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3964B1 - 중합체 생산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중합체 생산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3964B1
KR102443964B1 KR1020197012981A KR20197012981A KR102443964B1 KR 102443964 B1 KR102443964 B1 KR 102443964B1 KR 1020197012981 A KR1020197012981 A KR 1020197012981A KR 20197012981 A KR20197012981 A KR 20197012981A KR 102443964 B1 KR102443964 B1 KR 1024439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ctor
evaporative cooler
component
separator vessel
product str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29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6043A (ko
Inventor
볼프강 피셔
피터 이테만
플로리안 팟카스
미카엘 러프
Original Assignee
이네오스 스티롤루션 그룹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네오스 스티롤루션 그룹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이네오스 스티롤루션 그룹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900660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60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39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39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01Processes of polymerisation characterised by special features of the polymerisation apparatus u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18Stationary reactors having moving elements ins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24Stationary reactors without moving elements inside
    • B01J19/2415Tubular reactors
    • B01J19/2425Tubular reactors in paralle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04Polymerisation in solution
    • C08F2/06Organic solv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34Polymerisation in gaseous st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2/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 C08F212/02Monomers containing only on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
    • C08F212/04Monomers containing only on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 containing one ring
    • C08F212/06Hydrocarbons
    • C08F212/08Styrene
    • C08F212/10Styrene with nitri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4Methyl esters, e.g. m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42Nitriles
    • C08F220/44Acrylonitr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049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 B01J2219/00051Controlling the temperature
    • B01J2219/00074Controlling the temperature by indirect heating or cooling employing heat exchange fluids
    • B01J2219/00076Controlling the temperature by indirect heating or cooling employing heat exchange fluids with heat exchange elements inside the reactor
    • B01J2219/00085Plates; Jackets; Cylin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049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 B01J2219/00051Controlling the temperature
    • B01J2219/00074Controlling the temperature by indirect heating or cooling employing heat exchange fluids
    • B01J2219/00087Controlling the temperature by indirect heating or cooling employing heat exchange fluids with heat exchange elements outside the reactor
    • B01J2219/00103Controlling the temperature by indirect heating or cooling employing heat exchange fluids with heat exchange elements outside the reactor in a heat exchanger separate from the reac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274Sequential or parallel reactions; Apparatus and devices for combinatorial chemistry or for making arrays; Chemical library technology
    • B01J2219/00718Type of compounds synthesised
    • B01J2219/0072Organic compounds
    • B01J2219/00736Non-biologic macromolecules, e.g. polymeric compou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olymerisation Methods In General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Abstract

반응기(50)를 이용하여 제 1 성분 및 제 2 성분으로부터 중합체를 생산하는 방법은 기술적 장점을 제공하며, 반응기(50)에서 발생하는 반응열은 반응기(50)에서 생성된 기체 증기를 증발식 냉각기(40)에 공급함으로써 증발식 냉각기(40)를 통해서 배출된다. 응축된 증기를 함유하는 생성물 스트림은 증발식 냉각기(40)로부터 분리기 용기(60)를 통해 반응기(50)로 반환되고, 분리기 용기(60)에서 수성 상이 생성물 스트림으로부터 분리된다. 제 1 성분 및 제 2 성분으로부터 중합체를 생산하기 위해 제공되는 시스템은 반응기(50) 및 반응기(50)에서 생성된 반응열을 배출하기 위한 증발식 냉각기(40)를 포함한다. 응축된 증기를 함유하는 생성물 스트림이 증발식 냉각기(40)로부터 분리기 용기(60)를 통해 반응기(50)로 반환되도록 분리기 용기(60)가 증발식 냉각기(40)와 반응기(50) 사이에 배치된다.

Description

중합체 생산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본 발명은 반응기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제 1 성분 및 제 2 성분으로부터 중합체를 생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반응기에서 발생한 반응열은 반응기 내에 형성된 기체 증기를 증발식 냉각기에 공급함으로써 증발식 냉각기에 의해서 제거된다. 본 발명은 또한 적어도 하나의 제 1 성분 및 제 2 성분으로부터 중합체를 생산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이는 반응기 및 반응기에서 발생하는 반응열을 제거하기 위한 증발식 냉각기를 포함한다.
교반기를 갖는 반응기에서 중합체, 특히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SAN) 또는 알파-메틸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AMSAN)와 같은 스티렌-공중합체의 생산이 알려졌다. 이러한 반응기는 또한 문헌에서 "CSTR"(연속 교반 탱크 반응기)로 지칭된다. 여기에서, 적어도 2 개의 성분, 특히 단량체가 반응기에 공급된 후에 반응기 내에서 중합이 일어난다.
EP-B 1297038은 고무 상 및 경질 상으로 구성된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또는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아크릴레이트(ASA)와 같은 고무 함유 스티렌 중합체의 생산을 개시한다. 여기에서 적합한 경질 상은 특히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SAN) 및 알파-메틸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AMSAN)이다. 경질 상은 단량체의 중합에 의해 생성된다.
특히 삼원 공중합체를 성분으로 갖는 열가소성 몰딩 조성물이 EP-B 2802619로부터 알려졌다. 삼원 중합체는 여기에서 아크릴로니트릴(AN), 알파-메틸스티렌 및 스티렌(S)을 함유한다. 삼원 공중합체는 100 내지 140℃의 온도에서의 자유 라디칼 용매 중합에서 단량체를 반응시킨 후, 쉘 및 튜브 반응기 내에서 50mbar 미만의 압력에서 잔류 단량체 함량을 3000ppm 미만으로 감소시킴으로써 생산된다.
