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5614B1 - 음료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음료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5614B1
KR102445614B1 KR1020207031194A KR20207031194A KR102445614B1 KR 102445614 B1 KR102445614 B1 KR 102445614B1 KR 1020207031194 A KR1020207031194 A KR 1020207031194A KR 20207031194 A KR20207031194 A KR 20207031194A KR 102445614 B1 KR102445614 B1 KR 1024456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opening
beverage supply
unit
beve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11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6475A (ko
Inventor
유키 니노미야
유우키 도쿠나가
류우이치 나가시마
유키히데 모치다
겐야 나가요시
Original Assignee
후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1364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64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56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56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10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the brewing vessel, i.e. water heating container, is placed above or in the upper part of the beverage containers i.e. brewing vessel; Drip coffee-makers with the water heating container in a higher position than the brewing vess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 Confectionery (AREA)
  • Tea And Coffee (AREA)

Abstract

음료 공급부(22)에 배치된 용기(C)에 대해, 음료 생성부(11)에서 생성한 음료를 공급하는 음료 공급 장치로서, 음료 공급부(22)의 입구(22d)를 개폐하는 개폐 도어(23)와, 용기(C)의 정보를 취득하는 정보 취득 수단(25, 30)과, 정보 취득 수단으로 취득한 정보로부터 용기(C)의 종류를 판정하는 용기 판정 처리부(30a)를 구비하고, 개폐 도어(23)는, 광의 투과를 저감시키는 가공이 실시되어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음료 공급 장치
본 발명은 음료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예컨대 편의점 등의 점포에 설치되는 커피 머신 등의 음료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예컨대 편의점 등의 점포에는, 커피 머신 등의 음료 공급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음료 공급 장치는, 예컨대 커피 원두 갈기 및 드리핑의 추출 처리 등의 처리를 행하여 음료를 생성하고, 용기인 컵에 대해 음료를 공급하는 것이다.
그러한 음료 공급 장치에서는, 배치된 컵을 촬상하는 카메라 등의 촬상부를 구비하고, 이러한 촬상부로 촬상함으로써 취득된 화상 정보와, 메모리에 기억된 용기에 관한 정보로부터 용기의 종류를 판정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17-159941호 공보
그런데, 상기 음료 공급 장치는 점포에 설치되는 것이기 때문에, 촬상부로 컵을 촬상함으로써 화상 정보를 취득할 때에, 점포의 조명 등이 외란광으로서 화상 정보의 취득에 영향을 주어 화상 정보가 불충분한 것이 될 우려가 있고, 이에 의해 용기의 종류의 판정을 잘못해 버리는, 오판정이 발생할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정을 감안하여, 용기의 종류의 판정의 정밀도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음료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음료 공급 장치는, 음료 공급부에 배치된 용기에 대해, 음료 생성부에서 생성한 음료를 공급하는 음료 공급 장치로서, 상기 음료 공급부의 입구를 개폐하는 개폐 도어와, 상기 용기의 정보를 취득하는 정보 취득 수단과, 상기 정보 취득 수단으로 취득한 정보로부터 상기 용기의 종류를 판정하는 용기 판정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개폐 도어는, 광의 투과를 저감시키는 가공이 실시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음료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보 취득 수단은 상기 용기의 화상 정보를 취득하는 것이고, 상기 개폐 도어에 의해 상기 입구가 폐쇄된 상기 음료 공급부의 내부를 조사(照射)하는 광원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음료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폐 도어에 의한 상기 입구의 개폐를 검지하는 도어 개폐 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도어 개폐 검지부에 의해 상기 입구가 폐쇄된 것이 검지된 것을 조건으로 하여, 상기 광원 부재가 조사됨과 아울러 상기 용기 판정 수단이 상기 용기의 종류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음료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음료 공급부에 상기 용기가 배치된 것을 검출하는 용기 검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용기 검출부가 상기 용기의 배치를 검출한 것을 조건으로 하여, 상기 광원 부재가 조사됨과 아울러 상기 용기 판정 수단이 상기 용기의 종류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음료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보 취득 수단은, 상기 광원 부재에 의한 조사 방향 이외의 개소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음료 공급부의 입구를 개폐하는 개폐 도어와, 용기의 정보를 취득하는 정보 취득 수단과, 정보 취득 수단으로 취득한 정보로부터 상기 용기의 종류를 판정하는 용기 판정 수단을 구비하고, 개폐 도어가, 광의 투과를 저감시키는 가공이 실시되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용기의 화상 정보를 취득할 때에, 외부 광원의 영향을 받는 것을 억제하여 오판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용기의 종류의 판정의 정밀도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인 음료 공급 장치의 외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인 음료 공급 장치의 제어계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개폐 도어가 폐쇄가 된 상태에서의 주요부의 횡단면도이다.
