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4649B1 - 의류 - Google Patents

의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4649B1
KR102444649B1 KR1020187022716A KR20187022716A KR102444649B1 KR 102444649 B1 KR102444649 B1 KR 102444649B1 KR 1020187022716 A KR1020187022716 A KR 1020187022716A KR 20187022716 A KR20187022716 A KR 20187022716A KR 102444649 B1 KR102444649 B1 KR 1024446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tab
closing part
fastener
sli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2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7318A (ko
Inventor
노부토시 후지하라
야스하루 무라카미
에미코 이시카와
Original Assignee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273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73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46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46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2Overalls, e.g. bodysuits or bib overall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2Jacke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FGARMENT FASTENINGS; SUSPENDERS
    • A41F1/00Faste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A44B19/24Details
    • A44B19/26Sliders
    • A44B19/28Sliders constructed to be removable from at least one stringer ; Sliders with movable parts to permit releasing of the slider in the event of jamming or obstruction
    • A44B19/285Tools for opening or closing slide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A44B19/42Making by processes not fully provided for in one other class, e.g. B21D53/50, B21F45/18, B22D17/16, B29D5/00
    • A44B19/62Assembling sliders in position on stringer tapes
    • A44B19/64Slider holders for assemblage of slide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22Closures using slide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3Closures using straps or ti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44Donning facili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Slide Fasteners (AREA)
  • Crystals, And After-Treatments Of Cryst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의 시에 착용자의 손에 부착된 오염을 의류 내부와 신체로의 진입을 억제하면서 재빠르게 탈의할 수 있는 의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의류는 앞 몸판에 착탈을 위한 개폐부(5)를 갖는 의류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5)의 외측의 좌우의 임의의 위치에 탭(8a, 8b, 9a, 9b)을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의류로서, 상기 개폐부(5)의 상단에 상기 탭의 상단부를 상기 개폐부(5)에 맞춰서 부착하고, 상기 개폐부(5)에 파스너를 부착하기까지의 거리(11a)를 상기 개폐부(5)의 상단(11)으로부터 적어도 1㎝ 이상 형성하고 있는 의류이다.

Description

의류
본 발명은 앞면에 개폐부를 갖는 의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 종류의 앞면에 개폐부를 갖는 의류 중에는 개폐부에 파스너를 설치하여 파스너의 슬라이더를 잡고, 슬라이더를 하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개폐부를 개구하여 탈의하는 의류가 알려져 있다.
한편, 종래 기술로서 후드부의 앞면에 있는 후드 개구부의 하측 가장자리부로부터 앞면측의 요부까지 형성된 개폐 가능한 앞면 개폐부가 형성되어 있는 방호복(특허문헌 1 참조)이나, 네크부로부터 요부에 걸쳐 경사를 형성하여 우측 반분을 우방향으로 당겨 슬라이더부를 하방으로 이동시키는 의류(특허문헌 2 참조)나, 헤드부를 덮는 부분으로부터 요부를 덮는 부분까지 비스듬한 방향으로 파스너가 설치되고, 내부에 부착된 손잡이를 갖고 착탈되는 무진의(無塵衣: dust free garments)(특허문헌 3 참조)가 제안되어 있다.
일본특허 제5560066호 공보 일본특허 제5409249호 공보 일본특허 제3912060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과 같은 방호복은 탈의 시에 파스너의 슬라이더를 잡아 하방으로 이동시킬 때에 슬라이더 부분이 잡히지 않아 탈의에 시간이 걸려 긴급 시에 바로 탈의할 수 없다는 과제가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와 같은 슬라이더에 록 기구를 가질 경우, 오염된 손으로 슬라이더에 닿기 때문에 신체로의 오염 부착의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과제가 있다.
또한, 특허문헌 3과 같이 내부에 부착된 손잡이에 의해 개구하여 착탈할 경우에는 개구부의 내측에 닿을 필요가 있기 때문에 손에 부착된 오염이 의복 내에 들어 올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과제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종래기술의 과제를 해소하고자 하는 것이며, 탈의 시에 착용자의 손에 부착된 오염의 의류 내부와 신체로의 진입을 억제하면서 재빠르게 탈의할 수 있는 의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다음의 구성을 채용한다.