중합을 위한 반응기는 예를 들어 EP-A 0865820에 개시되었다. 반응기는 뚜껑, 바닥 및 교반기를 포함한다. 반응기는 성분을 반응기에 도입하기 위한 공급관을 포함한다. 중합은 반응기에서 일어나고 형성된 중합체는 방출관을 통해 반응기로부터 취해진다.
중합체를 생산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은 또한 특허 명세서 US 3,737,288, US 7,745,552, US 7,750,095, US 8,148,480 및 EP-A 1034201 또는 WO 99/25749로부터 알려졌다.
중합은 일반적으로 발열 반응이며, 반응열이 발생한다. 발생하는 반응열은 예를 들어 증발식 냉각기에 의해 제거된다. 증발식 냉각기로서, 쉘-앤드-튜브(shell-and-tube) 열 교환기가 선호된다. 증발식 냉각기에서, 반응기에서 형성된 기체 증기는 튜브 내에서 상승한다. 냉각제가 튜브 둘레로 흐르고 결과적으로 증기가 응축된다.
펠릿으로서 생산되어 존재하는 중합체에서, 적색 입자의 형성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사출 성형에 의해 펠릿으로부터 생산된 작업물에 표면 결함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반응기 및 증발식 냉각기를 사용하여 중합체를 생산할 때, 적색 입자 및 사출 성형에 의해 중합체로부터 생산된 작업물의 표면 결함으로 이어지는 중합체의 형성을 감소 또는 방지하고 따라서 생산된 중합체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청구범위의 특징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성분 및 제 2 성분으로부터 중합체를 생산하는 방법에 의해 본 발명에 따라 달성된다. 본 발명은 특히 반응기(50)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제 1 성분 및 제 2 성분으로부터 (공)중합체를 생산하는 방법에 관련되고, 반응기(50)에서 발생하는 반응열은 반응기(50)에서 형성된 기체 증기를 증발식 냉각기(40)에 공급함으로써 증발식 냉각기(40)에 의해서 제거되고, 여기서 응축된 증기를 함유하는 생성물 스트림은 증발식 냉각기(40)로부터 분리기 용기(60)를 통해 반응기(50)로 재순환되며, 수성 상(aqueous phase)이 분리기 용기(60)에서 생성물 스트림으로부터 분리된다.
반응기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제 1 성분 및 제 2 성분으로부터 중합체를 생산하는 일반적인 방법에서, 반응기에서 형성된 기체 증기를 증발식 냉각기에 공급함으로써 증발식 냉각기에 의해 반응기에서 발생하는 반응열이 제거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응축된 증기를 함유하는 생성물 스트림은 분리기 용기를 통해 증발식 냉각기로부터 반응기로 재순환되고, 수성 상은 분리기 용기에서 생성물 스트림으로부터 분리된다. 여기서 수성 상은 분리기 용기의 바닥에 정착한다. 수성 상 위에 분리기 용기를 떠난 생성물 스트림은 따라서 반응기로 공급된다.
놀랍게도 증발식 냉각기로부터의 생성물 스트림이 분리기 용기를 통해 운반될 때 사출 성형에 의해 중합체로부터 생성된 작업물의 표면 결함으로 이어지는 적색 입자 및 추가의 성분의 형성이 감소될 수 있으며 수성 상은 생성물 스트림이 응축된 증기와 함께 재순환되기 전에 생성물 스트림으로부터 분리된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또한, 중합체의 부착 및 증착이 반응기에서 더 적게 형성된다.
(공)중합체가 생산되는 제 1 성분 및 제 2 성분은 특히 단량체를 함유하거나 이들로 구성된다. 이러한 단량체는 예를 들어 첫째로 스티렌 및/또는 α- 메틸스티렌 그리고 둘째로 아크릴로니트릴 및/또는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와 같은) 메타크릴산 에스테르이다.
본 발명의 방법은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SAN)의 생산에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성분은 스티렌을 함유하고(또는 그것으로 이루어지고), 제 2 성분은 아크릴로니트릴을 함유한다(또는 그것으로 구성된다). 바람직한 혼합비(w/w)는 스티렌 90부:아크릴로니트릴 10부 내지 스티렌 60부:아크릴로니트릴 40부이다.
본 발명의 방법은 또한 알파-메틸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AMSAN)를 생산하는데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2 성분은 아크릴로니트릴을 함유하고, 제 1 성분은 알파-메틸스티렌을 함유한다. 여기에서 바람직한 혼합비는 알파-메틸스티렌 80부:아크릴로니트릴 20부 내지 알파-메틸스티렌 60부:아크릴로니트릴 40부이다.
본 발명의 방법은 또한 스티렌-메틸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SMMA)를 생산하는데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성분은 스티렌을 함유하고 제 2 성분은 메틸 메타크릴레이트(MMA)를 함유한다.
2개보다 많은 성분 또는 2개보다 많은 단량체가 사용되는 것도 고려 가능하다. 특히 3개의 단량체로 구성된 삼원 공중합체가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생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량체 아크릴로니트릴, 스티렌 및 알파-메틸스티렌으로 구성된 삼원 공중합체가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생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에서, 생성물 스트림은 특히 열 교환기에서 냉각되어 분리기 용기로 들어가기 전에 생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수성 상 바로 위에 형성된 분리 층은 또한 분리기 용기에서 생성물 스트림으로부터 수성 상과 함께 분리된다. 분리 층 위에 분리기 용기를 떠나는 생성물 스트림은 반응기로 공급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추가 개발에서, 제 1 성분 및/또는 제 2 성분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증발식 냉각기를 통해 공급되고, 증발식 냉각기로 도입된 제 1 성분 및/또는 제 2 성분은 증발식 냉각기로부터 분리기 용기를 통해 반응기로 이동한다.