도 4의 (a) 및 (b)는 촬상부와 용기의 위치 관계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의 (c) 및 (d)는 각각 도 4의 (a) 및 (b)의 커버 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촬상부와 광원 유닛의 위치 관계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제어부가 실시하는 음료 공급 제어 처리의 처리 내용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도 6에서의 용기의 종류의 판정 처리의 처리 내용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인 음료 공급 장치의 변형예의 주요부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이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음료 공급 장치의 적합한 실시형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형태인 음료 공급 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도 1은 외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제어계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여기서 예시하는 음료 공급 장치는, 예컨대 편의점 등의 점포에 설치되는 커피 머신이고, 예컨대 커피 원두 갈기 및 드리핑의 추출 처리를 행하여, 예컨대 컵 등의 용기(C)에 커피 등의 음료를 공급하는 것이다. 이러한 음료 공급 장치는, 장치 본체(1)를 구비하고 있다.
장치 본체(1)는, 본체 캐비닛(10) 및 전면(前面) 도어(20)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 캐비닛(10)은, 전면이 개구된 대략 직방형의 형태를 이루는 것이다. 이 본체 캐비닛(10)의 내부에는, 음료(예컨대 커피)를 생성하는 음료 생성부(11)가 설치되어 있다.
전면 도어(20)는, 본체 캐비닛(10)의 전면의 개구를 폐색하는 데 충분한 크기를 갖는 도어체이다. 이 전면 도어(20)는, 본체 캐비닛(10)의 전방측 한쪽 가장자리부에 있어서,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도시하지 않은 축부의 중심축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본체 캐비닛(10)의 전면의 개구를 개폐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전면 도어(20)는, 전면이 접객면을 구성하고 있고, 표시부(21), 음료 공급부(22), 개폐 도어(23)가 설치되어 있다. 표시부(21)는, 예컨대 액정 터치 패널로 구성되어 있고, 각종 정보를 표시하며, 터치 조작 등의 입력 조작이 가능한 입력부(21a)를 갖고 있다.
음료 공급부(22)는, 표시부(21)의 하방측에 설치되어 있고, 노즐(22a)과 스테이지(22b)를 갖고 있다. 노즐(22a)은, 음료 생성부(11)에서 생성된 음료를 하방을 향해 토출하는 것이다. 스테이지(22b)는, 노즐(22a)의 하방 영역에 설치되어 있다. 이 스테이지(22b)는, 용기(C)를 배치시키는 것이고, 원호형의 스토퍼(22c)가 설치되어 있다. 스토퍼(22c)는, 노즐(22a)로부터 토출된 음료를 양호하게 수용할 수 있고, 또한 후술하는 촬상부(25)가 양호하게 화상 정보를 판독할 수 있는 소정의 정보 취득 가능 영역(S)을 구성하는 것이다.
개폐 도어(23)는, 예컨대 수지 등의 재료에 광의 투과를 저감시키는 가공이 실시되어 구성되어 있고, 음료 공급부(22)의 입구(22d)를 덮는 데 충분한 크기를 갖고 있다. 여기서 광의 투과성을 저감시키는 가공으로서는, 수지 등으로 형성된 것에 착색하거나, 엠보스 가공을 행하거나 하는 것을 들 수 있다. 또는 개폐 도어(23)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는 들여다보이지만,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는 반사되어 보이지 않는, 이른바 매직 미러와 같은 가공이 실시된 것이어도 좋다.