본 발명의 의류는 앞 몸판에 착탈을 위한 개폐부를 갖는 의류로서, 상기 개폐부의 외측 좌우의 임의의 위치에 탭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이다.
본 발명의 의류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개폐부의 상단에 상기 탭의 상단부를 함께 부착하고, 상기 개폐부에 파스너를 부착할 때까지의 거리가 상기 개폐부의 상단으로부터 적어도 1㎝ 이상 열려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의류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파스너가 선 파스너이며, 록 기구가 없는 슬라이더가 부착된 파스너이다.
본 발명의 의류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탭은 상기 개폐부의 상단 좌우와 앞 몸판의 개폐부의 좌우의 임의의 위치에 2개소 이상 부착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의류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탭은 개폐부를 사이에 두고 좌우로 설치되어 있고, 좌우의 탭의 크기는 비대칭이며, 작은 쪽의 탭이 큰 쪽의 탭 내측에 배치되는 것이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탈의 시에 착용자의 손에 부착된 오염이 파스너 개구부로부터 의류 내측과 신체로의 부착을 억제하면서 재빠르게 탈의할 수 있는 의류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의류의 일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의류의 개폐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의류의 개폐부 상단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의류의 다른 일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의류는 앞 몸판에 착탈을 위한 개폐부를 갖는 의류로서, 상기 개폐부의 외측 좌우의 임의의 위치에 탭이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의류이다.
본 발명의 의류는 착탈을 위한 개폐부를 가지며, 그 개폐부는 앞 몸판의 중심을 통과하여 허리 부분의 임의의 위치까지 도달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한 실시형태이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의류란 상의와 하의가 일체로 형성된 오버롤형의 의류나, 점퍼나 우비 등 의류의 앞면에 개폐부를 갖는 의류를 가리킨다. 의류로서는 구체적으로는 방오용의 방호복이나 화학 방호용의 방호복 등을 들 수 있다.
의류에 사용되는 포백은 직물, 편물 및 부직포 등 어느 것이어도 좋고, 또한 이들을 구성하는 섬유 소재로서는 폴리에스테르나 폴리에틸렌 등의 합성 섬유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개폐부의 상단이란 개폐부의 상단에 부착된 제 1 탭의 상단부를 가리킨다.
이어서, 본 발명의 의류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의류의 일실시형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개폐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개폐부의 상단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의류의 다른 일실시형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의류의 일실시형태는 도 1에서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상의(1)와 하의(2)가 일체로 형성된 형태의 의류이다. 상의(1)는 후드부(3)를 갖고, 도 2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개폐부(5)의 좌우에는 제 1 탭(대)(8a)과 제 1 탭(소)(8b), 및 제 2 탭(대)(9a)과 제 2 탭(소)(9b)이 봉착(縫着)되어 있다. 또한, 도 1에 있어서 후드부(3)의 앞면에는 시야를 확보하기 위한 대략 원형상의 개구부(30)가 형성되어 있다. 하의(2)는 좌우의 다리부(21a)와 다리부(21b)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의류의 착탈을 위한 개폐부(5)는 앞 몸판의 중심 상단의 위치로부터 허리 부근까지 도달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한 실시형태이다. 