A (ja) * 2022-03-14 2023-09-27 ホシデン株式会社 コネクタモジュール
JP2024054475A (ja) 2022-10-05 2024-04-17 Smk株式会社 フローティング機構付き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67185B2 (ja) * 1998-04-08 2003-11-17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のロック機構
JPH11297435A (ja) * 1998-04-14 1999-10-29 Toshiba Corp コネクタ装置、コネクタ装置を有する回路モジュールおよび回路モジュールを搭載した電子機器
JP2003217754A (ja) * 2002-01-22 2003-07-31 Noble Musen Kk フローティング機能付き同軸コネクタ
JP4450242B2 (ja) 2007-04-10 2010-04-14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同軸コネクタ
CH704592A2 (de) * 2011-03-08 2012-09-14 Huber+Suhner Ag Hochfrequenz Koaxialverbinder.
JP5605455B1 (ja) * 2013-04-22 2014-10-15 Smk株式会社 スイッチ付き同軸コネクタ
CN203660214U (zh) * 2013-12-13 2014-06-18 陕西华达通讯技术有限公司 高速高频射频连接器
JP6183626B2 (ja) * 2015-08-04 2017-08-23 Smk株式会社 フローティング機構付き同軸コネクタ
JP6785184B2 (ja) * 2017-04-27 2020-11-18 ケル株式会社 フローティングコネクタ
KR102608751B1 (ko) * 2017-12-18 2023-12-04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커넥터 어셈블리 및 커넥터 어셈블리용 소켓 제조 방법
EP3499652B1 (en) * 2017-12-18 2021-08-18 Tyco Electronics AMP Korea Co., Ltd. Connector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1323A (ko) 2021-02-01
JP6712376B1 (ja) 2020-06-24
CN112290294A (zh) 2021-01-29
DE102020209209A1 (de) 2021-01-28
TWI761862B (zh) 2022-04-21
JP2021018948A (ja) 2021-02-15
TW202105852A (zh) 2021-02-01
CN112290294B (zh) 2022-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6566B1 (ko) 플로팅 기구 부착 동축 커넥터
JP6183626B2 (ja) フローティング機構付き同軸コネクタ
EP3196989B1 (en) Coaxial connector equipped with floating mechanism
JP4803743B2 (ja) コネクタ
US6241541B1 (en) Switch-equipped coaxial connector
KR101880389B1 (ko) 암단자 및 암단자의 제조 방법
JP6408106B1 (ja)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KR20050062381A (ko) 동축 전기 커넥터
TW200529521A (en) Coaxial electrical connector
JP2019125584A (ja)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CN110571551B (zh) 用于电路板的电插接连接器
JP3358999B2 (ja) 同軸コネクタ
JP6535830B1 (ja)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US11626676B2 (en) Connec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WO2024024452A1 (ja) コネクタ
JP7152207B2 (ja) 同軸線用の端子ユニット、及び、同軸線用の端子ユニットの製造方法
JP6535831B2 (ja)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JP2024054475A (ja) フローティング機構付き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