그러한 개폐 도어(23)는, 좌측 단부가 전면 도어(20)에 축 지지되어 있고, 전후 방향을 따라 요동 가능한 것이다. 즉, 개폐 도어(23)는, 음료 공급부(22)에 근접 이격되는 양태로 전후 방향을 따라 요동 가능하고, 음료 공급부(22)에 근접하는 양태로 후방으로 요동하는 경우에 음료 공급부(22)의 입구(22d)를 폐쇄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음료 공급부(22)로부터 이격되는 양태로 전방으로 요동하는 경우에 음료 공급부(22)의 입구(22d)를 개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개폐 도어(23)는, 가이드편(23b)을 갖고 있다. 가이드편(23b)은, 외측을 향해 돌출되는 양태로 만곡되는 도어 본체(23a)의 내면의 하단부에 있어서, 상기 도어 본체(23a)의 형상을 따르도록 돌출되는 양태로 설치되어 있다. 즉, 가이드편(23b)의 선단 부분은 만곡되어 있다. 이러한 가이드편(23b)은, 스테이지(22b)에 용기(C)가 배치된 상태에서 개폐 도어(23)가 후방(폐쇄되는 방향)으로 요동하는 경우에, 용기(C)의 바닥부에 접촉하여 상기 용기(C)를 정보 취득 가능 영역(S)으로 안내하는 것이다. 또한 가이드편(23b)은, 개폐 도어(23)가 음료 공급부(22)의 입구(22d)를 폐쇄하는 경우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22c)와의 사이에서 용기(C)의 바닥부를 끼워 넣는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료 공급 장치는, 용기 검출부(24), 촬상부(25), 도어 개폐 검지부(26), 도어 개폐 로크 기구(27), 커버 기구(28), 광원 유닛(29) 및 제어부(30)를 구비하고 있다.
용기 검출부(24)는, 예컨대 광 센서 등에 의해 구성되는 것으로, 음료 공급부(22)에서의 용기(C)의 배치의 유무, 즉 스테이지(22b)에 용기(C)가 배치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것이다. 이러한 용기 검출부(24)는, 용기(C)의 유무의 검출 결과를 제어부(30)에 제공하는 것이다.
촬상부(25)는, 음료 공급부(22)에 설치되어 있고, 예컨대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이미지 센서 등을 탑재하고 있다. 이 촬상부(25)는, 음료 공급부(22)의 벽부에 형성된 촬상용 개구(22e)를 통해 스테이지(22b)에 배치된 용기(C)를 촬상하여 상기 용기(C)의 화상 정보를 생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촬상부(25)는, 생성한 화상 정보를 제어부(30)에 제공하는 것이다.
이 촬상용 개구(22e)는, 도 4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이지(22b)에 배치된 용기(C)의 상면 개구(C1)의 높이 레벨보다 하방에 설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촬상부(25)도, 스테이지(22b)에 배치된 용기(C)의 상면 개구(C1)의 높이 레벨보다 낮은 개소에 설치되어 있다.
도어 개폐 검지부(26)는, 음료 공급부(22)의 입구(22d) 근방에 설치되어 있고, 예컨대 광 센서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이 도어 개폐 검지부(26)는, 개폐 도어(23)에 의한 입구(22d)의 개폐를 검지하는 것이고, 보다 상세하게는, 입구(22d)가 폐쇄, 즉 개폐 도어(23)가 폐쇄가 되는지의 여부를 검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도어 개폐 검지부(26)는, 개폐 도어(23)가 폐쇄가 되는지의 여부의 검지 결과를 제어부(30)에 제공하는 것이다.