앞 몸판(4)의 개폐부(5)에는 좌우로 탈의하기 쉽게 하기 위한 제 1 탭(대)(8a)과 제 1 탭(소)(8b), 및 제 2 탭(대)(9a)과 제 2 탭(소)(9b)을 가지며, 제 1 탭(대)(8a)과 제 1 탭(소)(8b)은 개폐부 상단(11)에 맞춰서 좌우로 봉착되어 있고, 또한 제 2 탭(대)(9a)과 제 2 탭(소)(9b)은 제 1 탭(대)(8a)과 제 1 탭(소)(8b)보다 하부의 개폐부(5)에 봉착되는 것이 바람직한 실시형태이다. 개폐부(5)의 좌우에 탭을 설치하고, 제 1 탭, 제 2 탭의 순서로 탭을 좌우로 인장함으로써 파스너의 슬라이더(7)를 잡는 일 없이 개폐부(5)를 개구시킬 수 있고, 더럽혀진 손으로 슬라이더에 접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신체로의 오염의 진입을 억제하면서 재빠르게 탈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의류는 앞 몸판에 착탈을 위한 개폐부를 갖는 의류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5)의 외측의 좌우의 임의의 위치에 탭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한 실시형태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파스너는 개폐부 상단(11)으로부터 파스너 부착까지의 거리(11a)를, 적어도 1㎝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한 실시형태이다. 이때, 도 3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개폐부 상단(11)과 슬라이더 상단(7a)을 이은 선의 각도(a)가, 슬라이더 상단(7a)의 위치에 있어서 45° 미만이 되어 슬라이더(7)를 하방으로 움직이는 힘(d) 쪽이 좌우로 여는 힘(c)보다 크기 때문에 파스너(6)가 열리기 쉬워진다. 파스너 부착까지의 거리(11a)는 더욱 바람직하게는 1㎝ 이상 3㎝ 이하의 위치에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파스너 부착까지의 거리(11a)가 1㎝ 미만인 경우, 각도(a)가 45° 이상이 되고, 탭을 좌우로 여는 힘(c) 쪽이 슬라이더를 하방으로 움직이는 힘(d)보다 커지기 때문에 탭을 여는 힘(c)이 동일할 경우에는 슬라이더(7)를 하방으로 움직이는 힘(d)이 작아져 파스너가 열리기 어려워진다. 또한, 파스너(6)의 위치를 3㎝를 초과해서 배치했을 경우에는 개폐부 상단(11)이 열려버리기 때문에 오염이 개폐부(5)로부터 진입하여 신체에 오염이 부착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의 파스너(6)는 선 파스너가 바람직하고, 또한 선 파스너의 슬라이더(7)는 록 기구가 없는 슬라이더인 것이 바람직하다. 록 기구가 있는 슬라이더의 경우, 슬라이더(7)를 손으로 잡아 상방으로 들어올려 하방으로 이동시킬 필요가 있어 손에 부착된 오염이 신체에 부착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본 발명의 제 2 탭(대)(9a)과 제 2 탭(소)(9b)의 부착 위치는 제 1 탭(대)(8a)과 제 1 탭(소)(8b)으로부터 20㎝ 이상 40㎝ 이하인 위치가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이상 35㎝ 이하의 위치가 바람직한 실시형태이다. 제 2 탭(9a, 9b)의 위치가 20㎝ 미만일 경우, 제 2 탭으로부터 요부까지의 거리가 길기 때문에 제 2 탭을 좌우로 넓혀도 개폐부(5)를 완전히 개구할 수 없다. 또한, 제 2 탭(대)(9a)과 제 2 탭(소)(9b)의 위치가 40㎝를 초과해서 아래에 배치되었을 경우, 제 1 탭을 어깨폭까지 열었을 때에 파스너는 명치 부근까지 개구할 수 있지만, 제 2 탭이 명치보다 아래에 배치되기 때문에 제 2 탭(대)(9a)과 제 2 탭(소)(9b)을 좌우로 넓혀도 개폐부(5)를 개구할 수 없다.
본 발명에 있어서 탭은 제 1 탭(대)(8a)과 제 1 탭(소)(8b), 및 제 2 탭(대)(9a)과 제 2 탭(소)(9b)의 크기는 좌우 비대칭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작은 쪽의 탭, 예를 들면 제 1 탭(소)(8b)과 제 2 탭(소)(9b)은 큰 쪽의 탭, 예를 들면 제 1 탭(대)(8a)과 제 2 탭(대)(9a)의 내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탭을 설치할 때에는 탭의 펄럭임을 억제하기 위해서 탭의 내측에 양면 테이프나 면 파스너를 설치하는 경우가 많다. 이때에 좌우의 탭의 크기가 같은 경우나 아래에 배치되는 탭이 큰 경우, 위에 배치되는 탭의 내측에 양면 테이프나 면 파스너 등을 부설했을 때에 상하의 탭끼리가 접착되어버린다.
