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3045B1 - 그리들 장치 및 그리들 장치가 구비된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그리들 장치 및 그리들 장치가 구비된 조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3045B1
KR102443045B1 KR1020210040174A KR20210040174A KR102443045B1 KR 102443045 B1 KR102443045 B1 KR 102443045B1 KR 1020210040174 A KR1020210040174 A KR 1020210040174A KR 20210040174 A KR20210040174 A KR 20210040174A KR 102443045 B1 KR102443045 B1 KR 1024430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cket
frame
heating plate
housing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0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37651A (ko
Inventor
이국행
석준호
김양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100376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76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30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30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 A47J37/0676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electrically heat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 A47J37/0682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gas-he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0Tops, e.g. hot plates;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4Spillage trays or groo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8Arrangement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king compartments, e.g. for warming or for storing utensils or fuel containers; Arrangement of additional heating or cooking apparatus, e.g. gri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08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8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 F24C3/085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on r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그리들 장치 및 그리들 장치가 구비된 조리기기는, 상면이 개구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는 버너; 상기 하우징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부 둘레의 외관을 형성하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와 연통되는 프레임 개구가 형성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 개구의 일부를 차폐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며, 상기 버너에 의해 가열되는 조리 면을 제공하는 가열 플레이트; 상기 프레임 개구의 일단과 상기 가열 플레이트를 연결하도록 결합되며, 이물질이 수용되도록 하방으로 함몰된 공간을 제공하는 포켓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과 가열 플레이트 및 포켓부는 각각 별도로 성형되며, 상기 프레임 개구 내측에 상기 가열 플레이트와 상기 포켓부가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 개구를 완전히 차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그리들 장치 및 그리들 장치가 구비된 조리기기 {GRIDDLE DEVICE AND COOKING APPARATUS HAVING THE SAM}
본 발명은 그리들 장치 및 그리들 장치가 구비된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을 요리하기 위한 가전기기의 하나로써 주방 공간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음식물을 요리하는 기기이다. 이러한 조리기기는 사용되는 열원 또는 형태, 연료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할 수 있다.
조리기기를 음식물을 조리하는 형태에 따라 분류하여 보면, 음식물이 놓이는 공간의 형태에 따라 개방형과 밀폐형 조리기기로 분류할 수 있다. 밀폐형 조리기기에는 오븐, 전자레인지 등이 있으며, 개방형 조리기기에는 쿡탑, 홉 등이 있다.
근래에는, 밀폐형 조리기기의 상방에 개방형 조리기기가 배치되는 복합형 조리기기가 개발되고 있으며, 다양한 조리 방식 및 구조를 가지는 장치들이 조합되도록 개발되고 있다.
그리들은 상부가 개구된 조리판 하부에 가스 버너나 열선과 같은 가열수단을 설치한 형태로 제공된다. 이러한 그리들은 가열수단에 의해 가열되는 철판 형태의 조리판에 고기, 채소 등의 구이 요리를 하는 용도로 사용되며, 주로 대형 음식점이나 급식소 등에서 사용되나, 최근에는 가정용으로의 사용도 점차 증가되고 있다.
그리들은 조리 중에 발생하는 기름으로 인한 화재의 위험이 있어 조리 및 사용 중 주의를 요구하게 된다.
본 발명은 사용 편의성이 향상된 그리들 장치 및 그리들 장치가 구비된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사용 안전성이 향상된 그리들 장치 및 그리들 장치가 구비된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조립 작업성 및 생산성이 향상된 그리들 장치 및 그리들 장치가 구비된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외관이 개선된 그리들 장치 및 그리들 장치가 구비된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조리기기의 일측에 모듈 방식으로 장착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그리들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모듈화된 다수의 조리장치들의 공용 장착 구조를 가지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그리들 장치는 상면이 개구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는 버너; 상기 하우징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부 둘레의 외관을 형성하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와 연통되는 프레임 개구가 형성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 개구의 일부를 차폐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며, 상기 버너에 의해 가열되는 조리 면을 제공하는 가열 플레이트; 상기 프레임 개구의 일단과 상기 가열 플레이트를 연결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 개구의 다른 일부를 차폐하며, 이물질이 수용되도록 하방으로 함몰된 공간을 제공하는 포켓부;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전방에 버너가 수용되는 공간과 후방에 상기 포켓부가 수용되는 공간으로 구획하는 베리어를 포함하며, 상기 베리어는,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서 수직하게 연장되는 구획부; 상기 구획부의 상단에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부; 및 상기 경사부의 상단에서 절곡되며, 상기 가열 플레이트의 하면을 지지하는 접촉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열 플레이트의 장착시 상기 경사부는 탄성 변형되고, 상기 접촉부가 상기 가열 플레이트를 가압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포켓부는, 일단이 상기 가열 플레이트의 단부와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프레임과 결합되며, 상기 포켓부의 결합에 의해 상기 프레임과 상기 가열 플레이트의 사이 공간을 차폐할 수 있다.
상기 가열 플레이트는, 상기 조리 면을 형성하는 판상의 가열부와; 상기 가열부의 둘레에 결합되며, 상기 가열부 보다 상방으로 연장되는 테두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테두리부는 상기 프레임 개구의 내측면에 결합되며, 상기 상기 프레임의 높이보다 더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개구의 상단에는 내측으로 돌출되는 개구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 돌출부의 하면은 상기 테두리부의 상단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의 외측면에는 상기 프레임을 관통하여 상기 테두리부에 체결되는 체결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개구는, 상기 가열 플레이트가 장착되는 플레이트 장착부와; 상기 플레이트 장착부의 일단에서 상기 포켓부가 장착되는 포켓 장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포켓 장착부의 폭은 상기 플레이트 장착부보다 더 넓게 형성되며, 상기 포켓 장착부의 양단이 상기 플레이트 장착부보다 더 함몰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 장착부의 내측면은 하방에서 상방으로 갈수록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포켓부의 내측에는, 상기 가열 플레이트로부터 유입되는 이물질이 유입되는 포켓 트레이가 탈착 가능하게 수용되며, 상기 프레임 개구의 내측면에는 상기 포켓 트레이의 양단이 안착되는 트레이 안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포켓부의 내측 바닥면에는 체결홀이 형성되며, 상기 포켓부의 내측에서 체결되는 체결부재는 상기 체결홀을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포켓부의 상단을 따라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포켓 테두리가 형성되며, 상기 포켓 테두리는, 상기 프레임의 전단에 결합되는 프론트 파트; 상기 가열 플레이트의 하면에 결합되는 리어 파트; 및 상기 프레임 개구의 양측면에 접하는 사이드 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개구의 내측면에는 상기 사이드 파트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함몰되어 상기 사이드 파트와 결합되는 수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열 플레이트는 상기 포켓부의 함몰된 공간의 내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열 플레이트의 하면에는 플레이트 홈이 형성되며, 상기 플레이트 홈은 상기 가열 플레이트의 일측단에서 타측단까지 연장되며, 상기 포켓부의 함몰된 공간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포켓부의 상단에는 상기 포켓부의 내측에서 상기 가열 플레이트까지 경사지게 형성되는 포켓 경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포켓 경사부는 상기 플레이트 홈의 후방에서 상기 가열 플레이트와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상기 프레임 개구의 양측면에는 상기 베리어의 양측단을 수용하는 단차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의 양측면 하단에는 상기 포켓부의 양측면 상단이 삽입되는 수용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는, 조리 공간을 형성하는 캐비티를 개폐하는 도어가 전면에 구비되는 오븐부; 상기 오븐부의 상방에 구비되며, 조리 기기의 상면을 형성하는 쿡탑부; 및 상기 쿡탑부에 장착되어 상기 쿡탑부의 상면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그리들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그리들 장치는, 상면이 개구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는 버너; 상기 하우징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부 둘레의 외관을 형성하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와 연통되는 프레임 개구가 형성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 개구의 일부를 차폐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며, 상기 버너에 의해 가열되는 조리 면을 제공하는 가열 플레이트; 상기 프레임 개구의 일단과 상기 가열 플레이트를 연결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 개구의 다른 일부를 차폐하며, 이물질이 수용되도록 하방으로 함몰된 공간을 제공하는 포켓부;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전방에 버너가 수용되는 공간과 후방에 상기 포켓부가 수용되는 공간으로 구획하는 베리어를 포함하며, 상기 베리어는,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서 수직하게 연장되는 구획부; 상기 구획부의 상단에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부; 및 상기 경사부의 상단에서 절곡되며, 상기 가열 플레이트의 하면을 지지하는 접촉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열 플레이트의 장착시 상기 경사부는 탄성 변형되고, 상기 접촉부가 상기 가열 플레이트를 가압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쿡탑부에는 상기 그리들 장치와 나란히 가스레인지가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프레임은 상기 가스레인지의 상부 외관을 형성하는 그레이팅과 동일 소재로 형성되고, 동일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그리들 장치 및 그리들 장치가 구비된 조리기기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그리들 장치에서는 조리 중 발생되는 오일이 그리들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여 오일 유입에 의한 화재 발생 가능성을 최소화 하여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그리들 장치에서는 프레임에 상기 가열 플레이트가 측방에서 체결되는 체결부재에 의해 용이하게 결합 고정될 수 있으며, 따라서 작업성 및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잇다.