도어 개폐 로크 기구(27)는, 음료 공급부(22)의 입구(22d) 근방에 설치되어 있다. 이 도어 개폐 로크 기구(27)는, 입구(22d)를 폐쇄하는 개폐 도어(23)가 폐쇄가 되는 상태를 유지시켜 상기 개폐 도어(23)가 전방을 향해 요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로크 상태와, 상기 개폐 도어(23)가 전방을 향해 요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해제 상태 사이에서 택일적으로 전환 가능한 것이다. 이러한 도어 개폐 로크 기구(27)의 전환은, 제어부(30)로부터 부여되는 지령에 따라 행해진다.
커버 기구(28)는, 커버 본체부(28a)와 액추에이터(28b)를 갖고 있다. 커버 본체부(28a)는, 도 4의 (c) 및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방에서 본 경우에 コ자 형상을 이루는 상자 형상체이고, 상벽부(281)와 하벽부(282) 사이에 촬상부(25)를 끼워 넣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커버 본체부(28a)는, 도 4 중의 회전축(L)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커버 본체부(28a)는, 도시하지 않은 커버 스프링에 압박되어 있고, 평상 상태에서는, 도 4의 (a) 및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상부(25)의 촬상면(25a)을 피복하고 있다. 액추에이터(28b)는, 예컨대 솔레노이드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구동하는 경우에, 커버 스프링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커버 본체부(28a)를 회전시켜, 도 4의 (b) 및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상부(25)의 촬상면(25a)을 노출시키는 것이다.
광원 유닛(29)은, 음료 공급부(22)에 설치되어 있고, 광원 부재인 LED(29a)를 내장하고 있다. 이 광원 유닛(29)은, LED(29a)가 점등함으로써 음료 공급부(22)의 벽부에 형성된 광원용 개구(22f)를 통해 상기 음료 공급부(22)의 내부를 조사하는 것이다.
여기서 광원 유닛(29)과 촬상부(25)의 위치 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상부(25)는, 광원 유닛(29)을 구성하는 LED(29a)의 조사 방향(m) 이외의 개소에 배치되어 있다.
제어부(30)는, 전술한 음료 생성부(11), 표시부(21), 용기 검출부(24), 촬상부(25), 도어 개폐 검지부(26), 도어 개폐 로크 기구(27), 커버 기구(28) 및 광원 유닛(29)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마찬가지로 전기적으로 접속된 기억부(31)에 기억된 프로그램이나 데이터에 따라, 이들 각부의 동작을 통괄적으로 제어하는 것이다. 이 제어부(30)는, 후술하는 용기의 종류의 판정 처리에서 용기(C)의 종류의 판정을 행하는 용기 판정 처리부(용기 판정 수단)(30a)를 갖고 있다.
한편, 제어부(30)는, 예컨대, CPU(Central Processing Unit) 등의 처리 장치에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것, 즉,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해도 좋고, IC(Integrated Circuit) 등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해도 좋으며,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를 병용하여 실현해도 좋다.
또한 기억부(31)는, 촬상부(25)에 의해 생성된 화상 정보와, 용기(C)의 종류의 관계를 저장한 대응 테이블(31a)을 기억하고 있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제어부(30)가 실시하는 음료 공급 제어 처리의 처리 내용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러한 음료 공급 제어 처리의 처리 내용을 설명하면서 음료 공급 장치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이 음료 공급 제어 처리에 있어서 제어부(30)는, 용기 검출부(24)가, 용기(C)가 음료 공급부(22)에 있다고 검출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10). 즉, 용기 검출부(24)는, 용기(C)가 스테이지(22b)에 배치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출한다. 용기(C)가 있다고 검출된 경우(단계 S110, '예'), 제어부(30)는, 도어 개폐 검지부(26)의 검지 결과를 기초로, 개폐 도어(23)가 폐쇄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20). 한편, 용기(C)가 있다고 검출되지 않는 경우(단계 S110, '아니오'), 제어부(30)는, 단계 S110의 판단 처리를 반복한다.