개폐부(5)를 닫았을 때에 개폐부(5)를 덮고, 열었을 때에 개폐부(5)를 노출시키는 커버부재(10)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부재(10)는 몸판과 동일 생지로 형성되어 있고, 그 커버부재(10)는 양면 테이프나 면 파스너 등에 의해 닫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의류의 제조는 다음과 같이 행해진다. 의류를 구성하는 생지는 상의(1), 후드부(3), 다리부(21a, 21b), 제 1 탭(대)(8a), 제 1 탭(소)(8b), 제 2 탭(대)(9a), 및 제 2 탭(소)(9b) 등의 각 부분에 재단된다.
각 부분의 접합 방법으로서는 미싱 실에 의한 봉합, 초음파나 고주파 미싱에 의한 용착, 및 접착 테이프에 의한 접착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접합부를 수지 테이프 등에 의해 보강할 수도 있다. 또한, 개폐부(5)의 좌우에는 제 1 탭(대)(8a)과 제 1 탭(소)(8b), 제 2 탭(대)(9a)과 제 2 탭(소)(9b), 및 선 파스너가 부착되어 개폐부(5)의 좌우 어느 한쪽에 개폐부(5)를 덮도록 커버부재(10)를 부착한다. 그 밖에 후드구 개구부(30), 소매 입구 및 다리 입구 등에는 고무 등의 신축성 소재를 꿰매 붙인다.
본 발명의 의류 착의와 탈의는 다음과 같이 행해진다. 의류를 착의할 때에는 신체를 개폐부(5)로부터 옷 내에 넣어서 장착하여 후드부(3)를 덮어쓴다. 계속해서 선 파스너의 슬라이더(7)를 파스너 상단의 위치까지 이동시키고, 개폐부(5)를 폐쇄한다. 그 후, 제 1 탭(대)(8a)과 제 1 탭(소)(8b), 제 2 탭(대)(9a)과 제 2 탭(소)(9b), 및 커버부재(10)를 닫고 개폐부(5)를 덮는다.
또한, 의류를 탈의할 때에는 커버부재(10), 제 1 탭(대)(8a)과 제 2 탭(대)(9a)을 열어 개폐부(5)를 노출시킨다.
계속해서, 제 1 탭(대)(8a)과 제 1 탭(소)(8b), 제 2 탭(대)(9a)과 제 2 탭(소)(9b)의 순서로 탭을 좌우로 열어 개폐부(5)를 개방한다. 이어서, 후드부(3)로부터 머리를 빼고, 양 소매를 뺀다. 옷을 내려 최후에 양 다리를 빼 탈의한다.
본 발명의 의류로서는 구체적으로 방오용 방호복이나 화학 방호복 등을 들 수 있다.
실시예
이어서, 본 발명의 의류에 대해서 실시예를 들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한 품질 평가는 다음의 방법으로 실시했다.
(1) 제 1 탭(대)(8a)과 제 1 탭(소)(8b), 제 2 탭(대)(9a)과 제 2 탭(소)(9b) 탈의 시간의 측정:
오버롤 타입의 의류를 착용한 상태로부터 탈의를 시작하고, 발목까지 탈의를 완료한 상태까지의 시간을 측정했다.
(2) 탈의 시에 의류의 슬라이더에 손이 닿는지의 여부를 평가:
탈의 시에 슬라이더에 닿지 않으면 ○, 닿을 가능성이 있으면 ×로 평가했다.