바람직하게는, 제 1 성분 및/또는 제 2 성분은 증발식 냉각기의 캡을 통해 상부로부터 증발식 냉각기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도입된다. 증발식 냉각기의 캡은 상부 영역에 배치되고 상부의 증발식 냉각기를 폐쇄한다. 따라서, 제 1 성분 및/또는 제 2 성분은 중력의 힘에 의해 증발식 냉각기로 도입되고, 중력의 힘에 의해 증발식 냉각기로 낙하한다.
바람직하게는, 제 1 성분 및/또는 제 2 성분은 위로부터 증발식 냉각기의 복수의 수직 튜브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도입된다. 반응기에서 상승하는 증기는 이 튜브에서 응축된다. 따라서 제 1 성분 및/또는 제 2 성분은 증발식 냉각기로 도입되어 제 1 성분 및/또는 제 2 성분이 상기 튜브 내로 낙하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유리한 실시예에서, 제 1 성분 및/또는 제 2 성분 또한 부분적으로 반응기에 직접 도입된다. 제 1 성분 및/또는 제 2 성분은 특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액체 형태로 증발식 냉각기 및/또는 반응기 내에에 도입된다. 따라서 제 1 성분 및/또는 제 2 성분은 증발식 냉각기 및/또는 반응기 내로 흐른다.
예를 들어, 제 1 성분 및/또는 제 2 성분은 용매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혼합된다. 사용된 용매는 예를 들어 에틸벤젠(EB) 및 톨루엔이다. 추가의 적합한 용매는 메틸 에틸 케톤이다. 용매는 바람직하게는 수집 용기를 통해 반응기의 하류에 배치된 응축 유닛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제 1 성분 및 제 2 성분의 미반응 단량체는 또한 바람직하게는 수집 용기를 통해 응축 유닛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에서, 제 1 성분 및/또는 제 2 성분의 응축 후 용매 및 응축된 미반응 단량체는 응축 유닛으로부터 회수관을 통해 증발식 냉각기로 재순환된다. 따라서 용매는 연속적으로 순환된다.
반응기에서 일어나는 중합 반응에서 형성된 기체 증기는 증발식 냉각기의 수직 튜브에서 중력에 대항하여 상승하고 증발식 냉각기에서 응축된다. 응축된 증기 및 가능하게는 제 1 성분 및/또는 제 2 성분을 함유하는 생성물 스트림은 바람직하게는 중력 하에서 분리기 용기 내로 흐른다. 분리기 용기를 떠나는 생성물 스트림은 바람직하게는 중력 하에서 반응기 내로 흐른다.
상기 목적은 또한 다음의 특징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성분 및 제 2 성분으로부터 중합체를 생산하기 위한 시스템에 의해 본 발명에 따라 달성된다:
반응기(50) 및 반응기(50)에서 발생하는 반응열을 제거하기 위한 증발식 냉각기(40)를 포함하며,
응축된 증기를 함유하는 생성물 스트림이 분리기 용기(60)를 통해 증발식 냉각기(40)로부터 반응기(50) 내로 재순환되는 방식으로 분리기 용기(60)가 증발식 냉각기(40)와 반응기(50)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 특징지어진다.
적어도 하나의 제 1 성분 및 제 2 성분으로부터 중합체를 생산하기 위한 일반적인 시스템은 중합이 일어나는 반응기 및 반응기에서 발생하는 반응열을 제거하기 위한 증발식 냉각기를 포함한다.
반응기는 증발식 냉각기에 연결되어, 반응기에서 형성된 기체 증기를 증발식 냉각기에 공급함으로써 증발식 냉각기에 의해 반응기에서 발생하는 열을 제거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증발식 냉각기와 반응기 사이에 분리기 용기가 배치되어, 응축된 증기를 함유하는 생성물 스트림이 증발식 냉각기, 특히 증발식 냉각기의 바닥으로부터 분리기 용기를 통해 반응기 내로 재순환된다. 여기서 분리기 용기는 수성 상을 생성물 스트림으로부터 분리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에서, 열 교환기는 증발식 냉각기와 분리기 용기 사이에 배치되어 생성물 스트림이 분리기 용기로 들어가기 전에 열 교환기에서 냉각되는 방식으로 배치된다.
본 발명의 유리한 전개에서, 증발식 냉각기는 제 1 성분 및/또는 제 2 성분을 도입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공급 개구를 갖는다. 증발식 냉각기에 도입된 제 1 성분 및/또는 제 2 성분은 증발식 냉각기로부터 반응기로 이동한다.
적어도 하나의 공급 개구는 증발식 냉각기의 캡 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증발식 냉각기의 캡은 상부 영역에 배치되고 상단에서 증발식 냉각기를 폐쇄한다. 따라서, 제 1 성분 및/또는 제 2 성분은 증발식 냉각기의 캡을 통해 위에서부터 증발식 냉각기로 도입될 수 있고 중력의 힘에 의해 증발식 냉각기로 낙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노즐은 증발식 냉각기의 캡에 설치된다. 노즐은 적어도 하나의 공급 개구를 통해 도입된 제 1 성분 및/또는 제 2 성분이 증발식 냉각기의 수직 튜브 내로 낙하하고 바람직하게는 모든 튜브에 걸쳐 분포되도록 배치된다. 반응기에서 상승하는 증기는 이 튜브에서 응축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반응기의 하류에 배치된 응축 유닛으로부터 증발식 냉각기 내로 용매를 공급하기 위한 회수관이 제공된다. 따라서 용매 및 응축된 미반응 단량체의 혼합물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 1 성분 및/또는 제 2 성분과 함께 증발식 냉각기로 흐른다.