그리고, 상기 포켓부가 별도 구성으로 제공되어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도록 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상기 프레임의 구조를 보다 간결하게 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프레임을 주물에 의해 성형하는 것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포켓부는 상기 하우징 및 가열 플레이트와 간단하고 용이하게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될 수 있으며, 따라서 작업성 및 생산성을 한층 더 향상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의 경사면과 상기 가열 플레이트의 측면의 단부가 서로 어긋나도록 배치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프레임과 상기 가열 플레이트의 결합시 틈새가 부각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외관 품질이 보다 개선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에서는 상기 쿡탑부에 그리들을 포함하는 다양한 조리 모듈을 배치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그리들을 포함하는 조리 모듈은 상기 쿡탑부에서 다양하게 조합될 수 있으며, 필요한 기능을 가지는 조리 모듈을 상기 그리들을 포함하여 선택적으로 복수개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조리 모듈은 전후 길이가 동일하고 가로 폭이 단위 길이와 같거나 단위 길이의 배수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쿡탑부의 단위 영역 내에 상기 조리 모듈을 자유롭게 배치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조리기기에서 그리들이 분리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쿡탑부와 조작부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상기 그릴들을 상방에서 바라 본 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 그리들의 하방에서 바라 본 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 그리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상기 그릴들의 단면도이다.
도 8은 상기 하우징의 베리어와 밸브 브라켓이 분리된 상태를 상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상기 밸브 브라켓이 분리된 상태를 하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 11은 상기 프레임과 가열 플레이트, 포켓부 및 포켓 트레이의 결합 구조를 상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상기 프레임과 가열 플레이트, 포켓부 및 포켓 트레이의 결합 구조를 하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상기 프레임의 요부를 확대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14는 상기 프레임과 가열 플레이트 및 포켓부의 결합 상태를 보인 부분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에서 상기 가열 플레이트가 분리된 상태를 보인 투시도이다.
도 16은 상기 프레임과 상기 포켓부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에서 상기 프레임을 투시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상기 포켓부와 포켓 트레이를 상방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9는 상기 포켓부와 포켓 트레이를 하방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0은 상기 그리들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B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22는 도 7의 A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상기 조리기기에서 그리들이 분리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1)는 복합식 조리기기(이하 조리기기하 함)로, 하부에 오븐부(10)가 구비되고, 상부에 쿡탑부(2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오븐부(10)는 내부에 조리 공간인 캐비티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전방에서 개폐되는 도어(12)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상기 오븐부(10)는 좌우 양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좌우 양측에 한쌍의 캐비티가 구비될 수 있으며, 각각의 캐비티를 각각의 도어(12)에 의해 개폐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오븐부(10)는 복수로 구성되어 상하 또는 좌우로 배치될 수 도 있다.
상기 오븐부(10)의 상방에는 쿡탑부(2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쿡탑부(20)는 상기 조리기기(1)의 상면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쿡탑부(20)에는 상기 조리기기(1)의 상면을 통해서 조리 가능한 다양한 조리를 위한 장치들이 모듈 타입으로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쿡탑부에 장착 가능한 다양한 조리를 위한 장치들을 조리 모듈이라 부를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쿡탑부(20)는 전체적으로 다수의 상기 조리 모듈(2)들이 조합되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쿡탑부(20)를 구성할 수 있도록 조립되는 상기 조리 모듈(2)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스 버너(501,502,503,504)로 구성된 가스레인지(30)와 가열되는 철판에서 음식물의 조리가 가능한 그리들 장치(4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리 모듈은 필요에 따라 유도가열 방식으로 용기를 가열할 수 있는 인덕션 레인지, 수비드 요리와 같은 저온 밀폐요리가 가능한 수비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리 모듈(2)들은 상기 쿡탑부(20)에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오븐부(10)가 조립된 상태에서 다수의 조리 모듈(2) 중 일부가 선택되어 장착될 수 있다. 즉, 상기 조리 모듈(2)들은 상기 쿡탑부(20)에 나란하게 연속 배치될 수 있으며, 다수의 조리 모듈(2)에 의해 상기 쿡탑부(20)의 상면이 정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리 모듈(2)들은 상기 쿡탑부(20) 상에 어느 위치에도 장착될 수 있으며, 필요한 조합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조리 모듈(2)들의 자유로운 조합 배치 장착시 일체감을 가질 수 있도록 각각의 조리 모듈(2)들은 동일 높이를 가지도록 장착될 수 있으며, 조리 모듈(2)의 사이에는 사이드 데코(미도시)와 같은 별도의 마감재가 구비되어 일체감을 가지도록 할 수도 있다.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쿡탑부(20)의 중앙에 그리들 장치(40)가 배치되고, 좌우 양측에 가스레인지(3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그리들 장치(40)의 양측에 배치되는 한쌍의 상기 가스레인지(30)는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가스레인지(30)와 그리들 장치(40)를 포함하는 상기 조리 모듈(30)의 전후 방향 길이는 각각 상기 쿡탑부(20)의 전후 방향 길이와 동일한 전후 방향의 길이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쿡탑부(20)에 상기 조리 모듈(2)이 장착되면, 상기 조리 모듈(2)의 전단과 후단은 각각 쿡탑부(20)의 전단과 후단에 안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리 모듈(2)의 가로 방향(도 1에서 좌우측 방향) 길이는 상기 쿡탑부(20) 또는 상기 쿡탑부(20)의 내구 공간의 전체 가로 방향 길이(Lt)의 1/N길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단위 길이(L)와 대응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예컨데, 상기 쿡탑부(20)의 가로 방향 길이는 3개의 단위 길이(L)로 설정될 수 있을 것이며, 상기 그리들 장치(40)와 한쌍의 상기 가스레인지(30) 각각의 가로 길이는 각각 1개의 단위 길이(L)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리 모듈(2)들이 모두 상기 쿡탑부(20)에 장착된 상태에서, 각각의 조리 모듈(2)의 높이는 동일하게 된다. 즉, 상기 그리들 장치(40)와 가스레인지(30)는 상기 쿡탑부(20)에 장착된 상태에서 각각의 상면이 동일 평면상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가스레인지(30)의 그레이팅(31)과 상기 그리들 장치(40)의 프레임(60)은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게 되어 상기 조리기기(1)가 전체적으로 일체감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조리 모듈(2)은 상기 쿡탑부(20) 내부에 구비되는 마운팅 브라켓(202)에 의해 고정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마운팅 브라켓(202)은 상기 쿡탑부(20) 내부에 형성되는 모듈 장착 공간(201)에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그리들 장치(40)를 하방에서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그리들 장치(40)는 상기 마운팅 브라켓(202)과 결합되어 상기 쿡탑부(20 상에 고정 장착될 수도 있다.
상기 쿡탑부(20)의 후단에는 배기부(1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기부(13)는 상기 오븐부(10) 내부의 공기를 배기함은 물론 상기 쿡탑부(20) 내부의 열을 외부로 배기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배기부(13)의 상면에는 다수의 홀이 그릴 과 같은 형상으로 연속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기부(13)의 내측은 상기 오븐부(10) 및 상기 쿡탑부(20)와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오븐부(10)의 동작시 상기 오븐부(10)의 열기 및 연소 가스가 배기될 수 있으며, 상기 조리 모듈(2)의 동작시 발생되는 열기와 연소 가스 또한 배기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조리기기(1)의 외측에서 상기 쿡탑부(20)로 유입되어 상기 상기 쿡탑부(20) 내부를 냉각하는 냉각 공기 또한 상기 배기부(13)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쿡탑부(20)의 전면에는 조작부(14)가 구비된다. 상기 조작부(14)는 상기 쿡탑부(20) 전면을 형성하는 조작 패널(141)과, 상기 조작 패널(141)의 중앙에 구비되며, 상기 조리기기(1)의 동작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142)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142)를 기준으로 상기 조작 패널(141)의 양측에 다수개 구비되는 조작부재(1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재(143)는 일 예로 노브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쿡탑부(20)를 구성하는 상기 조리 모듈(2)의 장착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조리 모듈(2)들의 배치가 바뀌게 되면 상기 조작부재(143)의 위치 또한 함께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리 모듈(2)이 상기 쿡탑부(20)에서 어떠한 배치 순서를 가지게 되더라도 상기 조작부재(143)는 대응하는 전방의 영역에 위치될 수 있어 다양한 조리 모듈(2)이 구비된 상태에서도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해당 하는 조작부재(143)를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3은 상기 쿡탑부와 조작부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조작 패널(141)의 전면에는 상기 디스플레이(142)와 다수의 상기 조작부재(14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142)는 상기 조리기기(1)의 전체적인 동작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 스크린 상에 다양한 정보를 표시하게 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142)는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 받을 수 있도록 터치 스크린의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142)는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통해 상기 오븐부(10)의 동작을 설정 및 조작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디스플레이(142)는 상기 오븐부(10)를 포함하여, 상기 조리 모듈(30)의 동작까지 설정 및 조작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디스플레이는 적어도 상기 단위 길이(L)보다는 작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단위 길이(L)의 영역 내에 상기 디스플레이(142)와 적어도 하나의 상기 조작부재(143)가 함께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재(143)는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가스레인지(30)의 전방에는 제 1 내지 제 4 조작부재(143a, 143b, 143c, 143d)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 내지 제 4 조작부재(143a, 143b, 143c, 143d)는 상기 디스플레이(142)를 기준으로 좌우 양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 조작부재(143a)와 제 2 조작부재(143b)는 상기 제 1 버너(301)와 제 2 버너(302)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 3 조작부재(143c)와 제 4 조작부재(143d)는 상기 제 3 버너(303)와 제 4 버너(304)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조작부재(143a)는 상기 제 1 버너(301)의 화력을 조절하고, 제 2 조작부재(143b)는 제 1 버너(301) 후방의 제 2 버너(302)의 화력을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제 3 조작부재(143c)는 제 3 버너(303)의 화력을 조절하고, 제 4 조작부재(143d)는 제 3 버너(303) 후방의 제 4 버너(304)의 화력을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그리들 장치(40)의 전방에는 상기 그리들 장치(40)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제 5 조작부재(143e)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5 조작부재(143e)는 상기 디스플레이(142)의 측방에 배치될 수있다. 