(실시예 1)
표면과 이면에 부직포를 사용하고, 그 표면과 이면의 부직포 사이에 방수 투습성의 필름을 배치한 부직포를 사용하여 상하 연속된 오버롤형의 의류를 봉제했다. 여러 곳의 잇대어 붙이기는 초음파 용착기를 사용하여 시접 1㎝로 용착 후 용착 부분을 수지 테이프로 접착했다. 이때, 개폐부(5)에 꿰매 붙이는 제 1 탭(대)(8a) 및 제 1 탭(소)(8b)과, 제 2 탭(대)(9a) 및 제 2 탭(소)(9b)의 위치는 30㎝로 하고, 파스너(6)에 록 기구가 없는 슬라이더(7)를 달아 파스너 부착까지의 거리(11a)를 1㎝로 했다. 개폐부(5)를 커버부재(10)로 덮도록 커버부재(10)를 봉착했다. 이때, 제 1 탭(대)(8a)과 제 2 탭(대)(9a)은 커버부재(10) 아래에 배치했다. 또한, 개구부(30), 소매 입구 및 다리 입구에는 고무를 꿰매 붙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부재(10) 아래에 탭을 배치했기 때문에 탈의에 탭을 개방함과 동시에 커버부재(10)도 개방할 수 있기 때문에 탈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었다. 또한, 탈의 시에 슬라이더(7)에 닿을 필요가 없기 때문에 신체가 더럽혀질 일이 없었다.
(실시예 2)
생지에 실시예 1과 동일한 부직포를 사용하여 상하 연속된 오버롤형의 의류를 봉제했다. 여러 곳의 잇대어 붙이기는 오버록 미싱을 사용하고, 시접 0.7㎝로 봉제했다. 이때, 개폐부(5)에 꿰매 붙이는 제 1 탭(대)(8a) 및 제 1 탭(소)(8b)과, 제 2 탭(대)(9a) 및 제 2 탭(소)(9b)의 위치는 25㎝로 하고, 파스너(6)에 록 기구가 없는 슬라이더(7)를 달아 파스너 부착까지의 거리(11a)를 3㎝로 했다. 개폐부(5)를 커버부재(10)로 덮도록 커버부 재료를 봉착했다. 이때, 제 1 탭(대)(8a)과 제 2 탭(대)(9a)은 커버부재(10) 아래에 배치했다. 또한, 개구부(30), 소매 입구 및 다리 입구에는 고무를 꿰매 붙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부재(10) 아래에 탭을 배치했기 때문에 탈의에 탭을 개방함과 동시에 커버부재(10)도 개방할 수 있기 때문에 탈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었다. 또한, 탈의 시에 슬라이더에 닿을 필요가 없기 때문에 신체가 더럽혀질 일이 없었다.
(실시예 3)
생지에 면 100%의 직물을 사용하여 상하 연속된 오버롤형의 의류를 봉제했다. 여러 곳의 잇대어 붙이기는 오버록 미싱을 사용하고, 시접 0.7㎝로 봉제했다. 이때 개폐부(5)에 꿰매 붙이는 제 1 탭(대)(8a) 및 제 1 탭(소)(8b)과, 제 2 탭(대)(9a) 및 제 2 탭(소)(9b)의 위치는 35㎝로 하고, 파스너(6)에 록 기구가 없는 슬라이더(7)를 달아 파스너 부착까지의 거리(11a)를 1㎝로 했다. 개폐부(5)를 커버부재(10)로 덮도록 커버부재를 봉착했다. 이때 제 1 탭(대)(8a)과 제 2 탭(대)(9a)은 커버부재(10) 아래에 배치했다. 또한, 소매 입구와 다리 입구에는 고무를 꿰매 붙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부재(10) 아래에 탭을 배치했기 때문에 탈의에 탭을 개방함과 동시에 커버부재(10)도 개방할 수 있기 때문에 탈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었다. 또한, 탈의 시에 슬라이더(7)에 닿을 필요가 없기 때문에 신체가 더럽혀질 일이 없었다.