반응기, 증발식 냉각기 및 분리기 용기는 반응기에서 형성된 기체 증기가 증발식 냉각기 내로 중력에 대항하여 상승하고, 응축되고 증기를 함유하는 생성물 스트림이 증발식 냉각기에서 응축되고 선택적으로 제 1 성분 및/또는 제 2 성분은 중력 하에서 분리기 용기 내로 흐른다.
반응기, 증발식 냉각기 및 분리기 용기는 또한 바람직하게는 생성물 스트림이 중력 하에 분리기 용기로부터 반응기 내로 흐르는 방식으로 배치된다.
특히,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SAN), 알파-메틸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AMSAN) 또는 스티렌-메틸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SMMA)뿐만 아니라 다른 중합체 및 공중합체도 본 발명의 방법 및 본 발명의 시스템의 수단에 의해 바람직하게 생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생산된 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고무 및/또는 폴리카보네이트(PC) 및/또는 폴리아미드(PA)와 혼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아래의 도면, 아래의 설명 및 청구범위의 도움으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면에서:
도 1은 중합체를 생산하기 위한 시스템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로부터 중합체를 생산하기 위한 시스템의 증발식 냉각기의 바닥 영역의 상세한 개략도이다.
적어도 하나의 제 1 성분 및 제 2 성분으로부터 중합체를 생산하기 위한 시스템(10)의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 1에 도시되었다.
시스템(10)은 특히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SAN), 알파-메틸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AMSAN) 및 스티렌-메틸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SMMA)를 생산하는데 사용된다.
시스템(10)은 반응기(50)를 포함한다. 반응기(50)에서, 공급된 단량체의 중합이 발생한다. 교반기(52)는 반응기(50) 내에 배치된다. 교반기(52)는 여기에 도시되지 않은 전기 모터에 의해 회전식으로 구동될 수 있다. 공급되는 단량체의 중합이 일어날 수 있는 다른 유형의 반응기(50)도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제 1 공급관(31)은 반응기(50)에 연결된다. 제 1 공급관(31)은 반응기(50) 내로 직접 성분을 도입하는 역할을 한다. 도입되는 성분은 특히 단량체를 함유한다. 제 1 회수관(36)은 또한 반응기(50)에 연결된다. 제 1 회수관(36)은 용매 및 또한 탈기 중에 분리되는 미반응 단량체의 도입을 위한 것이다. 용매는 응축 유닛(71)으로부터 발생하는데, 이는 나중에 설명될 것이다.
또한, 배출관(34)이 반응기(50)에 연결된다. 반응기(50)에서 형성된 중합체 조성물은 배출관(34)에 의해 반응기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탈기 유닛(70)은 반응기(50)의 상류에 배치되고 배출관(34)을 통해 반응기(50)로부터 배출된 중합체 조성물은 따라서 하류에 배치된 탈기 유닛(70)으로 들어간다.
탈기 유닛(70)은 특히 중합체 조성물, 특히 용매 및 미반응 단량체로부터 휘발성 성분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유통관(38)은 탈기 유닛(70)에 연결된다. 생성된 중합체는 이제 적어도 미반응 단량체 및 용매가 거의 없으며, 도관(38)을 통해 시스템(10)으로부터 취할 수 있다.
탈기 유닛(70)은 또한 응축 유닛(71)과 연결된다. 탈기 유닛(70)에서 중합체 조성물로부터 제거된 용매 및 미반응 단량체가 응축 유닛(71)으로 공급된다. 응축 유닛(71)에서 용매 및 미반응 단량체가 응축된다.
응축 유닛(71)은 수집 용기(80)에 연결된다. 응축된 용매 및 응축 유닛(71)으로부터의 응축된 미반응 단량체는 수집 용기(80)로 공급된다.
공급관(33)은 또한 수집 용기(80)에 연결되고 추가량의 용매를 도입 또는 도입하는 역할을 한다.
반응기(50)에 연결되고 반응기(50) 내로 용매 및 미반응 단량체를 도입하는 역할을 하는 제 1 회수관(36)이 또한 수집 용기(80)에 연결된다. 수집 용기(80)에 존재하는 용매 및 미반응 단량체는 따라서 제 1 회수관(36)을 통해 반응기(50) 내로 부분적으로 재순환될 수 있다.
시스템(10)은 증발식 냉각기(40)를 더 포함한다. 증발식 냉각기(40)는 반응기(50) 내의 중합반응에서 발생하는 반응열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증발식 냉각기(40)는 본 경우에서 쉘-앤드-튜브 열 교환기로서 구성되며 복수의 수직 튜브(44)를 포함한다. 증발식 냉각기(40)는 캡(42)에 의해, 즉 지면으로부터 멀리 있는 단부에서 폐쇄된다. 또한, 증발식 냉각기(40)는 여기에 도시되지 않은 냉각제 유입구 및 마찬가지로 도시되지 않은 냉각제 배출구를 포함한다.
반응기(50)는 중합반응 중에 일어나는 반응열이 증발식 냉각기(40)에 의해 제거될 수 있도록 증발식 냉각기(40)에 연결된다. 반응기(50)에서 형성된 기체 증기는 증발식 냉각기(40)에서 응축된다.
분리기 용기(60)는 증발식 냉각기(40)와 반응기(50) 사이에 배치된다. 분리기 용기(60)는 증발식 냉각기로부터 응축된 증기를 함유하는 생성물 스트림으로부터 수성 상을 분리시키는 역할을 한다. 증발식 냉각기(40)는 분리기 도관(62)에 의해 분리기 용기(60)에 연결되고 분리기 용기(60)는 공급관(64)에 의해 반응기(50)에 연결된다. 분리기 용기(60)는 생성물 스트림이 증발식 냉각기(40)로부터 분리기 도관(62)을 통해 분리기 용기(60)로, 그리고 공급 물 도관(64)을 통해 다시 반응기(50)로 중력 하에서 흐르도록 시스템(10) 내에 배치된다.