따라서, 상기 제 5 조작부재(143e)와 상기 디스플레이(142)는 상기 조작부(14)의 중앙 또는 중앙에 인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조리기기(1)에 장착되는 그리들 장치(40)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상기 그릴들을 상방에서 바라 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상기 그리들의 하방에서 바라 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6은 상기 그리들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7은 상기 그릴들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그리들 장치(40)는 전체적으로 상기 쿡탑부(20)에 장착 가능한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그리들 장치(40)는 하부는 상기 쿡탑부(20)의 내부에 수용되며, 상부는 상기 쿡탑부(20)의 상면을 형성하도록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그리들 장치(40)는 버너(80) 등을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50)과, 상기 버너(80)에 의해 가열되는 가열 플레이트(70) 그리고 가열 플레이트(70)의 둘레를 형성하는 프레임(6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리들 장치(40)는 하우징(50)과 가열 플레이트(70), 프레임(6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조리기기(1)에 장착되어 상기 조리기기(1)의 일 구성이 될 수 있다. 물론, 상기 그리들 장치(40)는 별도의 케이스(미도시)에 장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조리기기(1)와는 별도로 독립적인 거치 및 사용이 가능한 독립적인 조리기기로 사용 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그리들 장치(40)는 빌트인 구조로 주방기기 또는 가구에 장착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그리들 장치(40)의 벤트부(64)가 형성되는 부분을 후방, 포켓부(90)가 형성되는 부분을 전방, 상기 하우징(50)의 바닥면을 하방 그리고 상기 가열 플레이트(70)의 상면을 상방으로 정하고 이에 따라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하우징(50)은 상면이 개구된 상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쿡탑부(20)의 내측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50)의 내부에는 가스의 공급에 의해 연소되는 버너(8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버너(80)의 점화시 상방의 상기 가열 플레이트(70)가 가열 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50)의 내부는 베리어(51)에 의해 전후로 구획될 수 있으며, 전방의 구획된 공간에 포켓부(90)가 배치될 수 있고, 후방의 구획된 공간에 상기 버너(80) 및 가열 플레이트(7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50)의 바닥면에는 가스 연소를 위한 공기의 유입을 위해 다수의 에어홀(522)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50)의 전단은 하면이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단차지게 형성된 공간에는 상기 버너(80)로의 가스 공급을 위한 가스 밸브(561)와 상기 버너(80)와 연결되는 연결관(562)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50)의 개구된 상면은 상기 가열 플레이트(70)와 포켓부(90)가 장착된 상태의 상기 프레임(60)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60)은 상기 그리들 장치(40)의 장착시 외부로 노출되는 상부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60)은 하우징의 상단 둘레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60)의 내측에 장착되는 상기 가열 플레이트(70)에 의해 상기 하우징(50)의 후방 공간이 차폐되고, 상기 포켓부(90)에 의해 상기 하우징(50)의 전방 공간이 차폐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하우징(50)의 구조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8은 상기 하우징의 베리어와 밸브 브라켓이 분리된 상태를 상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9는 상기 밸브 브라켓이 분리된 상태를 하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0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하우징(50)은 판상의 스틸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면이 개구된 공간을 형성하도록 절곡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50)의 상단에는 절곡부(521, 531, 541)가 형성되어 상기 가열 플레이트(70)와 결합된 프레임(60)이 안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절곡부(521, 531, 541)는 상기 하우징(50)의 전단과 후단에서 각각 전방과 후방을 향하도록 연장되는 제 1 절곡부(531, 541)와 상기 하우징(50)의 좌우 양측단에서 각각 상기 하우징(50)의 내측을 향하도록 연장되는 제 2 절곡부(5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50)은 상기 가열 공간(501)의 하면과 양측면을 형성하는 제 1 판(52)과, 상기 단열 공간(502)의 전면과 바닥면 그리고 가열 공간(501)의 전면을 형성하는 제 2 판(53) 그리고 상기 가열 공간(501)의 후면을 형성하는 제 3 판(54)의 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50)의 내부는 베리어(51)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상기 베리어(51)는 상기 하우징(50)의 내측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50)의 내부 공간을 상기 버너(80)가 수용되는 일 공간과 아래에서 설명할 포켓부(90)를 수용하는 다른 공간으로 구획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버너(80)가 수용되는 공간은 버너(80)의 연소가 일어나는 공간으로 가열 공간(501) 또는 후방 공간이라 부를 수 있으며, 상기 포켓부(90)는 가열이 필요하지 않으며, 상기 가열 공간(501)의 열 침투를 가능한 방지하여야 하므로 단열 공간(502) 또는 전방 공간이라 할 수 있다.
상기 베리어(51)에 의해 단열 공간(502)은 상기 가열 공간(501)과 구획될 수 있으며, 상기 프레임(60) 및 상기 가열 플레이트(70)의 장착시 상기 하우징(50)의 내부는 상기 베리어(51)를 기준으로 전후로 각각 독립된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버너(80)의 연소시 발생되는 열이 상기 단열 공간(502) 내부의 상기 포켓부(90)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베리어(51)는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사기 하우징(50)의 내부 공간의 가로 폭과 대응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리어(51)는 상기 하우징(50)의 바닥면에서 수직하게 연장되는 구획부(5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획부(511)는 상기 가열 플레이트(70)의 하면 보다 낮은 높이까지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획부(511)의 하단은 상기 하우징(50)의 바닥면 또는 상기 단열 공간(502)의 바닥면까지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획부(511)의 하부에는 상기 버너(80)의 적어도 일부가 출입될 수 있도록 베리어 절개부(511a)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획부(511)의 양단에는 절곡 형성되는 베리어 고정부(511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리어 고정부(511b)는 상기 하우징(50)의 좌우 양측면에 고정되어 상기 베리어(51)가 장착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구획부(511)의 상단에는 경사부(51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부(512)는 상기 가열 플레이트(70)를 향하여 연장될 수 있으며, 상방으로 갈수록 전방에서 후방을 향하도록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경사부(512)의 상단은 상기 가열 플레이트(70)의 하면보다 더 높은 높이까지 연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획부(511)의 가로방향 폭보다 상기 경사부(512)의 가로방향 폭이 더 작게 좁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획부(511)의 양측 상단에는 단차진 베리어 단차부(514)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베리어 단차부(514)는 상기 프레임(60)의 내측면에 구속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경사부(512)의 상단에는 상기 가열 플레이트(70)와 접하도록 절곡된 접촉부(513)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열 플레이트(70)가 장착되면, 상기 가열 플레이트(70)의 하면과 상기 접촉부(513)는 접촉되고, 상기 경사부(512)는 가압되어 하방으로 다소 변형될 수 있다. 즉, 상기 베리어(51)의 상단은 상기 가열 플레이트(70)의 하면과 가압 상태로 밀착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가열 공간(501) 내부에서 버너(80)가 연소될 때 발생되는 열은 상기 베리어(51)에 의해 완전히 차단되어 상기 가열 플레이트(70)와 상기 베리어(51)의 사이 틈새를 통해 상기 단열 공간(502)으로 유입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베리어(51)의 상단은 상기 가열 플레이트(70)의 전단보다 더 후방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경사부(512) 및 접촉부(513)는 상기 가열 플레이트(70)의 전단에서 떨어진 부분과 접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경사부(512)는 도 2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포켓부(90)의 결합시 상기 포켓부(90)의 리어 파트(923) 및 상기 리어 파트(923)에 체결되는 체결부재(923b)와 간섭되지 않도록 공간을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단열 공간(502)은 상기 가열 공간(501)의 깊이보다 더 얕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50)의 내부의 가열 공간(501)과 단열 공간(502)은 서로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50)의 전단에는 가스 밸브(561) 및 가스 밸브(561)와 상기 버너(80)를 연결하는 연결관(562)이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공간을 밸브 설치 공간(530)이라 부를 수 있다. 상기 가스 밸브(561) 및 연결관(562)은 상기 단열 공간(502)의 하방 및 상기 가열 공간(501)의 전방에 위치되며, 별도의 밸브 브라켓(55)에 의해 상기 하우징(50)의 외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밸브 브라켓(55)은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가스 밸브(561) 또는 상기 연결관(562)이 관통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가스 밸브(561) 또는 연결관(562)은 상기 밸브 브라켓(55)에 고정 된 상태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밸브 브라켓(55)의 상단과 후단에는 각각 절곡 형성된 상부 절곡부(551)와 후방 절곡부(55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절곡부(551)는 상기 단열 공간(502)의 하면에 형성되는 제 1 개구(532)에 삽입된 상태로 별도의 체결부재가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후방 절곡부(552)는 상기 가열 공간(501)의 전면에 형성되는 제 2 개구(533)에 삽입된 상태로 별도의 체결부재가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스 밸브(561)와 상기 연결관(562)은 서로 나사 결합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단열 공간(502)의 바닥면에는 상기 가스 밸브(561)와 상기 연결관(562)이 연결되는 부위와 대응하는 부분에 제 1 연결 개구(533)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연결 개구(533)를 통해 상기 가스 밸브(561)와 연결관(562)을 연결하거나 연결 상태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연결관(562)의 다른 일단과 상기 버너(80)의 단부가 연결되는 부위와 대응하는 상기 단열 공간(502)의 바닥면에는 제 2 연결 개구(53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연결 개구(534)를 통해서 상기 버너(80)와 연결관(562)을 연결하거나 연결 상태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단열 공간(502)의 바닥면에는 상기 포켓부(90)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체결부재(93)가 체결되는 체결홀(535)이 더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열 공간(501)의 전면 중앙에는 버너 홀(536)이 형성되며, 상기 버너(80)의 후단,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버너(80)의 믹싱 튜브(81)가 상기 연결관(562)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버너(80)는 중앙에 연료 가스와 공기가 혼합 공급되는 믹싱 튜브(81)와, 상기 믹싱 튜브(81)와 연결되는 “U”자 형의 버너 본체(8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믹싱 튜브(81)는 상기 버너 본체(82)의 중앙 부분과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버너 본체(82)의 중앙 부분으로 유입된 연료 가스와 공기의 혼합 가스는 상기 버너 본체(82)를 따라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버너 본체(82)는 상기 가열 공간(501)의 대부분 영역을 채울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가열 플레이트(70)를 고르게 가열 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버너 본체(82) 및 상기 믹싱 튜브(81)와 대응하는 상기 하우징(50)의 바닥면에는 에어홀(52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에어홀(522)을 통해서 상기 버너(80)의 연소에 필요한 산소가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에어홀(522)은 상기 버너 본체(82) 및 상기 믹싱 튜브(81)의 수직 하방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상방에서 바라보았을 때 상기 버너 본체(82)와 믹싱 튜브(81)에 의해 가려져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작업 중 사용자의 손가락이 들어가 다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전후 방향으로 길고 폭이 좁은 다수의 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버너(80)의 좌우 양측방 중 일측에는 상기 가열 플레이트(70)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 측정장치(5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온도 측정장치(56)에 의해 측정되는 온도에 따라 상기 가스 밸브(561)를 개폐할 수도 있으며, 측정된 온도가 사용자에게 외부 장치에 의해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버너(80)의 다른 일측에는 이그나이터(5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그나이터(57)는 상기 버너(80)의 점화를 위한 것으로, 상기 버너(80) 본체를 따라 형성되는 염공(801)에서 토출되는 연료 가스가 점화될 수 있도록 가열된다.