(실시예 4)
생지로서 실시예 3과 동일한 직물을 사용하여 상의를 봉제했다. 여러 곳의 잇대어 붙이기는 오버록 미싱을 사용하고, 시접 0.7㎝로 봉제했다. 이때 개폐부(5)에 꿰매 붙이는 제 1 탭(대)(8a) 및 제 1 탭(소)(8b)과, 제 2 탭(대)(9a) 및 제 2 탭(소)(9b)의 위치는 30㎝로 하고, 파스너(6)에 록 기구가 없는 슬라이더(7)를 달아 파스너 부착까지의 거리(11a)를 1㎝로 했다. 개폐부(5)를 커버부재(10)로 덮도록 커버부재(10)를 봉착했다. 이때 제 1 탭(대)(8a)과 제 2 탭(대)(9a)은 커버부재(10) 아래에 배치했다. 또한, 소매 입구와 다리 입구에는 고무를 꿰매 붙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부재(10) 아래에 탭을 배치했기 때문에 탈의에 탭을 개방함과 동시에 커버부재(10)도 개방할 수 있기 때문에 탈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었다. 또한, 탈의 시에 슬라이더(7)에 닿을 필요가 없기 때문에 신체가 더럽혀질 일이 없었다.
(비교예 1)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생지로서 표면과 이면에 부직포를 사용하고, 그 표면과 이면의 부직포 사이에 방수 투습의 필름을 사용한 부직포를 사용하여 상하 연속된 오버롤형의 의류를 봉제했다. 여러 곳의 잇대어 붙이기는 초음파 용착기를 사용하여 시접 1㎝로 용착 후, 용착 부분을 수지 테이프로 접착했다. 이때 개폐부(5)의 좌측에 1장만 탭(대)을 개폐부(5)의 상단에 봉착하고, 파스너(6)에 부착하는 슬라이더(7)를 록 기구가 있는 슬라이더로 하며, 파스너 부착까지의 거리(11a)를 0㎝로 했다. 개폐부(5)를 커버부재(10)로 덮도록 커버부재(10)를 봉착했다. 이때, 탭은 커버부재(10) 위에 배치했다. 또한, 후드 입구, 소매 입구 및 다리 입구에는 고무를 꿰매 붙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부재(10) 위에 탭을 배치했기 때문에 탈의 시에 탭과 커버부재(10)의 순서로 개방할 필요가 있어 탈의에 시간이 걸렸다. 또한, 탈의 시에 손이 슬라이더에 닿기 때문에 신체가 더럽혀질 가능성이 있다.
(비교예 2)
생지로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표면과 이면에 부직포를 사용하고, 그 표면과 이면의 부직포 사이에 방수 투습의 필름을 사용한 부직포를 사용하여 상하 연속된 오버롤형의 의류를 봉제했다. 여러 곳의 잇대어 붙이기는 초음파 용착기를 사용하여 시접 1㎝로 용착 후, 용착 부분을 수지 테이프로 접착했다. 이때 개폐부 상단(11)에만 제 1 탭(대)(8a)을 봉착하고, 파스너(6)에 부착하는 슬라이더(7)를 록 기구가 없는 슬라이더로 하며, 파스너 부착까지의 거리(11a)를 1㎝로 했다. 개폐부(5)를 커버부재(10)로 덮도록 커버부재(10)를 봉착했다. 이때 탭(대)(8a)을 커버부재(10) 위에 배치했다. 또한, 후드 입구, 소매 입구 및 다리 입구에는 고무를 꿰매 붙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부재(10) 위에 탭을 배치했기 때문에 탈의 시에 탭과 커버부재(10)의 순서로 개방할 필요가 있어 탈의에 시간이 걸렸다. 또한, 탈의 시에 슬라이더에 손이 닿기 때문에 신체가 더럽혀질 가능성이 있다.
(비교예 3)
생지로서 실시예 4와 같은 직물을 사용하여 상의를 봉제했다. 여러 곳의 잇대어 붙이기는 오버록 미싱을 사용하고, 시접 0.7㎝로 봉제했다. 이때 개폐부 상단(11)에만 제 1 탭(대)(8a)을 봉착하고, 파스너(6)에 부착하는 슬라이더(7)를 록 기구가 없는 슬라이더로 하며, 파스너 부착까지의 거리(11a)를 1㎝로 했다. 개폐부(5)를 커버부재(10)로 덮도록 커버부재(10)를 봉착했다. 이때 탭(대)(8a)을 커버부재(10) 위에 배치했다. 또한, 후드 입구, 소매 입구 및 다리 입구에는 고무를 꿰매 붙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부재(10) 위에 탭을 배치했기 때문에 탈의에 탭, 덧단의 순서대로 개방할 필요가 있어 탈의에 시간이 걸렸다. 또한, 탈의 시에 슬라이더에 닿기 때문에 신체가 더럽혀질 가능성이 있다.