또한 시스템(10)은 증발식 냉각기(40)와 분리기 용기(60) 사이의 분리기 도관(62) 내에 배치된 열 교환기(82)를 포함한다. 증발식 냉각기(40)에서 나오는 생성물 스트림은 열 교환기(82)를 통해 분리기 용기(60)에 공급된다. 여기서 열 교환기(82)는 선택적이며 생략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증발식 냉각기(40)에서 나오는 생성물 스트림은 분리기 용기(60)로 직접 흐른다.
공급관(64)은 분리기 용기(60)의 상부 영역에 연결된다. 분리기 도관(62)은 분리기 용기(60)의 중간 영역에 연결된다. 분리기 용기(60)로부터 수성 상을 제거하는 역할을 하는 유출(66)은 분리기 용기(60)의 하부 영역에 연결된다.
증발식 냉각기(40) 내에서, 반응기(50)에서 형성된 기체 증기는 수직 튜브(44)에서 상승한다. 냉각제는 튜브(44) 둘레로 흐른다.
냉각제는 냉각제 입구를 통해 증발식 냉각기(40)로 공급되고, 수직 튜브(44) 주위로 흐르고 냉각제 출구를 통해 증발식 냉각기(40)로부터 다시 배출된다. 이 과정에서, 냉각제는 튜브(44)를 냉각시키고 또한 반응기(50)로부터 반응기 내에 존재하는 증기를 냉각시킨다. 결과적으로, 증기는 응축되고 응축된 증기를 포함하는 생성물 스트림은 분리기 도관(62)을 통해 분리기 용기(60)로 흐른다.
하나 이상의 공급 개구(46)가 증발식 냉각기(40)의 캡(42)에 배치된다. 증발식 냉각기(40)의 캡(42) 내의 공급 개구(46)는 성분들을 증발식 냉각기(40) 내에 도입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복수의 노즐(48)은 증발식 냉각기(40)의 캡(42)에 제공될 수 있다. 노즐(48)은 공급 개구(46)에 접속된다. 공급 개구(46)를 통해 증발식 냉각기(40)의 캡(42)으로 도입되는 성분은 따라서 캡 증발식 냉각기(40)의 캡(42) 내의 노즐(48)로 이동한다.
노즐(48)은 증발식 냉각기(40)의 캡(42) 내에 배치되어, 증발식 냉각기(40)로 공급 개구(46)를 통해 도입되는 성분이 증발식 냉각기(40)의 모든 수직 튜브(44) 위로부터 분배되는 방식으로 분배된다. 증발식 냉각기(40) 내로 공급 개구(46)를 통해 도입된 가스는 반응기(50)로부터의 증기가 응축하는 증발식 냉각기(40)의 수직 튜브(44)로 중력 하에서 낙하한다.
제 2 공급관(32)은 증발식 냉각기(40)의 캡(42)에 연결된다. 제 2 공급관(32)은 증발식 냉각기(40) 내로 성분을 도입하는 역할을 한다. 제 2 공급관(32)은 증발식 냉각기(40)의 캡(42) 내의 공급 개구(46)에 연결된다.
따라서 제 2 공급관(32)을 통해 도입된 성분은 공급 개구(46)를 통해 증발식 냉각기(40)의 캡(42) 내의 노즐로 그리고 수직 튜브(44)로 이동한다.
제 2 회수관(35)은 제 2 공급관(32)으로 개방된다. 제 2 회수관(35)은 수집 용기(80)에 연결된 제 1 회수관(36)과 유사하다. 따라서 수집 용기(80) 및 미반응 단량체에 존재하는 용매는 제 2 회수관(35)은 증발식 냉각기(40) 내로 용매 및 미반응 단량체를 도입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오프가스 도관(49)은 증발식 냉각기(40)의 캡(42)의 상부 측에 연결된다. 증발식 냉각기(40)로부터의 오프가스는 오프가스 도관(49)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도 2 는도 1에 도시된 중합체를 생산하기 위한 시스템(10)의 증발식 냉각기(40)의 하부 영역의 상세한 개략도를 도시한다. 특히, 튜브(44) 아래에 위치한 증발식 냉각기(40)의 하부 영역 분리기 도관(62)과 반응기(50)가 연결되는 부분이 도시되었다.
증발식 냉각기(40)의 하부 영역은 대략 깔때기 형상을 갖는다. 라이저 튜브(67)는 반응기(50)로부터 증발식 냉각기(40)의 깔때기 모양의 하부 영역으로 연장된다. 커버(68)는 라이저 튜브(67)의 위와 튜브(44) 아래에 배치된다. 커버(68)는 중력하에서 튜브(44)로부터 증기가 아래로 흐르고 또한 단량체가 커버(68)에 충돌하여 깔때기 형태의 하부 영역의 내부 벽으로 측방향으로 전환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커버(68)는 증기가 튜브(44)로부터 중력하에서 아래로 흐르고 단량체가 라이저 튜브(67)로 떨어지고 반응기(50)로 흐르는 것을 방지한다.
증발식 냉각기(40)의 깔때기 형상의 하부 영역의 외벽에는 배출구(63)가 설치된다. 분리기 도관(62)은 배출구(63)에 연결된다. 증기는 중력의 힘에 의해 튜브(44)로부터 아래로 흐르고 또한 단량체는 생성물 스트림으로서 배출 포트(63)를 통해 분리기 도관(62)으로 그리고 추가로 분리기 용기(60)로 흐른다.