제어부(30)는, 상기 단계 S120에 있어서 개폐 도어(23)가 폐쇄가 아닌 경우(단계 S120, '아니오'), 단계 S120의 판단 처리를 반복한다. 한편, 제어부(30)는, 개폐 도어(23)가 폐쇄인 경우(단계 S120, '예')에는, 도어 개폐 로크 기구(27)를 이용하여 개폐 도어(23)를 폐쇄 상태로 로크하고(단계 S130), 용기의 종류의 판정 처리를 실시한다(단계 S140).
도 7은 도 6에서의 용기의 종류의 판정 처리의 처리 내용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 용기의 종류의 판정 처리에 있어서 제어부(30)는, 광원 유닛(29)을 구성하는 LED(29a)를 점등시키고, 커버 기구(28)의 액추에이터(28b)를 구동시킨다(단계 S141, 단계 S142). 이에 의해, 음료 공급부(22)의 내부는 LED(29a)에 조사되고, 커버 본체부(28a)가 커버 스프링의 압박력에 대항해서 회전하여 촬상부(25)의 촬상면(25a)을 노출시킨다. 즉, 촬상부(25)는, 촬상용 개구(22e)를 통한 촬상이 가능해진다. 제어부(30)는, 촬상부(25)를 통해 판독되어 생성된 화상 정보를 취득한다(단계 S143).
그리고 제어부(30)는, 용기 판정 처리부(30a)를 통해 기억부(31)로부터 대응 테이블(31a)을 판독하고(단계 S144), 화상 정보와 대응 테이블(31a)에 의해 용기(C)의 종류를 판정한다(단계 S145). 보다 상세하게는, 화상 정보로부터 수치화한 수치화 정보에서의 용기(C)의 형상 등과 대응 테이블(31a)에서의 수치화 정보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일치한 용기(C)의 종류를 판정한다.
이와 같이 하여 용기(C)의 종류를 판정한 제어부(30)는, 액추에이터(28b)를 구동 정지로 시키고, LED(29a)를 소등시킨다(단계 S146, 단계 S147). 이에 의해, 커버 본체부(28a)는 커버 스프링의 압박력만이 작용해서 회전하여 촬상부(25)의 촬상면(25a)을 피복하고, 음료 공급부(22)의 조사가 종료된다. 그리고, 제어부(30)는, 그 후에 순서를 리턴시켜 이번의 용기의 종류의 판정 처리를 종료한다.
그와 같이 하여 용기의 종류의 판정 처리를 실시한 제어부(30)는, 표시부(21)에 대해, 전술한 단계 S140에서 판정한 종류의 용기(C)에 대응한 음료, 즉 공급해야 할 음료의 표시와, 확인의 문언이 표시된 입력부(21a)의 터치를 안내하는 안내 표시를 행한다(단계 S150).
그 후, 제어부(30)는, 입력부(21a)가 터치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60). 입력부(21a)가 터치되지 않는 경우(단계 S160, '아니오'), 제어부(30)는, 단계 S160의 판단 처리를 반복한다. 한편, 입력부(21a)가 터치된 경우(단계 S160, '예'), 제어부(30)는, 음료 생성부(11)에 대해, 공급하는 음료의 생성 및 공급의 처리를 행하게 한다(단계 S170). 그 후, 제어부(30)는, 음료 생성부(11)에 의한 음료 공급이 종료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80). 음료 공급이 종료되어 있지 않은 경우(단계 S180, '아니오')에는, 제어부(30)는, 단계 S170으로 되돌아가서 음료의 생성 및 공급의 처리를 속행한다. 한편, 음료 공급이 종료된 경우(단계 S180, '예')에는, 제어부(30)는, 도어 개폐 로크 기구(27)에 의한 개폐 도어(23)의 폐쇄 상태의 로크를 해제하고(단계 S190), 그 후에 순서를 리턴하여 이번의 음료 공급 제어 처리를 종료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음료 공급 장치에 있어서는, 촬상부(25) 및 제어부(30)가 용기(C)의 화상 정보를 취득하는 정보 취득 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음료 공급 장치에 의하면, 촬상부(25)가 스테이지(22b)에 배치된 용기(C)의 상면 개구(C1)의 높이 레벨보다 낮은 개소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노즐(22a)로부터 용기(C)에 토출되는 음료로부터 발생하는 김 등의 영향을 받을 우려가 없고, 촬상부(25)에 의한 촬상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
상기 음료 공급 장치에 의하면, 커버 기구(28)가, 평상 상태에서는 촬상부(25)의 촬상면(25a)을 피복하는 한편, 촬상부(25)가 촬상하는 경우에 상기 촬상면(25a)을 노출시키기 때문에, 촬상면(25a)이 음료 등에 의해 더러워져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이에 의해서도 촬상부(25)에 의한 촬상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