Figure 112018077872824-pct00001
1 : 상의 2 : 하의
3 : 후드부 4 : 앞 몸판
5 : 개폐부 6 : 파스너
7 : 슬라이더 7a : 슬라이더 상단
8a : 제 1 탭(대) 8b : 제 1 탭(소)
9a : 제 2 탭(대) 9b : 제 2 탭(소)
10 : 커버부재 11 : 개폐부 상단
11a : 파스너 부착까지의 거리 21a : 다리부
21b : 다리부 30 : 개구부
a : 각도 b : 개구할 때의 힘이 가해지는 방향
c : 탭을 열 때에 가하는 힘 d : 슬라이더를 하방으로 움직이는 힘

Claims (6)

  1. 앞 몸판에 착탈을 위한 개폐부를 갖는 의류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의 상단 좌우와 앞 몸판의 개폐부 좌우의 임의의 위치에 탭이 2개소 이상 부착되어 있고,
    상기 개폐부에는 선 파스너가 부착되어 있고, 상기 선 파스너는 록 기구가 없는 슬라이더가 부착되어 있는 것이며,
    상기 개폐부의 상단 좌우의 탭은, 개폐부의 상단에 상기 탭의 상단부를 개폐부에 맞춰서 부착하고, 상기 개폐부에 상기 선 파스너를 부착할 때까지의 거리가 상기 개폐부의 상단으로부터 1㎝ 이상 3cm 이하 열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2. 제 1 항에 있어서,
    좌우의 탭의 크기는 비대칭이며, 작은 쪽의 탭이 큰 쪽의 탭의 내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앞 몸판의 개폐부 좌우에 탭이 부착된 위치는, 상기 개폐부의 상단 좌우에 부착된 탭으로부터 20㎝ 이상 40㎝ 이하의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87022716A 2016-03-30 2017-03-14 의류 KR1024446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068084 2016-03-30
JPJP-P-2016-068084 2016-03-30
PCT/JP2017/010101 WO2017169718A1 (ja) 2016-03-30 2017-03-14 衣類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7318A KR20180127318A (ko) 2018-11-28
KR102444649B1 true KR102444649B1 (ko) 2022-09-19

Family

ID=59964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2716A KR102444649B1 (ko) 2016-03-30 2017-03-14 의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00205487A1 (ko)
EP (1) EP3437499A4 (ko)
JP (1) JP6954117B2 (ko)
KR (1) KR102444649B1 (ko)
CN (1) CN108882756A (ko)
CA (1) CA3016396A1 (ko)
RU (1) RU2018137474A (ko)
WO (1) WO201716971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84094A (zh) * 2018-07-04 2021-02-19 东丽株式会社 防护服
US11849781B1 (en) * 2019-05-30 2023-12-26 Government Of The United States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Functional fit system for apparel
JP1673964S (ko) * 2019-08-14 2020-12-07
WO2021049375A1 (ja) * 2019-09-11 2021-03-18 東レ株式会社 防護服
KR102290201B1 (ko) * 2020-12-21 2021-08-19 (주)한빛씨엠피 감염증 방역용 방호복 및 이의 제조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84840A (ja) * 2009-10-15 2011-04-28 Onyone Kk ファスナーの開閉により着脱可能となる衣服
US20130185841A1 (en) * 2012-01-19 2013-07-25 Airborne Textiles, Llc Systems for securing zipper closures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340187A (en) * 1917-07-14 1920-05-18 Hookless Fastener Co Quick-opening separable fastener
US1724413A (en) * 1927-08-06 1929-08-13 Herbert S Rauh Closure for uniting edged bodies
US2241841A (en) * 1938-10-20 1941-05-13 Talon Inc Slide fastener
US2325305A (en) * 1942-05-01 1943-07-27 Talon Inc Separating slide fastener
US2639432A (en) * 1949-08-16 1953-05-26 Shirtcraft Co Inc Zipper shirt
JPS549249B2 (ko) 1973-07-27 1979-04-23
JPH0351296Y2 (ko) * 1986-10-20 1991-11-01