반응기(50)에서, 단량체의 중합은 교반기(52)에 의해 교반되면서 일어난다. 중합 반응에서 반응열이 발생한다. 반응열은 반응기(50)로부터 증발식 냉각기(40) 내로 상승하는 기체 증기를 발생시킨다. 반응기(50)에서 형성된 기체 증기는 증발식 냉각기(40)의 수직 튜브(44)에서 상승하고 거기에서 냉각된다. 그 결과, 증기가 응축되고, 응축된 증기를 포함하는 생성물 스트림이 분리기 용기(60)로 흐른다.
중합에서 형성된 중합체 조성물은 약 50% 내지 80%,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70%의 고체 함량을 갖는다. 그 다음 중합체 조성물은 배출관(34)을 통해 탈기 유닛(70)으로 공급된다. 탈기 유닛(70)에서 휘발성 성분, 특히 용매 및 미반응 단량체가 중합체 조성물로부터 제거된다. 생성된 중합체는 이제 휘발성 성분이 거의 없으며, 도관(38)을 통해 시스템(10)으로부터 제거된다.
중합체 조성물로부터 제거된 용매 및 또한 미반응 단량체는 응축 유닛(71) 및 수집 용기(80)를 통해 전달되고, 가능하게는 부분적으로 제 1 회수관(36)을 통해 반응기(50)로 다시 재순환되거나 또는 제 2 회수관(35)을 통해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증발식 냉각기(40) 내로 다시 재순환된다.
성분들은 액체 형태로 존재한다. 성분들은 증발식 냉각기(40)의 캡(42) 내의 공급 개구(46)를 통해 증발식 냉각기(40) 내로 도입된다. 성분들은 증발식 냉각기(40)의 캡(42) 내의 노즐(48)을 통해 증발식 냉각기(40)의 수직 튜브(44) 내로 분산된다. 여기서, 성분들은 중력의 힘에 의해 위로부터 증발식 냉각기(40)의 수직 튜브(44) 내로 낙하한다.
반응기(50)에서의 중합의 결과로서 발생하는 반응열로 인해, 기체 증기는 또한 반응기(50)로부터 중력에 대항하여 증발식 냉각기(40)의 수직 튜브(44) 내로 상승한다. 여기에서, 증기는 냉각 및 응축된다. 이 과정에서, 응축된 증기는 위로부터 중력 하에서 제 2 공급관(32)을 통해 증발식 냉각기(40)의 수직 튜브(44)로 도입된 성분 및 제 2 회수관(35)을 통해 도입된 물질과 혼합된다.
응축된 증기는 이어서 제 2 공급관(32)을 통해 증발식 냉각기(40)로 도입된 성분과 함께 그리고 증발식 냉각기(40)로부터 분리기 용기(60)로 중력 하에서 생성물 스트림으로서 제 2 회수관(35)을 통해 공급된 물질과 함께 흐른다.
분리기 용기(60)에서, 수성 상이 바닥에 침강하고, 분리 층이 수성 상 바로 위에 형성된다. 수성 상은 선택적으로 분리 층과 함께 분리기 용기(60)로부터 유출(66)을 통해 배출된다. 따라서 수성 상 및 분리 층은 응축된 증기 및 증발식 냉각기(40) 내로 도입된 성분들을 함유하는 생성물 스트림으로부터 분리된다.
실질적으로 오로지 응축된 증기, 증발식 냉각기(40) 내에 도입된 성분, 즉 단량체 및 용매만을 포함하는 생성물 스트림이 중력하에서 공급관(64)을 통해 반응기(50)에 공급된다. 여기서 공급관(64)은 수성 상 위에서 분리기 용기(60)에 부착된다. 생성물 스트림은 따라서 수성 상 위로부터 분리기 용기(60)를 떠난다.
중합체를 생산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 기술된 공정은 연속 공정에 기초한다. 성분들은 전체적으로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 2 공급관(32)을 통해 증발식 냉각기(40)로 도입되거나 또는 제 1 공급관(31)을 통해 반응기(50) 내로 부분적으로만 도입된다. 제 1 공급관(50)을 통해 반응기(50) 내로 또는 제 2 공급관(32)을 통해 증발식 냉각기(40) 내로 도입되고 탈기 유닛(70) 및 응축 유닛(71)을 통해 재순환되지 않는 액체는 신선한 단량체로 지칭된다.
생성된 중합체는 마찬가지로 유통관(38)을 통해 연속적으로 제거된다. 용매는 시스템(10)에서 순환된다. 용매는 대부분 응축 유닛(71)로부터 제 1 회수관(36)을 통해 반응기(50)로 또는 제 2 회수관(35)을 통해 그 전체 또는 일부가 증발식 냉각기(40)로 운반된다.
본 발명은 예시, 도면 및 청구범위에 의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중합체(SAN)를 생산하기 위한 선행기술로부터 공지된 방법에서, 증발식 냉각기(40)에서 응축된 증기는 용매 및 미반응 단량체와 함께 반응기(50)로 직접 재순환되었다.
생성된 중합체를 연속적으로 제거하고 이어서 추가로 가공하여 펠릿을 생산 하였다. 약 6개월 후에, 사출 성형에 의해 생산된 펠릿으로부터 생산된 공작물에 표면 결함이 관찰되었다. 반응기의 후속 검사는 교반기(52)의 샤프트 및 반응기(50)의 벽의 부분 상에 증착 및 부착을 나타냈다. 작동은 세척없이 계속되었다.
추가로 약 3-6개월 후에 적색 입자가 펠릿에서 발견되었다. 이후의 반응기(50)의 검사는 상기 언급된 침전물 및 오염 물질의 추가 증가뿐만 아니라 침전물 및 침전물 내의 붉은 물질의 비율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바람직하지 않은 성분을 제거하기 위해, 반응기(50)가 세척되어야 했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10)에서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중합체(SAN)를 생산하기 위한 실험에서, 생성물 스트림은 증발식 냉각기(40)로부터 분리기 용기(60)를 통해 반응기(50)로 재순환되었다. 생성된 중합체는 연속적으로 회수되고 후속하여 펠릿을 생산하도록 추가로 처리되었다.