상기 이그나이터(57)는 가스 밸브(561)가 개방된 상태에서 고온을 방열 하여 점화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가스 밸브(561)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동작상태를 유지하여 지속적으로 가열 될 수 있다. 따라서, 일시적인 점화 불능 상태에서도 즉각적이고 연속적인 재점화가 가능할 것이다.
한편, 상기 염공(801)은 상기 버너 본체(82)의 상면 중앙을 따라서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염공(801)을 통해 분사되는 혼합 가스에 연소가 일어나 화염이 발생될 수 있으며, 발생된 화염은 상기 가열 플레이트(70)를 하방에서 가열하게 된다.
이때, 상기 염공(801) 중 상기 이그나이터(57)와 반대되는 위치 즉, 상기 온도 측정장치(56)와 대응하는 상기 버너 본체(82)의 일단에는 염공(801a)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예컨데 버너 본체(82) 전체에 걸쳐 상기 버너 본체(82)를 따라서 1열로 염공(801)이 형성되는 경우, 상기 이그나이터(57)와 반대되는 위치에 2열의 염공(801a)이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이그나이터(57)의 동작시 발생되는 온도와 대응하는 온도로 상기 가열 플레이트(70)를 가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상기 이그나이터(57)의 동작에 의해 국부적으로 고온 가열되지 않도록 반대 위치에 대응하는 온도로 가열할 수 있도록 염공(801)이 더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형성되는 염공(801)의 개수는 이그나이터(57)의 가열 온도에 따라 적절히 선택 가능할 것이다.
한편, 상기 버너(80)의 전단 즉, 상기 가열 공간(501)을 관통하여 후방으로 연장되는 믹싱 튜브(81)는 상기 하우징(5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버너(80)의 후단 즉, 상기 가열 공간(501) 내부의 상기 버너 본체(82)의 벤딩된 중앙부는 버너 브라켓(83)에 의해 상기 하우징(50) 하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50)의 개구된 상면의 둘레를 따라서 상기 프레임(60)이 안착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프레임(60)은 상기 하우징(50) 상단의 제 1 절곡부(531,541)와 제 2 절곡부(521)에 의해 안정적인 지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프레임(60) 및 상기 프레임(60)과 결합되는 구성들의 구조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1은 상기 프레임과 가열 플레이트, 포켓부 및 포켓 트레이의 결합 구조를 상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2는 상기 프레임과 가열 플레이트, 포켓부 및 포켓 트레이의 결합 구조를 하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하우징(50)의 상면에는 프레임(60)이 안착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60)은 중앙에 프레임 개구(61)가 형성되며, 전반부의 포켓 장착부(63)와 상기 포켓 장착부(63)를 제외한 나머지 플레이트 장착부(62)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프레임 개구(61)의 내측에는 상기 가열 플레이트(70) 및 포켓부(90)가 장착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며, 상기 그리들 장치(40)의 외부로 노출되는 상면의 둘레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60)은 상기 가스레인지(30)에 사용되는 그레이팅(31)과 같은 주철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주물 성형되어 동일한 질감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프레임(60)은 주형틀의 구조와 성형 방식의 한계로 구조적인 제약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60)은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스(미도시)에 안착될 수 있는 지지면을 제공할 수도 있으며, 상기 쿡탑부(20)에 모듈 타입으로 장착될 때 상기 모듈방식으로 탈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그리들 장치(40)가 상기 쿡탑부(20)에 모듈 타입으로 장착될 때, 상기 하우징(50)의 하면은 하방에 배치된 마운팅 브라켓(202)에 안착되며, 스크류와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상기 마운팅 브라켓(202)은 상기 쿡탑부(20)의 내부에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그리들 장치(40)를 하방에서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포켓부(90)와 상기 하우징(50)을 차례로 관통하는 스크류에 의해 상기 조리기기(1) 또는 쿡탑부(20)의 다른 일측에 더 고정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프레임(60)의 후단에는 상기 쿡탑부(20)의 리어 서포터(203)에 형성된 설치 홀에 삽입되는 설치 돌기(603)가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프레임(60)의 전단은 상기 쿡탑부(20)의 프론트 서포터(204)에 단차지게 형성된 안착부에 안착될 수 있도록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60)의 좌우 양측단 하면에는 사이드 안착부(601)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안착부(601)에는 사이드 데코(미도시)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데코는 상기 조리기기와 인접하여 연속 배치되는 다른 조리 모듈(2) 예컨데, 가스레인지(30), 인덕션, 수비드 조리장치 등과의 인접하는 경계를 차폐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그리들 장치(40)가 장착될 때 상기 사이드 안착부(601)에 상기 사이드 데코가 위치되도록 하여 상기 그리들 장치(40)와 상기 사이드 데코가 간섭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60)의 후단에는 벤트부(6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벤트부(64)는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는 상기 하우징(50)의 후면 상단과 접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벤트부(64)는 그릴 형상으로 개구되어 상기 하우징 내측 즉, 상기 가열 공간(501) 내부에서 발생되는 연소가스가 배기 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60)에는 가열 플레이트(7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가열 플레이트(70)는 상기 버너(80)의 화염에 의해 가열될 수 있으며, 열전달 성능이 우수한 금속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열 플레이트(70)의 상면에는 코팅과 같은 표면처리를 통해 식품의 가열 조리에 적합하도록 성형될 수 있다.
상기 가열 플레이트(70)는 포켓부(90)와 상기 벤트부(64)를 제외한 상기 프레임(60)의 개구된 나머지 영역을 차폐하게 된다. 즉, 상기 가열 플레이트(70)의 양단은 상기 프레임 개구(61)의 양단에 접하며, 상기 가열 플레이트(70)의 후단은 상기 벤트부(64)와 접하고, 상기 가열 플레이트(70)의 전단은 상기 포켓부(90)가 장착되는 공간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가열 플레이트(70)는 판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가열되는 조리면을 형성하는 가열부(71)와, 상기 가열부(71)의 전단과 상기 가열부(71)의 양측단에서 수직하게 연장되는 테두리부(7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열부(71)는 상대적으로 두께가 두꺼운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버너(80)의 화염에 의해 가열 될 때, 전체면이 고르고 균일한 온도 분포를 가질 수 있도록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열부(71)는 상기 가열 공간(501)의 하면 크기와 대응하는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버너 본체(82)를 상방에서 가릴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버너(80)의 점화에 의해 상기 가열부(71)는 전체적으로 고르게 가열 될 수 있다.
상기 가열부(71)는 상기 테두리부(72)의 하단과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가열부(71)는 상기 프레임(60)의 상면보다는 더 낮은 위치에 위치되고, 상방에서 보았을 때 상기 포켓부(90)가 배치되는 영역을 제외한 상기 프레임 개구(61)의 대부분을 차폐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테두리부(72)는 상기 가열부(71)의 장착시 상기 프레임(60)과 접하는 측면의 형상을 형성하며, 상기 소정의 높이를 가지도록 수직하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테두리부(72)의 상단은 상기 프레임(60)과 접하며, 상기 가열부(71)와 상기 프레임(60)의 사이 공간을 차폐하게 된다. 상기 테두리부(72)의 높이에 따라서 상기 가열부(71)의 상면 즉, 조리 공간의 깊이가 결정될 수 있다.