JPH0418959Y2 (ko) * 1987-02-17 1992-04-28
US4864654A (en) * 1988-05-06 1989-09-12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s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Protective hood jacket resistant to toxic environments
US6907618B2 (en) * 2001-06-01 2005-06-21 Fred W. Rausch Hunting waders and jacket combination
JP3912060B2 (ja) 2001-08-31 2007-05-09 株式会社Sumco 無塵服
US6868558B2 (en) * 2003-01-29 2005-03-22 Mazsport Garment Manufacturing Inc. Outerwear garment
US20040148676A1 (en) * 2003-02-03 2004-08-05 Bob Barker Behavior control suit
US20050102729A1 (en) * 2003-11-18 2005-05-19 Julie Snedeker Rescue coat with covered liner zippers
US7305717B1 (en) * 2005-10-21 2007-12-11 Michelle Brown Clothing for autistic children
JP2007239129A (ja) * 2006-03-07 2007-09-20 Hirokazu Nagaya 衣類
US7827619B1 (en) * 2007-10-15 2010-11-09 Steinberg Michael R Removable resistant garment
US20090293169A1 (en) * 2008-06-02 2009-12-03 Cynthia Wise Zipper systems for infant sleepwear
JP5560066B2 (ja) 2010-03-04 2014-07-23 地方独立行政法人東京都立産業技術研究センター 防護服
TWI486134B (zh) * 2011-03-18 2015-06-01 Columbia Sportswear Na Inc 具有一黏著性拉鍊帶的拉鍊組件
EP2757913B1 (en) * 2011-09-23 2021-01-13 Quest Environmental & Safety Products, Inc. Disposable safety garment
JP3178857U (ja) * 2012-07-23 2012-10-04 第一紡績株式会社 着脱を容易にするための補助具を縫合具備した衣服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84840A (ja) * 2009-10-15 2011-04-28 Onyone Kk ファスナーの開閉により着脱可能となる衣服
US20130185841A1 (en) * 2012-01-19 2013-07-25 Airborne Textiles, Llc Systems for securing zipper closur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18137474A (ru) 2020-04-30
US20200205487A1 (en) 2020-07-02
WO2017169718A1 (ja) 2017-10-05
KR20180127318A (ko) 2018-11-28
JPWO2017169718A1 (ja) 2019-02-28
EP3437499A1 (en) 2019-02-06
EP3437499A4 (en) 2019-10-30
CN108882756A (zh) 2018-11-23
CA3016396A1 (en) 2017-10-05
JP6954117B2 (ja) 2021-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4649B1 (ko) 의류
US9248322B2 (en) Disposable safety garment with improved doffing and neck closure
US10589136B2 (en) Disposable protective garment
US20180192713A1 (en) Gown and Method of Constructing the Same
JP5560066B2 (ja) 防護服
JP5650916B2 (ja) 防護服
US11490666B2 (en) Disposable individual covering worksuit for protection against radioactive particles
JP4966599B2 (ja) 衣服
JP3183170U (ja) 防護服
JP3208579U (ja) 検診着
JP5729706B2 (ja) 放射能汚染防護服
JP3188586U (ja) 雨用ズボン
JP3003131U (ja) 防水手袋
CN210143874U (zh) 一种具有纳米防污功能的服装
US20230134607A1 (en) Garment with dual closure configuration
JP3055782U (ja) エプロンドレス
JP3178429U (ja) 作業用合羽
JP3165666U (ja) つなぎ服
TWM569158U (zh) Improved raincoat
JP6093813B2 (ja) 衣料
JP2022082991A (ja) 防護服
JP2022138393A (ja) 上衣
KR20210052815A (ko) 감염 보호복
JP3187771U (ja) 作業用雨衣
CA2849888C (en) Disposable safety gar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