이러한 경우, 사출 성형에 의해 생산된 펠릿으로부터 생산된 공작물에 표면 결함이 관찰되기까지는 약 2년이 걸렸다. 적색 입자는 2년 이내에 팰릿에서 발견되지 않았다. 약 2 년후에, 반응기(50)의 검사가 마찬가지로 수행되었다. 여기서, 교반기(52)의 샤프트 및 반응기(50)의 벽 상에 소량의 오염물질 및 중합체 침전물만이 발견되었다.
10 시스템
31 제 1 공급관
32 제 2 공급관
33 공급관
34 배출관
35 제 2 회수관
36 제 1 회수관
38 유통관
40 증발식 냉각기
42 캡
44 튜브
46 공급 개구
48 노즐
49 배기관
50 반응기
52 교반기
60 분리기 용기
62 분리기 도관
63 방출 포트
64 공급관
66 유출
67 라이저 튜브
68 커버
70 탈기 장치
71 응축 장치
80 수집 용기
82 열 교환기

Claims (17)

  1. 반응기(50)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제 1 성분 및 제 2 성분으로부터 (공)중합체를 생산하는 방법으로서,
    반응기(50)에서 발생하는 반응열은 상기 반응기(50)에서 형성된 기체 증기를 증발식 냉각기(40)에 공급함으로써 상기 증발식 냉각기(40)에 의해서 제거되고,
    상기 방법은,
    응축된 증기를 함유하는 생성물 스트림은 상기 증발식 냉각기(40)로부터 분리기 용기(60)를 통해 상기 반응기(50)로 재순환되고,
    상기 생성물 스트림은 상기 분리기 용기(60) 내에 들어가기 전에 열 교환기(82)에서 냉각되고,
    상기 제 1 성분 및/또는 상기 제 2 성분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증발식 냉각기(40)를 통해 도입되고 상기 분리기 용기(60)를 통해서 상기 증발식 냉각기(40)로부터 상기 반응기(50)로 진행하고,
    수성 상(aqueous phase)이 상기 분리기 용기(60)에서 상기 생성물 스트림으로부터 분리되며,
    상기 생성물 스트림이 상기 분리기 용기(60)로부터 중력 하에서 상기 반응기(50) 내로 흐르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성분은 스티렌을 함유하고 상기 제 2 성분은 아크릴로니트릴을 함유하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성분은 아크릴로니트릴을 함유하고 제 1 성분은 알파-메틸 스티렌을 함유하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성분은 스티렌을 함유하고 상기 제 2 성분은 메틸 메타크릴레이트를 함유하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방법.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기 용기(60)에서 수성 상 위에 형성된 분리 층이 상기 생성물 스트림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성분 및/또는 상기 제 2 성분은 부분적으로 상기 반응기(50)에 직접 도입되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방법.
  7. 제 1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성분 및/또는 상기 제 2 성분은 상기 증발식 냉각기(40) 및/또는 상기 반응기(50)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액체 형태로 공급되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방법.
  8. 제 1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성분 및/또는 상기 제 2 성분은 응축 유닛(71)으로부터 복귀 도관(35)을 통해 상기 증발식 냉각기(40) 내로 재순환되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방법.
  9. 적어도 하나의 제 1 성분 및 제 2 성분으로부터 중합체를 생산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반응기(50), 및
    상기 반응기(50)에서 발생하는 반응열을 제거하기 위한 증발식 냉각기(40)를 포함하고,
    상기 시스템은
    응축된 증기를 함유하는 생성물 스트림이 상기 증발식 냉각기(40)로부터 분리기 용기(60)를 통해 상기 반응기(50) 내로 다시 전달되도록 분리기 용기(60)가 상기 증발식 냉각기(40)와 상기 반응기(5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생성물 스트림이 상기 분리기 용기(60) 내에 들어가기 전에 열 교환기(82)에서 냉각되도록 상기 증발식 냉각기(40)와 상기 분리기 용기(60) 사이에 열 교환기(82)가 배치되며,
    반응기(50), 증발식 냉각기(40) 및 분리기 용기(60)는 상기 생성물 스트림이 상기 분리기 용기(60)로부터 중력 하에서 상기 반응기(50) 내로 흐르도록 배치되며,
    상기 증발식 냉각기(40)는 상기 제 1 성분 및/또는 상기 제 2 성분을 도입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공급 개구(46)를 갖고,
    반응기(50), 증발식 냉각기(40) 및 분리기 용기(60)는 상기 반응기(50)에서 형성된 증기가 중력을 거슬러 상기 증발식 냉각기(40) 내로 상승하도록 배치되고,상기 생성물 스트림은 중력 하에서 상기 분리기 용기(60) 내로 흐르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시스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KR1020197012981A 2016-10-04 2017-10-02 중합체 생산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24439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6192168.9 2016-10-04
EP16192168 2016-10-04
PCT/EP2017/074941 WO2018065347A1 (de) 2016-10-04 2017-10-02 Verfahren und system zur herstellung eines polyme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6043A KR20190066043A (ko) 2019-06-12
KR102443964B1 true KR102443964B1 (ko) 2022-09-15

Family

ID=57068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2981A KR102443964B1 (ko) 2016-10-04 2017-10-02 중합체 생산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11512149B2 (ko)
EP (1) EP3523346A1 (ko)
KR (1) KR102443964B1 (ko)
CN (1) CN110099936A (ko)
WO (1) WO201806534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1977B1 (ko) * 2018-12-19 2022-07-18 주식회사 엘지화학 방향족 비닐 화합물-비닐시안 화합물 중합체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TWI707876B (zh) * 2019-01-07 2020-10-21 台灣化學纖維股份有限公司 用於製備苯乙烯-丙烯腈共聚物的設備
CN114470812B (zh) * 2021-12-28 2023-05-26 万华化学集团股份有限公司 Tdi回收液中焦油粉末的分离装置及方法