상기 테두리부(72) 중 후면은 상기 상기 벤트부(64)의 전단과 접하고, 상기 테두리부(72) 중 양측면은 상기 프레임(60)의 양측면과 접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60)의 좌우 양측면에는 플레이트 체결홀(602)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 체결홀(602)과 대응하는 상기 테두리부(72)에는 플레이트 홀(721)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플레이트 체결홀(721)을 관통하여 상기 플레이 홀에 체결되는 체결부재(73)는 상기 프레임(60)의 양측면을 통해에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열 플레이트(70)는 상기 체결부재(73)에 의해 간단하게 상기 프레임(60)에 고정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테두리부(72)는 상기 프레임(60)과의 결합을 위한 것으로 상기 체결부재(73)와의 결합이 가능한 정도의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테두리부(72)는 상기 가열부(71)보다 더 얇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열 플레이트(70)는 두께가 다른 상기 가열부(71)와 테두리부(72)가 서로 용접에 의해 접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60)의 프레임 개구(61) 중 상기 플레이트 장착부(62)의 상단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개구 돌출부(621)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테두리부(72)의 상단은 상기 개구 돌출부(621)의 하면과 밀착되어 실질적으로 상기 가열부(71)의 상방에 형성되는 공간의 양측면과 후면은 상기 프레임(60)과 기밀 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열 플레이트(70)의 장착시 상기 가열 플레이트(70)의 테두리부(72) 상단은 노출되지 않고 상기 개구 돌출부(621)에 의해 가려질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프레임(60)은 금형에 의해 주물 성형되는 상기 프레임(60)의 성형상의 특성에 의해, 상기 프레임(60)의 양측면은 하단에서 상방으로 갈수록 점차 두꺼워지며, 상기 프레임 개구(61)의 좌우 양측면은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열 플레이트(70)의 전단에는 상기 테두리부(72)가 형성되지 않으며, 상기 포켓부(90)까지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열 플레이트(70)에서 흘러내린 기름이나 조리 중 발생되는 찌꺼기 등은 상기 가열 플레이트(70)의 전단을 통해 상기 포켓부(90)의 내측에 유입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개구(61)의 전단에는 포켓 장착부(6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포켓 장착부(63)는 하방에서 장착되는 상기 포켓부(90)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포켓 장착부(63)의 좌우 양측은 함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프레임 개구(61)는 상기 포켓 장착부(63)와 상기 가열 플레이트(70)가 장착되는 플레이트 장착부(72)의 사이에 단차진 부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포켓 장착부(63)에는 상기 포켓부(9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포켓부(90)는 상기 프레임(60)에 고정 장착될 수 있으며, 내측으로 함몰된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포켓 장착부(63)의 내측에는 상기 가열 플레이트(70)로부터 흘러내리는 이물질이나 오일을 모으는 포켓 트레이(95)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포켓 트레이(95)는 별도의 구속구조 없이 탈착 가능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때에 이물질 또는 오일을 비울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레임(60)에 상기 가열 플레이트(70)와 상기 포켓부(90)가 장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프레임(60)이 상기 하우징(50)에 결합될 때 상기 하우징(50)의 개구된 상면을 완전히 차폐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프레임(60)의 구조 및 상기 프레임(60)과 결합되는 구성들의 구조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3은 상기 프레임의 요부를 확대한 부분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4는 상기 프레임과 가열 플레이트 및 포켓부의 결합 상태를 보인 부분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5는 도 14에서 상기 가열 플레이트가 분리된 상태를 보인 투시도이다. 그리고, 도 16은 상기 프레임과 상기 포켓부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7은 도 16에서 상기 프레임을 투시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프레임 개구(61)의 내측면의 좌우 양측 중 전반부에는 상기 가열 플레이트(70)와 베리어(51) 및 포켓부(90)가 모두 배치되며, 이들 구성들이 간섭되지 않으면서 서로 결합 가능한 구조를 가지게 된다.
상기 프레임(60)의 내측면 양측에는 포켓 장착부(63)가 함몰된다. 그리고, 상기 포켓 장착부(63) 내측의 전단에는 트레이 안착부(631)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포켓 장착부(63)의 하단에는 수용홈(632)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포켓 장착부(63)의 후단에는 상기 플레이트 장착부(72)가 내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플레이트 장착부(72) 전단의 하부에는 제 1 단차부(641)와 제 2 단차부(642)가 상하 방향으로 차례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도 14 내지 도 17을 참도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가열 플레이트(70)의 전단은 상기 포켓 장착부(63)를 를 향하여 연장되되 상기 포켓 장착부(63)의 함몰된 좌우 양측보다 더 후방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수직한 상기 가열 플레이트(70)의 테두리부(72) 전단과, 경사를 가지는 상기 플레이트 장착부(72)의 측면(722)의 단차진 전단은 서로 일치되지 않고 전후 방향으로 위치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인하여 전방에서 볼 때 상기 경사진 플레이트 장착부(72)의 내측면과 상기 가열 플레이트(70)의 테두리부(72) 사이의 틈이 시각적으로 강조되지 않으며, 상기 플레이트 장착부(72)의 내측면과 상기 테두리부(72) 사이의 공간이 눈에 띄지 않게 된다.
즉, 상기 플레이트 장착부(72)의 내측면을 경사지도록 하여 상기 프레임(60)의 주물 성형시 금형의 분리가 용이한 구조를 취할 수 있으며, 동시에 상기 가열 플레이트(70)와의 결합시에도 상기 프레임(60)과 상기 가열 플레이트(70) 사이의 틈새가 과도하게 노출되어 외관을 저해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포켓 장착부(63)의 상단에는 상기 포켓부(90)의 내측에 수용되는 포켓 트레이(95)가 안착되는 트레이 안착부(63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 안착부(631)는 상기 포켓 장착부(63)의 내측 전단에서 돌출되며, 상기 포켓 장착부(63)의 상단 보다는 다소 하방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포켓 트레이(95)가 상기 포켓 장착부(63)에 안착될 때 상기 포켓 트레이(95)의 상면과 상기 프레임(60)의 상면이 동일 평면상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켓 장착부(63)의 하단에는 상방으로 함몰된 수용홈(63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홈(632)에는 상기 포켓부(90)의 장착시 상기 포켓부(90)의 좌우 사이드 파트(922)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수용홈(632)은 상기 포켓부(90)의 상면 좌우 양측단 크기와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수용홈(632)에 상기 포켓부(90)를 수용 장착하게 될 경우 상기 포켓부(90)는 정위치에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포켓부(90)를 고정 장착하기 위한 홀(911,921a, 923a)들이 정렬될 수 있다.
상기 포켓부(90)는 상면이 개구되고 하방으로 함몰된 포켓 수용부(91)을 형성하며, 상기 포켓부(90)의 상단의 둘레를 따라서 외측으로 돌출된 포켓 테두리(92)가 형성될 수 있으며, 각각 프론트 파트(921), 리어 파트(923) 및 좌우 측면의 사이드 파트(92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파트(921)와 리어 파트(923) 및 사이드 파트(922)는 각각 상기 프레임(60) 및 가열 플레이트(70)와 결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포켓 테두리(92)의 프론트 파트(921)는 상기 프레임(60)의 전단 하면에 형성되는 전면 결합부(603)와 결합된다. 이때, 상기 프론트 파트(921)에는 다수의 프론트 홀(921a)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프레임(60)의 전단 하면에도 대응하는 홀(603a)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 홀(921a)과 상기 프레임(60)의 홀(603a)에 차례로 체결부재(921b)가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체결부재(921b)의 체결에 의해 상기 포켓부(90)의 전단은 상기 프레임(60)의 전단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포켓부(90)의 리어 파트(923)는 상기 포켓 장착부(63)의 후단을 지나 상기 플레이트 장착부(72)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리어 파트(923)는 상기 가열 플레이트(70)의 하면과 접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리어 파트(923)에는 후면 체결홀이 형성될 수 있으며, 체결부재가 하방에서 상기 후면 체결홀(293b)을 관통하여 상기 가열 플레이트 하면의 홀(712)에 체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포켓부(90)의 후단과 상기 가열 플레이트(70)는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포켓부(90)의 전단과 후단은 각각 프레임(60)과 상기 가열 플레이트(70)에 고정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포켓부(90)에 의해 상기 포켓 장착부(63)가 차폐되고 동시에 상기 프레임(60) 전단과 상기 가열 플레이트(70)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포켓부(90)의 사이드 파트(922)는 상기 포켓 장착부(63)의 양측 하단에 형성된 수용홈(632)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파트(922)는 상기 수용홈(632)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용홈(632)과 상기 사이드 파트(922)의 결합에 의해 상기 포켓부(90)가 정위치에 위치하여 상기 홀(911,921a,923b)들이 정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켓부(90)의 좌우 양측단이 상기 수용홈(632)에 의해 구속되는 상태가 될 수 있어 상기 포켓부는 보다 안정적인 장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포켓 장착부(63)와 접하는 상기 프레임(60)의 양측면 하단에는 제 1 단차부(641)와 제 2 단차부(642)가 상하로 연속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단차부(641)와 제 2 단차부(642)는 상기 가열 플레이트(70)의 장착시 모두 가려질 수 있도록 상기 가열 플레이트(70)의 전단보다 더 후방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단차부(641)는 상기 수용홈(632)의 후단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베리어(51)의 장착시 상기 베리어(51)의 절곡된 경사부(512)의 좌우 양측단이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기 베리어(51)의 경사부(512)의 위치가 정확하게 유지될 수 있으며, 상기 가열 플레이트(70)의 장착시 강기 가열 플레이트(70)가 상기 베리어(51)를 가압하게 되더라도 위치가 이탈되거나 과도하게 절곡되지 않고 상기 베리어(51)의 상단이 상기 가열 플레이트(70)의 하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단차부(641)의 하단은 상기 베리어(51)의 구획부(511)의 상단과 접하여 상기 베리어(51)의 상방 이동을 구속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획부(511) 상단의 폭보다 상기 경사부(512)의 폭이 더 좁게 형성되며, 따라서 상기 구획부(511)와 상기 경사부(512)의 사이에는 단차진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단차부(641)가 상기 구획부(511)와 상기 경사부(512)의 사이 공간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단차부(642)는 상기 제 1 단차부(641)의 상방에 위치되며, 상기 제 1 단차부(641)보다 더 내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 2 단차부(642)에는 상기 포켓부(90) 상단에 돌출된 포켓 경사부(94)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포켓부(90)의 장착시 상기 제 2 단차부(642)에 상기 포켓 경사부(94)가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포켓 경사부(94)의 상단은 상기 프레임(60)의 내측면과 상기 제 2 단차부(642)에 의해 형성되는 단차에 의해 상단이 구속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포켓 경사부(94)는 정확한 장착 위치를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가열 플레이트(70)의 하면과 접할 수 있다.