상기 음료 공급 장치에 의하면, 음료 공급구의 입구(22d)를 개폐하는 개폐 도어(23)가 광의 투과를 저감시키는 가공이 실시되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촬상부(25)로 촬상하여 용기(C)의 화상 정보를 취득할 때에, 점포의 조명 등의 외부 광원의 영향을 받는 것을 억제하여 오판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용기(C)의 종류의 판정의 정밀도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음료 공급 장치에 의하면, 개폐 도어(23)가 폐쇄가 되어 음료 공급부(22)의 입구(22d)가 폐쇄된 상태에서 LED(29a)가 점등되어 음료 공급부(22)의 내부를 조사하기 때문에, 촬상부(25)에 의해 양호한 화상 정보의 취득이 가능해지고, 오판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용기(C)의 종류의 판정의 정밀도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음료 공급 장치에 의하면, 촬상부(25)가 광원 유닛(29)을 구성하는 LED(29a)의 조사 방향(m) 이외의 개소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용기(C)가 투명한 재질에 의해 형성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상기 용기(C)에 의해 그림자가 되는 부분을 촬상할 수 있는 한편, 용기(C)가 투명한 재질에 의해 형성되어 있을 때에는, 상기 용기(C)에 의해 그림자가 되는 부분을 촬상할 수 없다. 즉, 촬상하는 범위에서의 그림자의 유무로 용기(C)의 종류를 판정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판정의 정밀도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음료 공급 장치에 의하면, 개폐 도어(23)의 가이드편(23b)이, 개폐 도어(23)가 후방으로 요동하는 경우에, 용기(C)의 바닥부에 접촉하여 상기 용기(C)를 정보 취득 가능 영역(S)으로 안내하고, 또한 개폐 도어(23)가 음료 공급부(22)의 입구(22d)를 폐쇄할 때에 스토퍼(22c)와의 사이에서 용기(C)의 바닥부를 끼워 넣어 정보 취득 가능 영역(S)에 배치시키기 때문에, 양호한 화상 정보의 취득이 가능해지고, 오판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용기(C)의 종류의 판정의 정밀도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음료 공급 장치에 의하면, 음료 생성부(11)에 의한 음료의 공급이 행해지고 있는 동안에는, 개폐 도어(23)를 로크하고 있기 때문에, 이용자가 화상 등 입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여러 가지 변경을 행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용기(C)의 화상 정보를 취득하여 용기(C)의 종류의 판정을 행하고 있었으나, 필요에 따라, 각종 센서 등을 통해 용기의 높이나 최대폭 등의 크기 정보나 재질 정보, 온도 정보, 색 정보 등의 정보를 취득하여 용기의 종류의 판정을 행해도 좋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촬상부(25)가 촬상용 개구(22e)를 통해 용기(C)를 촬상하고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상용 개구(22e)의 상부에 차양(40)을 설치해도 좋다. 이에 의하면, 용기(C)에 음료를 공급할 때에 음료가 비산함으로써 촬상부(25)의 촬상면(25a)이 더러워져 버리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는 촬상부(25)의 촬상면(25a)을 정기적으로 닦는 와이퍼와 같은 부재를 설치해도 좋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촬상부(25)로 용기(C)를 촬상하고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경면에 비춰지는 용기를 촬상부로 촬상함으로써 상기 용기의 화상 정보를 취득해도 좋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가이드편(23b)이, 개폐 도어(23)가 음료 공급부(22)의 입구(22d)를 폐쇄하는 