WO2023166120A1 (en) * 2022-03-03 2023-09-07 Ineos Styrolution Group Gmbh Continuous method of manufacturing acrylonitrile-containing copolymers with reduced content of propionitril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28925A (zh) 2013-11-08 2015-05-20 中国石油天然气股份有限公司 一种两釜串联聚合生产san树脂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97498A (en) 1968-06-19 1971-08-03 Monsanto Co Reinforced polymers containing a matrix of pvc or abs with a carrier of styrene-acrylonitrile reinforced with any of a polycarbonate,nylon 66 or polyoxymethylene
US3737288A (en) 1971-06-18 1973-06-05 Exxon Co Antifouling deflector in olefin polymerization reactors
US4060680A (en) * 1975-04-10 1977-11-29 Imperial Chemical Industries Limited Production of acrylonitrile copolymers
US4555384A (en) * 1982-09-24 1985-11-26 Cosden Technology, Inc. Apparatus for producing styrenic/alkenylnitrile copolymers
KR880002903A (ko) * 1986-08-22 1988-05-12 엠. 노어우드 췌어스 스티렌/알케닐니트릴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US5980790A (en) * 1997-03-04 1999-11-09 Mitsubishi Gas Chemical Company, Inc. Process for producing a copolymer
DE19711020A1 (de) 1997-03-17 1998-09-24 Basf Ag Polymerisationsreaktor
DE19752394A1 (de) 1997-11-19 1999-05-20 Basf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fropfpolymerisaten
DE10030618A1 (de) 2000-06-28 2002-01-10 Basf Ag Kautschukhaltige Styrolpolymere mit verbesserter Schlagzähigkeit
JP2009007304A (ja) 2007-06-28 2009-01-15 Mitsubishi Gas Chem Co Inc アダマンチル(メタ)アクリレート類の製造方法
US7745552B2 (en) 2007-06-29 2010-06-29 Exxonmobil Research And Engineering Company Fouling prevention in polymerization reactors
DE102008000432A1 (de) 2008-02-28 2009-09-03 Evonik Röhm Gmbh Rührkesselreaktor sowie Verfahren zur Durchführung einer Polymerisationsreaktion unter Verwendung eines solchen Rührkesselreaktors
US7750095B2 (en) 2008-08-22 2010-07-06 Chevron Phillips Chemical Company Lp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fouling in a reactor
US9249290B2 (en) 2012-01-13 2016-02-02 Styrolution Europe Gmbh Terpolymer molding compounds with a low yellow index, method for producing same, and use thereof
KR101717819B1 (ko) * 2014-06-27 2017-03-17 롯데첨단소재(주) 스티렌계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28925A (zh) 2013-11-08 2015-05-20 中国石油天然气股份有限公司 一种两釜串联聚合生产san树脂的方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MATER.CHEM.2004.14.2421-2424
POLYM. CHEM. 2014. 5. 528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099936A (zh) 2019-08-06
US11512149B2 (en) 2022-11-29
EP3523346A1 (de) 2019-08-14
WO2018065347A1 (de) 2018-04-12
KR20190066043A (ko) 2019-06-12
US20210284760A1 (en) 2021-09-16
US20230064044A1 (en) 2023-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3964B1 (ko) 중합체 생산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TWI432467B (zh) 聚烯烴之精製方法
JP5453100B2 (ja) 特定の冷却によるアセトンシアンヒドリンおよびその後続製造物の製造方法
CN108473605A (zh) 用于聚合物的在线共混的方法和装置
CN108602900A (zh) 一种用于在溶液聚合过程中回收烃的方法
JP4104127B2 (ja) 液相豊富化およびベッド注入を伴う流動床において凝縮モードを用いるプロセス
CA2493819C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al of volatiles from a mass processable polymer
US4483747A (en) Monomer removal from the slurry of vinyl chloride resin with steam by using improved plate tower
EP1084739A2 (en) Polymer devolatilisation apparatus and method
JP5528116B2 (ja) 共沸蒸留によるメタクリル酸アルキルエステルの製造方法
US10604595B2 (en) Process for withdrawing polyolefins
JP3724012B2 (ja) 残留モノマー除去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る残留モノマー除去方法
CN107793498B (zh) 一种橡胶聚合物凝聚的方法和装置
KR20140097595A (ko) 알킬 메타크릴레이트의 흡착 정제 방법
IE42595B1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reducing the content of volatile constituents of vinyl chloride polymers
KR102397142B1 (ko) 중합체 생산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US7714083B2 (en) Recycle of hydrocarbon gases from the product tanks to a reactor through the use of ejectors
US7153929B2 (en) Copolymers, devoid of rubber, with low residual monomer content and a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the same
EP3277404B1 (en) Wet scrubbing high rubber graft abs particulate vent vapors
CN106540472A (zh) 橡胶聚合物用凝聚釜和凝聚装置以及橡胶聚合物溶液的凝聚方法
CN107793504B (zh) 一种橡胶聚合物凝聚的装置
AU748690B2 (en) Method for reducing the formation of foam during the treatment of a dispersion or a liquid with water vapour
CN109952322A (zh) 用于聚合丙烯酸酯的方法和系统
JPH05123501A (ja) 揮発性物質の連続的分離方法および該方法を実施するための装置
JPH04130105A (ja) 揮発性物質の除去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