상기 제 2 단차부(642)의 상방에는 상기 경사진 상기 프레임(60)의 내측면 즉, 상기 플레이트 장착부(72)의 내측면(622)이 상기 제 2 단차부(642)보다 더 내측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가열 플레이트(70)의 양측면 테두리부(72)가 위치하게 된다.
한편, 상기 포켓부(90)의 리어 파트(923)는 상기 포켓부(90)의 상단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며, 다수개가 일정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어 파트(923)는 상기 상기 가열 플레이트(70)의 하면과 접하고 상기 가열 플레이트(70)와 결합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포켓부(90)와 베리어(51)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가열 플레이트(70)가 장착되면, 상기 포켓부(90) 및 상기 베리어(51)가 상기 프레임(60)과 접하는 부분 및 결합을 위한 상기 프레임(60)의 내측면 구조들이 차폐될 수 있게 되며, 따라서 상방에서 보았을 때 상기 그리들 장치(40)의 구성이 간결하여 외관이 보다 개선될 수 있게 된다.
도 18은 상기 포켓부와 포켓 트레이를 상방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9는 상기 포켓부와 포켓 트레이를 하방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포켓부(90)는 상기 프레임(60)과 동일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프레임(60)과는 별도로 주물에 의해 독립적으로 성형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 상기 포켓부(90)는 적절한 다른 금속 소재로 다른 성형 방법을 통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포켓부(90)는 상기 포켓 장착부(63)를 하방에서 차폐할 수 있는 크기와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포켓부(90)는 전체적으로 하방으로 함몰된 공간을 형성하는 포켓 수용부(91)와 상기 포켓 수용부(91)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절곡된 포켓 테두리(9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켓 수용부(91)는 하방으로 함몰되어 포켓 트레이(95)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포켓 수용부(91)의 내측에서 상기 조리 중 흘러내리는 기름과 음식 찌꺼기가 모여질 수 있으며, 상기 포켓 트레이(95)의 탈착을 통해 모여진 기름과 음식 찌꺼기를 버릴 수 있다.
상기 포켓 수용부(91)의 함몰된 깊이는 상기 단열 공간(502)의 바닥면 또는 그와 인접한 위치까지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도 21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포켓 수용부(91)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체결홀(911)을 관통하는 체결부재(93)는 상기 하우징(50)을 차례로 관통하여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93)의 체결에 의해 상기 포켓부(90)는 하우징(50)에 고정된 상태가 될 수 있으며, 상기 포켓부(90)와 고정되는 가열 플레이트(70) 및 프레임(60) 등도 일체로 고정된 상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50)과의 분리를 위해서는 상기 체결부재(93)를 풀어 상기 포켓부(90)와 상기 하우징(50)의 결합을 해제하여야 할 것이다. 상기 체결부재(93)는 상기 조리기기(1)의 케이스 또는 상기 쿡탑부(20)의 마운팅 브라켓(202)에 고정 장착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포켓 테두리(92)는 상기 개구된 상단을 따라서 외측으로 소정의 폭을 가지며, 리어 파트(923)와 프론트 파트(921) 그리고 사이드 파트(922)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리어 파트(923)는 상기 베리어(51)의 경사부(512)와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체결부재(923b)의 체결에 의해 상기 포켓부(90)의 상단은 상기 가열 플레이트(70)의 하면에 가압되는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열 플레이트(70)와 상기 포켓부(90)는 완전히 밀착되는 상태로 결합되어 틈새가 발생되지 않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베리어(51)에 의한 1차적인 열 차단에 더하여, 상기 포켓부(90)의 내측으로 상기 가열 플레이트(70)와 상기 포켓부(90) 사이의 틈새로 열이 침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리어 파트(923)는 상기 포켓 수용부(91) 후단을 따라서 전체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체결홀(923a)이 형성되는 위치에서만 후방으로 더 연장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포켓부(90)는 기름이 모이게 되는 사용 특성상 열침투 상황 발생시 발화 가능성이 있어 이와 같은 열차단 구조로 인한 화재 방지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와 같은 구조가 아닌 프레임에 포켓부가 일체로 주물 성형되는 구조의 그리들에서는 가열 플레이트와 상기 포켓부 상단의 가압 밀착 구조가 없으며, 따라서 가열 공간의 열기가 상기 포켓부로 유입되는 위험성이 있다. 이는, 프레임의 성형과정시 발생되는 표면의 조도, 공차, 조립 불량에 기인하는 것으로 경우에 따라 화재를 발생시키는 요인이 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포켓 트레이(95)는 상기 포켓부(90)의 포켓 수용부(91)의 내측에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포켓 트레이(95)는 상기 포켓 수용부(91) 내측에서 상기 가열 플레이트(70)의 전단에서 흘러내리는 기름과 음식 물 찌꺼기를 모을 수 있도록 함몰된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상세히, 상기 포켓 트레이(95)는 상기 포켓 수용부(91)에 수용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함몰된 공간을 형성하는 트레이 바디(951)와, 상기 트레이 바디(951)의 전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트레이 연장부(952), 그리고 상기 트레이 연장부(952)의 상단에서 사용자가 잡을 수 있도록 절곡되는 손잡이(95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953)는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60)의 상면과 대응하는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953)의 양단이 상기 포켓 장착부(63)의 트레이 안착부(631)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953)는 열전도율이 낮은 소재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포켓 트레이(95)를 탈착 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포켓 트레이(95)의 장착시 상기 포켓 수용부(91)의 공간 내부 대부분을 차지하게 되며, 특히, 상기 포켓 수용부(91) 내측에 체결되는 체결부재(93)를 가리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포켓 트레이(95)가 상기 포켓 수용부(91)의 내측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포켓 트레이(95)의 후단은 상기 가열 플레이트(70)의 하방에 위치되고, 동시에 상기 가열 플레이트(70)의 전단보다 더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열 플레이트(70)를 따라서 흐르는 이물질과 오일은 물론, 상기 가열 플레이트(70) 단부에 맺혀진 오일 등이 모두 상기 포켓 트레이(95) 내측으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0은 상기 그리들의 절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1은 도 20의 B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22는 도 7의 A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포켓부(90)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가열 플레이트(70)의 전단은 상기 포켓부(90)의 내측으로 더 연장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열 플레이트(70)의 전단은 상기 포켓부(90)의 후단에서 돌출된 상태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포켓부(90) 내측으로 돌출된 상기 가열 플레이트(70)의 하면에는 플레이트 홈(71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 홈(711)은 상기 가열 플레이트(70)의 좌우 양측단까지 연장될 수 있으며, 소정의 깊이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가열 플레이트(70) 표면을 따라 흐르는 기름이 가열 플레이트(70)의 전단을 따라 흐르게 될 때 상기 플레이트 홈(711)에서 모여 하방으로 낙하하게 되며, 상기 가열 플레이트(70)와 포켓부(90) 상단의 사이 틈새로 유입되지 않고 상기 포켓 트레이(95)로 낙하하여 모이게 된다.
또한, 상기 가열 플레이트(70)의 하면과 접하는 상기 포켓부(90)의 리어 파트(923)에는 포켓 경사부(94)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포켓 경사부(94)는 후방으로 갈수록 높아지는 경사를 가지며, 상기 포켓 경사부(94)의 상단은 상기 플레이트 홈(711) 후방의 상기 가열 플레이트(70) 하면과 접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플레이트 홈(711)을 지나 상기 가열 플레이트(70)의 하면을 따라 기름이 유동하게 되는 상황이 발생하게 되더라도 상기 포켓 경사부(94)의 경사면을 따라서 다시 기름이 아래로 흐르도록 하여 상기 가열 공간(501)으로 기름이 침투하는 것을 더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어 파트(923)는 상기 가열 플레이트(70)의 하면과 체결부재(923b)에 의해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가 될 수 있으며, 상기 가열 공간(501)의 열기가 상기 포켓부(90)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고 동시에 상기 포켓부(90)의 오일이 가열 공간(501)으로 침투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베리어(51)의 접촉부는 상기 가열 플레이트(70)의 하면에 의해 하방으로 눌려지게 되며, 상기 베리어(51)의 경사부(512)가 가지는 탄성에 의해 상기 베리어(51)는 상기 가열 플레이트(70)에 완전히 밀착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인해서 상기 가열 공간(501)은 한층 더 기밀 될 수 있고, 상기 가열 공간(501)의 열기가 상기 포켓부(90)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베리어(51)의 경사부(512)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상기 리어 파트(923)가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리어 파트(923)와 상기 가열 플레이트(70)의 결합 구조 또한 상기 경사부(512) 상방의 공간에 위치될 수 있게 된다.
한편, 포켓부(90)의 바닥에 체결되는 체결부재(93)에 의해 상기 포켓부(90)는 상기 하우징(50)과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포켓 트레이(95)를 제거하고 상기 체결부재(93)를 풀게 되면, 상기 하우징(50)과 프레임(60)을 분리할 수 있게 된다.