경우에, 스토퍼(22c)와의 사이에서 용기(C)의 바닥부를 끼워 넣어 정보 취득 가능 영역(S)에 배치시키고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가이드편이, 스토퍼와 용기를 끼워 넣을 필요는 없고, 개폐 도어가 폐쇄되는 방향으로 요동하는 경우에, 용기의 바닥부에 접촉하여 상기 용기를 정보 취득 가능 영역으로 안내하는 것만으로도 좋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제어부(30)가, 도어 개폐 검지부(26)를 통해 개폐 도어(23)가 폐쇄인 것이 검지된 경우에, 용기의 종류의 판정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LED(29a)를 점등시키면서 용기 판정 처리부(30a)를 통해 용기(C)의 종류를 판정하고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용기 검출부(24)가 음료 공급부(22)에 용기(C)가 배치된 것을 검출한 것을 조건으로 하여, LED(29a)를 점등시켜 조사하고 용기 판정 처리부(30a)를 통해 용기(C)의 종류를 판정해도 좋다.
1: 장치 본체 10: 본체 캐비닛
11: 음료 생성부 20: 전면 도어
21: 표시부 21a: 입력부
22: 음료 공급부 22a: 노즐
22b: 스테이지 22c: 스토퍼
22d: 입구 23: 개폐 도어
24: 용기 검출부 25: 촬상부
26: 도어 개폐 검지부 27: 도어 개폐 로크 기구
28: 커버 기구 28a: 커버 본체부
28b: 액추에이터 29: 광원 유닛
29a: LED 30: 제어부
30a: 용기 판정 처리부 31: 기억부
31a: 대응 테이블 C: 용기
S: 정보 취득 가능 영역

Claims (5)

  1. 음료 공급부에 배치된 용기에 대해, 음료 생성부에서 생성한 음료를 공급하는 음료 공급 장치로서,
    상기 음료 공급부의 입구를 개폐하는 개폐 도어와,
    상기 용기의 정보를 취득하는 정보 취득 수단과,
    상기 정보 취득 수단으로 취득한 정보로부터 상기 용기의 종류를 판정하는 용기 판정 수단과,
    상기 개폐 도어에 의해 상기 입구가 폐쇄된 상기 음료 공급부의 내부를 조사(照射)하는 광원 부재와,
    상기 개폐 도어에 의한 상기 입구의 개폐를 검지하는 도어 개폐 검지부와,
    상기 음료 공급부에 상기 용기가 배치된 것을 검출하는 용기 검출부
    를 구비하고,
    상기 개폐 도어는, 광의 투과를 저감시키는 가공이 실시되어 구성되며,
    상기 정보 취득 수단은 상기 용기의 화상 정보를 취득하는 것이고,
    상기 정보 취득 수단은 상기 광원 부재에 의한 조사 방향 이외의 개소에 배치되며,
    상기 도어 개폐 검지부에 의해 상기 입구가 폐쇄된 것이 검지된 것을 조건으로 하여, 상기 광원 부재가 조사됨과 아울러 상기 용기 판정 수단이 상기 용기의 종류를 판정하는 것, 또는 상기 용기 검출부가 상기 용기의 배치를 검출한 것을 조건으로 하여, 상기 광원 부재가 조사됨과 아울러 상기 용기 판정 수단이 상기 용기의 종류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공급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07031194A 2018-05-07 2019-04-10 음료 공급 장치 KR1024456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089415A JP2019195379A (ja) 2018-05-07 2018-05-07 飲料供給装置
JPJP-P-2018-089415 2018-05-07
PCT/JP2019/015613 WO2019216095A1 (ja) 2018-05-07 2019-04-10 飲料供給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6475A KR20200136475A (ko) 2020-12-07
KR102445614B1 true KR102445614B1 (ko) 2022-09-20

Family

ID=68467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1194A KR102445614B1 (ko) 2018-05-07 2019-04-10 음료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19195379A (ko)
KR (1) KR102445614B1 (ko)
CN (1) CN112074215A (ko)
WO (1) WO201921609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409123B2 (ja) * 2020-02-04 2024-01-09 富士電機株式会社 飲料供給装置