Claims (20)

  1. 상면이 개구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는 버너;
    상기 하우징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부 둘레의 외관을 형성하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와 연통되는 프레임 개구가 형성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 개구의 일부를 차폐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며, 상기 버너에 의해 가열되는 조리 면을 제공하는 가열 플레이트;
    상기 프레임 개구의 일단과 상기 가열 플레이트를 연결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 개구의 다른 일부를 차폐하며, 이물질이 수용되도록 하방으로 함몰된 공간을 제공하는 포켓부;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전방에 버너가 수용되는 공간과 후방에 상기 포켓부가 수용되는 공간으로 구획하는 베리어를 포함하며,
    상기 베리어는,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서 수직하게 연장되는 구획부;
    상기 구획부의 상단에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부; 및
    상기 경사부의 상단에서 절곡되며, 상기 가열 플레이트의 하면을 지지하는 접촉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열 플레이트의 장착시 상기 경사부는 탄성 변형되고, 상기 접촉부가 상기 가열 플레이트를 가압 지지하는 그리들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부는,
    일단이 상기 가열 플레이트의 단부와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프레임과 결합되며,
    상기 포켓부의 결합에 의해 상기 프레임과 상기 가열 플레이트의 사이 공간을 차폐하는 그리들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플레이트는,
    상기 조리 면을 형성하는 판상의 가열부; 및
    상기 가열부의 둘레에 결합되며, 상기 가열부 보다 상방으로 연장되는 테두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테두리부는 상기 프레임 개구의 내측면에 결합되며, 상기 상기 프레임의 높이보다 더 낮게 형성되는 그리들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개구의 상단에는 내측으로 돌출되는 개구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 돌출부의 하면은 상기 테두리부의 상단에 지지되는 그리들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외측면에는 상기 프레임을 관통하여 상기 테두리부에 체결되는 체결부재가 구비되는 그리들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개구는,
    상기 가열 플레이트가 장착되는 플레이트 장착부; 및
    상기 플레이트 장착부의 일단에서 상기 포켓부가 장착되는 포켓 장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포켓 장착부의 폭은 상기 플레이트 장착부보다 더 넓게 형성되며, 상기 포켓 장착부의 양단이 상기 플레이트 장착부보다 더 함몰되는 그리들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장착부의 내측면은 하방에서 상방으로 갈수록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그리들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부의 내측에는, 상기 가열 플레이트로부터 유입되는 이물질이 유입되는 포켓 트레이가 탈착 가능하게 수용되며,
    상기 프레임 개구의 내측면에는 상기 포켓 트레이의 양단이 안착되는 트레이 안착부가 형성되는 그리들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부의 내측 바닥면에는 체결홀이 형성되며,
    상기 포켓부의 내측에서 체결되는 체결부재는 상기 체결홀을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에 체결되는 그리들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부의 상단을 따라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포켓 테두리가 형성되며,
    상기 포켓 테두리는,
    상기 프레임의 전단에 결합되는 프론트 파트;
    상기 가열 플레이트의 하면에 결합되는 리어 파트; 및
    상기 프레임 개구의 양측면에 접하는 사이드 파트를 포함하는 그리들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개구의 내측면에는 상기 사이드 파트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함몰되어 상기 사이드 파트와 결합되는 수용홈이 형성되는 그리들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플레이트는 상기 포켓부의 함몰된 공간의 내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그리들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플레이트의 하면에는 플레이트 홈이 형성되며,
    상기 플레이트 홈은 상기 가열 플레이트의 일측단에서 타측단까지 연장되며, 상기 포켓부의 함몰된 공간 내측에 위치되는 그리들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부의 상단에는 상기 포켓부의 내측에서 상기 가열 플레이트까지 경사지게 형성되는 포켓 경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포켓 경사부는 상기 플레이트 홈의 후방에서 상기 가열 플레이트와 접하도록 형성되는 그리들 장치.
  15. 삭제
  16. 삭제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개구의 양측면에는 상기 베리어의 양측단을 수용하는 단차부가 형성되는 그리들 장치.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양측면 하단에는 상기 포켓부의 양측면 상단이 삽입되는 수용 홈이 형성되는 그리들 장치.
  19. 조리 공간을 형성하는 캐비티를 개폐하는 도어가 전면에 구비되는 오븐부;
    상기 오븐부의 상방에 구비되며, 조리 기기의 상면을 형성하는 쿡탑부; 및
    상기 쿡탑부에 장착되어 상기 쿡탑부의 상면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그리들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그리들 장치는,
    상면이 개구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는 버너;
    상기 하우징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부 둘레의 외관을 형성하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와 연통되는 프레임 개구가 형성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 개구의 일부를 차폐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며, 상기 버너에 의해 가열되는 조리 면을 제공하는 가열 플레이트;
    상기 프레임 개구의 일단과 상기 가열 플레이트를 연결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 개구의 다른 일부를 차폐하며, 이물질이 수용되도록 하방으로 함몰된 공간을 제공하는 포켓부;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전방에 버너가 수용되는 공간과 후방에 상기 포켓부가 수용되는 공간으로 구획하는 베리어를 포함하며,
    상기 베리어는,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서 수직하게 연장되는 구획부;
    상기 구획부의 상단에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부; 및
    상기 경사부의 상단에서 절곡되며, 상기 가열 플레이트의 하면을 지지하는 접촉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열 플레이트의 장착시 상기 경사부는 탄성 변형되고, 상기 접촉부가 상기 가열 플레이트를 가압 지지하는 조리기기.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쿡탑부에는 상기 그리들 장치와 나란히 가스레인지가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프레임은 상기 가스레인지의 상부 외관을 형성하는 그레이팅과 동일 소재로 형성되고, 동일 높이로 형성되는 조리기기.
KR1020210040174A 2017-10-13 2021-03-29 그리들 장치 및 그리들 장치가 구비된 조리기기 KR1024430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762571917P 2017-10-13 2017-10-13
US16/159,807 2018-10-15
US16/159,807 US11234556B2 (en) 2017-10-13 2018-10-15 Cooking apparatus
KR1020180162333A KR102235317B1 (ko) 2017-10-13 2018-12-14 그리들 장치 및 그리들 장치가 구비된 조리기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2333A Division KR102235317B1 (ko) 2017-10-13 2018-12-14 그리들 장치 및 그리들 장치가 구비된 조리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7651A KR20210037651A (ko) 2021-04-06
KR102443045B1 true KR102443045B1 (ko) 2022-09-14

Family

ID=6609688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2333A KR102235317B1 (ko) 2017-10-13 2018-12-14 그리들 장치 및 그리들 장치가 구비된 조리기기
KR1020210040174A KR102443045B1 (ko) 2017-10-13 2021-03-29 그리들 장치 및 그리들 장치가 구비된 조리기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2333A KR102235317B1 (ko) 2017-10-13 2018-12-14 그리들 장치 및 그리들 장치가 구비된 조리기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11234556B2 (ko)
EP (2) EP4050264A1 (ko)
KR (2) KR1022353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893237S1 (en) * 2019-01-02 2020-08-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Gas oven range
USD914444S1 (en) * 2019-06-07 2021-03-30 Weber-Stephen Products Llc Controller for cooking apparatus
USD915141S1 (en) * 2019-06-07 2021-04-06 Weber-Stephen Products Llc Controller for cooking apparatus
WO2021252503A1 (en) * 2020-06-08 2021-12-16 Breauxs, Llc Griddle with temperature controller
US20220202238A1 (en) * 2020-12-30 2022-06-30 SharkNinja Operation LLC Grease trap
US11583136B1 (en) * 2021-02-02 2023-02-21 Sub-Zero Group, Inc. Griddle
US20230092626A1 (en) * 2021-09-23 2023-03-23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Oven appliance having a modular trim assembly for collecting debris
WO2024085840A1 (en) * 2022-10-17 2024-04-25 Vestel Beyaz Esya Sanayi Ve Ticaret Anonim Sirketi A cooking device comprising a safety bracket
WO2024123087A1 (ko) * 2022-12-06 2024-06-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54655A1 (en) * 2008-12-23 2010-06-24 Mehta Gagan Cooking byproduct collector
US20100175682A1 (en) * 2007-04-16 2010-07-15 Aktiebolaget Electrolux Barbecue and barbecue components
US20170332838A1 (en) 2016-05-04 2017-11-23 North Atlantic Imports, Llc Griddle device, system, and method
KR101899249B1 (ko) * 2017-06-12 2018-09-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그리들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Family Cites Families (6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693784A (en) 1925-11-21 1928-12-04 Griswold Mfg Company Electric cooking stove
US2457877A (en) 1942-11-23 1949-01-04 Libbey Owens Ford Glass Co Cooking unit
US2798930A (en) 1953-11-20 1957-07-09 Robert M Frost Convertible range
US3169518A (en) 1963-10-23 1965-02-16 Gen Electric Accessory trim for free-standing kitchen appliance
US3392720A (en) 1967-01-16 1968-07-16 Gen Electric Accessory trim means for domestic appliance
US3446201A (en) 1967-09-25 1969-05-27 Gen Electric Accessory trim for kitchen range
US3797375A (en) 1972-03-16 1974-03-19 Jenn Air Corp Stove with selectively interchangeable cooking apparatus
US3956612A (en) 1974-10-04 1976-05-11 Irex Corporation Radiant heating modular unit
US4042806A (en) 1977-01-19 1977-08-16 Jenn Air Corporation Ventilated range with plug-in cooking units
US4415788A (en) 1981-06-08 1983-11-15 Jenn-Air Corporation Induction cartridge
US4431892A (en) 1981-07-17 1984-02-14 Jenn-Air Corporation Ventilated modular cooktop cartridge
US4549052A (en) 1984-01-12 1985-10-22 The Maytag Company Cooling system for an induction cooking cartridge
US4562827A (en) 1984-11-21 1986-01-07 Roper Corporation Downdraft countertop cooking range
US4608917A (en) 1985-04-01 1986-09-02 Faaborg Paul G Stove top broiler combination
US4922079A (en) 1988-03-18 1990-05-01 Raytheon Company Combination cooking cartridge
US4917006A (en) 1988-05-23 1990-04-17 Raytheon Company Expansion thermostat for cooking grill
US5190026A (en) 1991-11-19 1993-03-02 Maytag Corporation Modular countertop cooking system
US5301653A (en) 1993-01-25 1994-04-12 Caloric Corporation Gas range having down draft with automatic shutoff during ignition
WO1998041058A2 (en) 1997-01-26 1998-09-17 Brighton Barry David Modular hot plates
DE19742792C1 (de) 1997-09-27 1998-11-19 Schott Glas Anordnung eines atmosphärischen Gasbrenners in einer Kochmulde mit einer Kochfläche aus Glaskeramik
DE19757004C2 (de) 1997-12-20 2000-11-30 Robert Detzer Gmbh & Co Kg Kochzentrum mit Warm- und/oder Kaltausgabe
US6271504B1 (en) 2000-10-18 2001-08-07 Maytag Corporation Versatile surface heating cartridge for cooking appliance
US6399925B1 (en) 2000-10-18 2002-06-04 Maytag Corporation Versatile surface heating cartridge for cooking appliance
US20020096509A1 (en) 2000-12-06 2002-07-25 Mosshaim Innovations, Inc. Catering trolley
US20060049725A1 (en) 2003-01-10 2006-03-09 Lee Simon Modular reconfigurable appliance
US7022957B2 (en) 2003-06-06 2006-04-04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s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 speedcooking oven
ITTV20030110A1 (it) 2003-08-01 2005-02-02 Emme Group Srl Complemento d'arredamento per la cucina, del tipo da esterno/interno, provvisto di apparecchiatura per la cottura di alimenti e con struttura componibile di supporto del top fuoco intercambiabile.