JP7424398B2 (ja) 2022-01-17 2024-01-30 富士電機株式会社 飲料供給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90882A (ja) * 2012-03-12 2013-09-26 Fuji Electric Co Ltd 飲料ディスペンサ
JP2017159941A (ja) * 2016-03-10 2017-09-1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飲料ディスペンサ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24564B2 (ja) * 1990-07-30 1997-06-25 シャープ株式会社 加熱調理器
JPH0991528A (ja) * 1995-09-21 1997-04-04 Kubota Corp カップ式自動販売機のホット飲料供給装置
JP2000315280A (ja) * 1999-04-30 2000-11-14 Toshiba Electric Appliance Co Ltd カップ式飲料自動販売機
JP5359635B2 (ja) * 2008-12-11 2013-12-04 富士電機株式会社 賞味期限読取装置
CN103124877B (zh) * 2010-11-22 2015-11-25 株式会社艾诺阿 烤箱
WO2013125186A1 (ja) * 2012-02-20 2013-08-2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冷蔵庫
JP2015535981A (ja) * 2012-09-20 2015-12-17 コスタ リミテッド 飲料機
EP2986552A4 (en) * 2013-04-17 2016-12-28 Nestec Sa DRINKING PREPARATION MACHINE WHICH CAN DETERMINE A VOLUME OF BEVERAGE OF RECEPTACLES AND METHOD THEREOF
US10595668B2 (en) * 2016-01-28 2020-03-24 Keurig Green Mountain, Inc.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arranged to share capsule image and machine operation data
CN107969918A (zh) * 2016-10-25 2018-05-01 富士电机株式会社 饮料供给装置
CN107324263A (zh) * 2017-06-23 2017-11-07 深圳启航电子厂 饮水机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90882A (ja) * 2012-03-12 2013-09-26 Fuji Electric Co Ltd 飲料ディスペンサ
JP2017159941A (ja) * 2016-03-10 2017-09-1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飲料ディスペン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216095A1 (ja) 2019-11-14
KR20200136475A (ko) 2020-12-07
CN112074215A (zh) 2020-12-11
JP2019195379A (ja) 2019-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02379B2 (ja) 飲料供給装置
KR102445614B1 (ko) 음료 공급 장치
KR102519518B1 (ko) 브루잉 모듈, 캡슐 인식 모듈, 및 음료 준비 기계
JP6705566B2 (ja) 飲料供給装置
KR20200136031A (ko) 음료 공급 장치
JP6628337B2 (ja) 遊技機
CN105459591B (zh) 介质检测机构、介质检测方法、印刷装置
KR100873385B1 (ko) 생체인증장치 및 현금자동거래장치
JP2019195380A (ja) 飲料供給装置
JP2019196185A (ja) 飲料供給装置
WO2019216103A1 (ja) 飲料供給装置
JP6820150B2 (ja) 読取装置
JP7192242B2 (ja) 飲料供給装置
JP2020152390A (ja) 飲料供給装置
JP7380295B2 (ja) 飲料供給装置
JP2019195362A (ja) 飲料供給装置
CN109864583B (zh) 饮料供给装置
JP2019195375A (ja) 飲料供給装置
JP7205124B2 (ja) 飲料供給装置及びセンサ異常検出方法
WO2021157227A1 (ja) 飲料供給装置
JP7268361B2 (ja) 飲料供給装置
JP5342469B2 (ja) パチンコ遊技機
KR102543326B1 (ko) 음료 공급 장치 및 음료 공급 방법
JP2019207606A (ja) 飲料供給装置
KR101309792B1 (ko) 스캔 동작 표시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