KR20050026609A (ko) 2003-09-09 2005-03-15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듈식 그릴 조리기 및 이 그릴 조리기를 구비한 복합조리장치
US20110241503A1 (en) 2004-01-12 2011-10-06 Lee Simon Decorative commercial or professional kitchen or food service area appliance unit with interchangeable form fitting cover and a facade panel
US7009151B2 (en) 2004-08-09 2006-03-07 Lg Electronics Inc. Mounting structure of heating element
US7140206B2 (en) 2004-10-26 2006-11-28 Any Tech, Inc. Gap cover device for side-by-side appliances
US7150166B2 (en) 2004-10-26 2006-12-19 Any Tech, Inc. Gap cover device for side-by-side appliances
DE202005001140U1 (de) 2005-01-25 2005-03-31 Roland Man Druckmasch Auslegevorrichtung einer Bogendruckmaschine
EP1719953A1 (en) 2005-05-06 2006-11-08 SMEG S.p.A. Cooking ranges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TR200502557U (tr) 2005-07-01 2006-02-21 Özti̇ryaki̇ler Madeni̇ Eşya San. Ve Ti̇c. A.Ş. Hijyenik özelliğe sahip tripple malzemeli grill plate
US20080060634A1 (en) 2006-09-11 2008-03-13 Wolf Appliance Company, Inc. Coated griddle bottom
US8424512B2 (en) 2007-02-20 2013-04-23 Itw Food Equipment Group Llc Modular range system and method and space saver burner system
US8578585B2 (en) 2007-02-20 2013-11-12 Illinois Tool Works Inc. Method of manufacturing a modular range system
JP2008249158A (ja) 2007-03-29 2008-10-16 Mitsubishi Electric Corp 加熱調理器
US20090283090A1 (en) 2008-05-16 2009-11-19 Daniel Garvin Hot Top With Dual Burners
US7819540B2 (en) 2008-05-28 2010-10-26 General Electric Company Control device for an appliance
TWI367719B (en) 2009-03-02 2012-07-01 Delta Electronics Inc Electric device and circling dissipating system using the same
US20140047943A1 (en) 2010-12-30 2014-02-20 Ugur Camli Household appliance comprising a knob which operates silently
US20130206128A1 (en) 2012-02-13 2013-08-15 Star Manufacturing International, Inc. On-demand cooking apparatus
US9072403B2 (en) 2012-05-02 2015-07-07 Bsh Home Appliances Corporation Home appliance with improved griddle insulation retainer
US9179800B2 (en) 2012-05-30 2015-11-10 Bsh Home Appliances Corporation Household appliance having a deployable warming drawer module
US9372002B2 (en) 2012-05-31 2016-06-21 Bsh Home Appliances Corporation Household appliance having an oven door with an integral drip tray
WO2013185072A1 (en) 2012-06-08 2013-12-12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Cooktop for gas appliance
US9182127B2 (en) 2013-01-07 2015-11-10 Bsh Home Appliances Corporation Home appliance with improved control access
US9723954B2 (en) 2013-03-18 2017-08-08 Bsh Home Appliances Corporation Combination griddle and teppanyaki cooking unit for a household cooking appliance
US9372003B2 (en) 2013-03-18 2016-06-21 Bsh Home Appliances Corporation Spring clip attachment for a surface cooking module of a household cooking appliance
US20150075513A1 (en) 2013-09-19 2015-03-19 General Electric Company Oven Range Appliance and a Cooling Assembly for the Same
US20150096974A1 (en) 2013-10-08 2015-04-09 Bsh Home Appliances Corporation Modular domestic cooking appliance with customizable cooking bays/ modules
US9562694B2 (en) 2013-10-08 2017-02-07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Double oven range appliance and a gas burner and floor assembly for an oven appliance
ITPR20130096A1 (it) 2013-11-21 2015-05-22 Indesit Co Spa Cucina di libera installazione
ITPR20130094A1 (it) 2013-11-21 2015-05-22 Indesit Co Spa Cucina di libera installazione.
ITPR20130095A1 (it) 2013-11-21 2015-05-22 Indesit Co Spa Base per cucina di libera installazione
US20150292747A1 (en) 2014-04-14 2015-10-15 Bsh Home Appliances Corporation Home cooking appliance having a gas rail system
US10288295B2 (en) 2014-05-09 2019-05-14 Bsh Home Appliances Corporation Home cooking appliance having an exhaust channel
US10119706B2 (en) 2014-05-09 2018-11-06 Bsh Home Appliances Corporation Home cooking appliance having a rear exhaust louver
US10234145B2 (en) 2014-05-09 2019-03-19 Bsh Home Appliances Corporation Home cooking appliance having a fan channel
US20150335200A1 (en) * 2014-05-23 2015-11-26 Viking Range, Llc Griddle
US9631817B2 (en) 2015-07-22 2017-04-25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Cooktop appliance
US10401035B2 (en) 2016-02-10 2019-09-03 Wolf Appliance, Inc. Vertically mounted gas cooktop control knob
DE102016205911A1 (de) 2016-04-08 2017-10-12 Wilhelm Bruckbauer Steuereinrichtung für ein modulares Kochfeldsystem
US10578311B2 (en) 2016-08-05 2020-03-03 Bsh Home Appliances Corporation Home cooking appliance having a metered exhaust channel
US20180206311A1 (en) 2017-01-16 2018-07-19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Cooking appliance and methods of operation
US10443858B2 (en) 2017-01-25 2019-10-15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Cooking appliance
US10415835B2 (en) 2017-02-27 2019-09-17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Gas range appliance with a gridd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75682A1 (en) * 2007-04-16 2010-07-15 Aktiebolaget Electrolux Barbecue and barbecue components
US20100154655A1 (en) * 2008-12-23 2010-06-24 Mehta Gagan Cooking byproduct collector
US20170332838A1 (en) 2016-05-04 2017-11-23 North Atlantic Imports, Llc Griddle device, system, and method
KR101899249B1 (ko) * 2017-06-12 2018-09-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그리들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5317B1 (ko) 2021-04-02
US20220117440A1 (en) 2022-04-21
US11234556B2 (en) 2022-02-01
EP3640545B1 (en) 2022-05-25
EP4050264A1 (en) 2022-08-31
EP3640545A1 (en) 2020-04-22
KR20210037651A (ko) 2021-04-06
KR20200042368A (ko) 2020-04-23
US20190110641A1 (en) 2019-04-18
US11832764B2 (en) 2023-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3045B1 (ko) 그리들 장치 및 그리들 장치가 구비된 조리기기
US6362458B1 (en) Food grilling system for oven cavity with byproduct removal
KR102327281B1 (ko) 조리기기
US20220322877A1 (en) Modular cooking appliance
JP2008089229A (ja) ガス調理器
KR20140003094U (ko) 서랍형 오븐 구이기
JP6143463B2 (ja) 加熱調理器
JP5973488B2 (ja) グリル
JP6800536B2 (ja) グリル
JP2017077392A (ja) グリル
KR101538987B1 (ko) 가스구이기
KR101617886B1 (ko) 조리기기
KR100826706B1 (ko) 빌트 인 조리기기
JP2015194291A (ja) 調理容器および加熱調理器
KR20060013765A (ko) 전기오븐레인지의 하부히터 차폐구조
JP6692540B2 (ja) こんろ
KR101533847B1 (ko) 탑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20140107840A (ko) 조리 기기의 도어 및 그 제조 방법
JP2017093834A (ja) グリル
KR101535300B1 (ko) 탑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1291442B1 (ko) 가스 조리기기
KR101596498B1 (ko) 탑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20080065431A (ko) 빌트 인 조리기기
JP2007151580A (ja) 鉄板焼装置及び鉄板焼装置用防熱カバー
JPH10161A (ja) 火気分散金枠焼き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